WO2021091301A9 -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 Google Patents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91301A9
WO2021091301A9 PCT/KR2020/015504 KR2020015504W WO2021091301A9 WO 2021091301 A9 WO2021091301 A9 WO 2021091301A9 KR 2020015504 W KR2020015504 W KR 2020015504W WO 2021091301 A9 WO2021091301 A9 WO 2021091301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rice
frozen
susceptor
weight
pack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55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21091301A3 (ko
WO2021091301A2 (ko
Inventor
정다운
사공헌구
이병국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CN202080081459.2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760854A/zh
Priority to EP20885905.8A priority patent/EP4056049A4/en
Priority to JP2022526247A priority patent/JP2023500712A/ja
Priority to US17/774,296 priority patent/US20220395004A1/en
Publication of WO2021091301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1301A2/ko
Publication of WO2021091301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1301A3/ko
Publication of WO2021091301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91301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5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ve energy, irradiation, electrical means or magnetic fields, e.g. oven cooking or roasting using radiant dry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3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6Products in which the original granular shape is maintained, e.g. parboiled rice

Definitions

  • the present application relates to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having a burnt texture.
  • frozen packaged rice sold as described above include frozen vegetable rice, frozen bibimbap, and frozen fried rice.
  • a cooking method using a pan or cooking using a microwave oven method is being used.
  • fried rice in particular, should be able to give a unique flavor by realizing a burnt texture with a slight burnt taste or a crumbly texture of rice grains when cooked using a pan.
  • the process of frying rice using a pan is greatly affected by the cook's cooking skill, heating temperature, cooking time, etc., and thus has a problem in that the taste and quality of the finished rice may vary.
  • the rice becomes soggy after cooking.
  • An obj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to provide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which can be easily cooked and can implement a pressed textur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manufacturing rice in which the pressed texture that could only be realized through pan cooking through heating using a microwave oven is realized.
  • One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including a susceptor and frozen ric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teps of preparing frozen rice; and contacting the frozen rice with the susceptor.
  •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cooked using a microwave oven, which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cooked at home. Able to maintain above-the-level quality.
  • FIG. 1 is a graph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usceptor by putting chicken ribs fried rice in a container including a susceptor and heating it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 the horizontal axis of the graph means time and the vertical axis means temperature (°C).
  • FIG. 2 is a photograph taken by heating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ntained in a container with a susceptor and a control frozen packaged rice contained in a container without a susceptor with a microwave oven.
  • the present application provides a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including a susceptor and frozen rice.
  •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means packaged rice that can be cooked by heating in a microwave oven, and the microwave oven may be a 700 W or 1,000 W microwave oven, but is used for packaged cooking. If it is a microwave oven, it can be used without limitation.
  • the frozen packaged rice may be cooked in a microwave oven in its packaged form, and if both the susceptor and frozen rice are includ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may be moved to another arbitrary container and cooked in a microwave oven. .
  • burned texture refers to a texture that appears when the rice is heated at a high temperature and slightly burnt with a yellowish light, and is characterized by a grainy and savory flavor. It has a texture similar to nurungji, but has a weaker degree of burning, and is a texture that can be realized during cooking of rice using a pan, for example, cooking of fried rice.
  •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heated using a microwave oven, the burned texture is improved and appears. For example, as described below, when heated at 700 W for 6 minutes, the color difference ( ⁇ E) according to CIE Lab is 3 or more compared to that of frozen packaged rice that does not contain a susceptor under the same conditions. When it appears, it can be seen that the cooked rice texture is realized.
  • the susceptor serves to convert microwaves of the microwave oven into heat, and transfers the converted thermal energy to the frozen rice to be used for heating and cooking the frozen rice.
  • the susceptor may be thinly coated with a metal such as aluminum, copper, zinc, tin, gold, silver, iron, nickel, etc., but any susceptor material known to be used as a packaging material for food in the art It can be used as a material without any limitation.
  • the susceptor is included in the form of a thin plate to be included in a form that can be separated from a container in which the frozen rice is contained, or is included in a form co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in which the frozen rice is contained. can
  • the shape of the susceptor may be circular, polygonal, or sector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frozen rice.
  • the susceptor may be in contact with the frozen rice, and the contact area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and the positions of the frozen rice and the susceptor.
  • the average temperature when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heated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for 6 minutes, the average temperature may be 85 °C to 130 °C. In addition, when heated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for 6 minutes, the maximum temperature may be 100 °C to 150 °C. More specifically, when the frozen packaged rice is heated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for 6 minutes, the average temperature may be 85 °C to 130 °C, and the maximum temperature may be 100 °C to 150 °C.
  •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is one lower limit selected from 85 °C, 90 °C, 98 °C and 95 °C and/or one upper limit selected from 130 °C and 125 °C.
  • it may be a temperature of 85 to 130 °C, 85 to 125 °C, 90 to 125 °C, or 95 to 125 °C.
  •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is one lower limit selected from 100 °C, 105 °C, and 112 °C and/or 150 °C, 147 °C, 145 °C, 142 °C, 140 °C, 137 °C °C, 135 °C, 132 °C, and may be a range consisting of one upper limit selected from 130 °C.
  • it may be a temperature of 100 to 150 °C, 100 to 147 °C, 100 to 145 °C, 100 to 142 °C, 105 to 145 °C, 105 to 142 °C, 112 to 135 °C, or 112 to 132 °C.
  •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heated in a microwave, when the average temperature and/or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appears in the above ranges, it effectively implements the burned texture of the frozen rice for a short time and induces a change in its chromaticity. Although it can be don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oblem of burning the frozen rice does not occur.
  • the frozen rice is frozen rice made by washing and boiling grains such as rice and barley as raw materials or frozen by mixing rice with auxiliary materials, and is a food that can be eaten immediately by thawing.
  • Rice as a raw material of the frozen rice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white rice, black rice, brown rice, glutinous rice, etc., in addition to rice, includes those cooked by mixing with grains such as barley, beans, and millet.
  • the frozen rice may be in a form mixed with other ingredients after being cooked, for example, bibimbap, rice bowls, etc., and may be fried rice fried in oil after being cooked, and the fried rice may be, for example, chicken ribs fried rice, octopus fried rice, jjukkumi fried rice, It may be kimchi fried rice, shrimp fried rice, Spanish food paella, sokarat,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ozen rice is, when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s heated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for 6 minutes,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CIE Lab ( ⁇ E) may be 3 or more.
  • the CIE Lab is a color space coordinate, where L represents brightness, a represents the degree of bias between red and green, and b represents the degree of bias between yellow and blue. Based on th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colors may be represented.
  • the color difference ( ⁇ E) according to the CIE Lab is the color after heating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the microwav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 the microwave and the frozen packaged rice without the susceptor heated in the microwave under the same conditions. It means the color difference when comparing the later colors, and it can be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based on the L, a, and b values measured in each frozen rice.
  • the L, a, and b values can be measured by turning over the frozen rice immediately after heating it in a microwave and measuring the color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frozen rice with the susceptor using a color difference measuring instrument, and vertically matching the frozen rice with the color difference measuring instrument. Measure by evenly divid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frozen rice into 9 equal parts.
  • the color difference appears as the color changes as the frozen rice is pressed while heated in a microwave oven, and the larger the color difference appears, the more the frozen rice is pressed, which means that the texture of the frozen rice is better realized.
  • the color difference may be 3 to 30, 3.1, 3.2, 3.3. a range consisting of one lower limit selected from 3.4, and 3.5 and/or one upper limit selected from 30, 20, and 15. Specifically, it may be 3.1 to 30 or less, 3.2 to 20 or less, or 3.3 to 14 or less.
  •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exhibit a color difference in the above range compared to the heated food of the frozen packaged rice not including a susceptor, Although the texture of the grains of rice is increased, the burnt texture can be sufficiently realized, and the burnt taste that occurs when it is overheated is not strong, so the preference of consumers who eat it is the best.
  • the frozen rice may have a volume ratio (volume/area) of 16 to 45 mm to a contact area with the susceptor.
  • the volume ratio (volume/area) to the contact area is one lower limit selected from 16, 18, 20, 22, 23, 23.5, 24, 24.5, and 25 mm and/or 45, 40, 35, 30, 28, 27, 26.5, 26, and 25.5 mm may be a range consisting of one upper limit.
  • the rice In the case of frozen rice in which the volume ratio (volume/area) to the contact area with the susceptor is expressed as a numerical value within the above range, the rice is thick enough not to be burned by the heat received from the susceptor, and the heat transfer efficiency is excell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cooked to show a color difference in which the texture is best realized.
  • the frozen rice may include water and oil components together with rice.
  • it may further include an emulsifier, such as lecithin, which acts to emulsify the water and oil.
  • the oil may be an edible oil used for food, for example, soybean oil, canola oil, sunflower oil, olive oil, corn oil, brown rice oil, et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ozen rice may have a moisture content of 40 wt% to 58 wt%.
  • the moisture content of the frozen rice is one selected from 40% by weight, 42% by weight, 44% by weight, 45% by weight, 47% by weight, 48% by weight, 48.5% by weight, 49% by weight, and 49.5% by weight.
  • the maximum and averag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increases as the dielectric constant decreases while containing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required for cooking, and the cooked frozen rice It has the effect of better pressing and improving its texture and flavor.
  • the frozen rice may have an oil content of 2 wt% to 10 wt%.
  • the oil content of the frozen rice is one selected from 2% by weight, 2.1% by weight, 2.2% by weight, 2.3% by weight, 2.4% by weight, 2.5% by weight, 2.55% by weight, 2.6% by weight, and 2.63% by weight.
  • it may be 2 to 10% by weight, 2.1 to 8% by weight, 2.2 to 7% by weight, 2.3 to 6% by weight, 2.4 to 5% by weight, or 2.5 to 4% by weight.
  • the oil contained in the frozen rice is in the same content range as above, it is possible to form a high temperature of 100 °C or higher of the frozen rice in a short time when heating in a microwave oven by creating a cooking environment similar to that of cooking in a bar pan. It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aste.
  • the frozen rice may contain 0.5 parts by weight to 22 parts by weight of oil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moisture.
  • the content of the oil is one lower limit selected from 0.5 parts by weight, 1 part by weight, 2 parts by weight, 3 parts by weight, 4 parts by weight, 5 parts by weight, and 5.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moisture and/or 22 parts by weight, 20 parts by weight, 18 parts by weight, 15 parts by weight, 13 parts by weight, 12 parts by weight, 10 parts by weight, 8 parts by weight, 7 parts by weight, and 6.5 parts by weight. have.
  • it may be 0.5 to 22 parts by weight, 1 to 20 parts by weight, 2 to 18 parts by weight, 4.5 to 15 parts by weight, 5 to 13 parts by weight, or 5 to 12 parts by weight.
  • the content of moisture and oil contained in frozen rice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decreasing the dielectric constant according to the moisture content and increasing the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oil content is excellent, so th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increases and the color difference before and after heating of the frozen rice is larg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frozen packaged rice with a significantly improved texture.
  • the frozen rice may be frozen by the IQF (individual quick frozen) or BQF (block quick freezing) method, and when frozen in the IQF method,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frozen rice is high.
  • IQF individual quick frozen
  • BQF block quick freezing
  • the frozen rice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and may be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on one or more sides of the frozen ric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for example, the susceptor on two or more, three or more, or four or more sides. can be contacted with The contact may be a direct contact between the frozen rice and the susceptor, or an indirect contact between the frozen rice and the susceptor with a packaging material commonly used as a food packaging material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packaging material that can be included between the frozen rice and the susceptor may be a material such as paper, film, and/or metal, and if the heat generated from the susceptor can be effectively transferred to the frozen rice, it can be applied without limitation. .
  • the susceptor and the frozen rice may be positioned in a form with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frozen rice and the susceptor, a portion of the frozen rice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and a portion of the frozen rice is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and a predetermined space between the susceptor and the susceptor. It can be placed in a spaced apart form.
  • the frozen rice may be in any one form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ylinder, a cone, a truncated cone, a polygonal prism, a polygonal pyramid, a truncated polygonal pyramid, a sphere, and a truncated spher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hape of the susceptor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nd applied, and the contact method between the frozen rice and the susceptor may also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 the shape of the susceptor when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is a cylinder, a cone, or a cut cone, the shape of the susceptor may be circular, and when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is a polygonal pillar, a polygonal pyramid, or a truncated polygonal pyramid, the The shape may be a polygon, in this case, the polygon of the susceptor may be made of the same number of sides as at least one side of the frozen rice.
  •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when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is a sphere or a cut sphere, the shape of the susceptor may be a shape surrounding the spherical surface of the frozen rice, for example, a circle or a fan shape.
  • the shape of the susceptor may not necessaril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surface of the frozen rice in contact with it.
  • the area of the susceptor may be larger or smaller than the surface of the frozen rice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and may be the same.
  •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containing the frozen rice.
  • the shape and material of the container may be any shape and material commonly used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shape of the container may be appropriately chang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and specifically, the shape of the container may be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rozen rice.
  •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cooking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soning sauce.
  • the seasoning sauce is curry sauce, jjajang sauce, gochujang sauce, bibimbap sauce, soy sauce sauce, seafood rice bowl sauce, beef bulgogi rice bowl sauce, pork bulgogi rice bowl sauce, beef rib steamed rice bowl sauce, pork ribs steamed rice bowl sauce, beef rib roast bowl sauce, grilled pork ribs It may be rice bowl sauc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rozen rice may be bibimbap, rice bowl, or fried rice.
  • the seasoning sauce may be included in a form added to the frozen rice, and may be included in a form packaged by a separate container and packaging material from the frozen ric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application comprises the steps of preparing frozen rice; and contacting the frozen rice with the susceptor.
  • the description of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microwave oven'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and specifically, the type, shape, component, content, heating temperature, color difference after heating of the frozen packaged rice, susceptor and/or frozen rice. , a freezing method, a contact method, etc. can be equally applied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may further include packaging the seasoning sauce.
  • Description of the seasoning sauce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 Frozen packaged rice prepared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frozen packaged rice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texture when heated in a microwave oven.
  • the improvement of the burnt texture means that the burnt texture that may appear during microwave cooking of general frozen packaged rice is improved, and the burnt texture of rice cooked using a pan is similar to or improved.
  • the description of the burnt texture is the same as that described in the frozen packaged rice for the microwave.
  • For frozen rice commercially available chicken rib fried rice (CJ Cheiljedang) was used, and 200 g of frozen rice was put in a container and heated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for 6 minutes.
  • heating was performed in a general container without a susceptor and a container having a susceptor on the bottom, respectively. The temperature change of the susceptor was measured during the heating process, and the product temperature of the rice was measured after cooking was completed.
  • the maximum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was 137 °C, which can form a high temperature of 100 °C or higher at a fast rate (FIG. 1).
  • the temperature of the rice was higher, and when the color of the rice heated with the susceptor was visually confirmed, a darker color was shown, and it was confirmed that a burnt texture was realized when eaten. (FIG. 2).
  • the thickness (height) of the frozen rice is different compared to the area of the frozen rice in contact with the susceptor to realize the most burnt texture of the rice. This excellent condition was confirmed.
  • susceptors having diameters of 215 mm, 150 mm, and 94 mm, respectively, were prepared based on a circular container, and a container in which the susceptor was located on the bottom surface was prepared. Then, 200 g of frozen rice was placed in each container having a different bottom diameter as described above and heated in a microwave oven of 700 W for 6 minutes, and the maximum/averag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was measured (Table 2).
  • the L, a, and b values of the frozen rice were measured using a color difference measuring device (manufacturer: TES, model name: TES-135A), and the color difference according to CIE Lab ( ⁇ E) wa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formula (Table 1). Specifically, the color of the contact surface with the susceptor of the frozen rice was measured by turning over the frozen rice immediately after heating it in a microwave oven. did.
  • Example 4 Example 5
  • Example 6 Weight (g) weight% Weight (g) weight% Weight (g) weight% weight% rice 100 48.45% 100 44.17% 100 40.37% Purified water 100 48.45% 120 53.00% 140 56.52% soybean oil 5 2.42% 5 2.21% 5 2.03% lecithin 1.4 0.68% 1.4 0.62% 1.4 0.57% Sum 206.4 100% 226.4 100% 246.4 100%
  • Frozen rice of Examples 4 to 6 was prepared with the ingredient ratio according to Table 2, and 200 g was put in a container with a circular susceptor having a diameter of 14.7 cm, heated in a 700 W microwave oven for 6 minutes, and heated During the process, the maximum and average temperatures of the susceptors were measured. In addition, after heating the frozen rice of Examples 4 to 6, the color was measured, and the color difference ( ⁇ 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Table 3).
  • Example 4 (Moisture 48%) Example 5 (water 52%) Example 6 (Moisture 56%) With or without susceptor ⁇ O O O Susceptor maximum temperature (°C) 127.00 114.00 109.00 Susceptor average temperature (°C) 105.00 99.00 92.00 Color differenc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4 ( ⁇ E) - 3.66 3.22 3.16
  • the frozen packaged rice of Examples 4 to 6 heated in a microwave with a susceptor showed higher maximum and average temperatures of the susceptor.
  • the maximum/averag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was measured to be higher as the frozen packaged rice with a lower moisture content among them.
  • the efficiency of the susceptor was improved, thereby increasing the burnt portion of the rice. Accordingly, rice does not burn during microwave cooking and is higher than the moisture content that can normally be thawed, but rice with a better burned texture by setting the moisture content low enough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susceptor was confirmed to be able to be manufactured.
  • Example 7 Example 8
  • Example 9 Weight (g) weight% Weight (g) weight% Weight (g) weight% rice 1000 48.37% 1000 47.23% 1000 45.93% Purified water 1060 51.27% 1060 50.06% 1060 48.68% soybean oil 6 0.29% 56 2.64% 116 5.33% lecithin 1.4 0.07% 1.4 0.07% 1.4 0.06% Sum 2067.4 100% 2117.4 100% 2117.4 100%
  • Frozen rice of Examples 7 to 9 was prepared with the ingredient ratio according to Table 4, and 200 g was put in a container with a circular susceptor having a diameter of 14.7 cm, heated in a 700 W microwave oven for 6 minutes, and heated During the process, the maximum and average temperatures of the susceptors were measured.
  • the color after heating the frozen rice of Examples 7 to 9 was measured and comparing the color of the frozen rice prepared according to the component ratio of Example 8 without microwave heating (Comparative Example 5) without a susceptor.
  • the color difference ( ⁇ E) was calculated and com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Table 5).
  • Example 7 (Oil 0.29%)
  • Example 8 (Oil 2.64%)
  • Example 9 (Moisture 5.33%) With or without susceptor ⁇ O O O
  • Susceptor maximum temperature (°C) 109.00 130.00 130.00
  • Susceptor average temperature (°C) 92.00 124.00 123.00 Color difference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5 ( ⁇ E) - 3.57 4.36 3.97
  • the maximum and average temperatures of the susceptors were higher in the frozen packaged rice of Examples 7 to 9, which were microwave-heated with the susceptor,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5, which was heated without including the susceptor.
  • the maximum/average temperature of the susceptor was measured higher in the frozen packaged rice with 2.64% than that of the frozen rice with an oil content of 0.29% in the frozen rice, but the maximum/average temperature of the frozen rice with an oil content higher than that of the frozen rice was also higher. The temperature was kept similar. And,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color difference with Comparative Example 5 without using a susceptor, it was confirmed that a burnt portion was formed when the oil content was increa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 General Preparation And Processing Of Foods (AREA)
  • Electric Ovens (AREA)
  • Freezing, Cooling And Drying Of Food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셉터 기술을 냉동 포장밥에 적용함으로써 팬조리를 통해서만 구현할 수 있었던 밥의 눌은 식감을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과정을 통해서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본 출원은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에 관한 것이다.
가정에서 간단하고 편리하게 조리하여 먹을 수 있는 간편식이 대중화되면서, 한국인의 주식으로 섭취되는 밥 역시 냉동 포장된 상태로 시장에 출시되어 유통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판매되는 냉동 포장밥의 종류로는 냉동 나물밥류, 냉동 비빔밥류, 냉동 볶음밥류 등이 있으며, 냉동된 상태로 유통되는 상기 식품들의 조리를 위해 팬을 이용한 조리 방법이나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1인 가구의 증가와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로 인하여, 조리 과정의 번거로움은 줄이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맛과 품질을 나타내는 간편식을 찾고자 하는 소비자의 니즈가 늘고 있으며, 냉동 포장밥의 경우에도 조리 과정의 편리성과 조리 시 품질의 유지가 보장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냉동 포장밥 중에서도 특히 볶음밥류는 팬을 이용한 조리 시 눌어붙어 약간의 탄맛이 나는 눌은 식감이나 밥알의 고슬고슬한 식감이 구현되어 특유의 풍미를 부여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팬을 이용하여 밥을 볶는 과정은, 조리자의 조리 실력, 가열 온도, 조리 시간 등에 많은 영향을 받게 되고 이에 따라 완성된 밥의 맛과 품질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냉동 포장밥의 조리 시에는 조리 이후 밥이 눅눅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자레인지로 조리되는 간편식 중에서 피자나 만두의 경우 포장재의 일부로 서셉터나 발열패드를 포함시킨 형태가 시장에 출시되어 있으나, 서셉터를 밀가루가 아닌 쌀 원료의 냉동 포장밥에 적용하여 이의 눌은 식감을 얻고자 하는 시도는 없었다. 또한,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이용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려는 시도(한국 10-2009-0096453)가 있었지만, 침지한 쌀을 전자레인지로 조리하여 누룽지를 제조하는 방법에 불과하다. 이에, 본 출원의 발명자는 한국인의 주식이 되는 냉동 포장밥을 가정에서 전자레인지로 쉽게 조리할 수 있으면서도, 팬을 이용한 조리에서만 구현할 수 있었던 눌은 식감을 효과적으로 얻을 수 있는 본 출원의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은 간편하게 조리될 수 있으면서도 눌은 식감을 구현할 수 있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을 통해 팬조리를 통해서만 구현될 수 있었던 눌은 식감이 구현된 밥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출원의 일 측면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셉터 및 냉동밥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냉동밥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냉동밥 및 서셉터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하여 조리되는 것으로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조리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팬을 이용한 조리 방법과는 달리 조리자의 조리 실력이나 조리 환경에 의한 영향이 적어 완성된 식품이 일정 수준 이상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전자레인지 조리 과정에서는 달성할 수 없는 수준의 높은 평균 온도와 최대 온도를 달성할 수 있는바, 종래 전자레인지를 통한 조리에서는 구현할 수 없던 눌은 식감을 갖는 밥을 짧은 시간에 조리할 수 있다.
다만, 본 출원의 효과는 상기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하기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서셉터가 포함된 용기에 닭갈비볶음밥을 담아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며 서셉터의 온도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로, 그래프의 가로축은 시간, 세로축은 온도(℃)를 의미한다.
도 2는 서셉터가 있는 용기에 담긴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과 서셉터가 없는 용기에 담긴 대조군의 냉동 포장밥을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촬영한 사진이다.
이하,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출원은 서셉터 및 냉동밥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은 전자레인지로 가열하여 조리될 수 있는 포장된 형태의 밥을 의미하며, 상기 전자레인지는 700 W 또는 1,000 W 전자레인지일 수 있으나 포장식의 조리를 위해 이용하는 전자레인지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냉동 포장밥은 포장된 형태 그대로 전자레인지에서 조리될 수 있으며, 본 출원의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서셉터 및 냉동밥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라면 다른 임의의 용기에 옮겨 전자레인지에서 조리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눌은 식감"이란, 밥이 고온에서 가열될 때 누런 빛이 나면서 조금 타면서 나타나는 식감으로, 밥알이 고슬고슬하고 고소한 풍미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누룽지와 유사한 식감이나 이보다는 눌은 정도가 더 약하며, 팬을 이용한 밥의 조리, 예컨대 볶음밥의 조리 과정에서 구현될 수 있는 식감이다. 본 출원의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가열 시, 눌은 식감이 향상되어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예를 들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700 W에서 6분 가열하였을 때, 동일 조건으로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는 냉동 포장밥을 가열한 것과 비교하여, CIE Lab에 따른 색차(ΔE)가 3 이상으로 나타날 때 밥의 눌은 식감이 구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출원은, 1,000 W에서 뿐만 아니라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사용하였을 때도, 밥의 눌은 식감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700 W의 전자레인지 사용에 있어서, 6분 동안 가열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눌은 식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두께, 수분, 기름 함량, 수분/기름의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조금 더 적은 시간인 4분으로도 충분히 눌은 식감을 구현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서셉터(susceptor)는 전자레인지의 마이크로파를 열로 전환하는 역할을 하며 전환된 열 에너지를 상기 냉동밥에 전달하여 이를 냉동밥의 가열 및 조리에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서셉터는 알루미늄, 구리, 아연, 주석, 금, 은, 철, 니켈 등의 금속에 의해 얇게 코팅된 것일 수 있으나, 당업계에서 식품의 포장재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진 서셉터 소재라면 어느 것이든 제한 없이 소재로 이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에서 상기 서셉터는 얇은 판의 형태로 포함되어 냉동밥이 담기는 용기와 분리될 수 있는 형태로 포함되거나, 상기 냉동밥이 담기는 용기의 안쪽 면에 코팅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셉터의 형태는 원형, 다각형, 또는 부채꼴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상기 냉동밥을 담는 용기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셉터는 냉동밥과 접촉될 수 있으며, 그 접촉 면적은 냉동밥의 형태 및 냉동밥과 서셉터의 위치 등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서셉터는,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을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였을 때, 평균 온도가 85 ℃내지 130 ℃일 수 있다. 또한,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였을 때, 최대 온도가 100 ℃ 내지 150 ℃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동 포장밥을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였을 때, 평균 온도가 85 ℃ 내지 130 ℃이고, 최대 온도가 100 ℃ 내지 150 ℃인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건으로 전자레인지를 구동시켰을 때 서셉터의 평균 온도는, 85 ℃, 90 ℃, 98 ℃ 및 95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130 ℃ 및 125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85 내지 130 ℃, 85 내지 125 ℃, 90 내지 125 ℃, 또는 95 내지 125 ℃의 온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건으로 전자레인지를 구동시켰을 때 서셉터의 최대 온도는 100 ℃, 105 ℃, 및 112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150 ℃, 147 ℃, 145 ℃, 142 ℃, 140 ℃, 137 ℃, 135 ℃, 132 ℃, 및 130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100 내지 150 ℃, 100 내지 147 ℃, 100 내지 145 ℃, 100 내지 142 ℃, 105 내지 145 ℃, 105 내지 142 ℃, 112 내지 135 ℃, 또는 112 내지 132 ℃의 온도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였을 때 서셉터의 평균 온도 및/또는 최대 온도가 상기와 같은 범위로 나타날 경우, 짧은 시간 동안 냉동밥의 눌은 식감을 효과적으로 구현하여 이의 색도 변화를 유도할 수 있으면서도 냉동밥이 타버리는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냉동밥은 쌀, 보리 등의 곡식을 원료로 세척하여 끓여 만든 밥을 냉동시킨 것이거나 또는 밥을 부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냉동시킨 것으로, 해동만으로도 바로 취식이 가능한 식품이다. 상기 냉동밥의 원료가 되는 쌀은 백미, 흑미, 현미, 찹쌀 등 그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쌀 이외에도 보리, 콩, 조 등의 곡식과 혼합되어 취반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냉동밥은 취반된 이후 다른 식재료와 혼합된 형태, 예컨대 비빔밥류, 덮밥류 등일 수 있고, 취반된 이후 기름에 볶은 볶음밥류일 수 있으며, 상기 볶음밥은 예를 들어 닭갈비 볶음밥, 낙지 볶음밥, 쭈꾸미 볶음밥, 김치 볶음밥, 새우 볶음밥, 스페인 음식인 빠에야, 소카라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냉동밥은,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을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6분 가열하였을 때, 동일 조건으로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는, 냉동 포장밥을 가열한 것과 비교하여, CIE Lab에 따른 색차(ΔE)가 3 이상일 수 있다. 상기 CIE Lab은 색공간 좌표로 L은 밝기, a는 빨강과 초록 사이의 치우침 정도, b는 노랑과 파랑 사이의 치우침 정도를 나타내며, 이를 바탕으로 두 색상의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상기 CIE Lab에 따른 색차(ΔE)는 본 출원의 전자레인지용 냉동 포장밥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한 후의 색상과,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는 냉동 포장밥을 동일한 조건으로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한 후의 색상을 비교하였을 때의 색차를 의미하며, 각 냉동밥에서 측정한 L, a, b 값을 바탕으로 하기 식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식]
Figure PCTKR2020015504-appb-I000001
상기 L, a, b 값은, 냉동밥을 전자레인지 가열한 직후에 뒤집어 상기 냉동밥의 서셉터와의 접촉면의 색상을 색차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으며, 냉동밥과 색차 측정기를 수직으로 맞닿게 하여 상기 냉동밥 접촉면을 균등하게 9등분하여 측정한다.
본 출원에서 상기 색차는 냉동밥이 전자레인지에서 가열되면서 눌게 되어 색상이 변화함에 따라 나타나는 것으로, 상기 색차가 크게 나타날수록 냉동밥이 더 많이 눌어 이의 식감이 더 잘 구현되었음을 의미한다.
상기 색차는 3 내지 30 일 수 있으며, 3.1, 3.2, 3.3. 3.4, 및 3.5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30, 20, 및 15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3.1 내지 30 이하, 3.2 내지 20 이하, 또는 3.3 내지 14 이하 일 수 있다.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은 전자레인지를 통해 가열함에 따라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는 냉동 포장밥의 가열물과 비교하여 상기 범위의 색차를 나타낼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색차를 나타낼 경우, 조리된 냉동 포장밥의 밥알의 고슬고슬한 식감이 증가하여 눌은 식감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으면서도, 지나치게 가열될 경우 발생하는 탄맛이 강하지 않아 이를 취식하는 소비자의 기호도가 가장 우수한 효과가 있다.
상기 냉동밥은, 서셉터와의 접촉 면적 대비 부피 비(부피/면적)가 16 내지 45 mm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 면적 대비 부피 비(부피/면적)는 16, 18, 20, 22, 23, 23.5, 24, 24.5, 및 25 mm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45, 40, 35, 30, 28, 27, 26.5, 26, 및 25.5 mm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16 내지 45 mm, 18 내지 40 mm, 20 내지 35 mm, 22 내지 30 mm, 23 내지 28 mm, 23.5 내지 27 mm, 24 내지 26.5 mm, 24.5 내지 26 mm, 25 내지 26 mm, 24.5 내지 25.5 mm, 또는 25 내지 25.5 mm일 수 있다. 서셉터와의 접촉 면적 대비 부피 비(부피/면적)가 상기 범위 내의 수치로 나타나는 냉동밥의 경우, 서셉터로부터 받는 열에 의해 밥이 타지 않을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도 열의 전달 효율이 우수하여 눌은 식감이 가장 잘 구현되는 색차를 나타내도록 조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냉동밥은 쌀과 함께 수분 및 기름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분 및 기름을 유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유화제, 예컨대 레시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름은 식용으로 이용되는 식용유일 수 있고, 예컨대 대두유, 카놀라유, 해바라기유, 올리브유, 옥수수유, 현미유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냉동밥은 수분 함량이 40 중량% 내지 58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동밥의 수분 함량은 40 중량%, 42 중량%, 44 중량%, 45 중량%, 47 중량%, 48 중량%, 48.5 중량%, 49 중량%, 및 49.5 중량%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58중량%, 57중량%, 56 중량%, 55 중량%, 54 중량%, 및 53 중량%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40 중량% 내지 58 중량%, 42 중량% 내지 57 중량%, 44 중량% 내지 56 중량%, 45 중량% 내지 55 중량%, 47 중량% 내지 54 중량%, 48 중량% 내지 53 중량%일 수 있다. 냉동밥에 포함된 수분이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일 때, 취반에 필요한 충분한 양의 수분을 함유하면서도,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가 감소함에 따라 서셉터 최고 온도 및 평균 온도가 증가해 조리된 냉동밥이 더 잘 눌어 이의 식감과 풍미가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냉동밥은 기름 함량이 2 중량%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동밥의 기름 함량은 2 중량%, 2.1 중량%, 2.2 중량%, 2.3 중량%, 2.4 중량%, 2.5 중량%, 2.55 중량%, 2.6 중량%, 및 2.63 중량% 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10 중량%, 8 중량%, 7 중량%, 6 중량%, 5 중량%, 4 중량%, 및 3 중량%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2 내지 10 중량%, 2.1 내지 8 중량%, 2.2 내지 7 중량%, 2.3 내지 6 중량%, 2.4 내지 5 중량%, 또는 2.5 내지 4 중량%일 수 있다. 냉동밥에 포함된 기름이 상기와 같은 함량 범위일 때, 전자레인지 가열 시 짧은 시간 동안에 냉동밥의 100 ℃ 이상 고온을 형성할 수 있는 바 팬조리 시와 유사한 조리 환경을 조성하여 냉동 포장밥의 눌은 식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냉동밥은 수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름을 0.5 중량부 내지 2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름의 함량은 수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1 중량부, 2 중량부, 3 중량부, 4 중량부, 5 중량부 및 5.5 중량부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하한선 및/또는 22 중량부, 20 중량부, 18 중량부, 15 중량부, 13 중량부, 12 중량부, 10 중량부, 8 중량부, 7 중량부, 및 6.5 중량부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상한선으로 구성된 범위일 수 있다. 예컨대, 0.5 내지 22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2 내지 18 중량부, 4.5 내지 15 중량부, 5 내지 13 중량부, 또는 5 내지 12 중량부일 수 있다. 냉동밥에 포함된 수분 및 기름의 함량이 상기 범위와 같을 경우, 수분 함량에 따른 유전상수의 감소 및 기름 함량에 따른 온도 상승 효과가 우수하여 서셉터의 온도 증가, 냉동밥의 가열 전후 색차가 크게 나타나 눌은 식감이 크게 향상된 냉동 포장밥의 제조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냉동밥은 IQF(individual quick frozen) 또는 BQF(block quick freezing) 방식으로 냉동된 것일 수 있으며, IQF 방식으로 냉동할 경우 상기 냉동밥의 생산 효율이 높은 장점이 있고, BQF 방식으로 냉동할 경우 냉동 포장밥의 전자레인지 가열 시 눌은 식감이 더 잘 구현되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에 따른 냉동 포장밥은 IQF 방식으로 냉동하더라도, BQF 방식으로 냉동한 경우와 유사하게 풍미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냉동밥은 서셉터와 접촉하여 있을 수 있으며, 냉동밥의 형태에 따라 냉동밥의 1면 이상에서 서셉터와 접촉할 수 있고, 예컨대 2면 이상, 3면 이상, 또는 4면 이상에서 서셉터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접촉은 냉동밥과 서셉터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이거나, 본 출원의 기술분야에서 식품 포장재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포장재를 냉동밥과 서셉터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냉동밥과 서셉터 사이에 포함될 수 있는 포장재는 종이, 필름, 및/또는 금속 등의 재질일 수 있으며 서셉터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냉동밥에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셉터 및 냉동밥은, 냉동밥과 서셉터 사이에 일정한 공간을 둔 형태로 위치하는 것일 수 있고, 냉동밥의 일부는 서셉터와 접촉하고, 일부는 서셉터와 일정한 공간을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는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냉동밥은 원기둥, 원뿔, 잘린 원뿔, 다각기둥, 다각뿔, 잘린 다각뿔, 구, 및 잘린 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와 같은 냉동밥의 형태에 따라, 서셉터의 형태도 적절하게 변경하여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냉동밥과 서셉터의 접촉 방식 역시 상기 냉동밥의 형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밥의 형태가 원기둥, 원뿔, 또는 잘린 원뿔일 경우 상기 서셉터의 형태는 원형일 수 있고, 상기 냉동밥의 형태가 다각기둥, 다각뿔, 또는 잘린 다각뿔일 경우 상기 서셉터의 형태는 다각형일 수 있고, 이 때 상기 서셉터의 다각형은 상기 냉동밥의 적어도 한 면과 동일한 개수의 변으로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냉동밥의 형태가 구 또는 잘린 구일 경우 상기 서셉터의 형태는 상기 냉동밥의 구면을 감싸는 형태로 예컨대 원형 또는 부채꼴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서셉터의 형태가 이와 접촉하는 냉동밥의 면의 형태와 반드시 동일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셉터의 면적은 상기 서셉터와 접촉하는 냉동밥의 면보다 더 크거나 작을 수 있으며, 동일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은 상기 냉동밥을 담는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기의 형태 및 재질은 본 출원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형태 및 재질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용기의 형태는 상기 냉동밥의 형태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용기의 형태는 상기 냉동밥의 형태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은, 양념소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소스는 카레소스, 짜장소스, 고추장, 비빔밥 소스, 간장소스, 해물 덮밥소스, 소불고기 덮밥소스, 돼지불고기 덮밥소스, 소갈비찜 덮밥소스, 돼지갈비찜 덮밥소스, 소갈비구이 덮밥소스, 돼지갈비구이 덮밥소스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양념소스의 종류에 따라 상기 냉동밥은 비빔밥류, 덮밥류 또는 볶음밥류일 수 있다. 상기 양념소스는 냉동밥에 첨가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고, 상기 냉동밥과 별개의 용기, 포장재에 의해 포장된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은 냉동밥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냉동밥 및 서셉터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전자레인지용 냉동 포장밥'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고, 구체적으로 상기 냉동 포장밥, 서셉터 및/또는 냉동밥의 종류, 형태, 성분, 함량, 가열 시 온도, 가열 후 색차, 냉동 방식, 접촉 방식 등은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의 제조 방법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의 제조 방법은 양념소스를 포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념소스에 관한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출원의 냉동 포장밥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냉동 포장밥은 전자레인지로 가열 시 눌은 식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눌은 식감의 향상은, 일반적인 냉동 포장밥의 전자레인지 조리 시 나타날 수 있는 눌은 식감보다 더 향상된 것임을 의미하며, 팬을 이용하여 조리된 밥의 눌은 식감과 유사하거나 더 향상된 것일 수 있다. 상기 눌은 식감에 관한 설명은 상기 전자레인지용 냉동 포장밥에 대한 사항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이하, 본 출원을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출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실험예 1]
서셉터를 적용한 냉동 볶음밥의 전자레인지 가열 시 온도 및 눌은 식감 구현 확인
냉동밥에 서셉터를 접촉시켜, 팬조리 과정에서만 구현되었던 밥의 눌은 식감과 풍미가 냉동 포장밥의 전자레인지 조리 과정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냉동밥은 시중에서 판매하는 닭갈비볶음밥(CJ제일제당)을 이용하였고, 용기에 냉동밥을 200 g 만큼 넣고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였다. 서셉터 유무에 따른 효과 차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는 일반 용기와 서셉터를 바닥 면에 위치시킨 용기에서 각각 가열을 수행하였다. 가열 과정에서 서셉터의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고, 조리가 완료된 후 밥의 품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서셉터의 최고 온도가 137 ℃로 나타나 빠른 속도로 100 ℃ 이상의 고온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 서셉터를 이용한 전자레인지 가열 시 밥의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서셉터와 함께 가열시킨 밥의 색상을 육안으로 확인하였을 때 더 어두운 색상을 나타내었으며, 취식하였을 때 눌은 식감이 구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2).
상기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냉동 포장밥 분야에서 서셉터를 적용할 경우 전자레인지 가열 시 짧은 시간 동안 고온이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팬조리 시에만 구현될 수 있던 밥의 눌은 식감을 전자레인지의 조리 시에도 서셉터의 활용으로 구현할 수 있음을 새롭게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냉동밥의 서셉터와의 접촉 면적 대비 부피 비(부피/면적)에 따른 서셉터 온도 및 밥의 눌은 식감 구현 확인
서셉터를 포함하는 냉동 포장밥의 전자레인지 가열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서셉터와 접촉하는 냉동밥의 면적과 비교하여, 냉동밥의 두께(높이)를 달리하여 가장 밥의 눌은 식감의 구현이 우수한 조건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먼저 원형의 용기를 기준으로 지름이 각각 215 mm, 150 mm, 94 mm인 서셉터를 제조하고, 상기 서셉터가 바닥면에 위치하는 용기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냉동밥 200 g을 상기와 같이 밑면의 지름이 다른 각 용기에 담아 700 W의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면서, 서셉터의 최고/평균 온도를 측정하였다(표 2). 또한, 상기 냉동밥의 가열 전후의 색상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색차 측정기(제조사: TES, 모델명: TES-135A)를 이용하여 냉동밥의 L, a, b 값을 측정해 CIE Lab에 따른 색차(ΔE)를 하기 식에 따라 계산하였다(표 1). 구체적으로, 냉동밥을 전자레인지 가열한 직후에 뒤집어 상기 냉동밥의 서셉터와의 접촉면의 색상을 측정하였으며, 냉동밥과 색차 측정기를 수직으로 맞닿게 하여 상기 냉동밥 접촉면을 균등하게 9등분하여 측정하였다.
[식]
Figure PCTKR2020015504-appb-I000002
상기 서셉터의 평균온도 및 최고온도가 더 고온으로 나타나거나, 상기 색차가 크게 나타날 경우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냉동밥의 조리 과정에서 눌은 식감이 더 잘 구현된 것임을 의미한다.
비교예 1 실시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비교예 3 실시예 3
서셉터 유무 Х O Х O Х O
냉동밥 중량(g) 200 200 200 200 200 200
서셉터 지름(mm) 215 215 150 150 94 94
가열 전 냉동밥 높이(mm) 15 15 25 25 55 55
접촉 면적 대비 부피 비(mm) (부피/면적) 15 15 25 25 55 55
서셉터 최대온도(℃) - 119.00 100.00 125.00 89.00 121.00
서셉터 평균온도(℃) - 79.00 86.00 96.00 80.00 85.00
색차 (ΔE) 실시예 1의 밥이 타버려 측정 불가 13.44 5.10
그 결과, 냉동밥의 두께가 너무 얇아 부피/면적 비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서셉터 이용 시 밥이 타버려 밥의 조리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상기 부피/면적 비가 너무 작지는 않으면서 적절한 비율로 유지될 경우, 서셉터에 의한 가열 효율을 높여 냉동 포장밥에서 눌은 식감이 더 향상되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냉동밥의 수분 함량에 따른 서셉터 온도 및 밥의 눌은 식감 구현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냉동밥의 형태에 따른 서셉터의 효율을 확인한 것에 더하여, 냉동밥에 포함되는 수분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켜 전자레인지 가열에 따른 서셉터의 온도 및 밥의 눌은 식감을 확인하였다.
성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중량(g) 중량% 중량(g) 중량% 중량(g) 중량%
100 48.45% 100 44.17% 100 40.37%
정제수 100 48.45% 120 53.00% 140 56.52%
대두유 5 2.42% 5 2.21% 5 2.03%
레시틴 1.4 0.68% 1.4 0.62% 1.4 0.57%
합계 206.4 100% 226.4 100% 246.4 100%
상기 표 2에 따른 성분비로 실시예 4 내지 6의 냉동밥을 제조하였고, 이를 지름이 14.7 cm인 원형의 서셉터와 함께 용기에 200 g을 담아, 700 W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 과정 동안 서셉터의 최대 온도 및 평균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4 내지 6의 냉동밥을 가열한 후 색상을 측정하여, 냉동밥을 서셉터 없이 전자레인지 가열(비교예 4)한 후의 색상과 비교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색차(ΔE)를 계산해 비교하였다(표 3).
비교예 4 실시예 4
(수분 48%)
실시예 5
(수분 52%)
실시예 6
(수분 56%)
서셉터 유무 Х O O O
서셉터 최대온도(℃) 127.00 114.00 109.00
서셉터 평균온도(℃) 105.00 99.00 92.00
비교예 4와 비교한 색차 (ΔE) - 3.66 3.22 3.16
그 결과,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고 가열한 비교예 4에 비해, 서셉터를 포함시켜 전자레인지 가열한 실시예 4 내지 6의 냉동 포장밥은 서셉터의 최대 온도 및 평균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냉동밥에 포함된 수분의 함량이 적은 냉동 포장밥일수록 서셉터의 최대/평균 온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다. 또한, 서셉터를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4와의 색차 비교 결과에서도, 수분 함량이 적은 냉동 포장밥에서 가열 후 눌은 부분이 더 많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상기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냉동 포장밥의 전자레인지 조리 과정에서, 냉동밥에 포함되는 수분의 양을 더 적게할수록 서셉터의 효율을 향상시켜 밥의 눌은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전자레인지 조리 중 밥이 타지 않고 통상적으로 밥이 해동될 수 있는 수분의 함량보다는 많으면서도, 서셉터의 효율을 증가시키는 정도로 수분의 함량을 적게 설정함으로써 눌은 식감이 더 잘 구현된 밥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냉동밥의 기름 함량에 따른 서셉터 온도 및 밥의 눌은 식감 구현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냉동밥의 형태에 따른 서셉터의 효율을 확인한 것에 더하여, 냉동밥에 포함되는 기름 성분의 함량을 변화시켜 전자레인지 가열에 따른 서셉터의 온도 및 밥의 눌은 식감을 확인하였다.
성분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중량(g) 중량% 중량(g) 중량% 중량(g) 중량%
1000 48.37% 1000 47.23% 1000 45.93%
정제수 1060 51.27% 1060 50.06% 1060 48.68%
대두유 6 0.29% 56 2.64% 116 5.33%
레시틴 1.4 0.07% 1.4 0.07% 1.4 0.06%
합계 2067.4 100% 2117.4 100% 2117.4 100%
상기 표 4에 따른 성분비로 실시예 7 내지 9의 냉동밥을 제조하였고, 이를 지름이 14.7cm인 원형의 서셉터와 함께 용기에 200 g을 담아, 700 W 전자레인지에서 6분 동안 가열하고, 가열 과정 동안 서셉터의 최대 온도 및 평균 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 7 내지 9의 냉동밥을 가열한 후 색상을 측정하여, 상기 실시예 8의 성분비에 따라 제조된 냉동밥을 서셉터 없이 전자레인지 가열(비교예 5)한 후의 색상과 비교하여 상기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색차(ΔE)를 계산해 비교하였다(표 5).
비교예 5 실시예 7
(기름 0.29%)
실시예 8
(기름 2.64%)
실시예 9
(수분 5.33%)
서셉터 유무 Х O O O
서셉터 최대온도(℃) 109.00 130.00 130.00
서셉터 평균온도(℃) 92.00 124.00 123.00
비교예 5와 비교한 색차 (ΔE) - 3.57 4.36 3.97
그 결과,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고 가열한 비교예 5에 비해, 서셉터를 포함시켜 전자레인지 가열한 실시예 7 내지 9의 냉동 포장밥은 서셉터의 최대 온도 및 평균 온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냉동밥에 포함된 기름의 함량이 0.29%인 냉동밥의 경우보다 2.64%인 냉동 포장밥에서 서셉터의 최대/평균 온도가 더 높게 측정되었으나, 그 이상의 기름 함량의 냉동밥에서도 최대/평균 온도는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그리고, 서셉터를 이용하지 않은 비교예 5와의 색차 비교 결과, 기름 함량이 높아진 경우 눌은 부분이 형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상기와 같은 결과로 볼 때, 냉동 포장밥의 전자레인지 조리 과정에서, 냉동밥에 포함되는 기름의 양이 일정량 이상으로 포함될 경우 서셉터의 온도가 증가되며, 기름의 함량을 일정 범위로 설정함에 따라 서셉터의 효율이 가장 우수하게 향상되어 밥의 눌은 부분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대표적인 실험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출원의 범위는 상기와 같은 특정 실험예에만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출원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9)

  1. 서셉터 및 냉동밥을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서셉터는, 상기 냉동 포장밥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였을 때 평균 온도가 85 ℃ 내지 130 ℃이거나, 또는 최대 온도가 100 ℃ 내지 150 ℃인 것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동밥은, 상기 냉동 포장밥을 전자레인지에서 가열하였을 때, 동일 조건으로 서셉터를 포함하지 않는 냉동 포장밥을 가열한 것과 비교하여, CIE Lab에 따른 색차(ΔE)가 3 이상인 것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동밥은, 서셉터와의 접촉 면적 대비 부피 비(부피/면적)가 16 내지 45 mm인 것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동밥은 수분 함량이 40 중량% 내지 58 중량%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동밥은 기름 함량이 2 중량% 내지 10 중량%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동밥은 수분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기름을 0.5 중량부 내지 22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냉동밥은 원기둥, 원뿔, 잘린 원뿔, 다각기둥, 다각뿔, 잘린 다각뿔, 구, 및 잘린 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형태인,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9. 냉동밥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냉동밥 및 서셉터를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의 제조 방법.
PCT/KR2020/015504 2019-11-08 2020-11-06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WO2021091301A2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1459.2A CN114760854A (zh) 2019-11-08 2020-11-06 具有焦糊质地的可微波的包装冷冻米饭
EP20885905.8A EP4056049A4 (en) 2019-11-08 2020-11-06 FROZEN RICE PACKED FOR MICROWAVE COOKING WITH A TOASTED TEXTURE
JP2022526247A JP2023500712A (ja) 2019-11-08 2020-11-06 焦げた食感を有する電子レンジ調理用の冷凍包装ご飯
US17/774,296 US20220395004A1 (en) 2019-11-08 2020-11-06 Microwavable packaged frozen rice having scorched tex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85 2019-11-08
KR1020190142985A KR102546286B1 (ko) 2019-11-08 2019-11-08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91301A2 WO2021091301A2 (ko) 2021-05-14
WO2021091301A3 WO2021091301A3 (ko) 2021-07-22
WO2021091301A9 true WO2021091301A9 (ko) 2021-08-26

Family

ID=7584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5504 WO2021091301A2 (ko) 2019-11-08 2020-11-06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395004A1 (ko)
EP (1) EP4056049A4 (ko)
JP (1) JP2023500712A (ko)
KR (1) KR102546286B1 (ko)
CN (1) CN114760854A (ko)
WO (1) WO2021091301A2 (ko)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94751A (ja) * 1987-05-27 1988-12-01 Shinobu Foods Kk 電子レンジ用焼きおにぎり製造具及び焼きおにぎりの製造方法
JPH0738778B2 (ja) * 1991-05-30 1995-05-01 由夫 宮沢 電子レンジ加熱用冷凍焼きおにぎり
CA2493955A1 (en) * 2002-07-26 2004-02-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Ovenware for microwave oven
JP4522911B2 (ja) * 2004-05-31 2010-08-11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加工食品用調味料
US8057832B2 (en) * 2006-09-13 2011-11-15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Microwavable food products
US7608538B2 (en) 2007-01-05 2009-10-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Formation of vertical devices by electroplating
ES2385626T3 (es) 2007-05-01 2012-07-27 Nestec S.A. Envase para la preparación de galletas en un aparato de microondas
JP5324139B2 (ja) * 2008-06-19 2013-10-23 雪印メグミルク株式会社 加熱調理用容器
JP2010126181A (ja) * 2008-11-26 2010-06-10 Kakinohasushi Honpo Tanaka:Kk 冷凍食品用包装容器
EP2908662B1 (en) * 2012-10-18 2016-12-14 Nestec S.A. Food surface browning for mw applications
JP2015085999A (ja) * 2013-11-02 2015-05-07 正美 中西 電子レンジ調理用食品パッケージ
FR3032862B1 (fr) 2015-02-24 2019-04-05 Ajinomoto Co., Inc. Aliment pour cuisson en four a micro-ondes
US11945638B2 (en) * 2015-12-02 2024-04-02 Societe Des Produits Nestle S.A. Packaged food product for solid state microwave oven
MX2019006237A (es) * 2016-11-30 2019-08-01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Paquetes para microondas y productos alimenticio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286B1 (ko) 2023-06-22
EP4056049A4 (en) 2023-12-13
JP2023500712A (ja) 2023-01-10
KR20210056174A (ko) 2021-05-18
EP4056049A2 (en) 2022-09-14
WO2021091301A3 (ko) 2021-07-22
CN114760854A (zh) 2022-07-15
WO2021091301A2 (ko) 2021-05-14
US20220395004A1 (en) 2022-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54697A (en) Pizza pan shielding systems and methods
US6503546B1 (en) Crisp filled pastry after microwave baking
CA2069782A1 (en) Pizza crus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CA1197987A (en) Insulated cooking utensil
WO2020204604A1 (ko) 라이징 피자 도우 제조방법
JPH0516854B2 (ko)
WO2016159543A2 (ko) 기름에 튀기지 않은 즉석 복원 용기형 건조면의 제조방법
WO2021091301A9 (ko) 눌은 식감을 갖는 전자레인지 조리용 냉동 포장밥
WO2011136540A2 (en) Process for preparing dried pre-gelatinized rice
KR102293268B1 (ko) 발열패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9765B1 (ko) 건강식 누룽지 제조방법
CN108402409A (zh) 低盐脱腥辣香型鸭蛋干及其制备方法
KR20180119793A (ko) 직화구이 맛을 갖는 누룽지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누룽지
WO2020179979A1 (ko) 떡볶이 고추분말소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종이상자 떡볶이 세트
WO2022114332A1 (ko) 구운 외관을 갖는 성형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1543B1 (ko) 구운 어묵의 제조방법
Chitapanya et al. Comparison of the simultaneous color contrast determined by colored paper and colored illumination
JP3127380B2 (ja) お好み焼及びその製造法
WO2022114886A1 (ko) 브레드 크럼 및 이의 제조방법
KR19980032173U (ko) 도자기 구이판
KR100974349B1 (ko) 떡고물 제조방법
KR20220049637A (ko) 직화구이 맛을 갖는 누룽지의 제조방법
CN115530203A (zh) 一种利用微波和焙烤降低曲奇中丙烯酰胺含量的方法
KR20050001034A (ko) 곡물류의 눈이 함유된 과자의 제조방법
JP3070961U (ja) 冷凍お好み焼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85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2624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85905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6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