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60737A1 -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 Google Patents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60737A1
WO2021060737A1 PCT/KR2020/011894 KR2020011894W WO2021060737A1 WO 2021060737 A1 WO2021060737 A1 WO 2021060737A1 KR 2020011894 W KR2020011894 W KR 2020011894W WO 2021060737 A1 WO2021060737 A1 WO 202106073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lithium secondary
binder
activ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89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찬수
김영재
김예린
유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ES20867099T priority Critical patent/ES2957766T3/es
Priority to PL20867099.2T priority patent/PL3996173T3/pl
Priority to US17/607,699 priority patent/US20220216479A1/en
Priority to EP20867099.2A priority patent/EP3996173B1/en
Priority to JP2021560662A priority patent/JP7274604B2/ja
Priority to CN202080044143.6A priority patent/CN113994509B/zh
Publication of WO202106073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6073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1Binders
    • H01M4/622Binders being poly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6Silicon or alloys based on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1Physical characteristics, e.g. porosity, surfac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483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for non-aqueous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Definitions

  • It relates to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th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manufactured by mixing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or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a binder resin component and dispersing it in a solvent to make a composition (slurry), which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an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dried to form a mixture layer.
  • the binder is used to secure adhesion or binding strength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active material,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ut an excessive amount of the binder is required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nd the active material.
  • an excessive amount of the binder has a problem of lowering the capacity and conductivity of the electrode.
  • insufficient adhesion causes electrode peeling in processes such as electrode drying and pressing, which increases the electrode defect rate.
  • an electrode having low adhesive strength may be peeled off by an external impact, and this electrode peeling may increase contact resistance between an electrode material and a current collector, which may cause a decrease in electrode output performance.
  •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arboxy methyl cellulose which are also soluble in water and are also referred to as aqueous binders, a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strong adhesion, whereas in order to satisfy both dispersibility and adhesion, only styrene-butadiene rubber or carboxy methyl cellulose is used. Since it is difficult to use, it has disadvantageous disadvantages in terms of process and cost, since it is necessary to use both styrene-butadiene rubber and carboxy methyl cellulose as a two-part binder.
  •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ies that can be well dispersed in an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n particular,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mproves adhesion during electrode composition, and simplifies the process procedure while allowing the electrode to have more excellent tensile strength. And there is a need for an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 An object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ich can be well dispersed in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mprove adhesion during negative electrode composition, and make the negative electrode have more excellent tensile strength.
  • An object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one-component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well dispersed in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mprove adhesion during negative electrode composition, and make the negative electrode have more excellent tensile strength.
  • Another object to be solve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a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wherein the There is provided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combined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ic acid monomer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sodium acrylate monomer in the copolymer is 25 to 35% by weight.
  • the copolymer comprises only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amide monomers,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s,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s, an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onitrile monomers.
  •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 the copolymer is 60 to 65%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amide monomer, 5 to 10%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 and repeating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which is a copolymer comprising 15 to 25% by weight of units and 5 to 15%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onitrile monomers.
  •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wherein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in the form of particles.
  •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are included, and the binder i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monomer is located in a direction toward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onitrile monomer is located on the surface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
  •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haracterized in that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Si or SiO-based active material.
  •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herein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tensile strength in the range of 80 to 120 MPa. do.
  •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adhesive strength in the range of 15 gf/15mm to 100 gf/15mm.
  • a negative electrode for a battery is provided.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any one of the fifth to ninth aspects.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cellently dispersed in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used in the manufacture of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is,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prepared by including an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as main components. have.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ropriately positioned a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active material,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thereby helping to have a strong binding relationship for the composi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do.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component that provides strong hydrogen bonds among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binder, so that it can be uniformly dispersed in an aqueous dispersion medium.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synergistic effect with strong adhesion and excellent dispersibility, so that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large volume expansion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as Si, SiO-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sepa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e phenomenon can be remarkably reduced.
  • main constituents that is, an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 the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perly positioned at the contact points between the active material,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also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so that the negative electrode components are strongly bound to each other. You can have a relationship.
  •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strong hydrogen bond in the binder and the binder is uniformly dispersed in an aqueous dispersion medium,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large volume expansion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such as Si, When used together with a SiO-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it has the effect of remarkably alleviating a conventional problem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that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i, SiO-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is separated from contact for a period of constituent components.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an excellent capacity retention rate.
  • 1 is a graph measuring the peel strength of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graph measuring the tensile strength of the binder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4 is a graph measuring the capacity retention rat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a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Example 1 and Comparative Example 1, respectively.
  • a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wherein the acrylic acid monomer
  •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provided, wherein the total weight of the derived repeating unit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is 25 to 35% by weight.
  • the binde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oes not contain butadiene rubber or carboxymethylcellulose.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substantially a copolymer consisting of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It is characterized by that.
  • substantially composed of is intended to cover a case in which a small amount of additives or unintended trace amounts of impurities are included, and the additives or impurities are used in the desired effect of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 copolymer consisting of only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amide monomers,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s,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s, and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onitrile monomers. It is done.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60 to 65%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amide monomer, 5 to 10%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 15 to 25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It is a copolymer consisting of 5 to 15%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by weight.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monomer when included in an amount of 60 to 65% by weight in the copolymer,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monomer is included in less than 60% by weight of the copolymer.
  • the negative electrode adhesive strength is not improved to the desired level, and since more than 65% by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monomer is contained in the copolymer, the negative electrode, more specifically,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as very brittle physical properties, resulting in loss of flexibility. The problem of becoming can be prevented.
  • the'brittle' property of the negative electrode refers to a state in which the negative electrode formed after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s coated and dried on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flexible and is very hard.
  • a negative electrode undergoes a roll-to-roll rolling process in its manufacturing process, cracks are generated in the negative electrode, more specifically,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making it difficult to manufacture the negative electrode.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 when included in the amount of 5 to 10% by weight in the copolymer,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 is included in less than 5% by weight in the copolym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 the mixture composition exhibits poor dispersibility when agitated, and the negative electrode, more specifically,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has very brittle physical properties, resulting in loss of flexibility due to containing more than 10%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s. Can be prevented.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when included in the amount of 15 to 25% by weight in the copolymer,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is included in less than 15% by weight of the copolymer.
  • the dispersibil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s not significantly improved, and more than 25% by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is included, so that many bubbles are generated during the stirring of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nd the generated bubbles burst. Meanwhile, a phenomenon in which conductive materials are aggregated and active materials are aggregated is generated, so that a problem of deteriorating dispersibility can be prevented.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is a component that is included in the copolymer and exhibits hydrophobic properties, and when included in the copolymer in an amount of 5 to 15% by weight, the acrylonitrile Since the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is contained in less than 5% by weight, the resulting negative electrode has a high affinity for moisture, and as a result, the negative electrode contains a lot of moisture, and the acrylonitrile monomer-derived repeating unit is 15% by weight.
  • the total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ccounts for 25 to 35% by weight. If the total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ic acid monomer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sodium acrylate monomer is less than 25% by weight, uniform dispersion does not occur while stirring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nd a phenomenon of particle agglomeration occurs, more than 35% by weight. In many cases, a lot of bubbles are generated during stirring, and the negative electrode produced by using this copolymer as a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xhibits brittle physical properties.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contains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copolymer derived from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in the form of particles in the dispersion medium,
  • the functional groups in the monomer hydrogen bonds occur between the OH-O, OH-N, NH-O, and NH-N functional groups, and the -NH 2 , -OH, and -CONH 2 functional groups have high aggregate energy and thus the binder particles Is positioned at a contact position between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 the copolymer is an active material particle and/or a conductive material particle such that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PAM) monomer in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s positioned toward the surface of the active material particle and/or th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 Is attached to.
  • the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these acrylamide monomers are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in a direction toward the surface of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even after the anode is form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 the copolymer is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PAA)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PAA-Na+) monomer in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re opposite to the direction attach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s or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It is located in the direction.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onitrile monomer is located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attach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s and/or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while the probability of meeting with air decreases due to its hydrophobic nature, thereby preventing bubbles from being trapped into the binder. do.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monomer used in the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4 x 10 6 to 7 x 10 6.
  • the negative electrode finally produced by using the copolymer as a binde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exhibits deteriorated adhesion, and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greater than the upper limit.
  • the resulting negative electrode exhibits brittle physical properties by using the copolymer a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used in the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1 x 10 5 to 6 x 10 5.
  •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smaller than the lower limit is us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uniform dispersion during stirring with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by using the copolymer a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used in the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2,000 to 1 x 10 5.
  •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less than the lower limit is used, it is difficult to achieve uniform dispersion during stirring with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by using the copolymer a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finally produced by using it as a negative electrode binder has brittle characteristics.
  • the polyacrylonitrile used in the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n the range of 1 x 10 4 to 1 x 10 5.
  •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less than the lower limit is used, the probability of contact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nd air is increased in the stirring step of mixing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using the copolymer a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 lot of bubbles are generated, and moisture adsorption of the finally generated negative electrode is increased.
  • the visc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using the copolymer a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reases, making it difficult to stir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de of the copolymer has a particle shape and may have an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of 100 nm to 1 ⁇ m or 300 nm to 500 nm.
  • D50 is the particle diameter at 50% of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particles according to the particle diameter, and the D50 can be measured using a laser diffraction method. Specifically, after dispersing the powder to be measured in a dispersion medium, it is introduced into a commercially available 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measuring device (for example, Microtrac S3500) to measure the difference in the diffra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particle size when the particles pass through the laser beam. Yields D50 can b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particle diameter at a point where 50% of the cumulative distribution of the number of particles according to the particle diameter in the measuring device is 50%.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the above-described average particle diameter (D50), it can exhibit an appropriate adhesive force, has a small electrolyte swelling phenomenon, and exhibits appropriate elasticity to accommodate changes in the thickness of the negative electrode and prevent gas generation. Can be reduced.
  • water, acetone, ethanol,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is used as a dispersion medium in which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dispersed.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have a viscosity in the range of 10000 mPa ⁇ s to 25000 mPa ⁇ s at a shear rate of 1 1/s at 25° C., and such viscosity If it has a range, it may exhibit a dispersion effect in the stirring step of mixing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 the viscosity is a value obtained by measuring rheological properties using a TA instrument Trios at 25°C.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ispersibility and is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one-component lithium secondary battery that can be stored in one container until immediately before use.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dispersibility so that uniform dispersion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occurs.
  • the dispersibility of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can be evaluated in two aspects, namely, a filter test item and a viscosity.
  • the dispersibility is evaluated as poor, and if there is no, small or small amount of the binder lump left on the mesh sieve, the dispersibility is evaluated as good.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t room temperature by measuring the shear rheological properties (shear rate)
  • TA instrument Trios rheological property measuring instrument
  • viscosity is less than 500 mPa.s, coating may not be appropriate,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e coating process. If the viscosity exceeds 10000 mPa.s, the pump transfer pressure is high, which will also cause a problem in the process. I can.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by a method including the following steps (S1) to (S4),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olyacrylonitrile obtained above is polymerized with acrylic acid to prepare a copolymer thereof. To this end, they are mixed in an organic solvent for polymer synthesis, photopolymerized for 45 to 90 minutes, and freeze-dried.
  • the organic solvent for polymer synthesis may be a mixture of benzene and bromoform. Thereby, a polyacrylonitrile-polyacrylic acid copolymer (PAN-PAA) was obtained.
  • PAN-PAA-PAA Na+ copolymer is added to an organic solvent for polymer synthesis, and acrylamide is added thereto under oxygen-free conditions, followed by photopolymerization in a closed environment.
  • the photopolymerization temperature may be in the range of 25 to 35°C, and the photopolymerization time may be 1.5 to 2.5 hours. Powder particles were obtained as a final product, and the obtained powder particles were freeze-dried.
  • a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is obtained.
  • based on 5 to 15% by weight of the acrylonitrile monomer 5 to 10% by weight of acrylic acid, 60 to 65% by weight of acrylamide, and 15 to 25% by weight of methyl methacrylate may be used.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adhesion and is used in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it can be appropriately positioned at a contact point between the active materials,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between the active material and the current collector. It helps to have a strong binding relationship in terms of compositionality.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n adhesive force that prevents the finally produced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from having brittle physical properties, and more specifically,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is 15 gf/15 mm or more or 17 gf /15mm or more or 20 gf/15mm or more may be provided, and the upper limit of the adhesion may be 100 gf/15mm.
  •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ncluding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hesive strength lower than the lower limit, a problem of separation of components from the negative electrode occurs and the change in the volume of the active material cannot be controlled, and an adhesive strength higher than the upper limit. In the case of having, the finally fabricated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exhibits brittle physical properties.
  • the adhesion evaluation may be performed as follows: A dispersion containing 2% by weight of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98% by weight of an active material as a solid content, and using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to prepare a dispersion containing the solid content in a concentration of 55% by weight do. Then, the dispersion was coated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a loading amount of 100 mg/25 cm 2 and dri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n active material layer, and the negative electrode was punched and sampled with a width of 15 mm.
  •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was mounted on UTM (Kipae E&T), and the force when the 130 mm l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was detached from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a speed of 300 mm/min and an angle of 180 degrees was measured.
  • the binder for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make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finally produced have excellent tensile strength.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ensile strength in the range of 80 to 120 MPa or 90 to 100 MPa.
  • the binder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has a tensile strength in the above range, the resulting negative electrode, more specifically,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satisfies excellent mechanical strength, while reducing the volume expans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n the finally prepar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layer. It has a preventive effect.
  • the evaluation of the tensile strength can be made as follows: 2 g of a binder is dispersed in 14.6 g of water as a dispersion medium, and the dispersed composition is coated on a release substrate made of a Teflon box to a thickness of 180 ⁇ m and naturally dried to form a film. , The film is punched out and vacuum dried at 100° C. for 24 hours to remove moisture. Then, after removing the moisture-dried film from the release substrate, the film was fixedly installed in a tensile strength measuring machine (hardness tester) at a gauge distance of 65 mm, and a speed of 20 mm/min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of the binder film. It i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force at the time of pulling and breaking.
  • a tensile strength measuring machine hardness tester
  • the binder is used as an anode active material together with a silicon-based anode active material, so that the problem of volume expansion of the anode active material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can be effectively solved.
  •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conductive material, and a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are included, and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s, as described above, wherein the binder is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 a copolymer comprising a repeating unit,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in the copolymer
  •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which the weight is 25 to 35% by weight, and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is a silicon-based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includes, for example, Si, silicon oxide particles (SiO x , 0 ⁇ x ⁇ 2), Si-metal alloy, and Si and silicon oxide particles (SiO x , 0 ⁇ x ⁇ 2) may include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lloys, and the silicon oxide particles (SiO x , 0 ⁇ x ⁇ 2) may be a composite composed of crystalline SiO 2 and amorphous Si.
  • a carbon material in addition to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a carbon material, lithium metal, tin, or the like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which lithium ions can be occluded and released.
  • a carbon material may be used, and both low crystalline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 may be used as the carbon material.
  • Typical low crystalline carbons include soft carbon and hard carbon, and high crystalline carbons include natural graphite, kish graphite, pyrolytic carbon, and liquid crystal pitch-based carbon fiber. (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meso-carbon microbeads, mesophase pitches, and high-temperature calcined carbons such as 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are typical.
  • the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may further include a carb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in addition to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wherein the silic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is 1% to 30% by weight or 5% by weight of the total negative active material % To 10% by weight may be included.
  • the carbon-based negative active material may be natural graphite, artificial graphite, or a mixture thereof.
  • the nega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adding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 binder, and a conductive material to a dispersion medium and mixing with stirring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nd then coating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drying, and compressing it.
  • the stirring speed may be in the range of 100 rpm to 2,200 rpm or 100 rpm to 800 rpm or 200 rpm to 500 rpm.
  • the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t an appropriate position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that is,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PAM) monomer moves toward the surface of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or th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s.
  • PAM acrylamide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onitrile monomer may be positio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attached to th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s and/or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due to excessive stirring speed. It is possibl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damage or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by this physical external force.
  • the stirring may be performed for 30 minutes to 12 hours, specifically 30 minutes to 6 hours or 1 hour to 3 hours.
  • the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isposed at an appropriate position between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and the conductive material, and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is damaged by physical external force or the structure is deformed due to excessive stirring time. I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 the agitation may be performed in a temperature range of 20° C. to 60° C., and specifically, may be performed in a temperature range of 25° C. to 45° C. or 25° C. to 35° C.
  • organic solvents such as NMP (N-methyl pyrrolidone), DMF (dimethyl formamide), acetone, dimethyl acetamide, or water, and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two or more Can be used by mixing.
  • the amount of the solvent is sufficient as long as it can dissolve and disperse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binder, and the conductiv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thickness and the production yield of the composition.
  • the binder for a negative electrode of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 the form of a copolymer derived from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amide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ic acid monomer,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 sodium acrylate monomer, and a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n acrylonitrile monomer is 20 based on the active material constituting the negative electrode. It may be included so as to be less than or equal to weight%, and specifically,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1% to 30% by weight or 0.5% to 20% by weight or 0.5 to 10% by weight or 0.5 to 4% by weight.
  • the binder When the binder is included in the above range,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too small and the effect of the use of the binder becomes insignificant, and the relative content of the active material is reduced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the binder, resulting in a decrease in capacity per volume. This can be prevented.
  •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to the battery, and exampl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includ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s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furnace black, lamp black, and thermal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Metal powders such as carbon fluoride,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Alternatively,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may be used.
  •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an anode active material.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used for the negative electro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 thickness of 3 ⁇ m to 500 ⁇ m.
  • the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to the battery, for example, copper, gold,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copper,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ment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etc., aluminum-cadmium alloy, etc. may be used.
  • the bonding strength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may be strengthened, and may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films, sheets, foils, nets, porous bodies, foams, and nonwoven fabrics.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may include a viscosity modifier and/or a filler, if necessary.
  • the viscosity modifier may be carboxymethylcellulose, polyacrylic acid, or the like, and the viscosity of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may be adjusted to facilitate the preparation of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nd the application process on th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by addition.
  • the filler is an auxiliary component that suppresses the expansion of the electrode,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ibrous material that does not cause chemical changes to the battery.
  • fibrous materials such as olefin-based polymers such as polyethylene and polypropylene, glass fibers, carbon fibers, etc. It can be a substance.
  • the positive electrode can be manufactured by a conventional method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after mixing and stirring a solvent, the above-described binder, conductive material, and dispersant in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o prepare a composition, the positive electrode may be prepared by applying (coating) it to a current collector of a metal material, compressing it, and drying it. .
  • the current collector of the metal material is a metal with high conductivity, and is a metal to which the composit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can be easily adhered, and is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high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chemical changes to the battery in the voltage range of the battery. It is not, for example, stainless steel, aluminum, nickel, titanium, calcined carbon, or aluminum or stainless steel surface treated with carbon, nickel, titanium, silver, or the like may be u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adhesion of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y forming fine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of the current collector.
  • the current collector can be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a film, sheet, foil, net, porous body, foam, nonwoven fabric, etc., and may have a thickness of 3 to 500 ⁇ m.
  • organic solvents such as NMP (N-methyl pyrrolidone), DMF (dimethyl formamide), acetone, dimethyl acetamide, or water, and these solvents may be used alone or in two or more Can be used by mixing.
  • the amount of the solvent to be used is sufficient as long as it is capable of dissolving and dispersing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binder, and conductive material in consideration of the coating thickness and production yield of the composition.
  • the binder serves to improve adhesion between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adhesion between the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and the posi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 Specific examples include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vinylidene fluoride-hexafluoropropylene copolymer (PVDF-co-HFP), polyvinyl alcohol, polyacrylonitrile, carboxymethylcellulose (CMC).
  • the binde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1 to 3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solid content of the positive electrode component.
  • the conductive material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has conductivity without causing a chemical change in the battery, for example, graphite such as natural graphite or artificial graphite; Carbon blacks such as acetylene black, Ketjen black, channel black, Parnes black, lamp black, and thermal black; Conductive fibers such as carbon fibers and metal fibers; Conductive tubes such as carbon nanotubes; Metal powders such as fluorocarbon, aluminum, and nickel powder; Conductive whiskers such as zinc oxide and potassium titanate; Conductive metal oxides such as titanium oxide;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polyphenylene derivatives may be used.
  •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to 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ositive electrode composition.
  • the dispersant may be an aqueous dispersant such as water or an organic dispersant such as N-methyl-2-pyrrolidone.
  • the separator is a conventional porous polymer film used as a separator in the past, such as polyolefin-based polymers such as ethylene homopolymer, propylene homopolymer, ethylene-butene copolymer, ethylene-hexene copolymer, and ethylene-methacrylate copolymer.
  • the porous polymer film prepared with may be used alone or by stacking them, or a conventional porous nonwoven fabric, such as a nonwoven fabric made of a high melting point glass fiber,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 etc., may be us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lithium salt that may be included as an electrolyte may be used without being commonly used in a lithium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are limited, such as the lithium salt, the anion is F -, Cl -, Br -, I -, NO 3 -, N (CN) 2 -, BF 4 -, ClO 4 -, PF 6 -, (CF 3) 2 PF 4 -, (CF 3) 3 PF 3 -, (CF 3) 4 PF 2 -, (CF 3) 5 PF -, (CF 3) 6 P -, CF 3 SO 3 -, CF 3 CF 2 SO 3 -, (CF 3 SO 2) 2 N -, (FSO 2) 2 N - , CF 3 CF 2 (CF 3 ) 2 CO -, (CF 3 SO 2) 2 CH -, (SF5) 3 C -, (CF 3 SO 2) 3 C -, CF 3 (CF2) 7 SO 3 -, CF 3 CO 2 -
  • organic solvent included in the electrolyte those commonly used in the electrolyte for secondary batterie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nd typically propylene carbonate (PC), ethylene carbonate (EC). ), diethyl carbonate (DEC), dimethyl carbonate (DMC), ethylmethyl carbonate (EMC), methylprop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dimethyl sulfur oxide, acetonitrile, dimethoxyethane, diethoxyethane , Vinylene carbonate, sulfolane, gamma-butyrolacton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ropylene sulfite and tetrahydrofuran,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m may be typically used.
  • PC propylene carbonate
  • EC ethylene carbonate
  • DEC diethyl carbonate
  • DMC dimethyl carbonate
  • EMC ethylmethyl carbonate
  • methylpropyl carbonate dipropyl carbonate
  • dimethyl sulfur oxide ace
  • ethylene carbonate and propylene carbonate which are cyclic carbonates
  • a low viscosity, low dielectric constant linear carbonate such as ethyl carbonate
  • an electrolyte solution having a high electrical conductivity can be prepared, and thus it can be more preferably used.
  • the electrolyte sto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ve such as an overcharge preventing agent included in a conventional electrolyte.
  • an additive such as an overcharge preventing agent included in a conventional electrolyte.
  • the appearance of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may be a cylindrical shape using a can, a square shape, a pouch type, or a coin type.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not only for a battery cell used as a power source for a small device, but also can be preferably used as a unit cell for a medium or large battery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battery cells.
  • acrylamide, acrylic acid, methyl acrylate, and acrylonitrile were prepared in an amount of 60% by weight, 10% by weight, 25% by weight and 5% by weight, respectively.
  • the polyacrylonitrile obtained above was added to a test tube together with acrylic acid, and then added to bromoform diluted with benzene, and after closing the lid, light was irradiated for 45 to 90 minutes. Thereafter, the resulting resin was washed several times with benzene and freeze-dried to obtain about 3 g of a polyacrylonitrile-polyacrylic acid copolymer (PAN-PAA).
  • PAN-PAA polyacrylonitrile-polyacrylic acid copolymer
  • the PAN-PAA-PAA Na+ copolymer was dissolved in 100 cc of bromoform, and 2 g of acrylamide was added thereto under oxygen-free conditions, and the lid was closed and sealed, followed by light irradiation at 25 to 35° C. for 2 hours. After the light irradiation was completed, it was washed three times with methanol, washed with acetone, and then lyophilized to obtain powder particles.
  • the PAN-PAA-PAA Na+ copolymer is added to an organic solvent for polymer synthesis, and acrylamide is added thereto under oxygen-free conditions, followed by photopolymerization in a closed environment.
  • the photopolymerization temperature can be in the range of 25 to 35°C, and the photopolymerization time is 2 hours. Powder particles were obtained as a final product, and the obtained powder particles were freeze-dried.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negative electrode binder comprises 60%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amide monomers, 10%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s, 25%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and 5% by weight of repeating units derived from acrylonitrile monomers.
  • the combined weight of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acrylic acid monomer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sodium acrylate monomer was 25 to 35% by weight in the copolymer.
  • Example 1 Preparation of a binder film
  • a total of 2 g was prepared using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and carboxy methyl cellulose particles in a weight ratio of 2:1, and this was dispersed in 14.6 g of water. Subsequently, the dispersed composition was coated on a release substrate made of a Teflon box to a thickness of 180 ⁇ m and naturally dried to obtain a binder film. The formed binder film was punched out and dried under vacuum at 100° C. for 24 hours to remove moisture.
  • the dispersion was coated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a loading amount of 100 mg/25 cm 2 and dri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n active material layer, and a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by punching the negative electrode with a width of 15 mm.
  • Styrene butadiene rubber particles and carboxy methyl cellulose particles are used in an amount of 2% by weight in a 2:1 weight ratio, and used in an amount of 98% by weight of Si a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ater is used as a dispersion medium, and the solid content of the binder and active material is Two kinds of dispersions contained in a concentration of 55% by weight were prepared.
  • the dispersion was coated on a negative electrode current collector at a loading amount of 100 mg/25 cm 2 and dri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having an active material layer, and a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by punching the negative electrode with a width of 15 mm.
  •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amide monomer of the binder is positioned toward the surfaces of th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s and the active material particles,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acrylic acid monomer and the repeating unit derived from the sodium acrylate monomer are conductive material particles or active material particles. It was loca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surface.
  • the content (weight ratio) of the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the conductive material: the binder polymer was 70:10:20.
  • the nega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copper current collector having a thickness of 8 ⁇ m in a loading amount of 68.3/25 cm 2 , and dried to prepare a negative electrode.
  •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After preparing a posi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by adding 96 g of LiCoO 2 as a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2 g of acetylene black, and 2 g of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as a binder to N-methyl-2-pyrrolidone (NMP) as a solvent. , The positive electrode mixture composition was coated on an aluminum (Al) thin film to a thickness of 350 ⁇ m, dried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and then roll press to prepare a positive electrode.
  • LiCoO 2 LiCoO 2
  • acetylene black acetylene black
  •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 NMP N-methyl-2-pyrrolidone
  •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was punched to have a surface area of 13.33 cm 2
  • the prepared positive electrode was punched to have a surface area of 12.60 cm 2 to prepare a mono-cell.
  • a tap wa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and a separator made of a polyolefin microporous membrane was interposed between the negative electrode and the positive electrode, and the resultant was loaded into an aluminum pouch, and 500 mg of electrolyte was injected into the pouch.
  • FEC fluoroethylene carbonate
  • DEC diethyl carbonate
  • vinylene carbonate 3:7 (volume ratio)
  • the pouch was sealed using a vacuum packaging machine and maintained at room temperature for 12 hours, and then charged at a constant current at a rate of about 0.05 C, and a positive voltage charging process was performed in which the voltage was maintained until about 1/6 of the current. .
  • a positive voltage charging process was performed in which the voltage was maintained until about 1/6 of the current. .
  • gas since gas is generated inside the cell, degassing and resealing processes were performed to complete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 styrene butadiene rubber solution used as a binder 2.6 g of SBR particles, water base, 40% solid content
  • CMC carboxy methyl cellulose
  • a negative electrod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a separate solvent or dispersion medium was not used.
  • a lithium secondary battery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4, except that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was used.
  • the styrene butadiene rubber and carboxy methyl cellulose are two-component binders, and are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 negative electrode was prepared as described in Example A and Comparative Example A. Then, the prepared negative electrode is mounted on UTM (Kipae E&T), and the force when the 130 mm length of the negative active material layer is detached from the negative current collector at a speed of 300 mm/min and an angle of 180 degrees is measured.
  • UTM Kipae E&T
  • the binder films of Examples 1 and 2 and the binder film of Comparative Example 1 were prepared.
  • the binder film was fixedly installed in a tensile strength measuring machine (hardness tester) at a gauge distance of 65 mm.
  • the binder film was pulled at a speed of 20 mm/min in the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to measure the force at break,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2.
  • the charge/discharge current density was set to 0.5 C, the charge end voltage was 4.2 V (Li/Li + ), and the discharge end voltage was 3 V (Li A charge/discharge test was performed 50 times with /Li + ).
  •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 (I) has significantly less reduction in the capacity retention rate according to the cycle increase compared 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I).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Example (I) has excellent life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 (I), which is when charging and discharging in the lithium secondary battery of Example (I). This is considered to be because the deterioration of the Si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which is a nega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having a large volume expansion, is separated during charging and discharg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산성, 접착력 및 인장강도 물성이 모두 우수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이고, 상기 음극 활물질이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2019년 9월 23일자로 출원된 한국 특허출원 번호 제10-2019-0116992호에 대한 우선권 주장 출원으로서,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인용에 의해 본 출원에 원용된다.
모바일 기기에 대한 기술 개발과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원으로서의 이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고, 그러한 이차전지 중에서도 높은 에너지 밀도와 작동 전위를 나타내고, 사이클 수명이 길며, 자기방전율이 낮은 리튬이차전지가 상용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이차전지의 전극은 양극 활물질 또는 음극 활물질과 바인더(binder) 수지 성분을 혼합하여 용매에 분산시켜 조성물(slurry)를 만들고, 이것을 전극 집전체 표면에 도포하여 건조 후 합제층을 형성시켜 제작된다.
바인더는 활물질과 활물질 간, 활물질과 전극 집전체 간의 접착력 또는 결착력 확보를 위하여 사용되나, 전극집전체와 활물질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량의 바인더가 요구된다. 그러나 과량의 바인더는, 전극의 용량 및 전도성을 낮추게 되는 문제가 있다. 반면에, 충분하지 않은 접착력은 전극 건조, 압연(pressing) 등의 공정에서 전극 박리 현상을 유발하여 전극 불량률을 높이는 원인이 된다. 또한, 접착력이 낮은 전극은 외부 충격에 의해서 박리될 수 있고, 이러한 전극 박리는 전극 물질과 집전체 간 접촉 저항을 키워, 전극 출력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특히, 리튬이차전지의 충방전시에는 리튬과의 반응에 의한 음극 활물질의 부피 변화가 발생하고, 계속적인 충방전시 음극 활물질이 집전체로부터 탈리되거나, 활물질 상호간 접촉 계면의 변화에 따른 저항 증가로 인해, 충방전 사이클이 진행됨에 따라 용량이 급격하게 저하되어 사이클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방전 용량의 증대를 위하여 실리콘, 주석, 실리콘-주석 합금 등과 같은 재료를 복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실리콘, 주석 등이 리튬과의 반응에 의해 보다 큰 부피 변화를 일으키므로, 이러한 문제점이 더욱 두드러지게 된다.
한편, 물에 용해될 수 있어 수계 바인더라고도 지칭되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및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는 친환경적이고 강한 접착력을 제공하는 장점을 갖는 반면 분산성과 접착력을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또는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만을 사용하기가 곤란하기 때문에, 이액형 바인더로서, 즉,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를 모두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 및 비용 측면에서 불리한 단점을 갖는다.
이에, 전극합제 조성물, 특히, 음극합제 조성물 중에서 잘 분산될 수 있고, 전극 구성성분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극이 보다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갖도록 하면서 공정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극합제 조성물 중에서 잘 분산될 수 있고, 음극 구성성분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극이 보다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갖도록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극합제 조성물 중에서 잘 분산될 수 있고, 음극 구성성분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음극이 보다 우수한 인장 강도를 갖도록 하는 일액형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양태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또는 제2 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60 내지 65중량%,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내지 10 중량%,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15 내지 2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1 양태 내지 제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입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5 양태에서,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가 제1 양태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이고, 상기 음극 활물질이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6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5 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음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음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7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5 양태 또는 제6 양태에서, 상기 음극 활물질이 Si 또는 SiO계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8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5 양태 내지 제7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80 내지 120 MPa 범위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9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5 양태 내지 제8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15 gf/15mm 내지 100 gf/15mm 범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10 양태에 따르면, 상기 제5 양태 내지 제9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기재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에 사용되는 음극합제 조성물, 즉,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주요 구성성분으로 포함하여 제조되는 음극합제 조성물에서 우수하게 분산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활물질 사이, 활물질과 도전재 사이, 또한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 적절하게 위치할 수 있어, 음극 구성성분간 강한 결착관계를 갖는데 일조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바인더를 구성하는 성분 중 강한 수소 결합을 제공하는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수계 분산매에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강한 접착력과 우수한 분산성이 시너지 효과를 일으켜서, 충방전시 부피 팽창이 큰 음극 활물질, 예컨대, Si, SiO계 음극 활물질이 충방전 진행시에 분리되는 열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주요 구성성분, 즉,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가 음극 활물질층 전체에서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에서는 활물질 사이, 활물질과 도전재 사이, 또한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가 적절하게 위치할 수 있어, 음극 구성성분들이 상호 강한 결착관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상기 바인더에 강한 수소 결합이 포함되어 있고 또한 상기 바인더가 수계 분산매에 우수하게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으므로, 충방전시 부피 팽창이 큰 음극 활물질, 예컨대, Si, SiO계 음극 활물질과 함께 사용되는 경우에 충방전 진행시 종래 문제점, 즉, Si, SiO계 음극 활물질이 구성성분간 접촉에서 분리되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시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는 우수한 용량 유지율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의 박리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 필름의 인장 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음극합제 조성물의 분산성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각각에 따른 음극을 포함한 리튬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제공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되,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또는 카복시메틸셀룰로오즈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실질적으로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이루어진"은 소량의 첨가제 혹은 의도하지 않은 미량의 불순물이 포함되는 경우를 망라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첨가제 혹은 불순물은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목적하는 효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만으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60 내지 65중량%,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내지 10 중량%,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15 내지 2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공중합체 중에 60 내지 65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 공중합체 중 6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음극 접착력이 원하는 수준으로 향상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 공중합체 중 65 중량%보다 많이 포함되어 음극,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극 활물질층이 매우 brittle한 물성을 갖게 되어 유연성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본원 명세서에서 음극의 'brittle'특성은 음극합제 조성물이 음극집전체에 코팅 및 건조된 후에 형성된 음극이 유연하지 않고 매우 딱딱하게 굳은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음극은 그의 제조 공정에서 롤-투-롤 (Roll-to-Roll) 압연 공정을 거칠 때 음극,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극 활물질층에 균열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음극 제작을 곤란하게 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 공중합체 중에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 공중합체 중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음극합제 조성물이 교반시에 불량한 분산성을 나타내는 문제점과,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10 중량%보다 많이 포함되어 음극,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극 활물질층이 매우 brittle한 물성을 갖게 되어 유연성을 잃게 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 공중합체 중에 15 내지 2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상기 공중합체 중 1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음극합제 조성물의 분산성이 유의미하게 개선되지 못하는 문제점과,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25 중량%보다 많이 포함되어 음극합제 조성물의 교반 동안에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발생된 기포가 터지면서 도전재끼리 뭉치고 활물질끼리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분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공중합체 중에 포함되어 소수성 특성을 나타내는 성분으로, 상기 공중합체 중에 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상기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 최종 제작된 음극이 수분에 대해 높은 친화성을 갖게 되고, 그 결과 음극이 수분을 많이 함유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15 중량% 보다 많이 포함되어 공중합체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켜 공기와의 접촉 확률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음극 구성성분을 분산매에 투입한 후에 혼합을 위해 교반하는 단계에서 기포를 많이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공중합체에 있어서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를 차지한다.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음극합제 조성물을 교반하는 동안에 균일한 분산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입자끼리 뭉치는 현상이 발생하며, 35 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교반하는 동안에 거품이 많이 나고 이러한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제작된 음극이 brittle한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분산매에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로부터 유래된 공중합체가 입자 형태로 포함되어 있되, 모노머에 있는 작용기 중 OH-O, OH-N, NH-O, NH-N 작용기 간에 수소 결합이 발생하고, -NH 2, -OH, -CONH 2 작용기는 응집 에너지(aggregative energy)가 커서 바인더 입자가 활물질 입자들간의 접촉 포인트(contact position)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음극합제 조성물 중에서 아크릴아마이드(PAM)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활물질 입자 및/또는 도전재 입자의 표면 쪽을 향해 위치하도록 활물질 입자 및/또는 도전재 입자에 부착된다. 이들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음극합제 조성물로부터 음극이 형성된 후에도 활물질 입자의 표면을 향한 방향을 위치하여 활물질 입자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는 음극합제 조성물 중에서 아크릴산(PAA)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PAA-Na+)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도전재 입자 또는 활물질 입자에 부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한다.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도전재 입자 및/또는 활물질 입자에 부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한편, 소수성 성질로 인해 공기와 만날 확률이 감소하여 기포가 상기 바인더 내로 트랩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4 x 10 6 내지 7 x 10 6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한치보다 작은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최종 제작된 음극이 열화된 접착력을 나타내게 되고, 상기 상한치보다 큰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최종 제작된 음극이 brittle한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1 x 10 5 내지 6 x 10 5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한치보다 작은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활물질과 도전재와 교반시에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기가 어렵고, 상기 상한치보다 큰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에는 음극합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교반 단계에서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최종 생성된 음극이 brittle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2,000 내지 1 x 10 5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한치보다 작은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활물질과 도전재와 교반시에 균일한 분산이 이루어지기가 어렵고, 상기 상한치보다 큰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한 음극합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교반 단계에서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하여 최종 생성된 음극 활물질층이 brittle한 특성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에 사용되는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은 1 x 10 4 내지 1 x 10 5 범위의 중량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하한치보다 작은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한 음극합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교반 단계에서 음극합제 조성물과 공기와의 접촉 확률이 높아져 기포가 많이 발생하게 되며, 최종 생성된 음극의 수분 흡착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상한치보다 큰 중량평균분자량의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공중합체를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로 사용한 음극합제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하여 음극합제 조성물의 교반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공중합체로 된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입자 형상이고, 100 nm 내지 1 ㎛ 또는 300 nm 내지 500 nm의 평균 입경(D50)을 가질 수 있다. D50은 입경에 따른 입자 개수 누적 분포의 50% 지점에서의 입경이며, 상기 D50은 레이저 회절법(laser diffraction method)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측정 대상 분말을 분산매 중에 분산시킨 후, 시판되는 레이저 회절 입도 측정 장치(예를 들어 Microtrac S3500)에 도입하여 입자들이 레이저빔을 통과할 때 입자 크기에 따른 회절패턴 차이를 측정하여 입도 분포를 산출한다. 측정 장치에 있어서의 입경에 따른 입자 개수 누적 분포의 50%가 되는 지점에서의 입자 직경을 산출함으로써, D50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전술한 평균 입경(D50)을 가질 경우에 적절한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고, 전해액 스웰링 현상이 작으며, 적절한 탄력성을 발휘하여 음극의 두께 변화를 수용하고 가스 발생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분산되는 분산매로 물, 아세톤, 에탄올 또는 이들의 2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25 ℃에서 전단 속도(shear rate) 1 1/s에서 10000 mPa·s 내지 25000 mPa·s 범위의 점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점도 범위를 갖는 경우에 음극합제 조성물을 혼합하는 교반 단계에서 분산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점도는 25 ℃에서 TA instrument Trios를 이용하여 유변물성을 측정한 값이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분산성이 우수하여 사용 직전까지 하나의 용기에 보관될 수 있는 일액형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분산성이 우수하여 활물질과 도전재간 균일한 분산이 일어나도록 한다.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의 분산성은 2가지 측면, 즉, 필터 테스트 항목 및 점도 측면에서 평가될 수 있다.
먼저,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의 분산성을 필터 테스트 항목으로 평가하는 경우, 실온 조건에서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17.14 g 을 분산매 300 ml에 투입하여 바인더 분산액 300 ml를 준비한 후에 활물질:도전재:바인더=70:10:20 Homodisper(Primix사) 2000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된 전극합제 조성물을 100 메쉬 거름망에 거르고, 거름망에 걸러진 물질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활물질과 바인더가 분산되지 않고 생긴 덩어리 중 보다 큰 알갱이가 메쉬 거름망 위에 남은 경우에는 분산성이 불량한 것으로 평가하고, 메쉬 거름망 위에 남겨지는 바인더 덩어리가 없거나 작거나 적은 경우에는 분산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한다.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의 분산성을 점도 측면에서 평가하는 경우, 전단 유변물성(전단 속도)을 측정하여 상온에서 음극합제 조성물 활물질:도전재:바인더=70:10:20 조성으로 제조한 음극합제 조성물 10 mL를 유변물성 측정 장비(TA instrument Trios)에 넣고 25 ℃에서 전단률 0.01 내지 1000 1/s범위까지 전단률에 따른 전단 속도를 측정한다. 전단률 1 1/s에서 500 내지 10000 mPa.s의 점도를 갖는 경우에 공정 측면, 특히 교반 공정 측면에서 바람직한 분산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상기 점도가 500 mPa.s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이 적절하게 되지 않아 코팅 공정상에 문제가 될 수 있고, 상기 점도가 10000 mPa.s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펌프 이송압력이 높게 걸려 역시 공정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하기 (S1) 내지 (S4)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S1) 아크릴로니트릴 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아크릴로니트릴과,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를 혼합하고 ice bath에 넣어 광중합시키고 동결건조시켜서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을 수득한다. 이 때,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로 브로모포름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로니트릴과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는 1.5: 1 내지 2:1 체적비로 혼합될 수 있다.
(S2) 상기에서 수득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아크릴산과 중합시켜, 이들의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이를 위해, 이들을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 중에서 혼합하고 45 분 내지 90분동안 광중합시키고 동결건조한다. 상기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는 벤젠과 브로모포름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이로써,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PAN-PAA)를 수득한다.
(S3) 그 후, PAN-PAA,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를 벤젠에 녹여 교반한 후에,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개시제로 넣어주고, 1-부테인티올(1-butanethiol)을 반응제로 넣고, 질소분위기에서 온도를 110 ℃까지 올려주어, 4시간 반응시간이 지난 후, 메탄올을 이용하여 개시제와 모노머를 세척한다. 수득된 파우더 입자를 과량의 n-헥산 (n-hexane)에 투입하고, 과량의 NaOH 용액을 투입하여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을 Na 양이온으로 치환시키고 수득된 파우더 입자를 건조시킨다. 상기 Na 양이온 대신에, Li 양이온 또는 K 양이온과 같은 금속 양이온이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을 치환하도록 과량의 NaOH 대신에 과량의 KOH 또는 과량의 LiOH를 사용할 수 있다.
(S4) PAN-PAA-PAA Na+ 공중합체를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에 투입하고 여기에 아크릴아마이드를 무산소 조건하에 투입하고 밀폐 환경에서 광중합시킨다. 광중합 온도는 25 내지 35 ℃ 범위로 할 수 있으며, 광중합 시간은 1.5 내지 2.5 시간으로 할 수 있다. 최종 생성물로 파우더 입자가 수득되었으며, 수득된 파우더 입자를 동결 건조한다.
이로써,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득된다.
상기에서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 5 내지 15 중량%에 대하여, 아크릴산 5 내지 10 중량%, 아크릴아마이드 60 내지 65 중량 및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15 내지 25 중량%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접착력이 우수하여 음극합제 조성물에 사용될 때, 활물질들 사이, 활물질과 도전재 사이, 또한 활물질과 집전체 사이의 접촉 포인트에 적절하게 위치할 수 있어, 음극 구성성분간 강한 결착관계를 갖는데 일조하게 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최종 제작된 음극 활물질층이 brittle한 물성을 갖지 않도록 하는 접착력을 가지며, 보다 구체적으로, 음극 활물질층이 15 gf/15mm 이상 또는 17 gf/15mm 이상 또는 20 gf/15mm 이상의 접착력을 갖도록 하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접착력의 상한치는 100 gf/15m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층이 상기 하한치보다 낮은 접착력을 갖는 경우에는 음극에서 구성성분의 탈리 문제가 발생하고 활물질 부피 변화가 제어되지 못하게 되며, 상기 상한치보다 높은 접착력을 갖는 경우에는 최종 제작된 음극 활물질층이 brittle한 물성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접착력 평가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2중량%와 활물질 98중량%를 고형분으로 하고, 분산매로 물을 사용하여 상기 고형분을 55 중량%의 농도로 포함하는 분산액을 준비한다. 그 다음에, 상기 분산액을 음극 집전체에 100 mg/25 cm 2 로딩량으로 코팅 및 건조하여 활물질층이 형성된 음극을 제작하고, 15 mm 폭으로 음극을 타발하여 샘플링한다. 그 다음에, 제작된 음극을 UTM(Kipae E&T)에 장착시키고 300 mm/min 속도 및 180도 각도로 음극 활물질층 130 mm 길이를 음극 집전체로부터 탈착시킬 때의 힘을 측정한다.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최종 제작된 음극 활물질층이 우수한 인장강도를 갖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80 내지 120 MPa 범위 또는 90 내지 100 MPa 범위의 인장강도를 가질 수 있다.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전술한 범위의 인장 강도를 갖는 경우에 최종 생성된 음극,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극 활물질층이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만족시키면서 최종 제작된 음극 활물질층에 있는 음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인장 강도의 평가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바인더 2g를 분산매인 물 14.6 g에 분산시키고, 상기 분산된 조성물을 테플론 박스로 된 이형 기재에 180 ㎛ 두께로 코팅 및 자연 건조시켜서 필름을 형성시키고, 상기 필름을 타발하고, 24시간동안 100 ℃에서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한다. 그 다음, 수분이 건조된 필름을 상기 이형 기재로부터 떼어내 후에, 인장강도 측정기계 (경성시험기)에 상기 필름을 표점 거리 65mm로 고정 설치하고, 상기 바인더 필름의 위아래 방향으로 속도 20 mm/min으로 잡아당겨 파단시 힘을 측정하여 결정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바인더가 음극 활물질로서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과 함께 사용되어, 충방전시 음극 활물질의 부피 팽창에 대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으로서,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를 포함하되,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인더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인 것이고, 상기 음극 활물질이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인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로는, 예컨대 Si, 실리콘 산화물 입자(SiO x, 0<x≤2), Si-금속합금, 및 Si와 실리콘 산화물 입자(SiO x, 0<x≤2)의 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고, 상기 실리콘 산화물 입자(SiO x, 0<x<2)는 결정형 SiO 2 및 비정형 Si로 구성된 복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음극 활물질로는 상기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이외에 통상적으로 리튬 이온이 흡장 및 방출될 수 있는 탄소재, 리튬 금속 또는 주석 등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탄소재로는 저결정 탄소 및 고결정성 탄소 등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저결정성 탄소로는 연화탄소(soft carbon) 및 경화탄소(hard carbon)가 대표적이며, 고결정성 탄소로는 천연 흑연, 키시흑연(kish graphite), 열분해 탄소(pyrolytic carbon), 액정피치계 탄소섬유(mesophase pitch based carbon fiber), 탄소 미소구체(meso-carbon microbeads), 액정피치(mesophase pitches) 및 석유와 석탄계 코크스(petroleum or coal tar pitch derived cokes) 등의 고온 소성탄소가 대표적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은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 이외에 탄소계 음극 활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은 전체 음극 활물질 중 1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5 중량% 내지 10 중량%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탄소계 음극 활물질은 구체적으로 천연 흑연, 인조 흑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음극은 음극 활물질, 바인더 및 도전재를 분산매에 투입하고 교반 혼합하여 음극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음극 집전체에 도포하고 건조한 후 압축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교반 속도는 100 rpm 내지 2,200 rpm 또는 100 rpm 내지 800 rpm 또는 200 rpm 내지 500 rpm 범위일 수 있다. 상기 교반 속도가 전술한 범위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가 음극 활물질, 도전재 사이의 적절한 위치, 즉, 아크릴아마이드(PAM)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활물질 입자 및/또는 도전재 입자의 표면 쪽을 향해 위치하여 활물질 입자 및/또는 도전재 입자에 부착되고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는 도전재 입자 및/또는 활물질 입자에 부착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게 될 수 있으며 지나친 교반 속도로 인해 음극 활물질이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손상을 받거나 구조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30 분 내지 12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 분 내지 6 시간 또는 1 시간 내지 3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교반 시간이 전술한 범위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바인더가 음극 활물질, 도전재 사이의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으며 지나친 교반 시간으로 인해 음극 활물질이 물리적인 외력에 의해 손상을 받거나 구조가 변형되는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20 ℃ 내지 60 ℃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구체적으로 25 ℃ 내지 45 ℃ 또는 25 ℃ 내지 35 ℃의 온도 범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음극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는 NMP(N-메틸 피롤리돈), DMF(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있으며,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용매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음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로부터 유래된 공중합체 형태의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음극을 구성하는 활물질 기준으로 20 중량% 이하가 되도록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1 중량% 내지 30 중량% 또는 0.5 중량% 내지 20 중량% 또는 0.5 내지 10 중량% 또는 0.5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바인더가 상기 범위의 양으로 포함되는 경우에 바인더의 함량이 지나치게 적어 바인더의 사용에 따른 효과가 미미하게 되는 문제점과, 바인더의 함량이 지나치게 많아 활물질의 상대적인 함량이 감소되어 체적당 용량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도전재의 예로서는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퍼네이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불화 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또는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음극 활물질용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3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극에 사용되는 음극 집전체는 3 ㎛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음극 집전체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구리, 금,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구리나 스테인리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처리한 것, 알루미늄-카드뮴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음극 활물질의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도 있으며,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극합제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점도 조절제 및/또는 충진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점도 조절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 또는 폴리아크릴산 등일 수 있으며, 첨가에 의해 상기 음극합제 조성물의 제조와 상기 전극 집전체 상의 도포 공정이 용이하도록 음극합제 조성물의 점도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충진제는 전극의 팽창을 억제하는 보조성분으로서,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는 섬유상 재료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중합체, 유리섬유, 탄소섬유 등의 섬유상 물질일 수 있다.
상기 양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양극 활물질에 용매, 전술한 바인더, 도전재, 분산제를 혼합 및 교반하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이를 금속 재료의 집전체에 도포(코팅)하고 압축한 뒤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금속 재료의 집전체는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서, 상기 양극 활물질의 조성물이 용이하게 접착될 수 있는 금속으로 전지의 전압 범위에서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높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스테인레스 스틸, 알루미늄, 니켈, 티탄, 소성 탄소, 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리인레스 스틸의 표면에 카본, 니켈, 티탄, 은 등으로 표면 처리한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집전체 표면에 미세한 요철을 형성하여 양극 활물질의 접착력을 높일 수도 있다. 집전체는 필름, 시트, 호일, 네트, 다공질체, 발포체, 부직포체 등 다양한 형태로 사용 가능하며, 3 내지 500 ㎛의 두께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양극 활물질은, 예컨대 리튬 코발트 산화물(LiCoO 2); 리튬 니켈 산화물(LiNiO 2); Li[Ni aCo bMn cM1 d]O 2 (상기 식에서, M1은 Al, Ga 및 In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원소이고, 0.3 ≤ a<1.0, 0≤b≤0.5, 0≤c≤0.5, 0≤d≤0.1, a+b+c+d=1이다); Li(Li eM2 f-e-f'M3 f')O 2-gAg(상기 식에서, 0 ≤ e≤0.2, 0.6≤f≤1, 0≤f'≤0.2, 0≤g≤0.2이고, M2는 Mn과, Ni, Co, Fe, Cr, V, Cu, Zn 및 Ti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며, M3은 Al, Mg 및 B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고, A는 P, F, S 및 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등의 층상 화합물이나 1 또는 그 이상의 전이금속으로 치환된 화합물; Li 1+hMn 2-hO 4(상기 식에서 0≤ h≤0.33), LiMnO 3, LiMn 2O 3, LiMnO 2 등의 리튬 망간 산화물; 리튬 동 산화물(Li 2CuO 2); LiV 3O 8, V 2O 5, Cu 2V 2O 7 등의 바나듐 산화물; 화학식 LiNi 1-iM4 iO 2(상기 식에서, M4는 Co, Mn, Al, Cu, Fe, Mg, B 또는 Ga이고, 0.01≤ i≤0.3)로 표현되는 Ni 사이트형 리튬 니켈 산화물; 화학식 LiMn 2-jM5 jO 2 (상기 식에서, M5는 Co, Ni, Fe, Cr, Zn 또는 Ta이고, 0.01≤ j≤0.1) 또는 Li 2Mn 3M6O 8(상기 식에서, M6는 Fe, Co, Ni, Cu 또는 Zn)로 표현되는 리튬 망간 복합 산화물; 화학식의 Li 일부가 알칼리토금속 이온으로 치환된 LiMn 2O 4; 디설파이드 화합물; LiFe 3O 4, Fe 2(MoO 4) 3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극을 형성하기 위한 용매로는 NMP(N-메틸 피롤리돈), DMF(디메틸 포름아미드), 아세톤, 디메틸 아세트아미드 등의 유기 용매 또는 물 등이 있으며, 이들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의 사용량은 조성물의 도포 두께, 제조 수율을 고려하여 상기 양극 활물질, 바인더, 도전재를 용해 및 분산시킬 수 있는 정도이면 충분하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활물질 입자들 간의 부착 및 양극 활물질과 양극 집전체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비닐리덴플로라이드(PVDF),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코폴리머(PVDF-co-HFP),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카르복시메틸셀룰로우즈(CMC), 전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우즈, 재생 셀룰로우즈, 폴리비닐피롤리돈,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디엔 폴리머(EPDM), 술폰화-EPDM,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BR), 불소 고무, 또는 이들의 다양한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바인더는 양극 구성성분의 고형분의 총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당해 전지에 화학적 변화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도전성을 가진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천연 흑연이나 인조 흑연 등의 흑연;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 채널 블랙, 파네스 블랙, 램프 블랙, 서멀 블랙 등의 카본블랙; 탄소 섬유나 금속 섬유 등의 도전성 섬유; 탄소 나노 튜브 등의 도전성 튜브; 플루오로카본, 알루미늄, 니켈 분말 등의 금속 분말; 산화아연, 티탄산 칼륨 등의 도전성 위스커; 산화 티탄 등의 도전성 금속 산화물; 폴리페닐렌 유도체 등의 도전성 소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도전재는 양극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1 중량%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분산제는 물과 같은 수계 분산제 또는 N-메틸-2-피롤리돈과 같은 유기 분산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세퍼레이터로는 종래에 세퍼레이터로 사용된 통상적인 다공성 고분자 필름, 예컨대 에틸렌 단독중합체,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에틸렌-부텐 공중합체, 에틸렌-헥센 공중합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과 같은 폴리올레핀계 고분자로 제조한 다공성 고분자 필름을 단독으로 또는 이들을 적층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통상적인 다공성 부직포, 예컨대 고융점의 유리 섬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섬유 등으로 된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전해질로서 포함될 수 있는 리튬염은 리튬이차전지용 전해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들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으로는 F -, Cl -, Br -, I -, NO 3 -, N(CN) 2 -, BF 4 -, ClO 4 -, PF 6 -, (CF 3) 2PF 4 -, (CF 3) 3PF 3 -, (CF 3) 4PF 2 -, (CF 3) 5PF -, (CF 3) 6P -, CF 3SO 3 -, CF 3CF 2SO 3 -, (CF 3SO 2) 2N -, (FSO 2) 2N -, CF 3CF 2(CF 3) 2CO -, (CF 3SO 2) 2CH -, (SF5) 3C -, (CF 3SO 2) 3C -, CF 3 (CF2) 7SO 3 -, CF 3CO 2 -, CH 3CO 2 -, SCN - 및 (CF 3CF 2SO 2) 2N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서, 전해액에 포함되는 유기 용매로는 이차 전지용 전해액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PC), 에틸렌 카보네이트(ethylene carbonate, EC), 디에틸 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DEC),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DMC), 에틸메틸 카보네이트(EMC), 메틸프로필 카보네이트, 디프로필 카보네이트, 디메틸 설퍼옥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비닐렌 카보네이트, 설포란, 감마-부티로락톤, 프로필렌 설파이트 및 테트라하이드로푸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 등이 대표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카보네이트계 유기용매 중 고리형 카보네이트인 에틸렌 카보네이트 및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는 고점도의 유기용매로서 유전율이 높아 전해질 내의 리튬염을 잘 해리시키므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리형 카보네이트에 디메틸 카보네이트 및 디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저점도, 저유전율 선형 카보네이트를 적당한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면 높은 전기 전도율을 갖는 전해액을 만들 수 있어 더욱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저장되는 전해액은 통상의 전해액에 포함되는 과충전 방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리튬이차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캔을 사용한 원통형, 각형, 파우치(pouch)형 또는 코인(coin)형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리튬이차전지는 소형 디바이스의 전원으로 사용되는 전지셀에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의 전지셀들을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모듈에 단위전지로도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바인더의 제조
먼저, 아크릴아마이드, 아크릴산, 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을 각각 60 중량%, 10 중량%, 25 중량% 및 5 중량%의 양으로 준비하였다.
아크릴로니트릴과 브로모포름을 25:15의 체적비, 보다 구체적으로는 25 mL : 15 mL로 혼합하여 ice bath에 위치시키고 빛을 총 3시간 조사하였다. 이로부터 수득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수지를 메탄올과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에 건조하였다.
상기에서 수득된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아크릴산과 함께 시험관에 투입하고, 여기에 벤젠으로 희석시킨 브로모포름에 투입하고, 뚜껑을 닫은 후에 45분 내지 90분동안 빛을 조사하였다. 이후, 생성된 수지를 벤젠으로 수회 세척하고, 동결 건조하여 폴리아크릴로니트릴-폴리아크릴산 공중합체(PAN-PAA) 약 3g을 수득하였다.
그 후, PAN-PAA, 메틸 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를 벤젠에 녹여 교반후, 벤조일 퍼옥사이드를 개시제로 넣어주고, 1-부테인티올(1-butanethiol)을 반응제로 넣어, 질소분위기에서 온도를 110 ℃까지 올려주어, 4시간 반응시간이 지난 후 , 메탄올을 이용하여 개시제와 모노머를 세척한 후, 수득된 파우더 입자를 과량의 n-헥산 (n-hexane)에 투입하고, 과량의 NaOH 용액을 투입하여 메틸 아크릴레이트의 메틸을 Na 이온으로 치환시키고 수득된 파우더 입자를 건조시켰다.
PAN-PAA-PAA Na+ 공중합체를 브로모포름 100 cc에 용해시키고, 여기에 아크릴아마이드 2g을 무산소 조건에서 추가하고 뚜껑을 닫고 실링한 후에 25 내지 35 ℃에서 2시간동안 빛을 조사하였다. 빛 조사가 완료된 후에 메탄올로 3회 세척하고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파우더 입자 형태를 수득하였다.
PAN-PAA-PAA Na+ 공중합체를 중합체 합성용 유기용매에 투입하고 여기에 아크릴아마이드를 무산소 조건하에 투입하고 밀폐 환경에서 광중합시킨다. 광중합 온도는 25 내지 35 ℃ 범위로 할 수 있으며, 광중합 시간은 2시간으로 하였다. 최종 생성물로 파우더 입자가 수득되었으며, 수득된 파우더 입자를 동결 건조한다.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는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60 중량%,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10 중량%,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2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중량%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로, 상기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인 것이었다.
실시예 1: 바인더 필름의 제조
제조예에서 제조된 바인더 2g 을 분산매인 물 14.6 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상기 분산된 조성물을 테플론 박스로 된 이형 기재에 180 ㎛ 두께로 코팅 및 자연 건조시켜서 바인더 필름을 수득시켰다. 형성된 바인더 필름을 타발하고, 24시간동안 100 ℃에서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2: 바인더 필름의 제조
제조예에서 제조된 바인더 2g 을 분산매인 물 14.6 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상기 분산된 조성물을 테플론 박스로 된 이형 기재에 180 ㎛ 두께로 코팅 및 자연 건조시켜서 바인더 필름을 수득시켰다. 형성된 바인더 필름을 타발하고, 24시간동안 130 ℃에서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비교예 1: 바인더 필름의 제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 입자를 2:1 중량비로 하여 총 2 g을 준비하고, 이를 물 14.6 g에 분산시켰다. 이어서, 상기 분산된 조성물을 테플론 박스로 된 이형 기재에 180 ㎛ 두께로 코팅 및 자연 건조시켜서 바인더 필름을 수득시켰다. 형성된 바인더 필름을 타발하고, 24시간동안 100 ℃에서 진공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였다.
실시예 A: 음극의 제조
제조예에서 제조된 바인더를 2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고 음극 활물질인 Si 98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분산매로 물을 사용하고 상기 바인더 및 활물질의 고형분이 55 중량%의 농도로 포함된 분산액 2종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분산액을 음극 집전체에 100 mg/25 cm 2 로딩량으로 코팅 및 건조하여 활물질층이 형성된 음극을 제작하고, 15 mm 폭으로 음극을 타발하여 음극을 준비하였다.
비교예 A: 음극의 제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입자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 입자를 2:1 중량비로 하여 2 중량%의 양으로 사용하고 음극 활물질인 Si 98중량%의 양으로 사용하며, 분산매로 물을 사용하고 상기 바인더 및 활물질의 고형분이 55 중량%의 농도로 포함된 분산액 2종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분산액을 음극 집전체에 100 mg/25 cm 2 로딩량으로 코팅 및 건조하여 활물질층이 형성된 음극을 제작하고, 15 mm 폭으로 음극을 타발하여 음극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I): 리튬이차전지의 제조
실시예 1에서 수득된 바인더를 분산시킨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분산액 129g (바인더 입자 17.04 g, Di-water base 고형분 약 13%), 음극 활물질인 Si 60 g 및 도전재인 카본 블랙 9 g을 물 85 g에 투입하고 상온에서 교반 교반하여 음극합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음극합제 조성물에서 상기 바인더의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도전재 입자와 활물질 입자 각각의 표면을 향해 위치하게 되고,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도전재 입자 또는 활물질 입자 각각의 표면과 반대방향으로 위치하였다. 이 때, 음극 활물질 : 도전재 : 바인더 고분자의 함량(중량비)는 70 : 10 : 20이었다.
상기 음극합제 조성물을 두께 8 ㎛의 구리 집전체의 일 면에 68.3/25 cm 2의 로딩량으로 도포하고, 건조하여 음극을 제작하였다.
양극 활물질로서 LiCoO 2 96 g, 아세틸렌 블랙 2 g, 바인더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VdF) 2 g을 용매인 N-메틸-2-피롤리돈(NMP)에 첨가하여 양극합제 조성물을 제조한 후, 상기 양극합제 조성물을 알루미늄(Al) 박막에 350 ㎛ 두께로 코팅하고,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한 후, 롤 프레스(roll press)를 실시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음극을 표면적 13.33 cm 2 가 되도록 펀칭하고, 상기에서 제조된 양극을 표면적 12.60 cm 2 가 되도록 펀칭하여 단일셀(mono-cell)을 제작하였다. 탭(tap)을 상기 양극 및 음극의 상부에 부착하고, 음극과 양극 사이에 폴리올레핀 미세다공막으로 만들어진 분리막을 개재시켜 상기 결과물을 알루미늄 파우치에 적재한 후 전해액 500 mg을 파우치 내부에 주입하였다. 전해액은 플루오로에틸렌 카보네이트(FEC):DEC(디에틸 카보네이트)=3:7(체적비) 혼합 용매를 사용하고 첨가제로서 비닐렌 카보네이트 3 중량%를 첨가하고 LiPF 6 전해질을 1 M의 농도로 용해시켜 제조하였다.
이후, 진공포장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우치를 밀봉하고 상온에서 12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약 0.05 C 비율로 정전류 충전하고 전류의 약 1/6이 될 때까지 전압을 유지시켜주는 정접압 충전 과정을 거쳤다. 이때, 셀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므로 탈가스(degassing)와 재실링(resealing) 과정을 수행하여 리튬이차전지를 완성하였다.
비교예 (I): 리튬이차전지의 제조
바인더로 사용된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 용액 7 g(SBR 입자 2.6g, 물 베이스, 고형분 40%)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CMC) 용액 117.85g(CMC 파우더 1.3 g, 물베이스, 고형분 1.1%)을 사용하는 것과 별도 용매 혹은 분산매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음극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음극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4와 동일한 방식으로 리튬이차전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와 카복시 메틸 셀룰로오즈는 이액형 바인더로, 각각 별도의 용기에 보관된 것이다.
평가예 1: 바인더 접착력 측정
실시예 A 및 비교예 A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극을 준비하였다. 그 다음에, 제작된 음극을 UTM(Kipae E&T)에 장착시키고 300 mm/min 속도 및 180도 각도로 음극 활물질층 130 mm 길이를 음극 집전체로부터 탈착시킬 때의 힘을 측정한다.
도 1에 따르면, 실시예 A의 바인더 필름에서 높은 박리 강도가 관찰되었으며, 따라서, 실시예 A의 바인더가 비교예 1의 바인더에 비해 높은 접착력을 구비함이 증명되었다.
평가예 2: 바인더 필름의 인장 강도 측정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바인더 필름과 비교예 1의 바인더 필름을 준비하였다. 상기 바인더 필름을 인장강도 측정기계 (경성시험기)에 상기 바인더 필름을 표점 거리 65mm로 고정 설치하였다. 상기 바인더 필름의 위아래 방향으로 속도 20 mm/min으로 잡아당겨 파단시 힘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로부터, 비교예 1의 바인더 필름 대비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바인더 필름의 인장 강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가예 3: 분산성 측정
활물질:도전재:바인더=70:10:20 조성으로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I) 및 비교예 (I)에 기재된 바와 동일하게 제조된 음극합제 조성물 10 ml를 유변물성 측정 장비(TA instrument Trios)에 넣고 전단률 0.01-1000 1/s범위까지 전단률에 따른 전단 속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에 따르면, 실시예 (I)의 음극합제 조성물은 전단률 1 1/s에서 10000 mPa.s 미만의 점도를 가져, 비교예 (I)와 유사한 수준의 바람직한 분산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평가예 4: 리튬이차전지의 용량 유지율 측정
실시예 (I) 및 비교예 (I)에서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에 대해 각각 충방전 전류 밀도를 0.5 C로 하고 충전 종지 전압을 4.2 V(Li/Li +), 방전 종지 전압을 3 V(Li/Li +)로 한 충방전 시험을 50회 시행하였다.
모든 충전은 정전류/정전압으로 행하고, 정전압 충전의 종지 전류는 0.05 C로 하였다. 총 50 사이클의 시험을 완료한 후, 초기 방전 용량을 100%로 했을 때 각 사이클에서 측정된 방전 용량을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따르면, 실시예 (I)에서 제조된 리튬이차전지는 비교예 (I)에서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사이클 증가에 따른 용량유지율 감소가 현저히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 (I)에서 제조된 리튬이차전지는 비교예 (I)에서 제조된 리튬이차전지에 비해 우수한 수명 특성을 가짐이 확인되며, 이는 실시예 (I)의 리튬이차전지에서 충방전시 부피 팽창이 큰 음극 활물질인 Si 음극 활물질이 충방전 진행시에 분리되는 열화 현상을 현저하게 경감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Claims (10)

  1.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공중합체 중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와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를 합한 중량이 25 내지 3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가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60 내지 65중량%, 아크릴산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내지 10 중량%, 아크릴산 나트륨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15 내지 25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 5 내지 15 중량%로 이루어진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가 입자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5. 음극 활물질, 도전재 및 바인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인더가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이고,
    상기 음극 활물질이 실리콘계 음극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에서 아크릴아마이드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음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을 향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아크릴로니트릴 모노머 유래 반복단위가 음극 활물질 입자의 표면과 반대 방향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활물질이 Si 또는 SiO계 활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80 내지 120 MPa 범위의 인장강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이 15 gf/15mm 내지 100 gf/15mm 범위의 접착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10. 제5항에 기재된 리튬이차전지용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
PCT/KR2020/011894 2019-09-23 2020-09-03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WO2021060737A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S20867099T ES2957766T3 (es) 2019-09-23 2020-09-03 Aglutinante para electrodo negativo de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y electrodo negativo de batería secundaria de litio que incluye el mismo
PL20867099.2T PL3996173T3 (pl) 2019-09-23 2020-09-03 Środek wiążący dla elektrody ujemnej litowej baterii akumulatorowej i zawierająca go elektroda ujemna litowej baterii akumulatorowej
US17/607,699 US20220216479A1 (en) 2019-09-23 2020-09-03 Binder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EP20867099.2A EP3996173B1 (en) 2019-09-23 2020-09-03 Binder for negative electrode of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negative electrode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same
JP2021560662A JP7274604B2 (ja) 2019-09-23 2020-09-03 リチウム二次電池負極用のバインダー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用の負極
CN202080044143.6A CN113994509B (zh) 2019-09-23 2020-09-03 用于锂二次电池的负极的粘合剂和包括该粘合剂的用于锂二次电池的负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992A KR20210034966A (ko) 2019-09-23 2019-09-23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KR10-2019-0116992 2019-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0737A1 true WO2021060737A1 (ko) 2021-04-01

Family

ID=75165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894 WO2021060737A1 (ko) 2019-09-23 2020-09-03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216479A1 (ko)
EP (1) EP3996173B1 (ko)
JP (1) JP7274604B2 (ko)
KR (1) KR20210034966A (ko)
CN (1) CN113994509B (ko)
ES (1) ES2957766T3 (ko)
HU (1) HUE062757T2 (ko)
PL (1) PL3996173T3 (ko)
WO (1) WO20210607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1278A (ko) * 2021-10-27 2023-05-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EP4293747A1 (en) * 2021-12-15 2023-12-20 LG Energy Solution, Ltd. Anode composition, lithium secondary battery anode comprising sam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anode
CN115064697A (zh) * 2022-07-14 2022-09-16 中国科学院山西煤炭化学研究所 一种改性聚丙烯腈的应用、粘结剂、负极片及锂离子电池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856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63270A (ko) * 2013-11-29 2015-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전지
KR101686475B1 (ko) * 2016-02-25 2016-12-14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76592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20190039993A (ko) * 2016-08-17 2019-04-16 시추안 인디고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접착제 및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이의 응용
KR20190116992A (ko) 2017-02-12 2019-10-15 마게마 테크놀로지, 엘엘씨 중질 해양 연료유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927935A (zh) * 2006-08-23 2007-03-14 青岛大学 一种纳米复合丙烯酸共聚浆料及其制备方法
WO2014024937A1 (ja) * 2012-08-09 2014-02-1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用負極、二次電池、スラリー組成物、及び製造方法
JP2015022956A (ja) * 2013-07-22 2015-02-02 Jsr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用スラリー、蓄電デバイス電極、セパレーターおよび蓄電デバイス
JP2015106488A (ja) * 2013-11-29 2015-06-08 Jsr株式会社 蓄電デバイス負極用スラリーおよび蓄電デバイス負極、蓄電デバイス正極用スラリーおよび蓄電デバイス正極、ならびに蓄電デバイス
KR102216539B1 (ko) * 2013-12-17 2021-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튬 전지용 고분자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리튬 전지용 전극 및 이를 구비한 리튬 전지
WO2015129408A1 (ja) * 2014-02-27 2015-09-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二次電池多孔膜用バインダー組成物、二次電池多孔膜用スラリー、二次電池用多孔膜及び二次電池
CN104448158B (zh) * 2014-12-05 2017-08-04 北京蓝海黑石科技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水性粘合剂的制备方法
JP6855922B2 (ja) * 2017-05-19 2021-04-0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ポリマー層で被覆されている二次電池用電極
JP6676225B2 (ja) * 2017-10-10 2020-04-08 松本油脂製薬株式会社 二次電池スラリー用分散剤組成物及びその利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6856A (ko) * 2012-08-23 2014-03-0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20150063270A (ko) * 2013-11-29 2015-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음극 및 이를 포함한 리튬 전지
KR20170076592A (ko) * 2015-12-24 2017-07-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KR101686475B1 (ko) * 2016-02-25 2016-12-14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전극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39993A (ko) * 2016-08-17 2019-04-16 시추안 인디고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접착제 및 리튬 이온 전지에서의 이의 응용
KR20190116992A (ko) 2017-02-12 2019-10-15 마게마 테크놀로지, 엘엘씨 중질 해양 연료유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8479A (ja) 2022-06-10
CN113994509B (zh) 2024-05-28
ES2957766T3 (es) 2024-01-25
EP3996173A4 (en) 2022-11-16
HUE062757T2 (hu) 2024-01-28
US20220216479A1 (en) 2022-07-07
EP3996173B1 (en) 2023-08-23
KR20210034966A (ko) 2021-03-31
PL3996173T3 (pl) 2023-12-04
EP3996173A1 (en) 2022-05-11
JP7274604B2 (ja) 2023-05-16
CN113994509A (zh) 2022-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0346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1060737A1 (ko)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바인더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WO2019013500A2 (ko)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5102139A1 (ko)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013557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4204278A1 (ko) 리튬 이차전지용 고용량 전극 활물질 및 이를 사용한 리튬 이차전지
WO2019083330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0040613A1 (ko) 음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9083332A2 (ko) 실리콘-탄소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059619A2 (ko)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설계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WO2021025349A1 (ko)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WO2015034230A1 (ko) 전이금속-메타인산화물 음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또는 하이브리드 캐패시터
WO2018182343A1 (ko) 이차전지용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전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9203455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919460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18062883A2 (ko) 메쉬 형태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18135929A1 (ko)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9103498A1 (ko) 실리콘계 입자-고분자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WO2017082680A1 (ko)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WO2022114872A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WO2018012881A1 (ko) 이차전지 전극용 바인더,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전극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WO2022139348A1 (ko) 양극 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양극 및 리튬 이차전지
WO2021133027A1 (ko) 음극용 바인더 조성물, 음극, 및 이차전지
WO2021091235A1 (ko) 탄소계 기반 하이브리드 음극의 정량적 분석 방법
WO2021060911A1 (ko) 이차전지용 양극 활물질 전구체, 그 제조방법 및 양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7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6066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867099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20207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