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213934A1 - 조직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조직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213934A1
WO2020213934A1 PCT/KR2020/005055 KR2020005055W WO2020213934A1 WO 2020213934 A1 WO2020213934 A1 WO 2020213934A1 KR 2020005055 W KR2020005055 W KR 2020005055W WO 2020213934 A1 WO2020213934 A1 WO 202021393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housing
wire
catheter
unit
d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0505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조성윤
추현욱
구종수
Original Assignee
랩앤피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4451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89108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13023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300220B1/ko
Application filed by 랩앤피플주식회사 filed Critical 랩앤피플주식회사
Priority to US17/603,950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304716A1/en
Priority to CN202080029281.7A priority patent/CN113692255A/zh
Priority to EP20790687.6A priority patent/EP3957258A4/en
Priority to JP2021559655A priority patent/JP7305788B2/ja
Publication of WO202021393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21393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6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62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1B17/1671Bone cutting, breaking or removal means other than saws, e.g. Osteoclast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the sp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5Excision instruments
    • A61B17/32056Surgical snar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05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flexible means
    • A61B2017/00314Separate linked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 A61B2017/0042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ergonomic, e.g. fitting in f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04Surgical cutting instruments abrasive
    • A61B2017/320008Scr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28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with reciprocating mov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61B17/32002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with continuously rota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32Details of the rotating or oscillating shaft, e.g. using a flexible shaf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52Guides for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6Surgical cutting instruments with a cutting strip, band or chain, e.g. like a chainsa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6Image-producing devices or illumination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90/361Image-producing devices, e.g. surgical cameras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드라이버의 핸들을 수용한 채 상기 핸들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수용된 상기 수술용 드라이버의 핸들을 가압한 채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며, 최소침습수술에 사용되는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회전 파지부; 상기 회전 파지부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회전 파지부를 경유한 상기 가이드 와이어가 통과되는 고정 파지부; 및 상기 고정 파지부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고정 파지부 상에 고정시키는 록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술용 드라이버는, 상기 고정 파지부 상에서 회전되는 상기 회전 파지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직 제거장치
본 발명은, 조직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추간공이나 생식기관, 안구 등과 같이 신체 내의 협소 공간이나 관형 공간에 삽입되어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조직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수술 과정 중에는 체내에 발생한 비정상 조직이나 뼈 등을 제거해야 하는 때가 많다. 가령, 추간공 협착증, 전립선 비대증, 자궁선근증 등과 같은 수술을 진행할 시에 신체내 연부조직 뿐만 아니라 경조직을 제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중, 추간공 협착은 골극(bone spur), 후종인대의 주름(buckling), 후관절(facet joint) 또는 황색인대(ligament flavum) 비후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이다. 즉, 추간공 협착은 의도하지 않은 골조직 또는 연조직의 증식이 척추 신경을 압박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질병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질병의 치료를 위하여 풍선 확장술, 척추유합술, 신경성형술, 추간공 확장술과 같은 다양한 시술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풍선 확장술은 협착된 신경근 통로에 카테터를 이용하여 풍선을 위치시킨 뒤 부풀려 신경근이 지나는 통로를 넓혀주어 유착 상태를 해제시키고 신경의 직접 압박을 완화하기 위한 시술로서, 간편하고 회복속도가 빠른 장점이 있으나, 유착 부위의 근본적인 치료가 어렵고 재발율이 높아 주로 경미한 환자들에게 시행되는 한계가 있다.
척추유합술은 두 척추 사이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두 척추간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술은 광역 절개가 일반적이고, 미세침습적인 시술의 경우에도, 최근의 다른 미세침습적인 시술에 비하여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척추체 고정을 위한 임플란트가 삽입되기 때문에 척추체 유합으로 인한 환자의 운동성이 저하되어 장기적으로 인접분절의 불안정성이 증가되고, 많은 비용과 장기간 요양이 요구되는 단점도 있으며, 이에 다른 경제적, 신체적 부담이 큰 문제점이 있다.
신경성형술은, 척추를 통해 길게 형성되는 척추관을 따라 연질의 카테터를 삽입한 후, 통증을 유발하는 병변 부위에 약물을 분사하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술은 미세침습 시술로서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으나 협착을 일으키는 구조적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해결 방법이 아니고 물리적인 치료를 동반하기 어려워 증상개선 효과가 크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추간공 확장술은, 경질의 침투관을 구비한 시술도구로 추간공을 좁게 한 생체 조직 등을 긁어내어 추간공의 신경 통로를 확보하는 수술법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술은 내시경을 이용해 육안으로 수술부위를 확인하며 수술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추간공의 외측 조직의 제거는 가능하지만, 입체적인 추간공의 내, 외측의 모든 조직을 긁어 내는 것에는 한계가 있어 신경을 압박하는 모든 부위의 조직을 제거하기에 충분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 할 뿐 아니라, 시술도구와 내시경이 병변까지 함께 도달해야 하므로 두 방향 이상에서 삽입되어야 하거나 상대적으로 기구의 직경이 커지게 되어 시술을 복잡하게 하고 회복 기간을 증가시키는 등 환자 불편 가중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기존 시술기의 장점은 강화하면서 위에서 설명된 시술방식들의 단점은 최소화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안하게 되었으며,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02453호의 '추간공인대절제술에 의한 경피적 추간공 확장시술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시술도구'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신체 내에서 신경을 압박하거나 질병을 유발하는 조직을 긁어낼 시에, 이 조직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선단부가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질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신경을 압박하는 조직을 직접적으로 긁어내는 스크레이퍼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선단부 상에서 직선 왕복운동되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크레이퍼가 조직을 긁어내는 과정에서 또 다른 신경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파지하기 쉬운 하우징 형태를 제공함과 동시에 시술자의 간단한 손가락 움직임만으로 선단부가 밴딩되고, 더불어, 스크레이퍼가 직선 왕복 운동될 수 있는 조직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며,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밴딩블록과, 상기 밴딩블록들의 운동방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밴딩유닛; 및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되는 조직 제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밴딩유닛이 구부러지면, 상기 밴딩유닛 상에서 노출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밴딩블록들을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와이어; 상기 밴딩블록들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밴딩블록들 중에서 최선단 측에 배치된 밴딩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경유하는 캡;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이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선회되면 상기 밴딩블록들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0도~90도의 각도를 가진 채 선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밴딩블록들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가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이 마련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채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 블록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원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에는 보조 치료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조 치료수단은, 약물 전달용 튜브, 내시경, 전기 소작기의 전류 인가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연장되며,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는 상기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측부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카테터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카테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키 캡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캡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 및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캡의 관통구멍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2삽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 상기 이송 블록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직선 조작되는 트리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다이얼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부 또는 타측 외부로 길이방향 단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누름 조작되는 단속 버튼; 및 상기 단속 버튼에 형성되고, 상기 단속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밴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이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밴딩유닛이 관형 구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부러진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텍터가 캡에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커텍터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도 10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내부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13은 도 10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조작부와 장력 조절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조직 제거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밴딩유닛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하여 도 1의 A영역을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이 구부러진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밴딩유닛을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의 밴딩유닛이 관형 구조에 삽입된 상태에서 구부러진 모습을 보여주는 참고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하우징(200); 상기 하우징(200)에서 연장되며,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300); 상기 카테터(300)의 선단부에 마련되며,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구부러지는 밴딩유닛(400); 및 상기 밴딩유닛(400) 상에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직선 왕복 운동되어 조직을 긁어내는 조직 제거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시술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전체적으로 건(gun)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그 내부에는 후술할 각종 구성들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카테터(300)는, 중공의 관 형태를 가지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고, 나머지 길이방향 부위는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다.
상기 밴딩유닛(4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테터(30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밴딩블록(410); 상기 밴딩블록(410)들을 상기 카테터(300)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와이어(w1); 상기 밴딩블록(410)들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w2); 및 상기 다수개의 밴딩블록(410) 중에서 최선단 측에 배치된 밴딩블록(410)과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w1) 및 상기 제2와이어(w2)의 길이방향 단부와 연결되는 캡(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딩블록(4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U'자의 단면 형태를 가지는 블록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밴딩블록(410)의 상부는 개방된 상태라 할 수 있으며, 그 내측에는 후술할 조직 제거유닛(500)의 샤프트(510) 및 블레이드(520)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러한 밴딩블록(41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반원 형태의 돌출부재(411)가 형성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에는 돌출부재(411)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의 홈(412)이 형성될 있다. 이에 따라,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은 서로 이웃한 밴딩블록(410)에 형성된 홈(412)과 돌출부재(411)가 서로 결합됨에 따라 상호 간에 회동이 가능하다.
그리고, 밴딩블록(410)에는 후술할 보조 치료수단(t)이 통과되는 관통구멍(413)과 상기 제1와이어(w1)가 통과되는 관통구멍(414)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와이어(w1)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카테터(300)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와이어(w1)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텐션 유지수단(230)에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414)과 캡(420)에 형성된 관통구멍(422)을 경유한 뒤 텐션 유지수단(23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와이어(w1)의 길이방향 타단은 카테터(300)의 내부를 통과하여 밴딩블록(410) 및 캡(420)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텐션 유지수단(230)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형성된 고정부재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제1와이어(w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텐션 유지수단(230)에 의하여 제1와이어(w1)는 팽팽한 긴장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개의 밴딩블록(410)도 일체로 정렬되어 팽팽한 긴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와이어(w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카테터(200)의 선단부에서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재2와이어(w2)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다이얼(431)과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카테터(200)의 내부와 캡(420)을 경유한 뒤 다이얼(431)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캡(420)은 환자의 신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구 형태를 가진 채로 다수개의 밴딩블록(410) 중 최선단에 배치된 밴딩블록(410)과 연결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
캡(420)에도 보조 치료수단(t)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421)과 제1와이어(w1)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422)이 밴딩블록(410)에 형성된 관통구멍(413, 414)과 각각 연통 가능하게 형성되고, 또한, 제2와이어(w2)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423)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밴딩유닛(4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선회되면, 상기 선단부를 제외한 밴딩유닛(400)의 길이방향 부위는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즉, 밴딩유닛(400)의 캡(420)이 제2와이어(w2)에 의해 당겨지면서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약 0도에서 90도의 각도 범위를 가진 채로 선회되면 다수개의 밴딩블록(410)들은 조직이 배치된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
상기 조직 제거유닛(500)은, 카테터(200)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되 그 선단부는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샤프트(510); 및 상기 샤프트(510)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장착된 후술할 조작부(530)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카테터(300)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밴딩유닛(400)이 배치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510)의 선단부, 즉, 길이방향 타단부는 밴딩블록(410)에 의해 구획된 내측공간에 안착되고, 나머지 길이방향 부위는 카테터(300)의 내부공간 및 하우징(2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블레이드(520)는, 밴딩유닛(400) 상에서 외부로 노출된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블레이드(520)가 서로 간격을 두고서 샤프트(510)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면 상에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520)는, 공지의 다양한 접합방식으로 샤프트(510)의 선단부에 장착될 수 있으나, 단단한 조직을 긁어낼 시에 샤프트(510) 상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용접방식으로 샤프트(5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블레이드(520)에는, 제2와이어(w2)가 후술할 장력 조절부(430)에 의해 당겨지거나 원상태로 복귀되어 밴딩유닛(400)을 구부리거나 펼 시에, 제2와이어(w2)가 통과될 수 있는 관통구멍(5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관통구멍(521)은, 샤프트(510)가 전진 되거나 후진됨에 따라서 블레이드(520)가 직선 왕복 운동될 시에, 블레이드(520)가 제2와이어(w2)에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샤프트(510)와 블레이드(520)는 제2와이어(w2)에 의해 가이드되어 좌우방향으로 유동되지 않고 직선 방향으로만 진퇴 운동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조직 제거유닛(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밴딩유닛(400)이 구부러지면, 밴딩유닛(400) 상에서 소정의 각도로 구부러진 채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노출되어 직선 왕복 운동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서 샤프트(510)와 블레이드(520)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이 배치된 방향으로 노출되며, 이때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타단부는 소정의 각도를 가진 채 구부러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에서 샤프트(510)가 전진 또는 후진되면 블레이드(520)가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조직을 긁어낼 수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밴딩유닛(400)의 밴딩블록(410)이 구부러지기 전까지는 밴딩블록(410) 상에서 외부로 거의 노출되지 않지만, 밴딩블록(410)이 일 방향으로 선회되어 구부러지면 밴딩블록(410)이 형성하는 내측공간에서 샤프트(510)의 선단부와 그 선단부에 장착된 블레이드(520)가 완전히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직 제거유닛(500)은 신체 내의 병변 부위까지 용이하게 접근하여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밴딩유닛(400)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을 향해 선회되어 조직 제거유닛(500)이 조직과 마주하게 배치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밴딩유닛(400)은, 조직 제거유닛(500)이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되어 조직을 긁어낼 시에 블레이드(520)가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 이외의 주변 신경이나 기타 조직 등을 긁어내어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프로텍터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딩유닛(400)이 신체 내부에서 관 형태를 가지는 협소 공간에 삽입되어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도 7은, 본 발명의 카테터(300) 및 밴딩유닛(400)이 신체 내부의 관 형태 구조에 삽입되어 작동되는 모습을 이해하기 쉽도록 보여주기 위한 참고도면이며, 투명 소재의 파이프(P) 내부에 상기 카테터(300) 및 상기 밴딩유닛(400)이 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밴딩블록(410)들은,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P)의 협소 공간 내에서 구부러지면서 파이프(P)의 바닥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캡(420)은 파이프(P)의 천장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러면, 밴딩유닛(400)이 관 형태의 구조 내에서 2점 지지된 상태를 이루기 때문에, 조직 제거유닛(500)의 진퇴 운동이 신체의 관형 구조 내에서 더욱 안정적으로 수행될 뿐만 아니라, 조직 제거유닛(500)과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 간의 밀착력이 증가되어 조직을 더욱 쉽게 제거할 수 있다.
참고로, 샤프트(510)는 그 선단부가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 구부러졌다가 다시 직선 형태로 회복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밴딩유닛(400)의 밴딩블록(410)도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졌다가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가요성이 우수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상기 밴딩블록을 구부리는 장력 조절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4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w2)와 연결되는 다이얼(431); 및 상기 다이얼(431)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4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얼(431)은,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를 가지며,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그 일측에는 제2와이어(w2)의 길이방향 단부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다이얼(431)의 저부에는 기어(g1)가 다이얼(431)의 외면 원주방향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기어는 후술할 스토퍼 모듈(440)과 결합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다.
상기 노브(432)는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어 다이얼(431)을 회동시키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기어(g1)가 배치되지 않은 다이얼(431)의 외면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노브(432)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도록 하우징(432)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노브(432)를 자신을 향해 손가락으로 당기면 다이얼(43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연동하여 다이얼(431)의 일측과 연결된 제2와이어(w2)가 이동되면서 밴딩유닛(420)의 캡(420)을 상향으로 선회 시킬수 있다. 그러면, 제1와이어(w1)와 매개로 연결된 다수개의 밴딩블록(410)이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질 수 있다.
한편,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회전된 다이얼(431)은 스토퍼 모듈(440)에 의해 정지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스토퍼 모듈(44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얼(431)에 형성된 기어(g1)와 맞물리는 래치(441a)가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2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441b)이 마련되는 회동 플레이트(441);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폭방향 일측과 일체로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200)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재(442); 및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채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44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는, 다이얼(43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단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이얼(431)에 형성된 기어(g1)와 치합될 수 있는 래치(441a)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타단에는 하우징(200)의 내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441b)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누름부재(442)는, 상기 회동 플레이트(441)의 폭방향 일측에서 수직 상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 상에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조작할 수 있도록 하우징(200)의 일측면으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43)는 압축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채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443)의 하단은 하우징(200)의 내면과 접촉되고 그 상단은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면과 접촉된다.
따라서, 시술자가 하우징(200)의 외부로 노출된 누름부재(442)를 누르게 되면,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일측이 하향으로 회동되고, 이에 연동하여 탄성부재(443)가 압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태가 되면,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래치(441a)는 다이얼(431)의 기어(g1)와 비접촉되고, 이에 따라, 다이얼(431)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다.
그러면, 시술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장력 조절부(430)를 이용하여 밴딩유닛(400)의 밴딩블록(410)을 원하고자 하는 각도로 구부릴 수 있다.
그리고, 시술자가 누름부재(442)를 가압 해제하면 압축되었던 탄성부재(443)가 원상태로 복귀되면서 회동 플레이트(441)의 저부를 가압하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회동 플레이트(441)의 길이방향 일측이 상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그러면, 회동 플레이트(441)의 래치(441a)가 다이얼(431)에 마련된 기어(g1)와 치합되며, 이에 따라, 다이얼(431)이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샤프트(510)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부(5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510)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531); 상기 하우징(200)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 블록(531)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트리거(532); 및 상기 트리거(531)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원수단(53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 블록(531)은, 하우징(200)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샤프트(510)의 길이방향 타단부와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532)는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구성요소라 할 수 있으며, 그 상측 부위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나머지 길이방향 부위는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트리거(532)의 상측 부위에는 기어(g2)가 형성되며, 이 기어(g2)는, 하우징(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피니언 기어(g3)와 치합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피니언 기어(g3)는 이송 블록(531)의 저면에 형성된 렉기어(g4)와 치합될 수 있다.
상기 복원수단(533)은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단은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된 트리거(532)의 상측 부위와 연결되고 그 길이방향 타단은 하우징(200)의 내면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된 트리거(532)의 길이방향 부위를 자신을 향해 당기게 되면 트리거(532)에 형성된 기어(g2)가 피니언 기어(g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이송 블록(531)이 후진될 수 있다. 그러면, 이송 블록(531)과 연결된 샤프트(510)가 이송 블록(531)의 이동 거리만큼 후진 된다. 이때, 복원수단(533)으로 구현된 코일 스프링은 늘어난 상태가 된다.
반대로, 시술자가 트리거(532)를 손에서 놓게 되면, 복원수단(533)이 압축되면서 트리거(532)의 상측 부위를 당기게 되고, 이에 연동하여,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된 트리거(532)의 길이방향 부위가 시술자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그러면, 트리거(532)에 형성된 기어(g2)가 피니언 기어(g3)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연동하여 이송 블록(531)과 샤프트(510)가 전진 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시술자가 트리거(532)를 파지하여 당기는 과정과 손에서 트리거(532)를 놓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 블레이드(520)가 장착된 샤프트(510)의 선단부가 밴딩유닛(400) 상에서 반복적으로 진퇴 운동되면서 긁어내고자 하는 조직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신체 내의 병변 부위에서 통증의 원인이 되는 조직을 제거함과 동시에 그 병변 부위에 부가적인 치료를 수행하기 위하여, 보조 치료수단(t)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치료수단(t)은, 신체 내의 병변 부위로 치료 약물을 전달(주입)하는 관형의 약물 전달용 튜브일 수 있고, 또는, 신체 내의 병변 부위를 시술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관형의 내시경일 수도 있다. 또한, 전기 자극발생장치 또는 전기 소작기에 마련되는 전류 인가부재일 수도 있다. 즉, 보조 치료수단(t)은 병변에 부가적인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공지의 수술기기 중에서 플렉시블한 재질로 제작된 관형의 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부재(600)는, 보조 치료수단(t)이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하우징(200)의 후방 측으로 노출되어 시술자와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00)의 관통 구멍으로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t)은 카테터(300)의 내부를 경유하여 캡(420)에 형성된 관통 구멍(421)으로 삽입될 수 있다.
참고로, 가이드 부재(600)에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t)이 카테터(300)를 경유하여 캡(420)의 관통 구멍(421)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200)의 내부에 마련된 각종 구성요소들에 간섭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장력 조절부(430)의 다이얼(431)과 조작부(530)의 이송 블록(531)에는 가이드 부재(600)로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t)이 통과될 수 있는 관통 구멍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밴딩유닛(400)의 선단부, 정확하게는, 캡(420)에 형성된 관통 구멍(421)에 보조 치료수단(t)의 선단부가 위치될 수 있으므로, 조직을 제거하는 과정과 기타 부가적인 치료를 실시하는 과정이 동시에 수행되어 환자를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200)은, 시술자가 장력 조절부(430)와 조작부(530) 및 스토퍼 모듈(440)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조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용부재(210); 및 상기 수용부재(210)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하향 연장되며,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재(210)에는 전술한 각종 구성 요소들이 내장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된다.
그리고,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는 장력 조절부(430)의 노브(43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이라 함은,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220)와 근접하게 배치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부위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 측면에는 스토퍼 모듈(440)의 누름부재(44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위와 같이, 파지부재(220)와 근접하게 배치된 수용부재(210)의 길이방향 타측에 장력 조절부(430)의 노브(432)와 스토퍼 모듈(440)의 누름부재(442)가 각각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시술자가 파지부재(220)를 파지한 상태에서 간단한 손가락 동작만으로 장력 조절부(430)와 스토퍼 모듈(440)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사용자가 파지부재(220)를 손바닥으로 감싼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이나 집게손가락으로 장력 조절부(430) 또는 스토퍼 모듈(440)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하부에는 상기 트리거(532)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파지부재(220)를 파지한 시술자가 자신의 집게손가락 또는 중지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트리거(532)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700)는, 캡(42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시술자가 가이드 와이어를 캡(420)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으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한다.
가이드 와이어는, 앞서 설명되었던 보조 치료수단(t)과는 다르게, 카테터(300)가 신체에 삽입되기 이전에 캡(410)에 1차적으로 삽입된 후 샤프트(510)를 경유하여 카테터(300)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와이어는, 카테터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카테터(300)가 신체의 내부로 삽입되기 이전에 시술자에 의하여 카터테(3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캡(410)에 형성된 관통구멍(421)의 직경은 1cm 이하의 크기를 가지기 때문에, 시술자가 상기 관통구멍(421)으로 가이드 와이어를 삽입하기가 매우 힘들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700)가 캡(420)에 결합되어 시술자에 의한 가이드 와이어의 삽입과정을 수월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7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캡(410)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710) 및 상기 제1삽입구(710)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캡(420)의 관통구멍(421)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2삽입구(72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커넥터(700)의 제1삽입구(710)에 캡(420)을 삽입시킨 상태에서 가이드 와이어를 제2삽입구(720)로 삽입하면, 가이드 와이어의 단부가 제2삽입구(720)를 형성하는 내면에 안내를 받으면서 캡(420)에 형성된 관통구멍(420)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와이어가 완전히 삽입되면, 상기 캡(420)으로부터 커넥터(700)를 분리하면 된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조직 제거장치(100')가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와 비교하였을 때 하우징(200'), 조작부(810), 장력 조절부(830) 및 스토퍼 모듈(850)의 구성만 상이할 뿐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직 제거장치(100')의 상기 하우징(200')과 조작부(810)와 장력 조절부(830) 및 스토퍼 모듈(850)에 대해서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81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300)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811); 상기 이송 블록(81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직선 조작되는 트리거(8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하우징(200')은 카테터(300)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시술자가 손바닥으로 용이하게 감싸잡을 수 있도록 봉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조작부(810)의 이송 블록(811)은, 하우징(200')의 내면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GS)에 안칙된 상태에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직선이동될 수 있다.
상기 트리거(8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 블록(8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상기 트리거(812)의 하단은, 이송 블록(811)과 연결되고 그 상단은 상기 하우징(200')의 상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하우징(200')의 상부로 노출된 트리거(812)를 직선 왕복 이동시켜 카테터(300)의 선단부를 구부리거나 곧은 상태로 펼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830)는,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200')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w2)와 연결되는 다이얼(831); 및 상기 다이얼(831)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되는 노브(8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 조절부(830)의 다이얼(831)은, 전체적으로 원판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200')에 내측에 형성된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노브(832)는 상기 다이얼(831)과 일체로 연결된 채 상기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가 하우징(200')의 하부로 노출된 노브(832)를 이용하여 제2와이어(w2)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노브(832)를 자신을 향해 당기면 다이얼(831)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와이어(w2)를 시술자를 향해 당기는 상태가 되고, 반대로, 노브(832)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면 다이얼(831)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2와이어(w2)를 원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스톱퍼 모듈(850)은,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이얼(831)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200')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200')의 일측 외부 또는 타측 외부로 길이방향 단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누름 조작되는 단속 버튼(851); 및 상기 단속 버튼(851)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단속 버튼(851)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이얼(831)에 형성된 기어(833)와 맞물리는 래치(8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톱퍼 모듈(850)은, 시술자가 다이얼(831)을 회전 조작하여 밴딩유닛(400)의 구부려진 정도를 조절한 후에, 상기 다이얼(83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밴딩유닛(400)의 구부림 정도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래치(852)와 다이얼(831)에 형성된 톱니(832)가 서로 치합되도록, 상기 단속 버튼(851)을 누르면 다이얼(831)의 회전이 구속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3에 도시된 부재번호 870번은 제1와이어(w1)의 텐션을 유지시키는 텐션 유지수단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환자들의 병을 치료, 예방, 재활, 완화하기 위한 각종 의료 산업에 적용되어 판매될 수 있다.

Claims (1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서 연장되며, 환자의 신체로 삽입되는 카테터;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다수개의 밴딩블록과, 상기 밴딩블록들의 운동방향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는 밴딩유닛; 및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 마련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되는 조직 제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밴딩유닛이 구부러지면, 상기 밴딩유닛 상에서 노출되어 제거하고자 하는 조직과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유닛은,
    상기 밴딩블록들을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에서 정렬된 상태로 유지시키는 제1와이어;
    상기 밴딩블록들이 구부러질 수 있는 장력을 제공하는 제2와이어; 및
    상기 밴딩블록들 중에서 최선단 측에 배치된 밴딩블록과 연결되며, 상기 제1와이어와 상기 제2와이어가 경유하는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제2와이어에 의해 당겨져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선회되면 상기 밴딩블록들은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은 상기 카테터의 선단부 상에서 0도~90도의 각도를 가진 채 선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직 제거유닛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에서 전진 또는 후진되고, 그 선단부는 상기 밴딩블록들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가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되고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동핀이 마련되는 회동 플레이트;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폭방향 일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측면으로 노출되는 누름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마련된 채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이송 블록을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트리거; 및
    상기 트리거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복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보조 치료수단이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가이드 부재의 길이방향 일측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그 길이방향 타측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 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부재에 삽입된 보조 치료수단은 상기 카테터의 내부를 경유하여 상기 캡에 형성된 관통 구멍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치료수단은,
    약물 전달용 튜브, 내시경, 전기 소작기의 전류 인가부재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4.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수용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에서 소정의 곡률을 가진 채로 연장되며, 시술자의 손바닥에 의해 파지되는 파지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상부에는 상기 노브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재의 길이방향 타측 측부에는 상기 누름부재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개구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캡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카테터의 삽입 위치 또는 삽입 경로를 안내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상기 카테터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된 상키 캡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캡이 삽입되는 제1삽입구; 및
    상기 제1삽입구와 연통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캡의 관통구멍이 배치된 방향을 향해 갈수록 점진적으로 내경이 좁아지는 형태를 가지는 제2삽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를 전진 또는 후진 시키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이동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샤프트의 기단부와 연결되는 이송 블록;
    상기 이송 블록에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상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직선 조작되는 트리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와이어에 장력을 제공하는 장력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력 조절부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마련된 채 상기 제2와이어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에 마련된 채 상기 하우징의 하부로 노출되는 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구속하는 스토퍼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 모듈은,
    상기 다이얼의 회전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마련되며, 상기 하우징의 일측 외부 또는 타측 외부로 길이방향 단부가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누름 조작되는 단속 버튼; 및
    상기 단속 버튼에 형성되고, 상기 단속 버튼의 이동에 따라 상기 다이얼에 형성된 기어와 맞물리는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직 제거장치.
PCT/KR2020/005055 2019-04-16 2020-04-16 조직 제거장치 WO202021393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03,950 US20220304716A1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CN202080029281.7A CN113692255A (zh) 2019-04-16 2020-04-16 组织去除装置
EP20790687.6A EP3957258A4 (en) 2019-04-16 2020-04-16 TISSUE REMOVAL DEVICE
JP2021559655A JP7305788B2 (ja) 2019-04-16 2020-04-16 組織除去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4519A KR102289108B1 (ko) 2019-04-16 2019-04-16 척추 질환 치료를 위한 추간공 협착 치료기
KR10-2019-0044519 2019-04-16
KR10-2019-0130232 2019-10-18
KR1020190130232A KR102300220B1 (ko) 2019-10-18 2019-10-18 조직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13934A1 true WO2020213934A1 (ko) 2020-10-22

Family

ID=72837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05055 WO2020213934A1 (ko) 2019-04-16 2020-04-16 조직 제거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304716A1 (ko)
EP (1) EP3957258A4 (ko)
JP (1) JP7305788B2 (ko)
CN (1) CN113692255A (ko)
WO (1) WO202021393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30916B (zh) * 2022-12-02 2023-03-21 成都美创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外刀组件及可调整弯曲角度的刨刀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0098A1 (en) * 2005-08-17 2010-04-22 Norton Britt K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val of intervertebral disc tissues
US20130110145A1 (en) * 2010-07-07 2013-05-02 Carevature Medical Ltd. Flexible surg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KR101302453B1 (ko) 2012-12-11 2013-09-02 박경우 추간공인대절제술에 의한 경피적 추간공 확장시술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시술도구
KR101334500B1 (ko) * 2010-10-21 2013-11-29 김현홍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US20150126854A1 (en) * 2011-05-13 2015-05-07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monitoring, 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n opening through an airway wall
KR20150132899A (ko) * 2014-05-19 2015-11-27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76668B2 (en) * 2001-12-12 2004-01-13 C.R. Baed Articulating stone basket
US7572257B2 (en) * 2002-06-14 2009-08-11 Ncontact Surgical, Inc. Vacuum coagulation and dissection probes
JP2004321223A (ja) * 2003-04-21 2004-11-18 Japan Lifeline Co Ltd インサーター、その製造方法及びカテーテル
US20080161809A1 (en) * 2006-10-03 2008-07-03 Baxano, Inc. Articulating Tissue Cutting Device
US9962168B2 (en) * 2005-12-20 2018-05-08 CroJor,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 procedures
CA2646251A1 (en) * 2006-03-13 2007-09-20 Baxano,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tissue modification
US7833223B2 (en) * 2006-05-01 2010-11-16 Ethicon Endo-Surgery, Inc. Tri-bending sphinctertome
US10531869B2 (en) * 2009-12-16 2020-01-1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issue retractor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EP2564889B1 (de) * 2011-08-31 2020-11-04 BIOTRONIK SE & Co. KG Führungsdraht-Einführhilfe
WO2014045332A1 (ja) * 2012-09-18 2014-03-27 テルモ株式会社 穿刺具
JP2015080556A (ja) * 2013-10-22 2015-04-27 株式会社スズキプレシオン 高機能手術デバイス
PL3073940T3 (pl) * 2013-11-26 2020-11-30 Ethicon Llc Cechy osłony dla ostrza ultradźwiękowego narzędzia chirurgicznego
US10610345B2 (en) * 2016-09-21 2020-04-07 Ethicon, Inc. Applicator instruments for dispensing surgical fasteners having articulating shaft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00098A1 (en) * 2005-08-17 2010-04-22 Norton Britt K Apparatus and methods for removal of intervertebral disc tissues
US20130110145A1 (en) * 2010-07-07 2013-05-02 Carevature Medical Ltd. Flexible surgical device for tissue removal
KR101334500B1 (ko) * 2010-10-21 2013-11-29 김현홍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US20150126854A1 (en) * 2011-05-13 2015-05-07 Broncus Medical Inc. Methods and devices for diagnosing, monitoring, or treating medical conditions through an opening through an airway wall
KR101302453B1 (ko) 2012-12-11 2013-09-02 박경우 추간공인대절제술에 의한 경피적 추간공 확장시술방법 및 그에 이용되는 시술도구
KR20150132899A (ko) * 2014-05-19 2015-11-27 (주)세원메디텍 수술용 체내 조직 제거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57258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528174A (ja) 2022-06-08
CN113692255A (zh) 2021-11-23
US20220304716A1 (en) 2022-09-29
EP3957258A4 (en) 2023-01-04
EP3957258A1 (en) 2022-02-23
JP7305788B2 (ja)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9251B2 (ja) 関節内視鏡器具
JP4223812B2 (ja) 経皮的外科手術用装置及び方法
US20080200758A1 (en) Endo-surgical Device and Method
CN108778163B (zh) 用于医疗装置的控制单元
EP2526993A2 (en) Treatment tool
KR101632801B1 (ko) 내시경 카테터 장치
WO1999009879A1 (en) Controllable multi-directional surgical positioning device
EP1962665A2 (en) Method and devices for minimally invasive arthroscopic procedures
CN109688894B (zh) 内窥镜和内窥镜系统
WO2020213934A1 (ko) 조직 제거장치
US5050586A (en) Mandible manipulator
US7494491B2 (en) Device for implanting marking bodies
WO2021010726A2 (ko) 단일통로 척추 수술 도구 세트 및 단일통로 척추 수술 도구 세트의 사용 방법
KR101737997B1 (ko) 경피적 척추 추간공 확장술용 캐뉼러 및 상기 캐뉼러를 구비한 추간공 확장장치
WO2024053961A1 (ko) 척추전방전위증 정복을 위한 수술도구 세트
KR20140099713A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WO2017191885A1 (ko) 악골 절개장치
CN215778565U (zh) 骨伤科用骨折复位钳
KR102300220B1 (ko) 조직 제거장치
KR102289108B1 (ko) 척추 질환 치료를 위한 추간공 협착 치료기
WO2024091003A1 (ko) 조직 제거장치의 제거모듈
KR101993373B1 (ko) 수술용 내시경의 핸들 구조
KR101982450B1 (ko)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US8702725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dicle access
WO2019098444A1 (ko) 양방향 척추 내시경 수술용 시스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7906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559655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0790687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1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