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4500B1 -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 Google Patents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4500B1
KR101334500B1 KR1020110108255A KR20110108255A KR101334500B1 KR 101334500 B1 KR101334500 B1 KR 101334500B1 KR 1020110108255 A KR1020110108255 A KR 1020110108255A KR 20110108255 A KR20110108255 A KR 20110108255A KR 101334500 B1 KR101334500 B1 KR 101334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tube
fluid
wires
catheter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1686A (ko
Inventor
류명지
김현홍
Original Assignee
김현홍
류명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597360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334500(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현홍, 류명지 filed Critical 김현홍
Publication of KR20120041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1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4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4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 A61B17/0218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holding wounds open; Tractor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3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 A61B2017/00557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pneumatically or hydraulically operated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44Blunt dissectors
    • A61B2017/320048Balloon diss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에 따라 요지하통이 생긴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구로서, 요지하통의 원인이 되는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을 완화시키기 위해 풍선부, 가동 단부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된 삽입 튜브를 포함하는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MEDICAL APPARATUS FOR DISSOCIATION OF EPIDURAL ADHESION AND DIMINUTION OF STENOSIS IN INTERVERTEBRAL FORAMEN}
본 발명은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풍선부, 가동 단부 등이 선택적으로 설치된 삽입 튜브를 포함하는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요하지통은 허리 및 다리의 통증을 통칭하는 말이다. 요하지통은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질환 중 하나로서, 55세 이하의 성인이 직장을 결근하게 하는 원인 중 감기 다음으로 흔한 증상이며 만성 통증의 원인 중 두통 다음을 차지한다.
최근 척추수술이 급증하면서 수술 후 요하지통이 재발하거나 악화되는, 소위 척추수술 후 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으로 병원을 다시 찾는 환자들이 많아졌는데 척수를 둘러싸는 경막의 바깥부위, 즉 경막외강(epidural space) 내의 유착(adhesion)과 섬유화(fibrosis)에 의한 통증발생이 그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경막외강은 척수를 둘러싸는 보호막인 경막(dura)과 척추관(spinal canal) 사이의 공간을 말하며 신경 섬유, 지방조직, 결합조직, 혈관 및 림프관이 풍부한 조직이다. 이들의 상세한 배치는 도 9,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되어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막외강은 전 경막외강(anterior epidural space)과 후 경막외강(posterior epidural space)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 경막외강은 황색인대 및 척추체의 골막으로 싸여 있고 전면에 추체, 추간판, 후종인대가 위치하고 후면으로는 경막이 위치하게 되며, 전후 직경은 요추부에서 1.3 ~ 2.2 mm 이다. 또한, 후 경막외강의 전후 직경은 2.0 ~ 6.0 mm 정도로 알려져 있다.
경막외강의 유착은 많은 경우 척추수술 후에 발생하지만 추간판 탈출증,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 등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추간판 탈출증에서는 디스크 내의 수핵이 후부 섬유륜의 찢어진 틈을 통해 측방이나 후방으로 빠져 나와 경막외강 내 세포의 침착 및 염증반응을 야기시켜 유착이 발생하고 척추 협착증에서는 염증매개물질에 의해 유착이 발생하는데, 원인과 상관없이 만성 요하지통 환자의 경우 상당부분 유착이 동반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경막외강에 유착이 발생하면 경막외강 내의 신경근의 염증과 신경근의 경막 소매(dural sleeve)의 운동성을 방해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착이 경막외강의 정맥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신경근의 부종을 야기한다. 따라서 경막과 후종인대 사이에 유착이 되어 있으면 이 유착 자체가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경막과 신경근의 화학적 자극이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압박된 신경조직의 전 경막외강에 비정상적인 양의 substance P, calcium gene-related peptide, c-fos, phospholipase A2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통증이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요하지통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척추관을 구성하는 추간관절, 황색인대, 디스크 등에 의해 척추관이나 신경이 지나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척추관 협착증이다.
이들 두 질환에 의해 요지하통이 발생되면 요부 및 하지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멀리 또는 오랫동안 걸을 수 없게 된다.
이들 두 질환의 최선의 치료방법은 경막외강 유착이 있는 경우 유착을 제거하고 척추관 협착이 있는 경우는 협착부위를 넓혀서 신경과 혈관의 압박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물론 수술을 통해 위와 같은 치료를 행한다면 근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수술실패 및 재발의 빈도가 높아서 최근에는 비수술적 방법이 주로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도 11에서와 같이 문제가 되는 경막외강이나 척추부위의 경추간공에 바늘을 삽입하여 염증이나 부종을 억제하는 약물을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착이 있을 때 목표 지점에 충분히 약물이 도달하거나 퍼지지 못하여, 유착이 심해 섬유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의 항염작용에 거의 반응을 하지 않아, 증상의 경감에 제한이 있으며 치료결과가 좋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에서는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완화시키기 위한 의료기구가 요구되어 왔다.
본 발명은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에 따라 요지하통이 생긴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구로서, 요지하통의 원인이 되는 경막외강의 유착을 해리하고 척추관의 협착을 완화시켜주는 의료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하면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가 제공되는데, 이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구멍이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 튜브와; 삽입 튜브의 제1 단부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떨어져 삽입 튜브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풍선부와; 삽입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튜브의 벽 내부에 설치되고, 풍선부 및 유체공급원을 서로 연통시켜 풍선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의료기구는, 삽입 튜브의 제1 단부 부근에 부착되며 삽입 튜브의 제2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삽입 튜브의 제1 단부로부터 풍선부 까지의 삽입 튜브의 부분은 가동 단부를 형성하고, 한 쌍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기면 가동 단부가 일측으로 구부러지고, 한 쌍의 와이어 중 다른 하나를 잡아당기면 가동 단부가 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기구에서, 한 쌍의 와이어는 삽입 튜브의 벽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기구에서, 풍선부의 안쪽 부분에 스프링을 설치하여 어느 와이어도 잡아당기지 않으면 가동 단부가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 한편, 스프링은 코일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삽입 튜브의 관통구멍이 코일스프링의 내부를 통과하여 지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기구는, 삽입 튜브의 제2 단부에서 삽입 튜브와 연결되는 본체와;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한 쌍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이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한 쌍의 와이어는 다이얼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잡아당겨지도록 다이얼에 부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기구가, 본체에 설치되어 있으며 다이얼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료기구에서, 삽입 튜브의 관통구멍은 약물을 주입하거나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한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삽입 튜브의 제1 단부 및 삽입 튜브의 제1 단부 부근의 측벽에는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약물 분사용 구멍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의료기구는 삽입 튜브의 제2 단부에서 삽입 튜브와 연결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삽입 튜브의 제2 단부에는 본체에 마련된 도관이 연결되며, 도관은 삽입 튜브의 관통구멍으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를 제공하는데, 이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구멍이 내부에 형성되는 카테터와; 카테터의 제1 단부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떨어져 카테터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풍선부와; 카테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카테터의 벽 내부에 설치되고, 풍선부 및 유체공급원을 서로 연통시켜 풍선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관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료기구의 유체주입관과 연통하게 되는 유체공급원이, 주사통과, 주사통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피스톤과, 유체주입관에 탈착 가능한 연결부를 포함하는 외부 유체공급장치인 것이 바람직한데, 외부 유체공급장치의 연결부가 유체주입관에 연결되기 전에 외부 유체공급장치의 피스톤을 조절하여 외부 유체공급장치의 내부 체적을 미리 설정할 수 있고, 외부 유체공급장치 및 풍선부는 유체주입관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외부 유체공급장치의 내부 체적 감소량 만큼 유체가 풍선부로 공급되어 풍선부가 팽창한다. 외부 유체공급장치는 유체주입관과의 연통을 차단 가능한 차단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외부 유체공급장치는 주사통의 내부 체적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피스톤을 밀어내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의료기구는, 카테터의 제1 단부 및 카테터의 제1 단부 부근의 측벽에는 관통구멍과 연통하는 약물 분사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카테터의 제2 단부에는 카테터의 관통구멍과 연통하도록 약물 주입구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체주입관은 카테터의 제2 단부로부터 카테터 외부로 연장되며, 유체주입관의 연장단부에는 외부 유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을 완화시키기 위해 풍선부 및 가동단부 등으로 물리적으로 유착 및 협착을 완화해주는 한편, 수일간 치료 약재가 투여될 수 있도록 카테터를 체내에 삽입한 상태로 남겨두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요지하통의 치료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의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의 삽입튜브 단부의 확대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의 삽입튜브 단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삽입 튜브 가이드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를 보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삽입 튜브 가이드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경막 및 경막외강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 경막외강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의료기구의 삽입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아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상술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기구는 삽입 튜브(10)와 본체(21)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 튜브(10)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11) 및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12)를 구비한다. 본체(21)는 삽입 튜브(10)의 제2 단부(12)에서 삽입 튜브(10)와 연결되어 있다.
한편 도 3a 및 도 3b에 확대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또한 제1 단부(11)로부터 제2 단부(12)까지 연장되는 관통구멍(13)이 삽입 튜브(1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튜브(10)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11) 부근에 팽창 가능한 풍선부(14)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풍선부(14)는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떨어져 삽입 튜브(10)의 외면에 형성된다.
특히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부(14)는 삽입 튜브(10)의 외면과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풍선부(14)가 삽입 튜브(10)의 외면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삽입 튜브(10)의 삽입시 체내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체내에서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풍선부(14)는 유체공급원으로부터 예컨대 공기와 같은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 가능하다. 도 3a는 유체가 공급되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내며, 도 3b는 유체가 공급되어 풍선부(14)가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풍선부(14)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해, 삽입 튜브(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 튜브(10)의 벽 내부에 유체주입관(15)이 설치된다. 유체주입관(15)은 풍선부(14) 및 유체공급원을 서로 연통시켜 풍선부(14)에 유체를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유체주입관(15)과 연통하는 유체공급원은 유체가 담긴 주사기를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유체공급원의 일 실시예로서 유체가 담긴 가요성의 유체주머니(22)를 고려해볼 수 있다. 유체주머니(22) 및 풍선부(14)는 유체주입관(15)을 통해 서로 연결됨으로써 유체주머니(22)의 체적 감소량 만큼 유체가 풍선부(14)로 공급되어 풍선부(14)가 팽창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되면 유체주머니(22)의 가압량을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만큼의 풍선부(14)의 팽창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유체주머니(22)는 본체(21) 내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체(21)에는 유체주머니(22)를 누를 수 있도록 버튼(2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를 파지하고 버튼(23)을 눌러 유체주머니(22)를 가압함으로써 풍선부(14)의 팽창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한 손으로의 조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풍선부(14)는 경막외강의 유착이나 척추관의 협착을 물리적으로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이와 같은 물리적인 완화는 시술시에 체내로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를 삽입한 후 풍선부(14)를 팽창시킴으로써 가능하다.
특히, 삽입 튜브(10)와 풍선부(14)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방사선 비투과성 재질이거나 예컨대 가는 철사와 같은 방사선 비투과성 요소를 포함하도록 설계한다면, 시술시 방사선 조영기에 삽입 튜브(10)와 풍선부(14)가 보일 수 있게 되므로 매우 효과적이다.
통상 유체주머니(22)에 담긴 유체는 공기를 사용하나, 풍선부(14)를 확장시키는 유체를 조영제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조영제란 방사선 검사 때에 조직이나 혈관을 잘 볼 수 있도록 각 조직의 X선 흡수차를 인위적으로 크게 함으로써 영상의 대조도를 크게 해주는 약품이다. 조영제를 이용함으로써, 조영제의 주입에 의해 풍선부(14)를 팽창될 때 방사선 조영기에 의해 풍선부(14)의 팽창 정도를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유체주머니(22) 대신에 제2 실시예에서 후술하는 외부 유체공급장치(200)을 본체(20)에 내장시키는 형태도 가능하다(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한다). 즉, 유체주입관(15)과 유체연통하도록 연결된 주사통을 본체(20)에 내장시키고, 주사통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가능한 피스톤을 본체(20)의 외부까지 연장시키며, 주사통 및 피스톤 사이에 스프링을 삽입시켜 스프링이 주사통 내부의 체적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피스톤을 밀어내도록 구성가능하다.
한편,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해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 부근에 가동 단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가동 단부(18)를 조작하기 위해, 한 쌍의 와이어(19, 19')가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 부근에 부착된다.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삽입 튜브(10)의 제2 단부(12)를 항해 연장되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바람직하게는 삽입 튜브(10)의 벽 내부를 통해 연장된다.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중 어느 하나, 예컨대 오른쪽 와이어(19)를 잡아당기면 삽입 튜브(10)의 오른쪽 부분만이 수축되어 가동 단부(18)는 오른쪽으로 구부러지고, 한 쌍의 와이어 중 다른 하나, 예컨대 왼쪽 와이어(19')를 잡아당기면 삽입 튜브(10)의 왼쪽 부분이 수축되어 가동 단부(18) 역시 왼쪽으로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다.
특히 풍선부가 삽입 튜브에 비해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삽입 튜브의 제1 단부(11)로부터 풍선부까지의 상기 삽입 튜브(10)의 부분은 가동 단부(18)로서의 역할을 한다.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해 물리적으로 조작가능한 삽입 튜브(10)의 부위, 즉 풍선부(14) 및 가동 단부(18)가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형성되므로, 필요에 따라 풍선부 확장이나 가동단부 조작을 선택적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3c와 같이, 스프링(17)을 풍선부(14)의 안쪽 부분에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특히 스프링(17)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사용한다면, 코일스프링의 내부로 삽입 튜브의 관통구멍(13)이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동단부(18)가 구부러지게 되더라도 코일 스프링에 의해 관통구멍(13)이 줄어들지 아니하고 유지될 수 있으므로 카테터(C)를 삽입하거나 약물을 투여하기에 좋다.
스프링(17)이 설치된 경우, 가동단부(18)의 작동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다. 스프링(17)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어느 와이어도 잡아당기지 않으면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가동 단부(18)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예컨대 연결관(19a, 19a')을 통해 본체(21)로 연장되어 본체(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25)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다이얼(25)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한 쌍의 와이어(19, 19')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잡아당겨질 수 있다. 따라서 본체(21)의 손잡이 부분(27)을 파지하고 다이얼(25)을 회전하는 것에 의해 삽입 튜브(10)의 가동 단부(18)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다이얼(25)은 미끄러짐 같은 조작 오류를 막기 위해 외주부에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체(21)에는 다이얼(25)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위치(26)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스위치(26)는 상하 이동에 따라 다이얼의 요철 부분과 맞물림 및 맞물림 해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고정 스위치(26)에 의해 삽입 튜브(10)의 가동 단부(18) 조작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다이얼(25)의 회전을 고정시켜 가동 단부(18)의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유용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튜브(10)의 관통구멍(13)은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통로로서 기능할 수도 있고, 약물 주입용 카테터(C)를 삽입하기 위한 안내 통로로서 기능할 수도 있다.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 및 제1 단부 부근의 측벽(11a)에는 관통구멍(13)과 연통하는 약물 분사용 구멍(16, 16', 16")이 형성되어 있다. 약물 분사용 구멍(16, 16', 16")을 통해 약물이 여러 방향으로 골고루 퍼질 수 있으므로 효과적이다.
삽입 튜브(10)의 제2 단부(12)에는 본체에 마련된 도관(24)이 연결되어, 본체(21) 쪽에서 도관(24)을 통해 삽입 튜브(10)의 관통구멍(13)으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카테터(C)를 삽입할 수 있다. 도관(24)은 본체(21)의 앞부분, 즉 삽입 튜브(10)와 본체(21)가 연결되는 부분에 가까이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관(24)을 본체(21)의 앞부분에 위치시킴으로써 삽입되는 삽입 튜브(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본체(21)의 손잡이 부분(27)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도관(24)을 통한 약물 주입이나 카테터(C) 삽입 시술 작업이 편리하게 된다.
의료기구 사용시에는 풍선부(14) 또는 가동 단부(18)를 조작하여 물리적인 해리를 한 후에 삽입 튜브(10)를 소정거리, 즉 풍선부(14) 또는 가동 단부(18)와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 사이의 거리 만큼 빼낸 후에 직접 또는 카테터(C)를 이용하여 약물을 주입하면, 물리적으로 해리된 부위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어 유용하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는 미추를 통해 삽입 튜브(10)를 경막외강에 삽입하여 경막외강의 유착을 해리하고 척추관 협착을 완화시키는 것을 주로 의도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은 카테터(C)를 2개 이상 삽입하도록 삽입 튜브(10)를 안내하기 위한 삽입 튜브 가이드(30)이다. 실제로 시술시에는 인체 내부에 카테터(C)를 2개 이상 삽입한 상태로 3 ~ 5일간 남겨두어 환부에 약물을 투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체내에 2개 이상의 카테터(C)를 삽입한 상태로 남겨두기 위해 삽입 튜브 가이드(30)를 사용하면 좋다.
삽입 튜브 가이드(30)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31)와, 제1 단부에 대향하는 제2 단부(32)와, 제2 단부(32)로부터 상기 제1 단부(31)까지 점차 좁아지는 외벽(33)과, 제2 단부(32)로부터 제1 단부(31)로 이어지는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격막(34)을 포함한다.
제1 단부(31)를 체내에 삽입하면 격막(34)에 의해 기다란 내부 공간이 2개 이상으로 나누어지므로 먼저 어느 한 내부 공간으로 삽입 튜브(10)를 삽입하여 카테터(C)를 남긴 후, 다른 공간으로 또한 삽입 튜브(10)를 삽입하여 카테터(C)를 남길 수 있다. 여기서, 격막(34)은 유연한 재질이어서 삽입 튜브(10)의 삽입시 변형가능하다. 삽입 튜브 가이드(30)를 사용하면 복수의 카테터들이 서로 간섭을 일으키지 않아 복수 개의 삽입 튜브(10)의 삽입시 유용하다.
도 8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구이다. 제2 실시예와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은, 제2 실시예는 카테터를 안내하기 위한 삽입 튜브 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카테터(100)를 직접 이용하고 있으며, 카테터 단부가 구부러지지 않는다는 점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의료기구는 카테터(100)를 구비하고, 카테터(100)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110)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120)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제1 단부(110)로부터 제2 단부(120)까지 연장되는 관통구멍(130)이 형성된다.
또한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풍선부(140)가 카테터(100)의 제1 단부(110)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떨어져 카테터(100)의 외면에 형성된다. 앞선 실시예에서와 같이 풍선부(140)가 카테터(100)의 외면과 동일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카테터(100)의 삽입시 체내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체내에서 걸림이 발생하지 않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카테터(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카테터(100)의 벽 내부에 유체주입관(15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유체주입관(150)은 풍선부(140) 및 유체공급원을 서로 연통시켜 풍선부(140)에 유체를 공급하여 풍선부(140)를 팽창시키게 된다.
또한 카테터(100)의 제1 단부(110) 및 제1 단부 부근의 측벽(110a)에는 관통구멍(130)과 연통하는 약물 분사용 구멍(160, 160', 160")이 형성되어 있고, 카테터(100)의 제2 단부(120)에는 카테터(100)의 관통구멍(130)과 연통하도록 약물 주입구(180)가 연결되어 있어 원하는 부위에 직접 약물을 투입할 수 있다.
물론 유체공급원으로서 유체가 담긴 주사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제2 실시예에서는 유체주입관(150)과 연통하게 되는 유체공급원으로서 외부 유체공급장치(200)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한다.
먼저 유체주입관(150)은 상기 카테터(100)의 제2 단부(120)로부터 상기 카테터 외부로 연장되며, 유체주입관(150)의 연장단부에는 외부 유체공급장치(200)와 연결되는 연결부(170)가 형성된다.
외부 유체공급장치(200)는 주사통(210)과, 주사통 내부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피스톤(220)과, 유체주입관의 연결부(170)에 탈착 가능한 연결부(23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외부 유체공급장치의 연결부(230)가 유체주입관(150)에 연결되기 전에 외부 유체공급장치의 피스톤(220)을 조절하여 외부 유체공급장치(200)의 내부 체적을 미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외부 유체공급장치(200) 및 풍선부(140)는 유체주입관(15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외부 유체공급장치(200)의 내부 체적 감소량 만큼 유체가 풍선부(140) 내로 공급되어 풍선부(140)가 팽창하도록 구성된다.
외부 유체공급장치(200)는 예컨대 피스톤(220)과 주사통(210) 사이에 스프링(250)이 삽입될 수 있다. 스프링(250)은 외부 유체공급장치(200)의 내부 체적이 증가하는 방향으로 피스톤을 밀어내게 된다. 따라서 풍선부(140)는 평상시에는 팽창되지 않도록 유지되며 피스톤을 눌러 외부 유체공급장치(200)의 내부 체적을 감소시켜야 비로소 풍선부(140)에 유체가 공급되어 풍선부(140)의 팽창이 시작된다. 풍선부(140) 팽창에 사용되는 유체로 공기 또는 조영제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유체공급장치(200)는 유체주입관(150)과의 연통을 차단 가능한 차단밸브(240)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 차단 밸브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방향으로 이동가능하여 유체연통 및 차단을 행하게 된다. 유체주입관(150)과 외부 유체공급장치(200)를 서로 연결하기 전에 유체를 외부유체공급장치(200)에 담고 차단밸브(240)를 이용하여 차단함으로써 외부 유체공급장치(200) 내의 유체의 체적을 사전에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고, 유체주입관(150)과 외부 유체공급장치(200)를 서로 연결한 후에 풍선부(140)를 팽창시킨 상태에서 유체연통을 차단하면 풍선부(140)의 팽창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등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카테터(100)와 풍선부(14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 모두가 방사선 비투과성 재질이거나 방사선 비투과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의료기구의 제2 실시예는 경추간공을 통해 카테터(100)를 삽입하여 경막외강의 유착을 해리하고 척추관 협착을 완화시키는 것을 주로 의도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 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2)

  1.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로서,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11)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12)를 구비하며,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관통구멍(13)이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 튜브(10)와,
    상기 삽입 튜브의 제1 단부(11)로부터 소정거리 만큼 떨어져 상기 삽입 튜브(10)의 외면에 형성되며, 유체가 공급됨에 따라 팽창 가능한 풍선부(14)와,
    상기 삽입 튜브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삽입 튜브의 벽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풍선부(14) 및 유체공급원을 서로 연통시켜 상기 풍선부에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주입관(15)과,
    상기 삽입 튜브(10)의 제1 단부(11) 부근에 부착되며 상기 삽입 튜브(10)의 제2 단부(12)를 항해 연장되는 한 쌍의 와이어(19, 19')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 튜브의 제1 단부(11)로부터 상기 풍선부까지의 상기 삽입 튜브(10)의 부분은 가동 단부(18)를 형성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19, 19') 중 어느 하나를 잡아당기면 상기 가동 단부(18)가 일측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19, 19') 중 다른 하나를 잡아당기면 상기 가동 단부(18)가 타측으로 구부러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 튜브의 제2 단부(12)에서 상기 삽입 튜브(10)와 연결되는 본체(21)와,
    상기 본체(2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19, 19')가 연결되는 다이얼(25)을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상기 다이얼(25)의 일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와이어(19, 19')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잡아당겨지도록 상기 다이얼(25)에 부착되어 있고,
    상기 본체(21)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다이얼(25)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위치(26)를 더 구비하는 것인 의료기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상기 삽입 튜브(10)의 벽 내부를 통해 연장되는 것인 의료기구.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의 관통구멍(13)은 약물을 주입하거나 카테터(C)를 삽입하기 위한 것인 의료기구.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의 제1 단부(11) 및 상기 삽입 튜브의 제1 단부 부근의 측벽(11a)에는 상기 관통구멍(13)과 연통되는 약물 분사용 구멍(16, 16', 16")이 형성되는 것인 의료기구.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 튜브의 제2 단부(12)에는 상기 본체(21)에 마련된 도관(24)이 연결되며, 상기 도관(24)은 상기 삽입 튜브의 관통구멍으로 약물을 주입하거나 카테터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고, 상기 도관(24)은 상기 다이얼(25)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인 의료기구.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10108255A 2010-10-21 2011-10-21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KR101334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3146 2010-10-21
KR20100103146 2010-10-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1686A KR20120041686A (ko) 2012-05-02
KR101334500B1 true KR101334500B1 (ko) 2013-11-29

Family

ID=45973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8255A KR101334500B1 (ko) 2010-10-21 2011-10-21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20101511A1 (ko)
KR (1) KR10133450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392A (ko) * 2014-06-16 2015-12-28 (주)태연메디칼 풍선 방향제어 기능을 갖는 카테터
KR101675698B1 (ko) * 2015-10-30 2016-11-11 김주현 경막 협착 또는 추간공 협착 치료를 위한 의료장치
KR20190046396A (ko) * 2017-10-26 2019-05-07 쥬베뉴 주식회사 의료기구
WO2020213934A1 (ko) * 2019-04-16 2020-10-22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
KR20200121673A (ko) * 2019-04-16 2020-10-26 랩앤피플주식회사 척추 질환 치료를 위한 추간공 협착 치료기
KR102182074B1 (ko)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KR20210046919A (ko) * 2019-10-18 2021-04-29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
KR20210153866A (ko) 2020-06-11 2021-12-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막외조영술용 카테터 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752B1 (ko) * 2012-10-12 2014-06-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카테터
KR101490042B1 (ko) * 2013-09-13 2015-02-0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KR101626346B1 (ko) * 2014-08-18 2016-06-02 (주)세원메디텍 멀티벌룬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
CN114272469B (zh) * 2021-12-14 2024-04-05 金磊 一种用于韧带支撑提升的注射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598A (ko) * 1999-08-24 2002-04-10 뉴런 세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요추 배액 카테테르
US20030004460A1 (en) * 2000-01-06 2003-01-02 Bedell Raymond L Steerable fiberoptic epidural balloon catheter and scope
JP2006000649A (ja) * 2004-06-15 2006-01-05 Biosense Webster Inc 二方向カテーテルのための改善された操縦機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6874A (en) * 1978-11-15 1981-07-07 Datascope Corp. Elongatable balloon catheter
US5195971A (en) * 1992-02-10 1993-03-23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Perfusion type dilatation catheter
US5344397A (en) * 1992-06-26 1994-09-06 Advanced Surgical, Inc. Cholangiogram catheter
US5702372A (en) * 1995-02-08 1997-12-30 Medtronic, Inc. Lined infusion catheter
US6007531A (en) * 1995-11-21 1999-12-28 Catheter Imaging Systems, Inc. Steerable catheter having disposable module and sterilizable handle and method of connecting same
US6530897B2 (en) * 2000-04-28 2003-03-11 Mahase Nardeo Steerable medical catheter with bendable encapsulated metal spring tip fused to polymeric shaft
US6599265B2 (en) * 2000-07-05 2003-07-29 Visionary Biomedical, Inc. Brake assembly for a steerable cathether
US7682358B2 (en) * 2003-10-30 2010-03-23 Medtronic, Inc. Steerable cathet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6598A (ko) * 1999-08-24 2002-04-10 뉴런 세러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요추 배액 카테테르
US20030004460A1 (en) * 2000-01-06 2003-01-02 Bedell Raymond L Steerable fiberoptic epidural balloon catheter and scope
JP2006000649A (ja) * 2004-06-15 2006-01-05 Biosense Webster Inc 二方向カテーテルのための改善された操縦機構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392A (ko) * 2014-06-16 2015-12-28 (주)태연메디칼 풍선 방향제어 기능을 갖는 카테터
KR101598277B1 (ko) * 2014-06-16 2016-02-29 (주)태연메디칼 풍선 방향제어 기능을 갖는 카테터
KR101675698B1 (ko) * 2015-10-30 2016-11-11 김주현 경막 협착 또는 추간공 협착 치료를 위한 의료장치
KR20190046396A (ko) * 2017-10-26 2019-05-07 쥬베뉴 주식회사 의료기구
KR102108841B1 (ko) * 2017-10-26 2020-05-11 쥬베뉴 주식회사 의료기구
WO2020213934A1 (ko) * 2019-04-16 2020-10-22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
KR20200121673A (ko) * 2019-04-16 2020-10-26 랩앤피플주식회사 척추 질환 치료를 위한 추간공 협착 치료기
KR102289108B1 (ko) * 2019-04-16 2021-08-12 랩앤피플주식회사 척추 질환 치료를 위한 추간공 협착 치료기
KR20210046919A (ko) * 2019-10-18 2021-04-29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
KR102300220B1 (ko) * 2019-10-18 2021-09-10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
KR102182074B1 (ko) 2019-12-24 2020-11-23 김남배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KR20210153866A (ko) 2020-06-11 2021-12-20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경막외조영술용 카테터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20101511A1 (en) 2012-04-26
KR20120041686A (ko)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4500B1 (ko)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RU2546088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ысоты и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звоночной или иной костной структуры
JP4376059B2 (ja) 脊柱の間隔をあけ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5662999B2 (ja) 最小限の侵襲性の脊柱補強及び安定化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5853391A (en) Slotted regional anesthesia needle
US9833601B2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simultaneous bilateral treatment of target tissues within the ears using a guide block structure
US7988709B2 (en)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8814908B2 (en) Injectable flexible interspinous process device system
US20070073292A1 (en)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20090326581A1 (en) Expandable spacing means for insertion between spinous processes of adjacent vertebrae
US20080082118A1 (en) Percutaneous spinal implants and methods
US20050192652A1 (en) Thermal treatment systems with enhanced tissue penetration depth using adjustable treatment pressures and related methods
WO200815751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easuring the space around a nerve root
KR101626346B1 (ko) 멀티벌룬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
KR20110098684A (ko) 극돌기간 스페이서 진단 평행 풍선 카테터 및 이용 방법
CN102014761A (zh) 胃盘管操纵器
JP2007521079A (ja) 螺旋プローブ
US11357954B2 (en) Medical apparatus
KR101159040B1 (ko) 척추 간격 유지기 및 이것을 이용한 척추 고정 시스템
BRPI0617335A2 (pt) aparelho para reposicionar vÉrtebras
US20090240106A1 (en) Endoscope With a Stimulating Electrode For Peripheral Nerve Blocks Under Direct Vision
KR102289108B1 (ko) 척추 질환 치료를 위한 추간공 협착 치료기
EP319102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glottic insufficiency
US20110172596A1 (en) Interspinous process spacer diagnostic balloon catheter and methods of use
US102516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erforming spinal surger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501 Disposition of invalidation of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30

Effective date: 20160419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