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08841B1 - 의료기구 - Google Patents

의료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08841B1
KR102108841B1 KR1020170140154A KR20170140154A KR102108841B1 KR 102108841 B1 KR102108841 B1 KR 102108841B1 KR 1020170140154 A KR1020170140154 A KR 1020170140154A KR 20170140154 A KR20170140154 A KR 20170140154A KR 102108841 B1 KR102108841 B1 KR 102108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portion
control unit
dial
rotation control
med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396A (ko
Inventor
김현홍
Original Assignee
쥬베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베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쥬베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0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08841B1/ko
Priority to US16/168,998 priority patent/US11357954B2/en
Publication of KR20190046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8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8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5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ntroducing tubes or catheters, e.g. gastrostomy tubes, drai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016Endoscopic cutting instruments, e.g. arthroscopes, resect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21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 A61M25/002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the form of the tubing by the form of the lumen, e.g. cross-section, variable diameter
    • A61M25/0026Multi-lumen catheters with stationary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08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using radio-opaque or ultrasound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1Puncturing needles for the peridural or subarachnoid space or the plexus, e.g. for anaesthes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3Steerable
    • A61B2017/00318Steering mechanisms
    • A61B2017/00323Cables or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22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17/22038Implements for squeezing-off ulcers or the like on the inside of inner organs of the body; Implements for scraping-out cavities of body organs, e.g. bones; Calculus removers; Calculus smashing apparatus; Apparatus for removing obstructions in blood vess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with a guide wi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2017/320044Blunt dissectors
    • A61B2017/320048Balloon diss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45Cannulas used as instrument channel for multiple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5Auxiliary appliance with suction drainag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217/00General characteristics of surgical instruments
    • A61B2217/002Auxiliary appliance
    • A61B2217/007Auxiliary appliance with irrigat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025/0007Epidural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61M2025/006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having means, e.g. stylets, mandrils, rods or wires to reinforce or adjust temporarily the stiffness, column strength or pushability of catheters which are already inserted into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61M2025/015Details of the distal fixation of the movable mechanic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10Balloon catheters
    • A61M2025/104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 A61M2025/1093Balloon catheters with special features or adapted for special applications having particular tip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9/00Dilators with or without means for introducing media, e.g. remedies
    • A61M29/02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 A61M2029/025Dilators made of swellabl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guiding el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3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2Insertion or introduction using an inner stiffening member, e.g. stylet or push-r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61M25/0133Tip steering devices
    • A61M25/0147Tip steering devices with movable mechanical means, e.g. pull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는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관통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삽입부의 제1 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삽입부의 외면에 확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부, 삽입부의 제1 단부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삽입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어느 하나를 잡아당김으로써 삽입부의 구부러짐을 야기할 수 있는 한 쌍의 와이어, 삽입부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본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이얼, 및 다이얼과 결합하여, 다이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더이상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이얼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기구 {MEDICAL APPARATUS}
본 발명은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에 관한 것이다.
요하지통은 허리 및 다리의 통증을 통칭하는 말이다. 요하지통은 살아가면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질환 중 하나로서, 55세 이하의 성인이 직장을 결근하게 하는 원인 중 감기 다음으로 흔한 증상이며 만성 통증의 원인 중 두통 다음을 차지한다.
최근 척추수술이 급증하면서 수술 후 요하지통이 재발하거나 악화되는, 소위 척추수술 후 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으로 병원을 다시 찾는 환자들이 많아졌는데 척수를 둘러싸는 경막의 바깥부위, 즉 경막외강(epidural space) 내의 유착(adhesion)과 섬유화(fibrosis)에 의한 통증발생이 그 주요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경막외강은 척수를 둘러싸는 보호막인 경막(dura)과 척추관(spinal canal) 사이의 공간을 말하며 신경 섬유, 지방조직, 결합조직, 혈관 및 림프관이 풍부한 조직이다. 경막외강은 전 경막외강(anterior epidural space)과 후 경막외강(posterior epidural space)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 경막외강은 황색인대 및 척추체의 골막으로 싸여 있고 전면에 추체, 추간판, 후종인대가 위치하고 후면으로는 경막이 위치하게 되며, 전후 직경은 요추부에서 1.3 ~ 2.2 mm 이다. 또한, 후 경막외강의 전후 직경은 2.0 ~ 6.0 mm 정도로 알려져 있다.
경막외강의 유착은 많은 경우 척추수술 후에 발생하지만 추간판 탈출증, 퇴행성 척추관 협착증 등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추간판 탈출증에서는 디스크 내의 수핵이 후부 섬유륜의 찢어진 틈을 통해 측방이나 후방으로 빠져 나와 경막외강 내 세포의 침착 및 염증반응을 야기시켜 유착이 발생하고 척추 협착증에서는 염증매개물질에 의해 유착이 발생하는데, 원인과 상관없이 만성 요하지통 환자의 경우 상당부분 유착이 동반되어 있다고 판단된다. 경막외강에 유착이 발생하면 경막외강 내의 신경근의 염증과 신경근의 경막 소매(dural sleeve)의 운동성을 방해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유착이 경막외강의 정맥 혈류의 흐름을 방해하여 신경근의 부종을 야기한다. 따라서 경막과 후종인대 사이에 유착이 되어 있으면 이 유착 자체가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하며 경막과 신경근의 화학적 자극이 통증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즉, 압박된 신경조직의 전 경막외강에 비정상적인 양의 substance P, calcium gene-related peptide, c-fos, phospholipase A2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이 존재하게 되며 이에 의해 염증반응이 일어나고 통증이 유발하게 되는 것이다.
요하지통의 또 다른 주요 원인은 척추관을 구성하는 추간관절, 황색인대, 디스크 등에 의해 척추관이나 신경이 지나는 추간공이 좁아져서 발생하는 척추관 협착증이다.
이들 두 질환에 의해 요지하통이 발생되면 요부 및 하지에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멀리 또는 오랫동안 걸을 수 없게 된다.
이들 두 질환의 최선의 치료방법은 경막외강 유착이 있는 경우 유착을 제거하고 척추관 협착이 있는 경우는 협착부위를 넓혀서 신경과 혈관의 압박을 완화시키는 것이다. 물론 수술을 통해 위와 같은 치료를 행한다면 근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수술실패 및 재발의 빈도가 높아서 최근에는 비수술적 방법이 주로 시도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문제가 되는 경막외강이나 척추부위의 경추간공에 바늘을 삽입하여 염증이나 부종을 억제하는 약물을 주입하여 치료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유착이 있을 때 목표 지점에 충분히 약물이 도달하거나 퍼지지 못하여, 유착이 심해 섬유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스테로이드의 항염작용에 거의 반응을 하지 않아, 증상의 경감에 제한이 있으며 치료결과가 좋지 않았다. 따라서 임상에서는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을 보다 효과적이고 안전하게 완화시키기 위한 의료기구가 요구되어 왔다.
한국 특허 공개 공보 제2014-0047342호
본 발명은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에 따라 요지하통이 생긴 환자에게 사용할 수 있는 의료기구로서, 요지하통의 원인이 되는 경막외강의 유착을 해리하고 척추관의 협착을 완화시켜주는 의료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체내에서 파손될 위험이 적고 보다 안전하고 적극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하는 확장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 시 가동단부에 의해 체내 조직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동단부의 회전 각도를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의료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는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해 사용될 수 있고,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 및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제1 단부로부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관통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삽입부의 제1 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삽입부의 외면에 확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부, 삽입부의 제1 단부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삽입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어느 하나를 잡아당김으로써 삽입부의 구부러짐을 야기할 수 있는 한 쌍의 와이어, 삽입부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본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한 쌍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이얼, 및 다이얼과 결합하여, 다이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더이상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이얼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회전 제어부는 다이얼을 제1 각도 이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제어 유닛과 다이얼을 제1 각도와는 다른 제2 각도 이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제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삽입부의 단부의 두께나 재질에 따라 견딜 수 있는 하중이 다른 상황에서, 다이얼의 회전 각도의 제한을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회전 제어부는 제1 회전 제어 유닛 및 제2 회전 제어 유닛을 모두 포함하고, 제1 회전 제어 유닛 및 제2 회전 제어 유닛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제1 회전 제어 유닛 또는 제2 회전 제어 유닛은 다이얼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접촉하여 다이얼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회전 제어부는, 제1 회전 제어 유닛 또는 제2 회전 제어 유닛이 스토퍼와 접촉하는 위치에 놓이거나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놓이도록,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제1 회전 제어 유닛 또는 제2 회전 제어 유닛의 위치는 회전 제어부의 외부를 향하는 위치와 내부를 향하는 위치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확장부는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확장 구조체는 방사선 비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확장 구조체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확장 구조체용 와이어가 삽입부 내부에 구비되고, 확장 구조체용 와이어의 일단부가 확장 구조체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확장 구조체는 삽입부의 제1 단부를 향하는 제1 단부 영역과 삽입부의 제2 단부를 향하는 제2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제1 단부 영역은 삽입부에 고정되지 않고 제2 단부 영역은 삽입부에 고정되며, 확장 구조체용 와이어가 고정되지 않은 제1 단부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의료 기구는 삽입부의 제2 단부와 다이얼 사이에 형성되고 제1 관통 통로와 연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 기기를 삽입하는 제1 주입구와 제1 주입구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주입구에 주입되는 약물과는 다른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 기기 또는 체내 조직내 출혈을 세척하는 세척수를 투입하는 한 쌍의 제2 주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의료 기기는 카테터 및 내시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한 쌍의 제2 주입구는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T자형 통로와 연통하고, T자형 통로는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관통 통로와 연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한 쌍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는 삽입부의 제1 단부의 영역에 고정된 부분에서 스프링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에 따르면, 삽입부는, 확장부와 삽입부의 제2 단부 사이에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기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경막외강의 유착 및 척추관의 협착을 완화시키기 위해 확장부 및 가동단부 등으로 물리적으로 유착 및 협착을 완화함으로써 요지하통의 치료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적어도 두 부분을 포함하는 회전제어부를 통해 다이얼의 회전 각도를 보다 정확하고 간단하게 조절 및 제한함으로써, 다이얼의 좌/우 조작 시 삽입부 또는 삽입부의 가동 단부에 의해 체내 조직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부를 메쉬 구조로 된 확장구조체로 구현함으로써, 유체 주입으로 작동하는 확장부와 동일하게 물리적으로 유착 및 협착을 완화해주는 효과를 얻으면서도, 체내에서 날카로운 물질에 의해 터질 위험을 배제할 수 있고, 높은 기계적 강도로 인해 적극적인 시술이 가능하며, 간단한 작동으로 확장부의 확장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어, 보다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시술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의 상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의 측면도,
도 3a 내지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의 삽입부 단부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 확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로 구성되는 확장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의 삽입부 단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의 다이얼에 대한 회전 제어부의 위치 설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8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의 회전 제한에 따른 회전 가능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내부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1) 및 의료 기구(100)를 이루는 구성들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1)의 상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1)의 측면도이다. 본원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료 기구(1)는 삽입부(10)와 본체(20)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10)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11) 및 제1 단부(11)와 대향하는 제2 단부(12)를 구비한다. 본체(20)는 삽입부(10)의 제2 단부(12)에서 삽입부(10)와 연결된다. 본체(20)는 다이얼(40)을 조작하는 다이얼 조작부(21)와 손잡이부(22)를 포함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1)의 삽입부(1)의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의 제1 단부(11)로부터 제2 단부(12)까지 연장되는 제1 관통 통로(13)가 삽입부(10)의 내부에 형성된다. 삽입부(10)의 제1 단부(11)에는 제1 관통 통로(13)와 연통하여 체내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 기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제1 구멍(16)이 형성된다. 제1 구멍(16)을 통해 체내의 원하는 부위에 약물을 전달하거나 의료 기기를 접근시킬 수 있다. 의료 기기는 예컨대 약물 주입용 카테터나 내시경을 포함하고, 삽입부(10)의 제1 관통 통로(13) 및 제1 구멍(16)은 직접 약물을 주입하는 통로로서 기능 하거나 약물 주입용 카테터 또는 내시경을 삽입하기 위한 안내 통로로서 기능 할 수 있다.
삽입부(10)의 내부에는 삽입부(10)를 조작하기 위한 한 쌍의 와이어(19, 19')가 구비된다. 한 쌍의 와이어(19, 19')의 일단부는 삽입부(10)의 제1 단부(11)의 영역에 고정될 수 있고, 한 쌍의 와이어(19, 19')의 타단부는 삽입부(10)의 제2 단부(12)를 향해 연장된다.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삽입부(10)의 내부를 통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19, 19')의 타단부는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이얼(40)에 연결된다. 예컨대, 본체(20)의 내부에는 한 쌍의 와이어(19, 19')가 통과할 수 있는 연결관이 형성되어 한 쌍의 와이어(19, 19')는 연결관을 통해 다이얼(40)에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한 쌍의 와이어(19, 19')와 다이얼(40)의 연결 구조를 통해, 본체(20)의 손잡이부(22)을 파지하고 다이얼(40)을 시계 방향으로 돌려 오른쪽 와이어(19)를 잡아당김으로써 삽입부(10)가 오른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하거나, 다이얼(40)을 시계 반대 방향으로 돌려 왼쪽 와이어(19')를 잡아당김으로써 삽입부(10)가 왼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할 수 있다. 다이얼(40)의 외주부에는 미끄러짐과 같은 조작 오류를 방지하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와이어(19, 19')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의 일단부는 삽입부(10)의 제1 단부(11)의 영역에 보다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 형상 또는 요철 형상을 갖는 고정팁부(19a, 19b, 19'a, 19'b)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팁부(19a, 19b, 19'a, 19'b)는 스프링 또는 요철 형상을 갖는 하나의 고정팁부로 이루어지거나,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의 일단부에서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의 고정팁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고정팁부(19a, 19b, 19'a, 19'b)에 의하면, 의료 기구(1)의 제조를 위해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경우, 고정팁부(19a, 19b, 19'a, 19'b)의 스프링 또는 요철들 사이 또는 복수의 고정팁부의 사이에 삽입부의 재료(예컨대 플라스틱)가 녹아들어가 최종적으로 경화됨으로써 삽입부(10)에 대하여 와이어를 보다 확실하게 고정할 수 있다.
삽입부(10)는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11) 부근에 확장 가능한 확장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확장부(30)는 삽입부(10)의 제1 단부(11)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떨어져 삽입부(10)의 외면에 형성된다.
확장부(30)는 삽입부(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30)가 삽입부(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삽입부(10)의 삽입 시 체내의 조직을 손상시키거나 체내에서 걸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부(30)의 확장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확장부(30)의 확장은, 확장부(30)로 유체를 공급하거나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30)가 확장하면 삽입부(10)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을 하게 되고, 시술 시에 삽입부(10)가 체내에 삽입된 상태에서 이러한 확장부(30)의 확장이 이루어지면 체내의 경막외강의 유착이나 척추관의 협착을 물리적으로 완화하는데 효과적이다.
삽입부(10)의 내부에는 확장부(30)와 연통하는 확장부용 통로(15)가 형성될 수 있고, 본체(20)에는 확장부용 통로(15)와 연통하는 확장부 연결 유닛(23)이 형성될 수 있다. 확장부 연결 유닛(23)에는, 확장부(30)를 확장시킬 수 있는 입력 유닛(예컨대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 공급원, 주사기, 확장부를 확장시키는 조작 스위치, 핸들 등)이 연결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로 구성되는 확장부(30)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부(30)는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이다.
확장 구조체는 방사선 비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확장 구조체는 가는 철사와 같은 방사선 비투과성 재료를 포함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시술 시 방사선 조영기를 통해 확장 구조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술에 매우 효과적이다. 또한, 확장 구조체는 NiTi와 같은 복원력이 강한 생체 의료용 금속 재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삽입부(10) 역시 이러한 재료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확장 구조체의 확장은 확장 구조체 와이어(33)에 이루어진다. 확장 구조체 와이어(33)는 삽입부(10) 내부에 구비되고, 그 일단부가 확장 구조체에 연결된다. 확장 구조체 와이어(33)는 확장부용 통로(15)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확장 구조체는 삽입부(10)의 제1 단부(11)를 향하는 제1 단부 영역(31)과 삽입부(10)의 제2 단부(12)를 향하는 제2 단부 영역(32)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부 영역(31)은 삽입부(10)의 외면에 고정되지 않고 삽입부(10)의 외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는 반면에, 제2 단부 영역(32)은 삽입부(10)의 외면에 고정된다. 이 경우, 확장 구조체 와이어(33)는 삽입부(10)의 외면에 고정되지 않은 제1 단부 영역(31)에 연결될 수 있다.
확장 구조체의 확장 및 수축 과정을 살펴보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부(30)인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가 확장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서는, 확장 구조체가 삽입부(10)의 외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평면을 이루도록 삽입부(10)의 외면에 구비된다. 시술 시 삽입부(10)가 체내에 삽입되고, 확장 구조체 와이어(33)가 삽입부(10)의 제2 단부(12) 방향으로 당겨지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구조체 와이어(33)가 연결되는 제1 단부 영역(31)이 제2 단부 영역(32)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삽입부(1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확장 구조체는 확장된다. 반대로 확장 구조체 와이어(33)가 삽입부(10)의 제1 단부(12) 방향으로 밀리면,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 구조체 와이어(33)가 연결되는 제1 단부 영역(31)이 제2 단부 영역(3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삽입부(10)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이동으로 인해 확장 구조체는 수축한다.
확장 구조체 와이어(33)는 확장부 연결 유닛(23)과 맞물려 본체(20)에 구비된 전용 손잡이(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시술자는 전용 손잡이를 작동하여 확장 구조체 와이어(33)를 당기거나 밀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 구조체 와이어(33)의 전용 손잡이는 다이얼(4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술자는 한 손으로 다이얼(40)을 조작하여 삽입부(10)의 방향을 제어하면서, 같은 손으로 손의 위치를 크게 바꾸지 않고 다이얼(40) 상의 확장 구조체 전용 손잡이를 작동하여 확장 구조체의 확장 또는 수축을 제어할 수 있다. 확장 구조체 전용 손잡이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이얼 또는 톱니바퀴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확장 구조체 전용 손잡이를 일 방향으로 돌리면 확장 구조체 와이어(33)가 당겨지고, 확장 구조체 전용 손잡이를 반대 방향으로 돌리면 확장 구조체 와이어(33)가 밀릴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다이얼(40)과 확장 구조체 전용 손잡이는 서로 같은 회전축을 공유하면서 서로에 대해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로 확장부(30)를 형성하는 경우, 체내의 경막외강의 유착이나 척추관의 협착을 물리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체내의 날카로운 물질에 의해 터질 위험이 없으며, 고강도로 제조될 수 있어 더욱 적극 적인 시술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장부(30)는 유체 공급을 통해 확장될 수 있다. 유체는 의료 기구(1)의 내부나 외부에 구비되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확장부용 통로(15)를 통해 확장부(30)에 공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체 공급원은 확장부 연결 유닛(23)과 탈부착이 가능한 유체 공급 장치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유체 공급 장치의 체적이 감소한 만큼의 유체가 유체 공급 장치로부터 확장부 연결 유닛(23)과 확장부용 통로(15)를 지나 확장부(30)로 공급되어 확장부(30)를 확장시킨다. 따라서 유체 공급 장치의 가압량을 조절하여 원하는 만큼의 확장부(30)의 확장을 얻을 수 있다.
유체 공급원의 유체는 조영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부(30)에 조영제를 공급함으로써, 확장부(30)가 확장한 경우 방사선 조영기에 의해 확장부(30)의 확장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1)의 삽입부(10) 단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는 가동 단부(18)를 형성할 수 있다. 삽입부(10)는 한 쌍의 와이어(19, 19')가 연결된 다이얼(40)의 회전 조작을 통해 가동 단부(18) 영역에서 구부러짐 가동이 일어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삽입부(10)는 확장부(30)와 삽입부(10)의 제2 단부(12) 사이에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연질부(10a)를 포함한다. 이러한 연질부(10a)는 삽입부(10)의 나머지 부분에 비해 유연하기 때문에 다이얼(40)이 회전하면 연질부(10a)에서 구부러짐 가동이 일어난다. 이 경우 확장부(30)와 연질부(10a)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바, 필요에 따라 확장부(30)의 확장이나 연질부(10a)를 통한 가동 단부(18)의 조작을 동시에 할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1)의 다이얼(40)과 회전 제어부(41)의 작동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40)에는, 다이얼(40)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더이상 다이얼(40)의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다이얼(4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 제어부(41)가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제어부(41)는 다이얼(40)을 제1 각도 이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제어 유닛(41a)과 다이얼(40)을 제2 각도 이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제어 유닛(41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각도와 제2 각도는 서로 상이하다.
도 7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회전 제어부(41)는 제1 회전 제어 유닛(41a)과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을 모두 포함한다. 제1 회전 제어 유닛(41a)의 다이얼 회전 방향 두께는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의 다이얼 회전 방향 두께보다 더 두껍게 형성된다.
회전 제어부(41)는, 제1 회전 제어 유닛(41a)이 다이얼(4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이 다이얼(4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다이얼(40) 상에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렇게 하나의 제어 유닛이 다이얼(40)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전 제어부(41)가 위치 설정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40)은 제1 회전 제어 유닛(41a)이 스토퍼(42)에 의해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42)는 본체(2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의 부품으로 구비될 수 있고, 다이얼(40)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어 제1 회전 제어 유닛(41a)과 접촉함으로써 다이얼(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1 회전 제어 유닛(41a)이 스토퍼(42)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인 경우 다이얼(40)은 제1 각도(α)로 회전 가능하다.
다른 일 측에 따르면, 회전 제어부(41)는,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이 다이얼(40)의 외측으로 돌출되고 제1 회전 제어 유닛(41a)이 다이얼(40)의 내측으로 돌출되도록, 다이얼(40) 상에서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얼(40)은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이 스토퍼(42)에 의해 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다. 스토퍼(42)는 제2 회전 제어 유닛(41b)과 접촉함으로써 다이얼(40)의 회전을 제한한다.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이 스토퍼(42)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인 경우 다이얼(40)은 제2 각도(β)로 회전 가능하다. 제1 각도(α)와 제2 각도(β)는 서로 크기가 상이하며, 따라서 삽입부(10)의 가동 단부(18)의 가동에 의해 체내 출혈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의 다이얼(40)의 필요한 회전 제한 범위를 고려하여 제1 회전 제어 유닛(41a) 또는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이 택일적으로 스토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이도록 회전 제어부(41)가 위치 설정될 수 있다.
회전 제어부(41)는 다이얼(40)과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되어 다이얼(40)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7a 내지 도 7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 제어 유닛(41a)이 다이얼(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회전 제어부(41)가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 회전 제어부(41)를 다이얼(40)로부터 분리시켜 제2 회전 제어 유닛(41b)이 다이얼(40)의 외부로 돌출되는 위치에 놓이도록 회전 제어부(41)를 위치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회전 제어부(41)를 모듈화 하여 필요한 다이얼(40)의 회전 제한 범위에 따라 회전 제어부(41)만을 교체하는 것이 가능하고 회전 제어부(41)의 수리 및 교환이 용이하다.
본체(20)에는 다이얼(40)의 회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 스위치(26)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 스위치(26)는 상하 이동에 따라 다이얼(40)과 맞물림 또는 맞물림 해제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고정 스위치(26)에 의해 삽입부(10)의 가동 단부(18) 조작 시 필요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다이얼(40)의 회전을 고정시켜 가동 단부(18)의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기(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0)의 제2 단부(12)와 다이얼(40) 사이에는 제1 관통 통로(13)와 연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 기기를 삽입할 수 있는 제1 주입구(24)가 마련된다. 따라서 약물 주입용 카테터나 내시경이 제1 주입구(24)로 삽입되어 제1 관통 통로(13)를 지나 제1 구멍(16)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주입구(24)는 본체(20)의 앞부분, 즉 삽입부(10)와 본체(20)가 연결되는 부분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제1 주입구(24)를 본체(20)의 앞부분에 위치시킴으로써 체내에 삽입되는 삽입부(10)의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제1 주입구(24)가 본체(20)의 손잡이부(22) 앞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제1 주입구(24)를 통한 약물 주입이나 카테터 삽입 시술 또는 내시경 삽입 촬영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의료 기구(1)를 사용하는 경우, 체내에서 확장부(30) 또는 가동 단부(18)를 조작하여 물리적인 해리를 한 후에 삽입부(10)를 소정 거리, 예컨대 확장부(30) 또는 가동 단부(18)와 삽입부(10)의 제1 단부(11) 사이의 거리만큼 빼낸 후에 직접 또는 카테터를 이용하여 약물을 주입하면, 물리적으로 해리된 부위에 약물을 효과적으로 투입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20)의 내부 통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입구(24)의 양 측부에 해당하는 본체(20)의 양 측 외면에는 제1 주입구(24)에 주입되는 약물과는 다른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 기기 또는 체내 조직내 출혈을 세척하는 세척수를 투입하는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가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내시경을 제1 주입구(24)로 삽입하여 제1 구멍(16)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시술하는 경우,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를 통해 세척수를 투입함으로써 내시경을 세척할 수 있고, 가동 단부(18)를 가동하여 체내 출혈이 발생한 경우 세척수로 체내 조직내 출혈을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다. 세척수는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를 지나 본체(20)의 내부 통로를 거쳐 제2 관통 통로(14)를 통과한 후 제1 구멍(16)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제2 구멍(17)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구멍(16)과 제2 구멍(17)은 삽입부(10)의 제1 단부(11)의 같은 측벽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구멍(16)과 제2 구멍(17)이 인접하게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소량의 세척수를 공급하는 것만으로도 세척이 용이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가 연통하는 본체(20)의 내부 통로는 T자형 통로(28)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가 각각 T자형 통로(28)의 짧은 통로 부분과 연통하고, T자형 통로(28)의 긴 통로 부분은 제2 관통 통로(14)와 연통할 수 있다. 따라서, 시술자는 왼손잡이/오른손잡이에 상관없이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에 세척수를 주입할 수 있고, 세척수는 제2 관통 통로(14)로 흘러 들어 갈 수 있다. 한 쌍의 제2 주입구(25, 25') 중 어느 하나의 주입구만을 사용하는 경우 다른 하나의 주입구는 캡(29)을 이용해 막을 수 있다.
확장부 연결 유닛(23)은 제1 주입구(24)와 손잡이부(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시술 시 확장부 연결 유닛(23)과 제1 주입구(24)에 대한 시술자의 동선은 서로 겹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확장부 연결 유닛(23)은 좌우 회전이 가능하거나 피벗(pivot)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확장부 연결 유닛(23)은 본체(20)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고, 본체(20)를 사이에 두고 고정 유닛(27)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확장부 연결 유닛(23)과 고정 유닛(27) 사이에 또는 이들과 본체(20) 사이에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확장부 연결 유닛(23)은 고정 유닛(27)과 함께 본체(20)에 대해 확장부 연결 유닛(23)의 길이방향 축이 기울어질 수 있다.
약물 주입용 카테터 또는 내시경이 제1 주입구(24)를 통과한 상태에서 유체 공급 장치를 확장부 연결 유닛(23)에 연결하는 경우, 확장부 연결 유닛(23)을 회전시키거나 피벗함으로써, 카테터(내시경)와 유체 공급 장치의 진입 경로가 교차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이러한 장치들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확장부 연결 유닛(23)은 카테터와 유체 공급 장치의 진입 경로가 교차하지 않는 형태로 고정되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나, 확장부 연결 유닛(23)을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한 형태로 설계함으로써 손잡이부(22)를 파지하는 손이 왼손이든 오른손이든 유체 공급 장치의 진입 경로와 확장부 연결 유닛(23)이 교차하지 않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 기구는 미추를 통해 삽입부(10)를 경막 외강에 삽입하여 경막 외강의 유착을 해리하고 척추관 협착을 완화시키는 것을 주로 의도하고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의 단순 치환, 변경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Claims (13)

  1. 체내에 삽입되는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와 대향하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제2 단부까지 연장되는 제1 관통 통로가 내부에 형성되는 삽입부;
    상기 삽입부의 제1 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떨어져 상기 삽입부의 외면에 확장 가능하게 형성되는 확장부;
    상기 삽입부의 제1 단부의 영역에 고정되도록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연장 형성되어, 어느 하나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삽입부의 구부러짐을 야기할 수 있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삽입부의 제2 단부에서 상기 삽입부와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한 쌍의 와이어가 연결되는 다이얼; 및
    상기 다이얼과 결합하여, 상기 다이얼이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는 경우 더이상 회전이 일어나지 않도록,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회전 제어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와이어 중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에 개별적으로 형성되는 고정팁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팁부는 와이어가 고정되는 삽입부의 제1 단부의 영역에 스프링 형상 또는 요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팁부는 삽입부 내부에 설치되며, 고정팁부가 스프링 형상인 경우 하나의 고정팁부가 하나의 와이어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팁부는 의료 기구의 제조를 위해서 외부에서 열을 가하는 경우 그 사이에 삽입부의 재료가 녹아들어 경화됨으로써 삽입부에 대하여 와이어를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다이얼을 제1 각도 이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1 회전 제어 유닛과 상기 다이얼을 상기 제1 각도와는 다른 제2 각도 이하로 회전 가능하게 하는 제2 회전 제어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제어부는 상기 제1 회전 제어 유닛 및 상기 제2 회전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 제어 유닛 및 상기 제2 회전 제어 유닛은 일체로 형성된 의료 기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제어 유닛 또는 상기 제2 회전 제어 유닛은 상기 다이얼의 회전 경로 상에 형성되는 스토퍼와 접촉하여 상기 다이얼의 회전을 제한하는 의료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제어 유닛 또는 상기 제2 회전 제어 유닛이 상기 스토퍼와 접촉 가능한 위치에 놓이거나 접촉 가능하지 않은 위치에 놓이도록, 상기 회전 제어부가 위치 설정될 수 있는 의료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부는 메쉬 구조로 된 확장 구조체인 의료 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구조체는 방사선 비투과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의료 기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구조체를 확장 또는 수축시키기 위한 확장 구조체용 와이어가 상기 삽입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확장 구조체용 와이어의 일단부가 상기 확장 구조체에 연결되는 의료 기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구조체는 상기 삽입부의 제1 단부를 향하는 제1 단부 영역과 상기 삽입부의 제2 단부를 향하는 제2 단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 영역은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지 않고 상기 제2 단부 영역은 상기 삽입부에 고정되며, 상기 확장 구조체용 와이어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제1 단부 영역에 연결되는 의료 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제2 단부와 상기 다이얼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관통 통로와 연통하여 약물을 주입하거나 의료 기기를 삽입하는 제1 주입구; 및
    상기 제1 주입구의 양 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 주입구에 주입되는 약물과는 다른 약물을 주입하거나 세척수를 투입하는 한 쌍의 제2 주입구;
    를 포함하는 의료 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주입구는 상기 본체의 내부에 형성된 T자형 통로와 연통하고, 상기 T자형 통로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제2 관통 통로와 연통하는 것인 의료 기구.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확장부와 상기 삽입부의 제2 단부 사이에 가요성 재질로 형성된 연질부를 포함하는 것인 의료 기구.
KR1020170140154A 2017-10-26 2017-10-26 의료기구 KR102108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54A KR102108841B1 (ko) 2017-10-26 2017-10-26 의료기구
US16/168,998 US11357954B2 (en) 2017-10-26 2018-10-24 Medic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154A KR102108841B1 (ko) 2017-10-26 2017-10-26 의료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396A KR20190046396A (ko) 2019-05-07
KR102108841B1 true KR102108841B1 (ko) 2020-05-11

Family

ID=6624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154A KR102108841B1 (ko) 2017-10-26 2017-10-26 의료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57954B2 (ko)
KR (1) KR1021088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0220B1 (ko) * 2019-10-18 2021-09-10 랩앤피플주식회사 조직 제거장치
CN114828934A (zh) * 2019-11-20 2022-07-29 米德尔顿医疗创新有限公司 可主动偏转的尿导管
DE102022107541A1 (de) * 2022-03-30 2023-10-05 Joimax Gmbh Medizinisches Führungsinstrument, medizinisches Instrumentenset, medizinische Vorrichtung und medizinisches Verfahr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308B2 (ja) * 1990-02-02 2001-11-2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カテーテル操縦機構
US20060206118A1 (en) * 2005-03-11 2006-09-14 Kim Daniel H Percutaneous endoscopic access tools for the spinal epidural space and related methods of treatment
KR101334500B1 (ko) * 2010-10-21 2013-11-29 김현홍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3535A (en) * 1991-11-08 1993-12-28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with electrode tip having asymmetric left and right curve configurations
US6007531A (en) * 1995-11-21 1999-12-28 Catheter Imaging Systems, Inc. Steerable catheter having disposable module and sterilizable handle and method of connecting same
CA2395924C (en) * 2000-01-06 2008-11-18 Raymond L. Bedell Steerable fiberoptic epidural balloon catheter and scope
US20070232858A1 (en) * 2006-03-31 2007-10-04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Steering system tension control devices
US8679057B2 (en) * 2010-03-06 2014-03-25 Nfusion Vascular Systems, Llc Recovery catheter assembly
US8430864B2 (en) * 2011-02-16 2013-04-30 Biosense Webster, Inc. Catheter with multiple deflections
KR101407752B1 (ko) 2012-10-12 2014-06-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카테터
JP6554794B2 (ja) * 2014-01-29 2019-08-07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医療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32308B2 (ja) * 1990-02-02 2001-11-26 ボストン 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 リミテッド カテーテル操縦機構
US20060206118A1 (en) * 2005-03-11 2006-09-14 Kim Daniel H Percutaneous endoscopic access tools for the spinal epidural space and related methods of treatment
KR101334500B1 (ko) * 2010-10-21 2013-11-29 김현홍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357954B2 (en) 2022-06-14
KR20190046396A (ko) 2019-05-07
US20190125399A1 (en)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8841B1 (ko) 의료기구
KR101334500B1 (ko)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JP6529971B2 (ja) 気管支疾患の治療のための胸腔鏡検査方法
US9381062B2 (en) Electro-mechanical intravascular device
EP2498706B1 (en) Assembly of staggered ablation elements
ES2867076T3 (es) Dispositivo de modulación de nervio endoluminal
WO2010085765A2 (en) Therapeutic energy delivery device with rotational mechanism
KR20110098684A (ko) 극돌기간 스페이서 진단 평행 풍선 카테터 및 이용 방법
CN106999210B (zh) 具有定位部件的手术工具
KR101227635B1 (ko)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KR101626958B1 (ko)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KR20140100168A (ko) 신경차단용 카테터
US9918786B2 (en) Spinal disk herniation repositioning and radiofrequency ablation (RFA)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vertebral disc herniation
JP2017516626A (ja) 切除用カニュレおよび挿入管を有する切除針キット
US20210169547A1 (en) Method for cutting and hemostasis of biological tissue using high-pressure steam-based surgical tool
KR102202701B1 (ko) 하지정맥류 수술기구
CN109199571A (zh) 用于消融治疗肠易激综合征的系统和方法
KR20130093407A (ko) 플라즈마 전극 냉각장치 및 미세침습성 플라즈마 치료장치
KR101232933B1 (ko)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KR101610291B1 (ko)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KR101401438B1 (ko) 의료용 니들 결합체
KR102599513B1 (ko) 혈관 직경에 따라 조작 가능한 신경차단용 카테터
KR102663525B1 (ko) 척추협착증 치료용 니들 카테터
KR102182074B1 (ko)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내시경 일체형 경막외 수술 기구
US2014030366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vascular and nerve separation and brid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