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58B1 -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 Google Patents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6958B1
KR101626958B1 KR1020140040093A KR20140040093A KR101626958B1 KR 101626958 B1 KR101626958 B1 KR 101626958B1 KR 1020140040093 A KR1020140040093 A KR 1020140040093A KR 20140040093 A KR20140040093 A KR 20140040093A KR 101626958 B1 KR101626958 B1 KR 1016269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aft
camera
cathe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0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5297A (ko
Inventor
조국래
오재환
박향래
박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메드텍
Priority to KR1020140040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6958B1/ko
Publication of KR20150115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5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샤프트(10)에 설치되는 제 2 전극(25);과, 상기 제 2 전극(25)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10)에 하나 이상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3 전극(26);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 제네레이터(71)로부터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에 각각 선별적으로 인가하는 선별 연결 컨트롤러(7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RF catheter with Multi-electrode}
본 발명은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샤프트(10)에 설치되는 제 2 전극(25);과, 상기 제 2 전극(25)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10)에 하나 이상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3 전극(26);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 제네레이터(71)로부터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에 각각 선별적으로 인가하는 선별 연결 컨트롤러(7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하면 척추 내의 추간판이 돌출하여 인접하는 신경을 압박하여 허리 통증과 하지의 방사통을 유발시킨다. 상기 추간판은 수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섬유륜의 내벽이 찢어지게 되면 장시간 기립 자세시의 체중이나 과도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상기 수핵이 찢어진 섬유륜 내벽 사이를 통해 유출된다. 그리고 추간판 내부의 높은 압력이 추간판 외피에 전달되게 되어 추간판의 일부가 돌출된다. 이를 추간판 탈출증이라 한다. 상기 돌출된 추간판 부분이 원상 복귀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고, 이 때문에 척추 부근의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초래한다.
상기 추간판 탈출증은 외과적 수술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에 의해도 많게는 수술환자의 30%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외과적 수술이 척추 신경 부위의 절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술환자의 5 ~ 10%는 수술 실패 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 F.B.S.S)으로 일생 동안 고통 받게 된다.
상기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접근 방법으로는 추간판 내부의 수핵 구성물질을 제거하여 추간판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추간판의 돌출된 부위가 자발적으로 추간판 내부로 복원되는 원상회복법이 있다. 비외과적 수술로서 방사주파수 전극을 추간판 내부 조직에 삽입한 후, 방사주파수를 인가하여 전극 주위의 조직을 방사주파수를 이용하여 형성된 높은 에너지의 전기장으로 수핵의 구성물질을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상태로 제거시키는 방법이 있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이용하여 체내의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병원의 입원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수술 후에도 부작용 위험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란 100 ~ 20,000k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것이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절제하거나 제거하고, 혈관의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방법은 하기 특허문헌 1의 미국특허 US 6,554,827 B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인체의 척추 추간판의 일부가 돌출하여 신경뿌리를 압박하여 허리통증을 유발시키는 경우, 척추 추간판의 돌출부의 외피는 돌출부의 내부조성물에 의해 정수압으로 압력을 받는다. 돌출부의 내부조성물의 유동성이 크지 않으므로 돌출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신경뿌리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요통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때 유도관을 통해 안내되는 방사주파수 전극팁을 추간판 돌출부의 외피 내의 내부조성물에 위치시킨다. 그후, 방사주파수를 인가하면 두 전극 주위에 방사주파수 영역이 발생하며, 전극 주위의 방사주파수 영향부의 내부조직은 음전하의 전자와 양전하의 이온으로 분리되어 전하분리도가 높은 중성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추간판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여 돌출부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유도관의 전극팁이 직접 탈출된 추간판 조직 내로 위치시켜 (압력감소에 의한 간접적 원상회복 이외에) 직접적으로 탈출된 추간판 조직을 제거하여 신경 압박을 없애고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을 치료하게 된다.
종래의 방사주파수 전극은 직선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체내로의 삽입위치와 직선의 위치에 있는 부위만에 도달하여 체내의 접근 부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는 경우, 척추와 척추 부위의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방사주파수 전극팁을 삽입할 수 있는 위치는 매우 제한된다. 이로 인해 방사주파수 전극의 삽입 위치 건너편의 조직 부위는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은 조직을 제거하여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탈출된 추간판 부위를 회복시키는 원리이다. 하지만, 탈출된 부위 근방의 조직을 제거하지 못한다면 이 방법의 효율이 극히 나빠지게 된다.
한편, 외부에서 삽입하기 전에 미리 일정한 곡률로 그 단부를 구부린 방사주파수 전극을 유도관을 통하여 진행시킨 후 복원력을 이용하여 직진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 도달하도록 하는 형태도 있다. 그러나, 일단 체내에 들어간 부분의 굽힘 등이 미리 정해진 대로 복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숙련도나 추측에 의한 시도 등으로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서 널리 적용되기는 어렵다. 또한, 유도관의 끝부분을 휘어준다고 해도 개인별로 차이가 나는 탈출된 추간판 부위에 전극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방사주파수로 조직을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사주파수 전극의 단부를 유연한 고분자재료로 구부릴 수 있게 구성한 형태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방사주파수 전극팁을 탈출된 추간판 부위에 정확히 위치시키기가 어렵고 방사주파수 방출시 고분자재료 가 녹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비록 고주파를 이용한 것이 아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기술 분야가 다르기는 하나, 하기 특허문헌 2의 "조종가능한 카테터" 등록특허 10-1310046에 사용자가 회전다이얼을 회전시킬 때 약물이 주입되는 튜브관의 전방 끝단부이 구부러지도록 하여 튜브관을 통한 약물의 주입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손으로 파지 및 조종이 가능한 카테터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카테터는 한 방향으로의 굴절만이 가능하거나, 일방향으로의 굴절(예를 들어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의 굴절 작동 방향)은 용이하나, 반대 방향의 굴절은 큐브 자체의 탄성만을 이용하거나, 압축 응력을 전달하기에 적절치 않은 와이어의 미는 힘에만 의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기존의 고주파 카테터는 단극성 또는 양극성 작동을 위하여 하나 또는 두개의 전극만을 구비하고 있었으나, 이러한 기존의 고주파 카테터는 특히 치료를 위하여 사용되는 양극성 작도의 경우 치료 부위가 두개의 전극 사이에 국한되는 바, 전극 사이의 간격은 원활한 플라즈마 발생을 위하여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으므로 그 치료범위가 좁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치료범위의 문제는, 넓은 치료범위가 요구되는 경우 병변부위 도달을 위한 카테터 조절 및 궤도 수정이 반복되어야 하므로 시술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것은 물론, 시술시간이 증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US 6,554,827 B2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0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방향으로 자유롭고 효과적인 굴절이 가능하면서, 넓은 병변 부위에 다양한 출력 분포를 가지도록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어 치료범위가 넓어져 치료효과 및 만족도가 향상되고, 병변부위 도달을 위한 카테터 조절 및 궤도 수정을 줄임으로서 시술의 편의성과 시술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환자의 입장에서 빠른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병원의 입장에서는 빠른 시술에 의한 의료 효율성 제고 및 치료 만족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의사의 입장에서는 시술의 편의성과 치료범위의 확장으로 치료효과를 높힐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또한, 치료 부위를 영상 촬영을 통하여 정확히 관찰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로 고주파 전극을 유도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시야각(θ)에 속하는 부분에 고주파 전극이 장착되도록 하여, 치료되는 과정을 정확히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주파 전극을 탈착 가능하게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헤드부(20)에 설치되는 카메라(40);와,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광원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 말단은 조명수단(미도시)으로부터 광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5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스티뮬레이션(Stimulation) 과정을 포함하는 단극성(Mono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 전극(22)에만 0.2~2㎃의 출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알베이션(Ablation) 과정 또는 코귤레이션(Coagulation)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극성(Bi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베이스 전극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전극은 상기 베이스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출력 전극으로 설정하여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40)는 각각의 상기 출력 전극으로 출력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헤드부(20)에 설치되는 카메라(40);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광원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 말단은 조명수단(미도시)으로부터 광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는 속하나 상기 시야각(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제 1 전극(2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전극(22)은 장착용 돌기부(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극(22)을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전극 장착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40) 및 상기 조명수단(미도시)의 작동의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
상기 주제어장치(9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40)의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양방향으로 자유롭고 효과적인 굴절이 가능하면서, 넓은 병변 부위에 다양한 출력 분포를 가지도록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어 치료범위가 넓어져 치료효과 및 만족도가 향상되고, 병변부위 도달을 위한 카테터 조절 및 궤도 수정을 줄임으로서 시술의 편의성과 시술시간의 단축을 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환자의 입장에서 빠른 일상생활로의 복귀를, 병원의 입장에서는 빠른 시술에 의한 의료 효율성 제고 및 치료 만족도 개선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의사의 입장에서는 시술의 편의성과 치료범위의 확장으로 치료효과를 높힐 수 있다.
또한, 치료 부위를 영상 촬영을 통하여 정확히 관찰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로 고주파 전극을 유도할 수 있으며, 카메라의 시야각(θ)에 속하는 부분에 고주파 전극이 장착되도록 하여, 치료되는 과정을 정확히 관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은 물론, 치료하고자 하는 환부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고주파 전극을 탈착 가능하게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단극성(Monopolar)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양극성(Bipolar) 작동중 제 2 전극을 베이스 전극으로 선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양극성(Bipolar) 작동중 제 3 전극을 베이스 전극으로 선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 도 7의 경우 고주파 단자의 출력을 변경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는 도 1 및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샤프트(10), 헤드부(20),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 한 쌍의 와이어(30), 핸들부(60) 및 조정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느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샤프트(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샤프트(1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0)는 상기 제 1 전극(22)에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불필요한 부분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10)에는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2 전극(25)이 설치되며, 도 1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 2 전극(25)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10)에 제 3 전극(26)이 하나 이상 각각 이격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은 방사 주파수 전류가 흐를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테인레스 스틸, 일반합금강, 티타늄강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 제네레이터(71)로부터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에 각각 선별적으로 인가하는 선별 연결 컨트롤러(70)가 더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해부학적 이상과 실제의 통증부위 및 정도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명확한 통증 진단을 위하여 사용하는 스티뮬레이션(Stimulation) 과정과 같은 단극성(Monopolar) 작동은 물론, 생체조직의 분자는 열(플라스마)에 의하여 분해되어 인체에 무해한 O, N, H, C, CO₂와 같은 기체로 변환되어 사라지고 고열로 인해 타고 남은 조직이 남지 않아 조직간 유착이 거의 없도록 하는 치료 방법인 알베이션(Ablation)이나, 삼상나선 구조가 열로 인해 풀리므로 열에 민감하여 60℃에서 결합이 파괴되며, 분자구조가 신축됨에 따라 콜라겐의 직경이 두꺼워지고 섬유륜이 강화되도록 하는 치료 방법인 코귤레이션(Coagulation)과 같은 양극성(Bipolar) 작동에서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스티뮬레이션(Stimulation) 과정을 포함하는 단극성(Mono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제 1 전극(22)에만 0.2~2㎃의 출력을 인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도 7 또는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알베이션(Ablation) 과정 또는 코귤레이션(Coagulation)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극성(Bi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베이스 전극(B)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전극은 상기 베이스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출력 전극으로 설정하여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인가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도 7에 비하여 제 1 전극의 출력을 증대시킨 경우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 9에 그 일 예를 들어 표현한 것과 같이 각각의 상기 출력 전극으로 출력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넓은 병변 부위에 다양한 출력 분포를 가지도록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인가할 수 있어 치료범위가 넓어져 치료효과 및 만족도가 향상되고, 병변부위 도달을 위한 카테터 조절 및 궤도 수정을 줄임으로서 시술의 편의성과 시술시간의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전극에 출력을 극성을 바꾸어 각각 연결/차단하도록 각 전극에 각각 연결되는 H-Bridge 등을 이용한 출력 연결/차단/전환 회로나, 각 전극에의 출력값을 조절하는 앰프를 포함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가 상기한 기능을 가지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실시하는 기술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전극을 구비하는 카테터는 치료 부위를 영상 촬영을 통하여 정확히 관찰하여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로 고주파 전극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헤드부(20)에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촬영을 위한 카메라(4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헤드부(20)에는 촬영하고자 하는 부위를 조명할 수 있도록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광원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 말단은 조명수단(미도시)으로부터 광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50)가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40)는, 출력 비디오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부가 회로 및 고체 픽업 디바이스(solid state pick up device)로 이루어지는 고체 이미저(SSI)와 대물렌즈 조립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디오 카메라 헤드는 1.1㎜ 이하의 최대 외경을 갖고, 상기 대물렌즈 조립체의 길이는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소형화를 위하여 상기 대물렌즈 조립체는 웨이퍼 레벨(wafer level) 기술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소형의 이미지 디바이스에서는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는 전류에 의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소형화에 유리하다.
한편, 영상을 관찰하여 단순히 정확하게 원하는 부위로 고주파 전극을 유도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치료되는 과정을 정확히 관찰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20)는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는 속하나 상기 시야각(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주된 치료 기증을 담당하는 상기 제 1 전극(22)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극의 형태에 따라 발열 부위의 범위 및 온도 분포가 다양하게 변동되는 것을 고려하여, 상기 제 1 전극(22)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장착용 돌기부(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20)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극(22)을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전극 장착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치료 부위 병변의 특성에 따라 요구되는 발열 특성(예를 들어 발열 범위 또는 발열 온도)이 변동되는 경우에도, 샤프트(10) 전체를 교체하기 위하여 핸들부(60)를 분해하고 다시 결합하거나, 샤프트(10)와 핸들부(60)를 포함하는 장치 자체를 교체하여 다시 연결하여 사용하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있기에, 신속한 처치가 필요한 치료과정에서 대단히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는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핸들부(6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핸들부(60)에는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가 설치된다. 이 경우, 상기 조정장치(80)를 실시하는 일 실시예로는 대단히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며, 그 일실시예로는 상기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을 응용하여, 조절휠의 상하 양측에 상기 한쌍의 와이어(30)가 각각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키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는 근래들어 널리 알려진 수준의 기술에 해당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카메라(40) 및 상기 조명수단(미도시)의 작동의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와, 상기 주제어장치(9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40)의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샤프트 11: 중공부
20: 헤드부 21: 절연 구조체
22: 제 1 전극 23: 장착용 돌기부
24: 전극 장착부 25: 제 2 전극
26: 제 3 전극
30: 와이어
40: 카메라 41: 카메라 케이블
50: 광섬유
60: 핸들부
70: 선별 연결 컨트롤러 71: 고주파 제네레이터
80: 조정장치
90: 컨트롤러 91: 디스플레이

Claims (5)

  1.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는 헤드부(20);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
    상기 샤프트(10)에 설치되는 제 2 전극(25);
    상기 제 2 전극(25)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10)에 하나 이상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3 전극(26);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 제네레이터(71)로부터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에 각각 선별적으로 인가하는 선별 연결 컨트롤러(70);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
    상기 핸들부(60)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스티뮬레이션(Stimulation) 과정을 포함하는 단극성(Mono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 전극(22)에만 0.2~2㎃의 출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2. 삭제
  3.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알베이션(Ablation) 과정 또는 코귤레이션(Coagulation)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극성(Bi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베이스 전극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전극은 상기 베이스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출력 전극으로 설정하여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40)는 각각의 상기 출력 전극으로 출력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5. 청구항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에 설치되는 카메라(40);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광원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 말단은 조명수단(미도시)으로부터 광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는 속하나 상기 시야각(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제 1 전극(2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전극(22)은 장착용 돌기부(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극(22)을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전극 장착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40) 및 상기 조명수단(미도시)의 작동의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
    상기 주제어장치(9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40)의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KR1020140040093A 2014-04-03 2014-04-03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KR1016269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93A KR101626958B1 (ko) 2014-04-03 2014-04-03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0093A KR101626958B1 (ko) 2014-04-03 2014-04-03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297A KR20150115297A (ko) 2015-10-14
KR101626958B1 true KR101626958B1 (ko) 2016-06-02

Family

ID=5435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0093A KR101626958B1 (ko) 2014-04-03 2014-04-03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695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6327A1 (en) 2018-11-21 2020-05-27 Taupnumedical Co., Ltd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KR20200060188A (ko) 2018-11-21 2020-05-29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
EP3912585A1 (en) 2020-05-22 2021-11-24 Taupnu Medical Co., Ltd. Radiofreqeuncy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KR20210144506A (ko) 2020-05-22 2021-11-30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쿨링기능을 지닌 심실중격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438B1 (ko) * 2019-01-22 2020-12-03 (주)세원메디텍 통증치료를 위한 경막외강 출입형 카테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경자극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950A (ja) * 2008-07-22 2011-12-01 アクシス サージ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組織修正デバイスおよび組織修正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97077B1 (ja) * 2010-09-28 2012-03-14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カテーテル
KR101310046B1 (ko) 2011-05-26 2013-09-17 남증희 조종가능한 카테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8950A (ja) * 2008-07-22 2011-12-01 アクシス サージ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組織修正デバイスおよび組織修正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656327A1 (en) 2018-11-21 2020-05-27 Taupnumedical Co., Ltd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KR20200060188A (ko) 2018-11-21 2020-05-29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
EP4275739A2 (en) 2018-11-21 2023-11-15 Tau Medical Inc.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EP3912585A1 (en) 2020-05-22 2021-11-24 Taupnu Medical Co., Ltd. Radiofreqeuncy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KR20210144506A (ko) 2020-05-22 2021-11-30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쿨링기능을 지닌 심실중격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5297A (ko) 2015-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958B1 (ko)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JP6529971B2 (ja) 気管支疾患の治療のための胸腔鏡検査方法
JP5149191B2 (ja) 身体組織の局所的アブレーションのためのrf電極
US8753335B2 (en) Therapeutic energy delivery device with rotational mechanism
EP2441407A1 (en) Direction-controllable electrode body for selectively removing bodily tissue, and guide pipe
JP2005334663A (ja) 軟質組織の制御された収縮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05122938A1 (en) Electro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issue within a bone body
KR101096811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JP2008541878A (ja) 電熱椎間板治療
JP2009513296A5 (ko)
EP1545362A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KR101632801B1 (ko) 내시경 카테터 장치
KR101227635B1 (ko)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CN113423355A (zh) 用于内窥镜式鼻后神经消融的器械
KR101652989B1 (ko) 영상촬영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CN208659543U (zh) 一种双极射频手术刀头
US20230414274A1 (en) Nanosecond pulsing to treat a body lumen
KR101610291B1 (ko)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KR100802148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KR101232933B1 (ko)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KR101165909B1 (ko)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KR100974420B1 (ko) 고주파 전극 장치
US20120065634A1 (en) Method of treating an inter-vertebral disc
KR20230103592A (ko) 고주파 수술장치
SU1651875A1 (ru) Электрокаут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