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6958B1 -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 Google Patents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6958B1 KR101626958B1 KR1020140040093A KR20140040093A KR101626958B1 KR 101626958 B1 KR101626958 B1 KR 101626958B1 KR 1020140040093 A KR1020140040093 A KR 1020140040093A KR 20140040093 A KR20140040093 A KR 20140040093A KR 101626958 B1 KR101626958 B1 KR 1016269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shaft
- camera
- catheter
- outpu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샤프트(10)에 설치되는 제 2 전극(25);과, 상기 제 2 전극(25)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10)에 하나 이상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3 전극(26);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 제네레이터(71)로부터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에 각각 선별적으로 인가하는 선별 연결 컨트롤러(7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단극성(Monopolar) 작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7: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양극성(Bipolar) 작동중 제 2 전극을 베이스 전극으로 선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8: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의 양극성(Bipolar) 작동중 제 3 전극을 베이스 전극으로 선정한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9: 도 7의 경우 고주파 단자의 출력을 변경시킨 경우를 나타내는 모식도.
20: 헤드부 21: 절연 구조체
22: 제 1 전극 23: 장착용 돌기부
24: 전극 장착부 25: 제 2 전극
26: 제 3 전극
30: 와이어
40: 카메라 41: 카메라 케이블
50: 광섬유
60: 핸들부
70: 선별 연결 컨트롤러 71: 고주파 제네레이터
80: 조정장치
90: 컨트롤러 91: 디스플레이
Claims (5)
-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제 1 전극(22)을 구비하는 헤드부(20);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
상기 샤프트(10)에 설치되는 제 2 전극(25);
상기 제 2 전극(25)과 이격되어 상기 샤프트(10)에 하나 이상 각각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3 전극(26);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과 각각 연결되어, 고주파 제네레이터(71)로부터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를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에 각각 선별적으로 인가하는 선별 연결 컨트롤러(70);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
상기 핸들부(60)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스티뮬레이션(Stimulation) 과정을 포함하는 단극성(Mono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 전극(22)에만 0.2~2㎃의 출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 삭제
-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알베이션(Ablation) 과정 또는 코귤레이션(Coagulation) 과정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극성(Bipolar)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70)는 상기 제 1 전극(22), 제 2 전극(25) 및 하나 이상의 제 3 전극(26) 중 어느 하나의 전극은 베이스 전극으로 설정하고, 그 이외의 전극은 상기 베이스 전극과 반대의 극성을 가지는 출력 전극으로 설정하여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 연결 컨트롤러(40)는 각각의 상기 출력 전극으로 출력되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출력을 각각 별도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 청구항 제 1항, 제 3항 및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20)에 설치되는 카메라(40);
상기 중공부(11)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광원을 외부로 투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며, 타 말단은 조명수단(미도시)으로부터 광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광섬유(5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헤드부(20)는,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는 속하나 상기 시야각(θ)의 중심에서 벗어난 위치에 상기 제 1 전극(22)이 설치되고,
상기 제 1 전극(22)은 장착용 돌기부(23)를 더 구비하고,
상기 카메라(40)의 시야각(θ)에서 벗어난 위치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전극(22)을 교환하여 장착할 수 있는 전극 장착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카메라(40) 및 상기 조명수단(미도시)의 작동의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
상기 주제어장치(90)와 연결되어 상기 카메라(40)의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0093A KR101626958B1 (ko) | 2014-04-03 | 2014-04-03 |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40093A KR101626958B1 (ko) | 2014-04-03 | 2014-04-03 |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5297A KR20150115297A (ko) | 2015-10-14 |
KR101626958B1 true KR101626958B1 (ko) | 2016-06-02 |
Family
ID=54357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40093A Active KR101626958B1 (ko) | 2014-04-03 | 2014-04-03 |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6958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56327A1 (en) | 2018-11-21 | 2020-05-27 | Taupnumedical Co., Ltd |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
KR20200060188A (ko) | 2018-11-21 | 2020-05-29 |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 |
EP3912585A1 (en) | 2020-05-22 | 2021-11-24 | Taupnu Medical Co., Ltd. | Radiofreqeuncy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
KR20210144506A (ko) | 2020-05-22 | 2021-11-30 |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 쿨링기능을 지닌 심실중격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86438B1 (ko) * | 2019-01-22 | 2020-12-03 | (주)세원메디텍 | 통증치료를 위한 경막외강 출입형 카테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신경자극장치 |
CN110840554B (zh) * | 2019-12-19 | 2025-03-04 | 康柏医疗器械(惠州)有限公司 | 吸烟照明手术电极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8950A (ja) * | 2008-07-22 | 2011-12-01 | アクシス サージ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 組織修正デバイスおよび組織修正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97077B1 (ja) * | 2010-09-28 | 2012-03-14 | 日本ライフライン株式会社 | カテーテル |
KR101310046B1 (ko) | 2011-05-26 | 2013-09-17 | 남증희 | 조종가능한 카테터 |
-
2014
- 2014-04-03 KR KR1020140040093A patent/KR10162695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528950A (ja) * | 2008-07-22 | 2011-12-01 | アクシス サージカル テクノロジーズ,インク. | 組織修正デバイスおよび組織修正デバイスを使用する方法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56327A1 (en) | 2018-11-21 | 2020-05-27 | Taupnumedical Co., Ltd |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
KR20200060188A (ko) | 2018-11-21 | 2020-05-29 |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 비후성 심근증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및 이를 이용한 비후성 심근증 시술 방법 |
EP4275739A2 (en) | 2018-11-21 | 2023-11-15 | Tau Medical Inc. |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
US12279810B2 (en) | 2018-11-21 | 2025-04-22 | Tau Medical Inc. | RF ablation catheter for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thy and method of treating hypertrophic cardiomyopahty by using same |
EP3912585A1 (en) | 2020-05-22 | 2021-11-24 | Taupnu Medical Co., Ltd. | Radiofreqeuncy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
KR20210144506A (ko) | 2020-05-22 | 2021-11-30 | (주) 타우피엔유메디칼 | 쿨링기능을 지닌 심실중격 시술용 rf 전극절제 카테터 |
US12201351B2 (en) | 2020-05-22 | 2025-01-21 | Tau Medical Inc. | RF ablation catheter for septal reduction therapy having cooling effec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15297A (ko) | 2015-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6958B1 (ko) |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 |
JP6529971B2 (ja) | 気管支疾患の治療のための胸腔鏡検査方法 | |
US20120089141A1 (en) | Direction-controllable electrode body for selectively removing bodily tissue, and guide pipe | |
JP5149191B2 (ja) | 身体組織の局所的アブレーションのためのrf電極 | |
US8753335B2 (en) | Therapeutic energy delivery device with rotational mechanism | |
KR101227635B1 (ko) |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 |
US20040116922A1 (en) | Methods and apparatus for treating intervertebral discs | |
JP2005334663A (ja) | 軟質組織の制御された収縮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 |
US20230414274A1 (en) | Nanosecond pulsing to treat a body lumen | |
KR101096811B1 (ko)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 |
WO2005122938A1 (en) | Electro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issue within a bone body | |
JP2008541878A (ja) | 電熱椎間板治療 | |
JP2009513296A5 (ko) | ||
CN208659543U (zh) | 一种双极射频手术刀头 | |
CN113423355A (zh) | 用于内窥镜式鼻后神经消融的器械 | |
KR101652989B1 (ko) | 영상촬영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 |
KR101610291B1 (ko) |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 |
KR101232933B1 (ko) |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 |
KR100802148B1 (ko) |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 |
KR101165909B1 (ko) |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 |
KR102702052B1 (ko) | 고주파 수술장치 | |
KR20090101731A (ko) | 고주파 전극 장치 | |
SU1651875A1 (ru) | Электрокауте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