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91B1 -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 Google Patents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291B1
KR101610291B1 KR1020140089818A KR20140089818A KR101610291B1 KR 101610291 B1 KR101610291 B1 KR 101610291B1 KR 1020140089818 A KR1020140089818 A KR 1020140089818A KR 20140089818 A KR20140089818 A KR 20140089818A KR 101610291 B1 KR101610291 B1 KR 101610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catheter
adjusting
shaft
w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9362A (ko
Inventor
조국래
오재환
박향래
박한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메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메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메드텍
Priority to KR1020140089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91B1/ko
Publication of KR2016000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은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고주파 단자를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고정위치에 따른 2개 이상의 고정 측면 슬릿부(71)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 슬릿부(70);와,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RF catheter}
본 발명은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고주파 단자를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고정위치에 따른 2개 이상의 고정 측면 슬릿부(71)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 슬릿부(70);와,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척추 추간판 탈출증이 발생하면 척추 내의 추간판이 돌출하여 인접하는 신경을 압박하여 허리 통증과 하지의 방사통을 유발시킨다. 상기 추간판은 수핵과 이를 둘러싸고 있는 섬유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상기 섬유륜의 내벽이 찢어지게 되면 장시간 기립 자세시의 체중이나 과도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상기 수핵이 찢어진 섬유륜 내벽 사이를 통해 유출된다. 그리고 추간판 내부의 높은 압력이 추간판 외피에 전달되게 되어 추간판의 일부가 돌출된다. 이를 추간판 탈출증이라 한다. 상기 돌출된 추간판 부분이 원상 복귀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고, 이 때문에 척추 부근의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초래한다.
상기 추간판 탈출증은 외과적 수술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에 의해도 많게는 수술환자의 30%는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없다. 또한, 외과적 수술이 척추 신경 부위의 절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술환자의 5 ~ 10%는 수술 실패 증후군(Failed Back Surgery Syndrome, F.B.S.S)으로 일생 동안 고통 받게 된다.
상기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접근 방법으로는 추간판 내부의 수핵 구성물질을 제거하여 추간판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추간판의 돌출된 부위가 자발적으로 추간판 내부로 복원되는 원상회복법이 있다. 비외과적 수술로서 방사주파수 전극을 추간판 내부 조직에 삽입한 후, 방사주파수를 인가하여 전극 주위의 조직을 방사주파수를 이용하여 형성된 높은 에너지의 전기장으로 수핵의 구성물질을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상태로 제거시키는 방법이 있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이용하여 체내의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병원의 입원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수술 후에도 부작용 위험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란 100 ~ 20,000kHz의 주파수 범위를 갖는 것이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이용하여 인체 조직을 절제하거나 제거하고, 혈관의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방법은 하기 특허문헌 1의 미국특허 US 6,554,827 B2 등에 개시되어 있다.
인체의 척추 추간판의 일부가 돌출하여 신경뿌리를 압박하여 허리통증을 유발시키는 경우, 척추 추간판의 돌출부의 외피는 돌출부의 내부조성물에 의해 정수압으로 압력을 받는다. 돌출부의 내부조성물의 유동성이 크지 않으므로 돌출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신경뿌리를 지속적으로 압박하여, 요통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때 유도관을 통해 안내되는 방사주파수 전극팁을 추간판 돌출부의 외피 내의 내부조성물에 위치시킨다. 그후, 방사주파수를 인가하면 두 전극 주위에 방사주파수 영역이 발생하며, 전극 주위의 방사주파수 영향부의 내부조직은 음전하의 전자와 양전하의 이온으로 분리되어 전하분리도가 높은 중성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추간판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여 돌출부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유도관의 전극팁이 직접 탈출된 추간판 조직 내로 위치시켜 (압력감소에 의한 간접적 원상회복 이외에) 직접적으로 탈출된 추간판 조직을 제거하여 신경 압박을 없애고 요통 및 하지 방사통을 치료하게 된다.
종래의 방사주파수 전극은 직선형태를 가지고 있어서 체내로의 삽입위치와 직선의 위치에 있는 부위만에 도달하여 체내의 접근 부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는 경우, 척추와 척추 부위의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에 방사주파수 전극팁을 삽입할 수 있는 위치는 매우 제한된다. 이로 인해 방사주파수 전극의 삽입 위치 건너편의 조직 부위는 제거하기가 매우 어렵게 된다. 방사주파수 전극을 사용하는 방법은 조직을 제거하여 발생되는 음압에 의해 탈출된 추간판 부위를 회복시키는 원리이다. 하지만, 탈출된 부위 근방의 조직을 제거하지 못한다면 이 방법의 효율이 극히 나빠지게 된다.
한편, 외부에서 삽입하기 전에 미리 일정한 곡률로 그 단부를 구부린 방사주파수 전극을 유도관을 통하여 진행시킨 후 복원력을 이용하여 직진으로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 도달하도록 하는 형태도 있다. 그러나, 일단 체내에 들어간 부분의 굽힘 등이 미리 정해진 대로 복원하는 것이기 때문에 숙련도나 추측에 의한 시도 등으로 위험성을 가지고 있어서 널리 적용되기는 어렵다. 또한, 유도관의 끝부분을 휘어준다고 해도 개인별로 차이가 나는 탈출된 추간판 부위에 전극을 정확하게 위치시켜 방사주파수로 조직을 제거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방사주파수 전극의 단부를 유연한 고분자재료로 구부릴 수 있게 구성한 형태도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또한 방사주파수 전극팁을 탈출된 추간판 부위에 정확히 위치시키기가 어렵고 방사주파수 방출시 고분자재료 가 녹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비록 고주파를 이용한 것이 아닌 약물을 주입하기 위한 카테터에 관한 것으로 기술 분야가 다르기는 하나, 하기 특허문헌 2의 "조종가능한 카테터" 등록특허 10-1310046에 사용자가 회전다이얼을 회전시킬 때 약물이 주입되는 튜브관의 전방 끝단부이 구부러지도록 하여 튜브관을 통한 약물의 주입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한 손으로 파지 및 조종이 가능한 카테터에 관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카테터는 한 방향으로의 굴절만이 가능하거나, 일방향으로의 굴절(예를 들어 와이어가 당겨지는 경우의 굴절 작동 방향)은 용이하나, 반대 방향의 굴절은 큐브 자체의 탄성만을 이용하거나, 압축 응력을 전달하기에 적절치 않은 와이어의 미는 힘에만 의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굴절 조작을 위하여 와이어가 연결된 조절 휠을 작동하여야 하나, 원하는 소정 위치로 조절 휠을 조절한 후에는 조절 휠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 수단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조절 휠을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가 카테터의 굴곡 정도를 직관적으로 감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조절 휠의 구성에 소정의 회전간격마다 클릭 고정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위치 조정과 고정을 동시에 구형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 경우 클릭 고정의 강도에 따라 클릭 고정 강도가 강한 경우에는 위치 조정을 위한 조절 휠 작동에 과다한 힘이 필요하여 그 사요이 어렵고, 클릭 고정 강도가 약한 경우에는 고정된 위치가 쉽게 변경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미국특허 US 6,554,827 B2 특허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10046호
본 발명은 상기한 기존 발명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방향으로 자유롭고 효과적인 굴절이 가능하면서, 한손만으로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원하는 부위로 고주파 방사전극이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동시에, 일단 조절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는,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와,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고주파 단자를 구비하는 헤드부(20);와,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와,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고정위치에 따른 2개 이상의 고정 측면 슬릿부(71)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 슬릿부(70);와,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 장치(80)는,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통과하여 설치되는 노브 스템(82)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절 노브(81);와, 상기 노브 스템(82)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30)가 전 후로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8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들부(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가 서로 연결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풀리(6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브 스템(82)의 외부에 더 형성되는 탄성 부재(8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절 슬릿부(70)의 폭(d2)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과 같으며,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는 그 말단부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Φ)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노브 스템(82)의 인입을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 슬릿(72);과, 상기 유도 가이드 슬릿(72)에 연이어 형성되며, 그 폭(d1)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의 0.9~0.99 배인 통과 고정 슬릿(7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83)는, 탄성을 가지는 테프론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양방향으로 자유롭고 효과적인 굴절이 가능하면서, 한손만으로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원하는 부위로 고주파 방사전극이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 것과 동시에, 일단 조절된 위치에 용이하게 고정하는 것이 가능한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의 주요부의 작동을 나타내는 상면 모식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발명의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는 도 2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크게, 샤프트(10), 헤드부(20), 한 쌍의 와이어(30), 핸들부(60), 조절 슬릿부(70) 및 조정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된느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샤프트(10)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샤프트(1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10)는 후술할 고주파 단자에 인가되는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불필요한 부분으로 통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헤드부(20)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고주파 단자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고주파 단자는 방사 주파수 전류가 흐를 수 있다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고, 스테인레스 스틸, 일반합금강, 티타늄강 및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외부에 고주파 제네레이터등의 출력 공급수단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헤드부(20)에는 해부학적 이상과 실제의 통증부위 및 정도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도 있으므로 명확한 통증 진단을 위하여 사용하는 Stimulation 과정과 같은 단극성(Monopolar) 작동은 물론, 생체조직의 분자는 열(플라스마)에 의하여 분해되어 인체에 무해한 O, N, H, C, CO₂와 같은 기체로 변환되어 사라지고 고열로 인해 타고 남은 조직이 남지 않아 조직간 유착이 거의 없도록 하는 치료 방법인 Ablation이나, 삼상나선 구조가 열로 인해 풀리므로 열에 민감하여 60℃에서 결합이 파괴되며, 분자구조가 신축됨에 따라 콜라겐의 직경이 두꺼워지고 섬유륜이 강화되도록 하는 치료 방법인 Coagulation과 같은 양극성(Bipolar) 작동에서도 공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제 2 전극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샤프트(10)의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어, 상기 샤프트(10)를 굴절 시킬 수 있도록 한 쌍의 와이어(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키기 위하여 와이어를 이용하는 구성은 상기 특허 문헌 2를 포함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실시되고 있는 수준의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는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핸들부(60)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고 사용하기 용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핸들부(60)에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고정위치에 따른 2개 이상의 고정 측면 슬릿부(71)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 슬릿부(70)가 형성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정장치(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핸들부(60)의 내부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가 서로 연결되어 회동하도록 와이어 풀리(61)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정 장치(8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통과하여 설치되는 노브 스템(82)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절 노브(81)와, 상기 노브 스템(82)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30)가 전 후로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8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노브 스템(82)의 외부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탄성에 의한 고정 및 작동의 용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탄성 부재(83)가 상기 노브 스템(82)의 외부를 감싸며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조절 슬릿부(70)의 폭(d2)은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과 같도록 하여, 조절 작동시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노브 스템(82)의 인입을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 슬릿(72)이 더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을 위하여 상기 조절 노브(81)를 측면으로 조작하여 상기 노브 스템(82)이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에 원활하게 유도되어 인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 상태에서 쉽게 해제되거나 하여 고정 위치가 의도치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는 도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말단부의 직경(Φ)이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면서, 상기 유도 가이드 슬릿(72)에 연이어 형성되며 그 폭(d1)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의 0.9~0.99 배인 통과 고정 슬릿(7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노브 스템(82)이 그 외부의 탄성 부재(83)가 다소 압착되면서 상기 통과 고정 슬릿(73)을 통과한 후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의 말단부에 안착되어 위치하며, 별도의 조작이 없는 한 그 폭(d1)이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보다 작은 상기 통과 고정 슬릿(73)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중 고정 상태에서 쉽게 해제되거나 하여 고정 위치가 의도치 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83)는 탄성을 가지면서도 표면의 마찰이 작아 원활한 조작이 가능하도록, 탄성을 가지는 테프론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고주파 카테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주제어장치(90)와, 상기 주제어장치(90)와 연결되어 카메라 등의 촬영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9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샤프트
20: 헤드부
30: 와이어
60: 핸들부 61: 와이어 풀리
70: 조절 슬릿부 71: 고정 측면 슬릿부
72: 유도 가이드 슬릿 73: 통과 고정 슬릿
80: 조정장치
81: 조절 노브 82: 노브 스템
83: 탄성 부재
85: 와이어 고정부
90: 컨트롤러 91: 디스플레이

Claims (5)

  1. 방사주파수(Radio Frequency) 고주파를 이용한 카테터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랙시블한 재질로 이루어진 원통 형상의 샤프트(10);
    상기 샤프트(10)의 일측 말단에 설치되며, 방사주파수(RF: Radio Frequency) 고주파 전력이 인가되는 고주파 단자를 구비하는 헤드부(20);
    상기 중공부를 통과하여 상기 헤드부(20)에 일 말단이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30);
    상기 샤프트(10)의 타 측 말단에 연결되어는 핸들부(60);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다양한 고정위치에 따른 2개 이상의 고정 측면 슬릿부(71)가 형성되어 있는 조절 슬릿부(70);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설치되어 상기 핸들부(6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며 상기 한쌍의 와이어(30)를 서로 반대로 당기거나 당김을 해제하여, 상기 샤프트(10)를 굴절시켜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조절하고,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에 인입되는 경우 상기 헤드부(20)의 위치를 고정하는 조정장치(8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
  2.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80)는,
    상기 조절 슬릿부(70)에 통과하여 설치되는 노브 스템(82)의 외측에 설치되는 조절 노브(81);
    상기 노브 스템(82)의 내측에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와이어(30)가 전 후로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 고정부(8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핸들부(6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한쌍의 와이어(30)가 서로 연결되어 회동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 풀리(61);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
  3. 청구항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 스템(82)의 외부에 더 형성되는 탄성 부재(83);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
  4. 청구항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슬릿부(70)의 폭(d2)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과 같으며,
    상기 고정 측면 슬릿부(71)는 그 말단부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Φ)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고,
    상기 노브 스템(82)의 인입을 유도하는 유도 가이드 슬릿(72);
    상기 유도 가이드 슬릿(72)에 연이어 형성되며, 그 폭(d1)은 상기 탄성 부재(83)의 외경의 0.9~0.99 배인 통과 고정 슬릿(7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
  5. 청구항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3)는, 탄성을 가지는 테프론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100).
KR1020140089818A 2014-07-16 2014-07-16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KR101610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818A KR101610291B1 (ko) 2014-07-16 2014-07-16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818A KR101610291B1 (ko) 2014-07-16 2014-07-16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62A KR20160009362A (ko) 2016-01-26
KR101610291B1 true KR101610291B1 (ko) 2016-04-07

Family

ID=5530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818A KR101610291B1 (ko) 2014-07-16 2014-07-16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249B1 (ko) * 2020-05-19 2022-06-02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4973A (ja) 2005-03-15 2006-09-2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
JP2008500069A (ja) 2004-03-31 2008-01-10 マノア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切断デバイスおよび方法
KR101374320B1 (ko) 2013-10-15 2014-03-17 홍문기 방향 조절 전극 카테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046B1 (ko) 2011-05-26 2013-09-17 남증희 조종가능한 카테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0069A (ja) 2004-03-31 2008-01-10 マノア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組織切断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2006254973A (ja) 2005-03-15 2006-09-28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内視鏡
KR101374320B1 (ko) 2013-10-15 2014-03-17 홍문기 방향 조절 전극 카테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362A (ko) 201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1214B2 (en) Thoracoscopic methods for treatment of bronchial disease
JP5179682B1 (ja) 骨を通して器具を誘導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8753335B2 (en) Therapeutic energy delivery device with rotational mechanism
CN104703557B (zh) 柔性可伸展电极和管腔内递送脉冲功率的方法
EP3003193B1 (en) Devices for delivering energy
EP2441407A1 (en) Direction-controllable electrode body for selectively removing bodily tissue, and guide pipe
JP2008541878A (ja) 電熱椎間板治療
KR101227635B1 (ko)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EP1063931A2 (en) Catheter for delivery of energy to a surgical site
KR101096811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KR101626958B1 (ko)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JP2017531507A (ja) アンカー/インプラント配備装置およびそれに関係する組織修復方法
KR101610291B1 (ko)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CN104739504B (zh) 用于脊椎肿瘤治疗术的射频消融装置
KR101652989B1 (ko) 영상촬영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KR101232933B1 (ko)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KR101165909B1 (ko)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KR100802148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US20120065634A1 (en) Method of treating an inter-vertebral disc
CN110179534A (zh) 一种纳米刀消融电极
KR100974420B1 (ko) 고주파 전극 장치
KR101463037B1 (ko) 고주파 치료 장치
KR20220125886A (ko) 내시경 카테터
CN117796895A (zh) 一种陡脉冲消融导管及设备
KR20230103592A (ko) 고주파 수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