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420B1 - 고주파 전극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전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420B1
KR100974420B1 KR1020080027043A KR20080027043A KR100974420B1 KR 100974420 B1 KR100974420 B1 KR 100974420B1 KR 1020080027043 A KR1020080027043 A KR 1020080027043A KR 20080027043 A KR20080027043 A KR 20080027043A KR 100974420 B1 KR100974420 B1 KR 100974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igh frequency
tube
wire
frequency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1731A (ko
Inventor
황창모
이상헌
선경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27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420B1/ko
Publication of KR20090101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1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39Spine, e.g. intervertebral dis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77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07Lo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25Needle
    • A61B2018/1427Needle with a beveled end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를 이용하여 신체 내부의 신체조직을 조직을 국소적으로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고주파 전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조직에 삽입되어 고주파를 발생하는 전극쌍의 방향이 두 개의 강선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고주파 전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조작기에 체결되어 이용되는 고주파 전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에 체결되어 있으며, 신체를 관통하여 신체조직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인가되는 제1전극쌍; 및 상기 제1전극쌍으로부터 상기 제1튜브를 거쳐 상기 조작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전극쌍을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강선 및 제2강선을 포함한다.
신체조직, 고주파, 조작기

Description

고주파 전극 장치{HIGH FREQUENCY ELECTRODE APPARATUS}
본 발명은 의료 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주파(high frequency)를 이용하여 신체 내부의 신체조직을 조직을 국소적으로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고주파 전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척추뼈 사이에 연골조직으로 이루어진 디스크는 질긴 외륜과 젤리형태의 단백질로 구성된 수핵으로 이루어져 있다.
디스크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스크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진 경우에 수핵이 비교적 약한 외륜을 밀고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외륜이 신경을 압박하는 원인에 의해 디스크 통증이 발생한다. 둘째, 디스크 외륜에 열상이 발생한 경우 외륜의 찢어진 틈을 따라 신경과 혈관 등이 자라 들어와 보행시나 체중의 압박에 따라 통증이 발생한다.
즉, 물리적인 충격에 의해 외륜의 내벽이 찢어지게 되면 장시간 기립 자세시의 체중이나 과도한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때문에, 디스크 내부의 수핵이 찢 어진 외륜 내벽 사이를 통해 유출되고, 디스크 내부의 높은 압력이 외륜에 전달되게 되어 디스크의 일부가 돌출되는데, 이를 디스크 탈출증이라 하며, 디스크라 불리는 병명의 정식명칭이다. 한편, 상기 돌출된 디스크 부분이 원상복귀되지 않아 지속적으로 돌출된 형태를 유지하고, 이 때문에 척추 부근의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초래한다.
상기 디스크 탈출증은 외과적 수술로도 치료가 가능하다. 그러나, 외과적 수술에 의해도 수술환자의 30%는 치료효과를 얻을 수 없고, 외과적 수술이 척추 신경 부위의 절제를 수반하기 때문에 수술환자의 5 ~ 10%는 수술 실패 증후군 (Failed Back Surgery Syndrome, F.B.S.S)으로 일생 동안 고통받게 된다.
상기 디스크 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접근 방법으로서 디스크 내부의 수핵 구성물질을 제거하면 디스크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여 디스크의 돌출된 부위가 자발적으로 디스크 내부로 복원되도록 하는 원상회복법이 있다. 이러한 방법은 외과적 수술로도 가능하지만, 비외과적 수술로서 고주파 전극 장치를 디스크 내부 조직에 삽입한 후, 고주파를 인가하여, 고주파에 의해 형성된 높은 에너지의 전기장으로 전극 주위의 수핵의 구성물질을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상태로 제거시킬 수 있다. 고주파 전극 장치를 이용하여 체내의 신체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병원의 입원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며 수술 후에도 부작용 위험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고주파 전극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조직을 절제하거나 제거하고, 혈관의 노폐물등을 제거하는 방법은 미국특허 US 6,554,827 B2 등에 개시되어있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를 사용하여 척추의 디스크 탈출증을 치료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신체의 디스크(10)의 일부가 돌출하여 신경뿌리(20)를 압박하여 허리통증을 유발시키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디스크의 돌출된 부분의 외륜(11)은 돌출된 부분의 내부의 수핵(12)에 의해 정수압으로 압력을 받고 있고, 수핵의 유동성이 크지 않으므로, 돌출된 부분의 외륜이 돌출된 형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신경뿌리(20)를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되므로, 요통이 지속적으로 발생한다.
이때, 유도관(30)을 통해 안내되는 고주파 전극 장치(40)를 디스크 돌출부의 외륜 내의 수핵에 위치시킨 후, 고주파를 인가하면 고주파 전극 장치의 두 전극 주위의 조직이 음전하의 전자와 양전하의 이온으로 분리되어 전하 분리도가 높은 중성 기체상태로 변하면서 압력이 감소하여 돌출부가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그러나, 디스크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켜 허리 통증을 없애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는, 신체조직의 특정부위를 제거하는 기능이 우수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는, 디스크의 돌출부 또는 통증유발부위에 정확하게 도달하지 못하며, 다만, 디스크의 중심부의 조직인 수핵을 소작(燒灼) 하여 내부의 압력을 저하시킴으로써 통증의 제거를 유도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일부 압력증가로 인한 통증환자에게 효과가 있으나, 통증조직이 발달된 경우 등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디스크 수핵 성형술을 시도하려는 수술은 접근경로가 한정되어 있어서 신체조직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고 주파 전극 장치의 끝 부분이 유연하면서도 방향 제어가 가능해야 하나, 종래의 일반적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종래의 디스크 탈출증 치료용 고주파 전극 장치의 경우 적용대상 질환은 디스크 내부의 압력이 높아서 외륜이 돌출되어 신경을 압박하여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로서, 디스크의 중심부에 있는 수핵을 고주파로 제거하면 내부에 제거된 조직만큼의 빈 공간이 생겨서 압력이 감소하여 과도한 압력에 의해 돌출되었던 부분이 원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외륜이 효과적으로 빈 공간으로 복귀하지 않아서 제한적인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경우, 돌출된 외륜 바로 안쪽의 수핵을 제거할 경우 효과가 더욱 높아질 것으로 판단되지만,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이나 위치에 고주파 전극을 위치시킬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어서 임상적인 효과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찢어진 디스크 외륜 사이의 공간에 혈관과 신경이 자라 들어온 경우는, 고주파 전극 장치를 이용하여 신경과 혈관을 괴사시킴으로써 통증이 제거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는, 수핵의 바깥쪽, 즉 외륜의 내주면을 따라 열선을 배치한 후 신경세포가 괴사하는 온도에 도달하도록 가열하여 통증감각을 제거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도,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로는 외륜의 찢어진 부분을 정확히 괴사시킬 수 없기 때문에 통증 제거효과가 미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는 그 말단의 전극 부분이 시 술자의 의도대로 구부러지지 않기 때문에, 시술이 요구되는 디스크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도달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환부의 조작 가능성이 아주 낮고, 시술결과의 만족도도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주파 전극 장치의 말단 부분이 시술자가 원하는 만큼 구부러질 수 있는, 방향제어가 가능한 고주파 전극 장치가 본 발명자에 의해 출원된 특허출원번호 10-2005-0106763를 통해 제안되었다.
상기 출원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발명은, 말단 부분이 소정의 반경을 가지도록 구부려진 스프링의 내부에 강선을 조립하고, 구부려진 끝 부분에서 스프링과 강선을 결합시킨 후 타단에서 강선의 장력을 조절하므로써, 스프링이 구부려진 형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발명은 스프링의 복원력에 한계가 있고 방향의 제어에 비교적 큰 힘이 요구되어 실용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체조직에 삽입되어 고주파를 발생하는 전극쌍의 방향이 두 개의 강선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고주파 전극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작기에 체결되어 이용되는 고주파 전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에 체결되어 있으며, 신체를 관통하여 신체조직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인가되는 제1전극쌍; 및 상기 제1전극쌍으로부터 상기 제1튜브를 거쳐 상기 조작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전극쌍을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강선 및 제2강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 전극 장치의 말단이 두 개의 강선의 장력을 이용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술이 요구되는 신체조직에 고주파가 정확히 도달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향 제어가 가능한 제1고주파 전극부 내부를 통해 삽입가능한 제2고주파 전극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주파를 방생시키는 전극쌍이 특정 위치의 신체조직에 보다 근접할 수 있도록 한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고주파 전극부뿐만 아니라, 제2고주파 전극부의 말단 역시 두 개의 강선의 장력을 이용하여 시술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술적으로 접근이 어려운 신체조직 특정 부분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환자의 치료시간이 단축되고 입원이 필요 없으므로 실용적 효과가 크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2단계로 방향이 제어될 수 있으므로,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가 도달하지 못하는 광범위한 영역에 도달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복잡한 국소부위에 도달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강선을 이용하여 방향의 제어가 용이함으로, 복잡한 형상을 가진 신체조직을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다양한 시술법의 적용 및 응용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증을 유발하는 디스크의 돌출부위에 대해 선택적으로 접근이 가능하며 신경의 손상이나 조직의 손상도를 극히 낮게한 상태에서 통증유발 부위를 제거하여 통증의 근본적인 원인을 제거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크 수술 등 장기간 입원 가료가 필요한 경우의 일부 환자군과 디스크 수술 대상은 아니지만 장단기 입원 또는 요양이나 물리치료 등이 요구되는 환자를 1시간 이내의 짧은 시술로 일상생활로 복귀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치료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100) 및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전원을 인가하는 한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강선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주파 전극 장치 말단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고주파 전극 장치(100)는 신체조직의 하나인 디스크 내부로 삽입되어 수핵이 돌출된 부위에 고주파를 가함으로써, 돌출된 부분의 수핵이 제거되어 외륜이 자체적으로 원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20~30cm길이를 갖는 튜브(110), 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쌍(120), 전극쌍과 연결되어 있고 홀을 통해 고주파 전극 장치의 제2측 끝단으로 노출되어 조작기에 연결되는 두 개의 강선(1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특히, 디스크 내부로 삽입되며, 방향 제어를 위하여, 두 개의 강선(131, 132)의 장력에 의해 구부러지는 튜브의 제1측 끝단(111)은 튜브의 타 부분보다 더 잘휘어질 수 있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즉, 두 개의 강선과 연결되어 있는 제1측 끝단은, 두 개의 강선 중 제1강선(131)이 잡아당겨 지므로써 제2강선(132)이 느슨하게 되면, 제1강선 방향으로 휘어지게 되며,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2강선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성질을 이용하여 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쌍이 시술이 요구되는 위치로 자유롭게 휘어지도록 하여 시술을 수행하게 된다. 고주파 전극 장치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하겠다.
조작기(200)는 사용자가 두 개의 강선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튜브의 제1측 끝단(111)의 휘어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조작기에 결합되어 사용된다. 한편, 고주파 전극 장치에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강선은 조작기 내부로 연장되어 있으며, 특히, 방아쇠(210)와 연결되어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기의 방아쇠를 조작하여 제1강선을 당기게 되면, 튜브의 제 측 끝단이 제1강선 쪽으로 휘어지게 되며, 사용자가 조작기의 방아쇠를 조작하여 제2강선을 당기게 되면, 튜브의 제1측 끝단이 제2강선 쪽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기는 제1강선 또는 제2강선을 잡아당기기 위한 것으로서 그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고주파 치료장치는, 고주파 전극 장치(100)의 전극쌍이 디스크 내부 수핵이 돌출된 부위에 도달된 상태에서, 고주파 전극 장치에 고주파를 인가시키면, 돌출된 부분의 수핵이 제거되어 내부에 빈공간이 생겨 압력이 감소하므로, 외륜이 자체적인 복원력에 의해 용이하게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는 점에 착안을 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가 체결되어 이용되고 있는 고주파 치료장치의 원리 및 작동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전극쌍이 신체조직에 닿은 상태에서 고주파를 인가하면 전극쌍 근처에 고온이 발생하는데, 고주파 강도가 높은 경우 전극쌍 근처에 플라즈마가 형성되면서 신체조직이 분해되는 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이용하여, 조직을 절개하는 보비(메스 대신 사용), 고주파 강도를 높여 혈전을 제거하는 기기, 고주파 강도를 낮추어 혈전을 생성시키는 기기(불필요한 혈관을 막을 때 사용), 단백질 변성온도까지 높여서 신체조직을 괴사시키는 기기 등이 개발되어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디스크의 수핵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는 직선형태로 되어 있어서 수술적으로 접근할 때 수핵의 중심부를 제거하는 기능만 가능하여 제한적인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은 고주파 전극 장치의 끝부분, 즉, 튜브의 제1측 끝단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두 개의 강선을 이용하고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고주파 전극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조작기에 체결되어 이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 2에 도시된 고주파 전극 장치(100)를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체를 관통하여 디스크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튜브(110), 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인가되는 전극쌍(120), 전극쌍으로부터 튜브의 제2측 끝단으로 연장되어 있는 두 개의 강선(131, 132)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튜브(110)는 인체를 관통하여 디스크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서, 시술을 위해 삽입되는 길이와 여유를 더하여 20~30cm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튜브의 제1측(111) 끝단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강선과 연결되어 있는 전극쌍이 배치되어 있다. 튜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전극쌍과 연결되는 튜브의 제1측은 강선의 길이 변화에 따라 보다 잘 휘어질 수 있도록, 튜브의 본체(113) 및 제2측(112) 보다 연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시술자가 강선에 장력을 가하여 길이를 조절하는 경우, 튜브 전체가 휘어지는 것이 아니라, 제1측만이 휘어질 수 있도록, 튜브의 제1측은 튜브의 타 부분을 구성하는 재질보다 보다 잘 휘어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튜브의 제1측의 길이는 시술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튜브의 내부면 중앙에 형성된 하나의 큰 홀(151)은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는 내시경 삽입홀 또는 약물 주입홀로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의 내부면 중앙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큰 홀(151, 152)이 형성될 수도 있으며, 두 개의 큰 홀 각각은 내시경 삽입홀, 약물 주입홀, 고주파 전극부 삽입홀 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고주파 전극부에 대하여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큰 홀(151, 152) 외에도, 큰 홀 주변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작은 홀(141 내지 144)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은 홀들은 각각 방향제어를 위한 강선이 삽입되는 강선 삽입홀, 약물이 주입되는 약물 주입홀, 전극쌍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 삽입홀 등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그 숫자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한편, 큰 홀(151, 152)의 직경은 내시경 또는 고주파 전극부의 직경을 고려하여 1~2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은 홀(141 내지 144)의 직경은 강선의 직경을 고려하여 1.0mm 정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 개의 강선(131, 132)은 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쌍에 연결되어 튜브의 제2측 끝단까지 연결되어 있으며, 튜브의 제2측 끝단에 노출된 두 개의 강선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기에 연결되어, 어느 하나가 당겨지게 된다. 여기서, 두 개의 강선 중 어느 하나는 전극쌍에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선의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술자는 튜브를 디스크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조작기를 이용하여 두 개의 강선 중 어느 한쪽을 잡아당기면서 다른 한쪽을 느슨하게 함으로써, 튜브의 제1측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두 개의 강선은 튜브에 체결되어 사용되기만 하면 되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 와 같이 강선 삽입홀(141, 142)이 형성되어져 있는 튜브에 삽입되어 전극쌍과 조립되기도 하지만, 다른 실시예의 적용도 가능하다. 즉, 내부에 약물 주입홀 또는 내시경 삽입홀을 가진 튜브의 외주면에 강선을 간단히 고정한 다음 절연성이 있는 필름으로 강선을 감싸서 일체형으로 조립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부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는 강선이 반드시 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연결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전극쌍(120)은 튜브의 제1측 끝단에 연결되어 디스크 내부의 신체조직인 수핵에 고주파를 인가시켜 수핵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즉, 전극쌍이 수핵에 닿은 상태에서, 전극쌍에 고주파가 인가되면 전극쌍 근체에 플라즈마가 형성되어 수핵이 분해된다. 전극쌍은 두 개의 전극(제1전극 및 제2전극)이 쌍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구조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한편, 전극쌍 중 제1전극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두 개의 강선이 연결되어 있어서, 튜브의 제1측에 대한 방향 제어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방향제어 기능을 갖는다. 즉, 튜브의 제1측 끝단에는 링 형태의 금속(제1전극)이 연결되어 있고, 이 링에 두 강선이 고정되어 있으며, 튜브의 제2측 끝단에서 조작기에 의해 강선의 장력이 조절된다. 즉, 조작기에 의해 강선의 장력이 조절되면, 제1전극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으 며, 이에 따라 튜브의 제1측의 휨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 제어의 용이성을 위하여 튜브의 제1측은 강도가 낮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고주파 발생 기능을 갖는다. 즉, 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전극쌍은 고주파를 인가받아 수핵으로 고주파를 발진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전극쌍은 제1전극 및 제2전극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전극은 튜브의 제1측 끝단에서 두 개의 강선과 연결되어 있으며, 링 형태의 금속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전극은 별도의 전선과 연결되어 있고, 제1전극과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으며, 제3강선과 연결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전극 역시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코일 형태 또는 원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와 체결되어 있는 조작기를 통해 고주파가 인가되면, 제1전극과 제2전극 사이에 방전 또는 플라즈마가 발생되어 수핵을 제거하게 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약물을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다. 즉, 튜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강선이 통과하는 강선 삽입홀 이외에도, X-선 촬영장치 또는 다른 기기의 사용에 필요한 검사용 약물이나, 의사의 처방에 따라 주입되는 치료용 약물 등을 주입할 수 있는 약물 주입홀(144 또는 151)을 포함하고 있어서, 약물전달에 사용될 수도 있다. 즉, 이러한 약물은 치료용, 감지용, 고통 경감용 또는 관찰용 등에 적용될 수 있으며, 고주파의 전도도를 높이기 위한 수액 공급시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튜브에는 제1측 끝단부터 제2측 끝단까지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전극쌍에도 튜브의 제1측 끝 단의 홀들과 연결되어 있는 복수의 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전극쌍에 형성되어 있는 홀들은 항시 열려져 있는 반면에, 튜브의 제2측 끝단에 형성된 홀들 특히, 약물 주입홀 등은 약물주입을 위해 필요시에만 열릴 수 있도록 밀봉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는 관찰용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튜브에는 디스크 내부를 관찰하기 위한 소형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는 내시경 삽입홀(151 또는 152)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내시경 삽입홀은 전극쌍에도 형성되어 있어서, 내시경은 전극쌍의 말단을 통해 외부, 즉, 신체조직 내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신체조직에 대한 영상을 외부 영상장치로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적용되는 튜브에 형성된 홀들에 대하여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튜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고주파 전극부, 약물이 삽입될 수 있는 하나의 큰 홀(151)만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시경, 고주파 전극부, 약물 중 어느 두 개가 삽입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큰 홀(151, 152)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큰 홀을 중심으로 그 외곽에는 작은 홀(141 내지 144)들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홀들 중 2개는, 튜브의 제1측 끝단의 전극쌍 중 어느 하나의 전극(제1전극)에 연결되는 강선이 삽입되는 강선 삽입홀로 이용되고 있다. 강선 삽입홀에 삽입되는 두 개의 강선은 전선의 역할도 하면서 장력을 이용하여 튜브의 방향을 제어하는 기능도 수 행한다. 또한, 작은 홀들은 전극쌍을 구성하는 또 다른 전극(제2전극)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 또는 상기 제2전극을 고정시키기 위한 강선이 삽입될 수 있는 홀로도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작은 홀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약물이 신체조직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튜브에는 고주파 전극부, 강선, 약물, 내시경, 전선 등의 삽입을 위해, 크거나 작은 홀들이 다수 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방향 제어용 강선 삽입홀은 중심에 형성된 큰 홀에 대하여 대칭으로 배치되는 것이 가장 좋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전극쌍 중 제2전극에 연결되는 전선이 삽입되는 전선 삽입홀의 배치는 방향 제어용 강선 삽입홀의 위치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한, 튜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고주파 전극 장치의 최말단에 구비되어 있는 제2전극에 연결된 전선이 과열 등으로 끊어질 경우, 제2전극의 회수가 어려울 수도 있으므로, 이를 대비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제2전극에 연결되는 안전용 강선이 삽입되는 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안전용 강선은 최말단에 배치되는 제2전극에 접합되며 용접 등의 결합력이 강한 방법으로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홀들의 배치는 제작 용이성에 의해 임의로 변경이 가능하며, 상기한 용도를 적용하지 않는 경우 해당되는 홀의 숫자가 줄어들거나 필요에 따라 늘어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주입시 혼합하면 안되는 상이한 약물의 주입이 필요한 경우에는 튜브에 제2의 약물 주입홀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단면의 형상은 튜브의 제1측 끝단에서도 동일하게 형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1실시예 구성도로서, 도 2 내지 도 4 에 도시된 전극쌍(120)을 상세히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전극 및 제2전극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극쌍의 제1실시예 구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전극(121)은 튜브의 제1측(111)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고주파 전극 장치의 방향 제어를 위한 두 개의 강선(131, 132)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두 개의 강선 중 하나는 고주파 인가용 전선이 될 수 있다.
제2전극(122)은 제1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123)에 링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전극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강선(171, 172)으로 연결될 수 있다. 두 개의 강선 중 하나는 고주파 인가용 전선이며, 나머지 하나는 전선 단절시 안전을 위한 안전용 강선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용 강선은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2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2실시예 구성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제1전극(121)과 제1전극에 스프링 형태로 감겨진 제2전극(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전극(121)의 구성은 도 5에서 설명된 제1전극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두 개의 강선(131, 132)의 구성 및 기능도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2전극(122)은 링 대신 와이어가 제1전극의 연장부(123)에 밀집되게 스프링 형태로 감겨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3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3실시예 구성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형태의 제1전극(121)과 제1전극에 원뿔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1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전극(121)의 구성은 도 5 및 도 6에서 설명된 제1전극의 구성과 동일하다. 또한, 네 개의 강선(131, 132, 171, 172)의 구성 및 기능도 도 5에서 설명된 바와 같으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제2전극(122)은 제1전극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123)에 원뿔형태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1전극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강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전극쌍의 제3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전극은 전극쌍의 제1실시예에 적용되는 제2전극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링 형태 대신 원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이처럼 제2전극을 원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은, 신체조직 내부에서의 전극쌍의 진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극쌍의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실예에 있어서, 제1전극 또는 제2전극을 형성하는 링, 원뿔, 코일 스프링의 재질은 고주파수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것이면 충분하고, 바람직하게는 금속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레스, 일반합금강, 티타늄강선 또는 형상기억합금 등의 금속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방향 제어는 제1전극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강선(131, 132)의 장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2전극에는 장 력이 가해질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2전극에는 하나의 전선용 강선만이 연결될 수도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안전용 강선이 제2전극에 추가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적용되는 고주파 전극부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는 정밀한 시술을 위해 (제2)고주파 전극부(300)가 삽입될 수 있다. (제2)고주파 전극부란 상기한 바와 같은 고주파 전극장치의 튜브(110) 및 전극쌍(120)에 형성되어져 있는 홀을 통해 신체조직 내부로 삽입되어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하의 설명 중, (제2)고주파 전극부가 설명되어지는 경우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은 튜브(110) 및 전극쌍(120)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극장치를 제1고주파 전극부(400)라고 하겠으며, 제1고주파 전극부의 튜브(110)를 제1튜브라 하고, 제1고주파 전극부의 전극쌍(120)을 제1전극쌍이라 하겠다. 또한, 제2고주파 전극부를 구성하는 튜브는 제2튜브(310)라 하며, 제2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고주파를 발진시키는 전극쌍은 제2전극쌍(320)이라 하겠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제1고주파 전극부(110, 120, 130)(400)로만 구성될 수도 있으며, 제1고주파 전극부를 관통하는 제2고주파 전극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제2고주파 전극부는 제1튜브(110)에 의해 방향 제어가된 상태에서 보다 세밀한 부분에 고주파를 인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전극쌍(320)은 별도의 강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으며, 제1전극쌍과 마찬가지로 강선에 의해 보다 세밀하게 방향 이 제어될 수 있다. 즉, 제2고주파 전극부는 제2튜브 및 제2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쌍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제2전극쌍은 제1전극쌍과 마찬가지로 강선에 의해 방향이 제어될 수도 있으며, 강선과 연결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제2고주파 전극부에는 소형 내시경이 삽입될 수 있는 내시경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2고주파 전극부와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즉, 제2고주파 전극부는 내시경 삽입홀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방향제어를 위한 구성 및 제2전극쌍의 형태까지 대부분이 제1튜브 및 제1전극쌍과 거의 유사한 구성을 가지나, 크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강선 삽입홀, 약물 주입홀 등은 제1튜브 및 제2튜브에 공통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300)의 제1실시예는, 제1튜브(110) 및 제1전극쌍(120)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는 제2튜브(310) 및 제2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쌍(320)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2튜브(310)는 제1튜브(110)의 내부에 형성된 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 단면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튜브와 유사한 구성 및 기능을 갖는다. 즉, 제2튜브에는 내시경 또는 또 다른 고주파 전극부 삽입을 위한 홀은 구비되어 있지 않으며, 강선 또는 전선의 삽입을 위한 작은 직경의 홀(340)들 및 약물 주입을 위한 홀(350)만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전극쌍(320)은 제1전극쌍(120)보다 높거나 낮은 고주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태의 제3전극(321) 및 제3전극의 연 결부(323)에 연결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4전극(322)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보다 정밀한 방향제어를 위하여 제3전극에는 제1전극과 마찬가지로 두 개의 강선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1전극에 연결된 강선에 의해 일차적으로 제1튜브의 방향을 조정한 후, 제3전극에 연결된 강선에 의해 보다 정밀하게 제2튜브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2실시예는, 제1튜브 및 제1전극쌍을 관통하여 돌출되는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는 제2튜브(310) 및 제2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제2전극쌍(32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2튜브(310) 및 제3전극(321)의 구성은 도 8에서 설명된 제2튜브 및 제3전극의 구성과 동일하다.
제4전극(322)은 링 대신 와이어가 제3전극(321)의 연장부(323)에 밀집되게 감겨진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3실시예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3실시예는, 제4전극(322)의 형태가 원뿔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고주파 전극부의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대한 설명에서, 제1전극쌍(120)이 링 또는 스프링 형 태로 구성되는 것은 제1전극쌍의 내부 홀을 통해 약물이나 제2고주파 전극부를 통과시키기 위한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은 약물 주입이나 고주파 전극부의 주입을 위한 홀을 제1튜브의 측면에 형성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300)는, 제1고주파 전극부와 그 형태가 거의 비슷하나 직경이 작고, 내부에 내시경 삽입 등을 위한 큰 홀이 없다는 것이 특징이다. 즉,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2튜브 및 제2전극쌍의 중심부에는 약물 삽입을 위한 홀이 있고, 상기 홀 외곽에는 강선 또는 전선의 삽입을 위한 홀이 배치될 수 있다. 이들 홀로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제2전극쌍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두 개의 전선이 통과될 수 있으며, 방향 제어를 위한 두 개의 강선이 통과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사용 방법을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특히, 제2고주파 전극부가 구비되어 있는 고주파 전극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척추의 디스크(500)가 돌출되었을 때, 디스크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젤리형태의 수핵(520)을 제거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수핵 외에도 다른 신체조직의 제거에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종래에는 달성되지 못한 부분인 방향제어가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제1고주파 전극부(400)와 제2 고주파 전극부(300)를 구비함으로써, 방향 제어를 보다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제2고주파 전극부(300)가 구비된 경우, 제1고주파 전극부(400)는 조직제거의 기능도 하지만, 제2고주파 전극부를 내부의 홀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시술자는 유도관(900)을 통해 제1고주파 전극부를 디스크 내부로 유입시킨 후, 제1고주파 전극부의 강선을 조정하여 제1전극쌍이 소정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된 후 신체조직을 제거할 수도 있으며, 제1전극쌍이 소정의 원하는 위치에 도달된 후 제2고주파 전극부를 돌출시킨 상태에서 제2전극쌍을 이용해 신체조직을 제거할 수도 있다. 이때, 시술자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2전극쌍에 연결되어 있는 강선을 조정하여 시술이 요구되는 위치로 제2전극쌍이 보다 정밀하게 이동해 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디스크 내부의 원하는 위치에서 디스크 내부조직인 수핵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디스크 돌출부 내부의 수핵(520)을 제거함으로써 내부압력의 강하를 유도하여 돌출된 디스크가 원래의 상태로 수축되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디스크 외륜(510)의 파열부의 신생신경조직이나 신생혈관조직을 제거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도록 하여 외과적인 수술을 최소로 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비침습적 척추통증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디스크와 관련된 치료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를 이용하여 신체 내부의 다양한 신체조직을 시술하는 방법을 간단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먼저, 시술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고주파 전극부를 소정의 위치에 도달시킨 후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2전극쌍을 이용하여, 제1고주파 전극부의 제1전극쌍이 도달하지 못하는 위치의 수핵을 제거하여 빈 공간이 생기도록 하여 돌출된 디스크 외륜이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찢어진 외륜에 신경조직이 자라 들어올 경우, 소구경인 제2고주파 전극부가 디스크 내부에 삽입된 후 제2고주파 전극부에 저전력 고주파가 인가되면, 신경조직이 괴사하여 통증의 원인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뇌혈관이나 동맥 꽈리형태의 동맥류가 생긴 경우 과도한 혈압 상승에 의해 파열될 위험이 있으며, 이는 생명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은 위험한 상태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시술자는 혈관을 통해 길이가 충분히 확보된 제2고주파 전극부를 삽입하여 동맥류 부분에 도달시킨 후 저전력 고주파를 인가하므로써, 혈전의 생성을 유도하여 동맥류의 혈관의 강도를 보조해 줄 수도 있다.
또한, 종양조직이 신체 내에 있는 경우, 미용적인 흉터를 남기지 않는 수술 접근이 어려운 경우, 최소 침습적인 방법으로, 시술자는 제1고주파 전극부와 제2고주파 전극부를 효과적으로 사용하여 종양 또는 제거해야할 신체조직에 접근한 후 저전력 고주파를 인가하므로써, 신체조직의 괴사를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심장의 관상동맥 등 혈관이 혈전이나 동맥경화에 의해 협착이 되어 혈액의 이동이 원활하지 않은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하여, 시술자는 혈관조영제를 고 주파 전극 장치의 약물 주입홀을 통하여 주입하면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여 접근한 후 고주파를 인가하여 동맥경화된 플라그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는,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특정부위의 신체조직을 제거하거나 신체조직의 괴사를 유도하기 위한 방법으로 넓게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고주파 전극 장치를 사용하여 척추의 디스크 탈출증을 치료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고주파 치료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다양한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1실시예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2실시예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전극쌍의 제3실시예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1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2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에 적용되는 제2고주파 전극부의 제3실시예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전극 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0 : 고주파 전극 장치 110 : 제1튜브
120 : 제1전극쌍 200 : 조작기
300 : 제2고주파 전극부 310 : 제2튜브
320 : 제2전극쌍 400 : 제1고주파 전극부

Claims (13)

  1. 조작기에 체결되어 이용되는 고주파 전극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에 체결되어 있으며, 신체를 관통하여 신체조직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길이를 갖는 제1튜브;
    상기 제1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인가되는 제1전극쌍; 및
    상기 제1전극쌍으로부터 상기 제1튜브를 거쳐 상기 조작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기의 조작에 따라 상기 제1전극쌍을 어느 한 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하는 제1강선 및 제2강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극쌍은,
    상기 제1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강선 및 제2강선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1전극; 및
    상기 제1전극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에 링 형태 또는 원뿔 형태 또는 스프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2전극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선 및 제2강선은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강선 삽입홀을 통해 상기 제1전극쌍에 연결되거나, 또는 상기 제1튜브의 외부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전극쌍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에는,
    내시경 삽입, 약물 주입, 전선 삽입, 강선 삽입을 위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홀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강선 또는 제2강선은 상기 제1전극에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링 형태 또는 원뿔 형태로 구성된 상기 제2전극에는, 상기 제2전극에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전극에는 상기 제2전극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용 강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8.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튜브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제1튜브를 관통하여, 상기 제1전극쌍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고주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고주파 전극부를 더 포함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전극부는,
    상기 제1튜브의 내부에 형성된 홀을 통해 삽입되는 제2튜브; 및
    상기 제2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고주파를 발진시키기 위한 제2전극쌍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쌍은,
    상기 제2튜브의 제1측 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제3전극; 및
    상기 제3전극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장부에 링 형태 또는 원뿔 형태 또는 스프링 형태로 연결되어 있는 제4전극을 포함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극은 상기 제3전극의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제3강선 및 제4강선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3강선 및 제4강선은 상기 조작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3강선 또는 제4강선은 상기 제3전극에 고주파를 인가시키기 위한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링 형태 또는 원뿔 형태로 구성된 상기 제4전극에는, 상기 제4전극에 고주파를 인가하기 위한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4전극에는 상기 제4전극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용 강선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전극 장치.
KR1020080027043A 2008-03-24 2008-03-24 고주파 전극 장치 KR100974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43A KR100974420B1 (ko) 2008-03-24 2008-03-24 고주파 전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043A KR100974420B1 (ko) 2008-03-24 2008-03-24 고주파 전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31A KR20090101731A (ko) 2009-09-29
KR100974420B1 true KR100974420B1 (ko) 2010-08-05

Family

ID=41359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043A KR100974420B1 (ko) 2008-03-24 2008-03-24 고주파 전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8871B1 (ko) * 2018-05-04 2020-02-19 정연문 척추 시술용 전극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258A (ja) 1997-05-20 1999-03-23 Cordis Webster Inc 可撓性先端電極を有するカテーテル
WO2000071043A1 (en) * 1999-05-21 2000-11-30 Arthrocar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surgical treatment of intervertebral discs
WO2002011635A1 (en) * 2000-08-09 2002-02-14 Arthrocare Corporatio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al disorders
JP2005296304A (ja) * 2004-04-12 2005-10-27 Pentax Corp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76258A (ja) 1997-05-20 1999-03-23 Cordis Webster Inc 可撓性先端電極を有するカテーテル
WO2000071043A1 (en) * 1999-05-21 2000-11-30 Arthrocar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electrosurgical treatment of intervertebral discs
WO2002011635A1 (en) * 2000-08-09 2002-02-14 Arthrocare Corporation Apparatus for treatment of spinal disorders
JP2005296304A (ja) * 2004-04-12 2005-10-27 Pentax Corp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1731A (ko) 2009-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8142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US6749605B2 (en) Catheter for delivery of energy to a surgical site
JP6580034B2 (ja) 標的神経線維の調節
USRE42016E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713069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US8801705B2 (en) Electro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issue within a bone body
TW201223585A (en) Catheter apparatuses having multi-electrode arrays for renal neuromodulation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JP2004528132A (ja) ループ状プローブを用いた椎間板装置
EP2468206A1 (en) Direction-controllable electrode body for selectively removing bodily tissue, and guide pipe
JP2004528133A (ja) 電磁エネルギー供給椎間板治療装置
JP2004528927A (ja) 可撓性プローブを用いた椎間板装置
JP2004529721A (ja) 湾曲したシースを用いる椎間板装置
WO2005122938A1 (en) Electrosurgical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tissue within a bone body
JP2016538054A (ja) 気管支疾患の治療のための胸腔鏡検査方法
JP2009513296A5 (ko)
JP2003523258A (ja) 椎間板内に進入するとともにその内部で機能を行う装置および方法
KR101096811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향 조절이 가능한 전극체 및 유도관
JP2020530785A (ja) アブレーション能力を有する低侵襲関節運動アセンブリ
KR101626958B1 (ko) 다중 전극을 구비한 고주파 카테터
KR100974420B1 (ko) 고주파 전극 장치
EP3013285A1 (en) Implant device with spine and c-ring
KR100802148B1 (ko) 신체조직의 선택적 제거를 위한 방사주파수 전극체
KR101232933B1 (ko) 내부 루멘을 구비한 전기적 외과 시술장치
KR101610291B1 (ko)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WO2004011092A1 (en) Method and device to treat back pai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