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249B1 -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 Google Patents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249B1
KR102403249B1 KR1020200059540A KR20200059540A KR102403249B1 KR 102403249 B1 KR102403249 B1 KR 102403249B1 KR 1020200059540 A KR1020200059540 A KR 1020200059540A KR 20200059540 A KR20200059540 A KR 20200059540A KR 102403249 B1 KR102403249 B1 KR 102403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intubation
unit
shap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9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42849A (ko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오유닛
Priority to KR1020200059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249B1/ko
Publication of KR20210142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2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6Powered trocars, e.g. electrosurgical cutting, lasers, powered kn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17/3439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 A61B2017/3441Cannulas with means for changing the inner diameter of the cannula, e.g. expandable with distal sea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059Material properties
    • A61B2018/00071Electrical conductivity
    • A61B2018/00083Electrical conductivity low, i.e. electrically insu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053Mechanical features of the instrument of device
    • A61B2018/00107Coatings on the energy applica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571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achieving a particular surgical effect
    • A61B2018/00595Cauteriz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64Features of probes
    • A61B2018/0097Cleaning probe su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206Generators therefor
    • A61B2018/124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 A61B2018/126Genera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output polarity bipo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05Electrodes having a specific shape
    • A61B2018/1417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2018/1475Electrodes retractable in or deployable from a hou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장막이 삽관에서 전극의 자유로운 보장하면서도 삽관과 전극의 사이공간으로 혈액 등과 같은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이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해 삽관과 전극 사이에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Bipolar electrocautery device with elastic diaphragm}
본 발명은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술과정에서 혈액 등과 같은 조직내 체액과 분비물이 건극과 삽관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기기 오작동과 시술인의 실수로 인해 원하지 않는 부위의 조직에 고주파가 인가되는 의료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전극끝단부가 신장막에 의해 삽관내에 내재되어 구성할수 있는 전기 소작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 전극을 이용하여 체내의 조직을 시술하는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높은 수술 안전성을 제공하고, 또한, 병원의 입원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으며 수술 후에도 부작용 위험을 줄여주는 등 다양한 장점이 있다.
통상, 고주파 전기 소작기는 조직으로 삽입되는 캐뉼라관 내부에서 양극전극과 음극전극을 포함하는 전극체가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조직에 고주파를 가하게 된다.
시술자는 전기 소작기의 시술과정에서 시술부위가 신경, 경조직 등에 의해 전극 팁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가려져 있을 경우, 시술부위와, 전극체의 일단부위의 절곡 방향 등을 미리 고려해 캐뉼라관의 삽입상태에서 전극체의 일단부위를 곡선으로 절곡 가능하게 조작하여, 전극 팁이 시술부위 주변의 신경, 경조직 등을 회피해 시술부위에 정확히 도달할 수 있도록 시술하게 된다.
특히, 전극체는 캐뉼라관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만큼 쇼트 방지를 위해 절연체로 피복되어야 하는데, 이때, 절연체에 의해 전극체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은 물론이고, 이를 수용하는 캐뉼라관의 직경까지 커지게 되어 최소침습수술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내기경수술하에 내시경으로 전극이 들어가지 않거나, 미세혈과 신경 등의 조직의 정밀성을 요하는 시술부위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하지 못하였다
아울러, 종래 전기 소작기들은 캐뉼라관을 조직 내로 삽입시키는 과정, 혹은, 조직 내에서 전극체를 돌출 조작하는 과정에서, 혈액 등과 같은 체액과 분비물이 캐뉼라관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캐뉼라관과 전극체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시키도록 캐뉼라관과 전극체를 기밀하게 접촉시켜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캐뉼라관과 전극체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전극체의 원활한 작동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더욱이, 마찰력이 반복적으로 누적될 경우 전극체 외피 내구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캐뉼라관과 전극체 사이에 유격을 부여할 경우, 유격에 의해 발생된 공간으로 혈액 등의 체액이 유입되어 전극 팁에 고착된다거나, 유입된 체액과 분비물이 본체까지 타고 흘러가, 기기의 쇼트 등의 오작동을 유발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고착된 체액과 분비물로 인해 세척, 멸균과 같은 전기 소작기의 필수 유지, 보수 과정에 어려움이 뒤따른다.
등록특허 10-122763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신장막이 삽관에서 전극의 자유로운 보장하면서도 삽관과 전극의 사이공간으로 혈액 등과 같은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이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해 삽관과 전극 사이에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전기 소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양극관의 외피 절연체를 생략하도록 구성하여 전극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전기 소작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삽관; 상기 삽관 내부에서 상기 삽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일단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 및 상기 삽관과 전극부의 일단을 상호 연결해 삽관과 전극부 사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며, 상기 전극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삽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신장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관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부는,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이 고정되는 양극관; 및 절연코드에 커버링된 상태에서 상기 양극관의 내부로 배선되되 전극팁이 상기 절연코드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음극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삽관은 절연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극부는,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이 고정되는 절연코드; 상기 절연코드의 내부로 배선되되 전극팁이 상기 절연코드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양극와이어; 및 상기 양극와이어에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코드의 내부로 배선되되 전극팁이 상기 절연코드의 외주연으로 둘러지는 밴드형 전극팁으로 구성되는 음극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극부는, 상기 삽관 내부에서 일측이 직선으로 펴진 제1 형상과 삽관의 일단으로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이 형상 기억에 따라 호 형태로 복원되는 제2 형상을 선택적으로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전극부는,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이 고정되며 절연판에 의해 내부가 양극공간 및 음극공간으로 구획 형성되는 절연코드; 및 상기 양극공간과 음극공간에 각각 수용되며 일단에 전극팁이 형성되고 일측이 호 형태로 절곡된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내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삽관이 장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가이드홀로 노출되는 조절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부를 전, 후 방향으로 견인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부의 타단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한 쌍의 전극와이어와 전원공급부 사이에 신장 또는 압축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의 제2 형상 변형시 각각의 전극와이어의 호의 길이차에 의해 발생되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 각각의 길이차이를 보상하는 보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며 타단이 개방 형성되는 외부케이싱; 및 상기 외부케이싱의 개방된 타단으로 장착되며, 내부로 상기 보상부재를 매개로 하는 전극와이어와 전원공급부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신장막이 삽관에서 전극의 자유로운 보장하면서도 삽관과 전극의 사이공간으로 혈액 등과 같은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사이공간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해 삽관과 전극 사이에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체액과 분비물에 의한 기기 고장을 방지하고, 보다 위생적인 사용 및 관리가 가능해지는 이점을 제공한다.
또한, 양극관의 외피 절연체를 생략하도록 구성하여 전극부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에서 삽관의 일단부위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삽관과 전극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전기 소작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삽관의 일단부위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삽관과 전극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 및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전기 소작기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소작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기 소작기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7의 전기 소작기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a는 전극부의 제1 형상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전극부의 제2 형상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2는 전극부의 제2 형상 변형시 전극와이어에 발생하는 길이차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작동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전기 소작기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보상절곡부와 실링캡이 적용된 전기 소작기의 실시예에서 전극부와 전원공급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7 내지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전기 소작기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소작기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에서 삽관의 일단부위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서 삽관과 전극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소작기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삽관(110), 상기 삽관(110) 내부에서 상기 삽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일단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200) 및 상기 삽관(110)과 전극부(200)의 일단을 상호 연결해 삽관(110)과 전극부(200) 사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며, 상기 전극부(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삽관(1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신장막(6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삽관(110)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절연체 소직경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전극부(200)를 조직 내 시술부위까지 안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극부(200)는 삽관(110)과 평행하게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후술 될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단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전극부(200)는 삽관(110)의 내경보다 작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며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600)이 고정되는 양극관(221) 및 절연코드(210)에 커버링된 상태에서 상기 양극관(221)의 내부로 배선되되 전극팁(222a)이 상기 절연코드(210)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음극와이어(2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양극관(221)은 상기 삽관(110)의 동심원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관(221)의 내부에 절연코드(210)에 커버링된 음극와이어(222)가 배선될 수 있다. 그리고, 음극와이어(222)의 일단에 형성된 전극팁(222a)이 절연코드(210)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므로 양극관(221)과 음극와이어(222)는 절연코드(210)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절연되어 전기적인 분리구조를 갖출 수 있다.
양극관(221)은 삽관(110) 내부에서 원활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외경이 삽관(11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바 양극관(221)과 삽관(110)의 일단 사이 지점에는 미세하게나마 사이공간(S)이 개방될 우려가 있다.
시술 과정에서 상기 사이공간(S)으로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될 우려에 대해, 상기 신장막(600)이 사이공간(S)의 개방된 부분을 폐쇄함으로서 상기 사이공간(S)으로의 체액과 분비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실현된다.
사이공간(S)을 폐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양극관(221)을 별도 절연체로 커버링할 필요 없게 되며, 이를 통해 전극부(20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신장막(600)은 박막 도넛 형태로 구성되며 외직경부위는 삽관(110)의 일단에, 내직경부위는 양극관(221)의 일단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 있다.
신장막(600)은 삽관(110)의 중심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직선이동할 수 있는 전극부(200)의 특징을 고려해 신축 가능한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장막(600)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00)가 후방으로 상대이동한 상태에서는 삽관(11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도록 구성되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00)가 전방으로 상대이동하여 음극와이어(222)의 일단이 외부로 돌출되게 구성될 경우 돌출된 음극와이어(222)의 일단과 비례하게 신장되면서 외부로 전개되는 형태를 갖추게 된다.
즉, 상기 신장막(600)은 전극부(200)의 자유로운 전, 후 방향 왕복이동을 보장하면서도, 삽관(110)과 전극부(200) 사이공간(S)으로 체액과 분비물이 유입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 소작기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작동부(300) 및 전원공급부(4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본체(100)는 내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중공형 삽관(110)이 장착되며 타단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내부로 장착되며 상기 상기 전극부(200)를 견인하도록 동작한다.
작동부(300)에는 조절레버(340)가 형성될 수 있으며, 본체(100)의 외주면에는 조절레버(340)가 노출되어 주행할 수 있는 가이드홀(140)이 전, 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작동부(300)가 본체(100) 내부에 수용되면 본체(100) 외측으로 조절레버(340)가 노출될 수 있으며, 시술자는 상기 조절레버(340)를 전, 후 방향으로 조작해 본체(100) 내부에서 작동부(300)를 전, 후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작동부(300)는 본체(100) 내부를 가로질러 연장되는 전극부(200)의 외면을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체(100)의 개방된 타단에는 마감커버(330)가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상기 전극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부(200)의 타단에 접속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400)는 전극부(200)를 향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부(300)에 의해 전방으로 견인될 전극부(200)의 변위량을 고려해 나선형으로 감긴 코일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100)와 작동부(300) 사이에는 복원부재(12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재(120)는 작동부(300)를 후방으로 탄성견인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작동부(30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상기 복원부재(120)는 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다.
정리하면, 시술시 조절레버(340)를 전방으로 조작해 작동부(3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이에 전극부(200)가 연동하여 작동부(3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때, 삽관(110)과 양극관(221) 사이에 사이공간(S)이 마련되기 때문에 전극부(200)의 왕복이동시 삽관(110)과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전극부(200)의 원활한 조작성을 보장한다.
또한, 신장막(600)이 사이공간(S)을 폐쇄하고 있으므로, 체액과 분비물의 유입을 막을 수 있고, 아울러, 양극관(22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양극관(221)을 별도 절연체 피복으로 감싸 구성할 필요가 없어 전극부(200)의 두께를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할 수 있다.
전술한 본체(100), 작동부(300) 및 전원공급부(400)의 구성은 하나의 예시로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전극부 부분에서만 일부 차이가 있으므로, 전극부에 대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전기 소작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삽관의 일단부위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실시예에서 삽관과 전극부의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전극부(200)는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600)이 고정되는 절연코드(210), 상기 절연코드(210)의 내부로 배선되되 전극팁(221a)이 상기 절연코드(210)의 일단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양극와이어(221) 및 상기 양극와이어(221)에 이격되도록 상기 절연코드(210)의 내부로 배선되되 전극팁(222a)이 상기 절연코드(210)의 외주연으로 둘러지는 밴드형 전극팁으로 구성되는 음극와이어(22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절연코드(210)는 삽관(110)의 동심원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삽관(110)의 내경보다 작은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600)이 고정될 수 있다. 절연코드(210)의 내부에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가 각각 구분되게 배선될 수 있다.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전극팁(221a,222a) 각각은 절연코드(21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특히, 양극와이어(221)의 일단에 형성된 전극팁(221a)은 절연코드(210)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음극와이어(222)의 전극팁(222a)은 양극와이어(221)의 전극팁(221a)에서 이격되도록 절연코드(210)의 외주연에 밴딩되어 구성되므로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가 서로 절연되어 전기적인 분리구조를 갖출 수 있다.
절연코드(210)는 삽관(110) 내부에서 원활한 직선이동이 가능하도록 그 외경이 삽관(110)의 내경보다 작게 구성되는 바 절연코드(210)와 삽관(110)의 일단 사이 지점에는 미세하게나마 사이공간(S)이 개방될 우려가 있다.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사이공간(S)으로의 체액과 분비물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도록 신장막(600)이 설치된다.
신장막(600)의 외직경부위는 삽관(110)의 일단에, 내직경부위는 음극와이어(222)의 전극팁(222a)보다 후방에 위치된 절연코드(210)의 외주연 상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 소작기는 본체(100), 작동부(300), 전원공급부(400) 및 마감캡(33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사항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전기 소작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전기 소작기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7의 전기 소작기의 전체적인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a는 전극부의 제1 형상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b는 전극부의 제2 형상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전극부의 제2 형상 변형시 전극와이어에 발생하는 길이차이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8에 도시된 작동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5는 도 9에 도시된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전기 소작기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6은 보상절곡부와 실링캡이 적용된 전기 소작기의 실시예에서 전극부와 전원공급부의 분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7 내지 도 18은 도 16에 도시된 전기 소작기의 작동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기 소작기는 도 7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삽관(110), 내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삽관(110)이 장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140)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100), 상기 삽관(110) 내부에서 상기 삽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일단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200), 상기 삽관(110)과 전극부(200)의 일단을 상호 연결해 삽관(110)과 전극부(200) 사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며, 상기 전극부(200)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삽관(1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신장막(600), 상기 가이드홀(140)로 노출되는 조절레버(340)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부(200)를 전, 후 방향으로 견인하는 작동부(300) 및 상기 전극부(2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부(200)의 타단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본체(100)에 대해 작동부(300)가 전, 후 방향으로 상대이동하면, 이에 전극부(200)가 연동하여 작동부(30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즉, 삽관(110)의 일단으로 노출되는 전극부(200)의 길이 변형은 단순히, 상기 작동부(300)의 조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삽관(110)은 전, 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소직경 경직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전극부(200)의 전극팁(221a.221a)을 조직 내 시술부위까지 안내할 수 있다. 삽관(110)과 본체(100)는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거나, 필요에 따라 본체(100)에서 삽관(110)을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본체(100)와 작동부(300) 사이에는 복원부재(120)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복원부재(120)는 작동부(300)를 후방으로 탄성견인하여, 전방으로 이동된 작동부(300)를 원위치로 복원시킨다. 상기 복원부재(120)는 본체(100)에 내장될 수 있다.
전극부(200)는 전원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통해 일단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킨다. 전극부(200)는 상기 삽관(110), 본체(100) 및 작동부(300)의 내부에 연이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극부(200)는 삽관(110) 내부에서 일측이 직선으로 펴진 제1 형상과 삽관(110)의 일단으로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이 형상 기억에 따라 호 형태로 복원되는 제2 형상을 선택적으로 가질 수 있다.
전극부(2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부(300)의 조작에 따라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으로 형태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작동부(300)가 복원부재(120)에 의해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가 되면 전극부(200)의 일측이 삽관(110) 내부로 수용되는 제1 형상이 되고, 작동부(3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이에 따라 전극부(200)가 전방으로 견인되면서 전극부(200)의 일측이 삽관(110)의 개방된 일단으로 노출되는 제2 형상이 되며, 이때 전극부(200)의 일측은 원상태인 호 형태로 복원되면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극부(2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600)이 고정되며 절연판(213)에 의해 내부가 양극공간(211) 및 음극공간(212)으로 구획 형성되는 절연코드(210), 상기 양극공간(211)과 음극공간(212)에 각각 수용되며 일단에 전극팁(221a,222a)이 형성되고 일측이 호 형태로 절곡된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와 전원공급부(400) 사이에 신장 또는 압축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200)의 제2 형상 변형시 각각의 전극와이어(220)의 호의 길이차에 의해 발생되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각각의 길이차이(W)를 보상하는 보상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절연코드(210)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를 감싸도록 구성되어 전극와이어(220)의 단락을 방지한다.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각각은, 상기 양극공간(211)에 배선되는 양극와이어(221) 및 상기 음극공간(212)에 배선되는 음극와이어(222)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일단에는 전극팁(221a,222a)이 각각 형성되어 절연코드(210)의 일단으로 노출되고 타단은 상기 절연코드(210)의 타단으로 노출되어 분기된 다음 보상부재(230)를 매개로 전원공급부(400)에 접속될 수 있다.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는 동일한 길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측이 호 형태로 절곡 형성된 상태에서 가공될수 있다. 이때, 전극부(200)가 제1 형상으로 있을 때는 삽관(110)에 의해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가 삽관(110)과 평행하게 직선으로 펴진 상태로 전개되어 있다가, 작동부(300)에 의해 전극부(200)의 일측이 외부로 노출되면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일측이 호 형태로 원상복구되면서 제2 형상을 갖추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소작기는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를 개별적으로 당겨줄 필요 없이도 전극부(200)의 전, 후 이동에 따라 전극부(200)의 일측을 호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보상부재(230)는 전극부(200)의 제2 형상 변형시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 사이에 발생되는 길이차이(W)를 보상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형상의 전극부(200)가 제2 형상으로 변형되면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가 서로 같은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호 길이(C1,C2)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전극팁(221a,222a)이 서로 어긋나게 되거나,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타단에 길이차이(W)를 발생시키게 된다.
즉, 보상부재(230)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타단에서 전극부(200)의 제2 형상 변형시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길이차이(W)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 전극팁(221a,222a)이 서로 어긋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보상부재(230)는 상기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각각을 전원공급부(400)에 개별적으로 연결시키는 한 쌍의 스프링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00)가 제2 형상으로 변형되면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연결된 보상부재(230)가 신장되면서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타단 길이차이(W)를 보상한다.
이어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부(200)가 제1 형상으로 변형되면 신장되었던 보상부재(230)가 압축되면서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타단을 일치시킨다.
한편, 보상부재(230)는 전원공급부(400)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을 전극와이어(220)로 전도시킬 수 있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공급부(400)는 전극부(200)를 향해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 형태로 구성된다. 전원공급부(4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은 보상부재(230)를 통해 전극와이어(220)로 전도될 수 있다.
작동부(300)는 본체(100)의 내부에서 직선 왕복운동할 수 있다. 작동부(300)의 전방 직선운동은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으로 이동된 작동부(300)의 전방 견인력을 해제하면, 복원부재(12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작동부(300)가 원위치인 후방으로 밀려날 수 있다.
작동부(30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전극부(200)도 전방으로 견인되어 제2 형상으로 변형되고, 작동부(30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이에 연동하여 전극부(200)도 후방으로 견인되어 제1 형상으로 복귀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작동부(30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의 내부로 삽입되며 타단이 개방 형성되는 외부케이싱(310) 및 상기 외부케이싱(310)의 개방된 타단으로 장착되며, 내부로 상기 보상부재(230)를 매개로 하는 전극와이어(220)와 전원공급부(400)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싱(3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외부케이싱(310)의 일단에는 전극부(200)가 통과하는 통과공(31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내부케이싱(320)은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위해 외부케이싱(310)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아울러, 내부케이싱(320) 자체를 2조 한 쌍으로 분할 구성하여 내공간을 쉽게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특히, 내부케이싱(320)의 내부에는 전극와이어(220), 보상부재(230) 및 전원공급부(400)의 상호 연결부분이 위치하게 되므로, 반복 사용에 따른 단선 발생시, 이를 쉽게 보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요구한다.
내부케이싱(320)의 외측으로는 제2 가이드부재(3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외부케이싱(310)의 개방된 타단 내주면에는 상기 제2 가이드부재(321)에 상보적인 제2 가이드홈(미도시)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이드부재(321)가 제2 가이드홈에 일치됨으로써 내부케이싱(320)이 외부케이싱(310) 내부에서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내부케이싱(320)의 내부에는 구획판(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구획판(322)을 중앙에 두고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타단이 배선될 수 있다. 그리고, 구획판(322)을 중앙에 두고 한 쌍의 보상부재(230)가 각각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판(322)은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 또는 한 쌍의 보상부재(230)가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내부케이싱(320)의 일단에는 절연코드(210)가 통과하는 통과공(32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신장막(600)은 박막 도넛 형태로 구성되며 외직경부위는 삽관(110)의 일단에, 내직경부위는 절연코드(210)의 일단에 각각 고정설치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내부케이싱(320)의 내면에 지지되어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재(22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방지부재(223)는 사각형 판상으로 이루어진 상태에서 내부케이싱(32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내부케이싱(320) 내부에 충분한 면적으로 지지되어 전극부(200)의 상대회전운동을 방지한다.
전기 소작기의 시술과정에서 시술부위가 신경, 경조직 등에 의해 전극팁(221a,222a)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위치에 가려져 있을 경우, 전극부(200)의 일단부위를 곡선으로 절곡 가능하게 조작하여, 전극팁(221a,222a)이 시술부위 주변의 신경, 경조직 등을 회피할 수 있게 되는데, 이때, 전극부(200)의 돌출 길이가 길어질 경우 전극부의 조작 과정에서 삽관(110), 본체(100), 작동부(300) 등에서 상대회전되는 현상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만일, 전극부(200)가 조직 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불측의 사유로 상대회전될 경우, 곡선 형태로 절곡된 전극부(200) 일측부분이 큰 반경을 그리며 회전해 주변 조직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발생하거나, 전극팁(221a,222a)을 원하는 위치에 정확히 위치시킬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극부(200)가 작동부(300)와 연동해 전, 후 방향으로 반복적인 왕복 직선운동이 일어나면 전극부(200)의 미세 각운동에 의해 내부케이싱(320) 내부에서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 또는, 한 쌍의 복원부재(120)가 서로 엉켜 꼬이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전극부(200)는 전극와이어(220)의 타단에 회전방지부재(223)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방지부재(223)가 내부케이싱(320)의 내면에 충분한 면적으로 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전극부(200)의 상대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춘다.
이에 더하여, 상기 내부케이싱(320)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223)를 전, 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릿(324)이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가이드슬릿(324)은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회전방지부재(223)를 각각 수용하도록 내부케이싱(320)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방지부재(223)를 가이드슬릿(324)에 삽입되도록 구성하면, 회전방지부재(223)를 내부케이싱(320)의 내면에 밀착시킬 필요 없이도 양 회전방지부재(223)가 가이드슬릿(324)에 구속된 상태가 되어 작동부(300)의 회전운동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지고, 아울러, 회전방지부재(223)가 가이드슬릿(324)을 타고 전, 후 방향 이동이 허용되므로 전극부(200)의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의 변형시 내부케이싱(320)과 전극부(200)의 회전방지부재(223) 사이에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전극부(200)에는 전술한 보상부재(230) 및 회전방지부재(223)의 기능을 대신하도록 보상절곡부(240)와 실링캡(250)이 대체 마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의 전기 소작기에서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각각의 타단은 전극부(200)의 제2 형상 변형시 각각의 전극와이어(220)의 호의 길이차에 의해 발생되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220) 각각의 타단 길이차이(W)를 보상하도록 다수 회 절곡 구성되는 보상절곡부(240)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상절곡부(240)에는 원통 형상의 실링캡(250)이 커버링될 수 있다.
상기 실링캡(250)은 상기 보상절곡부(240)를 커버링한 상태에서 전원공급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을 갖춘다.
즉, 전원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상기 실링캡(250)을 통해 전극와이어(220)로 인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실링캡(250)은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상절곡부(240)는 실링캡(250) 내부에 단순 삽입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렇게 되면, 전극부(200)의 제2 형상 변형시 실링캡(250)으로부터 보상절곡부(240)를 포함한 전극와이어(220)의 타단 일부가 배출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게 된다.
실링캡(250)은 내부로 보상절곡부(240)를 포함하는 전극와이어(220)의 타단 수용하도록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상절곡부(240)는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타단이 다수 회 절곡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양극와이어(221)와 음극와이어(222)의 보상절곡부(240)는 서로 동일한 구조에 대칭 형성되는 것이므로, 이하, 양극와이어(221)에 형성된 보상절곡부(240)를 기준으로, 보상절곡부(240)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7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절곡부(240)는 양극와이어(221)의 타단에서 반대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제1 절곡부(241)와 상기 제1 절곡부(241)에서 양극와이어(221)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곡 연장되어 실링캡(250)의 외부로 노출 형성되는 제2 절곡부(24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때 내부케이싱(320)은 내부로 상기 실링캡(250)을 매개로 하는 전극와이어(220)와 전원공급부(400)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극부(200)가 제2 형상으로 변형되면 실링캡(250) 내부에서 양극와이어(221)가 전방으로 당겨지면서 실링캡(250) 내부에서 양극와이어(221)의 타단 일부분이 배출된다. 이때, 양극와이어(221)의 타단 일부분과 제1 절곡부(241)가 실링캡(250) 내부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어, 전원공급부(400)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무리 없이 공급받을 수 있다.
아울러, 제2 절곡부(242)가 제1 절곡부(241)에서부터 실링캡(250)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절곡부(242)가 내부케이싱(320)의 내부에 지지되거나, 전술한 가이드슬릿(324)에 삽입된 채 가이드슬릿(324)에 의해 전, 후 방향으로 안내될 수 있어, 전극부(200)의 회전운동을 방지하고 전극부(200)의 제1 형상 또는 제2 형상의 변형시 내부케이싱(320)과 전극부(200)의 회전방지부재(223) 사이에 마찰저항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즉, 제2 절곡부(242)는 전술한 회전방지부재(223)와 동일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10: 삽관 200: 전극부 600: 신장막

Claims (6)

  1. 중공형으로 이루어지는 삽관;
    상기 삽관 내부에서 상기 삽관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되며 전원을 공급받아 일단에서 고주파를 발생시키는 전극부; 및
    상기 삽관과 전극부의 일단을 상호 연결해 삽관과 전극부 사이의 개방된 일단을 폐쇄하며, 상기 전극부의 왕복 이동에 따라 상기 삽관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전개되도록 구성되는 신장막;을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삽관 내부에서 일측이 직선으로 펴진 제1 형상과 삽관의 일단으로 노출되어 노출된 부분이 형상 기억에 따라 호 형태로 복원되는 제2 형상을 선택적으로 가지며,
    상기 전극부는,
    외주연을 따라 상기 신장막이 고정되며 절연판에 의해 내부가 양극공간 및 음극공간으로 구획 형성되는 절연코드; 및
    상기 양극공간과 음극공간에 각각 수용되며 일단에 전극팁이 형성되고 일측이 호 형태로 절곡된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내공간이 형성되고 일단에 상기 삽관이 장착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홀이 관통 형성되는 본체;
    상기 가이드홀로 노출되는 조절레버가 형성되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전, 후 방향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극부를 전, 후 방향으로 견인하는 작동부; 및
    상기 전극부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상기 전극부의 타단에 접속되는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극부는,
    상기 한 쌍의 전극와이어와 전원공급부 사이에 신장 또는 압축되도록 연결되어 상기 전극부의 제2 형상 변형시 각각의 전극와이어의 호의 길이차에 의해 발생되는 한 쌍의 전극와이어 각각의 길이차이를 보상하는 보상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본체의 내부로 삽입되며 타단이 개방 형성되는 외부케이싱; 및
    상기 외부케이싱의 개방된 타단으로 장착되며, 내부로 상기 보상부재를 매개로 하는 전극와이어와 전원공급부의 연결부분을 수용하는 내부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전극와이어 각각의 타단에는 상기 내부케이싱의 내면에 지지되어 한 쌍의 전극와이어의 회전운동을 제한하는 회전방지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내부케이싱에는 상기 회전방지부재를 전, 후 방향으로 가이드하는 가이드슬릿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KR1020200059540A 2020-05-19 2020-05-19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KR1024032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40A KR102403249B1 (ko) 2020-05-19 2020-05-19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9540A KR102403249B1 (ko) 2020-05-19 2020-05-19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49A KR20210142849A (ko) 2021-11-26
KR102403249B1 true KR102403249B1 (ko) 2022-06-02

Family

ID=787002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9540A KR102403249B1 (ko) 2020-05-19 2020-05-19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2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320B1 (ko) * 2008-04-15 2010-12-13 (주) 태웅메디칼 바이폴라 전극 방식의 가이드 와이어 및 이를 이용한카테터 시스템
KR101227635B1 (ko) 2010-10-13 2013-02-01 유앤아이 주식회사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KR101565958B1 (ko) * 2014-03-24 2015-11-05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시경
KR101610291B1 (ko) * 2014-07-16 2016-04-07 주식회사 원메드텍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KR20170121499A (ko) * 2016-04-25 2017-11-02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처치장치
AU2017254847A1 (en) * 2016-11-28 2018-06-14 Neuravi Limited Devices and methods for removal of acute blockages from blood vess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849A (ko) 2021-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3063B2 (en) Electrosurgical device and system
EP2679191B1 (en) Helical connector assembly
EP2341847B1 (en) Bipolar cautery instrument
EP2554131B1 (en) Treatment tool for endoscope
US5716354A (en) Endoscopic instrument with rotatable instrument coupling
EP2313018A1 (en) Backend mechanism for four-cable wrist
US11771493B2 (en) Treatment apparatus for endoscope, endoscope, and expandable frame
CN113038897B (zh) 用于将电外科发生器和电外科器械互连的接口接合部
KR20050048464A (ko) 조직 치료를 위한 전자 수술 전극
JP2019103804A (ja) プローブアプリケータ
KR102403249B1 (ko) 신장막을 구비한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EP2742889B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and shaft
KR102621839B1 (ko) 조립이 용이한 바이폴라 전극
TW201806559A (zh) 去神經支配導管
WO2023278287A1 (en) Medical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KR102419563B1 (ko) 고주파 열치료술 바이폴라 전기 소작기
JP2009022623A (ja) 内視鏡用バイポーラ型高周波処置具
GB2520112A (en) Electrode assembly
CN113543941B (zh) 手术辅助机器人用手术工具
CN211583469U (zh) 一种单通道高频电刀
JP2023523858A (ja) 内視鏡手術用電極アセンブリ
CN115944376A (zh) 电外科器械
CN110897708A (zh) 一种单通道高频电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