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3037B1 - 고주파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3037B1
KR101463037B1 KR1020140043659A KR20140043659A KR101463037B1 KR 101463037 B1 KR101463037 B1 KR 101463037B1 KR 1020140043659 A KR1020140043659 A KR 1020140043659A KR 20140043659 A KR20140043659 A KR 20140043659A KR 101463037 B1 KR101463037 B1 KR 101463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haft
locking
nozzle tip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기
Original Assignee
제이엠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엠티(주) filed Critical 제이엠티(주)
Priority to KR102014004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3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3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3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51Spinal or peripheral nerve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339Spine, e.g. intervertebral dis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전선형태의 (+) 및 (-) 전극을 전,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극 노즐팁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단순화시킨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치료 장치{High Frequency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샤프트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전선형태의 (+) 및 (-) 전극을 전, 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극 노즐팁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단순화시킨 고주파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통은 인간의 약 60~90%가 겪는 질병이며 원인 질환 중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퇴행성 추간판 질환이다. 퇴행성 추간판 질환은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와 관련된 증상을 일컫는 증후군으로, 추간판의 퇴행성 변화가 만성 요통을 유발하는 기진은 다음의 두 가지로 설명된다. 첫째, 섬유륜의 퇴행, 손상에 의한 기계적인 부하로 인하여 수핵의 기질이 섬유륜 바깥쪽으로 유출된 후, 척추 부근의 신경을 압박하여 요통을 초래한다. 둘째, 손상된 섬유륜 주위로 비만세포(mast Cell)가 증식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염증 주위로 비만세포(mast Cell)가 증식하고 이로부터 다양한 엄중매개체들이 유리되면서 더욱 통증에 민감하게 된다.
이러한 요통을 치료하기 위하여 많은 방법이 소개되어 왔으며, 크게 약물 및 물리치료를 포함한 보존적치료와, 척추유합술, 추간판 절제술, 인공 추간판 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로 나눌 수 있다. 수술적 치료, 특히 척추유합술은 결정적 치료법이기는 하나 전신마취, 출혈 등 여러 가지 불가피한 위험요소가 동반된다.
상기 추간판 탈출증을 치료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비외과적 수술로서 전극을 추간판 내부 조직에 삽입한 후, 전극에 고주파를 인가하여, 전극 주위에 있는 수핵의 구성물질을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상태로 제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고주파를 이용한 방법은 외과적 수술법에 비해 병원의 입원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고 수술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수술 후에도 부작용 위험을 줄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시술을 위해서는 전극이 원하는 인체 부분까지 접근하여야 하는데, 직선형태의 전극을 이용할 경우에는 인체 내에서 접근할 수 있는 부분이 극히 제한적이므로, 전극을 인체 내에서 휘게 하여 원하는 인체 부분에 도달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국내등록특허 제10-0974420호 등에 제시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 고주파 치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고주파 치료 장치는 고주파를 이용하여 신체 내부의 신체조직을 조직을 국소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고주파 전극장치(10) 및 조작기(20)를 포함한다. 고주파 전극장치(10)는 신체를 관통하여 신체조직 내부로 삽입되는 튜브(11), 상기 튜브(11)의 제1측 끝단(11a)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주파가 인가되는 전극쌍(12) 및 상기 전극쌍(12)으로부터 상기 튜브(11)를 거쳐 조작기(20)에 연결되는 두 개의 강선(13), 즉 제 1, 2 강선(13a, 13b)을 포함한다. 제 1, 2 강선(13a, 13b)은 조작기(20)의 방아쇠(21)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방아쇠(21)를 조작하여 제1강선(13a)을 당기게 되면, 튜브(11a)의 제1측 끝단(11a)이 제1강선(13a) 쪽으로 휘어지게 되고, 사용자가 방아쇠(21)를 조작하여 제2강선(13b)을 당기게 되면, 튜브(11)의 제1측 끝단(11a)이 제2강선(13b) 쪽으로 휘어지게 되어, 전극쌍(12)이 시술이 요구되는 국소부위에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 고주파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시술을 하다 보면, 전극쌍이 휘어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오랫동안 시술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위해서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된 방아쇠가 임의로 움직이지 않도록, 방아쇠의 이동을 제어해야 하는데, 종래 고주파 치료 장치는 방아쇠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없어, 시술과정에서 전극쌍의 휘어진 각도에 변화가 생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극쌍이 시술이 요구되는 국소부위를 벗어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974420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샤프트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전선형태의 (+) 및 (-) 전극을 전,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극 노즐팁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단순화시킨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전선형태의 (+) 및 (-) 전극을 다수의 강선(鋼線)(121,131)을 꽈배기 형태로 꼬아서 그 외주연에 절연코팅함으로써, 동작시 일부 강선이 끊어지더라도 그 전기적 연결이 지속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강성(强性)이 제고(提高)될 수 있는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 및 (-)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긴 직사각판상으로 압연함으로써, 시술시나 동작시에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고주파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 금속성의 상하부 전극 노즐 팁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상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상기 샤프트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전극을 전,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다수개의 강선이 꽈배기 형태로 꼬여진 형태이며, 그 외주연이 절연 코팅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 전극은 그 일단부에서 긴 직사각판상으로 압연되는 압연부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샤프트의 내부를 따라 위치되며 그 전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전단에는 상호 분리되는 상기 금속성의 상하부 전극 노즐팁으로 이루어진 전극 노즐팁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상기 튜브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각 일단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을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극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전극이 경유하여 상부 전극 노즐팁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가 상기 제 1 전극의 진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의 전진 방향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상기 제 1 전극의 전진 방향 길이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튜브의 전단부가 일정 길이만큼 전진 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제 1 전극의 일단부는 더 이상 전진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 압력 또는 후방 압력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되되, 상기 제 1 전극이 고정되는 이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되, 그 단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록킹부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회전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록킹부의 단부가 회전되는 라인을 따라, 상기 록킹부의 단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록킹부의 단부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록킹부의 단부보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해제부가 각각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부의 단부에는 고정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부는 상기 이동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부가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할 때, 상기 록킹부의 단부는 상기 걸림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걸림 위치되고, 상기 이동부가 후진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의 이동을 제한할 때, 상기 록킹부의 단부는 상기 걸림부의 길이방향 타단부에 걸림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는, 샤프트 내부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전선형태의 (+) 및 (-) 전극을 전,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형성된 전극 노즐팁의 방향을 용이하게 조절함과 동시에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전선형태의 (+) 및 (-) 전극을 다수의 강선(鋼線)(121,131)을 꽈배기 형태로 꼬아서 그 외주연에 절연코팅함으로써, 일부 강선이 끊어지더라도 그 전기적 연결이 지속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강성(强性)이 제고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 및 (-)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일단부를 긴 직사각판상으로 압연함으로써, 시술시나 동작시에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고주파 치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튜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록킹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록킹부가 이동부 및 손잡이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록킹부가 이동부 및 손잡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한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튜브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는 샤프트(100), 튜브(110), 제 1 전극(120), 제 2 전극(130), 및 조절부재(200)를 포함한다.
상기한 샤프트(10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일단부(전단부)가 신체조직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샤프트(100)는 신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단단한 재질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튜브(110)는 샤프트(100)의 내경을 따라 위치되는 것으로, 플랙시블한 재질로 구성되며, 의료용 합성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110)는 샤프트(100)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그 전단부는 그 끝단에 금속성의 상하부 전극 노즐팁(141, 142)으로 이루어진 반구(半球) 형상의 전극 노즐팁(140)이 형성되어 샤프트(100)의 일단부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되고, 그 후단부는 샤프트(100)의 타단부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튜브(110)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상부 전극 노즐팁(14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120)과, 상기 하부 전극 노즐팁(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130)을 더 구비한다.
여기서, 제 1 전극(120)은 (+)극으로 구성되고, 제 2 전극(130)은 (-)극으로 구성되며, 경우에 따라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한 제 1 전극(120)과 제 2 전극(130)은, 상하로 분리된 금속성의 상부 전극 노즐팁(141)과 하부 전극 노즐팁(142)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하부 전극 노즐팁(141, 142)으로 된 반구(半球) 형상의 전극 노즐팁(140)에 의해 체내의 조직(수핵) 등을 공지된 고주파 기술에 의해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실제로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의 각 일단(전단)에는 공지의 웰딩(welding)에 의해 (+) 및 (-) 전극부(123, 133)를 형성하여 각각 상하부 전극 노즐팁(141, 142)의 내측단(도면 번호 미부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반구(半球) 형상의 전극 노즐팁(140)이 실제 사용시에 불필요한 체내의 조직 등을 제거하거나, 또는 수핵 감압술에 적용되어 디스크 수핵의 압력을 낮추어서 돌출된 디스크의 크기를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도 3(a) 참조).
또한,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은, 실제로 전선의 형태이며,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강선(鋼線)(121,131)을 꽈배기 형태(예컨데 6개의 강선 가닥)로 꼬아서 그 외주연에 나일론 등과 같은 절연 코팅부(122, 132)를 형성한다.
이와 같이,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이 꽈배기 형태로 다수가 꼬여진 강선(鋼線)(121,131)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실제 사용시에 일부 강선이 끊어지더라도 그 전기적 연결이 지속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강성도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한편,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전극(130)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가 미리 공지의 압연기를 사용하여 대략 긴 직사각판상으로 압연된 압연부(131)를 구비하고 있으며, 튜브(110)의 내부 하측에 형성된 제 1 유로(111)를 따라 삽입되어 배치되며, 그 압연부(131)는 제 1 유로(111)의 일단부에 형성된 대략 긴 직사각홀 형상의 압연부 수용부(111a)에 수용됨과 동시에 하부 전극 노즐팁(142)의 내측단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튜브(110)의 제 1 유로(111)의 긴 직사각 압연부 수용부(111a)에 제 2 전극(130)의 일단부에 위치하는 긴 직사각판상의 압연부(134)가 수용되어 밀착되는 형태가 되므로 실제 시술시에 상하 요동(도 3b에서 AA 방향)은 어느 정도 허용할 수 있으나, 좌우 요동(도 3b에서 BB 방향)은 완전 밀착에 의해 방지되어 시술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직사각판상의 압연부(134)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형상이 앞쪽이 넓고 뒤쪽이 좁은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태로 이루어져 긴 직사각 압연부 수용부(111a)내에 수용되어지되 그 전방쪽이 넓게 형성되어 확실히 끼워져 밀착되도록 하여 좌우 요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압연부(131)는 제 2 전극(130)에 일체 형성되어 압연기로 압연됨이 바람직하나, 제 2 전극(130)의 선단에 용접 등과 다양한 결합 또는 접합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 2 전극(130)의 일단부는 긴 직사각형상의 압연부(131)를 이루어 제 1 유로(111)의 직사각 압연부 수용부(111a)내에 고정되어 하부 전극 노즐팁(14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조절부재(200)가 제 1 및 제 2 전극(120, 130)을 일정거리 전진시킨 후에는,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극(120)은 전방으로 더 이상 전진되지 않고,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전극(130)만이 전진되어짐으로, 튜브(110)의 전단부는 제 1 전극(120)이 위치한 부분, 즉, 상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도 2 참조).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에 의해 제한되는 전진 방향 길이 만큼 제 1 전극(120)이 제 2 전극(130)보다 그 전진 방향 길이가 짧게 조절되므로, 조절부재(200)에 의한 제 1 및 제 2 전극(120, 130)의 전진시 제 1 전극이 완전히 전진한 후에는 그 짧은 길이만큼 제 2 전극이 더 전진하게 되므로, 자연스럽게 제 1 전극(120)이 위치하는 방향의 상측으로 급하게 휘어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극(120)은, 하부에 위치하는 제 2 전극(130)과는 달리 그 끝단부가 압연되는 것이 아니라 원통형의 전극을 그대로 유지한다.
즉, 상기한 제 1 전극(120)은 튜브(110)의 내부 상측에 형성된 원형의 제 2 유로(112)를 따라 삽입되어 배치되며, 그 일단부(전단부)는 상부 전극 노즐팁(141)의 내측부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튜브(110)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은 샤프트(100)의 일단부(전단부)에 위치되며, 샤프트(100)의 일단부는 반구 형상의 전극 노즐팁(140)과 함께 플랙시블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전단부가 압연되지 않는 제 1 전극(120)은 상측에 위치하고, 전단부가 긴 직사각판 형상으로 압연되는 압연부(131)를 갖는 제 2 전극(130)은 하측에 위치하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그 위치를 상호 반대되는 위치로 배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조절부재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조절부재(200)는 본체(210), 이동부(240), 전극 연결부(220),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 손잡이부(230) 및 록킹부(250)를 포함한다.
본체(210)는 제 1 본체(211a)와 제 2 본체(211b)로 구성되며, 제 1 본체(211a)와 제 2 본체(211b)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일측에 샤프트(100)의 타단부가 삽입되고, 본체(210)의 타측은 사용자가 손으로 잡기 용이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일측 단부에는 결합캡(218)이 씌워질 수 있다.
이동부(240)는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그 일측은 본체(210)의 내부 일측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위치되고 그 타측은 후술하는 손잡이부(230)와 연결되어, 상기 손잡이부(230)에 의하여 전, 후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240)의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안내부(216)가 삽입된다. 그리고 본체(210)의 일측에 삽입된 샤프트(100)의 타단부와 이동부(240)의 일측 사이에 튜브 안내부(214)가 구비되어, 샤프트(100)의 타단부에서 그 외측으로 돌출되는 튜브(110)의 타단부가 튜브 안내부(214)를 통하여 이동부(240)의 이동 안내부(216)에 삽입되며, 이에 따라, 튜브(110)와 이동부(240)는 상호 연결되어, 이동부(240)가 전, 후진되면 튜브(110)도 같이 전, 후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이동부(240)의 타측은 개방되어, 튜브(110)의 내부를 따라 튜브(110)의 타단부에 위치된 전선 형태의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은 이동부(240)의 타측 방향으로 돌출되며, 전선형태의 제 1 및 제 2 전극(120, 130)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전극 연결부(220)와 연결되어지되, 제 1 전극(120)의 타단부는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를 경유하게 된다.
상기한 전극 연결부(220)는 본체(210)의 타측 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그 외측에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가 구비된다.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의 외측은 외부의 전원 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 1 단자(222)와 제 2 단자(224)의 내측은 전선 형태의 제 1 전극(120) 및 제 2 전극(130)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된다.
상기한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는, 그 본체(210) 내부에서, 상기 전극 연결부(220)의 제 1 단자(222)에 그 타단부가 연결된 제 1 전극(120)이 경유하여 제 1 전극(120)의 일단부가 상부 전극 노즐팁(141)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전극 연결부(262)와,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262)가 상기 제 1 전극(120)의 진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262)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부(264)와, 상기 레일부(264)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262)의 전진 방향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제 1 전극의 전진 방향 길이를 제한(감소)하도록 하는 스토퍼(26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손잡이부(230)가 이동부(240)를 전, 후진시켜서 튜브(110)의 전단부(전극 노즐팁(140; 141, 142) 포함)가 전, 후진될 때,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를 경유하여 상부 전극 노즐팁(141)에 연결된 제 1 전극(120)의 일단부는 튜브(110)의 전단부를 따라 전, 후진되고, 제 1 전극(120)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의 제 1 전극 연결부(262)는 레일부(264)를 따라 전, 후진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전극(120)의 전진시에 제 1 전극(120)의 타단부와 연결된 제 1 전극 연결부(262)는 레일부(264)의 전단에서 스토퍼(266)에 의해 그 전진 동작이 멈추어짐으로 멈춰진 제 1 전극 연결부(262)의 전단측에 연결된 제 1 전극(120)의 선단부(제 1 전극의 전단부 및 중앙부 포함)는 더 이상 전진되지 않아 제 1 전극(120)의 전진 방향 길이가 제한되어진다.
즉, 실제 전극 연결부(220)에 연결되는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전체 길이는 거의 동일하더라고 하더라도, 상기한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에서 제 1 전극(120)의 전단부의 전진을 제한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제 2 전극(130)의 전진 길이가 제 1 전극(120)의 전진 길이보다 늘어나게 되는 것이다. 즉,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전체 길이는 같더라도, 제 1 전극(120)의 타단부가 연결된 제 1 전극 연결부(262)가 스토퍼(266)에 걸려 전진이 제한되므로, 실제로 스토퍼(266)까지의 길이를 기준으로 제 1 전극(120)의 타단부 길이가 제 2 전극(130)의 타단부 길이보다 길며, 따라서, 그만큼의 제 1 전극(120)의 일단부 길이는 반대로 제 2 전극(130)의 일단부 길이보다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이, 전선 연결부(220)를 통해 연결된 제 2 전극(120)이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를 경유하여 이동부(240) 및 튜브(110)의 전단부(전극 노즐팁(140; 141, 142))까지 연장되어지되,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에서 스토퍼(266)를 통해 그 전진방향의 길이가 제한되므로, 손잡이부(230)가 이동부(240)를 전진시켜서 튜브(110)의 전단부가 일정 길이 만큼 전진되었을 때, 튜브(110)의 전단부에서 상측에 위치하는 제 1 전극(120)은 제한된 길이 만큼 전방으로 전진하지 않게 된다.
물론, 하측에 위치하는 제 2 전극(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부(230)가 이동부(240)를 전진시켜서 튜브(110)의 전단부가 일정길이 전진 되었을 때,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에 의해 제 1 전극의 전진이 멈추더라도 제 2 전극(130)의 일단부는 남아 있는 전진 방향 길이 만큼 튜브(110)의 전단부를 따라 전진되어짐으로, 튜브(110)의 전단부는 제 1 전극(120)이 상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상기한 손잡이부(230)는 방아쇠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본체(210) 내부의 일측과 타측 사이에 형성된 회전축(212)에 회전되도록 결합되어, 그 일단부는 본체(210) 내부의 이동부(240)의 타측과 연결되고, 그 타단부는 본체(210) 외부의 타측 방향에 위치된다. 이를 위하여 손잡이부(230)의 일단부에는 이동안내공(232)이 형성되고, 이동부(240)의 타측에는 이동안내공(232)에 삽입되도록 결합돌기(2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잡이부(230)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손잡이부(230)의 타단부가 본체(210)의 타측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손잡이부(230)의 일단부가 본체(210)의 일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손잡이부(230)의 일단부에 연결된 이동부(240)가 전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손잡이부(230)에 가해지는 압력이 없는 경우, 손잡이부(23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손잡이부(230)와 회전축(212) 사이에 토션스프링(미도시)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250)는 이동부(240)의 전, 후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손잡이부(230)를 작동시켜서 이동부(240)를 전진시키면, 이동부(240)와 연결된 제 1 전극(120), 제 2 전극(130) 및 튜브(110)가 전진되어, 튜브(110)의 전단부가 전진되며, 이때, 튜브(110) 전단부의 내부 상측은 제 1 전극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제 1 전극(120)의 길이를 제한하는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260)에 의해 그 전진이 제한되도록 구성되지만, 튜브(110) 전단부의 내부 하측은 제 2 전극(130)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그 전진이 제한되지 않고 전방으로 전진됨으로, 튜브(110)의 전단부는 제 1 전극(120)이 위치한 부분, 즉, 상측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여기서 튜브(110)의 전단부의 내부 상측 및 내부 하측이라는 표현은 도면을 기준으로 하여 상측, 하측으로 구분한 것으로, 보는 위치에 따라 상, 하측이 바뀔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물론, 도시된 예에서는 튜브(110)의 전단부가 상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제 1 전극(120)과 제 2 전극(130)의 위치를 상호 바꾸어 튜브의 전단부가 하측 방향으로 휘어지는 구조도 가능하며, 그 휘어지는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튜브의 휘어짐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전극의 위치 제한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 중 어느 하나의 추가적인 이동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록킹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록킹부(250)는 본체(210)의 외측에 위치되되, 그 단부는 본체(210)를 관통하여 이동부(240) 방향에 위치된다. 상기 록킹부(250)는 본체(2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되도록 위치되어, 록킹부(250)가 회전됨에 따라 록킹부(250)의 단부 또한 이동부(24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이동부(240)는 본체(210)의 내부 일측에 위치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부(250)가 본체(210)의 상부에 위치될 때, 상기 록킹부(250)의 회전되는 라인을 따라, 록킹부(250)의 단부와 마주보는 이동부(240)의 상측은 록킹부(250)의 단부가 걸리지 않도록 록킹부(250)의 단부보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해제부(244)가 구비되어, 손잡이부(230)가 이동부(240)를 전, 후진시킬 때, 이동부(240)가 손잡이부(230)를 따라 전, 후진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의 (b)를 참조하면, 록킹부(250)가 본체(210)의 외주연을 따라 회전되어, 본체(21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록킹부(250)의 단부와 마주보는 이동부(240)의 측방은 록킹부(250)가 걸리도록 걸림부(242)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부(242)는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되며 이동부(240)의 측방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록킹부(250)의 단부에는 고정나사산(252)이 형성되어, 록킹부(250)의 고정나사산(252)과 이동부(240)의 걸림부(242)가 견고하게 걸림 위치된다. 따라서 이동부(240)를 전, 후진시키기 위하여 손잡이부(230)가 이동부(240)에 압력을 가한다 하더라도, 이동부(240)는 록킹부(25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동부(240) 및 손잡이부(230)의 이동이 제한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록킹부(250)의 위치에 따라 이동부(240) 및 손잡이부(230)의 이동이 제한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록킹부가 이동부 및 손잡이부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록킹부(250)는 본체(210)의 상부에 위치되어, 록킹부(250)의 단부가 이동부(240)의 걸림해제부(244)에 위치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손잡이부(230)를 가압하여 이동부(240)를 전, 후진하여, 튜브(110)의 전단부인 전극 노즐 팁(140)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 장치의 록킹부가 이동부 및 손잡이부의 이동을 제한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손잡이부(230)를 작동시켜서 튜브(110)의 전단부(전극 노즐 팁)가 휘어지도록 하며, 이때, 이동부(240)는 손잡이부(230)와 함께 전진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튜브(110)의 휘어진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록킹부(250)를 회전시켜서 록킹부(250)의 고정나사산(252)이 이동부(240)의 걸림부(242)에 걸림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면 이동부(240)의 위치가 록킹부(250)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임의로 또는 실수로 손잡이부(230)에 힘을 가한다 하더라도, 손잡이부(230) 및 이동부(240)의 이동이 제한되어, 튜브(110)의 휘어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록킹부(250)를 이용하여 이동부(24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이동부(240)와 연결된 손잡이부(230)의 이동을 제어하여, 제 1, 2 전극(120, 130)의 방향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한편, 걸림부(242)는 이동부(24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이동부(240)가 전진된 상태에서 이동부(240)의 이동을 제한할 때, 록킹부(250)의 고정나사산(252)은 걸림부(242)의 일단부에 걸림 위치되고, 이동부(240)가 후진된 상태에서 이동부(240)의 이동을 제한할 때, 록킹부(250)의 고정나사산(252)은 걸림부(242)의 타단부에 걸림 위치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샤프트 110: 튜브
111: 제 1 유로 111a: 압연부 수용부
112: 제 2 유로 120: 제 1 전극
121, 131: 다수의 강선(鋼線) 122, 132: 절연 코팅부
130: 제 2 전극 133, 143: (+) 및 (-) 전극부
134: 압연부 140: 반구(半球) 형상의 전극 노즐팁
141, 142: 금속성의 상부 및 하부 전극 노즐팁
200: 조절부재
210: 본체 211a: 제 1 본체
211b: 제 2 본체 212: 회전축
214: 튜브안내부 216: 이동안내부
218: 결합캡 220: 전극 연결부
222: 제 1 단자 224: 제 2 단자
230: 손잡이부 232: 이동안내공
240: 이동부 242: 걸림부
244: 걸림해제부 246: 결합돌기
250: 록킹부 252: 고정나사산
260: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
262: 제 1 전극 연결부
264: 레일부 266: 스토퍼

Claims (10)

  1. 삭제
  2.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 금속성의 상하부 전극 노즐 팁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상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상기 샤프트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을 전,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다수개의 강선이 꽈배기 형태로 꼬여진 형태이며, 그 외주연이 절연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3.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그 일단부에 금속성의 상하부 전극 노즐 팁이 형성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상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전극;
    상기 샤프트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그 일단부는 상기 하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전극; 및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전극 또는 제 2 전극을 전,후진시켜서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의 방향을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전극은 그 일단부에서 긴 직사각판상으로 압연되는 압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부는 전광후협(前廣後狹)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내부를 따라 위치되며 그 전단부는 상기 샤프트의 일단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되는 튜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튜브의 전단에는 상호 분리되는 상기 금속성의 상하부 전극 노즐팁으로 이루어진 전극 노즐팁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상기 튜브 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위치되되, 각 일단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 노즐팁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샤프트의 타단부를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는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을 전,후진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손잡이부;
    상기 본체의 타단부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극 및 제 2 전극의 타단부와 연결되어 외부의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극 연결부; 및
    상기 전극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제 1 전극이 경유하여 상부 전극 노즐팁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 1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가 상기 제 1 전극의 진행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레일부와, 상기 레일부의 전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의 전진 방향 슬라이딩을 제한하여 상기 제 1 전극의 전진 방향 길이를 제한하도록 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 전진 방향 길이 제한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를 통해 상기 튜브의 전단부가 일정 길이만큼 전진 되었을 때, 상기 제 1 전극 연결부는 상기 스토퍼에 걸려 상기 제 1 전극의 일단부는 더 이상 전진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손잡이부의 전방 압력 또는 후방 압력에 의하여, 전진 또는 후진되되, 상기 제 1 전극이 고정되는 이동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위치되되, 그 단부는 상기 본체를 관통하여 상기 이동부에 걸림 위치되어, 상기 손잡이부의 이동을 제한시키는 록킹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본체의 외측에 회전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록킹부의 단부가 회전되는 라인을 따라, 상기 록킹부의 단부와 걸림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와, 상기 록킹부의 단부가 걸리지 않도록 상기 록킹부의 단부보다 함몰되어 형성되는 걸림해제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단부에는 고정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의 상기 걸림부는 상기 고정나사산과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치료 장치.

KR1020140043659A 2014-04-11 2014-04-11 고주파 치료 장치 KR101463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59A KR101463037B1 (ko) 2014-04-11 2014-04-11 고주파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659A KR101463037B1 (ko) 2014-04-11 2014-04-11 고주파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63037B1 true KR101463037B1 (ko) 2014-11-18

Family

ID=52290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659A KR101463037B1 (ko) 2014-04-11 2014-04-11 고주파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3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1974A (zh) * 2019-07-23 2019-10-08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组合式止血器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027A (ja) * 2005-03-23 2006-10-05 Inter Noba Kk カテーテル
KR20090092651A (ko) * 2008-02-27 2009-09-01 (주)트리플씨메디칼 고주파 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기, 그리고치료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63027A (ja) * 2005-03-23 2006-10-05 Inter Noba Kk カテーテル
KR20090092651A (ko) * 2008-02-27 2009-09-01 (주)트리플씨메디칼 고주파 전극 프로브 및 이를 포함하는 치료기, 그리고치료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01974A (zh) * 2019-07-23 2019-10-08 四川大学华西医院 一种组合式止血器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030111B4 (de) Sondenelektrode
US20160157927A1 (en) Electrode configurations for surgical instruments
US9220892B2 (en) Percutaneous and laparoscopic surgical instrument
KR101227635B1 (ko) 전극을 구비한 의료용 니들
AU2018204840A1 (en) Articulating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s of deploying the same
AU2009225951B2 (en) A steerable stylet
WO2011089935A2 (ja) 処置具
KR101657923B1 (ko) 의료 기기
DE102005053764B4 (de) Instrument zur endoskopisch kontrollierten Kürzung und/oder Fragmentierung von Stents
KR101463037B1 (ko) 고주파 치료 장치
EP3498203B1 (de) Sondenapplikator
KR101714756B1 (ko) 니들카트리지가 구비된 고주파 핸드피스
US20080243121A1 (en) Curative treatment system, curative treatment device, and treatment method for living tissue using energy
KR200467658Y1 (ko) 고주파 치료 장치
US20120150167A1 (en) Electrosurgical instrument
CN208193158U (zh) 一种射频消融用装置
CN203107247U (zh) 一种可控弯椎体成型装置
JP5312868B2 (ja) 内視鏡用処置具
KR101610291B1 (ko) 용이 조작이 가능한 고주파 카테터
JP2007282847A (ja) 軟性バイポーラ鉗子
JP2016507341A (ja) 1つまたは複数の能動チップによって選択的に操作可能な組織焼灼カニューレ/電極アセンブリ
EP3501595B1 (en) Handpiece having of expandable electrodes used for electroporation
CN110179534A (zh) 一种纳米刀消融电极
KR101139940B1 (ko) 전기적 외과 시술용 전극체 및 이를 포함하는 외과 시술 기기
JP5699013B2 (ja) バイポーラ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