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0042B1 -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 Google Patents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0042B1
KR101490042B1 KR20130110201A KR20130110201A KR101490042B1 KR 101490042 B1 KR101490042 B1 KR 101490042B1 KR 20130110201 A KR20130110201 A KR 20130110201A KR 20130110201 A KR20130110201 A KR 20130110201A KR 101490042 B1 KR101490042 B1 KR 10149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space
surgical site
hemostasis
hematom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02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석
안희준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1102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0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17/132Tourniquets
    • A61B17/135Tourniquet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 A61B2017/120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ligaturing or otherwise compressing tubular parts of the body, e.g. blood vessels, umbilical cord for haemostasis, for prevention of bleed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72Wound bandages protection of the body or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Wound bandages applying of mechanical pressure; passive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2013/00089Wound bandages
    • A61F2013/00285Wound bandages medication confin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체의 척추와 등 사이의 수술부위 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어 공간부 상으로의 유체 충진유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연성을 가지는 본체, 본체에 연결 설치되며, 수술부위 외부에서 수술부위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하는 약물투입튜브를 포함하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는, 신축 가능한 연성을 가지는 본체를 척추와 등 사이의 수술부위 공간에 삽입 배치한 후, 본체 내부에 유체를 충진시켜 팽창시키면, 팽창된 본체가 수술부위 공간 상에서 등 부분을 압박하면서 혈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Description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Hemostasis device for hematoma-proof}
본 발명은 척추 부분의 수술 부위에서 혈종이 발생하지 않도록 압박 지혈시키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술 후 조기보행 및 재활치료는 심부 정맥혈전증(DVT), 무기폐(Atelectasis)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요하게 판단되어 많은 외과의사에게 당연시 되고 있다.
하지만 수술 후 발생하는 재 출혈, 다발성응고장애 등은 외과의사들에게 아직 주의가 요구되는 부분이며 이에 대한 원인으로는 수술시간, 수술집도의의 숙련도 및 환자의 기저질환 및 상태 등 여러 요인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때, 근육 주변에 발생되는 혈종(Hematoma)은 외부 압박을 통해서 대처가 가능하다 왜냐하면 혈종 기저부가 근육이기 압박에 의해 손상 받는 구조가 적기 때문이다. 이러한 혈종을 방지하기 위한 외부 압박용 지혈수단은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2-0073721호(2012.07.05)에 제시된다.
하지만 척추 부분에서 발생되는 혈종은 척수를 압박할 경우 신경학적 장애를 동반할 수 있기 때문에 혈종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척추부분에서 수술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수술 부위의 출혈을 예방할 수 있도록 척추에 대한 압박은 최소화하면서 척추와 등쪽 사이의 수술부위에서 등쪽을 압박해야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척추 압박은 최소화하면서 척추와 등쪽 사이의 수술부위에서 등쪽을 압박할 수 있게 하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신체의 척추와 등 사이의 수술부위 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 상으로의 유체 충진유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연성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술부위 외부에서 상기 수술부위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하는 약물투입튜브를 포함하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의료용 벌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용 벌룬은 라텍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된 조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 상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간부 상에서 상기 유체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충진조절튜브를 연결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상기 척추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기 척추를 삽입상태로 수용하도록 척추수용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물투입튜브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수술부위 공간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신체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는, 신축 가능한 연성을 가지는 본체를 척추와 등 사이의 수술부위 공간에 삽입 배치한 후, 본체 내부에 유체를 충진시켜 팽창시키면, 팽창된 본체가 수술부위 공간 상에서 등 부분을 압박하면서 혈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팽창시 상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팽창시 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는, 본체(100), 약물투입튜브(2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100)는 신체의 척추(10)와 등(20) 사이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배치된다. 즉, 상기 본체(100)는 상기 척추(10)와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등(20) 부분을 압박하면서 혈종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통 구조를 가지며, 상기 공간부의 유체가 충진된 상태에서 상기 척추(10)와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에 삽입 배치된 상태로 등(20) 부분을 압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의 공간부에 충진되는 유체는 공기를 적용한 이에 한정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한 기체나 액체를 충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는 상기 공간부 상으로의 상기 유체 충진유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신축 가능한 연성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수술부위(30)에 삽입 배치전에는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 후, 상기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배치된 후, 상기 수술부위(30)에 대한 봉합이 완료되면 상기 공간부 상으로 유체가 충진되면서 상기 신체의 등(20) 부분을 압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100)의 일측에는 상기 공간부 상으로 상기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면서 팽창되게 하거나 상기 공간부 상에서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켜 수축되게 할 수 있도록 충진조절튜브(110)가 연결 구비된다. 즉, 상기 충진조절튜브(110)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공간부에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00) 일측에 연결 결합되며, 타단은 상기 신체 외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충진조절튜브(110)의 길이방향 타단은 외부에서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펌핑수단(도면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충진조절튜브(110)는 카테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상기 본체(100)는 상기 척추(10)와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바, 의료용 등급의 벌룬을 사용한다. 이때, 상기 의료용 벌룬은 라텍스, 우레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및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된 구성물, 또는 이외의 다양한 팽창성 부재로 사용되기 적합한 재질을 선택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의 일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척추(10)와 상기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척추(10)에 대향되는 면부에는 척추수용홈(120)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척추수용홈(120)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척추(10)와 상기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설치된 상태 팽창될 경우, 상기 척추(10)가 삽입상태로 수용되게 하면서 상기 본체(100)에 의한 상기 척추(10)의 압박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약물투입튜브(200)는 상기 신체 외부, 즉 상기 척추(10)와 상기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 공간 외부에서 상기 수술부위(30) 공간으로 각종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약물투입튜브(200)는 상기 본체(100)의 외측에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약물투입튜브(200)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배치한 상태에서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수술부위(30) 공간에 위치하고 길이방향 타단은 상기 신체 외부로 배치됨으로서, 상기 신체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수술부위(30)로 마취제와 같은 각종 약물을 쉽게 투여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약물투입튜브(200)는 상기 수술부위(30)에 출혈발생이나 농양이 고일 경우 외부로 배출시키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본체(100)를 상기 척추(10)와 상기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배치한 상태로 상기 약물투입튜브(200)의 길이방향 타단 및 상기 충진조절튜브(110)의 길이방향 타단을 각각 상기 수술부위(30) 외측, 즉 신체 외부로 배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본체(100) 내부로 유체를 유입되게 하여, 상기 본체(100)를 팽창되게 한다. 이때, 상기 본체(100)가 상기 수술부위(30)에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하게 되면서 상기 수술부위(30)를 압박하여 혈종의 형성을 예방하게 된다. 특히, 상기 본체(100)에는 상기 척추(10)를 수용하는 상기 척추수용홈(120)이 형성된 바, 상기 척추(10)로의 압박은 방지하여 척수압박증후군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상기 등(20) 부분으로의 압박을 가하게 된다.
이후, 환자의 상태가 안정될 경우에는 상기 본체(100) 내부의 유체를 상기 본체(100) 외부로 배출시켜 수축시킨 후, 상기 수술부위(30) 공간에서 신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더불어, 상기 수술부위(30)에서 응급 혈종 발생시나 농양이 고일 경우에는 상기 약물튜입튜브(200)를 통해 상기 신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는, 신축 가능한 연성을 가지는 본체(100)를 상기 척추(10)와 상기 등(20) 사이의 수술부위(30) 공간에 삽입 배치한 후, 상기 본체(100) 내부에 상기 유체를 충진시켜 팽창시키면, 팽창된 상기 본체(100)가 상기 수술부위(30) 공간 상에서 등(30) 부분을 압박하면서 혈종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 110: 충진조절튜브
120: 척추수용홈 200: 약물투입튜브

Claims (6)

  1. 신체의 척추와 등 사이의 수술부위 공간에 삽입 배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마련되어 상기 공간부 상으로의 유체 충진유무에 따라 팽창 또는 수축된 상태가 되도록 연성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수술부위 외부에서 상기 수술부위로 약물을 투여할 수 있게 하는 약물투입튜브를 포함하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의료용 벌룬인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의료용 벌룬은 라텍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우레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구성된 조성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본체의 공간부 상으로 상기 유체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간부 상에서 상기 유체를 상기 본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하는 충진조절튜브를 연결 구비하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척추에 대향되는 부분에는, 상기 척추를 삽입상태로 수용하도록 척추수용홈이 요입 형성된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물투입튜브의 길이방향 일단은 상기 수술부위 공간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신체 외부에 배치되는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KR20130110201A 2013-09-13 2013-09-13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KR101490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201A KR101490042B1 (ko) 2013-09-13 2013-09-13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0201A KR101490042B1 (ko) 2013-09-13 2013-09-13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0042B1 true KR101490042B1 (ko) 2015-02-04

Family

ID=52590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0201A KR101490042B1 (ko) 2013-09-13 2013-09-13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004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2420A1 (en) 2005-11-14 2007-05-17 Duke Fiduciary Llc Detachable therapeutic tube
KR100900701B1 (ko) 2008-01-03 2009-06-05 최길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척추후굴복원용 풍선 카테터의 제조방법
KR20120041686A (ko) * 2010-10-21 2012-05-02 류명지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US20130116721A1 (en) 2010-06-30 2013-05-09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12420A1 (en) 2005-11-14 2007-05-17 Duke Fiduciary Llc Detachable therapeutic tube
KR100900701B1 (ko) 2008-01-03 2009-06-05 최길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을 이용한 척추후굴복원용 풍선 카테터의 제조방법
US20130116721A1 (en) 2010-06-30 2013-05-09 Terumo Kabushiki Kaisha Medical Device
KR20120041686A (ko) * 2010-10-21 2012-05-02 류명지 경막외강의 유착 해리 및 척추관의 협착 완화를 위한 의료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8072B2 (en) Inflatable interspinous spacer
US10405907B2 (en) Low cost low profile inflatable bone tamp
RU2546088C2 (ru) Системы и способы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высоты и стабилизации позвоночной или иной костной структуры
EP2478859B1 (en) Inflatable access assembly
US6616673B1 (en) Segmented joint distractor
US8262609B2 (en) Anterior inflation balloon
US20090299373A1 (en) Kyphoplasty banded balloon catheter
US8221349B2 (en) Anterior inflation balloon
CN106573132B (zh) 子宫颈管扩张装置
US9877762B2 (en) Bone treatment system
GB2461201A (en) Apparatus for distracting a hip using an expandable member
JP2004527344A (ja) オーバーセンタークランプを備えるバルーンカニューレ
KR20100106340A (ko) 다공성 수용 장치 및 척추 압박 골절의 안정화를 위한 관련 방법
CN107530086A (zh) 封堵装置
US20150272591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modifying a volume of a cavity
US20150352337A1 (en) Device for sustained release of liquid, endoscope having the same, and instrument for endoscopic surgery having the same
US9409000B2 (en) Balloon with fibers for treatment of blood vessels
KR101490042B1 (ko) 척추수술 부위의 혈종예방 지혈기구
EP2853211B1 (en) Bone treatment system
US9615863B2 (en) Multichannel cannula for kyphoplasty and method of use
US20220330949A1 (en) Compression balloon with a rigid foot for hemostasis
WO2020081692A1 (en) Treatment of hemorrhage with a reusable device
CN116211382B (zh) 一种不规则伤口可变形的止血球囊
CN107714124A (zh) 一种腹腔镜止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