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2450B1 -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 Google Patents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2450B1
KR101982450B1 KR1020180119675A KR20180119675A KR101982450B1 KR 101982450 B1 KR101982450 B1 KR 101982450B1 KR 1020180119675 A KR1020180119675 A KR 1020180119675A KR 20180119675 A KR20180119675 A KR 20180119675A KR 101982450 B1 KR101982450 B1 KR 101982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doscope
guide passage
nasal cavity
probe
sp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민철
Original Assignee
오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민철 filed Critical 오민철
Priority to KR10201801196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112Connection or coupling means
    • A61B1/00119Tubes or pipes in or with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33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nose, i.e. nasoscopes, e.g. testing of patency of Eustachia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8Endoscopic needles, e.g. for inf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85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short rigid shaft for accessing the inner body through natural open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92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having a flexible, catheter-like structure, e.g. for heart ab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03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 A61B2017/3405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 A61B2017/3409Needle locating or guiding means using mechanical guide means including needle or instrument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61B2017/345Cannulas for introduction into a natural body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2017/348Means for supporting the trocar against the body or retaining the trocar inside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98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combined with or comprising means for visual or photographic inspections inside the body, e.g. endosco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Cardi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형구개 신경절(SPG)에 약물을 주사하거나 고주파를 인가하여 두통을 치료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내시경 치료 장치는 비강에 삽입되어 비강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이 탑재되고, 길이 방향으로 치료를 위한 수술 도구가 비강 내로 삽입된 일단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가 형성된 내시경 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를 통해 비강내 점막에 주사되어 접형구개 신경절(sphenopalatine ganglion, SPG)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SPG가 위치한 비강내 점막에 고주파 열치료기기의 프로브를 접촉시켜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두통을 치료한다. 본 발명은 SPG까지 수술 도구가 구비된 내시경 기기를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로 삽입할 수 있어 비강을 통한 접근법으로 접형구개 신경 차단술 및 고주파 응고술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술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고, 드물게 발생하는 비강 내 출혈에 대한 대처도 가능하다.

Description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ENDOSCOPE GUIDE DEVICE FOR NASAL CAVITY AND ENDOSCOPE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두통환자에게는 해열진통제, 소염진통제 등의 약물 치료를 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진통제의 처방에도 호전이 되지 않는 두통의 경우에, 편두통, 군발성두통, 삼차신경통은 마약성 진통제를 처방하는 경우도 있고, 두통의 종류에 따라 혈관수축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을 처방한다.
두통의 종류 중에서 가장 많은 종류는 긴장형두통으로, 후두부나 목 또는 턱관절의 근육이나 인대의 긴장에 의해 두피로 가는 신경이 압박이 되어서 나타나는데, 이런 경우는 기본적인 진통제에 반응을 잘하며, 진통제에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도 두피나 후두부등의 표면에 있는 눈으로 볼 수 있는 신경에 주사치료를 하면 통증조절이 비교적 잘된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편두통, 군발성두통, 삼차신경통은 일반적인 두통과 달리, 뇌혈관의 확장이 동반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일반 진통제에는 반응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응급실을 많이 찾게 되는 두통이다.
편두통, 군발성두통, 삼차신경통은 진통제 이외에 혈관수축제, 신경안정제, 항우울제, 항경련제 등을 복용함에도 불구하고 두통 조절이되지 않는 경우 접형구개 신경절 차단술로 치료하거나, 반복적인 차단술이 필요한 경우 신경절을 고주파 응고술로 영구적으로 치료한다.
접형구개 신경절(sphenopalatine ganglion; 이하 SPG)은 나비입천장신경절이라고도 부르며, 이 신경절은 혈관의 확장을 유발하여 염증물질이 배출되게 하여 신경통을 유발하게 한다. 그래서 혈관성 두통 (편두통, 군발성두통, 삼차신경통)의 원인이 되는 대표적인 신경절이다. SPG는 코안쪽에서 눈과 입천장 사이에 있는 신경절(도 11의 SPG 참고)로 접형구개 신경 차단술에서 SPG로 안면을 통한 접근과, 비강을 통한 접근 두가지가 있다.
안면을 통한 접근법은 관자놀이 광대뼈 아래쪽, 턱관절의 앞쪽에서 얼굴의 안쪽으로 주사를 피부에서 7~10cm 정도 침습시켜 SPG로 접근하는 것으로 치료과정에 통증이 아주 심하고, 주사 바늘이 뼈와 뼈사이의 틈에 있는 SPG를 정확히 찾는데 시간이 많이 걸릴 뿐만 아니라 주사 바늘이 신경절을 찾는 과정에서 볼안쪽 및 턱관절 부위에 출혈로 인한 혈종이 종종 생겨서 음식을 씹을 때 불편감이 생긴다.
또한, 비강을 통한 접근법은 통증이 거의 없는 장점이 있으나 주사를 SPG로 정확하게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도 1은 환자의 오른쪽 비강내에 내시경을 삽입하여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비강을 좌우로 구획하는 비중격(Nasal Septum; NS)과 중비도의 바깥쪽 점막(NM)의 사이 중앙에 중비갑개(middle turbinate; MT)가 위치하고, 통상 SPG가 위치하는 점막은 MT의 가려져 거의 보이지 않는다. SPG가 위치하는 점막은 MT의 좌측 후면(SPG 화살표의 원형 표기에 MT의 후면)에 위치한다. SPG는 상기 점막으로부터 0.1~1cm 깊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내시경을 사용하더라도 SPG는 MT에 가려져, MT의 바깥쪽 방향으로 치료장치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특허로 한국 특허공개 제2018-0058031호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한국 특허공개 제2018-0058031호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은 코 내부로 직접 삽입되어 비강 내 SPG로 약물을 분사하고 있다.
한국 특허공개 제2018-0058031호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은 치료가 필요한 SPG에만 선택적으로 약물을 주입하지 못하고, SPG 점막에 근접하게 위치시킨 후 약물을 분사하는 방법이므로, MT를 포함한 SPG주변의 다른 비강 내 점막에도 약물이 분사가 된다.
이때, 분사되는 치료 약물은 대부분 스테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다. 불필요한 점막에 분사된 스테로이드로는 인체에 흡수되어 다양한 부작용을 유발하게 된다. 무엇보다, SPG의 점막은 비강 내에서 MT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MT가 젖혀져야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므로, 끝이 휘어진 형태의 내시경을 사용한다 하더라도 SPG 점막 위치를 직접적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8-0058031호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2018.05.31.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시경 치료 장치를 SPG까지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도록 안내하고, 삽입된 내시경 치료 장치를 사용하여 SPG에 약물을 주사 또는 고주파 열응고를 통해 두통을 부작용 없이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도록 한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가 형성되고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 및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통로 내에 삽입 및 분리되고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일단부 측으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동그란 형상을 가진 안내용 막대부재를 포함한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는 비강 내로 삽입되는 일단부 측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기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수술 대상자의 코 끝에 걸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코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받침부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위치 잠금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안내용 막대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용 막대부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에 삽입된 후 나사 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는 비강에 삽입되어 비강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이 탑재되고, 길이 방향으로 치료를 위한 수술 도구가 비강 내로 삽입된 일단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가 형성된 내시경 기기를 포함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이되, 상기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를 통해 비강내 점막에 주사되어 접형구개 신경절(sphenopalatine ganglion, SPG)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SPG가 위치한 비강내 점막에 고주파 열치료기기의 프로브를 접촉시켜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두통을 치료한다.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가 형성되고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시경 기기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비강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통로 내에 삽입 및 분리되고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일단부 측으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동그란 형상을 가진 안내용 막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는 비강 내로 삽입되는 일단부 측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수술 대상자의 코 끝에 걸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코받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받침부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위치 잠금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는 타단부 측에 상기 안내용 막대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용 막대부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에 삽입된 후 나사 결합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기기는 손잡이부가 구비된 내시경 하우징부 및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내시경과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가 형성된 내시경 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는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메인 안내통로 및 보조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보조 안내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메인 안내통로는 약물을 주사하는 약물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통과되는 통로이고, 주사 바늘은 단부 측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제1메인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내시경 관부재의 단부 측에서 휘어진 부분이 돌출되면 탄성에 의해 더 휘어질 수 있다.
제1메인 안내통로에는 주사 바늘이 삽입되며 주사 바늘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와 상기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의 맞은편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기 주사 바늘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바늘이동 레일홈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는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2메인 안내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메인 안내통로는 고주파 열치료기기의 프로브가 통과되는 통로이고, 프로브는 단부 측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한 후 내시경 관부재의 단부 측에서 휘어진 부분이 돌출되면 탄성에 의해 더 휘어질 수 있다.
제2메인 안내통로에는 프로브가 삽입되며 프로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프로브이동 레일홈부와 상기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의 맞은편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진 프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프로브이동 레일홈부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내시경 하우징부에는 내시경 기기가 배치되고,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상기 제1메인 안내통로에 위치된 수술 도구를 이동시켜 내시경 관부재의 단부 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이동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 기기는 내시경 하우징부 내에 제1메인 안내통로와 연결되고 수술 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내로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렉기어부,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렉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내시경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조작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내시경 기기는 제2메인 안내통로에 위치되고 수술 도구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2이동 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 기기는 내시경 하우징부 내에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와 연결되게 위치되고 수술 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내로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렉기어부,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렉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조작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내시경의 비강 내 삽입 중 불가항력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비강 내의 출혈을 지혈하는 바이폴라 레이저를 탑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SPG까지 수술 도구가 구비된 내시경 기기를 안전하고 정확한 위치로 삽입할 수 있어 비강을 통한 접근법으로 접형구개 신경 차단술을 간단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수술 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수술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술 도구가 구비된 내시경 기기를 사용하여 정확한 SPG의 점막 위치에 약물을 주사하여 수술 시 사용되는 약물의 사용량을 크게 줄이므로 약물에 의한 부작용 없이 투통 등의 질병을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PG에 약물 주사 등의 반복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 SPG에 고주파 열응고술을 통해 영구적으로 기능을 저하시켜 약물, 특히 스테로이드에 의한 부작용 없이 투통 등의 질병을 간단하게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비강내 내시경을 삽입하여 내부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에서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 내에 약물 주사 바늘이 통과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에서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 내에 고주파 열치료기기의 프로브가 통과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에서 수술 도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에서 수술 도구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2이동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SPG에 약물을 주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와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분리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에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결합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가 위치되고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를 포함한다. 그리고,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는 비강 내로 삽입되는 일단부 측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다.
경사면은 비강 내에서 SPG를 향하도록 경사진 것으로 비강 내에 삽입된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 측에서 돌출되는 내시경 기기(400)가 SPG를 향해 위치되어 수술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에는 일단부가 동그랗게 형성된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일단부 측이 반구형으로 동그랗게 형성되고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통로 내에 삽입되어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 측으로 일부분이 돌출되게 위치된다.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반구형으로 동그랗게 형성된 일단부 측이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되어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가 비강 내로 삽입되어 상처없이 SPG에 근접하게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외주면에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타단부에 걸려 삽입 위치를 제한하는 막대 스토퍼부(210)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의 경사면은 끝단이 날카롭게 형성되므로 비강 내 삽입되어 이동 중에 점막에 상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비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로 돌출되고, 동그랗게 형성된 일단부 측이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가 비강 내로 삽입되어 이동할 때 피부에 상처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연질의 생체적합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실리콘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는 타단부 측에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110)가 위치되고,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에 삽입된 후 나사 결합부(110)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타단부 측에 나사 결합부(110)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위치된다.
안내용 막대부재(200)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통로 내로 삽입된 후 회전되어 나사 결합부(110)에 나사 결합되고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 측에 일부분이 돌출되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가 SPG에 근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어 나사 결합부(110)에서 풀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외측면에 돌출되고 수술 대상자의 코 끝에 걸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코받침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코받침부재(300)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를 수술 대상자의 비강 내 즉, 코 안으로 삽입할 때 수술 대상자의 코 끝에 걸리게 되어 비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길이를 제한한다. 그리고, 코받침부재(300)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치 잠금부(310)에 의해 위치가 잠금되어 수술 대상자의 비강 길이에 맞추어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위치 잠금부(310)는 코받침부재(30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코받침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하는 세트 스크류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세트 스크류는 풀려 코받침부재(300)가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하고, 체결되어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코받침부재(3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외측에는 수술 대상자의 코크기에 따라 코받침부재(300)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 눈금부(120)가 위치될 수 있다. 코받침부재(300)는 수술 대상자의 코크기에 따라 표시 눈금부(120)를 확인하고 이에 해당되는 위치로 용이하게 위치되어 잠금부 즉, 세트 스크류로 고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와 내시경 기기(400)를 분리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에 내시경 기기(400)를 결합시킨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4 및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 및 내시경 기기(400)를 포함한다. 내시경 치료 장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비강 내로 삽입 및 돌출될 수 있다. 내시경 치료 장치는 치료를 위한 수술 도구가 통과되어 비강 내로 삽입된 일단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고, 내시경(400a)이 탑재된다.
또한, 도 6은 도 4의 A부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a)는 내시경 관부재(420)에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하나의 메인 안내통로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2개의 메인 안내통로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는 안내용 막대부재(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와 안내용 막대부재(200)의 실시예는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내시경 기기(400)는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에서 분리된 후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수술 대상자의 비강 내에서 이의 단부가 돌출되게 위치될 수 있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는 내부에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결합된 상태로 수술 대상자의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되고, 코받침부재(300)가 수술 대상자의 코끝에 걸릴 때까지 이동할 수 있다.
내시경 기기(400)는 손잡이부(411)가 구비된 내시경 하우징부(410), 내시경 하우징부(410)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위치되며 내부에 내시경(400a)과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가 형성된 내시경 관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는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메인 안내통로(43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메인 안내통로(431)는 수술 부위 즉, SPG에 약물을 주사하기 위한 약물 주사기(500)의 주사 바늘(500a) 또는 수술 부위 즉, SPG를 고주파 열응고 시키기 위한 고주파 열치료기기(600)의 프로브(600a)가 삽입되어 통과될 수 있다.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에는 내시경(400a)의 카메라가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외부에서 모니터를 통해 비강 내부를 확인하면서 제1메인 안내통로(431)를 통해 비강 내로 삽입된 약물 주사기(500) 또는 고주파 열치료기기(600)로 수술 부위 즉, SPG에 약물을 주사하거나, SPG를 열응고시킬 수 있도록 한다.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에 위치되는 내시경(400a)은 공지의 내시경 구조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약물 주사기(500)는 내부에 약물이 채워지는 주사기 본체(510), 주사기 본체(510)의 일단부 측에 위치되는 주사 바늘(500a), 주사기 본체(510) 내에서 이동되는 피스톤로드(520)를 포함한다.
고주파 열치료기기(600)는 고주파 전극이 내부에 위치되는 프로브(600a)를 포함하여 고주파 열응고술을 시행하는 공지의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프로브(600a)는 튜브 내에 고주파 전극이 내부에 위치되는 구조로 탄성을 가지고 휘어질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일 예로 한다. 또한,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는 보조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보조 안내통로(4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안내통로(433)는 수술 부위의 점막 표면 출혈응고를 위해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는 통로이다.
보조 수술 도구는 예컨대, 바이폴라 레이저(Bipolar laser) 팁인 것을 포함하고, 보조 안내통로(433)를 통해 양극과 음극의 바이폴라 레이저 팁을 돌출시켜 비강 내로 삽입하여, 점막이 약하고 출혈경향이 있는 환자에서 드물게 발생할 수 있는 점막 내 출혈을 지혈할 수 있다. 바이폴라 레이저를 사용한 지혈 방법은 공지의 기술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설명한 구성과 다른 예로써,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는 복수의 수술도구가 개별적으로 삽입될 있도록 복수의 안내통로가 형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제1메인 안내통로(431) 및 제2메인 안내통로(4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메인 안내통로(431)는 약물을 주사하는 약물 주사기(500)의 주사 바늘(500a)이 통과되는 통로이고, 제2메인 안내통로(432)는 고주파 열치료기기(600)의 프로브(600a)가 통과하여 필요시 개별적으로 수술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예시한 약물 주사기와 고주파 열치료기기 이외에도, 이물질 흡입하는 흡입장치, 가스나 공기를 주입하는 기체주입 장치 등이 필요할 경우 복수의 안내통로를 통해 비강내에 삽입될 수 있다.
약물 주사기(500)의 주사 바늘(500a), 고주파 열치료기기(600)의 프로브(600a)는 제1메인 안내통로(431) 또는 제2메인 안내통로(432)를 통해 이동되어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어 비강 내로 배치될 수 있다.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 즉, 제1메인 안내통로(431), 제2메인 안내통로(432), 보조 안내통로(433)는 내시경 관부재(420)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후단부 측에서 수술 도구가 삽입되며, 비강 내에서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일단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400)에서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 내에 약물 주사 바늘(500a)이 통과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주사 바늘(500a)은 단부 측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제1메인 안내통로(431)를 따라 이동한 후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에서 휘어진 부분이 돌출되면 탄성에 의해 더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휘어진 주사 바늘(500a)은 구조적으로 가운데에서 바깥쪽으로 치우쳐 있는 SPG가 위치한 비강내 점막에 약물을 용이하게 주입하게 한다. SPG는 비강내 점막 표면으로부터 점막 내측으로 0.1~1cm에 위치한다. 따라서, SPG에 약물을 주사하기 위해서는 주사 바늘의 단부가 휘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제1메인 안내통로(431)에는 주사 바늘(500a)이 삽입되며 주사 바늘(500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431a)와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431a)의 맞은편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진 주사 바늘(500a)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바늘이동 레일홈부(431b)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주사 바늘(500a)은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431a)에 삽입되고, 휘어진 단부가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431a)의 맞은 편에 위치된 제2바늘이동 레일홈부(431b)에 삽입된 상태로 내시경 관부재(420)를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 중 휘어진 단부가 뒤틀리는 사고가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휘어진 단부가 안정적으로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또한, SPG에 주사된 상기 주사 바늘(500a)은 박동성 고주파(Pulsed Radiofrequency) 발생 장치가 연결되거나 주사 바늘의 내부로 박동성 고주파 프로브팁이 삽입되어 SPG로 인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박동성 고주파 발생 장치는 공지의 기술로써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SPG에 직접 접촉하는 주사 바늘(500a)에 고주파를 인가하면 SPG의 기능을 영구적으로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통증을 줄일 수 있다. 한편 후술하는 고주파 열치료기기(400)는 고주파 열응고술로 SPG가 위치한 점막에 접촉하여 SPG로 인한 통증을 영구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박동성 고주파 발생장치는 일반적인 고주파 열응고술보다 상대적으로 열 발생량이 작아 SPG의 기능을 영구적으로 저하시키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400)에서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430) 내에 고주파 열치료기기(600)의 프로브(600a)가 통과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을 참고하면 프로브(600a)는 단부 측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되어 제1메인 안내통로(431) 또는 제2메인 안내통로(432)를 따라 이동한 후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에서 휘어진 부분이 돌출되면 탄성에 의해 더 휘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다.
프로브(600a)는 내시경 관부재(420)의 일단부 측에서 돌출되는 단부 측이 휘어진 상태로 비강 내에 위치되어 SPG의 점막에 단부가 접촉되어 SPG를 고주파 열로 SPG에 의한 통증을 영구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제2메인 안내통로(432)에는 프로브(600a)가 삽입되며 프로브(600a)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프로브(600a)이동 레일홈부(432a)와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431a)의 맞은편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진 프로브(600a)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프로브이동 레일홈부(432b)가 길이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프로브(600a)는 제1프로브이동 레일홈부(432a)에 삽입되고, 휘어진 단부가 제1프로브이동 레일홈부(432a)의 맞은 편에 위치된 제2프로브이동 레일홈부(432b)에 삽입된 상태로 내시경 관부재(420)를 따라 이동되므로 이동 중 휘어진 단부가 뒤틀리는 사고가 방지되고,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휘어진 단부가 안정적으로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400)에서 수술 도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기기(400)는 제1메인 안내통로(431)에 위치된 수술 도구를 이동시키는 제1이동 기기(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이동 기기(440)는 내시경 하우징부(410) 내에 제1메인 안내통로(431)와 연결되게 배치되고, 수술 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441),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441) 내로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렉기어부(442), 내시경 하우징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1렉기어부(442)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 기어부(443), 내시경 하우징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내시경 하우징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피니언 기어부(443)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조작 기어부(4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조작 기어부(444)의 회전에 의해 제1피니언 기어부(443)가 회전되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1피니언 기어부(443)에 맞물린 제1렉기어부(442)가 전, 후진하게 된다.
예컨대, 수술 도구가 약물 주사기(500)일 경우, 약물 주사기(500)의 주사기 본체(510)를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441) 내로 삽입시키면 주사 바늘(500a)은 끝단이 제1메인 안내통로(431) 내에서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최종적으로 집도의가 손잡이부(411)를 잡은 상태에서 내시경 하우징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1조작 기어부(444)를 조작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주사 바늘(500a)을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제1이동 기기(440)는 제1조작 기어부(444)를 회전시켜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는 주사 바늘(500a)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수술 시 편의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의 내시경 기기(400)에서 수술 도구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2이동 기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내시경 기기(400)는 제2메인 안내통로(432)에 배치된 수술 도구를 전, 후진시키는 제2이동 기기(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이동 기기(450)는 내시경 하우징부(410) 내에 제2메인 안내통로(432)와 연결되게 위치되고 수술 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451),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451) 내로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렉기어부(452), 내시경 하우징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제2렉기어부(452)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피니언 기어부(453), 내시경 하우징부(410)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내시경 하우징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2피니언 기어부(453)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조작 기어부(4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조작 기어부(454)의 회전에 의해 제2피니언 기어부(453)가 회전되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제2피니언 기어부(453)에 맞물린 제2렉기어부(452)가 전, 후진하게 된다.
예를 들면, 수술 도구가 고주파 열치료기기(600)인 경우, 고주파 열치료기기(600)를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451) 내로 삽입시키면 프로브(600a)는 제2메인 안내통로(432)를 내에서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에 근접하게 위치되고, 최종적으로 의사가 손잡이부(411)를 잡은 상태에서 내시경 하우징부(4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제2조작 기어부(454)를 조작해서 회전시킴으로써 주사기 본체(510)를 이동시켜 프로브(600a)를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제2이동 기기(450)는 제2조작 기어부(454)를 회전시켜 내시경 관부재(420)의 단부 측으로 돌출되는 프로브(600a)의 위치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수술 시 편의성과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예시하여 설명한, 제1 이동기기(440) 및 제2 이동기기(450)에 의한 수술 도구의 전, 후진 이동 방식은 앞서 설명한 바이폴라 레이저 팁을 전, 후진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방식은 동일한 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를 이용하여 SPG에 약물을 주사하는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1 및 도 12는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즉,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결합된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를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하여 SPG까지 경로를 확보하는 예이다.
도 13은 수술 도구 즉, 약물 주사기(500)가 SPG에 약물을 주입하는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고하면 일단 안내용 막대부재(200)가 결합된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를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하고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단부를 중비갑개(middle turbinate; MT) 안쪽으로 넣어 SPG까지 경로를 확보하며, 도 11에서와 같이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를 회전시켜 경사면이 SPG가 위치한 점막과 마주하도록 조절한다.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의 경사면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비갑개(MT)를 젖히고 있어 내시경 등의 수술 도구가 SPG의 점막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경로를 확보한다. SPG는 중비갑개(MT)에 의해 덥혀 있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 파악을 위해 본 과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도 13를 참고하면 안내용 막대부재(200)를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로부터 분리한 후 내시경 기기(400) 즉, 내시경 관부재(420)를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100)로 삽입하고, 제1이동 기기(440)로 내시경 관부재(420)로부터 주사 바늘(500a)을 돌출시키되, 내시경(400a)으로 주사 바늘(500a)의 위치와 SPG의 위치를 확인한 후, SPG가 위치한 점막에 주사 바늘(500a)로 약물을 주입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11 내지 도 13과 동일한 과정으로 약물 주사기(500) 대신 고주파 열치료기기(600)를 사용하여 고주파 열응고술로 SPG를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시경 치료 장치는 촬영된 비강내 영상을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해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수신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무선은 예를 들면 블루투스, 근거리 무선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Beacon)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 110 : 나사 결합부
120 : 표시 눈금부 200 : 안내용 막대부재
300 : 코받침부재 310 : 위치 잠금부
400 : 내시경 기기 400a : 내시경
410 : 내시경 하우징부 411 : 손잡이부
420 : 내시경 관부재 430 :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
431 : 제1메인 안내통로 431a :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
431b : 제2바늘이동 레일홈부 432 : 제2메인 안내통로
432a : 제1프로브이동 레일홈부 432b : 제2프로브이동 레일홈부
433 : 보조 안내통로 440 : 제1이동 기기
441 :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442 : 제1렉기어부
443 : 제1피니언 기어부 444 : 제1조작 기어부
450 : 제2이동 기기 451 :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452 : 제2렉기어부 453 : 제2피니언 기어부
454 : 제2조작 기어부 500 : 약물 주사기
500a : 주사 바늘 510 : 주사기 본체
520 : 피스톤로드 600 : 고주파 열치료기기
600a : 프로브

Claims (2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비강에 삽입되어 비강의 내부를 촬영하는 내시경이 탑재되고, 길이 방향으로 치료를 위한 수술 도구가 비강 내로 삽입된 일단부 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가 형성된 내시경 기기를 포함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이되,
    상기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를 통해 비강내 점막에 주사되어 접형구개 신경절(sphenopalatine ganglion, SPG)에 약물을 주입하거나, 또는 SPG가 위치한 비강 내 점막에 고주파 열치료기기의 프로브를 접촉시켜 고주파를 인가함으로써 두통을 치료하고,
    상기 내시경 기기는, 손잡이부가 구비된 내시경 하우징부 및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내부에 내시경과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가 형성된 내시경 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는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1메인 안내통로 및 보조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보조 안내통로를 포함하고, 상기 제1메인 안내통로는 약물을 주사하는 약물 주사기의 주사 바늘이 통과되는 통로이고, 상기 주사 바늘은 단부 측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휘어지며, 제1메인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한 후 상기 내시경 관부재의 단부 측에서 휘어진 부분이 돌출되면 탄성에 의해 더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된 통로가 형성되고 콧구멍을 통해 비강 내로 삽입되는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내시경 기기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를 관통하여 일단부가 비강 내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통로 내에 삽입 및 분리되고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일단부 측으로 돌출되며, 일단부가 동그란 형상을 가진 안내용 막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는 비강 내로 삽입되는 일단부 측이 경사진 경사면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외측면에 돌출되게 위치되고 수술 대상자의 코 끝에 걸려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삽입 길이를 제한하는 코받침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코받침부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위치 잠금부에 의해 위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는 타단부 측에 안내용 막대부재가 나사 결합되는 나사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용 막대부재는 상기 내시경 안내용 관부재에 삽입된 후 나사 결합부에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메인 안내통로에는
    상기 주사 바늘이 삽입되며 상기 주사 바늘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와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의 맞은편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진 상기 주사 바늘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바늘이동 레일홈부가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술 도구 안내통로부는 메인 수술 도구를 통과시키기 위한 제2메인 안내통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는 고주파 열치료기기의 프로브가 통과되는 통로이고,
    상기 프로브는 단부 측 일부분이 탄성적으로 휘어지고,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를 따라 이동한 후 내시경 관부재의 단부 측에서 휘어진 부분이 돌출되면 탄성에 의해 더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에는
    상기 프로브가 삽입되며 상기 프로브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1프로브이동 레일홈부와 제1바늘이동 레일홈부의 맞은편에 위치되어 탄성적으로 휘어진 프로브의 단부가 삽입되는 제2프로브이동 레일홈부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2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상기 제1메인 안내통로에 위치된 수술 도구를 이동시켜 내시경 관부재의 단부 측으로 돌출시키는 제1이동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동 기기는,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 내에 제1메인 안내통로와 연결되고 수술 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상기 제1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내로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1렉기어부;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렉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내시경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제1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조작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에는 내시경 기기가 배치되고, 수술 도구를 전, 후 이동시키는 제2이동 기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동 기기는
    내시경 하우징부 내에 상기 제2메인 안내통로와 연결되게 위치되고 수술 도구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상기 제2도구 이동 가이드부재 내로 삽입되는 수술 도구의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위치되는 제2렉기어부;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제2렉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피니언 기어부; 및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고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내시경 하우징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피니언 기어부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2조작 기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2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치료 장치는 비강 내의 출혈을 지혈하는 바이폴라 레이저(Bipolar Laser)를 탑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치료 장치.
KR1020180119675A 2018-10-08 2018-10-08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KR101982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75A KR101982450B1 (ko) 2018-10-08 2018-10-08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675A KR101982450B1 (ko) 2018-10-08 2018-10-08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450B1 true KR101982450B1 (ko) 2019-05-24

Family

ID=6668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675A KR101982450B1 (ko) 2018-10-08 2018-10-08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4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1059A (zh) * 2020-11-27 2021-03-09 浙江省中医院、浙江中医药大学附属第一医院(浙江省东方医院) 蝶腭神经节体表定位及针刺仪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2944A (ja) * 2008-02-27 2011-04-28 エンテラ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副鼻腔洞にアクセスする装置および方法
KR20140145576A (ko) * 2012-02-10 2014-12-23 도울러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환자의 비강내 처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JP2015500113A (ja) * 2011-12-16 2015-01-05 コーデイト・メディカル・アーゲー 頭痛障害を治療するデバイス
KR20180058031A (ko)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아이피컨텍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12944A (ja) * 2008-02-27 2011-04-28 エンテラス メディカ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副鼻腔洞にアクセス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15500113A (ja) * 2011-12-16 2015-01-05 コーデイト・メディカル・アーゲー 頭痛障害を治療するデバイス
KR20140145576A (ko) * 2012-02-10 2014-12-23 도울러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환자의 비강내 처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80058031A (ko) 2016-11-23 2018-05-31 주식회사 아이피컨텍 비도 약물 주입을 위한 내시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51059A (zh) * 2020-11-27 2021-03-09 浙江省中医院、浙江中医药大学附属第一医院(浙江省东方医院) 蝶腭神经节体表定位及针刺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871138T3 (es) Aparato para la administración supracoroidea de agente terapéutico
ES2709219T3 (es) Cánula sin hematomas
US20110184378A1 (en) Treatment instrument and treatment method
US20110144630A1 (en) Fiber optic device with controlled reuse
CN107582381B (zh) 一种枪式电火针
KR101760920B1 (ko) 깊이조절이 용이한 멀티 주사 바늘 조립체
CN208892703U (zh) 一种方便注射的环锯保护套及截骨装置
JP5518742B2 (ja) 中空針
DE60128107D1 (de) Mikrochirurgische injektion und/oder aufweitbare instrumente und chirurgische vorrichtung zu deren gebrauch
US2003005734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annulating retinal blood vessels
US20220218383A1 (en) Surgical cutting device for ultrasonic guided soft tissue surgery
US9693825B2 (en) Fiber embedded hollow needle for percutaneous delivery of laser energy
KR101982450B1 (ko) 비강 내 내시경 삽입 안내용 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 치료 장치
KR101714756B1 (ko) 니들카트리지가 구비된 고주파 핸드피스
US20200030000A1 (en) Apparatus for puncturing maxillary sinus
KR101064079B1 (ko) 골내 주사 삽입 기구
JP2011177314A (ja) 穿刺針ガイド器具
CN203029616U (zh) 一种快速进针穴位埋线器
CN212755836U (zh) 一种带刻度和定位器的射频穿刺针
KR101652389B1 (ko) 캐뉼라
CN104758046A (zh) 双环式枢锥齿状突瞄准器
CN206642194U (zh) 一种膀胱镜下内注射器
CN204600660U (zh) 双环式枢锥齿状突瞄准器
CN205649719U (zh) 一种尿道膀胱镜用注射操作器
KR20200081898A (ko) 코 자가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