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99713A -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 Google Patents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99713A
KR20140099713A KR1020130012466A KR20130012466A KR20140099713A KR 20140099713 A KR20140099713 A KR 20140099713A KR 1020130012466 A KR1020130012466 A KR 1020130012466A KR 20130012466 A KR20130012466 A KR 20130012466A KR 20140099713 A KR20140099713 A KR 20140099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dial
fixed
shaf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84491B1 (ko
Inventor
맹성호
김창용
Original Assignee
(주)세원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원메디텍 filed Critical (주)세원메디텍
Priority to KR20130012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491B1/ko
Publication of KR20140099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9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4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4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105Steering means as part of the catheter or advancing means; Markers for positio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43Catheters; Hollow probe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9Guide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7/00Other apparatus for introducing media into the body; Percutany, i.e. introducing medicines into the body by diffusion through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이는, 케이스의 내부에서 지지되는 조작부와; 필요시 조작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 고정되는 진입샤프트와;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연결포트와; 상기 연결포트와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유도튜브와; 상기 진입샤프트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그 연장단부가 상기 진입샤프트의 선단부 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스티어링와이어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며 스티어링와이어를 인장하는 견인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고정수단을 이용해 조작다이얼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이 매우 편리하고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며, 또한 함께 사용되는 시술장비를 탄력적으로 잡아 고정해주는 탄력홀더를 가져 시술장비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 중 케이스내에서 스티어링와이어가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응력피로에 의한 스티어링와이어의 절단이 없어 신뢰성이 높다.

Description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Video guided Catheter}
본 발명은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에 관한 것이다.
신경외과(神經外科)에서 주로 행해지는 신경융해술은, 척추의 꼬리뼈 부분에, 체내로 통하는 구멍을 확보하고 상기 구멍으로 카테터를 삽입한 후 상기 카테터를 통해 약액을 주입하여, 카테터의 선단부가 위치한 지점에서의 중추신경과 신경가지의 신경조직을 괴사 시키거나 염증유발 물질 및 유착들을 제거하는 시술법이다.
이에 비해,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를 이용한 소위, 꼬리뼈 내시경 치료법은, 체내로 진입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안에 초소형 내시경을 통과시켜, 내시경을 통해 체내 병변부위를 육안으로 확인하며 진행하는 치료법으로서, 필요에 따라 카테터 내부로 레이저치료기를 삽입하여 병변 부위에 레이저 직접 조사할 수 있어 정밀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는 척추관협착증이나 디스크파열환자나 신경융해술로 효과가 작은 경우에 적합한 시술법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꼬리뼈 내시경 시술을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로서 US 6,146,355호(Steerable catheter)가 제안된 바 있다.
도 1 및 도 2는 상기 US 6,146,355호에 개시되어 있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종래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11)는, 케이스(13)와, 상기 케이스(13)의 내부공간(13d)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다이얼(15)과, 상기 케이스(13)의 선단부 내측에 고정되는 매니폴드(17)와, 상기 매니폴드(17)에 그 후단부가 고정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진입샤프트(19)와, 상기 케이스(13)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두 개의 연결포트(21a,21b)와, 상기 연결포트(21a,21b)와 매니폴드(17)를 연결하는 유도튜브(25a,25b)와, 상기 진입샤프트(19)를 구부리기 위한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갖는다.
상기 케이스(13)는, 상부케이스편(13b)과 하부케이스편(13c)이 상호 결합된 것으로서 양측부에 노출창(16)을 갖는다. 상기 노출창(16)은 조작다이얼(15)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키는 통로이다.
상기 조작다이얼(15)은 시술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회동축(도 5의 15e)을 중심으로 화살표 z 방향으로 회전하여 선택된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인장함으로써, 스티어링와이어로 하여금 진입샤프트(19)를 구부리게 한다. 상기 조작다이얼(15)의 양측부에는 손으로 가압하는 돌기부(1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작다이얼(15)이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인장하게 할 수 있도록, 조작다이얼(15)의 저면 양측에는 와이어홀더(15c,15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홀더(15c,15d)는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후단부에 결합되어, 가령 조작다이얼(15)을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일측 스티어링와이어(27a)를 화살표 b방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가 화살표 b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는 화살표 c방향으로 구부러진다. 타측 스티어링와이어(27b)가 인장될 경우,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는 화살표 c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휘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연장 단부에는 고정부(27c)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7c)는 진입샤프트의 내부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당겨질 때 진입샤프트(19)를 벤딩시킨다.
또한, 상기 연결포트(21a,21b)는 내시경장치나 레이저치료기구를 받아들이는 통로로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캡(22)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각 연결포트(21a,21b)의 측부에는 약액주입튜브(23)가 연통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약액주입튜브(23)는 액상의 약품을 주입하는 통로로서 단부에 주사기 결합하는 포트(23a)를 갖는다.
도 4는 상기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진입샤프트(19)에 두 개의 통로(19a,19b)가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로(19a,19b)의 상하부에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매립되어 있다. 이와같이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진입샤프트(19)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위치하므로,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인장하면 진입샤프트(19)가 휘어진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기본적으로, 상기한 종래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11)는, 조작다이얼(15)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이 없어, 시술 정밀성이 매우 떨어지고 사용이 매우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조작다이얼(15)의 회동축(15e)이 하부케이스편(13c)에 마련되어 있는 지지부(13e)에 단지 끼워져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가령, 조작다이얼(15)을 도 3의 화살표 a방향으로 20도 회전시킨 후 손을 놓으면, 진입샤프트(19)의 펼쳐지려는 성향과 반대편 스티어링와이어(27b)의 작용에 의해, 조작다이얼(15)이 처음의 위치로 자동 복원되어 진입샤프트(19)가 다시 펼쳐지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서는, 시술 중 조작다이얼(15)을 계속적으로 잡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시술 중에 조작다이얼(15)을 놓치지 않고 각도를 유지하는 것은 매우 피곤한 일이며, 조작다이얼(15)을 잡느라 정작 내시경카메라나 레이저치료기의 조작을 정밀하게 하지 못할 수 도 있다.
또한, 연결포트(21a,21b)의 후단부를 열고 내시경카메라(30)를 카테터(11) 내에 삽입한 경우, 내시경카메라(30)의 본체부(30b)와 연장부(30a)의 연결부위가 쉽게 꺾일 수 도 있다. 이는 연장부(30a)가 매우 가늘고 연결포트(21a,21b)가 탄력성이 없기 때문이다.
시술에 사용되는 내시경카메라(30)나 레이저치료기(미도시)는, 워낙 고가이고, 매우 정밀하고 민감한 장비이며 특히 연장부(30a)는 상기 통로(19a,19b)를 통과할 정도로 가늘기 때문에, 연결포트(21a,21b)의 후단부에 걸쳐 있는 연장부(30a)가 시술 중 쉽게 꺾일 수 있다.
상기 연장부(30a)가 꺾일 경우 내부 회로가 단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회로가 단락되면 시술을 레이저치료나 내시경관찰을 더 이상할 수 없는 상황에 빠지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또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상기한 종래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11)는, 사용 중 스리어일와이어(27a,27b)의 인장과 굽힘이 반복되므로, 스티어링와이어의 국소부위에 응력피로가 집중되어 그만큼 스티어링와이어의 수명이 짧다는 단점도 있다. 이는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단부가 와이어홀더(15c,15d)에 완전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이다.
이를테면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다이얼(15)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켜 일측 스티어링와이어(27a)를 화살표 b방향으로 인장시키면, 반대편 스티어링와이어(27b)가 케이스(13) 내부에서 늘어지게 되는데, 이 때 스티어링와이어(27b)와 와이어가이드(28)의 경계부위(S)가 꺾이게 된다. 상기 경계부위는 팽창과 굽힘운동을 반복하게 된다.
즉, 상기 조작다이얼(15)을 도 7의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구부러져 있던 도면상 하측 스티어링와이어(27b)가 팽팽하게 인장되고, 당겨지던 타측 스티어링와이어(27a)가 늘어져 상기 경계부위(S)가 구부러지는 것이다.
상기 조작다이얼(15)의 양방향 회전이 반복됨에 따라,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b)에 가해지는 응력피로가 점차 누적되어, 결국 상기 경계부위(S)에서 와이어가 절단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고정수단을 이용해 조작다이얼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이 매우 편리하고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며, 또한 함께 사용되는 시술장비를 탄력적으로 잡아 고정해주는 탄력홀더를 가져 시술장비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 중 케이스내에서 스티어링와이어가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응력피로에 의한 스티어링와이어의 절단이 없어 신뢰성이 높은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과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며, 그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인접 배치되며 필요시 상기 조작부를 고정시켜, 조작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고정되되 그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튜브삽입구와 와이어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 그 후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매니폴드 내에서 튜브삽입구와 연통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시 체내로 삽입되는 진입샤프트와;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포트와; 그 양단부가 상기 각 연결포트와 매니폴드의 튜브삽입구에 고정되는 유도튜브와; 상기 와이어삽입구를 통해 매니폴드의 내부로 삽입 연장되며, 매니폴드 내부에서 진입샤프트와 만나 진입샤프트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가 상기 진입샤프트의 선단부 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스티어링와이어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조작부의 회전시 선택된 스티어링와이어를 인장하여, 스티어링와이어로 하여금 진입샤프트를 구부리게 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편 및 상부케이스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편에 일체를 이루는 링형부재로서, 그 원주방향으로 지지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이얼고정링이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지지된 상태로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다이얼고정링에 대해 진퇴 가능하며, 상기 다이얼고정링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지지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걸림부를 갖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다이얼고정링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지축과, 상기 조작다이얼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지지축에 끼움결합하며 하부지지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한 상부지지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지지축과 상부지지축의 사이에는, 다이얼고정링에 대한 조작다이얼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걸림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조작다이얼의 저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각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를 통과시키는 와이어통로를 구비한 와이어견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통로를 통과한 상태의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에는, 조작다이얼의 회전시 상기 와이어견인부재에 걸려 와이어견인부재의 이동력을 스티어링와이어로 전달하는 와이어홀더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포트에는; 시술시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카테터 내부로 삽입되는 시술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포트에 결합하며 상기 시술장비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시술장비가 연결포트의 단부에서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탄력홀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홀더는;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부재로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를 수용한 상태로 압착되어 스티어링와이어와 결합된 금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는, 고정수단을 이용해 조작다이얼을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시술이 매우 편리하고 정밀한 시술이 가능하며, 또한 함께 사용되는 시술장비를 탄력적으로 잡아 고정해주는 탄력홀더를 가져 시술장비가 꺾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사용 중 케이스내에서 스티어링와이어가 구부러지지 않으므로 응력피로에 의한 스티어링와이어의 절단이 없어 신뢰성이 높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외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절제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또 다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Ⅹ-Ⅹ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도 9의 ⅩⅠ- ⅩⅠ선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조작다이얼의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에서의 견인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41)는, 내부공간(43p)을 제공하는 케이스(43)와, 상기 케이스(43)의 내부공간(43p)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작다이얼(49)과, 필요시 상기 조작다이얼(49)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서의 다이얼고정링(51)과, 상기 케이스(43)의 선단부에 고정되는 매니폴드(53)와, 상기 매니폴드(53)에 그 후단부가 끼움 결합하는 진입샤프트(19)와, 상기 케이스(43)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두 개의 연결포트(21a,21b)와, 각 연결포트(21a,21b)에 고정되는 탄력홀더(45)와, 상기 연결포트(21a,21b)와 매니폴드(53)를 연결하는 유도튜브(25a,25b)와, 그 후단부가 조작다이얼(49)에 지지되며 상기 진입샤프트(19)에 매립 연장된 한 쌍의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케이스(43)는, 상호 결합하여 상기 조작다이얼(49)을 수용하는 하부케이스편(43b)과 상부케이스편(43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하부케이스편(43a,43b)은 상호 결합한 상태로 그 후단부에 파지부(43c)를 제공한다. 상기 파지부(43c)는 손으로 잡는 부분으로서 인체공학적 편리성을 고려하여 다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43)의 양측부에는 노출창(47)이 형성된다. 상기 노출창(47)은 대략 사각의 형태를 취하는 통로로서, 상기 조작다이얼(49)의 일부분을 케이스(49) 외부로 노출시킨다. 시술자는, 상기 노출창(47) 외부로 돌출된 부분을 가압하여 조작다이얼(49)을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편(43b)의 바닥면부(43e)에는 상기한 다이얼고정링(51)이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상기 다이얼고정링(51)은 그 외주면에 지지톱니부(51a)가 형성되어 있는 일정직경의 링형부분으로서, 필요시 상기 조작다이얼(49)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 다이얼고정링(51)의 중심부에는 하부지지축(55)이 위치한다. 상기 하부지지축(55)은 그 내주면에 홈(55a)이 형성되어 있는 일정직경의 원통부이다. 상기 홈(55a)은 하부지지축(55)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상부지지축(49e)의 걸림돌기(49f)를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하부지지축(55)은 조작다이얼(49)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지지축(49e)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편(43b)과 상부케이스편(43a)의 선단부에는 매니폴드지지홈(43f)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한 쌍씩의 고정홈(43d)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매니폴드지지홈(43f)은 서로 만나 구멍을 이루며 매니폴드(53)를 수용 지지하고, 고정홈(43d)은 상기 연결포트(21a,21b)를 수용지지한다.
상기 하부케이스편(43b)에서, 상기 매니폴드지지홈(43f)의 측부에는 지지브라켓(43k)이 구비된다. 상기 지지브라켓(43k)은 상부케이스편(43a)에 마련되어 있는 매니폴드지지체(43m)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매니폴드(53)의 안착돌출부(53a)를 지지하여 매니폴드(53)의 수평을 유지한다.
또한, 상기 각 연결포트(21a,21b)에 고정되는 탄력홀더(45)는 탄성력을 갖는 튜브형 부재로서 연결포트(21)의 내부로 삽입되는 끼움부(45a)를 갖는다. 상기 끼움부(45a)는 연결포트(21a,21b)의 내부에 끼워져 연결포트(21a,21b)에 대해 탄력홀더(45)를 고정시킨다.
특히 상기 끼움부(45a)가 연결포트(21a,21b)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레이저치료기나 내시경카메라의 연장부(30a)가 연결포트(21a,21b)의 단부 모서리부에 닿지 않아 꺾일 염려가 없다. 더욱이 탄력홀더(45) 자체가 탄성력을 가지므로, 탄력홀더(45)의 삽입구멍(45b)의 내경을 연장부(30a)의 직경과 같도록 할 경우, 탄력홀더(45) 내부로 사입된 연장부(30a)가 탄력홀더(45)에 조여져 외부로 미끄러져 나올 염러가 없다.
상기 탄력홀더(45)로서 고무나 실리콘 등의 합성수지를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다이얼(49)은, 하부로 개방된 속이 빈 원통형 부재로서, 그 중앙부 저면에 상부지지축(49e)을 가진다. 상기 상부지지축(49e)은 하부지지축(55)의 내부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상기 상부지지축(49e)의 외주면에는 걸림돌기(49f)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9f)는 원주방향으로 연장된 선형돌기로서, 상기 홈(55a)의 내부에 삽입 가능하다.
특히 상기 상부지지축(49e)은, 하부지지축(55)의 내부에 끼워진 상태로 승강 가능하다. 즉 시술자가 원할 때 힘을 가하여, 조작다이얼(49)을 다이얼고정링(51)측으로 주저앉힐 수 도 있고, 들어 올릴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49f)는, 조작다이얼(49)이 상승한 상태에서 하부지지축(55)의 내주면 상단부에 일단 걸려 지지되고, 조작다이얼(49)을 하향 가압했을 때, 하부지지축(55)의 내부로 압입되어 상기 홈(55a)에 삽입된다.
상기한 조작다이얼(49)의 승강 및 회전운동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케이스편(43a)의 내향면에 써포트축(43n)이 마련된다. 상기 써포트축(43n)은 하부지지축(55)과 동일한 회전중심을 갖는 속이 빈 축으로서, 조작다이얼(49)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링홈(49d)에 끼워진다.
상기 써포트축(43n)은 링홈(49d)에 끼워진 상태로, 조작다이얼(49)의 승강운동 및 회전운동시 조작다이얼(49)을 지지한다.
아울러, 상기 조작다이얼(49)의 양측부에는 돌기부(4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부(49a)는 조작다이얼(49)을 좌우로 회전시키기 위해 손가락을 가압하는 부분이다. 상기 돌기부(49a)가 있으므로, 조작다이렁(49)의 조작시 미끄러지지 않는다.
또한 조작다이얼(49)의 하부에는 튜브통로(49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튜브통로(49b)는 유도튜브(25a,25b)가 지나가는 통로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조작다이얼(49)의 내주면 하단부에는 고정톱니부(49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톱니부(49c)는 지지톱니부(51a)에 대응하는 부분으로서, 조작다이얼(49)을 다이얼고정링(51)측으로 가압 이동시켰을 때 지지톱니부(51a)에 치합한다.
상기 고정톱니부(49c)가 지지톱니부(51a)에 치합하면, 조작다이얼(49)이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는다. 상기 조작다이얼(49)을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조작다이얼(49)에 상향 가압력을 가하여, 다이얼고정링(51)으로부터 조작다이얼(49)를 들어올려야 한다.
상기 상부지지축(49e)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위치하는 견인부(49m,49n)는, 각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상기 조작다이얼(49)의 회전시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도 14의 화살표 b방향 또는 도 15의 화살표 k방향으로 당기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견인부(49m,49n)는, 각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단지 통과만 시킬 뿐, 스티어링와이어(27a,27b)에 고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는 견인부에 견인만 될 뿐, 견인부가, 이를테면 매니폴드(53)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하부로 늘어지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도 14 및 도 15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견인부(49m,49n)의 구조는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도 12는 도 9에 도시한 조작다이얼의 일부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지지축(49e)을 사이에 두고, 두 개의 견인부(49m,49n)가 반대편에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견인부의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견인부(49m,49n)는, 조작다이얼(49)의 저면에 일체를 이루며 하부로 개방되고 특히 양측부에 와이어통로(49q)가 마련되어 있는 와이어견인부재(49p)와, 상기 와이어견인부재(49p)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하는 받침스크류(49r)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스크류(49r)는 와이어견인부재(49p)와 결합하여, 와이어통로(49q)를 통과한 상태의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하부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와이어견인부재(49p)의 내주면에, 받침스크류(49r)와의 결합을 위한 암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와이어통로(49q)는, 와이어견인부재(49p)에 받침스크류(49r)가 결합한 상태로도 양측으로 개방된다. 특히 상기 와이어통로(49q)의 내부 공간은,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상하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용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후단부는 각 견인부(49m,49n)를 관통하여 지지된 상태로 항상 뻗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상기 각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후단부에는 와이어홀더(57)가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홀더(57)는,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후단부를 그 내부로 통과시킨 상태로 압착되어, 스티어링와이어와 결합한 금속부재이다. 상기 와이어홀더(57)로서 동이나 알루미늄 등의 소성 경금속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와이어홀더(57)는 견인부(49m,49n)에 걸리는 걸림부재이다. 즉, 가령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조작다이얼(49)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견인부(49m)에 걸려 견인부(49m)와 함께 이동하며, 스티어링와이어(27a)를 인장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매니폴드(5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재로서, 내부에 한 쌍의 튜브삽입구(53b,53c)와, 와이어삽입구(53d,53e)를 갖는다.
상기 튜브삽입구(53b,53c)는 상호 나란하게 연장되며, 진입샤프트(19)의 양 통로(19a,19b)에 연통한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Ⅹ-Ⅹ선 단면도이고, 도 11은 상기 도 9의 -선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매니폴드(53)의 선단부에 진입샤프트(19)의 후단부가 끼워져 결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진입샤프트(19)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통로(19a,19b)는 각 튜브삽입구(53b,53c)에 연통한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는 상기 와이어삽입구(53d,53e)를 통해 매니폴드의 내부로 삽입 연장된 후, 진입샤프트(19)와 만나 진입샤프트(19)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가 상기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 내에 고정된다.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를 후방으로 인장하면, 스티어링와이어(27a,27b)는 와이어삽입구(53d,53e)로부터 얼마간 인출된다.
도 13 내지 도 15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에서 견인부(49m,49n)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진입샤프트(19)가 직선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와이어홀더(57)는 견인부(49m,49n)에 접하고 있다.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의 길이는, 상기 진입샤프트(19)가 직선으로 뻗어 있을 때, 와이어홀더(57)가 견인부(49m,49n)에 접하도록 설계된다.
여하튼 상기 상태에서, 상기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를 화살표 c 방향으로 구부려야 할 경우, 조작다이얼(49)을 화살표 a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조작다이얼(49)을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14에 도시한 바와같이, 견인부(49m)가 매니폴드(53)로부터 멀어지며 와이어홀더(57)를 통해 스티어링와이어(27a)를 화살표 b 방향으로 견인한다.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가 당겨짐에 따라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가 화살표 c 방향으로 구부러진다.
특히 이 때, 반대편 견인부(49n)는 와이어홀더(57)를 그 자리에 놔두고 매니폴드(53)측으로 이동한다. 견인부(49n)와 와이어홀더(57)가 결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견인부(49n)가 매니폴드(53)측으로 이동하더라도 스티어링와이어(27b)는 구부러지지 않고 직선 상태를 유지한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카테터는,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와이어홀더(15c,15d)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반복적으로 구부러지지만, 본 실시예의 카테터는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항상 직선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다.
상기 조작다이얼(49)을 도 15에 도시한 화살표 k방향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도면상 하측부의 견인부(49n)가 와이어홀더(57)를 가압 이동시키며 스티어링와이어(27b)를 화살표 k 방향으로 견인한다.
이 때 반대편 견인부(49m)는 와이어홀더(57)를 놔두고 매니폴드(53)측으로 이동한다. 스티어링와이어(27a)는 직선상태를 계속 유지한다.
결국 상기한 본 실시예의 카테터(41)는, 사용중 상기 스티어링와이어(27a,27b)가 계속적으로 직선상태를 유지하므로, 응력집중이 발생하지 않아 스티어링와이어가 절단될 염려가 없다. 그만큼 신뢰성이 높은 것이다.
상기한 본 실시예의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41)를 이용해 시술을 하기 위해서는, 상기 진입샤프트(19)를 환자의 꼬리뼈 부분에 확보된 구멍을 체내에 삽입한다. 이 때 영상촬영장치를 통해 진입샤프트(19)의 현재 위치를 실시간 관찰해야 함은 물론이다.
상기 진입샤프트(19)를 진입시키는 동안, 상기 조작다이얼(49)를 이용해 진입샤프트의 선단부를 시시각각 적절하게 구부려, 진입샤프트(19)가 원하는 통로를 찾아 원활히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 진입샤프트(19)가 원하는 지점에 도달하였다면,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가 환부를 향하도록 한다. 이 때 환부가 진입샤프트(19)의 축방향에서 옆으로 벋어난 측부에 위치한다면, 진입샤프트(19)의 선단부를 적절히 구부려 환부를 향하도록 한다.
구부러진 상태의 진입샤프트(19)는 해당 환부의 치료를 마칠 때 까지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작다이얼(49)을 다이얼고정링(51)측으로 가압 이동시켜, 상기 다이얼고정링(51)으로 하여금 조작다이얼(49)을 고정하게 한다. 상기 상태에서 조작다이얼(49)을 놓더라도 진입샤프트(19)는 구부러진 상태를 유지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진입샤프트(19)의 세팅이 완료 되었다면, 일단 진입샤프트(19)를 통해 내시경카메라를 체내로 진입시켜 환부의 상태를 촬영하거나 모니터를 통해 뚜렷하게 바라보며 치료계획을 세운다.
필요에 따라 레이저치료기구를 적용할 경우, 레이저치료기구는 통로(19a,19b) 중 내시경카메라가 차지하고 있는 통로의 반대편 통로를 통해 진입된다.
상기 진입샤프트(19)를 통과한 레이져치료기구는 진입샤프트(19)가 제공하는 방향으로 레이저를 방출하여 환부에 정밀하게 조사된다. 이러한 레이저치료 과정도 내시경카메라를 통해 계속적으로 관찰됨은 물론이다. 이 때 내시경카메라나 레이저치료기구는 상기 탄력홀더(45)에 지지되어 카테터 외부에서 꺾일 염려가 없다.
상기 레이저치료기구를 적용하지 않고, 약물로 치료가 가능할 경우에는, 상기 약액주입튜브(23)를 통해 약액을 주입한다. 상기 약액주입튜브(23)로 주입된 약액은 유도튜브(25a,25b)와 매니폴드(53)와 진입샤프트(19)를 통해 환부에 도달한다.
상기 과정을 통해 해당 부위의 치료가 완료되었다면, 상기 조작다이얼(49)을 다이얼고정링(51)으로부터 들어 올린 후, 적절히 회전시키며 다음 치료부위로 이동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한다.
마침내 모든 치료가 완료되었다면, 조작다이얼(49)을 풀고 진입샤프트(19)를 체외로 빼내고 치료과정을 마무리하거나 다음 치료를 이어간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13:케이스 13b:상부케이스편
13c:하부케이스편 13d:내부공간 13e:지지부
15:조작다이얼 15b:돌기부 15c,15d:와이어홀더
15e:회동축 16:노출창 17:매니폴드
19:진입샤프트 19a,19b:통로 21a,21b:연결포트
22:캡 23:약액주입튜브 23a:포트
25a,25b:유도튜브 27a,27b:스티어링와이어 27c:고정부
28:와이어가이드 30:내시경카메라 30a:연장부
30b:본체부 41:비디오가이드카테터 43:케이스
43a:상부케이스편 43b:하부케이스편 43c:파지부
43d:고정홈 43e:바닥면부 43f:매니폴드지지홈
43k:지지브라켓 43m:매니폴드지지체 43n:써포트축
43p:내부공간 45:탄력홀더 45a:끼움부
45b:삽입구멍 47:노출창 49:조작다이얼
49a:돌기부 49b:튜브통로 49c:고정톱니부
49d:링홈 49e:상부지지축 49f:걸림돌기
49m,49n:견인부 49p:와이어견인부재 49q:와이어통로
49r:받침스크류 51:다이얼고정링 51a:지지톱니부
53:매니폴드 53a:안착돌출부 53b,53c:튜브삽입구
53d,53e:와이어삽입구 55:하부지지축 55a:홈
57:와이어홀더

Claims (7)

  1. 내부공간을 제공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회전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과 회전축부의 길이방향으로의 직선운동이 가능하며, 그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의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와;
    상기 조작부에 인접 배치되며 필요시 상기 조작부를 고정시켜, 조작부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정수단과;
    상기 케이스의 선단부에 고정되되 그 일부가 케이스의 외부로 연장되고, 내부에는 다수의 튜브삽입구와 와이어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매니폴드와;
    상기 매니폴드에 그 후단부가 삽입 고정되어, 매니폴드 내에서 튜브삽입구와 연통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사용시 체내로 삽입되는 진입샤프트와;
    상기 케이스의 후단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연결포트와;
    그 양단부가 상기 각 연결포트와 매니폴드의 튜브삽입구에 고정되는 유도튜브와;
    상기 와이어삽입구를 통해 매니폴드의 내부로 삽입 연장되며, 매니폴드 내부에서 진입샤프트와 만나 진입샤프트의 내부에 매립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가 상기 진입샤프트의 선단부 내에 고정되는 다수의 스티어링와이어와;
    상기 조작부에 구비되며 상기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를 지지한 상태로, 조작부의 회전시 선택된 스티어링와이어를 인장하여, 스티어링와이어로 하여금 진입샤프트를 구부리게 하는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호 결합하여 상기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하부케이스편 및 상부케이스편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케이스편에 일체를 이루는 링형부재로서, 그 원주방향으로 지지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다이얼고정링이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회전축부에 지지된 상태로 직선운동을 통해 상기 다이얼고정링에 대해 진퇴 가능하며, 상기 다이얼고정링측으로 이동한 상태로 지지걸림부에 걸려 고정되는 고정걸림부를 갖는 조작다이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부는;
    상기 다이얼고정링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지지축과,
    상기 조작다이얼의 저면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지지축에 끼움결합하며 하부지지축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 가능한 상부지지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축과 상부지지축의 사이에는, 다이얼고정링에 대한 조작다이얼의 상대 위치를 유지하는 걸림수단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5. 제 2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는;
    상기 조작다이얼의 저면에 위치하되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반대편에 배치되며, 상기 각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를 통과시키는 와이어통로를 구비한 와이어견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통로를 통과한 상태의 스티어링와이어의 후단부에는, 조작다이얼의 회전시 상기 와이어견인부재에 걸려 와이어견인부재의 이동력을 스티어링와이어로 전달하는 와이어홀더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포트에는;
    시술시 상기 연결포트를 통해 카테터 내부로 삽입되는 시술장비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연결포트에 결합하며 상기 시술장비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시술장비가 연결포트의 단부에서 꺾이는 것을 방지하는 탄력홀더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홀더는;
    소성변형 가능한 금속부재로서, 상기 스티어링와이어를 수용한 상태로 압착되어 스티어링와이어와 결합된 금속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KR20130012466A 2013-02-04 2013-02-04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KR1014844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466A KR101484491B1 (ko) 2013-02-04 2013-02-04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12466A KR101484491B1 (ko) 2013-02-04 2013-02-04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9713A true KR20140099713A (ko) 2014-08-13
KR101484491B1 KR101484491B1 (ko) 2015-01-20

Family

ID=51745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12466A KR101484491B1 (ko) 2013-02-04 2013-02-04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4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959A (ko) * 2014-08-18 2016-02-29 (주)세원메디텍 멀티벌룬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
KR20160071254A (ko)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내시경용 카테터
WO2018186615A1 (ko) * 2017-04-03 2018-10-11 아이메디컴(주) 조종 가능한 카테터
KR20230066932A (ko) 2021-11-08 2023-05-16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잠금 기능을 갖는 약물 주입용 카테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719B1 (ko) * 2019-06-04 2021-02-05 (주)비엠에이 내시경용 처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1088A (en) * 1990-02-02 1999-04-06 Ep Technologies, Inc. Catheter steering assembly providing asymmetric left and right curve configurations
US6146355A (en) * 1996-12-30 2000-11-14 Myelotec, Inc. Steerable catheter
US6648875B2 (en) * 2001-05-04 2003-11-18 Cardiac Pacemakers, Inc. Means for maintaining tension on a steering tendon in a steerable cathete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1959A (ko) * 2014-08-18 2016-02-29 (주)세원메디텍 멀티벌룬카테터 및 이를 갖는 카테터장치
KR20160071254A (ko) 2014-12-11 2016-06-21 주식회사 지에스엠코리아 내시경용 카테터
WO2018186615A1 (ko) * 2017-04-03 2018-10-11 아이메디컴(주) 조종 가능한 카테터
KR20180112355A (ko) * 2017-04-03 2018-10-12 아이메디컴(주) 조종 가능한 카테터
US11167110B2 (en) 2017-04-03 2021-11-09 Imedicom Steerable catheter
KR20230066932A (ko) 2021-11-08 2023-05-16 오케이 메디넷 코리아(주) 잠금 기능을 갖는 약물 주입용 카테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4491B1 (ko) 2015-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69156B2 (en) Modular body cavity access system
US9913963B2 (en) Steerable catheter with electrical signal delivered through steering wire
KR101484491B1 (ko) 비디오 가이드 카테터
EP3437573B1 (en) Multi-functional ent tool
EP3189798B1 (en) Endoscopic treatment instrument, treatment instrument unit, and treatment system
JP6432091B2 (ja) 内視鏡処置具の駆動制御装置
US11013396B2 (en) Portable endoscope with disposable steerable cannula
US20170231481A1 (en) Insertion device assembly for nasal sinuses
US20120203066A1 (en) Endoscope, guide unit, guide wire, medical-device guiding system, and medical-device guiding method
CN110384474B (zh) 颅内内窥镜及其使用方法
JP7036934B2 (ja) 内視鏡及び副鼻腔進入用内視鏡
WO2017033712A1 (ja) 医療用装置
KR101592341B1 (ko) 밴딩 가능한 니들이 구비된 약품주입기
KR20110118944A (ko) 니들 및 이를 구비한 카데터 조립체
KR20210114928A (ko) 배향 제어기 및 일회용 내시경
CN117222369A (zh) 用于伸展内窥镜的装置、系统和方法
CN112971900A (zh) 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