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06003A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06003A1
WO2020106003A1 PCT/KR2019/015814 KR2019015814W WO2020106003A1 WO 2020106003 A1 WO2020106003 A1 WO 2020106003A1 KR 2019015814 W KR2019015814 W KR 2019015814W WO 2020106003 A1 WO2020106003 A1 WO 2020106003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an
temperature
air conditioner
indoo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581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황준
김태우
이상우
박승준
조형규
주영주
서형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
Priority to US17/309,071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18569A1/en
Publication of WO2020106003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0600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3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having two or more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and a control method for adjusting various properties of air in a use space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Specifically, the air heat-exchanged in a heat exchanger for cooling the indoor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is indoor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conditioner related to a blower fan driven to be discharged to the environment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An air conditioner refers to a device provided to adjust the properties of temperature, humidity, cleanliness, air flow, etc. according to the requirements of the use space.
  • the air conditioner basically includes a blower that forms an air flow, and changes at least one of the properties of air circulated by the blower to change the environment of the use space to a comfortable state for the user.
  • Air conditioners a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air to be controlled. Examples thereof include air conditioners for cooling air, dehumidifiers for lowering humidity of air, and air purifiers for increasing air cleanliness.
  • the air conditioner uses a cooling principle based on the heat of vaporization to lower the temperature in the room.
  • a liquid evaporates into a gas, it absorbs heat and when the gas condenses into a liquid, it releases heat, and the heat absorbed when evaporating is heat of vaporization.
  • the air conditioner greatly changes the pressure with a compressor to condense the coolant, which was in the gaseous state, into a liquid, and then lowers the pressure to evaporate the coolant in the liquid state again into vapor in the evaporator and lowers the ambient temperature by absorbing heat by the vaporized coolant. .
  • Cooling by the air conditioner is performed through a simple cooling cycle that can efficiently obtain a large amount of heat of vaporization, and this method can also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 heat is originally transferred from a high temperature to a low temperature, but through a cooling cycle of the air conditioner, heat is transferred from a low temperature indoor to a high temperature outdoor.
  • the air conditioner includes an indoor unit that emits cold wind and an outdoor unit that emits hot wind.
  • refrigerators are likewise transferred from low temperature devices to high temperature devices.
  • the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djusts the amount of air blown by the blowing fan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set by the user.
  • a predetermined set temperature set by the user e.g., the indoor temperature of the air conditioner.
  • the user may feel uncomfortable with temperature and airflow.
  • the indoor unit may operate with a strong wind during the initial operation period in which the indoor temperature is initially lowered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and after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he set temperature, the indoor unit may be operated with a weak wind.
  • the indoor unit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low, if the user operates as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trongly feel the airflow that the wind touches the skin.
  • the indoor unit when the indoor unit is operated by a weak wind in the initial operation section, it may operat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s high. In this case, temperature stratifica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gradient suddenly appears in the vertical direction, occurs in the room, and thus does not provide a comfortable cooling effect to the user.
  • an air conditioner that controls blowing may be required within a range in which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using having a first flow path and a second flow path, each having a different inlet and outlet, respectively, and a heat exchange which is arranged in the first flow path and performs heat exchange of air
  • a first fan arranged in the first flow path and operative to discharge air heat-exchanged by the heat exchanger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and air disposed in the second flow path and moving along the second flow path
  • a second fan provided to operate to discharge outside the housing, a driving unit provided to drive the first fan and the second fan, and the first fan to operate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to selectively operate the second fan in response to a time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atisfies a preset temperature condition.
  • the temperature condition may indicate whether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or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time period satisfying the temperature condition is a cooling period in which the heat exchanger and the first fan are operated for cooling, and when the time period is determined as the cooling period, the The second fan can be operated.
  • the processor may not operate the second fan.
  • the processor determines whether the time period not satisfying the temperature condition is an initial cooling period in which the heat exchanger is first operated among the cooling periods, and when the time period is determined as the initial cooling period, the first If the fan is not operate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time period is not the initial cooling period, the second fan may be operated.
  • the processor may not operate the second fan.
  • outlet of the second flow path may be disposed above the second fan.
  • the second fan may be disposed under the first fan.
  • the housing is coupled to the housing to cover the outlet of the first flow path and further includes a perforated plate having a plurality of perforations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and the first fan can be dispos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and the perforated plate.
  • the senor may further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the indoor temperature or the outdoor temperature, and the processor may acquire information about the indoor temperature or the outdoor temperature from the sensor.
  • control method of an air conditioner is driven by a heat exchanger disposed in a first flow path to exchange air in the first flow path by the heat exchanger, and based on indoor and outdoor temperatures And driving the first fan disposed in the first flow path to discharge the heat-exchanged air from the first flow path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flow path having each of the first flow path and each having a different suction and discharge port and isolating each other. And selectively driving the second fan disposed at the time corresponding to a time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atisfies a preset temperature condition.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positions of a main fan and a sub fan in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are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3.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in which the driving unit of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with respect to a method in which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under a high load condition.
  • FIG. 9 is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with respect to a method in which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under low load conditions.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table in which the indoor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y RPMs of main fans and sub fans under each load condition.
  • 11 and 12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b-f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mplemented as an air conditioner.
  • the air conditioner 1 includes an indoor unit 100 installed in a first place in an environment in which a temperature is to be adjusted, such as a building interior, and an outdoor unit 200 installed in a second place other than the above environment, such as outdoors in a building. Includes.
  • the refrigerant or coolant circulates between the indoor unit 100 and the outdoor unit 200, and the indoor unit 100 and the outdoor unit 200 respectively adjust the temperature in the above-mentioned environment by adjusting the state of the refrigerant by energy.
  • the indoor unit 100 and the outdoor unit 200 are each shown as one, the indoor unit 100 or the outdoor unit 200 may be plural, respectively,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 the air conditioner 1 basically uses cooling by vaporization heat.
  • the refrigerant absorbs heat when vaporizing from liquid to gas, and conversely, when condensing from gas to liquid, it releases heat.
  • the heat absorbed when the refrigerant vaporizes is the heat of vaporization.
  • the air conditioner 1 uses a phase change in which the refrigerant changes between liquid and gas, the refrigerant used in the air conditioner 1 has a low vaporization point and a large vaporization heat.
  • the indoor and outdoor piping of the air conditioner 1 is mainly made of metal, the refrigerant is required to have a characteristic that will not corrode the metal used in the piping.
  • a refrigerant that can exist in a liquid state at a low temperature may be required depending on the region of use.
  • the indoor unit 100 includes an indoor heat exchanger 110.
  • the outdoor unit 200 includes a compressor 210, an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 expansion valve 230, a four-way valve 240, and a service valve 250.
  • an external pipe 300 is provided between the indoor unit 100 and the outdoor unit 200 to provide a flow path for the refrigerant to move.
  • the external piping 300 includes a first external piping 310 that provides a flow path through which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indoor unit 100 flows into the outdoor unit 200, and th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outdoor unit 200 into the indoor unit 100. It includes a second outer pipe 320 to provide a flow path for entering the furnace.
  •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an evaporator when the air conditioner 1 is in a cooling mode, and changes refrigerant to low pressure and gas phase.
  • the refrigerant in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when it is an evaporator changes into a gas phase by absorbing heat from the surrounding environment, whereby the temperature of the environment around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decreases.
  • the low-pressure and gaseous refrigerant moves from the indoor unit 100 to the outdoor unit 200 through the first external pipe 310 and flows into the compressor 210.
  • the compressor 210 compresses the cold refrigerant in the gas phase to change it into a gas phase of high temperature and pressure.
  • the reason why the compressor 210 compresses the refrigerant in this way is because the phase change from the high temperature to the liquid phase is easy.
  • the compressor 210 sucks the low pressure refrigerant and discharges the high pressure refrigerant to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so that the refrigerant can form a circulation cycle.
  •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is a condenser when the air conditioner 1 is in a cooling mode, condensing it into a liquid refrigerant by cooling the high temperature and high pressure refrigerant. That is, the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refrigerant flowing out of the compressor 210 interacts with the atmosphere and heat in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and the refrigerant changes to medium and high pressure by dissipating heat to the outside.
  • the expansion valve 230 is changed to a low-pressure and two-phase refrigerant by expanding the high-pressure and liquid-phase refrigerant.
  • the expansion valve 230 may additionally perform a function of adjusting the flow rate of the refrigerant depending on the design method.
  • the refriger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pansion valve 230 flows into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rough the second external pipe 320.
  • the four-way valve 240 is a valve that operates to change the circul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 the four-way valve 240 allows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o operate as an evaporato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o operate as a condenser when the air conditioner 1 is in the cooling mode, while the indoor heat exchanger is operated as an indoor heat exchanger in the heating mode.
  • the group 110 operates as a condenser and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operates as an evaporator.
  • the service valve 250 is a valve provided to allow the administrator to adjust the vacuum state and replenish the refrigerant in a circulation cycle of the refrigerant including the external pipe 300.
  • the refrigerant circulates the cycle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first external pipe 310, the compressor 210, the outdoor heat exchanger 220, the expansion valve 230, and the second external pipe 320 During the heat exchange of the refrigerant is performed, cooling of the first place where the indoor unit 100 is installed is achieved.
  • the indoor unit 100 includes an indoor unit sensor 12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indoor unit 100,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 the outdoor unit 200 includes an outdoor unit sensor 26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f the outdoor unit 200, that i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lace. Since the indoor unit 100 and the outdoor unit 200 are provided to enable mutual communication, the indoor unit 100 may acquire a detection result of the outdoor unit sensor 260 from the outdoor unit 200.
  • the method in which the indoor unit 100 acquir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and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lace is not limited by the above embodiment.
  • the indoor unit 100 may acquire a detection result from a separate external device that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or the second place under the IoT environment.
  • the detection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indoor unit 100 through direct communic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or may be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device to the indoor unit 100 via a server through a wide area network.
  • the indoor unit 100 may provide a user through the user interface to inpu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or the second place.
  • the indoor unit 100 may provide a user to input a specific value of temperature.
  • the indoor unit 100 may selectively provide a plurality of profiles regarding weather, date, season, and the like, and may estimate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any one profile selected by the user.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profile called “sunny weather in August”, the indoor unit 100 may acquire the temperature corresponding to the profile.
  •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oor unit 100 forms an external shape and includes a housing 130 accommodat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indoor unit 100 therein, and a perforated plate 140 coupled to the housing 130.
  • the main fan 150 is installed inside the upper housing 130 facing the perforated plate 140, and includes a sub-fan 160 installed inside the lower housing 130.
  • the housing 130 has a quadrangular pillar shape, but this embodiment does not limit the shape that the indoor unit 100 can have.
  • the main fan 150 and the sub fan 160 are referred to, but this is only used to distinguish between the terms, and the term does not limit the function.
  • the main fan 15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fan
  • the sub-fan 16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fan.
  • each region of the housing 130 will be described.
  • the plate surface of the housing 130 facing the user in the X direction in the housing 130 is referred to as a front plate surface.
  • the plate surface of the housing 130 opposite the front plate surface is referred to as a rear plate surface.
  • Each plate surface of the housing 130 located between the front plate surface and the rear plate surface and facing substantially in the -Y direction and the Y direction is referred to as a left plate surface and a right plate surface.
  • the housing 130 is divided into an upper side and a lower side.
  • the upper side of the front plate surface of the housing 130 is open, and a perforated plate 140 covering the open area is coupled to the front plate surface of the housing 130.
  • the perforated plate 140 includes a plastic or metal plate in which many fine perforations are formed.
  • the perforated plate 140 discharges the air inside the housing 130 to the outside, and disperses the air discharged by a plurality of fine perforations while reducing the speed of the discharged air.
  • the housing 130 includes a main suction port 131 including a through hol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rear plate surface, a sub suction port 132 including a through hole formed at a lower side of the rear plate surface, and a left plate surface and a right plate surface, respectively. It has a sub-outlet 133 including a through-hole formed on the upper side.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housing 130 through the main suction port 131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gain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140. 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air sucked into the housing 130 through the sub-suction port 132 is discharged back to the outside through the sub-outlet 133.
  • the main suction port 131 is disposed above the sub suction port 132
  • the sub discharge port 133 is also disposed above the sub suction port 132.
  • the main fan 150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using 130, and is disposed facing the rear of the perforated plate 140. In this embodiment, three main fans 150 are shown along the Z direction, but the number of main fans 150 is not limited.
  • the main fan 150 rotates at a designated RPM to blow air introduced through the main suction port 131 through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140.
  • the sub-pan 160 is accommodated in the lower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130.
  • the sub-fan 160 rotates at a designated RPM to blow air flowing through the sub-intake 132 through the sub-outlet 133.
  • the first flow path is a flow path through the main suction port 131,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of FIG. 1), the main fan 150, and the perforated plate 140.
  • the second flow path is a flow path through the sub-suction port 132, the sub-pan 160, and the sub-outlet 133.
  • the first flow path and the second flow path are not communicated in the housing 130 and are isolated from each other. That is,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first flow path is air cool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but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is uncooled air.
  •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sub-outlet 133 is mixed with air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140 in front of the perforated plate 140.
  • Air blown by the sub-fan 160 is air that is not cooled, while air blown by the main fan 150 is cooled air. Therefore, when the main fan 150 and the sub-fan 160 are driven together, the amount of air blown is increased just like the case where the RPM of the main fan 150 is increased. However, in the former case, compared to the latter case, it is possible to rapidly cool the air without causing the user to excessively feel a feeling of airflow, and it is possible to cool efficiently using electric power.
  •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positions of a main fan and a sub fan in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sitions of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are viewed from the front in the indoor unit shown in FIG. 3.
  • the indoor unit 100 is extended toward the X direc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130, the first flow path 134 formed between the main suction port 131 and the perforated plate 140 It includes.
  •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is disposed on the first flow channel 134, and the main fan 150 is disposed between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perforated plate 140 on the first flow channel 134. As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and the main fan 150 are operated, the air sucked through the main suction port 131 is cooled and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140.
  • the indoor unit 100 includes a second flow path 135 extending from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130 toward the upper side.
  • the second flow path 135 is branched and extended in a Y-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 a sub-suction port 132 and a sub-pan 160 are disposed in a Y-shaped lower region, and a Y-shaped branched upper region.
  • Sub outlets 133 are disposed in each.
  • the first flow path 134 and the second flow path 135 are not in communication, and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partition walls. For this reason,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34 does not meet the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35 in the housing 130. If the first flow path 134 and the second flow path 135 communicate, the cooled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34 and the uncooled air passing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35 meet, resulting in a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his, moisture condensation may occur inside the housing 130.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the first flow path 134 and the second flow path 135 are separated, and the air discharged through the perforated plate 140 outside the housing 130 and discharged through the sub outlet 133 It is provided to mix the air.
  • the indoor unit 100 cools relatively hot air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space and discharges it through the first flow path 134.
  • the sub-fan 160 is disposed under the indoor unit 100, the indoor unit 100 draws up relatively cold air at the lower side of the indoor space, and passes through the second flow path 135 to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space. Discharge.
  • the sub-fan 160 serves to stir the airflow in the indoor space, and move relatively cool air to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space. At this time, the air moved by the sub-fan 160 is mixed with the cooled air moved by the main fan 150 on the upper side of the indoor space, so that the indoor unit 100 is indoors at a temperature that the user can feel comfortable. Adjust the temperature.
  • FIG. 5 is a block diagram of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ndoor unit 100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71 communicating with various external devices including an outdoor unit, a user input unit 172 for performing user input, and a storage unit 173 for storing data.
  • the indoor unit sensor 120 On the basis of the detection results of the driving unit 174 for driving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indoor unit 100, the indoor unit sensor 120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where the indoor unit 100 is installed, and the indoor unit sensor 120 It includes a control unit or processor 175 for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174.
  • the communication unit 171 includes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circuit including at least one of components such as communication modules and communication chips corresponding to various types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protocols.
  • the communication unit 171 may b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that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AP according to the Wi-Fi method, a LAN card wired connected to a router or gateway, or a port to which a cable according to a dedicated or universal signal transmission standard is connected.
  • the communication unit 171 communicates with the outdoor unit, and receives predetermined information from the outdoor unit.
  • the user input unit 172 includes various types of input interfaces provided to perform user input, and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user's input status or the current status of the air conditioner. Examples of the user input unit 172 include a mechanical or electronic button unit of the indoor unit 100, a remote controller, a touch screen, and the like.
  • the storage unit 173 is accessed by the processor 175, and operations such as reading, writing, modifying, deleting, and updating data are performed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175.
  • the storage unit 173 includes a non-volatile memory such as a flash-memory that can store data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power is provided, and a volatile memory such as a buffer or RAM into which data for processing is loaded.
  • the driving unit 174 has a plurality of motors, and drives components of the indoor unit 100 that is mechanically operated, such as the indoor heat exchanger 110, the main fan 150, and the sub fan 160. For example, the driving unit 174 rotates the main fan 150 or the sub fan 160 at a specified RPM according to the applied voltage.
  • the indoor unit sensor 120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indoor unit 100 to detect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where the indoor unit 100 is installed and notifies the processor 175.
  • the indoor unit sensor 120 may be applied with various types of temperature sensors within a range that detects the ambient temperature of the indoor unit 100, and the implementation method is not limited.
  • the processor 175 includes one or more hardware processors implemented as a CPU, chipset, microcontroller, circuit, etc.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system on chip (SOC) depending on a design method.
  • the processor 175 becomes a hardware subject of an operation for performing various operations of the indoor unit 100. That is, the processor 175 allows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to be performed by executing a preset instruc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173.
  • a predetermined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100 is performed by an operating system or an application program executed by the kernel or executed on the kernel, and the processor 175 performs data calculation, processing, and control to execute the software.
  • the processor 175 executes the operating system or kernel of the indoor unit 100, and also executes applications and programs on the kernel, so that the process is performed.
  • the processor 175 includes the first temperature value of the first place sensed by the indoor unit sensor 120 and the second temperature of the second place sensed by the outdoor unit sensor from the outdoor unit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71. Get the value.
  • the processor 175 drives the main fan 150 based on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whi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value and the second temperature value satisfies a preset temperature condition.
  • the sub-fan 160 is selectively driven.
  • FIG. 6 is a flowchart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ollowing operation i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indoor unit.
  • step 610 the indoor unit acquires the in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indoor unit sensor.
  • the indoor unit acquires the outdoor temperature detected by the outdoor unit sensor from the outdoor unit.
  • the indoor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of the first place where the indoor unit is installed
  • the outdoor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of the second place where the outdoor unit is installed.
  • the first location is indoor and the second location is outdoor, but the first location and the second location are not limited to a specific location.
  • step 630 the indoor unit operates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within a preset temperature range of a preset temperature specified by the user.
  • step 640 the indoor unit determines whether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atisfies a preset temperature condition while the main fan is running.
  • step 650 the indoor unit starts the subfan together with the main fan in the corresponding time period.
  • step 660 the indoor unit does not start the sub-pan in the corresponding time period.
  • the indoor unit may perform cooling while controlling the blowing within a range in which the user does not feel uncomfortable with the airflow output from the indoor unit in consideration of the stat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cluding indoor and outdoor.
  • the indoo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electively drives the sub-fan in response to a time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atisfies a preset temperature condition will be described.
  • FIG. 7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ethod in which the driving unit of the indoor unit controls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driving unit 174 may drive the main fan 150 and the sub fan 160 separately, and may drive only the main fan 150 or the main fan 150 depending on the situation. And driving the sub-pan 160 together.
  • the driving unit 174 rotates the main fan 150 or the sub fan 160 at a preset RPM by the applied voltage.
  • the driving unit 174 drives the main fan 150 in any one of turbo, strong, weak, and automatic wind modes.
  • the automatic wind is a mode in which, for example, the turbo wind and the weak wind are alternately performed.
  • the names of the modes as described above are terms used for distinction for convenience, and the terms themselves do not limit the meaning of the modes.
  • the driving unit 174 may drive the main fan 150 and the sub-fan 160 in a total of eight modes by selectively driving the sub-fan 160 in combination with the four modes of the main fan 150. have.
  • Only one main fan 150 or sub-fan 160 may be provided, or a plurality of sub fans 160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ree main fans 150 are install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one sub fan 160 is installed below the main fan 150, but the main fan 150 or sub fan is described. The number of 160 is not limited.
  • the main fans 150 may be provided to rotate at the same RPM in the same mode, or even when operating in the same mode, the RPM of each main fan 150 is not the same. It may not.
  • the RPM of the main fan 150 disposed on the upper side is faster than the RPM of the main fan 150 placed on the lower side in the same mode. Can be set. This is to cool the room more efficiently since the relatively hot air is lighter than the relatively cold air.
  • the processor 175 When the first system power is turned on, the processor 175 measures the indoor temperature, and operates the cooling unit by operating the driving unit 174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decreases toward a preset temperature set by the user. At this time, the processor 175 identifies a time period in which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satisfies a preset temperature condition, and selectively operates the subpan 160 in response to the identified time period.
  • the above-mentioned temperature condition is related to the load condition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conditioner.
  • the load conditions will be described.
  • the load condition is mainly related to the temperature of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air conditioner is installed, that is, when the indoor unit 100 is viewed based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 the load condition may be divided into a high load condition that applies a relatively large load to the air conditioner and a low load condition that applies a relatively small load to the air conditioner.
  • the high load condition is a case where at least one of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relatively high. Specifically, in the high load conditio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the indoor temperature is not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indoor There are three cases where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second threshold.
  • the first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are preset temperatures and are not limited to specific values. For example, the first threshold value may be designated as 27 degrees Celsius and the second threshold value as 30 degrees Celsius.
  •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 even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expected to rise due to radiant heat. There are cases.
  • the low load condition is a case where both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are relatively low. Specifically, the low load condition is when the in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first threshold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lower than the second threshold. Examples of low load conditions are evening, night, and rainy season.
  • FIG. 8 is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with respect to a method in which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under a high load condition.
  • the indoor unit when the indoor unit is first operated, it checks the set temperature and the room temperature.
  • the set temperature is a temperature value set by the user or set as a default.
  • the indoor temperature is detected by the indoor unit sensor of the indoor unit.
  • the indoor unit acquires the outdoor temperature from the outdoor unit, and determines the load condition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 a preset cooling temperature range based on Tset may be determined.
  •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is defined as a range between the temperature of (Tset-first value) and the temperature of (Tset + second value), and the indoor unit is operated so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within this cooling temperature range.
  • the first value and the second value are preset values, and are not limited to specific values. In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1 and +3 degrees may be specified, respectively.
  • the indoor unit cools the room by opera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until the room temperature reaches (Tset-1) from the initial operation time.
  • the initial operating time refers to a time when the indoor unit is first operated by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for cooling, after the indoor unit is turned on.
  • This initial cooling section is referred to as A section.
  • the indoor unit When the indoor temperature reaches (Tset-1) degree, the indoor unit is operated by changing the modes of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thereby maintaining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without further decreasing the indoor temperature.
  • the maintenance section of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is referred to as a B section.
  • the indoor unit cools the room again by operating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to bring the room temperature down to (Tset-1) degrees.
  • This intermediate cooling section is referred to as a C section. Thereafter, the operation of the indoor unit is shown such that the shapes of the B section and the C section are alternately repeated.
  • the indoor unit operates in a direction to adjust the indoor temperature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centered on the Tset. Even if the Tset is changed by the user's input, the indoor unit operates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principle.
  • the indoor unit operates the main fan with turbo wind in section A, strong wind in section B, and turbo wind in section C. Since the high load condition has a sudden increase in temperature and the user can easily feel the heat, it may be more important for the user to quickly drop the room temperature even if a strong air flow is felt. Accordingly, the indoor unit operates the sub-fan in the A section and the C section. By the operation of the sub-fan, the airflow of the turbo wind by the main fan becomes stronger, and the cooling effect is enhanced.
  • the indoor unit increases the cooling effect experienced by the user in section A and section C, and in order to prevent the temperature differenc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room due to the stratification of the temperature, the main fan is operated with a turbo wind while the sub fan is operated.
  • section B is a section where the user can feel the airflow relatively sensitively because the room temperature is within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Therefore, the indoor unit does not operate the sub fan in section B, but only the main fan.
  • FIG. 9 is a graph of temperature change over time with respect to a method in which 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perates under low load conditions.
  • the indoor unit operates such that the indoor temperature is maintained within a preset cooling temperature range based on the set temperature Tset.
  • the basic operating principle of the indoor unit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description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indoor unit operates the main fan in a lower RPM mode than in the case of high load conditions during the entire operation period. For example, the indoor fan starts the main fan with strong wind in section A, weak wind in section B, and strong wind in section C.
  • the user can respond more sensitively to the airflow feeling than to the cooling.
  • the user may desire fast cooling even under a high load condition, even with a slight airflow feeling.
  • a low load condition since the user is in a relatively low temperature state, the user can feel the airflow touching the skin more sensitively.
  • the indoor unit does not operate the sub-fan in the A section and the B section.
  • the section A is in the early stage of operation, the importance of rapid cooling is lower than that of high-load conditions, so a method of operation that emphasizes the feeling of airflow is needed. Therefore, the indoor unit does not operate the sub-fan in the A section under the low load condition, compared to the sub-pan in the A section under the high load condition.
  • Section B is a section where the user can feel the airflow relatively sensitively because the indoor temperature is within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Therefore, the indoor unit does not operate the sub fan in section B, but only the main fan.
  • the indoor unit operates the sub-fan in the C section for a slight air flow and rapid cooling.
  • the RPM of the main fan in the low load condition is less than the RPM of the main fan in the high load condition, the airflow feeling felt by the user in the C section is relatively small.
  • the indoor unit provides a comfortable cooling environment in consideration of issues of temperature and airflow felt by the user by driving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in a manner corresponding to each of high load conditions and low load conditions. Can be.
  • FIG. 10 is an exemplary view of a table in which the indoor units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y RPMs of main fans and sub fans under each load condition.
  • the indoor unit may refer to the table 1000 in which the RPMs of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are specified for each time section under high load conditions and low load conditions, respectively.
  • the table 1000 may designate RPMs differently for each main fan. Since the hot air moves upward from the room, the table 1000 designates a higher RPM as it is disposed above the plurality of main fans.
  • the indoor unit determines load conditions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For example, if the in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27 degrees or the outdoor temperature is higher than 30 degrees, the indoor unit is determined as a high load condition. On the other hand, if the indoor temperature is 27 degrees or less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30 degrees or less, the indoor unit is judged as a low load condition.
  • the indoor unit acquires RPMs of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corresponding to the time period under the load condition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from the table 1000 and operates the main fan or sub fan according to the obtained RPM.
  • Section A is the initial cooling section
  • section B is the cooling temperature range maintenance section
  • section C is the intermediate cooling section
  • each section is as described in the previous embodiment.
  • the indoor unit rotates a plurality of main fans at 1180, 1080, and 980 RPM in section A, and rotates the subfan at 1200 RPM with reference to the table 1000.
  • the indoor unit rotates a plurality of main fans at 1080, 980, and 880 RPM in section B, and does not rotate the sub-fans.
  • the indoor unit rotates a plurality of main fans at 1180, 1080, and 980 RPM, respectively, in the section C, and rotates the subfan at 1200 RPM.
  • the indoor unit rotates a plurality of main fans at 1080, 980, and 880 RPM in section A with reference to the table 1000, and does not rotate the subfan.
  • the indoor unit rotates a plurality of main fans at section 980, 880, and 780 RPM in section B, and does not rotate the subfan.
  • the indoor unit rotates a plurality of main fans at 1080, 980, and 880 RPM in the section C, and rotates the subfan at 1100 RPM, respectively.
  • the indoor unit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in fan and the sub fan with reference to the pre-stored table 1000.
  • 11 and 12 are flowcharts showing a method of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sub-fan indoor unit of the air condition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step 1110 the indoor unit is started as the system power is turned on.
  • step 1120 the indoor unit acquires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at the present time.
  • step 1130 the indoor unit performs a cooling process based on a user-specified set temperature.
  • the indoor unit drives the indoor heat exchanger and the main fan in response to changes in indoor temperature.
  • step 1140 the indoor unit identifies whether the current load condition determined based on the indoor temperature and the outdoor temperature is a high load condition while the cooling process is performed.
  • step 1150 the indoo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ime period is a section operating to lower the indoor temperature.
  • the indoor unit drives the sub-fan.
  • the section operating to lower the room temperature corresponds to section A and section C in the embodiment of the preceding high load condition.
  • the indoor unit does not drive the sub-fan in step 1170.
  • the section not operating to lower the room temperature corresponds to the section 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ceding high load condition.
  • step 1210 the indoo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ime period is the initial cooling stage.
  • the initial cooling step corresponds to section A in the embodiment of the previous low load condition.
  • step 1220 the indoor unit does not drive the sub-fan.
  • step 1230 the indoor unit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time period is a section operating to lower the indoor temperature.
  • the indoor unit drives the sub-fan.
  • the section operating to lower the indoor temperature corresponds to section C in the embodiment of the previous low load condition.
  • the indoor unit proceeds to step 1220.
  • the section not operating to lower the room temperature corresponds to section B in the embodiment of the previous low load condition.
  • the indoor unit selectively operates the sub-fan in response to the high load condition or the low load condition during the cooling process.
  • the operation of the device as described in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perform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mounted in the device.
  • Artificial intelligence can be applied to various systems using machine learning algorithms.
  • the artificial intelligence system is a computer system that implements intelligence comparable to that of a human level or a human level, and is a system in which a machine, a device, or a system autonomously learns and judges, and improves recognition rate and judgment accuracy based on accumulation of use experience.
  •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consists of element technologies that simulate functions such as cognition and judgment of the human brain by utilizing deep-running technology and algorithms using algorithms that classify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input data by themselves. do.
  • Element technologies include, for example, linguistic understanding technology for recognizing human language and text, visual understanding technology for recognizing objects as human vision, reasoning and prediction technology for judging and logically inferring and predicting information, and human experience It includes at least one of a knowledge expression technology for processing information as knowledge data, and a motion control technology for controlling autonomous driving of a vehicle or movement of a robot.
  • the linguistic understanding is a technology for recognizing and processing human language or characters, and includes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achine translation, conversation system, question and answer,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 Inference prediction is a technique for logically predicting information by determining information, and includes knowledge and probability-based reasoning, optimization prediction, preference-based planning, and recommendation.
  • Knowledge expression is a technology that automatically processes human experience information into knowledge data, and includes knowledge construction such as data generation and classification, and knowledge management such as utilization of data.
  • a computer-readable medium is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storage device such as ROM, or a memory such as a RAM,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whether or not it is erasable or rewritable.
  • a machine eg, a computer
  • it may be stored in a storage medium readable by a machine (eg, a computer) while being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for example, a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 the memory that may be included in the mobile terminal is an example of a machine 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programs or programs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storage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a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서로 다른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각각 가지며 상호 격리되는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과, 제1유로에 배치되며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제1유로에 배치되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동작하게 마련된 제1팬과, 제2유로에 배치되며 제2유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를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동작하게 마련된 제2팬과, 제1팬 및 제2팬을 각기 구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제1팬이 동작되도록 하며,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제2팬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서 사용 공간 내의 공기의 여러 속성을 조정하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공기조화기가 설치된 실내 환경의 냉방을 위해 열교환기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 환경으로 토출되도록 구동하는 송풍팬에 관련된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는 사용 공간의 요구에 따라서, 온도, 습도, 청정도, 기류 등의 속성을 조절하도록 마련된 장치를 지칭한다. 공기조화기는 기본적으로 기류를 형성하는 송풍기를 구비하고, 송풍기에 의해 순환되는 공기의 속성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사용 공간의 환경을 사용자에게 있어서 쾌적한 상태로 바꾼다. 공기조화기는 조절하는 공기의 속성에 따라서 구분되는 바, 그 예시로는 공기의 냉각을 위한 에어컨, 공기의 습도를 낮추기 위한 제습기, 공기의 청정도를 높이기 위한 공기청정기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에어컨은 기화열에 의한 냉각 원리를 사용하여, 실내의 온도를 낮춘다. 액체가 기체로 기화할 때는 열을 흡수하고 기체가 액체로 응축할 때는 열을 방출하는데,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에어컨은 압축기로 압력을 크게 변화시켜 기체 상태였던 냉각제를 액체로 응축한 후, 압력을 낮춰서 증발기 안에서 액체 상태의 냉각제를 다시 증기로 기화시키며, 기화되는 냉각제에 의해 열을 흡수함으로써 주위의 온도를 낮춘다. 에어컨에 의한 냉각은 많은 기화열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간단한 냉각 사이클을 통해 수행되며, 이러한 방식은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자연현상에서 열은 원래 높은 온도에서 낮은 온도로 이동하지만, 에어컨의 냉각 사이클을 통해서 반대 방향인 낮은 온도의 실내에서 높은 온도의 실외로 옮겨간다. 이를 위해, 에어컨은 찬 바람을 방출하는 실내기와, 더운 바람을 방출하는 실외기를 포함한다. 유사한 원리에 따라서, 냉장고도 마찬가지로 열이 낮은 온도의 기기 안에서 높은 온도의 기기 밖으로 옮겨간다.
에어컨의 실내기는, 사용자가 설정한 소정의 설정온도에 따라서 송풍팬에 의한 송풍량을 조절한다.그런데, 실내기가 설치된 실내 환경 및 실외기가 설치된 실외 환경을 포함하는 다양한 주변 환경의 상태에 따라서, 실내기의 가동 중에 사용자가 온도 및 기류에 대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는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실내온도가 내려가도록 최초 가동하는 초기가동구간 동안에 송풍량을 강풍으로 가동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에 도달한 이후부터는 약풍으로 가동할 수 있다. 그런데 주변 환경의 온도가 낮을 때에 상기와 같이 동작하면, 사용자는 바람이 피부에 닿게 되는 기류감을 강하게 느낄 수 있다. 반면에 실내기가 초기가동구간에 약풍으로 가동하게 되는 경우에, 만일 주변 환경의 온도가 높을 때에 상기와 같이 동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온도 구배가 수직방향으로 급격하게 나타나는 온도 성층화(temperature stratification)가 실내에서 발생하므로, 사용자에게 쾌적한 냉방 효과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주변 환경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송풍을 제어하는 에어컨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서로 다른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각각 가지며 상호 격리되는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되며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동작하게 마련된 제1팬과, 상기 제2유로에 배치되며 상기 제2유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동작하게 마련된 제2팬과,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을 각기 구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팬이 동작되도록 하며, 상기 실내온도 및 상기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2팬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온도조건은, 상기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시간 구간이, 냉방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제1팬이 가동되는 냉방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 중에서 상기 열교환기가 최초로 가동되는 초기 냉방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초기 냉방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초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의 토출구는, 상기 제2팬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팬은 상기 제1팬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의 토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타공을 가진 타공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팬은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내온도 또는 상기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실내온도 또는 상기 실외온도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구동시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상기 제1유로의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단계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된 제1팬을 구동시켜, 상기 제1유로의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유로와 서로 다른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각각 가지며 상호 격리되는 제2유로에 배치된 제2팬을, 상기 실내온도 및 상기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외부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서 메인팬 및 서브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은 실내기에서 메인팬 및 서브팬의 위치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동부가 메인팬 및 서브팬을 제어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고부하 조건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관한 시간 대비 온도 변화의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저부하 조건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관한 시간 대비 온도 변화의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각 부하 조건에서의 메인팬 및 서브팬의 RPM을 지정한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서브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상호 배타적인 구성이 아니며, 하나의 장치 내에서 복수 개의 실시예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실시예의 조합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가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함에 있어서 임의로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실시예에서 제1구성요소, 제2구성요소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있다면, 이러한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바, 이들 구성요소는 용어에 의해 그 의미가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해당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적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적어도 하나(at least one)"라는 표현이 나오는 경우에, 본 표현은 복수의 구성요소 전체 뿐만 아니라, 복수의 구성요소 중 나머지를 배제한 각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 모두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구조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에어컨으로 구현된다. 에어컨(1)은 건물의 실내와 같이 온도를 조정하고자 하는 환경의 제1장소에 설치하는 실내기(100)와, 건물의 실외와 같이 상기한 환경 이외의 제2장소에 설치하는 실외기(200)를 포함한다.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 사이에서 냉매 또는 냉각제가 순환 이동하며,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는 에너지에 의해 각각 냉매의 상태를 조정함으로써 상기한 환경에서의 온도를 조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가 각각 하나인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실내기(100) 또는 실외기(200)가 각각 복수 개일 수도 있다.
에어컨(1)은 기본적으로 기화열에 의한 냉각을 이용한다. 냉매는 액체에서 기체로 기화할 때에는 열을 흡수하고, 반대로 기체에서 액체로 응축할 때에는 열을 방출한다. 냉매가 기화할 때 흡수하는 열이 기화열이다. 에어컨(1)은 냉매가 액체 및 기체 사이를 변화하는 상변화를 이용하므로, 에어컨(1)에 사용되는 냉매는 기화점이 낮고 기화열이 큰 것이 사용된다. 또한, 에어컨(1)의 실내외 배관이 주로 금속으로 마련되는 바, 냉매는 배관에 사용되는 금속을 부식시키지 않을 특성이 요구된다. 또한, 냉매가 겨울에 얼게 되면 곤란하므로, 사용 지역에 따라서는 저온에서도 액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냉매가 요구될 수 있다.
이하, 냉매의 상변화 및 순환을 위한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의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실내기(100)는 실내 열교환기(110)를 포함한다. 실외기(200)는 압축기(210)와, 실외 열교환기(220)와, 팽창 밸브(230)와, 포웨이(four-way) 밸브(240)와, 서비스(service) 밸브(250)를 포함한다. 또한,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 사이에 냉매가 이동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외부배관(300)이 설치된다. 외부배관(300)은, 실내기(10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실외기(200)로 유입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제1외부배관(310)과, 실외기(200)로부터 유출되는 냉매가 실내기(100)로 유입되기 위한 유로를 제공하는 제2외부배관(320)을 포함한다.
실내 열교환기(110)는 에어컨(1)이 냉각 모드 시의 증발기로서, 냉매를 저압 및 기상으로 변화시킨다. 증발기일 때의 실내 열교환기(110)에서 냉매는 주위 환경의 열을 흡수함으로써 기상으로 변화하며, 이에 의하여 실내 열교환기(110) 주위 환경의 온도가 내려간다. 저압 및 기상의 냉매는 제1외부배관(310)을 통해 실내기(100)로부터 실외기(200)로 이동하며, 압축기(210)로 유입된다.
압축기(210)는 기상의 차가운 냉매를 압축시켜, 고온 및 고압의 기상으로 변화시킨다. 이와 같이 압축기(210)가 냉매를 압축시키는 이유는, 높은 온도에서 액상으로의 상변화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또한, 압축기(210)는 저압의 냉매를 흡입하여 실외 열교환기(220)로 고압의 냉매를 배출함으로써, 냉매가 순환 사이클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실외 열교환기(220)는 에어컨(1)이 냉각 모드 시의 응축기로서, 고온 및 고압의 냉매를 차게 해서 액상의 냉매로 응축시킨다. 즉, 압축기(210)로부터 유출되는 고온 및 고압의 냉매가 실외 열교환기(220)에서 대기와 열에 관한 상호작용을 수행하고, 냉매는 외부로 열을 방출함으로써 중온 및 고압으로 변화한다.
팽창 밸브(230)는 고압 및 액상의 냉매를 팽창시킴으로써 저압 및 2상의 냉매로 변화시킨다. 또는, 팽창 밸브(230)는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다. 팽창 밸브(230)를 통과한 냉매는 제2외부배관(320)을 통해 실내 열교환기(110)로 유입된다.
포웨이 밸브(240)는 냉매의 순환 사이클을 변경시키도록 동작하는 밸브이다. 포웨이 밸브(240)는 에어컨(1)이 냉각 모드 시 실내 열교환기(110)가 증발기로 동작하고 실외 열교환기(220)가 응축기로 동작하도록 하는 반면, 에어컨(1)이 난방 모드 시 실내 열교환기(110)가 응축기로 동작하고 실외 열교환기(220)가 증발기로 동작하도록 한다.
서비스 밸브(250)는 외부배관(300)을 비롯한 냉매의 순환 사이클에, 관리자가 진공상태 조정 및 냉매 보충을 할 수 있도록 마련된 밸브이다.
이와 같이, 냉매가 실내 열교환기(110), 제1외부배관(310), 압축기(210), 실외 열교환기(220), 팽창 밸브(230), 제2외부배관(320)의 사이클을 순환하는 동안에 냉매의 열교환이 수행됨으로써, 실내기(100)가 설치된 제1장소의 냉방이 이루어진다.
한편, 실내기(100)는 실내기(100)의 주변 환경의 온도, 즉 제1장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내기 센서(120)를 포함한다. 또한, 실외기(200)는 실외기(200)의 주변 환경의 온도, 즉 제2장소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실외기 센서(260)를 포함한다. 실내기(100) 및 실외기(200)는 상호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됨으로써, 실내기(100)는 실외기(200)로부터 실외기 센서(260)의 감지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다만, 실내기(100)가 제1장소의 온도 및 제2장소의 온도를 취득하는 방법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실내기(100)는 IoT의 환경 하에서, 제1장소의 온도 또는 제2장소의 온도를 감지하는 별도의 외부장치로부터 감지 결과를 취득할 수 있다. 본 감지 결과는 외부장치로부터 직접 통신을 통해 실내기(100)에 전달될 수 있고, 또는 외부장치로부터 광역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를 경유하여 실내기(100)에 전달될 수도 있다.
또는, 실내기(10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가 제1장소 또는 제2장소의 온도를 입력하도록 제공할 수도 있다. 실내기(100)는 사용자가 온도의 구체적인 수치를 입력하도록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실내기(100)는 날씨, 날짜, 계절 등에 관한 복수의 프로파일을 선택 가능하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한 어느 한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온도를 추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실내기(100)는 사용자가 "8월의 맑은 날씨"라는 프로파일을 선택하면, 해당 프로파일에 대응하는 온도를 유추하여 취득할 수 있다.
이하, 실내기(100)에 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외부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는 외부 형상을 형성하며 실내기(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는 하우징(130)과, 하우징(130)에 결합되는 타공플레이트(140)과, 타공플레이트(140)을 마주하게 하우징(130) 상측 내부에 설치되는 메인팬(150)과, 하우징(130) 하측 내부에 설치되는 서브팬(160)을 포함한다. 실내기(100)가 스탠드 방식인 경우에 하우징(130)은 사각형의 기둥 형상을 가지지만, 본 실시예가 실내기(100)가 가질 수 있는 형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메인팬(150) 및 서브팬(160)으로 지칭하고 있지만, 이는 양자간의 구분을 위해 사용된 것일 뿐, 용어가 기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메인팬(150)은 제1팬으로, 서브팬(160)은 제2팬으로 각각 지칭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우징(130)의 각 영역에 관해 설명한다. 사용자가 하우징(130)을 정면에서 마주볼 때, 하우징(130)에서 X 방향에 있는 사용자를 마주하는 하우징(130)의 판면을 전방판면이라고 지칭한다. 전방판면의 반대편에 있는 하우징(130)의 판면을 후방판면이라고 지칭한다. 전방판면 및 후방판면 사이에 있으며 실질적으로 -Y 방향 및 Y 방향을 각각 향하는 하우징(130)의 각 판면을 좌측판면 및 우측판면이라고 지칭한다. 또한, 수직방향인 Z 방향을 따라서, 하우징(130)은 상측 및 하측으로 구분된다.
하우징(130)의 전방판면의 상측은 개방되어 있으며, 이 개방된 영역을 커버하는 타공플레이트(140)이 하우징(130)의 전방판면에 결합된다. 타공플레이트(140)은 미세한 타공이 다수 형성된 플라스틱 또는 메탈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타공플레이트(140)은 하우징(13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되, 미세한 복수의 타공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를 분산시키는 한편 배출되는 공기의 속도를 줄인다.
한편, 하우징(130)은, 후방판면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메인흡입구(131)와, 후방판면의 하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서브흡입구(132)와, 좌측판면 및 우측판면 각각의 상측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는 서브배출구(133)를 가진다. 메인흡입구(131)를 통해 하우징(130)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타공플레이트(140)을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서브흡입구(132)를 통해 하우징(130)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는 서브배출구(133)를 통해 다시 외부로 배출된다. 하우징(130)에서 메인흡입구(131)는 서브흡입구(132)보다 상측에 배치되며, 서브배출구(133) 또한 서브흡입구(132)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메인팬(150)은 하우징(130)의 상측 수용공간에 수용되며, 타공플레이트(140)의 후방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팬(150)이 Z 방향을 따라서 세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메인팬(150)의 개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메인팬(150)은 지정된 RPM으로 회전함으로써, 메인흡입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실내 열교환기를 거쳐 타공플레이트(140)을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시킨다.
서브팬(160)은 하우징(130)의 하측 수용공간에 수용된다. 서브팬(160)은 지정된 RPM으로 회전함으로써, 서브흡입구(13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서브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도록 송풍시킨다.
여기서, 하우징(130) 내부에는 두 개의 유로가 마련된다. 제1유로는 메인흡입구(131), 실내 열교환기(도 1의 110), 메인팬(150), 타공플레이트(140)를 거치는 유로이다. 제2유로는 서브흡입구(132), 서브팬(160), 서브배출구(133)를 거치는 유로이다. 제1유로 및 제2유로는 하우징(130) 내에서 연통되지 않으며 상호 격리된다. 즉, 제1유로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실내 열교환기에 의해 냉각된 공기이지만, 제2유로를 거쳐 배출되는 공기는 냉각되지 않은 공기이다. 서브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타공플레이트(140) 전방에서 타공플레이트(140)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와 섞인다.
서브팬(16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냉각되지 않은 공기인 것에 비해, 메인팬(150)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냉각된 공기이다. 따라서, 메인팬(150) 및 서브팬(160)의 함께 구동되는 경우에는, 단지 메인팬(150)의 RPM을 증가시키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송풍되는 공기의 송풍량이 증가된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가 후자의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기류감을 과도하게 느끼지 않게 하면서도 신속한 냉방이 가능하며,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한 냉방이 가능하다.
이하, 실내기(100)의 내부 구조에 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에서 메인팬 및 서브팬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같은 실내기에서 메인팬 및 서브팬의 위치를 정면에서 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는 하우징(130)의 상측에 X 방향을 향해 연장되며, 메인흡입구(131) 및 타공플레이트(140) 사이에 형성된 제1유로(134)를 포함한다. 제1유로(134) 상에는 실내 열교환기(110)가 배치되며, 제1유로(134) 상에서 실내 열교환기(110) 및 타공플레이트(140) 사이에는 메인팬(150)이 배치된다. 실내 열교환기(110) 및 메인팬(150)이 가동함에 따라서, 메인흡입구(131)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냉각되어 타공플레이트(140)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실내기(100)는 하우징(130)의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해 연장된 제2유로(135)를 포함한다. 제2유로(135)는 정면에서 볼 때 Y자 형태로 분기하여 연장되는데, Y자 형태의 하측영역에 서브흡입구(132) 및 서브팬(160)이 배치되며, Y자 형태의 분기된 상측영역 각각에 서브배출구(133)가 배치된다.
제1유로(134) 및 제2유로(135)는 연통되지 않으며, 격벽 등에 의해 상호 분리된다. 이 때문에, 제1유로(134)를 지나는 공기는 제2유로(135)를 지나는 공기와 하우징(130) 내에서 만나지 않는다. 만일 제1유로(134) 및 제2유로(135)가 연통되게 되면, 제1유로(134)를 지나는 냉각된 공기 및 제2유로(135)를 지나는 냉각되지 않은 공기가 만나게 되어, 결과적으로 온도차로 인해 하우징(130) 내부에서 습기가 맺히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로(134) 및 제2유로(135)가 분리되고, 하우징(130) 외부에서 타공플레이트(140)를 통해 배출된 공기와 서브배출구(133)를 통해 배출된 공기가 섞이도록 마련된다.
통상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실내 공간의 하측에 모이고 뜨거운 공기는 실내 공간의 상측에 모인다. 실내 열교환기(110)가 실내기(100)의 상측에 배치됨으로써, 실내기(100)는 실내 공간의 상측에 있는 상대적으로 뜨거운 공기를 냉각시켜 제1유로(134)를 거쳐 배출시킨다. 한편, 서브팬(160)이 실내기(100)의 하측에 배치됨으로써, 실내기(100)는 실내 공간의 하측에 있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끌어올려, 제2유로(135)를 거쳐 실내 공간의 상측으로 배출시킨다.
이와 같이, 서브팬(160)은 실내 공간 내의 기류를 교반시키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실내 공간의 상측으로 옮기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 때, 서브팬(160)에 의해 이동하는 공기가 메인팬(150)에 의해 이동하는 냉각된 공기와 실내 공간의 상측에서 혼합됨으로써, 실내기(100)가 사용자가 쾌적하게 느낄 수 있는 온도로 실내 온도를 조정하도록 한다.
이하, 실내기(100)의 제어 구성에 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100)는 실외기를 비롯한 다양한 외부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171)와, 사용자 입력이 수행되는 사용자입력부(172)와, 데이터가 저장되는 저장부(173)와, 실내기(100)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174)와, 실내기(100)가 설치된 제1장소의 온도를 감지하는 실내기 센서(120)와, 실내기 센서(12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구동부(174)를 제어하는 제어부 또는 프로세서(175)를 포함한다.
통신부(171)는 다양한 종류의 유선 및 무선 통신 프로토콜에 대응하는 통신모듈, 통신칩 등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양방향 통신회로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71)는 와이파이 방식에 따라서 AP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무선통신모듈, 라우터 또는 게이트웨이에 유선 접속된 랜카드, 전용 또는 범용 신호전송규격에 따른 케이블이 접속되는 포트일 수 잇다. 통신부(171)는 실외기와 통신하며, 실외기로부터 소정의 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입력부(172)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행하기 위해 마련된 다양한 종류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사용자의 입력 상태 또는 에어컨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 사용자입력부(172)의 예시로는 실내기(100)의 기계적 또는 전자적 버튼부, 리모트 컨트롤러, 터치스크린 등이 있다.
저장부(173)는 프로세서(175)에 의해 억세스되며, 프로세서(175)의 제어에 따라서 데이터의 독취, 기록, 수정, 삭제, 갱신 등의 동작이 수행된다. 저장부(173)는 전원의 제공 유무와 무관하게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플래시메모리(flash-memory)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처리를 위한 데이터가 로딩되는 버퍼 또는 램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구동부(174)는 복수의 모터를 가지고, 실내 열교환기(110), 메인팬(150), 서브팬(160)과 같이 기계적으로 동작하는 실내기(100)의 구성요소들을 구동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부(174)는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서, 메인팬(150) 또는 서브팬(160)을 지정된 RPM으로 회전시킨다.
실내기 센서(120)는 실내기(100)의 일측에 설치됨으로써 실내기(100)가 설치된 제1장소의 온도를 감지하여 프로세서(175)에 알린다. 실내기 센서(120)는 실내기(100)의 주변 온도를 감지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방식의 온도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한정되지 않는다.
프로세서(175)는 인쇄회로기판 상에 장착되는 CPU, 칩셋, 마이크로컨트롤러, 회로 등으로 구현되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설계 방식에 따라서는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75)는 실내기(100)의 제반 동작을 수행하는 동작의 하드웨어 주체가 된다. 즉, 프로세서(175)는 저장부(173)에 저장된 기 설정된 인스트럭션을 실행함으로써 실내기(100)의 동작이 수행되게 한다. 소프트웨어의 관점에서 실내기(100)의 소정 동작은 운영체제 또는 커널이 수행하거나 또는 커널 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수행되는데, 프로세서(175)는 소프트웨어가 실행되도록 데이터의 연산,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75)는 실내기(100)의 운영체제 또는 커널을 실행시키고, 또한 커널 상에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프로세스가 수행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175)는 실내기 센서(120)에 의해 감지되는 제1장소의 제1온도값과, 통신부(171)를 통해 실외기로부터 실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제2장소의 제2온도값을 취득한다. 프로세서(175)는 제1온도값 및 제2온도값에 기초하여 메인팬(150)을 구동시키는 한편, 제1온도값 및 제2온도값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서브팬(16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이하, 프로세서(175)의 동작에 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의 제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동작은 실내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610 단계에서 실내기는 실내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실내온도를 취득한다.
620 단계에서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실외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실외온도를 취득한다. 본 실시예에서 실내온도는 실내기가 설치된 제1장소의 온도이며, 실외온도는 실외기가 설치된 제2장소의 온도이다. 통상적으로 제1장소는 실내이고 제2장소는 실외이지만, 제1장소 및 제2장소가 특정 장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630 단계에서 실내기는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을 가동시킨다. 이 때,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설정온도의 기 설정된 온도범위 내가 되도록,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의 동작을 제어한다.
640 단계에서 실내기는 메인팬이 가동되는 동안,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일 시간 구간에서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면, 650 단계에서 실내기는 해당 시간 구간에서 메인팬과 함께 서브팬을 가동시킨다.
반면, 일 시간 구간에서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면, 660 단계에서 실내기는 해당 시간 구간에서 서브팬을 가동시키지 않는다.
이로써, 실내기는 실내 및 실외를 포함한 주변 환경의 상태를 고려하여, 사용자가 실내기로부터 출력되는 기류에 불쾌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범위 내에서 송풍을 제어하면서, 냉방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서브팬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구체적인 사용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구동부가 메인팬 및 서브팬을 제어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74)는 메인팬(150) 및 서브팬(160)을 개별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서 메인팬(150)만을 구동시키거나 또는 메인팬(150) 및 서브팬(160)을 함께 구동시킨다. 구동부(174)는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메인팬(150) 또는 서브팬(160)을 기 설정된 RPM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구동부(174)는 메인팬(150)을 터보풍, 강풍, 약풍, 자동풍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구동시킨다. 여기서, 자동풍은 예를 들면 터보풍 및 약풍이 번갈아가며 수행되는 모드이다. 이상과 같은 모드의 명칭은 편의상 상호 구별을 위해 사용되는 용어이며, 용어 자체가 모드의 의미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구동부(174)는 서브팬(160)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킴으로써, 메인팬(150)의 네가지 모드와 조합시켜 총 여덟가지의 모드로 메인팬(150) 및 서브팬(160)을 구동시킬 수 있다.
메인팬(150) 또는 서브팬(160)은 하나만이 마련될 수도 있고 복수 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팬(150)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3개가 설치되고, 서브팬(160)이 메인팬(150) 하측에 하나가 설치되는 경우에 관해 설명하지만, 메인팬(150) 또는 서브팬(160)의 수가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메인팬(150)이 복수 개인 경우에, 메인팬(150)은 동일 모드에서 모두 동일한 RPM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될 수 있고, 또는 동일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도 각 메인팬(150)의 RPM이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면, 3개의 메인팬(150)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경우에, 상측에 배치된 메인팬(150)의 RPM이 하측에 배치된 메인팬(150)의 RPM보다 동일 모드에서 더 빠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상대적으로 더운 공기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에 비해 가벼우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실내를 냉각시키기 위한 것이다.
프로세서(175)는 최초 시스템 전원이 턴온되면 실내온도를 계측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온도를 향해 실내온도가 내려가도록 구동부(174)를 가동시켜 냉방공정을 수행한다. 이 때, 프로세서(175)는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을 식별하고, 식별된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서브팬(160)을 가동시킨다. 여기서, 상기한 온도조건은, 에어컨의 동작에 대한 부하 조건에 관련된다. 이하, 부하 조건에 관해 설명한다.
부하 조건은 주로 에어컨이 설치되는 환경의 온도, 즉 실내기(100)를 설치 위치를 기준으로 볼 때,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관련된다. 부하 조건은, 에어컨에 상대적으로 큰 부하를 가하는 고부하 조건과, 에어컨에 상대적으로 적은 부하를 가하는 저부하 조건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고부하 조건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고부하 조건은,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높고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높지 않은 경우,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높지 않고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높은 경우,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높고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높은 경우의 3가지 경우가 있다. 여기서, 제1문턱값 및 제2문턱값은 기 설정된 온도이며 특정한 수치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문턱값은 섭씨 27도, 제2문턱값은 섭씨 30도 정도로 지정될 수 있다.
고부하 조건의 예를 들면, 실외온도가 낮더라도 실내에서 요리를 위해 불을 사용하거나 또는 실내에 사람이 많이 모여 있는 경우, 실내온도가 낮더라도 실외온도가 높아서 복사열로 인해 실내온도의 상승이 예상되는 경우 등이 있다.
저부하 조건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가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이다. 구체적으로, 저부하 조건은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낮고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낮은 경우이다. 저부하 조건의 예를 들면, 저녁, 밤, 장마철 등을 생각할 수 있다.
에어컨이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 따라서 조절되도록 동작하는 결과는 고부하 조건 및 저부하 조건 모두에서 유사하지만, 고부하 조건 및 저부하 조건은 동작 환경이 상이하므로, 각 조건 하에서 에어컨의 세부적인 동작의 과정은 상이하다. 이하, 각 부하 조건 별 에어컨의 구체적인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고부하 조건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관한 시간 대비 온도 변화의 그래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는 최초 가동하면 설정온도 및 실내온도를 확인한다. 설정온도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디폴트로 설정되어 있는 온도 값이다. 실내온도는 실내기가 가진 실내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다. 실내기는 실외기로부터 실외온도를 취득하며,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부하 조건을 판단한다.
설정온도를 Tset라고 하면, Tset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냉방온도범위가 정해질 수 있다. 냉방온도범위는 (Tset-제1값)의 온도부터 (Tset+제2값)의 온도 사이의 범위로 정해지며,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이러한 냉방온도범위에 있도록 가동한다. 여기서, 제1값 및 제2값은 사전에 설정된 값으로서 특정 수치로 한정되지는 않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예를 들면 -1도 및 +3도로 각각 지정될 수 있다.
실내기는, 최초 가동 시점부터 실내온도가 (Tset-1)도에 도달할 때까지,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을 가동시켜 실내를 냉방시킨다. 여기서, 최초 가동 시점이란, 실내기의 전원이 턴온된 이후에, 실내기가 냉방을 위해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의 최초로 가동시키는 시점을 지칭한다. 이러한 초기 냉방 구간을 A 구간으로 지칭한다.
실내온도가 (Tset-1)도에 도달하면,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의 모드를 변경시켜 가동시킴으로써, 실내온도가 더 이상 내려가지 않고 냉방온도범위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냉방온도범위 유지구간을 B 구간으로 지칭한다.
실내온도가 (Tset+3)도까지 상승하면, 실내기는 다시 실내온도가 (Tset-1)도까지 내려가도록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을 가동시켜 실내를 냉방시킨다. 이러한 중간 냉방 구간을 C 구간으로 지칭한다. 이후에는 실내기의 동작이 B 구간 및 C 구간의 형태가 교대로 반복되도록 나타난다.
본 그래프에서 나타나는 것처럼,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Tset을 중심으로 하는 냉방온도범위를 가능한 한 벗어나지 않도록 조정하는 방향으로 동작한다.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Tset가 변경되더라도, 실내기는 상기한 원리에 따라서 동작한다.
이러한 동작 방식 하에서, 고부하 조건 하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에 실내기가 메인팬 및 서브팬을 구동시키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고부하 조건인 경우에, 실내기는 메인팬을 A 구간에서는 터보풍으로, B 구간에서는 강풍으로, C 구간에서는 터보풍으로 가동시킨다. 고부하 조건은 온도의 급격한 상승 요인이 있으며 사용자가 쉽게 더위를 느끼게 되는 상황이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강한 기류감을 느끼더라도 실내온도가 빨리 떨어지는 것이 더 중요할 수 있다. 이에, 실내기는 A 구간 및 C 구간에서는 서브팬을 가동시킨다. 서브팬의 가동에 의해, 메인팬에 의한 터보풍의 기류가 보다 강해지며, 냉방 효과가 높아진다. 특히, 실내기는 A 구간 및 C 구간에서 사용자가 체감하는 냉방효과를 높이고, 온도 성층화에 따른 실내의 상하 온도차의 방지를 위해, 메인팬을 터보풍으로 가동시키는 한편 서브팬을 가동시킨다.
반면, B 구간은 실내온도가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류감을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구간이다. 따라서, 실내기는 B 구간에서는 서브팬을 가동시키지 않고, 메인팬만 가동시킨다.
이하, 저부하 조건에서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저부하 조건에서 동작하는 방식에 관한 시간 대비 온도 변화의 그래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 Tset을 기준으로 기 설정된 냉방온도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동작한다. 실내기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는 앞선 실시예에서의 설명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저부하 조건에서는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가 모두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이므로, 고부하 조건에 비해 온도 성층화 현상이 현저히 발생하지 않으며, 사용자 입장에서도 냉방에 관한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실내기는 전체적인 동작 구간 동안에 메인팬을 고부하 조건의 경우에 비해 낮은 RPM의 모드로 가동시킨다. 예를 들면, 실내기는 메인팬은 A 구간에서 강풍으로, B 구간에서 약풍으로, C 구간에서 강풍으로 각각 가동시킨다.
한편, 저부하 조건에서 사용자는 냉방보다는 기류감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고부하 조건에서는 다소의 기류감을 감수하더라도 빠른 냉방을 원할 수 있다. 반면에, 저부하 조건에서는 사용자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온도 상태에 있으므로, 사용자는 피부에 닿는 기류감을 보다 민감하게 느낄 수 있다.
이에, 실내기는 A 구간, B 구간에는 서브팬을 가동시키지 않는다. 특히, A 구간은 운전 초기이기는 하지만 급격한 냉방의 중요성이 고부하 조건의 경우보다 떨어지므로, 기류감을 보다 중시하는 가동 방법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내기는 고부하 조건에서의 A 구간에서 서브팬을 가동시키는 것에 비해, 저부하 조건에서의 A 구간에서 서브팬을 가동시키지 않는다.
B 구간은 실내온도가 냉방온도범위 내에 있으므로, 사용자가 기류감을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느낄 수 있는 구간이다. 따라서, 실내기는 B 구간에서는 서브팬을 가동시키지 않고, 메인팬만 가동시킨다.
한편, 실내온도가 냉방온도범위를 넘어서는 (Tset+3)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실내온도를 다시 냉방온도범위 내로 내리기 위한 동작이 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다소의 기류감을 감수하고 빠른 냉방을 위해, 실내기는 C 구간에서 서브팬을 가동시킨다. 그러나, 저부하 조건에서의 메인팬의 RPM이 고부하 조건에서의 메인팬의 RPM보다 적으므로, C 구간에서 사용자가 느끼는 기류감은 상대적으로 작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는 고부하 조건 및 저부하 조건 각각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메인팬 및 서브팬을 구동시킴으로써, 사용자가 느끼는 온도 및 기류감의 이슈를 고려한 쾌적한 냉방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내기의 메인팬 및 서브팬을 제어하는 방법 예시에 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각 부하 조건에서의 메인팬 및 서브팬의 RPM을 지정한 테이블의 예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기는 고부하 조건 및 저부하 조건 각각에서, 시간 구간 별로 메인팬 및 서브팬의 RPM을 지정한 테이블(1000)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내기가 3개의 메인팬과 1개의 서브팬을 포함하고 각 메인팬이 수직방향을 따라서 배치될 때, 테이블(1000)은 메인팬 별로 상이하게 RPM을 지정할 수 있다. 뜨거운 공기는 실내에서 보다 상측으로 이동하므로, 테이블(1000)은 복수의 메인팬 중 상측에 배치될수록 높은 RPM을 지정하고 있다.
실내기는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부하 조건을 판단한다. 예를 들면,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27도보다 높거나 또는 실외온도가 30도보다 높으면, 고부하 조건으로 판단한다. 반면, 실내기는 실내온도가 27도 이하이고 실외온도가 30도 이하이면 저부하 조건으로 판단한다. 실내기는 이와 같이 판단한 부하 조건에서의 시간 구간에 대응하는 메인팬 및 서브팬의 RPM을 테이블(1000)로부터 획득하고, 획득한 RPM에 따라서 메인팬 또는 서브팬을 가동시킨다.
A 구간은 초기 냉방 구간, B 구간은 냉방온도범위 유지구간, C 구간은 중간 냉방 구간을 나타내며, 각 구간에 관해서는 앞선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고부하 조건일 때, 실내기는 테이블(1000)을 참조하여, A 구간에서 복수의 메인팬을 각각 1180, 1080, 980 RPM으로 회전시키고, 서브팬을 1200 RPM으로 회전시킨다. 실내기는 B 구간에서 복수의 메인팬을 각각 1080, 980, 880 RPM으로 회전시키고, 서브팬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실내기는 C 구간에서 복수의 메인팬을 각각 1180, 1080, 980 RPM으로 회전시키고, 서브팬을 1200 RPM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저부하 조건일 때, 실내기는 테이블(1000)을 참조하여, A 구간에서 복수의 메인팬을 각각 1080, 980, 880 RPM으로 회전시키고, 서브팬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실내기는 B 구간에서 복수의 메인팬을 각각 980, 880, 780 RPM으로 회전시키고, 서브팬을 회전시키지 않는다. 실내기는 C 구간에서 복수의 메인팬을 각각 1080, 980, 880 RPM으로 회전시키고, 서브팬을 1100 RPM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실내기는 기 저장된 테이블(1000)을 참조하여 메인팬 및 서브팬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가 서브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해 설명한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컨의 실내기가 서브팬의 구동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기 동작은 실내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1110 단계에서 실내기는 시스템 전원이 턴온됨에 따라서 기동한다.
1120 단계에서 실내기는 현 시점의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를 취득한다.
1130 단계에서 실내기는 사용자가 지정한 설정온도에 기초하여 냉방공정을 수행한다. 본 냉방공정에서 실내기는, 실내온도의 변화에 대응하여 실내 열교환기 및 메인팬을 구동시킨다.
1140 단계에서 실내기는 냉방공정이 수행되는 동안,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판단된 현재 부하 조건이 고부하 조건인지 여부를 식별한다.
현재 부하 조건이 고부하 조건으로 식별되면, 1150 단계에서 실내기는 현재 시간 구간이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간 구간이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이면, 1160 단계에서 실내기는 서브팬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은 앞선 고부하 조건의 실시예에서의 A 구간 및 C 구간에 해당한다.
반면, 현재 시간 구간이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이 아니면, 1170 단계에서 실내기는 서브팬을 구동시키지 않는다. 여기서,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지 않는 구간은 앞선 고부하 조건의 실시예에서의 B 구간에 해당한다.
한편, 앞선 1140 단계에서 현재 부하 조건이 고부하 조건이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1210 단계에서 실내기는 현재 시간 구간이 초기 냉방 단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서, 초기 냉방 단계는 앞선 저부하 조건의 실시예에서의 A 구간에 해당한다.
현재 시간 구간이 초기 냉방 단계라고 판단되면, 1220 단계에서 실내기는 서브팬을 구동시키지 않는다.
반면, 현재 시간 구간이 초기 냉방 단계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1230 단계에서 실내기는 현재 시간 구간이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현재 시간 구간이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이면, 1240 단계에서 실내기는 서브팬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은 앞선 저부하 조건의 실시예에서의 C 구간에 해당한다.
반면, 현재 시간 구간이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는 구간이 아니면, 실내기는 1220 단계로 이행한다. 여기서, 실내온도를 내리도록 동작하지 않는 구간은 앞선 저부하 조건의 실시예에서의 B 구간에 해당한다.
이와 같이, 실내기는 냉방공정이 진행되는 동안, 고부하 조건 또는 저부하 조건 여부에 대응하여 서브팬을 선택적으로 가동시킨다.
이상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장치의 동작은, 해당 장치에 탑재된 인공지능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인공지능은 기계 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다양한 제반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 인공지능 시스템은 인간 수준 내지는 인간 수준에 버금가는 지능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서, 기계, 장치 또는 시스템이 자율적으로 학습하고 판단하며, 사용 경험의 누적에 기반하여 인식률 및 판단 정확도가 향상되는 시스템이다. 인공지능 기술은 입력되는 데이터들의 특징을 스스로 분류하고 학습하는 알고리즘을 이용한 기계학습(deep-running) 기술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인간의 두뇌의 인지, 판단 등의 기능을 모사하는 요소 기술들로 구성된다.
요소 기술들은, 예를 들면 인간의 언어와 문자를 인식하는 언어적 이해 기술, 사물을 인간의 시각처럼 인식하는 시각적 이해 기술,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하고 예측하는 추론 및 예측 기술,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처리하는 지식 표현 기술, 차량의 자율 주행이나 로봇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동작 제어 기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언어적인 이해는 인간의 언어 또는 문자를 인식하고 응용 처리하는 기술로서, 자연어의 처리, 기계 번역, 대화 시스템, 질의 응답, 음성 인식 및 합성 등을 포함한다.
추론 예측은 정보를 판단하여 논리적으로 예측하는 기술로서, 지식 및 확률 기반 추론, 최적화 예측, 선호 기반 계획, 추천 등을 포함한다.
지식 표현은 인간의 경험 정보를 지식 데이터로 자동화 처리하는 기술로서, 데이터의 생성 및 분류와 같은 지식 구축, 데이터의 활용과 같은 지식 관리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단말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저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Claims (15)

  1.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서로 다른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각각 가지며 상호 격리되는 제1유로 및 제2유로가 내부에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되며 공기의 열교환을 수행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되며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열교환된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동작하게 마련된 제1팬과,
    상기 제2유로에 배치되며 상기 제2유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공기를 상기 하우징 외부로 토출시키도록 동작하게 마련된 제2팬과,
    상기 제1팬 및 상기 제2팬을 각기 구동시키도록 마련된 구동부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팬이 동작되도록 하며, 상기 실내온도 및 상기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상기 제2팬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건은, 상기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시간 구간이, 냉방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제1팬이 가동되는 냉방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 중에서 상기 열교환기가 최초로 가동되는 초기 냉방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초기 냉방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초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는 공기조화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는 공기조화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의 토출구는, 상기 제2팬의 상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팬은 상기 제1팬의 하측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의 토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며 공기가 배출되는 복수의 타공을 가진 타공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팬은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타공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온도 또는 상기 실외온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센서로부터 상기 실내온도 또는 상기 실외온도의 정보를 획득하는 공기조화기.
  11.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제1유로에 배치된 열교환기를 구동시켜 상기 열교환기에 의해 상기 제1유로의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단계와,
    실내온도 및 실외온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유로에 배치된 제1팬을 구동시켜, 상기 제1유로의 열교환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1유로와 서로 다른 흡입구 및 토출구를 각각 가지며 상호 격리되는 제2유로에 배치된 제2팬을, 상기 실내온도 및 상기 실외온도 중 적어도 하나가 기 설정된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시간 구간에 대응하여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건은, 상기 실내온도가 제1문턱값보다 높거나 또는 상기 실외온도가 제2문턱값보다 높은지 여부를 나타내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시간 구간이, 냉방을 위해 상기 열교환기 및 상기 제1팬이 가동되는 냉방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건을 만족하지 않는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냉방 구간 중에서 상기 열교환기가 최초로 가동되는 초기 냉방 구간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초기 냉방 구간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지 않고, 상기 시간 구간이 상기 초기 냉방 구간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2팬을 동작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PCT/KR2019/015814 2018-11-23 2019-11-1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WO2020106003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09,071 US20220018569A1 (en) 2018-11-23 2019-11-19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133A KR102609095B1 (ko) 2018-11-23 2018-11-23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018-0146133 2018-11-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6003A1 true WO2020106003A1 (ko) 2020-05-28

Family

ID=7077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5814 WO2020106003A1 (ko) 2018-11-23 2019-11-19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018569A1 (ko)
KR (1) KR102609095B1 (ko)
WO (1) WO202010600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5451A (zh) * 2021-11-15 2022-03-2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换热器检测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3367A (ko) 2022-11-03 2024-05-10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606A (en) * 1992-10-28 1995-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capable of operating in cooling mode and heating mode
KR20000008790A (ko) * 1998-07-15 2000-02-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덕트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60005A (ko) * 2002-01-05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JP2013096633A (ja) * 2011-10-31 2013-05-2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160051095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95823B1 (en) * 1999-03-16 2001-10-02 Ch2M Hill,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emperature and humidity of a conditioned space
EP1789731A1 (en) * 2004-08-18 2007-05-30 A/S Ribe Jernindustri Ventilator with fresh air capability together with heating and/or cooling capability and methods for operating such ventilator
DE202006003069U1 (de) * 2006-02-22 2006-05-11 Hansa Ventilatoren Und Maschinenbau Neumann Gmbh & Co. Kg Klimagerät
JP5507231B2 (ja) * 2009-12-16 2014-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
WO2012103014A2 (en) * 2011-01-26 2012-08-02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Enclosure and method of cooling same using ambient air
EP2694880B1 (en) * 2011-04-08 2017-12-27 Carrier Corporation Climatic beam air conditioning system
JP5967358B2 (ja) * 2012-04-27 2016-08-10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用の制御回路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6128305B2 (ja) * 2012-04-27 2017-05-1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US9551498B2 (en) * 2012-06-28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JP5678952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JP5678953B2 (ja) * 2012-12-28 2015-03-04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JP2016099032A (ja) * 2014-11-19 2016-05-30 シャープ株式会社 暖房機、及び、空気調和機
US9557070B2 (en) * 2015-05-07 2017-01-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7477675B (zh) * 2017-08-18 2023-12-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室内机和具有其的空调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7606A (en) * 1992-10-28 1995-11-21 Kabushiki Kaisha Toshiba Air conditioning apparatus capable of operating in cooling mode and heating mode
KR20000008790A (ko) * 1998-07-15 2000-02-15 윤종용 공기조화기의 덕트운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60005A (ko) * 2002-01-05 2003-07-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욕실용 공조기의 운전제어방법
JP2013096633A (ja) * 2011-10-31 2013-05-20 Fujitsu General Ltd 空気調和機
KR20160051095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35451A (zh) * 2021-11-15 2022-03-25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换热器检测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CN114235451B (zh) * 2021-11-15 2023-09-26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换热器检测方法、存储介质和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095B1 (ko) 2023-12-04
US20220018569A1 (en) 2022-01-20
KR20200060936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74718A1 (ko) 공기조화기
CN107013978B (zh) 空调室内机及其送风方法
WO2018080082A1 (en) Air conditioner
CN112567183B (zh) 空调装置、控制装置、空气调节方法以及存储介质
WO2020106003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1304645A (ja) 空気調和装置
WO2018038574A1 (en) Method of defogging inner surface of vehicle windshield glass
WO2021080191A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2013113473A (ja) 熱交換換気装置
EP3366095B1 (en) Cooling systems for small equipment rooms and methods of cooling small equipment rooms
CA2265067A1 (en) Module-controlled building drying system and process
JP2015137836A (ja) 空気調和機、およびその室内ユニット
CN107120808A (zh) 空调器及其室内机控制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090091527A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6466108B2 (ja) 空調システムを制御する制御システムおよび空調システム
JP7443940B2 (ja) 環境制御システム
WO2021162404A1 (en) Serv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984737B2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JPH09257690A (ja) ワイドレンジ型環境試験装置
JPH06323583A (ja) 換気扇制御装置
WO2023177048A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H0633335Y2 (ja) ショーケースを設置した店舗における空調装置
JPS61130739A (ja) 換気制御装置
KR200246356Y1 (ko) 밀폐된 공간 냉방 장치
WO2019013549A1 (en)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88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8803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