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63367A -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63367A
KR20240063367A KR1020220144928A KR20220144928A KR20240063367A KR 20240063367 A KR20240063367 A KR 20240063367A KR 1020220144928 A KR1020220144928 A KR 1020220144928A KR 20220144928 A KR20220144928 A KR 20220144928A KR 20240063367 A KR20240063367 A KR 20240063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discharge port
outlet
indoor unit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44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연
이수진
김광형
문창성
임승철
강성희
Original Assignee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44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63367A/ko
Publication of KR20240063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6336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7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cams or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하여 송풍할 수 있는 다공판을 구비하고, 이 다공판을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나 공조 조건에 따라 공기의 토출 품질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는,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전면 토출구(32)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스(20);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전면 토출구(32)의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 그리고 상기 토출구 도어(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레이트에 미세한 송풍 구멍들이 형성된 다공판(110)과, 상기 다공판(110)을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막아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미세한 송풍 구멍을 통해 전면 토출구(32)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1위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130)를 구비하는 다공판 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An indoor unit of an air conditioner having a perforated 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의 전면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바람을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하여 송풍할 수 있는 다공판을 구비하고, 이 다공판을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둘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나 공조 조건에 따라 공기의 토출 품질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난방 공기조화기는, 냉매를 압축→응축→팽창→증발시키는 일련의 냉매 사이클을 냉방 모드나 난방 모드로 수행하여 실내의 냉방이나 난방을 도모하는 장치이다.
공기조화기는, 응축기를 가지는 열방출부와 증발기를 가지는 열흡수부가 별개로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가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때, 열방출부는 실외에 설치되므로 통상 '실외기'라 하고, 열흡수부는 공조필요공간, 즉 실내에 설치되므로 '실내기'라고 한다.
실외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방운전시 압축된 고온 고압의 냉매를 액체로 응축하는 실외 열교환기(응축기)와, 실외 열교환기에 외기를 송풍하는 실외기 팬과, 실외 열교환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팽창시켜서 증발이 용이한 저온 저압의 냉매로 만들어 실내 열교환기(증발기)로 보내는 팽창밸브와, 실외 열교환기에 공기를 송풍하는 실외기 팬을 구비한다.
실내기는, 냉방운전시 상기 실외 열교환기(응축기)에서 응축된 냉매를 증발시키는 실내 열교환기(증발기)와, 상기 실내 열교환기에 실내 공기를 송풍하는 실내기 팬을 구비한다.
실내기와 실외기는 냉매 배관으로 연결되어 냉매가 실외기와 실내기 사이를 순환한다.
공기조화기가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라면, 상기 압축기의 출구 측에 냉매의 흐름 방향을 전환하는 사방밸브를 더 구비한다.
냉난방 겸용 공기조화기에서 냉방운전은 상기와 같고, 난방운전은 냉방운전의 반대 방향으로 냉매가 흐르게 되어, 상기 실내 열교환기는 응축기로 작용하고, 상기 실외 열교환기는 증발기로 작용하게 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로서, 전면(前面)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풍향을 제어하는 형태가 알려졌다(예; 특허문헌 1 등).
이는, 실내기의 전면(前面) 토출구를 커버 하는 도어(또는 플랩)를 설치한 것으로서, 냉난방 운전 시, 상기 도어를 움직여 전면 토출구를 개방함으로써, 실내기로 흡입된 후 열교환기를 통과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할 수 있게 하거나, 도어의 개방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풍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전면 토출구의 개폐나 토출 방향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기는 하나, 강한 바람이 사용자의 피부에 직접 닿을 수 있어 개인에 따라서는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특정 구역에만 집중적으로 바람이 작용하기도 한다.
이에 대해, 전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바람을 사람이 직접 맞지 않도록 하기 위해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바람을 분산시킴으로써, 실내기에서 나오는 바람이 신체에 닿는 느낌을 싫어하는 사용자 등에게 적합하도록 한 형태의 실내기 알려졌다(예; 특허문헌 2 내지 4 등).
이는, 미세한 토출 구멍들이 형성된 다공 플레이트(또는 패널)를 전면 토출구에 설치한 것으로서, 전면 토출구를 통해 나오는 토출 공기를 다공 플레이트에 의해 분산시켜 넓게 퍼지도록 함으로써, 토출 공기가 직접 사람의 신체에 닿지 않도록 하여 좀 더 안락하고 쾌적한 느낌을 받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다공 플레이트는 공기조화기의 전면에 상기 장착되어 있어 상시 분산풍만 제공하기 때문에, 좀 더 강한 바람을 요구하거나 냉, 난방 효과를 보다 신속하게 이루었으면 하는 바램에 대응하기 어렵다. 따라서 바람의 강약, 퍼짐 또는 집중, 직,간접풍, 냉,난방의 시급성 등과 같은 토출 품질, 공조 조건 및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어려운 폐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89361호(2020.07.27.)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0936호(2020.06.0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9185호(2019.07.05.)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08427호(2022.01.2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들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필요에 따라 펼치거나 접어둘 수 있는 다공판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요구나 공조 조건 등에 따라 공기의 토출 품질을 능동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는,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전면 토출구(32)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스(20);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전면 토출구(32)의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 그리고 상기 토출구 도어(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레이트에 미세한 송풍 구멍들이 형성된 다공판(110)과, 상기 다공판(110)을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막아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미세한 송풍 구멍을 통해 전면 토출구(32)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1위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130)를 구비하는 다공판 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서,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좌, 우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면 토출구(32)의 좌우방향 중간에 설치되는 중앙 프레임(34)을 포함하고; 다공판 장치(10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전면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좌, 우의 다공판 장치(100)의 다공판(110)은,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토출구 부분을 각각 막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서, 상기 다공판 장치(100)는, 상기 다공판(11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힌지되는 복수의 회동 암(12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회동 암(120) 중 하나의 회동 암(120)을 구동 모터(130)에 의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서,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좌, 우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면 토출구(32)의 좌우방향 중간에 설치되는 중앙 프레임(34)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전면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좌, 우로 나누어진 각각의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토출구 부분을 각각 막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서, 좌, 우의 토출구 도어(40)는 각각,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막는 폐쇄위치와,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반대 단부 부분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단부가 본체 케이스(20)의 전방 바깥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면 토출구(32)를 여는 개방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서, 상기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반대쪽 단부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힌지되는 복수의 힌지 암(42) 및 하나의 구동 암(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에 의하면, 필요에 따라 다공판(110)을 제1위치로 펼치거나 제2위치로 수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요구나 공조 조건 등에 따라 공기의 토출 품질(상태)를 쉽게 변화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공조 조건이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토출구 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평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토출구 도어는 열리고 다공판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외관 사시도로서, 토출구 도어와 다공판이 모두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장치의 닫힌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장치의 닫힌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장치의 열린 상태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장치의 열린 상태의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가습기 모듈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1에는 토출구 도어(40)가 닫힌 상태의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의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는, 전방으로 개구된 박스 모양의 본체 케이스(20)의 전방을 전면 패널(30)로 막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전면 패널(30)의 상부에는 전면 토출구(32)가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전면 토출구(32)에는 토출구 도어(40)가 설치되어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체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실내 열교환기와, 공기를 흡인하여 실내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팬이 설치되며,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는 전면 토출구(32)를 통해 실내로 송풍된다.
본체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전면 토출구(32) 쪽으로 유도하는 풍향 가이드 패널(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 풍향 가이드 패널(22)에는 송풍 개구(26)(도 7 참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송풍 개구(26)(도 7 참조)에는 송풍 그릴(28)(도 7 참조)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 도어(40)의 내측에는 다공판 장치(100)가 설치된다.
다공판 장치(100)는 다공판(110)을 구비하며, 이 다공판(110)은, 전면 토출구(32)를 완전히 막는 위치(제1위치)와 완전히 여는 위치(제2위치) 사이로 동작한다.
다공판(110)은, 플레이트에 미세한 송풍 구멍들이 형성된 것으로서, 미세한 송풍구멍들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다공판(110)은 전후 방향의 회동에 의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회동한다. 이와는 달리 다공판(110)을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공판(110)을 제1위치와 제2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해, 다공판(110)의 배면에는 복수의 회동 암(120)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회동 암(120)은 다공판(11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힌지축(120a)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다. 복수의 회동 암(120)은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서 다공판(110)은 전면 토출구(32)를 막는 제1위치에 있으며, 그로부터 회동 암(120)이 본체 케이스(20)의 내측을 향해 후향 회동하여 제2위치에 수납된다(추후 자세히 설명한다).
상기 복수의 회동 암(120) 중 하나의 회동 암(120)을 구동 모터(130)에 작동된다. 이는 추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전면 토출구(32)의 좌우방향 중간에는 중앙 프레임(3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중앙 프레임(34)은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좌, 우로 구획하며, 송풍 그릴(28)(도 7 참조)을 통과해 나온 공기를 좌우로 나뉜 토출구(32)로 유도한다.
이 경우, 다공판 장치(10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전면 토출구에 각각 설치된다.
좌, 우의 다공판 장치(100) 각각의 다공판(110)은,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토출구(32) 부분을 각각 막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중앙 프레임(34)의 설치에 따라 상기 토출구 도어(40)도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전면 토출구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좌, 우로 나누어진 각각의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토출구 부분을 각각 막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좌, 우의 토출구 도어(40)는 각각,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막는 폐쇄위치와전면 토출구(32)를 여는 개방위치로 회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토출구 도어(40)를 폐쇄위치와 개방위치로 회동시키기 위해, 토출구 도어(4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복수의 힌지 암(42)과 함께 하나의 구동 암(42b)이 형성될 수 있다. 구동 암(42b)은 모터 등의 구동원에 의해 회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힌지 암(42)은, 토출구 도어(40)의 중앙 프레임(34) 쪽의 반대쪽의 단부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힌지축(42a)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다. 따라서, 토출구 도어(40)는, 중앙 프레임(34) 쪽의 반대 단부 부분의 힌지축(42a)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단부가 본체 케이스(20)의 전방 바깥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면 토출구(32)를 여는 개방위치로 회동된다. 이와는 달리 토출구 도어(40)을 좌우 슬라이드 방식으로 동작하여 전면 토출구(32)를 개폐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토출구 도어(40)는 열리고 다공판(110)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3에는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토출구 도어(40)는, 구동원에 의해 구동 암(42b)이 전방 바깥 방향으로 회동되면, 힌지 암(42)이 힌지축(42a)을 중심으로 하여 전방 바깥 방향으로 회동되며, 이에 따라 토출구 도어(40)의 중앙 프레임(34) 쪽의 단부가 본체 케이스(20)의 전방 바깥 방향으로 회동하여 개방위치에 위치하게 되어 전면 토출구(32)를 개방시킨다.
다공판(110)은 펼쳐진 상태 즉, 제1위치에 위치하여 전면 토출구(32)를 막는 자세를 유지하고 있다. 다공판(110)에는 미세한 토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송풍기로부터 송풍되어 송풍 그릴(28)을 통해 나오는 공기는 다공판(110)의 미세한 토출 구멍을 통과하면서 미세하고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사람이 직접 바람을 맞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실내기에서 나오는 바람이 신체에 닿는 느낌을 싫어하는 사용자에게 적합하다.
한편, 도 3 내지 도 5에서, 다공판(110)에는 토출구 도어(40)의 힌지 암(42)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절취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절취홈(112)을 통해 토출구 도어(40)의 힌지 암(42)의 회동 동작 시 다공판(110)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이는 좁은 공간내에 토출구 도어(40)와 다공판(110)을 전후방향으로 근접하여 설치하여도 간섭을 피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다공판(110)을 펼쳐 전면 토출구(32)를 막은 상태(제1위치)로 함으로써, 공기가 다공판(110)의 미세한 토출 구멍을 통과하여 실내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기의 토출구 도어(40)와 다공판(110)이 모두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도 6에는 외관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는 평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회동 암(120)은, 다공판(11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힌지축(120a)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힌지된다.
따라서, 다공판(110)은, 회동 암(120)의 힌지축(120a)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단부가 본체 케이스(20)의 내측을 향해 후향 회동하여 풍향 가이드 패널(22)의 측벽에 밀착하는 상태로 수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제2위치).
이처럼 다공판(110)이 후향 회동하여 제2위치로 수납되면, 풍향 가이드 패널(22)의 송풍 그릴(28)으로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어떠한 믹힘도 없이 전면 토출구(32)를 통해 곧바로 실내로 송풍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다공판(110)을 제2위치로 회동시켜 본체 케이스(20) 내측으로 수납하여 전면 토출구(32)를 개방(막은 상태를 해제) 함으로써, 공기가 곧바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판 장치(10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9에는 다공판(110)이 닫힌 상태(제1위치)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다공판(110)이 닫힌 상태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1에는 다공판(110)이 열린 상태(제2위치)의 정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2에는 다공판(110)이 열린 상태의 배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다공판(110)의 배면에는, 복수의 회동 암(120)이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된다.
복수의 회동 암(120) 중 하나에는 구동 모터(130)가 연결되어, 힌지축(120a)을 중심으로 회동 암(120)을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장 위쪽의 회동 암(120)에 구동 모터(130)가 연결된 형태를 예시하고 있다.
회동 암(120)에는 힌지축(120a)과 중심이 동일한 힌지 보스(122)가 형성되고, 이 힌지 보스(122)에 구동 모터(130)의 출력축(132)이 연결된다.
구동 모터(130)의 케이스는 본체 케이스(20) 내부의 힌지부(24)나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공기조화기
20: 본체 케이스
22: 풍향 가이드 패널
24: 힌지부
26: 송풍 개구
28: 송풍 그릴
30: 전면 패널
32: 전면 토출구
34: 중앙 프레임
40: 토출구 도어
42: 힌지 암
42a: 힌지축
42b: 구동 암
100: 다공판 장치
110: 다공판
112: 절취홈
120: 회동 암
120a: 힌지축
122: 힌지 보스
130: 구동 모터
132: 출력축

Claims (6)

  1.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토출하는 전면 토출구(32)를 구비하는 본체 케이스(20);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전면 토출구(32)의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40): 및
    상기 토출구 도어(40)의 내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플레이트에 미세한 송풍 구멍들이 형성된 다공판(110)과, 상기 다공판(110)을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막아 상기 송풍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미세한 송풍 구멍을 통해 전면 토출구(32)로 토출되도록 하는 제1위치와 상기 본체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수납되는 제2위치로 회동시키는 구동 모터(130)를 구비하는 다공판 장치(1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좌, 우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면 토출구(32)의 좌우방향 중간에 설치되는 중앙 프레임(34)을 포함하고,
    다공판 장치(10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전면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좌, 우의 다공판 장치(100)의 다공판(110)은,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토출구 부분을 각각 막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판 장치(100)는,
    상기 다공판(110)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힌지되는 복수의 회동 암(120)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회동 암(120) 중 하나의 회동 암(120)을 구동 모터(130)에 의해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로 회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좌, 우로 구획하도록 상기 전면 토출구(32)의 좌우방향 중간에 설치되는 중앙 프레임(34)을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전면 토출구에 각각 설치되며, 좌, 우로 나누어진 각각의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에 의해 나누어진 좌, 우의 토출구 부분을 각각 막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5. 제4항에 있어서,
    좌, 우의 토출구 도어(40)는 각각, 상기 전면 토출구(32)를 막는 폐쇄위치와,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반대 단부 부분을 회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단부가 본체 케이스(20)의 전방 바깥 방향으로 회동하여 전면 토출구(32)를 여는 개방위치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 도어(40)는, 상기 중앙 프레임(34) 쪽의 반대쪽 단부의 배면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본체 케이스(20)의 힌지부(24)에 전후방향으로 회동 힌지되는 복수의 힌지 암(42) 및 하나의 구동 암(42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KR1020220144928A 2022-11-03 2022-11-03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KR2024006336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28A KR20240063367A (ko) 2022-11-03 2022-11-03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44928A KR20240063367A (ko) 2022-11-03 2022-11-03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63367A true KR20240063367A (ko) 2024-05-10

Family

ID=91072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44928A KR20240063367A (ko) 2022-11-03 2022-11-03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63367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85A (ko)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60936A (ko)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9361A (ko)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에어컨
KR20220008427A (ko) 2020-07-13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9185A (ko) 2017-12-27 2019-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200060936A (ko) 2018-11-23 2020-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200089361A (ko) 2019-01-16 2020-07-27 주식회사 위니아딤채 에어컨
KR20220008427A (ko) 2020-07-13 2022-01-2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8662A (ko) 공기조화기
KR20180032439A (ko) 공기조화기
JP2020517890A (ja) エアコン及びエアコンの制御方法
KR102531649B1 (ko) 공기조화기
KR102613461B1 (ko) 공기조화기
US20220049854A1 (en) Air conditioner
KR20180044160A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11140922A (zh) 空调室内机及空调器
RU2738520C1 (ru) Кондиционер воздуха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ндиционером воздуха
KR20190079185A (ko) 공기조화기
KR20240063367A (ko) 공기조화기의 다공판 개폐식 실내기
KR100473818B1 (ko) 공기조화기
JP2020517896A (ja) エアコン及びその制御方法
KR20190072023A (ko) 공기조화기
KR20190012841A (ko) 공기조화기
KR102220818B1 (ko) 공기조화기
JPH0914692A (ja) 空気調和装置
JP2002195599A (ja) 空気調和機
JP2003056896A (ja) 空調機用風向調節装置
WO2021054182A1 (ja) 空調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7025672B2 (ja) 空調室内機
JP6849032B2 (ja) 空調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KR200280422Y1 (ko) 상하 양방향 토출형 냉난방 겸용 에어컨
JPH04124552A (ja) 空気調和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