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9185A - 공기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9185A
KR20190079185A KR1020170181213A KR20170181213A KR20190079185A KR 20190079185 A KR20190079185 A KR 20190079185A KR 1020170181213 A KR1020170181213 A KR 1020170181213A KR 20170181213 A KR20170181213 A KR 20170181213A KR 20190079185 A KR20190079185 A KR 201900791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housing
discharge port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1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060B1 (ko
Inventor
조성준
김권진
김성재
라선욱
윤연섭
윤영욱
이경애
임병한
하종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1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060B1/ko
Priority to US16/222,237 priority patent/US10935273B2/en
Priority to PCT/KR2018/016789 priority patent/WO2019132551A1/en
Priority to CN201811612209.8A priority patent/CN109974092B/zh
Priority to EP18894724.6A priority patent/EP3714213B1/en
Publication of KR201900791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91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0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0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1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air supply to heat-exchangers or bypass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24F1/0014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having two or more outlet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5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on the floor; standing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0Arrangement or mounting of heat-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0/00Heat pumps
    • F25B30/02Heat pumps of the compress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4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g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Abstract

공기조화기는 제 1, 2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제 1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제 2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며, 하우징의 외부에서 제 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2 토출구, 제 1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가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도어로서, 토출도어의 이동동작을 통해 제 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토출도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토출방법을 달리하는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인간이 활동하기 알맞은 온도, 습도, 기류, 분도 등을 조절함과 동시에 공기 속에 있는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냉동 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팽창밸브, 송풍팬 등을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는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설치되는 분리형 공기조화기와, 실내기와 실외기가 하나의 캐비닛에 함께 설치되는 일체형 공기조화기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패널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열 교환시키는 열 교환기와, 실내의 공기를 패널 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다시 실내로 송풍시키는 송풍팬을 구비한다.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사용자가 토출공기에 직접 닿는 경우, 추위와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반면에 토출공기에 접하지 않는 경우 더위 및 불쾌감을 느낄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갖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열 교환되지 않은 자연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열 교환된 공기 및 실내 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은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와 자연풍이 유동되는 유로를 효과적으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 1, 2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 1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 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도어로서, 상기 토출도어의 이동동작을 통해 상기 제 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토출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제 2 토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상기 제 2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은 평행이동과 회전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토출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토출구를 일정폭 이하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토출도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간격유지부재 중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과 가까운 구성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개방위치일 때, 상기 토출도어의 상하좌우의 측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제 2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토출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도어를 동작하는 동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동작을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로서,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과 연결되어 상기 토출도어를 이동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과, 상기 하우징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제 2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곡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가이드곡면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토출도어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둘레곡면부로서, 상기 가이드곡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토출도어의 둘레에서 그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성되는 둘레곡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토출패널; 상기 토출패널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 상기 제 1 토출구를 향해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 상기 제 2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유로와 구획되는 제 2 유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배치되며, 상기 제 1, 2 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연결부는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중간부재와 함께 제 1, 2 유로를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연결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대해 상대이동하되, 상기 중간부재에 대한 접촉이 유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제 1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저속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토출패널에 균일하게 분포할 수 있다.
상기 제 1, 2 유로상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 상기 제 1, 2 흡입구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 1, 2 토출구를 향해 유동시키는 제 1, 2 송풍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토출도어의 일측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일측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호 구획되는 제 1, 2 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를 지나는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제 1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저속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고, 상기 토출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토출패널; 상기 토출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 사이에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패널연결부;를 포함한다.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토출구를 일정폭 이하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제 1, 2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제 1 흡입구와 제 1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1 유로와 구획되는 제 2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토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토출도어의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 패널이 배치된 제 1 토출구와 일반적인 송풍을 할 수 있는 제 2 토출구를 포함하므로, 다양한 공기 토출 방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 패널이 배치된 제 1 토출구를 포함하므로,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끼는 최소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열 교환기가 마련되지 않은 제 2 유로를 통해 공기를 토출할 수 있으므로, 열 교환되지 않은 자연풍을 제공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는 제 2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제 1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제 2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곡면부가 마련되므로, 열 교환된 공기 및 실내 공기가 혼합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조화기의 열교환된 공기가 유동되는 제 1 유로와 제 2 유로를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본체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를 동작할 때, 공기유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를 동작할 때, 공기유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 3 모드를 동작할 때, 공기유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좌우방향 회전동작에 관한 도면.
도 12,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하방향 회전동작에 관한 도면.
도 14,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6,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18,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단면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공기조화기를 이루는 냉동사이클은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로 이루어져 있다. 냉동사이클은 압축-응축-팽창-증발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순환하고, 냉매와 열교환한 조화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다.
압축기는 냉매가스를 고온고압의 상태로 압축하여 배출하며, 배출된 냉매가스는 응축기로 유입된다. 응축기는 압축된 냉매를 액상으로 응축하고, 응축과정을 통해 주위로 열을 방출한다.
팽창밸브는 응축기에서 응축된 고온고압 상태의 액상 냉매를 저압상태의 액상냉매로 팽창시킨다. 증발기는 팽창밸브에서 팽창된 냉매를 증발시키고, 저온저압 상의 냉매가스를 압축기로 복귀시킨다. 증발기는 냉매의 증발 잠열을 이용하여 피 냉각 물체와 열교환에 의하여 냉동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사이클을 통해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외기는 냉각사이클 중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로 이루어진 부분을 말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실내 열교환기를 포함하고, 팽창밸브는 실내기나 실외기 중 어느 한 곳에 있을 수 있다. 실내 열교환기와 실외 열교환기는 응축기나 증발기의 역할을 한다. 실내 열교환기가 응축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난방기가 되고, 증발기로 사용될 때 공기조화기는 냉방기가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공기조화기(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10)과, 하우징(10)의 내부 또는 외부로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유닛(20)과,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와 열 교환하는 열교환기(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송풍유닛(20) 및 열교환기(30)가 마련되는 본체 하우징(11) 과, 본체 하우징(11)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도어(1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제 1 흡입구(12)와, 제 2 흡입구(15)와, 제 1 토출구(105)와 제 2 토출구(13, 도 6참고)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30)의 하단에는 열교환기(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드레인부재(31)가 배치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은 공기조화기(1)의 후면, 양 측면, 상면 및 저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은 전면이 개방되며, 개방된 전면에는 토출도어(100)가 배치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본체 하우징(11)의 전면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본체 하우징(11)의 전면 하측에는 전면패널(18)이 배치될 수 있다. 전면패널(18)은 개방된 본체 하우징(11)의 전면 하측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도어프레임(10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01)은 열교환기(30)의 넓이와 대응되는 중공부를 갖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토출도어(100)의 틀을 형성할 수 있다. 도어프레임(101)에는 제 1 토출구(105)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105)는 하우징(1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105)는 도어프레임(101)을 관통할 수 있다. 제 1 도어프레임(101)은 제 1 토출구(105)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토출구(105)는 제 1 흡입구(12)와 대략 마주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 1 토출구(105)는 하우징(10)의 후면에 배치되고, 제 1 흡입구(12)는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된 공기는 제 1 토출구(105)와 복수의 토출홀(112)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 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105)는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 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에는 제 1 흡입구(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12)는 본체 하우징(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 1 흡입구(12)는 본체 하우징(11)의 배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1 흡입구(12)가 3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흡입구(1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는 제 1 흡입구(12)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흡입구(12)의 형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에는 제 2 흡입구(15)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15)는 본체 하우징(11)의 배면을 관통할 수 있다. 제 2 흡입구(15)는 본체 하우징(11)의 배면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15)는 제 1 흡입구(12)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외부 공기는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12)와 같이, 제 2 흡입구(15)의 개수 및/또는 형상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 1 토출구(105)와 별도로, 제 1 토출구(105)와 구분되는 제 2 토출구(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에는 제 2 토출구(13, 도 6 참고)가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토출도어(100)와 본체 하우징(11) 사이에 제 2 토출구(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제 1 토출구(105)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본체 하우징(11)의 적어도 일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본체 하우징(11)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본체 하우징(11)의 측면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본체 하우징(11)의 일 부분에 대응되는 양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본체 하우징(11)의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에서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는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은 일체의 형상으로 1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 하부가 분리된 2개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 하우징(11)은 상부 하부 2개의 구성이 결합된 상태를 의미한다.
제 2 토출구(13)는 제 2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제 1 토출구(105)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토출도어(1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토출도어(100)의 배면 또는 측면과, 본체하우징(11)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열교환기(30)를 지나 제 1 토출구(105)를 거쳐 토출도어(100)를 통해 본체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제 1 토출구(105)를 향하는 공기가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그 이동동작을 통해 제 2 토출구(13)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다. 토출도어(100)의 이동동작은 평행이동과 회전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토출패널(110)과 패널연결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110)은 공기조화기(1)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도록 마련된다. 즉, 개방된 본체하우징(10)의 전방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토출패널(110)에는 도 3과 같이 복수의 토출홀(1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토출구(105)를 향하는 공기는 복수의 토출홀(112)로 분산되어 본체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제 1 토출구(105)의 넓이에 비해 토출홀(112)의 넓이는 매우 작게 형성되므로, 제 1 유로(S1)를 지나는 공기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지나며 풍속이 저하된 채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즉, 토출패널(110)과 열교환기 사이에 형성되는 토출공간(Sa) 또는 제 1 토출구(105)에 비해 토출홀(112)의 직경이 매우 작게 형성되므로, 열교환기(30)를 지나 토출공간(Sa)을 향하는 공기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지나며 유동저항이 발생함으로서 풍속이 저하된 채 외부로 토출되게 된다.
즉, 이와 같이 열교환된 공기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거치며 저속으로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됨에 따라, 사용자는 직접 공기를 맞지 않으면서 실내공간의 쾌적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복수의 토출홀(112)은 토출패널(110)의 내외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그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복수의 토출홀(112)은 토출패널(110) 상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패널(110)의 일부 영역에 분포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토출패널(110)의 제 1, 2 영역에 배치되되, 제 1 영역에서의 복수의 토출홀(112)의 밀집도가 제 2 영역에서의 밀집도보다 높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패널연결부(120)는 토출패널(1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널연결부(120)는 토출패널(11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패널연결부(120)는 토출패널(110)의 둘레로부터, 토출패널(110)의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 1, 2 유로(S1, S2)를 지나는 공기가 상호간에 섞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패널연결부(120)는 토출도어(100)의 이동에 있어서, 제 1, 2 유로(S1, S2)를 구획하는 구성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패널연결부(120)는 하우징(10)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자세하게는 패널연결부(120)는 토출도어(100)의 이동에 있어서, 중간부재(70)에 대해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패널연결부(120)는 토출도어(100)의 이동에 의하더라도, 중간부재(70)와의 접촉이 유지되도록 구성됨으로서, 중간부재(70)의 확장된 기능을 할 수 있다.
패널연결부(120)는 가이드곡면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곡면부(122)는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곡면부(122)는 제 2 토출구(13)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구(105)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제 2 토출구(13)를 향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가이드곡면부(122)은 코안다효과에 의해 제 2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할 수 있다. 즉, 제 2 유로(S2)를 유동하는 공기는 가이드곡면부(122)를 따라 제 2 토출구(13)로 토출되어, 제 1 토출구(105)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될 수 있는 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가 하우징(10)의 측면에 배치되고 제 1 토출구(105)가 하우징(10)의 전면에 배치되었을 때, 가이드 곡면부(122)는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전방으로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둘레곡면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곡면부(12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도어(100)의 전방을 향하도록, 둘레곡면부(124)는 가이드곡면부(122)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둘레곡면부(124)는 가이드곡면부(122)와 연결되되, 토출도어(100)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둘레곡면부(124)는 토출도어(10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토출도어(100)의 둘레에서 그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성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지지프레임(114)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4)은 토출패널(110)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14)은 토출패널(110)의 배면을 지지함으로서, 토출패널(110)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지지프레임(114)은 제 1 유로(S1)를 유동하는 공기가 제 1 토출구(105) 또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통해 공기조화기의 외부로 토출되기 위해, 복수의 중공부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114)은 도 3과 같이 허니컴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1 유로(S1)를 가로막지 않는 중공부를 가지는 다양한 형상의 프레임으로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공기조화기(1)는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블레이드(13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2)는 제 2 토출구(1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해서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블레이드(132)가 제 2 유로(S2)상에 배치되도록 배치되나, 제 2 토출구(13)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2)는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도 4에서와 같이 제 2 유로(S2)를 막는 폐쇄위치와, 도 6에서와 같이 제 2 유로(S2)를 유동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토출도어(100)의 상하로 형성되는 길이방향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공기유동방향에 대한 단면적이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에 대응되도록, 제 2 유로(S2) 또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단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132)는 상호간에 이격되도록 제 2 유로(S2) 또는 제 2 토출구(13)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제 2 토출구(13)의 크기를 일정하게 하는 간격유지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130)는 토출도어(100)가 폐쇄위치(CP)에서 개방위치(OP)로 이동할 때, 제 2 토출구(13)가 일정 폭 이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130)는 제 2 토출구(13)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130)는 토출도어(10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130)는 토출도어(100)와 함께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재(130)는 토출도어(100)에 결합되어, 토출도어(100)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130)는 하우징(10)의 내측면(11a, 도 2, 6 참고)에 접하도록 마련되며, 하우징(10)에 대해 슬라이딩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13)는 토출도어(100)의 양측에 한 쌍이 마련되므로, 간격유지부재(130)도 제 2 토출구(13)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가 폐쇄위치(CP)에서 개방위치(OP)로 이동할 때, 간격유지부재(130) 또한 함께 개방위치(OP)로 이동함으로서, 제 2 토출구(13)가 일정한 폭 및 넓이를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토출도어(100)가 폐쇄위치(CP)로부터 개방위치(OP)로 평행이동하는 경우, 한 쌍의 제 2 토출구(13)는 간격유지부재(130)와 하우징(11) 중 어느 하나와, 패널연결부(120)의 배면 사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간격유지부재(130)와 패널연결부(120)의 배면 사이의 공간과, 하우징(11)과 패널연결부(120)의 배면사이의 공간 중 작은 공간이 제 2 토출구(13)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토출도어(100)가 어느 일측이 다른 일측보다 전방을 향해 더 돌출되도록 회전동작을 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즉, 토출도어(100)가 하우징(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하만큼 이격되면, 제 2 토출구(13)는 패널연결부(120)의 배면과 하우징(11)사이에 형성된다. 또한 토출도어(100)가 하우징(11)으로부터 일정거리 이상 이격되면, 제 2 토출구(13)는 패널연결부(120)의 배면과, 간격유지부재(130)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 및 동작을 통해, 제 2 토출구(13)가 일정폭 이상 넓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토출도어(100)가 회전동작을 하는 경우에도, 제 2 토출구(13)들의 간격차이로 인한 단면적의 차이로, 토출유량이 어느 한쪽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격유지부재(130)와 패널연결부(120)사이에 간격은 일정하므로, 토출도어(100)는 평행이동, 회전이동에 의하더라도 제 2 토출구(13)의 넓이 또는 폭은 일정값 이하로 유지된다. 이를 위해 간격유지부재(130)는 토출도어(100)의 일구성으로서, 토출도어(100)의 동작과 함께 이동 또는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간격유지부재(130)는 본체 하우징(11)의 일구성으로서, 본체 하우징(11)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공기조화기는 토출도어(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부재(140)는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마련되어, 토출도어(100)를 동작시키도록 마련된다. 동작부재(140)는 토출도어(100)가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등을 위해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기조화기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상측좌우에 한 쌍의 동작부재(140)가, 하측좌우에 한 쌍의 동작부재(140)가 마련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가 평행이동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동작부재(140)가 함께 동작할 수 있다. 토출도어(100)가 좌측, 우측, 상측, 하측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네 개의 동작부재(140)의 동작을 상호 달리함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동작부재(140)는 랙기어(142)와 피니언기어(144)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144)는 본체 하우징(11)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랙기어(142)는 피니언기어(144)과 맞물려 피니언기어(144)의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도록 구성된다. 랙기어(142)는 토출도어(100)의 배면과 연결되어, 피니언기어(144)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토출도어(100)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 1 흡입구(12)와 제 1 토출구(105)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 1 유로(S1)라고 하고, 제 2 흡입구(15)와 제 2 토출구(13)를 연결하는 공기의 유로를 제 2 유로(S2)라고 한다. 여기서,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는 중간부재(70)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유로(S1)를 흐르는 공기와 제 2 유로(S2)를 흐르는 공기는 섞이지 않을 수 있다.
중간부재(70)는 본체 하우징(11)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재(70)는 본체 하우징(11)의 길이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즉, 상하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도록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간부재(70)는 가이드부(72)와 구획부(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72)는 후술할 제 1 송풍유닛(21)의 제 1 송풍팬(22)의 외주면에서 외주면 외측으로 이격을 두고 제 1 송풍팬(22)의 원주방향으로 제 1 송풍팬(22)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72)는 제 1 흡입구(12)에서 유입된 공기가 제 1 송풍팬(22)으로 유입되도록 가이드하고 제 1 송풍팬(2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제 1 토출구(105)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부(72)는 그 내측면으로 제 1 송풍팬(22)이 배치되는 개구(7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송풍팬(22)은 세개가 마련되므로, 개구(73) 또한 3개가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72)는 제 1 송풍팬(22)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벨마우스부(76)와 제 1 송풍팬(22)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를 전방측으로 가이드하는 디퓨저부(78)와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79)를 포함할 수 있다.
벨마우스부(76)는 가이드부(72)의 후측에 배치되어 제 1 흡입구(12)에서 유입된 공기를 제 1 송풍팬(22) 측으로 가이드할 수 있다. 디퓨저부(78)는 벨마우스부(76)에서 전방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79)는 디퓨저부(78)의 내주면에서 제 1 송풍팬(22)의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디퓨저부(78)는 제 1 송풍팬(22)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전방을 향하도록 하고 복수의 토출 블레이드(79)는 전방으로 송풍되는 토출 기류를 특정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토출기류를 가이드 할 수 있다.
구획부(80)는 제 1, 2 유로(S1, S2)를 구획하도록 구성된다. 구획부(80)는 가이드부(72)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구획부(80)는 가이드부(72)의 외측에서 본체 하우징(11)의 측면 내부(11a)로 연장되고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를 구획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획부(80)는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섞이지 않고 각각 제 1 토출구(105)와 제 2 토출구(13)로 토출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구획부(80)는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를 분리시켜 각각의 유로(S1, S2)가 서로 연통되는 구간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유로(S1) 상의 공기는 제 1 흡입구(12)에서 제 1 토출구(105)로 유동되는 동안 하우징(10) 내부에서 제 2 유로(S2) 상의 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하우징(10) 외측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유로(S2) 상의 공기 또한 하우징(10) 내부에서 제 1 유로(S1) 상의 공기와 혼합되지 않고 토출될 수 있다.
자세하게는 구획부(80)는 곡면을 포함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를 구획할 수 있다. 다르게 설명하자면 구획부(80)의 일면(121)은 제 1 유로(S1)의 일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구획부(80)의 타면(122)은 제 2 유로(S2)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중간부재(70)의 하단에는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고 제 2 송풍팬(26)과 연통되는 유입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유입부(130)는 제 2송풍팬(26)에서 송풍되는 공기를 제 2 유로(S2)로 유입시켜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제 2 유로(S2)로 가이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열교환기(30)와 열 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제 2 토출구(13)를 통해 열교환기(30)를 거치지 않은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2 토출구(13)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토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유로(S1) 상에는 열교환기(30)가 배치되므로,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된 공기일 수 있다. 제 2 유로(S2) 상에는 열교환기(30)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일 수 있다.
이와 달리, 본원발명은 제 2 토출구(13)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 2 유로(S2) 상에도 열교환기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를 열 교환시키기 위한 열교환기는 본체 하우징(11)의 수용공간(19)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제 1 토출구(105) 및 제 2 토출구(13) 모두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 2 유로(S2)상에도 열교환기가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제 1, 2 유로(S1, S2)상에 배치되는 열교환기들은 상호 구분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 1, 2 유로(S1, S2)를 지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가 실내를 공기조화할 때, 본체하우징(10)의 내부에서 섞이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에는 지지 스탠드(14)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스탠드(14)는 본체 하우징(11)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스탠드(14)는 하우징(10)을 바닥에 대해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체 하우징(11)의 내부에는 전장품들(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는 수용공간(19)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9)에는 공기조화기(1)의 구동에 필요한 전장품들이 배치될 수 있다. 수용공간(19)에는 제 2 송풍유닛(26)이 배치될 수 있다.
송풍유닛(20)은 제 1 송풍유닛(21)과 제 2 송풍유닛(26)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송풍유닛(26)은 제 1 송풍유닛(21)과 독립적으로 구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2 송풍유닛(26)의 회전 속도는 제 1 송풍유닛(21)의 회전 속도와 상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송풍유닛(21)은 제 1 흡입구(12)와 제 1 토출구(105) 사이에 형성된 제 1 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송풍유닛(21)에 의해 공기는 제 1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 1 유로(S1)를 따라 이동하여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송풍유닛(21)은 제 1 송풍팬(22)과 제 1 팬구동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송풍팬(22)은 축류 팬 또는 사류 팬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 1 송풍팬(22)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송풍팬(22)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제 1 송풍팬(22)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도 2에서 제 1 송풍팬(22)은 3개가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제 1 송풍팬(22)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로 마련될 수 있다.
제 1 팬구동부(23)는 제 1 송풍팬(22)을 구동시킬 수 있다. 제 1 팬구동부(23)는 제 1 송풍팬(22)의 중심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팬구동부(23)는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송풍유닛(26)은 제 2 흡입구(15)와 제 2 토출구(13) 사이에 형성된 제 2 유로(S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송풍유닛(26)에 의해 공기는 제 2 흡입구(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 2 유로(S2)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송풍유닛(26)은 제 2 송풍팬(27)과, 제 2 팬구동부(28)와, 팬 케이스(29)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송풍팬(27)은 원심 팬이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제 2 송풍팬(27)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2 송풍팬(27)은 하우징(10)의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가 다시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유동시키는 구성이면 만족한다. 일례로 제 2 송풍팬(27)은 크로스팬, 터보팬, 시로코팬일 수 있다.
팬 케이스(29)는 제 2 송풍팬(27)을 커버할 수 있다. 팬 케이스(29)는 공기가 유입되는 팬 유입구(29a)와, 공기가 토출되는 팬 토출구(29b)를 포함할 수 있다. 팬 유입구(29a)와 팬 토출구(29b)는 제 2 송풍팬(27)의 종류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제 1 송풍유닛(21)과 제 1 토출구(10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제 1 유로(S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는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부터 열을 흡수하거나,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유입된 공기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제 1 송풍유닛(21)은 열교환기(30)와 제 1 흡입구(10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 1 유로(S1)를 유동하는 공기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지나며 저속으로 공기조화기(1)의 외부로 토출된다. 열교환기(30)는 튜브와, 튜브에 결합되는 헤더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열교환기(30)의 구조는 제 1 유로(S1)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에 공기저항을 발생시켜 유속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송풍유닛(21)은 열교환기(30)의 배면에 배치됨으로서, 제 1 유로(S1)를 유동하는 공기는 열교환기(30)를 지나며 유속이 줄게 된다. 이러한 열교환기(30)와 제 1 송풍유닛(21)의 배치를 통해, 토출패널(1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112)의 기능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된다. 다만, 열교환기(30)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기조화기(1)는 제 1 토출구(105)가 형성된 도어프레임(101)의 일 부분에 배치되는 토출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토출패널(110)은 제 1 토출구(105)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제 2 토출구(13)에서 토출되는 공기보다 느리게 토출되도록 하는 복수의 토출홀(112)을 가질 수 있다. 토출패널(110)은 도어프레임(101)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2)은 토출패널(110)의 내외면을 관통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2)은 미세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2)은 토출패널(110)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복수의 토출홀(112)에 의해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균일하게 저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하우징(10)은 본체 하우징(11)의 제 1 흡입구(12)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어 하우징(11b)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리어 하우징(11b)은 본체 하우징(1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본체 하우징(11) 내부에 배치되는 구성의 조립 편의성 등을 위해 본체 하우징(11)과 리어 하우징(11b)은 별도의 구성으로 배치되고 서로 조립 결합될 수 있다.
리어 하우징(11b)은 리어 하우징(11b)의 배면에 형성되는 제 1 흡입그릴(51)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흡입그릴(51)은 제 1 흡입구(12)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흡입그릴(51)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흡입그릴(51)은 제 1 흡입구(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는 본체 하우징(11)의 제 2 흡입구(15)가 형성된 일 부분에 결합되는 제 2 흡입그릴(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흡입그릴(52)은 제 2 흡입구(15)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2 흡입그릴(52)은 복수의 슬릿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흡입그릴(52)은 제 2 흡입구(15)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흡입그릴(51)과 제 1 흡입구(12) 사이에는 제 1 필터(51a)가 배치되고 제 2 흡입그릴(52)과 제 2 흡입구(15) 사이에는 제 2 필터(52a)가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필터(51a)와 제 2 필터(52a)는 추가적으로 각각의 흡입그릴(51, 52)에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 1 필터(51a)와 제 2 필터(52a)는 각각 본체 하우징(11)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종래의 하우징(10) 내부에 2개 이상의 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경우, 각각의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이 하우징(10) 내부에 배치되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 내부의 공간이 증가하여 공기조화기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으며, 구성이 증가하여 이에 따른 재료비가 증가하거나 조립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추가적인 구성에 의해 유로가 형성됨에 따라 유로상의 공기의 유동에 의해 추가적인 구성의 조립 구조에 지속적인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거나 소음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하기는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가 모두 중간부재(70)에 의해 형성되는 바 추가적인 구성 없이 하우징(10) 내부에 복수의 유로(S1,S2)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유로(S1)는 중간부재(70)의 가이드부(72)와 구획부(80)의 일면(121) 및 본체 하우징(11)의 내부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형성되고, 제 2 유로(S2)는 중간부재(70)의 구획부(80)의 타면(122) 및 본체 하우징(11)의 측면 내부(11a)에 의해 형성되는 바 추가적인 구성 없이 실질적으로 중간부재(70)와 본체 하우징(1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부(72)의 외측에서 연장되는 구획부(80)에 의해 제 1 유로(S1)와 제 2 유로(S2)가 분리 형성되어 1개의 구성으로 복수의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경우 메인 유로를 형성하는 벨마우스와 디퓨저부(78)를 포함하는 원통 형상의 성형체 이 외에 보조 유로로 볼 수 있는 제 2 유로(S2)를 형성하기 위해 추가적인 구성이 구비되었었는데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에는 제 2 유로(S2)를 형성하는 구획부(80)가 벨마우스와 디퓨저부(78)와 대응되는 가이드부(72)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추가적인 구성 없이 2개의 유로(S1,S2)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1)의 하우징(10) 내부에는 추가적인 구성이 배치되지 않아 종래의 복수의 유로를 가지는 공기조화기와 대비하여 부피가 축소될 수 있으며, 유로에서 유동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 또는 소음이 감소될 수 있다.
도 4,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 1 모드를 동작할 때, 공기유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6,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 2 모드를 동작할 때, 공기유동을 나타낸 단면도, 도 8,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가 제 3 모드를 동작할 때, 공기유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을 참조하여,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제 1 토출구(105)만을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1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제 1 토출구(105)에는 토출패널(11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실내는 전체적으로 공기조화가 천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공기는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공기가 토출될 때, 토출패널(110)의 복수의 토출홀(112)을 지나며 풍속이 저감되어 저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쾌적함을 느끼는 풍속으로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 1 송풍유닛(21)이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는 제 1 흡입구(12)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 1 송풍유닛(21)을 지나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될 수 있다. 열교환기(30)를 통과하며 열 교환된 공기는 토출패널(110)을 통과하며 속도가 저감된 상태로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제 1 유로(S1)를 거치며 토출되는 열 교환된 공기는 사용자가 쾌적함을 느낄 수 있는 풍속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1 모드에서 제 2 송풍유닛(26)은 구동되지 않으므로, 제 2 토출구(13)를 통해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제 2 토출구(13)만을 통해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토출하는 제 2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제 2 유로(S2) 상에는 열교환기가 배치되지 않으므로, 공기조화기(1)는 실내 공기를 순환시킬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제 2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토출도어(100)는 폐쇄위치(CP)로부터 제 2 토출구(13)가 개방되는 개방위치(OP)로 이동하게 된다. 제 2 토출구(13)의 전방에는 가이드 곡면부(13a)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토출될 수 있다. 제 2 유로(S2) 상에는 토출 블레이드(132)가 마련되어 있어,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 2 토출구(13)의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토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송풍유닛(26)이 구동됨에 따라, 하우징(10)의 외부 공기는 제 2 흡입구(15)를 통해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하우징(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 2 송풍유닛(26)을 통과한 후, 상하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간부재(70)의 유입부(130)를 통해 제 1 유로(S1)의 양 측에 각각 형성된 제 2 유로(S2)로 유입될 수 있다. 제 2 유로(S2) 상에서 공기는 상측으로 이동한 후,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하우징(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이때, 공기는 가이드 곡면부(13a)를 따라 공기조화기(1)의 전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제 2 모드에서 제 1 송풍유닛(21)은 구동되지 않으므로, 제 1 토출구(105)를 통해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는다. 즉, 제 2 모드에서 공기조화기(1)는 열 교환되지 않은 공기를 송풍하므로, 단순히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거나, 강한 바람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1)는 제 1 토출구(105) 및 제 2 토출구(13)를 통해 열 교환된 공기를 토출하는 제 3 모드로 구동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1)가 제 3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토출도어(100)는 폐쇄위치(CP)로부터 제 2 토출구(13)가 개방되는 개방위치(OP)로 이동하게 된다. 공기조화기(1)는 제 1 모드로 구동될 때보다 제 3 모드로 구동될 때 냉기를 더 멀리까지 토출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1)가 제 3 모드로 구동될 때,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된 냉기와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된 냉기는 혼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는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보다 빠른 속도로 토출되므로,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된 공기는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된 냉기를 더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공기조화기(1)는 냉기와 실내공기가 혼합된 쾌적한 냉기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조화기(1)는 제 1 송풍유닛(21) 및/또는 제 2 송풍유닛(26)의 구동력을 변경시킴에 따라, 냉기를 다양한 거리에 제공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제 1 송풍유닛(21)은 제 1 토출구(105)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제 2 송풍유닛(26)은 제 2 토출구(13)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송풍유닛(26)의 구동력을 증가시켜 제 2 토출구(1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증가시킬 때, 공기조화기(1)는 냉기를 더 멀리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반면, 제 2 송풍유닛(26)의 구동력을 감소시켜 제 2 토출구(1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또는 풍속을 감소시킬 때, 공기조화기(1)는 냉기를 비교적 근거리에 제공할 수 있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좌우방향 회전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우선, 도 10를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토출도어(100)의 좌측이 토출도어(100)의 우측보다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통해 좌측 제 2 토출구(13)는, 우측의 제 2 토출구(13)에 비해 큰 폭을 가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토출도어(100)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좌측 제 2 토출구(13)는 개방되고, 우측 제 2 토출구(13)는 폐쇄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간격유지부재(130)는 우측의 제 2 토출구(13)가 일정한 폭보다 커지지 않도록, 우측의 제 2 토출구(13)의 폭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도 11을 참고하면, 공기조화기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토출도어(100)의 우측이 토출도어(100)의 좌측보다 공기조화기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통해 우측의 제 2 토출구(13)는, 좌측의 제 2 토출구(13)에 비해 큰 폭을 가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물론 토출도어(100)의 이동량을 조절하여, 우측의 제 2 토출구(13)는 개방되고, 좌측의 제 2 토출구(13)는 폐쇄되도록 동작할 수도 있다.
간격유지부재(130)는 우측의 제 2 토출구(13)가 일정한 폭보다 커지지 않도록, 좌 측의 제 2 토출구(13)의 넓이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2,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상하방향 회전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토출도어(100)의 상부가 하부보다 돌출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통해 제 2 토출구(13)들은 상부쪽이 하부쪽보다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도 13을 참조하면, 공기조화기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토출도어(100)의 하부가 상부보다 돌출되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 동작을 통해 제 2 토출구(13)들은 하부쪽이 상부쪽보다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상기 도 10 내지 13에서와 같이, 토출도어(100)는 토출도어(100)의 상하좌우의 측부들 중 하나의 일측이 본체 하우징(11)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제 2 토출구(13)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4,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는 토출도어(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부재(24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부재(240)는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마련되어, 토출도어(100)를 동작시키도록 마련된다.
동작부재(240)는 링크부재(242)와, 링크구동부재(24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242)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샤프트(242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링크부재(242)의 일단은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링크구동부재(2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구동부재(244)는 하우징(11)의 전후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링크구동부재(244)는 랙기어(245)와 피니언기어(246)를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기어(246)는 하우징(11)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어 랙기어(245)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랙기어(245)는 피니언기어(246)의 회전력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랙기어(245)는 그 일단이 링크부재(242)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랙기어(245)의 전후방향 이동량을 링크부재(242)에 전달하도록 마련된다.
링크부재(242)는 그 일단에서 랙기어(245)로부터 전달받는 구동력을 통해 타단에 연결되는 토출도어(100)의 토출패널(110)로 전달하여, 토출도어(100)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링크부재(242)는 토출도어(100)가 전후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그 타단이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링크부재(242)는 하우징(10)의 내부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토출도어(100)의 상측와 하측를 지지하도록 한 쌍의 링크부재(242)와, 한 쌍의 링크구동부재(244)가 마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토출도어(100)의 좌측과 우측을 지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링크부재(242)와, 이에 대응되는 링크구동부재(244)가 마련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6,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는 토출도어(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부재(340)는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마련되어, 토출도어(100)를 동작시키도록 마련된다.
동작부재(340)는 링크부재(342)와, 링크부재(342)를 동작하는 링크구동부재(344)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342)는 일단이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링크구동부재(3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링크부재(342)는 하우징(10)에 회전샤프트(342a)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토출도어(100)는 그 배면에 링크부재(342)의 일단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해 돌출형성되는 링크장착부재(348)를 포함할 수 있다.
링크구동부재(344)는 랙기어(345)와 피니언기어(346)를 포함할 수 있다. 랙기어(345)는 링크부재(342)의 타단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피니언기어(346)는 하우징(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피니언기어(346)의 회전을 통해 랙기어(345)를 이동시킴으로서 토출도어(100)를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링크부재(342)의 회전샤프트(342a)로부터 링크구동부재(344)에 이르는 부분은 그 내부에 랙기어(345)가 이동할 수 있도록 중공부(345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랙기어(345)의 직선방향이동이 링크부재(342)의 회전운동으로 변환될 수 있다.
링크구동부재(344)는 링크부재(342)의 타단을 상하로 이동시킴으로서, 링크부재(342) 일단에 결합된 토출도어(100)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링크구동부재(344)의 동작에 의해, 링크부재(342)의 회전샤프트로(342a)부터 링크장착부재(344)에 이르는 부분이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링크부재(342)는 링크장착부재(3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므로, 토출도어(100)는 결과적으로 전후방이동과 함께, 상하방향이동도 하게 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링크부재(342)의 회전샤프트(342a)로부터 링크장착부재(348)에 이르는 부분에도 중공부가 마련되고, 링크장착부재(344)가 중공부를 이동하게 함으로서 토출도어(100)가 전후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동작에 관한 도면이다.
공기조화기는 토출도어(100)의 동작을 위한 동작부재(44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작부재(440)는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마련되어, 토출도어(100)를 동작시키도록 마련된다.
동작부재(440)는 크랭크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동작부재(440)는 크랭크축(442)과, 크랭크축(44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편심부재(444)와, 편심부재(4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동력전달부재(446)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446)는 일단이 크랭크축(442)과 이격되도록 편심부재(44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크랭크축(442)에서의 회전은 편심부재(444)의 회전으로 전달되며, 편심부재(444)의 회전은 동력전달부재(446)를 이동시킴으로서, 토출도어(100)를 전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동작부재(440)는 토출도어(100)가 평행이동 또는 회전이동등을 위해 복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동작부재(440)는 토출도어(1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가이드하도록, 이동가이드(44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449)는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0)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44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가이드(449)가 하우징(10)에 고정되고, 토출도어(100)의 배면에 고정프레임이 형성되어, 토출도어(100)의 이동에 따라 고정프레임(448)이 이동가이드(449)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하다.
이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하여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상기 내용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 관한 단면도이다.
공기조화기(1)는 토출패널(510)과 패널연결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연결부(520)는 토출패널(510)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널연결부(520)는 중간부재(70)에 대해 고정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6, 8에서와 같이 패널연결부(520)가 중간부재(70)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패널연결부(520)에 의해 제 2 유로(S2)의 길이가 확장될 수 있다.
공기조화기는 제 2 토출구(5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토출구(513)는 토출패널(510)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토출구(513)는 토출패널(510)상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토출패널(510)과 분리되어, 토출패널(510)의 양 측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토출홀(112)들은 토출패널(510)에 배치되며, 제 2 토출구(513)는 토출패널(510)의 전면의 측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2 토출구(513)는 전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련되나, 이 중 어느 일측에만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제 2 토출구(513)를 개폐하는 토출구 도어(513a)를 포함할 수 있다. 토출구 도어(513a)는 제 2 토출구(513)를 개폐함으로서, 제 2 유로(S2)를 유동하는 토출공기의 토출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토출구 도어(513a)는 제 2 토출구(513)에서 회전동작을 통해, 제 2 토출구(513)로부터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제어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 공기조화기 10 : 하우징
13 : 제 2 토출구 20 : 송풍유닛
30 : 열교환기 105 : 제 1 토출구
100 : 토출도어 110 : 토출패널
112 : 토출홀 120 : 패널연결부
122 : 가이드곡면부 124 : 둘레곡면부
130 : 간격유지부재 140 : 동작부재
S1 : 제 1 유로 S2 : 제 2 유로

Claims (20)

  1. 제 1, 2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제 1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열교환하는 열교환기;
    상기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흡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배출되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서 상기 제 1 토출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혼합되도록 구성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는 토출도어로서, 상기 토출도어의 이동동작을 통해 상기 제 2 토출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토출도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제 2 토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상기 제 2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하는 공기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은 평행이동과 회전이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동으로 이루어지는 공기조화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토출구를 일정폭 이하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배치되되, 상기 토출도어와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간격유지부재 중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과 가까운 구성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개방위치일 때, 상기 토출도어의 상하좌우의 측부들 중 적어도 하나의 일측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이격되면서 상기 제 2 토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는 공기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에 연결되어 상기 토출도어를 동작하는 동작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작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회전동작을 직선이동으로 변환하는 랙기어로서,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과 연결되어 상기 토출도어를 이동시키는 랙기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토출도어의 배면과, 상기 하우징사이에 형성되는 공기조화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제 2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도록 배면에 형성되는 가이드곡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가이드곡면부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토출도어의 전방으로 향하도록 구성되는 둘레곡면부로서, 상기 가이드곡면부와 연결되되 상기 토출도어의 둘레에서 그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구성되는 둘레곡면부;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토출패널;
    상기 토출패널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패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 상기 제 1 토출구를 향해 공기가 유동하는 제 1 유로;
    상기 제 2 흡입구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제 2 토출구로 유동하며, 상기 제 1 유로와 구획되는 제 2 유로;
    상기 하우징 내부에 고정배치되며, 상기 제 1, 2 유로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연결부는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중간부재와 함께 제 1, 2 유로를 구획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연결부는 상기 중간부재에 대해 상대이동하되, 상기 중간부재에 대한 접촉이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제 1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저속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토출패널은,
    상기 공기조화기의 전면을 형성하며, 상기 복수의 토출홀은 상기 토출패널에 균일하게 분포하는 공기조화기.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유로상에 각각 배치되어, 각각 상기 제 1, 2 흡입구로부터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 1, 2 토출구를 향해 유동시키는 제 1, 2 송풍유닛;을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토출도어의 일측과 인접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일측과 대응되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제 2 토출구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길이방향에 대해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8. 상호 구획되는 제 1, 2 유로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를 지나는 공기가 열교환하도록 마련되는 열교환기;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토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제 1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속보다 저속으로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토출홀을 갖고, 상기 토출도어의 전면을 형성하는 토출패널;
    상기 토출패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우징과 사이에 상기 제 2 유로를 유동하는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를 형성하는 패널연결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도어는,
    상기 토출구를 폐쇄하는 폐쇄위치;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이동하는 개방위치;를 이동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토출도어가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개방위치로 이동할 때,
    상기 제 2 토출구를 일정폭 이하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간격유지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20. 제 1, 2 흡입구를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는 열교환기;
    상기 제 1 흡입구와 제 1 유로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열교환기를 지나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
    상기 제 2 흡입구와 상기 제 1 유로와 구획되는 제 2 유로를 통해 연결되는 제 2 토출구;
    상기 제 1 토출구를 향하는 공기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복수의 토출홀이 형성되는 토출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토출구는 상기 토출도어의 이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공기조화기.
KR1020170181213A 2017-12-27 2017-12-27 공기조화기 KR1025190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13A KR102519060B1 (ko) 2017-12-27 2017-12-27 공기조화기
US16/222,237 US10935273B2 (en) 2017-12-27 2018-12-17 Air conditioner
PCT/KR2018/016789 WO2019132551A1 (en) 2017-12-27 2018-12-27 Air conditioner
CN201811612209.8A CN109974092B (zh) 2017-12-27 2018-12-27 空调
EP18894724.6A EP3714213B1 (en) 2017-12-27 2018-12-27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1213A KR102519060B1 (ko) 2017-12-27 2017-12-27 공기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9185A true KR20190079185A (ko) 2019-07-05
KR102519060B1 KR102519060B1 (ko) 2023-04-07

Family

ID=66815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1213A KR102519060B1 (ko) 2017-12-27 2017-12-27 공기조화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35273B2 (ko)
EP (1) EP3714213B1 (ko)
KR (1) KR102519060B1 (ko)
CN (1) CN109974092B (ko)
WO (1) WO2019132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3461B1 (ko) * 2016-10-10 2023-1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WO2021075896A1 (ko) * 2019-10-18 2021-04-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로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095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018823U (zh) * 2016-08-24 2017-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空调室内机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0941B2 (ja) 1993-06-18 2002-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多層配線基板および多層配線基板の製造方法
KR100273353B1 (ko) 1997-08-18 2001-04-02 구자홍 에어컨의실내기
KR20000055145A (ko) * 1999-02-03 2000-09-05 구자홍 공기조화기의 기류제어장치 및 방법
KR20030063885A (ko) 2002-01-24 2003-07-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어컨디셔너의 토출부 구조
JP4292281B2 (ja) 2004-02-25 2009-07-08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空気吹出グリル装置
KR101022218B1 (ko) 2004-05-18 2011-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청정장치를 갖춘 공기조화기
KR20050118948A (ko) 2004-06-15 2005-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조화기
KR100895074B1 (ko) * 2007-05-18 2009-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90000520U (ko) 2007-07-13 2009-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84037B1 (ko) 2007-11-07 2015-01-19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EP2208941A3 (en) * 2009-01-15 2014-08-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101234065B1 (ko) 2011-12-20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9551498B2 (en) * 2012-06-28 2017-01-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door unit of air condition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ir conditioner
CN103574771B (zh) * 2012-08-09 2016-12-21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立式空调器及其控制方法
KR20140037985A (ko) 2012-09-12 2014-03-28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EP2719958A3 (en) * 2012-10-10 2017-11-01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3776092B (zh) * 2012-10-19 2017-02-0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空调器
KR102036099B1 (ko) 2013-07-29 2019-10-2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393725B1 (ko) 2013-12-26 2014-05-27 주식회사 신명엔지니어링 실내체육시설의 효율적 냉난방을 위한 공기조화기
CN105202627A (zh) * 2014-06-24 2015-12-30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
CN104359154B (zh) * 2014-10-27 2018-01-02 美的集团武汉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器
JP6052519B2 (ja) 2014-12-11 2016-12-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および制御回路
CN104990148B (zh) * 2015-07-31 2017-12-05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器室内机和空调器
CN105091106B (zh) * 2015-08-31 2018-03-2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净化器一体机
CN204962975U (zh) 2015-08-31 2016-01-13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立式空调净化器一体机
US20170089593A1 (en) 2015-09-30 2017-03-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KR20170077660A (ko) * 2015-12-28 2017-07-06 코웨이 주식회사 공기조화장치
CN105588206A (zh) * 2016-02-23 2016-05-1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系统
CN105783121B (zh) * 2016-04-26 2019-02-19 芜湖美智空调设备有限公司 空调柜机系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1095A (ko) * 2014-10-31 2016-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70010293A (ko) * 2015-07-17 2017-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N206018823U (zh) * 2016-08-24 2017-03-15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器及其空调室内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4213A4 (en) 2021-01-13
CN109974092A (zh) 2019-07-05
US10935273B2 (en) 2021-03-02
US20190186778A1 (en) 2019-06-20
WO2019132551A1 (en) 2019-07-04
KR102519060B1 (ko) 2023-04-07
CN109974092B (zh) 2021-11-30
EP3714213A1 (en) 2020-09-30
EP3714213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3484B1 (ko) 공기조화기
US20210025600A1 (en) Air conditioner
KR20170009701A (ko) 공기조화기
KR20180127223A (ko) 공기조화기
EP3631307B1 (en) Air conditioner
US10591170B2 (en) Air conditioner
KR102631918B1 (ko) 공기조화기
CN109974092B (zh) 空调
KR102493913B1 (ko) 공기조화기
KR101962806B1 (ko) 공기조화기
KR101778544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90012841A (ko) 공기조화기
KR20200076936A (ko) 공기조화기
KR20150085219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