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099B1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099B1
KR102036099B1 KR1020130089620A KR20130089620A KR102036099B1 KR 102036099 B1 KR102036099 B1 KR 102036099B1 KR 1020130089620 A KR1020130089620 A KR 1020130089620A KR 20130089620 A KR20130089620 A KR 20130089620A KR 102036099 B1 KR102036099 B1 KR 1020360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hutter
air
duct
ai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96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4225A (ko
Inventor
안성준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896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099B1/ko
Publication of KR20150014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4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0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0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07Nozzles; Air-diffusers providing an air stream in a fixed direction, e.g. using a grid or porous pan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부; 덕트의 출구와 이루는 틈으로 제1 공기배출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공기배출로를 개폐하며,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제2 공기배출로가 형성된 제1 댐퍼;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여, 하나의 에어 벤트로 간접 공조와 직접 공조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접 공조와 직접 공조가 가능한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공조시스템이 구비되어 자동차 실내의 온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공조시스템에서 생성되는 냉기나 온기를 자동차 실내에 토출 하기 위해 에어 벤트가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에어 벤트는 덕트와 연결되고 개방된 전면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덕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댐퍼를 구비한다. 댐퍼는 하우징 전면에 배치된 노브와 연동되도록 구성된다.
노브의 회전에 따라 댐퍼에 의한 공기 배출량이 결정되며, 개방된 댐퍼에 의해 배출된 공기는 개방된 하우징 전면을 통해 운전자나 탑승자를 향하여 직접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노브의 회전 조작은 운전자나 탑승자가 수동으로 수행하게 된다.
에어 벤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는 일정한 지향성을 갖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직접 공조가 수행된다. 이에, 통상적으로 하우징에는 공기의 배출 방향을 조절하는 블레이드가 설치되는데, 이는 공기의 배출 방향만을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간접 공조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은 아니다.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공조된 공기가 직접 공급되는 직접 공조는 차량의 실내 외 조건에 따라 운전자나 탑승자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간접 공조를 구현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기의 배출량을 전동 방식으로 조절하고, 지향성을 갖는 직접 공조 이외에 간접 공조도 구현 가능한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구동부와, 덕트의 출구와 이루는 틈으로 제1 공기배출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공기배출로를 개폐하며,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제2 공기배출로가 형성된 제1 댐퍼 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는 상기 제1 댐퍼의 중심부가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덕트의 출구의 테두리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댐퍼의 둘레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댐퍼에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포함하도록 상기 덕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로 공기 배출을 유도하는 내부 덕트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 셔터와 상기 제2 공기배출로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 셔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는 다단 형태로 확장 및 축소 가능 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댐퍼에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포함하도록 상기 덕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로 공기 배출을 유도하는 내부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의 최선단과 상기 내부 덕트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 덕트가 전진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의 최선단이 당겨져 상기 제2 공기배출로가 개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댐퍼가 전진 이동할 때, 기준 이동거리 이상에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가 당겨지도록, 상기 내부 덕트와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에 따르면, 간접 공조를 수행하는 제1 댐퍼와 직접 공조를 수행하는 제2 댐퍼를 포함함으로써, 하나의 에어 벤트로 간접 공조와 직접 공조를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에 따르면, 제1 댐퍼와 제2 댐퍼가 전동 방식의 구동부와 연결되어 덕트를 개폐함으로써, 에어 벤트의 조작의 편의성을 높이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닫힌 상태에서의 차량용 에어 벤트를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어 간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간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차량용 에어 벤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어 간접 공조 및 직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간접 공조 및 직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차량용 에어 벤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을 개념적으로 명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주요 특징 부분만을 명확히 도시한 것이며,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되며, 도면에 도시된 특정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100)는 구동부(도 3의 110)와, 제1 댐퍼(120)와, 제2 댐퍼(1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도 3의 110)는 덕트(2) 내부에 구비되며, 덕트(2) 단부에 형성된 하우징(1)에는 스위치(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스위치(10)는 구동부(도 3의 110)의 작동을 조절한다. 하우징(1)은 제1 댐퍼(120)와 제2 댐퍼(130)와 함께 덕트(2)의 단부를 폐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은 크러쉬패드의 한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닫힌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도시한 닫힌 상태에서의 차량용 에어 벤트를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구동부(110)는 제1 댐퍼(120)를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구동부(110)는 모터 및 기어 조립체가 포함된 모듈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부(110)는 스위치(도 1의 10)와 연결되어 작동이 제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댐퍼(120)는 구동부(110)에 의해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하여 덕트(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하우징(1)에는 덕트(2)의 출구를 형성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댐퍼(120)는 이 홀을 막는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댐퍼(120)는 둥근 마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한 제1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어 간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서 도시한 간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차량용 에어 벤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러한 제1 댐퍼(120)는 도 4 및 도 5를 병행 참조하면, 덕트(2) 출구와 이루는 틈으로 제1 공기배출로(121)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댐퍼(120)는 중심부가 천공되어 제2 공기배출로(122)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기배출로(121)는 덕트(2)의 출구의 테두리와 제1 댐퍼(120)의 둘레가 이루는 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공기배출로(121)는 간접 공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제1 댐퍼(120)가 구동부(110)에 의해 전진 이동하였을 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진 이동이라 함은 제1 댐퍼(120)가 하우징(1)에서 돌출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퇴 이동이라 함은 제1 댐퍼(120)가 하우징(1)을 지나 덕트(2) 방향으로 들어가는 방향을 의미한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덕트(2)의 출구의 테두리는 제1 댐퍼(120)의 전진 이동 방향으로 그 직경이 확장되도록 제1 경사면(1a)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댐퍼(120)의 둘레면은 이러한 제1 경사면(1a)과 대응되게 밀착하는 제2 경사면(12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공기배출로(122)는 제1 댐퍼(120)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직접 공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제2 댐퍼(130)에 의해 개폐된다. 제2 공기배출로(122)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은 공조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제1 댐퍼(120)에는 내부 덕트(123)가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덕트(123)는 제2 공기배출로(122)를 포함하도록 덕트(2)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내부 덕트(123)는 덕트(2) 내부의 공간을 구획하여 제2 공기배출로(12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내부 덕트(123)는 구동부(110)와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구동부(110)가 구동하면 내부 덕트(123)가 전진 이동하거나 후퇴 이동하게 된다.
제2 댐퍼(130)는 제2 공기배출로(122)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제2 댐퍼(130)는 직접 공조를 구현하는 것으로, 구동부(110) 및 제1 댐퍼(120)의 내부 덕트(123)에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댐퍼(130)는 제1 셔터(131)와 제2 셔터(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셔터(131)와 제2 셔터(132)는 다단 형태의 복수 개의 단위체로 구성되어 확장 및 축소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셔터(131)와 제2 셔터(132)는 제1 댐퍼(120) 내부에 형성되어 제2 공기배출로(122)를 가로 지르도록 돌출된 상태에서 최선단에 위치한 단위체(131a,132b)들이 상호 맞닿도록 형성되어 제2 공기배출로(122)를 폐쇄하게 된다. 제1 셔터(131)는 제2 공기배출로(122)의 어느 한 측 영역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제2 셔터(132)는 제2 공기배출로(122)의 다른 측 영역을 개폐할 수 있다.
또한, 제1 셔터(131)와 제2 셔터(132)는 제1 댐퍼(120)의 내부 덕트(123)와 연결되어, 내부 덕트(123)가 움직이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내부 덕트(123)와 연결부위는 제1 셔터(131) 또는 제2 셔터(132)의 최선단에 위치한 단위체(131a,132b)들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내부 덕트(123)가 전진 이동하는 경우, 제1 셔터(131) 또는 제2 셔터(132)의 최선단에 위치한 단위체(131a,132b)들이 당겨지면서, 제2 공기배출로(122)가 개방될 수 있다. 반대로, 내부 덕트(123)가 후퇴 이동하는 경우, 제1 셔터(131) 또는 제2 셔터(132)의 최선단에 위치한 단위체(131a,132b)들이 밀리면서 상호 맞닿아 제2 공기배출로(122)가 폐쇄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서 도시한 제1 댐퍼 및 제2 댐퍼가 열린 상태가 되어 간접 공조 및 직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간접 공조 및 직접 공조가 수행되는 상태에서의 차량용 에어 벤트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4 내지 도 7을 병행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100)를 사용하여 구현하는 간접 공조와 직접 공조의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공기배출로(121)가 개방되어 간접 공조를 구현한다. 간접 공조는 공기 배출 방향이 대체적으로 방사 방향(도 4의 화살표 방향)으로 퍼지도록 구성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를 직접 향하지 않도록 유도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구동부(110)에 의해 제1 댐퍼(120)가 전진 이동함으로써, 제1 공기배출로(121)가 개방되고 덕트(2)의 공기가 개방된 제1 공기배출로(121)를 통해 배출됨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기배출로(122)는 제2 댐퍼(130)에 의해 닫힌 상태이다. 그리고. 제1 댐퍼(120)의 전진 이동거리는 기준 이동거리보다 작아야 한다. 여기서, 기준 이동거리란, 제1 댐퍼(12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제1 셔터(131)와 제2 셔터(132)가 움직일 수 있는 기준이 되는 거리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기준 이동거리 이상으로 제1 댐퍼(120)가 이동할 때, 제1 댐퍼(120)의 이동에 연동하여 제1 셔터(131) 및 제2 셔터(132)가 당겨지거나 밀리거나 하는 것을 의미한다.
내부 덕트(123)와, 제1 셔터(131) 또는 제2 셔터(132)의 연결 부위는 길이 방향으로 확장 및 축소 가능한 자바라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댐퍼(120)가 기준 이동거리 이내로 전진 이동하는 경우, 제1 공기배출로(121)만이 개방됨으로써, 간접 공조가 수행되게 된다.
도 4 및 도 5의 상태에서 제1 댐퍼(120)의 전진 이동이 계속되어 기준 이동거리를 넘는 경우, 제1 댐퍼(120)의 움직임에 의해 제1 셔터(131) 및 제2 셔터(132)가 당겨지고(도 7의 점선 화살표 방향), 도 6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공기배출로(122)가 개방된다. 이에, 덕트(2) 내의 공기가 제2 공기배출로(122)를 통해 배출됨으로써, 직접 공조가 구현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차량용 에어 벤트
110 : 구동부
120 : 제1 댐퍼
121 : 제1 공기배출로
122 : 제2 공기배출로
123 : 내부 덕트
130 : 제2 댐퍼
131 : 제1 셔터
132 : 제2 셔터

Claims (8)

  1. 구동부;
    덕트의 출구와 이루는 틈으로 제1 공기배출로를 형성하고,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전진 이동 및 후퇴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 공기배출로를 개폐하며, 상기 덕트와 연통되는 제2 공기배출로가 형성된 제1 댐퍼;및
    상기 구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개폐하는 제2 댐퍼
    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배출로는 상기 제1 댐퍼의 중심부가 천공되어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의 출구의 테두리는 제1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댐퍼의 둘레는 상기 제1 경사면과 대응되게 밀착되는 제2 경사면이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에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포함하도록 상기 덕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로 공기 배출을 유도하는 내부 덕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댐퍼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의 일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1 셔터와 상기 제2 공기배출로의 타측 영역을 개폐하는 제2 셔터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는 다단 형태로 확장 및 축소 가능 하게 형성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에는 상기 제2 공기배출로를 포함하도록 상기 덕트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 공기배출로로 공기 배출을 유도하는 내부 덕트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의 최선단과 상기 내부 덕트의 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내부 덕트가 전진 이동 하는 경우,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의 최선단이 당겨져 상기 제2 공기배출로가 개방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댐퍼가 전진 이동할 때, 기준 이동거리 이상에서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가 당겨지도록, 상기 내부 덕트와 상기 제1 셔터 및 상기 제2 셔터가 연결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130089620A 2013-07-29 2013-07-29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360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20A KR102036099B1 (ko) 2013-07-29 2013-07-29 차량용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9620A KR102036099B1 (ko) 2013-07-29 2013-07-29 차량용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25A KR20150014225A (ko) 2015-02-06
KR102036099B1 true KR102036099B1 (ko) 2019-10-24

Family

ID=52571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9620A KR102036099B1 (ko) 2013-07-29 2013-07-29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0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9060B1 (ko) * 2017-12-27 2023-04-0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20A (ja) 2004-02-25 2005-09-0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吹出グリル装置
JP2007083930A (ja) 2005-09-22 2007-04-05 Honda Motor Co Ltd アウトレット
JP2011148353A (ja) 2010-01-20 2011-08-04 Toyota Auto Body Co Ltd 車載ダクトの吹出グリ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6288Y2 (ja) * 1991-10-21 1997-08-2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空調用吹出口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8920A (ja) 2004-02-25 2005-09-08 Fuji Heavy Ind Ltd 車両用空気吹出グリル装置
JP2007083930A (ja) 2005-09-22 2007-04-05 Honda Motor Co Ltd アウトレット
JP2011148353A (ja) 2010-01-20 2011-08-04 Toyota Auto Body Co Ltd 車載ダクトの吹出グリ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4225A (ko) 2015-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39389A1 (en) Air blowing device
WO2014097605A1 (ja) 車両用送風装置
US20130059520A1 (en) Comfort air vent nozzle
WO2016009592A1 (ja) 空気吹出装置
EP2650152A1 (en) Air 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RU2016144168A (ru)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дефлектор (варианты) и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CN106403225A (zh) 面板组件及空调器
WO2016042709A1 (ja) 冷却装置
CN105313636A (zh) 用于车辆的加热通风空气调节系统的装置
KR102036099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555352B1 (ko) 통풍공을 이용한 터널 풍압 경감 장치
JP2015163502A5 (ko)
WO2012055367A1 (e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 for electric vehicle or hybrid electric vehicle
JP2015163502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159356B1 (ko) 차량의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WO2016047522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542853B1 (ko) 차량의 에어벤트
KR101724941B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의 토출 풍향 조절 장치
KR102001998B1 (ko) 차량용 공조장치
US20180272832A1 (en) Interchangeable operable duct with blocking component for a driver-only function
JP6294149B2 (ja) 空気吹出装置
WO2009069148A1 (en) Circular diffused air vent
KR20160082072A (ko) 체크밸브와 이를 적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배터리 팩
KR20150004617U (ko)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EP3032184B1 (en) Air supply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