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4617U -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 Google Patents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4617U
KR20150004617U KR2020140004596U KR20140004596U KR20150004617U KR 20150004617 U KR20150004617 U KR 20150004617U KR 2020140004596 U KR2020140004596 U KR 2020140004596U KR 20140004596 U KR20140004596 U KR 20140004596U KR 20150004617 U KR20150004617 U KR 2015000461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unit
link
air
air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4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건우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4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4617U/ko
Publication of KR201500046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4617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12Heating;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에 대한 고안이 개시된다. 개시된 고안은, 내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입통로를 형성하며, 유입통로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루버부; 및 루버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INLET APPARATUS OF HVAC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실 내의 환기, 냉난방을 수행하는 선박의 공조시스템에 구비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조시스템은 실내의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고 실외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기본적으로 환기의 기능을 수행하며, 실외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에어 콘덴서 또는 핸들링 유닛을 이용하여 열교환시켜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냉난방의 기능을 수행한다.
선박의 선실 내에 설치되는 공조시스템은 사양에 따라 상이하지만, 통상적으로 선박의 실외에 설치되는 중앙공급식 공조기를 통해 실내에 요구되는 공조요건을 만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중앙공급식 공조기에 따르면, 선박의 외부 일측에 공기유입구가 설치되고, 이 공기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를 공조기를 통해 열교환시킨 후 공급하여 선실 내의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본 고안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88684호, 2008년 10월 16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선박용 공기조화 시스템)에 개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선박의 공조시스템에 이용되는 공기를 기후조건과 관계없이 효과적으로 유입시킬 수 있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는: 내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입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통로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루버부; 및 상기 루버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루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고정루버부; 및 상기 고정루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위치 또는 하부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루버부의 형상을 변화시켜 상기 유입통로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가변루버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루버부에는, 상기 가변루버부의 상기 상부위치 또는 상기 하부위치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루버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정루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링크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링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변루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부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변루버부를 상기 상부위치 또는 상기 하부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링크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루버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링크부에 설치되는 히트 트레이싱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에 따르면, 필요에 따라 기후조건에 적합한 상태로 루버부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기후조건과 관계없이 선박 공조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상의 기후조건에서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강풍이 부는 극한 기후조건에서는 장치의 내부로 강풍의 영향이 직접 미치는 것을 차단하고 강풍으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는 흐름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루버부의 형상이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는, 선박의 공조시스템(미도시)에 구비된다.
공조시스템은 공기유입장치(100)와, 공조기(미도시) 및 공기배출구(미도시)를 포함한다.
공조기는 공조실 내부에 설치되며, 덕트(미도시)를 통해 공기유입장치(100)와 연결된다. 외부 공기는 공기유입장치(100)를 통해 유입되고, 공기유입장치(100)와 공조기를 연결하는 덕트를 통해 공조기로 유입된다. 공조기는 이처럼 공급되는 공기를 열교환하여 선실에 공급함으로써, 선실 내의 환기 또는 냉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는, 프레임부(110)와, 루버부(120)와,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의 외부 골격을 형성한다. 이러한 프레임부(110)의 내부에는 공기유입구, 공조기와 연결된 덕트와 연결되는 공기유입구가 형성된다.
루버부(120)는 프레임부(110)에 설치된다. 루버부(120)는 공기유입구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입통로(115)를 형성하며, 필요에 따라 유입통로(115)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루버부(120)는 고정루버부(121)와 가변루버부(125)를 포함한다.
고정루버부(121)는 프레임부(110)에 설치되고, 공기유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고정루버부(121)는 프레임부(110)의 상하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각각의 고정루버부(121)는 프레임부(110)의 전방 측으로 라운드지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고정루버부(121)의 내부에는 가이드부(122)가 형성된다. 가이드부(122)는 고정루버부(121)의 내부에 관통되게 형성되고, 이러한 가이드부(122)에는 가변루버부(125)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가이드부(122)는 가이드루버부(125)의 상부위치(A) 또는 하부위치(B; 도 4 참조)로의 이동을 안내한다.
가변루버부(125)는 고정루버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변루버부(125)는 가이드부(12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고정루버부(12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가변루버부(125)는 상부위치(A) 또는 하부위치(B)로 이동하며 루버부(120)의 형상을 변화시킴으로써 유입통로(115)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예를 들면, 가변루버부(125)는 상부위치(A) 이동시 루버부(120) 전체의 돌출 길이가 짧아지도록 루버부(120)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가변루버부(125)가 하부위치(B)에 위치될 때보다 유입통로(115)가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에 위치되며 전방 측으로 넓은 폭으로 노출되도록 한다(도 2 참조).
또한 가변루버부(125)는 하부위치(B) 이동시 루버부(120)의 전체의 돌출길이가 연장되도록 루버부(120)의 형상을 변화시키고, 이에 따라 가변루버부(125)가 상부위치(A)에 위치될 때보다 유입통로(115)가 상대적으로 하부방향에 위치되며 좁은 폭으로 노출되도록 한다(도 4 참조).
구동부(130)는 루버부(12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13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31)와, 제1링크부(133) 및 제2링크부(135)를 포함한다.
제1링크부(133)는 프레임부(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구동모터(1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1링크부(133)는 구동모터(131)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비되는 동력전달부(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서, 동력전달부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풀리(미도시)에 벨트(미도시)가 상하방향으로 무한궤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 벨트에 제1링크부(133)가 설치되어 벨트의 이동에 따라 이동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링크부(135)는 가변루버부(125)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가 구비된다. 각각의 제2링크부(135)는 일측이 제1링크부(133)와 연결되고, 타측이 가변루버부(125)와 연결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각각의 제2링크부(135)는 제1링크부(133)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며, 제1링크부(133)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가변루버부(125)를 상부위치(A) 또는 하부위치(B)로 이동시킨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2링크부(135)의 일측은 제1링크부(13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링크부(135)의 타측은 가변루버부(12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링크부(133)가 하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링크부(135)의 일측이 제1링크부(133)를 따라 하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제2링크부(135)의 타측에는 제2링크부(135)의 일측과 타측 간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방향, 즉 제2링크부(135)의 타측이 제1링크부(133)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로써 제2링크부(135)의 타측은 가이드부(122)에 의해 형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프레임부(1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변루버부(125)는 제2링크부(135)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어 상부위치(A)로 이동될 수 있다(도 2 참조).
또한 제1링크부(13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 제2링크부(135)의 일측이 제1링크부(133)를 따라 상부방향으로 이동되고, 제2링크부(135)의 타측에는 제2링크부(135)의 타측이 제1링크부(133)와 멀어지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지게 된다.
이로써 제2링크부(135)의 타측은 가이드부(122)에 의해 형성된 이동경로를 따라 프레임부(1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변루버부(125)는 제2링크부(135)에 의해 이동이 유도되어 하부위치(B)로 이동될 수 있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은 제1링크부(133)와 제2링크부(135)의 동작은, 구동모터(131)로부터 제공되는 구동력 외에, 조작부(137)의 동작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일례로서, 조작부(137)는 회전 조작 가능한 핸들 형태로 마련되고, 일방향 회전시 제1링크부(133)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고 타방향 회전시 제1링크부(133)를 하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부(137)는 구동모터(131)의 동작 없이도 작업자가 직접 구동부(13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동모터(131)가 오작동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구동부(130)의 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는 발열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열부(140)는 루버부(120), 특히 고정루버부(121)와 가변루버부(125) 간의 접점에 열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열부(140)는 제2링크부(135)에 설치되는 히트 트레이싱(Heat tracing)인 것으로 예시된다. 발열부(140)는, 제2링크부(135)에 감겨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고, 제2링크부(135)를 발열부(140)로서 적용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발열부(140)는, 극저온의 환경에서 장치에 결빙이 발생되지 않도록 루버부(120)를 포함한 각 장치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극저온의 환경에서도 장치가 안정적으로 동작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고정루버부(121)와 가변루버부(125) 간의 접점에서 결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루버부(120)의 형상 변화가 주변 환경에 영향받지 않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능하게 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루버부의 형상이 변화된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바람이 강하지 않은 통상적인 기후조건에서는 가변루버부(125)가 상부위치(A)에 위치되도록 루버부(120)의 형상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루버부(120)의 형상 변화는, 제1링크부(133)의 하부방향 이동시 제2링크부(135)의 타측이 프레임부(110)에 인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제2링크부(135)에 의해 가변루버부(125)의 이동이 유도되어 가변루버부(125)가 상부위치(A)로 이동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루버부(120)는 그 전체의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지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유입통로(115)는 상대적으로 상부방향에 위치되도록 노출되며, 전방 측으로 넓은 폭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의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에 따르면, 유입통로(115)가 전방 측으로 넓은 폭으로 노출되므로, 바람이 강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 공기가 유입통로(115)를 통해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상태의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는, 루버부(120)의 돌출 길이가 짧아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 등과 같은 업무를 위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와 달리 강풍이 부는 극한 기후조건에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루버부(125)가 하부위치(B)에 위치되도록 루버부(120)의 형상이 결정된다. 이와 같은 루버부(120)의 형상 변화는, 제1링크부(133)의 상부방향 이동시 제2링크부(135)의 타측이 프레임부(11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제2링크부(135)에 의해 가변루버부(125)의 이동이 유도되어 가변루버부(125)가 하부위치(B)로 이동됨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루버부(120)는 그 전체의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형태로 형상이 변화된다. 이에 따라 유입통로는 상대적으로 하부방향에 위치되도록 노출되며, 전방 측으로 좁은 폭으로 노출된다.
이러한 상태의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에 따르면, 유입통로(115)가 하부방향에 위치되어 전방 측으로 좁은 폭으로 노출되므로, 장치의 내부로 강풍의 영향이 직접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강풍으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는 흐름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경우에도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통로(115)의 면적은 가변루버부(125)가 상부위치(A)와 위치된 상태인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므로, 본 실시예의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는 강풍의 영향을 차단 및 억제하면서도 선박 공조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100)는, 필요에 따라 기후조건에 적합한 상태로 루버부(12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구비됨으로써, 기후조건과 관계없이 선박 공조시스템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통상의 기후조건에서는 공간의 활용도를 높일 수 있고, 강풍이 부는 극한 기후조건에서는 장치의 내부로 강풍의 영향이 직접 미치는 것을 차단하고 강풍으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는 흐름이 방해받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110 : 프레임부
120 : 루버부 121 : 고정루버부
122 : 가이드부 125 : 가변루버부
130 : 구동부 131 : 구동모터
133 : 제1링크부 135 : 제2링크부
137 : 조작부 140 : 발열부

Claims (7)

  1. 내부에 공기유입구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와 외부를 연결하는 유입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유입통로의 방향이 변화되도록 형상이 변화되는 루버부; 및
    상기 루버부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상기 공기유입구의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고정루버부; 및
    상기 고정루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위치 또는 하부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루버부의 형상을 변화시켜 상기 유입통로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가변루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루버부에는, 상기 가변루버부의 상기 상부위치 또는 상기 하부위치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변루버부는, 상기 가이드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고정루버부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링크부; 및
    일측이 상기 제1링크부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가변루버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1링크부의 상하방향 이동에 연동되어 상기 가변루버부를 상기 상부위치 또는 상기 하부위치로 이동시키는 제2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링크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회전 조작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부에 열을 공급하는 발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제2링크부에 설치되는 히트 트레이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공조 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KR2020140004596U 2014-06-18 2014-06-18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KR2015000461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96U KR20150004617U (ko) 2014-06-18 2014-06-18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4596U KR20150004617U (ko) 2014-06-18 2014-06-18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4617U true KR20150004617U (ko) 2015-12-30

Family

ID=5517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4596U KR20150004617U (ko) 2014-06-18 2014-06-18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4617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105A (ko) * 2018-03-16 2019-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102472197B1 (ko) * 2021-10-19 2022-11-28 조수영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버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09105A (ko) * 2018-03-16 2019-09-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102472197B1 (ko) * 2021-10-19 2022-11-28 조수영 태양광 발전이 가능한 루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4324B2 (en) Controller circuit for air conditioner with cool air guided with room temperature airstream
US9726384B2 (en) Room air conditioner with movable side fan units
CN105682958A (zh) 空气喷嘴
CN106196291B (zh) 空调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JP2008232470A (ja) 空調室内機
US9250028B2 (en) Air conditioner
JP2014199177A (ja) 空気調和装置
WO2014199590A1 (ja) 空気調和機
JP6648988B2 (ja) 空気調和機
KR20150004617U (ko) 선박 공조시스템의 공기유입장치
CN111043668A (zh) 空调室内机
JP2014162382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08317611B (zh) 室内机及具有其的空调器
CN108981125B (zh) 百叶机构及具有其的出风装置
KR20100105666A (ko) 풍향 조정 유닛 및 냉동 장치의 열원 유닛
CN104807110A (zh) 空调器
CN108507030B (zh) 空调室内机和空调系统
JP6257370B2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CN103776144B (zh) 出风口组件、空调及其工作方法
CN105180287A (zh) 贯流风管式空调机组及送风方法
JP2008151477A (ja) 床置型空気調和機
CN211575262U (zh) 空调室内机
JP2018028417A (ja) 空調システム
CN108488925B (zh) 空调器
JP2011052879A (ja) 空調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