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45276A1 -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 Google Patents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45276A1
WO2019245276A1 PCT/KR2019/007377 KR2019007377W WO2019245276A1 WO 2019245276 A1 WO2019245276 A1 WO 2019245276A1 KR 2019007377 W KR2019007377 W KR 2019007377W WO 2019245276 A1 WO2019245276 A1 WO 201924527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plint
bending
weight
composite resin
po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737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윤홍섭
Original Assignee
윤홍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07036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36952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2135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7086B1/ko
Application filed by 윤홍섭 filed Critical 윤홍섭
Priority to US17/254,27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260240A1/en
Priority to CN201980001283.2A priority patent/CN110839344A/zh
Publication of WO201924527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4527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02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4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07Stiffening bandages
    • A61L15/12Stiffening bandage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125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B7/726Measuring properties of mixture, e.g. temperature or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61Combinations of dissimilar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2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02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 B29B7/06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10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18Mixing; Kneading non-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i.e. batch type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more than on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8Adding charges, i.e. additives
    • B29B7/90Fillers or reinforcements, e.g.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6Auxiliary treatment of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2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rosslinked or vulcanised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lint and a molding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nd a molding method thereof.
  • splints are used to protect the bones from fractures or cracks and from moving tightly or partially to support and fix the joints and muscle tissue injured in the stretch and tear of the ligaments.
  • the plaster-coated bandage has been widely used to fix the wound on the affected part.
  • this method of treatment causes shrinkage during curing of the gypsum so that the affected part cannot be effectively supported, and itching is difficult when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it is not breathable. It may cause a wound on the skin during the cutting because a separate cutter must be used to remove it after the wound treatment is completed.
  • an elastic fiber impregnated with a curable resin such as a moisture-curable polyurethane such as a polyester knitted fabric, a glass fiber knitted fabric or a nonwoven fabric has been used.
  • Curing resin impregnated with elastic fibers peel off the wrapping paper during use to enable spontaneous curing of the elastic fibers inside at room temperature quickly to improve the moldability of splints are widely used.
  • a separate incision having a thickness thinner than the thickness of the existing splint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plint and is cut with scissors or a knife at the incision having the thin thickness when removed after treatment.
  • the basic purpose is to easily cut the thin part, but since the curable resin is cured in a uniformly coated or coated state as a whole, it is not easy to cut and is removed as a cutting tool such as scissors or a knife. In this case, not only the force is high but also the cutting is not easy, so the efficiency of the procedure may be greatly reduced. It can also cause many problems such as skin damage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plint from the affected area after treatment.
  • each mold since the conventional splint is injection molded using a mold, each mold must be prepared according to the body part of the surgeon performing the splint, and various types of molds are required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such as the arm and leg.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ld cost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molding.
  • synthetic plastics are generally used for various purposes all over the world because they are indispensable for modern people's life because of their low cost and light properties with synthetic properties.
  • synthetic plastics are not easily decomposed, it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Due to this, environmental pollution problem is getting serious day by day. Such synthetic plastics have a problem of causing se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during disposal.
  • Biodegradable resins are naturally degraded by microorganisms in the soil.
  • PLA polylactic acid
  • PGA polyglycol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aliphatic Polyester resins poly hydroxy butyric acid (PHBA) and D-3-hydroxy butyric acid (HBA); and the like.
  • biodegradable resins such as polylactic acid (PLA), polyglycolic acid (PGA), polycaprolactone (PCL), aliphatic polyester resins, polyhydroxy butyric acid (PHBA) and D-3-hydride as described above
  • PHA polylactic acid
  • PGA polyglycol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aliphatic polyester resins polyhydroxy butyric acid (PHBA) and D-3-hydride
  • PHBA polyhydroxy butyric acid
  • HBA hydroxybutyric acid
  • HBA hydroxybutyric acid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 to freely shape the shape and size of the splint, the bending angle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of the splint.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using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nufacturing process, and improved product usability.
  • 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improved in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which is harmless to bio-contact and biodegradability is improved to enable the use of resource circulation, and a sheet manufacturing method produced therefrom.
  • the bending bending splint may include a lower splint por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are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kidney splint having a plurality of kidney holes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n upper splint portion at which a plurality of second vent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wherein the lower splint portion, the elongated splint portion, and the upper splint portion are bent in an arc shape by primary bending, and the elongated splint portion has a plurality of The second splint portion and the upper splint portion by the extension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bending at different angles.
  • the extension splint is formed by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so that the bending of the lower splint and the upper splint is smoothly formed by secondary bending.
  • the elongated splint portion is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middle of the elongated splint is a first elongation hole is extended up and down spaced by the secondary bending; And a second extension hole which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extension hol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extended up and down by a secondary bending.
  • the bending bent splint is a lower splint portion is formed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second vent holes and third vent holes at regular intervals;
  • An upper splint por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one side of the lower splint portion; It includes extending to one side of the upper splint portion, the elongated splint portion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ongation holes at regular intervals, the lower splint portion and the upper splint portion is bent in an arc shape by the primary bending, the elongation
  • the splint is secondary bent to a diamete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by a plurality of extension holes.
  • the bending method of bending the splint capable of bending the step of cutting the splint member in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of the splint; Forming a plurality of elongation holes in the elongated splint to facilitate deformation and elongation of the splint member when bending the splint member; Forming a plurality of through-holes to allow air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treatment portion of the splint member; A first bending step of bending the splint member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site of the splint member; And a second bending step of bending the elongated splinters having the elongated holes to be curved to have different angles or predetermined diameters.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for solving the other problems, PLA (Poly lactic acid), PCL (polycaprolactone), PBS (polybutylene succinate),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PVAC (polyvinyl acetate), crosslinking agent, compatibilizer.
  • PLA Poly lact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 PVAC polyvinyl acetate
  • crosslinking agent compatibilizer.
  • the low-temperature processability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PLA (Poly lactic acid) 28 to 72% by weight, PCL (polycaprolactone) 5 to 20% by weight, PBS (polybutylene succinate) 5 To 10% by weight, 5 to 15% by weight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10 to 20% by weight PVAC (polyvinyl acetate), 2 to 4% by weight crosslinking agent, 1 to 3% by weight compatibilizer % May be melt extruded through an extruder.
  • PLA Poly lact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 PVAC polyvinyl acetate
  • compatibilizer % polyvinyl acetate
  • the PLA may be stereo complexed with PLLA and an isomer PLDA, wherein the PLA is a poly-L-lactide, poly-D-lactide and poly-DL-lactide homopolymer or PLA is a poly-L-lactide, Copolymers comprising poly-D-lactide and poly-DL-lactide.
  • the poly-D-lactide when the poly-L-lactide, poly-D-lactide and poly-DL-lactide are copolymers, the poly-D-lactide may be 5-10 wt% of the stereo complex. Can be.
  • the PVAC poly vinyl acetate
  • PVOH poly vinyl alcohol
  • derivatives or mixtures thereof graf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VOH (poly vinyl alcohol) and derivatives or mixtures thereof graf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 the PBS poly butylene succinate
  • PBSA poly butylene succinate adipate
  • the compatibilizer may be MAH (maleic anhydride).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manufacturing method for solving the other problems, PLA (Poly lactic acid) 28 to 72% by weight, PCL (polycaprolactone) 5 to 20% by weight, PBS (poly Butylene succinate) 5-10 wt%,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5-15 wt%, PVAC (polyvinyl acetate) 10-20 wt%, crosslinking agent 2-4 wt%, Powder processing of the compatibilizer 1 to 3% by weight (S110); Mixing the raw material processed in the powder state with a double blade ribbon mixer (S120); Melt-extruding the mixed raw materials using a twin extruder equipped with a raw material supply device (S130); Injecting the melt-extruded raw material into a die and then cooling and drying the strands formed through the die (S140);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packing after pelletizing the cooled strand through a cutting machine (S150).
  • PLA Poly lactic acid
  • the specification of the strand density 1.25 ⁇ 0.05 (g / cm2), tensile strength 50 (Mpa), tensile activity rate 3.5 ⁇ 6 (Gpa), softening temperature 60 ⁇ 70 °C, shrinkage rate less than 0.5% and The moisture content is 200 ppm or less.
  • the processed strand may be cooled by an air cooling system.
  •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LA (Poly lactic acid) 28 ⁇ 72 wt%, PCL (polycaprolactone) 5 ⁇ 20 wt%, PBS (poly Butylene succinate) 5-10 wt%,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5-15 wt%, PVAC (polyvinyl acetate) 10-20 wt%, crosslinking agent 2-4 wt%, Powder processing of the compatibilizer 1 to 3% by weight (S210); Mixing the raw material processed in the powder state with a double blade ribbon mixer (S220); Melt extruding the mixed raw materials using a twin extruder equipped with a raw material supply device (S230); Injecting the melt-extruded raw material into a die and then cooling and drying the strands formed through the die (S240); Melt-extruding the cooled and dried strain using a T
  • a triaxial roller including a cooling roll may be applied.
  • the splint can be molded according to the treatment or wearing part of the splint, and the splint member can be freely molded according to the body part to be splinted, such as a leg or an arm part, and the bending of the splint member
  •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s can be provided that forms an elongation hole in the elongated splint corresponding to the deformation of the splint member to facilitate bending due to bending and prevents damage or breakage of the splint member due to the deformation.
  • the splint member can be freely molded to the desired shape and size by the first bending and the second bending, the production cost according to the mold is not necessary because there is no need for the molding of the splint It can significantly reduce, it can be provided a method of forming a splint of bending bend that can be molded by adjusting the strength of the splint in accordance with the interval, size, length of the elongated hole of the elongated splint.
  • a product manufactured in a predetermined shape is easily processed after being processed at a low temperature of 60 to 70 ° C., thus improving convenience of use, as well as being harmless to biocontact, and having a sheet conforming to food contact standards.
  •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low processability and manufacturability and a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may be provided.
  •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sheet can be provided by using the manufacturing method to meet the biodegradable conditions to enable resource recycling.
  • FIG. 1 illustrates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plint capable of bending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side.
  • Figure 3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in the other sid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shows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in accordance wit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having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references herein to a layer formed on a substrate or other layer “on” refers to a layer formed directly over the substrate or other layer, or formed on an intermediate layer or intermediate layers formed on the substrate or other layer. It may also refer to a layer.
  • a structure or shape disposed "adjacent" to another shape may have a portion that overlaps or is disposed below the adjacent shape.
  • the splint 1A before molding can be obtained by cutting the splint member into a predetermined shape and size according to the treatment site.
  • the splint member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a certain thickness, the splint member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of the splint.
  • Splint 1A is a splint worn on a leg a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er splint 10 supporting the foot, the kidney splint 20 curved to cover the heel portion of the foot and the calf of the leg closely It may include an upper splint (30).
  • the splint 1A before molding is formed from a splint member of a synthetic resin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 the lower splint portion 10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to support the foot, and the extension splint portion 20 extends integrally from the lower splint portion 10 to smoothly bend when bending the splint.
  • the upper splint 30 may have the same width as the lower splint 10.
  • the lower splint 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11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hen the splint is worn or worn.
  • the first vent holes 11 are formed in plural, and the first vent holes 11 may be formed as holes having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different diameters as necessary.
  • the first vent 1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 square, oval, star, heart shape as well as circular.
  • An upper side of the lower splint 10 may be formed with an extension splint 20 to smoothly bend during secondary bending.
  • the elongated splint 2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elongated holes 21 and 22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to smoothly bend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by secondary bending. Can be.
  • the elongated splint 20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middle of the elongated splint 20 and is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rst elongated hole 21 and the first elongated hole 21 which are extended up and down by the secondary bending.
  • Each may include a second extension hole 22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extended to be spaced up and down by the secondary bending.
  • the extension splint 20 is configured to be freely deformed as the extension splint 20 extends when bending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at different angles, as well as to shape and size of the splint. Therefore, the molding is made to a desired shape.
  • the extension splint 20 has a first extension hole 21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second extension hole having the same width and length as the first extension hole 21 on both sides of the first extension hole 21. 22) is formed.
  • the first extension hole 21 and the second extension hole 22 are form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plint 1A, and a plurality of the first extension hole 21 and the second extension hole 22 are formed at predetermined height intervals.
  • the upper splint 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kidney splint 20.
  • a plurality of second vent holes 31 may be formed in the upper splint portion 30 at regular intervals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 the second vent 31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triangle, square, oval, star, heart shape as well as circular.
  •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hape after the bending of the splint capable of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one side
  • Figure 3 is a form after the bending of the splint capable of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other side.
  • the splint 1A after molding shown in Figs. 2 and 3 is mol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leg, which is a treatment site. 2 and 3, the splint 1A after molding includes a lower splint 10 and an elongated splint 20 extending from the lower splint 10 where the first vent hole 11 is formed.
  • the lower splint 10 may include an upper splint 30 formed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lower splint 10.
  • the splint 1A capable of bending bend is to cut the splint member to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part to be treated, and then first bend the cut splint member to a predetermined arc or diameter and then to the treatment site. Accordingly, the splint member can be secondary bent. Accordingly, by forming the splint splints 1A into an appropriate shape and size according to the treatment site of the splints 1A, the splint splints 1A are formed in an appropriate size and shape on the wearer's body part, as well as without the feeling of pressure or tightening caused by the splints. Can wear splints.
  • Figure 4 shows the shape before the bending of the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shape after the bending of the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 Splint 1B represents a splint for wear or treatment on an arm as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 splint 1B shown in FIG. 4 represents a splint before molding before treatment on an arm
  • the splint shown in FIG. (1B) shows the splint molded so that the splint member shown in FIG. 4 can be operated on the arm.
  • the splint 1B includes a lower splint 10 and a lower splint in which a plurality of first vent holes 11, second vent holes 12 and third vent holes 13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 An upper splint portion 30 is formed to exten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10, and extends to one side of the upper splint portion 30, and includes an extension splint portion 20 in which a plurality of kidney hol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may be bent in an arc shape by primary bending, and the extension splint 20 may be secondarily bent to a diameter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by a plurality of extension holes. have.
  • the splint 1B before molding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and the elongated splint 20 is integrally formed on one side of the upper splint 30.
  •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may be integrally formed, and the extension splint 20 may extend to an upper one side of the upper splint 30.
  • first vent holes 11, second vent holes 12, and third vent holes 13 are formed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plint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plint.
  • Splint 30 may be formed in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lower splint 10.
  • the extension splint 20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upper splint 30, and the extension splint 20 may be formed to extend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fingers can be splinted.
  • the extension splint 2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extension holes 21 at regular intervals to facilitate deformation by bending.
  • the bending bent splint (1B) to support the splint of the arm, wrist and fingers, the lower splint 10 is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arm, the kidney splint 20 is It can be formed so that the fingers can be pinched.
  • Figure 6 show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forming a splint capable of bending ben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bending method of bending the splint may include: cutting the splint member into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surgical site of the splint (S10); Forming a plurality of elongation holes in the elongated splint so as to smoothly deform and elongate the splint member when bending the splint member (S20); Forming through a plurality of vent holes to allow air to pass through the outside according to the treatment portion of the splint member (S30); A first bending step (S40) of bending the splint member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so as to sur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surgical site of the splint member; And a second bending step S50 for bending the elongated splinters having the elongated holes to have different angles or diameters.
  • the bending method of forming the splint is capable of bending the splint member to a predetermined shape according to the splint to be treated in the leg or arm as shown in Figure 1 to 6 (S10).
  • the splint member When the splint member is a splint to be treated or worn on the leg, as shown in FIG. 1, the splint member may be cut into a substantially rectang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 the lower splint 10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and the elongated splint 20 to insert a finger. ) Is integrally formed.
  • the splint member may be formed in an appropriate shape according to a worn portion such as a leg or an arm, and may form one or more extension splints 20 to be worn by inserting a part of the body such as a finger or a toe.
  • extension holes 21 and 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deformation occurs due to bending (S20).
  • the extension hole 20 not only facilitates the deformation of the splint member by bending, but may also deform the splint member into a desired shape when the splint member is deformed. That is, the extension holes 21 and 22 are form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bending holes are well and smoothly while the gap between the extension holes 21 and 22 is spaced apart during deformation by bending, and despite the stress caused by bending And bend to a desired shape.
  • the splint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vent holes (11, 12, 13)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of the splint during the wear or surgery of the splint (S30).
  • the ventilation holes 11, 12, and 13 may be formed in plural in order to relieve the frustration and discomfort caused by wearing the splint by contacting the outside air according to the wearing of the splint.
  • the primary bending may be performed by the bending machine in the state in which the elongated splint 20 and the vent holes 11, 12, 13 are formed in the splint member (S40).
  • the primary bending may be capable of bending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in a predetermined arc shape. That is, the splint member may be bent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shape by the primary bending.
  • the primary bending is to bend the lower splint 10 into a predetermined arc shape as shown in FIG. 5. That is, by the primary bending, the splint member may bend the lower splint 10 into a predetermined arc shape as shown in FIG. 5.
  • the splint member having the primary bending may be secondary bent to bend the lower splint 10 and the upper splint 30 at different angles based on the elongated splint 20 (S50).
  • the splints worn on the legs may be bent at right angles or bent by the bending machine at a desired angle.
  • the splint worn on the arm may bend the elongated splint 20 into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diameter in a state in which primary bending is made.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 composite resin manufacturing method and a sheet manufacturing method produced therefrom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t can be used as a splint member for the manufacture of splints capable of bending bending us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r sheet described below.
  • polylactic acid PLA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having improved low-temperature processability may be provided by mixing a crosslinking agent and a compatibilizer.
  • polylactic acid PLA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AT polybutylene 5-15% by weight of co-adipate terephthalate
  • PVAC polyvinyl acetate
  • 2-4%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1-3% by weight of compatibilizer can be melt extruded through an extruder .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is included in the decomposable composite resin in a broad sense, and the degradable composite resin is significantly changed in chemical structure for a certain time under certain environmental conditions by the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ASTM).
  • the degradable composite resin is classified into biodegradable, biodegradable (complex degradable), and photodegradable plastics.
  • the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ISO) defines final biodegradation as the biodegradation of organic matter by the action of microorganisms, and finally the production of carbon dioxide, water and inorganic salts / biomaterials. .
  • ISO 472 degradable plastics are classified as biodegradable and degradable plastics.
  • Such biodegradable plastics are completely decomposed into water, carbon dioxide, methane gas, biomass, etc. within months to years by simply landfilling the plastics used as molded products, packaging materials, hygiene products, agricultural products, etc.
  • PLA Poly lactic acid
  • PLA Poly lactic acid
  • the PLA Poly lact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the PCL polycaprolactone
  • the PCL may be suitably 5 wt% to 20 wt%.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SA poly butylene succinate adipate
  • the polylactic acid (PLA) is poly-L-lactide, poly-D-lactide and poly-DL-lactide homopolymer, or PLA is poly-L-lactide, poly It may also be a copolymer comprising -D-lactide and poly-DL-lactide.
  • PLA poly-L-lactide
  • poly-D-lactide poly-D-lactide and poly-DL-lactide homopolymer
  • PLA is poly-L-lactide
  • poly It may also be a copolymer comprising -D-lactide and poly-DL-lactide.
  • the poly-D-lactide may be 5 to 10 wt% of the stereo complex.
  • the PBAT polybutylene co- adipate terephthalate
  • MD mechanical direction
  • the PBAT poly 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 the PVAC poly vinyl acetate
  • the PVAC may b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VOH (poly vinyl alcohol) and derivatives or mixtures thereof grafted with a crosslinking agent.
  • the PVAC poly vinyl acetate
  • the compatibilizer is a material for causing strong interfacial adhesion by being present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constituent components in the composite system to aid in miscibility or compatibility
  • PEG Polyethylene glycol
  • MA Moleic anhydrate
  • GAM Glycidil Maleic anhydrade
  • the compatibilizer may be applied MAH (maleic anhydride).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the follow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present embodiment is only illustrative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5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10%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15%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15%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3% by weight of a crosslinking agent and 2% by weight of a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melt pelletized by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5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15%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15%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10%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4%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1%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melt pelletized by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5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20%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10%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10%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2%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3%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melt pelletized by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5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15%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5%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20%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4%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1%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pelletize by melt extrusion with a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50%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5%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10%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15%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15%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4%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1%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melt pelletized by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s 100% polylactic acid (PLA), 0% by weight PCL (polycaprolactone), 0% by weight PBS (polybutylene succinate), PBAT (polybutylene co- 0%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0%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0%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0%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pelletize by melt extrusion with a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PPA polylact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AT polybutylene co- 0%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 PVAC polyvinyl acetate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85%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0%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co- 5%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5%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0%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0%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pelletize by melt extrusion with a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75%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5%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polybutylene co- 5%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5%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4%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1%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melt pelletized by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65%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5%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5%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10 wt% of adipate terephthalate), 12 wt% of PVAC (polyvinyl acetate), 2 wt% of a crosslinking agent, and 1 wt% of a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pelletize by melt extrusion with a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ncludes 55% by weight of polylactic acid (PLA), 5% by weight of polycaprolactone (PCL), 10% by weight of polybutylene succinate (PBS), and polybutylene co- 10% by weight of adipate terephthalate), 15% by weight of PVAC (polyvinyl acetate), 2% by weight of crosslinking agent, and 3% by weight of compatibilizer were added to pelletize by melt extrusion with a twin screw extruder. Next, the pellets were molded at 23 ° C. according to ASTM D256 at 3.2 ° C., and the notched Izod impact strength of each bar was measured according to ASTM D256, and then shown in Table 2 below.
  • Table 1 shows the composition ratio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composite resin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5.
  • Example 1 50 10 5 15 15 3 2
  • Example 2 50 15 5 15 10 4 One
  • Example 3 50 20 5 10 10 2 3
  • Example 4 50 15 5 5 20 4
  • Comparative Example 1 100 0 0 0 0 0 0 Comparative Example 2 85 0 5 5 5 0 0 Comparative Example 3 75 5 5 5 5 4
  • Comparative Example 4 65 5 5 10 12 2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is melt-kneaded at 170 to 190 ° C with a single screw extruder (L / D: 40, diameter 35mm) to process a 3mm thick sheet, and then cut with a laser cutting machine according to the splint specifications.
  • a single screw extruder L / D: 40, diameter 35mm
  • Using a water tank equipped with a temperature controller adjust the temperature to 70 °C, immerse the cut sheet for 60 seconds, and mold it on the mock-up. Measure the formability by time and divide it into 4 grades as follows. Evaluated.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s prepared in Examples 1 to 5 were found to have superior impact strength compared to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s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1 to 5, and also in Examples 1 to 5 in evaluation of moldability.
  • the prepared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was found to have excellent moldability evaluation.
  • the molding grade of the splint was as follows.
  • Figure 7 is a flow chart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improved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manufacturing method is a powder state processing step (S110), mixing step (S120), melt extrusion step (S130), cooling, drying step (S140) and packaging step (S150) ) May be included.
  • raw materials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composite resin are PLA (Poly lactic acid), PCL (polycaprolactone), PBS (polybutylene succinate), PBAT (polybutylene co-adipate) Terephthalate), PVAC (poly vinyl acetate), crosslinking agents, compatibilizers can be used.
  • PLA Poly lact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PBAT polybutylene co-adi Pate terephthalate
  • PVAC polyvinyl acetate
  • crosslinking agent 1 to 3% by weight compatibilizer
  • the equipment for mixing the powder raw material may be used a double blade ribbon mixer.
  • the double blade ribbon mixer is exemplified as the equipment used for mixing the primary workpiece and the remaining raw materials, but any equipment may be used as long as the equipment is used for mixing various raw materials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 the mixture may be melt-extruded using a twin extruder equipped with a raw material feeder.
  • Twin extruder used for melt extrusion of the mixture is a general known technique used for melt extrusion of the material,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the raw material extruded through the twin extruder equipped with the raw material supply device may be introduced into a die, and the strands exited through the die may be cooled and dried.
  • the cooling and drying of the strand may be generally applied to water-cooled and air-cooled.
  • the water-cooled type requires secondary drying of the PLA composite resin. Therefor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pply the air-cooled cooling drying method of the integral type of cooling and drying.
  • the strand processed through the extruder will have a predetermined temperature.
  • the temperature of the strand can be cooled in the cooling and drying steps.
  • Applying an air cooling system in the cooling and drying step of the strand is to implement an eco-friendly manufacturing method by reducing the power and time by eliminating the drying step after cooling.
  • the air cooling system for cooling the strand may use a conventional air cooling system used when cooling the object.
  • the equipment applied to the sheet cooling is embodied as an air cooling system, but any equipment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 equipment is used to cool the object.
  • air-cooled may be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because it has to go through a drying step.
  • the cooled strand is packed after pelletizing.
  • the strand specifications are 1.25 ⁇ 0.05 (g / cm2), tensile strength 50 (Mpa), tensile activity rate 3.5 ⁇ 6 (Gpa), softening temperature 60 ⁇ 70 °C, shrinkage less than 0.5% and water content 200ppm or less to be.
  • the processed strand may be cooled by an air cooling system.
  •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with improved low-temperature processability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mposite resin produced through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is a product manufactured by using the material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main raw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 60 ⁇ It can be easily processed at low temperature of 70 °C, harmless to bio-contact, and composite resin that meets food contact standard to meet the biodegradable conditions to enable the use of resource circulation.
  • FIG.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ing a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having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PLA polylactic acid
  • PCL polycaprolactone
  • PBS polybutylene succinate
  • S210 poly butylene co 5-15 wt% of adipate terephthalate
  • PVAC polyvinyl acetate
  • S210 compatibilizer
  • S220 Mixing the raw material processed in the powder state with a double blade ribbon mixer (S220); Melt extruding the mixed raw materials using a twin extruder equipped with a raw material supply device (S230); Injecting the melt-extruded raw material into a die and then cooling and drying the strands formed through the die (S240); Melt-extruding the cooled and dried strain using a T-die extruder for manufacturing a sheet (S250); Manufacturing a sheet by rolling the composite resin melt-extruded through the T
  • Steps S210 to S240 correspond to steps S110 to S140 of the method for preparing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having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and for steps S110 to S140 for FIG. 7 for step S210 to S240.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 Sheet manufacturing and primary cooling step (S260) the composite resin melt-extruded through the T-die extruder can be rolled to adjust the thickness and the primary cooling to produce a sheet.
  • Extruder used in the sheet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extruder if the general sheet manufacturing extruder.
  • the rolling by adjusting the thickness and the primary cooling step (S260) may be applied to a triaxial roller including a cooling roll.
  • the process guide (general process guide) is possible in the sheet manufacturing can be controlled optimal melting temperature will be omitted.
  • the specification of the shee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nsity 1.25 ⁇ 0.05 (g / cm2), tensile strength 50 (Mpa), tensile activity rate 3.5-6 (Gpa), softening temperature 60-70 °C, shrinkage less than 0.5% And a moisture content of 200 ppm or less.
  • the first cooled sheet may be secondarily cooled in a state where the thickness is adjusted, and in the step (S280), the second cooled sheet may be cut and packed according to a specification.
  • the composite resin prepared by the biodegradable composite resin and the composite resin manufacturing method with improved low temperature processability, as well as the main raw material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using the same, as well as using the composite resin prepared The product can be easily processed at low temperature of 60 ⁇ 70 °C, and it is harmless to biocontact, meets food contact standard, and meets biodegradable conditions to enable resource recycling.

Abstract

본 발명은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통기공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통기공이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목부, 신장부목부 및 상기 상부 부목부는 1차 벤딩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벤딩하고, 상기 신장 부목부는 다수의 신장구멍에 의해 상기 하부 부목부와 상기 상부 부목부를 서로 다른 각도로 2차 벤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본 발명은 부목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목은 뼈가 골절되거나 금이 간 경우 및 인대의 신장과 파열시 다친 관절과 근육조직의 지지 및 고정을 위해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단단히 감아 움직이지 않도록 보호하는 데 사용된다. 종래에는 석고가 도포된 붕대를 환부에 감아 고정시키는 방법을 널리 사용하여 왔으나, 이러한 시술방법은 석고가 경화되는 과정에서 수축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환부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없고, 통기성이 없어 장시간 사용시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환부 치료가 완료된 후 이를 제거하기 위해 별도의 절단기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절단 도중 피부에 상처를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석고 붕대를 이용한 부목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폴리에스터 편직물이나 유리섬유 편직물 또는 부직포 등에 습기 경화형 폴리우레탄 등의 경화성수지가 함침된 탄력섬유를 이용하고 있다. 탄력섬유가 함침된 경화성수지는 사용시에 포장지를 벗겨내어 내부의 탄력섬유가 상온에서 신속하게 자연 경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성형성을 개선한 부목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부목은 시술시에 성형성이나 경화성이 뛰어나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 완료 후 부목을 제거하기 위하여 탄력섬유의 표면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를 이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경화된 탄력섬유를 절단하게 되면 탄력섬유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분진이 발생하거나 고속으로 회전하는 커터에 의해 탄력섬유가 절단되는 과정에서 고열이 발생하여 피부에 화상을 입거나 탄력섬유와 함께 피부를 다치게 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야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부목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기존 부목의 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절개부를 별도 마련하여 시술 치료 후 제거시에서는 상기 얇은 두께를 가지는 절개부에 가위나 칼 등으로서 절단하여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경우 역시 근본적인 목적은 얇은 부분을 쉽게 절개한다고 하지만, 경화성수지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도포 내지 피복된 상태로 경화되어 있으므로, 절단이 용이치 못하게 되어 가위나 칼 등의 절단도구로서 제거하며, 이 경우 힘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절단이 용이하지 못해 시술의 효율성이 크게 저조될 수 있다. 또한, 치료를 마친 후 환부로부터 부목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피부가 손상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부목은 금형을 이용하여 사출성형하게 되므로, 부목을 시술하는 시술자의 신체 부위에 따라 각각의 금형을 마련해야 되며, 팔, 다리 등의 시술 부위에 따라 여러 종류의 금형이 필요하게 되어 부목의 성형에 따른 금형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합성플라스틱은 뛰어난 물성과 함께 가격이 저렴하고, 가벼운 특성으로 인해 현대인의 생활에 꼭 필요한 소재로 전세계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합성플라스틱은 그 장점이자 단점인 분해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환경오염 문제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합성 플라스틱은 폐기 처리시, 심각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자연 상태에서 분해되는 생분해성 수지로 대체하는 기술이 시도되고 있다. 생분해성 수지는 토양 속의 미생물에 의해 자연 분해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락트산(poly lactic acid, PLA), 폴리글리콜산(poly glycolic acid, PGA), 폴리카프로락톤(poly caprolactone, PCL),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히드록시 부틸산(poly hydroxy butyric acid, PHBA) 및 D-3-히드록시 부틸산(D-3-hydroxy butyric acid, HBA)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생해분성 수지, 즉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락트산(PLA), 폴리글리콜산(PGA), 폴리카프로락톤(PCL),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히드록시 부틸산(PHBA) 및 D-3-히드록시 부틸산(HBA) 등과 같은 생분해성 수지는 치수 안정성, 인장 강도 및 경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낮다.
이러한 물성을 보강하기 위해, 생분해성 수지시트에 별도의 보강 시트를 합지하거나, 시트의 압출 성형 시 생분해성 수지에 다른 일반 수지나 무기 필러(filler) 등을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한 시트는 원하는 모양으로 성형하기 위해서는 고온에서 가공해야 했기 때문에 가공성이 저하되고, 종래 생분해성 수지를 이용하는 시트의 경우에는 생체 접촉 및 식품 접촉 규격을 충족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목의 시술 부위에 따라 부목의 형상 및 크기, 벤딩 각도 등을 자유로이 성형할 수 있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친환경적인 제조공정을 이용하고, 제품 사용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생체접촉에 무해하고 생분해성이 향상되어 자원 순환 사용이 가능한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통기공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통기공이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목부, 신장부목부 및 상기 상부 부목부는 1차 벤딩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벤딩하고, 상기 신장 부목부는 다수의 신장구멍에 의해 상기 하부 부목부와 상기 상부 부목부를 서로 다른 각도로 2차 벤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장 부목부에는 2차 벤딩에 의해 상기 하부 부목부와 상기 상부 부목부의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신장 부목부는 상기 신장 부목부의 중간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2차 벤딩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신장되는 제1 신장구멍; 상기 제1 신장구멍의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2차 벤딩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신장되는 제2 신장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통기공, 제2 통기공 및 제3 통기공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 상기 하부 부목부의 상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 상기 상부 부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목부 및 상기 상부 부목부는 1차 벤딩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벤딩되고, 상기 신장 부목부는 다수의 신장구멍에 의해 일정 직경을 갖는 직경으로 2차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은 부목의 시술 부위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부목부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부목부재의 벤딩 시 상기 부목부재의 변형 및 신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신장 부목부에 다수의 신장구멍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목부재의 시술 부위에 따라 외부와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공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목부재의 시술 부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부목부재를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곡면 벤딩하는 제1 벤딩 단계; 상기 신장구멍이 형성된 상기 신장 부목부를 서로 다른 각도 또는 일정 직경을 갖도록 곡면 벤딩하는 제2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PCL(폴리 카프로 락톤),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크로스링킹제, 상용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상기 PLA는 PLLA와 이성체인 PLDA를 스테레오 컴플렉스될 수 있고, 상기 PLA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 단독중합체 또는 PLA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궁중합체인 경우 상기 폴리-D-락타이드는 5 ~ 10 중량%가 스테레오 컴플렉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는, 가교 결합제로 접목된 PVOH(폴리 비닐알콜)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는, PBSA(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로 대체될 수 있다고, 상기 상용화제는 MAH(무수말레인산)일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은,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분말가공하는 단계(S110); 상기 분말상태로 가공한 원료를 더블 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로 혼합하는 단계(S120); 상기 혼합된 원료를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S130); 상기 용융 압출된 원료를 다이(Die)에 투입한 후 다이(Die)를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140); 및 냉각된 스트랜드를 컷팅기를 거쳐 펠렛타이징 후 포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스트랜드의 규격은, 밀도 1.25 ±0.05(g/㎠), 인장강도 50(Mpa), 인장활성율 3.5~6(Gpa), 연화온도 60~70℃, 수축률 0.5% 미만 및 수분함량 200ppm 이하이다.
상기 용융 압출된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140)에서, 가공된 스트랜드는 공냉시스템으로 냉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은,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분말가공하는 단계(S210); 상기 분말상태로 가공한 원료를 더블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로 혼합하는 단계(S220); 상기 혼합된 원료를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S230); 상기 용융 압출된 원료를 다이(Die)에 투입한 후 다이(Die)를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240); 상기 냉각, 건조된 스트랜스를 시트 제조용 T-die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압출하는 단계(S250); 상기 T-die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한 복합수지를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60); 상기 두께가 조절된 상태로 1차 냉각된 시트를 2차 냉각하는 단계(S270) 및 상기 2차 냉각된 시트를 규격에 맞게 커팅하여 포장하는 단계(S2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 단계(S260)에서는 냉각롤을 포함한 3축 롤러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목의 시술 또는 착용 부위에 따라 부목을 성형할 수 있고, 다리 또는 팔 부위 등 부목을 하고자 하는 신체 부위에 따라 부목부재를 자유로이 성형할 수 있으며, 부목부재의 벤딩 시 부목부재의 변형에 대응되는 신장 부목부에 신장구멍을 형성하여 벤딩에 따른 변형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변형에 따른 부목부재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목부재를 1차 벤딩 및 2차 벤딩에 의해 원하는 형상 및 크기로 부목을 자유롭게 성형할 수 있고, 부목의 성형에 필요한 금형이 필요 없어 금형에 따른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신장 부목부의 신장구멍의 간격 및 크기, 길이에 따라 부목의 강도를 조절하여 성형할 수 있다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형상으로 제작된 제품을 60 ~ 70℃의 저온 상태에서 후 가공이 용이하여 사용 편의성이 향상됨은 물론, 생체접촉에 무해하고, 식품 접촉 규격에 맞는 시트가 제조가능한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생분해성 조건을 충족하여 자원 순환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생분해성 복합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을 일측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을 타측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을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로 기재되어 있다 하더라도, 문맥상 단수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이란 용어는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기판 또는 다른 층 "상에(on)" 형성된 층에 대한 언급은 상기 기판 또는 다른 층의 바로 위에 형성된 층을 지칭하거나, 상기 기판 또는 다른 층 상에 형성된 중간 층 또는 중간 층들 상에 형성된 층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들에게 있어서, 다른 형상에 "인접하여(adjacent)" 배치된 구조 또는 형상은 상기 인접하는 형상에 중첩되거나 하부에 배치되는 부분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아래로(below)", "위로(above)", "상부의(upper)", "하부의(lower)", "수평의(horizontal)" 또는 "수직의(vertical)"와 같은 상대적 용어들은, 도면들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구성 부재, 층 또는 영역들이 다른 구성 부재, 층 또는 영역과 갖는 관계를 기술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용어들은 도면들에 표시된 방향뿐만 아니라 소자의 다른 방향들도 포괄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및 중간 구조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부재들의 크기와 형상은 설명의 편의와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 구현시,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또한, 도면의 부재들의 참조 부호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재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전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성형전의 부목(1A)은 시술 부위에 따라 부목부재를 소정의 형상 및 크기로 절단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부목부재는 일정 두께를 갖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며, 부목부재는 부목의 시술 부위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목(1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다리에 착용되는 부목이고, 발을 지지하는 하부 부목무(10), 발의 뒤꿈치 부위를 감싸도록 굴곡된 신장 부목부(20) 및 다리의 종아리에 밀착되는 상부 부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성형전의 부목(1A)은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합성수지판의 부목부재로부터 형성된다. 하부 부목부(10)는 발을 지지하도록 소정의 폭과 길이로 형성되고, 신장 부목부(20)는 상기 하부 부목부(10)로부터 일체로 연장되어 부목의 벤딩시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상부 부목부(30)는 상기 하부 부목부(10)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부목부(10)는 부목의 착용 또는 시술시 외부로부터 내측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제1 통기공(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기공(11)은 다수로 형성되며, 제1 통기공(11)은 필요에 따라 일정 간격 및 서로 다른 직경의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통기공(11)은 원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별모양, 하트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 부목부(10)의 상측에는 2차 벤딩시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신장 부목부(20)가 형성될 수 있다. 신장 부목부(20)에는 2차 벤딩에 의해 상기 하부 부목부(10)와 상기 상부 부목부(30)의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신장구멍(21, 22)이 형성될 수 있다.
신장 부목부(20)는 신장 부목부(20)의 중간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2차 벤딩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신장되는 제1 신장구멍(21), 제1 신장구멍(21)의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2차 벤딩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신장되는 제2 신장구멍(22)을 포함할 수 있다.
신장 부목부(20)는 하부 부목부(10)와 상부 부목부(30)를 서로 다른 각도로 벤딩 시 신장 부목무(20)가 신장되면서 변형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부목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신장 부목부(20)에는 일정 폭으로 형성되는 제1 신장구멍(21)과 상기 제1 신장구멍(21)의 양측에 각각 제1 신장구멍(21)과 동일한 폭과 길이로 제2 신장구멍(22)이 형성된다. 제1 신장구멍(21) 및 제2 신장구멍(22)은 부목(1A)의 폭 방향으로 형성되며, 1 신장구멍(21)과 제2 신장구멍(22)은 일정 높이 간격으로 다수 형성된다.
신장 부목부(20)의 상측에는 상부 부목부(3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부 부목부(30)에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통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통기공(3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통기공(31)은 원형 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 타원형, 별모양, 하트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후의 형태를 일측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후의 형태를 타측에서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성형후의 부목(1A)은 시술 부위인 다리의 모양에 따라 성형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성형후의 부목(1A)은 제1 통기공(11)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10)와 하부 부목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20) 및 하부 부목부(10)와 서로 다른 각도로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부목무(10), 신장 부목부(20), 상부 부목부(30), 제1 통기공(11), 제1 신장구멍(21), 제2 신장구멍(22), 제2 통기공(31)에 대하여는 도 1의 해당 구성에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1A)은 부목을 시술하고자 하는 부위의 형상에 따라 적절한 크기와 형상으로 부목부재를 절단한 다음, 절단된 부목부재를 소정의 원호 또는 직경으로 1차 벤딩한 후 시술 부위에 따라 부목부재를 2차 벤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목(1A)의 시술 부위에 따라 부목부목(1A)을 적정한 형상 및 크기로 성형하여 줌으로써, 착용자의 신체 부위에 적절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됨은 물론 부목의 착용에 따른 압박감 또는 조이는 느낌 없이 편하게 부목을 착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전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후의 형태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부목(1B)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팔에 착용 또는 시술하기 위한 부목을 나타내고, 도 4에 도시된 부목(1B)은 팔에 시술하기 전의 성형전의 부목을 나타내며, 도 5 에 도시된 부목(1B)은 도 4에 도시된 부목부재를 팔에 시술할 수 있도록 성형된 부목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부목(1B)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통기공(11), 제2 통기공(12) 및 제3 통기공(13)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10), 하부 부목부(10)의 상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30), 상부 부목부(30)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20)를 포함하며, 하부 부목부(10) 및 상부 부목부(30)는 1차 벤딩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벤딩되고, 신장 부목부(20)는 다수의 신장구멍에 의해 일정 직경을 갖는 직경으로 2차 벤딩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성형전의 부목(1B)은 하부 부목부(10)와 상부 부목부(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부 부목부(30)의 일측에 신장 부목부(20)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부목부(10)와 상부 부목부(30)가 일체로 형성되고, 신장 부목부(20)는 상부 부목부(30)의 상부 일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부목부(10)에는 부목의 시술 시 외부로부터 부목의 내측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제1 통기공(11), 제2 통기공(12) 및 제3 통기공(13)이 다수 형성되며, 상부 부목부(30)는 하부 부목부(10)의 일측 상부에 소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신장 부목부(20)는 상부 부목부(30)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신장 부목부(20)는 손가락을 끼워 부목할 수 있도록 소정의 길이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신장 부목부(20)에는 벤딩에 의한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1B)은 팔과 손목 및 손가락을 부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하부 부목부(10)는 팔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신장 부목부(20)는 손가락을 끼워 부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의 순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은, 부목의 시술 부위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부목부재를 절단하는 단계(S10); 상기 부목부재의 벤딩 시 상기 부목부재의 변형 및 신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신장 부목부에 다수의 신장구멍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S20); 상기 부목부재의 시술 부위에 따라 외부와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공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S30); 상기 부목부재의 시술 부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부목부재를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곡면 벤딩하는 제1 벤딩 단계(S40); 상기 신장구멍이 형성된 상기 신장 부목부를 서로 다른 각도 또는 일정 직경을 갖도록 곡면 벤딩하는 제2 벤딩 단계(S5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또는 팔 등에 시술되는 부목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부목부재를 절단한다(S10).
상기 부목부재는 다리에 시술 또는 착용되는 부목인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부목부재를 절단될 수 있다. 또한, 팔 등에 시술 또는 착용되는 부목인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와 폭을 갖는 하부 부목부(10)를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하고, 손가락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신장 부목부(20)를 일체로 형성한다. 즉, 부목부재는 다리 또는 팔 등의 착용 부위에 따라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손가락 또는 발가락 등과 같이 신체의 일부분을 끼워 넣어 착용할 수 있도록 신장 부목부(20)를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부목부재에는 벤딩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는 부위에 소정의 길이 및 폭을 갖는 신장구멍(21, 22)을 형성할 수 있다(S20). 상기 신장구멍(20)은 벤딩에 의한 부목부재의 변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뿐만 아니라 부목부재의 변형 시 부목부재가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할 수 있다. 즉, 신장구멍(21, 22)은 일직선 상으로 형성되어 벤딩에 의한 변형 시 신장구멍(21, 22)의 간격이 이격되게 벌어지면서 벤딩이 양호하면서도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벤딩에 의한 응력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형상으로 벤딩시킬 수 있다.
또한 부목부재에는 부목의 착용 또는 시술 시 외부로부터 부목의 내측으로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공(11, 12, 13)을 형성할 수 있다(S30). 상기 통기공(11, 12, 13)은 부목의 착용에 따라 팔 또는 다리 등에 외부의 공기와 접하도록 하여 줌으로써, 부목의 착용에 따른 답답함과 불편감을 해소시킬 수 하기 위하여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목부재에 신장 부목부(20) 및 통기공(11, 12, 13)이 형성된 상태에서 벤딩기에 의해 1차 벤딩이 이루어질 수 있다(S40).
이러한 1차 벤딩은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하부 부목부(10) 및 상부 부목부(30)를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벤딩할 수 있다. 즉, 1차 벤딩에 의해 부목부재는 대략 반원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또한 1차 벤딩은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부목부(10)를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벤딩하게 된다. 즉, 1차 벤딩에 의해 부목부재는 도 5에서와 같이, 하부 부목부(10)를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벤딩할 수 있다.
상기 1차 벤딩이 이루어진 부목부재는 신장 부목부(20)를 기준으로 하부 부목부(10)와 상부 부목부(30)를 서로 다른 각도로 구부러지도록 2차 벤딩시킬 수 있다(S50).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다리에 착용되는 부목은 직각으로 벤딩하거나 원하는 각도로 벤딩기에 의해 벤딩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팔에 착용되는 부목은 1차 벤딩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신장 부목부(20)를 소정 직경을 갖는 원형 형상으로 벤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후술하는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또는 시트를 이용하여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제조를 위한 부목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PLA(Poly lactic acid), PCL(폴리 카프로 락톤),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크로스링킹제, 상용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복합수지조성물에 있어서,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할 수 있다.
상기 생분해성 복합수지는 넓은 의미에서 분해성 복합수지에 포함되며, 상기 분해성 복합수지는 미국 ASTM (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에 의해 특정 환경 조건에서 일정시간 동안에 화학적 구조가 상당히 변화되어 그 성질 변화를 표준 시험 방법으로 측정할 수 있는 플라스틱으로 규정하였으며, 상기 분해성 복합수지는 생분해성, 생광분해성(복합분해성), 광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분하고 있다. 또한 국제표준기구인 ISO(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에서는 최종 생분해(Ultimate biodegradation)를 미생물의 작용으로 유기물의 붕괴가 일어나고, 최종적으로 이산화탄소, 물과 무기염/생체물질을 생성하는 과정을 생분해로 규정하고 있다. ISO 472의 분해성 플라스틱에 대한 정의를 보면 분해성 플라스틱을 생분해성 플라스틱과 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생분해성 플라스틱은 성형품, 포장재, 위생용품, 농업용품 등으로 사용한 플라스틱을 폐기시에 소각처리 하지 않고 단순히 매립하는 것만으로 수개월 내지 수년이내에 물, 이산화탄소, 메탄가스, 바이오매스 등으로 완전 분해되는 플라스틱을 말한다. 이러한 복합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LA(Poly lactic acid)는 28 중량% 미만일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물성을 얻기 어려우며, 72 중량%를 초과할 경우 복합수지의 가공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복합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LA(Poly lactic acid)는 28 중량% ~ 72 중량%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PCL(폴리 카프로 락톤)는 5 중량% 미만일 경우 인장강도 및 항복강도가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에 미치지 못하며, 2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인 물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복합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CL(폴리 카프로 락톤)는 5 중량% ~ 20 중량%인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복합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는 5 중량% 미만일 경우 얻어지는 수지의 가공성이 현저하게 떨어지게 되며,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기존의 수지와 차이점을 나타내지 못한다. 한편, 상기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는 PBSA(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PLA(Poly lactic acid)는 PLLA와 이성체인 PLDA를 스테레오 컴플렉스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PLA(Poly lactic acid)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 단독중합체 이거나, 또는 PLA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을 포함하는 궁중합체일 경우 상기 폴리-D-락타이드는 5 ~ 10 중량%가 스테레오 컴플렉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는 5중량% 미만일 경우 기계적 강도 및 유연성이 저하되며,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 기계적 방향(MD)으로 찢어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가 적정 비로 혼합되면 우수한 생분해성과 기계적 강도를 갖으면서도 향상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복합수지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는 5 중량% ~ 15 중량%인 것이 적합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는 가교 결합제로 접목된 PVOH(폴리 비닐알콜)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는 10 ~ 20 중량%인 것이 적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용화제는, 복합계내의 구성 성분 간의 계면에 존재하면서 혼화성 또는 상용성을 도와서 강한 계면 접착을 일으키기 위한 물질로 본 발명에서는 PEG(Poly ethylene glycol), MA(Maleic anhydrate), GAM(Glycidil Maleic anhydrade) 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상용화제는 MAH(무수말레인산)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기재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50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1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5 중량%, 크로스링킹제 3 중량%, 상용화제 2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50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15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중량%, 크로스링킹제 4 중량%, 상용화제 1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50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0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중량%, 상용화제 3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50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15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4 중량%, 상용화제 1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5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50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5 중량%, 크로스링킹제 4 중량%, 상용화제 1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100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0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0 중량%, 크로스링킹제 0 중량%, 상용화제 0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85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크로스링킹제 0 중량%, 상용화제 0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75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5 중량%, 크로스링킹제 4 중량%, 상용화제 1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4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65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0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2 중량%, 크로스링킹제 2 중량%, 상용화제 1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5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55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10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5 중량%, 크로스링킹제 2 중량%, 상용화제 3 중량%를 첨가하여 트윈 스크류 압출기로 용융 압출하여 펠렛화 하였다. 다음으로 얻어진 펠렛을 ASTM D256에 따라 23℃에서 3.2mm의 바(bar)를 성형한 후 각 바의 노치드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ASTM D256에 따라 측정한 다음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1은 실시예 1 내지 5 및 비교예 1 내지 5의 복합수지조성물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조성비를 나타낸 것이다.
PLA(중량%) PCL(중량%) PBS(중량%) PBAT(중량%) PVAC(중량%) 크로스링킹제(중량%) 상용화제(중량%)
실시예 1 50 10 5 15 15 3 2
실시예 2 50 15 5 15 10 4 1
실시예 3 50 20 5 10 10 2 3
실시예 4 50 15 5 5 20 4 1
실시예 5 50 5 10 15 15 4 1
비교예 1 100 0 0 0 0 0 0
비교예 2 85 0 5 5 5 0 0
비교예 3 75 5 5 5 5 4 1
비교예 4 65 5 5 10 12 2 1
비교예 5 55 5 10 10 15 2 3
실시예 1 ~ 5 및 비교예 1 ~ 5에서 제조된 펠릿형태의 생분해성 복합수지로 가공된 바의 충격강도를 측정한 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일축 압출기(L/D : 40, 직경 35mm)로 170 ~ 190℃로 용융 혼련하여 3mm 두께의 시트를 가공한 후 부목(splint) 규격에 맞게 레이저 컷팅기로 재단한 후 자동 온도조절기가 부착된 수조를 이용하여 온도를 70℃로 맞추고 재단된 시트를 60초 동안 담구어 목업에 대고 성형한 후 그 성형성을 시간으로 측정하여 다음과 같이 4등급으로 구분하여 저온 성형성을 평가하였다.
충격강도(J/m) 성형성 평가
실시예 1 463 매우좋음
실시예 2 423 매우좋음
실시예 3 342 좋음
실시예 4 368 좋음
실시예 5 512 양호
비교예 1 63 보통
비교예 2 93 보통
비교예 3 118 양호
비교예 4 152 양호
비교예 5 321 좋음
상기 표 2에서 실시예 1 ~ 5로 제조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는 비교예 1 ~ 5로 제조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에 비해 충격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형성 평가에서도 실시예 1 ~ 5로 제조된 생분해성 복합수지가 성형성 평가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트를 가공한 후 부목(splint)의 성형등급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 성형시간 30 ~ 60초 : 매우좋음
- 성형시간 60 ~ 100초 : 좋음
- 성형시간 100 ~ 200초 : 양호
- 성형시간 200초 이상 : 보통
이하, 상기와 같은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을 이용한 복합수지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은 분말상태 가공단계(S110), 혼합 단계(S120), 용융 압출 단계(S130), 냉각, 건조 단계(S140) 및 포장 단계(S150)를 포함할 수 있다.
분말상태 가공단계(S110)에서, 복합수지의 제조시 사용되는 원료는 PLA(Poly lactic acid), PCL(폴리 카프로 락톤),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크로스링킹제, 상용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혼합하는 단계(S120)에서, 분말 원료의 혼합을 위한 장비로는 더블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1차 가공물과 나머지 원료들의 혼합에 사용하는 장비로 더블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를 예시하고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원료를 혼합하는데 사용하는 장비이면 어떠한 장비든 적용 가능하다.
용융 압출 단계(S130)에서는, 상기 혼합물을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여 가공할 수 있다. 상기 혼합물을 용융 압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twin 압출기는 재료를 용융 압출할 때 사용하는 일반적인 공지 기술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냉각, 건조 단계(S140)에서는, 상기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통해 압출된 원료를 다이(Die)에 투입한 후 다이(Die)를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할 수 있다. 이때, 스트랜드의 냉각, 건조는 일반적으로 수냉식과 공냉식이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냉식은 PLA 복합수지의 2차 건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냉각과 건조의 일체형인 공냉식의 냉각 건조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압출기를 통해 가공된 스트랜드는 소정의 온도를 갖게 된다. 이에 냉각, 건조단계에서 스트랜드의 온도를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스트랜드의 냉각, 건조단계에서 공냉시스템을 적용하는 것은 냉각 후 건조단계를 배제하여 동력과 시간을 줄여주어 친환경 제조방법을 구현하기 위함이다. 상기 스트랜드를 냉각시키기 위한 공냉시스템은 대상물을 냉각할 때 사용되는 통상의 공냉 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트 냉각에 적용되는 장비를 공냉시스템으로 구체화하였으나, 대상물을 냉각하는데 사용하는 장비이면 어떠한 장비든 적용 가능하다. 또한, 수냉식의 경우 건조단계를 거쳐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공냉식을 적용할 수 있다.
포장 단계(S150)에서는, 냉각된 스트랜드를 펠렛타이징 후 포장한다. 여기서 상기 스트랜드의 규격은, 밀도 1.25 ±0.05(g/㎠), 인장강도 50(Mpa), 인장활성율 3.5~6(Gpa), 연화온도 60~70℃, 수축률 0.5% 미만 및 수분함량 200ppm 이하이다. 또한, 상기 용융 압출된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40)에서, 가공된 스트랜드는 공냉시스템으로 냉각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및 그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합수지는 주요 원료성분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의 개선을 통해 상기 소재를 이용하여 제품화된 물품을 60 ~ 70℃의 저온 상태에서 용이하게 후가공이 가능하며, 생체접촉에 무해하고, 식품 접촉 규격에 적합한 복합수지로 생분해성 조건을 충족하여 자원 순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분말가공하는 단계(S210); 상기 분말상태로 가공한 원료를 더블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로 혼합하는 단계(S220); 상기 혼합된 원료를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S230); 상기 용융 압출된 원료를 다이(Die)에 투입한 후 다이(Die)를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240); 상기 냉각, 건조된 스트랜스를 시트 제조용 T-die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압출하는 단계(S250); 상기 T-die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한 복합수지를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60); 상기 두께가 조절된 상태로 1차 냉각된 시트를 2차 냉각하는 단계(S270) 및 상기 2차 냉각된 시트를 규격에 맞게 커팅하여 포장하는 단계(S2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0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의 단계 S110 내지 S140에 각각 대응하며, 단계 S210 내지 단계 S240에 대하여 도 7에 대한 단계 S110 내지 S140의 대한 설명이 참조될 수 있다.
시트 제조 및 1차 냉각 단계(S260)에서는, 상기 T-die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한 복합수지를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하여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압출기는 일반적인 시트제조용 압출기면 어떠한 압출기든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 단계(S260)에서는 냉각롤을 포함한 3축 롤러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시트제조에는 최적의 용융온도 제어가 가능하면 프로세스 가이드(process guide)는 일반적이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시트의 규격은, 밀도 1.25 ±0.05(g/㎠), 인장강도 50(Mpa), 인장활성율 3.5~6(Gpa), 연화온도 60~70℃, 수축률 0.5% 미만 및 수분함량 200ppm이하의 범위 내로 설정될 수 있다.
2차 냉각 단계(S270)에서는 상기 두께가 조절된 상태로 1차 냉각된 시트를 2차 냉각하고, 포장하는 단계(S280)에서는 상기 2차 냉각된 시트를 규격에 맞게 커팅하여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및 복합수지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된 복합수지는 주요 원료성분 및 이를 이용한 제조방법이 친환경적으로 개선됨은 물론, 이렇게 제조된 복합수지를 이용한 제품은 60 ~ 70℃의 저온상태에서 용이한 후가공이 가능하며, 생체접촉에 무해하고 식품 접촉 규격에 적합함은 물론, 생분해성 조건을 충족하여 자원 순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Claims (18)

  1.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통기공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 및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2 통기공이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목부, 신장부목부 및 상기 상부 부목부는 1차 벤딩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벤딩하고,
    상기 신장 부목부는 다수의 신장구멍에 의해 상기 하부 부목부와 상기 상부 부목부를 서로 다른 각도로 2차 벤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목부에는 2차 벤딩에 의해 상기 하부 부목부와 상기 상부 부목부의 벤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 부목부는,
    상기 신장 부목부의 중간에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2차 벤딩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신장되는 제1 신장구멍; 및
    상기 제1 신장구멍의 양측에 각각 일정 길이로 형성되어 2차 벤딩에 의해 상하로 이격되게 신장되는 제2 신장구멍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4.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제1 통기공, 제2 통기공 및 제3 통기공이 형성되는 하부 부목부;
    상기 하부 부목부의 상부 일측에 연장 형성되는 상부 부목부; 및
    상기 상부 부목부의 일측으로 연장 형성되고,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신장구멍이 형성되는 신장 부목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부목부 및 상기 상부 부목부는 1차 벤딩에 의해 원호 형상으로 벤딩되고,
    상기 신장 부목부는 다수의 신장구멍에 의해 일정 직경을 갖는 직경으로 2차 벤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5. 부목의 시술 부위에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부목부재를 절단하는 단계;
    상기 부목부재의 벤딩 시 상기 부목부재의 변형 및 신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신장 부목부에 다수의 신장구멍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목부재의 시술 부위에 따라 외부와 공기가 통하도록 다수의 통기공을 타공하여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부목부재의 시술 부위의 외면을 감싸도록 상기 부목부재를 소정의 원호 형상으로 곡면 벤딩하는 제1 벤딩 단계; 및
    상기 신장구멍이 형성된 상기 신장 부목부를 서로 다른 각도 또는 일정 직경을 갖도록 곡면 벤딩하는 제2 벤딩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의 성형방법.
  6. PLA(Poly lactic acid), PCL(폴리 카프로 락톤),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크로스링킹제, 상용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은,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LA는 PLLA와 이성체인 PLDA를 스테레오 컴플렉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LA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 단독중합체 또는 PLA는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L-락타이드, 폴리-D-락타이드 및 폴리-DL-락타이드를 포함하는 궁중합체인 경우 상기 폴리-D-락타이드는 5 ~ 10 중량%가 스테레오 컴플렉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는,
    가교 결합제로 접목된 PVOH(폴리 비닐알콜) 및 이들의 유도체 또는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는,
    PBSA(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아디페이트)로 대체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용화제는 MAH(무수말레인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14.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분말가공하는 단계(S110);
    상기 분말상태로 가공한 원료를 더블 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로 혼합하는 단계(S120);
    상기 혼합된 원료를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S130);
    상기 용융 압출된 원료를 다이(Die)에 투입한 후 다이(Die)를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140); 및
    냉각된 스트랜드를 컷팅기를 거쳐 펠렛타이징 후 포장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복합수지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랜드의 규격은,
    밀도 1.25 ±0.05(g/㎠), 인장강도 50(Mpa), 인장활성율 3.5~6(Gpa), 연화온도 60~70℃, 수축률 0.5% 미만 및 수분함량 200pp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압출된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140)에서,
    가공된 스트랜드는 공냉시스템으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 제조방법.
  17. PLA(Poly lactic acid) 28 ~ 72 중량%, PCL(폴리 카프로 락톤) 5 ~ 20 중량%, PBS(폴리 부틸렌 숙시네이트) 5 ~ 10 중량%, PBAT(폴리 부틸렌 코-아디페이트 테레프탈레이트) 5~15 중량%, PVAC(폴리 비닐 아세테이트) 10 ~ 20 중량%, 크로스링킹제 2 ~ 4 중량%, 상용화제 1 ~ 3 중량%를 분말가공하는 단계(S210);
    상기 분말상태로 가공한 원료를 더블블레이드 리본 믹서기로 혼합하는 단계(S220);
    상기 혼합된 원료를 원료 공급장치가 구비된 twin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 압출하는 단계(S230);
    상기 용융 압출된 원료를 다이(Die)에 투입한 후 다이(Die)를 통해 나온 스트랜드를 냉각, 건조하는 단계(S240);
    상기 냉각, 건조된 스트랜스를 시트 제조용 T-die 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압출하는 단계(S250);
    상기 T-die 압출기를 통해 용융 압출한 복합수지를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하여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60);
    상기 두께가 조절된 상태로 1차 냉각된 시트를 2차 냉각하는 단계(S270); 및
    상기 2차 냉각된 시트를 규격에 맞게 커팅하여 포장하는 단계(S2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압연하여 두께 조절 및 1차 냉각 단계(S260)에서는 냉각롤을 포함한 3축 롤러가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를 이용한 시트 제조방법.
PCT/KR2019/007377 2018-06-19 2019-06-19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WO201924527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54,274 US20210260240A1 (en) 2018-06-19 2019-06-19 Bendable splint and molding method thereof
CN201980001283.2A CN110839344A (zh) 2018-06-19 2019-06-19 可弯曲的夹板及其成型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367 2018-06-19
KR1020180070367A KR101936952B1 (ko) 2018-06-19 2018-06-19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KR10-2018-0112135 2018-06-19
KR1020180112135A KR101987086B1 (ko) 2018-09-19 2018-09-19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5276A1 true WO2019245276A1 (ko) 2019-12-26

Family

ID=68984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7377 WO2019245276A1 (ko) 2018-06-19 2019-06-19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60240A1 (ko)
CN (1) CN110839344A (ko)
WO (1) WO20192452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026B1 (ko) * 2021-04-22 2021-08-03 김민기 수지 치료용 핑거 스프린트
CN116285269B (zh) * 2023-04-04 2023-10-31 江苏尚美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聚己内酯热塑板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030Y1 (ko) * 2001-08-01 2002-02-19 이영찬 의료용 부목
US6428493B1 (en) * 1999-12-23 2002-08-06 Deroyal Industries, Inc. Foot orthosis
KR100385790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WO2009001625A1 (ja) * 2007-06-25 2008-12-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3010855A (ja) * 2011-06-29 2013-01-17 Kao Corp ポリ乳酸樹脂組成物
KR20140000548A (ko) * 2012-06-25 2014-01-03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CN103040550B (zh) * 2013-01-24 2015-01-28 张兴平 医用自适应预塑形夹板装置
JP2016519189A (ja) * 2013-04-10 2016-06-30 バイオ−テック ビオローギッシュ ナチューフェアパックンゲ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ポリマー組成物
KR20170111703A (ko) * 2016-03-29 2017-10-12 (주)우성케미칼 상용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컴파운드 조성물
KR101936952B1 (ko) * 2018-06-19 2019-01-09 윤홍섭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157A (en) * 1888-10-30 Metallic splint
US433227A (en) * 1890-07-29 Thirds to charles it
US1100483A (en) * 1911-03-24 1914-06-16 George H Houghton Surgical support for injured arms.
US4516572A (en) * 1983-03-11 1985-05-14 Schlein Allen P Perforated closed cell padding material
US20070021706A1 (en) * 2005-07-20 2007-01-25 Wellgate Products, Llc Orthopedic devices with compressive elastomer formed directly onto a base material
US9549837B2 (en) * 2008-11-09 2017-01-24 3D Systems, Inc. Brace with elongated fenestrations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28493B1 (en) * 1999-12-23 2002-08-06 Deroyal Industries, Inc. Foot orthosis
KR100385790B1 (ko) * 2000-12-21 2003-06-02 동해메디칼 주식회사 절곡부목과 그 제조방법
KR200264030Y1 (ko) * 2001-08-01 2002-02-19 이영찬 의료용 부목
WO2009001625A1 (ja) * 2007-06-25 2008-12-31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樹脂組成物及び該樹脂組成物からなる成形体の製造方法
JP2013010855A (ja) * 2011-06-29 2013-01-17 Kao Corp ポリ乳酸樹脂組成物
KR20140000548A (ko) * 2012-06-25 2014-01-03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정형 외과용 열가소성 부목
CN103040550B (zh) * 2013-01-24 2015-01-28 张兴平 医用自适应预塑形夹板装置
JP2016519189A (ja) * 2013-04-10 2016-06-30 バイオ−テック ビオローギッシュ ナチューフェアパックンゲン ゲーエムベーハー ウント コンパニ カーゲー ポリマー組成物
KR20170111703A (ko) * 2016-03-29 2017-10-12 (주)우성케미칼 상용성이 개선된 생분해성 컴파운드 조성물
KR101936952B1 (ko) * 2018-06-19 2019-01-09 윤홍섭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839344A (zh) 2020-02-25
US20210260240A1 (en) 2021-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45276A1 (ko) 굴곡 벤딩이 가능한 부목 및 그 성형방법
DE69914882D1 (de)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bt-katheterballons
CN113429750A (zh) 一种复合增韧耐高温聚乳酸改性材料及其制备方法
WO2014205920A1 (zh) 生物降解树脂组合物
EP3530694A1 (en) Polyester composition, preparation method therefor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987086B1 (ko) 저온 가공성이 향상된 생분해성 복합수지조성물, 복합수지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시트제조방법
WO2014084425A1 (ko) 캐스트 및 그 제조방법
CN112644123A (zh) 一种增韧型双向拉伸聚乳酸薄膜及其制备方法
JP2006212897A (ja) ポリ乳酸系成型品の製造方法
WO2017023115A1 (ko) 열가소성 캐스트
JP2007246624A (ja) 耐熱性に優れた脂肪族ポリエステル樹脂押し出し成型シート及び容器
KR101962120B1 (ko) 생분해성 모노필라멘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모노필라멘트 제조방법
JP3135154B2 (ja) 多孔性フィルム
CN1444616A (zh) 减少胶乳暴露的方法和制品
JP2007186543A (ja) 生分解性軟質シート
WO2023149728A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의료용 부목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06265457A (ja) ポリ乳酸組成物
CN107189297A (zh) 一种水溶性可降解材料、制备方法及打印支撑
JP4065006B2 (ja) 生分解性樹脂組成物
KR102257140B1 (ko) 생분해성 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및 그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2002105750A (ja) 草刈り機用モノフィラメン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052202A (ja) 離型用フィルム
US20210052344A1 (en) Immobilisation device
JP2003231820A (ja) 生分解性樹脂製シート
JP3619055B2 (ja) 生分解性梱包用バンド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224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2249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