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225902A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225902A1
WO2019225902A1 PCT/KR2019/005889 KR2019005889W WO2019225902A1 WO 2019225902 A1 WO2019225902 A1 WO 2019225902A1 KR 2019005889 W KR2019005889 W KR 2019005889W WO 2019225902 A1 WO2019225902 A1 WO 201922590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upport
drip tray
cross
drainage hole
upp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588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영태
김경희
Original Assignee
Kim Young Tae
Kim Kyong Hee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Kim Young Tae, Kim Kyong Hee filed Critical Kim Young Tae
Publication of WO201922590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22590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pot holder having a drip tray.
  • Conventionally used plant pots include a flat plate type without drainage function, a drip tray type with a drainage hole and a drip tray, and a wheel type (wheel type) having improved mobility by mounting wheels on the bottom surface.
  • the flat plate type is advantageous in terms of load support, but there is no drainage function, so that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pot is contaminated when the water is evaporated while remaining on the pedestal.
  • the potted pedestal of the drainage hole is provided with a flat surface is a top surface on which the pot is placed, the drainage is not smooth,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rplus irrigation water is partially accumulated throughout the upper surface.
  • Conventional drip tray type pot stand is supported by four legs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top plate, and excess water remaining after watering falls from the pot to the top of the pot stand and exits to the drainage hole drilled in the center of the top plate.
  • the load supporting structure of the planter pedestal is a support type of both ends and because of the drip tray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has a problem that can not install a separate structure that can prevent the central portion sag even if the load increases.
  • the supporting point of the load also cannot be selected at the bottom of the center of gravity, so the optimization of the load supporting structure and the capacity of the drip tray are in conflict.
  • the larger the pot the greater the load and the greater the amount of watering, which is a critical constraint on the design of the pot stand.
  • the size of the top plate of the wheel type pot stand is 10-20 mm larger than that of the basic type to produce dual production.
  • the rib structure is dens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op plate or the thickness of the base material is increased to prevent bending of the top plate and to secure rigidity. It is trying to improve this phenomenon by increasing the overall height by increasing it, but it is not a fundamental countermeasure only because of its increase in weight and size.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t stand having a smooth support function and a sufficient water storage space while supporting the pot stable.
  • the planter pedestal has an upper surface having a drain hole and a top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having a support surface formed at a lower portion thereof, protruding upward from the support surface.
  • a lower frame having a cruciform support configured to support and a water reservoir forming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age hole and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discharged from the space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plate. It includes.
  • the drip tray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using the cross support as a guide rail.
  • the drip tray may be provided as a pair, and each drip tray may have a semicircular shape and a guide groove into which one of the cross-shaped supports is inserted at the center thereof.
  • Receiving grooves for accommodating a part of one of the cross-shaped support portions may be provided at both end portions of the string of the semi-circular drip tray.
  • the guide groove and the receiving groove may be configured to form a cross-shaped space capable of receiving the cross-shaped support.
  • the drip tray may have a lower portion where the guide groove is formed than the outer edge, and the drip tray may include a water drain portion protruding to drain water on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 the cruciform support may include a cruciform support and four protruding supports respectively formed on four of the cruciform supports.
  • Four support surfaces may be provided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four protruding support portions may support the support surfaces of the support portion of the upper plate.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may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concave down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low, the drain hole may b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spaced radially outward on the center portion.
  • the drainage holes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the drainage holes may be arrang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while being disposed between the support parts.
  • a drain dam may be provid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to be disposed at a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to preven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directly falling to a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 Pot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wheels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 the plurality of wheels may be fastened to a low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cross-shaped support and to a lower portion of each branch of the cross-shaped support.
  • the drip tray may be formed such that an upper end thereof is higher than an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in a state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and the lower frame.
  •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plate having a drain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plate an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 a support member including a cruciform support extending to the center, and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 hole, and inserting and inserting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with one of the cruciform supports as a guide rail; It includes a drip tray configured to be discharged.
  • the planter pedestal has an upper surface on which a drainage hole is form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upward to form a support surface at a lower portion thereof, protruding upward to support the support surface.
  • a lower frame having a support configured to be capable of forming a water, and a drip tray configured to be inserted into and discharged from a space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plate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age hole.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concave downward to form a reservoir space in the center.
  • the drainage hole is disposed at an edge of the water storage space, and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drainage hole to preven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directly flowing into the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It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upper board.
  • Po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op plate having a drain hole and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arts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and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plate and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top plate
  • a support member including a cruciform support extending to the center, and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 hole, and inserting and inserting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with one of the cruciform supports as a guide rail; It includes a drip tray configured to be discharged.
  •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includes an inclined surface formed concave downward to form a reservoir space in the center.
  • the drainage hole is disposed at an edge of the water storage space, and is disposed radially outward of the drainage hole to preven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directly flowing into the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It is provid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said upper board.
  • Plant pot stand is provided with a drain hole and the upper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upward and the support surface is formed at the bottom,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support surface protrudes upward
  • a lower frame having a cruciform support, and a drip tray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into a space between the lower frame and the upper plate and forming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 hole.
  •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as a flat surface that can support the po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ain hole.
  • the planter pedestal includes a top plat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protruding upwardly and having drainage holes, and a cross-shaped support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top plate and extending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And a drip tray configured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 hole, and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into the lower space of the support member using one of the cross-shaped supports as a guide rail.
  •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formed as a flat surface that can support the pot,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ortion is located higher than the drain hole.
  • the top plate and the cross-shaped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same, stable load support is possible.
  • the drip tray has a receiving groove and is inserted into one of the cross support members, the size of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drip tray can be increased as much as possible.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of the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1.
  •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V of FIG. 1.
  •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pot holder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ot is placed on the pot stan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other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the plant pot holder of FIG. 11.
  •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VII-VII of FIG. 11.
  • Plant pot stan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pot and to temporarily store the excess moisture discharged from the pot down.
  • the plant pot holder includes a top plate 10, the lower frame 20, and the drip tray 30.
  • the upper plate 10 is mounted on the lower frame 20, the drip tray 3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20 and discharged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f necessary. Can be.
  •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20 may have a circular plate shape as a whole, and the drip tray 30 may be provided as two semicircular shapes, respectively, and two semicircular shapes.
  • the drip tray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20 to face each other. Referring to FIG. 4, in the state where the drip tray 3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20, the upper end of the drip tray 3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upper plate 10. As a result, the upper end of the drip tray 30 is set higher than the top plate 10 and is exposed and constitutes the circumference as a whole. Therefore, even if the drip tray 30 does not have a separate handle, the insertion and discharge of the drip tray 30 can be performed at any angle. It can be done easily.
  • the upper plate 10 has an upper surface 12 having a drainage hole 11. 1 and 4, the upper surface 12 may be formed as an inclined surface formed to be concave down so that the center portion is low, and the drainage hole 11 may b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12.
  • the four drainage holes 11 may be provided, and the four drainage holes 11 may be spac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er and arranged at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 the drainage holes 11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our supports 13, respectively.
  • the upper plate 10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portions 13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2. As shown in FIG. 1, four support parts 13 may be provided, and the support parts 13 support the flower pots, and the upper surface of each support part 13 may be stably placed thereon. It can be formed flat. The four support parts 13 may be arranged to form equal interval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o as to form a cross shape as a whole.
  • the lower frame 20 has a flat plate shape.
  • the lower frame 20 includes a bottom portion 21 in the form of a disc and a cross-shaped support portion 2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thereof.
  • the bottom portion 21 is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lace where the pot is placed.
  • the cross support 22 is four protruding supports 222 which protrude upward again from four upper surfaces of the cross support 221 and the cross support 221.
  • a protruding support part 222 supports the four support surfaces 14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support part 13 of the upper plate 10.
  • the slot 223 is formed on the protruding support part 222, and the support surface 14 of the upper plate 10 is provided with an insertion protrusion 15 inserted into the slot 223, thereby allowing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 20 may be faste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the drip tray 30 may form a water storage space 31 for storing water falling through the drainage hole 11, and as shown in FIG. 4, the water storage space 31 is located below the drainage hole 11. Configured to be located.
  • a drain dam 16 may be provided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 hole 11, respectively.
  • the drain dam 16 is disposed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11 to prevent water flowing down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directly flowing into the radially outer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11 and falling off.
  • water that is separated from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rainage hole 11 is blocked by the drainage dam 16 and does not flow directly into the drainage hole 11, but flows through both side sides of the drainage hole 11 and the four drainage holes 11. After the lower space between the centers is collected in the center, the water level falls down through the drainage hole 11 when the water level reaches the radially inner portion of the drainage hole 11.
  • the drip tray 30 is configured to be inserted and discharged using the cross-shaped support 20 as a guide rail.
  • two drip trays 30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re provided, and each drip tray 30 has a guide groove 32 into which one of the cross supports 20 is inserted at the center thereof. That is, when the drip tray 30 is inserted between the upper plate 10 and the lower frame 20, one of the cross support portions 20 is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2 to function as a guide rail.
  • the drip tray 30 is formed of a lower portion of the guide groove 32 is formed than the outer edge portion, that is, the arc portion, that is, the height of the string portion is formed, both sides of the guide groove 32 to form a protrusion to drain the water Water drain 34 may be provided.
  • the water can be easily drained through the water drain 34 by tilting the drip tray 30 while holding the outer edge of the drip tray 30.
  • the guide groove 32 described above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tring of the drip tray 30 having a semi-circular shape, and the receiving groove 33 for accommodating a part of one of the cross-shaped support portions 20 is formed at both sides thereof. do.
  • the guide grooves 32 and the receiving grooves 33 form cross-shaped spaces that can accommodate the cross support.
  • the drip tray 30 is easily inserted in the state in which the pot 200 is placed on the top plate 10, May be discharged.
  • the drip tray 30 since the drip tray 30 has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entire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10 except for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cross-shaped support 20 can be used as a water storage space.
  • the upper plate 10, the lower frame 20 and the pair of drip trays 30 are illustrated as an example, but have a circular shape as a whole, but the shape thereof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rectangular, elliptical, or the like.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 FIGS. 8 and 9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 pot hold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ually the same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difference is that the wheel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All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are omitted.
  • the lower frame 120 includes a cross support 122 and four support protrusions 123 provided thereon, and a plurality of wheels 125 under the cross support 122. )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wheel 125 may be installed on the lower surface of each branch of the cross-shaped support 122, respectively. 9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one wheel 125 is installed at each of four branches of the cross support 122 and an additional wheel 125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cross support 122. The number and position of the wheels is not limited thereto.
  • FIGS. 10 and 1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lanter pedesta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support member of Figure 11
  • Figure 13 is cut along the line X-X of Figure 11 It is a cross section.
  •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late and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frame are integrally formed. All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are omitted.
  • the support member 100 includes a top plate 116 and a cross support 117 integrally formed thereon.
  • a cover member 118 covering the bottom of the four support legs of the cross support 117 may be provided.
  • the drip tray 30 may be inserted in a state where the inner portion is placed on the locking step 119 provided in the cross support 117.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nt pot stand and has industrial applicabilit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
본 발명은 물받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화분 받침대는 배수 기능이 없는 평판 타입, 배수 홀과 물받이를 구비하는 물받이 타입, 그리고 바닥면에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킨 휠 타입(wheel type) 등이 있다.
평판 타입은 하중 지지의 면에서는 유리하나 배수 기능이 없어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받침대 상에서 그대로 머물면서 증발하게 되면 받침대 상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수 홀이 구비된 방식의 화분 받침대의 경우에도 화분이 놓이는 상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며 그로 인해 잉여관수가 상면의 전체에 부분적으로 고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물받이 타입의 화분 받침대는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네 개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관수 후 남는 잉여 수분이 화분에서 화분 받침대 상판으로 떨어지며 상판의 중앙부에 뚫린 배수 홀로 빠져 나가 하부에 별도로 구비된 서랍식 물받이에 모이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화분 받침대의 하중 지지 구조는 양단 지지보 형식이며 상판의 하부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물받이 때문에 하중이 커져도 중앙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물받이의 용량 확보를 위해 하중의 지지점도 바닥면에서 무게 중심의 최적점을 선택하지 못하고 최외곽에 둘 수 밖에 없어 하중 지지 구조의 최적화와 물받이의 용량 증대가 상충 관계에 있는 구조이다. 특히 화분이 클수록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관수량도 많아져 이 현상은 화분 받침대의 디자인의 치명적인 제약 요소가 되고 있다.
더욱이 휠 타입의 화분 받침대인 경우 바퀴와 물받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캐스터 바퀴가 360도 회전할 때의 영역을 확보해야 하므로 바퀴가 차지하는 영역이 더욱 커지게 되어 물받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크게 작아진다. 이로 인해 기본적인 물받이 타입과 휠 타입을 동일 사이즈로 유지하지 못하고 물받이 공간의 확보를 위해 휠 타입의 화분 받침대의 상판의 크기를 기본 타입의 상판보다 10 내지 20밀리미터 정도 크게 하여 이원화 생산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양단 지지보 형식의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판의 휨을 방지하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판의 하면에 리브(rib) 구조를 치밀하게 하거나 기본 소재의 두께를 증대하고 있으며 또한 사이즈가 커질 때에는 리브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등으로 전체 높이를 증가시켜 이 현상에 대한 개선을 시도하고 있으나 무게와 크기가 커질 뿐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선행기술문헌]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977호(공개일자: 2008년10월29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원활한 배수 기능 및 충분한 물 저장 공간을 가지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물받이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원 형상의 물받이의 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외측 테두리보다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부분이 더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물의 배수를 위해 돌출 형성되는 물 배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십자형 지지대, 그리고 상기 십자형 지지대의 네 가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돌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은 네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네 개의 돌출 지지부가 상기 상판의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중심부 상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중심부의 하부 및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각 가지의 하부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판의 상단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홀이 형성되는 상면을 가지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에 지지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저수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한다.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저수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 보다 높게 위치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보다 높게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십자형 지지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물받이가 수용 홈을 구비하여 십자형 지지 부재의 한 가지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받이의 물 저장 공간의 크기가 최대한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상에 화분이 올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분 받침대의 지지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Ⅹ-Ⅹ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받칠 수 있고 화분에서 배출되는 잉여수분을 아래로 배출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판(10), 하부 프레임(20), 그리고 물받이(30)를 포함한다. 상판(10)은 하부 프레임(20) 위에 올려지고, 물받이(30)는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삽입되고 필요한 경우 횡방향으로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 및 하부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물받이(30)는 각각 반원 형상의 두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원 형상의 두 개의 물받이(30)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물받이(30)가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물받이(30)의 상단이 상판(1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물받이(30)의 상단이 상판(10)보다 높게 설정되어 노출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주를 구성하고 있어 물받이(30)에 별도의 손잡이가 없더라도 임의의 각도에서 물받이(30)의 삽입 및 배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0)은 배수 홀(11)을 구비하는 상면(12)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면(12)은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 홀(11)은 경사면(12)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배수 홀(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네 개의 배수 홀(11)은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홀(11)은 네 개의 지지부(13)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판(10)은 상면(1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1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지지부(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지지부(13)는 화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각 지지부(13)의 상면은 그 위에 화분이 안정적으로 올려 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네 개의 지지부(13)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십자(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20)은 평판 형태를 가진다. 하부 프레임(20)은 원판 형태의 바닥부(21)와 그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십자형 지지부(22)를 포함한다. 바닥부(21)는 화분이 놓이는 장소의 바닥면 상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십자형 지지부(22)는 십자형 지지대(221), 그리고 십자형 지지대(221)의 네 가지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다시 돌출되어 형성되는 네 개의 돌출 지지부(222)를 포함하며, 돌출 지지부(222)가 상판(10)의 지지부(13)의 하부에 구비되는 네 개의 지지면(14)을 각각 지지한다. 이때, 돌출 지지부(222) 상에는 슬롯(223)이 형성되고 상판(10)의 지지면(14)에는 슬롯(223)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5)가 구비됨으로써,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이 정해진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다.
물받이(30)는 배수 홀(11)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3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 공간(31)은 배수 홀(11)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수 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배수 댐(16)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댐(16)은 배수 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배수 홀(11)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유입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배수 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떨어진 물은 배수 댐(16)에 막혀 배수 홀(11)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배수 홀(11)의 양 측 사이드를 흘러 네 개의 배수 홀(11) 사이의 더 낮은 공간이 중심부에 모인 후 수위가 배수 홀(11)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까지 차면 배수 홀(11)을 통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각 배수 홀(11)로 균등하게 물이 배출되게 되어 물이 하부의 물받이(30)의 물 저장 공간(31)에 균일하게 차게 된다. 이에 의해 물 저장 공간(31) 중 일부에 물이 더 많이 모이게 되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물받이(30)는 십자형 지지부(20)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원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물받이(30)가 구비되며, 각 물받이(30)는 중심부에 십자형 지지부(20)의 한 가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32)을 구비한다. 즉, 물받이(30)가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삽입될 때, 가이드 홈(32)에 십자형 지지부(20)의 한 가지가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의 기능을 한다. 이때, 물받이(30)는 외측 테두리 부분, 즉 호 부분보다 가이드 홈(32)이 형성되는 부분, 즉 현 부분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가이드 홈(32)의 양측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물 배수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물받이(3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물받이(30)를 기울임으로써 물 배수부(34)를 통해 물을 쉽게 배수할 수 있다.
한편, 반원 형상을 가지는 물받이(30)의 현의 중심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가이드 홈(3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십자형 지지부(20)의 한 가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33)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물받이(30)가 하부 프레임(20)에 체결되면 가이드 홈(32)과 수용 홈(33)은 십자형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판(10), 하부 프레임(20) 및 물받이(30)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200)이 상판(10)에 올려진 상태에서 물받이(30)가 쉽게 삽입,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30)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십자형 지지부(20)의 단면적을 제외한 상판(10) 하부의 전체 면을 물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판(10), 하부 프레임(20) 및 체결된 한 쌍의 물받이(30)가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며 하부 프레임에 바퀴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120)은 십자형 지지대(122)와 그 상부에 구비되는 네 개의 지지 돌출부(123)를 구비하며, 십자형 지지대(122)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25)가 설치된다. 이때, 바퀴(125)는 십자형 지지대(122)의 각 가지의 하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십자형 지지대(122)의 네 개의 가지에 각각 하나의 바퀴(125)가 설치되고 십자형 지지대(122)의 중심부에 추가로 하나의 바퀴(125)가 설치된 경우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퀴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의 서랍식 물받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의 경우 물받이가 상판의 중심부의 하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중심부에 바퀴가 설치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졌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십자형 지지대의 중심부의 하부에도 바퀴가 설치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지지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Ⅹ-Ⅹ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며 상판에 해당하는 부분과 하부 프레임에 해당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00)가 상판(116) 및 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십자형 지지부(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십자형 지지부(117)의 네 개의 지지 다리의 바닥에 씌워지는 커버 부재(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30)는 내측 부분이 십자형 지지부(117)에 구비되는 걸림턱(119) 상에 올려지는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Claims (18)

  1.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
    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물받이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
  4. 제3항에서,
    상기 반원 형상의 물받이의 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구비되는 화분 받침대.
  5. 제4항에서,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
  6. 제3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외측 테두리보다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부분이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물의 배수를 위해 돌출 형성되는 물 배수부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
  7. 제1항에서,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십자형 지지대, 그리고 상기 십자형 지지대의 네 가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네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네 개의 돌출 지지부가 상기 상판의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화분 받침대.
  8. 제1항에서,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중심부 상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
  9. 제8항에서,
    상기 배수 홀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화분 받침대.
  10. 제8항에서,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화분 받침대.
  11. 제1항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바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중심부의 하부 및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각 가지의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화분 받침대.
  13. 제1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판의 상단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
  14.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
    를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15. 배수홀이 형성되는 상면을 가지며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하부에 지지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지지부를 포함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저수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화분 받침대.
  16.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에 저수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저수공간의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화분 받침대.
  17.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 보다 높게 위치하는
    화분 받침대.
  18.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
    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보다 높게 위치하는 화분 받침대.
PCT/KR2019/005889 2018-05-23 2019-05-17 화분 받침대 WO2019225902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58A KR101931303B1 (ko) 2018-05-23 2018-05-23 화분 받침대
KR10-2018-0058058 2018-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902A1 true WO2019225902A1 (ko) 2019-11-28

Family

ID=649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5889 WO2019225902A1 (ko) 2018-05-23 2019-05-17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1303B1 (ko)
WO (1) WO2019225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03B1 (ko) * 2018-05-23 2018-12-20 김영태 화분 받침대
US11246268B2 (en) * 2018-07-27 2022-02-15 Michael L. Spencer Potted plant tray
KR20200129459A (ko) 2019-05-08 2020-11-18 주식회사 현송 화분 시스템
KR200496880Y1 (ko) 2020-11-27 2023-05-16 배병인 내부가 분할되는 화분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168Y1 (ko) * 1980-10-07 1982-02-19 계훈건 물받이통을 겸비한 화분 받침대
KR930000868Y1 (ko) * 1990-11-20 1993-02-27 호동환 화분 받침대
KR20080050363A (ko) * 2008-05-08 2008-06-05 변혜란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130033637A (ko) * 2011-09-27 2013-04-04 박경화 자동 급수 화분 받침대
JP2017118833A (ja) * 2015-12-28 2017-07-06 肇 椎名 植木鉢
KR101931303B1 (ko) * 2018-05-23 2018-12-20 김영태 화분 받침대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0168Y1 (ko) * 1980-10-07 1982-02-19 계훈건 물받이통을 겸비한 화분 받침대
KR930000868Y1 (ko) * 1990-11-20 1993-02-27 호동환 화분 받침대
KR20080050363A (ko) * 2008-05-08 2008-06-05 변혜란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20130033637A (ko) * 2011-09-27 2013-04-04 박경화 자동 급수 화분 받침대
JP2017118833A (ja) * 2015-12-28 2017-07-06 肇 椎名 植木鉢
KR101931303B1 (ko) * 2018-05-23 2018-12-20 김영태 화분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1303B1 (ko) 2018-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225902A1 (ko) 화분 받침대
CN102598890B (zh) 管理电缆的系统和方法
CN104520744B (zh) 电信机箱和理线器
EP2420133A1 (en) Integrated vertical greening module
JP2008043241A5 (ko)
WO2012148086A2 (ko) 수분공급이 가능한 화분 받침대
CN105935031A (zh) 一种组合式植物种植盒与种植模块
WO2020022763A1 (ko) 자동급수가 가능한 걸이식 화분
KR102074819B1 (ko) 화분 받침대
WO2019074162A1 (ko) 화분 받침대
WO2018012891A1 (ko) 버섯재배용기
WO2015137538A1 (ko) 벽면녹화용 화분 및 그 화분을 이용한 벽면녹화 시스템
KR200385115Y1 (ko) 지주식 화분 받침대
WO2015178539A1 (ko) 자동급수 화분
WO2020071579A1 (ko) 수경 재배 용기
US11877546B2 (en) Self-watering pot bas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WO2022065659A1 (ko) 수직벽 녹화장치
CA2843545A1 (en) A plant feeding assembly
WO2021060781A1 (ko) 수경 재배 블록
US20190183065A1 (en) Self-watering planter with removable riser
KR102081448B1 (ko) 확장형 가든 시스템
WO2021125707A1 (ko) 분리형 화분
WO2019203439A1 (ko) 자동 급수 기능을 갖는 화분 조립체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8066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80669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