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29459A - 화분 시스템 - Google Patents

화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29459A
KR20200129459A KR1020190053891A KR20190053891A KR20200129459A KR 20200129459 A KR20200129459 A KR 20200129459A KR 1020190053891 A KR1020190053891 A KR 1020190053891A KR 20190053891 A KR20190053891 A KR 20190053891A KR 20200129459 A KR20200129459 A KR 202001294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led
water
flower pot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흥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송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송
Priority to KR10201900538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29459A/ko
Publication of KR2020012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94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3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 G01F23/6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 G01F23/6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floats of the free float type without mechanical transmission elements using mechanically actuated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구비한 화분; 상기 화분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서,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쌓여있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층은 직경 20mm이상 30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상기 제2층은 직경 2mm이상 5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상기 제3층은 통상의 흙으로 채워지는 내부채움부; 및 상기 내부채움부에 구비되는 수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분 시스템{Pot system}
본 발명은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화분 및 수위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화분받침이 필요없다는 것과 물 주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분은 그 바닥부분에 물 빠짐 구멍을 구비하고 있다. 화분에 물을 충분히 주게 되면, 화분 내부의 흙에 흡수되고 남은 물은 바닥의 물 빠짐 구멍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게 된다. 따라서, 화분과 함께 유출되는 물을 받는 용도의 화분받침대를 필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 화분 및 받침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관수를 하는 경우, 공급된 물이 내부 흙에 흡수된 후에는 아래 물 빠짐 구멍을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물을 자주 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화분의 물 빠짐 구멍을 통해 유출된 물은 화분받침대에 고이게 되지만, 통상 관수할 때 내부 흙에 물이 얼마나 필요한지 모르기 때문에, 종종 과도한 양의 물을 공급하게 되어, 결국 물이 화분받침대을 채운 후 외부로 넘쳐서 화분이 놓인 바닥을 적시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분 내부 흙의 건조한 정도를 알 수 없기 때문에, 관수 시점을 놓치거나 너무 자주 물을 주는 일이 자주 발생하여, 화분에 심어져 있는 화초, 식물 또는 나무의 생육이 저하되고 심한 경우 말라 죽거나, 뿌리가 썩어서 주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화분 내부를 통상의 흙 또는 상토라고 불리는 비교적 고운 흙으로 채운 경우, 매일 혹은 주기적으로 화분에 관수를 하게 되면, 내부의 흙은 점점 단단해지게 되어 화분에 심어져 있는 식물의 생육이 저하하게 되는 단점도 있어왔다.
한편,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화분 받침대의 구조를 개선하는 노력이 있어왔으나, 결국은 화분과는 별도의 화분받침대를 사용해야 하고 여전히 상술한 종래 문제점의 대부분이 남아있다는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 제10-1931303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화분 받침대가 필요없이도 물이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은 물론 물을 주는 시점을 정확히 알 수 있는 것이 가능한 화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화분 내부를 3개의 층으로 구성하고 각 층에 의도된 크기의 석재와 흙을 구비함으로써 생육이 잘 될 수 있는 화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분 시스템은, 내부공간을 구비한 화분; 상기 화분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서,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쌓여있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층은 직경 20mm이상 30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상기 제2층은 직경 2mm이상 5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상기 제3층은 통상의 흙으로 채워지는 내부채움부; 및 상기 내부채움부에 구비되는 수위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위표시부는, 내부채움부에 위아래 방향으로 구비되며, 긴 통형상이고 내부가 보이는 소재의 표시관; 및 상기 표시관 내부의 공간에 물이 차는 경우, 부력에 의해 뜨는 소재의 부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의 상단 개구부의 테두리는 원형이고, 상기 개구부의 직경은 20 cm 이상 60 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내부채움부의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부피 비율은 3 : 0.5 : 6.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석재는 화산석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관의 하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력부재는 스티로폼 소재이고, 얇고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관의 상단부에는 눈금표시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분에는 물 빠짐 구멍이 형성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분 시스템에 의하면, 화분의 바닥부에 물 빠짐 구멍이 없기 때문에, 화분받침대가 필요 없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분 내부에 의도된 크기의 석재와 흙으로 구성된 다수 층을 구비하고 있고 수의표시부를 구비하고 때문에, 물 주는 시점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물 주는 주기도 종래보다 늘어난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분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수위 표시부 만을 좀더 상세히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화분 시스템(1)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화분 시스템(1)는, 물 빠짐 구멍이 형성되지 않아, 화분 받침대가 필요 없을 뿐 아니라, 수위표시부를 구비하고 있어서, 물 주는 시기와 양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화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분 시스템(1)는, 화분(10), 내부채움부(20) 및 수위표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화분(10)은 종래의 화분과 유사한 형상과 재질로 구성된다.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있다. 다만, 종래 화분과 차별화 되는 구성은 바닥에 물 빠짐 구멍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이에 따라 물을 받아서 외부로 흐른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분받침대는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화분의 전체적인 형상과 재질은 종래 화분과 유사하다. 즉, 전체적인 형상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 사각통형, 혹은 측부가 불룩한 항아리형 등이 가능하다. 또한 재질 역시 도자기, 플라스틱 등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화분(10)은 상단 테두리가 원형으로 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통형이다. 다만 수학적 의미의 원통형이라기 보다는 전체적으로 보아 실실적으로 원통형이다. 따라서 도 1에 예시된 화분(10)도, 하부의 직경이 다소 줄어드는 형상이지만, 이를 원통형에 포함시키기로 한다. 또한 중간 부분이 다소 볼룩한 형상도 포함한다.
화분(10)의 상단 개구부의 테두리는 원형이다. 개구부의 테두리의 직경은 32cm 이다. 다른 실시예의 경우, 화분의 상단 개구부의 테두리의 직경은 20cm 이상 60c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테두리 직경의 범위를 한정한 이유는, 이러한 범위는 여러 번의 실험을 통해 얻어진 것으로서, 제1층(22), 제2층(24) 및 제3층(26)에 채워지는 석재와 흙의 크기와 배치를 가지는 상태에서, 제시한 테두리 직경 범위이어야 식물의 생육이 잘 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본 실시예의 화분(10)의 직경 32cm 가 가장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시한 테두리 직경 범위 보다 더 작거나 큰 경우, 채워지는 석재의 크기는 흙의 배치 순서 등이 재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상기 내부채움부(20)는 화분(10)의 내부공간에 채워지는 것이다. 종래에는 내부채움부에 전체적으로 동일한 크기와 성상의 흙으로 채워지는 것이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채움부(20)는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제1,2,3층(22, 24, 26)으로 구분되어 있다. 제1층(22)은, 직경이 20mm이상 30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제2층(24)은 직경 2mm이상 5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제3층(26)은 통상의 흙으로 채워진다. 통상의 흙은 상토라고도 불린다. 제1층(22)과 제2층(24)에 채워지는 석재는 본 실시예의 경우 화산석이다. 화산석은 다공성 석재이기 때문에, 물 빠짐이 좋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내부채움부(20)의 제1층(22), 제2층(24) 및 제3층(26)의 부피 비율은 3 : 0.5 : 6.5 이다. 즉 내부채움부(20)의 내부공간의 전체 부피를 10으로 보았을 때, 제1,2,3층이 각각 차지하는 부피가 3:0.5:6.5라는 의미이다. 한편, 다른 실시예의 경우, 화분의 전체적인 형상이 변경되어도, 합리적인 고려를 통해, 제시한 부피비는 유효하다.
내부채움부(20)의 제1,2,3층(22, 24, 26) 부피비는 화분의 상단 테두리 직경 범위 내에서 수많은 테스트를 통해 확보한 유효한 부피비이다.
내부채움부(20)가 이렇듯 다층으로 구성되고, 아래 쪽에 배치된 제1층(22)은 굵은 화산석으로 채워지고, 제2층(24)은 가는 화산석으로 채워지고, 그 위에 상토로 채워져 있기 때문에,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수위표시부(50)는 내부채움부(20)에 구비된다. 내부채움부(20)에 거의 수직한 방향으로 구비된다. 수위표시부(50)을 통해, 화분 내부공간에 공급된 물의 양을 알 수 있다.
수위표시부(50)는, 표시관(52)과 부력부재(58)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관(52)은, 긴 통형상이고, 내부가 보이는 투명 혹은 반투명의 소재로 되어 있다. 플라스틱 이나 유리재질 일 수 있다. 표시관(52)이 하부에는 다수의 관통공(54)이 구비되어 있다. 관통공(54)은 화분 내부공간으로 공급된 물이 통과되어 표시관 내부로 유입될 수 있는 크기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공은 원형이며, 그 직경은 대략 2mm 정도이다. 관통공(54)의 크기는 주변에 배치된 석재의 크기보다 작게 되어 있으면 된다.
표시관(52)의 상단부에는 눈금표시(56)가 되어 있다. 표시관(52) 내부로 유입된 물에 의해 부력부재(58)가 뜨게 되면, 그 부력부재(58)이 상단이 눈금표시(56)를 가리키는 위치에 의해 화분 내부에 어느 정도의 물이 존재하고 있는 지 알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화분에 물을 더 공급해야 할지 말지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부력부재(58)는, 표시관(52) 내부의 공간에 화분에 물이 유입되어 차는 경우, 부력에 의해 뜨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부력부재(58)는 스티로폼 소재이고, 얇고 긴 봉 형상이다. 적은 양의 물에 의해서도 뜰 수 있도록 가볍고, 물에 오랫동안 잠겨 있어도 부식이 안 되는 내수성이 높은 소재가 바람직하다.
이하, 상술한 구성의 화분 시스템(1)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화분 시스템(1)는, 화분(10)의 바닥부에 물 빠짐 구멍이 없기 때문에, 종래의 화분에서 물 빠짐 구멍으로 배출되는 물을 받아두기 위한 용도의 화분받침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또한, 수위표시부(5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화분 내부의 물이 어느 정도 있는지가 눈으로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양의 물을 화분에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식재된 식물의 생육이 좋아지고 생존율 역시 높다는 장점 있다. 종래에는 물이 물 빠짐 구멍으로 외부로 배출되어 버려지게 되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물이 버려지는 것이 없기 때문에, 물을 주어야 하는 주기가 종래 화분보다 상당히 길어 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화분받침대를 구비하지 않아도 되어, 외관상 깔끔하고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화분 시스템(1)은 화분(10)의 내부공간에 아래에서 위로 순차적으로, 굵은 화산석이 채워진 제1층, 가는 화산석이 채워진 제2층 및 흙으로 채워진 제3층으로 구성되어 있고, 위아래방향으로 세워져 구비된 수위표시부(50)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식물의 뿌리가 썩지 않고 잘 자란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실시예의 경우, 수위표시부(50)가 하단에 관통공(54)이 구비되어 있어서, 화분에 공급된 물이 유입될 수 있고, 그 유입된 물에 의해 부력부재(58)가 상승하면서 화분 내부의 물의 양을 나타내 준다. 또한 눈금표시(56)로 인해 화분 내부의 물을 양을 수치적으로 판단하기 쉽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화분 시스템
10 : 화분 20 : 내부채움부
22, 24, 26 : 제1,2,3층 50 : 수위표시부

Claims (6)

  1. 내부공간을 구비한 화분;
    상기 화분의 내부 공간에 채워지는 것으로서, 아래에서부터 위로 순차적으로 쌓여있는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내부채움부;
    상기 내부챔부에 위아래 방향으로 구비되며, 긴 통형상이고 내부가 보이는 소재의 표시관; 및
    상기 표시관 내부의 공간에 물이 차는 경우, 부력에 의해 뜨는 소재의 부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제1층은 직경 20mm이상 30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상기 제2층은 직경 2mm이상 5mm 이하인 석재로 채워지고, 상기 제3층은 통상의 흙으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채움부의 제1층, 제2층 및 제3층의 부피 비율은 3 : 0.5 : 6.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석재는 화산석인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화분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관의 하부에는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관통공이 다수개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부재는 스티로폼 소재이고, 얇고 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관의 상단부에는 눈금표시가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시스템.
KR1020190053891A 2019-05-08 2019-05-08 화분 시스템 KR202001294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891A KR20200129459A (ko) 2019-05-08 2019-05-08 화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891A KR20200129459A (ko) 2019-05-08 2019-05-08 화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9459A true KR20200129459A (ko) 2020-11-18

Family

ID=7369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891A KR20200129459A (ko) 2019-05-08 2019-05-08 화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2945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03B1 (ko) 2018-05-23 2018-12-20 김영태 화분 받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1303B1 (ko) 2018-05-23 2018-12-20 김영태 화분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27354A (en) Implantable reservoir for automatic watering of plants
US7320197B2 (en) Floating garden device
US4885869A (en) Automatic water-supplying flowerpot utilizing the capillary action and its water-supplying control method
KR102039379B1 (ko) 식재가 용이한 저수조 멀티 화분
US20150289461A1 (en) Self-watering flowerpot
KR101186624B1 (ko) 화분용 수위감지기 및 화분
KR20150078750A (ko) 수경재배용 화분
KR101085417B1 (ko) 자동급수 이끼화분
JP4898161B2 (ja) 植木鉢
KR200302520Y1 (ko) 수분 공급장치 및 수위측정기구가 장착된 화분
KR20200129459A (ko) 화분 시스템
KR101280123B1 (ko) 식물재배기 겸용 화분 받침대
KR101885752B1 (ko) 부유식 식물 재배 장치
KR200230820Y1 (ko) 화분
JP2015077128A (ja) 植木鉢用水位表示装置
CN201911093U (zh) 水、土分隔浸润式植物栽培花盆
JP2000102326A (ja) 補給水の水面標示具を有する植栽用ポット
KR101475859B1 (ko) 부유화분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KR200364349Y1 (ko) 분수형 급수화분
KR200159549Y1 (ko) 저수형 식물재배용기
CN215223370U (zh) 一种耐水植物栽培研究用的花盆
CN208273693U (zh) 浮标控制浇灌系统
KR200257503Y1 (ko) 자연 급수식 화분
FI110156B (fi) Kelluva kasvien kasvatuslai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