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819B1 - 화분 받침대 - Google Patents

화분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819B1
KR102074819B1 KR1020180097438A KR20180097438A KR102074819B1 KR 102074819 B1 KR102074819 B1 KR 102074819B1 KR 1020180097438 A KR1020180097438 A KR 1020180097438A KR 20180097438 A KR20180097438 A KR 20180097438A KR 102074819 B1 KR102074819 B1 KR 102074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ross
pot
drip tray
top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3584A (ko
Inventor
김영태
김경희
Original Assignee
김영태
김경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태, 김경희 filed Critical 김영태
Priority to KR1020180097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819B1/ko
Publication of KR20190133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7/00Flower holders or the like
    • A47G7/02Devices for supporting flower-pots or cut flowers

Abstract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는 상면을 가지며 상기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분 받침대{Flower pot supporter}
본 발명은 물받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기존에 사용되는 화분 받침대는 배수 기능이 없는 평판 타입, 배수 홀과 물받이를 구비하는 물받이 타입, 그리고 바닥면에 바퀴를 장착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킨 휠 타입(wheel type) 등이 있다.
평판 타입은 하중 지지의 면에서는 유리하나 배수 기능이 없어 화분에서 배출되는 물이 받침대 상에서 그대로 머물면서 증발하게 되면 받침대 상면이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배수 홀이 구비된 방식의 화분 받침대의 경우에도 화분이 놓이는 상면이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어 배수가 원활하지 못하며 그로 인해 잉여관수가 상면의 전체에 부분적으로 고이게 되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물받이 타입의 화분 받침대는 상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는 네 개의 다리에 의해 지지되며 관수 후 남는 잉여 수분이 화분에서 화분 받침대 상판으로 떨어지며 상판의 중앙부에 뚫린 배수 홀로 빠져 나가 하부에 별도로 구비된 서랍식 물받이에 모이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화분 받침대의 하중 지지 구조는 양단 지지보 형식이며 상판의 하부의 중심부를 통과하는 물받이 때문에 하중이 커져도 중앙부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별도의 구조물을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진다. 또한 물받이의 용량 확보를 위해 하중의 지지점도 바닥면에서 무게 중심의 최적점을 선택하지 못하고 최외곽에 둘 수 밖에 없어 하중 지지 구조의 최적화와 물받이의 용량 증대가 상충 관계에 있는 구조이다. 특히 화분이 클수록 하중이 급격히 증가하고 관수량도 많아져 이 현상은 화분 받침대의 디자인의 치명적인 제약 요소가 되고 있다.
더욱이 휠 타입의 화분 받침대인 경우 바퀴와 물받이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캐스터 바퀴가 360도 회전할 때의 영역을 확보해야 하므로 바퀴가 차지하는 영역이 더욱 커지게 되어 물받이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이 크게 작아진다. 이로 인해 기본적인 물받이 타입과 휠 타입을 동일 사이즈로 유지하지 못하고 물받이 공간의 확보를 위해 휠 타입의 화분 받침대의 상판의 크기를 기본 타입의 상판보다 10 내지 20밀리미터 정도 크게 하여 이원화 생산을 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양단 지지보 형식의 화분 받침대에 있어서 상판의 휨을 방지하고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판의 하면에 리브(rib) 구조를 치밀하게 하거나 기본 소재의 두께를 증대하고 있으며 또한 사이즈가 커질 때에는 리브의 깊이를 증가시키는 등으로 전체 높이를 증가시켜 이 현상에 대한 개선을 시도하고 있으나 무게와 크기가 커질 뿐 근본적인 대책은 되지 못하고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0004977호(공개일자: 2008년10월29일)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원활한 배수 기능 및 충분한 물 저장 공간을 가지는 화분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배수면과 상기 경사 배수면에 형성되는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화분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화분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화분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 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십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화분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부를 구비한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각의 물받이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반원 형상의 물받이의 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외측 테두리보다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부분이 더 낮게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물의 배수를 위해 돌출 형성되는 물 배수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십자형 지지대, 그리고 상기 십자형 지지대의 네 가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돌출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은 네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네 개의 돌출 지지부가 상기 상판의 상기 지지부의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상판의 상면은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중심부 상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경사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바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중심부의 하부 및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각 가지의 하부에 각각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판의 상단보다 높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는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보다 높게 위치한다.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십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화분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판과 이를 지지하는 십자형 지지 부재가 구비됨으로써,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물받이가 수용 홈을 구비하여 십자형 지지 부재의 한 가지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물받이의 물 저장 공간의 크기가 최대한 증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 상에 화분이 올려진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다른 화분 받침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화분 받침대의 지지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Ⅹ-Ⅹ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화분을 받칠 수 있고 화분에서 배출되는 잉여수분을 아래로 배출하여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 도 2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는 상판(10), 하부 프레임(20), 그리고 물받이(30)를 포함한다. 상판(10)은 하부 프레임(20) 위에 올려지고, 물받이(30)는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삽입되고 필요한 경우 횡방향으로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서 배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 및 하부 프레임(20)은 전체적으로 원형 플레이트의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물받이(30)는 각각 반원 형상의 두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반원 형상의 두 개의 물받이(30)가 서로 마주하는 상태로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물받이(30)가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물받이(30)의 상단이 상판(10)의 상단보다 높게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의해, 물받이(30)의 상단이 상판(10)보다 높게 설정되어 노출되어 있고 전체적으로 원주를 구성하고 있어 물받이(30)에 별도의 손잡이가 없더라도 임의의 각도에서 물받이(30)의 삽입 및 배출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판(10)은 배수 홀(11)을 구비하는 상면(12)을 구비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면(12)은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수 홀(11)은 상면(12), 즉 경사 배수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네 개의 배수 홀(11)이 구비될 수 있으며, 네 개의 배수 홀(11)은 중심부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며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 홀(11)은 네 개의 화분 지지부(13)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판(10)은 상면(12)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화분 지지부(13)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 개의 지지부(13)가 구비될 수 있으며, 화분 지지부(13)는 화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각 화분 지지부(13)의 상면은 그 위에 화분이 안정적으로 올려 질 수 있도록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네 개의 화분 지지부(13)는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십자(十) 형상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20)은 평판 형태를 가진다. 하부 프레임(20)은 원판 형태의 바닥부(21)와 그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십자형 지지부(22)를 포함한다. 바닥부(21)는 화분이 놓이는 장소의 바닥면 상에 놓여진다. 구체적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십자형 지지부(22)는 십자형 지지대(221), 그리고 십자형 지지대(221)의 네 가지의 상면에서 상방향으로 다시 돌출되어 형성되는 네 개의 돌출 지지부(222)를 포함하며, 돌출 지지부(222)가 상판(10)의 화분 지지부(13)의 하부에 구비되는 네 개의 지지면(14)을 각각 지지한다. 이때, 돌출 지지부(222) 상에는 슬롯(223)이 형성되고 상판(10)의 지지면(14)에는 슬롯(223)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15)가 구비됨으로써,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이 정해진 위치에서 체결될 수 있다.
물받이(30)는 배수 홀(11)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31)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 저장 공간(31)은 배수 홀(11)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배수 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각각 형성되는 배수 댐(16)이 구비될 수 있다. 배수 댐(16)은 배수 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배수 홀(11)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유입되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배수 홀(11)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떨어진 물은 배수 댐(16)에 막혀 배수 홀(11)로 바로 유입되지 않고 배수 홀(11)의 양 측 사이드를 흘러 네 개의 배수 홀(11) 사이의 더 낮은 공간이 중심부에 모인 후 수위가 배수 홀(11)의 반경방향 내측 부분까지 차면 배수 홀(11)을 통해서 아래로 떨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각 배수 홀(11)로 균등하게 물이 배출되게 되어 물이 하부의 물받이(30)의 물 저장 공간(31)에 균일하게 차게 된다. 이에 의해 물 저장 공간(31) 중 일부에 물이 더 많이 모이게 되어 물이 넘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물받이(30)는 십자형 지지부(20)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반원 형상을 가지는 두 개의 물받이(30)가 구비되며, 각 물받이(30)는 중심부에 십자형 지지부(20)의 한 가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32)을 구비한다. 즉, 물받이(30)가 상판(10)과 하부 프레임(20) 사이로 삽입될 때, 가이드 홈(32)에 십자형 지지부(20)의 한 가지가 삽입되어 가이드 레일의 기능을 한다. 이때, 물받이(30)는 외측 테두리 부분, 즉 호 부분보다 가이드 홈(32)이 형성되는 부분, 즉 현 부분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고, 가이드 홈(32)의 양측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해 돌출 형성되는 물 배수부(3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물받이(30)의 외측 테두리 부분을 잡은 상태에서 물받이(30)를 기울임으로써 물 배수부(34)를 통해 물을 쉽게 배수할 수 있다.
한편, 반원 형상을 가지는 물받이(30)의 현의 중심부에는 위에서 설명한 가이드 홈(32)이 형성되고 그 양측에는 십자형 지지부(20)의 한 가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33)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의해 두 개의 물받이(30)가 하부 프레임(20)에 체결되면 가이드 홈(32)과 수용 홈(33)은 십자형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판(10), 하부 프레임(20) 및 물받이(30) 구조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200)이 상판(10)에 올려진 상태에서 물받이(30)가 쉽게 삽입,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물받이(30)가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십자형 지지부(20)의 단면적을 제외한 상판(10) 하부의 전체 면을 물 저장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도면에는 상판(10), 하부 프레임(20) 및 체결된 한 쌍의 물받이(30)가 전체적으로 원형 형상을 가지는 경우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들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타원형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며 하부 프레임에 바퀴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생략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120)은 십자형 지지대(122)와 그 상부에 구비되는 네 개의 지지 돌출부(123)를 구비하며, 십자형 지지대(122)의 하부에는 복수의 바퀴(125)가 설치된다. 이때, 바퀴(125)는 십자형 지지대(122)의 각 가지의 하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9는 십자형 지지대(122)의 네 개의 가지에 각각 하나의 바퀴(125)가 설치되고 십자형 지지대(122)의 중심부에 추가로 하나의 바퀴(125)가 설치된 경우에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바퀴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의 서랍식 물받이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의 경우 물받이가 상판의 중심부의 하부를 통과하기 때문에 중심부에 바퀴가 설치되기 어려운 구조를 가졌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십자형 지지대의 중심부의 하부에도 바퀴가 설치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하중 지지가 가능하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분 받침대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지지 부재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Ⅹ-Ⅹ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 동일하며 상판에 해당하는 부분과 하부 프레임에 해당하는 부분이 일체로 형성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모두 생략한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00)가 상판(116) 및 이에 일체로 형성되는 십자형 지지부(117)를 포함한다. 그리고 십자형 지지부(117)의 네 개의 지지 다리의 바닥에 씌워지는 커버 부재(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받이(30)는 내측 부분이 십자형 지지부(117)에 구비되는 걸림턱(119) 상에 올려지는 상태로 삽입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 상판
11: 배수 홀
12: 상면
13: 지지부
15: 삽입 돌기
20: 하부 프레임
21: 바닥부
22: 십자형 지지부
221: 십자형 지지대
222: 돌출 지지부
223: 슬롯
30: 물받이
32: 가이드 홈
33: 수용 홈
34: 배수부
125: 바퀴
100: 지지 부재

Claims (14)

  1.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배수면과 상기 경사 배수면에 형성되는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하부에 지지면이 형성되는 복수의 화분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지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과 상기 상판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
    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분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 홀 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십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면에 밀착되어 상기 화분 지지부를 지지하는 지지 돌출부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
  2. 제1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
  3. 제2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한 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물받이는 반원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
  4. 제3항에서,
    상기 반원 형상의 물받이의 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홈이 구비되는 화분 받침대.
  5. 제4항에서,
    상기 가이드 홈 및 상기 수용 홈은 상기 십자형 지지부를 수용할 수 있는 십자형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
  6. 제3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외측 테두리보다 상기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부분이 더 낮게 형성되고,
    상기 물받이는 상기 가이드 홈의 양측에 물의 배수를 위해 돌출 형성되는 물 배수부를 구비하는 화분 받침대.
  7. 제1항에서,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십자형 지지대, 그리고 상기 십자형 지지대의 네 가지 상에 각각 형성되는 네 개의 돌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은 네 개로 구비되어 원주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배열되며,
    상기 네 개의 돌출 지지부가 상기 상판의 상기 화분 지지부의 지지면을 지지하는 화분 받침대.
  8. 제1항에서,
    상기 배수 홀은 상기 중심부 상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격되는 상태로 상기 경사 배수면에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
  9. 제8항에서,
    상기 배수 홀은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배수 홀은 상기 화분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는 상태로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열되는 화분 받침대.
  10. 제8항에서,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배수 홀의 반경 방향 외측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상기 배수 홀의 반경방향 외측 부분으로 바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배수 댐이 상기 상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화분 받침대.
  11. 제1항에서,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는 복수의 바퀴를 더 포함하는 화분 받침대.
  12. 제11항에서,
    상기 복수의 바퀴는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중심부의 하부 및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각 가지의 하부에 각각 체결되는 화분 받침대.
  13. 제1항에서,
    상기 물받이는 상기 상판 및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단이 상기 상판의 상단보다 높도록 형성되는 화분 받침대.
  14. 중심부가 낮도록 아래로 오목하게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배수면과 상기 경사 배수면에 형성되는 배수 홀을 구비하며 상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화분 지지부를 구비하는 상판, 그리고 상기 상판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상판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십자형 지지부를 포함하는 지지 부재, 그리고
    상기 배수 홀을 통해 떨어지는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십자형 지지부의 한 가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상기 지지 부재의 하부 공간으로 삽입 및 삽입 및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물받이
    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 지지부의 상면은 화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화분 지지부의 상면은 상기 배수홀보다 높게 위치하고,
    상기 십자형 지지부는 상기 상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십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면이 반경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되어 상기 화분 지지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화분 받침대.
KR1020180097438A 2018-08-21 2018-08-21 화분 받침대 KR102074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38A KR102074819B1 (ko) 2018-08-21 2018-08-21 화분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438A KR102074819B1 (ko) 2018-08-21 2018-08-21 화분 받침대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58A Division KR101931303B1 (ko) 2018-05-23 2018-05-23 화분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84A KR20190133584A (ko) 2019-12-03
KR102074819B1 true KR102074819B1 (ko) 2020-02-07

Family

ID=68837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38A KR102074819B1 (ko) 2018-08-21 2018-08-21 화분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4542A1 (en) * 2020-10-05 2022-04-14 Hamlin Hugh Planter drainage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373Y1 (ko) 2007-04-24 2008-11-03 이승주 개량 화분받침대
KR20080050363A (ko) * 2008-05-08 2008-06-05 변혜란 자석 부착식 물받이가 구비된 화분받침대
KR101351006B1 (ko) * 2011-09-27 2014-01-17 박서빈 자동 급수 화분 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584A (ko) 201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1303B1 (ko) 화분 받침대
US20110232183A1 (en) Water supply and wetness adjustment flowerpot assembly
KR102074819B1 (ko) 화분 받침대
CA1197686A (en) Capillary disc and support therefor
US4249341A (en) Package for sprouts
US4667439A (en) Foam plastic flower pot
KR102039792B1 (ko) 화분 받침대
JP3203083U (ja) 植木鉢構造
US20190183065A1 (en) Self-watering planter with removable riser
US11877546B2 (en) Self-watering pot base and method for using thereof
US11930748B2 (en) Receiving tray for pot stand
US10716453B1 (en) Drying rack
KR200367512Y1 (ko) 접시형의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상자
KR200488835Y1 (ko) 배수가 용이한 화분 받침대
KR200368043Y1 (ko) 하부 급수식 화분받침용 연결상자
KR20220000297U (ko) 화분받침 트레이
JP6701474B1 (ja) 鉢受台
KR20210000984U (ko) 배치 형태에 관계없이 물받이를 배수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식기 건조대
KR20170001621U (ko) 화분 이중 물 받침대
WO2020110454A1 (ja) 鉢受台
KR20140090916A (ko) 멀티 화분 시스템
CA3024649A1 (en) Self-watering planter with removable riser
KR200254374Y1 (ko) 지지부 내부 삽입식 받침대가 형성된 화분
GB1581228A (en) Plant containers
US20240114847A1 (en) Plant contain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