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98930A1 -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98930A1
WO2019198930A1 PCT/KR2019/002262 KR2019002262W WO2019198930A1 WO 2019198930 A1 WO2019198930 A1 WO 2019198930A1 KR 2019002262 W KR2019002262 W KR 2019002262W WO 2019198930 A1 WO2019198930 A1 WO 201919893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vehicle
filter
air
pipe body
su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0226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남춘옥
Original Assignee
남춘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춘옥 filed Critical 남춘옥
Priority to BR112020007485-3A priority Critical patent/BR112020007485B1/pt
Priority to SG11201907087R priority patent/SG11201907087RA/en
Priority to CA3051233A priority patent/CA3051233C/en
Publication of WO201919893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9893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10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 plates, sheets or pads having plan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33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in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5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parall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1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 F01N13/017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parallel the purifying devices are arranged in a single hou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11Arrangements for mounting filtering elements in housing, e.g. with means for compensating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 F01N3/021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 F01N3/022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cooling, or for removing solid constituents of, exhaust by means of filters characterised by specially adapted filtering structure, e.g. honeycomb, mesh or fib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450/00Methods or apparatus for fitting, inserting or repairing different elements
    • F01N2450/30Removable or rechangeable blocks or cartridges, e.g. for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that can be mounted on the rear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it is mounted on the rear of a vehicle such as a passenger car and a truck, and the exhaust gas of the vehicle and the road surface dust by tires are inhaled and then purified and discharge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ier for a vehicle rear end that can efficiently suppress and remove fine dust in a direct or indirect form generated by a vehicle.
  • the fine dust designated as a class 1 carcinogen by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 2013 has been reported to have serious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body, and as the pollution gets worse year after year, it is becoming a serious social problem. have.
  • WHO World Health Organization
  • the silencer formed in the exhaust pipe and the exhaust pipe, and the exhaust pipe immediately after passing through the silencer A soot collecting filter formed in the filter, a soot collecting filter rotatably mounted on the soot collecting case with a metal mesh having a dense mesh, a cover attached to the soot collecting case to separate and clean the soot collecting filter, and soot
  • the dust reduction structure of the diesel vehicle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llecting case lower and consists of air supply holes for supplying outside air to the smoke collection filter, has been conceived and registered.
  • the front plate of the body with a plurality of guide vanes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 filter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an opening and closing door is provided at the bottom.
  • a filter device for preventing smoke emission of a vehicle which is a combination of fixing brackets, is placed and registered.
  • a smoke prevention device that directly configures the rear of the automobile muffler as a smoke prevention device or is attached separately to the rear of the muffler, and the smoke filter box for purifying exhaust gas at the tail of the automobile muffler.
  • the smoke-proof case with a built-in smoke filter for purifying the exhaust gas
  • the inside of the smoke filter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the sides are alternately open.
  • the soot filter is composed of a nonwoven fabric wetted by grease oil, and is arranged in a plurality at regular intervals, and a screen wire mesh covered with a nonwoven fabric is installed at an outlet of the soot filter can, so that the smoke of automobile exhaust gas is exhausted.
  • Grease soaked in the nonwoven fabric as it passes through the filter canister Carbon monoxide contained in soot is attached to the oil, and the exhaust smoke prevention device for automobile mufflers has been devised and registered so that only the heat of exhaust gas containing no harmful substances is discharged.
  • two or more filters which are located in the casing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passes such as the Patent No. 10-1214097, arranged in parallel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low direction of the exhaust gas;
  • the filter is fixedly mounted so that the arrangement of the filters is maintained, and fixing means seated inside the casing.
  • the existing soot filtration device should be mounted directly on the end muffler of the vehicle exhaust line or used in the middle of the exhaust line or combined with the end of the end muffler. Most of them are required, which is a significant problem to apply to the actual vehicle.
  • the fine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vehicle is indirect due to the vehicle, such as the form of fine dust generated when the tire of the vehicle rubs against the road surface and the scattering of the fine dust that has sunk on the road surface. There is no countermeasure against fine dust generated.
  • 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134974 (October 27, 1998)
  • Patent Document 2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266934 (2002.02.22. Registration)
  • Patent Document 3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20-0349378 (2004.04.26. Registration)
  • Patent Document 4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10-1214097 (2012.12.13. Registration)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o be mounted on the rear of the vehicle to have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ehicle and the air pump for forcibly sucking the air in the inlet pipe and the slit hole formed and the According to the filter means for purifying the air discharged from the air pump,
  • the suction pipe formed with a slit hol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ehicle, the air pump connected through the intake pipe and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the filter connected to the air pump It is configured as a means, the slit hole of the suction pipe is disposed to face the end muffler and the tire of the car, the upper side of the suction pipe is coupled to the mounting bracket for fixing the suction pipe to the rear of the car,
  • the inside of the suction pipe through the slit hole and the contaminated air introduced into the induction pipe and the air pump are supplied to the filter means to be purified, and the purified inlet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formed in the filter means. It is configured to be discharged to.
  • the present invention by directly inhaling the fine dust and dust around the tires generated during the driving process of the vehicle along with the smoke and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exhaust line of the vehicle to purify it and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or directly from the vehicle In addition to effectively removing the fine dust and various types of dust emitted indirect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pread of fine dust to the air as much as possible,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amount of fine dust generated by automobiles. .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installation example of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rear view of the vehicl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freight car
  • Figure 4 is a side view of a vehicle air purify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lorry
  • FIG. 5 is a detail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lter means of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component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the middl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 ... unit means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eans hardware or software or hardware and It can be implemented in a combination of software.
  • FIG. 1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n exemplary view of the installation of the vehicl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tate in which the vehicle air purifi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unted on a lorry 4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freight car.
  •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collects soot and exhaust ga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from the muffler end of the vehicle, that is, the end of the exhaust line, and removes dust and road surface tires generated around the tire during driving of the vehicle.
  • the dust is collected together to purify foreign substances and fine dust from them, and then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o remove indirect fine dust generated by driving the vehicle, including fine dust directly discharged from the vehicle. It is intended to be applied to general driving vehicles except for cleaning vehicles for the purpose of cleaning the road.
  • a rectangular suction pipe body 10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vehicle is provided, but the slit hole 11 facing the muffler end of the car and the tire on one side of the suction pipe body 10 does not face the road.
  • the suction pipe body 10 and the air pump 20 ar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pipe body 10 and ar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ction pipe body 10. It is connected by 12).
  • one side of the air pump 20 is equipped with a separate filter means 30, the filter means 30 is empty inside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air pump 20 inlet ( 32) is formed and the other side is formed with a discharge port 31 to let the air inside.
  • the mounting brackets 40 and 40 ' which are formed by bending metal plates or the like, are coupled to both upper sides of the suction pipe body 10, by using the mounting brackets 40 and 40'.
  • the suction pipe body 10 can be fixedly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vehicle, and the slit hole 11 formed in the suction pipe body 10 faces the muffler end of the vehicle and the tire.
  • the air pump 2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device of the vehicle so that the start of the vehicle is stopped at the same time the power is applied to the air pump 20 to immediately suck the smoke and exhaust gas discharged from the muffler end. I would have to.
  • the air pump 20 when the air pump 20 is operated to suck the soot of the vehicle into the air, the air pump 20 moves inside the air pump 20 along the induction pipe 12 and the contaminated air is the air pump 20 and the inlet ( 32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filter means 30, the filter means 30 to filter out various foreign matter or fine dust in the contaminated air and the purified air through the outlet 31 is discharged I would have to.
  •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remove dust or foreign substances generated around the tires as well as the smoke of the automobile, and the tires are generated innumerable dust due to friction with the road surface while driving.
  • dust, fine dust or other foreign matters that have sunk on the road will be scattered at the same time as the driving of the vehicle.
  • Such fine dust and foreign matters are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ipe body 10 to be purged and discharged together. It can be.
  • the air purifier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filter means 30 is built in a multi-stage filter, as shown in Figure 5, a plurality of fitting hol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p) of the filter means (30) 36 is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inlet 32, it is possible to insert a plurality of filters into the filter means 30 through the fitting hole (36).
  • the filter guide 37 protrudes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fitting hole 36 and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filter means 30 so that the various filters inserted into the inner portion through the fitting hole 36 are the filter guide 37. Guided through) will partition the inside of the filter means (30).
  • the mesh filter 33, activated carbon filter 34 and hepa filter 35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filter means 30, the mesh filter 33 is made of a synthetic resin or metal mesh form
  • the foreign particles in the polluted air supplied through the inlet 32 is to filter out the foreign matter having a relatively large particle, and the polluted air passing through the mesh filter 33 is dust or fine dust by the activated carbon filter 34 1 It will be filtered by car, while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35 again, the fine dust and the like harmful to the human body are completely filtered out.
  • the purified air passing through the HEPA filter 35 i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discharge port 31, so as to directly pollutants such as smoke and fine dust by automobiles, foreign matters or fine dust on the tire itself and the road surface. It can be removed quickly and effectively, making it a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device.
  • the filter means 30 can be cleaned or replaced by separating the various filters from the filter means 30 at regular intervals is also very convenient in use.
  • suction pipe 11 suction pipe 11: slit hol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미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미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슬릿공이 형성된 유입관체와 상기 유입관체 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수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자동차의 배기라인으로부터 발생하는 매연 및 미세먼지와 함께 자동차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주변의 미세먼지와 분진 등을 동시에 흡입하여 이를 정화시킨 후 대기로 배출되게 하므로, 자동차로부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다양한 형태의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대기중으로 미세먼지가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자동차로 인한 미세먼지의 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후미에 장착할 수 있도록 한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승용차 및 화물차 등의 자동차 후미에 장착하여 자동차의 배기가스 및 타이어에 의한 노면 분진 등을 흡입한 후 이를 정화시켜 배출되게 함에 따라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직,간접적인 형태의 미세먼지 등을 효율적으로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에 대한 것이다.
2013년 세계보건기구(WHO)에 의해 1급 발암물질로 지정된 미세먼지는 인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고, 해가 갈수록 오염이 심각해지는 동시에 위험성이 강조되고 있어 근래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미세먼지는 대략 30~50%가 중국발 황사 및 스모그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나머지는 국내 자체의 오염원으로부터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그 중 매연을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배기가스에서도 상당량의 미세먼지가 배출되고 있어, 고농도의 미세먼지가 예보되는 경우 심각하게는 차량 2부제와 같은 자구책을 강구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등록실용신안 제20-0134974호와 같이 배기파이프를 통해 배출되는 매연소가스를 포집하여 배출매연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고자, 배기파이프와 배기파이프에 형성된 소음기와, 소음기 통과 직후의 배기파이프에 형성된 매연포집케이스와, 조밀한 메쉬를 갖는 금속망으로 되어 매연포집케이스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매연포집필터와, 매연포집필터를 분리하여 세정할 수 있도록 매연포집케이스에 부착된 커버와, 매연포집케이스 하부 일측에 형성되어 매연포집필터에 외기를 공급하는 급기공으로 구성된 디젤차량의 매연저감구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266934호와 같이 내면에 다수개의 안내날개를 부착하여 된 삽입관을 일체로 한 몸체의 전면판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을 뚫고 몸체 내부에는 필터를 삽입하며 저면에는 개폐문을 만들었으며 상단에는 고정용 브라켓트를 일체로 결합하여서 된 차량용 매연 배출방지용 필터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49378호와 같이 자동차 머플러의 후미를 매연 방지기로 직접 구성하거나 상기 머플러의 후미에 별도로 부착되는 매연 방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 머플러의 후미를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매연 필터통이 내장된 매연방지 케이스로 직접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머플러의 후미에 배기가스를 정화시키는 매연 필터통이 내장된 매연방지 케이스를 별도로 부착하되, 부직포로 구성되는 상기 매연 필터통 내에는 일측이 서로 엇갈려서 개방되는 매연 필터를 구리스 오일에 담아서 젖어있는 상태로 된 부직포로 구성하여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여러 개 배치하고, 상기 매연 필터통의 배출구에는 부직포로 덮여진 스크린 철망을 설치함으로써, 자동차 배기가스의 매연이 상기 매연 필터통을 통과할 때 부직포에적셔져 있는 구리스 오일에 매연 속에 함유된 일산화탄소 등이 부착되고 배출구로는 유해한 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배기가스의 열기만 배출되도록 한 자동차 머플러용 매연 방지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214097호와 같이 배기가스가 지나는 케이싱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배기가스의 유동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병렬 배열되는 둘 이상의 필터; 상기 필터들의 배열구조가 유지되도록 상기 필터들이 고정 장착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안착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매연여과장치를 이용하면, 케이싱 전체를 분해하지 아니하고서도 필터의 장착 및 교체가 가능하므로 유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해지고, 필터 중 손상된 부분만을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외부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필터가 쉽게 파손되지 아니한다는 장점이 있는 디젤용 매연여과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그러나, 기존의 매연여과장치는 자동차의 배기라인 중 엔드 머플러에 직접 장착하여 사용되거나 배기라인 중간부에 장착 또는 엔드 머플러 끝단에 결합 사용하여야 하는 것으로, 구조에 따라 배기라인 전체에 대한 교체 혹은 개선이 요구되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실제 운행되고 있는 차량에 적용하기에는 상당한 문제점을 갖고 있는 것이다.
또한, 자동차가 운행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는 매연을 포함하고 있는 배기가스 이외에도 자동차의 타이어가 노면과 마찰하면서 발생하는 형태의 미세먼지 및 노면에 가라앉아 있던 미세먼지의 비산 등 자동차로 인해 간접적으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대책은 전무한 상태인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134974 (1998.10.27. 등록)
(특허문헌 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266934 (2002.02.22. 등록)
(특허문헌 3)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49378 (2004.04.26. 등록)
(특허문헌 4)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14097 (2012.12.13.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후미에 장착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차량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슬릿공이 형성된 유입관체와 상기 유입관체 내의 공기를 강제로 흡입하는 에어펌프 및 상기 에어펌프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수단으로 구성함에 따라,
자동차의 머플러를 통해 배출되는 매연 및 자동차의 운행에 따른 타이어 주변의 미세먼지를 흡입 및 정화 배출하여 자동차로부터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억제 및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릿공이 형성된 흡입관체와, 상기 흡입관체의 내부와 유도관을 통해 연결된 에어펌프와, 상기 에어펌프와 연결된 필터수단으로 구성되되, 상기 흡입관체의 슬릿공은 자동차의 엔드 머플러 및 타이어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흡입관체의 상부 양측에는 자동차의 후미에 흡입관체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설치브라켓이 결합 구성되어,
에어펌프의 작동에 의해 슬릿공을 통해 흡입관체의 내부와 유도관 및 에어펌프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필터수단으로 공급되어 정화되게 하고, 정화된 유입공기는 상기 필터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도록 구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배기라인으로부터 발생하는 매연 및 미세먼지와 함께 자동차의 주행 과정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주변의 미세먼지와 분진 등을 동시에 흡입하여 이를 정화시킨 후 대기로 배출되게 하므로, 자동차로부터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 및 다양한 형태의 분진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은 물론 대기중으로 미세먼지가 확산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어 자동차로 인한 미세먼지의 발생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화물차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화물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필터수단 상세 단면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의 설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화물차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가 화물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자동차의 머플러 즉, 배기라인의 끝단인 머플러 엔드에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매연 및 배기가스를 포집하고 자동차의 주행중 타이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타이어 분진 및 노면의 분진 등을 함께 포집하여 이들로부터 이물질 및 미세먼지를 정화시킨 후 다시 대기로 방출하는 과정을 거쳐 자동차로부터 직접적으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함하여 자동차의 운행에 따라 발생하는 간접적인 미세먼지까지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도로 청소를 목적으로 하는 청소차를 제외한 일반 주행 차량을 대상으로 적용 실시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자동차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장방형의 흡입관체(10)를 구비하되, 상기의 흡입관체(10) 일측에는 도로를 향하지 않고 자동차의 머플러 엔드 및 타이어를 향하는 슬릿공(11)이 가로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흡입관체(10)의 상부에는 별도 구비의 에어펌프(20)가 고정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흡입관체(10)와 에어펌프(20)는 유도관(12)에 의해 연결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20)의 일측에는 별도의 필터수단(30)이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필터수단(30)은 내부가 비어 있고 일측에는 상기 에어펌프(20)와 연결되어 있는 유입구(32)가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에는 내부의 공기를 내보낼 수 있도록 한 배출구(3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흡입관체(10)의 상부 양측에는 금속판재 등을 절곡 형성하여 된 설치브라켓(40)(40')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설치브라켓(40)(40')을 이용하여 상기 흡입관체(10)를 차량의 후미 하측에 고정 설치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의 상기 흡입관체(10)에 형성된 슬릿공(11)은 자동차의 머플러 엔드 및 타이어를 향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에어펌프(20)는 자동차의 전기 장치와 연결되게 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걸림과 동시에 상기 에어펌프(20)로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머플러 엔드로부터 배출되는 매연 및 배기가스를 즉시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에어펌프(20)가 작동하여 자동차의 매연이 내부로 흡입되면 유도관(12)을 따라 에어펌프(20) 내부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의 오염공기는 에어펌프(20) 및 유입구(32)를 따라 필터수단(3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며, 필터수단(30)에 의해 오염공기 내부의 각종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을 걸러낸 후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자동차의 매연은 물론 타이어 주변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의 타이어는 주행 중 노면과의 마찰로 인해 무수한 분진이 발생되는 것이고, 타이어의 분진 이외에도 노면에 가라앉아 있던 분진이나 미세먼지 혹은 각종 이물질이 자동차의 주행과 동시에 비산하게 될 것이므로 이와 같은 미세먼지 및 이물질 등이 상기의 흡입관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함께 정화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차량용 공기정화장치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다단의 필터가 내장된 필터수단(30)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필터수단(30)의 상부에는 서로 이격된 다수의 끼움공(36)이 상기 유입구(32)로부터 순차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공(36)을 통해 다수의 필터를 필터수단(30) 내측으로 삽입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끼움공(36)의 하부 및 필터수단(30)의 내측 하부에는 필터가이드(37)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끼움공(36)을 통해 내측으로 삽입되는 다양한 필터는 상기 필터가이드(37)를 통해 안내되면서 필터수단(30)의 내부를 구획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필터수단(30)에는 각기 메쉬필터(33)와 활성탄필터(34) 및 헤파필터(35)가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의 메쉬필터(33)는 합성수지 혹은 금속 메쉬 형태로 만들어져 상기 유입구(32)를 통해 공급되는 오염공기 내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는 것이고, 상기 메쉬필터(33)를 통과한 오염공기는 상기 활성탄필터(34)에 의해 분진이나 미세 먼지 등이 1차적으로 걸러지게 되는 것이며, 다시 헤파필터(35)를 통과하면서 인체에 유해한 미세먼지 등이 완전히 걸러지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헤파필터(35)를 통과한 정화 공기는 상기 배출구(31)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므로 결국 자동차에 의한 매연 및 미세먼지 등의 직접적인 오염물은 물론 타이어 자체 및 노면 상의 이물질이나 미세먼지 등이 빠르고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어 더욱 친환경적인 장치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필터수단(30)은 일정 주기마다 각종 필터를 필터수단(30)으로부터 분리하여 세척 혹은 교체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리함 또한 매우 우수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부호의 설명]
10 : 흡입관체 11 : 슬릿공
12 : 유도관
20 : 에어펌프
30 : 필터수단 31 : 배출구
32 : 유입구 33 : 메쉬필터
34 : 활성탄필터 35 : 헤파필터
36 : 끼움공 37 : 필터가이드
40,40' : 설치브라켓

Claims (3)

  1. 자동차의 폭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슬릿공(11)이 형성된 흡입관체(10)와, 상기 흡입관체(10)의 내부와 유도관(12)을 통해 연결된 에어펌프(20)와, 상기 에어펌프(20)와 연결된 필터수단(30)으로 구성되되,
    상기 흡입관체(10)의 상부 양측에는 자동차의 후미에 흡입관체(10)를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설치브라켓(40)(40')이 결합 구성되어,
    에어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슬릿공(11)을 통해 흡입관체(10)의 내부와 유도관(12) 및 에어펌프(20)로 유입된 오염공기는 상기 필터수단(30)으로 공급되어 정화되게 하고, 정화된 유입공기는 상기 필터수단(30)에 형성된 배출구(31)를 통해 대기로 배출되도록 구성한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는 청소차를 제외한 도로 주행 차량에 장착 사용되도록 하고, 상기 흡입관체(10)의 슬릿공(11)은 도로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자동차의 엔드 머플러 및 타이어 방향을 향해 배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필터수단(30)은, 에어펌프(20)와 연결되는 유입구(32)와 대기로 유입공기를 내보내는 배출구(31)가 형성되고, 이들 유입구(32)와 배출구(31)의 사이에는 메쉬필터(33)와 활성탄필터(34) 및 헤파필터(35)가 순차 이격 형성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필터수단(30)은, 상부에 끼움공(36)을 형성하고 상기 끼움공(36)의 하측 및 필터수단(30)의 내부에는 필터가이드(37)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메쉬필터(33)와 활성탄필터(34) 및 헤파필터(35)가 상기 끼움공(36) 및 필터가이드(37)에 의해 각기 교체 가능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PCT/KR2019/002262 2018-04-11 2019-02-25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WO2019198930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112020007485-3A BR112020007485B1 (pt) 2018-04-11 2019-02-25 filtro de ar para veículo
SG11201907087R SG11201907087RA (en) 2018-04-11 2019-02-25 Air cleaner for vehicle
CA3051233A CA3051233C (en) 2018-04-11 2019-02-25 Air clea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949A KR101919440B1 (ko) 2018-04-11 2018-04-11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KR10-2018-0041949 2018-04-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98930A1 true WO2019198930A1 (ko) 2019-10-17

Family

ID=64561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02262 WO2019198930A1 (ko) 2018-04-11 2019-02-25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1035269B2 (ko)
EP (1) EP3552686B1 (ko)
JP (1) JP6732200B2 (ko)
KR (1) KR101919440B1 (ko)
CN (1) CN110354588A (ko)
BR (1) BR112020007485B1 (ko)
CA (1) CA3051233C (ko)
ES (1) ES2819061T3 (ko)
SG (1) SG11201907087RA (ko)
WO (1) WO20191989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268B1 (ko) * 2018-12-06 2019-08-28 정진욱 미세먼지 포집 장치
KR102136530B1 (ko) 2019-01-22 2020-07-22 성경애 매연정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644B1 (ko) * 1994-10-19 1997-05-13 박정룡 자동차에 설치된 도로공기 정화장치
JP2007245037A (ja) * 2006-03-17 2007-09-27 Ricotech:Kk 抗菌、脱臭装置
KR20160111552A (ko) * 2015-03-16 2016-09-27 (주)쓰리에이씨 카트리지형 탈취필터
KR20170071189A (ko) * 2015-12-15 2017-06-23 (주)진성이엔지 자동차 및 산업기계용 배기필터 회전형 세정장치
KR20170072731A (ko) * 2015-12-17 2017-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실내 공기 중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및 살균에 의한 공기 정화 방법 및 공기 정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247B2 (ja) 1990-02-15 1995-05-0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車載用空気清浄器
JPH04297341A (ja) 1991-03-26 1992-10-21 Nagatoshi Suzuki 大気浄化車両
US5676913A (en) 1994-02-18 1997-10-14 Bcp S.R.L. Mobile apparatus for the purification of polluted air, and process therefor
KR0134974Y1 (ko) 1994-06-17 1999-03-20 한승준 디젤차량의 매연저감구조
KR0176634B1 (ko) 1995-07-08 1999-05-15 윤종용 16비트 데이타 버스를 가진 디램 데이타 억세스 제어회로
KR100301697B1 (ko) 1998-04-27 2001-10-27 임규성 배기가스및타이어먼지정화장치
US6355095B1 (en) * 2000-05-22 2002-03-12 Huang Kuo-Long DC/AC air cleaner for a vehicle
US6463902B1 (en) * 2001-07-25 2002-10-15 Brunswick Corporation Air supply system for a marine engine
EP1421985B1 (en) 2001-08-09 2012-05-23 DIC Corporation Heat resistant filter
KR200266934Y1 (ko) 2001-11-19 2002-03-06 조시대 차량용 매연 배출방지용 필터장치
SE522146C2 (sv) 2002-05-07 2004-01-20 Volvo Lastvagnar Ab Metod för regenerering av ett partikelfilter vid motorbromsning samt fordon i vilket en sådan metod utnyttjas
KR200296828Y1 (ko) 2002-08-20 2002-12-05 (주) 나노팩 광촉매 필터 및 흡착성 광촉매 필터를 이용한 차량용필터장치
CN2608697Y (zh) 2003-01-16 2004-03-31 张书勤 汽车尾气扬尘收集装置
KR200349378Y1 (ko) 2003-12-30 2004-05-04 유정태 자동차 머플러용 매연 방지기
PT1749985E (pt) 2004-05-24 2008-09-15 Hino Motors Ltd Purificador de gás de escape
DE202005005673U1 (de) 2005-04-09 2005-09-22 Kamm, Albert H. Außenluftfilter für Kraftfahrzeuge
JP4727536B2 (ja) 2005-09-21 2011-07-20 株式会社Roki エアクリーナ
ITTV20060048A1 (it) 2006-03-22 2007-09-23 Terzo Saviane Dispositivo per l'abbattimento delle polveri sottili, particolarmente per un veicolo
CN101138693B (zh) 2006-09-04 2010-10-13 中芯国际集成电路制造(上海)有限公司 气体过滤装置
KR100807813B1 (ko) 2007-02-07 2008-02-27 최대식 차량 장착용 대기정화장치
JP4947647B2 (ja) 2007-06-07 2012-06-06 野場電工株式会社 車両用粉塵回収装置
CN201105191Y (zh) 2007-07-12 2008-08-27 杨守信 一种气体净化装置
JP2010007582A (ja) 2008-06-27 2010-01-14 Honda Motor Co Ltd エンジン駆動発電機
KR101214097B1 (ko) 2010-10-01 2012-12-20 대지금속 주식회사 디젤용 매연여과장치
FR3006605B1 (fr) 2013-06-05 2016-10-21 Vansuyt Clotilde Reine Therese Dispositif et procede de compensation des rejets gazeux polluants d'un vehicule a moteur thermique dans l'environnement dudit vehicule
KR20150109812A (ko) 2014-03-21 2015-10-02 하종일 노면의 상태에 따라 청소강도를 조절하는 청소차
US9308484B1 (en) 2014-06-03 2016-04-12 Clark N. Harper Environmental air filter system
CN205323413U (zh) 2015-12-10 2016-06-22 张月兴 一种汽车扬尘收集装置
DE102016200936A1 (de) 2016-01-22 2017-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mit Staubsammler
CN106180115A (zh) 2016-07-07 2016-12-07 四川理工学院 一种无能耗的汽车二次扬尘收集处理装置及方法
CN106215575A (zh) 2016-08-31 2016-12-14 芜湖恒耀汽车零部件有限公司 汽车尾气过滤装置用陶瓷膜过滤材料
WO2018134314A1 (de) 2017-01-18 2018-07-26 Mann+Hummel Gmbh UMGEBUNGSLUFTREINIGUNGSVORRICHTUNG, STRAßENFAHRZEUG MIT UMGEBUNGSLUFTREINIGUNGSVORRICHTUNG UND FILTERELEMEN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7644B1 (ko) * 1994-10-19 1997-05-13 박정룡 자동차에 설치된 도로공기 정화장치
JP2007245037A (ja) * 2006-03-17 2007-09-27 Ricotech:Kk 抗菌、脱臭装置
KR20160111552A (ko) * 2015-03-16 2016-09-27 (주)쓰리에이씨 카트리지형 탈취필터
KR20170071189A (ko) * 2015-12-15 2017-06-23 (주)진성이엔지 자동차 및 산업기계용 배기필터 회전형 세정장치
KR20170072731A (ko) * 2015-12-17 2017-06-27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실내 공기 중의 포름알데히드 제거 및 살균에 의한 공기 정화 방법 및 공기 정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440B1 (ko) 2018-11-19
CN110354588A (zh) 2019-10-22
ES2819061T3 (es) 2021-04-14
JP6732200B2 (ja) 2020-07-29
EP3552686B1 (en) 2020-07-29
US11035269B2 (en) 2021-06-15
CA3051233A1 (en) 2019-10-11
SG11201907087RA (en) 2019-11-28
BR112020007485B1 (pt) 2021-01-19
CA3051233C (en) 2021-06-29
BR112020007485A2 (pt) 2020-08-18
EP3552686A1 (en) 2019-10-16
JP2019183830A (ja) 2019-10-24
US20190316502A1 (en) 2019-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62022B1 (en) Multiple filter unit, particularly for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for motor vehicles and closed environments, and provided with efficiency checking means
WO2019198930A1 (ko) 차량 후미용 공기 정화장치
JPH10288029A (ja) 車両排ガス浄化装置
CN1671955A (zh) 气体环境中颗粒的静电过滤及转化
CN209918535U (zh) 一种安全型实验室通风柜净化系统
CN211886018U (zh) 一种废气处理用喷淋净化装置
CN218458945U (zh) 一种装甲车辆舱内有害气体自动监测与净化装置
CN210264859U (zh) 一种发电机组黑烟处理净化器
CN2467799Y (zh) 汽车尾气净化器
CN210584166U (zh) 一种新型焊接烟尘废气净化装置
CN209354224U (zh) 机动车的尾气排放过滤处理装置
CN218542362U (zh) 一种便于尾气净化的环保型汽车排气管
CN220424845U (zh) 一种汽车尾气过滤净化装置
CN216617636U (zh) 一种汽车尾气净化装置
CN217367628U (zh) 一种汽车尾气过滤净化装置
CN213049786U (zh) 一种电泳漆镭雕烟雾回收处理装置
CN220185203U (zh) 一种汽车尾气过滤净化装置
CN216432031U (zh) 便于安装的电梯用空气净化设备
CN218687785U (zh) 一种铸造烟气处理系统
CN213699291U (zh) 一种用于废气处理的通风除尘设备
CN211725163U (zh) 一种烟尘净化处理装置
CN2687541Y (zh) 罩式复合一体化油烟净化器
CN211302566U (zh) 一种餐饮油烟净化装置
CN205668567U (zh) 一种轨道车厢用空气净化器
KR0145808B1 (ko) 차량용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7845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0007485

Country of ref document: BR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12020007485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Effective date: 20200415

REG Reference to national code

Ref country code: BR

Ref legal event code: B01A

Ref document number: 112020007485

Country of ref document: BR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978458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