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182184A1 -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 - Google Patents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182184A1
WO2019182184A1 PCT/KR2018/003661 KR2018003661W WO2019182184A1 WO 2019182184 A1 WO2019182184 A1 WO 2019182184A1 KR 2018003661 W KR2018003661 W KR 2018003661W WO 2019182184 A1 WO2019182184 A1 WO 20191821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temporary structure
support
buttress member
lateral
but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3661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웅재
Original Assignee
㈜한국레저마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레저마케팅 filed Critical ㈜한국레저마케팅
Publication of WO20191821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1821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2Sockets or holders for poles or pos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uttress member for lateral pressure support of a prefabricated truss temporary structure and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Lateral pressure support of a prefabricated truss temporary structure by using as a detachable buttress member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member of the temporary structure and to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labor cost by simplifying the use of unnecessary members and the work process.
  • It relates to a buttress member and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the same.
  • the prefabricated truss structure is relatively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is solid compared to the weight, the risk of collapse is relatively low, the structure and size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ways, and the demand for the increase is gradually increasing.
  • the truss appears to have been used for the first time in a house in the early Bronze Age, around 2500 BC. Early trusses were made of wood.
  • Truss The most widely used truss structures are the Pratt and Warren equations, where yarns are parallel to each other on fret trusses and staggered on warren trusses. Truss is used for various machines such as cranes and lifts, as well as wings and fuselage of airplanes.
  • Such trusses are suitable as members of structures with long spans that support large external loads.
  • Such a truss structure is that standardized truss members cross each other or are placed side by side to complete a structure,
  • the basic structure of the truss structure is composed of a main truss that supports vertical loads and transmits the loads to the substructure, horizontal bracing that connects the main trusses on both sides to resist lateral loads, and horizontal and vertical types. It is composed of a bottom frame that serves to transfer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bottom plate to the junction point of the main truss.
  • FIG. 1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 photo zone temporary structure is installed on a site using a truss structure.
  • the jute trusses 2 are erected on both sides of the space in which the banner or the promotional material 1 is displayed, and the upper ends of the jute trusses 2 are connected by horizontal bracing 3. .
  • the bottom frame 4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main truss 2 to prevent the structure from being conducted.
  • FIG.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xhibition booth temporary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ite using a truss structure.
  • the exhibition booth temporary structure is an extension of the basic structure of the photo zone temporary structure, and is a structure for displaying promotional materials by dividing various spaces.
  • the floor frame 4 has a problem of causing a safety accident that the passengers trip over, and in the case of the exhibition booth temporary structure, there wa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hange the structure such as a space change or movement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
  •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No. 20-2011-0001945 is known as a "stage device for a screen device for outdoor theater", which also represents the structural limitation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loor frame, the improvement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is is urgently needed.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s purpose is to omi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ottom frame used for floor support when installing the existing truss structure as a buttress memb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by replacing it By using it, the installation member of the temporary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use of unnecessary pressure member and the construction of the prefabricated truss temporary structure of the prefabricated truss temporary structure can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labor cost, and the construction using the same To provide a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bottom periphery of the temporary structure is neatly finished, not only do not interfere with the user's passage or movement, but also the prefabricated truss that can be changed by placing and moving between the temporary structures even after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It is to provide a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the temporary structure using the buttress member for the side pressure support of the temporary structure.
  • the outer body is formed of styrene-butadiene rubber material
  • the inner body may be provided with a buttress member for the side pressure support of the prefabricated truss temporary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f a soft PVC material.
  • the support edge is formed to be curved inwardly so that the elastic deformation is made so as to increase the ground traction in proportion to the lateral stress of the support object.
  • the contact side is formed in a curved surface inwardly to make elastic deformation to make a contact area with the support object in proportion to the lateral stress size to contribute to the stress dispersion.
  • the contact side is formed in a plane that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pport object, characterized in that to form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apable of fastening the bolt and the support object.
  • Installing a plurality of buttress members for supporting the lateral load on the lower end of each main truss may be provided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a lateral pressure supporting buttress member.
  • the step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uttress member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main truss in the direction orthogonal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rizontal breathing is installed.
  • the present invention omits the bottom frame construction process used for the floor support when installing the existing truss structure, and uses it as a buttress memb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by replacing it, there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member of the temporary structu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time and labor costs by simplifying the use of unnecessary members and work processes.
  •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does not disturb the passage or movement of the user because the bottom periphery of the temporary structure is neatly finished, an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structure has the effect that can be changed through the arrangement and movement between the temporary structures.
  • FIG.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photo zone temporary structure is installed on-site using a truss structure.
  • Figure 2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exhibition booth temporary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site using a truss structure.
  •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a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wo embodiments of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c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ree embodiments of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 embodiment of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a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a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connection member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nnection member of FIG.
  • Figure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buttress member in the main tru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using the buttress member after installing the horizontal breathing at the bottom of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buttress members of different types are installed in the temporary structure of FIG. 8.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buttress members of different types are installed in the temporary structure of FIG. 8.
  • connecting member 110 buttress member
  • outer body 111a support side
  • Figure 3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wo embodiments of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c is a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 Figure 3d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the buttress member 110 as shown in FIGS. 3A to 3D has a support side 111a supporting the bottom surface and a contact side 111b in contact with the support object to receive a lateral stress of the support object. ), Connecting sides between the support side 111a and the contact side 111b so that the three sides form a triangle, but the curved side inward to form a curved surface to accommodate the lateral stress transmitted from the support object (111c) External body 111 made of;
  • the outer body 111 is formed of styrene-butadiene rubber material
  • the inner body 113 is formed of a soft PVC material.
  • the outer body 111 is to use a styrene-butadiene rubber material in order to increase the contact friction between the installation bottom surface and the support object.
  • the inner body 113 uses a soft PVC material that can be deformed when a certain load is applied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hape.
  • the support side 111a may be curved inward to form a curved surfac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elastic deformation is possible.
  • a buttress member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3A or 3B will be referred to as an A type buttress member
  • a buttress member having a shape as shown in FIG. 3C or 3D will be referred to as a B type buttress member.
  • the contact surface 111b is formed to have a curved surface curved inward to allow elastic deformation to be made so that the contact area with the supporting object is variable in proportion to the lateral stress size. To contribute to the stress distribution.
  • 3B illustrates a modified example of the A-type buttress member 110, and the receiving edge 111c may be split into one or more incision grooves 114 to increase the stress dispersion effect.
  • the B-type buttress member 110 has a contact surface 111b formed in a plane close to the opposite surface of the support object,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holes capable of fastening the support object and the bolt B ( 111d).
  • the support side 111a of the B-type buttress member 110 may be formed i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contact side 111b, or a curved curved surface may be formed.
  • 3D illustrates a modified example of the A-type buttress member 110, and the receiving edge 111c may be split into one or more incision grooves 114 to increase the stress dispersion effect.
  •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a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emporary structure installation method using a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a pair of main trusses 2 coupled with the connecting members 5 at both ends is installed so as to stand vertically at opposite positions.
  • the connecting member 5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cube shape as shown in Figure 6, it can be manufactured in a tubular shape to form a hollow hole penetrat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one direction as shown.
  • the weight of the connecting member 5 can be minimized while maximizing the structural strength.
  • buttress member 110 may selectively use a buttress member 110 of type A or B shown in FIGS. 3A to 3D.
  • buttress member 110 Detailed description of the buttress member 110 will be omitted.
  •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installing the buttress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main truss, and as shown in FIG. 7, it is possible to install the buttress member 110 in four directions about the main truss 2. However, it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according to the type of work site and temporary structure.
  • the temporary structure is the direction receiving the most lateral load, it is preferable not to omit the installation in the two directions for the safety of the structure.
  •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supporting using a buttress member after installing the horizontal breathing at the bottom of the temporary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different types of buttress members are installed in the temporary structure of FIG. 8, and the B type buttress member 11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main truss 2, as shown in FIG. 8. It is possible to combine, and to provide an auxiliary role by installing the A-type buttress member 110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breathing (3).
  •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omit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bottom frame used for the floor support when installing the existing truss structure and use it as a buttress member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or removed by replacing it, thereby simplifying the installation member of the temporary structure.
  • construction time and labor costs can be reduced, and the periphery of the bottom of the temporary structure is neatly finished, so that i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user's passage or movement, Even after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work by arranging and moving between temporary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변과, 지지대상물에 접촉하여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을 전달받는 접촉변, 상기 지지변과 접촉변 사이를 연결하여 3개의 변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하되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지지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측방향 응력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변으로 이루어진 외체; 및 상기 외체를 겉피로 하여 외체 내부를 충진하는 내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체는 연질 PVC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설구조물의 설치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과 작업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시공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고, 가설구조물의 바닥주변이 정갈하게 마감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통행이나 동선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설구조물의 설치 이후에도 가설구조물 간의 배치 및 이동을 통해 변경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
본 발명은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 트러스 구조물의 설치시 바닥 지지용도로 사용하던 바닥틀 시공공정을 생략하고 이를 대체하여 손쉽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버트러스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가설구조물의 설치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과 작업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시공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시장이나 행사장 등에서는 그 전시 및 행사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종의 조명이나 전시물을 설치 하기 위한 구조물이 요구된다. 이 경우 통상적으로 스테인레스나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제작된 포스트 및 트러스를 이용하여 연결부재 내지는 클램프를 통해 고정체결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트러스 구조물을 제작함이 일반적이다.
조립식 트러스 구조물은 설치 및 해체가 비교적 용이하고, 무게에 비해 견고하여 붕괴의 위험이 비교적 낮고, 구조 및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으며,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그 수요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트러스는 BC 2500년경 청동기시대 초기의 호상가옥에 처음으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초기의 트러스는 나무로 만들어졌다.
그리스인은 지붕을 만들 때 트러스를 널리 사용했고, 중세에 와서 그 사용범위가 넓어졌다.
19세기초 미국에서 지붕 있는 다리를 개발하면서 트러스에 대한 설계면에서 큰 발전이 있었으며, 트러스 철교의 재료로 주철과 연철 대신 강철을 사용하게 되었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트러스 구조에는 프랫(Pratt)식과 워런(Warren)식이 있는데, 사재는 프렛식 트러스에서 서로 평행하고 워런식 트러스에서는 서로 엇갈린다. 트러스는 기중기·승강기 등의 여러 기계와 비행기의 날개·동체에 사용된다.
이러한, 트러스는 큰 외부하중을 지지하는 긴 경간을 가진 구조물의 부재로서 적당하다.
이러한, 트러스 구조물은 규격화된 트러스 부재들이 상호 교차 배치하거나 나란하게 위치시켜 하나의 구조물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트러스 구조물의 기본구조는 수직하중을 지지하고 그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주트러스와, 양측의 주트러스를 연결하여 횡하중에 저항하는 역할을 하는 수평브레이싱과, 횡형과 종형으로 구성되며 바닥판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주트러스의 격점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바닥틀로 구성된다.
도 1은 트러스 구조물을 이용해 포토존 가설구조물이 현장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포토존 가설구조물은 현수막이나 홍보물(1)이 전시되는 공간의 양측에 주트러스(2)가 각각 세워지고, 상기 주트러스(2)들의 상단을 수평브레싱(3)으로 연결한다.
이후, 각각의 주트러스(2) 하단에 바닥틀(4)을 설치하여 구조물이 전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는 트러스 구조물을 이용해 전시부스 가설구조물이 현장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전시부스 가설구조물은 포토존 가설구조물의 기본구조를 응용하여 확장한 것으로서, 여러 공간을 구획하여 홍보물을 전시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이다.
그러나, 도 1,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은 가설구조물 형태는 공히 바닥틀(4)이 필요이상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행사장이나 전시부스의 이동시 통행 및 동선에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바닥틀(4)은 통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안전사고의 문제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고, 전시부스 가설구조물의 경우에는 가설구조물 설치 이후에는 공간의 변경이나 이동 등과 같은 구조 변경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1945호에는 “야외극장용 스크린장치 겸용 무대장치“가 공지되고 있는데, 이 또한 바닥틀의 설치가 불가피한 구조적 한계를 나타내는 것이어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책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기존 트러스 구조물의 설치시 바닥 지지용도로 사용하던 바닥틀 시공공정을 생략하고 이를 대체하여 손쉽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버트러스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가설구조물의 설치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과 작업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시공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설구조물의 바닥주변이 정갈하게 마감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통행이나 동선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설구조물의 설치 이후에도 가설구조물 간의 배치 및 이동을 통해 변경작업이 가능한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변과, 지지대상물에 접촉하여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을 전달받는 접촉변, 상기 지지변과 접촉변 사이를 연결하여 3개의 변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하되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지지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측방향 응력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변으로 이루어진 외체; 및 상기 외체를 겉피로 하여 외체 내부를 충진하는 내체;를 포함하고,
상기 외체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체는 연질 PVC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변을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탄력적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크기에 비례하여 바닥 접지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변을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탄력적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측방향 응력크기에 비례하여 지지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이 가변 되어 응력분산에 기여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촉변을 지지대상물의 대향면에 밀착 가능한 평면으로 형성하고, 지지대상물과 볼트 체결이 가능한 복수의 체결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양 끝단부에 연결부재가 결합된 주트러스 한 쌍을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숙직하게 세워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 상측단부 사이를 수평브레싱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 하측단부에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버트러스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구조물 설치공법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계는 버트러스 부재를 수평브레싱이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주트러스 하측단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 하측단부 사이를 하부 수평브레싱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하부 수평브레싱이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복수의 버트러스 부재를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트러스 구조물의 설치시 바닥 지지용도로 사용하던 바닥틀 시공공정을 생략하고 이를 대체하여 손쉽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버트러스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가설구조물의 설치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과 작업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시공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가설구조물의 바닥주변이 정갈하게 마감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통행이나 동선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설구조물의 설치 이후에도 가설구조물 간의 배치 및 이동을 통해 변경작업이 가능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트러스 구조물을 이용해 포토존 가설구조물이 현장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트러스 구조물을 이용해 전시부스 가설구조물이 현장에 설치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을 도시한 조립사시도.
도 6은 도 4의 연결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주트러스에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가설 구조물 하단에 수평브레싱을 설치한 후,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해 지지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가설 구조물에 서로 다른 유형의 버트러스 부재를 혼용하여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홍보물 2: 주트러스
3: 수평브레싱 4: 바닥틀
5: 연결부재 110: 버트러스 부재
111: 외체 111a: 지지변
111b: 접촉변 111c: 수용변
111d: 체결홀 113: 내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1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3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의 4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d에서 보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110)는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변(111a)과, 지지대상물에 접촉하여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을 전달받는 접촉변(111b), 상기 지지변(111a)과 접촉변(111b) 사이를 연결하여 3개의 변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하되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지지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측방향 응력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변(111c)으로 이루어진 외체(111);
상기 외체(111)를 겉피로 하여 외체(111) 내부를 충진하는 내체(113)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체(111)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체(113)는 연질 PVC재질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외체(111)는 설치바닥면 및 지지대상물과의 접촉 마찰력을 높이기 위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재질을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내체(113)는 기본형상을 유지하는 한편 일정 이상의 하중이 가해질 경우 변형이 가능한 연질 PVC재질을 사용한다.
도 3a 또는 도 3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변(111a)을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탄력적 변형이 가능한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이 가해질 경우, 만곡진 곡면이 펴지면서 자연스럽게 응력크기에 비례하여 바닥 접지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하, 편의상 도 3a 또는 도 3b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버트러스 부재를 A타입 버트러스 부재로 칭하고, 도 3c 또는 도 3d에 개시된 바와 같은 형태의 버트러스 부재를 B타입 버트러스 부재로 칭하기로 한다.
상기 A타입 버트러스 부재(110)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접촉변(111b)을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탄력적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측방향 응력크기에 비례하여 지지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이 가변 되어 응력분산에 기여토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지지대상물의 하중에 따른 측방향 응력이 클수록 접촉변(111b)을 가압하는 힘이 커지게 되고 접촉변(111b)은 자연스럽게 만곡진 방향으로 오므려지는 변형을 통해 지지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이 증가하게 된다.
도 3b는 A타입 버트러스 부재(1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용변(111c)을 하나 이상의 절개홈(114)으로 쪼개어 응력 분산효과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c, 도 3d를 참조하여 B타입 버트러스 부재의 특징적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은 B타입 버트러스 부재(110)는 상기 접촉변(111b)을 지지대상물의 대향면에 밀착 가능한 평면으로 형성하고, 지지대상물과 볼트(B) 체결이 가능한 복수의 체결홀(111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B타입 버트러스 부재(110)의 지지변(111a)을 접촉변(111b)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하거나, 만곡진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d는 A타입 버트러스 부재(11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수용변(111c)을 하나 이상의 절개홈(114)으로 쪼개어 응력 분산효과가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4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을 도시한 조립사시도이다.
먼저, 도 4,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 끝단부에 연결부재(5)가 결합된 주트러스(2) 한 쌍을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숙직하게 세워서 설치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2) 상측단부 사이를 수평브레싱(3)으로 연결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2) 하측단부에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버트러스 부재(110)를 설치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때, 연결부재(5)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략 정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향의 상하면을 관통하는 중공홀을 형성하는 관체 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이로써, 연결부재(5)의 무게를 최소화 하는 한편 구조강도를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트러스 부재(110)는 도 3a 내지 도 3d에 도시된 A타입 또는 B타입의 버트러스 부재(110)를 선별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버트러스 부재(11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트러스 부재를 주트러스에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확대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트러스(2)를 중심으로 4방향에서 버트러스 부재(110)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나, 이는 작업현장과 가설구조물의 형태에 따라 선택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버트러스 부재(110)를 수평브레싱(3)이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주트러스(2) 하측단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은 필수 설치적으로 필요하다.
이는 가설구조물이 가장 많은 측방향 하중을 받는 방향이기 때문에 구조물의 안전을 위해서는 상기 두 방향에 대한 설치를 생략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 가설 구조물 하단에 수평브레싱을 설치한 후,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해 지지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2) 하측단부 사이를 하부 수평브레싱(3)으로 연결한 후, 하부 수평브레싱(3)이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복수의 버트러스 부재(110)를 설치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의 가설 구조물에 서로 다른 유형의 버트러스 부재를 혼용하여 설치하는 예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동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B타입 버트러스 부재(110)를 주트러스(2) 하단에 결합하고, A타입 버트러스 부재(110)를 수평브레싱(3) 양측에 설치하여 보조역할을 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은 기존 트러스 구조물의 설치시 바닥 지지용도로 사용하던 바닥틀 시공공정을 생략하고 이를 대체하여 손쉽게 설치하거나 탈거할 수 있는 버트러스 부재로 사용함으로써, 가설구조물의 설치부재를 간소화할 수 있고, 불필요한 부재의 사용과 작업공정을 간소화함으로써, 시공시간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가설구조물의 바닥주변이 정갈하게 마감되기 때문에 이용자의 통행이나 동선에 방해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가설구조물의 설치 이후에도 가설구조물 간의 배치 및 이동을 통해 변경작업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Claims (7)

  1.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변(111a)과, 지지대상물에 접촉하여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을 전달받는 접촉변(111b), 상기 지지변(111a)과 접촉변(111b) 사이를 연결하여 3개의 변이 삼각형을 이루도록 하되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지지대상물로부터 전달되는 측방향 응력이 수용되도록 하는 수용변(111c)으로 이루어진 외체(111); 및 상기 외체(111)를 겉피로 하여 외체(111) 내부를 충진하는 내체(113);를 포함하고,
    상기 외체(111)는 스티렌-부타디엔 고무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체(113)는 연질 PVC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변(111a)을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탄력적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지지대상물의 측방향 응력크기에 비례하여 바닥 접지력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변(111b)을 내측으로 만곡지는 곡면으로 형성하여 탄력적 변형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측방향 응력크기에 비례하여 지지대상물과의 접촉면적이 가변 되어 응력분산에 기여토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변(111b)을 지지대상물의 대향면에 밀착 가능한 평면으로 형성하고, 지지대상물과 볼트(B) 체결이 가능한 복수의 체결홀(111d)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트러스 가설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5. 양 끝단부에 연결부재(5)가 결합된 주트러스(2) 한 쌍을 대향하는 위치에 각각 숙직하게 세워서 설치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2) 상측단부 사이를 수평브레싱(3)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2) 하측단부에 측방향 하중을 지지하는 복수개의 버트러스 부재(11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구조물 설치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는 버트러스 부재(110)를 수평브레싱(3)이 설치되는 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주트러스(2) 하측단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구조물 설치공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트러스(2) 하측단부 사이를 하부 수평브레싱(3)으로 연결하는 단계; 및
    하부 수평브레싱(3)이 설치되는 방향을 따라 좌우 양측에 복수의 버트러스 부재(110)를 설치하는 단계;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를 이용한 가설구조물 설치공법.
PCT/KR2018/003661 2018-03-23 2018-03-28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 WO201918218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3957 2018-03-23
KR20180033957 2018-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82184A1 true WO2019182184A1 (ko) 2019-09-26

Family

ID=67987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3661 WO2019182184A1 (ko) 2018-03-23 2018-03-28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18218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859A (ja) * 2001-03-29 2002-10-09 Shinei Rubber Kogyo Kk 耐震補強体
JP2004019226A (ja) * 2002-06-14 2004-01-22 Jsp Corp 建築物又は建造物の補強構造
JP2004076537A (ja) * 2002-08-09 2004-03-11 Nobuaki Ueda 構築物支柱接合部及び壁面接合部の耐震・免震用補強コーナー固定具
JP3148304U (ja) * 2008-11-25 2009-02-12 日本カイザー株式会社 トラス筋ジョイント器具
KR100970377B1 (ko) * 2009-07-15 2010-07-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복합판넬 접합부재 및 이에 의해 조립되는 알루미늄 하니콤 판넬 구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94859A (ja) * 2001-03-29 2002-10-09 Shinei Rubber Kogyo Kk 耐震補強体
JP2004019226A (ja) * 2002-06-14 2004-01-22 Jsp Corp 建築物又は建造物の補強構造
JP2004076537A (ja) * 2002-08-09 2004-03-11 Nobuaki Ueda 構築物支柱接合部及び壁面接合部の耐震・免震用補強コーナー固定具
JP3148304U (ja) * 2008-11-25 2009-02-12 日本カイザー株式会社 トラス筋ジョイント器具
KR100970377B1 (ko) * 2009-07-15 2010-07-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복합판넬 접합부재 및 이에 의해 조립되는 알루미늄 하니콤 판넬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4073838A1 (ko) H형강 기둥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h형강 기둥의 보강방법
WO2016068401A1 (ko) 철골구조물 내진 보강용 비좌굴 가새
WO2014069971A1 (ko) 강선사용 프리텐션 조적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 보강방법
WO2012039547A2 (ko) 곡선구간의 거더 설치가 가능한 교량 설치용 크레인
WO2012044094A2 (ko) 교량의 상부 구조물
WO2014129800A1 (ko) 솔라패널 어레이 지지시스템
WO2018174375A1 (ko) 웨브 연결형 강합성콘크리트 기둥-보 접합 구조
WO2010143775A1 (ko) 멀티비젼 시스템의 단위 디스플레이 결합장치
WO2018074814A1 (ko)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보와 기둥을 연결하는 공법
WO2019132264A1 (ko) 쐐기형 결합부가 형성된 블록과 프레임을 이용한 벽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WO2013172598A1 (ko) 복합트러스 거더교의 격점부 연결구조를 향상시키기 위한 복부재
WO2020004888A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WO2017034354A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WO2014200272A9 (ko) 단면 강성이 증가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세그먼트 거더
WO2019182184A1 (ko) 조립식 트러스 가설 구조물의 측압지지용 버트러스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설치공법
CN105544820A (zh) 带弹簧装置吊杆的曲面外幕墙用支撑钢结构及其施工方法
WO2020071606A1 (ko) 토보드시스템
WO2015199514A1 (ko) 건축물 조립 구조체
WO2012039546A2 (ko) 회전이 가능한 교량 설치용 크레인
WO2019172587A1 (ko) 강관 버팀보 연결구의 커버 밴드, 이를 갖는 강관 버팀보 연결구 및 강관 버팀보 조립체
WO2015199315A1 (ko) 휴대형 데크 및 이를 포함하는 텐트
WO2011013895A2 (ko) 복공거더 및 이를 이용한 가설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WO2014112738A1 (ko) 말뚝연결구
WO2022055084A1 (ko) 셀프 빌딩 키트 시스템
WO2021085751A1 (ko) 지붕이 형성된 옥외용 갠트리 크레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910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10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91034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