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39731A1 -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39731A1
WO2019039731A1 PCT/KR2018/007759 KR2018007759W WO2019039731A1 WO 2019039731 A1 WO2019039731 A1 WO 2019039731A1 KR 2018007759 W KR2018007759 W KR 2018007759W WO 2019039731 A1 WO2019039731 A1 WO 201903973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yolefin copolymer
molecular weight
ethylene
less
weight distrib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775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박희원
한원희
홍민혁
이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이온켐텍
Publication of WO201903973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3973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50Partial depolyme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olefin copolym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ocess for producing a polyolefin copolymer characterized by thermally decomposing an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having a certain physical property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
  • Typical methods for making low viscosity polyolefin interpolymers are based on polymerization with Ziegler-Natta catalysts, metallocene catalysts, and post-metallocene catalysts.
  • the reason for the high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low-viscosity polyolefin interpolymer is that the decomposition points are randomly distributed at the time of thermal decomposition.
  • the pyrolysis of the polyolefin interpolymer occurs at the comonomer sites which are more radical stable than the ethylene monomers.
  • the distribution of molecular weight after pyrolysis increases due to the random distribution of comonomers. Therefore, even if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before pyrolysis is low,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fter pyrolysis has been increased to produce a product having a relatively high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having a density of 0.95 g / ml or less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5.0 or less at 350 ° C. to 500 ° C. for 10 seconds to 90 minutes, Wherein the polyolefin copolymer is thermally decomposed.
  • the ethylene / alpha -olefin interpolymer may be polymerized using a metallocene or post-metallocene catalyst.
  • the? -Olefin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 3 to C 20 ? -Olefins.
  • the melt index (ASTM D 1238) of the ethylene / alpha -olefin interpolymer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30 g / 10 min.
  • the agitation may be performed at 20 rpm to 40 rpm.
  • the method may be performed in a continuous, batch or a combination thereof.
  • the viscosity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from 10 cps to less than 5,000 cps at 177 ⁇ .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less than or equal to 15.0.
  •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for wax.
  • the viscosity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range from 5,000 cps to 100,000 cps at 177 ° C.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5.0 or less.
  • FIG. 1 show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diagram of an ethylene / alpha -olefin interpolymer and a thermally decomposed polyolefin copolym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having a density of 0.95 g / ml or less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5.0 or less at 350 ° C. to 500 ° C. for 10 seconds to 90 minutes, Wherein the polyolefin copolymer is thermally decomposed.
  •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may be, for example, a polyolefin elastomer (POE) and / or a polyolefin plastomer (POP) as a raw material which is converted into a polyolefin copolymer by thermal decomposition.
  • POE polyolefin elastomer
  • POP polyolefin plastomer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olefin copolymer can be realized within a required range by combining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and the pyrolysis condition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priately select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having specific properties .
  • the polyolefin copolymer produced by pyrolysis has a remarkably increase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relative to the raw material, which is related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aw material.
  • a polymerized interpolymer is used as a raw material with a Ziegler-Natta catalyst, the decomposition point is randomly distributed in the main chain of the polymer, so that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ncreases after pyrolysis.
  • interpolymers polymerized using a metallocene or post-metallocene catalyst have inherently higher comonomer content and lower density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than interpolymers polymerized using Ziegler-Natta catalysts ,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crease i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due to thermal decomposition.
  • the interpolymer having a small content of comonomer decreases the probability that the comonomer is randomly located in the main chain, and thus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fter the pyrolysis increases The results are retrieved. Since the Ziegler-Natta catalyst is difficult to polymerize the content of the comonomer to a high level, it is difficult to randomly distribute the potential decomposition point.
  • the metallocene or post-metallocene catalyst can polymerize the content of the comonomer to a high level and the interpolymer polymerized using the metallocene or post-metallocene catalyst has a relatively uniform distribution of the comonomer, the potential decomposition point Can be distributed randoml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produce a polyolefin copolymer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 the? -Olefin may be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 3 to C 20 ? -Olefins, preferably propylene, 1-butene, 1-pentene, , 1-heptene and 1-octene, and more preferably 1-oct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ensity of the ethylene / alpha -olefin interpolymer may be 0.95 g / ml or less, preferably 0.94 g / ml or less, more preferably 0.85 g / ml to 0.91 g / ml. If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has a density of more than 0.95 g / ml, it has properties of 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 LDPE low density polyethylene
  • LLDPE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HDPE high density polyethylene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may be 5.0 or less, preferably 1.5 to 5.0, and more preferably 2.0 to 4.0.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is more than 5.0,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increase i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during thermal decomposition.
  • the melt index (ASTM D 1238) of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may be 30 g / 10 min or less, preferably 1 g / 10 min to 30 g / 10 min. If the ethylene /? - olefin interpolymer has a melt index of more than 30 g / 10 min, the molecular weight may be relatively small, and the thermal decomposition stability may be deteriorated, and the reproducibility and uniformity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deteriorate.
  • the viscosity of the polyolefin copolymer produced by the thermal decomposition can be easily controlled.
  • the viscosity of a polyolefin copolymer using a polymerization reactor is controlled by various raw materials such as a monomer, a comonomer, hydrogen, and a feed ratio of a catalyst and reaction conditions or reaction environments, so that much time and cost may be consumed in the process.
  • the polymerization reactor is operated continuously, since the product is continuously produced even when the reaction condition or the reaction environment is controlled in order to change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t, some products that do not satisfy the intended properties are produced, .
  • the process for producing a polyolefin copolymer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physical properties suitable for wax, hot melt adhesive, impact modifier and paint additive by thermally decomposing a properly selected raw random copolymer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roduced polyolefin copolymer can be easily controlled by controlling the pyrolysis conditions, and the process efficiency, productiv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 the reaction temperature at the time of thermal decomposition may be 350 ° C to 500 ° C, preferably 350 ° C to 450 ° C, and the reaction time may be 10 seconds to 90 minutes, preferably 1 minute to 30 minutes. If the reaction temperature and the reaction time are out of the above range, a viscosity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suitable for the use of the polyolefin copolymer to be described later can not be realized.
  • the pyrolysis may be carried out under stirring conditions of a constant rate.
  • the stirring speed may be 20 rpm to 40 rpm, preferably 20 rpm to 30 rpm. If the stirring speed is out of the above range, a viscosity and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suitable for the use of the polyolefin copolymer to be described later can not be realized.
  • the process can be carried out continuously and / or batchwise. That is, the method may be performed continuously or batchwise, and may be performed in a combined manner as required. If the proces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rocess efficiency and economy.
  • the viscosity of the polyolefin copolymer obtained through the above process may be from 10 cps to 100,000 cps at 177 ° C, and within this range, the polyolefin copolymer in the low viscosity region may be used for wax, and the polyolefin copolymer in the high viscosity region may be a hot melt Adhesives, impact modifiers, paint additives.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15.0 or less, preferably 5.0 or more and 15.0 or less, and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used for wax Can be used.
  •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5.0 or less, preferably 1.5 to 5.0, and the polyolefin copolymer may be a hot- Impact modifiers, paint additives, preferably for hot melt adhesives.
  • the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 comprises from 35% to 50% by weight of the polyolefin copolymer, from 30% to 50% by weight of the tackifier, from 10% By weight, and from 0.1% to 5% by weight of an antioxidant.
  • the ethylene-octene random copolymer was thermally decomposed for 10 minutes by adjusting at least one of the physical properties (density, melt index), the temperature of the reactor and the stirring speed of the ethylene-octene random copolymer to obtain a polyolefin copolymer.
  •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Mn),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of the ethylene-octene random copolymer were 24,600, 10,900, and 2.26, respectively.
  • the pyrolysis conditions in the examples an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olyolefin copolymer are shown in Table 1 below.
  • the physical properties test method is as follows.
  • melt index (g / 10 min, melt index, MI): 2.16 kg pressure, measured according to ASTM D 1238
  • Example 1 0.868 5 406 20 8,200
  • Example 2 0.860 5 404 20 8,200
  • Example 3 0.863 5 404 20 8,000
  • Example 4 0.874 5 406 20 8,300
  • Example 5 0.902 5 408 20 8,300
  • Example 6 0.868 5 380 20 17,000
  • Example 7 0.868 5 406 30 13,000
  • Example 8 0.868 5 360 20 23,000
  • Example 9 0.868 One 406 20 8,200
  • Example 10 0.868 4 406 20 8,300
  • Example 11 0.868 13 404 20 8,300
  • Polymer A and wax A were produced by a solution polymerization process using a continuously stirred reactor. Polymer A and wax A were each mixed with 1,250 ppm calcium stearate, 500 ppm Agarox 1076 polyphenol stabilizer and 800 ppm PEPQ (tetrakis (2,4-di-t-butylphenyl) -4,4'- Phenylene diphosphonite).
  • the ethylene and hydrogen are combined in one stream and then introduced into a diluent mixture which is a mixture of C 8 to C 10 saturated hydrocarbons, e.g., isopara-E hydrocarbon mixture and comonomer.
  • the comonomer is 1-octene.
  • the reactor feed mixture was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reactor.
  • the metal complex and cocatalyst were combined in one stream and continuously injected into the reactor.
  • a catalyst composition comprising TiCl 3 (DME) 1.5 , [(Me 4 C 5 ) SiMe 2 Nt-Bu] [MgCl] 2 and [( ⁇ 5 -Me 4 C 5 ) SiMe 2 Nt-Bu] TiMe 2
  • the cocatalyst is tris (pentafluorophenyl) borane, available as a 3% by weight solution in isopara-e mixed hydrocarbons.
  • Aluminum was provided as a solution of modified methylalumoxane (MMAO type 3A) in heptane, and this solution was available at an aluminum concentration of 2 wt%.
  • MMAO type 3A modified methylalumoxane
  • the reactor effluent stream is introduced into a separator where the melted polymer is separated from unreacted comonomer (s), unreacted ethylene, unreacted hydrogen and diluent mixture streams.
  • the molten polymer was then cut into strands or pelletized, and after cooling in a water bath or pelletizer, solid pellets were obtained. Polymerization conditions and properties of the resulting polymer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polyolefin copolymer obtained by thermally decomposing the raw random copolymer appropriately selected in Example 1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was a copolymer obtained by polymerizing a (co) monomer polymerized from a (co) monomer in a certain condition And have properties suitable for hot-melt adhesives.
  • the viscosity an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resulting polyolefin copolymer can be easily controlled to a value corresponding to the polymer A by controlling only the temperature and the stirring speed in the pyrolysis condition in the case of Example 1 have.
  •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polymer A it is necessary to precisely control not only the components of the catalyst system, the composition, the concentration and the flow rate but also the feed amount of the raw material,
  • compos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hot-melt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the polyolefin copolymer prepared in Examples 6 and 7 and the polymer A prepared in Comparative Examples are shown in Table 4 below.
  • Example 1 suitable properties for a hot-melt adhesive can be realized only by thermally decomposing a properly selected raw random copolymer under a predetermined condition, and physical properties of a polyolefin copolymer produced by controlling pyrolysis conditions can be easily controlled The process efficiency, productiv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remarkably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comparative examp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밀도가 0.95g/ml 이하이고 분자량분포도(Mw/Mn)가 5.0 이하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interpolymer)를 350℃ 내지 500℃에서 10초 내지 90분 간 교반 및 열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물성을 가지는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interpolymer)를 일정 조건하에서 열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저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지글러-나타 촉매, 메탈로센 촉매, 포스트-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한 중합이 주를 이룬다.
이와 같이 촉매를 이용하여 저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를 생산하는 경우, 단량체, 공단량체, 수소와 같은 다양한 원료 물질 및 촉매의 투입비와 반응조건 또는 반응환경을 조절해야 하므로 공정효율이 낮은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중합이 연속식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품의 물성을 변경하기 위해 반응조건 또는 반응환경을 조절하는 동안에도 제품이 계속 생산되므로 의도한 물성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일부 생산되어 생산단가를 상승시킬 수 있으며, 저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는 고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와 현저히 상이한 유변학적 거동을 보이기 때문에 성형, 운송 등 후단 공정의 설계 변경이 수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고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를 고온, 고압 조건하에서 열분해하여 점도를 낮추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일반적으로 열분해를 이용한 저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로 점도가 매우 낮고, 밀도와 분자량분포도가 높은 제품을 생산해왔다.
저점도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의 분자량분포도가 높은 이유는 열분해 시 분해점이 무작위로 분포하기 때문이다. 폴리올레핀 인터폴리머의 열분해는 에틸렌 단량체에서 보다 라디칼 안정성이 높은 공단량체 지점에서 발생되게 되는데, 공단량체의 분포가 무작위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열분해 후 분자량분포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열분해 전 분자량분포도가 낮아도 열분해 후 분자량분포도가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분자량분포도가 높은 제품을 생산해왔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정효율, 생산성, 경제성이 우수하고, 열분해에 의한 분자량분포도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단순한 제어를 통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물성을 다변화하여 필요에 따라 용도를 확대, 변경할 수 있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밀도가 0.95g/ml 이하이고 분자량분포도(Mw/Mn)가 5.0 이하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interpolymer)를 350℃ 내지 500℃에서 10초 내지 90분 간 교반 및 열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메탈로센 또는 포스트-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은 C3 내지 C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 1238)는 30g/10min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교반은 20rpm 내지 40rpm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연속식, 배치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는 177℃에서 10cps 이상 5,000cps 미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는 15.0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왁스용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는 177℃에서 5,000cps 내지 100,000cps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는 5.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적절히 선택된 원료 랜덤 공중합체를 일정 조건에서 열분해하는 것만으로 왁스 또는 핫멜트 접착제용으로 적합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고, 열분해 조건을 제어하여 생산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공정효율, 생산성,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 및 열분해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밀도가 0.95g/ml 이하이고 분자량분포도(Mw/Mn)가 5.0 이하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interpolymer)를 350℃ 내지 500℃에서 10초 내지 90분 간 교반 및 열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열분해에 의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 전환되는 원료 물질로서,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및/또는 폴리올레핀 플라스토머(POP)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물성과 상기 열분해 조건의 조합에 의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물성을 필요한 범위로 구현할 수 있으므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로 특정 물성을 가지는 것을 적절히 선택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열분해에 의해 생산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원료 물질에 비해 현저히 증가한 분자량분포도를 가지며, 이는 원료 물질의 물성과 관련된다. 원료 물질로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인터폴리머를 사용한 경우 분해점이 고분자의 주쇄에 무질서하게 분포하기 때문에 열분해 후 분자량분포도가 증가한다.
이에 대해, 메탈로센 또는 포스트-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인터폴리머는 지글러-나타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인터폴리머에 비해 본질적으로 공단량체의 함량이 높고, 밀도와 분자량분포도가 낮으므로, 열분해에 의한 분자량분포도의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인터폴리머에서 분해점은 주로 공단량체 지점에 분포하기 때문에 공단량체의 함량이 작은 인터폴리머는 공단량체가 주쇄에 무질서하게 위치할 확률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열분해 후 분자량분포도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상기 지글러-나타 촉매는 공단량체의 함량을 높게 중합하기 어렵기 때문에 잠재적인 분해점을 무질서하게 분포시키기 어렵다.
다만, 상기 메탈로센 또는 포스트-메탈로센 촉매는 공단량체의 함량을 높게 중합할 수 있고, 이를 이용하여 중합된 인터폴리머는 공단량체의 분포가 상대적으로 균일하므로, 열분해 시 잠재적인 분해점이 매우 무질서하게 분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분자량분포도가 낮은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에서 상기 α-올레핀은 C3 내지 C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헵텐 및 1-옥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1-옥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밀도는 0.95g/ml 이하, 바람직하게는, 0.94g/ml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0.85g/ml 내지 0.91g/ml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밀도가 0.95g/ml 초과이면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의 물성을 가지게 되어 실질적으로 분해점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분자량분포도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 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분자량분포도가 5.0 초과이면 열분해 시 분자량분포도의 증가를 억제하기 어렵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 1238)는 30g/10min 이하, 바람직하게는, 1g/10min 내지 30g/10min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용융지수가 30g/10min 초과이면 분자량이 상대적으로 작아져 열분해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그로부터 제조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재현성, 균일성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분해에 의해 생산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가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종래 중합 반응기를 이용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는 단량체, 공단량체, 수소와 같은 다양한 원료 물질 및 촉매의 투입비와 반응조건 또는 반응환경에 의해 조절되므로, 그 과정에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합 반응기가 연속식으로 운전되는 경우, 제품의 물성을 변경하기 위해 반응조건 또는 반응환경을 조절하는 동안에도 제품이 계속 생산되므로 의도한 물성을 충족하지 못한 제품이 일부 생산되어 생산단가를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적절히 선택된 원료 랜덤 공중합체를 일정 조건에서 열분해하는 것만으로 왁스, 핫멜트 접착제, 충격 개질제, 페인트 첨가제용으로 적합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고, 열분해 조건을 제어하여 생산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공정효율, 생산성,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열분해 시 반응온도는 35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350℃ 내지 450℃일 수 있고, 반응시간은 10초 내지 90분, 바람직하게는, 1분 내지 30분일 수 있다. 상기 반응온도 및 반응시간이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후술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용도에 적합한 점도와 분자량분포도를 구현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열분해는 일정 속도의 교반 조건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교반속도는 20pm 내지 40rpm, 바람직하게는, 20rpm 내지 30rpm일 수 있다. 상기 교반속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후술할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용도에 적합한 점도와 분자량분포도를 구현할 수 없다.
상기 방법은 연속식 및/또는 배치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상기 방법은 연속식 또는 배치식으로 수행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양자가 조합된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방법이 연속식으로 수행되는 경우 공정효율 및 경제성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방법을 통해 얻어진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는 177℃에서 10cps 내지 100,000cps일 수 있고, 상기 범위 내에서 저점도 영역의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왁스용으로 사용될 수 있고, 고점도 영역의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핫멜트 접착제, 충격 개질제, 페인트 첨가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가 177℃에서 10cps 이상 5,000cps 미만인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는 15.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초과 15.0 이하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왁스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가 177℃에서 5,000cps 내지 100,000cps인 경우,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는 5.0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0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핫멜트 접착제, 충격 개질제, 페인트 첨가제용으로, 바람직하게는, 핫멜트 접착제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가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사용되는 경우, 상기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은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35중량% 내지 50중량%, 점착부여제 30중량% 내지 50중량%, 왁스 10중량% 내지 25중량%, 및 산화방지제 0.1중량%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반응기에 하기 표 1의 물성을 가지는 에틸렌-옥텐 랜덤 공중합체(메탈로센 촉매에 의해 중합된 공중합체) 2kg을 투입한 후, 반응기에 질소를 주입, 배출하여 반응기 내에 존재하는 산소를 제거하였다.
상기 에틸렌-옥텐 랜덤 공중합체의 물성(밀도, 용융지수), 반응기의 온도 및 교반속도 중 하나 이상을 조절하여 상기 에틸렌-옥텐 랜덤 공중합체를 10분 간 열분해하여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얻었다. 실시예 1에서, 상기 에틸렌-옥텐 랜덤 공중합체의 중량평균분자량(Mw), 수평균분자량(Mn), 및 분자량분포도(Mw/Mn)는 각각 24,600, 10,900, 및 2.26이다. 실시예에서의 열분해 조건과 생성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 대한 물성 실험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실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밀도(g/ml): ASTM D 1505에 의거하여 측정함
-용융지수(g/10min, melt index, MI): 2.16kg 압력, ASTM D 1238에 의거하여 측정함
-점도(cps, @177℃): Brookfield viscometry, Spindle 31번
-분자량, 분자량분포: 가스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에 의해 측정함
구분 밀도(열분해 전) 용융지수(열분해 전) 온도(℃) 교반속도(rpm) 점도(열분해 후)
실시예 1 0.868 5 406 20 8,200
실시예 2 0.860 5 404 20 8,200
실시예 3 0.863 5 404 20 8,000
실시예 4 0.874 5 406 20 8,300
실시예 5 0.902 5 408 20 8,300
실시예 6 0.868 5 380 20 17,000
실시예 7 0.868 5 406 30 13,000
실시예 8 0.868 5 360 20 23,000
실시예 9 0.868 1 406 20 8,200
실시예 10 0.868 4 406 20 8,300
실시예 11 0.868 13 404 20 8,300
비교예
연속 교반되는 반응기를 사용하여 용액중합 공정으로 중합체 A와 왁스 A를 생성하였다. 중합체 A 및 왁스 A는 각각 1,250ppm의 스테아르산칼슘, 500ppm의 어가녹스 1076 장애 폴리페놀 안정화제 및 800ppm의 PEPQ(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비페닐렌 디포스포나이트)로 안정화되었다.
에틸렌과 수소를 한 스트림으로 합한 후, C8 내지 C10 포화 탄화수소, 예를 들어, 이소파-E 탄화수소 혼합물 및 공단량체의 혼합물인 희석제 혼합물에 도입하였다. 상기 공단량체는 1-옥텐이이다. 반응기 공급 혼합물은 반응기에 연속적으로 주입되었다.
금속착체 및 조촉매를 하나의 스트림으로 합하고, 반응기로 연속적으로 주입하였다. 촉매로는 TiCl3(DME)1.5, [(Me4C5)SiMe2N-t-Bu][MgCl]2 및 [(η5-Me4C5)SiMe2N-t-Bu]TiMe2로 이루어진 촉매 조성물을 사용하였다. 조촉매는 이소파-E 혼합 탄화수소 내 3중량%의 용액으로서 입수할 수 있는 트리스(펜타플루오로페닐)보란이다. 알루미늄은 헵탄 내 개질된 메틸알룸옥산(MMAO형 3A)의 용액으로 제공되었고, 이 용액은 2중량%의 알루미늄 농도로 입수할 수 있다.
금속착체와 촉매가 반응하기에 충분한 체류시간을 준 후, 중합 반응기에 도입하였다. 각 중합 반응에서, 반응기의 압력은 475psig(3.3Mpa)로 일정하게 고정하였다.
중합 후, 반응기 배출 스트림을 분리기로 도입하는데, 이 분리기에서 융해된 중합체는 반응하지 않은 공단량체(들), 반응하지 않은 에틸렌, 반응하지 않은 수소 및 희석제 혼합물 스트림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어서, 융해된 중합체를 스트랜드(strand)로 자르거나 펠렛화하고, 수욕 또는 펠렛화기에서 냉각한 후 고체 펠렛을 수득하였다. 중합 조건 및 생성된 중합체의 특성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중합체 A 왁스 A
에틸렌 공급량 (kg/hr) 0.9 1.4
공단량체 : 올레핀 비 (몰%) 12.40 0.40
수소 : 에틸렌 비 (몰%) 0.26 1.60
희석제 : 에틸렌 비 (몰%) 10.60 5.90
촉매 농도 (ppm) 4 5
촉매 유량 (kg/hr) 0.123 0.285
조촉매 농도 (ppm) 88 353
조촉매 유량 (kg/hr) 0.180 0.129
알루미늄 농도 (ppm) 10 20
알루미늄 유량 (kg/hr) 0.170 0.243
반응기 온도 (℃) 110 140
반응기 배출 스트림 중 에틸렌 농도 (중량%) 1.80 4.41
밀도 (g/ml, ASTM D 1505) 0.875 0.968
점도 (cps, @177℃, Brookfield viscometry, Spindle 31번) 39,000 395
중량평균분자량 (Mw) 30,100 7,300
수평균분자량 (Mn) 17,100 3,700
분자량분포도 (Mw/Mn) 1.76 1.97
한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중합체 A의 물성을 비교해보면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점도 Mw Mn Mw/Mn
실시예 1 8,200 19,100 8,210 2.33
중합체 A 39,000 30,100 17,100 1.76
상기 표 3을 참고하면, 실시예 1에서 적절히 선택된 원료 랜덤 공중합체를 일정 조건에서 열분해하여 얻어진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비교예에서 다성분 촉매계를 이용하여 (공)단량체로부터 일정 조건에서 중합된 공중합체와 유사한 물성, 구체적으로, 핫멜트 접착제용으로 적합한 물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점도와 분자량에 다소 차이가 있으나, 실시예 1의 경우 열분해 조건 중 온도, 교반속도 등을 제어하는 것만으로도 생성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와 분자량분포도를 중합체 A에 상응하는 값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반면, 중합체 A의 물성을 실시예 1에 상응하는 값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촉매계의 성분, 조성, 농도, 유량뿐만 아니라 원료 물질의 공급량, 반응조건 등에 대한 정밀한 제어가 필요하다.
실시예 6, 7에서 제조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중합체 A를 포함하는 핫멜트 접착제 조성물(제조예 1 내지 4, 비교제조예)의 조성 및 물성은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제조예 4 비교제조예
실시예 6 34 34
실시예 7 34 34
비교예(중합체 A) 34
점착부여제(5600) 40 40 45 45 40
F-T 왁스(H1) 25 20
POE 왁스(50cps) 25 20 25
산화방지제(IRGANOX 1010) 1 1 1 1 1
용융점(℃) 81 80 83 82 81
점도(cps @177℃) 2,350 2,400 2,430 2,490 2,440
Fiber Tear Failure(FTF) 85 81 75 73 78
(단위: 중량부)
이와 같이, 실시예 1은 적절히 선택된 원료 랜덤 공중합체를 일정 조건에서 열분해하는 것만으로 핫멜트 접착제용으로 적합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고, 열분해 조건을 제어하여 생산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물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비교예에 비해 공정효율, 생산성, 경제성이 현저히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2)

  1. 밀도가 0.95g/ml 이하이고 분자량분포도(Mw/Mn)가 5.0 이하인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interpolymer)를 350℃ 내지 500℃에서 10초 내지 90분 간 교반 및 열분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는 메탈로센 또는 포스트-메탈로센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올레핀은 C3 내지 C20의 α-올레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α-올레핀 인터폴리머의 용융지수(melt index, ASTM D 1238)는 30g/10min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은 20rpm 내지 40rpm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연속식, 배치식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는 177℃에서 10cps 이상 5,000cps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는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왁스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점도는 177℃에서 5,000cps 내지 100,000cp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분자량분포도는 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핫멜트 접착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PCT/KR2018/007759 2017-08-23 2018-07-09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19039731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06892 2017-08-23
KR10-2017-0106892 2017-08-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39731A1 true WO2019039731A1 (ko) 2019-02-28

Family

ID=65439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7759 WO2019039731A1 (ko) 2017-08-23 2018-07-09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903973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8848A (zh) * 2019-04-08 2019-08-02 江苏龙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乙丙橡胶的制备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4577A1 (en) * 1992-08-13 1994-03-03 Eastman Chemical Company High clarity emulsions containing high melt viscosity maleated polypropylene wax
KR20010000286A (ko) * 2000-09-06 2001-01-05 최근호 낮은 다분산성지수를 갖는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방법 및그 장치
JP2003503553A (ja) * 1999-06-25 2003-01-28 クレイトン・ポリマーズ・リサーチ・ベー・ベー ホットメルト感圧位置決め接着剤(iii)
JP2014034682A (ja) * 2012-08-07 2014-02-24 Xerox Corp 回収したポリエチレンからワックスを得る方法
JP6042340B2 (ja) * 2011-09-13 2016-12-14 株式会社三栄興業 末端二重結合含有ポリオレフィン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04577A1 (en) * 1992-08-13 1994-03-03 Eastman Chemical Company High clarity emulsions containing high melt viscosity maleated polypropylene wax
JP2003503553A (ja) * 1999-06-25 2003-01-28 クレイトン・ポリマーズ・リサーチ・ベー・ベー ホットメルト感圧位置決め接着剤(iii)
KR20010000286A (ko) * 2000-09-06 2001-01-05 최근호 낮은 다분산성지수를 갖는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방법 및그 장치
JP6042340B2 (ja) * 2011-09-13 2016-12-14 株式会社三栄興業 末端二重結合含有ポリオレフィンとその製造方法
JP2014034682A (ja) * 2012-08-07 2014-02-24 Xerox Corp 回収したポリエチレンからワックスを得る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8848A (zh) * 2019-04-08 2019-08-02 江苏龙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乙丙橡胶的制备方法
CN110078848B (zh) * 2019-04-08 2022-04-29 江苏龙蟠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液体乙丙橡胶的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90666A (en) Polyethylene blend composition
US4336352A (en) Blend of three ethylene polymers
JP3684324B2 (ja) 段階反応器による方法
FI110107B (fi) Termoplastinen olefiinipolymeeri ja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CN102731891A (zh) 一种热塑性耐油无卤低烟阻燃聚烯烃电缆料及其制备方法
NO173877B (no) Pellets av nedbrutt propylenhomopolymer eller kopolymer av propylen med minst et annet alfa-olefin, 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slike pellets samt av formede gjenstander
KR20070004687A (ko) 바이모달 폴리올레핀 제조에 있어서의 촉매 배치
JPS6261057B2 (ko)
EP3234005B1 (en) Low haze polyethylene polymer compositions
CN102532380A (zh) 高流动性抗冲聚丙烯制备方法
PL188614B1 (pl) Sposób wytwarzania rur z kopolimeru propylen/etylen
WO1997047682A1 (en) Ethylene polymer product having a broa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ts preparation and use
US9284415B2 (en) Oxygen tailoring of polyethylene
CN102083894A (zh) 聚丙烯和烯烃互聚物的反应性加工的高耐热性组合物
US20120245302A1 (en) Method for producing modified propylene polymer
WO2014069911A1 (ko) 과산화물 마스터배치 생산 기술 및 이를 이용한 폴리프로필렌 개질 방법
CA2593026A1 (en) Polymer containing polysiloxane processing aid and catalyst neutralizer
WO2019039731A1 (ko)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WO2009059780A1 (en) Polypropylene copolymer
WO2020184791A1 (ko)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연속식 제조방법
CN1608087A (zh) 生产乙烯-α-烯烃共聚物薄膜的方法
US20040249093A1 (en) Polyolefins with high levels of long chain branching
KR20210039665A (ko) 점접착제용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84522A (zh) 具有高冲击强度和透明度的适用于瓶子的聚烯烃组合物
WO2019103182A1 (ko) 기능화 가능한 폴리에틸렌 왁스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8477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884772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