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9013387A1 -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9013387A1
WO2019013387A1 PCT/KR2017/009182 KR2017009182W WO2019013387A1 WO 2019013387 A1 WO2019013387 A1 WO 2019013387A1 KR 2017009182 W KR2017009182 W KR 2017009182W WO 2019013387 A1 WO2019013387 A1 WO 201901338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rning
unit
offline
answer
lear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91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차길영
Original Assignee
차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길영 filed Critical 차길영
Publication of WO201901338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901338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ffline textbook service system in which an offline textbook in which various learning problems are stored so that a learner can learn on- And can be consulted through online while solving offline teaching materials learning questions, promptly answer questions immediately on offline textbooks, receive prompt answers, and write wrong answers to wrong questions during online or offline textbook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active learning service system capable of provid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 learning and analyzing scoring results to provide a conceptual learning video of a weak type.
  • the educational medi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ducational medium related to entrance examinations, and the educational medium for adults are based on printed materials such as traditional textbooks (books), new learning methods using communication network and learner terminals Has continuously been proposed, and accordingly, the educational contents market linked with online has been grow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ffline teaching material in which various learning problems are stored so that a learner can learn in offline, So that not only can online counseling be available online while solving the offline learning materials problem, but also if you do not know or solve the problem offline, And to provide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learning service system that can be solved.
  •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n offline textbook containing various learning questions so that a learner can learn offline; and an electronic textbook having the same contents as the offline textbook
  • a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learning questions and / or images related to the learning questions
  • a question input unit for allowing the learner to ask questions in the online teaching material when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learning problem during learning o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 a question answering unit for inputting an answer to the question inputted to the question input unit
  •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various learning problems, the corresponding learning question related images, th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s.
  •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further comprises a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for inputting answers to various learning problems laid out through the display unit or a learning question of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through input means, .
  • an incorrect answer note making unit can create a wrong answer note through the input unit in association with the wrong answer by the learner.
  • the question input unit and the incorrect answer note generation unit have a handwriting input function for direct handwriting by a learner.
  • the question input unit preferably read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 in a file form (photograph), writes it in a handwritten form, and retrieves the learning problem from the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 the wrong answer note creating unit prepares the content of the learning problem, the solution process, the wrong reason, important concepts, and the theory for the problems that are wrong in the learning process or the problems designated by the learner.
  • the wrong answer note generation unit has solved the problem through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it is preferable that only the wrong problem is selected, and only the wrong answer problem is selected to create the wrong answer note.
  • a consultation application section for applying for consultation on the anxieties of the learner.
  • the answer is inputted online in the form of OMR and the score is scored through the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presents an incorrect answer based on the incorrect answer note making unit together with an incorrect answer similarity problem.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may determine a problem solving solution when solving the wrong answer note and wrong answer similarity problem, and provide the learning notice every predetermined time according to the repetition period.
  •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preferably presents a concept map indicating a level grade of a unit concept to each learner based on the wrong answer note creating unit.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distinguishes the unit concepts in order of application level for each unit and suggests learning recommendation in order of application of the unit concept according to the error rate of the unit concept at the time of solving the learning problem.
  •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visually presents the learning situation of the learner in real time.
  • the learning ability analyzer divides the learner into classes and presents the learning status in real time for each class.
  • an offline textbook in which various learning problems are stored so that a learner can learn offline
  • an electronic book terminal in which an online textbook having the same contents as the offline textbook are stored
  • online learning is available online while solving offline learning materials.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presents a concept map for displaying the level grades of the learner in various colors or three-dimensional according to the unit of the subject, based on the wrong answer note preparing unit, and displays the learner's learning comprehension ability at a glance.
  • the concepts necessary for learning can be prioritized and recommended to the learner for effective learning.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bile main screen through a display unit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mathematical consultation page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a Q & A page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handwritten note function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problem solving page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correct answer note page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9 and FIG. 10 illustrate a problem solving menu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1-13 are diagrams illustrating problem solving pages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4 and 15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nswer input in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n incorrect answer note in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7 and FIG. 18 are diagrams showing examples of providing customized recommendation through the learning analysis of the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loc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cept learning video for the vulnerable type, respectively.
  • FIG. 1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learning notification according to a repetition period by determining an incorrect answer repetition number in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0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concept map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21A and 21B are illustration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cept map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linked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al-time situation of a learner in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the state of each class by applying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linked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chool or a school.
  • FIG. 24 and FIG. 25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learner's order according to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includes an offline textbook (workbook 2) in which various learning problems are stored so that a learner can learn offline, A learning service system for allowing an online teaching material having the same contents to be linked to an e-book terminal (3) stored therein, the learn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10) A question input unit 20 for allowing the learner to ask questions via input means in the online teaching material when there is a question about the learning problem during learning o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A question answering unit 30 for inputting an answer to the question inputted to the question input unit 20; And a display unit 40 for displaying the various learning problems, the questions, and answers to the questions.
  • workbook 2 in which various learning problems are stored so that a learner can learn offline
  • a learning service system for allowing an online teaching material having the same contents to be linked to an e-book terminal (3) stored therein, the learning service system comprising: a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10) A question input unit 20 for allowing the learner to ask questions via input means in the online
  •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n answer to various learning problems laid out through the display unit 40 is input through input means, And a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50 for confirming and scoring whether the answer is correct.
  • the answer may be input in the form of OMR on-line, for example, and may be scored through the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50.
  •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can automatically check the number and the correct number of the scoring result and the problem type by the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50, And a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70 for analyzing the learning ability of the learner, identifying a weak learning part, and providing customized recommendation learning and a concept learning video of a weak type.
  • the handwriting can be inputted directly through the display unit 40 in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question input unit 20 and the wrong answer note creating unit 60
  • the contents written in the handwriting can be handwritten.
  • the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10 stores various learning problems and / or images related to the learning problems (including commentary images) and can present them to the learner through the display unit 40 at the request of the learner.
  • the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10 is in the form of a database.
  • the database not only a correct answer, commentary, and a problem solving (including a moving picture) about the learning problem are stored in the database, Similar problems can also be saved.
  • the problem, correct answer, and commentary are stored in different memory areas, but are matched to each other.
  • the question input unit 20 allows a learner to inquire about a problem that is not known during learning o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so that a question can be directly inquired on the way of solving a problem in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 the contents of the question can be read in the form of a file (photograph), written in handwriting, or the like, and the question can be retrieved from the learning question storage unit 10.
  • the wrong answer note creator 60 can write the content of the learning question, the process of solving the problem, the wrong reason, the important concept, the theory, etc. in handwritten or the like with respect to the problem of the problem specified by the learner or the wrong problem in the learning process.
  • the wrong answer note creating unit 60 may photograph another solution created offline and attach the picture data to the wrong answer picture.
  • the wrong-answer note creator 60 solves the problem through the off-line teaching material, it can check only the wrong problem and select only the wrong-answer question to make a wrong answer note.
  • the input means may be a keypad and / or a touch panel for inputting an answer of a ques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40, a correct answer confirmation, a wrong answer note preparation, a screen writing function provision, a page up / .
  •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70 analyzes the learning ability of the learner based on the noon of the learning problem solved by the learner and the attribute of the problem, (Performance), and provides a function of providing customized recommendation learning and a conceptual learning video of a weak type.
  • students can analyze the scores / ranks of each subject,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per subject area, the percentage of correct answers according to degree of difficulty, and further identify vulnerable subjects and vulnerable areas.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70 may determine a weak region based on the attributes of the corresponding problems, and may provide learning data related to the determined weak region through a moving picture or the like. In addition,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70 may provide only commentary data (video, text, etc.) on the wrong problem, there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confirm an incorrect answer.
  •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70 collects only the wrong answers for each unit based on the incorrect answer note making unit 60, and makes test papers for each uni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timum learning service that matches the learning ability.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70 can present both an incorrect answer problem and an incorrect answer similarity problem based on the incorrect answer note making unit 60 so that they can solve all the problems similar to the wrong answer problem, Can be improved.
  •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obile main screen through the display unit 40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s shown in the illustrated examples relate to mathematical learn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s of the courses.
  • a profile registration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creen, a profile registration, a mathematical counseling menu button, a question input menu button (Q & A) and an incorrect answer note menu button of the learner are activated.
  • a mathematical counseling menu button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screen, a mathematical counseling menu button, a question input menu button (Q & A) and an incorrect answer note menu button of the learner are activated.
  • FIG. 3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mathematical consultation page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4 and 5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 Q & A page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blem image can be automatically called up, the problem can be retrieved from the stored data, and the commentary can be called together.
  • FIG. 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handwritten note function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rning problem solving page and the question input menu page have handwriting menus, so that the learner can directly write.
  • the handwriting menu is equipped with a pen / highlight pen / eraser / color selection / thickness selection function.
  • FIG. 7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problem solving page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incorrect answer note page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9 and 10 are exemplary diagrams illustrating problem solving menus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oblem solving menu is displayed for, for example, the polynomial in Mathematics I, the categories such as equations and floating points, the number of problems, and the progress.
  • the problem solving method can be selected to solve an application (online teaching material) problem, input an answer, select only an incorrect answer, and view an analysis result.
  • 11 to 13 are illustrations showing problem solving pages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4 and FIG. 15 are exemplary diagrams showing an example of an answer input in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swer is inputted on-line in OMR form and is scored through the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50.
  • 16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creating a wrong answer note in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17 and 18 are diagrams illustrating examples of providing a recommendation recommendation and a concept learning video for a vulnerable type, respectively, through learning analysis of the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rning ability (achievement level) is calculated based on the noon of the learning problem solved by the learner and the attribute of the problem, the reason why the learner has solved through the correct answer confirming unit 50 and the wrong answer note creating unit 60 And provide customized recommendation learning and concept learning videos of the weak type.
  • FIG. 19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providing a learning notification according to a repetition period by determining an incorrect answer repetition number in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70 determines the number of wrong answer problems when correcting an incorrect answer (including an incorrect similar problem solution) Notification will be provided.
  • 20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conceptual map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70 classifies a subject into a lecture based on the wrong answer note creating unit 60, and displays the lecture contents to the learner in order to display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achievement of the learning contents step by step A concept map showing the level rating is presented by unit (quadratic curve in the example shown).
  • the level class according to each unit is displayed in various colors (displayed by using colors in the middle, middle, and the right), or the stereoscopic height is displayed differently so that the learning ability of the learner is high and low It is possible to show the students at a glance and to prioritize the concepts necessary for learning and recommend them to learners.
  • 21A and 21B are illustration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concept map of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unit concept is defined as the original definition (A), the standard type of the original equation (B) (D),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circle and a straight line (E), and the application step of the unit concept according to the error rate of the corresponding unit concept at the time of problem solving as shown in FIG. , Suggesting learning recommendation in order, and concept map can be made more efficiently for each unit.
  • FIG. 22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a learner's real-time status of an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rning ability analyzer 70 can check the learning situation of each learner, which is a real-time learning situation of the learner, the unexpectedness of the answers, questions and the like, As well.
  • FIG. 23 is an exemplary diagram showing the state of each class by applying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 school or a school.
  • the offline and online textbook interdependent learning service system 1 is applicable to schools or academies.
  • the learner of each class taught by the subject teacher It is possible to check the learning status of class students in real time by class.
  • FIG. 24 and FIG. 25 are illustrations showing the learner's order according to the offline and online teaching materials interworking learning servic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earning ability analysis unit 70 can arrange grades so that the grades of the learners can be grasped at a glance by date, and present them as a graph.
  • the learning ability analyzing unit 70 can arrange the grades so that the average grades can be grasped at a glance for each class.

Abstract

본 발명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와 연동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교재 학습 문제 풀이 중에 온라인을 통해 상담이 가능하고, 오프라인 교재에 있는 문제에 대해 바로 질문하여 답변을 즉시 제공받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재에서 풀이 과정 중에 틀린 문제에 대해 오답 노트의 작성과 저장이 가능하고, 채점 결과를 분석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은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와 연동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교재 학습 문제 풀이 중에 온라인을 통해 상담이 가능하고, 오프라인 교재에 있는 문제에 대해 바로 질문하여 답변을 즉시 제공받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재에서 풀이 과정 중에 틀린 문제에 대해 오답 노트의 작성과 저장이 가능하고, 채점 결과를 분석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초, 중, 고교생의 교육과정, 입시와 관련된 교육매체,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매체는 전통적인 교재(서적) 등의 인쇄물 기반에서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신망과 학습자 단말을 이용한 새로운 학습 방안이 지속적으로 제안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온라인과 연계되는 교육 컨텐츠 시장도 성장해왔다.
그러나 정보 통신 기술과 접목된 대부분의 학습 시스템은 여전히 서비스 제공자가 업로드하거나 링크한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거나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상에서 전통적으로 이루어지는 교육과 연계되기에 부족한 점이 있었고, 학습자의 오프라인 학습 결과에 대하여 추가적인 관리나 피드백이 어렵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즉, 종래에는 오프라인 상에서의 학습 교재를 통해 예를 들어 문제 풀이 과정 중에 질문 사항이 있는 경우, 온라인을 통해 바로 해결하기 어려운 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교재와 온라인 교재를 연동하여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은 전혀 제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와 연동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교재 학습 문제 풀이 중에 온라인을 통해 온라인 상담이 바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것이 있거나 질문이 있는 경우, 온라인상의 질문 입력 메뉴에서 해당 학습 문제와 질문 사항을 바로 해결할 수 있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프라인의 교재와 동일한 문제를 불러와서 온라인 상에서 학습 문제를 풀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재에서 풀이 과정 중에 틀린 문제 또는 학습자가 지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해당 학습 문제 내용, 풀이 과정, 틀린 이유나 중요한 개념, 이론 등을 포함하는 오답 노트의 작성과 저장이 가능한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답 확인부 및 오답 노트 작성부 등을 통해 해당 학습자의 채점 결과를 분석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와 연동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종 학습 문제 및/또는 해당 학습 문제 관련 영상이 저장되는 학습 문제 저장부; 상기 학습자가 상기 오프라인 교재 상에서 학습 중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해 질문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교재에서 질문할 수 있도록 된 질문 입력부; 상기 질문 입력부에 입력된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을 입력하도록 된 질문 답변부; 상기 각종 학습 문제, 상기 해당 학습 문제 관련 영상, 상기 질문 사항, 및 상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레이 아웃되는 각종 학습 문제 또는 상기 오프라인 교재의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고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를 확인하고 채점하는 정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답 확인부에 의해 오답으로 확인된 경우, 학습자에 의해 오답과 관련하여 입력 수단을 통해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 있는 오답 노트 작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답 확인부를 통한 채점 결과와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통한 오답 내용을 파악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취약한 학습 부분을 파악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는 학습 능력 분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문 입력부 및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는 학습자가 손 글씨를 통한 직접 필기를 위한 손 글씨 입력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질문 입력부는 질문 사항의 내용을 파일 형태(사진)로 읽어들이거나, 손 글씨로 작성하며, 해당 학습 문제를 상기 학습 문제 저장부로부터 불러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는 학습과정에서 틀린 문제 또는 학습자가 지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해당 학습 문제 내용, 풀이 과정, 틀린 이유나 중요한 개념, 이론을 작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는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한 경우, 틀린 문제만 체크하여 해당 오답 문제만을 선택하여 오답 노트를 작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해당 학습자의 고민에 대해 상담을 신청하는 상담 신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하는 경우, 답안을 온라인에서 OMR 형태로 입력하여 상기 정답 확인부를 통해 채점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토대로 오답 문제와 함께 오답 유사 문제를 함께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오답 노트 및 오답 유사문제 풀이시 문제풀이 회차를 정하고 반복 주기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학습 알림을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토대로 해당 학습자에게 과목 단원별로 단위 개념의 레벨 등급을 표시하는 개념 지도를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념 지도에는 각 단원에 따른 레벨 등급들을 여러 가지 색으로 표시하거나 입체적 높이를 다르게 표시하여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각 단원별로 단위 개념을 응용 단계의 순서로 구별하고, 학습 문제 풀이시에 해당 단위 개념에 대한 오답률에 따라 단위 개념의 응용순으로 학습 추천을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학습자의 실시간의 학습 상황을 시각적으로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학습자를 학급별로 구분하고 학습 현황을 학급별로 실시간으로 제시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따르면,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와 연동하도록 하여 오프라인 교재 학습 문제 풀이 중에 온라인을 통해 온라인 상담이 바로 가능할 뿐만 아니라,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것이 있거나 해당 문제에 대해 질문이 있는 경우, 온라인상의 질문 입력 페이지에서 해당 학습 문제와 질문 사항을 바로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프라인의 교재와 동일한 문제를 불러와서 온라인 상에서 학습 문제를 풀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재에서 풀이 과정 중에 틀린 문제 또는 학습자가 지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해당 학습 문제 내용, 풀이 과정, 틀린 이유나 중요한 개념, 이론 등을 포함하는 오답 노트의 온라인 작성과 저장이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오답 노트를 토대로 각 단원별 오답 문항만 모아서 시험지를 만들거나 또 문항 난이도별, 오답 횟수별 시험지를 만들어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정답 확인과 오답 노트의 작성을 통해 해당 학습자의 채점 결과와 취약 부분을 분석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오답 노트를 토대로 오답 문제와 함께 오답 유사 문제를 함께 제시하여 오답 문제와 유사한 내용을 문제를 모두 풀이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더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토대로 해당 학습자에게 과목 단원별로 레벨 등급을 다양한 색깔이나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개념 지도를 제시하여 학습자의 학습 이해 능력이 높음과 낮음을 한 눈에 보여주어 이후 학습에 필요한 개념을 우선순위를 정하여 학습자에게 추천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한 장점도 있다.
또한, 각 단원별로 단위 개념을 응용 단계의 순서로 구별하고, 문제풀이시에 해당 단위 개념에 대한 오답률에 따라 단위 개념의 응용순으로 학습 추천을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각 단원 별로 개념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한 모바일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수학 상담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질문 입력(Q&A)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필기 노트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문제 풀이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오답 노트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문제 풀이 메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문제 풀이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답안 입력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오답 노트 작성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학습 분석을 통한 맞춤 추천과 취약 유형에 대한 개념 학습 동영상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오답 노트 반복 회차를 정하고 반복 주기에 따라 학습 알림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 지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개념 지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학습자 실시간 현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을 학교나 학원에 적용하여 학급별 현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따라 학습자의 성적순 배열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은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학습지; 2)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3)와 연동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종 학습 문제가 저장되는 학습 문제 저장부(10); 상기 학습자가 상기 오프라인 교재 상에서 학습 중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해 질문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교재에서 입력수단을 통해 질문할 수 있도록 된 질문 입력부(20); 상기 질문 입력부(20)에 입력된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을 입력하도록 된 질문 답변부(30); 상기 각종 학습 문제, 상기 질문 사항, 및 상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은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레이 아웃되는 각종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고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를 확인하고 채점하는 정답 확인부(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하는 경우, 답안을 예를 들면 온 라인에서 OMR 형태로 입력하여 정답 확인부(50)를 통해 채점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은 상기 정답 확인부(50)에 의해 오답으로 확인된 경우, 학습자에 의해 오답과 관련하여 입력 수단을 통해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 있는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은 상기 정답 확인부(50)를 통해 채점 결과와 문제 유형마다 맞힌 수와 틀린 수가 자동 확인이 가능하므로 누적된 해당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취약한 학습 부분을 파악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는 학습 능력 분석부(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바로 손 글씨 입력이 가능하므로 질문 입력부(20)와 오답 노트 작성부(60)에 작성되는 내용을 손 글씨를 통해 화면 필기가 가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 또는 온라인 교재를 통해 틀린 문제만을 체크하여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통해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를 통해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파악하여 맞춤형 추천 학습을 진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취약한 부분(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학습 문제 저장부(10)는 각종 학습 문제 및/또는 해당 학습 문제 관련 영상(해설 영상 포함)이 저장되어 학습자의 요청에 의해 상기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해 학습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물론, 학습 문제 저장부(10)는 데이터 베이스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데이터 베이스내에는 해당 학습 문제의 정답, 해설 및 학습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동영상 포함)가 저장될 뿐만 아니라 해당 학습 문제와 유사한 유사 문제도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문제와 정답 및 해설은 각기 다른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어 있으나 서로 매칭되어 있다.
상기 질문 입력부(20)는 학습자가 상기 오프라인 교재 상에서 학습 중에 모르는 문제에 대해 질문을 하는 것으로, 해당 오프라인 교재에 있는 문제를 푸는 도중에 바로 온라인으로 질문할 수 있도록 하다. 이때, 질문 사항의 내용을 파일 형태(사진)로 읽어들이거나, 손 글씨 등으로 작성도 가능하며, 해당 문제를 학습 문제 저장부(10)로부터 불러올 수도 있다.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는 학습과정에서 틀린 문제 또는 학습자가 지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해당 학습 문제 내용, 풀이 과정, 틀린 이유나 중요한 개념, 이론 등을 손 글씨 등으로 작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에는 오프라인 상에서 작성된 별도의 풀이를 카메라 등을 통해 촬영하여 그 사진 데이터를 추가하여 첨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는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한 경우, 틀린 문제만 체크하여 해당 오답 문제만을 선택하여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입력수단은 디스플레이부(40)에 디스플레이된 문항의 답을 기입하거나 정답확인, 오답노트 작성, 화면 필기 기능 제공, 페이지 업/다운 등의 명령을 입력하는 키패드 및/또는 터치 패널 등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상기 정답 확인부(50) 및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통해 해당 학습자가 풀이한 학습 문제의 정오 및 상기 문제의 속성, 틀린 이유 등을 기반으로 학습 능력(성취도)를 분석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채점 결과를 기반으로 해당 과목별 점수/석차, 과목 영역별 정답률, 난이도별 정답률 등을 분석하며, 더 나아가 취약 과목, 취약 부분 등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해당 문항의 난이도 별로 부과된 가중치를 반영하여 학습 능력을 분석할 수도 있다. 예컨대, 난이도가 높은 문항들의 정답률을 높으나 난이도가 낮은 문항들의 정답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경우라면, 학업성취도가 기대값보다 높게 될 것이며, 이러한 경우 ‘기본 개념에 대한 실수가 많음’과 같은 학습성취도 평가를 내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상기 해당 문제들의 속성을 기반으로 취약 영역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취약 영역과 관련된 학습자료를 동영상 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오답 문제에 대한 해설 자료(동영상, 텍스트 등)만을 제공하여 오답 확인에 소요되는 시간을 절감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토대로 각 단원별 오답 문항만 모아서 시험지를 만들거나 또 문항 난이도별, 오답 횟수별 시험지를 만들어 해당 학습자에게 제공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 능력에 부합되는 최적의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토대로 오답 문제와 함께 오답 유사 문제를 함께 제시하여 오답 문제와 유사한 내용을 문제를 모두 풀이할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더 학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디스플레이부(40)를 통한 모바일 메인 화면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화면에서는 학습자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내신기출(실제 학교 내신기출문제 컨텐츠), 내신 기출(최상위; 내신 기출문제 난이도 최상위 문제와 유사문제 컨텐츠), 절대 유형 N제(유형별 문제 컨텐츠/전 문항 유사문제 제공), 실전 훈련(중단원 TEST 개념으로 실전대비 컨텐츠), 수능기출(유형별)(수능/모의고사 기출문제를 유형별로 정리한 컨텐츠) 등이 제공된다. 물론, 학습자는 실질적으로 온라인 교재 보다는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를 이용하여 문제를 풀이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본 발명에서는 오프라인에 연동하여 동일의 온라인 학습 문제를 제공하고 오프라인 교재에 있는 문제에 대해 필요시에 온라인을 통해 질문하고 바로 답변을 얻을 수 있도록 된 시스템이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수학 학습과 관련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 그 과목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메인 화면 상측에는 해당 학습자의 프로필 등록, 수학 상담 메뉴 버튼, 질문 입력 메뉴 버튼(Q&A), 오답 노트 메뉴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고, 해당 학습자가 해당 버튼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메뉴의 페이지로 이동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수학 상담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담 신청부(미도시)를 통해 수학 상담 페이지로 이동한 경우에, 해당 학습자의 수학 공부에 대한 고민에 대해 상담을 신청하고 바로 예를 들면 서울대 선배가 답변해 주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질문 입력(Q&A)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문 입력(Q&A) 페이지에는 오프라인 상에서 학습 문제를 풀다가 모르는 것이 있거나 해당 문제에 대해 질문이나 의문이 있는 경우, 질문 입력 메뉴 버튼(Q&A)을 터치하여 질문 입력 페이지로 이동하여 질문 사항의 내용을 파일 형태(사진)로 읽어들이거나, 손 글씨 등으로 작성하거나 또는 해당 문제를 학습 문제 저장부(10)로부터 불러와서, 질문 사항을 도 4와 같이 작성하여 실시간으로 바로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문제 이미지를 불러올 수 있고, 해당 문제를 저장된 데이터로부터 불러올 수도 있으며, 해설을 함께 불러올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필기 노트 기능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 문제 풀이 페이지와 질문 입력 메뉴 페이지에는 손 글씨 메뉴가 있어 학습자가 직접 필기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손 글씨 메뉴에는 펜/형광펜/지우개/색상선택/두께선택 기능이 구비되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문제 풀이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의 교재와 동일한 문제를 불러와서 학습 문제를 풀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오답 노트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교재에서 풀이 과정 중에 틀린 문제 또는 학습자가 지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해당 학습 문제 내용, 풀이 과정, 틀린 이유나 중요한 개념, 이론 등을 작성하고 자동으로 저장하여 필요할 때마다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문제 풀이 메뉴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풀이 메뉴에는 예를 들면 수학I에서 다항식, 방정식과 부동식 등의 카테고리와 문제수 그리고 진행률에 대해 표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풀기 방식을 앱(온라인 교재) 문제 풀기, 답안 입력하기, 오답만 선택 입력하기, 분석 결과 보기 등을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문제 풀이 페이지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의 교재와 동일한 문제를 불러와서 학습 문제를 풀이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문제 카테고리와 전체 문제의 수, 정답 및 오답수, 초기화 등의 메뉴가 있으며, 또한, 난이도, 정답률, 유사문제, 및 문제 풀이 동영상도 지원 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답안 입력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하는 경우, 답안을 온라인에서 OMR 형태로 입력하여 정답 확인부(50)를 통해 채점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오답 노트 작성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한 경우, 틀린 문제만 체크하여 온라인에서 해당 오답 문제만을 선택하여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7 및 도 18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학습 분석을 통한 맞춤 추천과 취약 유형에 대한 개념 학습 동영상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답 확인부(50) 및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통해 해당 학습자가 풀이한 학습 문제의 정오 및 상기 문제의 속성, 틀린 이유 등을 기반으로 학습 능력(성취도)를 분석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게 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의 오답 노트 반복 회차를 정하고 반복 주기에 따라 학습 알림을 제공하는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오답 노트 풀이시(오답 유사문제 풀이 포함) 오답 노트 문제풀이 회차를 정하고 반복 주기(주단위 또는 월단위)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학습 알림을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오답 노트 문제 풀이 미확습시에 다음 회차 학습에 누적되어 나타남, 학습자의 선택에 따라 풀이 문제를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개념 지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60)를 토대로 학습자의 학습 결과에 따라 학습 내용에 대한 이해도와 성취도를 단계적으로 표시하기 위하여 해당 학습자에게 과목 단원별(도시된 예에서는 이차 곡선)로 레벨 등급을 표시하는 개념 지도를 제시한다.
도시된 예에서는 각 단원에 따른 레벨 등급을 여러 가지 색(강/중/약으로 색깔을 사용하여 표시)으로 표시하여 제시하거나, 또는 입체적 높이를 다르게 표시하여 학습자의 학습 이해 능력이 높음과 낮음을 한 눈에 보여주어 이후 학습에 필요한 개념을 우선순위를 정하여 학습자에게 추천하여 효율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된다.
도 21a 및 도 2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개념 지도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즉,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원(도시된 예에서는 원의 방정식)에 대해서 단위 개념을 원의 정의(A), 원의 방정식의 표준형(B), 원의 방정식의 일반형(C), 좌표축의 접하는 원(D), 원과 직선의 위치관계(E)...의 응용 단계의 순서로 구별하고, 도 21b와 같이 문제풀이시에 해당 단위 개념에 대한 오답률에 따라 단위 개념의 응용순으로 학습 추천을 제시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각 단원 별로 개념 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의 학습자 실시간 현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학습자의 실시간의 학습 상황인 각 단원별 학습 상황, 오답 형황, 및 질문 사항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 상황을 실시간으로 시각적으로 파악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을 학교나 학원에 적용하여 학급별 현황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1)은 학교 또는 학원에 적용이 가능하며, 이 경우 해당 과목 선생이 가르치는 각 학급별의 학습자인 학급 학생들에 대한 학습 현황을 학급별로 실시간 확인이 가능하게 된다.
도 24 및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에 따라 학습자의 성적순 배열을 나타내는 예시도들이다.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각 학습자의 성적을 날짜별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성적을 배열하여 그래프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70)는 각 학급별로 평균 성적을 날짜별로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성적을 배열하여 그래프로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7)

  1. 학습자가 오프라인상에서 학습할 수 있도록 각종 학습 문제가 수록된 오프라인 교재와 상기 오프라인 교재와 동일 내용을 갖는 온라인 교재가 저장된 전자책 단말기와 연동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학습 서비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각종 학습 문제 및 해당 학습 문제 관련 영상이 저장되는 학습 문제 저장부;
    상기 학습자가 상기 오프라인 교재 상에서 학습 중 해당 학습 문제에 대해 질문 사항이 있는 경우, 상기 온라인 교재에서 질문할 수 있도록 된 질문 입력부;
    상기 질문 입력부에 입력된 해당 질문에 대해 답변을 입력하도록 된 질문 답변부;
    상기 각종 학습 문제, 상기 학습 문제 관련 영상, 상기 질문 사항, 및 상기 해당 질문에 대한 답변을 디스플레이하여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레이 아웃되는 각종 학습 문제 또는 상기 오프라인 교재의 학습 문제에 대한 답변을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고 입력된 답변이 정답인지를 확인하고 채점하는 정답 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확인부에 의해 오답으로 확인된 경우, 학습자에 의해 오답과 관련하여 입력 수단을 통해 오답 노트를 작성할 수 있는 오답 노트 작성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정답 확인부를 통한 채점 결과와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통한 오답 내용을 파악하여 해당 학습자의 학습 능력을 분석하고, 취약한 학습 부분을 파악하여 맞춤 추천 학습과 취약한 유형의 개념 학습 동영상을 제공하는 학습 능력 분석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입력부 및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는 학습자가 손 글씨를 통한 직접 필기를 위한 손 글씨 입력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질문 입력부는 질문 사항의 내용을 파일 형태(사진)로 읽어들이거나, 손 글씨로 작성하며, 해당 학습 문제를 상기 학습 문제 저장부로부터 불러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는 학습과정에서 틀린 문제 또는 학습자가 지정한 문제에 대한 문제들에 대해 해당 학습 문제 내용, 풀이 과정, 틀린 이유나 중요한 개념, 이론을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는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한 경우, 틀린 문제만 체크하여 해당 오답 문제만을 선택하여 오답 노트를 작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해당 학습자의 고민에 대해 상담을 신청하는 상담 신청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교재를 통해 문제 풀이를 하는 경우, 답안을 온라인에서 OMR 형태로 입력하여 상기 정답 확인부를 통해 채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1.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토대로 오답 문제와 함께 오답 유사 문제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오답 노트 및 오답 유사문제 풀이시 문제풀이 회차를 정하고 반복 주기에 따라 일정시간마다 학습 알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상기 오답 노트 작성부를 토대로 해당 학습자에게 과목 단원별로 단위 개념의 레벨 등급을 표시하는 개념 지도를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개념 지도에는 각 단원에 따른 레벨 등급들을 여러 가지 색으로 표시하거나 입체적 높이를 다르게 표시하여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각 단원별로 단위 개념을 응용 단계의 순서로 구별하고, 학습 문제 풀이시에 해당 단위 개념에 대한 오답률에 따라 단위 개념의 응용 순으로 학습 추천을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학습자의 실시간의 학습 상황을 시각적으로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1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능력 분석부는 학습자를 학급별로 구분하고 학습 현황을 학급별로 실시간으로 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PCT/KR2017/009182 2017-07-12 2017-08-23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WO201901338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45A KR101934481B1 (ko) 2017-07-12 2017-07-12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088245 2017-07-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13387A1 true WO2019013387A1 (ko) 2019-01-17

Family

ID=6500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9182 WO2019013387A1 (ko) 2017-07-12 2017-08-23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4481B1 (ko)
WO (1) WO201901338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9849A (zh) * 2020-03-12 2020-07-03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专业课的线上线下互交式教学方法
WO2021180240A1 (zh) * 2020-03-31 2021-09-16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mcm模型的智适应推荐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8077A (ko) * 2019-01-14 2020-07-22 스케이프플로우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09493666B (zh) * 2019-01-23 2021-11-26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学习互动方法及学习设备
CN110246382A (zh) * 2019-07-11 2019-09-17 艾祥家 一种用于离线式学生作业辅导和课外辅导的系统和方法
KR20210100392A (ko) 2020-02-06 2021-08-1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073458B (zh) * 2020-07-29 2023-04-07 重庆市人口和计划生育科学技术研究院 精子库远程指导服务系统
CN112883226B (zh) * 2021-03-29 2023-05-26 读书郎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智慧课堂学习视频推荐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50A (ko) * 2000-08-16 2002-02-25 안재찬 인터넷 기반 오프라인 출판 교재 지원 방법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KR20150071439A (ko) * 2013-12-18 2015-06-26 주식회사 아론소프트 실시간/비 실시간 문제풀이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1632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매쓰홀릭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KR20160017004A (ko) * 2016-01-26 2016-02-15 이진욱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0574B1 (ko) * 2015-11-11 2016-07-22 채규국 Push 메시지 기반의 쓰기와 음성 정보 전달 및 재생하는 방법, 그리고 그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4050A (ko) * 2000-08-16 2002-02-25 안재찬 인터넷 기반 오프라인 출판 교재 지원 방법
KR20110100770A (ko) * 2010-03-05 2011-09-15 주식회사 티스터디 전자학습지 및 전자펜
KR20150071439A (ko) * 2013-12-18 2015-06-26 주식회사 아론소프트 실시간/비 실시간 문제풀이 학습시스템 및 방법
KR20150101632A (ko) * 2014-02-27 2015-09-04 주식회사 매쓰홀릭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KR20160017004A (ko) * 2016-01-26 2016-02-15 이진욱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69849A (zh) * 2020-03-12 2020-07-03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专业课的线上线下互交式教学方法
WO2021180240A1 (zh) * 2020-03-31 2021-09-16 上海松鼠课堂人工智能科技有限公司 基于mcm模型的智适应推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4481B1 (ko) 2019-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013387A1 (ko)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RU106016U1 (ru) Система обучения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CN106803378A (zh) 一种益智365教辅系统及其方法
Alzubi et al. The Impact of Social Strategies through Smartphones on the Saudi Learners' Socio-Cultural Autonomy in EFL Reading Context.
WO2011034309A2 (ko) 시험기반의 전자학습 시스템 및 방법
Juera Digitalizing skills development using simulation-based mobile (SiM) learning application
BG2000U1 (bg) Система за обучение в режим на реално време
Meri Yilan et al. ICT-Based Assessment, Methods, and Programs in Tertiary Education
Kunnath et al. An experimental research study on the effect of pictorial icons on a user-learner’s performance
English Formative research on the elaboration theory of instruction
Wang Innovative learning design for online language learning: A systems design framework
WO2015099436A1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WO2024101754A1 (ko) 수학문항의 단원과 난이도 자동 분류 및 재편집이 가능한 ai 수학 튜터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의 실행방법
CN110443732A (zh) 作业统分方法、装置、设备和介质
Tawafak et al. Learning management systems for accreditation approval: A review paper
WO2017090856A1 (ko) 스마트 펜을 이용한 오답 노트 제공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 모바일 디바이스
Thompson et al. Evaluating Visuals: Increasing Visual Literacy with Infographics
Brady The Implementation of Language-Immersion Technology, Kindergarten through Grade 5: A Multiple-Case Study
WO2014014148A1 (ko) 단말기 연계용 코드정보가 부가된 학습교재 및 이를 이용한 해설강의 제공방법
Orinbetov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Technical Applications Efficiency in Teaching Electrical Engineering, Radiotechnics and Electronics
AKINTOLA LEARNERS’SUPPORT SERVICES IN SINGLE AND DUAL-MODES DISTANCE LEARNING INSTITUTIONS IN SOUTHWEST NIGERIA
Sumeilina et al. Fiqih Learning Implementation Through Google Classroom During The Pandemic Covid-19 Class X IPA In MA Al-Muhajirin
Yamamoto et al. Remote Support for Programming-Related Teaching in Elementary Schools by University Students
Tazhibayeva Integration of Digitally-Assisted Assessment in the EFL Classroom
Lillie et al. Principles and procedures in technical assistance: An approach to educational cha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9176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1767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