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8077A -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8077A
KR20200088077A KR1020190004624A KR20190004624A KR20200088077A KR 20200088077 A KR20200088077 A KR 20200088077A KR 1020190004624 A KR1020190004624 A KR 1020190004624A KR 20190004624 A KR20190004624 A KR 20190004624A KR 20200088077 A KR20200088077 A KR 20200088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earning
incorrect answer
user
incorr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4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무광
Original Assignee
스케이프플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케이프플로우 filed Critical 스케이프플로우
Priority to KR1020190004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8077A/ko
Priority to PCT/KR2020/000572 priority patent/WO2020149592A1/ko
Publication of KR20200088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80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디지털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학습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A METHOD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S BASED ON INFORMATION IN COLLECTIONS OF MISSED QUESTIONS AND AN APPARATUS USING IT}
본 발명은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기술의 발달로, 피교육자인 학습자들이 일정한 교육 장소로 이동하지 않고 인터넷을 이용하여 가정에서도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교육방법이 각광받고 있다. 온라인 교육방법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는 반면, 다수의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학습자의 실력에 맞는 교육을 진행하는 데엔 한계가 있다.
특히, 시험에 대비하는 학습의 경우 효율적인 온라인 학습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따른 정확한 평가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자주 틀리는 문제들이 어떤 내용에 대한 것인지 또는 어떤 유형의 문제들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이는 특정 시험에 출제되는 문제들은 그 시험 범위에 한해 유한한 개수의 유형들이 반복되는 패턴을 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분석 없이 막연히 시험 준비를 하다 보면 학습자가 이미 잘 이해하고 있는 내용과 연습 문제들에 시간을 할애하면서 불필요한 학습시간의 낭비를 가져오게 된다. 단순히 포괄적인 수준에서의 평가와 재 학습은 학습 효과가 적으므로 시험 점수 향상에 제약이 있고, 학습자가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잃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시험 점수를 높이려면 학습자 개인이 틀린 오답 문제들에 집중해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내용만 학습을 수행하는 방법이 효율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는 이러한 오답 문제들을 기반으로 학습 효율을 높이는 서비스가 제대로 제공되지는 않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특정 시험의 기출 문제 등을 통해 문제 유형들을 미리 분류 및 설정해 놓고, 학습자가 틀린 문제들을 제출하면 그 내용을 인식해서 그 문제에 해당하는 문제 유형에 해당하는 학습 콘텐츠를 찾아 제시하고, 그 유형의 문제들을 맞출 수 있을 때까지 학습을 하도록 유도하면 학습자가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에 시험 점수를 최대한 많이 올리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으나, 현재의 학습 서비스들은 이러한 효율성을 고려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학습자가 자신의 오답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필요한 개념 및 학습 콘텐츠를 찾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짧은 기간동안 시험 점수를 최대한 많이 올리는 데 도움을 주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디지털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학습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를 분석하는 오답 정보 관리부;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학습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한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및 상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수집된 디지털 오답 문제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에게 실질적으로 필요한 개념에 대한 학습 콘텐츠를 적절하게 선별하여 사용자별로 목록화하고, 필요 개념에 대한 습득 정도를 유사 문제 테스트로 확인하게 함으로써, 학습자가 문제 유형에 따라 분류된 자신의 오답 노트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필요한 개념 및 학습 콘텐츠를 찾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시험에 대비시 점수를 빠르게 최대한 많이 올리는 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학원 등의 교사 사용자에 의해 상기 학습자별 오답 노트 정보를 그룹화하고, 수집 및 분석함에 따른 학습자간 상호작용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교사 사용자들의 참여와 학습자들의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2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제 유형 분류에 기반한 디지털 오답 노트 생성 및 시험영역 지도 기반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이하의 내용은 단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본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리, 관점 및 실시예들 뿐만 아니라 특정 실시예를 열거하는 모든 상세한 설명은 이러한 사항의 구조적 및 기능적 균등물을 포함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이러한 균등물들은 현재 공지된 균등물뿐만 아니라 장래에 개발될 균등물 즉 구조와 무관하게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발명된 모든 소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원리를 구체화하는 예시적인 회로의 개념적인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모든 흐름도, 상태 변환도, 의사 코드 등은 컴퓨터가 판독 가능한 매체에 실질적으로 나타낼 수 있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가 명백히 도시되었는지 여부를 불문하고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는 다양한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프로세서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표시된 기능 블록을 포함하는 도면에 도시된 다양한 소자의 기능은 전용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적절한 소프트웨어와 관련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의 사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때, 상기 기능은 단일 전용 프로세서, 단일 공유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개별적 프로세서에 의해 제공될 수 있고, 이들 중 일부는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 제어 또는 이와 유사한 개념으로 제시되는 용어의 명확한 사용은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능력을 가진 하드웨어를 배타적으로 인용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제한 없이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기 위한 롬(ROM), 램(RAM) 및 비 휘발성 메모리를 암시적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주지관용의 다른 하드웨어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에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표현된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기능을 수행하는 회로 소자의 조합 또는 펌웨어/마이크로 코드 등을 포함하는 모든 형식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모든 방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었으며, 상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적절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은 다양하게 열거된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이 결합되고 청구항이 요구하는 방식과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수단도 본 명세서로부터 파악되는 것과 균등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학습 경로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전체 시스템은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 적어도 하나의 단말(200) 및 네트워크(300)를 포함한다.
먼저, 적어도 하나의 단말(200)은 하나 또는 복수 개 존재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단말(200)들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되어, 상호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0)에서 제공하는 통신은, 근거리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부가가치 통신망(Value Added Network; VAN), 개인 근거리 무선통신(Personal Area Network; PAN), 이동 통신망(mobile radiocommunication network) 또는 위성 통신망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유/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동 통신망, UPnP(Universal Plug and Play), WiFi 등의 통신 방식에 의해 상호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망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200)들은, 고정형 단말이거나 휴대 가능한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단말(200)로서, 내비게이션(Navigation),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폰,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태블릿 PC(Tablet PC) 등이 예시될 수 있다.
또한, 어느 하나의 단말(200)은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를 거쳐 서로 다른 단말(200)들과 네트워크(300)를 통한 통신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300)에 연결되는 단말(200)들은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다양한 콘텐츠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이를 위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 서비스 제공 서버간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단말(200)을 통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원격 또는 직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하나 이상의 단말(200)들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접속하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각 단말(200)들의 학습 상태에 관한 정보를 처리함으로써 학습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온라인 커뮤니케이션 서비스와 연동하여 다양한 학습 관련 정보를 공유하거나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도 1을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월드 와이드 웹에 접속하여 학습 정보 및 학습 서비스 제공을 위한 학습 정보 및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학습 목표 또는 레슨 계획에 따라,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학습 정보를 미리 설정된 문제 유형에 따라 분류 및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200)은 학습자의 단말일 수 있으며, 학습자는 단말(200)을 통해 자신의 오답 문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입력된 오답 문제 정보는 단말(200)로부터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오답 문제 정보는 단말(200)의 촬영 또는 스캔 기능을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입력된 오답 문제 정보는 예를 들어, 문제 이미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 처리하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오답 문제 정보와 매칭되는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목표 정보를 식별하고, 상기 문제 유형 정보 및 상기 학습 목표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학습 목표 정보, 문제 유형 정보 및 상기 학습 목표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 정보가 상기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말(200)에서는 촬영 또는 스캔한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 목표 정보, 문제 유형 정보 및 상기 학습 목표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학습자는 오답 문제들과, 상기 오답 문제들에 연관되는 학습 콘텐츠를 포함하는 자신의 오답 노트를 통해, 오답 문제의 유형과 실질적으로 필요한 학습 콘텐츠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콘텐츠는 단말(200) 사용자 입력에 따라 목록화되어 상기 단말(200)의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으며, 이는 프로필 정보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관리될 수 있다. 프로필 정보는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상시 제공되어, 학습자가 학습 콘텐츠 목록과, 학습 단계 등을 확인하는데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상기 프로필 정보 제공에 있어서, 각 학습 콘텐츠에 대응하는 학습 목표 정보 뿐만 아니라, 동일 학습 목표와 관련된 유사 문제 풀이 서비스와, 교사 상호작용 서비스 등 부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학습 서비스는 단말(200)에서 입력된 오답 문제 정보와, 그로부터 추출된 학습 콘텐츠 및 상기 사용자의 유사 문제 테스트 수행 등의 활동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짐으로써, 학습자가 자신의 오답 정보를 기반으로 실제 필요한 개념 및 학습 콘텐츠를 찾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시험 대비시 신속한 점수 상승을 도와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저장부(130),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 오답 정보 관리부(140), 서비스 제공부(150), 유형 분석부(160), 콘텐츠 관리부(170), 테스트 제공부(180) 및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10)는 통상적으로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10)는 학습 콘텐츠 수집, 사용자 정보 관리, 오답 정보 관리, 유형 분석, 콘텐츠 관리, 테스트 제공, 교사 서비스 관리 등의 다양한 정보 처리를 위해, 관련 모듈들간의 전반적인 통신 제어 및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도 2에서는 각각의 구성요소간 제어를 위해, 제어부(110)가 별도 존재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제어부(110)가 포함되지 않더라도 제어부(110)의 전부 또는 일부의 기능이 각 구성요소들로 분산 배치 및 동기화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통신부(120)는 단말(200)과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200)들에 대한 학습 서비스 정보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0)는 단말기(200)와 서버(100) 사이 또는 단말기(200)와 단말기(200)가 위치한 통신망(300)의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이동 통신 모듈, 유선 인터넷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인터넷 모듈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의미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사용자들에 대응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교사 및 학습자에 대응하는 각각의 식별 정보가 설정될 수 있고, 사용자간 관계 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단말(200)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정보 등록 또는 갱신 요청에 따라 신규 등록, 갱신 및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의 전부 또는 일부 정보는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사용자 정보를 학습자 및 교사별로 분류 및 관리할 수 있다.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학습자의 생년월일, 성별,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학습자에 대응하는 오답 문제 정보와, 학습 목록 정보 및 상기 학습 목록에 대응하는 문제풀이 이력 및 점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는 예를 들어, 교사의 생년월일, 성별, 이름, 휴대폰 번호, 주소, 프로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교사에 대응하는 학습자 명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정보의 등록은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별도의 사용자 등록이 없더라도, 서비스를 이용한 사용자의 접속 정보, 단말 식별 정보 또는 이메일 정보를, 익명의 학습자 또는 교사 식별 정보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오답 문제 정보를 업로드하고 분석 결과 및 학습 콘텐츠를 제공받은 사용자 단말(200)로 계정 생성 요청을 제공할 수 있으며, 요청 수락시 상기 업로드된 오답 문제 정보, 분석 결과 및 학습 콘텐츠를 생성된 사용자 계정에 등록할 수도 있다.
저장부(130)는 제어부(110)의 동작을 위한 제어 데이터와, 각 구성요소에서 관리되는 정보 등을 미리 지정된 저장 공간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단말(200)에서 사용자에 의해 촬영 또는 스캔된 오답 문제 정보 이미지가 통신부(120)를 통해 수신되면, 텍스트 인식 등을 통해 오답 문제 정보로서 변환하여 유형 분석부(160)로 전달하고, 유형 분석부(160)에서 분석된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목표 또는 학습 내용 정보와, 문제 유형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오답 정보에 매칭시켜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상기 단말(200)로부터 업로드된 오답 문제 이미지를 목록화하고, 압축 및 저장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과목 또는 주제별 디지털 오답 노트를 생성하여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디지털 오답 노트는 오답 문제들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정보와, 유형별 학습 내용 정보 및 오답 문제들에 대응한 연관 정보를 포함하는 오답 콜렉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상기 오답 정보 관리부(140)에서 관리되는 오답 문제 정보, 학습 목표 또는 학습 내용 정보와, 문제 유형 정보를 상기 단말(200)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로서 등록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필 정보는 단말(200)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상기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유형 분석부(160)는 오답 정보 관리부(140)로부터 수신된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목표 또는 내용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문제 유형 정보와, 상기 학습 목표 또는 내용 정보를 오답 정보 관리부(140) 및 콘텐츠 관리부(170)로 전달한다.
그리고, 콘텐츠 관리부(170)는 상기 문제 유형 정보와, 상기 학습 목표 또는 내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적합한 학습 콘텐츠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학습 콘텐츠 정보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 콘텐츠 정보는 예를 들어, 강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학습 콘텐츠는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정보와 매칭되는 동일 유형의 문제풀이 강의 영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 영상 정보는 오답 문제 정보에 매칭된 단일 영상 정보이거나, 오답 문제 정보의 학습 목표에 대응하는 기초 단계부터 상위 단계까지의 단계별 복수 영상 정보를 포함하거나,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문제 유형 정보에 대응하여, 유사 오답 패턴에 대응하는 복수 영상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강의 영상 정보는 난이도 레벨 별로 분류될 수 있으며, 단말(200)의 요청에 따라 선택된 난이도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가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단계별 복수 영상 정보의 경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영상 시청 중 선행학습을 요청할 수 있는 선행 학습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50)는 선행 학습이 요청된 경우 현재 영상 시점 정보를 저장하고, 선행 학습 콘텐츠 및 학습률 판단을 위한 문제풀이를 제공하며, 선행 학습이 완료되면 상기 영상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재생 시간부터 다시 영상을 시청하는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17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상기 영상 정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막힌 부분 정보를 획득하고, 막힌 부분 정보에 대응하여, 영상 정보의 시작 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200)에서는 오답 문제 중 막힌 부분에 대응하는 영상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막힌 부분 정보는 예를 들어, 질문 자체의 이해, 첫 태클링, 수식 적기, 계산, 답 도출 등과 같이 분류될 수 있으며, 막힌 부분 정보는 오답 문제 정보 촬영 또는 스캔시 단말(200)을 통해 사전 입력 및 획득될 수 있다.
또한, 콘텐츠 관리부(170)는 상기 막힌 부분 정보(예를 들어, 질문 자체 이해, 첫 태클링, 수식 적기, 계산, 답 도출, 기타)에 대응하여, 학습 콘텐츠의 추천 정보를 단말(200)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추천 정보에 대응하는 평점 정보를 산출하여 상기 학습 콘텐츠를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테스트 제공부(18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단말(200)로부터 요청된 특정 오답 정보에 대응하는 유사 문제 테스트를 생성하여,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생성된 유사 문제 테스트에 대응하는 결과 정보를 단말(200)로부터 수집하여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유사 문제 테스트는, 오답 정보의 문제 유형 정보와 동일 문제 유형을 가지며, 오답 정보와 동일 학습 목표를 갖는 하나 이상의 문제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테스트 제공부(180)는 단말(200)에서의 입력 결과에 따라 문제 풀이 이력과 점수 정보를 산출하여,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로 전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상기 점수 정보에 기초한 사용자 정보의 프로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필 정보는 오답 정보, 오답 유형별 저장된 학습 콘텐츠 목록 정보, 학습자가 그 콘텐츠와 상호작용한 데이터, 오답 유형별 테스트 이력과 점수 정보 및 사용자 이미지 정보, 수행한 개별 학습 활동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일정 주기에 따라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테스트 제공부(180)는 상기 테스트 제공시 다시 발생된 오답 문제가 존재하는 경우, 오답 문제 정보를 오답 정보 관리부(140)로 전달함으로써, 추가적인 오답 문제 정보 저장, 오답 유형 분석 및 학습 콘텐츠 제공이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교사 계정에 대응한 오답 정보 기반의 학습 코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교사 사용자가 복수의 학습 사용자들을 학생으로 등록하고, 각 학생별 오답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 및 관리하며, 관리되는 정보를 교사 사용자 계정의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사 계정들은 하나의 학원 정보에 통합 관리될 수도 있으며,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이에 대응하는 학원 페이지 정보를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도 있다. 학원 페이지는 지역 또는 학습 서비스에 따라 필터링 검색될 수 있으며, 학원 홍보 및 교사 소개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교사 사용자가 특정 문제유형에 대응하는 온라인 강의나, 라이브 영상 및 채팅 질문 인터페이스를 특정 시간에 시작하도록 스케줄링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50)는 강의 스케쥴링 정보를 상기 교사 사용자에 대응하여 등록된 학생 사용자 중 상기 특정 문제 유형에 대응하는 오답 정보가 목록에 존재하는 사용자 또는 수강을 희망하는 다른 사용자 단말(20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학습 사용자 단말(200)로의 라이브 강의 스트리밍 세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50)는 학습 사용자 단말(200)의 세션 가입에 따라, 과금 처리 및 영상 접근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학생이 라이브 영상 세션 가입을 위한 일정 금액을 지불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가입한 학생 사용자들의 단말(200)만 교사 사용자의 라이브 강의 스트리밍 영상에 접근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이와 같은 라이브 강의 스트리밍 영상에 대응하는 가입자간 대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라이브 영상 가입한 학생 단말(200)에서는 강의 시작 전이라도, 해당 문제유형 관련 질문을 교사 사용자에게 포스팅할 수 있으며, 해당 포스트는 세션에 가입한 학생들만 읽을 수 있고 투표가 가능할 수도 있다.
또한,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온라인 학생과의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메시지의 경우 예를 들어, 한번에 특정 갯수의 문제유형(강의 영상)에 대해서만 질의할 수 있도록 질문할 수 있는 질의 숫자가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질의 숫자는 과금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교사 서비스 관리부(190)는 비슷한 성적(모의고사)으로 시작한 학생들 그룹의 성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 앱 사용 시간, 마스터한 문제유형 숫자에 따라) 어떻게 올라가는지를 그래프 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그래프 정보를 교사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거나, 학습자 단말(200)로 제공하여, 학생 자신이 학습 과정에서 어느 수준에 있는지를 보여줄 수도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150)는 학습 콘텐츠 제공 및 문제풀이 서비스의 인터페이스 제공, 대시보드 확인, 학습 서비스 이용 및 색인을 위한 다양한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GUI)를 생성하고, 접속된 사용자들의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150)는 통신부(120)를 통해 통신 방식에 따라 유/무선 네트워크로 단말(200)로 인터페이스를 전송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는 단말(200)에서 재생가능한 형태의 그래픽 객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50)는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자 단말(200)간 상호작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자는 자신이 팔로우하는 다른 학습자의 오답노트 정보를 열람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부(150)는 오답노트 중 중 특정 문제를 자신의 오답노트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단말(200)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사전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오답 문제 정보가 촬영된다(S101).
오답 문제 정보는 예를 들어, 오답 문제를 촬영 또는 스캔한 오답 문제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단말(200)에는 통상의 촬영을 위한 카메라, 영상 출력을 위한 디스플레이부 및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오답 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촬영된 오답 문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며, 유형 분석부(160)를 통해 분석 처리를 수행한다(S103).
그리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유형 분석부(160)의 분석 처리 수행에 따른 분석 결과 정보와, 상기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학습 콘텐츠를 콘텐츠 관리부(170)로부터 획득하여 단말(200)로 제공한다(S105).
한편, 단말(200)에서는 수신된 학습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목록 저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S107).
그리고, 목록 저장이 선택된 경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학습 목록이 저장될 수 있다(S109).
이후, 도 4를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상기 학습 목록 및 학습 점수 정보를 포함하는 프로필 정보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201).
상기 프로필 정보는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를 통해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을 통해 상기 프로필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상기 사용자 입력 정보는 서비스 제공부(15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학습 이력 정보를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를 통해 제공할 수 있으며(S203), 테스트 제공부(180)를 통해, 학습 이력 정보 중 단말(200)에서 선택된 학습 내용에 대응하는 유사 문제 테스트가 제공될 수 있다(S205).
그리고, 상기 유사 문제 테스트 결과 정보 및 개별 활동에 대응하는 점수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S207).
그리고,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점수 정보 산출에 따라, 주기적 프로필 업데이트를 수행할 수 있다(S209).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오답 문제 촬영을 위한 단말(200)에서의 촬영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사용자는 오답인 문제지나 문제화면 등을 자신의 단말(200)을 이용하여 촬영하고, 단말(200)은 오답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단말(200)의 문제 정보 분석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서 오답 정보 관리부(140) 및 유형 분석부(160)가 동작하는 동안 상기 문제 정보 분석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도 7은 분석 결과 및 학습 콘텐츠 제공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7을 참조하면,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콘텐츠 타입 정보와, 학습 목표 정보, 학습 내용 정보 및 관련 강의 영상 정보가 단말(200)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각 강의 영상 정보는 특정 교사 사용자 또는 학원 정보와 연동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서비스 제공부(150)의 동작에 의해 사용자 학습 단계에 맞도록 시간 조정된 하나 이상의 부분별 영상 정보가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단말(200) 사용자는 인터페이스 입력을 통해 상기 학습 콘텐츠의 영상 정보를 내 오답 정보 목록에 저장하거나 취소할 수 있다.
도 8은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을 참조하면 프로필 인터페이스는 해당 과목 또는 주제 정보(예를 들어 수능 수학영역, 수능 국어영역, 수능 영어영역 등 선택), 사용자 이미지 정보, 사용자 점수 정보, 저장 문항 수 정보 및 레벨별 정렬된 오답 노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촬영한 오답 노트들을 한눈에 난이도 및 과목/주제별로 확인할 수 있으며, 목록에 저장된 관련 학습 콘텐츠를 다시 시청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오답 노트 중 특정 문제 유형 정보(예: #10 일차 부등식 서술형 문제)가 선택된 경우의 오답 노트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오답 노트 인터페이스를 통해, 촬영 및 분석된 오답 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예를 들어 오답 노트 인터페이스에서 테스트 시작 버튼을 선택하여 테스트 제공부(180)를 통해 제공되는 동일 타입의 유사 문제를 풀어볼 수 있으며, 그 결과 정보에 따른 점수 정보가 산출될 수 있다.
도 11은 프로필 정보의 업데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프로필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스트에 따른 점수 정보가 산출되거나, 특정 학습 콘텐츠를 마스터하거나, 특정 오답 노트의 항목 저장 및 숙제 풀이 등의 개별 활동 정보가 수집되는 경우, 사용자 정보 관리부(135)는 상기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된 프로필 정보는 각 날짜 별로 단말(2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날짜별 정보는 예를 들어 달력의 형태로 학습자에게 보여질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디지털 오답 노트 생성 프로세스 및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 제공 프로세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오답 문제 정보로부터 분류되는 문제 유형 정보 및 문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디지털 오답 노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디지털 오답 노트에 기초한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으며, 단말(200)에서의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 이용에 따른 이용자별 학습 성취도가 산출될 수 있고, 산출된 성취도 정보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시험영역 지도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오답 정보 관리부(140)에서 이용자별 프로필 정보에 기초한 오답 문제 정보를 획득한다(S301).
그리고,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유형 분석부(160)를 통해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정보를 결정한다(S303).
문제 유형 정보 결정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형 분석부(160)는, 자연어 처리 분석 및 통계 데이터 기반의 유형 분류 처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는 도 13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형 분석부(160)는 먼저 사전 입력된 복수의 문제 정보로부터, 문제 유형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말뭉치(corpus)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말뭉치 데이터는 문제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문자 또는 이미지에 대응하여 변환 결정되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문제 정보는 특정 시험에서 출제된 문제의 텍스트, 이미지 및 스타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유형 분석부(160)는 문제 정보로부터 먼저 상기 텍스트 이미지 및 스타일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를 특정 언어에 대응하는 말뭉치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수학 문제를 예를 들면, 문자 정보는 수식 문자, 숫자 문자(분수, 소수, 지수 등), 수학적 의미 문자, 기호 문자(사칙연산, 방정식, 부등식, 각도, 도형 기호, 함수, 삼각함수, 예를 들어 √,
Figure pat00001
, ˚, △ 등), 특정 언어별 수식 텍스트(도, 제곱근, 삼각형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미지 정보는 테이블 이미지, 그래프 이미지 또는 도형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스타일 정보는 보기 선택형, 객관식, 주관식 등의 문제 스타일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각 문제 정보 및 이미지 정보는 텍스트 변환 처리되어, 말뭉치 데이터에 추가될 수 있으며, 말뭉치 데이터는 통계 처리에 이용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정보 및 이미지 정보에 따라 '숫자 테이블' 또는 '이차함수 그래프' 등의 말뭉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생성된 말뭉치 데이터는 사전 입력된 문제 정보의 유형 분류에 따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 또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저장부에 사전 저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문제 유형별로 분류된 문제 유형 개수만큼의 복수의 말뭉치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
이후, 유형 분석부(160)는, 말뭉치별 자연어 처리 분석에 따른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며(S3033), 통계 데이터의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문제 유형별 통계 데이터를 결정한다(S3035).
보다 구체적으로, 유형 분석부(160)는, 말뭉치 데이터에 대한 자연어 처리 분석을 수행하여, 통계 데이터를 문제 유형별로 산출할 수 있다.
통계 데이터는 말뭉치 데이터에 포함된 각 단어 정보, 2개 이상 단어들의 조합(예: n-gram 등) 정보, 어구의 출현 빈도 및 그 순서 정보, 2개 이상의 특정 단어들이 문제 텍스트 내 (연속 또는 이격되어) 동시에 등장하는 빈도를 나타내는 공기행렬(co-occurrence matrix)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계 데이터 산출을 위해, 유형 분석부(160)는 상기 말뭉치 데이터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단어별 형태소 분석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유형 분석부(160)는 상기 통계 데이터로부터 말뭉치 데이터의 문제 유형 분류에 유의미한 단어 정보를 추출하거나, 유의미한 2개 이상의 특정 단어들의 조합 또는 어구 정보를 추출하거나, 하나 이상의 원소를 갖는 유의미한 단어들의 집합(이하 S)을 생성하고, S에 속하는 각 원소의 출현 빈도 통계 정보를 산출하여, 문제 유형에 대응하는 확률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확률 정보는 가공되지 않은 값이거나, 확률 통계 목적을 위해 변환된 값(예: 빈도-역빈도법TF-IDF에 따른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확률 정보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저장되거나, 또는 단말(200)로 제공되어 단말(200)에서의 문제 유형 분류 처리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확률 정보 데이터가 저장된 후,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단말(200)은 오답 정보 관리부(140)를 통해 획득되는 오답 문제 정보로부터 이용자별 오답 문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오답 문제 정보의 문제 정보와, 상기 통계 데이터 분석에 따른 확률 정보를 비교하여, 문제 유형 분류를 결정한다(S3037).
하나의 실시 예로,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오답 문제 정보로부터, 문제 정보 P 를 획득하고, 상기 문제 정보 P에 포함된 단어들 중 유형 분석부(160)에서 전술한 집합 S에 포함된 단어들을 색인할 수 있다.
그리고,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미리 산출된 각 문제 유형의 통계 데이터의 확률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문제 P와의 매칭 확률을 연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문제 P에서 집합 S에 포함된 복수의 원소들이 발견될 경우 그 조합이 발생할 확률을 상기 매칭 확률로서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유형 분석부(160)의 통계 데이터로부터, 문제유형별 테이블, 그래프 또는 도형 등이 포함되는 빈도를 연산한 확률 정보와, 상기 문제 P에 포함된 이미지의 분류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매칭 확률 연산시의 매칭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오답 정보 관리부(140)는 문제 P와 가장 높은 매칭 확률을 보이는 문제유형을 해당 문제의 유형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다시 도 12를 참조하면, 문제 유형 정보가 결정된 후,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문제 유형 정보 및 문제 텍스트 정보에 기초한 디지털 오답노트를 생성하며(S305),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생성된 디지털 오답 노트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 인터테이스를 단말(200)로 제공한다(S307).
이후,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서비스 제공부(150)를 통해,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 이용에 따른 이용자별 영역별 학습 성취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S309), 서비스 제공부(150)는 산출된 성취도에 기초하여,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한 시험영역 지도를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S309).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시험영역 지도를 예시한 도면들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부(150)에서 단말(200)로 제공되는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는,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되는 시험영역 지도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영역 지도는, 오답 문제 정보가 포함된 시험 영역을 지도 인터페이스상에 나타내는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시험영역 지도는 복수의 문제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문제 영역은 각 문제가 포함된 시험에 대응하는 분야 정보, 소분야 정보, 개념 정보, 기술 정보 또는 그 시험에 출제되거나 그와 유사한 문제들의 유형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단말(200) 또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서비스 제공부(150)는 시험영역 지도상에 상기 각 문제 영역별 이용자의 학습도(이해도 또는 숙련도)가 단말(200)상에서 시각적으로 출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수치 또는 테이블 방식으로 제공되는 오답 문제 정보 제공 방식이, 개념 또는 문제유형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 매우 비효율적임을 고려하여 도출된 것으로,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00)의 시험영역 지도 제공에 따라, 학습자는 학습 상황을 한눈에 파악하고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학습 분야와 개념, 문제유형 등은 서로 포함하고 속하는 위계 질서를 가지므로, 이러한 관계는 시험영역 지도를 통해 공간적으로 표현될 수 있는 바, 학습자는 이해가 부족한 부분을 시험영역 지도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고, 이를 선택하여 필요한 영역만 추가적으로 학습할 수 있어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부(150)는 이용자인 학습자의 학습 상황을 나타내는 시험영역 지도를 단말(200)의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하게 할 수 있다.
시험영역 지도는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에 연속적(contiguous)인 하나의 공간 영역(예: 직사각형, 1개의 닫힌 곡선) 또는 불연속적인 복수의 공간 영역들(예: 분리된 2개 이상의 곡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 공간 영역들은 하나 이상의 문제 영역에 대응할 수 있으며, 각 문제 영역은 학습 분야, 소분야, 개념, 기술, 문제유형 등을 나타내는 속성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간 영역들은 시험영역 지도가 2차원인 경우 유한한 면적을 갖는 다각형 또는 닫힌 곡선이거나, 시험영역 지도가 3차원인 경우 유한한 부피를 갖는 닫혀진 표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공간 영역은 복수의 소 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각 영역들은 보로노이 다이어그램(Voronoi diagram) 등의 형태로 시각화되어 단말(200)에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각 문제 영역 또는 그 소 영역의 학습도(이해도 또는 숙련도)는 이용자가 특정 문제 영역과 연관된 영역의 진단평가 또는 연습문제를 많이 풀수록 더욱 정확히 측정될 수 있으며, 측정된 학습도는 각 문제 영역에 대응하는 숫자 또는 시각적 특징 정보(색상, 투명도, 명도, 채도, 형태, 아이콘 등)의 변화를 통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각형 형태의 시험영역 지도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문제 영역의 면적이 클수록 특정 문제가 속한 시험에서의 그 문제 영역의 중요도(예: 출현 빈도)가 높을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시험영역 지도의 중앙에 위치한 녹색 통계 문제 영역 내에는 4개의 소영역이 구분되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그 중 하나인 표준편차 소영역은 흰색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는 학습자의 관련 소영역에 대한 현재 학습도가 0이란 것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즐 형태의 시험영역 지도가 단말(2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의 학습도가 일정 값 이하인 소 영역은 시험영역 지도상에 흑색(비어있는 구멍 등)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트리스 게임 형태의 시험영역 지도가 단말(2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각 시험 영역은 색상 및 면적에 따른 학습도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쌓여 있는 높이에 따라 난이도를 더 나타낼 수 있다.
한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험 영역별 콘텐츠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시험영역 지도에서 학습자는 단말(200)의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각 문제 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며, 단말(200)에서는 선택된 영역에 관한 상세정보가 시험 영역별 콘텐츠 인터페이스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는 시험영역 지도에서 학습도가 부족한 특정 영역 또는 문제유형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된 영역인 '수능 수학영역'의 '테이블 사용해 표준편차 계산하기' 영역에 대응한 시험 영역별 콘텐츠 인터페이스가 단말(200)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시험 영역별 콘텐츠 인터페이스에는 학습자가 선택된 시험 영역(예: 문제유형)에 속하는 문제들을 풀었던 목록과 통계 정보, 선택된 시험 영역에서 사용자가 틀렸던 문제들에 대한 정보, 선택된 시험 영역에 속하는 개념, 스킬, 문제 등에 대한 학습 정보 및 기타 다양한 관련 콘텐츠(문제풀이 동영상)등이 포함될 수 있는 바, 학습자가 필요한 영역에 대한 효과적인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 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8)

  1.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디지털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학습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답 문제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오답 문제 이미지로부터 오답 문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내용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내용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교사 계정에 대응한 오답 정보 기반의 학습 코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코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교사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학습 사용자 계정들을 학생으로 등록하고, 등록된 각 학생의 오답 노트 정보 분석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교사 사용자 계정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수집된 디지털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는,
    사용자 프로필 정보에 대응하는 오답 문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유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문제 정보로부터 문제 유형에 대응하는 말뭉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말뭉치 데이터의 자연어 처리 분석에 따른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통계 데이터를 이용한 확률 정보 기반의 문제 유형별 통계 데이터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유형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오답 문제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문제 정보와, 상기 확률 정보 기반의 문제 유형별 통계 데이터를 비교하여, 문제 유형 분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디지털 오답 노트를 이용한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 이용에 따른 이용자별 학습 성취도에 기초하여, 시험영역 지도를 상기 상기 학습 서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영역 지도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며,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 내 하나 이상의 문제 영역에 대응하는 공간 영역들을 포함하고,
    상기 문제 영역은 학습 분야, 소분야, 개념, 기술, 문제유형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 정보를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12.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디지털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는 오답 정보 관리부;
    상기 오답 문제 정보의 분석 결과에 기초한 학습 콘텐츠 정보를 획득하는 콘텐츠 관리부; 및
    상기 오답 노트 정보의 분석 결과 및 상기 분석 결과에 대응하는 오답 노트를 생성하고, 상기 분석 결과 및 상기 오답 노트에 대응하는 학습 콘텐츠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정보 관리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오답 문제 이미지를 수신하면, 상기 오답 문제 이미지로부터 오답 문제 정보를 획득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문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오답 문제 정보에 대응하는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내용 정보를 획득하는 유형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관리부는,
    상기 문제 유형 정보 및 학습 내용 정보에 매칭되는 학습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노트 정보의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교사 계정에 대응한 오답 정보 기반의 학습 코치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사 서비스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교사 서비스 관리부는,
    교사 사용자 계정에 대응하는 복수의 학습 사용자 계정들을 학생으로 등록하고, 등록된 각 학생의 오답 노트 정보 분석 결과를 서버로부터 수집하여 상기 교사 사용자 계정 단말로 제공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18.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KR1020190004624A 2019-01-14 2019-01-14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88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24A KR20200088077A (ko) 2019-01-14 2019-01-14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0/000572 WO2020149592A1 (ko) 2019-01-14 2020-01-13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4624A KR20200088077A (ko) 2019-01-14 2019-01-14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8077A true KR20200088077A (ko) 2020-07-22

Family

ID=7161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4624A KR20200088077A (ko) 2019-01-14 2019-01-14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00088077A (ko)
WO (1) WO202014959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014A (ko) * 2020-09-01 2022-03-08 지혜령 맞춤형 학습 문제풀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36592A (ko) * 2021-03-31 2022-10-11 주식회사 잘라 사용자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508015B1 (ko) 2021-12-21 2023-03-09 (주)웅진씽크빅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5285A (ko) * 2001-02-01 2001-05-07 김만석 인공지능 학습을 위한 문제와 풀이답간의 상관관계 분석을통한 학습지도 방법
US6688889B2 (en) * 2001-03-08 2004-02-10 Boostmyscore.Com Computerized test preparation system employing individually tailored diagnostics and remediation
KR101773065B1 (ko) * 2015-05-08 2017-08-30 (주)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1671693B1 (ko) * 2015-11-27 2016-11-25 주하영 오답 및 문제 분석 정보의 재가공을 통한 맞춤형 학습 서비스 방법
KR101934481B1 (ko) * 2017-07-12 2019-01-02 차길영 오프라인 및 온라인 교재 연동 학습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29014A (ko) * 2020-09-01 2022-03-08 지혜령 맞춤형 학습 문제풀이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36592A (ko) * 2021-03-31 2022-10-11 주식회사 잘라 사용자 맞춤형 교육 컨텐츠 제공 방법
KR102508015B1 (ko) 2021-12-21 2023-03-09 (주)웅진씽크빅 성격 유형에 따른 학습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49592A1 (ko) 2020-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Variations in university students’ scientific reasoning skills across majors, years, and types of institutions
Chen et al. A cross-cultural perspective on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media use, self-regulated learning and adolescents’ digital reading literacy
KR20200135892A (ko) 사용자 맞춤형 학습 커리큘럼 추천 및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88077A (ko) 디지털 오답 노트 정보 기반의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Burke et al. Improving mobile learning in secondary mathematics and science: Listening to students
Lashari et al. The impact of mobile assisted language learning (MALL) on ESL students’ learning
WO2019203485A1 (ko) 체계적인 독서 습관을 배양하기 위한 독서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5746B1 (ko)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WO20191503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monitoring and managing the educational progress
Manzoor et al. M-Learning in Higher Education: Exploring the Gender Based Faculty Performance of Business Schools in Pakistan
KR102099943B1 (ko) 멘토를 이용한 학습자의 학습 서비스시스템
Tripathy et al. Significance of IoT in education domain
KR102130328B1 (ko) 멘토링의 포인트를 이용한 영어학습시스템
Herrera et al. Mobile technologies in engineering education
KR101657687B1 (ko) P2p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Talibo et al. Optimization of Google Classroom in Blended Learning in Junior High School
Almjawel et al. Campus Guide Using Augmented Reality Techniques
Chawla-Duggan Pedagogy and quality in Indian slum school settings: A Bernsteinian analysis of visual representations in the Integrated Child Development Service
Deaton et al. Mobile Technology and Learning
KR20220039861A (ko) 장애인 체육교육 개발과 교육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lzahrani et al. Memory Load and Performance-based Adaptive Smartphone E-learning Framework for E-commerce Applications in Online Learning
Al-Siyabi Mobile learning in Oman: a case study of two'cycle 2'(grades 5-10) private schools
KR20130046465A (ko) 디지털 교과서에서 등급별 학습 콘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원격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2398068B1 (ko) 온라인 강의 제공 기관 맞춤형 학습 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 및 이를 실행하는 방법
KR102499770B1 (ko) 인공지능 기반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