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5746B1 -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5746B1
KR102035746B1 KR1020180012054A KR20180012054A KR102035746B1 KR 102035746 B1 KR102035746 B1 KR 102035746B1 KR 1020180012054 A KR1020180012054 A KR 1020180012054A KR 20180012054 A KR20180012054 A KR 20180012054A KR 102035746 B1 KR102035746 B1 KR 102035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teacher
learner
school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807A (ko
Inventor
이광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듀8760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듀8760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듀8760
Priority to KR102018001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746B1/ko
Publication of KR2019009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 G06Q50/2057Career enhancement or continuing education ser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학습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고, 질의 콘텐츠의 교과목을 파악하는 단계,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선생님 단말로 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선생님 단말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EDUCATION ONLINE TO OFFLINE SERVICE BETWEEN ACADEMY SCHOOL AND LOCAL STUDENT BASED ON SMART-LEARNING SYSTEM}
본 발명은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지역 기반으로 질문을 교수자에게 할당하고, 학습자에게 응답하도록 함으로써 오프라인의 학원으로 등록할 수 있는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한다.
성공적인 교육을 위해선 교수자는 학습자에게 지식을 제때 전달하고 학습자는 전달받은 지식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도록 상호작용을 하는 수업 형태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최근에는 스마트폰 보급의 확산으로 기존의 일방적인 수업형태가 아닌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교수자와 학습자간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수업 방식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인터넷을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이용할 수 있는 특징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는 형태로 바뀌고 있는 추세이다.
이때, 교육 콘텐츠는 위치 기반 오프라인 강의를 관리하는 방법으로 제공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공개특허 제2017-0111489호(2017년10월12일 공개)에는, 강의 정보 검색 요청을 수신하고, 강의 정보 검색 요청에 기초하여 강의 정보를 검색하며, 검색된 강의 정보를 송신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으며, 오프라인 강의의 운영 주체들은 자신의 강의를 보다 손쉽게 홍보할 수 있으며, 교육 수요자들은 자신이 선호하는 오프라인 강의에 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오프라인 강의 장소까지 이동해야 하는 거리와 시간을 최소화한다.
다만, 학원수가 늘어나고 지역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지역에 위치한 생계형 학원들은 홍보효과가 기업형 학원보다는 상대적으로 저조하여 학원생들이 몰리는 곳만 모이는 빈익빈 부익부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으며, 입소문으로 홍보되는 잘 되는 학원과 잘 가르치는 학원의 괴리가 발생하고, 기업형 학원으로 쏠림 현상으로 지역에 기반한 자생 학원들은 학생수와 매출이 하락하고, 홍보 수단과 자금이 부족하여 경쟁력이 상대적으로 매우 낮고 서서히 시장에서 도태 및 퇴출되고 있는 것이 현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대규모 기업형 학원의 자금력에 밀려 홍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생계형 학원의 선생님과 그 지역의 학생을 질의-응답으로 연결시켜줌으로써, 학생은 과외선생님이 없더라도 바로 궁금한 점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고, 선생님과 학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홍보를 할 수 있으며, 스마트교육개념인 맞춤형 시스템, 다양한 문제 패턴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풍부한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앱 및 웹의 최신 기술 기반 정보를 제공하고, 개방형학습 구조를 통해 학습자들의 참여와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학습한 단원의 상대적인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학습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고, 질의 콘텐츠의 교과목을 파악하는 단계,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선생님 단말로 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선생님 단말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및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대규모 기업형 학원의 자금력에 밀려 홍보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생계형 학원의 선생님과 그 지역의 학생을 질의-응답으로 연결시켜줌으로써, 학생은 과외선생님이 없더라도 바로 궁금한 점에 대한 해답을 찾을 수 있고, 선생님과 학원은 저렴한 비용으로 홍보를 할 수 있으며, 스마트교육개념인 맞춤형 시스템, 다양한 문제 패턴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흥미와 풍부한 학습콘텐츠를 제공하는 앱 및 웹의 최신 기술 기반 정보를 제공하고, 개방형학습 구조를 통해 학습자들의 참여와 학습자의 학습 결과를 분석하여 학습자에게 학습한 단원의 상대적인 학습 수준을 판단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학원의 홍보 및 관리에서부터 학생의 성적 관리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선생님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학원장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서버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학습자 단말(100),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 선생님 단말(400)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100), 선생님 단말(40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선생님 단말(400)은,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 및 학습자 단말(100)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학습자 단말(100)은,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질문을 업로드하는 학습자의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100)은 질문에 대하여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한 학원의 선생님, 공부방 선생님, 전문 과외 선생님의 선생님 단말(400)로부터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실시간 또는 후에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100)은, 월간, 주간, 일일 학습 플래너와 학습 통계 그래프를 출력하고, 각 과목에 대한 질의응답, 평가, 강의를 출력하는 단말일 수 있다. 또한,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자의 강의를 촬영하여 교육 O2O 서비스 제공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100)은, 화상 채팅 또는 웹 채팅을 통하여 선생님 단말(400)과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고, 기출문제, 요점정리노트를 포함한 데이터를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100)은, 학습시간에 따른 학습랭킹을 출력하고, 부모의 단말(미도시)에 의해 실시간 학습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위해 제어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 단말(1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1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질의 콘텐츠가 수신되는 경우, 위치 기반 및 내용 기반으로 선생님을 필터링하여 질의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로 전달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선생님 단말(400)로부터 질의에 대한 답변이 수신된 경우, 답변을 다시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는 학습에 관련된 기능 및 화면이 출력되도록 제어하고, 선생님 단말(400)에서는 학생을 관리하고 문제를 출제 및 공유하며, 온라인 강의를 업로드하도록 제어하고, 서버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 집적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고 각 학원들의 홍보, 포인트, 온라인 강의, 랭킹 관리 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선생님 단말(400)은,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선생님의 단말일 수 있다. 이때, 선생님이 학원장인 경우에는 선생님 단말(400)은 학원장 단말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선생님 모드와 학원장 모드가 나누어 설명되는데, 위와 같은 경우에는 선생님 단말(400)에서 두 가지 모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선생님 단말(400)은,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질의 콘텐츠에 대한 답변 콘텐츠를 생성하는 단말일 수 있고, 생성된 답변 콘텐츠를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단말일 수 있다. 그리고, 선생님 단말(400)은, 학생들의 시험점수나 테스트 결과를 수집하여 출력하고, 내신관리 및 모의고사 관리를 함과 동시에, 시험문제를 생성해서 수업자료에 이용하거나 홈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말일 수 있다.
여기서, 선생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선생님 단말(4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선생님 단말(400)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신부(310), 파악부(320), 선택부(330), 제공부(340), 답변부(350), 홍보부(360), 오답 정리부(370), 셀프 강의부(380), 평가부(390) 및 포인트 지급부(39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학습자 단말(100), 선생님 단말(400), 학원장 단말(미도시) 및 서버 관리자 단말(미도시)로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학습자 단말(100), 선생님 단말(400), 학원장 단말 및 서버 관리자 단말은,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학습자 단말(100), 선생님 단말(400), 학원장 단말 및 서버 관리자 단말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수신부(310)는,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신부(310)에서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할 때, 학습자 단말(100)이 기 구축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 구축된 문제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수신부(310)는, 검색된 문제가 학습자 단말(100)에서 선택된 경우,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문제풀이과정 또는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고, 검색된 문제와 질의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
파악부(320)는, 학습자 단말(100)의 위치를 추출하고, 질의 콘텐츠의 교과목을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악부(320)는, 학습자 단말(100)에서 중학교 3학년, 수학이라고 기재를 한 경우에는, 중학교, 수학의 키워드를 이용하여 교과목과 학년을 파악할 수 있다.
선택부(330)는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400)을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선생님 단말(400)은 복수로 추출될 수 있는데, 복수로 추출된 경우에는 학습자가 설정한 값에 따라, 가장 빠른 답변이 가능한(Available) 선생님이나, 가장 유명한 선생님이나, 가장 잘 가르치기로 평가가 좋은 선생님 등 다양한 조건을 가지고 선생님을 추출할 수 있다. 반면, 선생님 단말(400)로 학생의 조건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생의 성적이 몇 점 이하인 학생 또는 몇 점 이상인 학생 등으로 설정하여 교차 필터링이 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선택부(330)는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400)을 선택할 때,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400)을 필터링하고, 필터링 선생님 단말(400) 중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한 선생님 단말(400)을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선생님 단말(400) 중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히스토리가 발생하지 않는 선생님 단말(400)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부(330)는, 선택된 선생님 단말(400)로 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제공된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선생님 단말(400)을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을 작성할 선생님으로 최종 선택할 수 있다.
즉, 현재 접속한 사람 중 다른 작업으로 바쁜 사람, 예를 들어 다른 작업중인 선생님이나 다른 태스크(Task)가 이미 부여된 사람은 제외하고 나머지 선생님에게 우선권을 부여함으로써, 학생의 질의에 최대한 빠른 답변을 달도록 하거나, 홍보의 기회가 없는 사람에게 골고루 기회를 부여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제공부(340)는, 선택된 선생님 단말(400)로 질의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질의 콘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 다양한 방법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답변부(350)는, 선생님 단말(400)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답변부(350)는, 선생님 단말(400)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할 때, 선생님 단말(400)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실시간 응답이 선택된 경우, 선생님 단말(400)과 학생 단말 간의 음성대화 또는 영상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답변부(350)는, 생성된 무선 채널로 선생님 단말(400)과 학생 단말을 연결할 수 있다.
홍보부(360)는,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선생님 단말(400)의 시간 투자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그만큼의 성과가 있어야 광고주인 학원장 또는 선생님에게 광고 효과가 있을 것이다. 이에 따라, 학습자 단말(100)에서 기 설정된 시간만큼 표시가 되도록 강제설정하는 등의 옵션을 선생님 단말(400)에서 설정할 수도 있다.
홍보부(360)는,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생계형 학원의 단말인 학원 단말로 학습자 단말(100)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홍보부(360)는, 학습자가 재학중인 학교의 정보를 독출할 수 있고, 독출된 학교에서 시행예정인 시험의 시험범위를 검색할 수 있다. 또한, 홍보부(360)는, 검색된 시험범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개념과 문제를 기 구축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할 수 있고, 추출된 개념과 문제를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학생들에게 시험범위에 대한 대비자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되, 이를 모두 수동으로 선생님들이 일일이 작성하는 것이 아닌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출제빈도가 높은 문제들을 기준으로 작성하고, 지난 해에 출제된 것과 유사한 것은 제외하되, 출제빈도가 높은 것은 포함시키는 등으로 자동으로 생성된 문제에, 선생님의 검수로 간단히 학생에게 시험준비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오답 정리부(370)는, 홍보부(360)에서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기 구축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 구축된 문제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오답 정비루(370)는, 수신된 답변과 기 저장된 정답을 비교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틀린 문제는 과목별 오답노트 메뉴로 이동시킬 수 있다.
셀프 강의부(380)는, 홍보부(360)에서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교과목, 개념 및 문제에 대한 정보와, 개념 및 문제를 강의하는 음성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셀프강의 콘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셀프 강의부(380)는, 셀프강의 콘텐츠와 학습자 단말(100)의 교과목에 대한 성적을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할 수 있고, 셀프강의 콘텐츠의 조회수가 증가할수록 학습자 단말(100)로 기 설정된 포인트를 증가시켜 부여할 수 있다.
즉, 학생이 직접 강의를 한다고 가정하면, 자신이 전교 1등이라거나, 공부의 신이라거나, 어느 학교에 합격을 했다거나 하는 경우에만 다른 학생들이 믿고 강의를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의 성적을 밝히기를 원하는 경우에는 학생들의 성적 등을 함께 공개함으로써 신뢰도를 높이고, 이를 스트리밍하는 학생들이 많을수록 해당 콘텐츠로 인하여 홈페이지에 유입되는 사람들이 많아지므로, 강의를 한 학생에게는 포인트 등을 지급하는 등으로 보상을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평가부(390)는, 홍보부(360)에서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답변 콘텐츠를 제공한 선생님 단말(400)의 평가점수를 요청할 수 있고, 선생님 단말(400)로부터 학습자가 모르는 부분에 대한 개념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평가부(390)는, 선생님 단말(400)에서 답변을 한 횟수, 학습자의 평가점수, 및 학습자가 선생님을 선호 선생님으로 등록했는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선생님을 평가할 수 있도록 하고, 평가 결과를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할 수 있다.
얼마나 많은 질문에 답을 해주었는지와 같은 정량적인 요소 뿐만 아니라, 얼마나 많은 학생이 재질문(다른 질문)을 했는지를 파악함으로써, 선생님의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답변이 맘에 들지 않는다면 다시 그 선생님에게 질문을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인데, 상술한 방법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선생님의 교육 콘텐츠의 질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이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포인트 지급부(391)는, 홍보부(360)에서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400)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100)로 전송한 후, 학습자 단말(100)로부터 시험지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고, 수신된 시험지 이미지가 검증된 경우, 학습자 단말(100)로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 학교에서 이미 시험이 끝났는데, B 학교는 아직 시작하지 않았다고 가정하자. 이러한 경우에는 A 학교의 시험지를 입수하여 미리 풀어보는 것이 B 학교 학생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A 학교의 시험지를 업로드하는 학생에게 포인트를 제공함으로써, 시험지를 공유하도록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
이때, 포인트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설문조사 참여, 광고 배너 페이지 이동, 이벤트 참여, 및 친구 추천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방법으로 학습자 단말(100)로 지급될 수 있는데,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예에 따라 증감 또는 변경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12를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통하여 학습자 단말의 제 1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을 통하여 선생님 단말의 제 2 실시예, 도 9 및 도 10을 통하여 학원장 단말의 제 3 실시예, 도 11 및 도 12를 통하여 서버 관리자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실시예>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 학습자가 이용하는 화면의 초기 화면은 채팅, 도우미, 포인트, 문의, 설정, 질문답변목록, 문제은행, 개별평가, 오답노트, 질문퀵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회원가입을 할 때에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재수생/검정고시/대학생/유학생/로스쿨 등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재수생이나 검정고시를 선택한 경우 학교와 학년은 입력안해도 가능하고, 친구 추천을 받은 경우 추천한 친구의 아이디(이메일)를 입력하도록 하고, 추천한 친구에게는 포인트 5,000점 지급할 수 있다. 이때, 학년은, 학원과 매칭할 때 회원가입 학년으로 하지 않고, 질문 과정의 학년과 매칭되도록 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중학교 1학년이지만 고등학교 3학년 문제를 질문할 경우, 고등부답변이 가능한 학원과 연결하는 방식일 수 있다.
(b)는 질문목록이 리스트업이 도시된 것인데, 과목선택의 기본값은 <전체>/드래그하여 이동 및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메뉴는, 예를 들어, 전체-수학-영어-국어-과학-사회-한국사-물리-화학-생명-지학-사문-생윤-한지-세지-입시로 할 수도 있고, 축소해서 전체>수학>영어>국어>과학>사회>입시로 과학/사회 세부과목을 묶어도 가능하다. 이때, 각각의 표시는 답변을 확인한 질문, 답변이 안 달린 질문, 답변이 달렸는데 확인하지 않은 질문, 문제가 보이지 않거나 문제 오류로 답변 불가능, 메모를 남긴 문제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c)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출력되는 화면인데, 오답노트로 보내기가 선택되면, 이동하는게 아니고 오답노트에 복사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고, 답변은 이미지, 동영상으로 선생님이 업로드할 수 있다.
(d)를 보면, 학년을 선택할 때, 상술한 바와 같이 현재학년과 질문하는 문제의 학년이 다를 수 있으므로 질문에 해당하는 학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학원에 질문이 전달될 때는 현재학년이 아니라 질문하는 문제의 해당 학년을 기초로 학원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 단말(100)에서 시중교재의 문제를 질문할 때는 미리 입력된 시중교재의 페이지와 문항번호를 불러들려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교재 '없음'을 선택하는 경우 <출판년도> <페이지> <문항번호> 등은 묻지 않도록 설정될 수 있다.
만약, 학생과 동일한 지역 또는 학교의 학생이 같은 문제를 질문하여, 교재, 출판년도, 페이지, 문항번호가 일치하는 문제의 풀이가 이미 존재하는 경우 이전 풀이를 볼 수 있도록 하고, 포인트는 기준값에 반절만 차감할 수 있다.
(e)를 보면, 사진 등을 다시 올릴 수 있도록 하는 인터페이스와, 삭제 클릭하면 "삭제할까요?"라고 물어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현된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구현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f)를 보면, 선생님과 학생이 대화를 하는 화면을 볼 수 있는데, 선생님의 이름은 학원이름 + 과목 + 이름 + 선생님의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선생님, 학생 이미지는 1개로 동일하게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선생님이 답변을 보낸 경우에만 선생님과 채팅가능하고 이후 12시간이 지나면 채팅이 안 될 수 있는데, 아무때나 채팅이 가능하면 채팅창으로만 질의응답이 진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선생님이 특정 학생들을 지정하여 평가를 전송한 경우 해당 학생들에게 채팅창으로 알림리고, 확인 클릭하면 평가목록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선생님이 답변을 등록하면 질문한 학생 채팅창에 메시지 나올 수 있도록 하고, 확인 클릭하면 질문목록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카메라, 이미지, 영상이 바로 작동하거나 전송되게 구현될 수 있다.
(g)를 보면, 답변해준 선생님이 자동으로 채팅목록에 표시될 수 있고,(학원이름+과목+선생님이름+선생님), 선생님 목록이 많아지면 스크룰바 생성될 수 있으며, 등록된 선생님이 없을 때는 "등록된 선생님이 없습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고, 선생님 리스트는 학생이 삭제하지 못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h)를 보면, 학생에게 답변해준 학원들을 자동으로 표시할 수 있고, 클릭하면 상세소개페이지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이때, 학원회원 가입시 학원이름/연락처/홈페이지주소 기록하고 이곳에 나타나게 할 수 있고, 학원목록이 많아지면 스크롤바로 내려볼 수 있게하며, 학원목록 소트(Sort)는 최근 답변해준 학원 순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아래 여백은 배너광고가 삽입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a) 원장 관리페이지에서 항목(사진,문구,원장이름,연락처,주소,홈페이지)을 입력하면 각 위치에 나타나고, 사진은 첨부사진으로 변경되며, 동영상을 링크해서 사진을 동영상으로 대체할 수 있다. (b) 포인트는 정책에 따라 부여 및 차감될 수 있으며, (c) 예를 들어, 시험지를 업로드하여 포인트를 지급받을 수도 있고, 이미 동일한 시험지가 있는 경우 "이미 같은 시험지가 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뜨고, 시험지는 사진으로 찍어서 올리도록 구현될 수 있다.
(d)는 문제은행 교재를 담고 빼는 곳인데, 문제를 풀기 전에는 자유롭게 담고 빼고 할 수 있지만, 일단 문제를 풀면 뺄 수는 없으며, (e) 오답노트는 질문, 문제은행 또는 평가문제 중에 어려운 문제를 따로 보관하는 곳이 별도로 마련되고, 오답노트의 문제는 질문(답변)했던 문제와 평가문제 2가지 종류가 있으므로 구분해서 볼 수 있도록 구현되고, 평가문제 중에서 오답노트에 보관이 가능하며, 문제은행 중에서 오답노트에 보관도 가능하고, 문제은행, 개별평가문제는 클릭하면 채점된 내용이 보이게 구현될 수 있다.
(f)를 보면, 학습자가 오답노트에서 삭제할 때, 오답노트에서만 삭제되는 것이고 질문목록이나 평가목록에는 변화가 없도록 구현될 수 있고, 오답노트를 한번에 비우려면 <설정>에서 <오답노트 비우기>를 선택하면 가능하다. 그리고, (g)를 보면, 선생님 모드에서는 문제항목마다 정답률을 볼 수 있고, 학생은 없도록 구현되고, (h)를 보면, 그 메뉴가 미응시, 주관식 채점 대기, 채점 완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채점 완료된 문제는 클릭하면 채점결과 페이지로 이동할 수 있고, 문제풀기 확인을 클릭하면 답안제출을 클릭할 때까지는 전화/카톡/문자 등의 알림이 나오지 않게 하고, 주어진 시간 안에 문제를 풀지 못하면 자동으로 답안제출이 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5를 보면, (a) 문제를 푼 결과를 리스트 업한 것을 볼 수 있고, (b) 서술형 채점은 ○, △, ×의 3가지로 채점이 되는데, ○만 맞는 것으로 처리되고 나머지는 틀린 것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이때, 오답노트가 클릭되면 오답노트에 저장될 수 있고, (c) 해설은 없을 수도 있고, 해설은 이미지, 동영상 등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d) 구성은 객관식과 동일하게 구현되며, 문제, 학생 풀이, 해설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문제는 단답식, 보기, 서술형으로 출제될 수 있고, 답도 단답, 보기 선택, 서술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른 문제 생성 툴 또는 답변 툴은 공개된 편집툴 중 본 발명의 구현예에 맞는 것으로 변형 또는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 2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선생님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 선생님이 선생님 단말(400)에서 로그인하는 경우, 그 메뉴는, 채팅, 학생명단, 랭킹, 배너/공동구매, 설정, 질문관리/문제은행/평가관리/성적관리로 구성될 수 있고, (b))공동구매 및 광고배너가 출력될 수 있으며, (c) 수학, 영어, 국어, 과학, 사회, 입시 등으로 과목은 다중 선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만족도 총점은 예를 들어, 학생들이 답변을 보고 만족도(기본3점, 최소1점, 최대5점)를 부여하는데 그 총점을 출력할 수 있고, 선생님 랭킹은 만족도 총점 순일 수 있다. 그리고, (d) 질문목록은, 회원가입 시 선택한 과목(최대 6개)에서 답변한 질문, 답하지 않은 질문, 문제가 보이지 않거나 문제 오류로 답변 불가능으로 구분될 수 있고, (e) 답변하기는, 질문한 학생의 이름/성별/학교/학년/지역(서울 영등포구)의 이력을 볼 수 있도록 하고, 문제를 제대로 볼 수 없거나 기타 이유 때문에 답변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이를 표시하도록 한다. 그리고, (f)는 질문한 학생의 질문이력을 모아 볼 수 있는 곳이며, (g)는 답변보기, (h)는 문제은행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때, 문제은행의 각 문제에는, 문제를 푼 총학생수와 정답을 맞춘 사람의 비율인 정답률이 표시된다.
도 7을 참조하면, (a) 문제은행과 정답률이 도시되고, (b) 문제은행에서는 선생님 모드에서는 답이 보이지만 학생모드에서는 보이지 않을 수 있고, (c) 문제은행문제보기를 선택하면, 모든 선생님이 해설을 올릴 수 있도록 구비되고 다양한 해설이 있을 수 있도록, 해설은 이미지나 동영상 복수개로 업로드될 수 있다.
또한, (d) 교재등록은, 제공되는 교재 이외에 교재를 등록하고 문제를 작업하여 문제은행으로 보내는 곳이고, 시중교재의 문제로 시험지를 만들고 문제은행에 보내면 공유될 수 있고, 평가제작은, 선생님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사진, 이미지로 시험지를 만들고 학생을 지정하여 전송하는 메뉴이고, 평가목록은 교재등록/평가생성 이후에 시험지를 만들어서 보관하는 곳이며, 교재등록을 클릭하면 모달창 등으로 교재를 등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e) 예를 들어 현재 평가문제는 총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아래 <등록>은 현재 문항을 등록하는 것이며, <제작완료>는 10문항 등록이 다 끝났을 때 클릭. <제작완료>를 클릭하면 해당 평가문제(10문항)는 <평가목록>으로 이동되며 그곳에서 최종검토 후 <공유하기>를 클릭하면 <문제은행>에 업로드 되어 모든 학생에게 공개된다. 이때, ◁▷ 이 부분을 클릭하거나 바(bar)를 드래그하여 문항을 이동할 수 있고, 객관식은 번호를 클릭해서 정답을 입력할 수 있으며, 정답번호를 옆으로 드래그하면 '단답형', '서술형'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정답, 해설, 해설영상은 학생이 문제를 푼 후에 제공될 수 있다. 이때, 필수입력사항은, 평가시간,페이지, 문제번호, 정답일 수 있고, 평가시간은 분단위로 입력될 수 있다.
(f) 시중교재로부터 생성된 문제는 문제은행에 전송되어 학생들이 풀 수 있게 공유될 수 있고, 공유하기 전에 최종 확인해서 수정할 수 있게 할 수 있고, (g)개별평가는, 등록된 교재를 클릭하면 문제를 제작할 수 있다. 이때, 문제를 제작한 선생님이 작성한 부연설명을 다른 선생님들도 볼 수 있고, 평가문제 공유를 선택하면 모든 선생님의 <평가목록>에 해당 평가문제가 노출되며, 비공유한 평가문제 / 평가문제를 제작한 선생님의 <평가목록>에만 노출된다. 시중교재를 공유하는 경우는 <문제은행>에 업로드되어 선생님이의 별도지시에 따라 학생들이 선택하여 풀면되지만, 평가문제는 선생님이 학생들을 지정하여 풀게하므로 여러 번 전송하고, 계속 수정도 가능해야 하며, 다른 선생님이 공유한 문제의 경우 전송받은 선생님이 수정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그리고, (h) 평가생성에서, <시중교재> 제작은 페이지별로 나눠서 세부작업을 완료한 다음 <평가목록>에서 최종 검검 후 공유하는 반면, <평가문제>는 처음 평가문제를 생성하는 단계부터 공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a) 성적관리는, 주관식까지 채점이 완료된 것은 적색, 주관식 채점이 안된 상태의 채점은 파란색, 점수가 없는 학생은 미제출인 경우이다. 그리고, (b) 성적관리도 마찬가지로 상술한 표시를 사용할 수 있으며, (c) 채팅은 학습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학원이름 + 과목 + 이름 + 선생님의 포맷을 사용할 수 있고, (d) 대화상대의 정렬은 날짜순으로 하되, 외부생과 소속 학원생을 색깔로 구분하고, 외부생이 나중에 학원에 등록하면 학원생으로 색깔이 바뀌도록 구현되고, 외부생의 대화명은 성+학교+학년+지역, 학원생은 이름+학교+학년+지역의 포맷을 가지도록 한다.
(e) 학생관리에서, 검색 순서는, 기본값으로 외부생(예비반) > 학원생(학년>학급별>이름) 순이고, 학원생은 학년>학급별>이름순으로, 외부생은 학년>이름순으로 정렬될 수 있다. 이때, 외부생은 학년에 관계없이 모두 예비반이고, 학생이 회원탈퇴하면 리스트에서 작동 삭제될 수 있다.
(f) 학습이력은 학생의 질문/문제은행/평가문제 이력을 모아 놓은 곳으로, 질문/문제은행/평가문제 색깔로 구분할 수 있고, (g)는 랭킹관리, (h) 설정 교재담기로, 문제은행 교재를 담고, 빼는 곳인데, 문제를 풀기 전에는 자유롭게 담고/빼고 할 수 있지만, 일단 문제를 풀면 뺄 수는 없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학원장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a) 및 (b)는 선생님 단말(400)과 유사하나, 다른점은 학원을 등록하고 학급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학원관리에 필요한 모든 관리 기능과 홍보 기능 및 교재구입이나 제작 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제 4 실시예>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중 서버 관리자에게 제공되는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서버 관리자는, 학원목록을 관리하고, 학원회원의 현황을 조회하며, 학원의 회원가입을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학원에 소속된 학생의 정보를 리스트업할 수 있고, 포인트 충전 내역을 확인 및 정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12의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한다(S1100).
그리고,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는, 학습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고, 질의 콘텐츠의 교과목을 파악하고(S1200),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을 선택한다(S1300).
또한,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는, 선택된 선생님 단말로 질의 콘텐츠를 제공하고(S1400), 선생님 단말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한다(S1500).
마지막으로,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학습자 단말로 전송한다(S1600).
이와 같은 도 13의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12를 통해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3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교육 O2O(Online to Offline)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학습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의 위치를 추출하고, 상기 질의 콘텐츠의 교과목을 파악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생님 단말로 상기 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선생님 단말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상기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생계형 학원의 단말인 학원 단말로 상기 학습자 단말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학습자가 재학중인 학교의 정보를 독출하는 단계;
    상기 독출된 학교에서 시행예정인 시험의 시험범위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시험범위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개념과 문제를 기 구축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개념과 문제를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는 상기 선생님 단말에서 설정한 시간만큼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표시되고,
    상기 선생님 단말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답변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선생님 단말로부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으로 실시간 응답이 선택된 경우, 상기 선생님 단말과 상기 학습자 단말 간의 음성대화 또는 영상대화가 이루어질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무선 채널로 상기 선생님 단말과 상기 학습자 단말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답변 콘텐츠가 상기 선생님 단말로부터 전송된 경우에 생성되고, 상기 생성된 무선 채널은 기 설정된 시간동안 유효하고,
    상기 추출된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등록된 선생님 단말을 필터링하는 단계, 상기 필터링 선생님 단말 중 상기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접속한 선생님 단말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선생님 단말 중 상기 페이지에 포함된 메뉴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작업 히스토리가 발생하지 않는 선생님 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선생님 단말로 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제공된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이 수신된 선생님 단말을 상기 질의 콘텐츠에 대한 응답을 작성할 선생님으로 최종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질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자 단말이 기 구축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 구축된 문제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문제를 검색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제가 상기 학습자 단말에서 선택된 경우,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문제풀이과정 또는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검색된 문제와 상기 질의 콘텐츠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단계;
    를 수행하여 실행되는 것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상기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기 구축된 문제은행 데이터베이스 또는 기 구축된 문제집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된 문제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변과 기 저장된 정답을 비교하여 점수를 산출하고, 틀린 문제는 과목별 오답노트 메뉴로 이동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상기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교과목, 개념 및 문제에 대한 정보와, 상기 개념 및 문제를 강의하는 음성 또는 동영상을 포함하는 셀프강의 콘텐츠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셀프강의 콘텐츠와 상기 학습자 단말의 상기 교과목에 대한 성적을 상기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계;
    상기 셀프강의 콘텐츠의 조회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학습자 단말로 기 설정된 포인트를 증가시켜 부여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상기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상기 답변 콘텐츠를 제공한 선생님 단말의 평가점수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선생님 단말로부터 학습자가 모르는 부분에 대한 개념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생님 단말에서 답변을 한 횟수, 상기 학습자의 평가점수, 및 상기 학습자가 상기 선생님을 선호 선생님으로 등록했는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의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선생님을 평가하는 단계;
    상기 평가 결과를 상기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하는 페이지에 업로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답변 콘텐츠를 상기 선생님 단말이 등록된 생계형 학원의 정보를 삽입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학습자 단말로부터 시험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시험지 이미지가 검증된 경우, 상기 학습자 단말로 포인트를 지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포인트는, 상기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제공하는 페이지에 설문조사 참여, 광고 배너 페이지 이동, 이벤트 참여, 및 친구 추천을 포함하는 기 설정된 방법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로 지급되는 것인,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10. 교육 O2O 서비스 제공 서버와 연동되는 학습자 단말에서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하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
KR1020180012054A 2018-01-31 2018-01-31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35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54A KR102035746B1 (ko) 2018-01-31 2018-01-31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2054A KR102035746B1 (ko) 2018-01-31 2018-01-31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807A KR20190098807A (ko) 2019-08-23
KR102035746B1 true KR102035746B1 (ko) 2019-11-15

Family

ID=67763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54A KR102035746B1 (ko) 2018-01-31 2018-01-31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7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787A (ko) * 2019-12-06 2021-06-16 (주)투위스트에듀 수학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69177A (zh) * 2019-10-16 2021-04-16 北京三好互动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提问人数统计方法和装置
KR102603434B1 (ko) * 2021-04-15 2023-11-17 ㈜아이윈컴퍼니 지식 공유 플랫폼 서비스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54B1 (ko) * 2012-12-04 2013-09-06 오종현 교재코드와 위치기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교재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생성방법
JP2015102556A (ja) * 2013-11-20 2015-06-04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学習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支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9843A (ko) * 2012-01-06 2013-08-13 주식회사 케이티 멘토 멘티 관계에 기초하여 지식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140035184A (ko) * 2012-09-13 2014-03-21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KR101513688B1 (ko) * 2012-10-05 2015-04-23 홍희동 Sns 기반의 협업 학습 콘텐츠 생성에 따른 평가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54B1 (ko) * 2012-12-04 2013-09-06 오종현 교재코드와 위치기반의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교재정보를 공유하기 위한 커뮤니티 생성방법
JP2015102556A (ja) * 2013-11-20 2015-06-04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学習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支援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1787A (ko) * 2019-12-06 2021-06-16 (주)투위스트에듀 수학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KR102367897B1 (ko) * 2019-12-06 2022-03-02 주식회사 투위스트에듀 수학 컨텐츠 서비스 플랫폼 및 이를 운영하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807A (ko) 2019-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dson-Shivers et al. Web-based learning
Coryell et al. Implementing e-learning components with adult English language learners: Vital factors and lessons learned
Schendel et al. Building writing center assessments that matter
US9575616B2 (en) Educator effectiveness
Khan Emerging conceptions of ICT-enhanced teaching: Australian TAFE context
US20130273516A1 (en) Automatic Determination of User Alignments and Recommendations for Electronic Resources
US20130137078A1 (en) Educational-social network
KR102035746B1 (ko)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Admiraal et al. Video narratives to assess student teachers’ competence as new teachers
Koomen et al. Strategic planning tools for large-scale technology-based assessments
Alharbi E-learning in the KSA: A taxonomy of learning methods in Saudi Arabia
McNabb et al. Technology Connections for School Improvement. Planner's Handbook.
Xue et al. Institutional influences on teachers’ classroom technology integration: A multi-case study of teachers’ uses of mobile social media at universities in China
Hubball* et al. A learning‐centred faculty certificate programme on university teaching
Stutchbury et al. Supporting open practices with teachers in Zambia
Oremland et al. Preparing interdisciplinary problem solvers: A project-based course series for the mathematical/interdisciplinary contests in modeling
Temple et al. An evaluation of the Quality Mark for History for primary schools in the UK
Martin et al. Professional Development Strategies and Recommendations for High School Teachers to Teach Computer Science Online
Labella et al. 9. EMPOWERING LEARNERS
Anastoska-Jankulovska et al. Effects of ICT integration in schools on the role of teachers
Joshi Nari Kallyan Shangho
Epler et al. Guide to Integrating Problem-Based Learning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Classroom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Poole CONNECTING STUDENTS WITH COMMUNITY-BASED ORGANIZATIONS FOR INFORMAL, SHORT-TERM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A PORTAL PROPOSAL FOR CSUSB
Witte School of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s Faculty of Economic and Political Sciences
O’Connor et al. Engaging graduate-level distance learners in research: A collaborative investigation of rural ag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