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35184A -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35184A
KR20140035184A KR1020120101741A KR20120101741A KR20140035184A KR 20140035184 A KR20140035184 A KR 20140035184A KR 1020120101741 A KR1020120101741 A KR 1020120101741A KR 20120101741 A KR20120101741 A KR 20120101741A KR 20140035184 A KR20140035184 A KR 20140035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ice
information
education
us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1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영진
김동훈
안성민
이욱재
안현민
손세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1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35184A/ko
Publication of KR20140035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3518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08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문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문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오답 문제 저장부; 및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는 서비스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Education Service to Users}
본 실시예는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PC(Personal computer) 웹,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장치 등에서 사용 가능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선택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SNS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거나 선택한 문제에 대한 질의를 서비스 운영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통상적인 오프라인 학습에서 학습자는 학교, 사설학원, 과외 및 학습지와 같은 수단을 통해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아 왔다. 이러한 오프라인 학습은 동일한 공간에서 다수의 인원이 동일한 교과 과정을 학습하는 형태로써 개개인의 학습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일방적인 학습이 제공되며 시간 제약적인 문제가 발생하여 수업 종료 후 수업 내용을 이해하지 못하는 학생의 경우, 충분한 학습효과를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 인터넷 사용자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더불어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안들이 다수 제공되고 있으나 이 역시 단원 중심의 강의 및 한정적인 문제풀이만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이해도 향상에 적절히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는 폐쇄적인 구조로 인해 오프라인 학습의 장점인 집단학습으로 인한 학습자 간 학습경험의 공유를 제공하지 못하며 학습의 몰입도 정도가 감소하여 학습자에게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는, PC 웹,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장치 등에서 사용 가능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선택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SNS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거나 선택한 문제에 대한 질의를 서비스 운영자에게 전달하여 출판교재와 더불어 온-오프라인 융합적 학습 경험을 창출하고 학습자에게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실시예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상기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문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문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오답 문제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상기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는 서비스 공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사용자가 선택 및 학습한 문제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추출하는 학습 시스템 서버; 및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제공하는 문제별 SNS를 포함하며, 상기 문제별 SNS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 및 학습한 문제를 상기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SNS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는 과정;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의 공유 여부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한 문제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공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PC 웹, 모바일 웹, 애플리케이션 장치 등에서 사용 가능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제작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 선택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SNS와 연동되어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거나 선택한 문제에 대한 질의를 서비스 운영자에게 전달하여 출판교재와 더불어 온-오프라인 융합적 학습 경험을 창출하고 학습자에게 학업성취에 대한 동기부여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라인 강의 전체를 듣고 문제를 풀어야하는 기존의 교육 서비스와는 달리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는 도중에도 제공되는 문제에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포함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답 처리된 문제 및 사용자 선택 문제를 오답 문제 저장부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및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엔스크린(N-Screen)은 하나의 콘텐츠를 스마트폰, PC, 스마트TV, 태블릿PC, 자동차 등 다양한 디지털 정보기기에서 공유할 수 있는 차세대 컴퓨팅ㆍ네트워크 서비스를 말한다. 이는 시간, 장소, 디지털기기에 구애 없이 언제 어디서나 하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어, 컴퓨터로 다운받은 영화를 TV로 보다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보거나, 태블릿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서비스다. N은 부정정수로 여러 개의 디지털 단말을 접속할 수 있다는 의미이며, 휴대폰, PC, TV 등 3개의 스크린을 이어서 볼 수 있다는 의미의 '3스크린 플레이'의 확대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PC(Personal Computer) 웹, 모바일 웹 및 애플리케이션 장치 등과 같은 서로 다른 운영체제 또는 동일한 운영체제를 탑재하고 있는 복수의 디바이스와 연동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함으로써 엔스크린 기능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 입력부(102), 사용자 인증부(104), 서비스 제공부(106), 오답 문제 저장부(108), 서비스 공유부(11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가 사용자 입력부(102), 사용자 인증부(104), 서비스 제공부(106), 오답 문제 저장부(108), 서비스 공유부(110)만을 포함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 입력부(102)는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한다. 즉, 사용자 입력부(102)는 서비스 접속 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실행을 진행하고, 사용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기 위한 문제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한다.
이때, 사용자 입력부(102)가 수신하는 문제정보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다. 한편, 문제번호는 출판교재의 문제번호와 동일하거나 출판교재에 별도로 표기된 교육 서비스용 문제번호가 존재하는 경우, 별도로 표기된 교육 서비스용 문제번호를 의미한다.
한편, 문제정보 내 난이도 정보는 예컨대 상, 중, 하의 3가지 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진에 의해 판정되거나 해당 문제에 대한 사용자들의 오답률에 따라 조정된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02)는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제정보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난이도별 단원별 문제은행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출판교재가 없이도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통해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한다. 즉, 사용자 인증부(104)는 서비스 접속 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사용자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학습한 단계를 바로 보여주어 이전 학습에 이어서 지속적으로 교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다.
또한,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 내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사용자의 유료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 상품을 구입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유료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 상품을 구입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료 서비스 상품 구매절차를 제공한다. 이때, 유료 서비스 상품은 월정액형, 단품형, 기간형 등 다양한 상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결제가능 수단은 통신사 정보이용료, 멤버쉽, 현금성 포인트, 신용카드, 계좌이체, 무통장 입금 등을 제공한다. 한편, 월정액형 상품일 경우, 자동연장 결제지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유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부(106)는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때,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에게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여, 사용자로부터 문제에 대한 풀이를 수신하고, 이에 대한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서비스 제공부(106)에서 제공되는 문제풀이 서비스는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제공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파일로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로부터 학습 시스템 서버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문제풀이 방식을 제외한 새로운 방식의 문제풀이에 대한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을 제공받는 경우, 제공받은 파일을 학습 시스템 서버에 저장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요청하는 경우, 새로운 방식의 문제풀이를 포함한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을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제정보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난이도별 단원별 문제은행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및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06)는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문제에 대한 누적 정답률을 요청하는 경우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수신하여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온라인 서비스를 이용하다 출판교재 별로 별도 구입을 희망하는 경우, 사용자에게 구매전용링크를 제공하여 출판교재를 구입할 수 있도록 진행한다.
오답 문제 저장부(108)는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문제를 저장함으로써 저장된 문제를 차후 사용자가 반복해서 풀어볼 수 있도록 제공한다. 즉, 오답 문제 저장부(108)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가 오답으로 판정된 경우 자동으로 선택한 문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사용자의 풀이 결과가 정답으로 판정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판단된 문제의 중요도 여부에 따라 선택적으로 문제를 저장한다. 한편, 오답 문제 저장부(108)에 저장된 문제는 사용자에 의해 삭제 및 변경될 수 있다.
서비스 공유부(110)는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서비스 공유부(110)는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학습한 문제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URL 주소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연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와 해당 문제를 공유하는 한편, 기존의 인터넷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의 폐쇄적인 구조로 인해 발생하는 학습경험의 미공유 문제 및 학습의 몰입도 감소 문제를 해결하였다.
한편, SNS에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에서 제공되는 문제별 SNS를 포함하고 있으며, 문제별 SNS는 각각의 문제에 대한 다수의 사용자의 정답률 및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각각의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 정보 등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서비스 공유부(110)는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학습한 문제 및 질의 내용을 SNS에 연동시켜 서비스 운영진에게 전달하고, 이를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을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포함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포함한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 접속장치(200), 제1 사용자(210), 출판교재(220), 학습 시스템 서버(230), SNS 장치(240) 및 제N 사용자(250)를 포함한다.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사용자에게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가 출판교재(220)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220)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는 사용자가 출판교재(220)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제정보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난이도별 단원별 문제은행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및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제1 사용자 및 제N 사용자(210, 250)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통해 선택한 문제를 제공받는 사용자를 예시하기 위해 도시되었으며 제1 사용자(210)는 학습한 문제를 제N 사용자(250)와 공유할 수 있다. 이때, 제N 사용자(250)는 교육 서비스에 가입된 사용자뿐만 아니라 SNS 장치(250)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를 포함한다. 즉, 제1 사용자(210)는 출판교재(220)의 구입 여부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으로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출판교재(220)의 문제에 대한 정답해설을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통해 제공받음으로써 온-오프라인 융합적 학습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
학습 시스템 서버(230)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 선택 문제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선택 문제를 풀이한 경우, 풀이에 대한 풀이 결과 및 이에 대한 문제풀이 서비스를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에 전송한다.
또한, 학습 시스템 서버(230)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학습 시스템 서버(230)에 기 저장되어 있는 문제풀이 방식을 제외한 새로운 방식의 문제풀이에 대한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을 제공받는 경우, 제공받은 파일을 저장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해당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를 요청하는 경우, 새로운 방식의 문제풀이를 포함한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을 다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제공한다.
또한, 학습 시스템 서버(230)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수신하고, 사용자가 문제를 풀이한 이후,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 및 문제풀에와 더불어 저장된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 제공한다.
SNS 장치(250)는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장치이다. SNS는 웹상에서 친구, 선후배, 동료 등 지인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키고 또 새로운 인맥을 쌓으며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인간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라고 한다. 즉, 인터넷에서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1인 미디어, 1인 커뮤니티라 할 수 있다. SNS는 초기에는 주로 친목도모·엔터테인먼트 용도로 활용되었으나 이후 비즈니스·각종 정보공유 등 생산적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SNS는 대표적으로 싸이월드(Cyworld), 트위터(Twitter), 페이스북(Facebook), 카카오톡 등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SNS 장치(250)는 사용자가 사용자 선택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에 대한 URL 주소를 수신하고, 이를 문제별 SNS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에게 연동시킨다.
또한, SNS 장치(250)는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로부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 및 질의 내용을 수신하고, 이를 서비스 운영진에게 연동시킨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에서 도시하듯이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를 이용하여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는 방법은 먼저, 사용자 입력부(102)가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시작된다(S300). 즉, 사용자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자정보를 수신하여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100)의 실행을 진행하고, 사용자가 출판교재(220)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220)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를 수신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02)는 사용자가 출판교재(220)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인증부(104)는 서비스 접속 시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한다(S302). 즉,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및 인증을 진행하고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학습한 단계를 바로 보여주어 이전 학습에 이어서 지속적으로 교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편,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회원가입 절차를 진행한다.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풀이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S304). 즉,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제정보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난이도별 단원별 문제은행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및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서비스 제공부(106)는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가 해당 문제에 대한 누적 정답률을 요청하는 경우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수신하여 제공한다.
서비스 공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학습한 문제에 대한 타 사용자와의 공유 여부를 확인하고(S306),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학습한 문제에 대한 URL 주소를 추출하고, 추출된 URL 주소를 SNS에 연동시킴으로써 다수의 사용자와 해당 문제를 공유한다(S308).
서비스 공유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학습한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S310),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학습한 문제 및 질의 내용을 SNS에 연동시켜 서비스 운영진에게 전달하고, 이를 통해 해당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을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한다(S312).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오답 처리된 문제 및 사용자 선택 문제를 오답 문제 저장부(108)에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에서 도시하듯이 오답 처리된 문제 및 사용자 선택 문제를 오답 문제 저장부(108)에 저장하는 방법은 먼저, 서비스 제공부(106)가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풀이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으로 시작된다(S400). 즉,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추출된 사용자 선택 문제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이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의 형태로 제공한다. 한편,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출판교재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제정보를 학습 시스템 서버로 전송하여 사용자에게 난이도별 단원별 문제은행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및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
서비스 제공부(106)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에 대한 풀이 결과를 확인하고, 풀이 결과의 오답 여부를 확인한다(S402).
오답 문제 저장부(108)는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가 오답으로 판정된 경우 자동으로 선택한 문제를 오답 문제 저장부(108) 내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저장하고(S404), 사용자의 풀이 결과가 정답으로 판정된 경우 사용자로부터 선택한 문제에 대한 중요도 여부를 파악하여 저장 여부를 확인한다(S406).
오답 문제 저장부(108)는 S406 단계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선택한 문제에 대해 중요도가 높다고 판단하여 해당 문제에 대한 저장 여부를 수신하는 경우, 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S408). 한편, 오답 문제 저장부(108)에 저장된 문제는 사용자에 의해 삭제 및 변경될 수 있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및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5에서 도시하듯이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및 유료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방법은 먼저, 사용자 입력부(102)가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등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으로 시작된다(S500). 즉, 사용자 입력부(102)는 사용자로부터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자정보 및 사용자가 출판교재(220)를 구입한 경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수록하고 있는 출판교재(220)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등을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102)는 사용자가 출판교재(220)를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를 포함한 문제정보를 수신한다.
사용자 인증부(104)는 서비스 접속 시 수신한 사용자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와 같은 최소한의 사용자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S502),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지 않은 경우, 사용자에게 교육 서비스의 이용을 위한 회원 가입 절차를 제공한다(S504).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교육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교육 서비스가 유료 또는 무료 여부를 파악하고(S506),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교육 서비스가 무료로 판단되는 경우, 서비스 제공부(106)를 통해 사용자에게 무료 서비스를 제공한다(S508).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이용하고자 하는 교육 서비스가 유료인 것으로 파악되는 경우,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 상품을 구입하였는가 여부를 파악하고(S510),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 상품을 구입하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유료 서비스 상품 구매절차를 제공한다(S512). 이때, 유료 서비스 상품은 월정액형, 단품형, 기간형 등 다양한 상품을 포함하고 있으며 결제가능 수단은 통신사 정보이용료, 멤버쉽, 현금성 포인트, 신용카드, 계좌이체, 무통장 입금 등을 제공한다. 한편, 월정액형 상품일 경우, 자동연장 결제지원을 제공하여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유료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인증부(104)는 사용자가 유료 서비스 상품을 구입한 경우, 서비스 제공부(106)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선택한 문제에 대한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한다(S514).
도 3 내지 도 5에서는 단계 S300 내지 단계 S312, 단계 S400 내지 단계 S408, 단계 S500 내지 단계 S514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 내지 도 5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00 내지 단계 S312, 단계 S400 내지 단계 S408, 단계 S500 내지 단계 S514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 내지 도 5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102: 사용자 입력부
104: 사용자 인증부 106: 서비스 제공부
108: 오답 문제 저장부 110: 서비스 공유부
200: 접속장치 210: 제1 사용자
220: 출판교재 230: 학습 시스템 서버
240: SNS 장치 250: 제N 사용자

Claims (15)

  1. 복수의 디바이스와 연동되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에 있어서,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는 사용자 인증부;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상기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문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상기 문제를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오답 문제 저장부; 및
    상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상기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는 서비스 공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문제와 동일한 문제를 오프라인으로 제공하는 출판교재에 대한 정보, 과목 정보, 난이도 정보, 단원 정보 및 문제번호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상기 문제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추출하고, 상기 사용자에게 추출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입력 기능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문제풀이 서비스를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 중 일부 또는 전부의 방법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학습 시스템 서버에 기 저장되어 있는 상기 문제풀이 방식을 제외한 새로운 방식의 문제풀이에 대한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을 제공받는 경우, 제공받은 파일을 상기 학습 시스템 서버에 저장하여 상기 교육 서비스를 이용하는 다수의 사용자에게 상기 새로운 방식의 문제풀이 방식에 대한 텍스트 및 동영상 파일을 추가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부는 상기 학습 시스템 서버로부터 상기 문제별 누적 정답률을 제공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답 문제 저장부는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가 오답으로 판정된 경우 자동으로 상기 선택한 문제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가 정답으로 판정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판단에 의해 상기 선택한 문제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유부는 상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를 상기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학습한 문제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URL 주소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SNS는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제공되는 문제별 SNS를 포함하며, 상기 문제별 SNS는 각각의 문제에 대한 상기 다수의 사용자의 정답률 및 상기 다수의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상기 각각의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 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공유부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학습한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학습한 문제 및 상기 질의 내용을 상기 문제별 SNS에 연동시켜 서비스 운영진에게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11. 사용자가 선택 및 학습한 문제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를 통해 다수의 사용자와 공유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문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추출하는 학습 시스템 서버; 및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에서 제공하는 문제별 SNS를 포함하며, 상기 문제별 SNS를 통해 상기 사용자가 선택 및 학습한 문제를 상기 다수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SNS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PC(Personal Computer) 웹, 모바일 웹 및 애플리케이션 장치 중 일부 또는 전부와 연동하여 연속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교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사용자정보 및 문제정보 중 일부 또는 전부의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
    상기 사용자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상기 교육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 및 상기 사용자에 대한 인증을 진행하는 과정;
    상기 문제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제공하고, 제공된 상기 문제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풀이 결과 및 문제풀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 및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의 공유 여부에 대한 선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상기 선택한 문제를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에 공유하는 과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SNS에 공유하는 과정은 상기 선택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문제를 공유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문제에 대한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주소를 추출하고, 상기 URL 주소를 상기 SNS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SNS에 공유하는 과정은 상기 사용자가 학습한 문제에 대한 질의 내용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학습한 문제 및 상기 질의 내용을 상기 SNS에 연동시켜 서비스 운영진에게 전달하는 과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방법.
KR1020120101741A 2012-09-13 2012-09-13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400351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41A KR20140035184A (ko) 2012-09-13 2012-09-13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1741A KR20140035184A (ko) 2012-09-13 2012-09-13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35184A true KR20140035184A (ko) 2014-03-21

Family

ID=50645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1741A KR20140035184A (ko) 2012-09-13 2012-09-13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3518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501A (ko) 2015-02-05 2016-08-16 이효행 친구 초대를 통한 모바일 교육 시스템
KR20190098807A (ko) * 2018-01-31 2019-08-23 주식회사 에듀8760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6501A (ko) 2015-02-05 2016-08-16 이효행 친구 초대를 통한 모바일 교육 시스템
KR20190098807A (ko) * 2018-01-31 2019-08-23 주식회사 에듀8760 스마트러닝 시스템 기반 생계형 학원 및 지역 학생 간을 연계하는 교육 o2o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8803B1 (en) Collaborative, social online education and whiteboard techniques
US201903177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ed customized microservice creation
US98047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egment-based viewing of recorded sessions
CN104838386B (zh) 使用人物角色的用户认证和授权
Lam et al. A review of mobile learning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sector of Hong Kong: Technological and social perspectives
Huang et al. The converg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gains momentum
Hermanto et al. Implementation of QR code and imei on android and web-based student presence systems
KR102296966B1 (ko) 예습과 복습을 통한 학습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00101718A (ko) 메신저를 이용한 인터넷 학습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과 그 방법을 이용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Al-Shehri An outlook on future mobile learning in Saudi Arabia
Kende Internet society global Internet report 2014: Open and sustainable access for all
Ghareb et al. The role of learning through social network in higher education in KRG
Abud Indonesia: New digital nation
KR20140035184A (ko) 다수의 사용자 간 교육 서비스를 공유하기 위한 교육 서비스 제공장치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180093385A (ko)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교육 서비스 제공 방법
Ruxwana et al. Bring your own device adoption readiness in a South African University
Thor et al. Leveraging technology to create a student‐focused environment
Adriani et al. The use of technological devices: A descriptive study of students in university
Das et al. ICT for learner support services in ODL system in developing countries: Challenges and the road ahead
KR20160126730A (ko) 학습자 단말을 확인할 수 있는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온라인 강의 콘텐츠 제공 방법
Cook The future of mLearning begins with a baseline pedagogy
US20180308520A1 (en) Method and system for watermarking video media to trace video distribution
Cochrane Exploring the pedagogical affordances of mobile Web 2.0
US20170018017A9 (en) Rebrandable stations for retail service operations
KR102377711B1 (ko) 사용자의 복습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