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5099436A1 -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 Google Patents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5099436A1
WO2015099436A1 PCT/KR2014/012773 KR2014012773W WO2015099436A1 WO 2015099436 A1 WO2015099436 A1 WO 2015099436A1 KR 2014012773 W KR2014012773 W KR 2014012773W WO 2015099436 A1 WO2015099436 A1 WO 20150994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learning
content
contents
textbook
exi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4/0127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허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Publication of WO20150994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509943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Definitions

  • the learner's ability level takes the form of a normal distribution curve with the largest distribution of middle scores and decreasing distribution toward lower and upper scores.
  • the content constituent means may select a learning range of a new teaching material for a specific user, and query the history of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s within the learning range of the selected new teaching material from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database.
  • the learning-related unit contents stored in the learning content database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xplanatory content, problem content, and additional content.
  •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evaluation management means for querying the learning history stored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to perform analysis and diagnosis on learning achievement.
  • the content constituting means may selec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question type content for the new teaching material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achievemen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management means.
  • teaching medium providing means may output the generated new textbook in any one of the form of printed material provided on-line, electronic documents provided on-line, e-book.
  • the two-dimensional graphic code reader that is provided on the offline, the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on-line, the first two-dimensional graphic code and the second two-dimensional graphic code included in the electronic books to recognize and deliver to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means Additional may be included.
  • the electronic book may further include a writing method input means for receiving an input in a writing format on the new teaching material.
  • the personalized learning providing method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user from the first two-dimensional graphic code described in the existing textbook published on / off, and corresponds to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 included in the existing textbook
  • the second two-dimensional graphic code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roblem contents may be further merged and stored.
  • contents of the new teaching material selected in the fifth step may include at least one of explanatory content, problem content, and additional content.
  • the fifth step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determining the difficulty level of each selected problem content, if the problem-type content is included in the content of the new teaching material.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learning contents according to a student's ability, level, and type of learner so that personalized learning is possible.
  • the personalized textbooks, online learning, question banks, etc. according to the learning rate according to the diagnostic evaluation, learning progress of individual learners, offline printed materials, monitors, tablet PCs, mobile devices according to the teaching medium for the learners It can be provided through all output devices.
  • FIG.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1 to 4 are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personalized learn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S. 2 to 4 are photographs showing objects included in a teaching medium according to an embodiment.
  • Learning history management database 155 stores information on personal information and learning history
  • learning history management means (MMS, Members management system) 150 is the learner's personal information and learning history information (evaluation history, learning history, Learning achievement rate, membership information, etc.) is a component that manages.
  • Personalized textbook table a list of contents generated when a personalized learning order is stored is stored.
  • Personalized textbook table is recorded in a structure such as member code, textbook code, textbook version, content information.
  • the learning design table stores predesigned information such as schedules and contents to be learned in online learning.
  • the learning design table is stored as a data structure of member codes, dates to be studied, learning information, and learned information data.
  • the textbook OX information table a list of incorrect information using the incorrect note is stored.
  • the textbook OX information table is stored in a structure such as member code, problem information, identification code, textbook information, unit information, number of incorrect answers, and date of incorrect recording.
  • the textbook OX information table can be used to extract similar problems or to be used as a basis for achievement rate for each content and personalized learning.
  • the evaluation-related table includes an OX information table, a test score information table,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for each content, and cumulative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table for at least one area.
  • the OX Information Table records OX information for a particular assessment of an individual.
  • the OX Information Table is stored in the structure of member code test codes, problem attributes, area information, and OX information records.
  • the OX Information Table is used as the basis for individual achievement rate.
  • the test score information table records the area and average scores for an individual's specific assessment.
  • the test score information table may be stored in a structure such as a member code, a test code average, and an average score for each area.
  • the cumulative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for each region is recorded in each region.
  • the cumulative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table for each area is stored in a structure such as a member code, an achievement rate for each area, and an average record of an area by using an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table for each content, and is used when constructing an individual textbook.
  • the cumulative achievement rate information table for each region may be stored as a separate table according to the cumulative period.
  • the existing textbook includes descriptive content R3 provided to the user and questionable content R5 for evaluating the achievement of each descriptive content R3.
  • the descriptive content R3 and the questionable content R5 are provided with a second two-dimensional graphic code for identifying respective contents.
  •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unit 150 recognizes the explanatory content R3 and the questionable content R5 from each of the second two-dimensional graphic codes R4 and R6 described in the existing textbook published on / off.
  •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120 may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common descriptive content for a plurality of low-content problem content, that is, whether the evaluation of a specific range of content is low. .
  • the evaluation management means 120 performs the analysis based on the learning history as described above, a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diagnosis, etc. by the evaluation management means 120 is applied to the new teaching medium to be configured by the content constituting means 110. Is reflected.
  • the evaluation management means 120 may store the results analyzed periodically or from time to time i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155, and at the request of the content constituting means 110, the content constituting means 110 for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learning history.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to.
  • Learning-related unit contents are stored in the learning content database 145, and the learning content management unit (CMS) 140 minimizes and stores various types of content used for learning, and stores and manages them in the learning content database 145. .
  • CMS learning content management unit
  • Problem-type content refers to content for diagnosing the level of learning,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an individual according to what is learned. Problem type contents can be classified into learning problems, evaluation problems, narrative problems, and creative thinking problems.
  • Questionable content has at least two classification criteria.
  • a classification code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type of solution such as answer, short answer, completion, authenticity, description, step, connection, selection, and mixing as the first criterion, and concept, principle, operation, sentence as the second criterion.
  • Classification codes can be assigned based on the type of content, such as relationship, drawing, data reporting, answering, and measurement.
  • classification codes may be assigned according to the meaning of problems such as past, representative type, practice, synthesis, deepening, and out of curriculum.
  • a classification code may be assigned, and each content may further store data regarding a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 itself.
  • various criteria may be assigned classification codes.
  • the problem-type content may store a problem, a solution, a correct answer, a noon decision, a teacher tip, a student tip, and a related term in a set.
  • Additional content refers to content that provides additional information other than content that is a direct learning target, and may include learning matrices, mind maps, math quizzes, math stories, mathematician stories, preparation learning terms, learning terms, and teaching materials. .
  • the additional content is stored in one set of contents, link information such as related terms in the contents, teacher tips, and the like, and each is provided with identifiable identification data.
  • the content organization means (LMS) 110 organizes the cont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individual learning (by level / area / competence) and accordingly, the individual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hat is, the curriculum, area, and unit. And systematically provide a learning map hierarchy.
  • the content constituting unit 110 inquires the history of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s from the learning history management database 155 described above, and whether the user has a disability according to the area of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s searched for each individual, whether deep learning is provided or not. And contents of the new teaching material from the learning contents database 145 in consideration of the achievement rate of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vel of the specific area.
  • the content constituting unit 110 may selec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question-type contents for the new teaching material by referring to the learning achievement performed by the evaluation management unit 120. Do.
  • the teaching medium providing means (DMS, Display management system) (130) provides the learning model most bonded according to the learning medium selected by the learner (online, offline, on / off integrated).
  • the teaching medium providing means 130 merges the selected contents with the second two-dimensional graphic code for identifying the selected contents to generate a new textbook, and to identify the individual provided with the corresponding personal information.
  • the information and the corresponding first two-dimensional graphic code are listed together in the new textbook.
  • the new teaching material generated by the teaching medium providing means 130 may be output in any one of a printed form provided offline, an electronic document provided online, and an electronic book. That is, the user may be provided with the new textbook in at least one or more forms of printed matter such as a computer, a notebook, a smartphone, a tablet PC, or an offline book.
  • a new teaching material is provided through a medium such as a tablet PC or a smart phone, it is preferable that the user is provided in a form in which the user can directly input the teaching material through handwriting.
  • / offline-based content merging technology refers to a technology for merging and extracting a plurality of contents into one by analyzing the attributes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after storing and storing contents having variable lengths and elements by attributes.
  • a new textbook is provided in the form of the electronic document or the electronic book, and the user performs the test through the problem-type contents online
  • the user inputs the textbook directly in the writing format on the new textbook provided in the form of PDF or Flash.
  • a writing method input means such as a receiving touch pen or a stylus pen, and it is also possible to include only the touch panel in order to directly input by the user's hand.
  • such a personalized learning providing system can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electrical, mechanical devices.
  •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in which learning history data is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in a state where the managers are provided together in a physical space where each manager is located, and learning content data is provided from the central server.
  • the physical space where the managers are simply located there is only a barcode reader and a terminal for controlling it, and all data is transmitted to a central server provided at a remote location, and the data such as results are provided from the central server. Implementation is possible. That is, the physical implementation of the personalized learning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ersonalized learning method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 the personalized learning providing method recogniz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for a specific user from the first two-dimensional graphic code described in the existing textbook published on / off, and corresponds to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 included in the existing textbook.
  • the administrator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pecific user from the first two-dimensional graphic code described in the existing textbook published on / off by using a device such as a barcode reader, and simultaneously Content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recognized from the second two-dimensional graphic code described to correspond to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 included in the existing textbook.
  • the administrator may input whether or not the problem-related content is noon.
  • the manager constructs the learning history data o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 it is also possible to analyze and diagnose the learning history as necessary in the first step, and to build the result together on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 the history of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 corresponding to the learning range of the selected new teaching material is inquired, and in the fifth step (S50), the user's area of disability or deep learning for the found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
  • the contents of the new teaching materials are selected 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provision rate and the achievement rate of the existing learning problem contents corresponding to the lower level of the specific area.
  • the evaluation and diagnosis result by the evaluation management means may be inquired or requested, and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blem contents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learning history retrieved from the learning history databa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은 개인정보 및 학습이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학습이력 관리수단;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상기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하는 컨텐츠 구성수단; 및 상기 선정된 컨텐츠들과 상기 선정된 컨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병합하여 신규 교재를 생성하는 교수매체 제공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본 발명은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개인의 능력, 수준에 따라 최적화된 교재를 제공하고 이를 통하여 정확한 개인의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순환되는 학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컴퓨터와 정보 통신 분야의 비약적인 발전과 더불어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학습 자료를 제공하는 사이트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 학습자의 능력도는 대학 수학 능력 시험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중간 점수대의 분포가 가장 많고 하위 점수대와 상위 점수대로 갈수록 분포가 줄어드는 정규 분포 곡선 형태를 취하고 있다.
따라서, 상위 점수대에 속하는 능력도를 갖는 학습자에게 기초적이고도 상세한 학습 자료를 제공하게 되면 그 수준이 낮아서 흥미를 잃게 될 것이고, 반대로 하위 점수대에 속하는 능력도를 갖는 학습자에게 요점 정리 형태의 압축된 학습 자료를 제공하게 되면 능력에 부쳐서 흥미를 잃게 될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학교나 학원과 같이 강사나 학습자가 얼굴을 맞대고 하는 실제의 교육 공간에서나 인터넷을 통한 사이버 교육 공간에서나 마찬가지여서 학습자의 능력도에 적합한 학습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 교육이 추구해야 할 이상이기는 하나 인적, 공간적 및 재정적인 측면에서 완전히 해결하기는 어려운 과제로 남아 있다.
본 발명은 개인별 맞춤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생의 능력, 수준별 및 학습자의 유형에 따른 학습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한 학습 시스템 및 학습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개별 학습자의 진단평가, 학습진척 상황에 따라 학습성취율에 맞게 개인별 맞춤교재, 온라인 학습, 문제은행 등을 학습자에 맞는 교수매체에 따라 오프라인 상의 인쇄물, 모니터, 테블릿 PC, 모바일 장치 등 모든 출력장치에 제공하는 개인별 맞춤형 학습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은 개인정보 및 학습이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학습이력 관리수단;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상기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하는 컨텐츠 구성수단; 및 상기 선정된 컨텐츠들과 상기 선정된 컨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병합하여 신규 교재를 생성하는 교수매체 제공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컨텐츠 구성수단은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 내의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은 설명형 컨텐츠, 문제형 컨텐츠, 부가형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이력을 조회하여 학습 성취도에 관한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하는 평가관리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 중 문제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구성수단은 상기 평가관리수단에 의하여 수행된 학습 성취도를 참조하여 신규 교재를 위한 문제형 컨텐츠들의 난이도를 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수매체 제공수단은 상기 생성된 신규 교재를 오프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인쇄물,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전자문서, 전자북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프라인 상으로 제공된는 인쇄물,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전자문서, 전자북 들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 및 상기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학습이력 관리수단에 전달하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 리더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신규 교재가 상기 전자문서, 전자북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신규 교재 상에 필기 형식으로 입력을 받는 필기방식 입력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방법은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신규 교재에 대한 발행을 접수하는 제2 단계;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를 선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선정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 내의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조회하는 제4 단계; 상기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각각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각각 선정된 문제 컨텐츠들을 병합하여 교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6 단계에서는 상기 각각의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더 병합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 선정하는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은 설명형 컨텐츠, 문제형 컨텐츠 및 부가형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교재의 컨텐츠 중 문제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각각 선정된 문제 컨텐츠들에 대한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인별 맞춤 학습이 가능하도록 학생의 능력, 수준별 및 학습자의 유형에 따른 학습 컨텐츠의 제공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학습자의 진단평가, 학습진척 상황에 따라 학습성취율에 맞게 개인별 맞춤교재, 온라인 학습, 문제은행 등을 학습자에 맞는 교수매체에 따라 오프라인 상의 인쇄물, 모니터, 테블릿 PC, 모바일 장치 등 모든 출력장치를 통하여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매체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교수매체에 포함되는 오브젝트들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 맞춤형 학습관리시스템은 프로세스 관리수단(PMS, Process management system)(100), 학습 컨텐츠 관리수단(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140),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5), 컨텐츠 구성 수단(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110), 학습이력 관리 수단(MMS, Members management system)(150),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155), 평가관리수단(TMS, Test management system)(120), 교수매체 제공수단(DMS, Display management system)(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각 구성부들은 관리 서버 등 온라인 상에 연결되는 컴퓨팅 장치 내에서서 구현되는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각종 데이터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각 구성부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프로세스 관리수단(100)은 이외의 각각의 구성부들을 유기적으로 연동, 통합 및 관리하여 전체적인 개인별 맞춤형 학습 제공 시스템을 관리 및 제어한다.
학습 컨텐츠 관리수단(CMS, Contents management system)(140)은 학습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최소 단위화하여 관리하고, 컨텐츠 구성 수단(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110)은 컨텐츠를 사용자의 개인별 학습(수준별/영역별/능력별) 특성에 맞게 구성하고 이에 따른 개인별 교수학습 모형, 즉, 교과과정, 영역별, 단원별, 학습맵 위계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 관리한다. 또한 학습이력 관리 수단(MMS, Members management system)(150)은 학습자의 개인 정보 및 학습이력 정보(평가이력, 학습이력, 학습성취율, 회원정보 등)를 관리하며, 평가관리수단(TMS, Test management system)(120)은 학습 내용에 따라 종합진단평가를 하거나, 소제목별, 단원별, 교재별, 영역별로 평가한 후의 결과를 분석하여 진단하고 학습에 관한 처방을 한다. 교수매체 제공수단(DMS, Display management system)(130)은 학습자가 선택한 교수매체(온라인, 오프라인, 온/오프 통합형)에 따라 가장 접합한 학습모형을 제공한다.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155)에는 개인정보 및 학습이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며, 학습이력 관리 수단(MMS, Members management system)(150)은 학습자의 개인 정보 및 학습이력 정보(평가이력, 학습이력, 학습성취율, 회원정보 등)를 관리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155)는 다시 회원 정보 테이블, 교재 주문 및 결제 테이블, 학습관련 테이블, 평가 관련 테이블로 구분된다. 회원 정보 테이블에는 개인의 기본 정보 즉, 회원코드, 아이디, 이름, 전화번호 등이 저장되며, 회원 가입 시 생성되고 온라인학습 및 SMS 전송시에 활용된다. 교재 주문 및 결제 테이블에는 홈페이지를 통하여 주문된 교재와 결제 정보가 저장된다.
학습 관련 테이블에는 개인별 맞춤 교재 테이블, 학습 설계 테이블, 교재 OX 정보 테이블이 포함된다.
개인별 맞춤 교재 테이블에는 개인별 맞춤 학습 주문시 생성되는 컨텐츠 리스트가 저장된다. 개인별 맞춤 교재 테이블은 회원코드, 교재코드, 교재버전, 컨텐츠정보 등의 구조로 기록된다.
학습 설계 테이블에는 온라인학습에서 학습할 일정 및 내용 등 미리 설계된 정보가 저장된다. 학습설계 테이블에는 회원코드, 학습할 날짜, 학습정보 및 학습한 정보 데이터의 자료 구조로 저장된다.
교재 OX 정보 테이블에는 오답노트를 이용한 오답정보 리스트가 저장된다. 교재 OX 정보 테이블은 회원코드, 문제정보, 식별 코드, 교재정보, 단원정보, 오답횟수 및 오답기록일 등의 구조로 저장된다. 교재 OX 정보 테이블은 유사문제를 추출하거나, 각 컨텐츠 별 성취율 및 개인별 맞춤학습의 기초 자료로서 이용될 수 있다.
평가 관련 테이블에는 OX 정보 테이블, 시험성적 정보 테이블, 컨텐츠 별 성취율 정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영역별 누적 성취율 정보 테이블이 구비된다.
OX 정보 테이블에는 개인의 특정 평가에 대한 OX정보가 기록된다. OX 정보 테이블에는 회원코드 시험코드, 문제속성, 영역정보 및 OX 정보 기록 등의 구조로 저장된다. OX 정보 테이블은 개인별 성취율 기초 자료로서 이용된다.
시험 성적 정보 테이블에는 개인의 특정 평가에 대한 영역별 점수 및 평균 점수가 기록된다. 시험 성적 정보 테이블은 회원코드, 시험코드 평균, 영역별 평균 점수 등의 구조로 저장될 수 있다.
각 컨텐츠 별 성취율 정보 테이블에는 개인의 최소 학습 단위의 누적 성취율이 기록된다. 컨텐츠 별 성취율 정보 테이블에는 회원코드, 컨텐츠 정보, 영역정보 및 성취율 기록 등의 구조로 저장되며, OX 문제를 분석하여 기존 점수와 가중평균을 계산한다. 컨텐츠 별 성취율 정보 테이블은 영역별 누적 성취율 기초 자료로서 이용된다.
영역별 누적 성취율 정보 테이블에는 개인의 각 영역별 누적 성취율이 기록된다. 영역별 누적 성취율 정보 테이블은 컨텐츠 별 성취율 정보 테이블 등을 이용하여 회원코드, 영역 별 성취율 및 영역 평균 기록 등의 구조로 저장되어 개인별 교재 구성 시에 활용된다.
영역별 누적 성취율 정보 테이블은 누적 기간에 따라 별도의 테이블로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미 특정 이용자에게 제공된 기존의 교재에는 해당 이용자의 식별 정보(R1)와 이러한 식별 정보(R1)에 대응하는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R2)가 포함되어 있다. 학습이력 관리수단(150)은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R2)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R1)를 인식한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교재에는 해당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설명형 컨텐츠(R3)와 각 설명형 컨텐츠(R3)의 성취도를 평가하기 위한 문제형 컨텐츠(R5)가 포함되며, 해당 설명형 컨텐트(R3)와 문제형 컨텐츠(R5)에는 각각의 컨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구비된다. 학습이력 관리수단(150)은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각각의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R4, R6)로부터 설명형 컨텐트(R3)와 문제형 컨텐츠(R5)를 인식한다.
학습이력 관리수단(150)은 이렇게 취득한 식별정보들을 상술한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155)에 저장한다. 즉,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155)에는 각 이용자별로 학습한 설명형 컨텐츠 및 문제형 컨텐츠 들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155)는 필요 시 타 구성부들에 이러한 개인별 학습이력을 전달하게 된다.
한편, 오프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인쇄물,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전자문서, 전자북 들에 포함되는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 및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인식하기 위하여 바코드 리더기와 같은 이차원 그래픽 코드 리더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이차원 그래픽 코드 리더부에 의하여 인식된 그래픽 코드들은 학습이력 관리수단(150)에 전달된다.
한편, 학생 등의 이용자가 교재를 이용하여 설명형 컨텐츠를 학습하고, 문제형 컨텐츠를 해결하기 위하여 필기한 경우 관리자는 해당 문제형 컨텐츠를 채점하여 상술한 이차원 그래픽 코드 리더부를 이용하여 정오 여부와 함께 학습이력 관리수단(150)에 입력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문제형 컨텐츠는 각각의 문제형 컨텐츠에 대응하는 설명형 컨텐츠와 연관되어 있다. 따라서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개인별로 특정 학습범위의 설명형 컨텐츠와 연관된 문제형 컨텐츠들의 제공 이력이 기록되며, 문제형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특정 학습범위에 대한 학업 성취도가 함께 저장된다.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이력을 조회하여 학습 성취도에 관한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하는 평가관리수단(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평가관리수단(TMS, Test management system)(120)은 학습 내용에 따라 종합진단평가를 하거나, 소제목별, 단원별, 교재별, 영역별로 평가한 후의 결과를 분석하여 진단하고 학습에 관한 처방을 하는 구성부이다. 구체적으로 평가관리수단(120)은 평가된 사항들이 저장되어 있는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155)로부터 사용자 별로 평가 이력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조회하여 분석하며 이때 평가관리수단(155)은 시간 및 학습 범위에 따라 구분하여 평가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가관리수단(120)은 다수의 평가가 낮은 문제 컨텐츠들에 대한 공통적인 설명형 컨텐츠가 존재하는 지의 여부 즉, 특정 범위의 컨텐츠에 대한 평가가 낮게 형성되어 있는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평가관리수단(120)은 이와 같이 학습 이력을 기반으로 분석을 수행하게 되며, 평가관리수단(120)에 의하여 분석, 진단 등이 된 결과는 컨텐츠 구성수단(110)에 의하여 구성될 신규 교수매체에 반영된다.
평가관리수단(120)은 주기적으로 또는 수시로 분석된 결과를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155)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고, 컨텐츠 구성수단(110)의 요청 시에 학습이력의 분석 결과를 컨텐츠 구성수단(110)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5)에는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이 저장되고, 학습 컨텐츠 관리수단(CMS)(140)은 학습에 사용되는 다양한 유형의 컨텐츠를 최소 단위화하여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 및 관리한다.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되는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은 설명형 컨텐츠, 문제형 컨텐츠, 부가형 컨텐츠로 구분될 수 있다.
설명형 컨텐츠란 특정 학습 내용에 대하여 설명을 하는 내용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내용, 범위, 수준에 따라 더욱 상세히 분류가 가능하다. 내용에 따른 기준에 의하여 서술식 설명, 요약형 설명, 참고 및 보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범위에 따른 기준에 의하여 대단원, 중단원, 중분류, 소분류 및 소소분류 설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수준에 따라 선행학습 설명, 기본학습 설명, 심화학습 설명 및 교과 과정 외 심화 설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문제형 컨텐츠란 학습한 내용에 따라 개개인의 학습, 이해 및 활용 수준 등을 진단하기 위한 컨텐츠를 의미한다. 문제형 컨텐츠는 학습문제, 평가문제, 서술형문제 및 창의사고력 문제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문제형 컨텐츠는 적어도 둘 이상의 분류 기준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기준으로서 선다, 단답, 완성, 진위, 서술, 단계, 연결, 선택 및 혼합과 같은 해답의 유형에 따른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제2 기준으로서 개념, 원리, 연산, 문장, 관계, 그리기, 자료보고 답하기 및 측정 등 컨텐츠의 유형에 따른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제3 기준으로서 기출, 대표유형, 연습, 종합, 심화, 교과과정외 등의 문제 자체의 의의에 따른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고, 제4 기준으로서 기본, 유사 및 동일 등 문제 자체의 유사도에 관한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으며, 또한 각 컨텐츠에는 해당 문제 자체의 난이도에 관한 데이터가 더 저장될 수 있다. 이외에도 다양한 기준의 분류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또한 문제형 컨텐츠에는 문제, 풀이, 정답, 정오판정, 교사용 팁, 학생용 팁 및 관련 용어 등이 하나의 세트를 형성하여 저장될 수 있다.
부가형 컨텐츠는 직접적인 학습 대상인 컨텐츠 이외의 부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를 의미하며, 학습맴, 마인드맵, 수학퀴즈, 수학이야기, 수학자 이야기, 준비학습용어, 학습용어, 교재 활용법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형 컨텐츠는 내용, 내용 중의 관련 용어 등의 링크 정보 및 교사용 팁 등을 하나의 세트로 구성하여 저장되며, 각각 식별가능한 식별 데이터가 부여된다.
컨텐츠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컨텐츠 들은 위와 같은 각각의 유형에 따라 각각의 식별 데이터가 부여된 상태로 관리가 된다. 예를 들면,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5)에 저장되는 컨텐츠 들은 다음과 같은 식별 데이터(식별 코드)가 저장되는 데이터 필드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주제들을 학년, 영역, 사고능력, 고유식별코드 등으로 구분한 코드가 저장된다. 유아/유치원을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의 경우 00의 코드가 저장될 수 있으며, 초등수학 및 중등수학의 경우 각각 01 내지 06의 코드와 07 내지 12의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영역과 관련하여, 수, 식, 도형, 확률/통계, 집합/함수, 실행활 응용, 논리, 벡터, 순열조합 및 미적분 등 컨텐츠의 분류 영역에 따른 코드가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사고능력의 유형에 따라 집합, 연산, 관계(식), 정의, 공리, 정리 및 그래프/다이어그램 등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코드가 부여될 수 있다. 고유식별번호는 각각의 컨텐츠에 고유하게 부여되는 식별 코드이다.
컨텐츠 구성 수단(LMS, Learning management system)(110)은 컨텐츠를 사용자의 개인별 학습(수준별/영역별/능력별) 특성에 맞게 구성하고 이에 따른 개인별 교수학습 모형, 즉, 교과과정, 영역별, 단원별, 학습맵 위계 등을 체계적으로 제공한다.
즉, 컨텐츠 구성수단(110)은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상술한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로(155)부터 조회하여, 개인별로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이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등을 고려하여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145)로부터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한다.
이때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 중 문제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컨텐츠 구성수단(110)은 평가관리수단(120)에 의하여 수행된 학습 성취도를 참조하여 신규 교재를 위한 문제형 컨텐츠들의 난이도를 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교수매체 제공수단(DMS, Display management system)(130)은 학습자가 선택한 교수매체(온라인, 오프라인, 온/오프 통합형)에 따라 가장 접합한 학습모형을 제공한다.
즉, 교수매체 제공수단(130)은 선정된 컨텐츠들과 선정된 컨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병합하여 신규 교재를 생성하고, 해당 교제가 제공되는 개인을 식별하기 위하여 해당 개인의 개인정보와 이에 대응하는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신규 교재에 함께 기재한다.
교수매체 제공수단(130)에 의하여 생성되는 신규 교재는 오프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인쇄물,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전자문서, 전자북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출력할 수 있다. 즉, 이용자는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테블릿 PC 또는 오프라인 상의 책과 같은 인쇄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형식으로 신규 교재를 제공받을 수 있다. 특히, 테블릿 PC나 스마트 폰과 같은 매체를 통하여 신규 교재가 제공되는 경우 이용자가 손글씨를 통하여 교재에 직접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온/오프 라인 기반의 컨텐츠 병합기술은 가변적 길이 및 요소를 가진 컨텐츠를 속성별로 코드화시켜 저장한 뒤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속성을 분석하여 복수개의 컨텐츠를 하나로 병합하여 추출해주는 기술을 의미한다.
컨텐츠에 포함되는 요소는 텍스트, 멀티미디어 데이터, 로직이 포함된 하이퍼링크, 시뮬레이션, IBT 등의 상호작용적 요소들이 포함되고, 사용자 정의 문자 표현기능이 있어 다국어가 지원되며, 특수문자, 수학기호들을 표현할 수 있다.
추출된 개인별 맞춤학습 자료들은 학습 주체에 따라 개인별 맞춤교재, 온라인학습, 문제은행, 진단평가 등 각각의 학습 양식에 맞게 제공되며, 교수매체에 따라 프린터(교재), 모니터, 테블릿 PC, 모바일장치(온라인 학습) 등 모든 출력장치에서 제공한다.
즉, 신규 교재가 상기 전자문서, 전자북의 형태로 제공되어 온라인 상에서 이용자가 문제형 컨텐츠를 통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는 경우에는 PDF나 플래쉬 등의 형식으로 제공되는 신규 교재 상에 필기 형식으로 직접 입력을 받는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과 같은 필기방식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용자의 손으로 직접 입력받기 위하여 터치패널만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와 같은 개인별 맞춤형 학습제공 시스템은 다양한 방식의 전기, 기계적 장치들로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구성부들은 각 관리자들이 위치하는 물리적인 공간에 함께 구비된 상태에서 학습이력 데이터를 중앙 서버에 전송하고, 학습 컨텐츠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부터 제공받는 형식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 단순히 관리자들이 위치하는 물리적인 공간에는 바코드 리더기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단말기만을 구비하고, 모든 데이터는 원격지에 구비되는 중앙서버를 향하여 전송하고, 결과 등의 데이터를 중앙서버로부터 제공받는 형식으로도 구현이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형 학습제공 시스템의 물리적인 구현방식에는 제한이 없다.
도 5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방법은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입력받는 제1 단계(S10)와,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신규 교재에 대한 발행을 접수하는 제2 단계(S20)와.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를 선정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선정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 내의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조회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각각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하는 제5 단계(S50)와 상기 각각 선정된 문제 컨텐츠들을 병합하여 교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6 단계(S60)의 순으로 진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계(S10)에서는 관리자에 의하여 바코드 리더기와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동시에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 이때 관리자는 문제형 컨텐츠를 인식하려는 경우 해당 문제형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함께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단계(S10)에서는 관리자에 의하여 학습이력 데이터를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 상에 구축한다. 또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학습 이력을 분석 및 진단하여 그 결과를 함께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 상에 구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단계(S20)에서는 특정 사용자로부터 신규 교재에 대한 발행을 접수한다. 이러한 신규 교재 발행에 대한 요청은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정기적인 학습 교재 제공이 설정된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시스템 상에서 이러한 교재의 발행의 요청이 진행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부정기적인 방법으로 이러한 교재의 발행 요청이 이용자 또는 시스템 상의 요청으로 접수될 수 있다.
제3 단계(S30)에서는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를 선정한다. 즉, 컨텐츠 구성수단은 특정 개인의 학습이력을 조회하여 학습 진도, 성취도 등을 고려한 후 신규 교재에 포함될 컨텐츠 들의 내용적인 범위를 선정하거나, 시기에 따라 순차적인 방법으로 학습 진도를 결정하여 신규 교재에 포함될 컨텐츠 들의 내용적인 범위를 선정할 수 있다. 이용자에 의하여 임의의 학습 범위를 선택받는 것도 가능하다.
제4 단계(S40)에서는 선정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에 대응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조회하고, 제5 단계(S50)에서는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각각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평가관리수단에 의한 평가 및 진단 결과를 조회하거나 요청할 수 있으며, 학습 이력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된 학습이력의 결과에 따라 문제 컨텐츠들에 대한 난이도를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6 단계(S60)에서는 각각 선정된 문제 컨텐츠들을 병합하여 교재 데이터를 생성하여 이용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신규 교재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개인별 식별 정보 및 각 컨텐츠별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와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가 포함된다.
관리자는 이용자가 신규 교재를 이용하여 학습 및 테스트를 진행한 후 이러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와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이용하여 다시 선행하는 각 단계들을 재차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반복을 통하여 개인별 맞춤 학습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0: 프로세스 관리수단
110: 컨텐츠 구성수단
120: 평가관리수단
130: 교수매체 제공수단
140: 학습 컨텐츠 관리수단
145: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150: 학습이력 관리수단

Claims (12)

  1. 개인정보 및 학습이력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는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학습이력 관리수단;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이 저장되는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여, 상기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하는 컨텐츠 구성수단; 및
    상기 선정된 컨텐츠들과 상기 선정된 컨텐츠들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병합하여 신규 교재를 생성하는 교수매체 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구성수단은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를 선정하고, 상기 선정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 내의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상기 학습이력 관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조회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들은 설명형 컨텐츠, 문제형 컨텐츠, 부가형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이력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학습이력을 조회하여 학습 성취도에 관한 분석 및 진단을 수행하는 평가관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관련 단위 컨텐츠 중 문제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 구성수단은 상기 평가관리수단에 의하여 수행된 학습 성취도를 참조하여 신규 교재를 위한 문제형 컨텐츠들의 난이도를 선정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수매체 제공수단은 상기 생성된 신규 교재를 오프라인상으로 제공되는 인쇄물,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전자문서, 전자북 중 어느 하나의 형식으로 출력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상으로 제공되는 인쇄물, 온라인 상으로 제공되는 전자문서, 전자북 들에 포함되는 상기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 및 상기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인식하여 상기 학습이력 관리수단에 전달하는 이차원 그래픽 코드 리더부가 더 포함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교재가 상기 전자문서, 전자북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신규 교재 상에 필기 형식으로 입력을 받는 필기방식 입력수단을 더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9. 온/오프 상에서 출판된 기존 교재에 기재된 제1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기존 교재에 포함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도록 기재된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로부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컨텐츠의 정오 여부를 입력받는 제1 단계;
    상기 특정 사용자로부터 신규 교재에 대한 발행을 접수하는 제2 단계;
    특정 사용자에 대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를 선정하는 제3 단계;
    상기 선정된 신규 교재의 학습 범위 내의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들의 이력을 조회하는 제4 단계;
    상기 검색된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영역별 장애 여부, 심화 학습 제공여부 및 특정 영역의 하위 등급에 해당하는 기존 학습 문제 컨텐츠에 대한 성취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따라 각각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을 선정하는 제5 단계; 및
    상기 각각 선정된 문제 컨텐츠들을 병합하여 교재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단계에서는 상기 각각의 문제 컨텐츠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이차원 그래픽 코드를 더 병합하여 저장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 선정하는 신규 교재의 컨텐츠들은 설명형 컨텐츠, 문제형 컨텐츠 및 부가형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단계에서는 상기 신규 교재의 컨텐츠 중 문제형 컨텐츠가 포함되는 경우, 각각 선정된 문제 컨텐츠들에 대한 난이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개인별 맞춤 학습 제공방법.
PCT/KR2014/012773 2013-12-24 2014-12-23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WO2015099436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2535A KR20150074608A (ko) 2013-12-24 2013-12-24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KR10-2013-0162535 2013-12-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9436A1 true WO2015099436A1 (ko) 2015-07-02

Family

ID=53479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4/012773 WO2015099436A1 (ko) 2013-12-24 2014-12-23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50074608A (ko)
WO (1) WO2015099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278A (zh) * 2019-01-24 2019-04-12 张震浩 基于正态分布的学习成长管理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8833B1 (ko) * 2018-11-13 2021-01-06 김상민 단계별학습에 따른 인증방식이 적용된 언어학습 책 및 이를 이용한 학습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098A (ko) * 2003-11-21 2005-05-25 에듀토피아중앙교육 주식회사 개인별 보충 및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3295A (ko) * 2010-04-09 2011-10-17 생각제곱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KR20120026287A (ko) * 2010-09-09 2012-03-19 (주)스마트쌤 오답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127646B1 (ko) * 2011-04-01 2012-03-22 이지행 스캔 가능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피드백 학습 방법
KR20130089998A (ko) * 2012-01-27 2013-08-13 김범수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9098A (ko) * 2003-11-21 2005-05-25 에듀토피아중앙교육 주식회사 개인별 보충 및 심화 학습 자료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113295A (ko) * 2010-04-09 2011-10-17 생각제곱 주식회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KR20120026287A (ko) * 2010-09-09 2012-03-19 (주)스마트쌤 오답관리시스템 및 방법
KR101127646B1 (ko) * 2011-04-01 2012-03-22 이지행 스캔 가능한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학습지 및 이를 이용한 피드백 학습 방법
KR20130089998A (ko) * 2012-01-27 2013-08-13 김범수 학습 정보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하여 학습자에게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5278A (zh) * 2019-01-24 2019-04-12 张震浩 基于正态分布的学习成长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4608A (ko) 2015-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omero et al. Data mining in education
Wu et al. An expert system-based context-aware ubiquitous learning approach for conducting science learning activities
Mandinach et al. Transforming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data-driven decision making
Rourke et al. Assessing social presence in asynchronous text-based computer conferencing
Judson Improving technology literacy: does it open doors to traditional content?
WO2012026674A2 (ko) 학습 플랜 분석 방법, 장치 및 시스템
TWI598855B (zh) 線上教學暨行動學習系統
KR20150101632A (ko) Qr코드 및 앱을 이용한 온오프라인 연동 학습 시스템
Kuo Designing an online writing system: Learning with support
Costas-Jauregui et al. Descriptive analytics dashboard for an inclusive learning environment
WO2015099436A1 (ko)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Sharma et al. Information Literacy: An Overview
Davis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s an Interdisciplinary Research Methodology for Interdisciplinary, Intercultural and an Inter-Institutional Assessment Tool for Student-Perceived Learning Compared with Instructor-Perceived Teaching of Interdisciplinary Online Courses
KR20140003381A (ko) 실시간 교육 시스템
Houston Do scaffolding tools improve reflective writing in professional portfolios? A content analysis of reflective writing in an advanced preparation program
Meri Yilan et al. ICT-Based Assessment, Methods, and Programs in Tertiary Education
Noll et al. Re-Thinking Information Literacy in a Postgraduate Class at a South Africa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Stephens Validation of the business computer self-efficacy scale: Assessment of the computer literacy of incoming business students
Okubo et al. Learning support systems based on cohesive learning analytics
Le Design of interactive English reading teaching system based on hybrid communication network
Habiballa et al. Theoretical branches in teaching computer science
Reppen Designing and building corpora for language learning
Hall Negative and positive aspects of using WordPress to facilitate reflective practice in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Lindner et al. Implementing a Portable Learning Lab on Artificial Intelligence: It’s AI in a Box!
Wali Reinterpreting mobile learning: an activity theoretic analysis of the use of portable devices in higher edu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48751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487510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