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3295A -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3295A
KR20110113295A KR1020100032605A KR20100032605A KR20110113295A KR 20110113295 A KR20110113295 A KR 20110113295A KR 1020100032605 A KR1020100032605 A KR 1020100032605A KR 20100032605 A KR20100032605 A KR 20100032605A KR 20110113295 A KR20110113295 A KR 20110113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tionship
answer
subsequent
code
answer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희
김환준
유호조
Original Assignee
생각제곱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생각제곱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생각제곱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3295A/ko
Publication of KR2011011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09B7/04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a further explan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6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 G09B7/1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 G09B7/1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multiple-choice answer-type, i.e. where a given question is provided with a series of answers and a choice has to be made from the answers wherein a set of answers is common to a plurality of questions characterised by modifying the teaching programme in response to a wrong answer, e.g. repeating the question, supplying further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들 간의 여러 연관 관계를 통한 후속 문제 제공, 그리고 오답 노트 설정을 통한 보다 더 효과적인 문제 제공이 가해짐으로써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우수한 학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진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Problems by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자세하게는 학습자의 학습 성과에 따라서 소정의 규칙에 따라 후속 문제를 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의 발달로 최근에는 온라인을 통한 학습 서비스가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온라인을 통한 학습 서비스는 시간, 장소 및 학습자 범위에 실질적으로 제한이 거의 없기 때문에, 오프라인에서의 학습보다 많은 수익을 안겨주므로, 많은 기업들이 온라인 학습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온라인의 통한 학습 서비스는, 서비스 제공자가 생성한 동영상 및/또는 음성 교육 컨텐츠를 온라인을 통해 학습자가 활용하며, 필요한 경우에는 교육 내용과 관련한 텍스트 등도 제공된다.
온라인을 통한 학습 서비스 중에서 학습자에게 문제를 제공하고, 문제 풀이 결과를 가지고 학습 완성도를 평가하는 서비스가 있다. 그런데 종래의 문제 제공 서비스는, 단순히 문제를 학습자 모니터에 표시하고 답을 입력받는 수준이며,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 다양하게 문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에 따라서 다양한 문제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업 성취도 증강에 효과적인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한 문제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문제를 통신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1) 브라우저에 표시 가능하게 변환된 상기 문제 코드를 학습자 클라이언트측으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 단계와, (2)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입력된 해답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정답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답 정보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3) 상기 제2 단계에서 확인된 정답 여부 또는 해답정보 미입력 여부에 기초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는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4) 상기 제3 단계에서 생성된 후속 문제를 통신 네트워크상으로 학습자 클라이언트측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5) 상기 문제들 사이에 연관관계를 설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연관관계는 기초문제관계, 동류문제관계, 심화문제관계,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각의 문제들에는 문제 내용에 따른 태그 및 난이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정되는 제6 단계와, 상기 후속 문제는 태그 및 난이도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할당된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선정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는, 해답정보의 입력이 없거나 오답인 경우, 기초문제관계 및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1 단계와,
해답정보 확인결과 정답인 경우, 동류문제관계 및 심화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계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2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해답정보가 정답으로 확인되면, 해당 문제에 부여되어 있는 태그에 제1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답정보가 오답이거나 해답정보 입력이 없으면, 해당 문제에 부여되어 있는 태그에 제1 값보다 낮은 값의 제2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제8 단계에서 태그에 부여된 가중치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 태그의 하위 분류에 속하는 태그에 해당하는 문제를 후속 문제로 제공하고, 상기 제8 단계에서 태그에 부여된 가중치가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 태그의 상위 분류에 속하는 태그에 해당하는 문제를 후속 문제로 제공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학습 방법은,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닌 경우, 해당 문제를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하는 제9 단계와, 상기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된 문제의 동류문제관계, 기초문제관계 및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계인 후속 문제를 제공하는, 제9-1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소정의 횟수에 걸쳐서 제공되는 동류문제관계 또는 심화문제관계인 후속 문제에 대해 입력한 해답 정보가 모두 정답인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부합하는 정도로 정답인 경우에는 해당 문제를 상기 오답 노트군에서 삭제하는 제10 단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3 단계는,
제1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니거나 해답 정보가 미입력되면 기초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3 단계와, 제1 횟수보다 많은 제2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니거나 해답 정보가 미입력되면 분해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3-4 단계와, 제3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면 동류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5 단계와, 제3-5 단계에서 제공된 후속 문제의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면 심화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6 단계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학습 방법에서 상기 컴퓨터에 의한 문제 생성 방법은, 프로그램원시코드와 화면출력원시코드를 포함하는 문제 원시 문서를 입력받아 프로그램원시코드와 화면출력원시코드를 분리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제11 단계에서 분리된 프로그램원시코드를 입력받아 프로그램 실행 코드를 생성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실행 코드를 실행하는 제13 단계와, 상기 제11 단계에서 분리된 화면출력원시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그램 실행 코드의 실행에 의해 화면출력코드를 생성하는 제14 단계와, 상기 화면출력코드를 브라우저에서 렌더링 가능한 코드로 변환하는 제15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문제들 간의 여러 연관 관계를 통한 후속 문제 제공, 그리고 오답 노트 설정을 통한 보다 더 효과적인 문제 제공이 가해짐으로써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우수한 학습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의 간략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에서 동적으로 문제를 생성하는 동적문제생성장치의 블록도.
도 4는 동적문제생성장치가 문제 생성하는 과정의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에 의해 제공되는 문제의 일례를 표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는 동적 문제 생성 장치(10)와, 문제 처리부(20)와, 문제 풀이 결과 처리부(30)와, 저장부(2)를 포함한다. 문제 처리부(20)는, 문제 생성 정책 처리 모듈(21)와, 맞춤형 문제 생성 모듈(23), 문제 채점 모듈(25)을 포함한다. 문제 생성 정책 처리 모듈(21)은,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정책에 관한 내용을 처리하는 모듈이다. 맞춤형 문제 생성 모듈(23)은, 상기 문제 생성 정책 처리 모듈(21)에 의해 정해지는 정책에 따라서,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문제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듈이다.
문제 풀이 결과 처리부(30)는, 학습 결과 기록 및 분석 모듈(31)과, 학습 클리닉 처리 모듈(33)과, 오답 노트 관리 모듈(35)을 포함한다. 저장부(2)에는 문제 원시 문서(3)와, 문제 원시 문서 속성(4)과, 학습 결과(5)가 기록된다.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범용적인 하드웨어와 그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의 논리적 결합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문제 제공 방법의 대표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학습자가 학습 과정 수행을 선택하면, 동적문제생성장치(10)는 동적 문제를 생성하고 이 문제가 학습자의 단말기(도시되지 않음)측에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된다.(단계 S100)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동적으로 문제를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단말기를 통해 문제를 확인한 학습자는, 해당 문제를 풀고 문제의 해답을 단말기에 입력한다.(단계 S110) 문제는 객관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주관식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해답 정보”라 함은 학습자가 입력한 문제 풀이 결과 정보를 의미하며, “정답”은 해당 문제의 올바른 풀이 결과를 의미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학습자가 입력한 해답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학습 서비스 제공 장치(1)측으로 전송된다. 단계(S120)에서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인지 여부가 판단되며, 정답인 경우 단계(S130)로 이행하고, 정답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S150)를 거쳐 단계(S130)로 이행한다.
단계(S150)에서는, 틀린 문제를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한다. 후술하겠지만,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하는 것이 본 발명의 실시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단계(S130)에서 학습자의 종료 여부를 판단하고, 종료하지 않으면, 동적 문제 생성 장치(10)가 후속문제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학습자에게 전송한다.(단계 S140) 후속 문제의 생성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적 문제 생성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동적 문제 생성 장치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동적 문제 생성 장치(10)는, 문제 원시 문서 해석모듈(111)과, 프로그램 컴파일 모듈(112)과, 연산처리 모듈(113)과, 화면 출력 코드 생성 모듈(114)과, 렌더링 코드 변환 모듈(115)과, 입출력 관리 모듈(116)과, 프로그램 관리 모듈(117)를 포함한다.
렌더링 코드 변환 모듈(115)은 조판부(1151)와 그래픽 생성부(1155)를 포함한다.
한편, 동적 문제 생성 장치(10)에 입력되어 문제를 생성하는 문제 원시 문서(3)는 프로그래밍 원시 코드(121)와, 화면 출력 원시 코드(125)를 포함한다. 그리고 화면 출력 원시 코드(125)는 텍스트 원시 코드(1251)와, 그래픽 원시 코드 코드(1253)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그래밍 원시 코드(121)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되며, 문제에서 필요한 연산에 대해 코딩이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프로그래밍 원시 코드(121)는 Perl로 기술된다. 화면 출력 원시 코드(125)는, 텍스트 원시 코드(1251)와 그래픽 원시 코드(1253)로 구성되어 있다. 텍스트 원시 코드(1251)는 학습자에게 제공할 문제의 내용 및 화면 출력에 필요한 사항들이 기술되어 있다. 문제의 텍스트 부분 뿐만 아니라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조판 기호들과 텍스트로 표현할 수 없는 (수학) 기호 및 수식을 표현하도록 기술된다. 그래픽 원시 코드(1253)는 그림 및 도형, 그래프 등 그래픽 정보를 표현한다. 그래픽 원시 코드(1253)는 LateX로 기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제 원시 문서(3)는, 서비스 제공자가 다양한 형태의 문제 유형으로 미리 코딩을 해 놓은 상태이며, 후술하는 문제 생성 내지 선택 방법을 통해서 선택되거나 변수 변화를 통해 실제 내용이 변경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동적 문제 생성 장치에 의하면, 고정된 문제나 단순히 변수만 변경되는 문제 뿐만 아니라 프로그래밍 방법에 따라서 문제 변화의 폭이 훨씬 다양해 지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그래픽 원시 코드를 텍스트 원시 코드와 구분함으로써, 미려한 그래픽 표현이 가능해 지고 제공 문제에 다양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문제 원시 코드(3)가 동적 문제 생성 장치(10)에 입력되면, 먼저 문제 원시 문서 해석모듈(111; Parser)에 입력되어(단계 S200) 원시 코드가 분리된다.(단계 S210) 즉 문제 원시 코드(3)가 프로그래밍 원시 코드(121)와 화면 출력 원시 코드(125)로 분리된다. 분리된 프로그래밍 원시 코드(121)는 프로그램 컴파일 모듈(112)에서 컴파일 되어 프로그램 실행 코드가 생성된다.(단계 S220) 단계(S220)에서 생성된 프로그램 실행 코드는 나중에 채점을 위해서 관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로그램 실행 코드는 프로그램 관리 모듈(117)에 의해 관리된다. 프로그램 관리 모듈(117)이 없고 프로그램 실행 코드가 관리되지 않는 경우 또는 프로그램 실행 코드가 소실된 경우에는, 단계(S200)부터의 프로세스를 다시 밟아 원시 코드를 다시 읽어 들여야 한다.
단계(S210)에서 분리된 화면 출력 원시 코드가 화면 출력 코드 생성 모듈(114)에 입력되면 이미 생성된 프로그램 실행 코드의 실행에 의하여 화면 출력 코드가 생성된다.(단계 S240) 이 화면 출력 코드에는 최종적으로 생성된 문제 내용을 표시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 화면 출력 코드는 아직 웹 브라우저에서 렌더링할 수 있는 상태가 아니다.
프로그래밍 원시 코드(121)가 Perl로 기술되고, 그래픽 원시 코드(1253)가 LateX로 기술된 경우를 예로 들어 화면 출력 코드 생성 모듈(114)에 의해 화면 출력 코드가 생성되는 과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연산 처리 모듈(113)에 의해 프로그램 실행 코드 Perl로 실행되면 문제에 포함되는 변수가 정해지며, 객관식 문제의 경우 정답 이외에 제공될 오답의 예도 정해진다. 다음으로, LateX로 기술된 그래픽 원시 코드를 이미지로 변환하여 이미지 파일로 저장해 둔다.
여기에서 프로그램 실행 코드의 실행에 의해 정해지는 변수 및 문제의 내용 그리고 변환된 이미지가 화면 출력 코드가 된다.
화면 출력 코드는 렌더링 코드 변환 모듈(115)로 입력되어 비로소 브라우저에서 렌더링이 가능한 코드로 변환된다.(단계 S250) 렌더링 코드 변환 모듈(115)은, 조판부(1151)와 그래픽 생성부(1155)로 구성되어 있다. 조판부(1151)는 그래픽 부분이 아닌 다른 출력 코드 부분을 변환하고, 그래픽 생성부(1155)는 그래픽으로 표현되는 부분의 출력 코드를 변환한다. 즉 텍스트 원시 코드(1251)는 조판부(1151)에 의해 HTML코드로 변환되고, 그래픽 원시 코드(1253)는 그래픽 생성부(1155)에 의해서 HTML코드로 변환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 파일은 그 경로가 HTML 코드에 포함되게 된다.
이와 같이, 렌더링이 가능한 코드로 변환된 데이터는 입출력 관리 모듈(116)에 의해 출력되어 학습자측 단말기(도시되지 않음)로 전송된다. 학습자측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브라우저를 통해서 생성된 문제 내용이 출력된다.(단계 S260) 브라우저를 통해 출력된 문제의 예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화면 출력 원시 코드를 LateX로 기술함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그래픽 부분의 출력이 미려하게 표현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브라우저에 표시된 문제에 학습자가 해답을 입력하면 해답 정보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입출력 관리 모듈(116)로 전송되고, 입출력 관리 모듈(116)은, 프로그램 관리 모듈(117)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는 프로그램 실행 코드를 연산 처리 모듈(113)에 의해 처리하여 입력된 해답의 정답 여부를 판단한다.
다음으로 후속 문제 생성과 관련하여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학습자가 입력한 해답 정보의 정답 여부에 따라서 제공되는 후속 문제가 결정되어 생성된다. 학습자에게 제공되는 문제가 생성되는 기초인 문제 원시 문서(3)에 의해 생성되는 문제간에는, 기초문제관계, 동류문제관계, 심화문제관계, 분해문제관계가 설정되어 있다. “기초문제관계”라 함은, 제1 문제를 풀기 위해 이해하고 풀이 방법을 알아야 하는 제2 문제가 있을 때, 제1 문제에 대한 제2 문제의 관계를 의미한다. 이 경우, 제1 문제는 제2 문제에 대해 후술하는 심화문제관계에 있는 경우도 있다. “동류문제관계”라 함은, 제1 문제를 풀기 위해 이해해야 하는 원리 내지 지식과 동일한 종류의 원리 내지 지식을 필요로 하는 제2 문제가 있을 때, 제1 문제에 대한 제2 문제의 관계를 의미한다. “심화문제관계”라 함은, 제1 문제를 제1 문제와 같은 원리를 적용하여 풀 수 있지만, 난이도가 제1 문제보다는 높은 제2 문제가 있을 때, 제1 문제에 대한 제2 문제의 관계를 의미한다. “분해문제관계”라 함은, 제1 문제를 풀이 과정을 소정의 개수로 나누어서, 제1 문제의 정답에 도달하는 과정에서 단계적으로 풀어야 하는 복수 개의 제2 문제들이 있는 경우, 제1 문제에 대한 제2 문제의 관계를 의미한다.
한편, 전술한, 기초문제관계, 동류문제관계, 분해문제관계는 특정 문제들간의 관계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문제군(問題群)을 의미하기도 한다. 즉 A라는 특정 문제가 있을 때에, 그 A 문제의 기초문제관계로 설정되는 문제들의 집합이 기초문제관계군으로 설정될 수 있고, 그 기초문제관계군에 속하는 문제들 사이에서 다시 서로간에 기초문제관계 내지 심화문제관계가 설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동류문제관계군 및 분해문제관계군에서도 적용된다.
이러한 문제 원시 문서(3)의 관계 및 후술하는 태그, 난이도 등은 문제 원시문서 속성(4)으로서 저장부(2)에 저장되어 있다.
문제 원시 문서의 속성으로 문제 내용에 따른 태그 및 난이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정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태그”라 함은, 해당 문제의 일종의 카테고리를 의미한다. 태그 사이에는 문제 풀이의 성격상 하위 태그 및 상위 태그의 관계가 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1차 함수에 대한 문제의 태그보다 2차 함수에 대한 문제의 태그가 상위 태그로 설정될 수 있다. 난이도는, 일종의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될 수 있는데, 가장 낮은 등급의 난이도부터 가장 높은 등급의 난이도까지 그 차이를 표시한 정보를 의미한다. 전술한, 기초문제관계 내지 분해문제관계 등이 난이도로 설정될 수도 있지만, 반드시 이 문제관계들이 난이도와 관련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문제가 서로 동류문제관계로 설정되지만, 난이도는 다르게 부여될 수도 있다.
학습자가 입력하여 전송된 해답 정보의 정답 여부를 단계(S120)에서 판단하여, 해답 정보가 없거나 오답인 경우로 판단되면, 단계(S150)로 이행하여 해당 문제를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하고 나서 단계(S140)에서 후속문제를 생성하게 된다. 오답 노트군 설정은 반드시 필수적인 과정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정답이 아닌 경우”는 입력된 해답 정보가 오답인 경우 뿐만 아니라, 학습자가 소정 시간 내에 해답 정보를 입력하지 못한 경우까지 모두 포함한다.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문제의 기초문제관계 및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의 문제 원시 문서 속성(4)을 참조하여 찾고, 그에 기초한 문제 원시 문서(3)로부터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생성한다.
해답 정보가 정답인 경우에는, 동류문제관계 및 심화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계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의 문제 원시 문서 속성(4)을 참조하여 찾고, 그에 기초한 문제 원시 문서(3)로부터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생성한다.
후속 문제를 어떤 규칙에 의거하여 제공할지 여부는 본 발명에 의한 학습 서비스 제공자가 미리 문제 생성 정책 처리 모듈(21) 및 맞춤형 문제 생성 모듈(23)에 기록하여 두고, 그에 따라서 후속 문제 생성 정책 및 기준에 의거하여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문제를 생성한다.
또 다른 후속문제제공방법으로서, 전술한 태그 및 난이도에 따라서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방법이 있다.
즉 해답 정보가 정답인 경우, 해당 문제에 부여되어 있는 태그에 제1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문제의 태그에 제2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되, 제2 값은 제1 값보다 낮은 값으로 부여한다. 이렇게 소정의 값을 각 태그의 문제에 부여하고, 해당 태그의 문제 풀이 결과에 따라서 가중치를 누적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문제 풀이 결과 소정의 태그에 부여된 가중치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작은 경우, 그 태그의 하위 태그가 부여된 문제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의 문제 원시 문서 속성(4)을 참조하여 찾고, 그에 기초한 문제 원시 문서(3)로부터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생성한다. 학습자의 문제 풀이 결과 소정의 태그에 부여된 가중치가 미리 정해진 값보다 큰 경우, 그 태그의 상위 태그가 부여된 문제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의 문제 원시 문서 속성(4)을 참조하여 찾고, 그에 기초한 문제 원시 문서(3)로부터 동적문제생성장치(10)가 생성한다.
다음으로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된 문제의 집합에 포함된 문제를 학습자에게 제공하고 학습자가 입력한 해답 정보가 정답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미리 결정되어 있는 소정의 제1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전술한 기초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1 횟수보다 많은 제2 횟수 이상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제공된 문제의 분해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즉 제1 횟수보다 더 많이 틀리는 경우라면 해당 문제를 풀기 위해 단순히 기초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제공하는 것보다는, 분해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제공하여 단계적으로 풀이 과정을 익힘으로써 문제 풀이에 필요한 지식 및 방법을 익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미리 결정되어 있는 제3 횟수 이상 학습자가 입력한 해답 정보가 정답이면 해당 문제와 동류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동류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는,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된 다음에 바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된 문제의 학습을 위해, 후속 문제의 정답 여부와 관계없이, 동류문제관계, 기초문제관계 및 분해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소정의 횟수에 걸쳐서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이미 학습자가 해당 문제와 비슷한 동류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다양하게 풀어 보게 함으로써 학습 능력을 고양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제공된 동류문제관계의 후속 문제까지 맞춘 경우에는, 해당 문제의 심화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학습자에게 제공한다. 이와 같이 소정의 횟수에 걸쳐서 제공된 동류문제관계 및 심화문제관계인 후속 문제에 대해서 학습자가 입력한 해답 정보가 정답인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부합하는 정도로 정답인 경우에는 해당 문제를 오답 노트군에서 삭제한다.
오답 노트군은 학습자별로 학습자의 학습 진도 및 이해도에 따라서 계속 업데이트된다.
그리고 학습자의 학습 히스토리(history)에 기반하여 후속 문제를 제공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즉 학습자가 특정 문제군에 포함되어 있는 문제를 풀고 해답 정보를 입력하는데, 해당 문제를 푸는 데에 필요한 여러 원리 내지 지식 중 특히 취약한 원리 내지 지식을 판별하여, 그 원리 내지 지식을 학습하는 데에 필요한 문제를 후속 문제로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취약한 원리 내지 지식의 판별 방법은, 해당 원리 내지 지식에 해당하는 문제 풀이 과정의(분해문제관계에서의) 정답 여부 판별을 통해서 가능하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컴퓨터에 의한 문제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생성된 문제를 통신 네트워크상으로 전송하여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은,
    브라우저에 표시 가능하게 변환된 상기 문제 코드를 학습자 클라이언트측으로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하는 제1 단계와,
    상기 학습자 클라이언트에 입력된 해답 정보를 상기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정답 여부를 확인하거나 해답 정보가 입력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2 단계에서 확인된 정답 여부 또는 해답정보 미입력 여부에 기초하여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결정되는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생성된 후속 문제를 통신 네트워크상으로 학습자 클라이언트측에 전송하는 제4 단계와,
    상기 문제들 사이에 연관관계를 설정하는 제5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연관관계는 기초문제관계, 동류문제관계, 심화문제관계,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문제들에는 문제 내용에 따른 태그 및 난이도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정되는 제6 단계와,
    상기 후속 문제는 태그 및 난이도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할당된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선정되는 제7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해답정보의 입력이 없거나 오답인 경우, 기초문제관계 및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1 단계와,
    해답정보 확인결과 정답인 경우, 동류문제관계 및 심화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계에 해당하는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2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해답정보가 정답으로 확인되면, 해당 문제에 부여되어 있는 태그에 제1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해답정보가 오답이거나 해답정보 입력이 없으면, 해당 문제에 부여되어 있는 태그에 제1 값보다 낮은 값의 제2 값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제8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7 단계는, 상기 제8 단계에서 태그에 부여된 가중치가 소정의 값보다 낮은 경우에 해당 태그의 하위 분류에 속하는 태그에 해당하는 문제를 후속 문제로 제공하고, 상기 제8 단계에서 태그에 부여된 가중치가 소정의 값보다 높은 경우에 해당 태그의 상위 분류에 속하는 태그에 해당하는 문제를 후속 문제로 제공하는 단계인,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닌 경우, 해당 문제를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하는 제9 단계와,
    상기 오답 노트군으로 설정된 문제의 동류문제관계, 기초문제관계 및 분해문제관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관계인 후속 문제를 제공하는, 제9-1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소정의 횟수에 걸쳐서 제공되는 동류문제관계 또는 심화문제관계인 후속 문제에 대해 입력한 해답 정보가 모두 정답인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되어 있는 규칙에 부합하는 정도로 정답인 경우에는 해당 문제를 상기 오답 노트군에서 삭제하는 제10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 단계는,
    제1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니거나 해답 정보가 미입력되면 기초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3 단계와,
    제1 횟수보다 많은 제2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 아니거나 해답 정보가 미입력되면 분해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제3-4 단계와,
    제3 횟수 이상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면 동류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5 단계와,
    제3-5 단계에서 제공된 후속 문제의 입력된 해답 정보가 정답이면 심화문제관계인 후속 문제를 생성하는 제3-6 단계를 포함하며,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의한 문제 생성 방법은,
    프로그램원시코드와 화면출력원시코드를 포함하는 문제 원시 문서를 입력받아 프로그램원시코드와 화면출력원시코드를 분리하는 제11단계와,
    상기 제11 단계에서 분리된 프로그램원시코드를 입력받아 프로그램 실행 코드를 생성하는 제12 단계와,
    상기 프로그램 실행 코드를 실행하는 제13 단계와,
    상기 제11 단계에서 분리된 화면출력원시코드를 입력받아 상기 프로그램 실행 코드의 실행에 의해 화면출력코드를 생성하는 제14 단계와,
    상기 화면출력코드를 브라우저에서 렌더링 가능한 코드로 변환하는 제15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를 통한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1020100032605A 2010-04-09 2010-04-0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KR20110113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05A KR20110113295A (ko) 2010-04-09 2010-04-0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605A KR20110113295A (ko) 2010-04-09 2010-04-0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295A true KR20110113295A (ko) 2011-10-17

Family

ID=45028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605A KR20110113295A (ko) 2010-04-09 2010-04-09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329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436A1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WO2017146344A1 (ko) * 2016-02-25 2017-08-31 (주)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075489A (ko) * 2020-11-30 2022-06-08 정재훈 풀이 단계별로 선지를 자동생성하여 제공하는 학습시스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99436A1 (ko) * 2013-12-24 2015-07-02 주식회사 와이비엠솔루션 개인별 맞춤 학습 시스템
WO2017146344A1 (ko) * 2016-02-25 2017-08-31 (주)뤼이드 개인 맞춤형 교육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238749B2 (en) 2016-02-25 2022-02-01 Riiid, In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providing personalized educational content
KR20220075489A (ko) * 2020-11-30 2022-06-08 정재훈 풀이 단계별로 선지를 자동생성하여 제공하는 학습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usilovsky et al. Layered evaluation of adaptive learning systems
Greene et al. Investigating how college students’ task definitions and plans relate to self-regulated learning processing and understanding of a complex science topic
US9858828B1 (en) Expert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ssessment and assessment authoring
US20190114937A1 (en) Grouping users by problematic objectives
CN109933316B (zh) 一种steam少儿编程系统
CN114511425A (zh) 提供用户定制型学习内容的方法
US10541884B2 (en) Simulating a user score from input objectives
Chen Knowledge-aware learning analytics for smart learning
Zeynivandnezhad et al. Explicating mathematical thinking in differential equations using a computer algebra system
US20190114346A1 (en) Optimizing user time and resources
Giabbanelli et al. Overcoming the PBL assessment challenge: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incremental thesaurus for assessing causal maps (ITACM)
US11366956B2 (en) Edited character strings
KR20110113295A (ko)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Zavala-Rojas A procedure to prevent differences in translated survey items using SQP
Van Brummelen et al. Learning affects trust: Design recommendations and concepts for teaching children—and nearly anyone—about conversational agents
CN110765241B (zh) 推荐题的超纲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KR20230103995A (ko) 코딩 문제 추천 시스템 및 코딩 문제 추천 방법
KR20110113309A (ko)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온라인 문제 제공 방법
Borokhovski et al. Technology integration in postsecondary education: a summary of findings from a set of related meta-analyses
Mirel et al. Using interactive data visualizations for exploratory analysis in undergraduate genomics coursework: field study findings and guidelines
Kyaw et al. A code completion problem in C programming learning assistant system
Falci et al. A low complexity heuristic to solve a learning objects recommendation problem
CN115129971A (zh) 基于能力评估数据的课程推荐方法、设备及可读存储介质
JP2022121072A (ja) eラーニングシステム及びeラーニング方法
CN112287115A (zh) 基于知识掌握程度图的个性化教学方法、系统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09

Effective date: 20111031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110100384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10609

Effective date: 2011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