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35797A1 - 펌핑형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펌핑형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35797A1
WO2018135797A1 PCT/KR2018/000485 KR2018000485W WO2018135797A1 WO 2018135797 A1 WO2018135797 A1 WO 2018135797A1 KR 2018000485 W KR2018000485 W KR 2018000485W WO 2018135797 A1 WO2018135797 A1 WO 201813579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ump
composition
toothpaste
toothpaste composition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8/000485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문교태
이지혜
황성록
하원호
유아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0589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6042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1057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15394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2665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80846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2668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03838B1/ko
Priority to RU2019126290A priority Critical patent/RU2778519C2/ru
Priority to EP18741570.8A priority patent/EP3572067A4/en
Priority to AU2018210626A priority patent/AU2018210626B2/en
Priority to JP2019538652A priority patent/JP7118978B2/ja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CN201880006835.4A priority patent/CN110167526B/zh
Priority to US16/479,080 priority patent/US10842722B2/en
Publication of WO201813579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35797A1/ko
Priority to US17/075,135 priority patent/US2021003064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7Galactomannans, e.g. gua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6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poly (methyl vinyl ether-co-maleic anhydri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76Homopolymers of N-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ifrice composition, and relates to a dentifrice composition to be provided on a pumped containe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n which toothpaste composition penetrates into a toothbrush, thereby improving applicationability to teeth and ensuring ejection stability without firming.
  • Toothpaste compositions commonly used for cleaning mouths and teeth are in the form of paste, powder, gel / mucus, or liquid products, which have certai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in their use and handling.
  • Paste toothpaste first developed by Colgate in the United States, was sold in aluminum tubes, which were used until the 1970s.
  • the container of paste-like toothpaste which is developed as a laminated film material as in modern times, can be said to be made by the development of polymer and polymer processing technology.
  • the tube-type toothpaste has a high viscosity, is likely to cause damage to the tooth enamel layer due to the abrasive component, it is inconvenient to squeeze out of use, and the remaining amount of toothpaste remains in the container discarded because the product in the container cannot be used completely. It is a reality that there are many inconveniences such as problems that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
  •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provide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that can be supported on the pump-type container.
  • the toothpaste composition discharged to the toothbrush penetrates into the toothbrush to provide a toothpaste composition with improved tooth spread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entifrice composition in which the pumping dentifrice composition is not hardened and the ejection stability is ensured.
  • a dispenser pump (or "deep pump") is used to provide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which is convenient to use and can be used without failure of the pump due to abrasion of the piston and contents hardening due to polishing. It is to provide.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that can be provided supported on the pump-type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paste composition in which the toothpaste composition discharged in the toothbrush is penetrated into the toothbrush, thereby improving applicability to teeth.
  • the present inventors by controlling the type and / or content of the binder used in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the pump-type container,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soaks well between the bristles and has a remarkable effect on improving the applicability to teeth As a result, there is an excellent effect of continuously delivering the active ingredient to the tooth for a long time, and in addition, found that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voluptuous feeling when brushing the teeth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 the content of the binder in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es 0.1% to 2.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or as a bin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VM / MA, PVP, HPMC, and HPC
  • a bin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VM / MA, PVP, HPMC, and HPC In the case of using the above, it was confirmed that the improvement of applicability to teeth and the provision of a voluminous brushing feeling were possible.
  • the term 'pump type' refers to a structure that can simply discharge the contents stored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ort through the pump action using the pressing portion of the container. Specifically, it means a structure that discharges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side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pumping action of the piston, that is, the contents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to the outside by the piston mounted inside the container by the pumping action. May be discharg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a pump-type container,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specific content range and / or a specific kind of binder.
  • the 'binder' refers to a component that allows the toothpaste to maintain a stable and uniform form, and may include various components conventionally used as a binder in a toothpaste composition.
  •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opolymers of methyl vinyl ether and maleic hydride (PVM / MA), poly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 hydroxymethyl cellulose (HMC), Hydroxypropyl cellulose (HPC), carbomer, carrageenan, xanthan gum, guar gum, polyacrylic acid / sodium and alginates, and the like.
  • Ingredients that perform other functions in addition to their function as binders are also included in the binders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interpreted as not being excluded.
  • the pump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in a gel form.
  • the term 'gel' is used as a concept for distinguishing between the liquid toothpaste of the conventional thin formulation and the paste paste of high viscosity.
  • the gel phase is a formula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conventional liquid formulation, and refers to a viscous formulation having a greater stickiness than the liquid toothpaste.
  • Gel toothp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s to a formulation that is elastic and firmer than liquid toothpaste.
  • the gel toothpast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ower viscosity than the paste-type toothpaste, has fluidity, and has flowability, so that the contents can be easily discharged to the outside.
  • the term 'elasticity' refers to a property of the object caused by the external force to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when the force is removed, it is characteriz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It is used as a broad concept.
  • the toothpaste composition was used in a broad sense including all the properties to maintain the original shape after the discharge from the discharge port.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a pump-type container, a copolymer of methyl vinyl ether and maleic hydride (PVM / MA), polyvinylpyrrolidone (PVP),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HPMC), and at least one bind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xypropyl cellulose (HPC)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ur species),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 PVM / MA methyl vinyl ether and maleic hydride
  • PVP polyvinylpyrrolidone
  • HPMC hydroxypropyl methyl cellulose
  • HPC hydroxypropyl cellulose
  • bind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aforementioned examples, carboxymethylcellulose sodium, carbomer, carrageenan, xanthan gum, guar gum, polyacrylic acid / sodium and alginates.
  • the total content of at least one of the four kinds may include 0.1-7 wt%, more preferably 0.3-5 wt%, even more preferably 0.5-2.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ump toothpaste composition.
  •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an appropriate viscosity can be prepared,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penetrating into the bristle gap can be produced.
  • the total content of the binder included in the dentifric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0.5-8% by weight, more preferably 0.5-6% by weight, even more preferably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pump type toothpaste composition It may contain 0.5-5% by weight.
  •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an appropriate viscosity can be prepared,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penetrating into the bristle gap can be produced.
  •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four kinds of bin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ischarged to the toothbrush between the bristles and the bristles 1 to 1.5mm, soaks to a depth of 1.5mm or more between the toothbrush gap within 10 seconds. More preferably, it soaks to a depth of 5 mm or less.
  • the term 'depth' means the length of the toothpaste from the top of the brush head to the bottom.
  • the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25) is more than 5 X 10 3 cP 60 X 10 3 cP.
  • the viscosity can be measured by a variety of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rookfield viscometer RVT type can be measured while rotating at a rotational speed of 10 revolutions per minute using a spindle number 7,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an ⁇ Liss modulus (G '') / Elastic Modulus (G ') is 0.4 or mor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dentifric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viscous feeling while using the four kinds of polymers having high viscosity coefficients and at the same time having excellent flowability.
  •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t least one of the above four kinds of bind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voluminous feel.
  • the term 'fullness' refers to a full sense of mouth due to the texture and viscosity of bubbles generated when brushing teeth.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supported on the pump-type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ent of the binder is at least 0.5%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re preferably, less than 2.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Even more preferably, it is 1.5%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t least 2.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a high viscosity without penetrating the bristles is prepared.
  • the binder may be a binder known as a binder of a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for example, sodium carboxymethylcellulose, a copolymer of methyl vinyl ether and maleic hydride (PVM / MA), polyvinylpyrrolidone (PVP) ,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HPMC), hydroxymethyl cellulose (HMC), hydroxypropyl cellulose (HPC), carbomer, carrageenan, xanthan gum, guar gum, polyacrylic acid / sodium, alginates and the like.
  • PVM / MA methyl vinyl ether and maleic hydride
  • PVP polyvinylpyrrolidone
  • HPMC Hydroxypropylmethyl cellulose
  • HMC hydroxymethyl cellulose
  • HPC hydroxypropyl cellulose
  • carbomer carrageenan, xanthan gum, guar gum
  •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binder at least 0.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oaked to a depth of 1 mm or more between toothbrush gaps within 10 seconds when discharged to a toothbrush having a bridging distance between the bristles and the bristles.
  • a depth of 1.5 or more between the toothbrush gap within 10 seconds when discharging the toothbrush between the bristles and the bristles is 2mm, soaking to a depth of 1.5 or more between the toothbrush gap within 10 seconds.
  • the term 'depth' means the length of the toothpaste from the top of the brush head to the bottom.
  • the pump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binder at least 0.5%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at room temperature 25 of at least 5 X 10 3 cP and at most 40 X 10 3 cP.
  • the viscosity can be measured by a variety of method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Brookfield viscometer RVT type can be measured while rotating at a rotational speed of 20 revolutions per minute using a spindle number 7,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commonly used as a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binder, according to the expression and purpose of use, flavoring agent, sweetening agent, agonist, pH adjuster, preservative, binder, foaming agent, thickening It may further include a bleach.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mall amount of abrasives to prevent pump abrasion, lubricants (polyol, glycerin, etc.) to prevent the discharge port clogging phenomenon by drying It is preferable to include.
  • the abrasive is a material that functions to remove plaque in the oral cavity, and is used to increas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dental plaque and to remove hard foreign matter, and has a Mohs hardness of about 1-6.
  • the piston of the pump container is made of low-density polyethylene, and since the hardness of the polyethylene is lower than that of the abrasive used, the pump may wear out, an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mall amount of abrasive. For example, 30 wt% or less, preferably 0.5 to 20 w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ay be included.
  • the abrasive may include, for example,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lcium hydrogen phosphate, precipitated silica, fumed silica, colloidal silica, zeolite, calcium carbonate, hydrous alumina, kaolin, cellulose, and mixtures thereof. It doesn't work.
  • Lubricant refers to a substance that acts to reduce friction between two surface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nd slip
  • a lubricant refers to a piston made of a raw material (a solid component such as an abrasive) that lubricates and exhibits wear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erves to prevent wear.
  • the lubrican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propylene glycol, ethylene glycol, polypropylene glycol, and mixtures thereof.
  • the lubricant is not limited to the liquid polyol, but may be present in the solid phase at room temperature due to the internal tensile force of the polymer at a predetermined molecular weight such as polyethylene glycol and polypropylene glycol having a polymer form, but by controlling the manufacturing temperature. It also includes high molecular weight polyols that can be liquefied and commercialized and maintained in a stable state.
  • Flavoring agents and sweetening agents can be added to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uit consumer preferences. Flavoring agents remain in the oral cavity and continually exude fragrance to help maintain freshness.
  • mint such as peppermint and spearmint, wintergreen, methyl salicylate, eugenol, melon, strawberry, orange, vanillin and the like can be used.
  • flavoring agents can be used in the range of 0.0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sweeteners may be added to the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vercome the basic taste the formulation may have.
  • Sweeteners can play a role in sustaining the development of saliva by providing a lasting taste while remaining in the mouth.
  • saccharin salt As the sweetener, one or two or more kinds of saccharin, sucralose, sugar, xylitol, sorbitol, lactose, mannitol, maltitol, erythritol, aspartame, taurine, saccharin salt and D-tryptophan may be used.
  • saccharin salts saccharin sodium is the most widely used.
  • the amount of sweetener is generally used in the range of 0.001 to 2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Pharmacological agents can be used as a pharmacological agent used for oral hygiene, such as caries prevention, gum disease prevention, tartar deposition prevention, whitening effect.
  • Drugs used to prevent tooth decay include compounds recognized as safe by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including fluoride ions.
  • fluoride ions examples include sodium fluoride, sodium monofluorophosphate, tin fluoride, and ammonium fluoride.
  • the amount of fluorine may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but it is common to use one kind or a mixture of two or more of these sources, preferably to have a fluorine ion concentration in the range of 850 to 1500 ppm.
  • Remineralizing agents can also act as a caries preventer.
  • Remineralization plays a role in regenerating and restoring hydroxyapatite, a major component of teeth.
  • the main component of hydroxyapatite consists of divalent calcium cations and phosphate anions. Therefore, it can be a remineralizing agent if it contains at least one of calcium divalent ions or phosphate anions so as to simultaneously supply calcium ions and phosphate ions or to shift chemical equilibrium in the oral cavity toward the formation of hydroxyapatite.
  • Substances that provide calcium and phosphorus include hydroxyapatite, dicalcium phosphate, calcium chloride, casein phosphate, calcium glycophosphate, sodium monophosphate, dibasic sodium phosphate, sodium triphosphate, potassium monophosphate, This includes potassium diphosphate, potassium triphosphate, and the like.
  • the remineralizing agent is preferably used in the range of 0.001 to 20% by weight of the entire composition. If it is less than 0.001% by weight, the effect of remineralization is inferior, and if it is more than 20% by weight, the property of the formulation is lost.
  • One of the objectives of using oral hygiene products is to prevent gum disease as well as to alleviate gum disease that is progressing through antiseptic or anti-inflammatory action against harmful microorganisms in the oral cavity that survive in the oral cavity.
  • isopropylmethylphenol, cyclohexidine, cetylpyridinium chloride, xantholizol, etc. which are known as antimicrobial agents, may be used, and vitamins and enzymes, aminocaproic acid, allatoin and derivatives thereof may also be used for anti-inflammatory action.
  • the agonist may contain 0.005% to 5% by weight. If the drug content is less than 0.005 it is difficult to show the drug, when containing more than 5% by weight has the disadvantage of changing the taste of the base base.
  • sodium pyrophosphate, acidic pyrophosphate, potassium pyrophosphate, sodium metaphosphate, etc. may also be used to obtain tartar deposition inhibitory effect.
  • these agents are used in the range of 0.001 to 10%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 the acidity of the composition for oral cavity is generally 5 to 8.
  • Benzoic acid, methylparaben, propylparaben, sodium benzoate, etc. can be used as a preservative.
  • foaming agent examples include sodium alkyl sulfate, sodium lauryl sulfate, alkyl salucinate, lauryl salucinate, cocoyl glutamate sodium salt, myrithroyl glutamate sodium salt, cocamidopropyl betaine, sucrose fatty acid ester, and sorbitan fatty acid ester.
  • anionic, amphoteric, and nonionic surfactants such as copolymers of polyoxyethylene polyoxypropylene (poloxamer)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Titanium oxide is used as the brightener, and generally 0.1% to 2% by weight.
  •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dentifric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according to a method commonly prepared in the art.
  •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outhwash, denture cleaner and the like.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which can be provided on a pump-type contain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ifrice composition which is secured as a pump-type dentifrice composition and does not solidif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which can be provided on a pump-type container equipped with a dispenser pump (or 'deep pump').
  •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s discharged through the pump of the pump-type container, since there is a solid, liquid, gas phase in the pump discharge port,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contact with them has been a problem that occurs at the discharge port inlet.
  • the abrasive is generally includ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to remove plaque, etc., when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made in a pump form, a problem occurs that causes the wear of the piston due to the hardness of the abrasive.
  • the piston is made of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this problem is exacerbated when the hardness of the polyethylene is lower than the hardness of the abrasive used.
  • the present inventors found that by adjusting the type and / or content of the components used in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the pump-type container,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does not solidify at the discharge port has the effect of ensuring the discharge stability This invention was completed.
  •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when the content of the solid abrasive is 40% by weight or less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the content of water is less than 7%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s discharge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secure the discharge stability without hardening at.
  •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when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ncludes a nonionic surfactant having an HLB value of 16 or l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had an effect of securing discharge stability without being hardened at the discharge port.
  • the HLB value of the nonionic surfactant may be 16 or less,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8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6 or less.
  •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when the specific gravity of the organic oil containing 0.8-0.99, it was confirmed that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s effective in ensuring the discharge stability without solidifying at the discharge port.
  • a dispenser pump deep pump
  • a two-sensor pump an oil pump, a forming pump, a mist pump, and the like
  • the dispenser pump deep pump
  • the 'dispenser pump (deep pump)' is easy to use by the action of the internal structure according to the soft feeling and accurate and various discharge amount, the viscosity of the contents when pumping, and is commonly used in shampoo or body wash products.
  • the 'sensor pump'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downsize and refine the discharge amount.
  • the 'oil pump' is an effective pump in the case of carrying the contents that can be leaked during use.
  • the 'forming pump' is a pump having the advantage of making abundant foam only by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pump without using a freon gas.
  • the 'mist pump' is a pump having a structure for spraying the contents in the form of fine particl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a pump-type container,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 specific component and / or a specific content range thereof.
  • the pump typ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rden at the pump discharge port and thus exhibits discharge stability.
  • any one or more of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one aspect,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other aspect,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other aspect to be described later does not harden at the pump discharge port and exhibits discharge stability.
  • 'hard' refers to the hardness or increase in hardness size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and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to the toothpaste composition using another object, This means that the magnitude of the reverse force is increased.
  • 'hardness' can be measured or evaluated, and is not limited to the method described below, for example, a method of evaluating the degree of hardening when pressure is applied using a probe rod (a round pen), Alternatively, the compressive strength may be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with a 0.4-2 cm probe. Alternatively, a method of measuring the pump pressure of the pump after discharging the dentifrice composition using a texture analyzer may be used.
  • the term 'not firm' means that there is no or little increase in the hardness or hardness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for example, a probe rod (a round pen) is used.
  • a probe rod a round pen
  • the toothpaste composition discharged for 60 to 48 hours after drying is evaluated as 'not firm' when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scratched or the probe sticks into the contents when pressure is applied.
  • the method of measuring the compressive strength with a 0.4-2 cm probe for example, using a texture analyzer, when the toothpaste composition discharged for 60 to 48 hours is dried and shows a pressure of 5 g or less, ' Not hardened '.
  • the texture analyzer texture analyzer
  • One or more of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one aspect,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other aspect,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other aspect will not be hardened at the pump outlet, such as a pressure using a probe rod (a round pen).
  • a probe rod a round pen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dried or discharged for 60 to 48 hours and then pressed under pressure,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scratched or the probe rod into the contents.
  • the toothpaste composition discharged for 60 to 48 hours after drying to represent 5g or less at the measured pressure strength.
  • the discharge pressure was 3 kg or less.
  • 'discharge stability' refers to the effect exerted when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not firm'.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rden due to a change in viscosity.
  • the viscosity of any one or more of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s of one embodimen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and another embodiment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5,000cP to 30,000cP.
  • the term 'viscosity' refers to the viscosity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 'viscosity retention' means the degree to which the viscosity of the toothpaste at the time of manufacture is maintained even after at least two years.
  • the viscosity retention force is 25, 20 rpm, 5 cycle conditions, when the viscosity is measured by BrookField, RVT No. 7 spindle or RV-5, the viscosity change of the composition is about 100 after at least two years compared with the production It means to about 15,000 cP.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a pump-type container, wherein the content of the solid abrasive is 4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and the water content is less than 7% by weight of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Toothpaste composition is provided.
  • the inventors have found that the reason for the drying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s that the solid content, especially the solid abrasive, in the contents was expressed while the water contained in the composition was evaporated, and the problem was solved by increasing the content ratio of water to the solid abrasive.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mbodied.
  • the 'polishing agent' is a material that functions to remove plaque in the oral cavity, and is commonly used in toothpaste compositions in order to increase removal efficiency of dental plaque and remove hard foreign matters, but wears pumps and pump outlets. Solidify The abrasive may exhibit a Mohs hardness of about 1-6, preferably a Mohs hardness of about 3-6.
  • the solid abrasive may be included as long as it is used as a solid abrasive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for example, calcium dihydrogen phosphate, precipitated silica, fumed silica, colloidal silica, zeolite,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ogen phosphate , Hydrous alumina, kaolin, cellulose and mixtures thereof, and the like.
  • precipitated silica, calcium carbonate, calcium hydrogen phosphat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hereof can be used.
  • the content of the solid abrasive may be 40% by weight or less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for example, 30% by weight, 20% by weight, 10% by weight, 5% by weight or less.
  • it may be 0.1 wt% or more, 0.1 wt% or more and 40 wt% or less, and 0.5 wt% or more and 40 wt% or less, 0.5 wt% or more and 20 wt% or less.
  • it exceeds 40 weight% the hardening phenomenon in the discharge port of a toothpaste composition arises.
  • the 'water' is a substance serving as a solvent of the components includ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for example, the purified water, distilled water, sterile purified water, water for injection by distilling a constant or ion exchange resin , Constants, and the like, and preferably, sterile purified water may be used.
  • the content of water may be less than 10% by weight, less than 7% by weight, and less than 6%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r at least 3 wt% and less than 10 wt%, at least 5 wt% and less than 7 wt%. When it is 10 weight% or more, the hardening phenomenon at the discharge port of the dentifrice composition occurs.
  • the content ratio of water to the solid abrasive is 1: 0.1 or more, preferably 1: 0.1-1 may be. 1: When less than 0.1, the hardening phenomenon at the discharge port of a dentifrice composition occurs.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onent commonly used as a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solid abrasive and water, and may further include various components, depending on its presentation and use purpose.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substantially contain a solid component other than the solid abrasive.
  • the term 'substantially free' means less than or equal to 1 weight percent, less than or equal to 0.5 weight percent, less than or equal to 0.1 weight percent, preferably less than or equal to 0 weight percent (ie, not containing at all)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means cont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a pump-type container, the non-ionic surfactant having an HLB value of 16 or less, preferably 10 or less, more preferably 8 or less, even more preferably 6 or less. It provides a pump 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 the hydrophobic groups of the surfactant are arranged outward and a hydrophobic array is formed so that the water in the contents is surfaced. By suppressing the increas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n effect of solving the hardening problem.
  • the hydrophobic array formed by the nonionic surfactant having an HLB value of 16 or less reduces the abrasion of the piston when in contact with the polymer applied to the straw and the pump piston, thereby improving the pumping stability.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embodied.
  • 'HLB' is an abbreviation of hydrophile-lipophile balance, and is an index indicating a balance between hydrophilicity and lipophilicity of a surfactant. It means that the ratio of hydrophilicity is small.
  • various components that can be includ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as 'non-ionic surfactant having a HLB value of 16 or less' can be used, for example, glyceryl monostearate, polyoxyethylene monool Polyoxyethylene monooleate (brand name: PEG 400 monooleate), Polyoxyethylene monostearate (brand name: PEG 400 monostearate), potassium oleate, sodium oleate , Sorbitan monolaurate (trade name: Span® 20), Sorbitan monopalmitate (trade name: Span® 40), Sorbitan monostearate (trade name: Span® 60 ), Sorbitan tristearate (trade name: Span® 65), Sorbitan monooleate (trade name: Span® 80), sorbitan tree Sorbitan trioleate (trade name: Span® 85), Triethanolamine oleate, 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trade name: Tween® 21), polyoxyethylene sorbit
  • the content of the nonionic surfactant having an HLB value of 16 or less is 0.1-10 wt%, more preferably 0.1-5 w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stiffness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within the weight range, and to suppress the wear of the piston to help improve the pumping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arried in a pump-type container,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omprising an organic oi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8-0.99.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generally use a technique of increasing the composition of a liquid to prevent drying of a pump-type composition used in a pump-type container, in particular, a pump-type container equipped with a dip pump.
  •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embodied by focusing on the fact that the contained moisture and the volatile organic substances cause the pump discharge port to harden while vaporizing.
  • the hydrophobic oil is oriented toward the air while the pump discharge port prevents water from evaporating from the pump toothpaste composition, thereby solving the stiffness of the discharge por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 the term 'specific gravity' refers to the ratio of weight to volume, the same temperature as the mass of the substance occupying a certain volume at a certain temperature, the ratio of the mass of the same volume standard Means.
  • the unit of specific gravity is g / cm 3 .
  • the '0.8-0.99 specific gravity' means that the ratio of the same temperature as the mass of the organic oil occupying the volume at 20-25 and the mass of the same volume of purified water is 0.8-0.98.
  • the use of a material having a specific gravity greater than 0.98 may cause a problem of sinking in the lower end of the formulation, and when an oi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less than 0.8 may be easily volatilized to reduce the stability of the formulation.
  • an oi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8 to 0.99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long as it is used as a component of a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for example, coconut oil, cottonseed oil, olive oil, sunflower oil, rice bran oil, corn oil, palm oil, palm kernel oil. , Peanut oil, safflower oil, castor oil, canola oil, grape seed oil, avocado oil, lake oil, cloves oil, peppermint oil, spearmint oil, vanillin oil, anise, anetol oil, and the like.
  • the coconut oil is 15 to 0.925, 20 to 0.919, cottonseed oil to 16 to 0.926, 25 to 0.915-0.921, olive oil to 15 to 0.918, 15.5 to 0.915-0.918.
  • the oil may be an organic oil, and preferably, the oil may be a liquid oil that is liquid at room temperature.
  • the content of oi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8-0.99 is 0.3% by weight or more, more preferably 0.3-2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mposition. Most preferably, 0.3-10% by weight. Within the above weight percent range, it is effective to solve the stiffness of the toothpaste composition.
  • the toothpast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emulsifier in addition to an oi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8 to 0.99, and it is preferable to use sodium lauryl sulfate (SLS) in the emulsifier.
  • SLS sodium lauryl sulfate
  • sodium lauryl sulfate can effectively remove oiliness after brushing, which can be caused by oil as well as help emulsify the toothpaste as a surfactant and provide a feeling of air bubbles to consumers.
  • the emulsifier emulsifies the oil contain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while the oil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for the pump while suppressing the evaporation of the oil other than the oil to be emulsified toward the air stiffness of the discharge port To solve.
  • the sodium lauryl sulfate (SLS) is selected as the emulsifier,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be oriented toward the air in addition to the oil emulsified in the oil contained in the toothpaste composition.
  • the total weight of the surfactant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s 0.1-7% by weight, preferably 0.5-3%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oil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0.8-0.99. If less than 0.1% by weight, the toothpaste composition hardening phenomenon can not be eliminated, after using the teeth can not remove the slippery, if more than 7% by weight, there is a problem that can damage the oral mucosa when brushing.
  • the toothpaste composition in the art may further include abrasives, lubricants, flavoring agents, sweeteners, agonists, pH adjusters, preservatives, binders, foaming agents, brighteners and the like, depending on the formulation and purpose of use.
  • the present invention is a pump comprising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y one or more of the above-described toothpaste composition of one aspect,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other aspect, and the toothpaste composition of another aspect, and the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is supported. Provide mold toothpaste.
  • the pump-type toothpas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harden, for example, after drying for 6 hours after discharging the toothpaste, it may exhibit a discharge pressure of 3 kg or less when the pump pressure i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that can be supported and provided in a pump-type container, and in particular, as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the toothpaste composition discharged to the toothbrush penetrates into the toothbrush, improving the applicability to the teeth, and ultimately The effect is that the drug can be delivered continuously for a long time in the oral cav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possible to use a pump-type container equipped with a dispenser pump (deep pump) in which the discharge stability is secured without a hardening phenomenon, and the discharge hole hardening problem is prominent due to the free movement of the external atmospher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product value, which can secure even sex.
  • Example 1 shows the following II. It is a graph which shows the value which evaluated the bubble satisfaction and bubble texture satisfaction of the composition (Example 7, Example 8, and Comparative Example 1) manufactured according to Preparation Example 2 of a pump type toothpaste composition.
  • Toothpast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1 below. Powder components such as purified water, liquid polyol, flavoring agent, pharmacological agent, surfactant, binder, saccharin, and surfactant are completely dispersed and mixed firstly. Then, abrasives such as silica and medicament are added and mixed under vacuum.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ed high viscosity, while Examples 1 to 5 exhibited a viscosity within the range of 5,500 to 40,000 cP.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in Examples 1 to 5 and Comparative Example 1 of Table 1 was put in a pump-type container, the paste toothpaste composition of Comparative Example 1 was put in a tube , Hole spacing (gap between the bristles and bristles) was discharged to the toothbrush 2mm, the toothpaste was placed on the bristles and the penetration depth was measured after 10 seconds, the results were as shown in Table 4.
  • Toothpast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5. Powder components such as purified water, liquid polyol, flavoring agent, pharmacological agent, surfactant, binder, saccharin, and surfactant are completely dispersed and mixed firstly. Then, abrasives such as silica and medicament are added and mixed under vacuum.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 the toothpaste prepared in Examples 1 to 24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of Table 5 was put in a pump-type container and discharged to a toothbrush having a hole spacing (gap between the bristles and bristles) of 1 to 1.5 mm, and the toothpaste to the bristles. After 10 seconds of seating, the penetration depth of the toothpaste was measur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ristles, and the results were as shown in Table 7 below.
  • Paste toothpaste according to Comparative Examples 1-4 showed an appropriate viscosity, but the penetration depth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Examples 1 to 24. Through this,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s 1 to 4 was expected to have a high modulus of elasticity.
  • Amplitude sweep oscillation test was performed using a Paar Physica rheometer. Shear stress (1) was used to read the elastic and viscous coefficients and to determine the Tan ⁇ values.
  • Toothpast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9. Powder components such as purified water, liquid polyol, fragrance, drug, xanthan gum, saccharin, preservative and surfactant are completely dispersed and mixed firstly. Then, abrasives such as silica and drug are added and mixed under vacuum.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able 9 was filled in a 24 well plate and dried in a dry oven equipped with a fan for 60 and 48 hours. Then, the degree of firmness of the toothpaste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pressure to the toothpaste using a probe rod (a round pen).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able 9 on a 24 well plate was dried for 60 to 48 hour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toothpaste was measured with a 0.4-2 cm probe.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of less than 5g was measur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when the surface was hardened by more than 5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1.
  • Examples 1 to 6 all showed a compressive strength of '5g or less', whereas Comparative Examples 1 to 3 showed a compressive strength of 5g or more, and the surface was harden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able 9 was placed in a pump-type container, and dried at 60 to 6 hours after discharging the pump of the pump-type toothpaste. Then, the pump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2.
  • Toothpast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13. Purified water, liquid polyols, fragrances, medicinal agents, xanthan gum, saccharin, preservatives, surfactants (HCO40, HLB 12.5; TWEEN 60, HLB 14.9; and SPAN 80, HLB 4.3), etc. Then, an abrasive and an agonist such as silica were added and mixed under vacuum to prepare a toothpaste composition.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able 13 was filled in a 24 well plate and dried in a dry oven equipped with a fan for 60 and 48 hours. Then, the degree of firmness of the toothpaste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pressure to the toothpaste using a probe rod (a round pen).
  • Comparative Example 1 was shown as 'firm', whereas Examples 1 to 12 were shown as 'not firm'.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able 13 on a 24 well plate was dried for 60 to 48 hour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toothpaste was measured with a 0.4-2 cm probe.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of less than 5g was measur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when the surface was hardened by more than 5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5.
  • Examples 1 to 12 all showed a compressive strength of '5g or less', whereas Comparative Example 1 exhibited a compressive strength of 5g or more and the surface was harden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able 13 was placed in a pump-type container, and dried at 60 to 6 hours after discharging the pump of the pump-type toothpaste. Then, the pump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6.
  • Toothpast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with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ratios shown in Table 17 below. Powder components such as purified water, liquid polyol, fragrance, drug, xanthan gum, saccharin, preservative and surfactant are completely dispersed and mixed firstly. Then, abrasives such as silica and drug are added and mixed under vacuum. The composition was prepar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able 17 was filled in a 24 well plate and dried in a dry oven equipped with a fan for 60 and 48 hours. Then, the degree of firmness of the toothpaste was evaluated by applying the pressure to the toothpaste using a probe rod (a round pen).
  •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are shown as 'firm', whereas Examples 1 to 7 are shown as 'not firm'.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of Table 17 on a 24 well plate was dried for 60 to 48 hours,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toothpaste was measured with a 0.4-2 cm probe. It was confirmed that the hardness of less than 5g was measured, and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creased when the surface was hardened by more than 5g.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9.
  • Examples 1 to 7 all show a compressive strength of '5g or less', whereas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exhibited a compressive strength of 5g or more and the surface was hardened.
  • the toothpaste composition prepared as in Example and Comparative Example of Table 17 was placed in a pump-type container, and dried at 60 to 6 hours after discharging the pump of the pump-type toothpaste. Then, the pump pressure was measured using a texture analyzer.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0.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칫솔에 토출된 치약 조성물이 칫솔 속으로 스며들어 치아에 대한 발림성이 개선되고, 궁극적으로는 구강 내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약효성분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굳음 현상 없이 토출 안정성이 확보되고, 이에 용기 특성상 외부대기의 자유로운 이동으로 인해 토출구 굳음 문제가 두드러지는 디스펜서 펌프(딥펌프)를 장착한 펌프형 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상품 가치가 우수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핑형 치약 조성물
본 출원은 2017년 01월 23일 출원된 대한민국출원 제10-2017-0010574호, 2017년 01월 23일 출원된 대한민국출원 제10-2017-0010589호, 2017년 02월 28일 출원된 대한민국출원 제10-2017-0026651호 및 2017년 02월 28일 출원된 대한민국출원 제10-2017-0026686호에 기초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해당 출원의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출원에 원용된다.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펌핑형 용기에 담지하여 제공되기 위한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칫솔 속으로 치약 조성물이 스며들어 치아에 대한 발림성이 개선되고, 굳음 현상 없이 토출 안정성이 확보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및 치아의 세정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약 조성물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젤상/점액상 또는 액상으로 된 제품이 유통되고 있고, 그 사용 및 취급상에는 일정한 장단점이 있다.
미국 콜게이트사에서 최초 개발된 페이스트상 치약은 알루미늄 튜브에 담겨 판매되었고 1970년대까지도 이러한 알루미늄 튜브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페이스트상 치약의 용기가 현대와 같이 알루미늄이 적층필름 재질로 개발된 것은 고분자 및 고분자 가공 기술의 발전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튜브형태의 치약은 점도가 높고 연마제 성분에 의한 치아 에나멜층의 손상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고 사용시에 짜내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내의 제품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없어서 폐기되는 용기에도 잔량의 치약이 남게 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등 여러가지 불편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치약의 풀림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기에 흐르는 특성을 가지는 액상 치약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너무 잘 흐르는 경우 칫솔 위에서 흘러 치약제품 내에 약물을 치아 및 잇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구강균의 억제 및 구취 제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강 가글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정성분이 부족하고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점으로 인해 구강내 플라그의 제거 및 구강균 제거 등의 충분한 양치질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다. 소비자의 사용자 편리성 증진을 위하여 다음으로 적용된 것이 진공펌프 형의 플라스틱 용기를 적용하여 고점도의 페이스트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일부 제품은 시판중에 있으나 가격적인 문제 및 기존 페이스트 치약의 풀림성이 약한 특성 등이 상존하고 있다. 또한, 분말상은 그 사용중에 입자가 분사되거나 비산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고점도 페이스트형 치약 또는 종래의 액상치약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일반적인 고점도 페이스트형 치약 또는 종래의 액상치약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용기에 적용할 수가 없다. 고점도 페이스트형 치약은 딥튜브 형태의 펌프를 적용하면 토출이 어렵고, 시간이 경과하면 점도가 더욱 증가하여 토출이 불가능하며, 종래의 액상치약의 경우 토출이 되더라도 칫솔 위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지 못해 사용이 불가능하다. 또한, 치약제에 함유된 연마제의 모스 경도는 3~6 정도의 값을 가지는바 이는 디스펜서 펌프의 피스톤인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도보다 높다. 따라서, 치약에 함유되어 있는 연마제에 의하여 피스톤이 마모되어 토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칫솔에 토출된 치약 조성물이 칫솔 속으로 스며들어 치아에 대한 발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이 확보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디스펜서 펌프(또는 '딥펌프'라 칭함)를 사용하여 사용성이 편리하면서 연마에 의한 피스톤 마모에 따른 펌프의 고장 및 내용물 굳음 현상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칫솔에 토출된 치약 조성물이 칫솔 속으로 스며들어 치아에 대한 발림성이 개선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칫솔에 토출해 사용하는 치약은 칫솔에 잘 스며들어 칫솔질을 하는 동안 치아에 지속적으로 약효성분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조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흐름성이 너무 강하면 칫솔 위에서 치약이 흘러버리고, 고점도이거나 탄성계수가 높은 치약은 풀림성이 약하고 치아에 닿는 순간 모두 소진되버리는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칫솔 안으로 스며들되, 동시에 양치시에는 풍만감을 느낄 수 있을 정도의 기포감이 제공되는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것이 중요하나, 이러한 치약 조성물 제조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결합제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칫솔모 사이에 잘 스며들어 치아에 대한 발림성 개선에 현저한 효과가 있고 이로써 오랫동안 치아에 지속적으로 약효성분을 전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이에 더불어 양치시 풍만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서 결합제의 함량을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중량% 이상 2.5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결합제로써 PVM/MA, PVP, HPMC, 및 HP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 치아에 대한 발림성 개선 및 풍만한 양치감 제공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펌프형'은 용기의 누름부를 이용한 펌프작용을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내부에 있는 치약 조성물을 피스톤의 펌프작용을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의미하며, 즉, 상기펌프작용으로 용기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에 의해서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 하단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특정 함량 범위 및/또는 특정 종류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결합제'는 치약이 안정하고 균일한 형태를 유지하게 하는 성분을 말하고, 당업계 통상적으로 치약 조성물에 결합제로서 통상 사용 가능한 다양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비닐에텔과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의 공중합체(PVM/M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구아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알지네이트류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결합제로써의 기능과 함께 다른 기능을 발휘하는 성분도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결합제에 포함되며 배제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겔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겔상'은 기존의 묽은 제형의 액상 치약 및 고점도의 페이스트 치약는 구별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상기 겔상은 기존 액상 제형과는 차별되는 제형으로, 액상치약에 비해서 끈적이는 정도가 크고, 점성이 있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겔상의 치약은 탄성이 있으며, 액상 치약에 비해 견고성이 있는 제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겔상 치약은 페이스트형의 치약에 비해서는 점도가 낮아서 유동성이 있고, 흐름성이 있어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탄성'은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 가려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물체의 특성을 의미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즉, 치약 조성물을 토출구에서 토출한 후에 최초 모양을 유지하려고 하는 모든 성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일 양태로,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메틸비닐에텔과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의 공중합체(PVM/M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및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이하, 4종이라 칭함)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결합제로써 상기 4종 중 1이상을 사용한다면, 이들 결합제 외에, 선택적으로 결합제로 당업계에 공지된 그 외의 결합제를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외의 결합제에는 상술한 예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구아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알지네이트류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4종 중 1이상의 결합제 총 함량은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 7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3-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 0.5-2.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결합제를 사용하면 적절한 점도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칫솔모 간극에 잘 스며드는 치약 조성물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 4종 중 1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해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결합제의 총 함량은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5 - 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5-6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 0.5-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결합제를 사용하면 적절한 점도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고, 칫솔모 간극에 잘 스며드는 치약 조성물 제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4종 중 1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칫솔모와 칫솔모 사이의 간격이 1-1.5mm 인 칫솔에 토출 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칫솔 간극 사이로 1.5mm 이상의 깊이로 스며든다. 보다 바람직하게, 5 mm 이하의 깊이로 스며든다. 상기 용어 '깊이'는 칫솔모의 상단에서 치약이 하단으로 전개하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4종 중 1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상온(25)에서 점도가 5 X 103 cP 이상 60 X 103 cP 미만이다. 상기 점도는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브룩필드점도계 RVT형으로 스핀들 7번을 이용하여 분당 10회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측정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4종 중 1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Tan δ (Loss modulus(손실계수)(G")/Elastic Modulus(탄성계수)(G')가 0.4 이상이다. 본 발명은, 점성계수가 높은 고분자인 상기 4종을 사용하면서도, 동시에 우수한 흐름성을 가져, 풍만감이 우수한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4종 중 1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우수한 풍만감을 발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풍만감'은 양치시 발생하는 기포의 질감과 점도로 인해 입안 그득한 감각을 칭한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결합제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5 중량%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5 중량% 미만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5 중량% 이하이다.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2.5 중량% 이상의 경우, 칫솔모에 잘 스며들지 않고 고점도인 치약 조성물이 제조된다.
상기 결합제에는 당업계 치약 조성물의 결합제로 공지된 결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메틸비닐에텔과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의 공중합체(PVM/MA),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HPMC),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HMC),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HPC),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구아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알지네이트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보머, 카라기난, 잔탄검, 구아검, 폴리아크릴산/나트륨 및 알지네이트류 중 1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5 중량% 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칫솔모와 칫솔모 사이의 간격이 1.5mm 인 칫솔에 토출 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칫솔 간극 사이로 1mm 이상의 깊이로 스며든다. 또한, 칫솔모와 칫솔모 사이의 간격이 2mm 인 칫솔에 토출 하였을 때 10초 이내에 칫솔 간극 사이로 1.5 이상의 깊이로 스며든다. 상기 용어 '깊이'는 칫솔모의 상단에서 치약이 하단으로 전개하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5 중량% 이상의 결합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상온(25)에서 점도가 5 X 103 cP 이상 40 X 103 cP 이하이다. 상기 점도는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브룩필드점도계 RVT형으로 스핀들 7번을 이용하여 분당 20회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측정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결합제 외에, 당업계에 치약 조성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로, 그 제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착향제, 감미제, 약효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기포제, 증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 제공되는바, 펌프 마모 방지를 위해 연마제는 소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에 의한 토출구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폴리올, 글리세린 등)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마제는 구강 내에서 치태(플라그)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물질로써, 치아 플라그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단단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모스 경도가 1~6 정도의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펌프 용기의 피스톤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며, 상기 폴리에틸렌의 경도는 사용되는 연마제의 경도보다 낮기 때문에 펌프가 마모될 수 있으므로, 연마제는 소량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3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예컨대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윤활제는 서로 접촉해서 미끄러지는 두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윤활제는 윤활작용을 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마모 특성을 나타내는 원료(연마제 등 고형분)에 의한 피스톤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윤활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내지 600,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상 윤활제로, 석유계 기름, 동식물유, 합성윤활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안정성 및 우수한 사용감 측면에서 액상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윤활제는 액상 폴리올에 한정되지 않고, 고분자의 형태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같이 일정 분자량 이상에서 고분자의 내부인력(intramolecular interaction)에 의하여 상온에서 고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제조 온도의 조절을 통하여 액화가 가능하고 제품화하여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고분자량 폴리올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착향제와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착향제는 구강에 잔류하며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함으로써 상쾌감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착향제로는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의 민트, 윈터그린,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게놀, 메론, 딸기, 오렌지, 바닐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향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제형이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맛을 극복하기 위하여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감미제는 구강내 잔류하면서 지속적으로 맛을 제공해줌으로써 타액의 발생을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사카린, 수크랄로스, 설탕, 자일리톨, 솔비톨, 락토스, 만니톨, 말티톨, 에리쓰리톨, 아스파탐, 타우린, 사카린염, D-트립토판 등을 1 종 혹은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카린염 중에서는 사카린나트륨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감미제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의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약효제는 구강위생을 위하여 사용되는 약효제로는 충치 예방, 잇몸질환 예방, 치석 침착 예방, 미백 등의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충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효제에는 불소 이온을 포함한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청에서 안전한 물질로 인정한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소 이온의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은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불화암민을 들 수 있다. 불소의 함량은 국가에 따라 사용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500 ppm 범위의 불소 이온 농도를 갖도록 이들 공급원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석회화제 역시 충치 예방제로 작용할 수 있다. 재석회화는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재생하고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주성분은 2가의 칼슘 양이온과 인산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칼슘이온과 인산이온을 동시에 공급하거나 구강 내의 화학평형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생성되는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칼슘 2가 이온이나 인산 음이온 1 종 이상이 함유된 것이면 재석회화제로 될 수 있다. 칼슘과 인을 제공하는 물질은 원료상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2인산칼슘, 염화칼슘, 카제인 포스펩티드,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제3인산칼륨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재석회화제는 조성물 전체의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에서는 재석회화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20 중량% 보다 많으면 제제가 본래 갖고 있는 성질을 잃게 된다. 구강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목적 중 하나는 구강 내에 생존하고 있는 구강내 유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 또는 항염 작용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는 잇몸질환의 완화뿐만 아니라 잇몸질환을 미리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항균제로 알려진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사이클로헥시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잔토리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항염 작용을 위하여 비타민류와 효소, 아미노카프로산, 알라토인 및 그 유도체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약효제는 0.005 중량 % 내지 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약효제 함량이 0.005 미만인 경우에는 약효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 함유하는 경우에는 기본 베이스의 맛을 변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잇몸 질환 이외에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치석 침착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메타인산나트륨 등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약효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01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한다.
pH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강용 조성물의 산성도는 일반적으로 5 내지 8이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 용할 수 있다.
기포제로는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알킬살루코시네이트, 라우릴살루코시네이트,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나트륨염, 미리스리토일 글루나메이트 나트륨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엑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등의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0.1% 내지 2 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치약 조성물은 구강청정제, 의치세정제 등으로 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이 확보되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디스펜서 펌프(또는 '딥펌프'라 칭함)를 장착한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용기의 펌프를 통해 토출되는데, 펌프 토출구에는 고체, 액체, 기체의 상이 모두 존재하므로, 이들과 접촉하는 치약 조성물이 토출구 입구에서 굳는 현상이 발생하여 문제시되어 왔다. 더욱이, 연마제는 치태 등을 제거하기 위해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치약 조성물이 펌프형으로 제작될 경우, 상기 연마제의 경도로 인해 피스톤의 마모를 일으키는 문제가 일어난다. 상기 피스톤이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 제작되며, 이러한 문제는 상기 폴리에틸렌의 경도가 사용되는 연마제의 경도보다 낮은 경우 더욱 심각해 진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사용하는 성분의 종류 및/또는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토출구에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 양태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서, 고형 연마제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하이고, 물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7 중량% 미만인 경우,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토출구에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른 양태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서,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경우,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토출구에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HLB 값은 16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서, 비중이 0.8 - 0.99 인 유기오일을 포함하는 경우,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토출구에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펌프작용으로 용기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는 내용물은, 배출(토출)되는 동안 또는 배출(토출)된 후에, 펌프 토출구에 존재하는 고체, 액체 또는 기체의 상과 접촉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펌프형 용기에 사용되는 펌프에는 에컨대, 디스펜서 펌프(딥펌프), 이센서 펌프, 오일 펌프, 포밍 펌프, 미스트 펌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디스펜서 펌프(딥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펌프(딥펌프)'는 펌핑시 부드러운 느낌과 정확하고 다양한 토출양, 내용물의 점성에 따른 내부구조의 작용으로 사용이 편리하고, 통상적으로 샴푸나 바디워시 제품에 사용한다. 상기 '이센서 펌프'는 토출양을 소량화하고 세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오일 펌프'는 사용시 누액이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을 담지하는 경우에 효과적인 펌프이다. 상기 '포밍 펌프'는 프레온가스를 사용하지 않고 펌프의 내부구조만으로 풍부한 거품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는 펌프이다. 상기 '미스트 펌프'는 미세한 입자 형태로 내용물을 분사해주는 구조의 펌프이다.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특정 성분 및/또는 이의 특정 함량 범위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펌프 토출구에서 굳지 않고, 따라서 토출 안정성을 발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일 양태의 치약 조성물,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및 또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펌프 토출구에서 굳지 않고, 토출 안정성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굳(는)다'는 치약 조성물의 단단해짐(hardness) 또는 경도 크기 증가를 의미하는 것으로, 타 물체를 이용해 치약 조성물에 압력을 가했을때 치약 조성물의 변형에 대한 저향력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한다.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굳기'를 측정 내지 평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방법에 제한되지 않으나, 예컨대, 탐침봉(둥근 모양의 펜)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굳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 또는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0.4~2cm probe 로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치약 조성물을 토출한 후 펌프의 펌프압을 측정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굳지 않(는)다'는 치약 조성물의 단단해짐(hardness) 또는 경도 크기 증가가 없거나 그 정도가 적은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탐침봉(둥근 모양의 펜)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굳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의하면, 60에서 48시간 동안 토출한 치약 조성물을 건조한 후 압력을 가했을 때 치약 조성물에 흠집이 나거나 내용물 안으로 탐침봉이 들어가는 경우 '굳지 않는'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예컨대,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0.4~2cm probe 로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60 에서 48시간 동안 토출한 치약 조성물을 건조한 후 측정한 압력강도에서 5g 이하를 나타내는 경우 '굳지 않는' 것으로 평가한다. 또한, 예컨대,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치약 조성물을 토출한 후 펌프의 펌프압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치약 조성물을 토출한 후 60 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펌프 압을 측정하였을 때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내는 경우 '굳지 않는' 것으로 평가한다.
후술할 일 양태의 치약 조성물,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및 또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펌프형 치약 조성물은 펌프 토출구에서 굳지 않는바, 예컨대, 탐침봉(둥근 모양의 펜)을 이용하여 압력을 가했을 때 굳는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 의하면, 60에서 48시간 동안 토출한 치약 조성물을 건조한 후 압력을 가했을 때 치약 조성물에 흠집이 나거나 내용물 안으로 탐침봉이 들어간다. 또한,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0.4~2cm probe 로 압축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60 에서 48시간 동안 토출한 치약 조성물을 건조한 후 측정한 압력강도에서 5g 이하를 나타낸다. 또한,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치약 조성물을 토출한 후 펌프의 펌프압을 측정하는 방법에 의하면, 치약 조성물을 토출한 후 60 에서 6시간 동안 건조한 후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펌프 압을 측정하였을 때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토출 안정성'은 치약 조성물이 '굳지 않는' 경우 발휘되는 효과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점도 변화 등으로 굳어지는 현상이 없다.
바람직하게, 후술할 본 발명에 따른, 일 양태의 치약 조성물,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및 또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점도는 5,000cP 내지 30,000cP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점도'는 치약 조성물의 점성 크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점도 유지력'은 제조 시 치약이 가지는 점도가 최소 2년 후에도 일정하게 유지되는 정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점도 유지력은 25, 20rpm, 5 cycle 조건에서, BrookField, RVT형 7번 스핀들 또는 RV-5로 점도를 측정하였을 때, 조성물의 점도 변화가 제조 시와 비교하여 최소 2년 후에 약 100 내지 15,000 cP 정도인 것을 의미한다.
일 양태로,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고형 연마제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하이고, 물의 함량이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7 중량% 미만인,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치약 조성물의 건조가 일어나는 이유가 조성물 내에 함유되어 있는 물이 증발하면서 내용물 중 고형분, 특히 고형 연마제가 발현되었기 때문에 있음을 확인하고, 고형 연마제 대비 물의 함량비를 높임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구체화하였다.
상기 '연마제'는 구강 내에서 치태(플라그)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물질로써, 치아 플라그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단단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치약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나, 펌프를 마모시키고 펌프 토출구를 굳게한다. 상기 연마제는 모스 경도 1~6 정도, 바람직하게 모스 경도 3~6 정도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형 연마제에는 당업계에서 치약 조성물의 고형 연마제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침강 실리카, 탄산칼슘, 인산수소칼슘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형 연마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하이고, 예컨대, 30 중량% 이하, 20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예컨대, 0.1 중량% 이상일 수 있으며, 0.1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일 수 있으며, 0.5 중량% 이상 40 중량% 이하, 0.5 중량% 이상 20 중량% 이하일 수 있다. 40 중량% 를 초과하면, 치약 조성물의 토출구에서의 굳음 현상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물'은 치약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들의 용매 역할을 하는 물질로써, 상기 물에는 에컨대, 상수를 증류하거나 이온교환수지를 통하여 정제한 정제수, 증류수, 멸균정제수, 주사용수, 상수 등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멸균정제수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물의 함량은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 7 중량% 미만, 6 중량% 미만일 수 있다. 또는 3중량% 이상 10 중량% 미만, 5 중량% 이상 7 중량% 미만일 수 있다. 10 중량% 이상인 경우, 치약 조성물의 토출구에서의 굳음 현상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형 연마제 대비 물의 함량비는 1: 0.1 이상, 바람직하게 1: 0.1 - 1 일 수 있다. 1: 0.1 미만의 경우, 치약 조성물의 토출구에서의 굳음 현상이 일어난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고형 연마제 및 물 외에 당업계에 치약 조성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로, 그 제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성분들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 고형 연마제 외에 고형 성분은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1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 0 중량%(즉, 전혀 포함하지 않음)의 함량인 것을 의미한다.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HLB 값이 16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면, 치약 조성물 토출시 상기 계면활성제의 소수성기가 바깥쪽으로 배열하면서 소수성 배열(hydrophobic array)이 형성되는 현탁상태가 되고, 따라서 내용물 중의 물이 표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여, 굳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인해 형성되는 소수성 배열의 현탁상태는 스트로 및 펌프 피스톤에 적용되는 고분자와 접촉시 피스톤의 마모를 줄여주고, 따라서 펌핑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구체화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HLB'는 친수성-친유성 비(hydrophile-lipophile balance)의 약자로, 계면활성제의 친수성과 친유성의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HLB가 크면 친수성의 비율이 크고 작으면 친수성의 비율이 작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 당업계 치약 조성물에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monooleate) (상품명 : PEG 400 모노올레이트),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monostearate) (상품명 : PEG 400 모노스테아레이트), 포타슘 올레이트(Potassium oleate), 소듐 올레이트(Sodium oleat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상품명: Span® 20),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상품명: Span® 4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상품명: Span® 60),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상품명: Span® 65),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상품명: Span® 80),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상품명: Span® 85), 트리에탄올라민 올레이트(Triethanolamine ole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상품명: Tween® 21),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상품명: Tween® 40),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상품명: Tween® 60, Tween® 61),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stearate) (상품명: Tween® 65),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상품명: Tween® 80, Tween® 81),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상품명: Tween® 85)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0.1 - 5 중량% 이다. 상기 중량 범위 내에서 치약 조성물의 굳음 현상을 억제할 수 있고, 피스톤의 마모를 억제하여 펌핑 안정성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비중이 0.8 - 0.99 인 유기오일을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치약 조성물 중 펌프형 용기, 특히 딥펌프가 장착된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사용하는 펌프형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건조 방지를 위해 액제의 조성을 높이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나, 펌프 토출구에서는 오히려 내용물 중에 포함된 수분 및 휘발성 유기물이 기화하면서 펌프 토출구를 굳게 만드는 원인이 된다는데 착안하여, 본 발명을 구체화하였다.
이에, 펌프용 치약 조성물에 비중이 0.8 - 0.99인 오일을 함유하면, 펌프 토출구에서 소수성인 오일이 공기 쪽으로 배향하면서 펌프용 치약 조성물 내의 물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해 주어 토출구의 굳음 현상을 해결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오일은 연마제에 의한 마찰력을 낮추어 줄 수 있기 때문에 연마제와의 마찰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펌프의 손상을 최소화 함으로써 펌프의 수명을 늘려 줄 수 있는 효과 또한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어 '비중(specific gravity)'은 체적에 대한 무게의 비를 의미하며, 어떤 온도에서 어떤 체적을 점하는 물질의 질량과 같은 온도, 같은 체적인 표준물질의 질량과의 비를 의미한다. 비중의 단위는 g/cm3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0.8 - 0.99 비중'은 20 - 25 에서 체적을 점하는 유기오일의 질량과 같은 온도, 같은 체적인 정제수의 질량과의 비가 0.8 - 0.98 인 것을 의미한다. 이때 0.98 초과 비중의 물질을 사용하면 제형의 하단부에 가라 앉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0.8 미만의 비중을 가진 오일을 사용할 경우에는 쉽게 휘발하여 제형의 안정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비중이 0.8 - 0.99인 오일에는 당업계 치약 조성물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제한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코코넛유, 면실유, 올리브유, 해바라기유, 미강유, 콘유, 팜유, 팜핵유, 땅콩유, 홍화유, 피마자유, 카놀라유, 포도씨유, 아보카도오일, 호도유, 정향유, 페퍼민트유, 스피아민트유, 바닐린유, 아니스, 아네톨 오일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코코넛유은 15에서 0.925, 20에서 0.919, 면실유는 16에서 0.926, 25에서 0.915-0.921, 올리브유는 15에서 0.918, 15.5에서 0.915-0.918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은 유기 오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은 실온에서 액상인 액상 오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중이 0.8 - 0.99 인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3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 0.3 - 20 중량%이다. 가장 바람직하게, 0.3 - 10 중량% 이다. 상기 중량% 범위 내에서, 치약 조성물의 굳음 현상을 해소하는데 효과적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는 비중이 0.8 - 0.99 인 오일 외에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유화제 중 특히 라우릴황산나트륨(SL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 실시예에 따라, 라우릴황산나트륨은 계면활성제로써 치약에 오일 유화를 도와 줄 뿐만 아니라 소비자에게 기포감을 제공할 수 있어 오일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양치후 미끈거림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치약 조성물에 포함된 오일을 유화하는데, 상기 유화되는 오일 외의 오일이 공기 쪽으로 배향하면서 펌프용 치약 조성물 내의 물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해 주어 토출구의 굳음 현상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유화제로 라우릴황산나트륨(SLS)을 선택하면, 치약 조성물 내에 포함된 오일 중 유화되는 오일 외에 공기 쪽으로 배향될 수 있도록 한다는데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중이 0.8 - 0.99 인 오일의 총 중량 대비 조성물에 포함되는 계면활성제의 총 중량은 0.1-7 중량%, 바람직하게 0.5-3 중량% 이다. 0.1 중량& 미만의 경우, 치약 조성물 굳음 현상을 해소할 수 없고 사용 후 치아의 미끈거림을 제거할 수 없고, 7 중량% 초과의 경우, 양치할 때 구강점막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술한 일 양태의 치약 조성물,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및 또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는 상기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하는 성분들 외에, 당업계에 치약 조성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로, 그 제형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연마제, 윤활제, 착향제, 감미제, 약효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기포제, 증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기 각 성분 및 이들에 대해 기재되어 있는 함량 범위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 및 함량%를 기재한 것이므로, 그 제형 및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일 양태의 치약 조성물,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및 또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기재된 성분 및 이의 함량 범위와 상반되거나 배치되는 기재가 있다면, 상술한 기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일 양태의 치약 조성물,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및 또 다른 양태의 치약 조성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펌프형 치약 조성물, 및 상기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담지되는 펌프형 용기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치약은 굳지 않으며, 예컨대 치약 토출 후 60 에서 6시간 건조한 후 텍스처 분석기(Texture analyzer)를 이용하여 펌프압을 측정하였을 때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칫솔에 토출된 치약 조성물이 칫솔 속으로 스며들어 치아에 대한 발림성이 개선되고, 궁극적으로는 구강 내에서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약효성분 전달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굳음 현상 없이 토출 안정성이 확보되고, 이에 용기 특성상 외부대기의 자유로운 이동으로 인해 토출구 굳음 문제가 두드러지는 디스펜서 펌프(딥펌프)를 장착한 펌프형 용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여 사용 편리성까지 확보할 수 있는, 상품 가치가 우수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하기 II.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실시예 7, 실시예 8, 및 비교예 1)의 기포 만족도와 기포 질감 만족도를 평가한 값을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I.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제조예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정제수, 액상폴리올, 향료, 약효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사카린, 계면활성제 등 분말 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1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1
실험예 1-1. 제조 치약의 점도 ( 부룩필드점도계를 이용한 점도 측정)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과 같이 제조한 치약에 대하여, 상온(25)에서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브룩필드점도계 RVT형으로 스핀들 7번을 이용하여 분당 20회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점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았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2
비교예 1은 고점도를 나타내는 반면에,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5,500 내지 4만 cP의 범위 내의 점도를 나타냈다.
실험예 1-2. 칫솔모에 스며드는 정도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과 같이 제조한 치약을, 실시예 1 내지 5의 젤상의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용기에 담고 비교예 1의 페이스트상의 치약 조성물은 튜브에 담아, 홀간격(칫솔모와 칫솔모 사이의 간격) 1.5mm인 칫솔에 토출하여, 칫솔모에 치약을 안착하고 10초 이후에 칫솔모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치약이 전개하는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3
비교예 1에 따른 페이스트 치약은 칫솔모에 스며들지 않는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칫솔 간극 사이로 1 - 2 mm 깊이로 칫솔모에 스며든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과 같이 제조한 치약을, 실시예 1 내지 5의 젤상의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용기에 담고 비교예 1의 페이스트상의 치약 조성물은 튜브에 담아, 홀간격(칫솔모와 칫솔모 사이의 간격)이 2mm인 칫솔에 토출하여, 칫솔모에 치약을 안착하고 10초 이후에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았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4
비교예 1에 따른 페이스트 치약은 칫솔모에 스며들지 않는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 칫솔 간극 사이로 1.5 - 5 mm 깊이로 칫솔모에 스며든 것을 알 수 있었다.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간격이 큰 칫솔을 사용할수록, 비교예과 실시예 간의 칫솔모 스며듦의 차이가 현격히 나타냈다.
상기 표 3 및 표 4의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에 비해 실시예 1 - 5에 따른 치약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칫솔에 토출하면 칫솔모에 잘 스며들고, 따라서 칫솔질을 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구강 내에 약효성분을 전달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II.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제조예 2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5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정제수, 액상폴리올, 향료, 약효제, 계면활성제, 결합제, 사카린, 계면활성제 등 분말 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1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5
실험예 2-1. 제조 치약의 점도 ( 부룩필드점도계를 이용한 점도 측정)
상기 표 5의 실시예 1 내지 24와 비교예 1 내지 4과 같이 제조한 치약에 대하여 상온(25)에서 점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브룩필드점도계 RVT형으로 스핀들 7번을 이용하여 분당 20회전의 회전속도로 회전하면서 점도 값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았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6
비교예 1 내지 4 및 실시예 1 내지 24, 모두 4만 cP이하 범위 내의 점도를 나타냈다.
실험예 2-2. 칫솔모에 스며드는 정도
상기 표 5의 실시예 1 내지 24와 비교예 1 내지 4과 같이 제조한 치약을 펌프형 용기에 담아 홀간격(칫솔모와 칫솔모 사이의 간격) 1 ~ 1.5mm인 칫솔에 토출하여, 칫솔모에 치약을 안착하고 10초 이후에 칫솔모의 상단에서 하단으로 치약이 전개하는 침투 깊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과 같았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7
비교예 1-4에 따른 페이스트 치약은 적절한 점도를 나타내기는 하나, 침투깊이는 실시예 1 내지 24에 비해 현저히 떨어졌다. 이를 통해,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 탄성계수가 높은 것으로 예상되었다.
실험예 2-3. Tan δ (Loss modulus(G')/Elastic Modulus(G")
Paar Physica 유변학 측정기를 이용하여 진폭왕복 진동 시험(Amplitude sweep oscillation test)을 실시하였는바, Shear Stress(전단응력) 1 일 때 탄성계수와 점성계수를 읽고 이것에 대한 Tan δ 값을 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8
Tan δ의 값이 클수록, 점성 계수가 높은 고분자를 사용함으로써 치약의 점도가 올라간다 할지라도 흐름성을 가질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표 8에 따르면, 실시예의 경우 비교예에 비해 Tan δ의 값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4. 풍만감 측정
실시예 7과 8과 비교예 1에 따른 치약을 평가집단에게 사용하게 한 후 양치시 풍만감의 평가 척도가 되는 속성에 대한 설문 평가를 진행하였다. 설문은 5점 척도로 진행하였으며 1점이 질감에 대한 만족이 낮은 것이며 5점이 높은 것으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를 사용한 경우 기포 질감 및 기포에 대한 만족도가 비교예에 비하여 높음을 확인하였다.
III.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제조예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9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정제수, 액상폴리올, 향료, 약효제, 산탄검, 사카린,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 분말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1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09
실험예 3-1. 펌프형 치약 토출 후 굳는 시간
상기 표 9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24 well plate에 충진한 후 팬(fan)이 장착되어 있는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60,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그 다음, 탐침봉(둥근 모양의 펜)을 이용하여 치약에 압력을 가했을 때 굳기 정도를 확인하여 치약의 굳음 정도를 평가하였다.
굳기 정도는 내용물에 자국이 나지 않을 정도고 굳은 경우를 '굳음'으로 표기하고, 내용물에 흠집이 나거나 내용물 안으로 탐침봉이 들어가는 경우를 '굳지않음'으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0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0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은 모두 '굳음'으로 나타낸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6은 '굳지않음'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2. 압축강도 TEST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상기 표 9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채워 60에서 48시간 건조 후 0.4~2cm probe로 치약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 5g 이하를 나타내는 것은 굳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g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에는 표면이 굳어 압축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를 표 11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1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6은 모두 '5g 이하'의 압축강도를 나타나는데 반해, 비교예 1 내지 3은 5g 이상의 압축강도를 나타내 표면이 굳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3. 펌프 입구 굳음 현상 관찰 시험
상기 표 9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펌프형 용기에 담고, 이러한 펌프형 치약의 펌프를 토출하고 난 후 60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그 다음,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를 이용하여 펌프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2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2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6은 모두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내는데 반해, 비교예 1 내지 3은 3kg 이상의 토출압을 나타내는바 입구가 굳어 토출압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었다.
IV.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제조예 4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3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정제수, 액상폴리올, 향료, 약효제, 산탄검, 사카린, 방부제, 계면활성제(HCO40, HLB 12.5; TWEEN 60, HLB 14.9; 및 SPAN 80, HLB 4.3) 등 분말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1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3
실험예 4-1. 성상 안정성
과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비교예 2의 경우, 치약의 성상을 유지하지 못하고 변형되었다. 따라서, 이후 실험들에서 평가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실험예 4-2. 펌프형 치약 토출 후 굳는 시간
상기 표 13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24 well plate에 충진한 후 팬(fan)이 장착되어 있는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60,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그 다음, 탐침봉(둥근 모양의 펜)을 이용하여 치약에 압력을 가했을 때 굳기 정도를 확인하여 치약의 굳음 정도를 평가하였다.
굳기 정도는 내용물에 자국이 나지 않을 정도고 굳은 경우를 '굳음'으로 표기하고, 내용물에 흠집이 나거나 내용물 안으로 탐침봉이 들어가는 경우를 '굳지않음'으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4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4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은 '굳음'으로 나타나는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12는 '굳지않음'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3. 압축강도 TEST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상기 표 13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채워 60에서 48시간 건조 후 0.4~2cm probe로 치약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 5g 이하를 나타내는 것은 굳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g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에는 표면이 굳어 압축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를 표 15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5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12는 모두 '5g 이하'의 압축강도를 나타나는데 반해, 비교예 1은 5g 이상의 압축강도를 나타내 표면이 굳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4. 펌프 입구 굳음 현상 관찰 시험
상기 표 13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펌프형 용기에 담고, 이러한 펌프형 치약의 펌프를 토출하고 난 후 60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그 다음,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를 이용하여 펌프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6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6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12는 모두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내는데 반해, 비교예 1은 3kg 이상의 토출압을 나타내는바 입구가 굳어 토출압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었다.
V. 펌프형 치약 조성물의 제조예 5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7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정제수, 액상폴리올, 향료, 약효제, 산탄검, 사카린, 방부제, 계면활성제 등 분말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1 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7
실험예 5-1. 성상 안정성
계면활성제 없이 오일만 과량 포함하는 비교예 3의 경우, 안정성에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후 실험들에서 평가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실험예 5-2. 펌프형 치약 토출 후 굳는 시간
상기 표 17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24 well plate에 충진한 후 팬(fan)이 장착되어 있는 드라이 오븐(dry oven)에서 60, 48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그 다음, 탐침봉(둥근 모양의 펜)을 이용하여 치약에 압력을 가했을 때 굳기 정도를 확인하여 치약의 굳음 정도를 평가하였다.
굳기 정도는 내용물에 자국이 나지 않을 정도고 굳은 경우를 '굳음'으로 표기하고, 내용물에 흠집이 나거나 내용물 안으로 탐침봉이 들어가는 경우를 '굳지않음'으로 표기하였다. 그 결과를 표 18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8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는 '굳음'으로 나타나는데 반해, 실시예 1 내지 7은 '굳지않음'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3. 압축강도 TEST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를 이용하여, 24 well plate에 상기 표 17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채워 60에서 48시간 건조 후 0.4~2cm probe로 치약의 압축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시 5g 이하를 나타내는 것은 굳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5g 이상의 힘을 받는 경우에는 표면이 굳어 압축강도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 결과를 표 19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19
상기 결과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7은 모두 '5g 이하'의 압축강도를 나타나는데 반해, 비교예 1 및 2는 5g 이상의 압축강도를 나타내 표면이 굳은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4. 펌프 입구 굳음 현상 관찰 시험
상기 표 17의 실시예과 비교예와 같이 제조한 치약 조성물을 펌프형 용기에 담고, 이러한 펌프형 치약의 펌프를 토출하고 난 후 60에서 6시간 건조하였다. 그 다음, 텍스쳐 분석기(texture analyzer) 를 이용하여 펌프압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0에 기재하였다.
Figure PCTKR2018000485-appb-T000020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7은 모두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내는데 반해, 비교예 1 및 2는 3kg 이상의 토출압을 나타내는바 입구가 굳어 토출압이 상승했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9)

  1.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monooleate), 폴리옥시에틸렌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monostearate), 포타슘 올레이트(Potassium oleate), 소듐 올레이트(Sodium oleate),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Sorbitan monolaurate),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Sorbitan monopalmitate),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Sorbitan monostearate),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Sorbitan tristearate),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Sorbitan monooleate),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Sorbitan trioleate), 트리에탄올라민 올레이트(Triethanolamine ole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라우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laur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팔미테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palmit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스테아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stear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모노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monooleate),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트리올레이트(Polyoxyethylene sorbitan trioleate) 또는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HLB 값이 16 이하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소수성 배열(hydrophobic array)이 형성된 현탁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에 포함된 연마제의 함량의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4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형 용기의 펌프는 딥펌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을 텍스쳐 분석기를 이용하여 60℃에서 5시간 건조 후 0.4~2cm probe 로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을 때 5g 이하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펌프형 치약 조성물, 및 상기 펌프형 치약 조성물이 담지되는 펌프형 용기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형 치약에 대하여 치약 토출 후 60℃ 에서 6시간 건조한 후 텍스쳐 분석기를 이용하여 펌프압을 측정하였을 때 3kg 이하의 토출압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치약.
PCT/KR2018/000485 2017-01-23 2018-01-10 펌핑형 치약 조성물 WO2018135797A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79,080 US10842722B2 (en) 2017-01-23 2018-01-10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N201880006835.4A CN110167526B (zh) 2017-01-23 2018-01-10 泵压式牙膏组合物
RU2019126290A RU2778519C2 (ru) 2017-01-23 2018-01-10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насосного типа
JP2019538652A JP7118978B2 (ja) 2017-01-23 2018-01-10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EP18741570.8A EP3572067A4 (en) 2017-01-23 2018-01-10 PUMP-LIKE TOOTHPASTE COMPOSITION
AU2018210626A AU2018210626B2 (en) 2017-01-23 2018-01-10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US17/075,135 US20210030644A1 (en) 2017-01-23 2020-10-20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589A KR102060426B1 (ko) 2017-01-23 2017-01-23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17-0010574 2017-01-23
KR1020170010574A KR102015394B1 (ko) 2017-01-23 2017-01-23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17-0010589 2017-01-23
KR1020170026686A KR102203838B1 (ko) 2017-02-28 2017-02-28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17-0026686 2017-02-28
KR1020170026651A KR101880846B1 (ko) 2017-02-28 2017-02-28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17-0026651 2017-02-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6/479,080 A-371-Of-International US10842722B2 (en) 2017-01-23 2018-01-10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US17/075,135 Continuation-In-Part US20210030644A1 (en) 2017-01-23 2020-10-20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35797A1 true WO2018135797A1 (ko) 2018-07-26

Family

ID=6290853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410 WO2018135791A1 (ko) 2017-01-23 2018-01-09 펌핑형 치약 조성물
PCT/KR2018/000485 WO2018135797A1 (ko) 2017-01-23 2018-01-10 펌핑형 치약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8/000410 WO2018135791A1 (ko) 2017-01-23 2018-01-09 펌핑형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42722B2 (ko)
EP (1) EP3572067A4 (ko)
JP (1) JP7118978B2 (ko)
CN (1) CN110167526B (ko)
AU (1) AU2018210626B2 (ko)
WO (2) WO20181357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1525A (zh) * 2019-06-28 2020-12-29 株式会社Lg生活健康 泵型牙膏容器及牙膏组合物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131A (ja) * 1993-10-29 1995-05-1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H1087457A (ja) * 1996-09-14 1998-04-07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JP2001031542A (ja) * 1999-07-21 2001-02-06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WO2008042279A2 (en) * 2006-09-29 2008-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gel networks
KR20140146985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상 치약 조성물
KR20170010589A (ko) 2015-07-20 2017-02-01 아이겐 이노베이션 아게 어깨 조인트 지지부를 갖는 골프 의류
KR20170010574A (ko) 2015-07-20 201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영상처리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70026651A (ko) 2011-09-09 2017-03-08 인텔 코포레이션 메모리 장치에서의 경로 분리
KR20170026686A (ko) 2015-08-26 2017-03-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92856A (en) * 1955-06-08 1957-05-21 Lela Coppage Pump-type toothpaste dispenser
FR2263753B1 (ko) * 1974-03-12 1978-07-21 Roeck Yannick De
JPH0739508B2 (ja) * 1986-11-11 1995-05-01 株式会社林原生物化学研究所 プルラン・ポリエチレングリコ−ル会合物とその製造方法並びに用途
US5120528A (en) * 1991-06-12 1992-06-09 Block Drug Company, Inc. Taste preserving, mild oral hygiene compositions
WO1995022958A2 (en) * 1994-02-24 1995-08-31 Lingner + Fischer Gmbh Transparent liquid dentifrice
JPH10114636A (ja) * 1996-10-12 1998-05-06 Sunstar Inc ノンエアゾ−ル型泡状口腔用組成物
JP2008088144A (ja) 2006-10-05 2008-04-17 Lion Corp 歯磨剤の製造方法
SG173838A1 (en) 2009-04-02 2011-09-29 Colgate Palmolive Co Dentifrice composition
TWI539969B (zh) * 2009-10-14 2016-07-01 Sunstar Inc Composition for oral use
KR20110053021A (ko) 2009-11-13 2011-05-1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구강 양치액 조성물
CN104703659B (zh) * 2012-10-19 2017-09-22 高露洁-棕榄公司 牙膏组合物
JP5516796B2 (ja) 2013-05-23 2014-06-1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組成物
SG10201805232UA (en) * 2013-06-18 2018-08-30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Oral composition
WO2015016057A1 (ja) 2013-08-02 2015-02-05 ライオン株式会社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有する容器充填用歯磨剤組成物及び歯磨製品
KR20160029433A (ko) 2014-09-05 2016-03-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형 치약 용기
JP2016113371A (ja) * 2014-12-11 2016-06-23 ライオン株式会社 歯磨製品及びポンプ容器充填用歯磨剤組成物
KR20160131488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치약 조성물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131A (ja) * 1993-10-29 1995-05-1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JPH1087457A (ja) * 1996-09-14 1998-04-07 Sunstar Inc 口腔用組成物
JP2001031542A (ja) * 1999-07-21 2001-02-06 Nippon Zettoc Co Ltd 口腔用組成物
WO2008042279A2 (en) * 2006-09-29 2008-04-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Oral compositions containing gel networks
KR20170026651A (ko) 2011-09-09 2017-03-08 인텔 코포레이션 메모리 장치에서의 경로 분리
KR20140146985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상 치약 조성물
KR20170010589A (ko) 2015-07-20 2017-02-01 아이겐 이노베이션 아게 어깨 조인트 지지부를 갖는 골프 의류
KR20170010574A (ko) 2015-07-20 201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영상처리장치 및 그들의 제어방법
KR20170026686A (ko) 2015-08-26 2017-03-0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보일러의 온수 과열 방지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67526B (zh) 2023-08-22
AU2018210626B2 (en) 2023-12-14
RU2019126290A (ru) 2021-02-24
WO2018135791A1 (ko) 2018-07-26
EP3572067A4 (en) 2020-10-28
RU2019126290A3 (ko) 2021-05-12
JP2020505358A (ja) 2020-02-20
AU2018210626A1 (en) 2019-09-12
EP3572067A1 (en) 2019-11-27
CN110167526A (zh) 2019-08-23
US10842722B2 (en) 2020-11-24
JP7118978B2 (ja) 2022-08-16
US20190380928A1 (en) 2019-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31488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246287B1 (ko)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WO2018135797A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26942B1 (ko) 액상 치약 조성물
KR10198454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WO2014204221A1 (ko) 구강용 조성물
JP2002234826A (ja) 口腔用組成物
JP2007001954A (ja) 歯磨組成物
KR102413711B1 (ko) 과산화수소 및 점증제를 분리된 형태로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203838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1539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60426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WO2018221837A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190096906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1880846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US20210030644A1 (en)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KR102474985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RU2778519C2 (ru) Композиция зубной пасты насосного типа
KR102207880B1 (ko) 포스페이트가 과포화된 킬레이트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성물
KR102071361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294485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89534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44938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20170026439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206158B1 (ko) 늘어나는 성질 및 굳음성을 개선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87415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538652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415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210626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80110

Kind code of ref document: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