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534B1 - 펌프형 치약 조성물 - Google Patents

펌프형 치약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534B1
KR102089534B1 KR1020170067843A KR20170067843A KR102089534B1 KR 102089534 B1 KR102089534 B1 KR 102089534B1 KR 1020170067843 A KR1020170067843 A KR 1020170067843A KR 20170067843 A KR20170067843 A KR 20170067843A KR 102089534 B1 KR102089534 B1 KR 10208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mp
toothpaste composition
type
composition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1174A (ko
Inventor
이지혜
문교태
유아람
하원호
황성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70067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534B1/ko
Priority to EP18809030.2A priority patent/EP3632405A4/en
Priority to US16/617,312 priority patent/US11771642B2/en
Priority to CN201880034700.9A priority patent/CN110709049A/zh
Priority to PCT/KR2018/002032 priority patent/WO2018221837A1/ko
Priority to JP2019566159A priority patent/JP2020521792A/ja
Publication of KR20180131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534B1/ko
Priority to JP2022021164A priority patent/JP7317433B2/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8Tocopherol, i.e. vitamin 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1Cellulose; Quaternized cellulose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투명한 제형의 상품 가치가 우수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펌프형 치약 조성물{Pumping type toothpaste composition}
본 발명은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펌프형 용기에 담지하여 제공되기 위한 치약 조성물로서,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및 치아의 세정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약 조성물은 페이스트상, 분말상, 젤상/점액상 또는 액상으로 된 제품이 유통되고 있고, 그 사용 및 취급상에는 일정한 장단점이 있다.
미국 콜게이트사에서 최초 개발된 페이스트상 치약은 알루미늄 튜브에 담겨 판매되었고 1970년대까지도 이러한 알루미늄 튜브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페이스트상 치약의 용기가 현대와 같이 알루미늄이 적층필름 재질로 개발된 것은 고분자 및 고분자 가공 기술의 발전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튜브형태의 치약은 점도가 높고 연마제 성분에 의한 치아 에나멜층의 손상을 유발시킬 가능성이 높고 사용시에 짜내기가 불편할 뿐만 아니라 용기내의 제품을 완벽하게 사용할 수 없어서 폐기되는 용기에도 잔량의 치약이 남게 되고 환경오염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등 여러가지 불편이 많은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치약의 풀림성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기에 흐르는 특성을 가지는 액상 치약 제품이 출시되었으나 너무 잘 흐르는 경우 칫솔 위에서 흘러 치약제품 내에 약물을 치아 및 잇몸에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구강균의 억제 및 구취 제거의 기능을 수행하는 구강 가글제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세정성분이 부족하고 쉽게 흘러내리는 문제점으로 인해 구강내 플라그의 제거 및 구강균 제거 등의 충분한 양치질의 효과를 발휘할 수 없었다. 소비자의 사용자 편리성 증진을 위하여 다음으로 적용된 것이 진공펌프 형의 플라스틱 용기를 적용하여 고점도의 페이스트를 토출할 수 있도록 하는 시도가 있었으며, 일부 제품은 시판중에 있으나 가격적인 문제 및 기존 페이스트 치약의 풀림성이 약한 특성 등이 상존하고 있다. 또한, 분말상은 그 사용중에 입자가 분사되거나 비산되므로 사용상에 불편함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25326호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로서,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로서,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보다 상세히 기술한다.
종래, 튜브형 치약의 경우 불투명한 튜브에 담겨 유통되므로, 칫솔 위에 토출했을때 투명한 수준 정도의 투명도 만으로도 충분하지만, 펌핑형 치약의 경우 투명한 펌핑용기에 담겨 유통되므로 용기 내부에 있는 상태에서도 투명해보여야 하고, 따라서 투명도를 크게 높일 필요가 있었다.
이에, 종래 투명한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온 방법인 실리카계 연마제를 주연마제로 하고 연마제의 굴절율과 첨가되는 성분들의 굴절율이 유사하도록 배합하여 투명하게 보이도록 하는 기술만으로는 충분한 투명도 달성이 어려웠다.
본 발명자들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에서, 연마제를 사용하지 않고, HLB 14 ~ 23인 계면활성제를 가용화제로 사용하면, 투명한 제형의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펌프형'은 용기의 누름부를 이용한 펌프작용을 통해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을 토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간단히 배출시킬 수 있는 구조를 말한다. 구체적으로 용기 내부에 있는 치약 조성물을 피스톤의 펌프작용을 통해 용기 외부로 배출시켜 사용하는 구조를 의미하며, 즉, 상기펌프작용으로 용기 내부에 장착된 피스톤에 의해서 내용물이 용기의 내부 하단에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은 예컨대, 겔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겔상'은 기존의 묽은 제형의 액상 치약 및 고점도의 페이스트 치약는 구별하기 위한 개념으로 사용된 것이다. 상기 겔상은 기존 액상 제형과는 차별되는 제형으로, 액상치약에 비해서 끈적이는 정도가 크고, 점성이 있는 제형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겔상의 치약은 탄성이 있으며, 액상 치약에 비해 견고성이 있는 제형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겔상 치약은 페이스트형의 치약에 비해서는 점도가 낮아서 유동성이 있고, 흐름성이 있어 내용물을 외부로 용이하게 토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탄성'은 외부 힘에 의하여 변형을 일으킨 물체가 힘이 제거되었을 때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 가려는 성질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려고 하는 물체의 특성을 의미하는 넓은 개념으로 사용되었다. 즉, 치약 조성물을 토출구에서 토출한 후에 최초 모양을 유지하려고 하는 모든 성질을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로서, 가용화제를 포함하되, 연마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은 가용화제를 포함하고, 상기 가용화제로 HLB 14 ~ 23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은 물질을 가용화하는 것으로서, HLB 14 ~ 23인 계면활성제를 사용한다.
상기 HLB (Hydrophile-Lipophile Balance) 는 계면활성제가 물과 기름에 대한 친화성 정도를 나타내는 값이며, HLB 는 그 값이 작을수록 분자 전체로서 친유성이 강하고, 그 값이 커질수록 친수성이 강한 것을 나타낸다. HLB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HLB = 20×친수기의 분자량/전분자량
HLB 14 ~ 23인 계면활성제로서 당업계에 치약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공지된 것이라면, 모두 가용화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예컨대, 폴리글리세릴-3 메칠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올레스-10, 올레스-10/폴리옥실 10 올레일에스터 NF, 세레스-10, PEG-8 라우레이트, 코카마이트 MEA,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40(HCO 40),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60(HCO 60), 폴록사머 184, 폴록사머 407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며, 바람직하게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40(HCO 40), 폴록사머 407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40(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HCO 40)은 비이온계면활성제로,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제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피마자유의 2중 결합에 수소를 첨가한 경화피마자유에 에틸렌옥사이드(EO)를 부가중합하여 합성될 수 있고, 또는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을 이용할 수도 있다. (HLB는 약 12.5)
상기 폴록사머 407 은 비이온계면활성제로 PPG 블록의 분자량(polyoxypropylene molecular mass)이 4,000 g/mol 이고 70% PEG(polyoxyethylene) 함량(content)을 갖는 PEG-PPG-PEG 블록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용화제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7 - 3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 1.3 - 2.5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 1.3 - 2.2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함량으로 가용화제를 사용하면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연마제를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용화제를 첨가하여도, 연마제를 포함하는 경우,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용어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다'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5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 1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 0.1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 0 중량%(즉, 전혀 포함하지 않음)로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구강 내에서 치태(플라그)를 제거하는 기능을 하는 물질로써, 치아 플라그의 제거 효율을 높이고 단단한 이물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사용되며, 모스 경도가 3~6 정도의 값을 나타낸다.
상기 연마제에는 당업계에서 치약 조성물의 연마제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모두 포함될 수 있고, 예컨대 인산일수소칼슘, 침강 실리카, 흄드실리카, 콜로이드성 실리카, 제올라이트, 탄산 칼슘, 함수 알루미나, 카오린, 셀룰로오스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이 포함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결합제 외에, 당업계에 치약 조성물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로, 그 제현 및 사용 목적에 따라, 착향제, 감미제, 약효제, pH조정제, 방부제, 결합제, 기포제, 증백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로 제공되는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지네이트 나트륨, 산탄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수성콜로이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건조에 의한 토출구 막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윤활제(폴리올, 글리세린 등)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착향제, 비타민 E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윤활제는 서로 접촉해서 미끄러지는 두면 사이의 마찰을 줄이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윤활제는 윤활작용을 하여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 중에 함유되어 있는 마모 특성을 나타내는 원료(연마제 등 고형분)에 의한 피스톤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윤활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글리콜,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글리콜 200 내지 600, 글리세롤, 프로필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액상 윤활제로, 석유계 기름, 동식물유, 합성윤활유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의 안정성 및 우수한 사용감 측면에서 액상 폴리올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윤활제는 액상 폴리올에 한정되지 않고, 고분자의 형태를 갖는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같이 일정 분자량 이상에서 고분자의 내부인력(intramolecular interaction)에 의하여 상온에서 고상으로 존재할 수 있지만 제조 온도의 조절을 통하여 액화가 가능하고 제품화하여 안정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고분자량 폴리올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소비자의 기호에 맞도록 착향제와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착향제는 구강에 잔류하며 지속적으로 향을 발산함으로써 상쾌감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한다.
착향제로는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등의 민트, 윈터그린, 메틸 살리실레이트, 유게놀, 메론, 딸기, 오렌지, 바닐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착향제는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제형이 가질 수 있는 기본적인 맛을 극복하기 위하여 감미제를 첨가할 수 있다. 감미제는 구강내 잔류하면서 지속적으로 맛을 제공해줌으로써 타액의 발생을 지속시켜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감미제로는 사카린, 수크랄로스, 설탕, 자일리톨, 솔비톨, 락토스, 만니톨, 말티톨, 에리쓰리톨, 아스파탐, 타우린, 사카린염, D-트립토판 등을 1 종 혹은 2 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카린염 중에서는 사카린나트륨이 가장 널리 사용된다. 감미제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의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약효제는 구강위생을 위하여 사용되는 약효제로는 충치 예방, 잇몸질환 예방, 치석 침착 예방, 미백 등의 효과가 있는 성분들을 사용할 수 있다. 충치 예방을 목적으로 사용하는 약효제에는 불소 이온을 포함한 미국 식품의약품 안전청에서 안전한 물질로 인정한 화합물이 포함된다. 불소 이온의 공급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은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불화암민을 들 수 있다. 불소의 함량은 국가에 따라 사용량의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850 내지 1500 ppm 범위의 불소 이온 농도를 갖도록 이들 공급원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재석회화제 역시 충치 예방제로 작용할 수 있다. 재석회화는 치아의 주요 구성 성분인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를 재생하고 복원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의 주성분은 2가의 칼슘 양이온과 인산 음이온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칼슘이온과 인산이온을 동시에 공급하거나 구강 내의 화학평형을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가 생성되는 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칼슘 2가 이온이나 인산 음이온 1 종 이상이 함유된 것이면 재석회화제로 될 수 있다. 칼슘과 인을 제공하는 물질은 원료상의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제2인산칼슘, 염화칼슘, 카제인 포스펩티드, 칼슘 글리세로포스페이트, 제1인산나트륨, 제2인산나트륨, 제3인산나트륨, 제1인산칼륨, 제2인산칼륨, 제3인산칼륨 등이 이에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재석회화제는 조성물 전체의 0.001 내지 2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1 중량% 미만에서는 재석회화 효과가 떨어지게 되고, 20 중량% 보다 많으면 제제가 본래 갖고 있는 성질을 잃게 된다. 구강 위생용품을 사용하는 목적 중 하나는 구강 내에 생존하고 있는 구강내 유해 미생물에 대한 살균 또는 항염 작용을 통하여 진행되고 있는 잇몸질환의 완화뿐만 아니라 잇몸질환을 미리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는 항균제로 알려진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사이클로헥시딘, 세틸피리디늄 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잔토리졸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항염 작용을 위하여 비타민류(e.g. 비타민 E)와 효소, 아미노카프로산, 알라토인 및 그 유도체 등도 사용될 수 있다. 약효제는 0.005 중량 % 내지 5 중량%를 함유할 수 있다. 약효제 함량이 0.005 미만인 경우에는 약효를 나타내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 함유하는 경우에는 기본 베이스의 맛을 변화시키는 단점이 있다. 잇몸 질환 이외에도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과산화수소, 카바마이드 퍼옥사이드, 칼슘 퍼옥사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치석 침착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하여 피로인산나트륨, 산성 피로인산나트륨, 피로인산칼륨, 메타인산나트륨 등도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이들 약효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의 0.001 내지 10 중량% 범위에서 사용한다.
pH조정제로는 인산, 인산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호박산, 호박산나트륨, 주석산, 주석산 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강용 조성물의 산성도는 일반적으로 5 내지 8이다.
방부제로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 용할 수 있다.
기포제로는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알킬살루코시네이트, 라우릴살루코시네이트,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나트륨염, 미리스리토일 글루나메이트 나트륨염,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폴리엑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의 공중합체(폴록사머) 등의 음이온, 양쪽성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증백제로는 산화티탄을 사용하며 일반적으로 0.1% 내지 2 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의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연마제 및 선택적으로 약효제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들을 1차적으로 혼합하며, 이때 가용화제 및 비수용성 성분들을 포함하는 성분들을 혼합하며, 그 다음 연마제 및 선택적으로 약효제를 2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치약 조성물은 구강청정제, 의치세정제 등으로 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은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및 상기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이 담지되는 펌프형 용기를 포함하는 펌프형 치약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펌프형 용기에 담지해 제공 가능한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로서, 투명한 제형으로 우수한 상품 가치를 갖는 치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하기 실시예 등을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체적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을 완전히 분산시켜 1 차 혼합하였다. 이때, 비수용성 성분인 비타민 E와 향료는 가용화제인 HCO40, 폴록사머407, 폴리소르베이트20, 또는 옥틸도데세스-16을 함께 넣어 1차 혼합하였다. 그 다음에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진공 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가용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비교예 4의 경우에는 1차 혼합과정 없이 제조하였다.
Figure 112017052157350-pat00001
실험예 1. 치약의 투명도 측정
상기 표 1의 실시예 1 내지 3과 비교예 1 내지 6과 같이 제조한 치약에 대하여, 투명한 샬레에 치약을 1cm 두께로 넣은 후 word 바탕체 10 point에 대한 가독성으로 치약 투명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기재하였다.
가독성의 평가는 5명의 평가단 그룹이 글자를 정확하게 읽어내는 것을 기준으로 가독이 어느 정도 불가능한 경우는 불투명이라고 판단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투명도 투명 투명 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불투명
연마제를 함유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가용화제를 통해 비수용성 성분을 가용화시켜도 불투명하였으며, 비교예 4의 경우 연마제를 함유하지 않았다 해도 가용화 과정이 없어 불투명하였다.
이에 반해, 연마제를 포함하지 않고, 가용화제인 HCO40 또는 폴록사머407를 넣은 실시예 1 내지 3의 경우,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연마제를 포함하지 않고 가용화제를 포함하였지만, 폴리소르베이트20, 또는 옥틸도데세스-16를 넣은 비교예 5 및 비교예 6의 경우, 투명한 제형의 치약 조성물을 얻을 수 없었다.

Claims (7)

  1. 펌프형 용기에 담지되는 겔상 펌프형 치약 조성물로서,
    HLB 14 초과 ~ 23 이하인 계면활성제인 폴록사머를 가용화제로 포함하고, 연마제를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및 폴록사머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용화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7 중량% 이상 3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마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1 중량% 이하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약 조성물은 비타민 E, 향료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비수용성 성분;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알지네이트 나트륨, 산탄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친수성콜로이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 및 상기 펌프형 투명 치약 조성물이 담지되는 펌프형 용기를 포함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형 용기는 투명 용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형 투명 치약.
KR1020170067843A 2017-05-31 2017-05-31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8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43A KR102089534B1 (ko) 2017-05-31 2017-05-31 펌프형 치약 조성물
EP18809030.2A EP3632405A4 (en) 2017-05-31 2018-02-19 PUMP LIKE TOOTHPASTE COMPOSITION
US16/617,312 US11771642B2 (en) 2017-05-31 2018-02-19 Pumping type toothpaste composition
CN201880034700.9A CN110709049A (zh) 2017-05-31 2018-02-19 泵压式牙膏组合物
PCT/KR2018/002032 WO2018221837A1 (ko) 2017-05-31 2018-02-19 펌프형 치약 조성물
JP2019566159A JP2020521792A (ja) 2017-05-31 2018-02-19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JP2022021164A JP7317433B2 (ja) 2017-05-31 2022-02-15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843A KR102089534B1 (ko) 2017-05-31 2017-05-31 펌프형 치약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381A Division KR20200027490A (ko) 2020-03-06 2020-03-06 펌프형 치약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74A KR20180131174A (ko) 2018-12-10
KR102089534B1 true KR102089534B1 (ko) 2020-03-16

Family

ID=646705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843A KR102089534B1 (ko) 2017-05-31 2017-05-31 펌프형 치약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53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6465A1 (en) 2001-07-05 2004-07-29 Koichi Fujisawa Oral preparation
JP2004244384A (ja) 2003-02-14 2004-09-02 Pigeon Corp 歯磨き組成物
WO2015016057A1 (ja) * 2013-08-02 2015-02-05 ライオン株式会社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有する容器充填用歯磨剤組成物及び歯磨製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6131A (ja) * 1993-10-29 1995-05-16 Lion Corp 口腔用組成物
KR101984544B1 (ko) * 2013-06-18 2019-05-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26942B1 (ko) * 2013-06-18 2019-09-3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액상 치약 조성물
KR20140146984A (ko) * 2013-06-18 2014-12-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20160131488A (ko) * 2015-05-07 2016-11-1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20160125326A (ko) 2016-10-18 2016-10-31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펌프형 치약 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46465A1 (en) 2001-07-05 2004-07-29 Koichi Fujisawa Oral preparation
JP2004244384A (ja) 2003-02-14 2004-09-02 Pigeon Corp 歯磨き組成物
WO2015016057A1 (ja) * 2013-08-02 2015-02-05 ライオン株式会社 ポンプディスペンサーを有する容器充填用歯磨剤組成物及び歯磨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174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0841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20160131488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26942B1 (ko) 액상 치약 조성물
KR10198454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JP7317433B2 (ja) ポンプ型歯磨剤組成物
KR102089534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294485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200027490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71361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CN110167526B (zh) 泵压式牙膏组合物
KR102594171B1 (ko) 거품 치약 조성물
KR102203838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44938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102315453B1 (ko) 늘어나는 성질 및 굳음성을 개선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20170026439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1998594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102232713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1945392B1 (ko) 펌핑형 용기에 사용하기 위한 치약 조성물
KR102206158B1 (ko) 늘어나는 성질 및 굳음성을 개선한 펌프형 치약 조성물
US20210030644A1 (en)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KR101880846B1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KR102015394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102060426B1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20190096906A (ko) 펌핑형 치약 조성물
KR20180099578A (ko) 펌프형 치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