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3021A - 구강 양치액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 양치액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3021A
KR20110053021A KR1020090109806A KR20090109806A KR20110053021A KR 20110053021 A KR20110053021 A KR 20110053021A KR 1020090109806 A KR1020090109806 A KR 1020090109806A KR 20090109806 A KR20090109806 A KR 20090109806A KR 20110053021 A KR20110053021 A KR 201100530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oral
gum
gelling agent
visc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준
송준엽
하원호
안재현
장석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09010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3021A/ko
Publication of KR201100530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02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5Collagen; Gelatin; Keratin;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양치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겔화제를 함유하고 있으며, 온도가 25℃이고 frequency가 1Hz인 조건에서 oscillation 방법으로 점탄성(viscoelasticity)을 측정하였을 경우 strain(변형) 값이 10-3에서의 저장탄성률이 10 내지 105 P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양치액 조성물은 사용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고, 유효성분 및 향 발산력이 구강에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다.
점탄성, 저장탄성율, 양치액, 겔화제

Description

구강 양치액 조성물{Oral mouthwash composition}
본 발명은 구강 양치액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형성, 유동성 및 분산안정성이 개선되고, 사용시 유효성분 및 향이 오랫동안 구강에 잔존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구강 양치액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강 양치액은 치약과 달리 연마제를 함유하고 있지 않아 구강 내의 기계적인 청소효과를 기대할 수는 없으나, 입안 헹굼을 통한 청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구강 양치액은 그 조성물 내에서 특수한 효능을 갖는 성분, 예를 들면 항균효능을 갖는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999-020710호에는 구강청정제에 구강살균제, 치주 질환 억제제 및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구취억제용 구강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출원번호 제1999-006366호에는 구강용 액제 조성물에 청량제를 첨가하여 상쾌감 및 지속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구강용 액체 조성물에 대하여 게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들은 구강 양치액 사용시 구강용 조성물이 가지는 텁텁하고 쓴맛을 마스킹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향과 유효 성분들이 치약에 비하여 오랫동안 지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점탄성이 거의 없는 액상 구강양치액을 구강 내에 사용할 경우 내용물이 구강 주변, 의복 등에 흘러 더러워지는 경우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향 및 유효 성분의 효과 지속이 어려우며, 구강용 조성물의 불쾌한 맛을 마스킹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구강 양치액의 보형성, 유동성 및 분산안정성을 개선하고, 사용시 유효성분과 향이 오랫동안 구강에 잔존할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한 구강 양치액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겔화제를 함유하며, 25℃이고 진동수(frequency) 1Hz인 조건에서 진동(oscillation) 방법으로 점탄성을 측정하였을 경우 변형(strain) 값 10-3에서의 저장탄성율이 10 내지 105 Pa, 바람직하게는 저장탄성율이 10 내지 104 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구강 양치액 조성물과 달리 온도 및/또는 물리적 힘에 따라 물성이 달라지는 새로운 구강 양치액 조성물을 제공하며, 특히 겔화제를 구강 양치액에 배합하여 온도 및/또는 물리적 힘에 따라 겔 상(gel phase)과 졸 상(sol phase)사이에서 상변화하며, 일정한 점도를 가지는 겔링화된 구강 양치액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고, 보형성, 유동성 및 분산안정성을 개선되며, 사용시 유효성분 및 향이 오랫동안 구강에 잔존할 수 있다는 놀라운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측정 조건에서 다양한 저장탄성율을 갖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을 평가한 결과 10 Pa 미만에서는 액상으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 고 적어도 10 Pa 이상은 되어야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으며, 또한 105 Pa을 초과할 경우에는 점탄성이 너무 커서 구강 양치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에 있어 25℃에서 회전(rotation) 방법으로 점도 측정하였을 경우 변형률(shear rate) 값이 10-2 s-1인 경우의 점도가 100 내지 105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을 제공한다. 100 cP 미만에서는 액상처럼 흘러내리고, 105 cP를 초과하는 점도에서는 점도가 높아서 풀림성 등이 어렵고 구강 양치액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았다.
상기 특정 저장탄성율을 가진 구강 양치액 조성물은 통상적인 점탄성이 없는 순수한 액상형 양치액 조성물에 겔화제(또는 겔화제와 겔화제 함유 조성물을 안정화하기 위한 1가 또는 2가 이온인 무기 염류)를 첨가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겔화제는 통상 식품에 점도, 식감 등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나, 구강 양치액 조성물에 사용된 적은 없다.
이러한 겔화제로는 젤란검, 젤라틴,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알긴산, 아라비안검, 카라기난, 한천(agar), 펙틴, 산탄검, 레오직, 카보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메틸에틸셀룰로오스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겔화제의 함량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0 중량%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중량%이다.
젤란검은 음료, 두유 등에 펄프(pulp), 비드(bead) 등을 점도의 상승이 거의 없는 상태에서 현탁(suspension)시킬 수 있고, 야채주스의 분리현상을 방지하는 등 겔화제, 결착제, 분산제, 안정제 및 중점제로서의 사용이 알려진 물질로이다. 젤라틴은 동물의 가죽, 힘줄, 연골 등을 구성하는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뜨거운 물로 처리하여 얻어지는 유도 단백질의 일종으로 분자량이 15,000-25,000의 것으로 이루어지는 불균일 물질로 유기용매에 녹지 않으며, 접착제, 지혈제, 가공식품 등에 사용된다. 구아검은 콩과 구아 종자의 배유를 분쇄하여 얻어지거나 또는 이를 온수나 열수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갈락토만난으로 구성된 다당류로서 아이스크림, 디저트의 보형제, 스프류 등에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향상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로스트콩검은 음료, 주스에서 중점제로 사용되거나 또는 탄력 및 안정성을 주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 알려진 물질이다. 알긴산은 갈조류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다당류로 우론산 중합체로 우론산의 카복실기로 인해 성질을 나타내며 아이스크림, 마요네즈 등의 식품에서 점성을 높이는데 사용한다. 아라비안 검은 콩과 아라비아고무나무 또는 그 밖의 동식물의 분비액을 건조시킨 것이나 이를 탈염하여 얻어지는 것으로서 주성분은 다당류이며, 식품의 점착성 및 점도를 증가시키고 유화안정성을 증진하며 식품의 물성 및 촉감을 사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카라기난은 Rhodophyceae의 붉은 해조류를 물이나 알칼리 물로 추출한 것으로 주로 유제품, 생과자, 빙과류, 햄 등에 사용한다. 한천(agar)은 Rhodophycease에 속하는 홍조류의 추출물로, 분자량이 16,000-135,000인 아가로 스(agarose)와 분자량이 7,000-49,000인 아가로펙틴(agaropectin)의 두 성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젤리, 양갱, 소스, 드레싱, 마요네즈 등의 식품에 이용되는 물질이다. 펙틴은 감귤류(citrus 계열) 또는 사과즙의 찌꺼기를 묽은 산으로 추출하여 얻어지는 정제된 탄수화물의 중합체로서, 과일, 야채 등에 함유되어 콜로이드 상태로 식물의 세포조직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물질이다. 에스터화 정도에 따라 HM(high methoxyl) 펙틴, LM 펙틴으로 구분되며 HM 펙틴은 고형분 함량 65% 이상, pH 2.2-2.4정도에서 겔을 형성하고, LM 펙틴은 칼슘이온에 의해 겔을 형성한다. 잼, 요구르트, 젤리 등의 식품에 이용된다. 산탄검은 미생물의 발효에 의해 생성되는 물질로서 염에 안정하고 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레오직은 아크릴릭계 고분자로 점증제, 결합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카보폴은 흰색의 분말로서 여러 계면활성제와 호환성을 보여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며, TEA, NaOH 등으로 중화하여 사용한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는 분말, 입상 또는 섬유상의 물질로 무취, 물에 잘 녹고, 열과 빛에 안정하며, 호료(쨈, 빵, 해산물 등), 광택제, 의약, 화장품 등에 사용된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는 천연 유래 폴리머로 비교적 염에 강하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는 메토셀이라고도 부르며, 식품, 화장품, 의약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메틸에틸셀룰로오스는 메톡실기, 에톡실기를 함유하며, 섬유상 고체 또는 분말로서 식품, 화장품, 의약품 등 다양한 분야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겔화제 함유 양치액 조성물은 안정성 개선을 위하여 무기 염류(1가 이온, 2가 이온 등)를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염화칼륨, 구연산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화칼륨과 구연산나트륨 이외에도 1가 혹은 다가의 유기 또는 무기산의 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초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구연산염, 황산염, 폴리인산염, 피로인산염, 트리인산염, 테트라인산염, 규산염, 메타규산염, 폴리규산염, 탄산염, 수산화물, 알칼리금속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고, 염화물, 초산염, 중탄산염, 인산염, 규산염, 탄산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염의 음이온의 카운터 양이온으로 소디움, 칼슘, 마그네슘, 아연, 알루미늄, 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강 양치액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알코올부와 정제수부로 나눌 수 있으며, 가용화제, 습윤제, 용체, 향료, 감미제, 약효성분 등을 포함 할 수 있다. 겔화제의 경우 정제수부에서 물질의 특성에 따라 가열된 정제수를 이용하여 분산 및/또는 용해시키거나 최종적으로 알코올부와 정제수부를 혼합한 후 마지막 단계에 투입하여 분산 또는/용해시킬 수 있으며, 물질의 특성에 따라 무기 염류를 추가적으로 첨가시켜 겔링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계면활성제)는 주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공중합체(폴록사머),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고급알킬 아세테이트류, 라우릴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솔비탄 지방산에스테르 등이며, 바람직한 것으로는 폴리옥시 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의 폴리옥시 프로필렌 공중합체이다. 가용화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 중량%이다.
본 발명의 양치액 조성물은 제품의 안정성, 단맛 및 약간의 점도를 주기 위 하여 습윤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솔비톨액, 비결정성 솔비톨액, 프로필렌 글라이콜 등이 바람직하며, 글리세린, 비결정성 솔비톨액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습윤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50 중량%이다.
사용시 청량감을 주고 물에 녹지 않는 향료나 방부제 등을 녹일 수 있도록 에탄올이 본 발명의 양치액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에탄올의 함량이 높을수록 향료의 발산력은 좋으나, 너무 과량 사용하면 사용시 맛이 쓰고 구강 점막을 자극한다. 일반적으로 에탄올의 사용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내지 30 중량%이다. 그러나 알코올 맛에 거부감을 느끼는 소비자를 위하여 무알콜 양치액 조성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사용감을 좋게 하기 위해서 향료 및 감미제가 본 발명의 양치액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향료를 구성하는 물질로는 통상의 치약에 사용되는 방향성 물질 및 식품 향료에 사용되는 페파민트 오일계, 멘톨, 스피아민트 오일계, 카르본, 아니스 오일계, 아니톨, 유칼립투스 오일계, 유칼립톨(1,8시네올), 클로브 오일계, 유제놀, 윈터그린 오일계, 메틸살리시레이트, 신나몬 오일계, 시나믹알데하이드와 기타 향료 성분들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향료의 총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2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중량%이다. 본 발명의 양치액 조성물은 또한 감미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미제로는 락토오스, 솔비톨, 수크랄로오스, 아스파탐, 삭카린나트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등이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삭카린 나트륨을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0.1 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치액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약효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약효 성분으로는 살균효과를 갖는 세틸피리디움 클로라이드, 트리클로산, 잔토리졸 등이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중량% 사용될 수 있으며, 충치예방제인 불화나트륨은 0.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0.1중량%, 혈액순환, 조직 노화 방지제인 초산 토코페롤은 0.05 내지 3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중량%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양치액 조성물은 방부제, 완충제, 색소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중 방부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및 안식향산 나트륨을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0.1 중량% 사용할 수 있다.
구강용 액체 조성물의 pH를 조정하기 위해서는 완충제를 사용할 수 있는데, 주로 제 1인산나트륨, 제 2인산 나트륨 및 제 3인산나트륨,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 붕산, 인산, 염산, 수산화나트륨 등이 주로 사용되나 바람직하게는 제 1인산나트륨과 제 3인산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다른 성분과 배합하여 사용한다.
또한, 구강용 액제 조성물의 상품적 가치를 높이고 사용 목적에 부합시키기 위해 색소가 사용되는데 주로 식용 색소를 사용한다.
상기 설명 및 하기 실시예들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25℃이고 frequency가 1Hz인 조건에서 oscillation 방법으로 점탄성을 측정하였을 경우 strain(변형) 값 10-3에서의 저장탄성율(G')이 10 Pa 이상인 값을 나타내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에서 유효성분 및 향 발산력이 구강에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이 편리하고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험예 1> 레오미터 이용 저장탄성률 및 점도 측정
하기 실시예1-5와 비교예1의 구강 양치액 조성물에 대하여 레오미터(PHYSICA UDS 200, plate-plate type, gap size 0.5mm, plate diameter 50mm)를 이용해 저장탄성률과 점도를 측정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저장탄성률 측정은 oscill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온도가 25℃이고 frequency가 1Hz인 조건에서 실시되었으며, 점도 측정은 rotation 방법을 사용하여 온도가 25℃인 조건에서 실시되었 다. 겔화제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1 내지 5와 겔화제가 없는 통상적인 액상형 구강 양치액 조성물인 비교예1을 위와 같이 측정을 한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또 제조 후의 실시예1, 실시예2 및 비교예1의 조성물을 촬영한 사진을 도 1 및 2에 나타내었다. 하기 실시예1-5 및 비교예의 성분들은 제조과정은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따로 분리하여 배합하고 최종적으로 유상성분과 수상성분을 혼합하여 배합하여 제품을 만들며 겔화제의 경우 최초 수상성분에 배합하거나 최종 제품에 배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겔화제에 따라서 가온하여 배합할 수도 있고, 이온결합제를 추가로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유상성분 농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에탄올 8.0 8.0 8.0 8.0 8.0 8.0
폴록사머 1.2 1.2 1.2 1.2 1.2 1.2
불화나트륨 0.22 0.22 0.22 0.22 0.22 0.22
정제수 5.0 5.0 5.0 5.0 5.0 5.0
수상성분 청색1호 0.001 0.001 0.001 0.001 0.001 0.001
구연산나트륨 0.5 0.5 0.5 0.5 0.5 0.5
사카린 0.02 0.02 0.02 0.02 0.02 0.02
구연산 0.1 0.1 0.1 0.1 0.1 0.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겔화제 잔탄검 - - - - 0.2 -
젤란검 0.05 0.5 - - 0.05 -
젤라틴 - - 0.05 0.5 - -
저장탄성율(Pa) 70 220 30 150 74 측정불가
점도(cP) 250 900 150 890 253 20
저장탄성률의 경우 frequency가 1Hz인 조건에서 비교예1은 탄성이 없어 측정이 되지 않았고, 실시예1 내지 5는 strain(변형) 값이 10-3에서의 저장탄성률이 모두 10 Pa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점도의 경우 shear rate(변형률)가 10-2 s-1인 조건에서 비교예1은 20 cP를 나타내었고, 실시예1 내지 5은 모두 100 cP 이상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불소 잔존력 평가
상기 실시예1-5 및 비교예1을 이용하여 불소의 잔존력을 평가하였다. 각각 제조된 양치액을 1분간 사용한 후 뱉어낸 타액 및 양치액을 정량하고, 물로 30초간 헹군 후 타액 및 물에서 불소를 정량하여 잔류 정도를 비교 평가하였다. 구강 양치액을 사용 후에 삼키지 않도록 패널들을 교육시키고 10명을 대상으로 교차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1분간 사용 후 뱉어낸 타액 및 양치액에서의 불소 함량 물로 30초간 헹군 후 타액 및 물에서의 불소 함량
실시예1 10 ppm 20 ppm
실시예2 85 ppm 75 ppm
실시예3 12 ppm 36 ppm
실시예4 101ppm 72 ppm
실시예5 12 ppm 23 ppm
비교예1 3 ppm 2 ppm
상기 표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치액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잔존하는 불소 함량이 더 높았다.
<실험예 3> 향 지속성 평가
상기 실시예1-5 및 비교예1을 이용하여 향 지속성을 평가하였다. 50명의 패널들을 대상으로 각각 제조된 구강 양치액을 사용한 후 최초 1분간의 향 잔류 정도를 평가하였고, 다시 5분 후 향 잔존 정도를 평가하였다. 평가 척도로는 0 내지 5점의 소수점까지 사용하는 평정법으로 조사하였으며, 5점은 향이 매우 강함, 3점은 향이 보통, 1점은 향이 매우 약함이었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비교예1
1분 후 평균 3.2 4.8 3.6 4.7 3.1 2.1
5분 후 평균 2.8 4.1 3.0 3.8 3.0 0.8
양치 후 향 잔존에 대한 평가에 있어, 본 발명에 따른 점탄성이 있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은 대체로 기존 구강 양치액보다 향이 강하게 남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실시예2 및 4는 다른 실험군보다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겔화제를 사용함으로써 향 발산력 및 유효 성분의 잔존이 보다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실시예1과 2 및 비교예1의 조성물을 컵에 담은 상태에서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2의 사진이다.

Claims (4)

  1. 겔화제를 함유하며, 25℃이고 진동수(frequency) 1Hz인 조건에서 진동(oscillation) 방법으로 점탄성을 측정하였을 경우 변형(strain) 값 10-3에서의 저장탄성율이 10 내지 105 P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25℃에서 회전(rotation) 방법으로 점도 측정하였을 경우 변형률(shear rate) 값이 10-2 s-1인 경우의 점도가 100 내지 105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겔화제는 젤란검, 젤라틴, 구아검, 로커스트콩검, 알긴산, 아라비안검, 카라기난, 한천(agar), 펙틴, 산탄검, 레오직, 카보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및 메틸에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글리세린, 솔비톨 및 프로필렌 글라이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습윤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양치액 조성물.
KR1020090109806A 2009-11-13 2009-11-13 구강 양치액 조성물 KR2011005302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06A KR20110053021A (ko) 2009-11-13 2009-11-13 구강 양치액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9806A KR20110053021A (ko) 2009-11-13 2009-11-13 구강 양치액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021A true KR20110053021A (ko) 2011-05-19

Family

ID=44362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9806A KR20110053021A (ko) 2009-11-13 2009-11-13 구강 양치액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302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4084A2 (en) 2013-05-15 2014-11-20 Unilever Plc Oral care compositions
WO2014184083A1 (en) 2013-05-15 2014-11-20 Unilever Plc Oral care compositions
US10842722B2 (en) 2017-01-23 2020-11-2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N113842336A (zh) * 2021-10-29 2021-12-28 重庆登康口腔护理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固体漱口水及其制备方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84084A2 (en) 2013-05-15 2014-11-20 Unilever Plc Oral care compositions
WO2014184083A1 (en) 2013-05-15 2014-11-20 Unilever Plc Oral care compositions
WO2014184084A3 (en) * 2013-05-15 2015-01-22 Unilever Plc Oral care compositions
EA030855B1 (ru) * 2013-05-15 2018-10-31 Юнилевер Н.В.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EA031008B1 (ru) * 2013-05-15 2018-10-31 Юнилевер Н.В. Композиции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US10842722B2 (en) 2017-01-23 2020-11-24 Lg Household & Health Care Ltd. Pump-type toothpaste composition
CN113842336A (zh) * 2021-10-29 2021-12-28 重庆登康口腔护理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固体漱口水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6493B2 (en) Edible film formulations containing maltodextrin
CA2614988C (en) Breath freshening and oral cleansing product comprising a magnolia bark extract and surfactant
CN103140214B (zh) 具有改善甜味的口腔护理组合物
US8524199B2 (en) Toothpaste composition
JP5957678B2 (ja) リン酸カルシウム分散組成物
EP1453488A1 (en) Improved edible film formulations containing maltodextrin
RU2696495C2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полостью рта и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или напиток
JP5555147B2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その類縁体を安定配合した組成物
CN110051611A (zh) 一种高效抑菌液体牙膏
JP5797243B2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その類縁体を安定配合した組成物
KR20110053021A (ko) 구강 양치액 조성물
JP2013184971A (ja) シクロデキストリンを配合した口腔ケア用品
CN105832614B (zh) 一种天然可食性儿童牙膏及制备方法
JP5992065B2 (ja) アスコルビン酸及びその類縁体を安定配合した組成物
KR102373373B1 (ko) 구취 개선용 구강조성물
JP5063196B2 (ja) 歯垢形成抑制剤
JP4602922B2 (ja) 歯垢形成抑制剤
KR102322170B1 (ko) 치약조성물
JP2011105682A (ja) 歯磨剤組成物
JP4841146B2 (ja) 歯垢染色用組成物
WO2016195089A1 (ja) 唾液分泌促進剤、口腔乾燥抑制剤及び口腔内うるおい付与剤、及び組成物
KR20050048853A (ko) 온도 및 전단 응력 의존성 상 변형 치약 조성물
WO2009091050A1 (ja) 口腔用組成物
CN114948776A (zh) 一种茶多酚舒敏清新牙膏及其制备方法
CN118105324A (zh) 一种美白抑菌牙膏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