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24642A9 -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 Google Patents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24642A9
WO2018124642A9 PCT/KR2017/015269 KR2017015269W WO2018124642A9 WO 2018124642 A9 WO2018124642 A9 WO 2018124642A9 KR 2017015269 W KR2017015269 W KR 2017015269W WO 2018124642 A9 WO2018124642 A9 WO 2018124642A9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q
represented
variable region
light chain
heavy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52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Other versions
WO2018124642A2 (ko
WO2018124642A3 (ko
Inventor
장영주
강경정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17927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04767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441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08960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16438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988216B1/ko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097,837 priority Critical patent/US11597914B2/en
Priority to EP17888522.4A priority patent/EP3434693A4/en
Publication of WO2018124642A2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642A2/ko
Publication of WO2018124642A3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642A3/ko
Publication of WO2018124642A9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24642A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4Osteocytes, Osteoblasts, Odontocytes; Bones, Tee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6/00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 C07K16/1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 C07K16/28Immunoglobulins [IGs], e.g. monoclonal or polyclonal antibodies against material from animals or humans against receptors, cell surface antigens or cell surface determin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7Non-embryonic pluripotent stem cells, e.g. MAS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62Stem cells
    • C12N5/0664Dental pulp stem cells, Dental follicle stem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44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involving specific cell types
    • G01N33/5073Stem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3Immunoassay; Biospecific binding assay; Material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2317/0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 C07K2317/50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 C07K2317/56Immunoglobulins specific features characterized by immunoglobulin fragments variable (Fv) region, i.e. VH and/or VL
    • C07K2317/565Complementarity determining region [CD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5Bone morphogenic proteins [BMP];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 inducing f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46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 C12N2506/1361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from dental pulp or dental follicle stem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stromal progenitor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gG or IgM type monoclonal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surface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pulp stem cells and confirming the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dentin progenitor cell separation, dentin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using the same A composition and method for screening accelerator materials.
  • hDPSCs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 the pulp stem cells are multipotent cells such as mesenchymal stem cells (MSCs), and may be differentiated into bone tissue, blood vessels, pulp connective tissue, and nerves in addition to dentin forming teeth.
  • MSCs mesenchymal stem cells
  • dentin is produced through odontogenesis in blast cells.
  • Dentin is one of the highly calcified hard tissues that together make up the tooth, with enamel and chalk. Dentin is formed by inducing calcification of the surrounding substrate by signal molecules and proteins favored by precursor cells called dentin parental progenitor cells.
  • the current dental treatment is based on filling the teeth with a dental material having properties similar to that of dental hard tissue.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on optimal differentiation conditions for obtaining dentin parental progenitor cells from pulp stem cells that can be specifically cultured only with dentin.
  • BMPs belong to the TGF- ⁇ family and are known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pulp regeneration.
  • the TGF- ⁇ family includes FGF-2 or TGF ⁇ -1, and it is known that they are involved in tooth and bone regeneration, but major differentiation factors and efficient differentiation condition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 the main differentiation factor and effective differentiation conditions for inducing primary cultured human pulp stem cells from human dental pulp tissue into dentin progenitor cells that can efficiently differentiate into dentin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for efficient differentiation from pulp stem cells to dentin progenitor cells that can differentiate into dentin.
  • dendritic progenitor cells have been identified as specific markers of 2-3 kinds of protein, which are cytoplasmic or extracellular matrix specific.
  •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have been identified as specific markers of 2-3 kinds of protein, which are cytoplasmic or extracellular matrix specific.
  • it is difficult to use for differentia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f cell surface expressing antigens that can effectively separate and purify the oocyte progenitor cells, and furtherm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study for isolating odon progenitor cells using the same.
  • the present inventors have studied the optimal differentiation conditions from dendritic stem cells to dentin progenitor cells capable of differentiating into dentin.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used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BMP4).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present inventors continue to research to effectively separate and purify differentiation-induced dentin progenitor cells, and identify and antibody to specifically bind to the surface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neutrophil cells, including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neutrophil progenitor cells, comprising: treating bone pulp stem cells with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BMP4). It is.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kit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ancestral progenitor cells, including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dentify a total of 12 types of stromal progenitor cell-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ies or 15 types of ivory progenitor cell-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and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using the same. It is to provide a composition, a kit and a metho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morphogenetic cells, including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precursor cells,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BMP4) on pulp stem cells.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neutrophil cells, including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tal of 12 types of dentin progenitor cell-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oma cell line producing the 12 kinds of oocyte progenitor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identifying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the 12 kind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eating the sample of 12 kinds of oocyte progenitor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y; It provides a method for identifying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isolating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the 12 kind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the 12 types of oocyte progenitor cell-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ies to a sample of monoclonal antibodies; And b) separating the antibody bound to the dentin progenitor cell; It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ivory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screening differentiation promoting substances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in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comprising the 12 kinds of stromal progenitor cell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the twelve different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ies to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b) treating the candidate with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And c) treating the 12 IgG monoclonal antibodies to a sample to compare the binding reaction with step a); It provides a method for screening a material for differentiating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comprising dendritic progenitor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tal of 15 type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hybridoma cell line that produces the 15 kind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identifying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the 15 kind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eating the sample 15 kinds of dentin precursor cell-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y; It provides a method for identifying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isolating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the 15 kind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y.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the fifteen types of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to a sample of monoclonal antibodies; And b) separating the antibody bound to the dentin progenitor cell; It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ivory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screening differentiation promoting substance to promote differentiation of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in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including the 15 kinds of dendritic progenitor cell-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the 15 different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ies to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b) treating the candidate with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And c) treating the 15 IgM monoclonal antibodies to a sample to compare the binding reaction with step a); It provides a method for screening a material for differentiating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comprising dendritic progenitor cells.
  • the treatment of BMP2 and BMP4 in combination at an optimal ratio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ifferentiation efficiency of umbilical stem cells into dentin progenitor cells, induces calcification of the matrix, and induces dentin progenitor cells into dentin. Differentiation ability is improved. Therefore, it can be used in a composition or kit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dendritic progenitor cells of pulp stem cells, and has an effect of restoring pulp and dentin by regenerating dentin.
  • the stromal progenitor cells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tissue regeneration and differentiation can be effectively isolated and purified, and the IgG
  • the IgM monoclonal antibody can be usefully used for screening of substances that effectively promote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stromal progenitor cells.
  • 1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confirmed by qRT-PCR gene expression level by cytokine treatment in human-derived pulp stem cells.
  •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confirmed by qRT-PCR gene expression level by BMP2 and BMP4 treatment in human-derived pulp stem cells.
  •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confirmed by qRT-PCR gene expression level by BMP2 100 ng / ml, BMP4 10 ng / ml treatment in human-derived pulp stem cells.
  • Figure 4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morphology of cells after treatment of BMP2 and BMP4 to pulp stem cells.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morphology and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cells on day 0, 7, 14 by treatment of differentiation inducers for calcification after treatment of BMP2 and BMP4 to pulp stem cells.
  •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quantification of the results of observing the morphology and degree of differentiation of cells on day 0, 7, 14 by treatment of differentiation inducers for calcification after treatment of BMP2 and BMP4 to pulp stem cells.
  • Figure 7 shows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ALP activity in pulp cells and differentiated ivory progenitor cells.
  • FIG. 8 is a diagram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ifference in marker expression in the differentiation of stromal progenitor cells and hDPCs by treatment of rhBMP2 and rhBMP4.
  • Figure 9 is a diagram briefly show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ivory progenitor cell specific anti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10 is a diagram showing a flow cytometry result for confirming whether IgG type antibody 12 binds well to the surface of an endodonocyte cell compared to a human pulp stem cell (hDPSC).
  • FIG. 11 is a diagram showing sequence information of an oocyte progenitor cell-specific IgG type antibody.
  • FIG. 12 is a view showing the results of confirming the dimensional tissue and dentin progenitor cell binding capacity and binding position of the OD40, OD46, OD82B, OD142B, OD142D, OD149A, OD218A, OD218B, OD228, OD238, OD243A, OD256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13 is a diagram showing the flow cytometry results for confirming that 15 IgM-type antibodies bind to the surface of the odontoblast cells compared to human pulp stem cells (hDPSC).
  • FIG. 14 is a diagram showing sequence information of an oocyte progenitor cell-specific IgM type antibod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ivory neutrophil progenitor cells, including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Odontoblasts are dendritic cells that contact dentin and are dendritic cells that function directly to create dentin, a major component of teeth.
  • a component of the pulp tissue is arranged in the pulp wall inside the tooth.
  • Dentin which occupies most of the teeth, is formed from dentin blasts. Dentin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tooth, and constitutes most of the crown and root. After eruption of the tooth, it protects pulp by forming secondary dentin in response to external stimuli.
  • the pulp stem cell is a kind of mesenchymal stem cells of the dental origin (dental origin), the mesenchymal mesenchymal stem cells are 'partial stem cells (affected) of the epithelial cells. It refers to stem cells distributed in the pulp and surrounding tissues of the mesodermal origin.
  • dental pulp stem cells DPSC
  • stem cells from exfoliated deciduous teeth SHED
  •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
  • stem cells from the apical papilla SCAP
  • DFPC dental follicle precursor cells
  • the stem cell may be a cell derived from an animal, preferably a mammal, more preferably a human.
  • the pulp stem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utologous, allogenic, xenogenic cells.
  • the pulp stem cells are present in the inner pulp and the tissues around the teeth, and the process of isolating and culturing them is well known in the art.
  • the treatment of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significantly increases the differentiation efficiency of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dentin progenitor cells and induces calcification of the substrate. Differentiation ability of progenitor cells into dentin is improved. Therefore, it can be used in a composition or kit for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and has the effect of restoring pulp and dentin by regenerating dentin.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weight ratio of BMP2 and BMP4 included in the compos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is 10-20: 1, more preferably 10: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mprise a medium.
  • the mediu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conventional media used in the art suitable for culturing cells. Depending on the type of cells, medium and culture conditions can be selected.
  • the medium used for the culturing is preferably a cell culture minimum medium (CCMM), and generally includes a carbon source, a nitrogen source and a trace element component.
  • CCMM cell culture minimum medium
  • Such cell culture minimal media include, for example,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Minimal Essential Medium (MEM), Basic Medium Eagle (BME), RPMI1640, F-10, F-12, ⁇ Minimal Essential Medium (GMEM) (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and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medium may include antibiotics such as penicillin, streptomycin, gentamicin, and the like.
  •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ifferentiation-inducing substance into one or more previously known dendritic progenitor cells, such as fibroblast growth factor 2 (FGF2) or transforming growth factor ⁇ (TGF ⁇ ).
  • FGF2 fibroblast growth factor 2
  • TGF ⁇ transforming growth factor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differentiating pulp stem cells into ivory precursor cells, comprising the step of treating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BMP4) on pulp stem cells.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in vitro are used by themselves or after separation through a separation method using a flow cytometer, or the like.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 cell therapy refers to the proliferation or selection of autologous, allogenic and xenogenic cells in vitro or to alter the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ells in order to restore the function of cells and tissues. Medicines used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diagnosis and prevention through a series of methods.
  • a pulp disease is a soft connective tissue filling the pulp cavity inside the tooth, which is abundantly distributed in nerves and blood vessels, and refers to lesions that occur in the pulp tissue up to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dentin.
  • a pulp disease is a soft connective tissue filling the pulp cavity inside the tooth, which is abundantly distributed in nerves and blood vessels, and refers to lesions that occur in the pulp tissue up to the superficial layer of the dentin.
  • the blood vessels of the pulp are initially enlarged to see congestion (dimension congestion), and if the stimulus continues, the pulp is inflamed (dental).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inflammation depending on the strength of the stimulus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bacterial infection.
  • pulp disease Due to the anatomical features accumulated by the hard dentin, the inflammation is liable to occur, and if left as it is, the dimensions are easily necrotic.
  • causes of pulp disease vary widely, but in most cases it is caused by bacterial infection by caries and infection into the pulp through perforations, fractures, cracks, and periodontal sacs. It can also cause trauma, wear, cracking of teeth, heat and friction from dental instruments during treatment. Bacterial infection can be extended to root root disease and periodontal disease.
  • pulp disease exhibiting these various causes and symptoms is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application, and examples of pulp diseas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dentin perceptual hypersensitivity, pulp congestion, endodonitis, dimension degeneration, necrosis and necrosis of pulp.
  • BMP2 and BMP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treated to pulp stem cells preferably 5 to 20 days, preferably 7 to 14 days to promote differentiation in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 the BMP2 and BMP4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y directly treating the affected area and may also affect the differentiation of endogenous pulp stem cells of the patient, thereby exhibiting a pulp or dentin regeneration treatment effec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kit for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dentin progenitor cells, including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and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the k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include other reagents or instruments.
  • a culture plate for culturing the cells for inducing dendritic progenitor cell differentiation or a reagent (for example, alizarin red, etc.) capable of evaluating the differentiation state into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may be included. It may be provided with a pulp stem cell.
  • the provided form of th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additive for differentiation inducing medium, or one container containing BMP2 and BMP4, or cytokines, phospholipids, or both basal medium and other reagents in appropriate doses and / or forms. It can be provided by different containers, respectively.
  • the k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instructions describing the procedur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cular progenitor cell specific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bind to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human pulp stem cells, they can be usefully used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dentin progenitor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 SEQ ID NO: 5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 SEQ ID NO: 5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40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6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0, represented by SEQ ID NO: 11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46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 represented by SEQ ID NO: 17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82B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2, represented by SEQ ID NO: 23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42B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4;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8, represented by SEQ ID NO: 29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42D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0;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3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3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34, represented by SEQ ID NO: 35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49A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6;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3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3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0, represented by SEQ ID NO: 41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18A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42;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4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4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6, represented by SEQ ID NO 47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18B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48;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5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5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52, represented by SEQ ID NO: 53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28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54;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5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5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5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58, represented by SEQ ID NO: 59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38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0;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56 IgG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72; Provided is one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Identity precursor cell-specific IgG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ody that binds to factors that specifically express the surface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pulp stem cells, light and heavy chains as defined above An antibody comprising a variable region.
  •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decoy immunization using differentiation-induced dendritic progenitor cells as immunogens, and for single molecules expressing only on the surface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through decoy immunization. Clonal antibodies can be ob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tal of 12 IgG monoclonal antibodies obtained through the above method, which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OD40, OD46, OD82B, OD142B, OD142D, OD149A, OD218A, OD218B, OD228, OD238, OD243A, It is named OD256.
  • IgG monoclonal antibodies in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 the following light and heavy chain variable regions.
  • OD40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 SEQ ID NO: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3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4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40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97,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98.
  • OD46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0, SEQ ID NO: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5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6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46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99,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0.
  • OD82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 SEQ ID NO: 17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7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8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82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1,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2.
  • OD142B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2, SEQ ID NO: 23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4,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79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0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42B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3,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4.
  • OD142D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8, SEQ ID NO: 29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0,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1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2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42D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5,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6.
  • OD149A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3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3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34, SEQ ID NO: 35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6,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3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4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49A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7,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8.
  • OD218A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3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3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3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0, SEQ ID NO: 41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42,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5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6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18A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09,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0.
  • OD218B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4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4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6, SEQ ID NO: 47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48,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7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8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18B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1,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2.
  • OD228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4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5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5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52, SEQ ID NO: 53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54,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89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0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28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3,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4.
  • OD238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5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5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5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58, SEQ ID NO: 59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0,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1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2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38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5,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6.
  • OD243A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6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6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64, SEQ ID NO: 65;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6,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3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4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43A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7,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8.
  • OD256 IgG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6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6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6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70, SEQ ID 71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72,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5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96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56 IgG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19,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120.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ocular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y.
  • the IgM monoclonal anti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bind to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human pulp stem cells, it can be usefully used for separating and purifying dentin progenitor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2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2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24, SEQ ID NO: 125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7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26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6;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2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2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0, represented by SEQ ID NO: 131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11A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32;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3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3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6, represented by SEQ ID NO: 137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69B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38;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4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4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42, represented by SEQ ID NO: 143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84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44;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4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4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4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48, represented by SEQ ID NO: 149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85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0;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5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5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54, represented by SEQ ID NO: 155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196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6;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5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5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0, represented by SEQ ID NO: 161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10A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62;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6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6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6, represented by SEQ ID NO: 167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25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68;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7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7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72, represented by SEQ ID NO: 173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34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74;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7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7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7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78, represented by SEQ ID NO: 179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41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0;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8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8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84, represented by SEQ ID NO: 185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44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6;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8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8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0, represented by SEQ ID NO: 191;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70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92;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9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9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6, and represented by SEQ ID NO: 197;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96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98;
  •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0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0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02, represented by SEQ ID NO: 203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298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04;
  •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OD340 IgM antibody comprising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10; Provided is one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 the "ivory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ody that binds to factors expressing only on the surface of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pulp stem cells, and the light and heavy chains defined as above.
  • An antibody comprising a variable region.
  •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decoy immunization using differentiation-induced dendritic progenitor cells as immunogens, and for single molecules expressing only on the surface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through decoy immunization. Clonal antibodies can be obtain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tal of 15 IgM monoclonal antibodies obtained through the above method, which in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OD7, OD111A, OD169B, OD184, OD185, OD196, OD210A, OD225, OD234, OD241, OD244, It is named OD270, OD296, OD298 and OD340.
  • the IgM monoclonal antibody comprises the following light and heavy chain variable regions.
  • OD7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2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2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24, SEQ ID NO: 125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6,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1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2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7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1,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2.
  • the OD111A IgM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2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2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2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0, SEQ ID NO: 131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32,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3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4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11A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3,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4.
  • OD169B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3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3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6, SEQ ID NO: 137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38,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5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6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69B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5,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6.
  • OD184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3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4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4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42, SEQ ID NO: 143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44,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7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8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84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7,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8.
  • OD185 IgM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4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46,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4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48, SEQ ID NO: 149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0,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19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0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85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49,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0.
  • OD196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5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5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54, SEQ ID NO: 155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6,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1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2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196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1,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2.
  • OD210A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5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5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5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0, SEQ ID NO: 161
  •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to be display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62,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3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4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10A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3,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4.
  • OD225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64,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6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6, SEQ ID NO: 167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68,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5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6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25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5,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6.
  • OD234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6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70,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7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72, SEQ ID NO: 173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74,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7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8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34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7,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8.
  • OD241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7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7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7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78, SEQ ID NO: 179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is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0,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29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0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41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59,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0.
  • OD244 IgM antibody i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81,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82,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3,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84, SEQ ID NO: 185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6,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1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2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44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1,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2.
  • the OD270 IgM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87,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88,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89,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0, and a SEQ ID NO: 191.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92,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3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4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70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3,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4.
  • OD296 IgM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3,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194,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95,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6, SEQ ID NO: 197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198,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5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6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96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5,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6.
  • OD298 IgM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199,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00,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01,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02, SEQ ID NO: 203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04,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7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8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298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7,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8.
  • OD340 IgM antibody comprises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light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05, a light chain CDR2 represented by SEQ ID NO: 206, a light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07, a heavy chain CDR1 represented by SEQ ID NO: 208, SEQ ID NO: 209 It may include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comprising a heavy chain CDR2 is represented and a heavy chain CDR3 represented by SEQ ID NO: 210, preferably comprising a light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39 and a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 240 It may be characterized by.
  • the light chain variable region of the OD340 IgM antibody may be encod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69, and the heavy chain variable region may be characterized by the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SEQ ID NO: 270.
  • sequences of the antibodies of the invention can be altered, such as conservative sub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the technical common sense of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so long as the object of the invention can be achieved, such as dentin precursor cell specific binding.
  • conservative substitutions refers to the replacement of one class of amino acids with another amino acid of the same class. Conservative substitutions do not alter the structure or function of the polypeptide or both. Classes of amino acids for the purpose of conservative substitutions are hydrophobic (eg Met, Ala, Val, Leu), neutral hydrophilic (eg Cys, Ser, Thr), acidic (eg Asp, Glu) , Basics (eg Asn, Gln, His, Lys, Arg), conformational disruptors (eg Gly, Pro) and aromatics (eg Trp, Tyr, Phe) .
  • hydrophobic eg Met, Ala, Val, Leu
  • neutral hydrophilic eg Cys, Ser, Thr
  • acidic eg Asp, Glu
  • Basics eg Asn, Gln, His, Lys, Arg
  • conformational disruptors eg Gly, Pro
  • aromatics eg Trp, Tyr, Phe
  • the IgG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encodes each CDR region, light chain and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S: 1 to 96, so long as the object of th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n ocular progenitor cell surface specific binding, can be achieved. It may be encoded by a variety of sequences, and particularly preferably may be encoded by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each of SEQ ID NO: 97 to 120, but is not limited thereto, 80 to 99 that can encode the equivalent polypeptide It may be encoded by a nucleotide sequence having% homology, 90 to 99% homology, 95 to 99% homology.
  • each CDR region, light chain and heavy chain variable region represented by SEQ ID NOs: 120 to 240 It can be encoded by a variety of sequences that encod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can be encoded by a nucleotide sequence represented by each SEQ ID NO: 241 to 270, but is not limited thereto, 80 that can encode the equivalent polypeptide It may be encoded by a base sequence having from 99% homology, 90-99% homology, 95-99% homology.
  •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pecifically binds to differentiated dendritic progenitor cells, for example, pulp stem by treatment with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2) and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BMP4). It can specifically bind to cells differentiated from cells 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Monoclonal antibodies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ethods known in the art.
  • the peptide may be prepared by a chemical peptide synthesis method, the gene encoding the monoclonal antibody may be amplified by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or synthesized by a known method, and then cloned into an expression vector for expression. It can also be prepared using a hybridoma cell line derived from lymphocytes obtained by injecting an immunogen of said monoclonal antibody into an animal.
  • differentiated stromal progenitor cells are inoculated into an animal with an immunogen and lymphocytes obtained from the animal. It can be prepared using a hybridoma cell line prepared using.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hybridoma cell lines that produc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ies.
  • the hybridoma cell line is a cell made by artificially fusion of two different kinds of cells, and two or more allogeneic or heterologous cells are fused using a substance causing a cell fusion, such as polyethylene glycol, or some kind of virus, respectively.
  • a cell or cell line incorporating different functions of another cell into one cell are widely used in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 T cells producing lymphokines (phys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nd hybrid horses, which are tumor cells thereof, have been put into practical use.
  • the hybridoma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eferably cells in which lymphocytes and myeloma cells are immunized with the stromal progenitor cells, and are capable of producing IgG monoclonal antibodies that specifically bind to differentiated stromal progenitor cells.
  • Hybridoma cell lines can be included without limitation.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identifying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ntibody that specifically binds to dentin progenitor cells, preferably dentin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from pulp stem cells, on the surface of dentin progenitor cells compared to pulp stem cells before differentiation. Can be combined more effectively. Therefore, using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ffectively identify and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progenitor cells in the sample has been differentiated into dentin precursor cells.
  • th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labeled with a distinguishable label for identifying and distinguishing differentiation, and the label may be bound to the monoclonal antibody to distinguish or isolate differentiated stromal progenitor cells expressing a desired surface antigen. As long as it can be used to, i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treating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to a sample; It provides a method for identifying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
  •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binds to a specific antigen expressed on the surface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s, it is easy to confirm whether the pulp stem cells are differentiated into the dentin progenitor cells. Can be.
  •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abeled for detection, and if the pulp stem cells present in the sample are induced to differentiate into dentin progenitor cells,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bound to the dentin progenitor cells.
  • Label detection can identify differentiated neutrophil progenitor cells.
  •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treating the sample with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And b) detecting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bound to the cells in the sample; It may include.
  • differentiation-induced samples were compared by comparing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ies detected in the sample containing cells, such as pulp stem cells, with the binding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ies detected in the differentiation-induced sample prior to differentiation
  • the content of the bound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detected in the increase in the pulp stem cells can be differentiated into dentin progenitor cells, it can be seen that the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are present in the sampl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isolating progenitor cells comprising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detect differentiated dendritic progenitor cells
  •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ies can be used to effectively separate dentin progenitor cells from a sample, such as a sample mixed with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Can b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a sample comprising a) treating a sample with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b) separating the antibody bound to the dentin progenitor cell; It provides a method for separating ivory progenitor cells.
  • Separation of the antibody bound to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may be performed using a method commonly used in the art. For example, flow cytometry, immunoprecipitation, autoactive cell separation, chromatography, etc. As another example, flow cytometry using a fluorescently labeled composition, immunoprecipitation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an agent bound to gold particles, magnetic separation using a composition bound to magnetic beads, binding to the agent Chromatography using a column packed with beads may be us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position and kit for screening differentiation promoting substances for promoting differentiation of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in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including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pecifically bind to differentiated stromal progenitor cells
  •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can be used to compare the degree of binding before the differentiation candidate candidate and the degree of binding after the differentiation candidate candidate. It can be used for the screening of differentiation promoting substances that promote differentiation of pulp stem cells into dendritic progenitor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treating adipose stem cells comprising the steps of: a) treating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on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b) treating the candidate with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And c) treating the sample with an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of the invention to compare the binding reaction with step a) above; It provides a method for screening a material for differentiating undifferentiated pulp stem cells comprising dendritic progenitor cells.
  • the k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n immunofluorescence kit including a substrate on which a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is immobilized and a secondary antibody specific to the IgG or IgM monoclonal antibody and to which a fluorescent substance is bound.
  • the kit may be a chromatography kit comprising beads to which the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is bound, a column into which the beads may be filled, and a buffer for development.
  • the kit may be a MACS kit including biotin combined with a formulation of the composition, streptavidin bound with magnetic beads, and a magnetic generator.
  • Example One Human origin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Expression of genes by cytokine treatment
  • cytokines BMP2 bone morphogenetic protein 2
  • BMP4 bone morphogenetic protein 4
  • FGF2 fibroblast growth factor 2
  • TGF ⁇ transforming growth TGF ⁇ factor ⁇
  • BSP Ben sialoprotein
  • Run-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 (Runx2) is a gene expressed in osteoblasts, preodontoblasts and ivory progenitor cells.
  • Ostrerix is a gene expressed in osteoblasts.
  • the analysis of the expression of the dentin formation marker gene revealed that the expression of dentin sialophosphoprotein (DSPP) and dentin matrix protein-1 (DMP-1) was the highest when combined with BMP2 and BMP4. Confirmed.
  • DSPP dentin sialophosphoprotein
  • DMP-1 dentin matrix protein-1
  • BSP genes expressed in differentiated osteoblasts, ivory progenitors, and cementoblasts were found to increase expression when treated in combination with BMP2 and BMP4.
  • Example 1 Based on the results of Example 1, in order to differentiate human-derived pulp stem cells into ivory progenitor cell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effective to simultaneously treat BMP2 and BMP4, and further, in order to establish an optimal combination of BMP2 and BMP4, Combinations of BMP2 and BMP4 at various concentrations, such as 3, were treated to human derived stem cells.
  • BMP2 (ng / ml) 0 10 10 100
  • BMP4 (ng / ml) 0 10 100 10 100
  • the mineralization and bone differentiation were measured in order to determine how high the differentiation efficiency of the ivory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under the weight ratio of 10: 1, which is the optimal combination ratio identified in Example 2, compared to the pulp stem cells.
  • the cells were treated with differentiation inducers for calcification and placed for 14 days. After treatment, the cells were stained with ARS (Alizarin-red S) to be differentiated with the morphology and differentiation of cells at 0, 7, and 14 days after treatment. The result of observing the degree is shown in FIG. 5, and the result of quantifying the degree of differentiation is shown in FIG. 6.
  • ARS Alizarin-red S
  • ALP Alkaline phosphatase activity assa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tiation ability of differentiated ivory progenitor cells into bone and dentin by optimal conditions for differentiation of ivory progenitor cells. The analysis results are shown in FIG. 7.
  • Isolated single cells were incubated in ⁇ -MEM (Hyclone) with 20% fetal bovine serum (FBS, Hyclone) and antibiotic (Lonza) in 37 °C, 5% CO 2 incubator.
  • FBS fetal bovine serum
  • rhBMP2 Session Biological
  • rhBMP4 Prospec
  • hDPCs were effectively differentiated into odontoblasts by treatment with rhBMP2 and rhBMP4.
  • markers showing significantly higher expression levels were identified in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differentiated by the treatment of rhBMP2 and rhBMP4 compared with hDPC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8.
  • stromal progenitor cells In order to obtain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olecules expressing only on the surface of differentiated stromal progenitor cells, decoy immuniz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stromal progenitor cells as an immunogen. Negative hDPCs were used as negative control cells. More specifically, cells cultured in an incubator were separated using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and then 5 ⁇ 10 5 cells were suspended in 30 ⁇ l of PBS to the rear of 10 6-week-old Balb / c mice (DBL). Injections were made to the soles of the feet.
  •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 the negative control hDPCs were injected into the right hind paw at 0, 3, 6, 9, 12, 15, 18, 21, 24 days for immune response.
  • Induction of differentiation-induced odontoblasts was injected at 3, 6, 9, 12, 15, 18, 21 and 24 days in the left hind paw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 lymph nodes were extracted from the left hamstring and the extracted lymphocytes were allowed to fusion with myeloma cells (ATCC) (lymphocytes in which the dentin progenitor cells were immunized; 8 x 10 7 cells / 10).
  • ATCC myeloma cells
  • the fused hybridoma cells were plated with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20% FBS (Hyclone), HFCS (Roche) and HAT (Sigma-Aldrich) in 96-well plates (Kohler and Milstein, 1975).
  • the hybridoma culture medium was collected and ELISA and flow cytometry were used to verify antibody production and binding to ivory progenitor cells.
  • the process for obtaining an antibody that binds to a factor specifically expressing only the differentiation-induced dentin progenitor cell surface using the bait immunoassay is briefly shown in FIG. 9.
  • the monoclonal antibody prepared in Example 5 was purified using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culture medium in which hybridomas were cultured.
  • Protein G agarose (Incospharm) column was used to purify IgG type monoclonal antibody
  • Protein L Agarose (Thermo) column was used to purify IgM type monoclonal antibody.
  • the agarose was washed with PBS, and bound IgG and IgM monoclonal antibodies were eluted with 100 mM glycine buffer (pH 2.8) and immediately neutralized by addition of 1 M Tris-HCl buffer (pH 9.0). . After dialysis with PBS, the antibody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 Flow cytometry was performed for the cell-antibody response to confirm whether the antibody prepared in Example 5 binds better to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on the surface of hDPCs and dentin precursor cells. More specifically,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was added to incubate for 10 minutes and then removed from the culture dish and collected. The hDPSC and dentin progenitor cells were resuspended in PBS with about 3 ⁇ 10 4 aliquots and then added with 1% BSA (GeneDEPOT), followed by reaction on ice for 1 hour by the addition of purified monoclonal antibody or hybridoma culture medium.
  •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 FITC-conjugated anti-mouse IgG (1: 100, Santa Cruz) or PE-conjugated anti-mouse IgM (1: 100, Santa Cruz) was added as a secondary antibody and reacted on ice for 1 hour.
  • the binding degree of the antibody bound to the cell surface was analyzed by FACS Calibur TM (BD Biosciences), and the antibody binding affinity was quantified using the Cell Quest pro and WinMDI program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0.
  • FACS Calibur TM BD Biosciences
  • primers for amplifying the variable regions of the heavy and light chains of the antibody wer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Wang et al., 2000 and the like.
  • the sequence of the primer used is as follows. For other isotypes, primers suitable for this were synthesized.
  • RNA Extraction kit (Intron) was used to collect hybridoma cells ( ⁇ 1 ⁇ 10 6 cells) and extract total RNA.
  • cDNA was synthesized for 30 minutes at 45 °C using Maxime RT-PCR PreMix Kit (Intron), RT-PCR reaction was 94 1 cycle for 5 minutes at °C, 1 minute at 94 °C, 1 minute at 45 °C, 30 cycles for 1 minute at 72 °C, the final cycle was carried out for 5 minutes at 72 °C.
  • Heavy DNA fragments were cloned into the pBluescript KS (+) vector and sequenced. The consensus domain of the antibody is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Andrew CR Martin's Group database dp.
  • the CDR region is a site that recognizes and binds a specific antigen, and CDR1 and 2 are found in a variable region (V), and in the case of heavy chain, some V region, diversity region (D), and joining region in CDR3. region, J), and the light chain contains the V and J regions in CDR3. Sequence information of the IgG type antibody confirmed through sequencing is shown in FIG. 11.
  •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the light and heavy chains of these individual antibodies are shown in SEQ ID NOs: 97-120.
  • tissue immunostaining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location of antigens to which these monoclonal antibodies bind in pulp tissue in human teeth.
  • the extracted human pulp tissue was soaked in 4% paraformaldehyde (PFA) and fixed, and reacted for one day in 30% sucrose after PBS washing.
  • Fixed tissues were prepared in blocks using OCT compounds (SAKURA) and sectioned to 10 ⁇ m thickness. After washing with PBS, endogenous peroxidase activity was inhibited by addition of 0.3% H 2 O 2 diluted in PBS.
  • Tissue sections were reacted for 1 hour at room temperature in blocking solution (0.1% PBST with serum, BSA, 0.1% tween 20 added to PBS), and the purified monoclonal antibody was treated at 4 ° C. for 16 hours. Washed with 0.1% PBST, and was treated with a VECTASTAIN ® ABC Reagent at room temperature for reaction at room temperature for one hour and then treated with biotin-conjugated anti-mouse IgG was for 30 minutes. The degree of staining was then monitored while adding DAB substrate.
  • the monoclonal antibody was stained in the dentin progenitor cell layer, which is the marginal part of the pulp tissue, and specifically, in the case of OD82B, the nucleus of the dentin progenitor cell was confirmed.
  • OD228 and OD256 are stained in the pulp core where the pulp stem cells are located and the blood vessels are located.
  • staining in the dentin progenitor cell layer was not clearly confirmed.
  • An dentin progenitor cell specific IgM monoclonal antibody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5. Specifically, decoy immunization was performed using the obtained dendritic progenitor cells as immunogens to obtain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molecules expressed only on the surface of differentiated dentin progenitor cells. Negative hDPCs were used as negative control cells. More specifically, cells cultured in an incubator were separated using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and then 5 ⁇ 10 5 cells were suspended in 30 ⁇ l of PBS to the rear of 10 6-week-old Balb / c mice (DBL). Injections were made to the soles of the feet.
  •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 the negative control hDPCs were injected into the right hind paw at 0, 3, 6, 9, 12, 15, 18, 21, 24 days for immune response.
  • Induction of differentiation-induced odontoblasts was injected at 3, 6, 9, 12, 15, 18, 21 and 24 days in the left hind paw to induce an immune response.
  • lymph nodes were extracted from the left hamstring and the extracted lymphocytes were allowed to fusion with myeloma cells (ATCC) (lymphocytes in which the dentin progenitor cells were immunized; 8 x 10 7 cells / 10).
  • ATCC myeloma cells
  • the fused hybridoma cells were plated with DMEM medium supplemented with 20% FBS (Hyclone), HFCS (Roche) and HAT (Sigma-Aldrich) in 96-well plates (Kohler and Milstein, 1975).
  • the hybridoma culture medium was collected and ELISA and flow cytometry were used to verify antibody production and binding to ivory progenitor cells.
  • the process for obtaining an antibody that binds to a factor specifically expressing only the differentiation-induced dentin progenitor cell surface using the bait immunoassay is briefly shown in FIG. 9.
  • the monoclonal antibody prepared in Example 9 was purified using column chromatography using a culture medium in which hybridomas were cultured.
  • Protein L Agarose (Thermo) column was used to purify IgM type monoclonal antibody. Agarose was washed with PBS after flowing the medium, and bound IgM monoclonal antibody was eluted with 100 mM glycine buffer (pH 2.8) and immediately neutralized by addition of 1 M Tris-HCl buffer (pH 9.0). After dialysis with PBS, the antibody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 IgM type antibodies such as OD7, OD111A, OD169B, OD184, OD185, OD196, OD210A, OD225, OD234, OD241, OD244, OD270, OD296, OD298 and OD340 were obtained. It was.
  • Example 9 Flow cytometry was performed for the cell-antibody response to confirm whether the antibody prepared in Example 9 binds better to the dendritic progenitor cells on the surface of hDPCs and dentin precursor cells. More specifically,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was added to incubate for 10 minutes and then removed from the culture dish and collected. The hDPSC and dentin progenitor cells were resuspended in PBS with about 3 ⁇ 10 4 aliquots and then added with 1% BSA (GeneDEPOT), followed by reaction on ice for 1 hour by the addition of purified monoclonal antibody or hybridoma culture medium.
  •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
  • FITC-conjugated anti-mouse IgM (1: 100, Santa Cruz) or PE-conjugated anti-mouse IgM (1: 100, Santa Cruz) was added as a secondary antibody and reacted on ice for 1 hour.
  • the binding degree of the antibody bound to the cell surface was analyzed by FACS Calibur TM (BD Biosciences), and the antibody binding affinity was quantified using the Cell Quest pro and WinMDI program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13.
  • FACS Calibur TM BD Biosciences
  • primers for amplifying the variable regions of the heavy and light chains of the antibody were synthesized according to the method of Wang et al., 2000 and the like.
  • the sequence of the primer used is as follows. For other isotypes, primers suitable for this were synthesized.
  • RNA Extraction kit (Intron) was used to collect hybridoma cells ( ⁇ 1 ⁇ 10 6 cells) and extract total RNA.
  • cDNA was synthesized for 30 minutes at 45 °C using Maxime RT-PCR PreMix Kit (Intron), RT-PCR reaction was 94 1 cycle for 5 minutes at °C, 1 minute at 94 °C, 1 minute at 45 °C, 30 cycles for 1 minute at 72 °C, the final cycle was carried out for 5 minutes at 72 °C.
  • Heavy DNA fragments were cloned into the pBluescript KS (+) vector and sequenced. The consensus domain of the antibody is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Andrew CR Martin's Group database dp.
  • the CDR region is a site that recognizes and binds a specific antigen, and CDR1 and 2 are found in a variable region (V), and in the case of heavy chain, some V region, diversity region (D), and joining region in CDR3. region, J), and the light chain contains the V and J regions in CDR3. Sequence information of the IgM type antibody confirmed through sequencing is shown in FIG. 14.
  • nucleotide sequences encoding the light and heavy chains of these individual antibodies are shown in SEQ ID NOs: 241 to 270.

Abstract

본 발명은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치수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상아 모전구세포의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BMP2와 BMP4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기질의 석회화가 유도되며, 상아모전구 세포의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하는 경우, 조직 재생 및 분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상아모전구 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본 발명은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치수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상아 모전구세포의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및 이를 이용한 상아모전구 세포 분화 확인, 상아모 전구 세포 분리, 상아모 전구 세포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용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는 치아의 내부에 있는 치수 조직에서 얻을 수 있다. 치수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MSC)와 같은 다분화능을 가지는 세포로써 치아를 이루는 상아질 이외에 뼈조직, 혈관, 치수 결체조직 및 신경 등으로 분화될 수 있다.
한편, 치아에서는 상아 모세포에서 치아 발생(odontogenesis)을 통해 상아질을 만든다. 상아질은 법랑질, 백악질과 함께 치아를 구성하고 있는 고도로 석회화된 경조직들 중 하나이다. 상아질은 상아질 모 전구 세포라는 전구세포가 유리하는 신호분자와 단백질에 의해 주변 기질의 석회화를 유도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충치나 외상 등에 의해 이들 조직에 손상이 생길 경우 재생되기 매우 어려우므로 현재 치과적인 치료법은 치아 경조직과 유사한 물성을 지닌 치과용 재료로 치아를 충전하는 방식에 의하고 있다. 따라서 상아질로만 특정하게 문화될 수 있는 상아 모 전구세포를 치수줄기세포로부터 얻기 위한 최적의 분화 조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현재 치수줄기세포에서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과정에는 주로 TGF-β 패밀리에 속하는 10여 가지의 사이토카인들이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많은 결과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명확한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현재는 임상 및 전임상 실험에서 손상된 치아 및 치아 주변 조직의 재생을 위해 대표적인 골 분화 촉진 인자로 알려진 BMP2 한가지의 인자만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BMPs는 TGF-β 패밀리에 속하며 치수 재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TGF-β 패밀리에는 BMP 외에도 FGF-2 또는 TGFβ-1이 있으며, 이들이 치아 및 골재생에 관여할 가능성은 알려져 있으나, 주요 분화 인자 및 효율적인 분화 조건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즉, 인간 치아 내 치수조직으로부터 일차배양된 인간 치수줄기세포를 상아질로 효율적으로 분화될 수 있는 상아모 전구세포로 유도 하기 위한 주요 분화 인자 및 효율적인 분화 조건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에서 상아질로 분화될 수 있는 상아모 전구세포로의 효율적인 분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또한 이와 같이 치수줄기세포에서 상아모 전구세포로 효과적으로 분화시키더라도 이를 분리 정제하여 실제 이용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어왔다. 현재 상아모 전구세포는 세포질 또는 세포외기질 특이적인 2-3종의 단벡질들이 특이 마커로 밝혀져 있으나 이를 이용하여 상아모전구 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하는 것은 한계가 있어, 상아모 전구세포를 조직 재생 및 분화에 이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상아모 전구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 할 수 있는 세포 표면 발현 항원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으며, 나아가 이를 이용하여 상아모 전구세포를 분리하기 위한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치수줄기세포로부터 상아질로 분화될 수 있는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최적의 분화 조건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사용하여 상아모전구 세포로 효율적으로 분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분화 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하기 위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확인하고 이를 이용하는 경우 상아모전구 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발명의 목적은 총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또는 총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및 이를 이용한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용 조성물, 키트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를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 스크리닝용 조성물, 키트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총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아모전구 세포와 결합된 항체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2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 스크리닝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상기 12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처리하는 단계; b)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12종의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여 결합 반응을 상기 a) 단계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총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상기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아모전구 세포와 결합된 항체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5 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 스크리닝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상기 15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처리하는 단계; b)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상기 15종의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여 결합 반응을 상기 a) 단계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BMP2와 BMP4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기질의 석회화가 유도되며, 상아모전구 세포의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또는 키트에 사용될 수 있고 상아질을 재생시켜 치수와 상아질의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하는 경우, 조직 재생 및 분화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상아모전구 세포를 효과적으로 분리, 정제할 수 있고, 상기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는 치수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효과적으로 분화 촉진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에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서 BMP2 및 BMP4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서 BMP2 100 ng/ml, BMP4 10 ng/ml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치수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처리한 후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치수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처리한 후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하여 0, 7, 14일차에 세포의 형태와 분화된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치수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처리한 후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하여 0, 7, 14일차에 세포의 형태와 분화된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도 7 은 치수 세포 및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에서의 ALP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rhBMP2 및 rhBMP4의 처리에 의하여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와 hDPCs 에서 마커 발현의 차이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는 본원 발명에 따른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항체 제조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IgG 타입의 항체 12 종이 인간 치수 줄기세포 (hDPSC) 대비 상아모전구 세포 (Odontoblast) 표면에 잘 결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유세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타입 항체의 서열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OD40, OD46, OD82B, OD142B, OD142D, OD149A, OD218A, OD218B, OD228, OD238, OD243A, OD256 의 치수조직 및 상아모전구 세포 결합능 및 결합 위치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IgM 타입의 항체 15종이 인간 치수 줄기세포 (hDPSC) 대비 상아모전구 세포 (Odontoblast) 표면에 잘 결합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유세포 분석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타입 항체의 서열정보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아모전구 세포 (odontoblast)는 상아질(dentin)과 닿아있으며, 상아질을 형성하는 원주형 세포로 기능적으로 치아의 주된 구성성분인 상아질을 직접적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이 세포자체는 상아질 내측에 존재하는 치수(pulp) 조직의 한 구성성분으로 치아 내부의 치수강 벽에 배열되어 존재한다.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아질은 상아 모세포로부터 형성된다. 상아질은 치아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서, 치관과 치근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치아의 맹출 후에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2차 상아질을 형성함으로 치수(pulp)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치수줄기세포(dental pulp stem cell)는 치계 (dental origin) 중간엽 줄기세포의 일종으로, 상기 치계 중간엽 줄기세포는 ‘치계상피세포의 영향을 받은 (일부분의) 줄기세포들을 의미하며, 중배엽성 기원으로 치아내부의 치수와 치아 주위조직에 분포하는 줄기세포를 말한다. 예컨대 치수줄기세포(dental pulp stem cell (DPSC)), 탈락 유치 줄기세포(stem cell from exfoliated deciduous teeth (SHED)), 치주 인대 줄기세포(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 치근단 유두 줄기세포(stem cell from the apical papilla (SCAP), 및 치배 줄기세포(dental follicle precursor cells (DFPC))가 있다.
본 발명에서 치수줄기세포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수줄기세포는 자가 (autologous), 동종 (allogenic), 이종(xenogenic) 세포일 수 있다.
치수줄기세포는 치아내부의 치수와 치아 주위 조직에 존재하고, 이를 분리 및 배양하는 과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면, 치수줄기세포가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되는 분화 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기질의 석회화가 유도되며, 상아모전구 세포의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또는 키트에 사용될 수 있고 상아질을 재생시켜 치수와 상아질의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조성물에 포함된 BMP2 및 BMP4의 중량비는 10-2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지는 세포의 배양에 적절한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배지를 모두 포함한다. 세포의 종류에 따라 배지와 배양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 최소 배지(cell culture minimum medium: CCMM)로,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이런 세포 배양 최소 배지에는 예들 들어,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1640, F-10, F-12, αMEM(α 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지는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겐타마이신(gentamicin) 등의 항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MP2 및 BMP4 외에 기존에 알려진 하나 이상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유도 물질, 예컨대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또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화방법에 따라 인비트로에서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는 분리된 후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유세포분석기 등을 이용한 분리방법을 통해 분리된 후, 치아재생용 세포치료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포치료제” 란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autologous), 동종 (allogenic), 이종 (xenogen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또는 선별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방법을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 재생 효과를 통해, 다양한 치수질환의 치료가 가능하다. 치수질환은 치수는 치아의 내부에 있는 치수강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결합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상아질의 표층에까지 이르는 치수 조직에 생기는 병변을 일컫는 것이다. 치수에 물리적 화학적 또는 세균성의 자극이 가해지면 처음에는 치수의 혈관이 확장되어 충혈을 볼 수 있고(치수충혈), 이 자극이 계속되면 치수에 염증이 생긴다(치수염). 자극의 세기, 세균 감염의 유무에 따라서 염증에 정도의 차이가 있는데, 치수가 단단한 상아질에 의해서 쌓여 있는 해부학적 특징 때문에 염증이 일어나면 순환장애가 일어나기 쉽고, 그대로 내버려두면 치수가 괴사하기 쉽다. 치수 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의 경우는 충치에 의한 세균감염과 치아의 천공, 파절, 균열, 치주낭을 통해서 치수 내부로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외상, 마모, 치아 균열, 치료 시 치과용 기구에서 나오는 열과 마찰 등도 유발할 수 있다. 세균감염에 의한 치수염은 치근단 질환과 치주질환으로 확대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치수 질환이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며, 치수질환의 예로는 상아질 지각 과민증, 치수충혈·치수염·치수변성, 치수의 괴사 및 괴저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BMP2 및 BMP4는 치수줄기세포에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내지 14일 동안 처리됨으로써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BMP2 및 BMP4는 환부에 직접 처리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내재성(endogenous) 치수줄기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쳐 치수 또는 상아질 재생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시약이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아모전구 세포 분화 유도 대상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 플레이트나 상아모전구 세포로의 분화 상태를 평가 가능한 시약(예를 들면, 알리자린 레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양하는 대상이 되는 치수줄기세포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의 제공형태는 분화 유도 배지용 첨가제, 또는 BMP2 및 BMP4, 또는 사이토카인, 인지질, 또는 기초 배지와 그 외의 시약 모두를 적절한 용량 및/또는 형태로 함유한 하나의 용기일 수 있거나, 각각 다른 용기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순서 등을 기재한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는 인간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아모전구 세포를 분리, 정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40 IgG 항체;
b)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46 IgG 항체;
c)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82B IgG 항체;
d) 서열번호 1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42B IgG 항체;
e) 서열번호 25 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42D IgG 항체;
f) 서열번호 3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3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3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3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49A IgG 항체;
g) 서열번호 3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3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4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4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18A IgG 항체;
h) 서열번호 4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4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4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4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18B IgG 항체;
i) 서열번호 4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0 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51 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52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5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28 IgG 항체;
j) 서열번호 5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5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58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38 IgG 항체;
k) 서열번호 6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6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6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64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6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43A IgG 항체; 및
l) 서열번호 67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6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6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7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7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7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56 IgG 항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는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인자들에 결합하는 항체이며, 상기와 같이 정의된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분화 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면역원으로 이용하는 미끼 면역법 (Decoy immunization) 을 수행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미끼 면역법을 통해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만 발현하는 분자들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득된 총 12종의 IgG 단일클론 항체를 제공하며, 이는 본원 발명에서 각각 OD40, OD46, OD82B, OD142B, OD142D, OD149A, OD218A, OD218B, OD228, OD238, OD243A, OD256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 있어 IgG 단일 클론 항체는 다음과 같은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OD40 IgG 항체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7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40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9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9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46 IgG 항체는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7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46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9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82 IgG 항체는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7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82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42B IgG 항체는 서열번호 1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7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42B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42D IgG 항체는 서열번호 25 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8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42D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49A IgG 항체는 서열번호 3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3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3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3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8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49A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18A IgG 항체는 서열번호 3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3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4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4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85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18A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18B IgG 항체는 서열번호 4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4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4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4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8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18B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28 IgG 항체는 서열번호 4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0 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51 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52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5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89 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28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3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38 IgG 항체는 서열번호 5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5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58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1 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2 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38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43A IgG 항체는 서열번호 6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6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6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64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6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4 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43A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56 IgG 항체는 서열번호 67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6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6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7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7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72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9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6 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56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2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IgM 단일 클론 항체는 인간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상아모전구 세포를 분리, 정제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a) 서열번호 12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2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2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2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2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2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7 IgM 항체;
b) 서열번호 127 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2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2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3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3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3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11A IgM 항체;
c) 서열번호 13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3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3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3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3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3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69B IgM 항체;
d) 서열번호 13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4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4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4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4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84 IgM 항체;
e) 서열번호 14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4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4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4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5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85 IgM 항체;
f) 서열번호 15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5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5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5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5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96 IgM 항체;
g) 서열번호 15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5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6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6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10A IgM 항체;
h) 서열번호 16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6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6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6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6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25 IgM 항체;
i) 서열번호 16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7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7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7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7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34 IgM 항체;
j) 서열번호 17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7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7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7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41 IgM 항체;
k) 서열번호 18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8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8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8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8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44 IgM 항체;
l) 서열번호 18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8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8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9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9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9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70 IgM 항체;
m) 서열번호 19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9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9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9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9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9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96 IgM 항체;
n) 서열번호 19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0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0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0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0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98 IgM 항체; 및
o) 서열번호 20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0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0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0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1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340 IgM 항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는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인자들에 결합하는 항체이며, 상기와 같이 정의된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하는 항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항체는 분화 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면역원으로 이용하는 미끼 면역법 (Decoy immunization) 을 수행하여 수득될 수 있으며, 미끼 면역법을 통해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만 발현하는 분자들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수득된 총 15종의 IgM 단일클론 항체를 제공하며, 이는 본원 발명에서 각각 OD7, OD111A, OD169B, OD184, OD185, OD196, OD210A, OD225, OD234, OD241, OD244, OD270, OD296, OD298 및 OD340으로 명명된다.
본 발명에 있어 IgM 단일 클론 항체는 다음과 같은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포함한다.
OD7 IgM 항체는 서열번호 12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2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2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2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2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2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7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11A IgM 항체는 서열번호 12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2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2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3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3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3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11A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69B IgM 항체는 서열번호 13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3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3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3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3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3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69B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84 IgM 항체는 서열번호 13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4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4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4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44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7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84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85 IgM 항체는 서열번호 14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4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4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4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5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1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85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196 IgM 항체는 서열번호 15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5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5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5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5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2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196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10A IgM 항체는 서열번호 15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5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6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6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2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10A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25 IgM 항체는 서열번호 16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6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6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6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6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2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25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34 IgM 항체는 서열번호 16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7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7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7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7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2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34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41 IgM 항체는 서열번호 17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7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7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7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29 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41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44 IgM 항체는 서열번호 18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8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8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8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8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44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70 IgM 항체는 서열번호 18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8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8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9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9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92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70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96 IgM 항체는 서열번호 19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9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9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9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9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98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96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298 IgM 항체는 서열번호 19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0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0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0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04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298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OD340 IgM 항체는 서열번호 20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0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0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0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1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서열번호 23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4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OD340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7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체의 서열은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결합이라는 본원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기술적 상식에 따라 변화, 예컨대 보존적 치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수득되는 이와 80 내지 99%의 서열 상동성,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9%,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9%의 상동성을 갖는 폴리펩티드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보존적 치환”은 한 부류의 아미노산이 동일한 부류의 다른 아미노산으로 대체되는 것을 말한다. 보존적 치환은 폴리펩티드의 구조 또는 기능 또는 둘 모두를 변경시키지 않는다. 보존적 치환의 목적을 위한 아미노산의 부류는 소수성(예를 들어, Met, Ala, Val, Leu), 중성 친수성(예를 들어, Cys, Ser, Thr), 산성 (예를 들어, Asp, Glu), 염기성(예를 들어, Asn, Gln, His, Lys, Arg), 입체형태 파괴물질(disrupter)(예를 들어, Gly, Pro) 및 방향족(예를 들어, Trp, Tyr, Phe)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IgG 단일 클론 항체는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 특이적 결합이라는 본원 발명 항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서열번호 1 내지 96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CDR 영역,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암호화하는 다양한 서열에 의해 암호화 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열번호 97 내지 120 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등한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수 있는 80 내지 99% 상동성, 90 내지 99% 상동성, 95 내지 99% 상동성을 갖는 염기서열에 의하여 암호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IgM 단일 클론 항체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 특이적 결합이라는 본원 발명 항체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한, 서열번호 120 내지 240으로 표시되는 각각의 CDR 영역, 경쇄 및 중쇄 가변 영역을 암호화하는 다양한 서열에 의해 암호화 될 수 있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서열번호 241 내지 270 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이와 동등한 폴리펩티드를 코딩할 수 있는 80 내지 99% 상동성, 90 내지 99% 상동성, 95 내지 99% 상동성을 갖는 염기서열에 의하여 암호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예컨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 처리에 의하여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된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단일 클론 항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례로서, 화학적 펩티드 합성방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고, 상기 단클론 항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에 의해 증폭하거나 공지된 방법으로 합성한 후 발현벡터에 클로닝하여 발현시켜서 제조할 수도 있으며, 상기 단클론 항체의 면역원을 동물에 주사하여 얻어진 림프구로부터 유래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고, 다른 예로서,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면역원으로 동물에 접종하고, 상기 동물로부터 얻어진 림프구를 사용하여 제작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제공한다.
상기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란 2개의 다른 종류의 세포를 인공적으로 융합시켜 만든 세포로, 폴리에틸렌글리콜 등 세포융합을 일으키게 하는 물질이나 어떤 종의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둘 이상의 동종 세포나 이종 세포가 융합되어, 각기 다른 세포가 갖는 다른 기능을 하나의 세포 속에 통합시킨 세포 또는 세포주를 의미한다. 특히, 골수종 세포(myeloma cell)와 비장이나 림프절에 들어 있는 림프구 가운데 항체 생성세포의 선구세포인 B세포를 융합시킨 잡종세포는 단일 클론항체를 만들어내므로 연구와 임상에 널리 응용된다. 그 밖에 림포카인(생리활성물질)을 만들어내는 T세포와 그 종양세포인 하이브리드마 등도 실용화되고 있다. 본 발명의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바람직하게는 상아모전구 세포가 면역화된 림프구와 골수종 세포가 융합된 세포일 수 있으며,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할 수 있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를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는 상아모전구 세포, 바람직하게는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로, 분화 전의 치수 줄기세포 대비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 더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이용하면 시료 내 전구세포가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되었는지 여부를 효과적으로 확인 및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화 확인 및 판별을 위하여 본 발명의 항체는 구별가능한 표지물질로 표지될 수 있으며 상기 표지물질은 상기 단일 클론 항체에 결합되어 목적하는 표면 항원이 발현된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구별 또는 분리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한,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리간드, 비드(bead), 방사성 핵종, 효소, 기질, 보조인자, 억제제, 형광물질(fluorescer), 화학발광물질, 자성 입자, 합텐, 염료 등이 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바이오틴, 아비딘, 스트렙토아비딘 등의 리간드; 루시퍼라아제, 퍼옥시다아제, 베타 갈락토시다아제 등의 효소; 플루오레세인, 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핵사크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테트라크로로-6-카르복시플루오레세인, VIC, JOE, 5-(2'-아미노에틸)아미노 나프탈렌-1-술폰산, 쿠마린 및 이의 유도체, 시아닌-5, 루시퍼 옐로우, 텍사스 레드, 테트라메틸로다민, 야키마 옐로우, 칼 플루오르레드 610, 쿠마린, 이들의 유도체 등의 형광물질 등이 상기 표지물질에 제한없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가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특이적 항원에 결합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치수 줄기세포가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되었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는 검출을 위해 표지될 수 있으며, 시료 내 존재하는 치수 줄기세포가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유도된 경우 상아모전구 세포에 결합된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의 표지 검출을 통해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경우 본원 발명의 방법은 a)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및 b) 시료 내 세포와 결합된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검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만약 분화되기 전 세포, 예컨대 치수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시료에서 검출되는 결합된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와 분화 유도 처리된 시료에서 검출되는 결합된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비교하여 분화 유도 처리된 시료에서 검출되는 결합된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의 함량이 증가한 경우, 치수 줄기세포가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되어,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가 시료에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특이적으로 검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상아모전구 세포를 시료, 예컨대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와 혼재되어 있는 시료로부터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아모전구 세포와 결합된 항체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 방법을 제공한다.
상아모전구 세포와 결합된 항체를 분리하는 단계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는데, 일 예로서, 유세포분석법, 면역침전법, 자기활성세포분리법,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형광물질로 표지된 조성물을 사용한 유세포분석법, 금 입자와 결합된 제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사용한 면역침전법, 자성 비드와 결합된 조성물을 사용한 자성분리법, 상기 제제와 결합된 비드가 충진된 컬럼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 스크리닝용 조성물 및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클론 항체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으므로, 분화 촉진 후보 물질 처리 전의 결합 정도, 분화 촉진 후보 물질 처리 후의 결합 정도를 비교하는 데 사용되어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의 스크리닝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처리하는 단계; b)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본 발명의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여 결합 반응을 상기 a) 단계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키트는 조성물의 제제가 고정된 기판 및 상기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에 특이적이고 형광물질이 결합된 2차 항체를 포함하는 면역형광법 키트가 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키트는 상기 조성물의 제제가 결합된 비드, 상기 비드가 충진될 수 있는 컬럼 및 전개용 완충액을 포함하는 크로마토그래피 키트가 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키트는 상기 조성물의 제제가 결합된 바이오틴, 자성비드가 결합된 스트렙타비딘 및 자성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MACS 키트가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에서 사이토카인 처리에 의한 유전자들의 발현 확인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를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이토카인인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또는 이의 조합을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때 처리한 사이토카인의 종류 및 처리한 양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BMP2 BMP4 BMP2+ BMP4 FGF2 TGFβ FGF+TGFβ
ng/ml 0 100 100 100+100 50 5 50+5
상기 표 1과 같이 사이토카인을 처리한 후, 상아 전구세포가 발현하는 유전자들이 발현되는지 여부를 qRT-PCR로 확인하였다. qRT-PCR 실험에서 확인한 타겟 유전자와 프라이머의 서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들 중 BSP(Bone sialoprotein)는 분화된 조골세포, 상아 전구세포, 시멘트아세포(cementoblast)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이다.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는 조골세포, 예비 조치 세포(preodontoblast) 및 상아 전구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이다. Ostrerix는 조골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이다.
타겟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Scleraxis AGAAAGTTGAGCAAGGACC CTGTCTGTACGTCCGTCT
Runx2 GTCTCACTGCCTCTCACT TACACACATCTCCTCCCTTC
hCOLα1 GGAGGAGAGTCAGGAAGG TCAGCA ACACAGTTACACAA
Osteopontin CTGTTGCCTGTCTCTAAACC CACCATCATCAAATTCTCCT
Ostrerix TTGACATGTACCCCTTTCTG CAATACCCCTGATGAAGAGG
DMP-1 GACTCTCAAGAAGACAGCAA GACTCACTCACCACCTCT
BSP TACCGAGCCTATGAAGATGA CTTCCTGAGTTGAACTTCGA
DSPP CAGTACAGGATGAGTTAAATGCCAGTG CCATTCCCTTCTCCCTTGTGACC
GAPDH GTATGACAACAGCCTCAAGAT CCT TCCACGATACCAAAGTT
qRT-PCR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아질 형성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DSPP(dentin sialophosphoprotein)와 DMP-1(dentin matrix protein-1)의 발현은 BMP2와 BMP4를 조합하여 처리한 경우 가장 높게 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골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조골세포의 주요 마커들인 Ostrerix, hCOLα1 (collagen-1), Runx2 유전자는 BMP4를 단독으로 처리한 조건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분화된 조골세포, 상아 전구세포 및 시멘트아세포에서 발현되는 BSP 유전자는 BMP2와 BMP4를 조합하여 처리한 경우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를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BMP2와 BMP4를 동시에 처리하는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위한 BMP2 및 BMP4 조합의 최적 조건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를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서는 BMP2와 BMP4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최적의 BMP2와 BMP4 조합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다양한 농도의 BMP2와 BMP4의 조합을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 처리하였다.
BMP2(ng/ml) 0 10 10 100 100
BMP4(ng/ml) 0 10 100 10 100
처리 후 치수줄기세포에서 상기 표 2에 기재된 유전자의 발현을 qRT-PCR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대 전구 마커(ligament progenitor marker)인 hCOL1과 scleraxis 유전자를 제외한 상아 전구세포 관련 유전자들인 Runx2, osteopontin, BSP, DMP1, DSPP 유전자의 발현이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한 경우에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한 조건에서의 상아 전구세포 유전자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하는 경우 처리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아 전구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들이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하는 조건, 즉 BMP2:BMP4의 비율이 10:1인 조건이 상아 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위한 최적 조건에서의 분화 효율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한 최적의 조합 비율인 10:1의 중량비 조건에서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가 치수 줄기세포에 비해 얼마나 높은 분화 효율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석회화(mineralization) 및 골분화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치수 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10:1로 동시에 처리하여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는 7일 동안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줄기세포가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하는 동안 형태학 측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에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하고 14일 동안 두었으며, 상기 처리 후 ARS(Alizarin-red S)로 염색하여 분화 유도제 처리 후 0, 7, 14일 차에 세포의 형태와 분화된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고, 분화된 정도를 정량화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한 14일 동안 상아 전구세포에서 치수 줄기세포에서보다 석회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된 세포에서 분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의 골 및 상아질로의 분화능 확인
상아 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한 최적 조건에 의해서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의 골 및 상아질로의 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세포에서보다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ALP 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수 세포 상태에서보다 상아 전구세포에서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5.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단일클론 항체의 수득
인간 치수 세포 (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Cs) 의 일차배양을 위해, 단국대학교 치과대학병원의 IRB의 심의를 거쳐 성인환자 (20-27세)에서 제공받은 사랑니를 이용하였다. 인간 치수 조직은 치아를 절단하여 그 안에 들어있는 조직을 추출하여 얻었고, 잘게 자른 후, 3 mg/ml 콜라게나아제 1 형 (collagenase type I, Millipore), 4 mg/ml 디스파아제(dispase, Sigma-Aldrich)을 37℃ 에서 1시간 동안 처리하여 단일세포로 분리하였다 (Choi et al., 2015; Min et al., 2011). 분리된 단일 세포들은 37℃, 5% CO2 배양기에서 20% 우태아 혈청 (FBS, Hyclone)과 항생제 (Lonza)가 첨가된 α-MEM (Hyclone)에 배양하였다. 인간 치수 유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 (Odontoblast) 로 분화시키기 위해 10% FBS가 첨가된 α-MEM에서 배양된 hDPCs에 rhBMP2 (Sino Biological) 100ng/ml과 rhBMP4 (Prospec) 10ng/ml 를 동시에 처리하여 7일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rhBMP2 및 rhBMP4의 처리에 의하여 hDPCs는 상아모전구 세포 (odontoblast)로 효과적으로 분화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rhBMP2 및 rhBMP4의 처리에 의하여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에서 hDPCs 과 비교하여 현저히 높은 발현량을 보이는 마커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내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rBMP2를 100 ng/ml, rBMP4를 10 ng/ml 처리하는 경우의 상아모전구 세포 (odontoblast) 에서는 인간 치수 세포 (hDPCs) 와 비교하여 Runx2, osteopontin, osterix, BSP, DMP1, DSPP 유전자의 발현이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만 발현하는 분자들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얻기 위하여, 수득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면역원으로 이용하여 미끼 면역법 (Decoy immunization) 을 수행하였다. 음성 대조군 세포로는 분화시키지 않은 hDPCs를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양기에서 배양된 세포들을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를 사용하여 떼어낸 후 약 5×105개의 세포를 PBS 30μl에 부유하여 10마리의 6주령 Balb/c 마우스 (DBL)의 뒷 발바닥에 주사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방법을 참고하여 (Yin et al., 1997), 먼저 음성 대조군인 hDPCs를 오른쪽 뒷 발바닥에 0, 3, 6, 9, 12, 15, 18, 21, 24일에 주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였고, 분화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odontoblast)는 왼쪽 뒷 발바닥에 3, 6, 9, 12, 15, 18, 21, 24일에 주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24일째에, 왼쪽 오금에서 림프절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림프구는 (상아모전구 세포가 면역화된 림프구; 8×107세포/10마리) 골수종 세포 (ATCC)와 세포융합하도록 하였다. 융합된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96-well plate에 20% FBS (Hyclone), HFCS (Roche), HAT (Sigma-Aldrich)가 첨가된 DMEM 배지와 함께 분주하였다 (Kohler and Milstein, 1975). 하이브리도마 배양 배지를 모아 항체 생산여부 및 상아모전구 세포와의 결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ELISA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미끼 면역법을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인자에 결합하는 항체를 수득하기 위한 과정을 도 9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단일 클론 항체 정제
실시예 5를 통해 제조된 단일 클론 항체를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한 배지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column chromatograph) 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IgG 타입 단일 클론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 Protein G agarose (Incospharm) column을,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 Protein L Agarose (Thermo) column을 이용하였다. 배지를 흘려보낸 후 PBS로 아가로오스를 세척하였고, 결합된 IgG, IgM 단일 클론 항체는 100mM 글리신 완충액 (pH 2.8)으로 용출한 후 즉시 1 M Tris-HCl buffer (pH 9.0)를 첨가하여 중화하였다. PBS로 투석한 후 항체농도를 결정하였다.
6.1 단일 클론 항체의 isotyping 분석
정제한 단일 클론 항체의 면역 isotype을 결정하기 위해서, 96-well plate에 anti-mouse IgG1, IgG2a, IgG2b, IgG3, IgM, IgA, Igκ, Igλ로 먼저 코팅한 후, 10% FBS가 포함된 PBS로 차단하였다. 각 하이브리도마를 키운 배지 또는 정제된 단일 클론 항체를 첨가한 후 일정 시간 반응시키고, 이차 항체와 이어 반응 시켰다. 이차항체로는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되어있는 항체를 사용하였으며, 450nm 파장에서 반응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15269-appb-T000001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OD40, OD46, OD82B, OD142B, OD142D, OD149A, OD218A, OD218B, OD228, OD238, OD243A, OD256과 같은 IgG 타입 12종의 항체를 수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6.2 유세포 분석에 의한 항체 결합 친화도 측정
실시예 5를 통해 제조된 항체가 hDPCs 와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 중 상아모전구 세포에서 더에 잘 결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항체 반응에 대한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접시에서 떼어 수집하였다. hDPSC 및 상아모전구 세포를 약 3x104개씩 나누어 1% BSA (GeneDEPOT)가 첨가된 PBS로 재현탁 한 후, 정제된 단일클론 항체 또는 하이브리도마 배양 배지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얼음 상에서 반응하였다. 세척 후, 2차 항체로써 FITC-conjugated anti-mouse IgG (1:100, Santa Cruz) 또는 PE-conjugated anti-mouse IgM (1:100, Santa Cruz)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얼음상에서 반응하였다. 세포 표면에 결합된 항체의 결합 정도는 FACS Calibur (BD Biosciences)에 의해 분석하였고, Cell Quest pro와 WinMDI program을 사용하여 항체 결합 친화도를 정량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0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2차 항체만 반응시킨 세포를 사용하였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IgG 타입의 항체 12 종은 모두 hDPCs 대비 상아모전구 세포에서 높게 발현하거나, 오직 상아모전구 세포에서만 발현하는 항원에 결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12종의 단일 클론 항체들이 인간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표면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아모전구 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7. 항체 서열 분석
상기 실시예 5를 통해 수득한 항체의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Wang et al., 2000 등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다른 isotype 인 경우 이에 적합한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이용하였다.
Figure PCTKR2017015269-appb-T000002
하이브리도마 세포 (~1x106세포)를 모아 total RNA를 추출하기 위해 Easy-spinTM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을 사용하였다. cDNA는 Maxime RT-PCR PreMix Kit (Intron)를 이용하여 45 ℃에서 30분 동안 합성하였고, RT-PCR반응은 94 ℃에서 5분 동안 1 cycle, 94 ℃에서 1분, 45℃에서 1분, 72℃에서 1분 동안 30 cycles, 72℃에서 5분 동안 final cycle로 진행하였다. 중폭된 DNA조각은 pBluescript KS(+) vector로 클로닝하였고, 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항체의 콘센서스 도메인(consensus domain)은 Dr. Andrew C.R. Martin's Group databasedp 따라 분석하였다.
CDR 영역은 특정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는 부위로 CDR1, 2 는 가변영역(variable region, V)에서 발견되고, 중쇄의 경우 CDR3에서 일부 V영역과 다양성 영역(diversity region, D), 결합 영역(joining region, J) 들을 포함하고, 경쇄의 경우 CDR3에서V, J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서열분석을 통해 확인된 IgG 타입 항체의 서열 정보를 도 11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개별 항체들의 경쇄 및 중쇄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97 내지 120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8. 조직면역염색 분석
각 단일 클론 항체를 대량 정제한 후, 인간 치아 내 치수 조직에서 이들 단일 클론 항체가 결합하는 항원들의 위치를 분석하기 위하여 조직 면역 염색을 수행하였다. 추출한 인간 치수 조직은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 PFA)에 담가 고정하였고, PBS 세척 후에 30% 수크로오스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켰다. 고정된 조직은 OCT compound (SAKURA)를 이용하여 블록으로 제조하였고, 10μm 두께로 section 하였다. PBS로 세척한 후, endogenous peroxidase 활성은 PBS에 희석된 0.3% H2O2를 첨가하여 억제하였다. 조직 절편을 차단 용액 (PBS에 serum, BSA, 0.1% tween 20이 첨가된 0.1% PBST)에서 한 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 시키고, 정제된 단일 클론항체를 16시간 동안 4℃에서 처리하였다. 0.1% PBST로 세척하고 biotin-conjugated anti-mouse IgG 을 처리한 후 한시간 동안 실온에서 반응 시키고, 30분 동안 실온에서 VECTASTAIN® ABC Reagent를 처리하였다. 이후 DAB 기질을 첨가하면서 염색 정도를 모니터하였다. 조직 내 세포 핵은 Harris hematoxylin으로 염색하였고, 탈수 후에 Eukitt quick-harder mounting medium (Sigma-Aldrich)으로 봉입하여, 정립 현미경 (Nikon)으로 관찰하였고 그 결과를 도 1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biotin-conjugated anti-mouse IgG를 사용하였다.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일 클론항체는 치수조직의 변두리 부분인 상아모전구 세포 층에 염색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이하게도 OD82B같은 경우는 상아모전구 세포의 핵을 염색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OD228과 OD256은 치수 줄기세포가 많이 위치하고 혈관이 위치하는 치수 코어 (pulp core) 부분에 염색이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대조군인 biotin-conjugated anti-mouse IgG으로 염색하였을 경우, 상아모전구 세포층에서 염색을 뚜렷하게 확인하지 못했다.
상기와 같은 결과는 제조된 단일클론 항체들이 인간 상아모전구 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표면 마커를 인식하여 이를 분리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이 후 이를 각종 진단용 항체로 이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실시예 9.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클론 항체의 수득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클론 항체를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의 표면에만 발현하는 분자들에 대한 단일클론 항체를 얻기 위하여, 수득된 상아모전구 세포를 면역원으로 이용하여 미끼 면역법 (Decoy immunization) 을 수행하였다. 음성 대조군 세포로는 분화시키지 않은 hDPCs를 이용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양기에서 배양된 세포들을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를 사용하여 떼어낸 후 약 5×105개의 세포를 PBS 30μl에 부유하여 10마리의 6주령 Balb/c 마우스 (DBL)의 뒷 발바닥에 주사하였다. 이전에 보고된 방법을 참고하여 (Yin et al., 1997), 먼저 음성 대조군인 hDPCs를 오른쪽 뒷 발바닥에 0, 3, 6, 9, 12, 15, 18, 21, 24일에 주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였고, 분화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odontoblast)는 왼쪽 뒷 발바닥에 3, 6, 9, 12, 15, 18, 21, 24일에 주사하여 면역반응을 유도하였다. 24일째에, 왼쪽 오금에서 림프절을 추출하였고, 추출된 림프구는 (상아모전구 세포가 면역화된 림프구; 8×107세포/10마리) 골수종 세포 (ATCC)와 세포융합하도록 하였다. 융합된 하이브리도마 세포는 96-well plate에 20% FBS (Hyclone), HFCS (Roche), HAT (Sigma-Aldrich)가 첨가된 DMEM 배지와 함께 분주하였다 (Kohler and Milstein, 1975). 하이브리도마 배양 배지를 모아 항체 생산여부 및 상아모전구 세포와의 결합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 ELISA와 유세포 분석기를 이용하였다. 미끼 면역법을 이용하여 분화 유도된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만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인자에 결합하는 항체를 수득하기 위한 과정을 도 9에 간략히 나타내었다.
실시예 10. 단일 클론 항체 정제
실시예 9 를 통해 제조된 단일 클론 항체를 하이브리도마를 배양한 배지를 이용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column chromatograph) 를 이용하여 정제하였다.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를 정제하기 위해 Protein L Agarose (Thermo) column을 이용하였다. 배지를 흘려보낸 후 PBS로 아가로오스를 세척하였고, 결합된 IgM 단일 클론 항체는 100mM 글리신 완충액 (pH 2.8)으로 용출한 후 즉시 1 M Tris-HCl buffer (pH 9.0)를 첨가하여 중화하였다. PBS로 투석한 후 항체농도를 결정하였다.
10.1 단일 클론 항체의 isotyping 분석
정제한 단일 클론 항체의 면역 isotype을 결정하기 위해서, 96-well plate에 anti-mouse IgM1, IgM2a, IgM2b, IgM3, IgM, IgA, Igκ, Igλ로 먼저 코팅한 후, 10% FBS가 포함된 PBS로 차단하였다. 각 하이브리도마를 키운 배지 또는 정제된 단일 클론 항체를 첨가한 후 일정 시간 반응시키고, 이차 항체와 이어 반응 시켰다. 이차항체로는 horseradish peroxidase가 결합되어있는 항체를 사용하였으며, 450nm 파장에서 반응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15269-appb-T000003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OD7, OD111A, OD169B, OD184, OD185, OD196, OD210A, OD225, OD234, OD241, OD244, OD270, OD296, OD298, OD340 과 같은 15종의 IgM 타입 항체를 수득하였음을 확인하였다.
10.2 유세포 분석에 의한 항체 결합 친화도 측정
실시예 9를 통해 제조된 항체가 hDPCs 와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 중 상아모전구 세포에서 더에 잘 결합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세포-항체 반응에 대한 유세포 분석을 수행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Enzyme Free Cell Dissociation Solution (Millipore)를 첨가하여 10분 동안 배양한 후 배양 접시에서 떼어 수집하였다. hDPSC 및 상아모전구 세포를 약 3x104개씩 나누어 1% BSA (GeneDEPOT)가 첨가된 PBS로 재현탁 한 후, 정제된 단일클론 항체 또는 하이브리도마 배양 배지를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얼음 상에서 반응하였다. 세척 후, 2차 항체로써 FITC-conjugated anti-mouse IgM (1:100, Santa Cruz) 또는 PE-conjugated anti-mouse IgM (1:100, Santa Cruz)을 첨가하여 1시간 동안 얼음상에서 반응하였다. 세포 표면에 결합된 항체의 결합 정도는 FACS Calibur (BD Biosciences)에 의해 분석하였고, Cell Quest pro와 WinMDI program을 사용하여 항체 결합 친화도를 정량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3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PE-conjugated anti-mouse IgM 만을 사용하여 염색한 세포를 이용하였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IgM 타입의 항체 15 종은 모두 hDPCs 대비 상아모전구 세포에서 높게 발현하거나, 오직 상아모전구 세포에서만 발현하는 항원에 결합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상기 15종의 단일 클론 항체들이 인간 상아모전구 세포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표면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상아모전구 세포를 순수하게 분리하는데 이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11. 항체 서열 분석
상기 실시예 9를 통해 수득한 항체의 유전자 서열을 분석하기 위하여 항체의 중쇄 및 경쇄의 가변 영역을 증폭하기 위한 프라이머를 Wang et al., 2000 등의 방법에 따라 합성하였다. 사용된 프라이머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다른 isotype 인 경우 이에 적합한 프라이머를 합성하여 이용하였다.
Figure PCTKR2017015269-appb-T000004
하이브리도마 세포 (~1x106세포)를 모아 total RNA를 추출하기 위해 Easy-spinTM Total RNA Extraction kit (Intron)을 사용하였다. cDNA는 Maxime RT-PCR PreMix Kit (Intron)를 이용하여 45℃에서 30분 동안 합성하였고, RT-PCR반응은 94 ℃에서 5분 동안 1 cycle, 94 ℃에서 1분, 45℃에서 1분, 72℃에서 1분 동안 30 cycles, 72℃에서 5분 동안 final cycle로 진행하였다. 중폭된 DNA조각은 pBluescript KS(+) vector로 클로닝하였고, 서열분석을 수행하였다. 항체의 콘센서스 도메인(consensus domain)은 Dr. Andrew C.R. Martin's Group databasedp 따라 분석하였다.
CDR 영역은 특정 항원을 인식하여 결합하는 부위로 CDR1, 2 는 가변영역(variable region, V)에서 발견되고, 중쇄의 경우 CDR3에서 일부 V영역과 다양성 영역(diversity region, D), 결합 영역(joining region, J) 들을 포함하고, 경쇄의 경우 CDR3에서V, J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서열분석을 통해 확인된 IgM 타입 항체의 서열 정보를 도 14 에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개별 항체들의 경쇄 및 중쇄를 암호화하는 염기서열을 서열번호 241 내지 270으로 나타내었다.

Claims (77)

  1.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MP2 및 BMP4의 중량비가 10:1인,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또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를 더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4.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BMP2 및 BMP4의 중량비가 10:1인,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7일 내지 14일 동안 수행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
  7.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키트.
  8. a)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40 IgG 항체;
    b) 서열번호 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46 IgG 항체;
    c) 서열번호 1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82 IgG 항체;
    d) 서열번호 1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42B IgG 항체;
    e) 서열번호 25 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42D IgG 항체;
    f) 서열번호 3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3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3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3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3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49A IgG 항체;
    g) 서열번호 3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3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3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4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4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18A IgG 항체;
    h) 서열번호 4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4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4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4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4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4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18B IgG 항체;
    i) 서열번호 4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0 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51 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52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5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28 IgG 항체;
    j) 서열번호 5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5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5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58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5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38 IgG 항체;
    k) 서열번호 6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6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6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64 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6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6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43A IgG 항체; 및
    l) 서열번호 67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6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6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7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7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7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56 IgG 항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 OD40 IgG 항체는 서열번호 7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7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 OD40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9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9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b) OD46 IgG 항체는 서열번호 7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7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 OD46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9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 OD82B IgG 항체는 서열번호 7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7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 OD82B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2 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d) OD142B IgG 항체는 서열번호 7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d) OD142B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4 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OD142D IgG 항체는 서열번호 8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e) OD142D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f) OD149A IgG 항체는 서열번호 8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f) OD149A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8 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g) OD218A IgG 항체는 서열번호 8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g) OD218A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0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h) OD218B IgG 항체는 서열번호 8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8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h) OD218B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i) OD228 IgG 항체는 서열번호 89 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i) OD228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j) OD238 IgG 항체는 서열번호 91 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2 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j) OD238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2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k) OD243A IgG 항체는 서열번호 9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4 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k) OD243A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7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3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l) OD256 IgG 항체는 서열번호 9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96 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l) OD256 IgG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19 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12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33. 제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의 IgG 단일 클론 항체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상아모 전구세포는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 처리에 의하여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단일 클론 항체.
  35. a) 서열번호 12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2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2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2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2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2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7 IgM 항체;
    b) 서열번호 12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2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2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3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3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3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11A IgM 항체;
    c) 서열번호 13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3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3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3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3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3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69B IgM 항체;
    d) 서열번호 13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4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4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4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4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84 IgM 항체;
    e) 서열번호 14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4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4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4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4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5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85 IgM 항체;
    f) 서열번호 15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5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5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5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5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196 IgM 항체;
    g) 서열번호 15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5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5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6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6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10A IgM 항체;
    h) 서열번호 16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6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6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6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6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6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25 IgM 항체;
    i) 서열번호 16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7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7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7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7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34 IgM 항체;
    j) 서열번호 17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7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7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7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7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41 IgM 항체;
    k) 서열번호 181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82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8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84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85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8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44 IgM 항체;
    l) 서열번호 187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88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89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9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91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92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70 IgM 항체;
    m) 서열번호 193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194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195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196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197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198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96 IgM 항체;
    n) 서열번호 199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0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01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02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03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04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298 IgM 항체; 및
    o) 서열번호 205로 표시되는 경쇄 CDR1, 서열번호 206으로 표시되는 경쇄 CDR2, 서열번호 207로 표시되는 경쇄 CDR3을 포함하는 경쇄 가변영역, 서열번호 208로 표시되는 중쇄 CDR1, 서열번호 209로 표시되는 중쇄 CDR2 및 서열번호 210으로 표시되는 중쇄 CDR3 을 포함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OD340 IgM 항체;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a) OD7 IgM 항체는 서열번호 21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a) OD7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3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b) OD111A IgM 항체는 서열번호 21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b) OD111A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c) OD169B IgM 항체는 서열번호 21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c) OD169B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d) OD184 IgM 항체는 서열번호 217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1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d) OD184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e) OD185 IgM 항체는 서열번호 21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e) OD185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4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f) OD196 IgM 항체는 서열번호 22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f) OD196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g) OD210A IgM 항체는 서열번호 22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g) OD210A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h) OD225 IgM 항체는 서열번호 22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h) OD225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5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i) OD234 IgM 항체는 서열번호 22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2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i) OD234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j) OD241 IgM 항체는 서열번호 22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j) OD241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5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k) OD244 IgM 항체는 서열번호 231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2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k) OD244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1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2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8.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l) OD270 IgM 항체는 서열번호 233으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4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59.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l) OD270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3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4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0.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m) OD296 IgM 항체는 서열번호 235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6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m) OD296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5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6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2.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n) OD298 IgM 항체는 서열번호 237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38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n) OD298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7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8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4.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o) OD340 IgM 항체는 서열번호 239로 표시되는 경쇄 가변영역 및 서열번호 240으로 표시되는 중쇄 가변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o) OD340 IgM 항체의 경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69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며, 중쇄 가변 영역은 서열번호 270으로 표시되는 염기서열에 의해 암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6.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 분화된 상아모 전구세포는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 처리에 의하여 치수 줄기세포로부터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M 단일 클론 항체.
  68.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생산하는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69.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용 조성물.
  70.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용 키트.
  71.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분화된 상아모전구 세포 확인 방법.
  72.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용 조성물.
  73.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용 키트.
  74. a)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는 단계; 및
    b) 상아모전구 세포와 결합된 항체를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상아모전구 세포 분리 방법.
  75.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 스크리닝용 조성물.
  76.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 촉진시키는 분화 촉진 물질 스크리닝용 키트.
  77. a)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처리하는 단계;
    b)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에 후보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및
    c) 제8항 내지 제32항, 제35항 내지 제65항 중 어느 한 항의 상아모전구 세포 특이적 IgG 또는 IgM 단일 클론 항체를 시료에 처리하여 결합 반응을 상기 a) 단계와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미분화된 치수 줄기세포를 상아모전구 세포로 분화시키는 물질의 스크리닝 방법.
PCT/KR2017/015269 2016-12-26 2017-12-21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WO2018124642A2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97,837 US11597914B2 (en) 2016-12-26 2017-12-21 IgG type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ally binding to odontoblast surface
EP17888522.4A EP3434693A4 (en) 2016-12-26 2017-12-21 COMPOSITION FOR THE DIFFERENTIATION OF DENTAL STRAIN CELLS IN ODONTOBLAST FIELD CELLS AND MONOCLONAL IGG OR IGM-TYPE ANTIBODIES WITH SPECIFIC BINDING TO SURFACES OF ODOBOBLAST FIELD CEL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77 2016-12-26
KR1020160179277A KR101904767B1 (ko) 2016-12-26 2016-12-26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KR1020170164410A KR102008960B1 (ko) 2017-12-01 2017-12-01 상아모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및 그의 용도
KR10-2017-0164410 2017-12-01
KR10-2017-0164380 2017-12-01
KR1020170164380A KR101988216B1 (ko) 2017-12-01 2017-12-01 상아모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타입 단일 클론 항체 및 그의 용도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642A2 WO2018124642A2 (ko) 2018-07-05
WO2018124642A3 WO2018124642A3 (ko) 2018-08-23
WO2018124642A9 true WO2018124642A9 (ko) 2018-10-25

Family

ID=62710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5269 WO2018124642A2 (ko) 2016-12-26 2017-12-21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597914B2 (ko)
EP (1) EP3434693A4 (ko)
WO (1) WO201812464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X2016009809A (es) 2014-01-27 2016-12-02 Molecular Templates Inc Polipéptidos efectores de la subunidad a de la toxina shiga desinmunizada para aplicaciones en mamíferos.
US11142584B2 (en) 2014-03-11 2021-10-12 Molecular Templates, Inc. CD20-binding proteins comprising Shiga toxin A subunit effector regions for inducing cellular internalization and methods using same
ES2717751T3 (es) 2014-06-11 2019-06-25 Molecular Templates Inc Polipéptidos efectores de la subunidad A de la toxina de Shiga resistentes a la escisión por proteasa y moléculas dirigidas a células que los comprenden
CA2972151C (en) 2015-02-05 2022-10-11 Molecular Templates, Inc. Multivalent cd20-binding molecules comprising shiga toxin a subunit effector regions and enriched compositions thereof
US20180258143A1 (en) 2015-05-30 2018-09-13 Molecular Templates, Inc. De-Immunized, Shiga Toxin A Subunit Scaffolds and Cell-Targeting Molecules Comprising the Same
MX2019006656A (es) 2016-12-07 2019-09-09 Molecular Templates Inc Polipeptidos efectores de la sub-unidad a de la toxina shiga andamiajes de los efectores de la toxina shiga y moleculas con direccion hacia las celulas para la conjugacion especifica del sitio.
JP7082424B2 (ja) 2017-01-25 2022-06-08 モレキュラー テンプレーツ,インク. 脱免疫化された志賀毒素aサブユニットエフェクター及びcd8+t細胞エピトープを含む細胞標的化分子
MX2019009726A (es) 2018-04-17 2020-02-05 Molecular Templates Inc Moleculas con direccion hacia her2 que comprenden andamiajes de la sub-unidad a de la toxina shiga desinmunizados.
CN110563807A (zh) * 2019-09-19 2019-12-13 河南省农业科学院 靶向识别庆大霉素单链抗体的核心氨基酸序列及应用
CN112574297B (zh) * 2019-09-27 2022-06-24 上海生物制品研究所有限责任公司 抗神经氨酸酶的单克隆抗体及其应用
WO2021138378A1 (en) * 2019-12-30 2021-07-08 Obi Pharma, Inc. Antibodies,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9292A1 (en) * 2011-07-27 2013-01-31 Kwei Mar Method of implanting mesenchymal stem cells for natural tooth regeneration in surgically prepared extraction socket and composition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642A2 (ko) 2018-07-05
WO2018124642A3 (ko) 2018-08-23
US20190249145A1 (en) 2019-08-15
US11597914B2 (en) 2023-03-07
EP3434693A4 (en) 2019-10-02
EP3434693A2 (en)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642A9 (ko)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AU2019229076B2 (en) Anti-TIGIT antibodies and uses thereof
WO2018030806A1 (ko) 항체 중쇄불변부위 이종이중체에 융합된 사이토카인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WO2011052883A2 (ko) Socs2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여 자연 살해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
WO2010131917A2 (ko) 줄기세포의 세포 활성과 연관된 tsp-1, tsp-2, il-17br 및 hb-egf 및 이들의 용도
WO2019045477A1 (ko) 비멘틴 유래 펩타이드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U2018237024B2 (en) Anti-CEACAM1 antibody and use thereof
WO2016085284A1 (ko) B형 간염 바이러스 표면 항원의 에피토프 및 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b형 간염 바이러스 중화 결합 분자
WO2021002735A1 (ko) T 세포의 세포 표면 항원 및 이의 다양한 용도
WO2018026212A2 (ko) 섬유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및 섬유증 질환 모델의 용도
WO2020139041A1 (ko)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WO2022231032A1 (ko) 항-cntn4 특이적 항체 및 그의 용도
WO2020117019A1 (ko) 항 c-met 아고니스트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0117017A1 (ko) 항 c-met 아고니스트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2131889A1 (ko) Taci 단백질의 용도
WO2015023165A1 (ko) 염증조절복합체 및 stat3 신호분자 차단을 통한 면역조절능 최적화된 안정화 중간엽줄기세포
WO2013162330A1 (ko) 키메라 중간엽 줄기세포군, 그의 제조방법 및 편도줄기세포를 이용하여 부갑상선 호르몬을 생산하는 방법
WO2020122498A1 (ko) 클로날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췌장염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20130431A1 (ko) 클로날 줄기세포를 포함하는 이식편대숙주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5088256A1 (ko) 광견병 바이러스를 중화시킬 수 있는 결합 분자
WO2019151632A1 (ko)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에 중화활성을 갖는 결합 분자
WO2020141869A1 (ko) Icam-1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그의 용도
WO2019022274A1 (ko) Pauf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및 이의 용도
WO2020190023A9 (ko) 단일 클로날 줄기세포를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치료 방법
WO2022086197A1 (ko) 활성화된 면역 세포의 세포 표면 항원 및 이의 다양한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85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8885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181026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8852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2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