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0139041A1 -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0139041A1
WO2020139041A1 PCT/KR2019/018654 KR2019018654W WO2020139041A1 WO 2020139041 A1 WO2020139041 A1 WO 2020139041A1 KR 2019018654 W KR2019018654 W KR 2019018654W WO 2020139041 A1 WO2020139041 A1 WO 2020139041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ystemic sclerosis
pluripotent stem
fibroblast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9/01865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주지현
김예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아이에스티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아이에스티이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아이에스티이엠
Priority to US17/418,754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20064604A1/en
Priority to EP19905670.6A priority patent/EP3903579A4/en
Publication of WO2020139041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013904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97Artificial constructs associating cells of different lineages, e.g. tissue equivalents
    • C12N5/0698Skin equival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breed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48Reproductive organs
    • A61K35/54Ovaries; Ova; Ovules; Embryos; Foetal cells; Germ cells
    • A61K35/545Embryonic stem cells;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Uncharacterised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25Epidermal cells, skin cells; Cells of the oral mucosa
    • C12N5/0629Keratinocytes; Whol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6Adult fibroblas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50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 G01N33/5005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 G01N33/5008Chem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Testing involving biospecific ligand binding methods; Immunological testing involving human or animal cells for testing or evaluating the effect of chemical or biological compounds, e.g. drugs, cosmetics
    • G01N33/5082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 G01N33/5088Supracellular entities, e.g. tissue, organisms of vertebra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12Animals modified by administration of exogenous ce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15Humanized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30Animals modified by surgical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 A01K2267/035Animal model for multifactorial dise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05Inorganic components
    • C12N2500/10Metals; Metal chelators
    • C12N2500/20Transition metals
    • C12N2500/24Iron; Fe chelators; Transferrin
    • C12N2500/25Insulin-transferrin; Insulin-transferrin-sele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38Vitami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0/00Specific components of cell culture medium
    • C12N2500/30Organic components
    • C12N2500/40Nucleotides, nucleosides, b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Epidermal growth factor [EGF]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5Bone morphogenic proteins [BMP];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 inducing f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12N2501/385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of the family of the retinoic acid recptor, e.g. RAR, RXR;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09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pidermal cells, from skin cells, from oral mucosa cells
    • C12N2506/094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epidermal cells, from skin cells, from oral mucosa cells from keratin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07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adult fibrobl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45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13/003D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50Proteins
    • C12N2533/54Collagen; Gelat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3/00Supports or coatings for cell culture, characterised by material
    • C12N2533/90Substrates of biological origin, e.g. extracellular matrix, decellularised tissu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using keratinocytes and/or fibroblasts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prepared thereby, and a screening method of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using the same It is about.
  • SSc Systemic sclerosis
  • connective tissue components such as collagen by activated fibroblasts.
  • SSc causes changes in the skin, blood vessels, gastrointestinal system, connective tissues such as the lungs, kidneys, and muscle joints, causing defects in their function.
  • SSc is a limited type that occurs only on the hands below the elbow, the feet below the knee, and the face, depending on the site of the disease, and more areas, such as the elbow, above the knee, and the skin It is largely classified as a diffuse type accompanied by a violation of internal organs such as kidneys and lungs with the appearance of hardening changes.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refer to cells having pluripotency obtained by dedifferentiating from differentiated cells, such as somatic cells, and can be differentiated into various organ cells. .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an be obtained by reprogramming cells by dedifferentiation inducers, so it is possible to generate a patient immune-compatible pluripotent cell line without somatic cell transfer.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ll have pluripotency with the ability to produce all the cells of our body, and have the ability to self-renewal to infinitely create cells that resemble themselves.
  • Human embryonic stem cells also show pluripotency, but due to ethical problems, the scope of research and application is limited, wherea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an use human somatic cells, which has the advantage of being free from ethical problems.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re expected to be able to fundamentally solve incurable diseases that are difficult to treat with drugs or surgery by replacing damaged cells, tissues, or organs in the future due to their pluripotency, and further develop new drugs, study disease mechanisms, and developmental studies It is expected to be used in various fields of life science, ranging from.
  •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technology has remained at a basic stage, and it is focused on developing a technique for manufacturing and establish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ainly by inducing dedifferentiation.
  • systemic sclerosis a lot of genetic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patients, but as far as it is known, it is not a disease caused by a defect in the gene, and the exact mechanism of development has not been revealed.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 model of systemic sclerosis disease and tried to develop a systemic sclerosis treatment screening method and prevention or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using keratinization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Cells and fibroblasts were successfully differentiated, and 3D cultured new systemic sclerosis skin models were constructed using these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by confirming disease specific markers of systemic sclerosis in the cell and skin models in various ways in vitro.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a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comprising the step of differenti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into keratinocytes or fibroblasts.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ystemic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produced by the above manufacturing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of differentiating a patient-deriv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nto keratinocyt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differentiating a patient-derived pluripotent stem cell into a fibroblast in which a patient's disease phenotype is simulate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keratinocytes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And to provide a 3D skin organoid comprising fibroblasts prepared by the above method.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 with increased expression of a marker of fibrosis compared to normal cell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screening an anti-fibrotic agent, including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using the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screened by the above method.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step of differenti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into keratinocytes or fibroblasts ; And forming a 3D skin organoid by three-dimensionally culturing the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fferenti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into keratinocytes or fibroblasts; 3D culture of the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to form 3D skin organoids; And implanting the 3D skin organoid into the skin tissue of the mouse.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 SSc systemic sclerosis
  • iPSC patient-derived pluripotent stem cells
  • EB Embryonic body: EB
  • SSc patient-derived pluripotent stem cells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EB culture medium
  • DKSFM 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 KSFM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 the primary culture period is 7-9 days
  • the secondary culture period is 3-6 days
  • the tertiary culture period may be 15-25 days.
  • systemic sclerosis patient deriv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in culture (Embryonic body: EB) of DMEM/F12 and EGF (epidermal growth factor) containing differentiation Culturing in culture medium 1 to 1-7 days; Adding BMP4 to the differentiation culture solution 1 and maintaining it for 1-7 days; Subsequently, the culture medium is replaced with a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2 containing DMEM/F12 to perform a second culture for 5-15 days; And after replacing the culture medium with the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1, the third culture for 5-20 days; including, iPSC relates to a method for differentiating into fibroblasts.
  • SSc systemic sclerosis
  • the primary culture period may be 2-5 days
  • the secondary culture period may be 5-10 days
  • the tertiary culture period may be 5-15 days.
  • the cultured cells may be transferred to a collagen 1 coated plate and further cultured.
  • the differentiation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transferring the collagen 1 coated plate and further incubating for 5 days or more.
  • keratinocytes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And it relates to a 3D skin organoid comprising fibroblasts prepared by the method of claim 6.
  • the 3D skin organoid, in cells within the organoid, may have increased collagen accumulation compared to normal cells and increased expression of ⁇ -SMA ( ⁇ -Smooth muscle actin).
  • the fibroblast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systemic sclerosis in which the expression of fibrosis markers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fibroblasts derived from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herein the fibrosis markers are COL1A1, COL1A2, COL3A1, It relates to fibroblast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cluding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CTA2 and Vimentin.
  •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may be cells reprogrammed from systemic sclerosis patient cells.
  • the fibroblasts may increase collagen accumulation and increase expression of ⁇ -SMA ( ⁇ -Smooth muscle actin) compared to fibroblasts derived from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comprising the 3D skin organoid or fibroblast.
  • the disease model may be a mouse.
  •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ell or 3D cell aggregate formed by cultur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derived from a patient with systemic sclerosis (SSc) and differentiating it into skin cells.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SSc systemic sclerosis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pre-systemic sclerosis
  • PBMC peripheral blood cells
  • the "reprogramming (reprogramming)" is a differentiation cell that is present in different aspects, such as a cell with no differentiation capacity or a cell with a certain differentiation capacity, and finally is restored or converted to a state having a different type of differentiation potential. Means a process that can.
  • the reprogramming may be used in the same sense as dedifferentiation.
  • the reprogramming mechanism of these cells means establishing a different set of epigenetic marks after the epigenetic marks in the nucleus (the DNA state associated with causing genetic changes in function without changes in the nucleotide sequence) are deleted.
  • multicellular organisms differentiate and grow, different cells and tissues acquire different gene expression programs.
  • the reprogramming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mak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rom systemic sclerosis patient PBMC, and a known method in the art may be used.
  • the artificial reprogramming process is performed by the introduction of a virus-mediated or non-insertable non-viral vector using a non-insertable virus, a non-virus-mediated reprogramming factor using a protein and cell extract, or the like, It may include a reprogramming process using stem cell extracts, compounds, and the like.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have almost the same characteristics as embryonic stem cells. Specifically, it shows a similar cell shape, has similar gene and protein expression patterns, has starch differentiation ability in vitro and in vivo , forms teratomas, and blastocysts of mice ( blastocyst), chimera mice can form, and germline transmission of the gene is possible.
  •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rived from humans, monkeys, pigs, horses, cows, sheep, dogs, cats, mice or rabbits, and may be specifically derived from humans.
  • the "reprogramming factor” is a substance that induces finally differentiated cells to be reprogrammed into Pluripotent stem cells having a new type of differentiation potential.
  • the reprogramming factor may include, without limitation, any material that induces reprogramming of the finally differentiated cells, and may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type of cells to be differentiated.
  • the reprogramming factor may be at least one protei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Oct4, Sox2, Klf4, c-Myc, Nanog, Lin-28, and Rex1, or a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the prote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 nucleic acid molecule encoding a protein may be in a form operably linked to a promoter or the like so as to express the protein itself when delivered in a cell.
  • the term "differentiati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cells divide and proliferate and the structure or function of cells is specialized while the entire individual is growing. That is, it refers to a process in which cells, tissues, etc. of an organism are transformed into a suitable form and function in order to perform a role given to each, for example, a process in which starch-potential stem cells such as embryonic stem cells are transformed into ectodermal, mesodermal and endoderm cells.
  • differentiat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into red blood cells, white blood cells, platelets, etc. that is, progenitor cells expressing a specific differentiation trait may be included in differentiation.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s keratinocytes or fibroblasts were differentiated. It was found that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ere produced by confirming expression of keratinocytes or fibroblast markers, proteins and cell surface markers (FIGS. 2 and 3 ).
  •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differentiat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into keratinocytes or fibroblasts, and 3D culturing the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to produce 3D skin organoids. can do.
  • 3D organoid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cell mass having a 3D conformation, and means a reduced and simplified version of an organ manufactured through an artificial culture process that is not collected and obtained from animals or the like.
  • the origin of the cells constituting it is not limited.
  • Organoids can be derived from tissue, embryonic stem cells, or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can be cultured in three dimensions due to their ability to self-renew and differentiate.
  • the organoid may have an environment that is allowed to interact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during the cell growth process.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3D skin organoid" can be an excellent model for observing the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gent for a disease, a treatment process, etc., by almost simulating a skin layer that actually interacts in vivo.
  • 3D skin organoids prepared by three-dimensional culture of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by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re used to investigate the accumulation and decomposition of collagen related to systemic sclerosis that occurs when using the existing 2D cell culture system
  • it can overcome spatial and temporal limitations. It is easy to check whether collagen accumulation or the like is stained, and further, it is further transplanted into the mouse skin to produce a humanized mouse model, which is a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similar to the environment in the human body, and is capable of accurately reproducing.
  • the humanized animal model implanted with the 3D skin organoid or 3D skin organoid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model of systemic sclerosis disease.
  • the fibroblasts or 3D skin organoids produced through the above process have higher fibroblast marker ⁇ -SMA and collagen expression rates compared to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and 3D fibers compared to normal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ubcellular layer was increased. Furthermore, when the 3D skin organoid (iSO)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transplanted into a mo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the skin tissue was increased and the expression of collagen and ⁇ -SMA was increased compared to a mouse implanted with normal iSO. Can (Fig. 5).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the patien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3D skin organoids or humanized animal models transplanted with them can be used as new disease models for developing disease mechanisms and new therapeutic agents.
  • iSO 3D skin organoid
  • systemic sclerosis patient-derived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differentiated into keratinocytes or fibroblasts and then keratinization Producing 3D skin organoids by culturing cells and fibroblasts in 3D;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 -SMA ⁇ -Smooth muscle actin
  • systemic sclerosis Systemic sclerosis; SSc
  • patient-derived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systemic sclerosis Systemic sclerosis; SSc) patient induc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differentiating into fibroblasts; (b) treating a candidate substance that inhibits collagen accumulation in the fibroblasts differentiated in the step (a); (c) measuring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of an ⁇ -Smooth muscle actin ( ⁇ -SMA) protein or a gene thereof in the fibroblast treated with the candidate substance; And (d) determining the candidate substance as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when the expression level of the mRNA of the ⁇ -SMA protein or its gene measured in step (c) is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untreated fibroblast.
  • a screening method of an anti-fibrotic agent including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comprising a.
  • systemic sclerosis Systemic sclerosis; SSc
  • patient induc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
  • iPS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 step (b) treating a candidate substance that inhibits collagen accumulation in the fibroblasts differentiated in the step (a);
  • step (d) when the level of collagen accumulation measured in step (c) is reduced compared to fibroblasts in which the candidate substance is not treated, determining the candidate substance as a treatment for systemic sclerosis, including a treatment for systemic sclerosis. It relates to a screening method of an anti-fibrotic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fibrotic agent comprising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screened by the above method.
  • collagen accumulation refers to abnormal accumulation of collagen matrix due to injury or inflammation that change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various tissues. It is naturally occurring in organs and tissues under normal circumstances, but it can occur excessively, and may be accompanied by disease or cause disease. Most etiology of systemic sclerosis involves excessive accumulation of collagen matrix replacing normal tissue.
  • test agent includes any substance, molecule, element, compound, entity or combinations thereof.
  • test agent includes any substance, molecule, element, compound, entity or combinations thereof.
  • the expression or activity of ⁇ -SMA is reduced in fibroblasts, keratinocytes, or 3D skin organoids, and fibrosis is inhibited when collagen accumulation decreases. Therefore, an agent that reduces the expression level of mRNA of ⁇ -SMA or mRNA of its gene in fibroblasts, keratinocytes or 3D skin organoid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hibits collagen accumulation can be used as an agent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systemic sclerosis. have.
  • the term "measurement of protein expression level” refers to a process of determining the expression level of ⁇ -SMA that affects collagen accumulation in fibrotic diseases, and measures the amount of protein.
  • ⁇ -SMA It may be an antibody or aptamer that specifically binds to a protein expressed from a gen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Such antibodies are polyclonal antibodies, monoclonal antibodies, or fragments of the antibodies, as long as they have antigen binding properties, are also included in the antibodie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anti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special antibodies such as humanized antibodies and human antibodies, and antibodies known in the art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o novel antibodies.
  • the antibody is ⁇ -SMA As long as it has the properties of binding specifically recognizing a protein expressed from a gene, it includes functional fragments of antibody molecules, as well as a complete form with the full length of two heavy and two light chains.
  • the functional fragment of the molecule of the antibody means a fragment having at least an antigen-binding function, and includes, but is not limited to, Fab, F (ab'), F (ab')2, and Fv.
  • the protein expression level measurement includes protein chip analysis, immunoassay, ligand binding assay, MALDI-TOF (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analysis, SELDI-TOF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radioimmunoassay, radioimmunoassay, Oukteroni immunodiffusion, rocket immunoelectrophoresis, tissue immunostaining, complement fixation,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Mass Spectrometry (LC-MS/MS), western blot, and enzyme linked immunosorbentassay (ELISA),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MALDI-TOF Micro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 SELDI-TOF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 the term "measurement of mRNA expression level"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mount of mRNA as a process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level of the gene of ⁇ -SMA affecting collagen accumulation in systemic sclerosis. Analysis methods for this include reverse transcriptase reaction (RT-PCR), competitive reverse transcriptase reaction (Competitive RT-PCR), real-time reverse transcriptase reaction (Real-time RTPCR), and RNase protection assay (RPA). , Northern blotting, DNA chips,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 the agent for measuring the mRNA level of the gene may specifically include a primer pair, a probe or an antisense nucleotide that specifically binds to the ⁇ -SMA gene, and the nucleic acid information of the genes is known to GeneBank, etc. Based on this, primers or antisense nucleotides that specifically amplify specific regions of these genes can be designed.
  • FDA-approved 800 drugs are treated with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to screen for drugs that reduce cell proliferation, and use the first screened drugs for total collagen It was further confirmed that decreased expression and decreased ⁇ -SMA expression were used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previously approved drug as a therapeutic agent for systemic sclerosis (FIG. 6 ).
  • the fibroblasts and keratinocytes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3D skin organoids composed of these cells are excellent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s for the development of anti-fibrotic drugs and screening of new drug re-creation technology Can be used.
  • 1A is a diagram showing the overall experiment outline.
  • Figure 1B is to confirm the morphology after preparing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by isolating PBMC from the blood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 1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starch differentiation ability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by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
  • 1D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markers SSEA4, OCT4, TRA-1-60, SOX2, TRA-1-81, and KLF4 by IFA.
  • 1E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markers OCT4, SOX2, Nanog, and LIN28 at the gene level through qRT-PCR.
  • 1F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can differentiate into endoderm, mesoderm, and ectoderm using teratoma formation.
  • Figure 2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differentiation of systemic sclerosis-specific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nto keratinocytes (Keratinocyte),
  • Figure 2A shows the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protocol
  • Figure 2B is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morphology and keratinocyte markers KRT14 and Np63 keratinocytes with IFA
  • 2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markers OCT4 and the neuroectodermal markers PAX6 and SOX1, the expression of OCT4 expressed i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creases after differentiation, and is not expressed during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ectodermal markers decreased,
  • 2D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keratinocyte markers Np63, KRT5, and KRT14 through qRT-PCR, confirming that express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markers is decreased and that expression of keratinocyte markers is increased.
  • Figure 3A shows the fibroblast differentiation protocol
  • Figure 3B is the result of fibroblast morphology and fibroblast markers Fibronectin and vimentin confirmed by IFA,
  • Figure 3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markers OCT4 and the fibrosis markers COL1A1, COL1A2, COL3A1, ACTA2, Vimentin, the expression of OCT4 expressed i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decreases after differentiation, and the expression of the fibrosis marker Is a result of confirming an increase, and at this time, it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the expression of fibrosis markers is increased in iPSC-fibroblas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compared to normal persons.
  • Figure 4 show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3D skin organoid and a humanized mouse model
  • A shows a 3D skin organoid production protocol
  • B a schematic diagram of a humanized mouse model production
  • C a humanized mouse model production
  • J show the 3D skin transplant protocol.
  • Figure 5 shows the results of modeling systemic sclerosis in vitro and in vivo
  • 5A is a proliferation diagram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showing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cell proliferation between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systemic sclerosi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Figure 5B is a cell proliferation diagram of iPSC-derived fibroblast (iPSC-F), compared to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derived fibroblasts (iPSC-fibroblast), cell proliferation of systemic sclerosi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derived fibroblasts (iPSC-fibroblast) Is confirmed to be increased,
  • Figure 5C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the fibrosis marker ⁇ -SMA by Western blot, compared to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iPSC-fibroblast),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iPSC-fibroblast)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ression of ⁇ -SMA is high,
  • 5D shows that Western blot was quantified, indicating that the expression of ⁇ -SMA in systemic sclerosis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people (statistically significant),
  • 5E shows that when the total collagen in cells is quantified, the expression of collagen i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F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is higher than that of normal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F,
  • Figure 5F is a schematic diagram of a 3D fibroblast layer using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5G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when the 3D fibroblast layer is formed, the thickness of the 3D fibroblast layer in the systemic sclerosis patient is increased compared to the normal person,
  • 5H is a result of confirming the expression of ⁇ -SMA in iPSC-F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compared to iPSC-F in normal people when expression of the fibrosis marker ⁇ -SMA is confirmed through IFA,
  • 5I is a mouse transplanted with ISO of a systemic sclerosis patient compared to a mouse implanted with normal iSO when 3D skin organoid (iSO) is produced and transplanted into mice using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differentiat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iSO 3D skin organoid
  • Figure 6 shows an antifibrotic drug screening using a systemic sclerosis model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6A shows a schematic diagram of FDA approved drug screening
  • Figure 6B shows the results of the first screening of drugs that reduce the activated cell proliferation of iPSC-F by measuring the cell proliferation after treatment with the FDA approved 800 drugs iPSC-F,
  • 6C is a result of confirming a decrease in total collagen in dactinomycin and raloxifene when total collagen is measured using the selected drug
  • 6D-6F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total collagen expression is reduced when two drugs are treated after giving TGF-b stimulation to induce fibrosis to iPSC-F of normal people and iPSC-F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 6G is a result of confirming a decrease in the expression of ⁇ -SMA after treatment with two drugs in iPSC-F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 6H-6I is a quantitative expression of ⁇ -SMA.
  • Figures 7B-7C are quantified Wound length
  • 7D is a graph showing the change in wound length according to the incubation time, and is a result of confirming that the reduction width of the wound length is reduced when treated with raloxifene,
  • 7F-7G is a quantification of the thickness and area of the 3D fibroblast layer
  • FIG. 7H shows that the expression of ⁇ -SMA is decreas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when treated with concentrations of raloxifene by Western blot
  • Figure 7J confirms that when treated with raloxifene by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total collagen decreases with concentration.
  • Figure 8A shows the Bleomycin mouse model construction and drug administration protocol
  • 8B is a histological analysis result of the Bleomycin mouse model, confirming that the skin thickness increased by Bleomycin induction is reduced by drug treatment,
  • 8C-E confirms that expression of COL1A1, COL3A1, and ACTA2 is reduced in the drug treatment group when expression of the fibrosis-related gene is confirmed using qRT-PCR
  • Figure 8F is a quantitative representation that the skin thickness increased by Bleomycin induction was decreased by drug treatment
  • 8G is a histological analysis result of the Bleomycin mouse model lung tissue, and observes the antifibrotic effect of the lung tissue.
  • Figure 9 shows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screening platform by evaluating the efficacy of the existing anti-fibrotic drug in dermal fibrosis model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9A is a collagen expression analysis result
  • FIG. 9B is a fibrosis marker expression analysis result.
  • iPSC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SSc systemic sclerosis
  • PBMCs Peripheral Blood Cells
  • iPSC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PBMCs peripheral blood cells
  • Sendai virus containing Yamanaka effector to process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reprogramming refers to a technique for inducing pluripotent stem cells by artificially overexpressing factors required for reprogramming in somatic cells. Methods for overexpressing the gene include viruses, plasmid vectors, mRNA, and proteins. 3 ⁇ 10 5 PBMCs were plated on 24-well plates. Reprogramming was induced using the CytoTune-iPSC Sendai reprogramming kit.
  • Virus transduction was performed with a multiplex infection of 7.5 per 3 ⁇ 10 5 cells. After treating the virus, the cells were centrifuged at 1,160 xg and 37°C for 30 minutes and then cultured at 5% CO 2 and 37°C. The next day, the cells were transferred to a 24-well plate coated with Vitronectin (Life Technologies), centrifuged at 1,160 xg, 37°C for 10 minutes, and then cultured at 5% CO 2 , 37°C. Essential 8 (Life Technologies) was added to the culture solution in a 1:1 ratio. Reprogrammed cells were maintained and expanded in Essential 8 culture by daily culture exchange.
  • Vitronectin Life Technologies
  • Reprogrammed cells were maintained and expanded in Essential 8 culture by daily culture exchange.
  • 5x10 3 cells were plated on a 6-well plate coated with Vitronectin and maintained for 5 days to confir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morphology using a Leica DMi8 microscope (FIG. 1B). .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generated and maintained through Example 1-2 above were spread on 5x10 3 cells on a Vitronectin coated 6-well plate and extended for 5 days. Staining of undifferentiate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colonies was performed using an alkaline phosphatase detection kit (Millipore, Billerica, MA, USA). The culture was removed, and fixed with 4% formaldehyde for 1-2 minutes. The remaining fixative was washed with PBS containing 0.05% Tween-20. Fast Red Violet, naphthol AS-BI phosphate solution and water were mixed at a ratio of 2:1:1 and stained for 15 minutes. After washing with PBS containing 0.05% Tween-20, PBS was added to prevent drying. Stained colonies were measured using a Leica DMi8 microscope. The experiment confirmed the pluripotency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Fig. 1C).
  •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generated and maintained through Example 1-2 above were spread on 5x10 3 cells on a Vitronectin coated 6-well plate and expanded for 5 days. After expansion, washed with PBS and fixed with 4% formaldehyde for 30 minutes.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fixative with an ammonium chloride solution, 0.1% Triton X-100 (BIOSESANG) was treated to increase cell permeability.
  • BiOSESANG Triton X-100
  •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A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OCT4 (1/100; Santa Cruz, CA, USA) , KLF4(1/250; Abcam, Cambridge, UK), SOX2(1/100; BioLegend, San Diego, CA, USA), TRA-1-60(1/100; Millipore), TRA-1-81(1 /100; Millipore) and SSEA4 (1/200; Millipore).
  • Primary antibodi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 DAPI was used as a nuclear stain. After staining, the cells were washed and sealed using ProLong Antifade reagent. Colonies stained with a Carl Zeiss immunofluorescence microscope were detected.
  • QRT-PCR was performed on the synthesized cDNA using LightCycle 480 SYBR Green. The primers used are shown in [Table 1].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threshold of the average cycle was used to calculate gene expression for averaging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immunodeficient mice such as SCID mice and Nude mice are generally used to induce tumors, and SCID mice are used in the experiment.
  • 1x10 6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produced and maintained through Examples 1-2 were mixed with Matrigel (BD Biosciences) in a ratio of 1:1.
  • Cells were injected into the testis of SCID mice using an insulin syringe, and tumors generated after 8-12 weeks were extracted and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were performed.
  • Example 1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generated and maintained in Example 1 were resuspended in Aggrewell culture (STEMCELL) and cultured (EB; Embryonic Body) using a Hanging drop culture method. Cells were incubated at 5% CO 2 at 37° C. for one day. The formed EB was harvested and maintained by adding 1 ng/ml BMP4 to the Essential 8 culture. next day,
  • EBs were harvested and attached to collagen IV coated plates. During the differentiation period, the culture was changed once every 2 days. The culture was exchanged for keratin differentiation culture 1 (DMEM/F12 3:1, 2% fetal bovine serum (FBS), 0.3 mmol/L L-ascorbic acid, 5 ⁇ g/mL insulin, and 24 ⁇ g/mL adenine), and 3 It was maintained for 7 days by adding ⁇ M RA (Retinoic acid), 25 ng/mL BMP4, and 20 ng/mL EGF.
  • keratin differentiation culture 1 DMEM/F12 3:1, 2% fetal bovine serum (FBS), 0.3 mmol/L L-ascorbic acid, 5 ⁇ g/mL insulin, and 24 ⁇ g/mL adenine
  • the culture was exchanged for keratin differentiation culture 2 (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0.3 mmol/l L-ascorbic acid, 5 ⁇ g/ml insulin, 10 ⁇ g/ml adenine), and 3 ⁇ M RA ( Retinoic acid), 25 ng/mL BMP4, and 20 ng/mL EGF were added and maintained for 4 days.
  • keratin differentiation culture 3 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an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1:1)
  • 10 ng/mL BMP4 and 20 ng/mL EGF were added. Differentiated keratinocytes were maintained and expanded (FIG. 2A ).
  • the keratinocytes formed in Example 2-1 were harvested on the 21st day after the start of differentiation to confirm the morphology using a Leica DMi8 microscope.
  • the harvest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the cells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for 30 minutes fo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fter that, the remaining fixative was removed with ammonium chloride solution, and then treated with 0.1% Triton X-100 (BIOSESANG) to increase cell permeability. After blocking the cells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with PBS containing 2% bovine serum albumin (BSA),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A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p63 (1/100; Abcam, Cambridge, UK), KRT14 (1/100; Abcam, Cambridge, UK).
  • DAPI was used as a nuclear stain. After staining, the cells were washed and sealed using ProLong Antifade reagent. Keratinocytes stained with a Carl Zeiss immunofluorescence microscope were detected.
  • the keratinocytes formed in Example 2-1 were harvested on the 21st day after the start of differentiation.
  • QRT-PCR was performed on the synthesized cDNA using LightCycle 480 SYBR Green. The primers used are presented in [Table 2].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threshold of the average cycle was used to calculate gene expression for averaging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the keratinocytes formed in Example 2-1 were harvested on the 21st day after the start of differentiation, and total RNA was extracted using trizol for qRT-PCR, and cDNA was obtained using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Synthesized. QRT-PCR was performed on the synthesized cDNA using LightCycle 480 SYBR Green. The primers used are presented in [Table 2].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threshold of the average cycle was used to calculate gene expression for averaging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Primer sequence for identifying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markers Target gene direction Base sequence (5'->3') Sequence number size hOCT4 Forward ACCCCTGGTGCCGTGAA 11 190 Reverse GGCTGAATACCTTCCCAAATA 12 hPAX6 Forward GTCCATCTTTGCTTGGGAAA 13 110 Reverse TAGCCAGGTTGCGAAGAACT 14 hSOX1 Forward CACAACTCGGAGATCAGCAA 15 133 Reverse GGTACTTGTAATCCGGGTGC 16 hNp63 Forward GGAAAACAATGCCCAGACTC 17 294 Reverse GTGGAATACGTCCAGGTGGC 18 hKRT5 Forward ACCGTTCCTGGGTAACAGAGCCAC 19 198 Reverse GCGGGAGACAGACGGGGTGATG 20 hKRT14 Forward GCAGTCATCCAGAGATGTGACC 21 181 Reverse GGGATCTTCCAGTGGGATCT 22 hGAPDH Forward ACCCACTCCTCCACCTTTGA 23 110 Reverse CTGTTGCTGTAGCCAAATT
  • Example 1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generated and maintained in Example 1 were resuspended in Aggrewell culture (STEMCELL) and cultured (EB; Embryonic Body) using a Hanging drop culture method. Cells were incubated at 5% CO 2 at 37° C. for one day. The formed EB was harvested and kept in Essential 8 culture. The next day, EB was harvested and attached to a Matrigel coated plate. The culture was exchanged for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1 (DMEM/F12 3:1, 5% fetal bovine serum (FBS), 5 ⁇ g/ml insulin, 0.18 mM adenine, and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EGF)). During the differentiation period, the culture was changed once every 2 days.
  •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1 DMEM/F12 3:1, 5% fetal bovine serum (FBS), 5 ⁇ g/ml insulin, 0.18 mM adenine, and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EGF)
  •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1 After 3 days (Day4), 0.5 nM BMP4 was added to the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1 and maintained for 3 days. Thereafter, the culture medium was exchanged with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2 (DMEM/F12 1:1, 5% FBS, 1% nonessential amino acids) and maintained for 7 days. Seven days later (Day14), expanded cells were transferred to uncoated plates. At this time, the culture medium was replaced with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1. Seven days later (Day 21), expanded cells were transferred to collagen 1 coated plates. The culture medium was expanded by maintaining the differentiated fibroblasts by changing the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once every 2 days (FIG. 3A ).
  •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2 fetal bovine serum
  • the fibroblasts formed in Example 3-1 were harvested on the 28th day after the start of differentiation, and the morphology was confirmed using a Leica DMi8 microscope.
  • the harvested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the cells were fixed with 4% formaldehyde for 30 minutes fo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fter that, the remaining fixative was removed with ammonium chloride solution, and then treated with 0.1% Triton X-100 (BIOSESANG) to increase cell permeability. After blocking the cells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with PBS containing 2% bovine serum albumin (BSA),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A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Fibronectin (1/200; Abcam, Cambridge, UK), Vimentin (1/200; Abcam, Cambridge, UK).
  • DAPI was used as a nuclear stain. After staining, the cells were washed and sealed using ProLong Antifade reagent. Keratinocytes stained with a Carl Zeiss immunofluorescence microscope were detected.
  • the fibroblasts formed in Example 3-1 were harvested 28 days after the start of differentiation.
  • QRT-PCR was performed on the synthesized cDNA using LightCycle 480 SYBR Green. The primers used are presented in [Table 3].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threshold of the average cycle was used to calculate gene expression for averaging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3D skin organoids were produced using keratinocytes and fibroblasts formed in Examples 2 and 3 at all times.
  • 2x10 5 fibroblasts after 28 days of differentiation were harvested and mixed with collagen 1 and plated on a 6-well size Transwell plate. Changed once every 2 days with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1 for 5 days.
  • 1x10 6 keratinocytes after 21 days of differentiation are harvested and 50-100 ⁇ l of epithelial cell culture medium 1 (Epithelial Medium; EP1; DMEM/F12 3:1, 4 mM L-glutamine, 40 ⁇ M adenine , 10 ⁇ g/mL transferrin, 10 ⁇ g/mL insulin, and 0.1% FBS) and spread on fibroblasts.
  • epithelial cell culture medium 1 Epithelial Medium; EP1; DMEM/F12 3:1, 4 mM L-glutamine, 40 ⁇ M adenine , 10 ⁇ g/mL transferrin, 10 ⁇ g/mL insulin
  • epithelial cell culture medium 2 Epithelial Medium; EP2; prepared by adding 1.8 mM calcium chloride to the EP1 culture
  • epithelial cell culture medium 3 Epithelial Medium; EP3; DMEM/F12 1:1, 4 mM L-glutamine, 40 ⁇ M adenine, 10 ⁇ g/mL transferrin, 10 ⁇ g/mL insulin, 2% FBS , 1.8 mM calcium chloride).
  • epithelial cell culture medium 3 Epithelial Medium; EP3; DMEM/F12 1:1, 4 mM L-glutamine, 40 ⁇ M adenine, 10 ⁇ g/mL transferrin, 10 ⁇ g/mL insulin, 2% FBS , 1.8 mM calcium chloride.
  • the culture medium was added only to the bottom of the insert of the transwell plate and maintained by an air-liquid interface culture method (Figure 4A).
  • Example 4-1 The 3D skin organoid formed through Example 4-1 was implanted into a mouse using a suture fixed dressing method (FIG. 4B).
  • the skin tissue of the anesthetized SCID mouse was cut to 1 ⁇ 2 cm (FIG. 4C-C), and 3D skin organoids derived from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were raised (FIG. 4C-D).
  • Mouse skin and skin organoids to be implanted were sutured 8-9 times (Figure 4C-E). After placing the gauze on the suture, it was tied with the remaining suture after suture (Fig. 4C-FH). After dressing with a band, it was maintained while watching the progress of the mice (Fig. 4C-IJ).
  • 5x10 3 cells were plated in a 96-well plate for analysis of proliferation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of the systemic sclerosis patients formed in Examples 1 and 3 above.
  •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by using the Cell Counting Kit-8 (Dojindo) at 450 nm.
  • fibroblasts were streaked on a 100 mm culture dish, maintained and expanded for 5 days.
  • the protein was extracted using RIPA buffer (Sigma)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fibrosis factors, and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by Bradford assay.
  • the same concentration of protein was loaded on 10% SDS-PAGE and the protein was transferred to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S containing 5% skim milk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 -SMA (1/200; Abcam).
  • Primary antibodi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After washing with PBS containing 0.1% Tween-20, the peroxidase-linked IgG secondary antibody was cultured, and protein ex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ECL kit.
  • fibroblasts were plated on a 100 mm culture dish, maintained and expanded for 5 days.
  • a Hydroxyproline assay kit (Sigma) was used. The cells or cell cultures are harvested, mixed with hydrochloric acid in a ratio of 1:1, and incubated at 120°C for 3 hours. After incubation, 5 mg of activated charcoal was added,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13,000 xg for 5 minutes to separate only the supernatant. The harvested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dried completely at 60°C.
  • a 3D fibroblast layer was produced using the fibroblasts formed in Example 3 at all times. 2x10 5 fibroblasts after 28 days of differentiation were harvested and mixed with collagen 1 and plated on a 6-well size Transwell plate. The fibroblast differentiation culture medium was exchanged once every 2 days for 5 days (FIG. 5F ).
  • the fibroblasts formed in Example 3-1 were harvested on the 28th day after the start of differentiation, washed with PBS, and fixed for 30 minutes with 4% formaldehyde for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fter that, the remaining fixative was removed with ammonium chloride solution, and then treated with 0.1% Triton X-100 (BIOSESANG) to increase cell permeability. After blocking the cells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with PBS containing 2% bovine serum albumin (BSA),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A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 -SMA (1/200; Abcam). Primary antibodi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DAPI was used as a nuclear stain. After staining, the cells were washed and sealed using ProLong Antifade reagent. The expression of ⁇ -SMA, a fibroblast fibroblast, was confirmed by IFA using a Carl Zeiss immunofluorescence microscope.
  • 3D skin organoids derived from pluripotent stem cells derived from normal humans and systemic sclerosis patients formed in Example 4-1 were implanted into SCID mice. After 2 weeks of transplantation, skin tissue was harvested and paraffin blocks were prepared for staining analysis. The harvested skin tissue was fixed in 4% formaldehyde. The tissue was kept in the running water for one day to remove the remaining fixative. Dehydration was carried out sequentially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thanol solution. After dehydration, a transparent process was performed with xylene, followed by paraffin penetration. The next day, the tissue was fixed to a paraffin block and a tissue section was obtained using a microtome. The slide was dried at 60° C. for 1 hour. After the slides were deparaffinized with xylene, they were rehydrated while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thanol solution, washed with tap water, and stained.
  • H&E staining For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sections were incubated in a Harris hematoxylin solution for 10 minutes. The slide was washed, decolorized in an ethanol solution with 1% HCl, and then neutralized in 0.2% ammonia water. Control staining was performed with an eosin solution for 1 minute 30 seconds. The slide was washed and dehydrated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ethanol with xylene, it was sealed using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
  • the slides were kept for 1 hour in a solution of Pyrosirius red for Picrosirius Red staining. It was washed with acetic acid and dehydrated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ethanol with xylene, it was sealed using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
  • the slides were washed with PBS and the DAB solution was maintained for 1 minute. Mayer's hematoxylin was applied for 1 minute as a nuclear stain.
  • the slide was washed and dehydrated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The remaining ethanol with xylene was removed and sealed using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
  • mice transplanted with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3D skin organoids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was increased compared to mice implanted with 3D dermal organoid derived from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 the expression of collagen 3 and ⁇ -SMA is increased in mice transplanted with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3D skin organoids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FIG. 5I ).
  • 1x10 6 fibroblasts were plated on a 100mm culture dish as in Example 5-3 above, treated with the drug, and then maintained and expanded. .
  • a Hydroxyproline assay kit (Sigma) was used. The cells or cell cultures are harvested, mixed with hydrochloric acid in a ratio of 1:1, and incubated at 120°C for 3 hours. After incubation, 5 mg of activated charcoal was added,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13,000 xg for 5 minutes to separate only the supernatant. The harvested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dried completely at 60°C.
  • fibroblasts were plated on a 100 mm culture dish, treated with the target drug, maintained and expanded.
  • the protein was extracted using RIPA buffer (Sigma)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fibrosis factors, and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by Bradford assay.
  • the same concentration of protein was loaded on 10% SDS-PAGE and the protein was transferred to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S containing 5% skim milk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 -SMA (1/200; Abcam).
  • Primary antibodi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After washing with PBS containing 0.1% Tween-20, the peroxidase-linked IgG secondary antibody was cultured, and protein ex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ECL kit.
  • Wound heal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cell proliferation inhibitory effect of the drug selected in Example 6, raloxifene.
  • Fibroblasts were plated in 6-well plates, maintained and expanded. When the cells filled the plate, the plate was scratched, and TGF-b was used to induce fibrosis and to treat raloxifene.
  • the 3D fibroblast layer was induced with TGF-b and treated with raloxifene drug.
  • raloxifene was treated by concentration and the expression of ⁇ -SMA was confirmed. 1 ⁇ 10 6 fibroblasts were plated in a 100 mm culture dish, treated with raloxifene, maintained and expanded. The protein was extracted using RIPA buffer (Sigma)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fibrosis factors, and the protein concentration was quantified by Bradford assay. The same concentration of protein was loaded on 10% SDS-PAGE and the protein was transferred to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
  • the primary antibody was diluted in PBS containing 5% skim milk at the following dilution ratio: ⁇ -SMA (1/200; Abcam). Primary antibodies were incubated for 2 hours at room temperature. After washing with PBS containing 0.1% Tween-20, the peroxidase-linked IgG secondary antibody was cultured, and protein expression was measured using the ECL kit.
  • raloxifene was treated by concentration and total collagen expression change was confirmed.
  • 1 ⁇ 10 6 fibroblasts were plated on a 100 mm culture dish, treated with drugs, and maintained and expanded.
  • a Hydroxyproline assay kit (Sigma) was used. The cells or cell cultures are harvested, mixed with hydrochloric acid in a ratio of 1:1, and incubated at 120°C for 3 hours. After incubation, 5 mg of activated charcoal was added, followed by centrifugation at 13,000 xg for 5 minutes to separate only the supernatant. The harvested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dried completely at 60°C.
  • a systemic sclerosis model was established by dissolving leucine (Dong-A ST, 15mg) in PBS and injecting it daily into the nape of the mouse. Raloxifen and apeledoxifene were injected subcutaneously for 21 days from 3 days after the injection of leucine (Fig. 8A).
  • ECM gene expression was confirmed to verify the antifibrotic efficacy of raloxifene in the bleomycin model established in Example 8-1.
  • total RNA was extracted using Trizol, and cDNA was synthesized using the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 QRT-PCR was performed on the synthesized cDNA using LightCycle 480 SYBR Green. The primers used are presented in [Table 4].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threshold of the average cycle was used to calculate gene expression for averaging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the skin tissue was harvested and paraffin blocks were prepared.
  • the harvested skin tissue was fixed in 4% formaldehyde.
  • the tissue was kept in the running water for a day to remove the remaining fixative. Dehydration was carried out sequentially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thanol solution. After dehydration, a transparent process was performed with xylene, followed by paraffin penetration. The next day, the tissue was fixed to a paraffin block and a tissue section was obtained using a microtome.
  • the slide was dried at 60° C. for 1 hour. After the slides were deparaffinized with xylene, they were rehydrated while reducing the concentration of the ethanol solution, washed with tap water, and stained.
  • H&E staining For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ing, sections were incubated in a Harris hematoxylin solution for 10 minutes. The slide was washed, decolorized in an ethanol solution with 1% HCl, and then neutralized in 0.2% ammonia water. Control staining was performed with an eosin solution for 1 minute 30 seconds. The slide was washed and dehydrated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ethanol with xylene, it was sealed using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
  • the slides were kept for 1 hour in a solution of Pyrosirius red for Picrosirius Red staining. It was washed with acetic acid and dehydrated while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ethanol. After removing the remaining ethanol with xylene, it was sealed using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
  • lung fibrosis which was increased in the bleomycin mouse model, was decreased by raloxifene (FIG. 8G ).
  • fibroblast model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formed in Example 3 2.5X10 5 fibroblasts were plated on 6-well plates, maintained and expanded for 1 day.
  • Pirfenidone and Nintedanib drugs approved as antifibrotic drugs at a concentration of 5 uM, were treated.
  • Collagen expression was measured using a Hydroxyproline assay kit (Sigma). The cells were harvested, mixed with hydrochloric acid in a ratio of 1:1, and incubated at 120°C for 3 hours. After incubation, the supernatant was separated by centrifugation at 13,000 xg for 5 minutes.
  • the harvested supernatant was transferred to a 96-well plate and dried completely at 60°C. Chloramine T/Oxidation Buffer mixture was added to the wells and incubated at room temperature for 5 minutes. After adding the diluted DMAB Reagent and incubating at 60° C. for 90 minutes,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60 nm to measure the total amount of collagen.
  • the drug screening platform was verified by confirming the anti-fibrotic effect of the previously known fibrosis treatment in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sis model.
  • fibroblast model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blasts of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formed in Example 3 2.5X10 5 fibroblasts were plated in 6-well plates, maintained and expanded for 1 day. One day later, Pirfenidone and Nintedanib were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 uM. Total RNA was extracted using Trizol, and cDNA was synthesized using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 QRT-PCR was performed on the synthesized cDNA using LightCycle 480 SYBR Green. The primers used are given in [Table 3]. All experiments were repeated 3 times, and the threshold of the average cycle was used to calculate gene expression for averaging GAPDH as an internal control.
  • the drug screening platform was verified by confirming the anti-fibrotic effect of the previously known fibrosis treatment in th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fibrosis model.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를 이용한 전신경화증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은 전신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본 출원은 2018년 12월 28일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 10-2018-0172694 호를 우선권으로 주장하고, 상기 명세서 전체는 본 출원의 참고문헌이다.
본 발명은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각질형성세포 및/또는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를 이용한 전신경화증 치료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은 활성화된 섬유아세포(fibroblast)가 콜라겐(collagen) 등의 결합조직 구성물질을 과도하게 생성하는데 기인하는 질환이다. SSc는 피부를 비롯하여 혈관, 위장관 계통, 폐, 신장 및 근육 관절 등의 결합 조직에 변화를 일으켜 그 기능의 결함을 초래한다. SSc는 그 발병 부위에 따라, 피부 경화가 팔꿈지 이하의 손, 무릎 이하의 발, 얼굴에서만 발생되는 제한성(limited) 타입과, 이보다 더 많은 부위, 즉 팔꿈치 이상, 무릎 이상의 피부와 몸통에서도 피부가 딱딱해지는 변화가 나타나면서 신장, 폐 등의 내부 장기 침범이 동반되는 미만성(diffuse) 타입으로 크게 분류된다.
유도만능 줄기세포(역분화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 세포)는 체세포와 같이 분화된 세포로부터 역분화되어 얻어진 만능분화능(pluripotency)을 갖는 세포를 지칭하며, 각종 장기 세포로 분화가 가능하다.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역분화 유도인자들에 의해 세포를 역분화(reprogramming)하여 얻어질 수 있으므로, 체세포 핵치환(somatic cell transfer)없이 환자 면역 적합성 만능 세포주의 생성이 가능하다.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모두 우리 몸의 모든 세포를 생성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만능분화능(pluripotency)을 가지며, 자기와 닮은 세포들을 무한정 만들어낼 수 있는 자기재생(self-renewal) 능력이 있다. 인간 배아줄기세포 역시 만능분화능을 나타내지만 윤리적 문제로 인해 연구 및 응용의 범위가 제한적임에 반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인간의 체세포를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윤리적 문제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이 있다.
유도만능 줄기세포 (iPSC)는 그 만능분화능으로 인해 향후 손상된 세포, 조직 또는 장기를 대체함으로써 약물이나 수술로 치료가 어려운 난치병을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나아가 신약 개발, 질병 메커니즘 및 발생학 연구에 이르기까지 생명과학의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유도만능 줄기세포 기술은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으며, 주로 역분화를 유도함으로써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 및 확립하는 기술 개발에 치중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환자유래 세포를 이용한 유도만능 줄기세포 확립과 이를 기반한 약물 스크리닝 시스템 개발은 2006년 야마나카 교수의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도 방법의 발견 이래 지난 10년간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시도되어 왔다. 주로 유전자(DNA) 이상 등의 요인에 의한 질병에서 이러한 질환 오가노이드가 많이 시도되었고, 약물의 스크리닝에 응용되고 있다. 유전자 이상으로 발병한 질환의 경우 당연히 환자의 체세포에서 역분화하였다가 다시 특정 세포로 분화될 때 해당 유전자가 그대로 복제되므로 이러한 과정에서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도 그대로 전달되고, 그 결과로 질병의 양태(phenotype)가 재분화된 세포에서 나타날 개연성이 매우 높다. 그러나 전신경화증의 경우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유전자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나 현재까지 알려진 바로는 유전자의 결함으로 발병하는 질환은 아니며, 정확한 발병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지금까지 인간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하여 인간의 면역계가 구현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을 제조하거나, 이러한 질환 모델을 활용하여 개인에게 맞는 치료법이나 약물을 선정하는 기술은 보고된 바가 없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전신경화증 질환의 모델을 제조하고 이를 이용한 전신경화증 치료제 스크리닝 방법 및 전신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제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전신경화증 환자에서 유래한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성공적으로 분화시켰으며, 이 두 세포를 이용하여 3D 배양한 새로운 전신경화증 피부 모델을 제작하였다. 또한, 상기 세포와 피부 모델에서 전신경화증의 질병 특이적 마커들을 인 비트로(in vitro)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환자의 질환 특징(disease phenotype)이 모사된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분화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각질형성세포;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상 세포에 대비하여 섬유화(fibrosis)의 마커의 발현이 증가된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을 이용하여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에 의해 스크리닝된 전신경화증 치료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나의 양태는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또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organoid)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또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분화시키는 단계;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organoid)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이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의 배양체(Embryonic body: EB)에 DMEM/F12를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1에서 3-10일간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액을, DKSFM(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을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2로 교체하여 2-10일간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액을, DKSFM 및 KSFM(keratinocyte serum-free medium)을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3으로 교체하여 5-60일간 3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화 방법에서, 1차 배양기간은 7-9일이고, 2차 배양기간은 3-6일이며, 3차 배양기간이 15-25일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의 배양체(Embryonic body: EB)에 DMEM/F12 및 EGF(epidermal growth factor)를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1에서 1-7일간 배양하는 단계; 상기 분화배양액 1에 BMP4를 첨가하여 1-7일간 유지하는 단계; 이후 배양액을, DMEM/F12를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2로 교체하여 5-15일간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이후 배양액을, 상기 분화배양액 1로 교체하여 5-20일간 3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iPSC에서 섬유아세포로 분화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화 방법에서, 1차 배양기간은 2-5일이고, 2차 배양기간은 5-10일이며, 3차 배양기간은 5-15일일 수 있다. 또한, 3차 배양 후에, 배양된 세포를 콜라겐 1 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겨 추가 배양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화 방법은, 콜라겐 1 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겨 5일 이상 추가 배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각질형성세포; 및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관한 것이다.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는, 오가노이드 내의 세포에서, 정상 세포 대비 콜라겐의 축적이 증가하고, α-SMA(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정상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대비하여 섬유화 마커의 발현이 증가된 전신경화증 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로서, 상기 섬유화 마커는 COL1A1, COL1A2, COL3A1, ACTA2 및 Viment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인,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전신경화증 환자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된 세포일 수 있다. 상기 섬유아세포는, 정상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 대비 콜라겐의 축적이 증가하고, α-SMA(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 또는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질환 모델은 마우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배양하고 피부세포로 분화시켜 형성된 세포 또는 3D 세포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 또는 세포 집합체는 전신경화증의 병리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세포의 병리학적 특징은 정상 섬유아세포 대비 증가된 세포증식도 및 증가된 섬유화 마커, 콜라겐의 생성 및 축적 등을 나타내는 것인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는 전신경화증 환자의 말초혈액 세포(Peripheral Blood Cell, PBMC)로부터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 과정을 통해 전분화능(pluripotency)을 가지도록 유도된 세포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로그래밍(reprogramming)”은 분화능이 없는 세포 또는 일정부분 분화능이 있는 세포 등 서로 다른 양태로 존재하는 분화된 세포로부터 최종적으로 새로운 유형의 분화잠재력을 갖는 상태로 복원 또는 전환될 수 있는 프로세스를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로그래밍은 역분화 (dedifferentiation)와 동일한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세포의 리프로그래밍 기작은 핵 내의 후생유전학 (뉴클레오타이드 서열에서의 변화없이 기능에서의 유전적 변화를 일으키는 것과 관련된 DNA 상태)적 마크가 삭제된 후, 상이한 세트의 후생유전학적 마크를 수립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다세포 생물이 분화 및 성장하는 동안, 상이한 세포 및 조직은 상이한 유전자 발현 프로그램을 획득하게 된다.
상기 리프로그래밍은 전신경화증 환자 PBMC로부터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만들 수 있는 한 제한이 없으며, 당업계의 공지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인위적인 리프로그래밍 과정은 비삽입형 바이러스를 이용한 바이러스-매개 또는 비삽입형 비바이러스성 벡터 이용, 단백질 및 세포 추출물 등을 이용하는 비바이러스-매개 리프로그래밍 인자의 도입에 의해 수행되거나, 줄기세포 추출물, 화합물 등에 의한 리프로그래밍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배아줄기세포와 거의 같은 특성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비슷한 세포 모양을 보여주며,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패턴이 유사하고, 인 비트로 (in vitro) 및 인 비보 (in vivo)에서 전분화능을 가지며, 테라토마(teratoma)를 형성하고, 생쥐의 배반포 (blastocyst)에 삽입시켰을 때, 키메라 (chimera) 생쥐를 형성할 수 있으며, 유전자의 생식선 전이 (germline transmission)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는 인간, 원숭이, 돼지, 말, 소, 양, 개, 고양이, 생쥐 또는 토끼 등의 모든 유래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인간 유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리프로그래밍 인자"란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가 새로운 유형의 분화되는 잠재력을 갖는 전분화능 줄기세포 (Pluripotent stem cell)로 리프로그래밍 되도록 유도하는 물질이다. 상기 리프로그래밍 인자는 최종적으로 분화된 세포의 리프로그래밍을 유도하는 물질이면 제한 없이 포함할 수 있으며, 분화시키려는 세포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프로그래밍 인자는 Oct4, Sox2, Klf4, c-Myc, Nanog, Lin-28 및 Rex1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단백질 또는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단백질을 코딩하는 핵산분자"는 세포 내에 전달되면 그 자체로 해당 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도록 프로모터 등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분화"는 세포가 분열하여 증식하며 전체 개체가 성장하는 동안에 세포의 구조나 기능이 특수화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즉, 생물의 세포, 조직 등이 각각에게 주어지는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형태 및 기능으로 변하는 과정을 말하며, 예를 들어, 배아줄기세포와 같은 전분화능 줄기세포가 외배엽, 중배엽 및 내배엽 세포로 변하는 과정뿐 아니라 조혈모세포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등으로 변하는 과정, 즉 전구세포가 특정 분화형질을 발현하게 되는 것도 모두 분화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전신경화증 환자 혈액의 PBMC로부터 리프로그래밍을 통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iPSC)를 제조하였다(도 1).
또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전신경화증 특이적 질병의 표현형을 재현할 잠재력을 가지는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각질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로 각각 분화시켰다. 각질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마커, 단백질 및 세포 표면 마커 등의 발현을 확인함으로써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래된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가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도 2 및 도 3).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각질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3D 오가노이드”는 3D 입체구조를 가지는 세포덩어리를 의미하며, 동물 등에서 수집, 취득하지 않은 인공적인 배양 과정을 통하여 제조한 축소되고 단순화된 버전의 기관을 의미한다. 이를 구성하는 세포의 유래는 제한되지 않는다. 오가노이드는 조직, 배아줄기세포 또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파생될 수 있으며, 자가재생 및 분화능력으로 인해 3차원으로 배양될 수 있다. 상기 오가노이드는 세포의 성장 과정에서 주변 환경과 상호 작용하도록 허용되는 환경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 “3D 피부 오가노이드”는 실제로 in vivo에서 상호 작용을 하고 있는 피부층을 거의 모사하여, 질병의 치료제 개발 및 치료과정 등을 관찰할 수 있는 훌륭한 모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전신경화증 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제조한 3D 피부 오가노이드는 기존의 2D 세포 배양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발생하는 전신경화증 관련 콜라겐의 축적과 분해과정을 밝히는데 공간적, 시간적 제한을 극복할 수 있다. 콜라겐 축적 여부 등을 염색으로 확인하기 쉬우며, 나아가 이를 마우스 피부에 추가 이식하여 인간화 마우스 모델을 제작함으로써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로서 인체 내 환경과 유사하고, 정교하게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3D 피부 오가노이드 또는 3D 피부 오가노이드가 이식된 인간화 동물 모델은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로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과정을 통해 제작된 섬유아세포 또는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섬유화 마커인 α-SMA 및 콜라겐 발현율이 높고, 정상에 비해 3D 섬유아세포층의 두께가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의 3D 피부 오가노이드(3D skin organoid; iSO)를 마우스에 이식하였을 때 정상인 iSO를 이식한 마우스 대비 피부조직의 두께가 증가되어 있고, 콜라겐과 α-SMA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5). 이를 통해, 본 발명의 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 3D 피부 오가노이드 또는 이를 이식한 인간화 동물 모델이 질환 메커니즘 및 새로운 치료제 개발을 위한 새로운 질환 모델로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킨 후 상기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3D skin organoid)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α-SMA(α-Smooth muscle actin)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α-SMA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킨 후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3D skin organoid)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콜라겐 축적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콜라겐 축적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화시킨 섬유아세포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섬유아세포에서 α-SMA(α-Smooth muscle actin)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α-SMA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화시킨 섬유아세포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축적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콜라겐 축적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해 스크리닝된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콜라겐 축적"은 다양한 조직의 구조 및 기능을 변화시키는 손상 (injury) 또는 염증에 따른 콜라겐 매트릭스의 비정상적인 축적을 말한다. 이는 정상 환경하에 기관 및 조직에서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것이지만 과도하게 발생될 수 있고, 질병을 수반하거나 질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전신경화증의 대부분의 병인학은 정상 조직을 대체하는 콜라겐 매트릭스의 과도한 축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 "후보 물질(test agent)"은 임의의 물질(substance), 분자(molecule), 원소(element), 화합물(compound), 실재물(entity)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들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단백질, 폴리펩티드, 소 유기분자(small organic molecule), 다당류(polysaccharide), 폴리뉴클레오티드 등을 포함한다. 또한, 천연 산물(natural product), 합성 화합물 또는 2개 이상의 물질의 조합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인 섬유아세포, 각질형성세포, 또는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α-SMA의 발현 또는 활성이 감소되며 콜라겐 축적이 감소할 경우 섬유화가 억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섬유아세포, 각질형성세포 또는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α-SMA의 발현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감소시키고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제제는 전신경화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단백질 발현 수준 측정"이란 섬유증 질환의 콜라겐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α-SMA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단백질의 양을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α-SMA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 또는 앱타머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항체는 다클론 항체, 단일클론 항체 또는 항원 결합성을 갖는 것이면 상기 항체의 단편들도 본 발명의 항체에 포함된다. 나아가, 본 발명의 항체에는 인간화 항체 등의 특수 항체 및 인간 항체 등도 포함하며, 신규한 항체 외에 이미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항체들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항체는 α-SMA 유전자로부터 발현되는 단백질을 특이적으로 인식하는 결합의 특성을 갖는 한, 2개의 중쇄와 2개의 경쇄의 전체 길이를 가지는 완전한 형태뿐만 아니라, 항체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을 포함한다. 항체의 분자의 기능적인 단편이란, 적어도 항원 결합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단편을 뜻하며, Fab, F (ab'), F (ab')2 및 Fv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단백질 발현 수준 측정으로는 단백질 칩 분석, 면역측정법, 리간드 바인딩 어세이, MALDI-TOF(Matrix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SELDI-TOF(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분석, 방사선 면역분석, 방사 면역 확산법, 오우크테로니 면역 확산법, 로케트 면역전기영동, 조직면역 염색, 보체 고정 분석법, 2차원 전기영동 분석, 액상 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LCMS), LC-MS/MS(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Mass Spectrometry), 웨스턴 블랏, 및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assay)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 "mRNA 발현 수준 측정"이란 전신경화증의 콜라겐 축적에 영향을 미치는 α-SMA의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mRNA의 양을 측정한다. 이를 위한 분석 방법으로는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T-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Competitive RT-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반응 (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 (Northern blotting), DNA 칩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전자의 mRNA 수준을 측정하는 제제는 구체적으로 α-SMA유전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프라이머 쌍, 프로브 또는 안티센스 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유전자들의 핵산 정보가 GeneBank 등에 알려져 있으므로 당업자는 상기 서열을 바탕으로 이들 유전자의 특정 영역을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프라이머 또는 안티센스뉴클레오티드를 디자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폐섬유증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인 피르페니돈(Pirfenidone)과 닌테다닙(Nintedanib)을 처리 후 총 콜라겐의 발현 감소 및 COL1A1과 ACTA2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임상약물의 효과를 입증하는 바,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화 모델 구축을 통한 스크리닝 플랫폼을 검증하였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FDA 승인된 800개의 약물을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에 처리 후 세포 증식도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1차 스크리닝하였고, 1차 선별된 약물을 이용하여 총 콜라겐의 발현 감소 및 α-SMA 발현이 감소됨을 추가 확인하여 기존 허가된 약물의 전신경화증 치료제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도 6).
이를 통해, α-SMA 발현을 억제하는 닥티노마이신과 랄록시펜이 콜라겐 축적을 매우 우수하게 억제하는바, 섬유증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분화된 섬유아세포 및 각질형성세포 그리고 이 세포들로 이뤄진 3D 피부 오가노이드는 우수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로서 항섬유화 약제 개발 및 신약 재창출 기술의 스크리닝에 이용될 수 있다.
도 1A는 전체 실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에서 PBMC를 분리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제조한 후 형태를 확인한 것이다.
도 1C는 Alkaline phosphatase staining으로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1D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마커인 SSEA4, OCT4, TRA-1-60, SOX2, TRA-1-81, KLF4의 발현을 IFA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E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marker인 OCT4, SOX2, Nanog, LIN28의 발현을 qRT-PCR을 통해서 유전자 레벨에서 확인한 결과이다.
도 1F는 테라토마 형성을 이용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가 내배엽, 중배엽, 외배엽 분화 가능함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2은 전신경화증 특이적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2A는 각질형성세포 분화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고,
도 2B는 각질형성세포의 형태와 각질형성세포 마커인 KRT14 및 Np63을 IFA로 확인한 결과이고,
도 2C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마커인 OCT4와 신경외배엽 마커인 PAX6 및 SOX1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로서,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발현하던 OCT4의 발현이 분화 후에 감소하고, 각질형성세포 분화 시 발현 되지 않는 신경외배엽 마커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한 것이고,
도 2D는 각질형성세포 마커인 Np63, KRT5, KRT14의 발현을 qRT-PCR을 통하여 확인한 결과로서, 유도만능 줄기세포 마커는 발현이 감소되며, 각질형성세포 마커의 발현은 증가함을 확인한 것이다.
도 3은 전신경화증 특이적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섬유아세포(Fibroblast)로의 분화를 확인한 결과로서,
도 3A는 섬유아세포 분화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는 섬유아세포 형태 및 섬유아세포 마커인 Fibronectin과 vimentin을 IFA로 확인한 결과이고,
도 3C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마커인 OCT4와 섬유화 마커인 COL1A1, COL1A2, COL3A1, ACTA2, Vimentin의 발현을 확인한 결과로,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발현하던 OCT4의 발현이 분화 후에 감소하고, 섬유화 마커의 발현은 증가함을 확인한 결과이며, 이때, 정상인에 비해 전신경화증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섬유아세포 (iPSC-fibroblast)에서 섬유화 마커의 발현이 모두 증가 되어있음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4는 3D 피부 오가노이드(organoid) 및 인간화 마우스 모델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A)는 3D 피부 오가노이드 제작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고, (B)는 인간화 마우스 모델(Humanized mice model) 제작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C) 내지 (J)는 3D 피부이식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시험관 내 및 생체 내에서의 전신경화증 모델링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증식도로서,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와 전신경화증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사이의 세포증식도의 차이가 없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5B는 iPSC-derived fibroblast(iPSC-F)의 세포증식도로서,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섬유아세포 (iPSC-fibroblast)에 비해 전신경화증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섬유아세포 (iPSC-fibroblast)의 세포증식이 증가되어있음을 확인한 것이고,
도 5C는 섬유화 마커인 α-SMA의 발현을 웨스턴 블랏으로 확인한 결과로서,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섬유아세포 (iPSC-fibroblast)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섬유아세포 (iPSC-fibroblast)에서 α-SMA의 발현이 높음을 확인한 것이고,
도 5D는 웨스턴 블랏을 정량화 한 결과로서, 정상인에 비해 전신경화증의 α-SMA의 발현이 높음을 나타낸 것이고(통계적으로 유의함),
도 5E는 세포 내의 총 콜라겐을 정량화 하였을 때,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F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F에서 콜라겐의 발현이 높음을 나타낸 것이고,
도 5F는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이용한 3D fibroblast layer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G는 3D fibroblast layer를 형성하였을 때, 정상인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3D fibroblast layer 의 두께가 증가된 것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5H는 섬유화 마커인 α-SMA의 발현을 IFA을 통해 확인하였을 때 정상인의 iPSC-F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iPSC-F의 α-SMA의 발현이 높음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5I는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3D skin organoid(iSO)를 제작하여 마우스에 이식하였을 때 정상인 iSO를 이식한 마우스에 비해 전신경화증환자의 ISO를 이식한 마우스의 피부조직의 두께가 증가되어 있으며, Collagen 3와 α-SMA 의 발현이 증가된 것을 확인한 결과이다.
도 6은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전신경화증 모델을 이용한 항섬유화 약제 스크리닝을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FDA 승인 약물 스크리닝 모식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FDA 승인된 800개의 약물을 iPSC-F에 처리 후 세포 증식도를 측정하여 iPSC-F의 활성화된 세포 증식도를 감소시키는 약물을 1차 스크리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선별된 약물을 이용하여 총 콜라겐을 측정하였을 때 닥티노마이신과 랄록시펜에서 총 콜라겐의 감소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6D-6F는 정상인의 iPSC-F와 전신경화증 환자의 iPSC-F에 섬유화를 유도하는 TGF-b 자극을 준 뒤 두 가지 약물을 처리하였을 때, 총 콜라겐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6G는 전신경화증 환자의 iPSC-F에 두 가지 약물을 처리한 뒤, α-SMA의 발현의 감소를 확인한 결과이고,
도 6H-6I는 α-SMA의 발현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전신경화증 모델을 이용한 랄록시펜의 시험관 내 효능 검증 결과로서,
도 7A는 iPSC-F에 랄록시펜 처리 후 wound healing assay 진행하였을 때, 세포 증식이 감소하고, TGF-b에 의해 증가한 wound healing이 감소됨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7B-7C는 Wound length를 정량화한 것이고,
도 7D는 Incubation 시간에 따른 wound length의 변화 그래프로서, 랄록시펜을 처리하였을 때, wound length 의 감소폭이 줄어든 것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7E는 3D fibroblast layer을 형성한 뒤, 랄록시펜을 처리하였을 때, TGF-b에 의해 증가한 layer의 두께가 감소됨을 확인한 결과이고,
도 7F-7G는 3D fibroblast layer의 두께와 area을 정량화한 것이고,
도 7H는 랄록시펜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α-SMA의 발현이 농도에 따라 감소되는 것을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확인한 것이고,
도 7I는 랄록시펜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α-SMA의 발현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7J는 랄록시펜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총 콜라겐의 발현이 농도에 따라 감소됨을 확인한 것이다.
도 8은 전신경화증 동물 모델인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의 효능 검증 결과로서,
도 8A는 Bleomycin 마우스 모델 제작 및 약물 투여 프로토콜을 나타낸 것이고,
도 8B는 Bleomycin 마우스 모델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로서, Bleomycin 유도에 의해 증가된 피부 두께가 약물 처리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한 것이고,
도 8C-E는 섬유화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qRT-PCR을 이용하여 확인하였을 때 COL1A1, COL3A1, ACTA2의 발현이 약물 처리 군에서 감소됨을 확인한 것이고,
도 8F는 Bleomycin 유도에 의해 증가된 피부 두께가 약물 처리에 의해 감소된 것을 정량화하여 나타낸 것이고,
도 8G는 Bleomycin 마우스 모델 폐 조직의 조직학적 분석 결과로서, 폐 조직의 항섬유화 효과를 관찰한 것이다.
도 9는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피부 섬유화 모델에서 기존 항섬유화 약제의 효능을 평가하여 스크리닝 플랫폼을 검증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9A는 콜라겐 발현 분석 결과이고, 도 9B는 섬유화 마커 발현 분석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특이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의 제조 및 특성 분석
<1-1> 환자 모집 및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분리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은 서울 성모 병원의 류마티스 내과에서 획득했다. 전혈을 인산완충 식염수 (PBS)로 희석하고 피콜농도구배(Ficoll gradient)를 통해 850 xg에서 30분간 원심 분리 하였다. 말초혈액 세포(Peripheral Blood Cell, PBMC) 를 수집 및 동결 시켰다. 실험에 사용하기 전에 PBMC를 해동시키고 CC110 사이토카인 칵테일(STEMCELL)이 보충 된 StemSpan 배양액(STEM CELL Technological, Vacouver, British Colubia, Canada)에 재현탁했다. 리프로그래밍 전에 세포를 5% CO2, 37℃에서 5일 동안 유지시켰다. 이 연구는 서울 성모 병원 가톨릭 대학교의 기관 검토위원회(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IRB) of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에 의해 승인 받았다.
<1-2> 전신경화증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리프로그래밍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는 전신경화증 환자의 혈액에서 말초혈액 세포(Peripheral Blood Cell, PBMC)를 분리하여 Yamanaka 펙터를 포함하는 센다이(Sendai) 바이러스를 처리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획득하였다. 일반적으로 유도만능 줄기세포 리프로그래밍은 체세포에 리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인자를 인위적으로 과발현시켜 만능줄기세포를 유도해내는 기술을 의미한다. 상기 유전자를 과발현시키는 방법으로는 바이러스, 플라스미드 벡터, mRNA, 단백질 등이 있다. 3x105 개의 PBMC를 24-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도말하였다. CytoTune-iPSC 센다이 리프로그래밍 키트를 사용하여 리프로그래밍을 유도했다. 바이러스 형질도입은 3x105개의 세포당 7.5의 다중성 감염으로 수행되었다. 바이러스를 처리 한 뒤 1,160 xg, 37℃에서 30분간 원심분리 한 후 5% CO2, 37℃에서 배양 하였다. 다음날 세포를 비트로넥틴(Vitronectin; Life Technologies)으로 코팅된 24-웰 플레이트로 옮기고 1,160 xg, 37℃에서 10분간 원심분리 한 후 5% CO2, 37℃에서 배양 하였다. Essential 8(Life Technologies)을 1:1의 비율로 배양액을 첨가 하였다. 리프로그래밍된 세포는 일일 배양액 교환으로 Essential 8 배양액에서 유지 및 확장되었다.
<1-3> 세포 형태 확인
리프로그래밍된 세포는 일일 배양액 교환으로 Essential 8 배양액에서 유지 및 확장되었다. 세포의 형태 확인에 적절한 콜로니를 얻기 위해 5x103 개의 세포를 비트로넥틴이 코팅된 6-웰 플레이트에 도말 하고 5일 동안 유지하여 유도만능 줄기세포 형태를 Leica DMi8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도 1B).
<1-4> AP 염색
AP 염색(Alkaline Phosphatase staining)을 위해 상기 실시예 1-2를 통해 생성 및 유지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5x103 개의 세포를 비트로넥틴이 코팅된 6-웰 플레이트에 도말 하고 5일 동안 확장하였다. 미분화 유도만능 줄기세포 콜로니의 염색은 알칼라인 포스파타아제 검출 키트 (Alkaline phosphatase detection kit; Millipore, Billerica, MA, USA)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하고, 4% 포름알데하이드(Paraformaldehyde)로 1-2분간 고정하였다. 남아있는 고정액을 0.05%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하였다. Fast Red Violet, 나프톨 AS-BI 인산염 용액 및 물을 2:1:1의 비율로 혼합하여 15분간 염색 하였다. 0.05%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뒤 PBS를 넣어 건조를 방지 하였다. 염색된 콜로니를 Leica DMi8 현미경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으로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전분화능을 확인하였다 (도 1C).
<1-5> 세포면역 염색
면역 형광 염색을 위해 상기 실시예 1-2를 통해 생성 및 유지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5x103 개의 세포를 비트로넥틴이 코팅된 6-웰 플레이트에 도말 하고 5일 동안 확장하였다. 확장 후 PBS로 세척하고 4% 포름알데하이드로 30분간 고정하였다. 남은 고정액을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제거 한 뒤, 0.1% Triton X-100(BIOSESANG)을 처리하여 세포의 투과성을 증가 시켰다. 2% 소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차단한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PBA에 희석하였다: OCT4(1/100; Santa Cruz, CA, USA), KLF4(1/250; Abcam, Cambridge, UK), SOX2(1/100; BioLegend, San Diego, CA, USA), TRA-1-60(1/100; Millipore), TRA-1-81(1/100; Millipore) 및 SSEA4(1/200; Millipore).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핵 염색제로 DAPI를 사용하였다. 염색 후 세포를 세척하고 ProLong Antifade 시약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Carl Zeiss 면역 형광 현미경으로 염색된 콜로니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유도만능 줄기세포 마커인 SSEA4, OCT4, TRA-1-60, SOX2, TRA-1-81, KLF4의 발현을 IFA로 확인할 수 있었다(도 1D).
<1-6> qRT-PCR 수행
qRT-PCR을 위해, Trizol을 사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LightCycle 480 SYBR Green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1]에 제시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 사이클의 임계값은 내부대조로써 GAPDH을 평균화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전분화능 마커 유전자 확인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
타겟 유전자 방향 염기서열(5'->3') 서열번호 크기
OCT4 Forward ACCCCTGGTGCCGTGAA 1 190
Reverse GGCTGAATACCTTCCCAAATA 2
SOX2 Forward CAGCGCATGGACAGTTAC 3 321
Reverse GGAGTGGGAGGAAGAGGT 4
NANOG Forward AAAGGCAAACAACCCACT 5 270
Reverse GCTATTCTTCGGCCAGTT 6
LIN28 Forward GTTCGGCTTCCTGTCCAT 7 122
Reverse CTGCCTCACCCTCCTTCA 8
GAPDH Forward ACCCACTCCTCCACCTTTGA 9 101
Reverse CTGTTGCTGTAGCCAAATTCGT 10
그 결과, 유도만능 줄기세포 marker인 OCT4, SOX2, NANOG, LIN28의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도 1E).
<1-7> 테라토마 형성 관찰
테라토마 형성 관찰을 위해서는 종양을 유도하기 위해 SCID 마우스, Nude 마우스 등 면역결핍 마우스가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해당 실험에서는 SCID 마우스를 사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2를 통해 생성 및 유지된 1x106 개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Matrigel(BD Biosciences)과 1:1의 비율로 혼합하였다. 인슐린 주사기를 이용하여 SCID 마우스의 정소에 세포를 주입하고, 8-12주 후 생성된 종양을 추출하여 헤마톡실린(Hematoxylin) 과 에오신(Eosin) 염색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내배엽(Endoderm), 중배엽(Mesoderm), 외배엽(Ectoderm)으로 모두 분화가 가능한 줄기세포능을 가진 유도만능 줄기세포가 생성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1F).
[실시예 2]
전신경화증 특이적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의 분화
<2-1> 각질형성세포 분화 프로토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생성 및 유지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Aggrewell 배양액(STEMCELL)에 재현탁하고 현적배양(Hanging drop culture)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체(EB; Embryonic Body)를 형성 하였다. 세포를 5% CO2, 37℃에서 하루 동안 배양 하였다. 형성된 EB는 수확하여 Essential 8 배양액에 1ng/ml BMP4를 첨가하여 유지하였다. 다음날,
EB를 수확하여 콜라겐 IV 코팅 플레이트에 부착하였다. 분화 기간 동안 배양액을 2일에 한번 교환하였다. 배양액은 케라틴 분화 배양액 1 (DMEM/F12 3:1, 2 % fetal bovine serum (FBS), 0.3 mmol/L L-ascorbic acid, 5 μg/mL insulin, and 24 μg/mL adenine) 로 교환하고, 3 μM RA (Retinoic acid), 25 ng/mL BMP4, 20 ng/mL EGF를 첨가 하여 7일간 유지하였다. 7일 뒤 (Day8), 배양액은 케라틴 분화 배양액 2 (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0.3 mmol/l L-ascorbic acid, 5 μg/ml insulin, 10 μg/ml adenine) 으로 교환하고, 3 μM RA (Retinoic acid), 25 ng/mL BMP4, 20 ng/mL EGF를 첨가 하여 4일간 유지하였다. 4일 뒤 (Day12), 배양액은 케라틴 분화 배양액 3 (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와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 (1:1))으로 교환하고, 10 ng/mL BMP4 와 20 ng/mL EGF를 첨가하여 분화된 각질형성세포를 유지 확장 하였다 (도 2A).
<2-2> 각질형성세포 형태 및 마커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형성된 각질형성세포를 분화 시작 후 21일에 수확하여 형태를 Leica DMi8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수확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면역형광 염색을 위해 세포를 4% 포름알데하이드로 30분간 고정하였다. 한 후, 남은 고정액을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제거 한 뒤, 0.1% Triton X-100(BIOSESANG)을 처리하여 세포의 투과성을 증가 시켰다. 2% 소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차단한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PBA에 희석하였다: p63(1/100; Abcam, Cambridge, UK), KRT14(1/100; Abcam, Cambridge, UK).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핵 염색제로 DAPI를 사용하였다. 염색 후 세포를 세척하고 ProLong Antifade 시약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Carl Zeiss 면역 형광 현미경으로 염색된 각질형성세포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각질형성세포의 마커인 p63 및 KRT14의 발현을 IFA로 확인하였다 (도 2B).
<2-3> 유도만능 줄기세포 및 신경 외배엽 마커의 발현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형성된 각질형성세포를 분화 시작 후 21일에 수확 하여
qRT-PCR을 위해, Trizol을 사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LightCycle 480 SYBR Green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2]에 제시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 사이클의 임계값은 내부대조로써 GAPDH을 평균화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 결과, 유도만능 줄기세포 마커인 OCT4와 신경 외배엽(neuroectoderm) 마커인 PAX6와 SOX1의 발현이 감소됨을 확인 하였다 (도 2C).
<2-4> qRT-PCR을 이용한 각질형성세포 마커의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 2-1에서 형성된 각질형성세포를 분화 시작 후 21일에 수확 하여 qRT-PCR을 위해, 트리졸을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고,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LightCycle 480 SYBR Green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2]에 제시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 사이클의 임계값은 내부대조로써 GAPDH을 평균화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각질형성세포 분화 마커 확인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
타겟 유전자 방향 염기서열(5'->3') 서열번호 크기
hOCT4 Forward ACCCCTGGTGCCGTGAA 11 190
Reverse GGCTGAATACCTTCCCAAATA 12
hPAX6 Forward GTCCATCTTTGCTTGGGAAA 13 110
Reverse TAGCCAGGTTGCGAAGAACT 14
hSOX1 Forward CACAACTCGGAGATCAGCAA 15 133
Reverse GGTACTTGTAATCCGGGTGC 16
hNp63 Forward GGAAAACAATGCCCAGACTC 17 294
Reverse GTGGAATACGTCCAGGTGGC 18
hKRT5 Forward ACCGTTCCTGGGTAACAGAGCCAC 19 198
Reverse GCGGGAGACAGACGGGGTGATG 20
hKRT14 Forward GCAGTCATCCAGAGATGTGACC 21 181
Reverse GGGATCTTCCAGTGGGATCT 22
hGAPDH Forward ACCCACTCCTCCACCTTTGA 23 110
Reverse CTGTTGCTGTAGCCAAATTCGT 24
그 결과, 각질형성세포의 마커인 Np63, KRT5 및 KRT14의 발현이 증가됨을 확인 하였다 (도 2D).
[실시예 3]
전신경화증 특이적 유도만능 줄기세포의 섬유아세포(Fibroblast)로의 분화
<3-1> 섬유아세포 분화 프로토콜
상기 실시예 1을 통해 생성 및 유지된 유도만능 줄기세포를 Aggrewell 배양액(STEMCELL)에 재현탁하고 현적배양(Hanging drop culture)방법을 이용하여 배양체(EB; Embryonic Body)를 형성 하였다. 세포를 5% CO2, 37℃에서 하루 동안 배양 하였다. 형성된 EB는 수확하여 Essential 8 배양액에 유지하였다. 다음날, EB를 수확하여 마트리겔 코팅된 플레이트에 부착하였다. 배양액은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 1(DMEM/F12 3:1, 5 % fetal bovine serum (FBS), 5 μg/ml insulin, 0.18 mM adenine, and 10 ng/ml epidermal growth factor (EGF))으로 교환하였다. 분화 기간 동안 배양액을 2일에 한번 교환하였다. 3일 뒤(Day4)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1에 0.5nM BMP4를 첨가하여 3일간 유지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 2(DMEM/F12 1:1, 5 % FBS, 1 % nonessential amino acids)로 교환하여 7일간 유지하였다. 7일 뒤(Day14), 확장된 세포를 코팅되지 않은 플레이트에 옮겨주었다. 이때 배양액은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 1로 교체하였다. 7일 뒤(Day 21), 확장된 세포를 콜라겐 1 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겨주었다. 배양액은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 1로 2일에 한번 교환하여 분화된 섬유아세포를 유지 확장 하였다 (도 3A).
<3-2> 섬유아세포의 형태 및 마커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형성된 섬유아세포를 분화 시작 후 28일에 수확하여 형태를 Leica DMi8 현미경을 사용하여 확인하였다. 수확된 세포를 PBS로 세척하고 면역형광 염색을 위해 세포를 4% 포름알데하이드로 30분간 고정하였다. 한 후, 남은 고정액을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제거 한 뒤, 0.1% Triton X-100(BIOSESANG)을 처리하여 세포의 투과성을 증가 시켰다. 2% 소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차단한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PBA에 희석하였다: Fibronectin(1/200; Abcam, Cambridge, UK), Vimentin(1/200; Abcam, Cambridge, UK).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핵 염색제로 DAPI를 사용하였다. 염색 후 세포를 세척하고 ProLong Antifade 시약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Carl Zeiss 면역 형광 현미경으로 염색된 각질형성세포를 검출하였다.
그 결과, 섬유아세포의 세포 마커인 fibronectin과 vimentin의 발현을 IFA로 확인하였다 (도 3B).
<3-3> 유도만능 줄기세포 및 섬유화 마커의 발현 확인
상기 실시예 3-1에서 형성된 섬유아세포를 분화 시작 후 28일에 수확 하여
qRT-PCR을 위해, 트리졸을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고,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LightCycle 480 SYBR Green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3]에 제시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 사이클의 임계값은 내부대조로써 GAPDH을 평균화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섬유아세포 분화 마커 및 섬유화 인자 발현 확인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
타겟 유전자 방향 염기서열(5'->3') 서열번호 크기
hOCT4 Forward ACCCCTGGTGCCGTGAA 11 190
Reverse GGCTGAATACCTTCCCAAATA 12
hCOL1A1 Forward CCCCTGGAAAGAATGGAGATG 25 148
Reverse TCCAAACCACTGAAACCTCTG 26
hCOL1A2 Forward GGATGAGGAGACTGGCAACC 27 77
Reverse TGCCCTCAGCAACAAGTTCA 28
hCOL3A1 Forward CGCCCTCCTAATGGTCAAGG 29 161
Reverse TTCTGAGGACCAGTAGGGCA 30
hACTA2 Forward AAAGCAAGTCCTCCAGCGTT 31 115
Reverse TTCACAGGATTCTGGGAGCG 32
hGAPDH Forward ACCCACTCCTCCACCTTTGA 33 110
Reverse CTGTTGCTGTAGCCAAATTCGT 34
그 결과,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발현하던 OCT4의 발현이 분화 후에 감소하였으며, fibroblast marker의 발현은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이때, 정상인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에서 섬유화 마커의 발현이 모두 증가 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 (도 3C).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의 시험관내에서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4]
3D 피부 오가노이드(organoid) 및 인간화된 마우스 모델의 제작
<4-1> 3D 피부 오가노이드 제작 프로토콜
상시 실시예 2 및 3에서 형성된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제작하였다. 분화 28일 이후의 2x105 개의 섬유아세포를 수확하여 콜라겐 1과 혼합하여 6-웰 크기의 트렌스웰 플레이트(Transwell plate)에 도말 하였다. 5일간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 1로 2일에 한번 교환 하였다. 콜라겐 1이 겔화 되면 분화 21일 이후의 1x106 개의 각질형성세포를 수확하여 50-100 μl의 상피세포 배양액 1(Epithelial Medium; EP1; DMEM/F12 3:1, 4 mM L-glutamine, 40 μM adenine, 10 μg/mL transferrin, 10 μg/mL insulin, and 0.1 % FBS)에 재현탁하여 섬유아세포 위에 도말 한다. 2일간 (Day7) 유지 한 뒤 배양액을 상피세포 배양액 2(Epithelial Medium; EP2; EP1 배양액에 1.8mM calcium chloride를 첨가하여 제조 하였다)으로 교환하여 2일간 배양하였다. 2일 뒤 (Day 9), 상피세포 배양액 3(Epithelial Medium; EP3; DMEM/F12 1:1, 4 mM L-glutamine, 40 μM adenine, 10 μg/mL transferrin, 10 μg/mL insulin, 2 % FBS, 1.8 mM calcium chloride )로 교환하였다. 이때 배양액은 트렌스웰 플레이트의 인서트 아래쪽에만 첨가하여 air-liquid interface 배양 방법으로 유지하였다 (도면 4A).
<4-2> 인간화 마우스 모델 제작 모식도 및 3D 피부 이식 프로토콜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17.01.2020] 
상기 실시예 4-1을 통해 형성된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봉합고정드레싱 방법을 이용하여 마우스에 이식 하였다(도 4B). 마취된 SCID 마우스의 피부조직을 1x2cm로 자른 뒤(도 4C-C),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올렸다(도 4C-D). 마우스 피부와 이식할 피부 오가노이드를 8-9번 봉합하였다(도 4C-E). 거즈를 봉합부위에 올린 뒤 봉합 후 남은 봉합사로 묶어주었다(도 4C-F-H). 밴드로 드레싱을 해준 뒤 마우스의 경과를 지켜보면서 유지하였다(도 4C-I-J).
[실시예 5]
시험관 내 및 생체 내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링 특성 확인
<5-1> 시험관 내 세포 증식도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3에서 형성된 전신경화증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와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의 증식도 분석을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5x103 개의 세포를 도말 하였다. 세포증식도는 Cell Counting Kit-8 (Dojindo)를 이용하여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와 전신경화증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사이의 세포 증식도의 차이는 없었으나(도 5A), 정상인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의 세포증식도가 증가 되어있음을 확인하였으며(도 5B).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의 시험관내에서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5-2> 시험관 내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형성된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의 섬유화 인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1x106 개의 섬유아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도말 하고, 5일간 유지 및 확장하였다.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을 위해 RIPA buffer(Sigm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Bradford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화 하였다. 동일한 농도의 단백질을 10% SDS-PAGE에 로딩하고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에 단백질을 옮겨주었다. 5% skim milk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5% skim milk을 함유하는 PBS 에 희석하였다: α-SMA(1/200; Abcam).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0.1%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뒤, peroxidase-linked IgG 이차항체를 배양시킨 후 ECL kit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섬유화 인자인 α-SMA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C). 이를 image J program을 이용하여 정량화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확인 하였다(도 5D).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의 시험관내에서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5-3> 시험관 내 콜라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형성된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해, 1x106 개의 섬유아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도말 하고, 5일간 유지 및 확장하였다. 콜라겐 발현은 Hydroxyproline assay kit(Sigma)를 이용하였다. 세포 또는 세포배양액을 수확하여 염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3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5mg의 activated charcoal을 넣어준 뒤, 13,000 x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 분리하였다. 수확된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준 뒤 60℃에서 완전히 건조 하였다. Chloramine T/Oxidation Buffer 혼합제를 웰에 넣고 실온에서 5분간 배양한다. 희석한 DMAB Reagent를 넣고 60℃에서 90분간 배양한 뒤, 56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섬유화 인자인 총 콜라겐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E).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의 시험관내에서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5-4> 시험관 내 3D 섬유아세포 층 분석
상시 실시예 3에서 형성된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3D 섬유아세포 층을 제작하였다. 분화 28일 이후의 2x105 개의 섬유아세포를 수확하여 콜라겐 1과 혼합하여 6-웰 크기의 트렌스웰 플레이트(Transwell plate)에 도말 하였다. 5일간 섬유아세포 분화 배양액 1로 2일에 한번 교환 하였다 (도 5F).
그 결과,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제작한 3D 섬유아세포 층이 두께가 증가되어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G).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의 시험관내에서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5-5> 시험관 내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3-1에서 형성된 섬유아세포를 분화 시작 후 28일에 수확하여 PBS로 세척하고 면역형광 염색을 위해 세포를 4% 포름알데하이드로 30분간 고정하였다. 한 후, 남은 고정액을 염화암모늄 용액으로 제거 한 뒤, 0.1% Triton X-100(BIOSESANG)을 처리하여 세포의 투과성을 증가 시켰다. 2% 소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30분 동안 세포를 차단한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PBA에 희석하였다: α-SMA(1/200; Abcam).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핵 염색제로 DAPI를 사용하였다. 염색 후 세포를 세척하고 ProLong Antifade 시약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Carl Zeiss 면역 형광 현미경으로 섬유아세포의 섬유화 인자인 α-SMA 발현을 IFA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에서 섬유화 인자인 α-SMA의 발현이 증가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5H).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섬유아세포의 시험관내에서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5-6> 생체 내 전신경화증 모델링 제작 및 조직학적 분석
상기 실시예 4-1에서 형성된 정상인과 전신경화증 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SCID 마우스에 이식하였다. 이식 2주 후 피부조직을 수확하여 염색분석을 위해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수확된 피부 조직을 4% 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시켰다. 남아있는 고정액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조직을 하루 동안 유지시켰다. 탈수는 에탄올 용액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수행되었다. 탈수 후 자일렌으로 투명과정을 거친 뒤, 파라핀 침투를 시켰다. 다음날 조직을 파라핀 블록에 고정시키고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조직절편을 얻었다. 슬라이드를 60℃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슬라이드를 자일렌으로 탈파라핀화 한 뒤, 에탄올 용액의 농도를 감소시키면서 재수화하고, 수돗물에 세척한 뒤 염색을 진행하였다.
헤마톡실린과 에오신(H&E) 염색을 위해 절편을 해리스 헤마톡실린 용액에 10분간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1% HCl이 첨가된 에탄올 용액에 탈색 후 0.2% 암모니아수(Ammonia water) 에 중화작용을 수행하였다. 1분 30초 동안 에오신(Eosin)용액으로 대조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한 뒤,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마손 삼색염색(Masson Trichrome staining)을 위해서 슬라이드를 Bouin 용액에 하룻동안 매염처리를 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 후 바이게르트 철 헤마톡실린 (Weigert iron hematoxylin)으로 10분간 핵을 염색하였다. Biebrich scarlet-acid fuchsin으로 5분간 세포질을 염색하였다. Phosphotungstic acid와 Phosphomolybdic acid와 DW를 1:1:2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으로 10분간 탈색하였다. 2% aniline blue용액에 5분간 유지하여 교원섬유를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염색(Picrosirius Red staining)을 위해서 슬라이드를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용액에 1시간 유지하였다. 아세트산으로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한 뒤,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면역화학 염색을 위해 3% 과산화수소에서 15분간 배양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아제를 차단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 후, 1% 소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세포를 차단한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PBA에 희석하였다: collagen 3(1/200;Abcam), α-SMA(1/200; Abcam).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4℃에서 하루 동안 배양 하였다. 다음날 0.1% 트윈-20(TBST)을 함유하는 트리스 완충 식염수(TBS)로 세척하고,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0분간 유지 후, 10분간 ABC시약에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PBS로 세척하고, DAB 용액을 1분 동안 유지하였다. 핵 염색제로 Mayer's hematoxylin을 1분간 적용 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마우스에 비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마우스의 피부두께가 증가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콜라겐 3와 α-SMA의 발현이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마우스에서 증가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5I).
상기 결과를 통해 전신경화증의 임상증상과 동일한 경향을 확인하였으며,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분화한 세포의 생체 내 질환모델링을 검증하였다.
[실시예 6]
유도만능 줄기세포로부터 유도된 전신경화증 모델을 이용한 항섬유화 약제 스크리닝
<6-1> FDA 승인된 약물 스크리닝
상기 실시예 3에서 형성된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아세포의 증식도 분석을 위해 96-웰 플레이트에 5x103 개의 세포를 도말 하였다. 도말한 세포에 FDA 승인된 약물 약 800 가지를 처리하여 증식도를 감소시키는 약제를 스크리닝 하였다(도 6A). 세포증식도는 Cell Counting Kit-8 (Dojindo)를 이용하여 45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도 6B).
선별된 약물을 이용하여 총 콜라겐 발현을 감소시키는 약제를 검출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5-3과 동일하게 1x106 개의 섬유아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도말 하고, 약물을 처리한 뒤, 유지 및 확장하였다. 콜라겐 발현은 Hydroxyproline assay kit(Sigma)를 이용하였다. 세포 또는 세포배양액을 수확하여 염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3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5mg의 activated charcoal을 넣어준 뒤, 13,000 x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 분리하였다. 수확된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준 뒤 60℃에서 완전히 건조 하였다. Chloramine T/Oxidation Buffer 혼합제를 웰에 넣고 실온에서 5분간 배양한다. 희석한 DMAB Reagent를 넣고 60℃에서 90분간 배양한 뒤, 56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닥티노마이신(Dactinomycin)과 랄록시펜(Raloxifene)이 증가된 세포의 증식도를 감소시키며, 총 콜라겐의 발현을 감소시킴을 확인하였다(도 6C-F).
<6-2> 타겟 약제의 시험관 내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
상기 실험을 통해 선별된 약물인 닥티노마이신과 랄록시펜의 항섬유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1x106 개의 섬유아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도말 하고, 타겟 약물을 처리하고, 유지 및 확장하였다.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을 위해 RIPA buffer(Sigm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Bradford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화 하였다. 동일한 농도의 단백질을 10% SDS-PAGE에 로딩하고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에 단백질을 옮겨주었다. 5% skim milk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5% skim milk을 함유하는 PBS 에 희석하였다: α-SMA(1/200; Abcam).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0.1%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뒤, peroxidase-linked IgG 이차항체를 배양시킨 후 ECL kit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닥티노마이신 보다 랄록시펜이 α-SMA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다(도 6G-I).
[실시예 7]
랄록시펜의 시험관 내 항섬유화 효과 검증
<7-1>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시험관 내 세포 증식도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6에서 선정된 약물인 랄록시펜의 세포 증식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wound healing 실험을 진행하였다.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도말 하고 유지 및 확장하였다. 세포가 플레이트를 가득 채우면 플레이트에 스크레치를 내고, TGF-b로 섬유화 유도 및 랄록시펜 약물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TGF-b에 의해 증가된 세포의 증식도가 랄록시펜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7A-D). 상기 결과를 통해 랄록시펜이 세포의 증식도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7-2>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3D 섬유아세포 층 두께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6에서 선정된 약물인 랄록시펜의 피부 두께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3D 섬유아세포 층에 TGF-b로 섬유화 유도 및 랄록시펜 약물 처리를 하였다.
그 결과, TGF-b에 의해 증가된 3D 섬유아세포층 두께가 랄록시펜에 의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도 7E-G). 상기 결과를 통해 랄록시펜이 3D 섬유아세포층 두께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7-3>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섬유화 인자 발현 감소 확인
상기 실시예 6에서 선정된 약물인 랄록시펜의 섬유화 인자 발현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랄록시펜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α-SMA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1x106 개의 섬유아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도말 하고, 랄록시펜을 처리하고, 유지 및 확장하였다.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을 위해 RIPA buffer(Sigma)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추출하였으며, Bradford assay로 단백질 농도를 정량화 하였다. 동일한 농도의 단백질을 10% SDS-PAGE에 로딩하고 polyvinylidene difluoride membranes에 단백질을 옮겨주었다. 5% skim milk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blocking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5% skim milk을 함유하는 PBS 에 희석하였다: α-SMA(1/200; Abcam).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 하였다. 0.1% Tween-2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뒤, peroxidase-linked IgG 이차항체를 배양시킨 후 ECL kit를 이용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랄록시펜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α-SMA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7H-I).
다음으로, 랄록시펜을 농도별로 처리하고 총 콜라겐 발현 변화를 확인 하였다. 상기 실시예 5-3과 동일하게 1x106 개의 섬유아세포를 100mm 배양접시에 도말 하고, 약물을 처리한 뒤, 유지 및 확장하였다. 콜라겐 발현은 Hydroxyproline assay kit(Sigma)를 이용하였다. 세포 또는 세포배양액을 수확하여 염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3시간 배양한다. 배양 후, 5mg의 activated charcoal을 넣어준 뒤, 13,000 x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 분리하였다. 수확된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준 뒤 60℃에서 완전히 건조 하였다. Chloramine T/Oxidation Buffer 혼합제를 웰에 넣고 실온에서 5분간 배양한다. 희석한 DMAB Reagent를 넣고 60℃에서 90분간 배양한 뒤, 560nm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랄록시펜의 처리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총 콜라겐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7J).
[실시예 8]
전신경화증 동물 모델인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의 효능 검증
<8-1> Bleomycin 모델 확립 프로토콜
브레오신(동아에스티, 15mg)을 PBS에 녹여서 마우스의 목덜미 부위에 매일 주입하여 전신경화증 모델을 확립하였다. 브레오신 주입 3일 뒤부터 랄록시펜과 bazedoxifene을 21일간 피하주사 하였다(도 8A).
<8-2>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섬유화 인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8-1에서 확립된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의 항섬유화 효능을 검증하기 위해 ECM유전자 발현을 확인하였다. 피부조직을 수확 후, Trizol을 사용하여 total RNA를 추출하였고,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LightCycle 480 SYBR Green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를 [표 4]에 제시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 사이클의 임계값은 내부대조로써 GAPDH을 평균화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섬유화 인자 발현 확인을 위한 프라이머 서열
타겟 유전자 방향 염기서열(5'->3') 서열번호 크기
mCOL1A1 Forward GCAACAGTCGCTTCACCTACA  35 138
Reverse CAATGTCCAAGGGAGCCACAT 36
mCOL3A1 Forward TGAGCGTGGCTATTCCTTCGT  37 76
Reverse GCCGTGGCCATCTCATTTTCAA 38
mACTA2 Forward GTTCTAGAGGATGGCTGTACTA 39 108
Reverse TTGCCTTGCGTGTTTGATATTC  40
mGAPDH Forward ACCCCAGCAAGGACACTGAGCAAG 41 92
Reverse TGGGGGTCTGGGATGGAAATTGTG 42
상기 실험을 통해 랄록시펜 처리에 의해 섬유화 인자 마커인 COL1A1, COL3A1, ACTA2의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8C-E).
<8-3>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피부조직 두께분석
상기 실시예 8-1에서 확립된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의 항섬유화 효능을 검증하기 피부조직을 수확 후 파라핀 블록을 제작하였다. 수확된 피부 조직을 4% 포름알데하이드에 고정시켰다. 남아있는 고정액을 제거하기 위해 흐르는 물에 조직을 하루동안 유지시켰다. 탈수는 에탄올 용액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수행되었다. 탈수 후 자일렌으로 투명과정을 거친 뒤, 파라핀 침투를 시켰다. 다음날 조직을 파라핀 블록에 고정시키고 마이크로톰을 이용하여 조직절편을 얻었다. 슬라이드를 60℃에서 1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슬라이드를 자일렌으로 탈파라핀화 한 뒤, 에탄올 용액의 농도를 감소시키면서 재수화하고, 수돗물에 세척한 뒤 염색을 진행하였다.
헤마톡실린과 에오신(H&E) 염색을 위해 절편을 해리스 헤마톡실린 용액에 10분간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1% HCl이 첨가된 에탄올 용액에 탈색 후 0.2% 암모니아수(Ammonia water) 에 중화작용을 수행하였다. 1분 30초 동안 에오신(Eosin)용액으로 대조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한 뒤,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마손 삼색염색(Masson Trichrome staining)을 위해서 슬라이드를 Bouin 용액에 하룻동안 매염처리를 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 후 바이게르트 철 헤마톡실린 (Weigert iron hematoxylin)으로 10분간 핵을 염색하였다. Biebrich scarlet-acid fuchsin으로 5분간 세포질을 염색하였다. Phosphotungstic acid와 Phosphomolybdic acid와 DW를 1:1:2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으로 10분간 탈색하였다. 2% aniline blue용액에 5분간 유지하여 교원섬유를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염색(Picrosirius Red staining)을 위해서 슬라이드를 피크로시리우스 레드 용액에 1시간 유지하였다. 아세트산으로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한 뒤,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면역화학 염색을 위해 3% 과산화수소에서 15분간 배양하여 내인성 퍼옥시다아제를 차단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 후, 1% 소혈청 알부민(BSA)을 함유하는 PBS로 실온에서 1시간 동안 세포를 차단한 뒤, 일차 항체를 하기의 희석 비율로 PBA에 희석하였다: α-SMA(1/200; Abcam). 일차 항체를 실온에서 4℃에서 하루 동안 배양 하였다. 다음날 0.1% 트윈-20(TBST)을 함유하는 트리스 완충 식염수(TBS)로 세척하고, 2차 항체를 실온에서 10분간 유지 후, 10분간 ABC시약에 배양하였다. 슬라이드를 PBS로 세척하고, DAB 용액을 1분 동안 유지하였다. 핵 염색제로 Mayer's hematoxylin을 1분간 적용 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그 결과, bleomycin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되었던 피부조직의 두께가 랄록시펜에 의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8B, F).
<8-4> Bleomycin 모델에서의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폐섬유화 분석
상기 실시예 8-1에서 확립된 bleomycin 모델에서 랄록시펜 처리에 의한 폐섬유화 감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마손 삼색염색을 진행 하였다. 마손 삼색염색(Masson Trichrome staining)을 위해서 슬라이드를 Bouin 용액에 하룻동안 매염처리를 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 후 바이게르트 철 헤마톡실린 (Weigert iron hematoxylin)으로 10분간 핵을 염색하였다. Biebrich scarlet-acid fuchsin으로 5분간 세포질을 염색하였다. Phosphotungstic acid와 Phosphomolybdic acid와 DW를 1:1:2의 비율로 혼합한 용액으로 10분간 탈색하였다. 2% aniline blue용액에 5분간 유지하여 교원섬유를 염색하였다. 슬라이드를 세척하고, 에탄올의 농도를 증가시키면서 탈수과정을 거쳤다. 자일렌으로 남아있는 에탄올을 제거하고, VectaMount Permanent Mounting Medium을 사용하여 봉입하였다.
그 결과, bleomycin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되었던 폐섬유화가 랄록시펜에 의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도 8G).
[실시예 9]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피부섬유화 모델을 이용한 섬유화 약제의 효능 검증
<9-1> 콜라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형성된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의 섬유화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2.5X 105개의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도말하고, 1일간 유지 및 확장하였다. 1일 후 5uM의 농도로 항섬유화 약제로 기승인된 약물인 피르페니돈(Pirfenidone)과 닌테다닙(Nintedanib)을 처리하였다. 콜라겐 발현은 Hydroxyproline assay kit(Sigm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세포를 수확하여 염산과 1:1의 비율로 혼합하고, 120℃에서 3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13,000 xg에서 5분간 원심 분리하여 상층액만 분리하였다. 수확된 상층액을 96웰 플레이트로 옮겨준 뒤 60℃에서 완전히 건조하였다. Chloramine T/Oxidation Buffer 혼합제를 웰에 넣고 실온에서 5분간 배양하였다. 희석한 DMAB Reagent를 넣고 60℃에서 90분간 배양한 뒤, 56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콜라겐 총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전신경화증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피르페니돈(Pirfenidone)과 닌테다닙(Nintedanib) 약물을 처리한 군에서 총 콜라겐의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9A).
상기 결과를 통해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화 모델에서 기존에 알려진 섬유화 치료제의 항섬유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을 검증하였다.
<9-2> 섬유화 마커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 3에서 형성된 전신경화증 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의 섬유화 모델을 검증하기 위해, 2.5X 105개의 섬유아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도말 하고, 1일간 유지 및 확장하였다. 1일 후 5uM의 농도로 피르페니돈(Pirfenidone)과 닌테다닙(Nintedanib)을 처리하였다. 트리졸을 사용하여 총 RNA를 추출하였고, Revert Aid TM First Strand cDNA Synthesis kit를 사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cDNA를 LightCycle 480 SYBR Green을 이용하여 qRT-PCR을 수행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는 [표 3]에 제시 하였다. 모든 실험은 3회 반복하였으며, 평균 사이클의 임계값은 내부대조로써 GAPDH을 평균화하기 위한 유전자 발현을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 결과, 약물을 처리하지 않은 전신경화증환자의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비해 피르페니돈(Pirfenidone)과 닌테다닙(Nintedanib) 약물을 처리한 군에서 섬유화 인자인 ACTA2와 COL1A1의 유전자 발현이 유의하게 감소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9B).
상기 결과를 통해 유도만능 줄기세포유래 섬유화 모델에서 기존에 알려진 섬유화 치료제의 항섬유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을 검증하였다.

Claims (22)

  1.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또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분화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또는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organoid)를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오가노이드 내의 세포에서, 정상 세포 대비 콜라겐의 축적이 증가하고, α-SMA(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이 증가된 것인,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2.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 또는 섬유아세포(fibroblast)로 분화시키는 단계;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또는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organoid)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마우스의 피부조직에 이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를 이식한 마우스의 피부두께가 정상 마우스에 비해 증가된 것인,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4.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의 배양체(Embryonic body: EB)에 DMEM/F12를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1에서 3-10일간 1차 배양하는 단계;
    상기 배양액을, DKSFM(defined keratinocyte serum-free medium)을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2로 교체하여 2-10일간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상기 2차 배양액을, DKSFM 및 KSFM(keratinocyte serum-free medium)을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3으로 교체하여 5-60일간 3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keratinocyte)로 분화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1차 배양기간이 7-9일이고, 2차 배양기간이 3-6일이며, 3차 배양기간이 15-25일인 방법.
  6.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의 배양체(Embryonic body: EB)에 DMEM/F12 및 EGF(epidermal growth factor)를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1에서 1-7일간 배양하는 단계;
    상기 분화배양액 1에 BMP4를 첨가하여 1-7일간 유지하는 단계;
    이후 배양액을, DMEM/F12를 포함하는 분화배양액 2로 교체하여 5-15일간 2차 배양하는 단계; 및
    이후 배양액을, 상기 분화배양액 1로 교체하여 5-20일간 3차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섬유아세포로 분화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1차 배양기간이 2-5일이고, 2차 배양기간이 5-10일이며, 3차 배양기간이 5-15일인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3차 배양 후에, 배양된 세포를 콜라겐 1 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겨 추가 배양하는 것을 포함하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섬유아세포로 분화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콜라겐 1 코팅된 플레이트에 옮겨 5일 이상 추가 배양하는, 유도만능 줄기세포에서 섬유아세포로 분화하는 방법.
  10. 제4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각질형성세포; 및 제6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3D 피부 오가노이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가노이드 내의 세포에서, 정상 세포 대비 콜라겐의 축적이 증가하고, α-SMA(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이 증가된 것인, 3D 피부 오가노이드.
  12. 정상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에 대비하여 섬유화 마커의 발현이 증가된 전신경화증 환자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로서, 상기 섬유화 마커는 COL1A1, COL1A2, COL3A1, ACTA2 및 Vimentin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을 포함하는 것인,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만능 줄기세포가 전신경화증 환자세포에서 리프로그래밍된 세포인, 섬유아세포.
  14. 제12항에 있어서, 정상 유도만능 줄기세포 유래 섬유아세포 대비 콜라겐의 축적이 증가하고, α-SMA(α-Smooth muscle actin)의 발현이 증가된 것인, 섬유아세포.
  15. 제10항의 3D 피부 오가노이드 또는 제12항의 섬유아세포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16. 제15항의 질환 모델은 마우스인,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17.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배양해서 형성된 3D 세포 집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세포 집합체는 전신경화증의 병리학적 특성을 나타내며, 상기 세포의 병리학적 특징은 정상 유도만능 줄기세포 대비 증가된 세포증식도 및 증가된 섬유화 마커, 콜라겐의 생성 및 축적을 나타내는 것인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18.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 또는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킨 후 상기 각질형성세포와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3D skin organoid)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α-SMA(α-Smooth muscle actin)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α-SMA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
  19.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킨 후 상기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를 3차원 배양하여 3D 피부 오가노이드(3D skin organoid)를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3D 피부 오가노이드에서 콜라겐 축적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콜라겐 축적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3D 피부 오가노이드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
  20.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화시킨 섬유아세포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섬유아세포에서 α-SMA(α-Smooth muscle actin)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α-SMA 단백질 또는 이의 유전자의 mRNA의 발현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
  21. (a) 전신경화증(Systemic sclerosis; SSc) 환자 유래 유도만능 줄기세포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 iPSC)를 섬유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분화시킨 섬유아세포에 콜라겐 축적을 억제하는 후보 물질을 처리하는 단계; (c) 상기 후보 물질이 처리된 섬유아세포에서 콜라겐 축적 수준을 측정하는 단계; 및
    (d) 상기 (c) 단계에서 측정된 콜라겐 축적 수준이 후보 물질이 처리되지 않은 섬유아세포에 비해 감소된 경우, 상기 후보물질을 전신경화증 치료제로 판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의 스크리닝 방법.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스크리닝된 전신경화증 치료제를 포함한 항섬유화 약제.
PCT/KR2019/018654 2018-12-28 2019-12-27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WO2020139041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418,754 US20220064604A1 (en) 2018-12-28 2019-12-27 Systemic sclerosis disease model and use thereof
EP19905670.6A EP3903579A4 (en) 2018-12-28 2019-12-27 DISEASE MODEL OF SYSTEMIC SCLEROSIS AND US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2694 2018-12-28
KR20180172694 2018-12-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39041A1 true WO2020139041A1 (ko) 2020-07-02

Family

ID=7112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9/018654 WO2020139041A1 (ko) 2018-12-28 2019-12-27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064604A1 (ko)
EP (1) EP3903579A4 (ko)
KR (1) KR20200083346A (ko)
WO (1) WO2020139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67308A (ko) 2020-11-17 2022-05-24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베체트 환자 신경병증 아바타 모델
WO2023182868A1 (ko) * 2022-03-24 2023-09-28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인 비멘틴 발현유도와 감염병 동반된 자가면역 섬유화 질환 환자 약물 스크리닝 플랫폼 모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017140A1 (en) * 2011-12-23 2015-01-15 Anthrogenesis Corporation Organoids comprising decellularized and repopulated placental vascular scaffold
US20150284689A1 (en) * 2012-10-26 2015-10-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ategy for engineering various 3d tissues, organoids and vasculature
KR101751513B1 (ko) * 2015-06-23 2017-06-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 비트로 섬유증 모델,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80038573A (ko) * 2015-09-03 2018-04-16 에꼴 뽈리떼끄닉 뻬데랄 드 로잔느 (으뻬에프엘) 오가노이드 배양을 위한 3차원 하이드로겔
KR101874790B1 (ko) * 2011-11-23 2018-07-05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형성세포를 함유하는 인공피부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4790B1 (ko) * 2011-11-23 2018-07-05 (주)아모레퍼시픽 멜라닌형성세포를 함유하는 인공피부 및 이의 제조방법
US20150017140A1 (en) * 2011-12-23 2015-01-15 Anthrogenesis Corporation Organoids comprising decellularized and repopulated placental vascular scaffold
US20150284689A1 (en) * 2012-10-26 2015-10-0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Strategy for engineering various 3d tissues, organoids and vasculature
KR101751513B1 (ko) * 2015-06-23 2017-06-2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 비트로 섬유증 모델, 그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20180038573A (ko) * 2015-09-03 2018-04-16 에꼴 뽈리떼끄닉 뻬데랄 드 로잔느 (으뻬에프엘) 오가노이드 배양을 위한 3차원 하이드로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903579A4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346A (ko) 2020-07-08
EP3903579A1 (en) 2021-11-03
EP3903579A4 (en) 2022-09-07
US20220064604A1 (en) 2022-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43591A2 (en) Method for differentiation into retinal cells from stem cells
WO2018190656A1 (ko) In vitro에서 성숙된 인간 장관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6111546A9 (ko) 혈액 응고인자 viii 유전자를 타겟으로 하는 엔도뉴클레아제 및 이를 포함하는 혈우병 치료용 조성물
WO2016032263A1 (en) Method for differentiation into retinal ganglion cells from stem cells
WO2011043592A2 (en) Compositions for inducing differentiation into retinal cells from retinal progenitor cells or inducing proliferation of retinal cells comprising wnt signaling pathway activators
WO2018124642A9 (ko)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WO2020139041A1 (ko) 전신경화증 질환 모델 및 이의 용도
WO2017179767A1 (ko) 지방줄기세포에서 신경줄기세포, 신경세포 및 가바성 신경세포로의 분화 유도 방법, 및 인간 골수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로부터 성장인자를 다량 분비하는 인간 줄기세포의 분화 유도 방법
WO2014163425A1 (ko) Hmga2를 이용하여 비신경 세포로부터 리프로그래밍된 유도 신경줄기세포를 제조하는 방법
WO2019083281A2 (ko) 신규한 근골격계 줄기세포
WO2018135902A1 (ko) 줄기 세포로부터 분화 유도된 연골세포의 제조방법
WO2021045373A1 (ko) 증식 가능한 간 오가노이드
WO2020235944A1 (ko) 장관 오가노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의 용도
WO2017155166A1 (ko) 물리적 자극에 의한 환경유입을 이용한 세포 리프로그래밍 방법
EP4004191A1 (en) Precursor cell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18026212A2 (ko) 섬유증 질환 모델의 제조방법 및 섬유증 질환 모델의 용도
WO2018135907A1 (ko) 슈반 세포 전구체 및 이로부터 분화된 슈반 세포의 제조 방법
WO2021033990A1 (ko) 유도만능줄기세포-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전구세포로부터 유래된 엑소좀을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1020666A1 (en) Precursor cells of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WO2022250477A1 (ko) Hla 동형접합 유도만능줄기세포 유래 신경전구세포를 포함하는 뇌졸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9017691A9 (ko) 인간 유래 만능줄기세포에서 모유두전구세포로의 분화방법 및 이의 용도
WO2022098052A1 (en) Human intestinal epithelium mode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WO2021054806A1 (ko) 직접 리프로그래밍을 통한 유도 도파민성 신경세포 전구체의 제조방법
WO2016080608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a mitofusin inhibitor for promoting cell reprogramming and a use thereof
WO2020209636A1 (ko) 소변세포로부터 신장전구세포로의 직접 역분화를 유도하는 방법 및 이의 방법으로 역분화된 신장전구세포를 포함하는 신장세포 손상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9905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9905670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107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