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4767B1 -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4767B1
KR101904767B1 KR1020160179277A KR20160179277A KR101904767B1 KR 101904767 B1 KR101904767 B1 KR 101904767B1 KR 1020160179277 A KR1020160179277 A KR 1020160179277A KR 20160179277 A KR20160179277 A KR 20160179277A KR 101904767 B1 KR101904767 B1 KR 1019047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differentiation
bmp2
dentin
bmp4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9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5200A (ko
Inventor
장영주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79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4767B1/ko
Priority to US16/097,837 priority patent/US11597914B2/en
Priority to EP17888522.4A priority patent/EP3434693A4/en
Priority to PCT/KR2017/015269 priority patent/WO2018124642A2/ko
Publication of KR20180075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5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47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47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52Cells of 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s; Mesenchyme
    • C12N5/0654Osteocytes, Osteoblasts, Odontocytes; Bones, Tee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TGF-β)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55Bone morphogenic proteins [BMP]; Osteogenins; Osteogenic factor; Bone inducing f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6/00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 C12N2506/13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 C12N2506/1346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 C12N2506/1361Differentiation of animal cells from one lineage to another; Differentiation of pluripotent cells from connective tissue cells, from mesenchymal cells from mesenchymal stem cells from dental pulp or dental follicle stem cel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BMP2와 BMP4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기질의 석회화가 유도되며, 상아 전구세포의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또는 키트에 사용될 수 있고 상아질을 재생시켜 치수와 상아질의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Composition for differentiation of dental pulp stem cells to odontoblasts}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는 치아의 내부에 있는 치수 조직에서 얻을 수 있다. 치수줄기세포는 중간엽 줄기세포 (MSC)와 같은 다분화능을 가지는 세포로써 치아를 이루는 상아질 이외에 뼈조직, 혈관, 치수 결체조직 및 신경 등으로 분화될 수 있다.
한편, 치아에서는 상아 전구세포에서 치아 발생(odontogenesis)을 통해 상아질을 만든다. 상아질은 법랑질, 백악질과 함께 치아를 구성하고 있는 고도로 석회화된 경조직들 중 하나이다. 상아질은 상아질 모세포라는 전구세포가 유리하는 신호분자와 단백질에 의해 주변 기질의 석회화를 유도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충치나 외상 등에 의해 이들 조직에 손상이 생길 경우 재생되기 매우 어려우므로 현재 치과적인 치료법은 치아 경조직과 유사한 물성을 지닌 치과용 재료로 치아를 충전하는 방식에 의하고 있다. 따라서 상아질로만 특정하게 문화될 수 있는 상아 전구세포를 치수줄기세포로부터 얻기 위한 최적의 분화 조건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현재 치수줄기세포에서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하기 위한 유도 과정에는 주로 TGF-β 패밀리에 속하는 10여 가지의 사이토카인들이 관여할 가능성이 있다는 많은 결과들이 제시되어 있으나, 명확한 기전이 알려져 있지 않았다. 이런 이유로 현재는 임상 및 전임상 실험에서 손상된 치아 및 치아 주변 조직의 재생을 위해 대표적인 골 분화 촉진 인자로 알려진 BMP2 한가지의 인자만을 이용하고 있는 상황이다.
BMPs는 TGF-β 패밀리에 속하며 치수 재생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TGF-β 패밀리에는 BMP 외에도 FGF-2 또는 TGFβ-1이 있으며, 이들이 치아 및 골재생에 관여할 가능성은 알려져 있으나, 주요 분화 인자 및 효율적인 분화 조건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즉, 인간 치아 내 치수조직으로부터 일차배양된 인간 치수줄기세포를 상아질로 효율적으로 분화될 수 있는 상아질 전구세포로 유도 하기 위한 주요 분화 인자 및 효율적인 분화 조건은 아직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에서 상아질로 분화될 수 있는 상아질 전구세포로의 효율적인 분화를 위한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치수줄기세포로부터 상아질로 분화될 수 있는 상아질 전구세포로의 최적의 분화 조건에 대하여 연구한 결과,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사용하여 상아 전구세포로 효율적으로 분화시킬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키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BMP2와 BMP4를 최적의 비율로 조합하여 처리하는 경우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기질의 석회화가 유도되며, 상아 전구세포의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또는 키트에 사용될 수 있고 상아질을 재생시켜 치수와 상아질의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서 사이토카인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서 BMP2 및 BMP4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서 BMP2 100 ng/ml, BMP4 10 ng/ml 처리에 의한 유전자 발현 수준을 qRT-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치수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처리한 후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치수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처리한 후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하여 0, 7, 14일차에 세포의 형태와 분화된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치수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처리한 후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하여 0, 7, 14일차에 세포의 형태와 분화된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정량화하여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아 전구세포(odontoblast)는 상아질(dentin)과 닿아있으며, 상아질을 형성하는 원주형 세포로 기능적으로 치아의 주된 구성성분인 상아질을 직접적으로 만드는 역할을 하며, 이 세포자체는 상아질 내측에 존재하는 치수(pulp) 조직의 한 구성성분으로 치아 내부의 치수강 벽에 배열되어 존재한다. 치아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상아질은 상아 전구세포로부터 형성된다. 상아질은 치아의 중요한 구성 성분으로서, 치관과 치근의 대부분을 구성하며, 치아의 맹출 후에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여 2차 상아질을 형성함으로 치수(pulp)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치수줄기세포(dental pulp stem cell)는 치계 (dental origin) 중간엽 줄기세포의 일종으로, 상기 치계 중간엽 줄기세포는 ‘치계상피세포의 영향을 받은 (일부분의) 줄기세포들을 의미하며, 중배엽성 기원으로 치아내부의 치수와 치아 주위조직에 분포하는 줄기세포를 말한다. 예컨대 치수줄기세포(dental pulp stem cell (DPSC)), 탈락 유치 줄기세포(stem cell from exfoliated deciduous teeth (SHED)), 치주 인대 줄기세포(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PDLSC)), 치근단 유두 줄기세포(stem cell from the apical papilla (SCAP), 및 치배 줄기세포(dental follicle precursor cells (DFPC))가 있다.
본 발명에서 치수줄기세포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간 유래의 세포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치수줄기세포는 자가 (autologous), 동종 (allogenic), 이종(xenogenic) 세포일 수 있다.
치수줄기세포는 치아내부의 치수와 치아 주위 조직에 존재하고, 이를 분리 및 배양하는 과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는 치수줄기세포가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의 분화 효율이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기질의 석회화가 유도되며, 상아 전구세포의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또는 키트에 사용될 수 있고 상아질을 재생시켜 치수와 상아질의 손상을 회복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 조성물에 포함된 BMP2 및 BMP4의 중량비는 10-20:1,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배지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배지는 생체 외에서 인슐린 생산세포로의 분화 유도 및 생존을 지지할 수 있게 하는 배지를 의미하고, 세포의 배양에 적절한 당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배지를 모두 포함한다. 세포의 종류에 따라 배지와 배양 조건을 선택할 수 있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바람직하게는 세포 배양 최소 배지(cell culture minimum medium: CCMM)로, 일반적으로 탄소원, 질소원 및 미량원소 성분을 포함한다. 이런 세포 배양 최소 배지에는 예들 들어, DMEM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MEM(Minimal essential Medium), BME(Basal Medium Eagle), RPMI1640, F-10, F-12, αMEM(α Minimal essential Medium), GMEM(Glasgow's Minimal essential Medium), 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배지는 페니실린(penicillin), 스트렙토마이신 (streptomycin), 겐타마이신(gentamicin) 등의 항생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BMP2 및 BMP4 외에 기존에 알려진 하나 이상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 물질, 예컨대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또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분화방법에 따라 인비트로에서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는 분리된 후 그 자체로 사용되거나 또는 유세포분석기 등을 이용한 분리방법을 통해 분리된 후, 치아재생용 세포치료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포치료제” 란 세포와 조직의 기능을 복원시키기 위하여 살아있는 자가 (autologous), 동종 (allogenic), 이종 (xenogenic) 세포를 체외에서 증식 또는 선별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세포의 생물학적 특성을 변화시키는 등의 일련의 방법을 통하여 치료, 진단 및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의약품을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포치료제 또는 약학적 조성물의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 재생 효과를 통해, 다양한 치수질환의 치료가 가능하다. 치수질환은 치수는 치아의 내부에 있는 치수강을 채우고 있는 부드러운 결합조직으로 신경과 혈관이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으며 상아질의 표층에까지 이르는 치수 조직에 생기는 병변을 일컫는 것이다. 치수에 물리적 화학적 또는 세균성의 자극이 가해지면 처음에는 치수의 혈관이 확장되어 충혈을 볼 수 있고(치수충혈), 이 자극이 계속되면 치수에 염증이 생긴다(치수염). 자극의 세기, 세균 감염의 유무에 따라서 염증에 정도의 차이가 있는데, 치수가 단단한 상아질에 의해서 쌓여 있는 해부학적 특징 때문에 염증이 일어나면 순환장애가 일어나기 쉽고, 그대로 내버려두면 치수가 괴사하기 쉽다. 치수 질환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나, 대부분의 경우는 충치에 의한 세균감염과 치아의 천공, 파절, 균열, 치주낭을 통해서 치수 내부로의 감염에 의해 발생한다. 또한 외상, 마모, 치아 균열, 치료 시 치과용 기구에서 나오는 열과 마찰 등도 유발할 수 있다. 세균감염에 의한 치수염은 치근단 질환과 치주질환으로 확대 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 및 증상을 나타내는 치수 질환이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며, 치수질환의 예로는 상아질 지각 과민증, 치수충혈·치수염·치수변성, 치수의 괴사 및 괴저를 포함하나, 이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BMP2 및 BMP4는 치수줄기세포에 바람직하게는 5일 내지 20일, 바람직하게는 7일 내지 14일 동안 처리됨으로써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BMP2 및 BMP4는 환부에 직접 처리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또한 환자의 내재성(endogenous) 치수줄기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미쳐 치수 또는 상아질 재생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키트를 제공한다.
상기 키트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시약이나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아 전구세포 분화 유도 대상 세포를 배양하기 위한 배양 플레이트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상태를 평가 가능한 시약(예를 들면, 알리자린 레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배양하는 대상이 되는 치수줄기세포를 구비하고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의 제공형태는 분화 유도 배지용 첨가제, 또는 BMP2 및 BMP4, 또는 사이토카인, 인지질, 또는 기초 배지와 그 외의 시약 모두를 적절한 용량 및/또는 형태로 함유한 하나의 용기일 수 있거나, 각각 다른 용기에 의해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트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순서 등을 기재한 설명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정의되지 않은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갖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human dental pulp stem cells; hDPSCs )에서 사이토카인 처리에 의한 유전자들의 발현 확인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를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조건을 확인하기 위해서, 사이토카인인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 또는 이의 조합을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 처리하였다. 이 때 처리한 사이토카인의 종류 및 처리한 양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대조군 BMP2 BMP4 BMP2 +
BMP4
FGF2 TGF β FGF + TGF β
ng/ml 0 100 100 100+100 50 5 50+5
상기 표 1과 같이 사이토카인을 처리한 후, 상아 전구세포가 발현하는 유전자들이 발현되는지 여부를 qRT-PCR로 확인하였다. qRT-PCR 실험에서 확인한 타겟 유전자와 프라이머의 서열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들 중 BSP(Bone sialoprotein)는 분화된 조골세포, 상아 전구세포, 시멘트아세포(cementoblast)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이다. Runx2(Runt-related transcription factor 2)는 조골세포, 예비 조치 세포(preodontoblast) 및 상아 전구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이다. Ostrerix는 조골세포에서 발현되는 유전자이다.
타겟유전자 정방향 프라이머 역방향 프라이머
Scleraxis AGAAAGTTGAGCAAGGACC CTGTCTGTACGTCCGTCT
Runx2 GTCTCACTGCCTCTCACT TACACACATCTCCTCCCTTC
hCOLα1 GGAGGAGAGTCAGGAAGG TCAGCA ACACAGTTACACAA
Osteopontin CTGTTGCCTGTCTCTAAACC CACCATCATCAAATTCTCCT
Ostrerix TTGACATGTACCCCTTTCTG CAATACCCCTGATGAAGAGG
DMP-1 GACTCTCAAGAAGACAGCAA GACTCACTCACCACCTCT
BSP TACCGAGCCTATGAAGATGA CTTCCTGAGTTGAACTTCGA
DSPP CAGTACAGGATGAGTTAAATGCCAGTG CCATTCCCTTCTCCCTTGTGACC
GAPDH GTATGACAACAGCCTCAAGAT CCT TCCACGATACCAAAGTT
qRT-PCR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아질 형성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DSPP(dentin sialophosphoprotein)와 DMP-1(dentin matrix protein-1)의 발현은 BMP2와 BMP4를 조합하여 처리한 경우 가장 높게 발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반면, 골 마커 유전자의 발현을 분석한 결과, 조골세포의 주요 마커들인 Ostrerix, hCOLα1 (collagen-1), Runx2 유전자는 BMP4를 단독으로 처리한 조건에서 발현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분화된 조골세포, 상아 전구세포 및 시멘트아세포에서 발현되는 BSP 유전자는 BMP2와 BMP4를 조합하여 처리한 경우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수줄기세포를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한 최적의 조건은 BMP2와 BMP4를 동시에 처리하는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위한 BMP2 BMP4 조합의 최적 조건 확인
상기 실시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를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기 위해서는 BMP2와 BMP4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이 효율적임을 확인하였고, 나아가 최적의 BMP2와 BMP4 조합 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다양한 농도의 BMP2와 BMP4의 조합을 인간유래 치수줄기세포에 처리하였다.
BMP2(ng/ml) 0 10 10 100 100
BMP4(ng/ml) 0 10 100 10 100
처리 후 치수줄기세포에서 상기 표 2에 기재된 유전자의 발현을 qRT-PCR로 확인하고,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대 전구 마커(ligament progenitor marker)인 hCOL1과 scleraxis 유전자를 제외한 상아 전구세포 관련 유전자들인 Runx2, osteopontin, BSP, DMP1, DSPP 유전자의 발현이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한 경우에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한 조건에서의 상아 전구세포 유전자 발현 수준을 확인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하는 경우 처리하지 않는 대조군에 비하여 상아 전구세포에서 발현하는 유전자들이 유의적으로 높게 발현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BMP2를 100 ng/ml, BMP4를 10 ng/ml 처리하는 조건, 즉 BMP2:BMP4의 비율이 10:1인 조건이 상아 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한 최적의 조건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를 위한 최적 조건에서의 분화 효율성 확인
상기 실시예 2에서 확인한 최적의 조합 비율인 10:1의 중량비 조건에서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가 치수 줄기세포에 비해 얼마나 높은 분화 효율성을 가지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석회화(mineralization) 및 골분화도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치수 줄기세포에 BMP2 및 BMP4를 10:1로 동시에 처리하여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시키는 7일 동안에 세포의 형태를 관찰한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줄기세포가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하는 동안 형태학 측면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상기 세포에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하고 14일 동안 두었으며, 상기 처리 후 ARS(Alizarin-red S)로 염색하여 분화 유도제 처리 후 0, 7, 14일 차에 세포의 형태와 분화된 정도를 관찰한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고, 분화된 정도를 정량화한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회화를 위한 분화 유도제를 처리한 14일 동안 상아 전구세포에서 치수 줄기세포에서보다 석회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상아 전구세포로 분화된 세포에서 분화능이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4: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의 골 및 상아질로의 분화능 확인
상아 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한 최적 조건에 의해서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의 골 및 상아질로의 분화능을 확인하기 위해서 ALP(Alkaline phosphatase) 활성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치수 세포에서보다 분화된 상아 전구세포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ALP 활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치수 세포 상태에서보다 상아 전구세포에서 상아질로의 분화능이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에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청구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7)

  1.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10: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 또는 TGFβ(Transforming growth factor β)를 더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4. 치수 줄기세포에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10:1의 중량비로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는 7일 내지 14일 동안 수행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방법.
  7. BMP2(bone morphogenetic protein 2) 및 BMP4(bone morphogenetic protein 4)를 10:1 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키트.
KR1020160179277A 2016-12-26 2016-12-26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KR1019047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77A KR101904767B1 (ko) 2016-12-26 2016-12-26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US16/097,837 US11597914B2 (en) 2016-12-26 2017-12-21 IgG type monoclonal antibodies specifically binding to odontoblast surface
EP17888522.4A EP3434693A4 (en) 2016-12-26 2017-12-21 COMPOSITION FOR THE DIFFERENTIATION OF DENTAL STRAIN CELLS IN ODONTOBLAST FIELD CELLS AND MONOCLONAL IGG OR IGM-TYPE ANTIBODIES WITH SPECIFIC BINDING TO SURFACES OF ODOBOBLAST FIELD CELLS
PCT/KR2017/015269 WO2018124642A2 (ko) 2016-12-26 2017-12-21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모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및 상아모전구세포 표면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IgG 또는 IgM 타입 단일 클론 항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9277A KR101904767B1 (ko) 2016-12-26 2016-12-26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200A KR20180075200A (ko) 2018-07-04
KR101904767B1 true KR101904767B1 (ko) 2018-10-05

Family

ID=62913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9277A KR101904767B1 (ko) 2016-12-26 2016-12-26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476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679A (ko) 2019-10-04 2021-04-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두충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230004995A (ko) 2021-06-30 2023-01-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인간치아줄기세포의 상아모세포로의 분화를 위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9515B1 (ko) 2020-11-13 2022-12-21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치수줄기세포를 상아질모세포로 분화하기 위해 니볼루맙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분화 유도용 조성물
KR102378996B1 (ko) 2021-01-13 2022-03-25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치수 줄기세포의 치아 분화능을 예측하기 위한 바이오 마커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29292A1 (en) * 2011-07-27 2013-01-31 Kwei Mar Method of implanting mesenchymal stem cells for natural tooth regeneration in surgically prepared extraction socket and compositions thereof
US20150335400A1 (en) 2009-06-17 2015-11-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Tooth scaffol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335400A1 (en) 2009-06-17 2015-11-26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Tooth scaffolds
US20130029292A1 (en) * 2011-07-27 2013-01-31 Kwei Mar Method of implanting mesenchymal stem cells for natural tooth regeneration in surgically prepared extraction socket and compositions thereof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0679A (ko) 2019-10-04 2021-04-14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두충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아질 또는 치수조직 재생용 조성물
KR20230004995A (ko) 2021-06-30 2023-01-09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인간치아줄기세포의 상아모세포로의 분화를 위한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학적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5200A (ko)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ao et al. Immunomodulatory role of stem cells from human exfoliated deciduous teeth on periodontal regeneration
Zheng et al. Periodontitis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suppresses the differentiation potential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Ishizaka et al. Stimulation of angiogenesis, neurogenesis and regeneration by side population cells from dental pulp
KR101904767B1 (ko) 치수줄기세포의 상아 전구세포로의 분화용 조성물
Zhao et al.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induces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murine bone marrow stromal cells
Zheng et al. Loss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capacity of aged huma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and rejuvenation by exposure to the young extrinsic environment
Hajizadeh et al. Effect of MTA and CEM on mineralization-associated gene expression in stem cells derived from apical papilla
Sununliganon et al. Osteogenic efficacy of bone marrow concentrate in rabbit maxillary sinus grafting
Yoo et al. Effect of conditioned medium from preameloblasts on regenerative cellular differentiation of the immature teeth with necrotic pulp and apical periodontitis
Cristaldi et al. Growth and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discarded gingiva-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on a commercial scaffold
Yeom et al. Platelet‐rich plasma enhances the differentiation of dental pulp progenitor cells into odontoblasts
García-Bernal et al. Melatonin treatment alters biological and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human dental pulp mesenchymal stem cells via augmented transforming growth factor beta secretion
Puspitaningrum et al. The combination of Epigallocatechin-3-Gallate and platelet rich plasma i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for jaw Osteomyelitis therapy: a review.
KR101609335B1 (ko) 치수줄기세포 배양액을 포함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Hoveizi et al. Encapsulation of human endometrial stem cells in chitosan hydrogel containing titanium oxide nanoparticles for dental pulp repair and tissue regeneration in male Wistar rats
Ozasa et al. Periodontal tissue regeneration by transplantation of adipose tissue-derived multi-lineage progenitor cells
Qin et al. RETRACTED: Ossifying Fibroma Tumor Stem Cells Are Maintained by Epigenetic Regulation of a TSP1/TGF-β/SMAD3 Autocrine Loop
Marsa et al. The efficacy of platelet-rich fibrin lysate (PRF-L) for fibroblast cell proliferation
Liu et al. BMP9 is a potential therapeutic agent for use in oral and maxillofacial bone tissue engineering
Osman et al. Basal expression of growth‐factor‐associated genes in periodontal ligament stem cells reveals multiple distinctive pathways
Li et al. CTP‐CM enhances osteogenic differentiation of hPDLSCs via NF‐κB pathway
Chin et al. 2, 3, 5, 4′-tetrahydroxystilbene-2-O-β-D-glucoside-stimulated dental pulp stem cells-derived conditioned medium enhances cell activity and anti-inflammation
KR102041910B1 (ko) 치주인대세포의 백악모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조성물
Alasady et al. Periodontitis Therapy with Periodontal-derived Stem Cells (PDSCs) for Dental Tissue Regeneration
KR102331249B1 (ko) 치주인대세포의 백악모세포로의 분화 유도용 복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