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088755A1 - 주름 제거용 패치 - Google Patents

주름 제거용 패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088755A1
WO2018088755A1 PCT/KR2017/012369 KR2017012369W WO2018088755A1 WO 2018088755 A1 WO2018088755 A1 WO 2018088755A1 KR 2017012369 W KR2017012369 W KR 2017012369W WO 2018088755 A1 WO2018088755 A1 WO 201808875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enetrating
patch
skin
attachment portion
sh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36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주홍
Original Assignee
김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홍 filed Critical 김주홍
Publication of WO201808875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088755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22Face shaping devices, e.g. chin straps; Wrinkle removers, e.g. stretching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4Crosslinking, e.g. vulcanising, of macromolecules
    • C08J3/245Differential crosslinking of one polymer with one crosslinking type, e.g. surface crosslink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tch for removing wrinkl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patch for removing wrinkles compris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 the skin of the body consists of three layers of epidermis, dermis, and pia.
  • the epidermis is wrinkled by repetitive movement of muscles in the process of laughing or frowning, or wrinkles are formed in the process of decreasing elasticity of the skin naturally with age.
  • a mask pack for removing wrinkles has been used as a method for removing wrinkles by using surgical therapy or by applying or adding nutrients to the skin.
  • the mask pack is attached to the entire face of the user and is placed thereon, which not only has to be kept in a limited plac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also the nutrient moisture delivered through the mask pack is exposed to the air.
  • the water evaporated, and in the process of evaporating water, the water supplied to the skin was also deprived and evaporated.
  • Wrinkle removal patch to remove the wrinkles are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includ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but of a predetermined size An attachment portion formed as a region and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And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wherein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urf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 the penetrating part may penetrate into the wrinkled skin.
  • the penetrating part may include a sharp portion penetrating first into the wrinkled skin when the attachment part is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 the sharp part may not be disposed on a vertical axi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surface, which is a boundary surface connected with the attachment part,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is horizontally disposed, such that the attachment part has the wrinkles formed therein. When it is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kin, bending is prevented and penetration into the wrinkled skin is prevent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that function.
  • the penetrating portion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includes a second surface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wherein the second surface is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ortion is horizontally disposed. It may be formed to form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rface.
  • the predetermined angle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haracterized by an acute angle.
  • the second surface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polygon, and the sharp portion may be a surface having a vertex of the polygon.
  • the second surface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polygon, and may be a surface having the sharp portion as a corner of the polygon.
  • the second surface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and the sharp portion may be a surface having one point among the circular or elliptical outlines.
  • the penetrating part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includes a first penetrating part and a second penetrating part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netrating part,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enetrating part.
  •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on the basis of may b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on the basis of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relative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of the patch for removing wrinkles is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of the second penetration.
  • the first penetration portion of the patch for removing wrinkles is formed in a plurality of first regions, which are some regions of the attachment portion,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 portions
  • the first penetrating unit may b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ng units.
  •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of the wrinkle removal patch is formed in a plurality of second regions, which are other partial regions of the attaching portion, and a position direction of a sharp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enetrating portions.
  • Silver may b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enetrating portion.
  • the patch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includ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can be produc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effective ingredient delivery.
  • the patch for removing wrink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effect of removing wrinkles by allowing the penetration of the infiltration unit irrespective of the shape of the wrinkled skin.
  • FIG. 1 and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rinkle removal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of FIG. 2.
  • FIG. 4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A of FIG. 2.
  • FIG. 5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nd line CC of FIG. 3.
  • 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A of FIG. 2.
  •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cation of A of FIG. 2.
  • FIG. 8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A of FIG.
  • FIG. 9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FIG. 8.
  • Wrinkle removal patch to remove the wrinkles are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includ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but of a predetermined size An attachment portion formed as a region and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And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wherein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protrudes to a predetermined height from one surface of the attachment portion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and the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 the penetrating part may penetrate into the wrinkled skin.
  • the penetrating part may include a sharp portion penetrating first into the wrinkled skin when the attachment part is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 the sharp part may not be disposed on a vertical axi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surface, which is a boundary surface connected with the attachment part,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is horizontally disposed, such that the attachment part has the wrinkles formed therein. When it is changed to correspond to the skin, bending is prevented and penetration into the wrinkled skin is prevented. It may be characterized by that function.
  • FIG. 1 and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 wrinkle removal p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of FIG.
  • FIG. 4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A of FIG. 2
  • FIG. 5 is a schematic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and CC of FIG. 3.
  • the wrinkle removal patch 100 may be a kind of adhesion patch for removing the wrinkles by being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and crosslinked hyaluronic acid It may be prepared including a hydrogel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is a derivative of hyaluronic acid which is a constituent of the skin, and the crosslinking degree may be 1 to 50%.
  •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can selectively adjust the particle size compared to hyaluronic acid, enable the production of uniform and wrinkle-minimized wrinkle removal patch 100, and has a high hardnes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useful ingredient delivery It can increase.
  •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can improve aging skin tissues such as wrinkles and provide a moisturizing effect by high viscoelasticity, and has excellent swelling ability to easily absorb body fluids in vivo and is stable against hyaluronic acid degrading enzymes. Increasing the duration in vivo can ultimately deliver a stable ingredient in vivo.
  • hyaluronic acid in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can be used to mean not only hyaluronic acid, but also hyaluronic acid salts (e.g., sodium hyaluronate, potassium hyaluronic acid, magnesium hyaluronate and calcium hyaluronate) and mixtures thereof. have.
  • hyaluronic acid salts e.g., sodium hyaluronate, potassium hyaluronic acid, magnesium hyaluronate and calcium hyaluronate
  • hydrogel in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hydrogel” may mean a three-dimensional structure of the hydrophilic polymer having a sufficient amount of water, 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hydrogel” is cross-linked hyaluronic acid It may be a hydrogel formed in the liver.
  • the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may be crosslinked by a known hyaluronic acid crosslinking method, and may be, for example, a hyaluronic acid hydrogel crosslinked by a crosslinking agent.
  • the crosslinking agent is an ether crosslinking agent, that is,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EGDGE), butanediol diglycidyl ether (BDDE: 1,4-butandiol diglycidyl ether), hexanediol diglycidyl ether ( 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propyleneglycol diglycidyl ether, 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and It may be at least one crosslinking ag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EDC (1-ethyl-3- (3-dimethylaminopropyl) carbodiimide).
  • EDC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 BDDE 1,4-butandiol diglycidyl ether
  • hexanediol diglycidyl ether 1,6-hexanediol dig
  • the wrinkle removal patch 100 is made of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having a cross-linking degree of 1 to 50% by a 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penetration part 120 After injection into a micro mold having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it can be prepared by providing a predetermined pressure condition and external force (eg centrifugal force, etc.), and then separating the hyaluronic acid hydrogel crosslinked with the micro mold. .
  • MEMS 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 the wrinkle removal patch 100 may include an attachment part 110 and a penetration part 120 which are manufactured including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Can be.
  • the attachment part 110 may include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and may be a component that is formed in a region of a predetermined size and adheres to the wrinkled skin.
  • the penetration part 120 includes a 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 but protrudes from a surface of the attachment part 110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to a predetermined height so that the attachment part 110 is wrinkled.
  • the wrinkles may be a component that penetrates into the formed skin.
  • the penetrating part 120 may penetrate into the skin where the wrinkles are formed, that is, the stratum corneum, the epidermal layer, and the dermis layer, so that the hyaluronic acid, which is deeply located, absorbs the moisture in the skin to make the wrinkled skin taut.
  • the height of the penetrating portion 120 may be up to 280 ⁇ m, for this reason, the wrinkle removal pa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as a cosmetic (cosmetics), not a medicine.
  • the penetrating part 120 may include a sharp portion 125 that penetrates first into the wrinkled skin.
  • the sharp part 125 has a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surface S1, which is an interface at which the penetration part 120 is connected to the attachment part 110,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art 110 is horizontally disposed. It may not be disposed on the vertical axis X1 extending from C1.
  • the prior art sharp portion is disposed on a vertical axi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boundary surface connecting the penetration portion with the attachment portion on the basis of the state that the attachment portion is arranged horizontally.
  • the attachment portion when the conventional attachment portion is attached to the wrinkled skin, the attachment portion is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bending state of the wrinkled skin. In the process of deforming the attachment portion, the penetration portion is also bent, so that the penetration portion slides into the skin.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be penetrated.
  • the sharp portion 125 is not disposed on the vertical axis X1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gravity C1 of the first surface S1 based on the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ortion 110 is horizontally disposed. This can effectively solve the above problems.
  • the penetrating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truncated conical shape as a whol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uncated cones having different reduction widths.
  • the penetrating portion 120 may be implemented by a combination of a truncated cone and a polygonal truncated cone.
  • the penetrating portion 120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S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X1, and the second surface S2 may be disposed to have the attachment portion 110 horizontally. On the basis of the state to be formed, it may be form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irst surface (S1).
  • the predetermined angle may be an acute angle between 0 ° and 90 °.
  • the second surface S2 may be formed in a circular or elliptical shape, for example, may be elliptical as shown in the drawing.
  • the second surface S2 may be a surface having the sharp portion 125 as one point of the outline of the circular or oval shape, and of the sharp portion 125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2.
  • the location direction may not be constant.
  • the penetrating part 120 may include a first penetrating part 120 and a second penetrating part 1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netrating part 120.
  •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120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penetrating portion 120, and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130 is given a different reference number than the penetrating portion 120. Will be explained.
  • the sharp portion 125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120 and the sharp portion 135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130 are indicated by dots.
  •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125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120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first penetrating portion 120 is that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130. It may be different from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135 of the second penetrating portion 130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4).
  • the position of the sharp part 125 of the first penetration part 120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2 of the first penetration part 120.
  • the direction may be opposite to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ortion 135 of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0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4 of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0.
  • the position direction of the sharp part 135 of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0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4 of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0 is the second penetration part 130.
  • the condition of the sharp portion 125 and may satisfy a certain condition.
  • FIG. 6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modification of A of FIG. 2
  • FIG. 7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modified example of A of FIG. 2.
  • the sharp part 225 of the penetrating part 220 is connected to the penetrating part 220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ttaching part 210 is horizontally disposed. It may not be disposed on a vertical axi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first surface which is the boundary surface.
  • the penetrating portion 220 may include a second surface S6 form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S6 may be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attachment portion 210 is horizontally disposed. It may be formed at an acute angle with the first surface.
  • the second surface S6 may be formed in a polygon, for example, a quadrangle as shown in FIG. 6.
  • the second surface S6 may be a surface having the sharp portion 225 as a vertex of the polygon, for example, a vertex of a quadrangle.
  • the second surface S6 may be a surface having the sharp portion 225 as the corner of the polygon, for example, the corner of the quadrangle, as shown in FIG. 7.
  • FIG. 8 is a schematic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modification of A of FIG. 2, and FIG. 9 is a schematic enlarged plan view of FIG. 8.
  • the penetrating part 320 may include a first penetrating part 320 and a second penetrating part 330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enetrating part 320.
  • the first penetrating part 320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penetrating part 320, and the second penetrating part 330 is assigned a different reference number than the penetrating part 320. Will be explained.
  • the sharp part 325 of the first penetrating part 320 and the sharp part 335 of the second penetrating part 330 are indicated by dots.
  • the first penetration part 320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first area A1, which is a part of the area of the attachment part 310, and a sharp part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 parts 320.
  • the location direction 325 may be located in the sam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8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rst penetration units 320.
  • the second penetration part 330 may be formed in plural in the second area A2 which is another part of the area of the attachment part 310,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enetration parts 330 may be formed.
  • the positional direction of the sharpened portion 335 may be positioned in the same direction based o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econd surface S10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econd penetration portions 33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는,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소정 크기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침투되는 침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가장 먼저 침투되는 첨예부를 구비하며, 상기 첨예부는, 상기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침투부가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는 경계면인 제1 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대응되도록 변화되는 경우, 벤딩이 방지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름 제거용 패치
본 발명은 주름 제거용 패치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피부는 표피, 진피, 피아조직의 세 겹의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피부 구성 중 표피는 웃거나 찡그리는 과정에서 근육의 반복적인 움직임에 의해 주름이 형성되거나, 나이가 들면서 자연적으로 피부 탄력성이 저하되는 과정에서 주름이 형성된다.
최근,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수술요법을 사용하거나 피부에 영양제를 바르거나 투입하여 주름을 제거하는 마스크 팩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방안 중 수술요법의 경우에는 수술비용, 부작용에 대한 심적인 부담감 및 수술 후 장시간동안 회복기간을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마스크 팩의 경우에는 영양제를 피부에 침투시킴으로써 주름을 예방하는데는 효과가 있으나, 이미 발생된 주름에 대해서는 단순히 영양제의 성분만으로 소비자가 기대하는 이상의 치료효과와 만족감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마스크 팩은 사용자의 얼굴 전체를 감싸고 얹혀지는 상태로 부착됨으로써, 제한된 장소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러 있어야 하는 불폄함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마스크 팩을 통해 전달되는 영양수분은 공기와 노출되는 면이 많아 약 20분이 경과되는 시점부터 수분이 증발하고 수분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피부에 공급되어던 수분도 함께 빼앗겨 증발되는 단점이 있었다.
종래에는 수술요법 및 마스크 팩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교된 히알루론산하이드로젤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이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0265호에 개시되어 있으나, 주름이 형성된 피부의 형태에 따라 주름 제거의 효과가 달라지는 등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주름이 형성된 피부의 형태에 따라 주름 제거의 효과가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름 제거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주름 제거용 패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는,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소정 크기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침투되는 침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가장 먼저 침투되는 첨예부를 구비하며, 상기 첨예부는, 상기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침투부가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는 경계면인 제1 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대응되도록 변화되는 경우, 벤딩이 방지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침투부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소정의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제2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으로 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제2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를 상기 다각형의 모서리로 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제2 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를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형의 외곽선 중 일 지점으로 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침투부는, 제1 침투부 및 상기 제1 침투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침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제1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과 반대 방향 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제1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 제1 영역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침투부 각각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1 침투부 각각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의 상기 제2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의 영역 중 다른 일부 영역인 제2 영역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침투부 각각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2 침투부 각각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에 의하면,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여 제조됨으로써 유효 성분 전달의 효율성 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에 의하면, 주름이 형성된 피부의 형태에 상관 없이 침투부의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여 주름 제거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개략 확대사시도.
도 4는 도 2의 A에 대한 개략 확대평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및 CC선에 따른 개략 확대단면도.
도 6은 도 2의 A의 제1 변형예을 도시한 개략 확대사시도.
도 7은 도 2의 A의 제2 변형예을 도시한 개략 확대사시도.
도 8은 도 2의 A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확대사시도.
도 9는 도 8의 개략 확대평면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는,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소정 크기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침투되는 침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가장 먼저 침투되는 첨예부를 구비하며, 상기 첨예부는, 상기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침투부가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는 경계면인 제1 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대응되도록 변화되는 경우, 벤딩이 방지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를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에 대한 개략 확대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A에 대한 개략 확대평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BB선 및 CC선에 따른 개략 확대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100)는,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일종의 부착패치일 수 있으며,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은 피부의 구성성분인 히알루론산의 유도체로, 가교도가 1~50%일 수 있다.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은 히알루론산에 비해 입자 크기를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균일하며 뒤틀림이 최소화된 주름 제거용 패치(100)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고, 높은 경도를 가져 유용성분 전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은 높은 점탄성에 의하여 주름 등 노화된 피부 조직을 개선시키고 보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팽윤성이 우수하여 생체내에서 체액을 쉽게 흡수하고, 히알루론산 분해효소에 대해 안정하여 생체내 지속기간을 증가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 생체내로 유용성분을 안정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서 "히알루론산"은 히알루론산 뿐만 아니라 히알루론산 염(예컨대, 히알루론산 나트륨, 히알루론산 칼륨, 히알루론산 마그네슘 및 히알루론산 칼슘) 및 이들의 혼합물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에서 "하이드로젤"은 충분한 양의 수분을 보유하고 있는 친수성 고분자의 3차원적 구조를 의미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목적 상, "하이드로젤"은 가교된 히알루론산 간에 형성된 하이드로젤일 수 있다.
한편,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은 공지된 히알루론산 가교 방법에 의하여 가교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가교제에 의하여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일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에테르 가교제, 즉,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EGDGE: eth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부탄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BDDE: 1,4-butandiol diglycidyl ether), 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1,6-hexanediol diglycidyl ether),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ropyleneglycol diglycidyl ether),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polypropylene glycol diglycidyl ether),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 에테르(diglycerol polyglycidyl ether) 및 EDC(1-ethyl-3-(3-dimethylaminopropyl)carbodiimid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의 가교제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100)는 가교도가 1~50%인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MEMS(Micro-Electro Mechanical System) 제작기법 등으로 제조되고 침투부(120)와 대응되는 홈을 구비하는 마이크로 몰드에 주입한 후, 소정의 압력 조건 및 외력(예: 원심력 등)을 제공하고, 이후에 상기 마이크로 몰드와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분리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가교도가 1~50%인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의 제조 방법, 마이크로 몰드의 제조 방법 등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100265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100)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여 제조되는 부착부(110) 및 침투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착부(110)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되, 소정 크기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침투부(120)는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포함하되,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부(110)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부(110)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침투되는 구성요소일 수 있다.
상기 침투부(120)는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 즉, 각질층, 표피층, 진피층까지 침투되어 깊숙이 자리잡은 히알루론산이 피부 내의 수분을 흡수하여 주름이 형성된 피부를 팽팽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침투부(120)의 높이는 최대 280㎛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름 제거용 패치(100)는 의약품이 아닌 화장품(미용용)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침투부(120)는 상기 부착부(110)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가장 먼저 침투되는 첨예부(12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첨예부(125)는 상기 부착부(110)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침투부(120)가 상기 부착부(110)와 연결되는 경계면인 제1 면(S1)의 무게중심(C1)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X1)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상기 부착부(120)가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는 상기 침투부(120)의 벤딩을 방지하여 상기 침투부(120)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침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비교예를 들어 설명하면, 종래의 첨예부는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침투부가 부착부와 연결되는 경계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 상에 배치된다.
이 경우, 종래의 부착부를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부착부는 주름이 형성된 피부의 굴곡상태에 대응되도록 변형되게 되는데, 부착부가 변형되는 과정에서 침투부도 벤딩이 되어 침투부가 미끄러져 피부 내부로 침투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는, 결국, 유효 성분의 전달의 효율성 저하로 이어지게 되어 소비자의 불만이 증대될 수 밖에 없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첨예부(125)를 상기 부착부(110)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제1 면(S1)의 무게중심(C1)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X1)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침투부(120)는 전체적으로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직경의 감소폭이 다른 복수의 원뿔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침투부(120)는 원뿔대와 다각뿔대의 조합에 의해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여기서, 상기 침투부(120)는 제1 면(X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면(S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면(S2)은 상기 부착부(110)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면(S1)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각도는 0° 에서 90° 사이인 예각일 수 있다.
상기 제2 면(S2)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형일 수 있다.
상기 제2 면(S2)은 상기 첨예부(125)를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형의 외곽선 중 일 지점으로 하는 면일 수 있으며, 제2 면(S2)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첨예부(125)의 위치 방향은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침투부(120)는 제1 침투부(120) 및 상기 제1 침투부(12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침투부(1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침투부(120)는 상기 침투부(120)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2 침투부(130)는 상기 침투부(120)와 상이한 참조번로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4에서는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첨예부(125) 및 상기 제2 침투부(130)의 첨예부(135)를 도트로 표시하였다.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제2 면(S2)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첨예부(125)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130)의 제2 면(S4)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제2 침투부(130)의 첨예부(135)의 위치 방향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제2 면(S2)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첨예부(125)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130)의 제2 면(S4)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제2 침투부(130)의 첨예부(135)의 위치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침투부(130)의 제2 면(S4)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침투부(130)의 첨예부(135)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130)를 상기 제1 침투부(120)를 기준으로 어느 침투부로 정의하느냐에 따라서,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제2 면(S2)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120)의 첨예부(125)의 위치 방향과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는 다양할 수 있는 상기 일정한 조건 중 특정 조건인 경우를 도시하였음을 밝혀둔다.
도 6은 도 2의 A의 제1 변형예을 도시한 개략 확대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A의 제2 변형예을 도시한 개략 확대사시도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침투부(220)의 첨예부(225)는 부착부(210)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침투부(220)가 상기 부착부(210)와 연결되는 경계면인 제1 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 상에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침투부(220)는 제1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면(S6)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면(S6)은 상기 부착부(210)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면과 예각을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면(S6)은 다각형,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면(S6)은 상기 첨예부(225)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 예를 들어, 사각형의 꼭지점으로 하는 면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면(S6)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첨예부(225)를 상기 다각형의 모서리, 예를 들어, 사각형의 모서리로 하는 면일 수 있다.
도 8은 도 2의 A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 확대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개략 확대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침투부(320)는 제1 침투부(320) 및 상기 제1 침투부(320)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침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침투부(320)는 상기 침투부(320)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2 침투부(330)는 상기 침투부(320)와 상이한 참조번로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도 9에서는 상기 제1 침투부(320)의 첨예부(325) 및 상기 제2 침투부(330)의 첨예부(335)를 도트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상기 제1 침투부(320)는 부착부(310)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 제1 영역(A1)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1 침투부(320) 각각의 첨예부(325)의 위치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1 침투부(320) 각각의 제2 면(S8)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침투부(330)는 상기 부착부(310)의 영역 중 다른 일부 영역인 제2 영역(A2)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제2 침투부(330) 각각의 첨예부(335)의 위치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2 침투부(330) 각각의 제2 면(S10)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Claims (10)

  1.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어 상기 주름을 제거하기 위한 주름 제거용 패치에 있어서,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소정 크기의 영역으로 형성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부착부; 및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Cross-linked hyaluronic acid hydrogel)을 포함하되,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상기 부착부의 일면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침투되는 침투부;를 포함하며,
    상기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부착되는 경우,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 내로 가장 먼저 침투되는 첨예부를 구비하며,
    상기 첨예부는,
    상기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침투부가 상기 부착부와 연결되는 경계면인 제1 면의 무게중심으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축 상에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부착부가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대응되도록 변화되는 경우, 벤딩이 방지되어 상기 주름이 형성된 피부에 침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부는,
    상기 제1 면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2 면은,
    상기 부착부가 수평하게 배치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제1 면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각도는,
    예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를 상기 다각형의 꼭지점으로 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면은,
    다각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를 상기 다각형의 모서리로 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면은,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첨예부를 상기 원형 또는 상기 타원형의 외곽선 중 일 지점으로 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침투부는,
    제1 침투부 및 상기 제1 침투부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침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과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1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제2 침투부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한 상기 제2 침투부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과 반대 방향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의 영역 중 일부 영역인 제1 영역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1 침투부 각각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1 침투부 각각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침투부는,
    상기 부착부의 영역 중 다른 일부 영역인 제2 영역에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2 침투부 각각의 첨예부의 위치 방향은,
    상기 복수의 제2 침투부 각각의 제2 면의 무게중심을 기준으로 동일한 방향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 제거용 패치.
PCT/KR2017/012369 2016-11-09 2017-11-03 주름 제거용 패치 WO2018088755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576A KR20180055938A (ko) 2016-11-09 2016-11-09 주름 제거용 패치
KR10-2016-0148576 2016-11-0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8755A1 true WO2018088755A1 (ko) 2018-05-17

Family

ID=62109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369 WO2018088755A1 (ko) 2016-11-09 2017-11-03 주름 제거용 패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55938A (ko)
WO (1) WO201808875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1018A (ko) * 2006-12-06 2014-08-18 메르츠 파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가아 피내주사용 히알루론산 겔
KR20150037826A (ko) * 2012-06-15 2015-04-08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스로우 잇츠 센터 포 커머셜라이제이션 마이크로구조체 기반의 상처 클로저 기기
WO2016076442A1 (en) * 2014-11-14 2016-05-19 L'oreal Micro-needle sheet for reducing wrinkles and method of forming
KR2016010026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엔도더마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1018A (ko) * 2006-12-06 2014-08-18 메르츠 파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가아 피내주사용 히알루론산 겔
KR20150037826A (ko) * 2012-06-15 2015-04-08 유니버시티 오브 워싱턴 스로우 잇츠 센터 포 커머셜라이제이션 마이크로구조체 기반의 상처 클로저 기기
WO2016076442A1 (en) * 2014-11-14 2016-05-19 L'oreal Micro-needle sheet for reducing wrinkles and method of forming
KR20160100265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엔도더마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5938A (ko) 2018-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5186940A1 (ko) 마이크로 니들 패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831949B1 (ko) 가교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을 이용한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6159770B2 (ja) マイクロプロジェクションのアレイの製造のためのプロセス
KR101136738B1 (ko) 송풍에 의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솔리드 마이크로구조체
KR101813735B1 (ko) 프로테오글리칸을 함유하는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WO2017138682A1 (ko)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이용한 마이크로니들의 제조방법
US20100228203A1 (en) Microneedle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O2018101578A1 (ko)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한 롤러형 피부 미용기기
KR20170077809A (ko) 경피 흡수용 마이크로구조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0130240A1 (ko) 일체형 마이크로 니들 패치
WO2017003238A1 (ko) 약물 투여량 및 투여 깊이 조절이 가능한 미세바늘 구조체 및 제조방법
WO2018093218A1 (ko) 복합 제형이 적용된 마이크로니들 어레이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3089461A1 (ko) 섬유를 포함하는 미세돌기 마사지 패치 및 그 제조방법
WO2020076017A1 (ko) 다기능 마이크로구조체 패치
WO2012077943A2 (en) Mechanical skin restructuring device for multiple mode
CN108379095A (zh) 一种可溶性微针贴片及其制备方法
WO2016089163A1 (ko) 생체친화형 섬유상 매트릭스, 이를 포함하는 마스크 팩 및 그 제조방법
WO2019059425A1 (ko) 미세바늘패치를 이용한 히알루론산 필러
CN209316551U (zh) 一种可溶性微针贴片
WO2019103268A1 (ko) 니들 팁에 코팅부를 보유하는 마이크로니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8088755A1 (ko) 주름 제거용 패치
WO2016195290A1 (ko) 치과용 멤브레인
KR20150127876A (ko) 약물 전달용 마이크로 총알
WO2023106639A1 (ko) 마이크로니들 조립체
WO2020166744A1 (ko) 변형 구조 마이크로 니들 및 피부 드레싱용 패드를 이용한 피부 리프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68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32PN Ep: public notification in the ep bulletin as address of the adressee cannot be established

Free format text: NOTING OF LOSS OF RIGHTS PURSUANT TO RULE 112(1) EPC (EPO FORM 1205 DATED 27.08.2019)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6884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