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99344A1 -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9344A1
WO2017099344A1 PCT/KR2016/011374 KR2016011374W WO2017099344A1 WO 2017099344 A1 WO2017099344 A1 WO 2017099344A1 KR 2016011374 W KR2016011374 W KR 2016011374W WO 2017099344 A1 WO2017099344 A1 WO 201709934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condary battery
heat
piece
sea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137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이상균
구자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PL16873210T priority Critical patent/PL3297082T3/pl
Priority to CN201680039484.8A priority patent/CN108292775B/zh
Priority to EP16873210.5A priority patent/EP3297082B1/en
Priority to JP2018503637A priority patent/JP6583843B2/ja
Priority to US15/737,356 priority patent/US10749152B2/en
Publication of WO201709934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934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condary battery sealing device for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 a secondary battery refers to a battery that can be charged and discharged, unlike a primary battery that cannot be charged.
  • Such a secondary battery is widely used in advanced electronic devices such as phones, notebook computers, and camcorders.
  •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an electrolyte solution, and a case 20 accommodating an electrode assembly 30 and an electrolyte solution, and the case 2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30 and an electrolyte solution. It is provided with the accommodating part 21 which accommodates and the sealing part 22 which seals the accommodating part 21. As shown in FIG.
  • the sealing part 22 is sealed by heat fusion, in which case the sealing device 10 is used. That is, the sealing device 10 seal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aling portion 22 by applying heat and pressure at the same time.
  • the sealant layer 22a located inside the sealing part 22 melts and flows out of the sealing part 22 at the same time. It will come out,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sealing property is greatly reduced due to the de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ortion 22.
  • a "adhesion area" is formed as shown in FIG. 1, and when the "adhesion area" and the electrode assembly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 short circuit occurs. Ignition and explosion may occur (in this case, the provisional region refers to the phenomenon of protruding outwardly).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redu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ortion 22 of the case 20 to increase the sealing strength, in particular the sealant layer of the sealing portion 22 (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condary battery sealing apparatus which prevents the attachment region from being formed by blocking 22a) from flowing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21.
  • a secondary battery sealing device for sealing the sealing portion of the case contain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provided with a first sealing piece and a second sealing piece for sealing by sealing the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 the unheated fusion portion may be provided as an open groove that opens in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sealing portion.
  • the unheated fusion portion of the first sealing piece and the unheated fusion portion of the second sealing piece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 An upwardly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at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upwardly inclined surface decreases the pressing force toward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to reduce the inner end width of the sealing portion. It can be deformed to increase gradually.
  • a downwardly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ea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heat-sealed portion located at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and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gradually increases the pressing force toward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thereby providing an outer end portion of the sealing portion. It can be sharply deformed.
  • It may further include a welding member for sealing by welding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 the welding member may be ultrasonic welding or laser welding.
  •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 the sealing device of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nfused portion that blocks the sealant layer provided in the sealing portion of the case from moving to the inside of the case,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a temporary attachment region, thereby causing an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 the unfused portion may be formed as an open groove, thereby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 the sealing devic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sealing property by sharply deforming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by forming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downward in the heat sealing portion located on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 the sealing device of the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inclined upwardly in the heat-sealed portion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to gradually increase the width of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thereby adhering area into the case It can significantly prevent the occurrence.
  • FIG. 1 is a view showing a seal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ior art.
  • FIG. 2 is a view showing a sealing device for a secondary batter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and 4 are views showing a sealing state of the secondary battery sea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view showing a sealing state of the sealing member
  • Figure 4 is a view showing a welding state of the welding member. .
  • the secondary battery 100 includes an electrode assembly 110, an electrolyte (not shown), and a case 120 in which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electrolyte are accommodated.
  • the electrode assembly 110 and the accommodating part 121 in which the electrolyte is accommodated are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1 and the sealing part 122 is provided to seal the accommodating part 121.
  • the case 120 is provided with an upper case and a lower case, and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are coupled to each other to accommodate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 the receiving groove of the upper case and the receiving groove of the lower case are combined to form an accommodating portion 121 for accommodating the electrode assembly and the electrolyte, and the sealing surface of the upper case and the sealing surface of the lower case to receive the receiving portion 121. It forms a sealing portion 122 for sealing.
  • the case 120 includes an outer coating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on the outer surface, an intermediate layer made of aluminum or SUS, and a sealant layer 122a made of a heat adhesive on the inner surface.
  • the sealing part 122 of the case 120 is heat-sealed to seal, at this time using the sealing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by increasing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aling part 122, in particular the sealing part 122 ) To prevent the sealant layer 122a from flowing out into the accommodating portion 121, thereby preventing the formation of the temporary attachment region (see FIG. 1).
  • the sealant layer 122a provided inside the sealing part 122 is melted, and flows out of the sealing part 122.
  • the sealing strength is reduced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sealing part 122.
  • an adhesion region may occur.
  • the secondary battery sealing apparatus 200 may flow out of the sealing part 122 even when the sealant layer 122a is excessively melted during the sealing of the sealing part 122, in particular, during the sealing. This prevents the occurrence of the sticking area.
  • the sealing part 122 refers to the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121 as the inner end (the right end connected to the receiving part when viewed in FIG. 2), and the end opposite to the inner end is referred to as the outer end (FIG. 2). From the left end of the sealing portion).
  • the secondary battery sealing apparatus 200 for sealing by heat sealing the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22 of the case 120, and the case ( It includes a welding member 220 for welding and sealing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ortion 122 of the 120.
  • the sealing member 210 is provided with a first sealing piece 211 and a second sealing piece 212 that heat seal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aling part 122 at the same time.
  • the first sealing piece 211 and the second sealing piece 212 are formed symmetrically. That is, the first sealing piece 211 and the second sealing piece 212 are provided in the outer end direction from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and a plurality of heat fusion parts for heat sealing the sealing part 122 in multiple stages. (211a) (212a) and a plurality of heat-sealed portions (211a, 212a) provided between the non-heat-sealed portions (211b) (212b) that do not seal the sealing portion 122.
  • the sealant layer 122a is melted by heat and pressure on the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22 in which the plurality of heat sealing portions 211a and 212a are located in the first sealing piece 211 and the second sealing piece 212.
  • the sealant layer 122a As the sealant layer 122a is maintained, the surface of the sealing portion 122 where the unsealed portions 211b and 212b are located is not sealed while the sealant layer 122a is maintained.
  • the sealant layer 122a which is not sealed may block the melted sealant layer 122a from being agglomerated while being connected, and thus, the sealant layer 122a may be remarkably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seal portion 122. .
  • the sealing strength can be increased by the plurality of sealant layers 122a melted by the plurality of heat-sealed portions 211a and 212a, and the sealant layer not melted by the unsealed portions 211b and 212b.
  • the sealant layer 122a melted by the 122a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ut of the sealing portion 122.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the seizure region while increasing the sealing strength.
  • the unheated fusion part 211b of the first sealing piece 211 and the unheated fusion part 212b of the second sealing piece 212 are provid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and the molten sealant layer 122a is remarkably moved. You can block.
  • the unsealed portions 211b and 212b are provided as open grooves that open in the sealing portion 122 direction. That is, the sealing portion 122 that is not pressurized by the unsealed portions 211b and 212b that are open grooves may be raised, thereby preventing the external drawing of the sealant layer 122a to be significantly prevented.
  • upwardly inclined surfaces 211a-1 and 212a-1 which are inclined upwar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ealing part 122 are formed in the heat sealing parts 211a and 212a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 the upwardly inclined surfaces 211a-1 and 212a-1 gradually reduce the pressing force toward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so as to gradually increase the width of the inn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 the external withdrawal of the sealant layer 122a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122 may be significantly prevented.
  • downwardly inclined surfaces 211a-2 and 212a-2 which ar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sealing part 122 are formed in the heat sealing parts 211a and 212a positioned at the outer ends of the sealing part 122.
  •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s 211a-2 and 212a-2 gradually increase the pressing force toward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to sharply deform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thereby ending the sealing part 122. Can improve the sealing property.
  • the welding member 220 welds and seals the outer end of the sealing part 122, thereby increasing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aling part 122 together with the sealing member 210. Meanwhile, the welding member 220 may use ultrasonic welding or laser welding.
  • the secondary battery sealing apparatus 200 may increase the sealing strength of the sealing portion 122, and in particular, may prevent the occurrence of an adhesion reg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과 제2 실링편으로 마련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편과 상기 제2 실링편은 상기 실링부 표면의 외측 끝단에서 반대쪽인 내측 끝단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와, 상기 복수개의 열융착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로 마련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관련출원과의 상호인용
본 출원은 2015년 12월 11일자 한국특허출원 제10-2015-0177259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특허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3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하며, 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와 전해액를 수용하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를 밀폐하는 실링부(22)로 마련된다.
여기서 실링부(22)는 열융착하여 실링하게 되는데, 이때 실링장치(10)를 이용한다. 즉, 실링장치(10)는 실링부(2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실링장치(10)는 실링부(22)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할 경우 실리부(22) 내측에 위치한 실란트층(22a)이 용융됨과 동시에 실링부(22)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며, 이에 실링부(22)의 두께 감소로 인해 실링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용융된 실란트층(22a)이 수용부(21)로 흘러나올 경우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착영역"을 형성되며, 이 "가착영역'과 전극조립체(30)가 접촉될 경우 쇼트로 인한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여기서, 가착영역은 외부로 융기되면서 돌출되는 현상을 말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20)의 실링부(22) 두께감소를 방지하여 실링강도를 높이고, 특히 실링부(22)의 실란트층(22a)이 수용부(21)로 흘러나오지 않게 차단하여 가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는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과 제2 실링편으로 마련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편과 상기 제2 실링편은 상기 실링부 표면의 외측 끝단에서 반대쪽인 내측 끝단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와, 상기 복수개의 열융착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열융착부는 상기 실링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편의 미열융착부와 상기 제2 실링편의 미열융착부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 폭이 점차 증대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증대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는 용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재는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케이스의 실링부에 구비된 실란트층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미융착부를 포함함으로써 가착영역의 형성을 방지하고, 이에 쇼트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에서 미융착부는 개방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켜서 실링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의 폭을 점차 증대시키며, 이에 케이스 내부로의 가착영역 발생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의 실링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은 실링부재의 실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용접부재의 용접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이차전지(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10), 전해액(미도시), 및 전극조립체(110)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케이스(120)는 전극조립체(110)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고 수용부(121)를 밀폐하는 실링부(122)로 마련된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호 결합되면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한다.
즉, 상부케이스의 수용홈과 하부케이스의 수용홈이 결합되면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를 수용하는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상부케이스의 실링면과 하부케이스의 실링면이 실링되면서 수용부(121)를 밀폐하는 실링부(1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120)는 외면에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외부 피복층과, 알루미늄 또는 SUS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내면에 열접착체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층(122a)을 포함한다.
한편 케이스(120)의 실링부(122)는 열융착하여 실링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200)를 이용하며, 이에 실링부(122)의 실링강도를 높이고, 특히 실링부(122)의 실란트층(122a)이 수용부(121)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가착영역(도 1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케이스(120)의 실링부(122)가 과실링될 경우 실링부(122)의 내측에 구비된 실란트층(122a)의 과용융되면서, 실링부(122)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고, 이에 실링부(122)의 두께 감소로 실링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특히 실란트층(122a)이 수용부(121)로 흘러나올 경우 가착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200)는 실링부(122)의 실링, 특히 과실링시 실란트층(122a)이 과용융되더라도 실링부(122)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가착영역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 실링부(122)는 수용부(121)에 연결되는 단부를 내측 끝단(도 2에서 보았을 때 수용부에 연결된 우측 단부)이라 지칭하고, 상기 내측 끝단과 반대쪽인 단부를 외측 끝단(도 2에서 보았을 때 실링부의 좌측 단부)이라 지칭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케이스(120)의 실링부(122)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210)와, 케이스(120)의 실링부(122)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는 용접부재(220)를 포함한다.
실링부재(210)는 실링부(12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으로 마련된다.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은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은 실링부(122)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 끝단방향으로 마련되고 실링부(122)를 다단으로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와,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 사이에 마련되고 실링부(122)를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211b)(212b)로 마련된다.
즉,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에서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가 위치한 실링부(122)의 표면은 열과 압력에 의해 실란트층(122a)이 용융되면서 실링되고, 미실링부(211b)(212b)가 위치한 실링부(122)의 표면은 열과 압력이 발생하지 않기에 실란트층(122a)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실링되지 않는다. 여기서 실링되지 않는 실란트층(122a)은 용융되는 실란트층(122a)이 연결되면서 뭉쳐지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실링부(122)의 외부로 실란트층(122a)이 흘러서 인출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에 의해 용융되는 복수개의 실란트층(122a)에 의해 실링강도를 높일 수 있고, 미실링부(211b)(212b)에 의해 용융되지 않는 실란트층(122a)에 의해 용융된 실란트층(122a)이 실링부(122)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실링강도 증대와 함께 가착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링편(211)의 미열융착부(211b)와 제2 실링편(212)의 미열융착부(212b)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며, 이에 용융된 실란트층(122a)이 이동하는 것을 현저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미실링부(211b)(212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실링부(122)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으로 마련된다. 즉, 개방홈인 미실링부(211b)(212b)로 가압되지 않는 실링부(122)가 융기될 수 있으며, 이에 실란트층(122a)의 외부 인출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122)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열융착부(211a)(212a)에는 실링부(122)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211a-1)(212a-1)이 형성되며, 상향 경사면(211a-1)(212a-1)은 실링부(122)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감소시켜서 실링부(122)의 내측 끝단의 폭을 점차 증대되게 변형시키며, 이에 실링부(122)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실란트층(122a)의 외부 인출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122)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열융착부(211a)(212a)에는 실링부(122)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211a-2)(212a-2)이 형성되며, 하향 경사면(211a-2)(212a-2)은 실링부(122)의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증대시켜서 실링부(122)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키고, 이에 실링부(122) 끝단의 실링성을 높일 수 있다.
용접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실링부(122)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며, 이에 실링부재(210)와 함께 실링부(122)의 실링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용접부재(220)는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200)는 실링부(122)의 실링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가착영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다양한 변형 형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과 제2 실링편으로 마련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편과 상기 제2 실링편은 상기 실링부 표면의 외측 끝단에서 반대쪽인 내측 끝단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와, 상기 복수개의 열융착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열융착부는 상기 실링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편의 미열융착부와 상기 제2 실링편의 미열융착부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 폭이 점차 증대되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증대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는 용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는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PCT/KR2016/011374 2015-12-11 2016-10-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WO2017099344A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L16873210T PL3297082T3 (pl) 2015-12-11 2016-10-11 Urządzenie uszczelniające do baterii akumulatorowej
CN201680039484.8A CN108292775B (zh) 2015-12-11 2016-10-11 用于二次电池的密封设备
EP16873210.5A EP3297082B1 (en) 2015-12-11 2016-10-11 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JP2018503637A JP6583843B2 (ja) 2015-12-11 2016-10-11 二次電池用シーリング装置
US15/737,356 US10749152B2 (en) 2015-12-11 2016-10-11 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59 2015-12-11
KR1020150177259A KR101940150B1 (ko) 2015-12-11 2015-12-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344A1 true WO2017099344A1 (ko) 2017-06-15

Family

ID=5901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1374 WO2017099344A1 (ko) 2015-12-11 2016-10-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49152B2 (ko)
EP (1) EP3297082B1 (ko)
JP (1) JP6583843B2 (ko)
KR (1) KR101940150B1 (ko)
CN (1) CN108292775B (ko)
PL (1) PL3297082T3 (ko)
WO (1) WO2017099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57B1 (ko) * 2017-12-21 2020-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0071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1452021B1 (ko) * 2010-10-14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장치
KR101527124B1 (ko) * 2012-12-28 2015-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20150110983A (ko) * 2014-03-24 2015-10-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방습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KR20150125263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용 실링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553A (ja) * 1990-06-07 1992-02-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薄形密閉電池
JP3602797B2 (ja) 1999-03-26 2004-12-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ラミネート外装型電池
JP3696028B2 (ja) * 2000-02-14 2005-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封止構造を有す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87239A (ja) * 2002-08-26 2004-03-18 Nissan Motor Co Ltd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組電池、組電池モジュール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KR100571269B1 (ko) 2004-09-22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760028B2 (ja) * 2005-01-28 2011-08-31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9893B1 (ko) * 2006-07-10 2009-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링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DE102006039577B3 (de) 2006-08-23 2008-01-03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Leiste in einem Kanal
CN100583494C (zh) 2006-09-05 2010-01-20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密封组件结构
JP5025277B2 (ja) 2007-02-13 2012-09-12 株式会社東芝 電池の製造方法
WO2010089813A1 (ja) 2009-02-05 2010-08-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二次電池及び二次電池を備えた電池パック、並びに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5569065B2 (ja) * 2010-03-16 2014-08-13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容器、これを備え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容器の製造方法
US8771866B2 (en) 2010-03-30 2014-07-08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101269935B1 (ko) 2010-08-30 2013-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KR20130085719A (ko) * 2012-01-20 2013-07-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EP2955770B1 (en) * 2013-02-06 2019-05-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ttery packaging material
KR102035355B1 (ko) * 2013-07-22 2019-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2021B1 (ko) * 2010-10-14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장치
KR20130080071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101527124B1 (ko) * 2012-12-28 2015-06-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20150110983A (ko) * 2014-03-24 2015-10-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방습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KR20150125263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용 실링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97082A4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07A (ko) 2017-06-21
EP3297082B1 (en) 2020-04-15
CN108292775B (zh) 2021-06-25
US10749152B2 (en) 2020-08-18
EP3297082A4 (en) 2018-03-21
KR101940150B1 (ko) 2019-01-18
CN108292775A (zh) 2018-07-17
US20180175337A1 (en) 2018-06-21
JP2018526769A (ja) 2018-09-13
JP6583843B2 (ja) 2019-10-02
PL3297082T3 (pl) 2020-12-14
EP3297082A1 (en) 2018-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39126A1 (ko)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JP6699105B2 (ja) 端子用樹脂フィルム、それを用いたタブ及び蓄電デバイス
WO2012157892A2 (en) Sealing method and device of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KR20150069918A (ko) 가요성 이차 전지
KR101940362B1 (ko)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외장재 제조 방법, 라미네이트식 전지의 제조 방법, 및 라미네이트식 전지
WO2013108996A1 (ko) 파우치형 전지와 파우치형 전지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WO2017099344A1 (ko)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WO2019151646A1 (ko) 이차 전지
WO2014126408A1 (ko) 벤트 구조를 갖는 2차 전지용 캡 플레이트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5138779A (ja) カーブド二次電池
US20220393225A1 (en) Electrode Assembl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0673027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WO2017034380A1 (ko) 이차전지의 실링장치
CN109964362B (zh) 具有简单感测结构的电池模块
CN108012570B (zh) 用于密封二次电池的装置
KR102288120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용 클림핑장치
WO2018084491A1 (ko) 라미네이션 장치
WO2018004157A1 (ko) 이차전지
WO2018101634A1 (ko) 이차 전지
KR100522683B1 (ko) 리튬 2차전지
KR102318042B1 (ko) 탭 필름이 적용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탭 및 탭 필름 적용 방법
WO2017213363A1 (ko) 이차전지
US116771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ealing electrical terminals
CN107681100A (zh) 一种极耳以及包括该极耳的电池
CN105370996A (zh) 一种可变径密封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732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7321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37356

Country of ref document: US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03637

Country of ref document: JP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