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9707A -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9707A
KR20170069707A KR1020150177259A KR20150177259A KR20170069707A KR 20170069707 A KR20170069707 A KR 20170069707A KR 1020150177259 A KR1020150177259 A KR 1020150177259A KR 20150177259 A KR20150177259 A KR 20150177259A KR 20170069707 A KR20170069707 A KR 20170069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sealing portion
inner end
outer end
sea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72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0150B1 (ko
Inventor
이상균
구자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1772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150B1/ko
Priority to EP16873210.5A priority patent/EP3297082B1/en
Priority to PL16873210T priority patent/PL3297082T3/pl
Priority to CN201680039484.8A priority patent/CN108292775B/zh
Priority to US15/737,356 priority patent/US10749152B2/en
Priority to PCT/KR2016/011374 priority patent/WO2017099344A1/ko
Priority to JP2018503637A priority patent/JP6583843B2/ja
Publication of KR20170069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9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04Machines for assembl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6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ealing members
    • H01M2/0408
    • H01M2/0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02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structure
    • H01M50/105Pouches or flexible ba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83Sealing members
    • H01M50/184Sealing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4Electrical apparatus, e.g. sparking plugs or parts thereof
    • B29L2031/3468Batteries, accumulators or 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02E60/12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과 제2 실링편으로 마련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편과 상기 제2 실링편은 상기 실링부 표면의 외측 끝단에서 반대쪽인 내측 끝단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와, 상기 복수개의 열융착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로 마련된다.

Description

이차전지용 실링장치{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본 발명은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차 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이 불가능한 일차 전지와는 달리 충전 및 방전이 가능한 전지를 말하며, 이러한 이차 전지는 폰, 노트북 컴퓨터 및 캠코더 등의 첨단 전자 기기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특허등록번호 제10-0958649호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는 도 1을 참조하면 전극조립체(30), 전해액 및 전극조립체(30)와 전해액을 수용하는 케이스(20)를 포함하며, 케이스(20)는 전극조립체(30)와 전해액를 수용하는 수용부(21)와, 수용부(21)를 밀폐하는 실링부(22)로 마련된다.
여기서 실링부(22)는 열융착하여 실링하게 되는데, 이때 실링장치(10)를 이용한다. 즉, 실링장치(10)는 실링부(2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한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실링장치(10)는 실링부(22)를 열과 압력을 가하여 실링할 경우 실리부(22) 내측에 위치한 실란트층(22a)이 용융됨과 동시에 실링부(22)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며, 이에 실링부(22)의 두께 감소로 인해 실링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용융된 실란트층(22a)이 수용부(21)로 흘러나올 경우 도 1에 표시된 바와 같이 "가착영역"을 형성되며, 이 "가착영역'과 전극조립체(30)가 접촉될 경우 쇼트로 인한 발화 및 폭발이 발생할 수 있다.(여기서, 가착영역은 외부로 융기되면서 돌출되는 현상을 말함).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스(20)의 실링부(22) 두께감소를 방지하여 실링강도를 높이고, 특히 실링부(22)의 실란트층(22a)이 수용부(21)로 흘러나오지 않게 차단하여 가착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는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과 제2 실링편으로 마련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편과 상기 제2 실링편은 상기 실링부 표면의 외측 끝단에서 반대쪽인 내측 끝단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와, 상기 복수개의 열융착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미열융착부는 상기 실링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실링편의 미열융착부와 상기 제2 실링편의 미열융착부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 폭이 점차 증대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증대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는 용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접부재는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케이스의 실링부에 구비된 실란트층이 케이스의 내측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차단하는 미융착부를 포함함으로써 가착영역의 형성을 방지하고, 이에 쇼트로 인한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에서 미융착부는 개방홈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작의 용이성을 얻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 하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켜서 실링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의 실링장치는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 상향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의 폭을 점차 증대시키며, 이에 케이스 내부로의 가착영역 발생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의 실링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3은 실링부재의 실링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용접부재의 용접 상태를 도시한 도면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한편, 이차전지(100)는 도 2를 참조하면, 전극조립체(110), 전해액(미도시), 및 전극조립체(110)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케이스(120)를 포함하며, 케이스(120)는 전극조립체(110)와 전해액이 수용되는 수용부(121)와 수용부(121)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고 수용부(121)를 밀폐하는 실링부(122)로 마련된다.
여기서 케이스(120)는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케이스와 하부케이스가 상호 결합되면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을 수용한다.
즉, 상부케이스의 수용홈과 하부케이스의 수용홈이 결합되면서 전극조립체와 전해액를 수용하는 수용부(121)를 형성하고, 상부케이스의 실링면과 하부케이스의 실링면이 실링되면서 수용부(121)를 밀폐하는 실링부(122)를 형성한다.
그리고 케이스(120)는 외면에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외부 피복층과, 알루미늄 또는 SUS로 이루어지는 중간층과, 내면에 열접착체로 이루어지는 실란트층(122a)을 포함한다.
한편 케이스(120)의 실링부(122)는 열융착하여 실링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실링장치(200)를 이용하며, 이에 실링부(122)의 실링강도를 높이고, 특히 실링부(122)의 실란트층(122a)이 수용부(121)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여 가착영역(도 1 참조)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케이스(120)의 실링부(122)가 과실링될 경우 실링부(122)의 내측에 구비된 실란트층(122a)의 과용융되면서, 실링부(122)의 외부로 흘러나오게 되고, 이에 실링부(122)의 두께 감소로 실링강도가 감소하게 된다. 특히 실란트층(122a)이 수용부(121)로 흘러나올 경우 가착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200)는 실링부(122)의 실링, 특히 과실링시 실란트층(122a)이 과용융되더라도 실링부(122)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하며, 이에 가착영역의 발생을 방지한다.
이하, 실링부(122)는 수용부(121)에 연결되는 단부를 내측 끝단(도 2에서 보았을 때 수용부에 연결된 우측 단부)이라 지칭하고, 상기 내측 끝단과 반대쪽인 단부를 외측 끝단(도 2에서 보았을 때 실링부의 좌측 단부)이라 지칭한다.
일례로,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케이스(120)의 실링부(122)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실링부재(210)와, 케이스(120)의 실링부(122)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는 용접부재(220)를 포함한다.
실링부재(210)는 실링부(122)의 상면과 하면을 동시에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으로 마련된다.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은 대칭되게 형성된다. 즉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은 실링부(122)의 내측 끝단에서 외측 끝단방향으로 마련되고 실링부(120)를 다단으로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와,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 사이에 마련되고 실링부(122)를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211b)(212b)로 마련된다.
즉, 제1 실링편(211)과 제2 실링편(212)에서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가 위치한 실링부(122)의 표면은 열과 압력에 의해 실란트층(122a)이 용융되면서 실링되고, 미실링부(211b)(212b)가 위치한 실링부(122)의 표면은 열과 압력이 발생하지 않기에 실란트층(122a)이 그대로 유지되면서 실링되지 않는다. 여기서 실링되지 않는 실란트층(122a)은 용융되는 실란트층(122a)이 연결되면서 뭉쳐지는 것을 차단하며, 이에 실링부(122)의 외부로 실란트층(122a)이 흘러서 인출되는 것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열융착부(211a)(212a)에 의해 용융되는 복수개의 실란트층(122a)에 의해 실링강도를 높일 수 있고, 미실링부(211b)(212b)에 의해 용융되지 않는 실란트층(122a)에 의해 용융된 실란트층(122a)이 실링부(122)의 외부로 흘러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실링강도 증대와 함께 가착영역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실링편(211)의 미열융착부(211b)와 제2 실링편(212)의 미열융착부(212b)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며, 이에 용융된 실란트층(122a)이 이동하는 것을 현저히 차단할 수 있다.
한편, 미실링부(211b)(212b)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실링부(122)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으로 마련된다. 즉, 개방홈인 미실링부(211b)(212b)로 가압되지 않는 실링부(122)가 융기될 수 있으며, 이에 실란트층(122a)의 외부 인출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120)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열융착부(211a)(212a)에는 실링부(120)의 내측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211a-1)(212a-1)이 형성되며, 상향 경사면(211a-1)(212a-1)은 실링부(120)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감소시켜서 실링부(120)의 내측 끝단의 폭을 점차 증대되게 변형시키며, 이에 실링부(120)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실란트층(122a)의 외부 인출을 현저히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실링부(120)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열융착부(211a)(212a)에는 실링부(120)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211a-2)(212a-2)이 형성되며, 하향 경사면(211a-2)(212a-2)은 실링부(120)의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증대시켜서 실링부(120)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키고, 이에 실링부(120) 끝단의 실링성을 높일 수 있다.
용접부재(22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실링부(120)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며, 이에 실링부재(210)와 함께 실링부(122)의 실링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용접부재(220)는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차전지용 실링장치(200)는 실링부(122)의 실링강도를 높일 수 있으며, 특히 가착영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이차전지
110: 전극조립체
120: 케이스
200: 실링장치
210: 실링부재
220: 용접부재

Claims (7)

  1. 전극조립체와 전해액이 수용된 케이스의 실링부를 실링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제1 실링편과 제2 실링편으로 마련된 실링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실링편과 상기 제2 실링편은 상기 실링부 표면의 외측 끝단에서 반대쪽인 내측 끝단방향으로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열융착하여 실링하는 복수개의 열융착부와, 상기 복수개의 열융착부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의 표면을 실링하지 않는 미열융착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열융착부는 상기 실링부의 표면 방향으로 개방되는 개방홈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실링편의 미열융착부와 상기 제2 실링편의 미열융착부는 상호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상향으로 경사진 상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상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감소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내측 끝단 폭이 점차 증대되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에 위치한 상기 열융착부에는 상기 실링부의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으로 경사진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하향 경사면은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으로 갈수록 가압력을 점차 증대시켜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뾰족하게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부의 외측 끝단을 용접하여 실링하는 용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재는 초음파 용접 또는 레이저 용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KR1020150177259A 2015-12-11 2015-12-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KR101940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59A KR101940150B1 (ko) 2015-12-11 2015-12-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EP16873210.5A EP3297082B1 (en) 2015-12-11 2016-10-11 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PL16873210T PL3297082T3 (pl) 2015-12-11 2016-10-11 Urządzenie uszczelniające do baterii akumulatorowej
CN201680039484.8A CN108292775B (zh) 2015-12-11 2016-10-11 用于二次电池的密封设备
US15/737,356 US10749152B2 (en) 2015-12-11 2016-10-11 Sealing apparatus for secondary battery
PCT/KR2016/011374 WO2017099344A1 (ko) 2015-12-11 2016-10-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JP2018503637A JP6583843B2 (ja) 2015-12-11 2016-10-11 二次電池用シーリング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7259A KR101940150B1 (ko) 2015-12-11 2015-12-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9707A true KR20170069707A (ko) 2017-06-21
KR101940150B1 KR101940150B1 (ko) 2019-01-18

Family

ID=59013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7259A KR101940150B1 (ko) 2015-12-11 2015-12-11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749152B2 (ko)
EP (1) EP3297082B1 (ko)
JP (1) JP6583843B2 (ko)
KR (1) KR101940150B1 (ko)
CN (1) CN108292775B (ko)
PL (1) PL3297082T3 (ko)
WO (1) WO20170993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757B1 (ko) * 2017-12-21 2020-07-24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KR20130080071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40086907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20150110983A (ko) * 2014-03-24 2015-10-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방습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3553A (ja) * 1990-06-07 1992-02-13 Shin Kobe Electric Mach Co Ltd 薄形密閉電池
CN1300889C (zh) * 1999-03-26 2007-02-14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叠合片封装型电池
JP3696028B2 (ja) * 2000-02-14 2005-09-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ィルム封止構造を有す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87239A (ja) * 2002-08-26 2004-03-18 Nissan Motor Co Ltd 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組電池、組電池モジュール
KR100571269B1 (ko) * 2004-09-22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용 파우치 및 파우치형 이차전지
JP4760028B2 (ja) * 2005-01-28 2011-08-31 Tdk株式会社 電気化学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879893B1 (ko) * 2006-07-10 2009-01-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실링부의 안전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DE102006039577B3 (de) 2006-08-23 2008-01-03 A. Raymond Et Cie Vorrichtung zum Halten einer Leiste in einem Kanal
CN100583494C (zh) * 2006-09-05 2010-01-20 上海神力科技有限公司 燃料电池密封组件结构
JP5025277B2 (ja) * 2007-02-13 2012-09-12 株式会社東芝 電池の製造方法
EP2395587A1 (en) * 2009-02-05 2011-12-14 Panasonic Corporation Secondary battery, battery pack having th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econdary battery
JP5569065B2 (ja) * 2010-03-16 2014-08-13 凸版印刷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容器、これを備えたリチウムイオン電池、およ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容器の製造方法
US8771866B2 (en) 2010-03-30 2014-07-08 Samsung Sdi Co., Ltd. Pouch type secondary battery and the fabrication method thereof
WO2012030080A2 (ko) 2010-08-30 2012-03-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KR101452021B1 (ko) * 2010-10-14 2014-10-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우치형 이차 전지의 실링장치
KR20130085719A (ko) * 2012-01-20 2013-07-30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파우치형 전지의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EP2955770B1 (en) * 2013-02-06 2019-05-08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ttery packaging material
KR102035355B1 (ko) * 2013-07-22 2019-11-1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위한 장치
KR20150125263A (ko) * 2014-04-30 2015-1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케이스용 실링 장치 및 이를 사용하여 생산되는 전지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649B1 (ko) 2002-12-27 2010-05-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부와, 이의 감는 방법과, 이를 채용하여 제조된 리튬이차 전지
KR20130080071A (ko) * 2012-01-04 2013-07-12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구조의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 제조방법
KR20140086907A (ko) * 2012-12-28 2014-07-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파우치 케이스 실링 장치 및 실링 방법
KR20150110983A (ko) * 2014-03-24 2015-10-05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방습성이 개선된 이차전지용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150B1 (ko) 2019-01-18
CN108292775B (zh) 2021-06-25
CN108292775A (zh) 2018-07-17
JP6583843B2 (ja) 2019-10-02
US20180175337A1 (en) 2018-06-21
PL3297082T3 (pl) 2020-12-14
WO2017099344A1 (ko) 2017-06-15
EP3297082A4 (en) 2018-03-21
JP2018526769A (ja) 2018-09-13
US10749152B2 (en) 2020-08-18
EP3297082A1 (en) 2018-03-21
EP3297082B1 (en) 202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97276B2 (en) Sealed bipolar battery assembly
KR100601577B1 (ko) 이차 전지
US20140370372A1 (en) Pouch-Type Battery,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Sealing Pouch-Type Battery
WO2021189265A1 (zh) 电化学装置及电子装置
KR101940150B1 (ko) 이차전지용 실링장치
KR101911460B1 (ko) 밀폐형 전지의 제조 방법
KR20150086726A (ko) 커브드 이차 전지
KR20160002176A (ko) 이차전지
US10673027B2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US11831032B2 (en) Cylindrical battery
KR101719323B1 (ko) 절연성이 향상된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22246B1 (ko) 전지용 케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 전지
KR101852654B1 (ko) 전지셀 및 그의 제조방법
WO2023123036A1 (zh) 密封胶、电芯、电池及用电设备
JPH11154506A (ja) 密閉型電池
JP2005353503A (ja) 薄型電気化学セル
KR101390139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JP2010146835A (ja) パック電池
CN106132667B (zh) 树脂成形品的熔接方法
KR102288120B1 (ko) 이차전지 및 이차전지용 클림핑장치
KR102318042B1 (ko) 탭 필름이 적용된 파우치형 이차전지의 탭 및 탭 필름 적용 방법
KR101469188B1 (ko) 경사 실링부를 포함하는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N207123705U (zh) 掩膜框架,掩膜框架和掩膜版组件
WO2022123936A1 (ja) バイポーラ電極、及びバイポーラ型蓄電池
JP2024503340A (ja) 過融着を防止する防水電池パックケ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