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99284A1 -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99284A1
WO2017099284A1 PCT/KR2015/014093 KR2015014093W WO2017099284A1 WO 2017099284 A1 WO2017099284 A1 WO 2017099284A1 KR 2015014093 W KR2015014093 W KR 2015014093W WO 2017099284 A1 WO2017099284 A1 WO 201709928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ultrasonic sensor
defect
reflected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409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임충수
허형준
박현철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JP2018526793A priority Critical patent/JP6651627B2/ja
Priority to US15/777,862 priority patent/US20180340914A1/en
Priority to CN201580085102.0A priority patent/CN108291895A/zh
Priority to EP15910309.2A priority patent/EP3388828B1/en
Publication of WO201709928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9928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8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providing acoustic coupling, e.g. wat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6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e.g. acoustic microscop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7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propagation velocity or propagation time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11Analysing solids by measuring attenuation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5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moving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7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material relative to a stationary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7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both the sensor and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1Velocity or travel tim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1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measuring variable
    • G01N2291/015Attenuation, scatte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4Metals, e.g. st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4Internal reflections (echoes), e.g. on walls or def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2Surfaces fl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는, 강판의 하부에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설치되며, 강판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분사 노즐과, 분사 노즐 내부에 설치되며, 매질 기둥을 통해 강판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 센서와, 송수신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강판의 내부 결함의 존재를 검출하는 결함 검출부와, 분사 노즐 내부에 설치되며, 강판의 두께에 따라 초음파 센서와 강판 간의 거리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 후판 공장에서는 생산 완료된 강판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생산 제품의 출하 전 정정 라인에서 초음파 탐상을 실시하고 있다. 초음파 탐상은 강판에 초음파를 송신하여 강판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강판 내에 크랙(crack), 개재물(inclusion), 편석(segregation) 등의 결함(defect)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진단하는 방법이다.
초음파 탐상은 초음파 센서(probe)와 강판 표면 사이의 접촉 유무에 따라 접촉식 탐상 방식과 비접촉식 탐상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접촉식 탐상 방식의 경우 강판의 표면 상태 및 형상에 따른 노이즈 발생에 의해 오검출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초음파 센서와 강판 사이의 마찰에 의해 탐촉자의 탐상면에 마모가 발생하여 탐상 성능 저하 및 탐촉자의 수명 단축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접촉식 탐상 방식을 해결하기 위하여 비접촉식 탐상 방식을 통한 탐상 방법이 다각도로 고려되고 있다.
비접촉식 탐상 방식의 경우 초음파 센서(probe)에서 발진된 초음파 에너지를 강판에 전달하기 위하여 반드시 접촉 매질이 필요하며, 대표적인 매질로서 초음파 전송 효율이 우수한 물을 들 수 있다.
도 1은 상술한 비접촉식 초음파 검사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접촉식 초음파 탐상 검사 장치는, 피검사체(3)의 하부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피검사체(3)로 매질을 분사하는 노즐 케이스(2)와, 노즐 케이스(2) 내부에 설치되어 피검사체(3)로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 센서(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지만, 상술한 종래 기술의 경우 피검사체(3)의 하부에서 분사되는 매질과 초음파 센서(1)에 대해서만 개시되어 있을 뿐, 피검사체(3)의 내부 결함을 검사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관련 선행 기술로는 일본공개실용 소63-200161(공개일: 1988년12월23일)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의 내부 결함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강판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분사 노즐; 상기 매질 기둥을 통해 강판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상기 송수신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강판의 내부 결함의 존재를 검출하는 결함 검출부; 및 상기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상기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강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분사 노즐에서, 강판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강판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초음파 센서에서, 상기 매질 기둥을 통해 강판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제2 단계; 및 결함 검출부에서, 상기 송수신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강판의 내부 결함의 존재를 검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상기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강판 간의 이격 거리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의 두께에 따라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초음파 센서와 강판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강판의 내부 결함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결함 탐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분사 노즐을 통한 매질 기둥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초음파 탐상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분사노 즐(110), 초음파 센서(120), 매질 순환 유닛(130), 승강부(150) 및 결함 검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노즐(110)은 이송 수단, 예를 들어 롤(4)에 의해 이송되는 강판(3)의 하측에 설치되며, 강판(3)을 향해 매질(예를 들면 물)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10, 예를 들면 물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매질 기둥(10)은 분사 노즐(110)의 분사구로부터 수십 밀리미터(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정적인 초음파 송수신이 가능케 한다.
초음파 센서(120)는 분사 노즐(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매질 기둥(10)을 통해 강판(3)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한다. 초음파 센서(120)는 하부의 승강부(150)에 의해 지지되어 위 아래로 승강할 수 있으며, 매질에 의해 침적되는 침적식 탐촉자의 형태일 수 있다. 초음파 센서(120)는 강판(3)으로부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처리 및 연산하여 강판(3)의 내부 결함 유무를 분석하는 결함 검출부(160)와 유선 또는 무선 연결 방식을 통해 연결된다. 무선 연결 방식이 적용된 경우 초음파 센서(120)는 초음파 신호를 결함 검출부(160)로 무선 전송하기 위한 무선통신모듈이 내장된 형태를 갖는다.
매질 순환 유닛(130)은 매질 기둥(10)에서 낙하한 매질을 회수하여 분사 노즐(110)로 순환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매질 순환 유닛(130)은 매질받이(131), 회수배관(132) 및 공급배관(13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매질받이(131)는 분사 노즐(110)의 외곽에 설치되며, 매질 기둥(10)으로부터 낙하한 매질을 받도록 구성된다.
매질받이(131)는 분사 노즐(110)을 한정하는 실린더 또는 박스의 형태로 형성 가능하다.
회수배관(132)은 매질받이(131)에 연결되며, 매질받이(131) 내의 매질을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매질 기둥(10)에서 낙하하여 매질받이(131)로 떨어진 매질은 회수배관(132)으로 공급된다.
회수배관(132)에는 매질받이(131)에서 배출된 매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13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매질을 분사 노즐(110)로 재공급할 수 있다.
공급배관(133)은 회수배관(132)의 매질을 분사 노즐(11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사 노즐(110)과 회수배관(132)에 각각 연통된다.
공급배관(133)과 회수배관(132)의 사이에는 분사 노즐(110)에 분사압을 공급 위한 분사압 공급 유닛(140)이 설치될 수 있다. 분사압 공급 유닛(140)의 압력 공급에 따라 분사 노즐(110)이 일정 압력으로 매질을 분사함으로써 매질 기둥(10)이 형성되게 된다. 분사압 공급 유닛(140)으로서 순환 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순환 펌프의 제어를 통해 분사 노즐(110)의 분사압을 제어할 수 있다.
승강부(150)는 초음파 센서(12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결함 검출부(160)의 제어에 따라 초음파 센서(120)를 위아래로 승강시킴으로써, 강판(3)과 초음파 센서(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승강부(150)로는, 예를 들면 유압 실린더가 사용될 수 있으나, 랙-피니언 기어 등 초음파 센서(120)를 승강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수단이라도 무방하다.
결함 검출부(160)는, 초음파 센서(120)를 구동하여 강판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한다. 또한, 강판(3)의 두께 정보를 입력받고, 입력된 강판(3)의 두께 정보에 따라 승강부(150)를 제어하여 초음파 센서(120)를 승강시킴으로써, 강판(3)과 초음파 센서(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에 도시된 분사 노즐을 통한 매질 기둥 형성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분사 노즐(110)에 의해 형성된 매질 기둥(10)의 형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3b는 분사 노즐(110)에 의해 형성된 매질 기둥(10)이 강판(3)에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b와 같이 분사 노즐(110)의 분사구와 강판(3)의 하면 사이의 거리(D)는 매질 기둥(10)의 높이(h)보다 낮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매질 기둥(10)이 분사 노즐(110)의 분사구와 강판(3)의 하면 사이의 거리(D)보다 높은 높이(h)를 갖도록 매질 기둥(10)을 형성함으로써 매질 기둥(10)을 강판(3)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안정적인 초음파 송수신을 위한 매질 기둥(10)의 형성이 가능하다. 한편, 미설명된 부호 H는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간의 거리를 나타낸다.
한편,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a는 초음파 센서(120)에서 발생된 초음파 신호가 강판 하부면 및 강판 상부면에 반사되는 과정을, 도 4b는 결함이 없는 강판의 초음파 신호를, 도 4c는 결함이 있는 경우의 강판의 초음파 신호를, 도 4d는 강판의 두께(T)에 비해 초음파 센서(3)와 강판(3) 간의 거리(H)가 너무 가까운 경우의 초음파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우선, 도 4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센서(120)에 발생된 초음파 신호는 강판(3)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오거나 강판(3) 내부를 투과한 후 강판(3)의 상면에서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다. 이때 강판(3)의 하면에서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초음파 신호는 다시 초음파 센서(3)의 표면에 의해 다시 강판(3) 쪽으로 재반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사이에는 강판(3)의 하면과 초음파 센서(120) 표면에 의한 다중 반사파가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강판(3) 상면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에 의해 재반사되는 초음파 신호는 그 크기가 상대적으로 미약하기 때문에 무시할 수 있으며, 강판(3)의 내부 결함 탐상에는 사용되지 않음에 유의하여야 한다(즉, 무시할 수 있음).
한편, 도 4b는 강판 내부에 결함이 없는 경우의 초음파 신호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내지 도 4b에서, S0는 초음파 센서(120)에 의해 최초 발생된 초음파 신호이며, S1은 초음파 신호(S0)가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의 표면에서 재반사되는 신호이며, S2는 초음파 신호(S1)가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의 표면에서 재반사되는 신호이며, S3은 초음파 신호(S2)가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의 표면에서 재반사되는 신호이다.
그리고, S11은 초음파 신호(S0)가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초음파 신호이며, S21은 초음파 신호(S1)가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초음파 신호이며, S31은 초음파 신호(S3)가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되어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초음파 신호이다.
그리고, △ts는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초음파 신호가 강판(3)의 하면을 투과한 후 강판(3)의 상면에 반사되어 강판(3)의 하면으로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며, △tw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초음파 신호가 강판(3)의 하면에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이다.
[수학식 1]
△ts = 2H × Vs
여기서, H은 초음파 센서의 표면과 강판까지의 거리, Vs는 강판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이다.
[수학식 2]
△tw = 2T × Vw
여기서, T는 강판의 두께, Vw는 매질(물)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이다.
한편, 도 4c는 강판 내부에 결함이 있는 경우의 강판의 초음파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와 다른 점은 강판(3) 내부 결함에 의한 신호(S12, S22, S32)가 추가된 것이다. 초음파 신호(S12)는 초음파 신호(S0)가 강판(3) 내부 결함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신호이며, 초음파 신호(S22)는 초음파 신호(S1)가 강판(3) 내부 결함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신호이며, 초음파 신호(S32)는 초음파 신호(S2)가 강판(3) 내부 결함에 의해 반사된 후 초음파 센서(120)로 되돌아온 신호이다.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3)의 내부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는 하기의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도록 강판(3)과 초음파 센서(120) 간의 거리(H)를 조절함으로써,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S1, S2, S3), 강판(3)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S12, S22, S32) 및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S11, S21, S31)가 순차적으로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수학식 3]
△tw < △ts
상술한 수학식 3을 수학식 1 내지 2와 관련하여 다시 정리하여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강판(S)과 초음파 센서(3) 간의 거리(H)는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도출될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PCTKR2015014093-appb-I000001
여기서, H는 초음파 센서와 강판까지의 거리, T는 강판의 두께, Vs는 강판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 Vw는 매질(물)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이다.
즉, 상술한 수학식 4를 만족하도록, 결함 검출부(160)는, 승강부(150)를 제어하여 초음파 센서(120)를 승강시킴으로써,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S1, S2, S3), 강판(3)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S12, S22, S32) 및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S11, S21, S31)가 각각 순차적으로 도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초음파 신호의 크기는 각각 S1>S12>S11, S2>S22>S21, S3>S32>S31의 관계가 있으므로, 결함 검출부(160)는 강판 결함 반사파(S12, S22, S31)의 크기가 각각 강판 하면 반사파(S1, S2, S3)의 크기와 강판 상면 반사파(S11, S21, S31)의 크기 사이의 값일 경우 강판(3)의 내부에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하지만, 강판(3)의 두께에 비해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간의 거리(H)가 너무 가까운 경우에는 결함 검출이 곤란하다.
도 4d는 강판의 두께에 비해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간의 거리(H)가 너무 가까운 경우의 초음파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3)의 두께(T)가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간의 거리(200)에 비해 너무 두꺼운 경우에는 첫번째 초음파 신호(S0)가 발생된 이후 강판(3)의 하면 반사에 의한 다수개의 강판 하면 반사파(S1, S2)가 도달된 이후에야 첫번째 강판 상면 반사파(S11)가 초음파 센서(120)에 도달하게 된다. 이 경우 한 주기(예를 들면, 도 4c의 △tw + △ts ) 내에서 결함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강판(3)의 내부 결함에 의한 반사파(미도시)의 크기는 다른 초음파 신호들의 크기와 비슷(예를 들면, 도 4c에서 S12와 S2)하여 구분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S1, S2, S3), 강판(3)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S12, S22, S32) 및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S11, S21, S31)가 각각 순차적으로 도달하도록 초음파 센서(120)와 강판(3) 간의 거리를 조절하고, 초음파 신호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함을 검출함으로써, 강판(3) 내부의 결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초음파 탐상 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초음파 탐상 장치 또한 앞선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분사 노즐(210), 초음파 센서(220), 매질 순환 유닛(230), 분사압 공급 유닛(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서는 앞선 실시예에 대응되는 구성의 도면부호를 앞선 실시예와 유사한 도면부호로 표기하였다. 즉, 앞선 실시예에서 100번대로 표시된 도면 부호를 200번대로 변경하여 표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따르면, 초음파 센서(220)는 강판(3)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어 탐촉자 어레이(225)를 형성한다. 여기서 탐촉자 어레이(225)는 강판(3)의 폭(W) 이상의 길이(L)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사 노즐(210)은 탐촉자 어레이(225)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분사 노즐(210)이 강판(3)의 폭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는 사각 단면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그리고 매질받이(231) 또한 분사 노즐(210)의 외곽을 한정하는 사각 박스 형태를 갖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예시된 분사노즐(210) 및 매질받이(231)의 형상은 위에서 설명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강판(3)의 폭 방향을 따라 배열된 복수의 탐촉자(220)가 강판(3)의 전폭을 커버하고 있으므로, 강판(3)의 이송시 강판(3)의 전폭(全幅)을 동시에 탐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의 두께에 따라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초음파 센서와 강판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강판의 내부 결함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발명의 간명화를 위해 도 1 내지 도 6과 관련하여 이미 설명된 사항과 중복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을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우선 분사 노즐(110)은 강판(3)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H) 이격된 채 강판(3)을 향해 매질(예를 들면 물)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10, 예를 들면 물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S601). 매질 기둥(10)은 분사 노즐(110)의 분사구로부터 수십 밀리미터(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안정적인 초음파 송수신이 가능케 한다.
다음, 초음파 센서(120)는 매질 기둥(10)을 통해 강판(3)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할 수 있다(S602). 초음파 센서(120)는 하부의 승강부(150)에 의해 지지되어 위 아래로 승강할 수 있으며, 매질에 의해 침적되는 침적식 탐촉자의 형태일 수 있다.
다음, 결함 검출부(160)는 송수신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강판(3)의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S603).
구체적으로, 결함 검출부(160)는 순차적으로 도달한 초음파 신호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함을 검출함으로써, 강판(3) 내부의 결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결함 검출부(160)는 강판(3)의 두께 정보 따라 승강부(150)를 제어하여 초음파 센서(120)를 승강시킴으로써, 강판(3)과 초음파 센서(120)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강판(3)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S1, S2, S3), 강판(3)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S12, S22, S32) 및 강판(3)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S11, S21, S31)가 순차적으로 도달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 순차적으로 도달한 초음파 신호들의 크기에 기초하여 결함을 검출함으로써, 강판(3) 내부의 결함을 용이하게 검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부'라는 용어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A(field programmabl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강판의 두께에 따라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초음파 센서와 강판 간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강판의 내부 결함을 용이하게 검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한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권리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예컨대 제철소에서 생산 완료된 강판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는 데에 유용하다.

Claims (16)

  1. 강판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강판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분사 노즐;
    상기 매질 기둥을 통해 강판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초음파 센서;
    상기 송수신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강판의 내부 결함의 존재를 검출하는 결함 검출부; 및
    상기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상기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강판 간의 이격 거리를 조절하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 의해 재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강판으로 입사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검출부는,
    상기 강판 하면 반사파의 도달 시각 및 상기 강판 상면 반사파의 도달 시각 사이에 상기 강판 결함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강판의 내부에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검출부는,
    상기 강판 결함 반사파의 크기가 상기 강판 하면 반사파의 크기와 상기 강판 상면 반사파의 크기 사이의 값일 경우 상기 강판의 내부에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PCTKR2015014093-appb-I000002
    을 만족하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강판 간의 거리를 조절하며,
    여기서, H는 초음파 센서와 강판 간의 거리, T는 강판의 두께, Vs는 강판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 Vw는 매질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인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분사 노즐 내부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를 포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물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상기 강판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로 배열되며,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 의해 형성된 초음파 어레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어레이는 상기 강판의 폭 이상의 길이를 갖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10. 분사 노즐에서, 강판의 하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채 상기 강판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제1 단계;
    초음파 센서에서, 상기 매질 기둥을 통해 강판의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하는 제2 단계; 및
    결함 검출부에서, 상기 송수신된 초음파에 기초하여 상기 강판의 내부 결함의 존재를 검출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하면 반사파, 상기 강판의 결함에 의해 반사된 강판 결함 반사파 및 상기 강판의 상면에 의해 반사된 강판 상면 반사파가 순차적으로 도달되도록 상기 초음파 센서를 승강시킴으로써, 상기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강판 간의 이격 거리는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된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강판의 하면에 의해 반사된 초음파는,
    상기 초음파 센서에 의해 재 반사된 후 다시 상기 강판으로 입사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강판 하면 반사파의 도달 시각 및 상기 강판 상면 반사파의 도달 시각 사이에 상기 강판 결함 반사파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강판의 내부에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는,
    상기 강판 결함 반사파의 크기가 상기 강판 하면 반사파의 크기와 상기 강판 상면 반사파의 크기 사이의 값일 경우 상기 강판의 내부에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와 상기 강판 간의 거리는, 하기의 수학식:
    Figure PCTKR2015014093-appb-I000003
    을 만족하며,
    여기서, H는 초음파 센서와 강판 간의 거리, T는 강판의 두께, Vs는 강판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 Vw는 매질 내에서의 초음파 속도인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센서는,
    유압 실린더를 이용하여 승강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은,
    물을 포함하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방법.
PCT/KR2015/014093 2015-12-07 2015-12-22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WO2017099284A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526793A JP6651627B2 (ja) 2015-12-07 2015-12-22 高さ調節型超音波センサを用いた鋼板の内部欠陥探傷装置及びその方法
US15/777,862 US20180340914A1 (en) 2015-12-07 2015-12-22 Steel plate internal flaw detecting device and method using height-adjustable ultrasonic sensor
CN201580085102.0A CN108291895A (zh) 2015-12-07 2015-12-22 使用高度可调节的超声传感器的钢板内部瑕疵检测装置和方法
EP15910309.2A EP3388828B1 (en) 2015-12-07 2015-12-22 Steel plate internal flaw detecting device and method using height-adjustable ultrasonic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3392 2015-12-07
KR1020150173392A KR101736612B1 (ko) 2015-12-07 2015-12-07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9284A1 true WO2017099284A1 (ko) 2017-06-15

Family

ID=5901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4093 WO2017099284A1 (ko) 2015-12-07 2015-12-22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80340914A1 (ko)
EP (1) EP3388828B1 (ko)
JP (1) JP6651627B2 (ko)
KR (1) KR101736612B1 (ko)
CN (1) CN108291895A (ko)
WO (1) WO201709928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74406B (zh) * 2018-12-14 2019-10-11 中國鋼鐵股份有限公司 鋼胚之心部緻密度的檢測方法
WO2020213038A1 (ja) * 2019-04-15 2020-10-22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2305732B1 (ko) * 2019-12-18 2021-09-27 주식회사 포스코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KR102187526B1 (ko) * 2020-03-17 2020-12-0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초음파 매질 공급 지그 및 매질 순환 초음파 고속 스캔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9161A1 (en) * 1989-08-21 1992-06-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JP2005315583A (ja) * 2004-04-26 2005-11-10 Toshiba Corp 超音波検査用センサ装置
JP2006292697A (ja) * 2005-04-15 2006-10-26 Hitachi Eng Co Ltd 超音波検査方法及び超音波検査装置
WO2011028021A2 (ko) * 2009-09-03 2011-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음파 탐상장치의 멀티 탐촉자 유닛
WO2015099229A1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756811A (fr) * 1969-12-04 1971-03-01 Ver Deutsche Metallwerke Ag Procede de controle du diametre interieur de tubes
DE3227130A1 (de) * 1981-07-25 1983-02-17 British Aerospace Plc, London Lageeinstellvorrichtung
JPS5826256A (ja) * 1981-08-07 1983-02-16 Kubota Ltd 管の検査装置
US4674334A (en) * 1986-05-13 1987-06-2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Properties of composite laminates using leaky lamb waves
US5009103A (en) * 1988-02-01 1991-04-23 Tokyo Keiki Co., Ltd. Ultrasonic thickness measuring method and apparatus
JPH02193065A (ja) * 1989-01-20 1990-07-30 Canon Inc 超音波装置
KR0171605B1 (ko) * 1990-05-30 1999-05-01 오까다 모도 초음파 영상검사장치
JPH0894344A (ja) * 1994-07-26 1996-04-12 Shinko Kensa Service Kk 超音波の横波を利用した層厚測定装置
JP2001289827A (ja) * 2000-04-05 2001-10-19 Takenaka Komuten Co Ltd 超音波によ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等の遠隔式内部検査方法
US6378387B1 (en) * 2000-08-25 2002-04-30 Aerobotics, Inc. Non-destructive inspection, test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intact aircraft and components and method therefore
JP2002277447A (ja) * 2001-03-19 2002-09-25 Kawasaki Steel Corp 超音波探傷方法および装置
JP2003001407A (ja) * 2001-06-21 2003-01-08 Daido Steel Co Ltd ロウ付け方法及びロウ付け装置
WO2005103675A1 (ja) * 2004-04-26 2005-11-03 Kabushiki Kaisha Toshiba 3次元超音波検査装置
JP2006275945A (ja) * 2005-03-30 2006-10-12 Jfe Steel Kk 超音波探傷装置
WO2007046737A1 (en) * 2005-10-21 2007-04-26 Volvo Aero Corporation A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 tool with ultrasonic waves
JP5186917B2 (ja) 2007-12-26 2013-04-2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超音波探傷における測定ギャップ調整方法および装置
JP5155692B2 (ja) * 2008-02-26 2013-03-06 東芝プラントシステム株式会社 超音波検査装置
US7836768B2 (en) * 2008-02-27 2010-11-23 The Boeing Company Ultrasonic testing of corner radii having different angles and sizes
JP5421633B2 (ja) * 2009-03-30 2014-02-19 中央精機株式会社 超音波探査方法および超音波探査装置
JP5306024B2 (ja) * 2009-04-02 2013-10-02 株式会社東芝 超音波検査装置及び超音波検査方法
JP5172032B1 (ja) * 2012-06-26 2013-03-27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超音波検査装置、および、超音波検査方法
WO2014163022A1 (ja) * 2013-04-02 2014-10-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超音波探傷方法および超音波探傷装置
KR20150073566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및 방법
JP5650339B1 (ja) * 2014-02-06 2015-01-07 株式会社日立パワーソリューションズ 超音波検査装置
CN103884774B (zh) * 2014-02-27 2017-06-06 浙江大学 一种超声水冲印压测量材料粘弹性的装置及方法
CN104502451B (zh) * 2014-12-15 2017-02-01 中国兵器科学研究院宁波分院 一种钢板缺陷识别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89161A1 (en) * 1989-08-21 1992-06-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Ultrasonic flaw detector
JP2005315583A (ja) * 2004-04-26 2005-11-10 Toshiba Corp 超音波検査用センサ装置
JP2006292697A (ja) * 2005-04-15 2006-10-26 Hitachi Eng Co Ltd 超音波検査方法及び超音波検査装置
WO2011028021A2 (ko) * 2009-09-03 2011-03-1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음파 탐상장치의 멀티 탐촉자 유닛
WO2015099229A1 (ko) * 2013-12-23 2015-07-02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8828A1 (en) 2018-10-17
EP3388828A4 (en) 2018-10-17
KR101736612B1 (ko) 2017-05-17
US20180340914A1 (en) 2018-11-29
CN108291895A (zh) 2018-07-17
EP3388828B1 (en) 2020-03-25
JP6651627B2 (ja) 2020-02-19
JP2018536164A (ja) 2018-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99284A1 (ko)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CN105059869B (zh) 刮板输送机哑铃销断裂检测系统及方法
WO2015099229A1 (ko)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및 방법
WO2011081274A1 (ko) 배전 선로 점검 로봇
WO2010077044A2 (ko) 음향초음파 전파 영상화 장치
WO2011071241A2 (en) Crack detecting system and crack detecting method
CN107244612A (zh) 一种桥式行车装置及其预定位补偿方法
WO2017034087A1 (ko) 롤 자세정보검출장치 및 그 측정방법
WO2014042349A1 (ko) 배관 검사 장치 및 배관 검사 시스템
CN201413309Y (zh) 四绳同测钢丝绳无损检测装置
CN110271813A (zh) 一种刮板输送机内嵌式刮板转角检测装置及检测方法
CN106768010A (zh) 陶瓷砖检测机
WO2011031117A2 (ko) 파우치형 전지 내의 이물질 검출장치 및 방법
WO2013125864A1 (ko) 전극패턴 검사장치
WO2017213476A1 (ko) 외란에 강인한 고감도 금속검출기
WO2017111515A1 (ko) 강판 검사 장치 및 방법
JP4652336B2 (ja) 連続鋳造される粗金属製品の表面欠陥を検出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JP3312564B2 (ja) 長尺物体の測長装置
WO2019127252A1 (zh) 工业视觉检测振动的方法及系统
WO2019198916A1 (ko) 지반 지지력 측정이 가능한 암반 홀 표면 검사시스템
EP1959375A3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043936A (zh) 一种曲面玻璃屏尺寸测量方法
CN107600357B (zh) 一种高精度仰扫式船舶吃水检测系统及其工作方法
JP2892896B2 (ja) 壁面の剥離判定装置
CN214067029U (zh) 一种基于系留氦气球的爬墙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10309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777862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26793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910309

Country of ref document: E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