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732B1 -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 Google Patents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732B1
KR102305732B1 KR1020190169360A KR20190169360A KR102305732B1 KR 102305732 B1 KR102305732 B1 KR 102305732B1 KR 1020190169360 A KR1020190169360 A KR 1020190169360A KR 20190169360 A KR20190169360 A KR 20190169360A KR 102305732 B1 KR102305732 B1 KR 102305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ltrasonic
nozzle
medium
flaw detection
wave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9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7884A (ko
Inventor
임충수
허형준
이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90169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732B1/ko
Priority to CN202080087439.6A priority patent/CN114829924A/zh
Priority to EP20902050.2A priority patent/EP4080205A4/en
Priority to JP2022536834A priority patent/JP7394225B2/ja
Priority to PCT/KR2020/018399 priority patent/WO2021125767A1/ko
Priority to US17/779,579 priority patent/US20230009623A1/en
Publication of KR20210077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7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3Analysing solids in the interior, e.g. by shear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5Analysing solids by imparting shocks to the workpiece and detecting the vibrations or the acoustic waves caused by the sho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8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providing acoustic coupling, e.g.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207Driving circuits
    • B06B1/0223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 B06B1/0269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 B06B1/0284Driving circuits for generating signals continuous in time for generating multiple frequencies with consecutive, i.e. sequential generation, e.g. with frequency swee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2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a vibrating flu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1Arrangements for directing or focusing the acoustical wav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31Probes using other means for acoustic excitation, e.g. heat, microwaves, electron bea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7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material relative to a stationary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34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1N29/348Generating the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e.g. electronic circui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frequency characteristics, e.g. single frequency signals, chirp sig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20Metals
    • G01N33/204Structure thereof, e.g. crystal structure
    • G01N33/2045Defec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8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 G10K11/26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 G10K11/35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mechanical steering of transducers or their beams
    • G10K11/357Sound-focusing or directing, e.g. scanning using mechanical steering of transducers or their beams by moving a refle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2201/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B06B1/0207 for details covered by B06B1/0207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B06B2201/70Specific appli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3Solids
    • G01N2291/0234Metals, e.g. stee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9Internal structure, e.g. defects, grain size, te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4Wave modes and trajectories
    • G01N2291/045External reflections, e.g. on refl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10Number of transducers
    • G01N2291/106Number of transducers one or more transducer ar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2Surfaces fla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께에 따라 주파수를 자동으로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대상물에 대해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대상물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WITH VARIABLE FREQUENCY}
본 발명은, 두께에 따라 주파수를 자동으로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대상물에 대해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제철소의 후판 공장에서는 생산 완료된 제품의 품질 보증을 위해 제품의 출하 전 정정 라인에서 초음파 탐상을 실시하고 있다. 초음파 탐상은 제품에 초음파를 송신하여 제품으로부터 반사된 초음파를 수신 및 분석함으로써 제품에 크랙, 개재물, 편석 등의 결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진단한다.
이러한 초음파 탐상 시 제품의 표면과 탐촉자(probe) 간 갭을 물로 채운 후 초음파를 전달한다. 탐촉자에서 발진된 초음파 에너지를 제품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접촉 매질이 필요하며, 물은 초음파 전송 효율이 우수한 대표적인 매질이다.
한편, 제철소의 후판 공장에서는 다양한 두께의 후판이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다. 초음파는 금속 내부를 전파하면서 산란 또는 흡수되어 그 에너지가 감소하며, 이러한 에너지의 감소 정도는 초음파의 주파수와 금속의 종류 및 조직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은 초음파 감쇠를 고려하여 초음파 탐상의 규격이 정해져 있는데, 예를 들면 판 두께가 80mm 이하의 제품에 대해서는 약 5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적용하며, 판 두께가 80mm를 초과하는 제품은 약 2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다양한 두께의 전 제품을 탐상하기 위해서는 5MHz의 초음파 탐상기와 2MHz의 초음파 탐상기를 별도로 구비하고서 두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통상, 제품의 전체 폭 탐상을 위한 초음파 탐상기는 수 백 개의 초음파 센서 및 신호처리 어레이와 결함 판정의 소프트웨어로 구성되어 매우 고가(高價)이기 때문에, 2대의 탐상기를 설치하는 것은 큰 비용과 많은 인력이 소요되며, 장치 대수의 증가에 따른 유지 관리의 비용도 증대되게 된다.
(특허문헌 1) JP S63-200121 U
이에 본 발명은, 두께에 따라 주파수를 자동으로 가변함으로써 다양한 두께의 대상물에 대해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는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대상물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 및 상기 복수의 탐촉자 중 선정된 탐촉자의 초음파가 대상물로 전달되도록, 상기 노즐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초음파 반사판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대상물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하나의 출측 도파관(waveguide)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측 도파관으로부터 분기되고 복수의 탐촉자가 각각에 분배된 복수의 입측 도파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초음파 탐상 장치를 통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전 제품에 대한 내부 결함의 검출이 가능하게 되어, 초음파 탐상 장치의 설치 및 운영 비용과 인력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더구나,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초음파 탐상 장치에 의해 전 제품을 탐상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복수의 초음파 탐상기가 운영되는 경우에 비해 제품의 내부 결함을 보다 효율적으로 통합 관리할 수 있어, 제품의 품질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수반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제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제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제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대상물(1)을 향해 매질(2)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노즐(10); 및 이 노즐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20; 21, 22)를 포함하고 있다.
노즐(10)은 이송 수단, 예를 들어 가이드 롤(3)에 의해 이송되는 두꺼운 강판 등과 같은 대상물(1)의 하측에 설치되며, 이 대상물을 향해 매질(2; 예컨대, 물)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4; 예컨대 물 기둥)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10)은 대상물(1)의 하면에 밀착된 안정적인 매질 기둥(4)을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이를 위해 노즐의 내경이 제한된다.
노즐(10)의 내경이 증가하면 매질 기둥(4)의 부피와 질량이 증가하여 매질 기둥의 높이가 급격히 감소한다. 또, 매질 기둥의 내부에 맥동이 형성되므로 안정적인 초음파 전달이 어려워진다.
반면에, 노즐(10)의 내경이 지나치게 작을 경우에는 탐상 면적이 작아지고 유속이 증가하게 됨과 더불어 매질(2)의 흐름이 불안정하게 되기 때문에, 이 역시 안정적인 초음파 전달이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노즐(10)의 내경(d)과 탐촉면의 폭(w) 또는 직경 사이에는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은 관계를 만족해야 하며, 이때에 가장 안정적인 초음파 탐상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탐촉면은 탐촉자(20)에서 실질적으로 초음파가 발진되는 표면을 의미한다.
[수학식 1]
d/2 < w < d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에서는, 탐촉면의 폭(w) 또는 직경에 대해 수학식 1과 같은 상관 관계의 내경(d)을 가진 하나의 노즐(10)을 이용하여 주파수 절환이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질 기둥(4)은 노즐(10)의 출구로부터 수십 밀리미터(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매질 기둥을 통하여 초음파의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초음파 전송 효율이 우수한 매질로 물이 채용되므로, 매질 기둥은 물 기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노즐(10)에서 매질(2)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4)을 형성함과 더불어, 매질 기둥으로부터 낙하한 매질을 회수하고 이를 다시 노즐로 순환시키기 위한 매질 순환 유닛(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질 순환 유닛(30)은 매질 받이(31), 회수 배관(32) 및 공급 배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매질 받이(31)는 노즐(10)의 외곽에 설치되며, 매질 기둥(4)으로부터 낙하한 매질(2)을 받도록 구성된다. 이 매질 받이는 노즐을 둘러싼 통 형상 또는 박스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수 배관(32)은 매질 받이(31)에 연결되며, 매질 받이 내의 매질(2)을 회수하도록 구성된다. 매질 기둥(4)에서 낙하하여 매질 받이에 모인 매질은 회수 배관으로 공급된다.
회수 배관(32)에는 매질 받이(31)에서 배출된 매질(2)을 여과하기 위한 필터(34)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매질을 노즐(10)로 재공급할 수 있게 된다.
공급 배관(33)은 회수 배관(32)의 매질(2)을 노즐(10)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즐(10)과 회수 배관(32)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회수 배관(32)과 공급 배관(33)의 사이에는 노즐(10)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순환 펌프(35)가 설치될 수 있다. 이 순환 펌프에 의해 제공되는 압력에 따라 노즐이 일정 압력으로 매질(2)을 분사함으로써 매질 기둥(4)이 형성되게 된다. 순환 펌프를 제어함으로써, 노즐의 분사압이 제어될 수 있다.
복수의 탐촉자(20)는 노즐(10)의 측벽에서 서로 이격되어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며, 매질 기둥(4)을 통해 대상물(1)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2개의 탐촉자(21, 22)가 노즐에 대해 서로 대칭되게 장착된 예가 나타나 있다.
이들 탐촉자(20)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한다. 예를 들어 일측 탐촉자(21)는 약 5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할 수 있으며, 타측 탐촉자(22)는 약 2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탐촉자(20)는, 대상물(1)로부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처리 및 연산하여 대상물의 내부 결함의 유무를 분석하는 결함 검출부(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복수의 탐촉자(20) 중 선정된 탐촉자의 초음파가 대상물(1)로 전달되도록, 노즐에서 복수의 탐촉자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초음파 반사판(1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초음파 반사판(11)은 예컨대 스테인리스강, 황동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이로써 초음파를 원활히 반사시킴과 더불어, 물과 같은 매질(2)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다.
초음파 반사판(11)은 노즐(10)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12)에 고정되며, 이 회전축은 노즐(10)의 측벽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회전축의 일단에는, 노즐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13)가 연결됨으로써, 초음파 반사판의 회전각도가 제어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13)에 의해 회전각도가 제어되게 됨으로써, 초음파 반사판(11)은 양측 탐촉자(20)에서 발진된 초음파를 선택적으로 대상물(1)을 향해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에서 초음파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제어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철소의 후판 공장의 정정 라인에서 초음파 탐상의 대상물(1)인 제품이 가이드 롤(3)에 의해 초음파 탐상 장치로 이송된다. 대상물이 초음파 탐상 장치로 진입하기 전에, 공장 조업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제어기(40)는 대상물의 두께 정보를 수신한다.
메인 제어기(40)는 수신된 두께 정보를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41)로 전송한다.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41)는 그 내부 프로그램에 따라 초음파 탐상이 실시될 대상물(1)의 두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탐촉자(20) 중 하나를 선택한다.
대상물(1)의 두께가 예컨대 80mm 이하일 경우에는 약 5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일측 탐촉자(21)에 해당되는 제1 펄서 리시버(43)에 명령을 전달하여 작동시키고 타측 탐촉자(22)의 제2 펄서 리시버(44)는 그 작동을 중지시킨다.
반대로, 대상물(1)의 두께가 예컨대 8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 2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타측 탐촉자(22)에 해당되는 제2 펄서 리시버(44)에 명령을 전달하여 작동시키고 제1 펄서 리시버(43)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또한, 메인 제어기(40)는 수신된 두께 정보를 초음파 반사판용 방향 제어기(42)로 전송한다.
초음파 반사판용 방향 제어기(42)는 전송된 두께 정보에 따라 모터(13)를 작동시킴으로써 초음파 반사판의 회전각도를 제어하고 그 경사방향을 절환한다.
다시 말해, 대상물(1)의 두께가 예컨대 80mm 이하일 경우에는 일측 탐촉자(21)에서 발진된 약 5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가 노즐(10)의 출구 및 대상물의 하면을 향해 반사되도록 초음파 반사판(11)의 경사방향을 변환시킨다.
반대로, 대상물(1)의 두께가 예컨대 8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타측 탐촉자(22)에서 발진된 약 2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가 노즐(10)의 출구 및 대상물의 하면을 향해 반사되도록 초음파 반사판(11)의 경사방향을 변환시킨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노즐(10)에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20)를 대칭되게 장착하고, 대상물(1)의 두께에 따라 선정된 주파수의 초음파가 대상물로 전달되도록, 탐촉자들 사이에 위치한 초음파 반사판(11)의 회전각도를 제어함으로써,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초음파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에서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용이하게 절환함과 동시에 초음파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주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의 제어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초음파 반사판 및 모터가 없는 노즐의 형태와 탐촉자의 배치관계만 상이하고, 나머지 구성요소들은 전술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의 구성요소들과 동일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를 설명함에 있어, 전술한 제1 실시예에 의한 초음파 탐상 장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면서 그 구성 및 기능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노즐(10)이 하나의 출측 도파관(15)으로 형성되고, 이 출측 도파관으로부터 분기되고 복수의 탐촉자(20)가 각각에 분배된 복수의 입측 도파관(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탐촉자(20)는 각각 해당 입측 도파관(14)의 내부에 설치되며, 매질 기둥(4)을 통해 대상물(1)의 내부 결함을 검출하기 위한 초음파를 송수신한다.
전술한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이들 탐촉자(20)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한다. 예를 들어 일측 탐촉자(21)는 약 5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할 수 있으며, 타측 탐촉자(22)는 약 2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탐촉자(20)는, 대상물(1)로부터 수신된 초음파 신호를 처리 및 연산하여 대상물의 내부 결함의 유무를 분석하는 결함 검출부(미도시)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각 입측 도파관(14) 내 탐촉자(20)로부터 발진된 초음파는 출측 도파관(15)을 거쳐 노즐(10) 밖으로 전파하게 된다.
매질(2)도 분기된 공급 배관(미도시)을 매개로 입측 도파관(14)에 공급된 후 출측 도파관(15)을 거쳐 공통의 경로를 통해 노즐(10) 밖으로 분사된다.
바람직하기로, 입측 도파관(14)으로 유입된 초음파가 출측 도파관(15)에서 손실 없이 전파되도록, 초음파와 도파관 내벽(internal interface) 사이에는 전반사 조건이 만족되어야 한다. 즉, 도파관 내에서 초음파 에너지의 손실이 최소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아래의 수학식 2와 같이, 도파관 내 매질에서의 초음파 속도(V1)는 도파관 내벽에서의 초음파 속도(V2)보다 작아야 한다.
[수학식 2]
V1 < V2
수학식 2는 도파관의 내부에 물과 같은 매질(2)이 채워져 있고, 입측 도파관(14) 및 출측 도파관(15)이 금속 재질로 만들어진 경우에 만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측 도파관(14)이 하나의 출측 도파관(15)과 결합되는 부분에서 곡면 또는 절곡면이 형성되므로, 초음파와 도파관 내벽 사이의 각도에 변화가 생긴다.
이와 같이 각도가 변화하는 부분, 즉 복수의 입측 도파관(14)이 하나의 출측 도파관(15)과 결합되는 부분에서, 입측 도파관으로부터 출측 도파관으로 진행하는 초음파의 전파 방향과, 출측 도파관 내벽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각도(입사각; θ)가 임계각(θc)보다 크게 되도록 입측 도파관 및 출측 도파관이 설계되면 초음파가 손실 없이 출측 도파관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아래의 수학식 3과 같이, 임계각(θc)보다 큰 각도(θ)로 초음파가 도파관의 내벽에 입사하면 전반사가 일어나게 된다.
[수학식 3]
θc < θ
여기서, 임계각은 아래의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수학식 4]
Figure 112019130739614-pat00001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노즐(10)을 구성하는 하나의 출측 도파관(15)과 복수의 입측 도파관(14)을, 전술한 수학식 2 및 3을 만족하는 조건으로 설계하고, 복수의 탐촉자(20)가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선택적으로 발진하게 하면 다양한 두께의 대상물(1)에 대한 초음파 탐상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에서 초음파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절환하는 제어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예를 들어, 제철소의 후판 공장의 정정 라인에서 초음파 탐상의 대상물(1)인 제품이 가이드 롤(3)에 의해 초음파 탐상 장치로 이송된다. 대상물이 초음파 탐상 장치로 진입하기 전에, 공장 조업 시스템을 구성하는 메인 제어기(40)는 대상물의 두께 정보를 수신한다.
메인 제어기(40)는 수신된 두께 정보를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41)로 전송한다.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41)는 그 내부 프로그램에 따라 초음파 탐상이 실시될 대상물(1)의 두께 정보를 기초로 하여 복수의 탐촉자(20) 중 하나를 선택한다.
대상물(1)의 두께가 예컨대 80mm 이하일 경우에는 약 5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일측 탐촉자(21)에 해당되는 제1 펄서 리시버(43)에 명령을 전달하여 작동시키고 타측 탐촉자(22)의 제2 펄서 리시버(44)는 그 작동을 중지시킨다.
반대로, 대상물(1)의 두께가 예컨대 80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약 2MHz의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타측 탐촉자(22)에 해당되는 제2 펄서 리시버(44)에 명령을 전달하여 작동시키고 제1 펄서 리시버(43)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는, 노즐(10)의 복수의 입측 도파관(14)에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하는 탐촉자(20)를 각각 장착하고, 대상물(1)의 두께에 따라 선정된 주파수의 초음파가 출측 도파관(15)을 거쳐 대상물로 전달되도록, 탐촉자(20)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초음파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절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 탐상 장치에서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용이하게 절환함과 동시에 초음파를 안정적으로 송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대상물의 두께에 따라 초음파의 주파수를 자동으로 선정한 후 해당 초음파가 노즐을 통해 대상물의 하면에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초음파 탐상 장치를 통해 다양한 두께를 갖는 대상물의 내부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대상물 2: 매질
3: 가이드 롤 4: 매질 기둥
10: 노즐 11: 초음파 반사판
12: 회전축 13: 모터
14: 입측 도파관 15: 출측 도파관
20, 21, 22: 탐촉자 30: 매질 순환 유닛
31: 매질 받이 32: 회수 배관
33: 공급 배관 34: 필터
35: 순환 펌프 40: 메인 제어기
41: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
42: 초음파 반사판용 방향 제어기
43: 제1 펄서 리시버 44: 제2 펄서 리시버

Claims (14)

  1. 대상물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노즐;
    상기 노즐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 및
    상기 복수의 탐촉자 중 선정된 탐촉자의 초음파가 상기 대상물로 전달되도록, 상기 노즐에서 상기 복수의 탐촉자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초음파 반사판
    을 포함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2. 대상물을 향해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는 노즐; 및
    상기 노즐에 배치되어 초음파를 발진하는 복수의 탐촉자
    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하나의 출측 도파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출측 도파관으로부터 분기되고 상기 복수의 탐촉자가 각각에 분배된 복수의 입측 도파관을 더 포함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의 내경(d)과 탐촉자의 탐촉면의 폭(w) 또는 직경 사이에는
    [식 1]
    d/2 < w < d
    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탐촉자는 서로 상이한 주파수를 가진 초음파를 발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탐촉자는 상기 노즐의 측벽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반사판은 초음파를 반사할 수 있고 매질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반사판은 상기 노즐의 내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회전축에 고정되며, 상기 회전축의 일단에는, 상기 노즐의 외부에 설치된 모터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두께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기;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대상물의 두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탐촉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
    상기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탐촉자의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제1 펄서 리시버와 제2 펄서 리시버; 및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대상물의 두께 정보에 따라 상기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초음파 반사판의 회전각도를 제어하는 초음파 반사판용 방향 제어기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탐촉자는 각각 해당 입측 도파관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입측 도파관에 공급된 매질은 상기 출측 도파관을 거쳐 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도파관 내 매질에서의 초음파 속도(V1)는 도파관 내벽에서의 초음파 속도(V2)보다 작고,
    복수의 입측 도파관이 하나의 출측 도파관과 결합되는 부분에서, 상기 입측 도파관으로부터 상기 출측 도파관으로 진행하는 초음파의 전파 방향과, 상기 출측 도파관 내벽에 수직한 방향 사이의 각도(θ)가 임계각(θc)보다 크며,
    상기 임계각(θc)은
    [식 2]
    Figure 112021016457730-pat00002

    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물의 두께 정보를 수신하는 메인 제어기;
    상기 메인 제어기로부터 전달된 상기 대상물의 두께 정보를 기초로 하여 상기 복수의 탐촉자 중 하나를 선택하는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 및
    상기 탐촉자용 온-오프 제어기의 명령에 따라 선택적으로 해당 탐촉자의 초음파를 발진시키는 제1 펄서 리시버와 제2 펄서 리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서 매질을 분사하여 매질 기둥을 형성하고, 매질 기둥으로부터 낙하한 매질을 회수하여 다시 상기 노즐로 순환시키는 매질 순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매질 순환 유닛은,
    상기 노즐의 외곽에 설치되며, 매질 기둥으로부터 낙하한 매질을 받도록 된 매질 받이;
    상기 매질 받이에 연결된 회수 배관;
    상기 회수 배관의 매질을 상기 노즐에 공급하는 공급 배관; 및
    상기 회수 배관과 상기 공급 배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노즐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순환 펌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 탐상 장치.
KR1020190169360A 2019-12-18 2019-12-18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KR102305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60A KR102305732B1 (ko) 2019-12-18 2019-12-18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CN202080087439.6A CN114829924A (zh) 2019-12-18 2020-12-16 具有可变频率的超声波测试装置
EP20902050.2A EP4080205A4 (en) 2019-12-18 2020-12-16 VARIABLE FREQUENCY ULTRASOUND TESTING APPARATUS
JP2022536834A JP7394225B2 (ja) 2019-12-18 2020-12-16 周波数可変型超音波探傷装置
PCT/KR2020/018399 WO2021125767A1 (ko) 2019-12-18 2020-12-16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US17/779,579 US20230009623A1 (en) 2019-12-18 2020-12-16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with variable frequenc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9360A KR102305732B1 (ko) 2019-12-18 2019-12-18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7884A KR20210077884A (ko) 2021-06-28
KR102305732B1 true KR102305732B1 (ko) 2021-09-27

Family

ID=76476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9360A KR102305732B1 (ko) 2019-12-18 2019-12-18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009623A1 (ko)
EP (1) EP4080205A4 (ko)
JP (1) JP7394225B2 (ko)
KR (1) KR102305732B1 (ko)
CN (1) CN114829924A (ko)
WO (1) WO2021125767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20B1 (ko) * 2013-04-30 2014-07-04 한국과학기술원 비선형 초음파 모듈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무선 진단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KR101736612B1 (ko) * 2015-12-07 2017-05-17 주식회사 포스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24454A (en) * 1973-10-24 1975-12-09 Automation Ind Inc Multi-frequency ultrasonic testing system
US4558598A (en) * 1984-06-07 1985-12-17 The Boeing Company Ultrasonic linear array water nozzle and method
JPH0524052Y2 (ko) 1987-06-05 1993-06-18
JP2004271351A (ja) * 2003-03-10 2004-09-30 Shoryo Denshi Kk 探触子
JP4576281B2 (ja) * 2005-04-15 2010-11-04 株式会社日立エンジニアリング・アンド・サービス 超音波検査方法
DE102005022729B4 (de) * 2005-05-18 2022-01-20 Baker Hughes Digital Solutions Gmbh Verfahren und Prüfkopfanordnung zur Ankopplung von Ultraschallsignalen an ein zu prüfendes Bauteil mittels Wasserfreistrahltechnik
KR101107154B1 (ko) * 2009-09-03 2012-01-31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초음파 탐상장치의 멀티 탐촉자 유닛
KR20150073566A (ko) * 2013-12-23 2015-07-01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및 방법
JP6220990B2 (ja) * 2013-12-23 2017-10-25 ポスコPosco 鋼板の欠陥検出のための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方法
KR101595492B1 (ko) * 2013-12-26 2016-02-18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KR101739030B1 (ko) * 2014-12-15 2017-05-23 주식회사 포스코 강판 결함 검출을 위한 초음파 탐상 장치
CN107850580A (zh) * 2015-06-18 2018-03-27 索克普拉科学与工程公司 用于以声学方式扫描样本的方法和系统
WO2017029598A1 (en) * 2015-08-14 2017-02-23 Eyelife As Ultrasonic scanner with a multiple faceted mirror
WO2017200117A1 (ko) * 2016-05-17 2017-11-23 한빛이디에스(주) Saw소자를 이용한 무선 온도 측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4520B1 (ko) * 2013-04-30 2014-07-04 한국과학기술원 비선형 초음파 모듈레이션 기법을 이용한 구조물의 무선 진단장치 및 그를 이용한 안전진단 방법
KR101736612B1 (ko) * 2015-12-07 2017-05-17 주식회사 포스코 높이 조절형 초음파 센서를 이용한 강판의 내부 결함 탐상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29924A (zh) 2022-07-29
KR20210077884A (ko) 2021-06-28
JP2023507944A (ja) 2023-02-28
US20230009623A1 (en) 2023-01-12
EP4080205A4 (en) 2023-01-04
EP4080205A1 (en) 2022-10-26
JP7394225B2 (ja) 2023-12-07
WO2021125767A1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97833B2 (en) Ultrasonic inspection
CN102016564B (zh) 用于超声检测管壁中的缺陷的系统
TWI413988B (zh) 振動、劣化監視裝置及方法
US20130276540A1 (en) Ultrasonic testing apparatus for pipe or tube end portion and method of setting initial position of probe holder
JP5871274B2 (ja) 超音波探傷装置及び方法
EP0164168B1 (en) Ultrasonic linear array water nozzle and method
EP3405782A1 (en) Inspection devic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KR102305732B1 (ko) 주파수 가변형 초음파 탐상 장치
US4509369A (en) Near surface inspection system
JP5585867B2 (ja) 管端部の超音波探傷装置及び探触子ホルダーの初期位置設定方法
JP2010025676A (ja) 超音波探傷方法及び装置
KR102519685B1 (ko) 상부 프로브 모듈과 하부 프로브 모듈을 사용하는 초음파 검사 장치
JP5115024B2 (ja) 超音波斜角探傷装置のカップリングチェック方法
JP5104247B2 (ja) 連続鋳造鋳片の製造方法
KR101139592B1 (ko) 접촉매질 막 유지를 위한 종파 탐촉자 웨지 및 이를 이용한 종파 탐촉자
JP6460136B2 (ja) 超音波探傷装置及び超音波探傷方法
KR101927673B1 (ko) 데드존 센서를 구비한 수위 측정 장치
JP2001050941A (ja) 可変角超音波探触子及び可変角超音波探傷装置
JPS59116541A (ja) 電子セクタ−、電子リニア走査併用による角鋼片の探傷法
JP3612849B2 (ja) Cスキャン超音波探傷方法および装置
KR102447666B1 (ko) 물분사 방식의 위상배열 초음파검사시스템용 노즐장치
JPH10153587A (ja) 複合型斜角探触子
JPH07260747A (ja) 超音波探傷方法および装置
JPH04256852A (ja) 薄板の超音波探傷方法
CN112867921A (zh) 用于在自动超声检查中使用高频换能器评定钢管中的夹杂物水平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