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78436A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8436A1
WO2017078436A1 PCT/KR2016/012607 KR2016012607W WO2017078436A1 WO 2017078436 A1 WO2017078436 A1 WO 2017078436A1 KR 2016012607 W KR2016012607 W KR 2016012607W WO 2017078436 A1 WO2017078436 A1 WO 201707843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rawer
door
refrigerator
moving fram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60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최대진
이동훈
양창완
김동정
배원섭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50154816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49196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60001300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043211B1/ko
Priority to EP22201872.3A priority Critical patent/EP4141365A1/en
Priority to CN201680033647.1A priority patent/CN107709910B/zh
Priority to CN202011219346.2A priority patent/CN112524877B/zh
Priority to EP21167764.6A priority patent/EP3889528B1/en
Priority to EP16862452.6A priority patent/EP3217130B1/en
Priority to CN202011217557.2A priority patent/CN112524874B/zh
Priority to CN202011218264.6A priority patent/CN112524876B/zh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2011217885.2A priority patent/CN112524875B/zh
Priority to US15/554,839 priority patent/US10612836B2/en
Publication of WO201707843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8436A1/ko
Priority to US15/692,207 priority patent/US10520246B2/en
Priority to US15/692,431 priority patent/US10724787B2/en
Priority to US15/692,312 priority patent/US10557662B2/en
Priority to US16/825,009 priority patent/US10876789B2/en
Priority to US17/101,927 priority patent/US11274878B2/en
Priority to US17/585,023 priority patent/US11725874B2/en
Priority to US18/316,761 priority patent/US20230280090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and to a refrigerator in which a user can easily insert / draw a stored product.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rigerator which can more conveniently use a drawer for storing a storage.
  • a refrigerator is a device for freezing or refrigerating food or the like by discharging cold air generated by a refrigeration cycle including a compressor, a condenser, an expansion valve, an evaporator, and lowering the temperature in the refrigerator.
  • the refrigerator generally includes a freezer compartment for freezing food or beverages and a refrigerating compartment for storing the food or beverage at low temperature.
  • the refrigerator has a top mount type in which the freezer is arranged at the top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 bottom freezer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a side-by-side type in which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re divided into left and right sides. It can be divided into (Side By Side Type).
  • a door is provided in each of the freezing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accessed through the door.
  • refrigerators in which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and the freezer compartment ar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there is a refrigerator that can access the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through a single door. Most of these refrigerators are small, and a freezer is generally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ins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 French type refrigerators in which top refrigerators are opened and closed through left and right doors are also provided.
  • the freezer compartment of the French type refrigerator may likewise be opened and closed through the left and right doors.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freezing compartment are generally provided with shelves on which storage items are stored or storage boxes containing the storage items.
  • the storage box is generally provided to form an independent storage space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a storage box may be provided to store vegetables or fruits independently from other storages, or to store meat or fish and fish products independently from other storages.
  • a home-bar, an ice maker, a shelf, or a door box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refrigerator door, so that the door back is used as a separate storage space or a separate functional space.
  • the function of the door goes beyond simply opening and closing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and the door forms an additional storage space or performs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generation and supply of ice or cold water. For this reason, the distance that the door back is drawn into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is getting longer. Therefore,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nd the front part of the shelf or storage box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or the freezing compartment interfere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 the front part of the shelf or the storage box may be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main body of the refrigerato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front portion of the shelf or storage box may be positioned to be further spaced to the rear of the freezing compartment or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Therefore, when the storage box is provided in a drawer shape, it may be difficult for a user to grasp the front part of the storage box and draw it out. In other words, it may be difficult for the user to pull out the storage box after inserting the hand deeper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In particular, when the storage box is locat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frigerator, it may not be inconvenient to extend the hand in the squat posture and draw out the storage box.
  • the preceding invention includes a link for mechanically interlocking the door and the receiving structure. Therefore, opening the door causes the link to pull out the receiving structure. That is, the user may mechanically draw the storage structur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the user can more easily withdraw the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structure. That i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substantially, the draw distance of the drawer increases.
  • the above-mentioned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link is interfered with the user's copper wire because the link is inevitably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door is opened.
  • the link has a problem that can not provide a beautiful refrigerator.
  • the prior invention requires additional force to open the door. This is because, in addition to the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a force for pulling the drawer is additionally required. In particular, a relatively large amount of force can be consumed at the beginning of opening the door. This is because the drawer can be withdrawn only when a force greater than the static frictional force of the drawer is applied. The static frictional force of this drawer is proportional to the load. Therefore, when a large amount of storage is stored in the drawer, a problem may arise in that the door cannot be easily opened.
  • the prior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space for storing the storage is relatively reduced because the storage structure occupying substantially the entire storage compartment is moved back and forth. That is, the space for storing the storage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e volume of the entire storage compartment.
  • the link and the drawer may be subjected to a very large force and impact.
  • a very large force and impact can also be applied to the elastic devic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high possibility of damage to the door, the link, the portion connecting the link and the drawer, and the elastic device.
  • the prior invention has a problem that the storage structure can not be draw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door is open. This is becaus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structure is blocked by the link when the door is opened. Therefore, when using a part of the storage structure, if the door is open, other parts of the storage structure that is not in use is inevitably kept in the drawn state. This will cause unnecessary cold air loss.
  • drawers in conventional refrigerators in particular drawers in a freezer compartment, are drawn in and out through the rails.
  • the rail is provid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rail connection portion.
  • the rail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in a roller shape so that the drawer moves back and forth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rail.
  • this type of drawer is not easy to couple the drawer to the rail.
  • fitting the roller to the rail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lifts the drawer may be an easy task.
  • the drawer may be used after the drawer is removed from the refrigerator, instead of accommodating the storage items or taking out the storage items. In this case, it would not be cumbersome to separate and reconnect the rail connections from the rails one by one. Therefore, unless there is a special situation, the user knows the necessity of separating the drawer, but it can be said that most of them are used without separating.
  •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nventional refrigerator.
  • the drawer is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rough the electric drive unit,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dditional force in addition to the force to open the door. That is, the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are to provide the refrigerators individually or independent of each other. 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oor is opened by a force applied manually by the user and the drawer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an electric force irrelevant to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allows the drawer to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electrically, and non-electrically return the draw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Specifically, the drawer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using electric energy, and the drawer can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ithout using the electric energy.
  •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the drive of the motor, and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move the draw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driving of the motor. .
  • a refrigerator that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drawer driving power of the motor.
  • a drawer moves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different from the speed at which the drawer moves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drawer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faster drawer moving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an the speed of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a draw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mov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relatively high return speed of the drawer by us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removing the elements that hinder the drawing of the drawer.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can be complete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while the door is closed.
  • a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a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That is, an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a drawer can be drawn out and drawn in.
  • the drawer and draw speed of the drawer is controlled differently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minimize the drawer hit the door.
  • a refrigerator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s that move automaticall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 That is, when the door opening (close) angle is set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and the drawer, it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detect the door opening (close) very accurately at the set angle.
  •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drawing a drawer is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by protecting the electric drive unit, and providing a refrigerator having a convenient interior design and a beautiful storage compartment.
  •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drawer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through one electric drive.
  • a refrigerator in which automatic drawing and withdrawing of a drawer can be performed with reliability and durability.
  •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easily repaired as necessary while simultaneously assembling the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ch components, such as an automatically drawn drawer and an electric drive unit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To provide.
  • it is intended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minimize the reduction in storage capacity due to these configurations.
  • a plurality of drawers to be automatically withdrawn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is easy to manufacture and maintain.
  •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combined only the basket for storing the storage in the drawer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connection of the drawer,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combined only the basket.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ectric drive unit driven to automatically move the drawer to a standby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front when the door is opened;
  • a refrigerator hav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e unit may be provided.
  •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and / or electrically.
  • the drawer may mov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manually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drawer may move from its non-electrically standby position to its initial position upon closing of the door.
  • the drawer may mov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elastically upon closing of the door.
  • the drawer may be drawn in and drawn out regardless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oor when the user opens or closes the door.
  •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retracted when the door is closed.
  •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in as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to draw in and draw out of the drawer.
  • the motor may be driven in a clockwise direction for drawing out, and the motor may be driven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for drawing out.
  • the driving speed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 the motor speed for drawing the drawer and the motor speed for drawing the drawer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Of course, both can be controlled equally.
  • the drawers and doors that move when the door is closed may be relatively greater than the drawers that move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impact of the door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impact or minimize impact of the drawer and the door, the motor speed for drawing the drawer may be controlled to be larger than the motor speed for drawing the drawer.
  • the motor speed for moving the drawer can be controll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moving speed of the door. As the door's closing speed increases, the motor speed for drawing the drawer can be further controlled. As the door opening speed increases, the motor speed for drawing the drawer can be increased.
  • the drawer may be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irrespective of an increase i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hat is, even i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ncreases, the drawer does not move, but may be drawn out at a specific opening angle or opening angle range. On the contrary, even if the closing angle of the door becomes small, the drawer does not move, but may be drawn in a specific opening angle or opening angle range. In other words, the drawer may be drawn in and drawn out without mechanically interlocking with the door.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n electric drive unit configured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 a refrigerator including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provided.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n electric drive unit configured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n elastic devic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drawer may be mov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vice.
  • the drawer may be moved using onl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regardless of the force applied to the door by the user.
  • the elastic device may always be connected to the drawer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 the elastic device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When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device and the drawer is released, the movement of the drawer and th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covery of the elastic device are irrelevant.
  • the elastic device may be disconnected from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pulled further forward from the standby position.
  • the drawer can be drawn further manually by disconnecting both.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Motor assembly A moving frame provid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and provided to push the drawer when the motor moves forward;
  •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may be provided.
  • the controller may drive the motor assembly to control the moving frame to move forwar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such that the drawer moves the drawer to a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 the moving frame may be returned after moving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That is, the moving frame may be returned to the rear after moving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returned position of the moving frame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as well.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o drive the motor assembly in the reverse direction. Therefore, when the moving frame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can be removed or released.
  • the elastic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drawer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the drawer can be returned at a very high speed since the force that obstructs the return of the drawer is removed and the drawer is return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or minimize the drawer hitting the door.
  • the drawer when the elastic device is provided, the drawer may be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even when the door is opened. Cold drawer can be minimized by drawing the drawer which has been used out of a plurality of drawers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the drawer being provided to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 An elastic devic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move the draw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elastically deforming the elastic device may be provided.
  • Both the force for drawing the drawer forward and the force for elastically deforming the elastic device may be generated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That is, the user may be independent of the force for opening the door.
  • the force to draw the drawer backward may likewise be independent of the force by which the user closes the door. That is, the drawer may be drawn backwar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vice.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rail for supporting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drawer includes: a basket accommodating the storage;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rawer frame having a baske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basket is seated and a rail coupling portion seated on the rail and coupled to the rail.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and a rail coupling part for receiving the storage; And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art to support the drawer to mov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rail coupling part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to be seated downward from the top of the rail to surround the rail.
  • the rear of the rail may be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into which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front side of the rail may include a refrigerator having an elastic protrusion inserted into a mounting hole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have.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accommodating the storage, a rail coupling part, and a catch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 a transmission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drawer frame from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e locking member is moved by moving the transmission member to move the drawer forward from an initial position.
  • the refrigerator includes an electric drive for moving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transmission member, the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to be mov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locking member;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nd a support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support assembly includes: A support cov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A motor assembly mounted to an inner side of the support cover facing the side wall;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to support the drawer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moving member mounted to the support cover to move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in a spac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support cover, and a transmission member provided to push the locking member from the rear through the support cover.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ing a locking member; A sensor for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And a support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support assembly includes: A support cov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side wall and having slits formed therein; A motor assembly mounted to an inner side of the support cover facing the side wall;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to support the drawer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a moving member mounted to the support cover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in the space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support cover, the transfer member being provided to push the locking member from the rear through the slit.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may be provided.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magnet provided in the door and provided to rotate with a predetermined radius of rotation about a rotation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It is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agn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and is fixed to the cabinet irrespective of the rotation of the door, the effective magnetic strength for switching the contact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 a refrigerator including a reed switch having a critical point of may be provided.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reed switch provided at the door and fixed to the magnet and the cabinet around a rotation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and the reed switch having a contact point switched at a critical point of the effective magnetic strength by the magnet.
  • a sensor configured to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when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reached.
  •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may be provided.
  • the drawer is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in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motor, the cabinet and the drawer is pushed by the drive of the motor to initialize the drawer.
  •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omprising a transfer member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from a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the control method comprising: a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in a standby state; A withdrawal step of performing the drawer withdrawal to the standby position by moving the transfer member forward by driving the motor in one direction when the condition is satisfied in the determining step; And it may be provided with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return step of driving the motor in the reverse direction to return the transfer member to the rear.
  • the control method may include a stop step of stopping drawing of the drawer by maintaining one-way driving of the motor after the drawing step.
  • the return step may be performed after the stop step.
  • the refrigerator preferably includ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 the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may include generation of a door opening signal through the sensor.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switch that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inet.
  • the door switch is preferably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Functionally, the door switch may be provided for lighting control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ensor may be provided for controlling the motor associated with the movement of the drawer.
  • the sensor preferably detects the closing of the door as well as the opening of the door.
  • the opening detection of the door may be to detect that the door is opened to a predetermined angle while the door is opened.
  • the closing detection of the door may be to detect that the door is closed to a predetermined angle as the door is closed.
  • the opening and closing detection angles of the door may be the same. For example, it may be 90 degrees.
  • the control method preferably includes an emergency return step to prevent or minimize the drawer from colliding with the closing door.
  • the emergency return step may be performed to protect the drawer being drawn out or the motor assembly driven to draw out the drawer.
  • the motor is preferably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after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plurality of drawers disposed up and down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moving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disposed,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plurality of drawers to move the drawers in the food entrance direction; An electric drive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such that the moving fram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od entranc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may be provided.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moving frame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drawer to move the drawer toward the food entrance; An electric drive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such that the moving fram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od entrance;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and separating the moving frame and the drawer at a point where the front part of the drawer is pulled out of the food entrance.
  •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s maintained.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moving frame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drawer to move the drawer toward the food entrance; An electric drive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such that the moving fram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od entranc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when the door is detected to be opened; And a resilient device coupled to one side of the drawer and an inner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o selectively generate an elastic restoring force, wherein the drawer may be provid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moving frame coupled to the drawer to move the drawer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An electric drive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when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is detected, wherein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electric drive unit to be driven at a higher speed in the closing process than in the opening process of the door.
  •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by the above may be provided.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dis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fixed rail coupled to the storage sidewall to support a load of the drawer; A moving rail movably coupled to the fixed rail and coupled to the drawer side; A moving frame for selectively pressing the drawer to move the drawer toward the food entrance; An electric drive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such that the moving frame moves in a direction of a food entrance; And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may be provided.
  • the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upport cover mounted on an inner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having a through portion formed to form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 plurality of rails mounted vertically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A plurality of drawers disposed up and down in the storage compartment so that the plurality of rails allow the drawing / drawing through the food entrance; The drawer is disposed in the support cover and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disposed, and selectively presses the plurality of drawers through a transmission member penetrating the through part.
  • a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may be provided.
  • the storage compartment is provided;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provided to detect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for driving the drawer to be drawn out may be provide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plurality of drawers disposed up and down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to detect opening of the door;
  • a moving frame provided to push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while moving forward;
  •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frame to the front to drive the plurality of drawers to be pulled forward may be provide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plurality of drawers disposed up and down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to detect opening of the door;
  • a moving frame provided to push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while moving forward;
  •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configured to move the moving frame to the front to drive the plurality of drawers to be pulled forward may be provide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support cover on which an outer surface forms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faces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has a through portion formed therein;
  •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 a drawer provided to be pulled in and pulled out through the food entrance through the rail;
  • a moving frame provided between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and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moving the drawer forward by pushing the drawer through a transmission member passing through the through part;
  •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betwee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and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clude an electric driving unit driven to move the moving frame forwar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rotated and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An elastic device that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and is elastically restored when the drawer is drawn in;
  •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which drives in one direction to draw the drawer forward and generates a force for moving the drawer forward may be provide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formed with a food entrance on the fro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rotated and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 a refrigerator including an electric drive unit for driving the drawer to be drawn out to the standby position may be provided.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That is, the drawer may provide a refrigerator for automatically moving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standby position means a position at which the drawer is drawn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length. That is, since the drawer in the storage compartment can be withdrawn to a position closer to the user's location, the user can use the drawer very conveniently. In other words, since the drawer is automatically moved to the standby position, which is closer to the user than at the initial position, the user can grab and draw the drawer more conveniently.
  • the drawer is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rough the electric drive, it is possible to make a refrigerator that the user does not need to apply additional force in addition to the force to open the door. That is, the force required to open the door and the force required to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may provide the refrigerators individually or independent of each other.
  • the refrigerator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oor is opened by a force applied manually by the user and the drawer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an electric force irrelevant to the force applied by the user.
  •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drawer without consuming additional force.
  • the drawer is electr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drawer can return non-electrically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drawer may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using electric energy, and the drawer may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ithout using the electric energy.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 a drawer may be moved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by driving a motor, and a drawer capable of moving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an initial position may be provided regardless of driving of the motor. have. This can reduce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can be selectively transmitted to the drawer.
  •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is transmitted to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withdrawn and is not transmitted when the drawer is drawn out. This can reduce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 a refrigerator which automatically moves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manually moves the draw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is can reduce the consumption of electrical energy.
  • a drawer moves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to provide a refrigerator different from the speed at which the drawer moves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refrigerator may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drawer moving fast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an the speed at which the drawer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collision with the door which is being closed while the drawer is returned.
  • a draw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mov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relatively high return speed of the drawer by us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eliminating an element that prevents drawing of the draw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can be complete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while the door is closed.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hitting the door is closed as the drawer is returned.
  • a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and a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may be driven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and drawn in.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drawer hit the door by controlling the draw speed and the draw speed of the drawer differently.
  • a refrigerator capable of varying the speed of the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by detecting the opening and / or closing speed of the door, in particular the speed of the mo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at the drawer is drawn too soon and hits the door which is opened or the drawer is drawn too late so that the user waits for the drawer to be drawn to the standby posi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at the drawer hits a door that is drawn in too late and closes, or that a drawer is drawn too quickly to apply a large impact to the drawer.
  • a refrigerator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s that move automatically when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have. That is, when the door opening (close) angle is set to minimiz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and the draw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detecting the door opening (close) very accurately at the set angle.
  • a door opening detection senso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may be provided.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applied in a conventional refrigerat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detect when the door open detection and the door closed detection at the same angle through a single sensor.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reduction and control logic configuration can be simplified.
  • a configura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a drawer is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by protecting the electric drive unit, and providing a refrigerator having an interior design that is easy to use and has a beautiful storage compartment. have.
  • a refrigerator capable of moving a plurality of drawers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at substantially the same time through one electric drive unit.
  • a refrigerator having a moving frame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one electric drive unit to a plurality of drawers at the same time.
  • the moving frame is not a frame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drawer. In other words, it is simply a configuration necessary to pull out a plurality of drawers integrally. Therefore, the load on the electric drive unit can be minimized.
  •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having a moving frame which is excellent in loa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an increase durability and assembly reliability.
  • the load distribution may mean load distribution of the moving frame itself. Therefore, the plurality of drawers can be withdrawn uniformly without deviation.
  • a refrigerator in which automatic drawing and drawing of a drawer can be performed with reliability and durability.
  •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damage to the electric drive unit due to overload or repeated long-term use of the electric drive unit.
  • a refrigerator that can be easily assembled and easily repaired as necessary while simultaneously assembling the components associated with such components, such as an automatically drawn drawer and an electric drive unit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Can be provided.
  •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the reduction of the storage capacity due to these configurations.
  • a refrigerator capable of easily separating and combining only a basket for storing a storage in a drawer.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only the basket can be easily separated and recombined while maintain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connection part of the drawer. Therefore, the use becomes very convenient.
  •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apable of minimizing a load of a motor and flexibly responding to various use environments for a drawer may be provided.
  • a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an be provided that can minimize the door hit the drawer.
  • FIG. 1 illustrates a front side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shows a lower compartment part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 FIG. 3 is a simplified conceptual diagram for defining a drawer position for a storage compartment
  • FIG. 4 is an exploded view of the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rail mounted on a support cover in the support assembly shown in FIG. 4;
  •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n initial position of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in the support assembly shown in FIG. 4;
  • FIG. 7 is a view illustrating a standby position of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in the support assembly shown in FIG. 4;
  • FIG. 8 illustrates a state of the moving frame illustrated in FIG. 4.
  • FIG. 9 illustrates an enlarged view of region “A” shown in FIG. 7;
  • FIG. 10 illustrate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 which a catching member of the drawer and a transmitting member of the moving frame are connected;
  • FIG. 12 is an exploded view of a suppor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 FIG. 1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ail and an elastic device are mounted on the support cover in the support assembly shown in FIG. 12.
  • FIG. 16 shows a side view of the drawer bottom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pport assembly in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 FIG. 17 shows a side view of the drawer lower portion and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support assembly in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 FIG. 19 is an exploded view of the support assembly shown in FIG. 18,
  • FIG. 20 shows the connecting por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and the drawer shown in FIG. 18,
  • FIG. 21 is an enlarged view of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drawer illustrated in FIG. 20;
  • FIG. 22 is an enlarged view of a disconnection state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drawer illustrated in FIG. 20;
  • FIG. 25 shows how the drawer shown in FIG. 23 engages with the rail shown in FIG. 24;
  • FIG. 26 is an enlarged view of the area “B ′” shown in FIG. 25 after the drawer and the rail are coupled together;
  • FIG. 27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the sensor illustrated in FIG. 2 and a mounting state of the sensor
  • FIG. 2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sensor illustrated in FIG. 2 and a mounting state of the sensor
  • 29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configuration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0 to 36 are flowcharts for each step in the control method that can be applied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shows the front of a refriger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n example of a four-door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ng chamber 11 and a freezing chamber 12 and 13 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illustrated.
  • the left and right doors of the upper refrigerating compartment are omitted, and the left door of the lower freezing compartment is omitted, so that only the right door 20 of the lower freezing compartment is shown.
  •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is type of refrigerator but also to a side-by-side type refrigerator. That is,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a refrigerator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compartment and a drawer moving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cabinet 10 having storage compartments 11, 12, and 13, and a door 20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door 20 rotates with respect to a cabinet to open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door 20 may be referred to as a rotating door.
  • a plurality of doors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ly.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and the freezing compartments 12 and 13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wall 14.
  •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12 and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may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through separate sidewalls or partition walls 16.
  • the partition wall 16 may be referred to as a vertical partition wall for convenience.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11, the left freezing compartment 12, and the right freezing compartment 13 may be opened and closed by respective doors.
  • the storage compartments 11, 12, 13, in particular the freezing compartments 12, 13, may be provided with a drawer 30 including a basket 31 for receiving the storage.
  • the drawer 30 may include a drawer frame 32, and the basket 31 may be coupled to the drawer frame 31.
  • the drawer may include a front opening in the front. The front opening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storage inside the basket.
  • the drawer may include an upper opening on the top surface. Similarly, the upper opening allows the user to access the storage inside the basket.
  • the drawer 30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up and down. 1 shows an example in which three drawers 30a, 30b, and 30c are provided up and down, respectively,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and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Of course, 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drawer is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hamber as well as the freezing chamber. In addition, one, two or three drawers may be automatically linked to one door, and four or more drawers may be automatically linked to one door.
  • the drawer 30 in conjunction with the opening and / or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20, the drawer 30 is to provide a refrigerator that can automatically move for the convenience of the user.
  • a drawer 30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13 may be automatically moved.
  • this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can be applied only to either of the freezer compartments 12 and 13, and may be applied to both. In addition, it may be applied to the refrigerator rather than the freezer.
  • FIG. 2 illustrates only the lower freezer compartments 12 and 13 in the refrigerator illustrated in FIG. 1.
  •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door may be closed, and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door 20 may be open.
  •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may be more drawn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an the drawer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That is,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2,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and the position of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 the drawer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is located i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drawer 30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 may be said to be in the standby position.
  • the drawer 30 may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door 20 is opened at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 the initial position means a position introduc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so that the door 20 is completely closed by eliminating interference between the door 20 and the drawer 30, and the standby position is the drawer by the user. It means a position from which the drawer 30 is drawn out to a position where the 30 can be easily grasped. Therefore, the standby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the standby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position automatically drawn out when the door is opened.
  • FIG 3 shows three positions of the drawer 30 with the door 20 open.
  • the position of the drawer may be set based on the front part of the drawer 30 or the handle 35.
  • the "P1"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the initial position.
  • the position where the drawer 30 is retracted may be referred to as an initial position so that the door basket 25 and the drawer 30 do not interfere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closed.
  • the “P2” position is a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P1” position,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where the drawer is drawn ou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drawer 30. This may be called a standby position. This is because the position “P2” is a position waiting for the user to easily withdraw the drawer.
  • the position “P2” may be a position at a distance drawn from the position “P1” about 100 mm to 120 mm.
  • the "P3" position is a position further spaced apart from the "P2" position, and can be said to be the position which can be pulled out maximum. That is, the drawer 30 may be referred to as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at can be drawn out to the maximum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This is because when the drawer 30 is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the drawer is not normally positioned.
  • the drawer 30 may be referred to as pulling out to gradually move from the “P1” position to the “P3” position, and gradually moving from the “P3” position to the “P1” position.
  • storage boxes or baskets 25 ar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so that a separate door storage area 21 may be formed.
  • the drawer is drawn into the initial position (“P1” position) in the closed state of the door 20.
  • P1 initial position
  • P2 forward position
  •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forward position (“P2”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drawer. Will be moved to. Therefore, since the front part or the handle 35 of the drawer is moved to a position closer to the user, the user can more easily withdraw the drawer.
  • the initial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drawer posi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is substantially mov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hamber at maximum
  • the standby position may be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front of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standby position, the user does not have to put his hand deep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o grasp the handle 35, so that the drawer 30 can be operated very conveniently.
  • the drawer 30 preferably does not leave the opening 17 of the storage compartment even in the standby position.
  • the opening may be referred to as a food entrance. That is, even when the door 20 is opened, it is preferable that the front part or the handle 35 of the drawer 30, in particular, the drawer, is located behind the opening 17.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is still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is is because opening of the door 20 by the user may not necessarily mean the use or withdrawal of the drawer 30. For example, the door 20 may be opened to use the door storage area 21.
  • the drawer 30 which is not drawn out to the outside of the storage chamber only causes cold air loss.
  •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refrigerator that allows the drawer to be moved automatically at a user's door opening form, particularly at a particular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rawer from moving unnecessarily, thereby reducing cold air loss and energy los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frigerator in which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and the door can be minimized.
  • the cold air of the storage compartment is basically lost.
  • the cool air inside the drawer's basket is lost. That is, as the drawer draw length is increased, the loss of cold air in the basket is accelerated. In particular, when the drawer is drawn forward more than the food entrance, the loss of cold air may be further accelerated.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the loss of cold air in the basket at the standby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drawer 30 does not leave the storage compartment even at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 the standby position may be, for example, a position moved approximately 120 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 the interval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may be se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efrigerator, the position of the drawer, the distance in which the storage area 21 of the door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the capacity of the refrigerator, and the like.
  • the standby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front part or the handle 35 of the drawer does not leave the opening 17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the front portion or the handle is preferably located inside the opening without departing from the opening 17.
  • the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related to the refrigerator which is automatically moved (drawn out)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at is, when the door is opened, the front part of the drawer may be referred to as a refrigerator that automatically moves toward the food entrance 17. Therefore,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In addition,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sensor for detecting a condition in which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 refrigerator which draws drawers from the "P1" position to the "P2" position using electrical energy.
  •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 refrigerator that allows the drawer to be automatically drawn out regardless of the force of the user to open the door.
  •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refrigerator to draw the drawer automatically by us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 FIG. 4 shows a support assembly 100 that may be coupled to the freezer compartment sidewall of the refrigerator shown in FIG. 1.
  • a partition 16 which is one of the side walls of the freezer compartment
  • the support assembly 100 which is located at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reezer compartment partition 16, respectively.
  • the partition 16 may be a left side insulation wall (left side wall) or a right side insulation wall (right side wall) of the freezing compartment.
  • the support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only in one freezer compartment, not in both freezer compartments.
  • the support assembly 100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both sidewalls of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insulation walls.
  • the heat insulation wall may be referred to as a wall in whic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s filled in the internal space.
  • the left and right storage compartments may be partitioned by partition walls.
  • the left wall of the left storage compartment is a heat insulation wall and the right wall may b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 the right side wall of the right storage compartment is a heat insulation wall
  • the left side wall may be formed by the partition wall.
  • the partition wall may be a non-insulation wall.
  • the support assembly 100 when the left and right freezer compartments are divided, it is possible to mount the support assembly 100 on the left wall or the right wall.
  • the left wall or the right wall may be a heat insulation wall.
  • mounting the support assembly 100 on the insulation wall may be disadvantageous in terms of insulation performance.
  • the support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on the sidewall of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not the sidewall of the freezing compartment.
  • the drawer provided in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may be formed by partitioning from side to side like the freezer compartment. Even in this case, a partition wall may be provided to divide the refrigerating compartment from side to side.
  • the support assembly may be mounted on any of the side walls forming the refrigerator compartment. However, it may be desirable to mount the support assembly on the bulkhead of the sidewalls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and to minimize storage space reduction.
  • the partition 16 is a partition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freezer compartment is preferably formed symmetrically. That is, support assemblies of the same shape may be mounted in the same shap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16. Therefore, drawers which are automatically withdrawn / retracted in both the left and right freezer compartments may be provided.
  • the support assembly 100 is mounted on the sidewalls forming the storage compartment, particularly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16 partitioning the left and right storage compart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support assembly 100 performs a function of supporting the drawer 30 to be moved back and forth. And, the drawer 30 forms structures that can be automatically withdrawn.
  • the support assembly 100 preferably includes a support cover 110.
  •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freezer compartment, in particular the partition wall 16. Specifically, it may be mounted on the left side wall or the right side wall instead of the upper side wall, the lower side wall, and the rear side wall.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provided so that various components, such as an electric drive unit, may be mounted, and the support assembly 100 may be provided as one assembly through one side of the freezer compartment. It may be mounted on or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That is, the support assembly 10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manufacturing can be very simple, and further maintenance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 the support cover 110 may include an outer surface 111 and an inner surface 112.
  •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 such that the inner side surface 112 faces the side wall.
  • the outer surface 111 may be expos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outer surface 111 may form an inner surface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ide wall may be a partition wall.
  •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cover 110. Specifically,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110. The rails 120 may be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one rail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110 and the other rail may be mounted on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ail 120 may be provided so that the drawer moves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the drawer 30 may be supported to mov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hamber through the rail 120. The drawer 30 may be moved while sliding back and forth through the rail 120. Accordingly, the rail 120 supports the load of the drawer 30, and the load of the drawer may be transmitted to on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16 through the rail 120. Embodiments of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rail 120 and the rail 120 and the drawer 30 will be described later.
  • a plurality of the rails 120 may be provided accordingly. Therefore, the plurality of rails 120 may be mounted on the single support cover 110. Specifically, a plurality of drawers 30 may be provided vertically, and thus, a plurality of rails 120 may be mounted vertically.
  • the support cover 110 is mounted so that the inner surface 112 faces th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16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by forming a predetermined space 130 between th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16.
  • the predetermined space 130 may be referred to as a space that is not expos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configuration provid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is not expos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For this reason, the predetermined space may be referred to as an isolation space, and may be referred to as an electric drive unit mounting space for mounting the electric drive unit as described below.
  • the predetermined space, the isolation space, or the electric drive unit mounting space 130 is provi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112 and the partition wall 16 of the support cover 110, and the component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are the storage compartment. It will not be exposed internally. Therefore, the partition wall 16 side of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inside of the support cover. On the other hand, component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exposed into the storage compartment. For example,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110, and thus the rail 120 may be expos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storage compartment side of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referred to as the outside of the support cover.
  •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provided with an electric drive unit 150.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herefore,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substantially not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is is because the support cover 110 covers the electric drive part 150.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provided in the support cover 110.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110, not the partition 16. That is, when the support cover 110 is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also be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moving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s it is driven.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driven such that the drawer 30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od entrance 17. Accordingly,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cludes a motor assembly 160 generating a force for moving the drawer 30 and a moving frame 170 for applying a force to the drawer so that the drawer 30 moves. It can be done by. In particular,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press the drawer.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ame direction as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drawer 30. That is,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drawer 30 by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 the moving speed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smaller than the moving speed of the rear side.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unted to the support cover 110 to be movable.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110 to be moved forward and backward.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slidably supported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over 110. Therefore, since the entire moving frame 170 is substantially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he moving state of the entire moving frame 170 and the moving frame 170 cannot be seen in the storage compartment. Howeve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should be transmitted to the drawer 30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force, for example, the transmission member to be described later is preferably to be expos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110.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eferably provided to exten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cover 110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 cover 110. Therefore,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in the direction from the inner sid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to the outer side 111.
  • the moving frame 170 i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a force generated in the motor assembly 160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o the drawer 30 located outside the predetermined space 130. Can be.
  • a through part 16a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16.
  • the through part 16a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motor assembly 160.
  • the motor assembly 160 may have a left and right width preset based on the reference illustrated in FIG. 4. Therefore, when the motor assembly 160 is locat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to be isolated from the storage compartment,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partition wall 16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excessively large. This can be said to narrow the space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torage space from being reduced due to the motor assembly 160 through the through part 16a.
  • a part of the motor assembly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drawer of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of the left side is the through portion 16a. It may be penetrated and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on the right side.
  • a part of the motor assembly on the right side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drawer of the right side freezer compartment) may be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on the left side through the through portion 16a.
  • the two motor assemblies 160 may be position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That is, the two motor assemblies 160 may be positioned side by side up and down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 portions overlap each oth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due to the support assembly than when the two motor assembly 160 is located side by side at the same height.
  • the through part 16a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uter shape of the motor assembly 160. Therefore,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combined with the through part 16a to be fixed and supported.
  • the penetrating portion 16a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One motor assembly penetrates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motor assembly penetrates the lower side. That is, two motor assemblies may be disposed up and down through the penetrating portion 16a.
  • the through part 16a may be covered by the support cover 110 as the support cover 110 is coupled to the partition 16.
  • the through part 16a may be formed when a motor assembly is provided at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artition wall 16. However, when the motor assembly is provided only at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 through part may be changed into a recessed part. Thus, some of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otor assembly may be inserted into the depression.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torage space reduction due to the motor assembly.
  • the motor assembly 160 includes a motor 162 that operates through electrical energy. Therefore, a wire for supplying electrical energy should be connected to the motor assembly 160. That is, a wire must be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of the refrigerator to the motor assembly 160.
  • the partition 16 may be formed with an upper opening 16b for connecting electric wires.
  • the wires connected from the power supply may extend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14 shown in FIG. 1 to the upper opening 16b of the vertical partition 16.
  • An electric wire penetrating portion 16c may be formed in the partition 16. That is, the electric wire may further extend from the upper opening 16b to the electric wire penetrating portion 16b.
  • the wire coupler 16e may be finished.
  • the illustrated wire coupling portion 16e may be referred to as a wire coupling portion for connecting with the motor assembly 160 provided on the right side.
  • the wire and the wire coupl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left side (the other side) of the wire through portion 16c.
  • the wire Before the support assembly 100 is mounted on the partition 16, the wire may be extended through the horizontal partition 14 and the vertical partition 16, and then the wire may penetrate the wire through part 16c.
  •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wire.
  • the wire coupling part 16e is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130 described above. Therefore, before mounting the support assembly 100 to the partition 14, the motor assembly 160 is first connected through the wire coupling portion 16e.
  • the support assembly 100 may be fixed to the partition wall 16 through the fastening part 118 formed on the support cover and the fastening part 16f formed on the partition wall 16.
  • the fastening parts 118 and 16f may be formed in a boss shape for screwing. On the contrary, the screws may be removed to separate the support assembly 100 from the partition 16. Thereafter, by remov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wire coupling part 16e and the motor assembly 160, the support assembly 100 may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partition 16. That is, the structural and electrical connections with the partition 16 can be eliminated.
  • the coupling, separation and connection of the support assembly 100 is very high. It can be performed easily.
  • the motor assembly 160 includes a motor 162.
  • the motor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 the rotation axis direction of the motor may be perpendicular to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wall 16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motor assembly 100 may increase due to the size of the motor itself (height of the cylindrical motor).
  • a motor avoiding groove 11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cover 110. That is, a circular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be form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motor.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6 may accommodate at least a portion of the motor. Accordingly,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entire motor assembly 160 may be expanded so that only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tor is expanded. The motor avoiding groove 116 may be formed in the support cover 110 to exclude the interference with the extended portion.
  •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9 protrudes to the right with respect to the right support cover. Other components mounted to the support cover may interfere with the protruding motor avoiding groove 119.
  • the motor avoiding groove 119 is preferably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ail 120 and the rail 120.
  •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9 may be formed in the right support cover between the intermediate rail and the lower rail. On the contrary, the motor avoidance groove 119 may be formed in the left support cover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intermediate rail.
  •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re firmly coupled to the support cover 110.
  • the motor avoiding groove 119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torage space reduction due to the overall expansion of the predetermined space 130 described above.
  •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assembly shown in FIG. 4.
  • FIG. 5 illustrates a rail 120 corresponding to one drawer 30 to the support cover 110 and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drawer 30.
  • the drawer 30 is movably supported back and forth through the rail 120 shown in FIG. 5.
  • the user draws or draws the drawer while pulling or pushing the drawer 30.
  • the rail 120 is provided to facilitate the drawing and drawing of the drawer while minimizing the required force.
  •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110, that is, the surface fac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 particular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 the inner side surface 112 may be referred to as a surface facing th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16.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ructure for transmitting the force or displacement generated in the inner side portion 112 of the support cover to the outer side portion 111 of the support cover.
  • the through part 113 is formed in the support cover 110.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ough part penetrating the support cover 110 is formed. It is possible to transmit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to the drawer 30 through the through part 113.
  • the moving frame 170 may include a transmission member 171 for transmitting a force to the drawer (3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a part of the moving frame 170 and may be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17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configur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in any case,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transmitted to the drawer 30 through the transfer member 171.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enetrate the through part 113. That is, although the entire moving frame 170 is substantially moved in the inner side portion 112 of the support cover,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enetrates the through portion 113 to the outer side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It is preferable to allow movement in the part. Therefor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shown to move back and forth along the through portion 113.
  • the through part 113 may be formed to form a movement path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Therefore, the through part 113 may be referred to as a slit formed long before and after.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transmits the power of the electric drive unit, in particular,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to the drawer 30. That is, the transfer member 171 may press the drawer 30 to allow the drawer 30 to move through the rail. In other words,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moved even if the user does not manually operate the drawer.
  • the load of the drawer is transmitted to the support cover 110 through the rail 120.
  • the load transmitted to the support cover 110 is transmitted to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wall on which the support cover 110 is mounted.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load of the drawer does not substantially affect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load on the electric drive unit 150 for drawing out the drawer is substantially independent of the load of the drawer.
  • the load of the dra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 particular the moving frame 170.
  •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oving frame 170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load direction of the drawer,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load of the drawer on the moving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inimized.
  • the moving frame 170 is not connected to the drawer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load of the drawer is not transmitted to the moving frame 170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even if the load of the drawer is increased,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moothly moved back and forth.
  • FIGS. 6 and 7 shows the support assembly 100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as viewed from the inside of the support cover 110
  • FIG. 7 shows the support assembly 100 at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of the support cover 110.
  •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ixed to th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drawer.
  •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predetermined space or an electric drive mounting space 130 betwee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and the partition 16. Specifically,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the inner sid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Therefore, the motor assembly 160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ixed to the support assembly 100 at all times regardless of the movement of the drawer.
  •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housing 161, and a power configuration such as a motor 162 and a gear 162a may b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161. Therefore, the housing 161 is fixed to the support cover 110, so that the motor assembly 160 can be stably supported on the support cover. As described above, the housing 161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tor 162 by the shape of the motor 162 may be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other portion, which is in the above-described motor avoidance groove 119 Can be seated.
  • the gear 162a may be provided in plural to reduce the rotation speed and transmit the torque.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163.
  •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said to include the connection member 163.
  •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motor assembly, in particular, the housing 161 of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provided to connect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provided to have a withdrawal distance from the motor assembly 160, in particular the housing 161. That is, the withdrawal distance of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varied. As the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increases in the fixed housing 161,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61 and the moving frame 170 increases. On the contrary, the distance between the housing 161 and the moving frame 170 decreases as the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decreases. Therefore, the motor assembly 160 drives the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to vary, and as a result, moves the moving frame 170.
  • connection member 163 is preferably located to be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otor assembly 160, the other side is preferably located to move integrally with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170.
  • a connecting member coupling part 174 may be formed o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connecting member 163 ar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art 174. Therefore, the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transmitted to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formed in a rack shape, and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in a pinion shape. That is, any one of the gears 162a may b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member 163 as a pinion gear.
  • the 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162 may be converted to the forward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through the gear 162a, and the counterclockwise rotation of the motor 162 may be the gear ( It can be converted to the rear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through 163a.
  •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motor and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formed to be reversed.
  • the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ng member may be increased or decreased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pushes or pulls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us pushes or pulls the moving frame.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ssembly 160 to the drawer (30). Therefore, bas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moved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movable on the inner sid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 not only one drawer but also a plurality of drawers may b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when the door is opened, it is preferable to move all of the plurality of drawer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awers is preferably performed in a batch. Accordingly,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transmit a force to not only one drawer but also a plurality of drawers.
  •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extend up and down. That is,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up and down long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drawers arranged up and down.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171.
  • the transfer members may be disposed up and down on one moving frame 170.
  • On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one drawer (30).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move all of the plurality of drawers arranged up and down through on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moving frame may be provided to push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while moving forward.
  • FIG. 6 and 7 illustrate an example in which three transmission members 171 are formed in one moving frame 170.
  • This means that one moving frame 170 may move to move three drawers disposed up and down. That is, it means that the three drawers can be simultaneous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rough the movement of the single connecting member 163.
  • the configuration can be simple and it is possible to implement easy and easy control logic.
  • the motor assembly 160, the connection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may not be formed at each drawer. This can minimize the reduction of storage capacity. Of course, the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is minimized and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re very easy.
  •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supported to move back and forth on the inner surface 112 of the support cover 110. More specifically,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supported to slide back and forth.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the plurality of drawers 30.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extending vertically. That is,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plat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when the moving frame 170 moves, it is preferable to minimize the movement devia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oving frame 170. A structure for drawing three drawers simultaneously through one moving frame is shown.
  • Transmission members 171 may b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and middle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vertically extended to correspond to the height of the plurality of drawers 30.
  • the moving frame 170 is a plate shape formed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referably a relatively thin thickness. However, a plurality of ribs 170a may be formed in the moving frame 170 to reinforce the strength.
  • the rib may include a horizontal rib and a vertical rib. In addition, the rib may be formed in a lattice form.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in a moving direction, that is, in a front-rear direction.
  • the heigh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that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front and rear widths.
  • the vertical height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height of the plurality of drawers.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having a relatively thin thickne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the storage space due to the thickness of the moving frame 170, and to move the plurality of drawers 30 with sufficient rigidity. This is because the moving frame 170 receives a for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instead of the thickness direction when pressing the drawer 30.
  •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sliding support 172.
  • the sliding support 17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and a pair at the lower portion.
  • the sliding support 172 may be formed in a pair of upper and lower middle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with at least four support points in up, down, left and right.
  • Widths may be expanded back and forth to form the support part 172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formed in this extended portion.
  • strength reinforcement ribs or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s 171a are formed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moving frame 170 provided in the middle.
  • the strength reinforcement ribs may be formed in parallel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orce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strength reinforcement ribs are formed or preferably form the strength reinforcement protrusions 171a extending from the transmission member.
  • the transfer member may be constrained to the slit 113 or may come out of the slit 113. In particular, when the transfer member is released from the slit 113, the transfer member is unable to transfer the force to the drawer (30).
  •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bar 114.
  • the guide bar 114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 the guide bar may include an upper guide bar and a lower guide bar. More preferably,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bar 114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 the sliding support 172 is preferably formed in the upper, middle and low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respectively.
  • the sliding support 172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guide bar 114. Therefore, the sliding support 172 may be slid back and forth in a state surrounding the guide bar 114.
  • FIG. 9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sliding support 172 and the guide bar 114. That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A” shown in FIG. 7 is shown. FIG. 9 specifically shows the upper sliding support 172 wrapping the guide bar 114.
  • a liner 17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guide bar 114 and the sliding support 172.
  • the liner may be formed of a POM material. That is, a liner formed of an engineering plastic such as polyacetal or polyoxymethylene may be interposed. POM materials have very good mechanical strength, wear resistance, low frictional resistance and self-lubrication. Therefore, even when used for a long time it can be supported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oved smoothly.
  • the guide bar 114 may be coated with a lubricant such as grease.
  • the sliding support 172 slides back and forth along the guide bar 114. At this time, smooth movement of the sliding support part 172 may be prevented by the load and the force of the moving frame 170.
  • the friction may be concentrated on the upper inner surface and the lower inner surface of the liner by the load of the moving frame 170. In addition, friction may be concentrated on both inner surfaces of the liner due to the dist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due to the force appli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rotruding from the moving frame 170.
  • friction avoidance grooves 173a, 173b, 173c, and 173d may be formed on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liner, respectively.
  • the friction avoidance groove can minimize the friction force between the liner and the guide bar, so that the moving frame can be firmly supported and can be moved smoothly.
  • the friction avoidance groove can be filled with grease (grease) through which the friction force can be further minimized.
  • grease greye
  • the moving frame can be smoothly moved even for long time use.
  •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provided to draw out a plurality of drawers at the same time.
  •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preferably provided to push the plurality of drawers at the same time without variation in time and position.
  • dist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may occur.
  • the moving frame 170 may not move smoothly, and excessive stress may be concentrated on a specific portion of the moving frame.
  • the moving frame 170 it may be very important that the moving frame 170 is mounted in place. To this end, it is preferable to first mount the guide bar 114 in the correct position.
  • the guide bar fixing part 114a may be provided.
  • the guide bar fixing part 114a may be formed at two lower portions of two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Through the guide bar fixing part, the two guide bars can be mounted in the right position without any difference in up and down. Through this guide bar, the moving frame can also be mounted in place.
  • the drawers In order for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171 provided on the moving frame to simultaneously transmit a force to the plurality of drawers, the drawers must also be mounted in place without deviation.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drawer.
  • the motor assembly 160 is mount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support cover 110. This is to allow the two motor assemblies 160 to be mounted up and down through the partition 16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That is,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support cover 110 on the opposite support cover 110.
  • the connecting member 163 Due to the position of the motor assembly 160, the connection member 163 pushes or pulls the upper biased portion or the lower biased portion, not the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Therefore, basically, the connecting member 163 has no choice but to apply a force to twist the moving frame.
  • the connecting member 163 includes an extension 164.
  • the extension part 164 may be formed to extend upward or downward from an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163 (that is, an end connected with a moving frame).
  • the extension portion 164 is preferably formed to further pas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center of the support assembly 170. That is, the extension portion 164 shown in FIG. 6 further extends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 lower portions of the support assembly 170 to the upper portion, and in the case of the opposite extension portion, further extends from the upper and lower center upper portions of the support assembly 170 to the lower portion. Preferably. Through this, even if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connecting members 163 and the upper and lower centers of the moving frame do not coincide, the dist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can be minimized.
  • the connection member 163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frame by coupling the extension part 164 to the connection member coupling part 174.
  • the connecting member coupling part 174 may be provided in plural, so that the force and the movement displacement appli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63 may be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entir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oving frame 170.
  • the driving force may be evenly transmitted to the moving frame 170 through the extension part 164.
  • a through part 113 is formed in the support cover 110.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slit-shaped penetrating portion and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slit.
  • the through part 113 may have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drawers 30.
  • the through part 113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cover 110, and is formed to extend left and right of the support cover 110 based on FIGS. 6 and 7.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moved left and right along the slit 113. Based on the refrigerator, the transfer member 171 moves back and forth along the slit 113. Since the transfer member penetrates through the support cover 110, the transfer member may be connected to the drawer 3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110. That is, the transfer member 171 may be combined with the drawer 30 or in contact with the drawer 30.
  • the transfer member 171 is connected to the drawer to be able to apply a force directly to the drawer (30).
  • the distance between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and the moving frame is relatively small.
  • the moving frame 170 is positioned to the left side. In other words, it is located deeper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of the refrigerator.
  • the connecting member 163 pushes the moving frame 170 to move the moving frame 170 forward.
  • the transfer member 171 pushes the drawer 30 to move the drawer 30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appearance of the support assembly 100 in the initial position shown in FIG. 6 changes to the appearance of the support assembly 100 in the standby position shown in FIG. 7. That is,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shown in FIG. 6 may be said to be located at an initial position, and the connecting member 163 and the moving frame 170 shown in FIG. 7 may be located at a standby position. can do.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160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nected to the drawer to apply a force to the drawe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moving frame, in particular,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called a hook.
  • release the release of such a connection.
  • the drawer 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33.
  • the locking member 33 may protrude toward the support cover 11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protrude toward the drawer 30 through the support cover 11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locking member 33 to transfer the pushing force to the transmission member 171 but not to transmit the pulling force. That is, whil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oves forward, the locking member 33 is pushed forward. However, a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oves rearward,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king member 33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released. Therefore, the transmission member 171 selectively presses the locking member 33. More specifically,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resses the locking member 33 while moving forward, and does not press the locking member 33 while moving backward.
  • the locking member 33 may be formed at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of the drawer 30. That is, the drawer 30 may be formed i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for coupling the rail 120. Therefore, the position at which the drawer is presse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sition at which the drawer engages with the rail 120.
  • FIG. 1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where the drawer 30 is connected to the support assembly 100.
  • the drawer 30 may include a basket 31 for receiving a storage and a drawer frame 32 provided outside the basket 31.
  • the basket 31 may be movably supported on the rail 120 through the drawer frame 32.
  • the basket 31 and the drawer frame 32 is preferably provided to be integrally movable.
  • the drawer frame 32 may be provided under the basket 31.
  • the rail 120 may include a fixed rail 122 and a moving rail 121.
  • the rail 120 may be coupled to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16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rail brackets 123 and 124, and may be coupled to the support cover 110.
  • the fixed rail 122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load of the drawer 30.
  • the moving rail 121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122.
  • the movable rail 121 may be provided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122.
  • the moving rail 121 is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of the drawer (30). Therefore, the drawer 30 can move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moving rail 121.
  •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wer.
  •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provided to seat the moving rail 30 on the upper portion.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be seated while wrapping the upper portion of the moving rail (30).
  • the drawer frame 32 is located on one side (left side) and the moving frame 17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right side).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may extend through the slit 113 formed in the support cover 110 to the vicinity of the drawer frame 32.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frame 32. That is,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press the drawer through the drawer frame 32. Through the connection of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frame 32,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verted 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frame 32, that is, the drawer 30. On the contrary, by disconnecting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frame 32,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evented from being converted 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30.
  • the drawer 33 may be formed in the drawer.
  • the locking member 33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locking member 33 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locking members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catching member 33 may be formed in the drawer frame 32 and may extend to face the moving frame 170. Therefore, the first catching member 33 may be formed on the side of the drawer 3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drawer (30).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170 is converted to the movemen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movement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moving frame 170 to the standby position may be generated by a force pushing the moving frame 170 from the rear.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preferably moves the drawer 30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30.
  • the first locking member 33 is preferably located in fro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 both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are in the initial position, it is preferable that both of the moving frames 170 and the drawer 30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refore, as the transfer member 171 moves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e first locking member 33 can be continuously pushed. Thus, the drawer 30 may also be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returned to the rear, which may be referred to as returning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That is, at this time,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fer member 171 and the first catching member 33 is released or the catch is released. Accordingly, the drawer 30 maintains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n particular the moving frame 170, may be returned to the rear.
  •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transfer member 171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cking member 33. That is, the relatively larg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to transmit the force to the relatively small locking member 33. Therefore, the transmission of the stable force from the transmission member 171 to the locking member 33 can be performed.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preferably formed to extend further up and down of the locking member 33. Therefore, even if the locking member 33 is struck downwar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can stably transmit the force through the entire contact surface of the locking member 33.
  •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can be said that the drawer 30 is still located inside the storage compartment. Therefore, when the drawer 30 is used, the user opens the door 20 and pulls the drawer 30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drawer 30 leaves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described above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where the drawer 30 is pulled forward as much as possibl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rail 120. This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preset through the rail 120. That is,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preset.
  • the drawer 30 may be movably supported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rough the rail 120. As described above, the drawer 30 may be automatically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 the drawing of the drawer is preferably such that the drawer 30 is manually 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e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standby posi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ving frame 17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so that the drawer 30 is capable of manual withdrawal.
  • the drawer 30 When the door 20 is opened, the drawer 30 may be automatically moved to the standby posi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withdraw the drawer 30.
  • the drawer When the user uses the drawer 30, the drawer may be manually withdrawn furth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hen, when the use of the drawer (30) is finished, the drawer (30) can be drawn manually. For example, the user may manually draw the drawer 30 to the standby position or the vicinity of the standby position. Of course, it may be possible to manually draw the drawer 30 to an initial position.
  •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30 linked with the opening of the door may be perform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may be manually with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 the motor assembly 160 may operate to move the connection member 163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retraction of the drawer 30 can be performed manually.
  • the manual retracting may be to directly draw the drawer 30 by the user, or the door 20 may push the drawer 30 by closing the door 20. This is because the user's power is used to draw the drawer.
  • the user may directly push the drawer 30 from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drawer 30 can be drawn to the initial position by closing the door 20.
  • the door basket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may be said to push the drawer 30. Therefore, when the user manually closes the door 20, the user must close the door by applying a force more than a force for drawing the drawer.
  • the drawer 30 in order to provide a user's convenience when the drawer 30 is drawn in, the drawer 30 may be automatically provided with a refrigerator into which the drawer 30 may be automatically inserted.
  • the drawer 30 may provide a refrigerator capable of automatically drawing in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standby position or the position near the standby position.
  • the user's power may not be required for the automatic drawing of the drawer 30 in the same way that the user's power is not required for the automatic drawing of the drawer 30.
  • a drawer automatic retracting device may be provided.
  • the drawer can be retracted to an initial position that is rearward without the user exerting a force to draw the drawer.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and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mounted on the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may be mounted on the support cover 110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 FIGS. 12 to 14 an embodiment in which the elastic device 180 is include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Unlike those shown in FIGS. 4, 5, and 11, an elastic device 180 is further added to FIGS. 12 to 14. Therefore, detailed descriptions of matters overlapping with thos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5 and 11 will be omitted.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 the drawer 3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hen drawn out, and provided to provid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is drawn in. That is, drawing out of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ectric drive unit, and drawing of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astic device 180. In other words,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and the drawing of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vice 180.
  •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equipped with an elastic device 180 together with the rail 120.
  • one pair of rails 120, one slit 113, and on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in one drawer 30 as a set. If there are a plurality of drawers 30, they may likewise be provided in plural sets.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111 of the support cover 110.
  • the rail 120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slit 113, and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lit 113.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standby position or a position near the standby position.
  • the drawer 30 may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30).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selectively hold the drawer.
  • the elastic device 180 may include a hook member 181.
  • the hook member 181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30). More specifically, the drawer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atching member 34. That is, as shown in FIG. 14, apart from the first locking member 33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the second locking member (181)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 34) may be provided.
  •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may be provided above the first catching member 33. Specifically,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may be formed to protrude in the direction of the support cover 110 from the drawer frame 32.
  • the elastic device 180 includes a spring 187 as an elastic member.
  • a hook member 181 is provided to elastically deform the spring 187.
  • the hook member is coupled with the locking member of the drawer 30 to have a displacement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drawer 30. This displacement causes elastic deformation or elastic restoring force.
  • a connection member 189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hook member 181 and the spring 187. One end of the spring 187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the connection member 189. The connection member 189 is coupled to the hook member 181. Accordingly, the hook member 181 and the connection member 189 move integrally, so that the spring 187 is elastically deformed or elastically restored.
  • the elastic device 180 includes a housing 182.
  • the housing 182 accommodates the spring 187 and the hook member 181.
  • the connection member 189 may also be accommodated.
  • the housing 182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parts 188.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ide wall, the partition wall, or the support cover 110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the coupling part.
  • the hook member 181 is basically provided to be moved with a linear displacement.
  • a slot 183 is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181.
  • the hook member 181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81a, and the guide protrusion 181a moves along the slot 183.
  • an inclined slot 185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slot 183. While the hook member 181 moves forward, the guide protrusion 181a may rise along the inclined slot 185. The rise of the guide protrusion 181a is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hook member 181.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member 181b is formed at the hook member 181 to form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hook member 181.
  • the rotation protrusion 181b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slot 183 similarly to the guide protrusion 181a.
  • the rotation protrusion 181b may be located behind the guide protrusion 181a. Therefore, when the guide protrusion 181a provided at the front is raised by the inclined slot 185, the hook member 181 is rotated about the rotation protrusion 181b.
  • the draw speed of the drawer may be faster than the draw speed of the drawer.
  • the speed at which the elastic device 180 draws the drawer or the speed at which the drawer is drawn by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faster than the speed at which the drawer is drawn out by the driving of the motor.
  • the draw speed of the drawer may be 1.5 to 2.0 times faster than the draw speed of the drawer. This speed difference can be very effective, for example, in preventing a door that closes when the drawer is retracted from hitting the drawer.
  • a guide protrusion 189a moving along the slot 183 may also be formed in the connection member 189.
  • the housing 182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slot 182a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 An expansion opening 182b may be formed in front of the guide slot 182a. While the locking member 34 moves forward along the guide slot 182a, the locking member 34 exits the expansion opening 182b at a specific position. That is, after the drawer is disconnected from the elastic device, the drawer may be further drawn out. In other words, it may be additionally withdrawn.
  • the catching member 34 must enter the guide slot 182a agai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pansion opening 182a is formed to facilitate such entry.
  • the housing 182 may be provided with a position fixing part 183a for positioning the hook member 181 in a correct position.
  • the position fixing part 183a may be provided to maintain the hook member 181 at a position where the hook member 181 is returned to the rear.
  • the drawer is not completely drawn to the initial position when the hook member 181 is not positioned at the rear rear posi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hook member 181 from moving forward by the repulsive force after the hook member 181 returns to the rea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83a may be formed in a rib shape.
  • the position fixing unit 183a may be formed at the rear of the slit 183, and may be provided to be inclined in a direction of decreasing the height of the slit 183 toward the rear.
  • the slit height i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83a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slit height in other portions.
  • the guide protrusion 181a of the hook member 181 may be returned to the correct position by pushing up the position fixing part 183a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reafter, the position fixing part 183a presses the guide protrusion 181a due to its elastic restoring force. Therefore, the guide protrusion 181a can maintain the home position.
  • a communicating portion 183b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83a and the slot 183.
  • the guide protrusion 181a may be inserted into the slot 183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3b.
  • Both left and right diameters of the guide protrusion 181a ar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slot 183. However, the diameter of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lot 183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slot 183. Therefore, the guide protrusion 181a is moved back and forth along the slit 183a and is not separated from the slit 183. Due to this structure, it is not easy to insert the guide protrusion 181a into the slit 183.
  • the communication unit 183b may be referred to as a structure for inserting the guide protrusion 181a into the slit 183.
  • the guide protrusion 181a may be separated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83b. That is, when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83a is plastically deformed upward, the guide protrusion 181a may be constrained to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83a. As a result, the drawer 30 cannot be automatically drawn out.
  • the position fixing portion may be formed in a cantilever shape.
  • the thickness at the fixed end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thickness at the free end.
  • the thickness may be gradually reduced from the fixed end to the free end.
  •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position fixing portion 183a can be facilitated and the strength can be reinforced.
  • the position fixing par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broken even for long time use.
  • the hook member 181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that requires high strength low fri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POM material similarly to the above-described liner 173.
  • FIG. 16 shows the drawer 30 and the support assembly 100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 FIG. 17 shows the drawer 30 and the support assembly at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30.
  • the figure of 100 is shown.
  • the upper portion of the drawer 30 is omitted.
  •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provided in the drawer 30.
  •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drawer 30 are disconnected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and the drawer 30 moves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drawer 30 are moved. Can be connected.
  • the drawer 30 is automatically drawn out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That is, it is withdrawn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provided in the drawer 30 i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to move the hook member 181 forward.
  • the hook member 181 moves forward with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and thus the spring 187 may be elastically deformed.
  • the spring may be tensioned. At this ti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generated is automatically drawn into the drawer 30.
  • the drawer 30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by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device 180 by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applied to the drawer 30 by the elastic device 180. Therefore, the hook member 181 pulls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of the drawer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Therefore, even if the user does not apply a separate force to draw the drawer 30, the drawer 30 can be automatically drawn in.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provided only to push the first locking member 33, while the hook member 181 is provided to be pulled by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while the second locking member ( 34) can be said to be provided to pull. That is, the hook member 181 is pulled by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and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is pulled out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Pulled.
  • the hook member 18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are preferably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in and out. Therefore, when the drawer is drawn in,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drawer very conveniently by enabling automatic drawing instead of manual drawing.
  • the automatic retraction of the drawer 30 is preferably to be performed from the standby position or near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not the section from the above-mentioned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elastic device 180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draws elastic restoring force when the drawer 30 is moved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It will be provided to (30).
  •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may occur in the elastic device 180 continuously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elastic restoring force may be continuously provided to the drawer 30 until the drawer 30 is complete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starts to move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re is a fear that a relatively large load is applied to the electric drive unit 150 by the static frictional force of the drawer 30. In addition to the static frictional force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device 180, the drawer must move. Therefore, a greater load may be applied to the electric drive unit 150.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elastic device 180 is released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In addition, the drawer 30 is preferably moved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is connected to the drawer 30 and the elastic device 180.
  • FIG 16 shows the initial position state of the drawer 30.
  • the drawer 30 and the elastic device 180 is preferably disconnected.
  •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of the drawer 30 and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is preferably released.
  •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ocking member 33 of the drawer 30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is preferably maintained. This is because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immediately transmitte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33 of the drawer 30 without delay.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When the door is opened,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operated so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ushes the first locking member 33 forward. Thus, the drawer 30 is pulled forward, and likewise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moved forward.
  •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while moving forward. Thus, the hook member 181 is moved forward with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 the spring 187 may be elastically deforme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 the position at which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and the hooking member 181 are connected may be preset between an initial position and a standby position of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 the position where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and the hook member 181 are connected may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start position.
  •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may be set to be separated 30mm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herefore, the resistance by the spring 187 is not transmitted to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 the section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elastic start position. Then, when the drawer moves further forward from the elastic start position, the resistance by the spring 187 further increases to be transmitted to the electric drive unit 150.
  • the setting of the elastic start position may be performed by varying the shape of the slots 183 and 184 formed in the housing 182 of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hook member 181.
  • Fig. 17 shows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oves the transfer member 171 forward.
  • the first locking member 33 of the drawer 30 also moves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oves the transfer member 171 forward until the drawer 30 reaches the standby position.
  •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n the standby position can be controlled to be maintained (for example clockwise drive). That is, the operating state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maintained so that the drawer 20 is always pushed while the door 20 is open. In other words, the driving of the motor assembly 160 is maintained while the door is opened, and the moving frame 170 may be controlled to maintain the standby position.
  •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driven in reverse (for example, counterclockwise driving) so that the moving frame 170 returns to an initial position.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move the drawer 30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n maintain the opera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then return the moving frame 170 to the initial position by reverse driving.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can be returned to the rear.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deter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time taken by the user to select a specific drawer and withdraw the specific drawer.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controlled to be driven backward after moving the moving frame 170 to the standby position and maintaining the standby position for about 10 seconds.
  •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20 by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preferably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erefore, the withdrawal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In other words, the user can directly pull out the drawer 20.
  • the plurality of drawers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to the standby position together.
  • the user may additionally draw one of the drawers before the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o the standby position. After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remaining drawer which is not additionally drawn out may be automatically drawn in by the elastic device. If the additional drawer is a lower drawer, a space accessible to the drawer may be enlarg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the upper drawer. Thus, the user can draw more easily to access the internal storage space.
  • the elastic device 180 When the drawer 20 is with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that prevents the withdrawal.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during manual withdrawal.
  • the inclined slot 185 in the slot formed in the housing 182 of the elastic device.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inclined slot 185 in front of the lower slot 184 of the two slots (183, 184) formed up and down side by side.
  • the inclined slot 185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inclined slot 185 for convenience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inclined slots to be described later.
  • the first inclined slot 185 is located in front of the slot 184. If the user draws the drawer 30 further forward from the standby position, the hook member 181 may be constrained to the first inclined slot 185. At this time, the hook member 181 is rotated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member 18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released.
  • a position at which the coupling between the hook member 181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released may be referred to as an elastic end position. Therefore,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in this embodiment is the front of the initial position, and likewise the elastic ending position can be said to be the front of the standby position.
  • the moving frame 170 may maintain the standby position in the open state of the door. Therefore, in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opened, the user can pull out the drawer 30 manually after drawing out the drawer. That is, the drawer may be reconnected with the elastic device.
  • the user may not draw the drawer 30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connection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elastic device 180 is released,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vice 180 is not transmitted to the drawer 30.
  • the distance between the elastic end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is relatively very short.
  • the door may push the drawer 30 backward. That is,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may be reconnected with the hook member 181 by pushing the drawer 30.
  • the hook member 181 may pull the second catching member 34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device 180 to automatically return the drawer 30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electric drive unit may control the transmission member 171 to maintain the standby position for about 10 seconds.
  • the user may further draw a specific drawer to eject the storage and manually draw the specific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Assuming that the time required is approximately 12 seconds, it can be seen that while the specific drawer is drawn to the standby position, the specific drawer can be automatically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the elastic start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may be the same. However, in this case an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drawer 30 when the drawer 30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In this case, since the elastic deformation amount of the spring is relatively large (that is, the elastic section is larg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may decrease with time.
  • the initial return speed of the drawer can be relatively fast and the late return speed can be relatively slow.
  • the initial return speed is related to the closing speed of the door. For example, if the door closes very quickly and the drawer's initial return speed is slower than the door's closing speed, the drawer may be impacted by the door. On the contrary, if the terminal return speed is high, a large impact may be applied to the rail 120 by the drawer 20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it may be desirable for the drawer to return quickly and initially to return smoothly and slowly. That is, it may be desirable to return the drawer by inertia at the end.
  •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s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on the contrary,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when the drawer 30 is pulled out.
  • the connection between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and the hook member 181 is released.
  • a second inclined slot 186 is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upper slot 183 to allow the hook member 181 to rotate at the elastic starting position. If the hook member 181 in the aforementioned first inclined slot rotates counterclockwise to release the connection, the hook member 181 in the second inclined slot 186 rotates clockwise to release the connection. can do.
  • the withdrawal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is automatic withdrawal by the drive of the electric drive unit
  • the withdrawal from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to the initial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utomatic withdrawal by the elastic device.
  • Automatic withdrawal may use a motor driving force using electrical energy
  • automatic withdrawal may use elastic restoring force of a spring.
  • the withdrawal from the drawer's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may be manual withdrawal by the user and the withdrawal from the drawer's maximum withdrawal position with the standby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manual withdrawal by the user.
  • the spring of the elastic device is elastically deformed from the elastic start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the elastic deformation is continuously performed from the elastic start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Can be.
  • the spring may be continuously elastically deformed up to the elastic end position spaced a predetermined length forward from the standby position.
  • the drawer draw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elastic end position can be performed manually.
  • the drawer may be drawn out manually from the elastic end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of the drawer,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spring and the drawer may be released. Therefore, when the user manually draws the drawer,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drawn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even when the user draws the drawer up to the elastic end position. In other words, the drawer can be automatically drawn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even if the idle position is not manually drawn.
  • This embodiment may be an embodiment in which the drawer 30 in one storage compartment may be automatically withdrawn.
  • the drawers 30 provided in any one storage compartment may be automatically drawn out.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mounted on the left side wall or the right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is embodiment has the same mechanism as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30.
  • the mechanism for automatic retraction can be said to be the same.
  • the structure or shape of the components may be different, but the basic functions and connection relationships may be the same or similar.
  • One or a plurality of drawers 30 may be movably supported on sidewalls or partition walls of the storage compartment via rails.
  • the support assembly 100 or the support cover 110 may be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partition wall itself, and may be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side wall or the partition wall.
  • An electric drive unit 150 is mounted to the support cover 110, and a moving frame 170 is connected to the electric drive unit 150.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may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 the support cover 110 may include a through part or a slit 113, a recess 16g, a motor avoiding groove 119, and a plurality of fastening parts 118.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30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the moving frame cover 190 may further include.
  • the recess 16g may be formed for mounting the motor assembly 160, and may be formed for mounting and moving the moving frame 170.
  • the recess 16g may be further extended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130.
  • the moving frame cover 190 may be provided to cover a space in which the moving frame is moved. That is, the moving frame cover 190 is combined with the support cover 110 to protect the moving frame therein.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176.
  • the roller 176 may be formed on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respectively.
  • the roller 176 may slidably support the moving frame 170 with respect to the moving frame cover 190. Therefore, the moving frame 170 can be stably supported to move back and forth.
  • the motor assembly 160 and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motor assembly 160 is connected to the moving frame 170. Similarly, as the motor assembly 160 operates, the moving frame 170 moves back and forth.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s well.
  • the elastic device may also be mount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the same elastic device as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elastic device 180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hook member 181 protrudes laterally without protruding downward or upward.
  • the hook member 181 may be provided to protrude toward the drawer 20. This means that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extends through the slit 113 to the drawer.
  • the drawer 30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36. That is, the drawer 30 is moved forward by pushing the catching member 36.
  • the locking member 36 may b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Therefore, the locking member 36 moves the hook member 181 forward by the forward movement of the drawer 30. That is, since the hook member 181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181, the locking member 36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second locking member 34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the locking member 36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that is moved forward by the transfer member 171 provided in the moving frame 170. That is, the locking member 36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correspond to the first locking member 33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can be said that one locking member 36 is connected to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moving frame 17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rovided in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That is, the transmission member 171 pushes the hook member 181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36, and as a result, pushes the locking member 36.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be provided to push the hook member 181 at one rear side of the hook member 181 protruding in the drawer direction.
  • the figure shown in FIG. 21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30 is drawn to a standby position. That is, in the initial position, the transmission member 171 may push the hook member 181 of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latch member 36 of the drawer at the same time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view shown in FIG. 22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drawer 30 is manually pulled forward from the standby position.
  • the locking member 36 of the drawer 30 moves the hook member 181 forward.
  •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181 and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released.
  • the connection between the locking member 36 and the hook member 181 is released. That is, as the hook member 181 enters the inclined slot 185,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36 and the hook member 181 is released.
  •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 the standby position may be set up to a position wher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drawer 30 is released.
  • the moving frame 170 in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with a connection member coupling portion 174 coupled with the connection member 180.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with a roller 176 to stably move the moving frame 170 back and forth.
  • the roller 176 may be formed in two places on the upper portion and two places on the lower portion of the moving frame. Thus, the moving frame can be stably moved with four support points. Of course, the roller 176 may be provided to be rolled on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between the elastic device 180 and the drawer 30.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of the moving frame 170 may be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within the interval between the locking member 36 of the drawer and the elastic device 180.
  • the moving frame 17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and a plurality of slits 175 may be formed to reduce weight.
  • three transfer members 171 should also be provided.
  • the two transmission members 171 may be provid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moving frame 170.
  •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171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75. Specifically, it may be formed through the slit 177 is formed in the middle. That is, the portion of the moving frame 170 except for the portion of the slit 177 where no slit is formed may be referred to as an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 the intermediate transfer member 171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and lower moving frames 170 at the upper and lower center portions of the moving frame 170.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preferably located on the side wall or partition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vertical posi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150 is preferably between the rail and the rail. This is because the rail may protrude toward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drawer may be coupled to the rail to be mounted protrudingly.
  • a predetermined space may be generated between the upper rail and the lower rail due to the projecting mounting structure of the rail, and the electric drive unit 150 may be mounted using the space.
  • FIGS. 23 to 26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n embodiment of the drawer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refrigerator and easy to use.
  • the drawers capable of the above-described automatic withdrawal and automatic withdrawal may be implemented. That is, a drawer that can be used independently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appli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 the drawers described may be equally applicable to general manual withdrawals and manually drawn drawers.
  • the drawer 30 may include a basket 31 and a drawer frame 32.
  • the basket 31 may be provided to accommodate the storage.
  • the drawer frame 32 may be provided to support the basket 31.
  • the drawer frame 32 may include a rail seating portion 37 coupled to the basket seating portion 38 and the rail 120.
  • the basket may be seated on the basket seating portion 38 so that the basket 31 may be coupled to the drawer frame 32.
  • the basket 31 may be seated on the basket seat 38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and may be coupled to the drawer frame.
  • the basket 31 may be vertically moved upward and released from the drawer frame. Therefore, the drawer frame 32 and the basket 31 are easily coupled and separated.
  • An opening 38a may be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drawer frame.
  • the seating portion 38 may be formed around the opening 38a.
  • the basket 31 may include an upper basket 31a and a lower basket 31b.
  • the lower basket 31b may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8a, and the upper basket 31a may be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38.
  • the upper basket 31a and the lower basket 31b may be integrally formed.
  •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provided to extend back and forth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frame 32.
  •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and the rail are preferably hidden from the user's field of view.
  • the upper basket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larger left and right width than the lower basket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from the top.
  • the drawer frame 32 may include a drawer deco 39.
  • the drawer decor may be provided in front of the drawer frame 32.
  • the drawer deco 39 may be provided to extend left and right from the front lower portion of the basket (31). That is, it may be provided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n front of the drawer (30).
  • the drawer frame 32 may be formed with the above-described locking member 33.
  • the drawer may be commonly used in the left freezer compartment and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Therefore, the locking member 33 may be form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rawer frame 32,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rawer 30 is formed in the right freezer compartment, only the locking member 33 provided on the left side may be used.
  • the drawer frame 32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mounting part 34a for mounting a locking member for coupling with the elastic device.
  • the mounting portion 34a may be formed on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respectively.
  • the engaging member 34 coupled with the elastic device is provided for automatic retraction. Therefore, when the automatic drawing is not necessary, the locking member 34 may be omitted. Therefore, unlike the locking member 33 is integrally formed in the drawer frame 32, the locking member 34 is preferably provided detachably to the drawer frame.
  • the rail 120 is configured to support the drawer 30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refore, the rail 120 preferably includes a moving rail 121 that moves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drawer 30. In additio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moving rail 121.
  •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may be formed to have a cross-section of the channel shape to be seated while surrounding the moving rail 121. That is,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preferably mounted on the moving rail 121 is coupled.
  • a catching part 125 may be formed at the rear end of the moving rail 121.
  • the lock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so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inserted. Therefore, whe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125, the rear movement and the upper movement at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can be limited.
  • An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ing rail 121.
  • a mounting hole 37 a for inserting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at a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37.
  • the moving rail 121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protrusion bracket 126 coupled with the moving rail 121 to form the elastic protrusion 128.
  • One side of the elastic protrusion bracket 126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26a) and the other side may be provided with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Therefore, the elastic protrusion bracket 126 may be coupled to the moving rail 121 through the mounting portion 126a.
  • An incision 127 may be formed between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and the mounting portion 126b.
  •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in a form bent from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Therefore,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elastically deformed with respect to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through the cutout 9227.
  •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may be horizontally formed, and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ormed to be bent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Therefore, the elastic protrusion may be elastically de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ngle with the elastic protrusion support 126b is reduced. That is, it may be elastically deformed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s of the drawer.
  • the rail 120 may include a fixed rail 122.
  • the fixed rail 122 supports the fixed rail 122 to be slidably moved from the lower side of the movable rail 121.
  • the rail 120 may be fixed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or the support cover 110 through the rail brackets 123 and 124.
  • the rail bracket may include a front rail bracket 123 and a rear rail bracket 124. That is, at least two support points may be formed at the front and the rear of one rail. These rails 1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30, respectively.
  •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transfer member 171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That is, the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Therefore, the transfer member 171 and the brackets 123 and 124 are not interfered with. This means that the slit 113 of the support cover 110 is form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 FIG. 26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25, and illustrates a state after the drawer 30 is coupled to the rail 120.
  • the user places the front of the drawer at the top and the rear of the drawer at the bottom as shown in FIG. 25. 32) can be moved backwards. That is, after the entire drawer is inclined backward, the drawer may be moved backward. At this time,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inserted into the locking portion 125 provided in the rail to be caught.
  • the rail coupling part 37 may be seated while surrounding the moving rail 121 at the upper portion of the rail 120, in particular, the moving rail 121. Therefore, whe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seated on the moving rail 121, the left and right movement of the drawer is limited.
  • the user may lower the front of the drawer frame 32 downward.
  • the elastic protrusion 128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enter direction of the drawer, when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is completely seated on the moving rail 121, the elastic protrusion 128 is elastically restored and mounted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37a.
  • the mounting hole 37a may be formed in the side flange 37b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rail. Therefore, the elastic protrusion 128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hole 37a.
  • the drawer frame 32 may be fixed to the moving rail 121 by the engaging portion 125 and the elastic protrusion 128.
  • the method of separating the drawer 30 from the rail 120 can be said to be the reverse of the above-described coupling sequence.
  • the user may lift the front of the drawer 20 while pressing the respective elastic protrusions 128 on both sides of the drawer 30.
  • the rail engaging portion 37 in front of the drawer 20 can be separated from the rail while the elastic protrusion 128 exits the mounting hole 37a.
  • the user may lift the drawer 20 while pulling the drawer 20 forward.
  • the rail coupling portion 37 behind the drawer 20 may be separated from the locking portion 125 of the rail.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ouple the drawer 30 to the rail 120 and can be easily separated.
  • the state shown in Figure 25 may be referred to as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 the locking member 33 and the lock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are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at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 the rear rail bracket 124 is located biased.
  • the catching member 33 and the catch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may move forward and may be positioned to be inclined to the front rail bracket 123. Therefore, the locking member 33 and the locking member mounting portion 34a are always position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123 and the rear rail bracket 124 in the section between the operation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30. Is preferred.
  • the sensor 40 for detecting a condition of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150 will be described in brief. 2 schematically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ensor 40 may be mounted.
  • the sensor 40 is a sensor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20.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operates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20.
  • the lower 30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electric drive unit 150 generates a force for moving the drawer forward. That is,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20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the drawer may be driven in one direction to draw out the drawer forward.
  • the door 20 is a swing type doo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door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That is, if the door 20 is completely defined as a state of blocking the food entrance 17 as a 0 degree angle, the door 20 may be opened by rotating to exceed 90 degrees.
  • the door 20 when the door 20 is slightly deviated from the food entrance 17, the door may be opened.
  • the door 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door 20 and the food entrance 17 is released, the door may be opene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gasket 22 and the cabinet 10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is released, the door 20 may be opened. Therefore, cold air loss may inevitably occur in this state.
  • the door 20 when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gasket 22 and the cabinet 10 is maintained, the door 20 may be closed.
  • the door switch may be provided to interlock with the operation of the lighting device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is released through the door switch, the lighting apparatus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n. After the lighting device is turned on, if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20 and the cabinet 10 is performed through the door switch, the lighting device may be controlled to be turned off.
  • such a door switch may be formed to have a structure that is mechanically switched according to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This range of separation distances is very small. This is becau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cabinet and the door to maintain the close contact and the close release is very small. Therefore, the door switch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substantially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 the door switch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whether cold air leaks to the outside.
  • the sensor 40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sens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the interference that may occur between the movement of the drawer and the movement of the door.
  • the opening of the door in this embodiment can be said to be based on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as described above. That is, when the user opens the door 20 under the premise of using the drawer, the drawer is preferably moved to the standby position. Therefor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That i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or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t which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starts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 the door may be opened only at an angle of 40 degrees to 50 degrees.
  • the drawer continues to be in an initial position. That is, it will be desirable for the drawer to remain undrawn. This is because the drawer is not used without drawing the drawer, and the drawer does not need to leak cold air.
  • the drawer is not used, but it is not necessary to draw the drawer and hit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20.
  • the door switch may determine that the door is opened. That is, when a door switch that merely determine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is provided, an automatic drawing condition of the drawer may be satisfied afte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by the door switch. Therefore, more effective and stable control logic may be realized throug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oor switch and the sensor 40.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door When a user attempts to draw and use a drawer, the user typically knows that the door must be opened more than 90 degrees. This is because at a door opening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the drawer is caught by the basket 25 on the back of the door or by the door itself before the drawer is completely drawn out. In order for the drawer to be fully pulled out substantially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door, it is common for the door to be opened, for example, at least 100 degrees.
  •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is preferably at least 80 degrees, more preferably at approximately 90 degrees back and forth angle.
  • the drawer may be automatically withdrawn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equal to or greater than 90 degrees. That is, it is preferable to open the door at such an angle so that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This is because the drawer takes a certain time to move to the standby position.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angle at which the opening of the door is sensed is smaller tha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where the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and the door is completely excluded.
  • the angle at which the door is opened and the drawer starts the automatic movement is preferably determined so that the drawer at the door and the standby position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for the automatic movement of the drawer may be an angl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ear basket 25 of the door in the state that the drawer is drawn out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basket 25 may protrud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Accordingly, the basket 25 is located at a position outside the opening 17 in the state where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This means that the drawer 3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basket 25 until the drawer is drawn out to the opening 17.
  • interference between the drawer 30 and the basket 25 may occur. Therefore, in order to draw out the drawer completely,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has to be increased.
  • the senor 40 is a sensor capable of accurately detecting a preset door opening angle for drawing the drawer 20.
  • the sensor 40 preferably includes a magnet 42 and a reed switch 41.
  • the reed switch 41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and the reed switch may be said to sense a predetermined door opening angle through the magnet 42.
  • Other types of sensors or switches that can detect changes in the magnetic field can also be used.
  • the intensity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is variable.
  • the magnetic force applied to the reed switch is varied according to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 the specific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that is, the distance at which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41 is changed can be predicted relatively accurately by varying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itself. .
  • FIGS. 27 and 28 show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wer part of the door.
  • FIG. 27 shows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n one embodiment for the sensor 40. Specifically, FIG. 27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door 20 is opened at an angle of 90 degrees. That is, the door 20 is rotated by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hinge cover 45 positioned near the leg 2 fixed to the ground. 27 is a view from the ground toward the top.
  • the reed switch may be located at the hinge cover 45 and the magnet 42 may be provided under the door 20. Specifically, the magnet 42 may be provided on the cap deco 24 of the door 20. Of course, the reed switch may be located on the door 20 and the magnet 42 may be located on the hinge cover. However, since the contact is formed and the configuration for transmitting the door opening signal or the closing signal to the outside is a reed switch, the reed switch is preferably fixed, that is, located in the hinge cover 45.
  • the vertical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s the same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magnet 42 is changed. That is, the magnet 42 is rotated with the same radius with respect to the hinge axis 23, the horizontal distance with the magnet 42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at this time.
  • the magnet 42 With the door 20 closed, the magnet 42 is located near the reed switch 41. Therefore, when the door 20 is closed,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may affect the reed switch 41. In addition,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increases, the magnet 42 closes to the reed switch to the maximum and then moves away from the reed switch. That is,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increases,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does not affect the reed switch 42. Therefore, as an example,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20 reaches an angle of 90 degrees,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may be changed. This change in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41 may be referred to as generation of a door opening on signal that satisfies the drawer drawing condition.
  •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affects the reed switch 42 in a section between the opening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with the door 20 closed, so that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is closed.
  • the opening angle for example, 90 degrees
  •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no longer affects the reed switch 42 so that the contact of the reed switch 41 is changed.
  • the reed switch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reache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the reed switch has a critical point of the effective magnetic strength for contact switching. That is, the contact point of the reed switch is switched to reach the threshold, which may be said to sense that the door is open.
  • the magnetic force of the magnet 42 does not affect the reed switch 41. That is, out of the critical point.
  • the sensor 40 may sense the opening of the door and the closing of the door through substantially the same angle.
  • the sensor 40 may perform door opening detection and door closing detection through the same angle.
  • the next sense of the same angle may be referred to as door closing detection.
  • the same angle after the door closing detection may be referred to as door opening detection. That is,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opening detection and the door closing detection of the door through a single sensor 40.
  • a sensor for door opening detection and a sensor for door closing detection may be separately provided instead of a single sensor. In this case, the same type of sensor may be provided.
  •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a deviation of a preset opening angle of a door occurs for each product.
  • the magnet 42 and the reed switch 41 are mounted by setting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to 90 degrees, a deviation of the door opening angle may occur for each product.
  • the detection deviation may occur for each product.
  • Such deviation may be caused by various causes such as magnetic force deviation of the magnet 42 and mounting deviation of the magnet 42 and the lease switch 41.
  • Applicant intends to provide a sensor 40 using a plurality of magnets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the sensor 40 implemented through one magnet 42.
  • this embodiment is very similar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 a plurality of magnets 42 may be provided.
  • the reed switch is located in the hinge cover 45, a plurality of magnets 42 may be provided in the cap deco 24 of the door 20.
  • the cap deco 24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for forming a lower surface of the door 20.
  • the magnet 42 is located inside the door 20.
  • the reed switch 41 may be provided to be fixed to the cabinet 10.
  • it may be provided in the hinge cover 45 protruding in front of the cabinet 10.
  • the door 20, in particular the cap deco 24, has a predetermined upper and lower gaps at the upper portion of the hinge cover 45, and opens and closes based on the hinge shaft 23.
  • the magnet 42 may include a horizontal magnet 42a and a vertical magnet 42b.
  •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a magnet provided to be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20 or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10
  • the vertical magnet 42b is a magnet positioned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do.
  •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to form an obtuse angle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magnet 42a to form a substantially continuous arc shape with the horizontal magnet 42a.
  •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one surface of the reed switch 41.
  • the reed switch 41 may be provided in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horizontal side 41a of the reed switch 41.
  •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to be parallel to the vertical side 42b of the reed switch 41.
  • the horizontal side of the reed switch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vertical side of the reed switch.
  •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formed in a rod-shaped magnet having a length greater than the height based on the vertical cross section shown in FIG. 28.
  •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positioned to be long and stretched from the rear of the reed switch 41 to the left and right.
  •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positioned to be elongated back and forth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reed switch. That is, the two magnets 42a and 42b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positioned to surround the reed switch 41. Therefore,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vertical magnet may be provided by varying the horizontal angle with respect to the reed switch.
  • the two magnets 42a and 42b simultaneously provide effective magnetic force to the reed switch 41.
  •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hinge axis 23 is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magnet 42b and the hinge axis 24. That is,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smaller than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vertical magnet 42b.
  • the distance between the reed switch 41 and the hinge shaft 24 may be set to be similar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rotated near the reed switch 41 as the door 20 is opened, and the vertical magnet 42b is rotated at a position relatively far from the reed switch 41. Done.
  • the magnetic force sensed by the reed switch 41 is a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by the vertical magnet 42b auxiliaryly affects the reed switch 41. Go crazy.
  •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decreases very rapidly as the position of the magnet 42a moves away from the reed switch 41. This means that even if the magnet moves in a very short section, a very large change in magnetic strength can occur. For this reason, it is very difficult to accurately set the threshold point at which the magnetic force is not affected, that is, the door opening angle, at the position where the magnetic force is affected.
  • the threshold point at which the magnetic force is not affected that is, the door opening angle
  • the change in the magnetic strength is smoothly progressed to the critical point through the vertical magnet 42b, and then the change in the magnetic strength is suddenly generated after the critical point. That is, since the vertical magnet 42b continuously provides the auxiliary magnetic force up to the critical point, the rapid magnetic force change up to the critical point may be limited.
  • the threshold point that i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an be easily set to about 90 degrees. That i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detected by the reed switch 41 can be easily adjusted.
  • the position of the vertical magnet 42b may move the horizontal magnet 42a shown in FIG. 28 back and forth in a fixed state. That is, the vertical magnet 42b may be referred to as a fixed magnet and the horizontal magnet 42a may be referred to as a floating magnet.
  • the horizontal magnet 42a When the horizontal magnet 42a is moved backward,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hinge shaft 23 becomes small. In other words,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reed switch 41 becomes small with the reference shown in FIG. 4 (that is, with the door open at 90 degrees). Therefore, the door 20 must be further opened to exclude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orce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on the reed switch 41. That is,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horizontally moved close to the hinge shaft 23 in order to preset the door opening angle by more than 90 degrees.
  •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moved forward. That is, the horizontal axis can be moved away from the hinge axis 23.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42a and the reed switch 41 becomes large. Therefore, the influence of the horizontal magnet 42a can be excluded in a state where the door opening angle is smaller than 90 degrees.
  • a reed switch may be provided on the magnet.
  • the magnet is provided in the door decor that forms the upper surface of the door 40, and the reed switch may be mounted at a position facing the door decor. In either case,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eed switch is fixed regardless of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and the horizontal distance between the magnet and the reed switch will vary as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changed.
  • the door opening angle may be set to some extent for each model of the refrigerator.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flexibly apply the position of any one of the plurality of magnets by varying the position.
  • the reed switch may be replaced with a hall sensor.
  • the magnet may have a vertical position with the Hall sensor i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Hall sensor.
  • the magnet may be positioned at the vertical top or bottom of the hall sensor in a position where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Therefore, when the door reaches 90 degrees as the opening angle increases, the hall sensor recognizes the magnet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 the magnet may always be located above or below the vertical vertical position of the hall sensor up to the position where the door is opened 90 degrees. That is, the magnet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c or provided in plural numbers so that the magnet is always recognized by the hall sensor until the door is opened at 90 degrees. When the door is opened at 90 degrees, the magnet is out of the detection area of the hall sensor, and the magnet may be detected as the door is opened.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ain controller 300.
  • Basic operation of the refrigerato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main controller 300.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motor assembly 160.
  •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motor 162 and a motor controller 165.
  • the motor 162 may be driven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 the above-described transmission member 171 can be moved forward by forward (clockwise) driving.
  • the transmission member 171 can be moved backward by the reverse driving.
  • the force for moving the drawer forward may be generated by the electric drive unit, that is, the forward drive of the motor. And, the force for moving the drawer forward by the reverse driving of the motor can be eliminated.
  •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162, a duty ratio applied to the motor, driving and stopping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hrough the motor controller 165.
  • the motor assembly 160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163 moving back and forth as described above.
  • the maximum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orresponds to the standby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and the minimum protruding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63 corresponds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transmitting member.
  • the connecting member 163 is moved between the maximum protrusion length and the minimum protrusion length.
  • connection member 163 is loca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o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anipulation position in the motor assembly 160. That is,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provided with two Hall sensors 166 and 167.
  • the magnet assembly 168 may be provided in the motor assembly 160.
  • the magnet 168 may be provided to move in the housing 161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connection member 163. Therefore, when the first hall sensor 166 recognizes the magnet 168, it can be seen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is the initial position. In addition, when the magnet 168 is recognized by the second hall sensor 167, the transmission member may be in a standby position.
  • the motor controller 165 basically operates the motor 162 when a door opening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That is,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 the sensor 40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at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for example, a 90 degree opening angle). That is, when the sensor 40 detects that the door is opened by 90 degrees, for example, the motor control unit 165 operates the motor 162 so that the drawer is drawn out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Therefore, the motor control unit 165 controls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e unit to draw the drawer.
  • a door opening signal or a forward driving signal of the motor assembly 160 is generated and transferred to the motor control unit 165 through the main control unit 300. Can be. Of course, the door opening signal or the forward driving signal of the motor assembly 160 may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motor controller 165.
  • the refrigerator may include a door switch 50.
  • the door switch 50 may be a configuration generally used in a refrigerator.
  • the lighting device 60 for illuminating the storage compartment may be activated.
  • the door switch 50 may be referred to as a configuration that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40.
  • the initial step S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0.
  • the initial step may be referred to as the step of driving the motor 162 first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refrigerator. That is, the motor 162 may be referred to as a step of initializing the electric drawer system by moving the transmission member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initial drive.
  • the motor operates (S30). That is, it operates to return the transfer member 171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motor driving direction may be counterclockwise or reverse.
  • the transfer member moves backward when the motor driving direction is counterclockwise and the transfer member moves forward when it is clockwise.
  • the operation of the motor can be controlled at a predetermined duty ratio.
  •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termina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first hall sensor 166. For example, when an 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stopped (S40).
  • the operation of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o stop when the operation time passes a predetermined time.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5 seconds.
  • the predetermined time may be set larger than the maximum allowable motor operating time in consideration of the margin. Therefore, the operation of the motor may be normally performed until the on signal from the first hall sensor 166 is generated before reaching the predetermined time.
  •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step of indicating an error can be started.
  • the ON signal of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generated at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transmission member 171 instead of the initial position. Therefore, in the initial step (S10) it can be said that the generation of the ON signal of the second hall sensor 167 is an abnormality in the entire electric drawer system including the Hall sensors.
  •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 31.
  • the notification step (S100)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rror again (S110), at which time it can be determined in which drawer the error occurred. That is, when the electric drawers are installed in both freezer compartments,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rror is the error of the left drawer or the error of the right drawer.
  • an operation (S120) of displaying an error may be performed. In this case, an error code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 the standby state S200 may be a state in which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 determination steps S210 and S220 may be performed to determine a condition for automatically withdrawing the drawer in the standby state S200.
  • the condition for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may be referred to as opening detection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40. Specifically, when the reed switch 41 detects the opening of the door (S210) it can be seen that the condition is satisfied.
  • the motor 162 always maintains the standby state S200 until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rough the sensor 40.
  • the opening detection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40 presupposes the door opening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50. Therefore, when the door opening is detected through the door switch 50 (S200), the withdrawal step S300 may be performed.
  •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sensor 40 is detected and the opening of the door through the door switch 50 is not detect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sensor 40 has an error (S230) and the corresponding erro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have. Thereafter, it may be switched to the standby state (S200).
  • the motor 162 should operate to push the drawer 30 forward. Therefore, the motor 162 is subjected to a relatively large load in the drawing step. In particular, when there is much storage in the drawer 30, a greater load is applied. Therefore, in the drawing step S300, it is preferable that a large output is controlled to be generated in the motor according to the load. That is,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duty ratio to increase as the load increases.
  • the drawing step (S300) may include the step (S310) of calculating a signal (FG, frequency generator) generated when the motor rotates.
  • the FG may be calculated every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100 ms (milliseconds).
  • the withdrawal step S300 may include a motor withdrawal driving step S320 for driving the motor clockwise by varying the duty ratio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That is, after dividing into a plurality of load condition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it is possible to drive the motor at a predetermined duty ratio under each load condition.
  • the motor when the calculated FG is 0 to 50, the motor can be driven with a duty ratio of 180. When the calculated FG is 51 to 100, the motor can be driven with a duty ratio of 200. As the calculated FG is increased, the duty ratio is increased. For example, the duty ratio may be controlled to 250 when the calculated FG is 251 or more.
  • the take-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until an on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 the take-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 the preset time may be 3 seconds.
  • a disturbance may be generated that prevents the drawing of the drawer. That is, a very heavy object is drawn to block the front, or foreign matter may enter the rail 120 and the moving rail 121 may not move. Therefore, in this case, if the motor is continuously driven in the clockwise direction, a large load may be generated in the motor. That is, the motor may be damaged. Therefore, when a failure occurs, it is preferable that the motor driving step is no longer continued and the return step S500 is performed.
  • step (S350)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obstacle is performed.
  •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may be performed during the driving step of the motor, and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may be performed when the FG calculation cycle reaches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may be performed from the fourth FG calculation. That is, the initial FG calculation up to the third time may be excluded from the obstacle determination. This is because a relatively large load can be generated in the motor by the initial static frictional forc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drawing out of the motor. Therefore, the obstacle determination step S350 is performed from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and this may be performed until the pull-out driving step S320 of the motor is completed.
  • the motor drawing driving step may be continued.
  • the calculated FG is equal to or smaller than the preset obstacle FG,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obstacle exists. That is,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motor cannot be driven normally due to an overload of the motor due to an obstacle. Therefore, when it is determined that an obstacle exists, the driving of the motor is terminated and the return step S500 is performed.
  • an operation (S340) of determining whether an error may be performed. It may be determined whether the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3 seconds or more is required until the drawing drive of the motor is completed. The predetermined time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maximum allowable time, and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rror takes 3 seconds or more. In addition, it may be determined that an error is generated even when the first hall sensor 166 is turned on.
  • the stop step S400 may be performed.
  • the stopping step S400 is not a step of stopping driving of the motor.
  • the withdrawal driving step of the motor is a step of moving the transfer member forward, and it is determined that the transfer member moves to the standby position through the second hall sensor 167, and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stops. do. That is, the step of stopp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may be referred to as the stop step (S400).
  • the motor is driven clockwise (forward direction). Likewise, the clockwis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maintained in the stop step S400. However, since the drawer is not pushed in the stop step S400,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maintained at the minimum output.
  • the stop step (S400) it may be controlled to drive the motor (S420) with a minimum duty ratio that can be applied to the motor. That is, in driving the motor associated with the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the motor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at the smallest duty ratio among the duty ratios applied to the motor. This is to prevent the drawer from being automatically drawn in even before the user operates the drawer by the elastic force of the auto closing unit (elastic device) in the stop step (S400).
  • the stop step (S400) may be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it may be performed for 10 seconds (S430). In addition,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a return step S500 may be performed.
  •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device and the drawer is released. And, the drawer that is not additionally drawn is maintained in connection with the elastic device. Therefore, when the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drawer that is not additionally drawn may be returned to the rear by the elastic device. At this time, the return speed of the drawer is not faster than the return speed of the transfer member. This is because, when the drawer is returned by the elastic device, the drawer has no choice but to follow the returning member.
  • the stop step (S400) the user can push in the direction to draw the drawer (30).
  • the return step S500 is performed even during the stop step.
  • the step S410 of calculating the FG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stop step S400.
  • the determination step S440 is performed after a predetermined number of FG calculations have elapsed.
  • the stop step S400 may be normally performed, for example, 10 seconds. Thereafter, the motor may be driven such that the transfer member 171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This may be referred to as a return step (S500).
  • the return step the force pushing the drawer is removed. Therefore, in the returning step, the drawer may automatically return by the above-described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auto closing unit.
  • the returning step S500 includes a step S510 of stopping driving of the motor. That is, a step of temporarily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performed to change the driving direction of the motor.
  • the motor may be a BLDC (Blushless DC) motor, and a brake input may be applied to stop the driving of the motor.
  • the step S510 may be performed, for example, for 10 ms. Through this step (S5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hock is applied to the motor itself due to the rapid change of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motor.
  • the return step S500 may be performed similarly to the initial step S50 described above.
  • the driving of the motor may be stopped (S540).
  • the predetermined time means the maximum allowable time and may be, for example, 5 seconds.
  •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5 seconds may be determined as an error (S550).
  • the signal from the second hall sensor 167 it may be determined as an error (S550).
  • the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 the duty ratio in the return step (S500) is preferably larger than the duty ratio in the initial step (S10).
  • the motor may be driven at the same duty ratio as in the initial step S10. That is, in this case, the obstacle is substantially excluded from the forward drive and the reverse drive of the motor. Therefore, even when a relatively small duty ratio is applied, the transfer member can be smoothly returned.
  • the drawer in the operating position may collide with the basket of the doo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ep of emergency return of the drawer is performed. For example, if the door is suddenly closed while the drawer is drawn out, the drawer is being drawn out, but the door is closed and the drawer may collide with the door. In addition, the drawer and the door may collide if the door is quickly closed while the drawer is drawn out.
  • control logic is urgently executed to return the drawer.
  • step S700 for causing the drawer to return to emergency during the above-described withdrawal step S300 and the stop step S400 is performed.
  • this emergency return step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be performed when the drawer is positioned at the initial position.
  • the step S600 of determining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may be performed, and if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is satisfied, the emergency return step S700 may be performed.
  • the emergency return condition satisfies the middle of the withdrawal step or the stop step, and the sensor 40 may sense that the door is closed. That is, the reed switch 41 may be said to sense the closing of the door.
  • the emergency return step may also be per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return step. That is, the method may include driving the motor in a counterclockwise direction (reverse direction) (S720), stopping the motor (S740), and determining an error (S750). Of cours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rror notification step (S100) may be performed.
  • the motor when starting the emergency return step, the motor may be driven in a clockwise direction. Therefore, likewise, it is preferable to drive the motor counterclockwise after stopping the motor for 10 ms as a predetermined time.
  • the motor may perform a return step or an emergency return step to prevent a large load from being continuously applied to the motor.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 An electric drive unit driven to draw the drawer forward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 the door and the drawer are provided separately, the force applied to open the door is independent of the withdrawal of the drawer.
  • the electric drive unit is configured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of the drawer to a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 the moving frame is movable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to move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 the moving frame is connected to the drawer to apply force to the draw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the moving frame is disconnected from the drawer such that a force is not applied to the draw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for connecting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ving frame,
  • a support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form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the side wall to support the drawer through the rail.
  •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ide wall and the support cover, and the motor assembly is mounted inside the support cover and positioned in the predetermined space.
  •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 a guide bar is provided on each of the upper and lower inner side surfaces of the support cover, and the moving frame is supported between the upper guide bar and the lower guide ba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 a slit penetrating the support cover is formed, and the moving frame includes a transmission member penetrating the slit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drawer.
  • the drawer is formed with a first catching member formed in front of the transfer member to correspond to the transfer member, the first catching member is pushed forward to move the drawer in the withdrawal direction during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 the drawer comprises a basket and a drawer frame provided outside the basket.
  • the moving frame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frame, and when the moving frame and the drawer frame are connected, the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is switched to the movement of the drawer.
  •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 and down, the moving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is selectively connected to each drawer frame.
  • th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is provided so that the drawer is moved back and forth between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and the initial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tandby position.
  • the drive of the motor assembly is maintained while the opening of the door is maintained, so that the moving frame maintains the standby position.
  • a drawer of the drawer can be manually pulled from the maximum draw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where the drawer frame and the moving frame are recombined.
  • the motor assembly is operated to return the moving frame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oor is open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opened more tha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closed state, and the door is close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oor is closed within a predetermined angle in the open state.
  • the elastic device The elastic device,
  • a housing having a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pring
  •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member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 member, the hook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connected in the standby position, the drawer is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returned to.
  • a first inclined slot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and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member elastically deforms the spring.
  •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 the hook member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the drawer is with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the hook member is moved to the first inclined slo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s released. Refrigerator.
  • the hook memb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catching member from the first inclined slot.
  • a second inclined slot is formed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and releasing the connection between the hook member and the second locking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hook member elastically restores the spring.
  •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 the hook member is moved to the second inclined slo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before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thereby disconnecting the hook member from the second catching member.
  • the hook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inclined slot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atching member.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ensor provid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 An electric drive unit driven to move the drawer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astic devic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providing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when the drawer returns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the sen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closing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after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 an angle of detecting opening of the door is greater than an angle of detecting closing of the door.
  • a door switch for detecting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to be released and the close contact between the door and the cabinet as the closing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switch is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sensor.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a sensor for detecting an opening of the door; a moving frame provid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a motor assembly and the motor assembly, and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e moving frame An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And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wherein the electric drive unit is driven to move back to the rear after moving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by moving the moving frame forward.
  • Refrigerator
  • the door is configured to detect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door is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 the electric drive uni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driven in the reverse direction for the return of the moving frame after maintaining the forward drive for a predetermined time while the moving frame is moved forward to the standby position of the drawer.
  •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connecting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ving frame, and a drawing distance of the connection member to the motor assembly is changed.
  •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moving frame and the motor assembly is different.
  • the refrigerator comprising a side wall form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support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to movably support the drawer through the rail.
  • the drawer is formed with a first locking member formed in fro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so as to correspond to the transmission member, the first locking member in the forward movement of the transmission member forward.
  •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is moved in the withdrawal direction.
  • the drawer includes a basket and a drawer frame provided outside the basket.
  • the elastic device comprises: a housing having a slo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pring; And a hook member which moves along the slot to generate elastic deformation and elastic restoration of the spring and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second catching member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hooking member, and the hooking member and the second catching member are connected as the drawer is drawn in,
  • the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turn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 cabinet with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provided to detect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rough a rotation angle of the door; a moving frame provid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tor assembly, and including the door
  • the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to the standby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initial position through the front movement of the moving frame
  •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astic device that is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to the drawer when the drawer is withdrawn and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wherein the electric drive unit is configured to provide the standby frame with the moving frame. And moved to a position and then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that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and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and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e door is moved forward from the initial position.
  • a drawer provided to move to a standby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moved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elastic to move the drawer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 An elastic device providing a restoring force;
  • An electric drive unit which moves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elastically deforms the elastic device; And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elastic device Hanger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elastically restored according to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distance of the hook member.
  • the refrigerato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catching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elastic device.
  • the electric drive portion includes a motor assembly and a moving frame, wherein the moving frame is adapted to drive the motor assembly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 the electric drive unit includes a transfer member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e of the motor assembly and the motor assembly, the transfer member forward the locking member of the drawer through the hook member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move.
  •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hook member as the transfer member is seated in the seating portion to move forward, the transfer member is moved away from the seating portion to the rear
  •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hook member is released.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the door is spaced apart from the initial position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ly.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to move to a standby position, the drawer including a locking member; an elastic device including a hook member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locking member and a spring elastically deformed or elastically restored by the movement of the locking member;
  • An electric drive unit including a transmission member for pushing the hook memb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a motor assembly for moving the transmission member electrically; And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connection between the locking member and the hook member is maintained in a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standby position.
  • the elastic device includes a housing in which the spring is received and a slot is formed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hook member.
  • the drawer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up and down,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provided with the transfer member,
  • the electric drive unit comprises a moving frame provided to integrally move the plurality of transmission members by driving the motor assembly.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moving fram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 Refrigerator including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e uni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electric drive unit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irrespective of the force of the user to open the door
  • the drawe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manually 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initial position, regardless of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drive uni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moving fram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drawer and provided to move back and forth;
  • the drawer is disconnected from the moving frame,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rawer is manually withdrawn from the standby position to the maximum withdrawal position.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ectric drive unit which drives the drawer to be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ectric drive unit which drives the drawer to be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ectric drive unit which drives the drawer to be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 the drawer In order to vary the draw speed than the draw speed of the drawer, the drawer is elastically deformed when the drawer is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and the elastic device is drawn in the initial position from the standby position by the elastic restoring force.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n electric drive unit which drives the drawer to be drawn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upport assembly coupled to the draw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integrally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the right or left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support assembly The support assembly,
  • a support cover coupled to the side wall
  • An electric drive unit driven for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 and moun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facing the side wall;
  • a rail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to support the drawer to be moved back and forth;
  • a moving frame provid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of the electric drive unit to the drawer, the moving frame being provided on the support cover separately from the rail.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plurality of drawers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up and down;
  • a support cover provided to be coupled to and separated from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a plurality of rails mount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cover and supporting the plurality of drawers to be moved back and forth;
  • An electric drive unit driven for automatic withdrawal of the drawers
  • a single moving frame provided to transmit the driving force to the plurality of drawers simultaneously to the plurality of drawers and to be movable on the support cover separately from the rails.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upport cover fixedly coupled to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a rail mounted to the support cover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 a moving frame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upport cover by driving the electric drive unit;
  •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forward and draw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when the opening of the door is detected.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support cover fixedly coupled to on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in which a recess or a through part is formed;
  • a motor and a housing for accommodating the motor the housing being fixed to an inner side of the supporter cover, wherein the housing is inserted into the recess or through portion when the support cover is coupled to the side wall;
  • a moving frame provided to be moved back and forth by the driving of the electric drive unit
  • control unit which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forward and draw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when the door is opened.
  • a cabinet provided with a storage compartme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door, and provided to rotate with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as the door is opened.
  • Magnets And an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magnet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gnet, and fixed to the cabinet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door.
  • the magnet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magnet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ront direction of the cabinet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magnet on the basis of the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 a refrigerator comprising a vertical magnet.
  • the horizontal magnet in order to increase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is mount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door rotation axis is small, the door of the door corresponding to the critical point And the horizontal magnet is mounted so as to increase the distance between the horizontal magnet and the door rotation shaft to reduce the opening angle.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As the door is provided in the door, a magnet having a predetermined rotation radius around the rotation axis of the door, and the cabinet And a reed switch provided to be fixed with respect to the switch, wherein the contact is switched at a critical point of the effective magnetic strength by the magnet, and detecting the door to be opened when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reached.
  • the electric drive unit for mov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orward; And a rail provided to move the drawer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drawer is,
  • a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seating portion on which the basket is seated, and a rail coupling portion seated on the rail and coupled to the rail.
  • the basket is mounted to the basket seating portion in a vertical downward direction is coupled to the drawer frame, the basket is moved to the vertically upward,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so that the coupling with the drawer frame is released.
  • An opening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rawer frame, and 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around the opening.
  • the basket includes a lower basket inserted into the opening and an upper basket seated on the seating portion,
  •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to extend back and forth from both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rawer frame,
  • the upper basket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 is larger than the lower basket to cover the rail coupling portion from the top.
  • the rail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ving rail moving back and forth integrally with the drawer.
  • the rail coupling por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ross-section of the channel shape so as to surround the moving rail.
  • the rear of the moving rail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engaging portion is caught to limit the rear movement and the upper movement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 the hook portion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to be inserted.
  • An elastic protrusion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moving rail, and a mounting hole is formed at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art to be inserted while being elastically restored after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and then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mounting hole.
  • the moving rails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awer, respectively, and the drawer frame is fixed to the moving rails through four support points front, rear, left, and right by the elastic protrusion and the locking part.
  • the rail may include a fixed rail provided below the movable rail and fix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moving rail is provided so as to be slidable with respect to the fixed rail.
  • the drawer comprises a drawer decor is provided to extend to the left and right in front of the basket to cover the rail coupling in front of the drawer.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ompartment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and a rail coupling part for receiving the storage;
  •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art to support the drawer to mov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formed in a channel shape to be seated from the top of the rail to the bottom to surround the rail,
  • the rear of the rail is formed with a locking portion for inserting the rear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 the front of the rail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rojection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provided in the front end of the rail coupling portion.
  • the rail includes a movable rail and a fixed rail for slidably supporting the movable rail at a lower portion of the movable rail,
  • the rail coupling portion is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coupled to the moving rail.
  • the mounting hole is formed in the side flange covering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rail,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protrusion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left and right center direction of the drawer is restored to be inserted into the mounting hole.
  • the front end of the fixed rail is equipped with an elastic projection bracket for forming the elastic projection on the fixed rail
  • the rail comprises a rail bracket for fixing the fixed rail to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the rail bracket includes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which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distances before and after the fixed rail, respectively.
  • the drawer frame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 It includes an electric drive to move the locking member through the movement of the transfer member, to move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operation position spaced for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 the transmission member and the locking member,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in the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drawer provided in the storage chamb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the drawer frame including a basket accommodating the storage, a rail coupling part, and a catching member protruding toward the side wall of the storage chamber;
  • a rail coupled to the rail coupling part to support the drawer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storage compartment, and supported on a side 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through a front rail bracket and a rear rail bracket;
  • the transmission member is provided to be mov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in the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 Refrigerator is provided to be moved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in the section between the initial position and the operating position of the drawer, in order to avoid interference between the front rail bracket and the rear rail bracket.
  • a motor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n operation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by driving the motor.
  • the motor In the initial stage, the motor is driven in a reverse directio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for sensing the initial position 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 the notification step of notifying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characterized in that Control method.
  • the motor is driven until the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second hall sensor for sensing the operation position or until the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 the motor is a brushless DC (BLDC) motor, and the duty ratio for driving the motor is changed according to the calculated FG by calculating a frequency generator (FG) generated when the motor is rotated in the drawing step.
  • BLDC brushless DC
  • FG frequency generator
  • the stopping step is not performed and the returning step is performed.
  • a notification step for notifying that the operation is performed is performed. How to control the refrigerator.
  • the stopping step is a control method of a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ed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minimum duty ratio of the duty ratio for driving the motor.
  • the returning step may include stopping the driving of the motor for a predetermined time.
  • the motor is driven in a reverse direction until a signal is generated from the first hall sensor sensing the initial position or until a predetermined time is reached, so that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Way.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to switch to the standby state.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compartment and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door when the opening angle of the door is a predetermined opening angle.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door switch that detects whether the door is opened or closed based on whether the doo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binet,
  •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further comprising a door opening detection through the door switch.
  • the control method of the refrige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driving of the motor is stopped in a reverse direc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 a motor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by driving the motor.
  • a motor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by driving the motor.
  • the cabinet 23 It includes a motor, a draw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in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 transmission member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by driving the motor.
  • the refrigerator includes a motor, a drawer provided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within the storage compartment provided in the cabinet, and a transfer member for pushing the drawer by the driving of the motor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from the initial position to the standby position.
  • a motor for pushing the drawer by the driving of the motor to automatically draw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 a motor for automatically drawing the drawer from an initial position to a standby position by pushing the drawer by driving the motor.
  • a cabinet having a storage compartment with a food entrance in the front;
  • a door rotatably provided i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storage compartment;
  • a plurality of drawers disposed up and down in the storage compartment
  • a moving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height at which the plurality of drawers are disposed, and selectively pressing the plurality of drawers to move the drawers in the food entrance direction;
  • An electric drive unit coupled to the moving frame such that the moving frame moves in the direction of the food entrance
  •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electric drive unit to move the moving frame when the door is opened.
  • the moving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fer members are provided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drawers.
  • the draw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frigerator is provided with a locking member that is pressed through the transmission member.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electric drive unit to return the moving frame to the rear after drawing out the drawer.
  • a support cover provided to be coupled to the left or right sidewall of the storage compartment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입/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배치된 높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식품출입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저장물을 용이하게 인입/인출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저장물을 수용하는 드로워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밸브, 증발기 등으로 이루어지는 냉동 사이클에 의해 생성된 냉기를 토출하여 고내의 온도를 저하시켜 음식물 등을 냉동시키거나 냉장 보관하는 장치이다.
냉장고는 저장실로서 음식물 또는 음료를 얼려서 보관하는 냉동실과, 상기 음식물 또는 음료를 저온에서 보관하는 냉장실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장고는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부에 배치된 탑마운트 타입(Top Mount Type),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부에 배치된 바텀 프리저 타입(Bottom Freezer Type) 그리고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 Type)으로 나눌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동실과 냉장실 각각에 도어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를 통하여 냉동실 또는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냉장실과 냉동실이 서로 구분되는 냉장고 외에, 하나의 도어를 통해 냉동실과 냉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냉장고도 있다. 이러한 냉장고는 대부분 소형이며, 냉장실 내부의 일정한 공간에 냉동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또한, 탑마운트 타입 냉장고 중에서도 상부의 냉장실을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하는 형태의 프렌치 타입(French Type) 냉장고도 제공되고 있다. 프렌치 타입 냉장고의 냉동실도 마찬가지로 좌우 도어를 통해 개폐될 수 있다.
냉장실과 냉동실에는 저장물이 놓이는 선반이나 저장물이 담겨있는 수납 박스들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수납 박스는 저장실 내부에서 독립적인 저장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채소나 과일 등을 다른 저장물과 독립적으로 보관하거나 육류나 어폐류 등을 다른 저장물과 독립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수납 박스가 구비될 수 있다.
최근에는 냉장고의 용량이 대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냉장실이나 냉동실과 같은 저장실의 전후 폭이 커지게 되므로, 내부 깊숙히 저장되어 있는 저장물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따라서, 수납 박스는 대부분 드로워 형태로 제공되고 있다. 즉,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잡아당겨 인출하여 내부의 저장물을 꺼낼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드로워 형태의 수납 박스는 대부분 냉장고의 하부 영역에 제공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키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냉장고의 도어 배면에 홈 바(home-bar), 아이스 메이커, 선반 또는 도어 박스 등이 장착되어, 도어 배면을 별도의 저장 공간으로 활용하거나 별도의 기능 공간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즉, 도어의 기능이 단순히 냉동실이나 냉장실을 개폐하는 것을 넘어서, 도어가 별도의 저장 공간을 형성하거나 얼음이나 냉수의 생성 및 공급 등과 같은 부가적인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도어 배면이 냉장실이나 냉동실 내부로 인입되는 거리가 더욱 길어지고 있다. 따라서, 도어 배면과 냉장실 또는 냉동실 내부에 구비되는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면부가 도어의 배면과 간섭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면부는 냉장고의 본체 전면에서 소정 거리 후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이나 수납 박스의 전면부는 냉동실이나 냉장실의 후방으로 더욱 이격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수납 박스가 드로워 형태로 구비되는 경우, 사용자가 수납 박스의 전면부를 잡고 인출하는데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는 손을 저장실 내부로 더욱 깊이 넣은 후 수납 박스를 인출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수납 박스가 냉장고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 웅크린 자세에서 손을 뻗어 수납 박스를 인출하는 것은 여간 불편한 일이 아니라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수납 박스를 인출하기 위해 도어를 열었을 때, 수납 박스의 전면부(예를 들어, 수납 박스의 손잡이)가 사용자 바로 앞에 있지 않고 저장실 깊숙이 위치되어 있다고 상상하면, 이러한 불편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0-0130357 (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와 연동되는 수납구조를 제공한 바 있다. 상기 선행발명은 도어와 수납구조를 기구적으로 연동시키는 링크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도어를 열면 링크가 수납구조를 인출시키게 된다. 즉, 사용자가 수납구조에 제공되는 드로워를 보다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기구적으로 수납구조를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격된 위치로 인출시키게 된다. 즉, 실질적으로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질수록 드로워의 인출 거리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선행발명은 도어를 개방하면 필연적으로 링크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링크가 사용자의 동선과 간섭되는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이러한 링크로 인해 미려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된다.
또한, 선행발명은 도어 개방을 위하여 추가적인 힘을 요구하게 된다. 왜냐하면, 도어 개방에 필요한 힘과 함께 드로워를 잡아당기는 힘이 추가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특히, 도어를 개방하는 초기에 상대적으로 많은 힘이 소요될 수 있다. 왜냐하면, 드로워의 정지 마찰력보다 큰 힘이 가해져야 드로워가 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드로워의 정지 마찰력은 하중에 비례하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에 저장물이 많이 저장된 경우에는 용이하게 도어를 개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선행발명은 실질적으로 저장실 전체 공간을 차지하는 수납구조가 전후로 이동되기 때문에 저장물을 수납하는 공간이 상대적으로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 즉, 저장실 전체의 체적에 비해서 저장물을 수납하는 공간이 상당히 축소될 수 있다.
도어의 사용 양태를 살펴보면, 사용자가 도어를 부드럽게 개방하지 않고 매우 큰 힘으로 매우 빠르게 도어를 개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링크 및 드로워에는 매우 큰 힘과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탄성장치에도 매우 큰 힘과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도어, 링크, 링크와 드로워 사이를 연결하는 부분 그리고 탄성장치의 손상이 발생될 우려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선행발명은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수납구조를 초기 위치로 인입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링크에 의해서 수납구조의 인입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납구조의 일부분을 사용하는 경우,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면 사용하지 않는 수납구조의 다른 부분은 무의미하게 인출된 상태로 유지될 수 밖에 없다. 이는 불필요한 냉기 손실을 유발함을 의미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냉장고에서의 드로워 특히 냉동실의 드로워는 레일을 통해서 인입 및 인출된다. 레일은 저장실의 측벽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에는 레일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레일 연결부는 롤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레일에 삽입된 상태로 드로워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드로워는 드로워를 레일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특히, 드로워에 무거운 저장물이 수납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드로워를 든 상태에서 레일에 롤러를 끼워 맞추는 것은 쉽지 않은 작업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는 드로워를 인출시킨 후 저장물들을 수납하거나 저장물들을 꺼내는 것이 아닌, 드로워 전체를 냉장고에서 분리시킨 후 사용하는 경우도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일일이 상기 레일에서 상기 레일 연결부를 분리시키고 다시 결합하는 것이 여간 번거로운 일이 아닐 것이다. 따라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용자는 드로워의 분리 필요성을 알면서도 분리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종래 냉장고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 이외에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도어의 개방에 소요되는 힘과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힘은 서로 개별적 또는 독립적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도어에 수동으로 가하는 힘을 통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무관한 전동력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비전기적으로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모터의 구동과 무관하게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모터의 구동력이 드로워의 인출시 드로워에 전달되고 드로워의 인입시에는 전달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수동으로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가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와 다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보다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가 더 빠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드로워의 인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제거되어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드로워의 복귀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완전히 복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드로워가 인출될 수 있고 자동으로 드로워가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드로워가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드로워의 인출 속도와 인입 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드로워가 도어와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개방 및/또는 닫힘 속도를 감지하여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의 속도, 특히 모터의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 각도 및/또는 도어 닫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시 자동으로 이동하는 드로워 사이에 간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도어 열림(닫힘)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각도에서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기설정된 도어 열림 각도가 제품 모델에 따라 변경이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 감지와 도어의 닫힘 감지가 동일한 각도일 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저장실 내부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을 동시에 복수 개의 드로워로 전달하는 무빙 프레임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중의 분산 특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조립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무빙 프레임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입 및 인출이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 또는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 구동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와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부 등 이러한 구성들과 연관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필요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들로 인해 저장실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에 상기 드로워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즉, 레일과 드로워의 레일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유지한 채, 바스켓만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레일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드로워에 대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도어의 개방 시 자동으로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인출이 자동적으로(automatically) 및/또는 전기적으로(electrically)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도어의 닫힘 시 수동으로(manually)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도어의 닫힘 시 비전기적으로(non-electrically)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도어의 닫힘 시 탄성적으로(elastically)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사용자가 도어의 개폐시 상기 도어에 가하는 힘과 무관하게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도어의 닫힘 시 자동적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상기 드로워가 자동적으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인입 및 인출을 위해서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인출을 위해서는 시계 방향으로의 모터가 구동될 수 있고, 인입을 위해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는 제어부에서 제어될 수 있다.
드로워의 인입을 위한 모터 속도와 드로워의 인출을 위한 모터 속도는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물론, 양자를 같게 제어할 수도 있다. 도어의 개방 시 이동하는 드로워와 도어의 충격에 비하여 도어의 닫힘 시 이동하는 드로워와 도어의 충격이 상대적으로 더욱 클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와 도어의 충격 방지 또는 충격 최소화를 위해서 드로워의 인입을 위한 모터 속도가 드로워의 인출을 위한 모터 속도보다는 크도록 제어할 수 있다.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속도는 도어의 이동 속도에 따라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도어의 닫힘 속도가 커지면 드로워의 인입을 위한 모터 속도는 더욱 크게 제어될 수 있다. 도어의 열림 속도가 커지면 드로워의 인출을 위한 모터 속도는 더욱 커질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도어의 개방 각도의 증가 변화와 무관하게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인출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지더라도 상기 드로워가 이동하지 않고, 특정 개방 각도 또는 개방 각도 범위에서 인출될 수 있다. 반대로, 도어의 닫힘 각도가 작아지더라도 상기 드로워가 이동하지 않고, 특정 개방 각도 또는 개방 각도 범위에서 인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와 기구적으로 연동되지 않고 드로워가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사용자가 도어에 가하는 힘과 무관하게 상기 탄성 복원력만을 이용하여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의 구간에서는 항상 상기 드로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드로워의 이동과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과는 무관하게 된다.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더욱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드로워와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양자의 연결 해제에 의해서 드로워는 수동으로 더욱 인출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전방 이동 시 상기 드로워를 밀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구동시켜 상기 무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를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복귀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를 밀어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여기서, 무빙 프레임의 복귀된 위치를 마찬가지로 초기위치라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역방향으로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프레임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제거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이는 드로워의 복귀를 방해하는 힘이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 또는 해제됨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드로워가 닫히는 도어에 의해서 용이하게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물론, 탄성장치가 구비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의 복귀를 방해하는 힘이 제거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복귀되므로 매우 빠른 속도로 드로워가 복귀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어에 드로워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탄성장치가 구비되면 도어가 열려 있는 상태에서도 드로워를 초기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복수 개의 드로워 중 사용이 종료된 드로워를 초기위치로 인입시켜 냉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 그리고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탄성장치를 탄성 변형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는 힘과 상기 탄성장치를 탄성 변형시키는 힘은 모두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는 무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인입시키는 힘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도어를 닫는 힘과는 무관할 수 있다. 즉,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가 후방으로 인입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는 바스켓 안착부와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과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레일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 지지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저장실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트 커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며, 상기 서포트 커버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에서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전후로 슬릿이 형성된 서포트 커버;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트 커버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며, 상기 슬릿을 관통하여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에서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 상기 마그넷과 이격되도록 상기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마그넷,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에 의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에서 접점이 전환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그리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상기 인출 단계 후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정지하는 정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단계는 상기 정지 단계 후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개방 각도일 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센서를 통한 도어 개방 신호의 발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밀착 여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기 센서와는 별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기능적으로, 상기 도어 스위치는 저장실 내의 조명 제어를 위해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드로워의 이동과 연관되는 모터의 제어를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도어의 개방뿐만 아니라 도어의 닫힘도 감지함이 바람직하다. 도어의 개방 감지는 도어가 열리면서 소정각도까지 열렸음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도어의 닫힘 감지는 도어가 닫히면서 소정각도까지 닫혔음을 감지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도어의 개방 및 닫힘 감지 각도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일례로 90도일 수 있다.
상기 제어방법은 드로워가 닫히는 도어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하여 긴급 복귀 단계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급 복귀 단계는 인출되는 드로워나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도록 구동되는 모터 어셈블리를 보호하기 위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 수행 도중, 상기 센서를 통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수행하는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를 정지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급 복귀 단계 수행 시작 시, 상기 모터가 일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소정 시간 정지한 후 역방향으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배치된 높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식품출입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서 인출된 지점에서는 상기 무빙프레임과 상기 드로워의 분리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무빙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의 일측과 상기 저장실의 내벽에 각각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상기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과정보다 폐쇄과정에서 더 빠른 속도로 상기 전동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저장실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 측면에 결합된 이동레일;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장실 내벽에 장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서포트 커버; 상기 서포트 커버 외부면에 상하로 장착된 복수 개의 레일; 상기 복수 개의 레일에 의해서 상기 식품출입구를 통해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 내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서포트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배치된 높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전달부재를 통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서포트 커버 내부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르면,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을 밀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을 밀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외측면이 상기 저장실의 내면을 형성하고 내측면이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마주보도록 장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서포트 커버;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된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서 상기 식품출입구를 통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저장실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전달부재를 통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저장실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의 인입 시 탄성 복원되는 탄성장치;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구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가 대기위치까지 전방으로 인출되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의 특징들은 서로 모순되거나 배타적이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에서 복합적으로 구현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의 도어를 열었을 때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되는 냉장고를 할 수 있다. 즉,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대기위치는 초기위치에서 드로워가 소정 길이 전방으로 인출된 위치를 의미한다. 즉, 저장실 내의 드로워가 사용자의 위치에 보다 가까운 위치로 인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게 드로워를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초기위치에서보다 더욱 사용자에게 가까운 위치인 대기위치까지 드로워가 자동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는 더욱 편리하게 드로워를 잡고 인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자동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는 힘 이외에 추가적인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냉장고를 할 수 있다. 즉, 도어의 개방에 소요되는 힘과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의 이동에 소요되는 힘은 서로 개별적 또는 독립적인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가 도어에 수동으로 가하는 힘을 통해 도어가 개방되도록 하고, 사용자가 가하는 힘과 무관한 전동력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부가적인 힘을 소모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드로워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비전기적으로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지 않고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기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모터의 구동과 무관하게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기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모터의 구동력이 드로워의 인출시 드로워에 전달되고 드로워의 인입시에는 전달되지 않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기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도록 하고, 수동으로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전기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가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와 다른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보다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하는 속도가 더 빠른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가 복귀되면서 닫히고 있는 도어와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드로워의 인입을 방해하는 요소가 제거되어 탄성 복원력을 이용하여 드로워의 복귀 속도가 상대적으로 빠른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도어가 닫히는 도중에 드로워가 초기위치로 완전히 복귀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드로워가 복귀되면서 닫히고 있는 도어와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드로워가 인출될 수 있고 자동으로 드로워가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어 드로워가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드로워의 인출 속도와 인입 속도를 달리 제어하여 드로워가 도어와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도어의 개방 및/또는 닫힘 속도를 감지하여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의 속도, 특히 모터의 속도를 가변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가 너무 빨리 인출되어 개방되는 도어와 부딪히거나, 드로워가 너무 늦게 인출되어 사용자가 드로워가 대기위치까지 인출되기까지 기다리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가 너무 늦게 인입되어 닫히는 도어와 부딪히거나, 너무 빨리 인입되어 드로워에 큰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 각도 및/또는 도어 닫힘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하여, 도어의 개폐 시 자동으로 이동하는 드로워 사이에 간섭을 현저히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도어 열림(닫힘) 각도가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각도에서 매우 정확하게 도어 열림(닫힘)을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기설정된 도어 열림 각도가 제품 모델에 따라 변경이 되더라도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도어 열림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 절감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종래의 냉장고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하나의 센서를 통해서 도어의 열림 감지와 도어의 닫힘 감지가 동일한 각도일 때 감지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조비 절감 및 제어 로직 구성이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구성이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전동 구동부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이 편리하고 미려한 저장실 내부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나의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을 동시에 복수 개의 드로워로 전달하는 무빙 프레임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은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프레임이 아니다. 즉, 단순히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인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다. 따라서, 전동 구동부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하중의 분산 특성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조립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무빙 프레임을 갖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하중의 분산은 무빙 프레임 자체의 하중 분산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 개의 드로워가 편차 없이 균일하게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입 및 인출이 신뢰성 및 내구성을 갖고 수행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전동 구동부의 과부하 또는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하여 전동 구동부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자동으로 인출되는 드로워와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전동 구동부 등 이러한 구성들과 연관되는 구성들을 용이하게 조립함과 동시에 필요 시 용이하게 수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구성들로 인해 저장실 용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일체로 자동 인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조 및 유지 보수가 용이한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에 상기 드로워를 용이하게 연결하고 분리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드로워에서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만을 용이하게 분리 및 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레일과 드로워의 레일 연결부 사이의 연결은 유지한 채, 바스켓만 용이하게 분리 및 재결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레일이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일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드로워가 구속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미려한 디자인을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통하여, 모터의 부하를 최소화하고 드로워에 대한 다양한 사용 환경에 따라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어가 개방된 후 매우 빠르게 도어가 닫히는 경우, 도어가 드로워와 부딪히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도어와 드로워와의 부딪힘에 의해서 모터에 가해질 수 있는 과부하 발생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을 도시하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하부 저장실 부분을 도시하고,
도 3은 저장실에 대한 드로워의 위치 정의를 위한 간략한 개념도이며,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어셈블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에서, 서포트 커버에 레일이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에서,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의 초기위치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에서,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의 대기위치 모습을 도시하고,
도 8은 도 4에 도시된 무빙 프레임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A” 영역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0은 드로워의 걸림부재와 무빙 프레임의 전달부재가 연결된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1은 드로워와 서포트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을 확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포트 어셈블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에서, 서포트 커버에 레일과 탄성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도시하고,
도 14는 드로워와 서포트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을 확대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15는 탄성장치의 일례에 대한 정면 모습을 도시하고,
도 16은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서 드로워 하부와 서포트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에 대한 측면을 도시하고,
도 17은 드로워의 대기 위치에서 드로워 하부와 서포트 어셈블리의 연결 부분에 대한 측면을 도시하고,
도 18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서포트 어셈블리 또는 측벽과 복수 개의 드로워를 도시하고,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를 분해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20는 도 18에 도시된 무빙 프레임과 드로워 사이의 연결 부분을 도시하고,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걸이부재와 드로워 사이의 연결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걸이부재와 드로워 사이의 연결 해제 모습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2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드로워를 도시하고;
도 2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는 레일을 도시하고,
도 25는 도 23에 도시된 드로워가 도 24에 도시된 레일과 결합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도 26은 드로워와 레일이 결합된 후 도 25에 도시된 “B’” 영역을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27은 도 2에 도시된 센서의 일실시예와 상기 센서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고,
도 28은 도 2에 도시된 센서의 다른 실시예와 상기 센서의 장착 모습을 도시하고,
도 2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의 블럭도이며,
도 30 내지 도 3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서 각각의 단계에 대한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의 정면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에 냉장실(11) 그리고 하부에 냉동실(12, 13)이 구비되는 4 도어 냉장고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편의상 상부 냉장실의 좌우 도어는 생략되었고, 하부 냉동실의 좌측 도어는 생략되어, 하부 냉동실의 우측 도어(20)만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는 이러한 형태의 냉장고뿐만 아니라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by-side) 형태의 냉장고에도 적용할 수 있다. 즉,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하는 드로워가 구비되는 냉장고이면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11, 12, 13)이 구비되는 캐비닛(10)과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를 포함한다. 상기 도어(20)는 캐비닛에 대해서 회전하여 상기 저장실을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20)를 회전 도어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저장실이 복수 개이면, 이에 대응하여 도어도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냉장실(11)과 냉동실(12, 13)은 수평 격벽(14)을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좌측 냉동실(12)과 우측 냉동실(13)은 별도의 측벽 내지는 격벽(16)을 통해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상기 격벽(16)을 편의상 수직 격벽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1), 좌측 냉동실(12) 그리고 우측 냉동실(13)은 각각 개별적인 도어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저장실(11, 12, 13), 특히 냉동실(12, 13)에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을 포함하는 드로워(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드로워 프레임(31)에 상기 바스켓(31)이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로워는 전면에 전방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방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바스켓 내부의 저장물에 접근할 수 있다. 부가적 또는 대체적으로, 상기 드로워는 상면에 상부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상부 개구부를 통해 사용자가 바스켓 내부의 저장물에 접근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하로 3 개의 드로워(30a, 30b, 30c)가 우측 냉동실과 좌측 냉동실 각각 구비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물론, 본 실시예는 냉동실뿐만 아니라 냉장실에 드로워가 구비된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하나의 도어에 하나, 둘 또는 세 개의 드로워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할 수 있으며, 4 개 이상의 드로워가 하나의 도어와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어(20)의 개방 및/또는 개폐와 연동되어, 상기 드로워(30)가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어(20)를 통해 우측 냉동실(13)을 개방하거나 폐쇄함에 따라, 상기 우측 냉동실(13)에 구비되는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드로워의 자동 이동은 양쪽 냉동실(12, 13) 중 어느 하나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양쪽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냉동실이 아닌 냉장실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에서 하부 냉동실(12, 13) 부분만을 도시한 것으로, 생략된 좌측 냉동실 도어는 닫혀 있는 상태라 할 수 있고, 우측 냉동실 도어(20)는 열려 있는 상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는 우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에 비해 저장실 내측으로 더욱 인입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모습을 기준으로, 좌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위치를 초기위치 그리고 우측 냉동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의 위치를 대기위치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20)가 닫혀있는 상태에서의 드로워(30)는 초기위치에 위치되어 있으며, 도어(20)가 열려있는 상태에서의 드로워(30)는 대기위치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된 상태인 경우에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초기위치는 도어(2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간섭이 배제되어 도어(20)가 완전히 닫힐 수 있도록 저장실 내부에 인입된 위치를 의미하며, 상기 대기위치는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용이하게 잡을 수 있는 위치로 상기 드로워(30)가 인출된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대기위치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이격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대기위치는 도어가 개방되면 자동으로 인출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드로워(30)의 인출과 인입 위치 및 거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30)의 세가지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편의상, 드로워의 위치는 드로워(30)의 전면부 또는 손잡이(35)를 기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먼저, “P1” 위치를 초기위치라 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바스켓(25)과 드로워(30)가 간섭되지 않도록 드로워(30)가 인입된 위치를 초기위치라 할 수 있다.
“P2” 위치는 “P1” 위치에서 전방으로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로서,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용이하게 인출하도록 드로워가 기설정된 거리만큼 인출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를 대기위치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P2” 위치는 사용자가 드로워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대기하고 있는 위치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P2” 위치는 대략 100mm 내지 120mm 가량 “P1” 위치에서 인출된 거리에 있는 위치일 수 있다.
“P3” 위치는 “P2” 위치에서 더욱 전방으로 이격된 위치로서, 최대로 인출될 수 있는 위치라 할 수 있다. 즉, 드로워(30)가 저장실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로 인출될 수 있는 최대인출위치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냉장고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경우는, 드로워가 정상적으로 위치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따라서, 드로워(30)가 “P1” 위치에서 점차 “P3”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인출 그리고, “P3” 위치에서 점차 “P1”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인입이라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20)의 배면에 수납 박스나 바스켓(25)들이 구비되며 이를 통해 별도의 도어 저장 영역(21)이 형성될 수 있다. 도어(20) 특히 도어에 구비되는 바스켓(25)과 드로워(30)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드로워는 초기위치(“P1” 위치)로 인입되어 있다. 사용자가 저장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도어(20)를 열면, 상기 드로워(30)는 사용자가 보다 쉽게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된 대기위치(“P2”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의 전면부 또는 손잡이(35)가 사용자와 보다 가까운 위치까지 이동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드로워를 인출할 수 있다.
즉, 초기위치는 드로워가 실질적으로는 최대로 저장실 내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의 드로워 위치라고 할 수 있으며, 대기위치는 상기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기위치에서,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35)를 잡기 위해 저장실 깊숙이 손을 집어넣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드로워(30)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드로워(30)에 저장물을 넣거나 꺼내기 위해서, 사용자는 드로워(30)를 최대 인출위치(“P3” 위치)까지 드로워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는 대기위치에서도 저장실의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개구부를 식품출입구라 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개방되더라도 상기 드로워(30) 특히 드로워의 전면부 또는 손잡이(35)가 개구부(17)보다 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여전히 드로워(30)가 저장실 내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도어(20)를 개방한다는 것은 반드시 드로워(30)의 사용 내지는 인출을 의도한 것이 아닐 수 있기 때문이다. 일례로 상기 도어 저장 영역(21)을 사용하기 위하여 도어(20)를 개방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복수 개의 드로워(30)가 있는 경우, 특정 드로워만 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인출되지 않을 드로워(30)가 저장실 외부로 인출되는 것은 냉기 손실만을 야기할 뿐이기 때문이다.
후술하겠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러한 사용자의 도어 개방 형태, 특히 특정 도어 개방 각도에서, 드로워가 자동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불필요하게 드로워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냉기 손실 및 에너지 손실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드로워와 도어 사이의 간섭이 최소화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어가 열리면 기본적으로 저장실의 냉기가 손실된다. 그리고,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드로워의 바스켓 내부의 냉기도 손실된다. 즉, 드로워의 인출 길이가 커짐에 따라 바스켓 내부의 냉기 손실이 가속되며, 특히 드로워가 상기 식품출입구보다 더욱 전방으로 인출되면 냉기의 손실은 더욱 가속될 수 있다. 따라서, 대기위치에서의 바스켓 내부의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도 상기 드로워(30)가 저장실 내부를 벗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대기위치는 일례로 상기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대략 120mm 이동된 위치라 일 수 있다. 물론, 상기 대기위치와 초기위치 사이의 간격은 냉장고의 형태, 드로워의 위치, 상기 도어의 저장 영역(21)이 상기 저장실 내부로 인입된 거리 그리고 냉장고의 용량 등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상기 대기위치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 또는 손잡이(35)가 상기 저장실의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는 위치임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개구부(17)를 벗어나지 않고 상기 개구부보다 내측에 상기 전면부 또는 손잡이가 위치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가 열리면 상기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인출)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가 개방되면, 드로워의 전면부가 식품출입구(17) 방향으로 자동으로 이동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전동 구동부가 구동되는 조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P1’” 위치에서 “P2” 위치로 드로워가 인출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가 도어를 여는 힘과 무관하게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하고 상기 드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서포트 어셈블리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냉동실 측벽에 결합될 수 있는 서포트 어셈블리(100)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냉동실의 측벽 중 어느 하나인 격벽(16)과 상기 냉동실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는 상기 냉동실 격벽(16) 좌우에 각각 냉동실이 구비되는 경우이며, 냉동실이 하나인 경우 상기 격벽(16)은 냉동실의 좌측 단열벽(좌측 측벽) 또는 우측 단열벽(우측 측벽)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6) 좌우에 각각 냉동실이 구비되는 경우, 양쪽 냉동실이 아닌 어느 하나의 냉동실에만 서포트 어셈블리(100)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어느 경우나,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저장실의 측벽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저장실이 하나인 경우 저장실의 양쪽 측벽은 모두 단열벽일 수 있다. 단열벽은, 내부 공간에 단열재가 충진된 벽이라 할 수 있다. 저장실이 좌우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 좌우 저장실은 격벽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좌측 저장실의 좌측벽은 단열벽이며 우측벽은 상기 격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 저장실의 우측벽은 단열벽이면 좌측벽은 상기 격벽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비단열벽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냉동실이 구분되는 경우, 좌측 벽 또는 우측 벽에 이러한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좌측벽 또는 우측벽은 단열벽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단열벽에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은 단열 성능 측면에서 불리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단열벽 두께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서포트 어셈블리(100) 저장실 내부 공간이 매우 작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냉동실의 측벽들 중 단열 성능이 우선되지 않는 냉동실 격벽(16)에 이러한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냉동실의 측벽이 아닌 냉장실의 측벽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냉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출되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냉장실도 냉동실과 마찬가지로 좌우로 구획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냉장실을 좌우로 구획하는 격벽이 구비될 수 있다. 냉장실을 형성하는 측벽들 어느 하나에 서포트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러나, 단열 성능 저하 방지 및 저장실 공간 축소 최소화를 위해서 측벽들 중 격벽에 서포트 어셈블리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격벽(16)은 좌우 냉동실을 구획하는 격벽으로 좌우가 대칭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동일한 형태의 서포트 어셈블리가 동일한 형태로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좌우 냉동실에 모두 자동으로 인출/인입되는 드로워들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측벽, 특히 좌우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16) 좌우에 각각 서포트 어셈블리(100)가 장착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드로워(30)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구조들을 형성한다.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는 서포트 커버(11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는 냉동실의 일측벽 특히 상기 격벽(16)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측벽, 하측벽 그리고 후측벽이 아닌 좌측벽이나 우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커버(110)는 전동 구동부 등 다양한 구성들이 장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통해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가 하나의 어셈블리로 냉동실의 일측벽 특히 상기 격벽(16)에 장착되거나 상기 격벽(16)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서포트 어셈블리(100)가 일체로 저장실의 측벽에 결합되거나 측벽에서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제조가 매우 단순할 수 있으며, 추후 유지 보수도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왜냐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일(120)에서 드로워(30)를 분리한 후,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포함하는 서포트 어셈블리(100) 일체를 상기 격벽(16)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대로, 서포트 어셈블리를 모두 형성한 후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를 상기 격벽(16)에 장착하고, 상기 레일(120)에 드로워(30)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는 외측면(111)과 내측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는 상기 내측면(112)가 상기 측벽과 마주보도록 상기 측벽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측면(111)은 저장실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사 상기 외측면(111)은 저장실의 내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측벽은 격벽일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는 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120)은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은 저장실의 좌우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레일은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에 장착되고 다른 하나의 레일은 저장실의 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레일(120)은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상기 저장실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전후로 슬라이딩되면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드로워의 하중은 상기 레일(120)을 통해서 일측벽 또는 격벽(16)으로 전달될 수 있다. 레일(120) 및 레일(120)과 드로워(30)의 결합 구조에 대한 실시예는 후술한다.
상기 드로워(30)가 복수 개인 경우, 상기 레일(120)도 이에 따라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서포트 커버(110)에 복수 개의 레일(120)이 장착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30)가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레일(120)이 상하로 장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서포트 커버(110)는 내측면(112)이 상기 저장실의 측벽 또는 격벽(16)과 마주보도록 장착됨으로써, 상기 측벽 또는 격벽(16)과의 사이에 소정 공간(130)을 형성한다. 이러한 소정 공간(130)은 저장실 내부에서 노출되지 않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구비되는 구성은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소정 공간을 격리 공간이라 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가 장착되기 위한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소정 공간, 격리 공간 내지는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130)은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과 격벽(16)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내측면(112)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중심으로 상기 격벽(16) 측을 서포트 커버의 내부라 할 수 있다. 반면,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되는 구성들은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111)에는 상기 레일(120)이 장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저장실 내부에서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중심으로 상기 저장실 측을 서포트 커버의 외부라 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에는 전동 구동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서포트 커버(110)가 상기 전동 구동부(150)를 덮고 있기 때문이다. 즉,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부에 상기 전동 구동부(150)가 구비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격벽(16)이 아닌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에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서포트 커버(110)가 상기 격벽(16)에서 분리되면, 상기 전동 구동부(150)도 상기 격벽(16)과 분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구동됨에 따라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드로워(30)가 식품출입구(17)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드로워(30)를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모터 어셈블리(160)와 드로워(30)가 이동하도록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는 무빙 프레임(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를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 이동은 상기 드로워(30)의 전후 이동과 동일한 방향이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속도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속도에 비해 작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 전체가 실질적으로 상기 소정 공간(130)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 전체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 모습이 저장실 내부에서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드로워(30)에 전달되어야 한다. 따라서,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성, 일례로 후술하는 전달부재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전달부재는 서포트 커버(110)의 내부에서 서포트 커버(110)의 외부로 연장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에서 외측면(111)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되는 모터 어셈블리(160)에서 발생되는 힘을 상기 소정 공간(130) 외부에 위치되는 드로워(30)로 전달하는 구성이라고 할 수 있다.
무빙 프레임(170)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격벽(16)에는 관통부(16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부(16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도 4에 도시된 기준으로 기설정된 좌우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시켜 상기 저장실과 격리시킬 경우, 상기 격벽(16)의 좌우 폭이나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좌우 폭이 지나치게 커질 우려가 있다. 이는 저장실 내부 공간을 협소하게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6a)를 통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로 인하여 상기 저장실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가 상기 격벽(16)의 좌우에 각각 위치되는 경우, 좌측의 모터 어셈블리(좌측 냉동실의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16a)를 관통하여 우측의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반대로, 우측의 모터 어셈블리(우측 냉동실의 드로워를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어셈블리)의 일부는 상기 관통부(16a)를 관통하여 좌측의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하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60)는 좌우 폭 일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상하 나란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60)가 동일 높이에서 좌우로 나란히 위치되는 경우보다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로 인한 두께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부(16a)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외형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6a)에 모터 어셈블리(160)가 형합되어 고정 및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격벽(16) 좌우에 각각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관통부(16a)는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측에는 일측 모터 어셈블리가 관통하고 하측에는 타측 모터 어셈블리가 관통하게 된다. 즉, 관통부(16a)를 통해서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6a)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가 상기 격벽(16)에 결합됨에 따라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 의해서 덮히게 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16a)는 격벽(16) 좌우에 각각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저장실의 일측벽에만 모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관통부는 함몰부로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의 좌우 폭 중 일부분은 상기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로 인한 저장실 공간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전기 에너지를 통해 작동하는 모터(162)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는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즉, 냉장고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까지 전선이 연결되어야 한다.
상기 격벽(16)에는 전선이 연결되기 위한 상부 개구부(16b)가 형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연결되는 전선은 도 1에 도시된 수평 격벽(14) 내부를 통해 상기 수직 격벽(16)의 상부 개구부(16b)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격벽(16)에는 전선 관통부(16c)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전선이 상기 상부 개구부(16b)에서 상기 전선 관통부(16b)까지 더욱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전선 관통부(16c)에서 오른쪽(일측)으로 전선(16d)이 더욱 연장된 후 전선 결합부(16e)로 마감될 수 있다. 도시된 전선 결합부(16e)는 오른쪽에 구비되는 모터 어셈블리(160)와 결선되기 위한 전선 결합부라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선 관통부(16c)의 왼쪽(타측)에도 전선 및 전선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격벽(16)에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장착하기 전에 수평 격벽(14) 및 수직 격벽(16)을 통해서 전선을 연장시킨 후 상기 전선 관통부(16c)를 전선이 관통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선의 말단에 전선 결합부(16e)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전선 결합부(16e)는 전술한 소정 공간(130) 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4)에 장착하기 전에, 먼저 상기 전선 결합부(16e)를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160)를 결선한다. 그리고, 서포트 커버에 형성되는 체결부(118)와 격벽(16)에 형성되는 체결부(16f)를 통하여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격벽(16)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체결부(118, 16f)는 스크류 결합을 위한 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스크류들을 제거하여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6)에서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전선 결합부(16e)와 모터 어셈블리(160)의 결선을 제거함으로써,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상기 격벽(16)에서 완전히 분리할 수 있다. 즉, 격벽(16)과의 구조적 그리고 전기적 연결이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격벽(16) 또는 저장실의 측벽의 구조,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구조, 상기 격벽 또는 측벽을 통한 전선의 연결 구조 등을 통해서,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결합, 분리 그리고 결선이 매우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60)는 모터(16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모터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모터의 회전축 방향은 상기 저장실의 측벽 또는 격벽(16)과 수직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자체의 크기(원통형 모터의 높이)로 인해 모터 어셈블리(100)의 좌우 폭이 커질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는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의 형상에 따라 원형의 모터 회피홈(1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 회피홈(116)은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160) 전체의 좌우 폭이 커질 필요없이 모터에 해당하는 부분만 확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확장 부분과의 간섭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회피홈(116)을 서포트 커버(110)에 형성할 수 있다.
우측 서포트 커버를 기준으로 상기 모터 회피홈(119)은 우측으로 돌출된다. 돌출되는 모터 회피홈(119)에 의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는 다른 구성들이 간섭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 회피홈(119)은 레일(120)과 레일(120)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 세 개의 레일(120)이 장착된다고 가정하면, 우측 서포트 커버에는 중간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좌측 서포트 커버에는 상부 레일과 중간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회피홈(119)을 통해서,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 더욱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레일과 레일 사이에 상기 모터 회피홈(119)을 형성함으로써, 전술한 소정 공간(130)의 전체 확장으로 인한 저장실 공간 축소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만약, 상기 모터의 크기를 고려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 전체의 좌우 폭을 더욱 키우는 경우, 일례로 모터 어셈블리의 하우징(161) 전체의 좌우 폭을 더욱 키우는 경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와 상기 레일 사이의 간섭 회피를 위해 상기 저장실 내부 공간이 축소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드로워를 지지하고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는 구조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서포트 어셈블리의 상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도 5에는 서포트 커버(110)에 하나의 드로워(30)에 대응되는 레일(120)과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드로워(30)가 도시되지 않았지만, 드로워(30)는 도 5에 도시된 레일(120)을 통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잡아 당기거나 밀면서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거나 인입시킨다. 이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하면서 상기 드로워의 인입과 인출이 용이하도록 상기 레일(120)이 구비됨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111) 즉 저장실 내부를 향하는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 특히 모터 어셈블리(160)는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면(112)은 상기 측벽 또는 격벽(16)을 마주보는 면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112) 부분에서 발생된 힘 또는 변위를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111) 부분으로 전달하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는 관통부(113)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부(113)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30)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17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무빙 프레임(170)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된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구성일 수 있다. 즉, 어느 경우나,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전달부재(171)를 통해서 상기 드로워(30)에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관통부(113)를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실질적으로 무빙 프레임(170) 전체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112) 부분에서 이동되지만,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관통부(113)를 관통하여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111) 부분에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는 관통부(113)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171)는 전후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관통부(113)는 상기 전달부재(171)의 이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13)를 전후로 길게 형성된 슬릿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전동 구동부의 힘,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3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30)를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레일을 통해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로워를 조작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드로워(30)가 이동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의 하중은 레일(120)을 통해 서포트 커버(110)로 전달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서포트 커버(110)로 전달된 하중은 서포트 커버(110)가 장착되는 측벽이나 격벽에 전달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의 하중은 실질적으로 전동 구동부(150)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의 인출을 위해 전동 구동부(150)에 걸리는 부하는 드로워의 하중과는 실질적으로 거의 무관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드로워의 하중은 전동 구동부(150) 특히 무빙 프레임(170)에 전달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 방향이 실질적으로 드로워의 하중 방향과 수직이므로, 드로워의 하중 증가가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드로워의 하중이 수직 방향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드로워의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무빙 프레임(170)이 원활히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전동 구동부(150)와 드로워(3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의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이며, 도 7은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의 서포트 어셈블리(100)를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에서 바라본 모습이다. 물론, 상기 서포트 커버(110)는 드로워의 이동과 무관하게 항상 저장실의 측벽이나 격벽에 고정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모터 어셈블리(160)는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과 상기 격벽(16) 사이의 소정 공간 내지는 전동 구동부 장착 공간(130)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어셈블리(160)도 드로워의 이동과 무관하게 항상 서포트 어셈블리(100)에 고정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하우징(16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161) 내부에는 모터(162)와 기어(162a) 등 동력 구성이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61)이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서포트 커버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62) 형상에 의해서 상기 모터(162)에 해당되는 부분의 하우징(161)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더욱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는 전술한 모터 회피홈(119)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기어(162a)는 회전 속도의 감속 및 토크 전달을 위해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연결부재(163)를 포함한다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 특히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 특히 상기 하우징(161)에서 인출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가변되도록 할 수 있다. 고정된 하우징(161)에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길어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가 증가한다. 반대로, 연결부재(163)의 인출 거리가 작아짐에 따라 상기 하우징(161)과 상기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가 감소한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연결부재(163)의 인출거리가 가변되도록 구동하면서, 결과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63)의 일측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일체로 이동하도록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연결부재(163)의 타측은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연결부재 결합부(174)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연결부재(163)가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부재(163)의 이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으로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163)는 랙(rack)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피니언(pinion)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어(162a) 중 어느 하나가 피니언 기어로서 상기 연결부재(163)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모터(162)의 시계방향 회전이 상기 기어(162a)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전방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고, 상기 모터(162)의 반시계방향 회전이 상기 기어(163a)를 통해서 상기 연결부재(163)의 후방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물론, 기어 구성으로 인해 모터의 회전 방향과 연결부재의 이동 방향은 반대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정역 구동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의 인출 거리가 증가 또는 감소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은 연결부재(163)를 밀거나 당기게 되며,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력을 드로워(30)에 전달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드로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드로워가 저장실에 구비될 수 있으며, 도어가 개방되면 복수 개의 드로워 모두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복수 개의 드로워의 이동은 일괄적으로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하나의 드로워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드로워 모두에게 힘을 전달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하로 복수 개 배치된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상하로 길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복수 개의 전달부재(171)가 구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달부재들은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에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전달부재(171)는 하나의 드로워(30)와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을 통해서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를 모두 이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을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 6과 도 7에는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에 3 개의 전달부재(171)가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는,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하여 상하로 배치된 3개의 드로워를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즉, 단일 연결부재(163)의 이동을 통해서 3 개의 드로워가 동시에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될 수 있음을 의미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하나의 모터 어셈블리(160), 하나의 연결부재(163) 그리고 하나의 무빙 프레임(170)을 통해 복수 개의 드로워를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하나의 도어(20)와 연동되는 전동 구동부(150)를 하나만 구비함에도 불구하고, 복수 개의 드로워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구성이 단순할 수 있고, 쉽고 용이한 제어 로직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드로워마다 모터 어셈블리(160), 연결부재(163) 그리고 무빙 프레임(170)을 각각 형성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저장실 용량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물론, 제조비 증가를 최소화하고 설치 및 유지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서포트 커버(110)의 내측면(112)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복수 개의 드로워(30)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 연장된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판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무빙 프레임(170)이 이동할 때 상부와 하부의 이동 편차가 최소화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무빙 프레임(170)의 사시도이다. 하나의 무빙 프레임을 통해서 세 개의 드로워를 동시에 인출시키기 위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그리고 중간에는 각각 전달부재(171)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복수 개의 드로워(30) 높이에 대응되도록 수직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판 형상으로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상기 강도 보강을 위해서 복수 개의 리브(170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브는 수평 리브와 수직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브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이동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폭을 갖는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전후 폭 보다는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욱 큰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높이는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들의 배치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은 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프레임(170)의 두께로 인하여 저장실 공간이 축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충분한 강성을 갖고 복수 개의 드로워(30)를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드로워(30)를 가압할 때 두께 방향이 아닌 전후 방향으로 힘을 받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에 한 쌍 그리고 하부에 한 쌍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중간 부분에도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최소한 상하 좌우에 4 개의 지지점을 갖고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하 각각 2개의 지지점 그리고 중간 부분에서의 2개 지지점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00)의 전후 이동 시 무빙 프레임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172)를 형성하기 위해서 전후로 폭이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확장된 부분에 전달부재(171)가 형성될 수 있다.
반면에, 중간에 형성되는 전달부재 부분에는 이러한 확장된 부분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에 형성되는 전달부재(171)가 장기간 사용시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연결 부분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왜냐하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장시간 사용시 상기 전달부재(171)가 꺾여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히 중간에 구비되는 전달부재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에는 강도 보강 리브나 강도 보강 돌출부(171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강도 보강 리브는 힘을 받는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강도 보강 리브가 형성되거나 상기 전달부재에서 연장된 형태로 강도 보강 돌출부(171a)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중간 부분이 드로워 방향 또는 드로워 반대 방향으로 확장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중간 부분이 볼록하게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전달부재가 슬릿(113)에 구속되거나 상기 슬릿(113)에서 빠져나오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슬릿(113)에서 빠져나오는 경우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드로워(30)로 힘을 전달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부뿐만 아니라 중간부분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는 가이드 바(11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바(114)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바는 상부 가이드 바와 하부 가이드 바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바와 같이,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 중간부 그리고 하부에 각각 대응되도록 가이드 바(11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부, 중간부 그리고 하부에도 각각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상기 가이드 바(114)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상기 가이드 바(114)를 감싼 상태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도 9에는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와 가이드 바(114)의 부분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특히 상부 슬라이딩 지지부(172)가 가이드 바(114)를 감싼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114)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172) 사이에는 라이너(173)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라이너는 POM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옥시메틸렌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라이너가 개재될 수 있다. POM 재질은 매우 우수한 기계적 강도, 내마모성 그리고 마찰 저항이 적고 자체 윤활성을 갖는다. 따라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이드 바(114)에는 그리스(grease)와 같은 윤활유가 칠해짐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 지지부(172)는 가이드 바(114)를 따라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하중과 뒤틀림에 의한 힘에 의해서 슬라이딩 지지부(172)의 원활한 이동이 방해될 수 있다.
무빙 프레임(170)의 하중에 의해서 상기 라이너의 상부 내면과 하부 내면에 마찰이 집중될 수 있다. 그리고, 무빙 프레임(170)에서 돌출된 전달부재(17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한 무빙 프레임(170)의 뒤틀림으로 인해 상기 라이너의 양쪽 내면에 마찰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라이너의 내면 상부, 하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마찰 회피홈(173a, 173b, 173c, 173d)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회피홈을 통해서 라이너와 가이드 바 사이의 마찰력이 최소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무빙 프레임이 견고히 지지됨과 동시에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마찰 회피홈에는 그리스(grease)가 채워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마찰력이 더욱 최소화될 수 있다. 아울러, 마찰 부분에 충분한 그리스가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도 무빙 프레임이 원활히 이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동시에 복수 개의 드로워를 인출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하면, 복수 개의 드로워를 시간과 위치의 편차 없이 동시에 복수 개의 드로워를 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시간과 위치 편차가 발생되면 무빙 프레임(170)의 뒤틀림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무빙 프레임(170)이 원활히 이동되지 못할 수 있으며, 무빙 프레임의 특정 부분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무빙 프레임(170)이 정위치에 장착되는 것이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먼저 가이드 바(114)가 정위치에 장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서 가이드 바 고정부(114a)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바 고정부(114a)는 서포트 프레임의 상부 2 개소 하부 2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바 고정부를 통해서 두 개의 가이드 바는 상하 전후 편차 없이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바를 통해서 무빙 프레임 또한 정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전달부재(171)들이 복수 개의 드로워에 동시에 힘을 전달하기 위해서는, 상기 드로워들도 편차 없이 정위치에 장착되어야 한다. 이에 대해서는 드로워의 상세 구조와 함께 후술한다.
한편, 도 6에서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상하 중심보다 낮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다. 이는,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격벽(16)을 통해 상하로 두 개의 모터 어셈블리(160)가 장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반대편의 서포트 커버(110)에는 모터 어셈블리(160)가 서포트 커버(110)의 상하 중심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모터 어셈블리(160)의 위치로 인해,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중심 부분이 아닌 상부로 치우친 부분 또는 하부로 치우친 부분을 밀거나 당기게 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연결부재(163)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뒤틀리도록 힘을 가할 수밖에 없다. 서포트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부분이 아닌 편심된 부분에 힘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연결부재(163)는 연장부(164)를 포함한다. 상기 연장부(164)는 상기 연결부재(163)의 말단(즉, 무빙 프레임과 연결되는 말단)에서 상부 또는 하부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164)는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을 더욱 지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연장부(164)는 서포트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하부에서 상부로 더욱 연장되고, 반대 편의 연장부의 경우에는, 서포트 어셈블리(170)의 상하 중심 상부에서 하부로 더욱 연장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서, 연결부재(163)의 상하 중심과 무빙 프레임의 상하 중심이 일치되지 않더라도, 무빙 프레임(170)의 뒤틀림이 최소화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재(163)는, 상기 연장부(164)가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무빙 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 결합부(174)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연결부재(163)를 통해 가해지는 힘과 이동 변위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164)를 통해서 무빙 프레임(170)에 골고루 모터 구동부의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는 관통부(113)가 형성된다. 이를 슬릿 형상의 관통부라 할 수도 있으며 슬릿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3)는 드로워(30)의 개수와 같은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부(113)는 서포트 커버(11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도 6 및 도 7을 기준으로 서포트 커버(110)의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슬릿(113)을 따라 전달부재(171)가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냉장고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슬릿(113)을 따라 상기 전달부재(171)가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관통하기 때문에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111) 쪽에 구비되는 드로워(3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부재(171)가 상기 드로워(30)와 결합되거나 상기 드로워(30)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드로워와 연결되어 드로워(30)에 직접 힘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와 무빙 프레임의 초기위치에서 모터 어셈블리(160)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작다. 이 상태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좌측에 치우쳐 위치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로 더욱 깊숙이 위치되게 된다.
모터 어셈블리(160)가 구동하게 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와 무빙 프레임(170)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즉, 연결부재(163)가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밀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에 의해서 전달부재(171)가 드로워(30)를 밀어 상기 드로워(30)를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6에 도시된 초기위치에서의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모습이 도 7에 도시된 대기위치에서의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모습으로 변하게 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연결부재(163)와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에 위치한 것이라 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연결부재(163)와 무빙 프레임(170)은 대기위치에 위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서포트 커버(110), 모터 어셈블리의 하우징(161)의 상대적인 위치 변화는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0)와 상기 무빙 프레임 특히 전달부재(171) 사이의 연결을 걸림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연결의 해제를 걸림 해제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30)에는 걸림부재(33)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는(33)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전달부재(171)는 서포트 커버(110)를 관통하여 상기 드로워(30)를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걸림부재(33)의 후방에 위치되어 상기 전달부재(171)에 미는 힘을 전달할 뿐 잡아당기는 힘을 전달하지 못하게 된다. 즉, 전달부재(171)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부재(33)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그러나, 전달부재(171)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부재(33)와 전달부재(171)의 연결은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걸림부재(33)를 선택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전달부재(171)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부재(33)를 가압하고 후방으로 이동면서 상기 걸림부재(33)를 가압하지 않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3)는 드로워(30)의 레일 결합부(37)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드로워(30)를 레일(120)에 결합하기 위한 레일 결합부(37)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를 가압하는 위치가 실질적으로 드로워가 레일(120)과 결합하는 위치와 동일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드로워(30)의 자동 이동 메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1은 드로워(30)가 서포트 어셈블리(100)에 연결된 부분에 대한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드로워(30)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31)과 상기 바스켓(31)의 외부에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통해 레일(12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과 드로워 프레임(32)은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바스켓(31)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레일(120)은 고정 레일(122)와 이동 레일(121)을 포함할 수 있다. 레일(120)은 레일 브라켓(123, 124)를 통해서 저장실의 측벽 또는 격벽(16)에 결합될 수 있으며, 서포트 커버(1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122)은 드로워(3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레일(121)은 상기 고정 레일(122)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고정 레일(122)에 대해서 이동 레일(121)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121)은 드로워(30)의 레일 결합부(37)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레일(121)과 일체로 상기 드로워(3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드로워의 측방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30)을 상부에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레일(30)의 상부를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의 구조와 드로워(30)와 레일(120) 사이의 결합 구조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를 기준으로 드로워 프레임(32)은 일측(좌측)에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타측(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나,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는 서포트 커버(110)에 형성된 슬릿(113)을 관통하여 상기 드로워 프레임(32) 인근까지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무빙 프레임(170)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통해서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연결을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 즉 상기 드로워(30)의 이동으로 전환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연결 해제를 통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30)의 이동으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에는 걸림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33)는 후술하는 다른 걸림부재와 구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걸림부재(33)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향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드로워(30)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드로워(30)의 하부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무빙 프레임(170)의 이동은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으로 전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의 이동은 무빙 프레임(170)을 후방에서 밀어주는 힘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줌으로써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시킴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도 10을 통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걸림부재(33)는 상기 전달부재(171)의 전방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드로워(30)가 모두 초기위치 상태일 때에는 양자가 서로 접촉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걸림부재(33)를 지속적으로 밀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드로워(30)도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드로워(30)가 대기위치 상태일 때 상기 전달부재(171)는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으며, 이를 전달부재의 초기위치 복귀라 할 수 있다. 즉, 이때에는 상기 전달부재(171)와 상기 제1걸림부재(33)의 연결이 해제되거나 걸림이 해제된다. 따라서, 드로워(30)는 대기위치 상태를 유지하고, 전달부재(171) 특히 무빙 프레임(170)은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재(171)의 단면적이 걸림부재(33)의 단면적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대적으로 큰 전달부재(171)가 상대적으로 작은 걸림부재(33)에 힘을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달부재(171)에서 상기 걸림부재(33)로 안정적인 힘의 전달이 수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걸림부재(33)의 상하로 더욱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가 하방으로 쳐지는 일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걸림부재(33)의 접촉면 전체를 통해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안정적으로 힘을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30)의 초기위치는 상기 드로워(30)가 여전히 저장실 내부에 위치한 상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를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도어(20)를 개방하고 상기 드로워(30)를 잡아당겨 상기 드로워(3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저장실을 벗어나도록 인출하게 된다. 전술한 최대인출위치는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레일(120)에 지지된 상태에서 전방으로 최대한 인출된 위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최대인출위치는 상기 레일(120)을 통해 기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대기위치와 상기 최대인출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는 기설정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레일(120)을 통해 상기 드로워(30)는 초기위치와 최대인출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30)는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로워의 인출은, 상기 드로워(30)가 대기위치에서 상기 최대인출위치(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까지, 수동 인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최대인출위치까지 상기 무빙 프레임(170)과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30)는 수동 인출이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어(20)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30)는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대기위치에서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를 더욱 인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드로워(30)의 사용이 끝나면, 상기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인입시킬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상기 대기위치나 상기 대기위치 인근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물론,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까지 인입시키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도어의 개방과 연동되는 드로워(30)의 자동 인출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수행될 수 있고,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는 수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30)가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상기 연결부재(163)가 초기위치로 이동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의 인입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수동 인입은 사용자가 직접 드로워를(30)를 잡고 인입시키는 것일 수도 있으며, 도어(20)를 닫음으로써 도어(20)가 드로워(30)를 밀어서 인입시키는 것일 수도 있다. 왜냐하면 드로워를 인입시키는데 사용자의 힘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일례로, 사용자가 최대인출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드로워(30)를 직접 밀어서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최대인출위치에서 작동위치까지 드로워(30)를 직접 밀어서 인입시킨 후, 도어(20)를 닫음으로써 드로워(30)를 초기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에는 도어가 닫힘에 따라 도어(20) 배면에 구비되는 도어 바스켓이 상기 드로워(30)를 밀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도어(20)를 닫을 때 사용자는 드로워를 인입시키는 힘 이상의 힘을 가하여 도어를 닫아야 한다.
이상에서는, 기본적으로 드로워(30)의 자동 인출 관점에서 드로워(30)와 서포트 어셈블리(100) 사이의 메커니즘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즉,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드로워(30)가 인출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드로워(30)의 인출을 위하여 사용자가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한편, 드로워(30)의 인출뿐만 아니라 인입시에도 사용자의 수고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즉, 드로워(30)의 인입을 위해서도 사용자가 힘을 가할 필요가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드로워(30)의 인입 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하여,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드로워(30)가 대기위치 또는 상기 대기위치 인근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드로워(30)의 자동 인출에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은 것과 마찬가지로, 드로워(30)의 자동 인입에 사용자의 힘이 필요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도어(20) 배면의 도어 바스켓(25)이 상기 드로워에 충격을 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어(20)를 닫는 힘 이외에 드로워를 인입시키기 위한 힘을 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이를 위하여, 드로워 자동 인입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입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지 않아도 상기 드로워가 후방인 초기 위치로 인입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장치(18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탄성장치(180)는 저장실의 측벽에 장착될 수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포트 커버(110)에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탄성장치(180)가 포함되는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도 5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12 내지 도 14에는 탄성장치(180)이 더 추가되어 있다. 따라서, 도 4, 도 5 및 도 11를 통해 설명된 사항과 중복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탄성장치(180)는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30)가 인출될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30)가 인입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드로워의 인출은 전동 구동부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고, 드로워의 인입은 탄성장치(180)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드로워의 인출은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수행되고, 드로워의 인입은 탄성장치(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서포트 커버(110)에는 상기 레일(120)과 아울러 탄성장치(180)가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드로워(30)에 한 쌍의 레일(120), 하나의 슬릿(113) 그리고 하나의 탄성장치(180)가 한 세트로 구비될 수 있다. 드로워(30)가 복수 개인 경우, 마찬가지로 이들도 복수 개의 세트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레일(120)과 마찬가지로 상기 탄성장치(180)는 서포트 커버(110)의 외측면(111)에 장착될 수 있다.
서포트 커버(110)에 형성된 슬릿(113)을 기준으로, 슬릿(113)의 하부에는 레일(120)이 장착되고 슬릿(113)의 상부에는 탄성장치(18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180)는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대기위치 또는 대기위치 인근 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할 때 상기 드로워(30)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탄성 복원력을 통해 초기위치로 자동적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탄성장치(180)는 상기 드로워(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를 잡고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장치(180)는 걸이부재(18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30)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에는 제2걸림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프레임의 전달부재(171)와 연결되는 제1걸림부재(33)와는 별도로,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에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3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제1걸림부재(33) 상측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서 상기 서포트 커버(1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를 참조하여 탄성장치(180)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탄성장치(180)는 탄성부재 일례로 스프링(187)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187)을 탄성 변형시키기 위하여 걸이부재(181)가 구비된다. 상기 걸이부재는 드로워(30)의 걸림부재와 결합되어 드로워(30)의 이동에 따라 변위를 갖는다. 이러한 변위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181)와 상기 스프링(187) 사이에는 연결부재(189)가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187)의 일단은 고정되며 타단은 상기 연결부재(189)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재(189)는 상기 걸이부재(181)와 결합된다. 따라서, 걸이부재(181)와 연결부재(189)는 일체로 이동하며, 따라서 상기 스프링(187)은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된다.
상기 탄성장치(180)는 하우징(182)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82)은 상기 스프링(187)과 걸이부재(181)를 수용한다. 물론, 상기 연결부재(189)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82)에는 복수 개의 결합부(18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를 통해서 상기 탄성장치(180)가 저장실의 측벽, 격벽 또는 서포트 커버(11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기본적으로 선형 변위를 가지면서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걸이부재(18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슬롯(183)가 형성된다. 상기 걸이부재(181)에는 가이드 돌기(181a)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 돌기(181a)는 상기 슬롯(183)을 따라서 이동하게 된다.
상기 걸이부재(181)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특정 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181)와 드로워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슬롯(183)의 전방에는 경사 슬롯(18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81)가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가이드 돌기(181a)가 상기 경사 슬롯(185)을 따라 상승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돌기(181a)의 상승은 걸이부재(181)의 회전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재(181)에는 걸이부재(181)의 회전 중심을 형성하는 회전 돌기(181b)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 돌기(181b)는 상기 가이드 돌기(181a)와 마찬가지로 상기 슬롯(183)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상기 회전 돌기(181b)는 상기 가이드 돌기(181a)의 후방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에 구비되는 가이드 돌기(181a)가 경사 슬롯(185)을 타고 상승될 때, 상기 회전 돌기(181b)를 중심으로 걸이부재(181)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 돌기(181b)가 상기 경사 슬롯(185)에 걸리게 되면, 상기 드로워(30)와 탄성장치(18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 드로워(30)가 인입되면 상기 드로워와 탄성장치(180)는 재연결되며, 이때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드로워(30)는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로워의 인입 속도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 속도보다 빨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탄성장치 (180)가 상기 드로워를 인입시키는 속도 또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를 인입시키는 속도는,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속도보다 빠르도록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드로워의 인입 속도는 상기 드로워의 인출 속도보다 1.5 내지 2.0 배 빠르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속도의 차이는, 일례로 상기 드로워가 인입될 때 닫히는 도어가 상기 드로워와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는 데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89)에도 상기 슬롯(183)을 따라 이동하는 가이드 돌기(189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82)에는 상기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34)의 이동이 안내되는 안내 슬롯(18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슬롯(182a)의 전방에는 확장 개구부(182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슬롯(182a)을 따라 걸림부재(34)가 전방으로 이동하다가 특정 위치에서 상기 걸림부재(34)는 상기 확장 개구부(182b)를 빠져나가게 된다. 즉, 드로워와 탄성장치의 연결이 해제된 후 상기 드로워는 더욱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추가 인출될 수 있다.
한편, 인출된 드로워가 인입되면서 상기 걸림부재(34)는 다시 상기 안내 슬롯(182a) 내부로 진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진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확장 개구부(182a)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182)에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정위치로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 고정부(18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183a)는 상기 걸이부재(181)가 후방으로 복귀된 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181)가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걸이부재(181)가 후방 정위치에 위치되지 않는 경우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까지 완전히 인입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걸이부재(181)가 후방으로 복귀한 후 반발력에 의해 걸이부재(181)가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위치 고정부(183a)는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고정부(183a)는 상기 슬릿(183)의 후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후방으로 갈수록 상기 슬릿(183)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위치 고정부(183a)에서의 슬릿 높이는 다른 부분에서의 슬릿 높이보다는 작게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걸이부재(181)의 가이드 돌기(181a)는 상기 위치 고정부(183a)를 위로 밀어 올리면서 정위치까지 복귀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위치 고정부(183a)는 자체 탄성 복원력으로 인해 상기 가이드 돌기(181a)를 누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81a)는 정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 고정부(183a)의 말단과 상기 슬롯(183)에는 연통부(18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통부(183b)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181a)가 상기 슬롯(18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181a)의 좌우 양쪽 직경은 상기 슬롯(183)의 높이보다 크다. 그러나, 상기 슬롯(183)에 대응되는 부분의 직경은 상기 슬롯(183)의 높이와 같거나 작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 돌기(181a)는 상기 슬릿(183a)를 따라 전후로 이동될 뿐 상기 슬릿(183)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상기 가이드 돌기(181a)를 상기 슬릿(183)에 삽입시키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상기 연통부(183b)는 상기 가이드 돌기(181a)를 상기 슬릿(183)에 삽입하기 위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연통부(183b)를 통해서 상기 가이드 돌기(181a)가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위치 고정부(183a)가 상부로 소성 변형되어 버린 경우, 상기 가이드 돌기(181a)가 상기 위치 고정부(183a)에 구속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고정부(183a)의 부러짐 내지는 휘어짐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위치 고정부는 캔틸레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단에서의 두께는 자유단에서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고정단에서 자유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작아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위치 고정부(183a)의 탄성 변형은 용이하도록 함과 동시에 강도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위치 고정부의 고정단에서 좌우 폭을 더욱 키움으로써 강도 보강이 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장시간 사용에도 상기 위치 고정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걸이부재(181)는 고강도 저마찰력이 요구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라이너(173)와 마찬가지로 POM 재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탄성장치(180)에 의한 드로워의 자동 인입 매커니즘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의 드로워(30)와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모습을 도시하고 도 17은 드로워(30)의 대기위치에서의 드로워(30)와 서포트 어셈블리(100)의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설명의 편의상, 드로워(30)의 상부는 생략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는 드로워(30)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34)와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180)와 드로워(30)의 연결이 해제되고, 드로워(30)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면서 탄성장치(180)와 드로워(30)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30)는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자동으로 전방으로 인출된다. 즉,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된다. 드로워(30)가 인출되면서, 상기 드로워(30)에 구비되는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걸이부재(181)와 연결되어 상기 걸이부재(18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스프링(187)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스프링이 인장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탄성 복원력이 상기 드로워(30)를 자동적으로 인입되도록 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30)는 상기 탄성장치(180)의 탄성력을 극복하고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동 구동부(150)를 통해 상기 드로워(30)를 미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드로워(30)에는 상기 탄성장치(180)에 의한 탄성 복원력이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의 제2걸림부재(34)를 잡아당기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인입하기 위해 별도의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상기 드로워(30)는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달부재(171)가 제1걸림부재(33)를 밀기 위해서만 구비되는 반면, 상기 걸이부재(181)는 제2걸림부재(34)에 의해 당겨지도록 구비되는 한편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당기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드로워(30)의 인출 시 상기 제2걸림부재(34)에 의해 당겨지며,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시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당기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및 인출 시 서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드로워의 인입 시 수동 인입이 아닌 자동 인입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가 매우 편리하게 상기 드로워를 조작할 수 있다. 물론, 드로워(30)의 자동 인입은 전술한 최대인출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의 구간이 아닌 대기위치 또는 상기 대기위치 인근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장치(180)는,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30)에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초기위치에서부터 상기 대기위치까지 연속적으로 상기 탄성장치(180)에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드로워(30)가 완전히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까지 탄성 복원력이 지속적으로 드로워(30)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이동을 시작하는 경우 드로워(30)의 정지 마찰력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전동 구동부(150)에 가해질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정지 마찰력과 아울러 상기 탄성장치(18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드로워가 이동하여야 한다. 따라서, 전동 구동부(150)에 더욱 큰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드로워(30)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드로워(30)와 탄성장치(180)의 연결은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드로워(30)가 초기위치에서 일정 거리 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드로워(30)와 탄성장치(180)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도 16에는 드로워(30)의 초기위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와 탄성장치(180)의 연결이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드로워(30)의 제2걸림부재(34)와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드로워(30)의 제1걸림부재(33)와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의 연결은 유지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전달부재(171)의 전방 이동이 지연 없이 곧바로 드로워(30)의 제1걸림부재(33)로 전달됨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어가 개방되면, 전동 구동부(150)가 작동을 하여 전달부재(171)가 상기 제1걸림부재(33)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따라서, 드로워(30)가 전방으로 인출되며, 마찬가지로 제2걸림부재(34)도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제2걸림부재(34)의 전방 이동에 의해 스프링(187)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상기 걸이부재(181)가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제2걸림부재(34)의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서 기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상기 걸이부재(181)가 연결되는 위치를 탄성시작위치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초기위치와 상기 대기위치 사이의 이격 거리가 120mm라고 할 경우, 상기 탄성시작위치는 상기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30mm 떨어지도록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시작위치까지 이동될 때의 구간에서는 상기 스프링(187)에 의한 저항이 전동 구동부(15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이후,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더욱 전방으로 드로워가 이동되면 상기 스프링(187)에 의한 저항이 더욱 증가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150)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탄성시작위치의 설정은, 상기 탄성장치(180)의 하우징(182)에 형성되는 슬롯(183, 184)의 형상과 상기 걸이부재(181)의 연결관계를 달리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도 17에는 드로워의 대기위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어가 개방되면, 전동 구동부(150)는 전달부재(1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전달부재(171)의 전방 이동으로 드로워(30)의 제1걸림부재(33)도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드로워(30)가 대기위치에 이르기까지 상기 전달부재(1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20)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180)는 상기 드로워(30)를 인입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30)에 힘을 가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이 유지(일례로 시계방향 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열린 상태에서, 항상 상기 드로워(20)를 밀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 상태가 유지될 있다. 다시 말하면, 도어의 개방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의 구동이 유지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대기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20)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무빙 프레임(170)이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역구동(일례로 반시계방향 구동)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드로워(30)가 대기위치에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작동이 유지되는 것은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과부하를 야기시킬 수 있다. 왜냐하면, 더 이상 연결부재(163)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는 상태이므로, 상기 모터가 헛돌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드로워(30)를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시간 동안 작동을 유지한 후, 역구동으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를 후방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은 사용자가 특정 드로워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드로워를 인출하기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무빙 프레임(170)을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대략 10초 정도 대기위치를 유지한 후 역구동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구동부(150)에 의한 드로워(20)의 자동 인출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의 인출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직접 드로워(20)를 잡아당겨 인출할 수 있다.
일례로, 상하로 복수 개의 드로워가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드로워는 함께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대기위치에 상기 소정 시간 경과되기 전에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드로워를 추가적으로 인출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추가 인출되지 않은 나머지 드로워는 탄성장치에 의해서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인출된 드로워가 하부 드로워인 경우 상부 드로워의 인입으로 인해 드로워 내부로 접근할 수 있는 공간이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드로워 내부의 저장공간으로 접근할 수 있게 된다.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 드로워(20)를 인출시킬 때 상기 탄성장치(180)는 인출을 방해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수동 인출 시 상기 탄성장치(18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기 탄성장치의 하우징(182)에 형성된 슬롯에 경사 슬롯(18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하 나란히 형성되는 두 개의 슬롯(183, 184) 중 하부 슬롯(184)의 전방에 경사 슬롯(185)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사 슬롯(185)은 후술하는 다른 경사 슬롯과 구분하기 위하여 편의상 제1경사 슬롯(185)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1경사 슬롯(185)은 상기 슬롯(184)의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조금만 더 인출하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1경사 슬롯(185)에 구속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재(181)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는 위치를 탄성종료위치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의 탄성시작위치는 초기위치의 전방이며, 마찬가지로 탄성종료위치는 대기위치의 전방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걸이부재(181)와 제2걸림부재(34) 사이의 결합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상기 탄성장치(18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용이하게 드로워를 최대인출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대기위치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로워를 인출한 후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30)를 대기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를 상기 탄성장치와 재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상기 대기위치까지 인입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30)와 탄성장치(180)의 연결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탄성장치(180)의 탄성 복원력이 상기 드로워(30)에 전달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종료위치와 상기 대기위치 사이의 거리는 상대적으로 매우 짧다. 따라서, 도어가 닫힘에 따라 상기 도어가 상기 드로워(30)를 후방으로 밀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0)를 밀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34)가 상기 걸이부재(181)와 재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도어가 닫히면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초기위치로 복귀하기 때문에 드로워(30)를 인출하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장치(18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이부재(181)는 상기 제2걸림부재(34)를 잡아당겨, 상기 드로워(30)가 초기위치로 자동으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전달부재(171)가 대략 10초 정도 대기위치를 유지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특정 드로워를 더욱 인출하여 저장물을 꺼내고 상기 특정 드로워를 수동으로 대기위치까지 인입시킬 수 있다. 이때 소요되는 시간을 대략 12초라고 가정하면, 상기 특정 드로워가 대기위치까지 인입됨과 동시에 상기 특정 드로워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위치까지 복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시작위치와 초기위치가 동일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 드로워(30)가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드로워(3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스프링의 탄성 변이량이 상대적으로 커지기 때문에(즉, 탄성구간이 커지기 때문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시작위치를 초기위치보다 전방으로 이격되도록 설정함으로써, 드로워의 초기 복귀 속도는 상대적으로 빠르게 그리고 말기 복귀 속도는 상대적으로 느리게 할 수 있다.
초기 복귀 속도는 도어의 닫힘 속도와 관련이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매우 빨리 닫히는데, 도어의 닫힘 속도보다 드로워의 초기 복귀 속도가 늦는다면, 도어에 의해서 드로워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반대로, 말기 복귀 속도가 빠르다면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20)에 의해 상기 레일(120)에 큰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는 초기에는 신속히 복귀하다가 말기에는 부드럽고 천천히 복귀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말기에는 관성에 의해서 드로워가 복귀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30)의 인출 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는 상기 걸이부재(181)와 연결되며, 반대로 상기 드로워(30)의 인입 시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 상기 제2걸림부재(34)와 상기 걸이부재(181)와의 연결은 해제된다. 이는 전술한 탄성종료위치에서의 구조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부 슬롯(183)의 후단에서 마찬가지로 제2경사 슬롯(186)이 형성되어 탄성시작위치에서 걸이부재(181)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제1경사 슬롯에서의 걸이부재(18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이 해제된다면, 상기 제2경사 슬롯(186)에서의 걸이부재(181)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연결이 해제된다고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의 인출은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한 자동 인출이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의 인입은 탄성장치에 의한 자동 인입이라 할 수 있다. 자동 인출은 전기 에너지를 이용한 모터 구동력을 이용하고, 자동 인입은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의 인출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인출이며 드로워의 최대인출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의 인입은 사용자에 의한 수동 인입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장치의 스프링은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이격된 탄성시작위치에서부터 탄성 변형되며, 상기 탄성 변형은 상기 탄성시작위치에서부터 드로워의 대기위치까지 지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스프링은 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소정 길이 이격된 탄성종료위치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대기위치에서 탄성종료위치까지의 드로워 인출은 수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탄성종료위치에서 드로워의 최대인출위치까지는 수동으로 드로워가 인출될 수 있으며, 이때 스프링과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드로워를 인입시킬 때 상기 탄성종료위치까지만 인입시키더라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초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다. 즉, 대기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입시키지 않더라도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가 초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하나의 저장실에서의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실시예라 할 수 있다. 일례로, 격벽(16)을 사이에 두고 양쪽에 각각 저장실이 형성된 경우, 어느 하나의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30)가 자동으로 인출될 수 있는 실시예라 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저장실의 좌측벽 또는 우측벽에 전동 구동부(150)가 장착되는 실시예라 할 수 있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드로워(30)를 자동으로 인출하기 위한 메커니즘이 동일하다. 물론, 자동으로 인입하기 위한 메커니즘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구성들의 구조나 형상이 다를 수 있으나 기본적인 기능 및 연결 관계는 동일 또는 유사할 수 있다.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드로워(30)는 레일을 통해 저장실의 측벽 또는 격벽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서포트 어셈블리(100) 또는 서포트 커버(110)는 저장실의 측벽 또는 격벽 자체일 수 있으며, 상기 측벽 또는 격벽에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서포트 커버(110)에는 전동 구동부(150)가 장착되며, 상기 전동 구동부(150)에는 무빙 프레임(170)이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전동 구동부(150)의 구동에 의해서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로 이동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서포트 커버(110)에는 관통부 내지는 슬릿(113), 리세스(16g), 모터 회피홈(119) 그리고 복수 개의 체결부(118)가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탄성 복원력에 의해 드로워(30)를 자동으로 인입시키기 위하여 탄성장치(18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무빙 프레임 커버(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세스(16g)는 모터 어셈블리(160)의 장착을 위한 형성되는 한편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장착 및 이동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리세스(16g)가 더욱 확장되어 소정 공간(130)을 형성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무빙 프레임 커버(190)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되는 공간을 덮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 커버(190)는 상기 서포트 커버(110)와 결합하여 내부의 무빙 프레임을 보호하게 된다.
또한,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롤러(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76)는 상하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롤러(176)는 상기 무빙 프레임 커버(190)에 대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전달부재를 통하여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자동 인입을 구현할 수 있다. 기본 메커니즘이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유사하거나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특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모터 어셈블리(160)와 무빙 프레임(1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저장실의 일측벽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작동함에 따라 무빙 프레임(170)이 전후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본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로 탄성장치(1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도 저장실의 일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180)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탄성장치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장치(180)는 걸이부재(181)가 하방 또는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걸이부재(181)가 드로워(20)를 향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가 슬릿(113)을 관통하여 상기 드로워까지 연장됨을 의미한다.
상기 드로워(30)에는 걸림부재(36)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걸림부재(36)를 밀어서 드로워(3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36)는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30)의 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걸림부재(36)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즉, 걸이부재(181)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점에서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36)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2걸림부재(34)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부재(36)는 무빙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71)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걸림부재(36)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제1걸림부재(33)와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걸림부재(36)가 탄성장치(180) 및 무빙 프레임(170)과 연결된다고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빙 프레임(170)에 구비되는 전달부재(171)는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는 걸림부재(36)와 연결된 걸이부재(181)를 밀어서 결과적으로 걸림부재(36)를 밀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 방향으로 돌출된 걸이부재(181)의 후방 일측에서 상기 걸이부재(181)를 밀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 21에 도시된 모습은 드로워(30)가 대기위치까지 인입된 상태일 수 있다. 즉, 초기위치에서 상기 전달부재(171)는 탄성장치(180)의 걸이부재(181) 및 드로워의 걸림부재(36)를 동시에 밀어서 대기위치까지 드로워를 자동 인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도 22에 도시된 모습은 드로워(30)가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수동 인출된 상태일 수 있다. 사용자가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인출하면, 드로워(30)의 걸림부재(36)는 상기 걸이부재(181)를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걸이부재(181)와 전달부재(171) 사이의 연결은 해제된다. 그리고, 대기위치보다 소정 걸이 전방으로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36)와 걸이부재(181) 사이의 연결은 해제된다. 즉, 걸이부재(181)가 경사 슬롯(185)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걸림부재(36)와 걸이부재(181) 사이의 연결은 해제된다. 따라서, 탄성장치(180)와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이를 통해서, 사용자는 용이하게 드로워(30)를 수동으로 인출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탄성장치(180)와 드로워(30)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 위치까지 대기위치가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무빙 프레임(170)은 연결부재(180)와 결합되는 연결부재 결합부(17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안정적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도록 롤러(1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롤러(176)는 무빙 프레임의 상부에 2개소 그리고 하부에 2개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4개의 지지점을 갖고 무빙 프레임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롤러(176)는 저장실의 일측벽 상에서 롤링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상기 탄성장치(180)와 상기 드로워(30)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무빙 프레임(170)의 전달부재(171)는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36)과 상기 탄성장치(180) 사이의 간격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무빙 프레임(17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있으며, 무게를 줄이기 위한 복수 개의 슬릿(175)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빙 프레임(170)이 상하로 배열된 3개의 드로워를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경우, 전달부재(171)도 3개 구비되어야 한다. 이때, 두 개의 전달부재(171)는 무빙 프레임(170)의 상단과 하단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의 전달부재(171)는 상기 슬릿(175)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중간에 형성되는 슬릿(177)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무빙 프레임(170)에서 슬릿(177) 부분을 제외하고 슬릿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이 중간 전달부재라 할 수 있다. 상기 중간의 전달부재(171)은 무빙 프레임(170)의 상하 중앙 부분에서 상하 무빙프레임(170)을 연결하는 부분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전동 구동부(150)로 인한 저장실 공간 축소 문제를 최소화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전동 구동부(150)가 저장실의 측벽 또는 격벽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 구동부(150)의 상하 위치는 레일과 레일 사이임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레일은 저장실을 향해서 돌출될 수 있으며, 돌출되어 장착되는 레일에 드로워가 결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레일의 돌출 장착 구조로 인하여 상부 레일과 하부 레일 사이에는 일정한 공간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을 이용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150)를 장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냉장고에서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한 드로워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드로워를 통해서 전술한 자동 인출 및 자동 인입이 가능한 드로워가 구현될 수 있다. 즉, 전술한 실시예들과는 독립적으로 사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전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드로워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되는 드로워는 일반적인 수동 인출 및 수동 인입되는 드로워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드로워(30)는 바스켓(31)과 드로워 프레임(3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저장물을 수용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바스켓(31)을 지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는 바스켓 안착부(38)와 레일(120)에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3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스켓 안착부(38)에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어 상기 바스켓(31)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바스켓(31)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바스켓 안착부(38)에 안착되어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바스켓(31)은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과 상기 바스켓(31)의 결합 및 분리가 매우 용이하게 된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38a)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개구부(38a)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3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31)은 상부 바스켓(31a)와 하부 바스켓(31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스켓(31b)가 상기 개구부(38a)에 삽입되며, 상기 상부 바스켓(31a)가 상기 안착부(38)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바스켓(31a)과 하부 바스켓(31b)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레일 결합부(37)와 레일은 가급적 사용자의 시야에서 가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레일 결합부(37)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바스켓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드로워 데코(3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데코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의 전방에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드로워 데코(39)는 바스켓(31)의 전방 하부에서 좌우로 연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30)의 전방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37)를 커버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는 전술한 걸림부재(3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는 좌측 냉동실과 우측 냉동실에 공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는 드로워 프레임(32)의 좌우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워(30)가 우측 냉동실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좌측에 구비되는 걸림부재(33)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는 탄성장치와 결합되기 위한 걸림부재가 장착되기 위한 걸림부재 장착부(34a)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장착부(34a)도 드로워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장치와 결합되는 걸림부재(34)는 자동 인입을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자동 인입이 필요없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부재(34)가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가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에 일체로 형성된 것과는 달리, 상기 걸림부재(34)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 24를 참조하여 레일(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레일(120)은 상기 드로워(30)와 일체로 전후로 이동하는 이동 레일(121)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121)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이동 레일(121)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얹혀져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 레일(121)의 후단에는 걸림부(12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125)는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걸림부(125)에 삽입되면,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에서 후방 이동과 상부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121)의 전단에는 탄성 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128)가 삽입되기 위한 장착홀(37 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레일(121)에는 상기 탄성 돌기(128)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이동 레일(121)과 결합하는 탄성 돌기 브라켓(126)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126)의 일측에는 장착부(126a)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126)은 상기 장착부(126a)를 통해서 상기 이동 레일(1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와 상기 장착부(126b) 사이에는 절개부(12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 돌기(128)은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개부9127)를 통해서 상기 탄성 돌기(128)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 대해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는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 돌기(128)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에서 수직 하방으로 절곡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탄성 돌기 지지부(126b)와의 각도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심 쪽으로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120)은 고정 레일(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레일(122)은 상기 이동 레일(121)의 하부에서 상기 고정 레일(122)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레일(120)은 레일 브라켓(123, 124)를 통해서, 저장실의 측벽 또는 서포트 커버(1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레일 브라켓은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하나의 레일의 전방과 후방에서 적어도 두 개의 지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120)은 드로워(3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는 전후로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서 전술한 전달부재(171)이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전달부재(171)의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의 구간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달부재(171)와 상기 브라켓(123, 124)가 간섭되지 않게 된다. 이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상기 서포트 커버(110)의 슬릿(113)이 형성됨을 의미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5 및 도 26을 참조하여, 드로워(30)와 레일(120)의 결합 구조에 대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한 것으로, 드로워(30)가 레일(120)에 결합 완료된 후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상기 레일(120)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전방을 상부에 위치시키고 드로워의 후방을 하부에 위치시켜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을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드로워 전체를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시킨 후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레일 결합부(37)의 후단이 레일에 구비되는 걸림부(125)에 삽입되어 걸리게 된다.
도 11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결합부(37)는 상기 레일(120) 특히 이동 레일(121)의 상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121)을 감싸면서 안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안착되면, 상기 드로워의 좌우 이동은 제한되게 된다.
이후, 도 25에 도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드로워 프레임(32)의 전방을 하방으로 하강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돌기(128)는 드로워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며,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상기 이동 레일(121)에 완전히 안착되면, 상기 탄성 돌기(128)는 탄성 복원되어 장착홀(37a)에 삽입되게 된다. 상기 장착홀(37a)는 상기 이동 레일의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37b)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탄성 돌기(128)가 상기 장착홀(37a)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드로워 프레임(32)은 상기 걸림부(125)와 탄성 돌기(128)에 의해서 상기 이동 레일(121)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드로워(30)를 상기 레일(120)에서 분리하는 방법은 전술한 결합 순서와 반대라 할 수 있다.
사용자는 드로워(30)의 양쪽에서 각각의 탄성 돌기(128)를 누르면서 상기 드로워(20)의 전방을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 돌기(128)가 상기 장착홀(37a)을 빠져나오면서 상기 드로워(20) 전방의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레일과 분리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상기 드로워(20)를 전방으로 잡아당기면서 드로워(20)를 들어올릴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20) 후방의 상기 레일 결합부(37)가 레일의 걸림부(125)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드로워(30)를 레일(1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5에 도시된 상태는 드로워(30)의 초기 위치라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드로워(30)의 초기 위치에서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전방 레일 브라켓(123)와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상기 후방 레일 브라켓(124)에 치우쳐 위치됨을 알 수 있다.
상기 드로워(30)가 대기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에 치우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부재(33)와 걸림부재 장착부(34a)는 상기 드로워(30)의 조작 위치와 초기 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항상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123)과 후방 레일 브라켓(124) 사이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전동 구동부(150)를 구동하는 조건을 감지하는 센서(40)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2에는 개략적으로 센서(40)가 장착될 수 있는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센서(40)는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해 구비되는 센서로서, 상기 센서(40)에서 도어(20)의 개방을 감지하면 상기 전동 구동부(150)가 작동하여 상기 드로워(30)를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동 구동부(150)는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센서(40)를 통해 도어(20)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일방향으로 구동할 수 있다.
상기 도어(20)는 스윙 타입 도어로 실질적으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여 개폐되는 도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20)가 상기 식품출입구(17)를 완전히 막는 상태를 0도 각도라 정의하면, 상기 도어(20)는 90도를 초과하도록 회전시켜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식품출입구(17)에서 조금 벗어나는 경우도 넓게 보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20)와 식품출입구(17)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도어가 개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20) 배면에 구비되는 가스켓(22)과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해제되면 도어(20)가 개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는 냉기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가스켓(22)과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유지되면 도어(20)가 닫힌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서는 후술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는 저장실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장치의 작동과 연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해제됨을 판단하는 경우에는 조명장치가 켜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리고, 조명장치가 켜진 후 상기 도어 스위치를 통해서 도어(20)와 캐비닛(10) 사이의 밀착이 수행되면 상기 조명장치가 꺼지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도어 스위치는 도어와 캐비닛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기구적으로 스위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격 거리의 범위는 매우 작다. 왜냐하면 캐비닛과 도어 사이의 밀착 유지 및 밀착 해제를 구분하기 위한 이격 거리는 매우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도어 스위치는 도어의 개방 각도와는 실질적으로 무관하게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도어 스위치는 냉기가 외부로 누출 여부를 기준으로 도어의 개폐를 센싱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센서(40)는 드로워의 이동과 도어의 이동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간섭을 기준으로 도어의 개폐를 센싱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와 조명장치에 대한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도어의 개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드로워의 인출을 전제로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전제로 도어(20)를 개방할 때, 상기 드로워가 대기위치로 이동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기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즉,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 또는 드로워의 자동 인출이 시작되는 도어의 개방 각도는 고려해야 할 중요한 인자라 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도어(20) 배면의 도어 저장 영역(21)에 수용된 저장물만을 인출하려 할 때, 도어를 40도 내지 50도 각도로만 개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드로워는 계속해서 초기위치 상태임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드로워는 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왜냐하면, 드로워를 사용하지 않는데 굳이 드로워가 인출되어 드로워 내부의 냉기가 누출될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또한, 드로워를 사용하지 않는데 굳이 드로워가 인출되어 도어(20)의 배면에 부딪힐 필요는 없기 때문이다.
일례로, 도어가 40도 내지 50도 각도로 개방되면 도어 스위치에서는 도어가 개방되었다고 판단한 상태라 할 수 있다. 즉, 단순히 도어의 개폐 여부만을 판단하는 도어 스위치가 구비되는 경우, 도어 스위치에 의한 도어의 개방 감지 후에 드로워의 자동 인출 조건이 만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도어 스위치와 센서(40) 사이의 상관 관계를 통해서 보다 효과적이고 안정적인 제어 로직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출하여 사용하려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경험적으로 도어를 90도 이상 개방해야 함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90도 미만의 도어 개방 각도에서는 드로워가 완전히 인출되기 전에 상기 드로워가 도어 배면의 바스켓(25)이나 도어 자체에 걸리기 때문이다. 실질적으로 드로워가 도어와의 간섭없이 완전히 인출되기 위해서는, 도어가 일례로 100도 이상 개방되어야 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드로워의 자동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실질적으로 80도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90도 전후 각도임이 바람직하다. 물론, 일례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도어의 개방각도가 90도와 같거나 90도보다 큰 경우에 자동적으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이러한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어 전동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로워가 대기위치로 이동하는 데 일정 시간이 소요됨을 감안하기 위함이다. 즉,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는 각도는 드로워와 도어 사이의 간섭이 완전히 배제되는 도어의 개방 각도보다는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드로워가 자동 이동을 시작하는 각도는 상기 도어와 대기위치에서의 드로워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결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이동을 위한 도어의 개방 각도는 상기 드로워가 대기위치까지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배면 바스켓(25)과 간섭되지 않는 각도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25)은 도어의 배면과 수직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25)은 개구부(17)를 벗어난 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는, 드로워가 상기 개구부(17)까지 인출되기까지 상기 드로워(30)가 상기 바스켓(25)과 간섭되지 않음을 의미하게 된다. 물론, 도어가 90도 개방된 상태에서 드로워를 더욱 인출하는 경우 상기 드로워(30)와 바스켓(25) 사이의 간섭은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드로워를 완전히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어의 개방 각도가 더욱 커져야 함을 전술한 바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센서(40)는 도어(20)가 드로워 인출을 위한 기설정된 도어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센서임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센서(40)는 마그넷(42)과 리드 스위치(41, reed switch)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리드 스위치(41)만을 센서라 할 수 있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마그넷(42)을 통해서 기설정된 도어 개방 각도를 감지한다고 할 수도 있다. 자기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센서들이나 스위치들도 사용할 수 있다.
센서의 일례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의 거리가 가변됨에 따라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가변된다. 일례로 상기 리드 스위치에 가해지는 자력 세기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에 따라 가변된다. 예를 들어,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특정 이격 거리, 즉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되는 거리는, 상기 마그넷(42) 자체의 자력을 달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센서(4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7 및 도 28은 도어의 하부에 대한 확대 단면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도 27에는 센서(40)에 대한 일실시예에서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27에는 도어(20)가 90도 각도로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즉, 지면에 고정된 레그(2) 인근에 위치되는 힌지 커버(45)에 대해서 도어(20)가 90도 회전되어 개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도 27은 지면에서 상부를 향해 바라본 모습이다.
상기 리드 스위치는 힌지 커버(45)에 위치되고 상기 마그넷(42)은 도어(20)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도어(20)의 캡 데코(24)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리드 스위치를 도어(20)에 위치시키고, 상기 마그넷(42)을 힌지 커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접점이 형성되고, 외부로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닫힘 신호를 전달하는 구성이 리드 스위치이므로, 상기 리드 스위치는 고정된 구성, 즉, 상기 힌지 커버(45)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도어(20)는 힌지축(23), 즉 도어의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리드 스위치(41)과 마그넷(42) 사이의 수직 이격 거리는 도어(20)의 개방 각도와 무관하게 동일하다. 그러나,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 사이의 수평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즉,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힌지축(23)을 기준으로 동일 반경을 갖고 회전하게 되며, 이때의 회전 각도에 따라서 상기 마그넷(42)과의 수평 거리는 달라지게 된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42)은 상기 리드 스위치(41) 인근에 위치한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마그넷(42)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최대로 근접한 후 다시 상기 리드 스위치에서 멀어지게 된다. 즉,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더우 커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2)에 영향을 주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일례로, 도어(20)의 개방 각도가 90도 각도에 이르면,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리드 스위치(41)의 접점 변경이 드로워의 인출 조건을 만족시키는 도어 개방 온(on) 신호의 발생이라 할 수 있다. 즉, 도어가 기설정된 각도까지 개방되면 이를 도어 개방으로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개방 각도(예를 들어, 90도) 미만 사이의 구간에서는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2)에 영향을 미쳐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유지되고, 개방 각도에 도달하면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2)에 더 이상 영향을 미치지 못해 리드 스위치(41)의 접점이 변경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리드 스위치는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다. 즉, 상기 임계점에 이르러 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이 전환되며, 이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리드 스위치(41)와 마그넷(42)을 통하여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구현함으로써, 원하는 도어 개방 각도(기설정된 각도)에서 드로워 인출 조건인 도어 개방 온 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리면서 도어 개방 각도에 이르면 마그넷(42)의 자력이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임계점을 벗어나게 된다. 이는 반대로, 도어가 도어 개방 각도를 초과하여 열린 상태에서 도어가 닫힐 때 상기 도어 개방 각도에 이르면 마그넷(42)의 자력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어의 열림을 감지하는 도어 개방 각도와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 닫힘 각도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센서(40)를 통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과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센서(40)는 동일한 각도를 통해 도어 개방 감지 그리고 도어 닫힘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각도에서 도어 개방이 감지된 후 그 다음의 동일한 각도의 감지는 도어 닫힘 감지라 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닫힘 감지 후 동일한 각도는 도어 열림 감지라 할 수 있다. 즉, 단일 센서(40)를 통해서 도어의 개방 감지 및 도어 닫힘 감지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단일 센서가 아니라 도어 개방 감지를 위한 센서와 도어 닫힘 감지를 위한 센서를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동일한 형태의 센서가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어가 열릴 때뿐만 아니라 도어가 닫힐 때도 도어와 드로워 사이의 간섭이 배제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경우에도, 도어가 상기 드로워와 간섭되기 전에 미리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입시키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마그넷(42)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품마다 기설정된 도어의 개방 각도의 편차가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 각도를 90도로 설정하여 하나의 마그넷(42)과 리드 스위치(41)를 장착하는 경우, 제품마다 도어 개방 각도의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즉, 일부 제품은 85도 개방 각도를 감지하고, 일부 제품은 90도 그리고 일부 제품은 95도 개방 각도를 감지하여, 제품마다 감지 편차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편차는 마그넷(42)의 자력 편차, 마그넷(42)과 리스 스위치(41)의 장착 편차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서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하나의 마그넷(42)을 사용하는 경우,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제품 모델별로 특정 모델은 90도의 개방 각도가 바람직하지만 다른 특정 모델은 85도의 개방 각도가 바람직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설정된 도어의 개방 각도에 편차를 줄임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도어의 개방 각도를 변경할 수 있는 센서(40)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하나의 마그넷(42)을 통해 구현된 센서(40)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마그넷을 이용한 센서(40)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도 28을 참조하여 센서(40)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기본적으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와 매우 유사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 개의 마그넷(42)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리드 스위치는 힌지 커버(45)에 위치되고, 복수 개의 마그넷(42)는 도어(20)의 캡 데코(24)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캡 데코(24)는 도어(20)의 하면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마그넷(42)는 상기 도어(20)의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리드 스위치(41)는 캐비닛(10)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캐비닛(10) 전방에 돌출되는 힌지 커버(45)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20) 특히 캡 데코(24)는 상기 힌지 커버(45)의 상부에서 소정의 상하 갭을 갖고 힌지축(23)을 기준으로 열리고 닫히게 된다.
일례로, 상기 마그넷(42)은 수평 마그넷(42a)과 수직 마그넷(4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도어(20)의 전면이나 캐비닛(10)의 전면과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이며,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위치하는 마그넷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함께 실질적으로 연속되는 호 형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42a)에 대해서 둔각을 형성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일면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41)는 사각형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가로변(41a)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세로변(42b)과 나란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은 상기 리드 스위치의 세로변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마그넷(42a)과 수직 마그넷(42b)은 막대 형태의 자석으로 도 28에 도시된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높이보다 길이가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상기 리드 스위치(41)의 후방에서 좌우로 길게 늘어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마그넷(42b)는 리드 스위치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전후로 길게 늘어진 형태로 위치될 수 있다. 즉, 두 개의 마그넷(42a, 42b)는 서로 이격되며 아울러 상기 리드 스위치(41)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마그넷과 수직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어(20)가 닫힌 상태에서는 두 개의 마그넷(42a, 42b)이 동시에 상기 리드 스위치(41)로 유효한 자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상기 힌지축(23)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직 마그넷(42b)와 상기 힌지축(24)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즉, 수평 마그넷(42a)의 회전 반경이 수직 마그넷(42b)의 회전 반경 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상기 힌지축(24) 사이의 거리는 상기 수평 마그넷(42a)의 회전 반경과 유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은 도어(20)가 개방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41) 인근에서 회전하게 되고, 상기 수직 마그넷(42b)는 상대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서 먼 위치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는, 상기 수평 마그넷(42a)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와 중첩 가능한 면적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서 감지되는 자력은 상기 수평 마그넷(42a)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이며, 상기 수직 마그넷(42b)에서 발생되는 자력은 보조적으로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력의 세기는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함을 전제로 하면, 리드 스위치(41)에서 마그넷(42a)의 위치가 멀어짐에 따라 자력의 세기는 매우 급속하게 작아지게 된다. 이는 매우 짧은 구간에서 마그넷이 이동하더라도 매우 큰 자력 세기의 변화가 발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로 자력의 영향이 미치는 위치에서 자력이 영향이 미치지 않는 임계점, 즉 도어 개방 각도를 정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매우 어렵게 된다. 다시 말하면, 하나의 마그넷, 예를 들어 수평 마그넷(42a)만 구비되는 경우 임계점 전후에서 급격한 자력 세기의 변화가 발생되기 때문에 임계점 설정이 어렵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직 마그넷(42b)을 통하여 임계점까지는 자력 세기의 변화가 완만하게 진행되다가 임계점 이후에 자력 세기의 변화가 급격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직 마그넷(42b)은 임계점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보조 자력을 제공하기 때문에 임계점에 이르기까지 급속한 자력 변화가 제한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임계점 즉 도어의 개방 각도를 90도 전후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41)에서 감지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용이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수직 마그넷(42b)의 위치는 고정된 상태에서 도 28에 도시된 수평 마그넷(42a)을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수직 마그넷(42b)은 고정 마그넷 그리고 수평 마그넷(42a)는 변동 마그넷이라 할 수 있다.
수평 마그넷(42a)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수평 마그넷(42a)과 힌지축(23)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다시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기준(즉, 도어가 90도 열린 상태에서)으로 수평 마그넷(42a)과 리드 스위치(41) 사이의 거리는 작아진다. 따라서, 수평 마그넷(42a)이 상기 리드 스위치(41)에 미치는 자력의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서는 도어(20)가 더욱 개방되어야 한다. 즉, 도어 개방 각도를 90도 초과하여 기설정하기 위해서 수평 마그넷(42a)을 힌지축(23)과 가깝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수평 마그넷(42a)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힌지축(23)과 멀게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수평 마그넷(42a)와 리드 스위치(41) 사이의 거리는 커지게 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 각도가 90도보다 작은 상태에서 상기 수평 마그넷(42a)의 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결국, 보조 마그넷인 고정 마그넷(42b)와 주 마그넷인 변동 마그넷(42a)을 통하여 도어 개방 각도를 탄력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센서(40)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넷의 하부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된 예가 설명되었다. 그러나, 반대로 상기 마그넷의 상부에 리드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도어(40)의 상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에 마그넷이 구비되며, 상기 도어 데코와 마주보는 위치에 리드 스위치가 장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느 경우나, 도어의 개방 각도와 무관하게 상기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 사이의 수직 거리는 고정되며, 도어의 개방 각도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 사이의 수평 거리가 가변될 것이다.
본 실시예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매우 단순한 리드 스위치와 마그넷을 이용하여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기설정 도어 개방 각도에서 도어의 개방과 도어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냉장고의 모델 별로 상기 도어 개방 각도는 어느 정도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 개의 마그넷 중 어느 하나의 마그넷의 위치를 가변시켜 탄력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센서(40)에서 리드 스위치는 홀 센서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상기 홀 센서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상기 홀 센서와 수직 위치를 갖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가 90도 개방되는 위치에서 마그넷이 홀 센서의 수직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도어가 개방 각도가 커지면서 90도에 이르면 홀 센서에서는 마그넷을 인식하여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어가 90도 개방되는 위치까지 마그넷은 항상 홀 센서의 수직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마그넷의 형상을 아크 형태로 형성하거나 복수 개 구비하여 도어가 90도 개방될 때까지 항상 홀 센서에서 마그넷을 인식하도록 할 수 있다. 도어가 90도 개방되면 상기 마그넷은 상기 홀 센서의 감지 영역을 벗어나게 되며, 이를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 구성 요소들 사이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메인 제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제어부(300)를 통해 냉장고의 기본 작동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모터 어셈블리(1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모터(162)와 모터 제어부(16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터(162)는 정역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일례로 정방향(시계 방향) 구동에 의해서 전술한 전달부재(171)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역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전달부재(171)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동 구동부 즉 모터의 정방향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발생될 수 있다. 그리고, 모터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서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모터(162)의 구동 방향,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듀티비(duty ratio), 상기 모터의 구동 및 정지는 상기 모터 제어부(165)를 통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전후로 이동하는 연결부재(16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63)의 최대 돌출길이는 상기 전달부재의 대기위치와 대응되고, 상기 연결부재(163)의 최소 돌출길이는 상기 전달부재의 초기위치와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163)는 최대 돌출길이와 최소 돌출길이 사이에서 이동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서 상기 연결부재(163)가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지 조작 위치에 대응된 위치에 있는지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두 개의 홀 센서(166, 16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어셈블리(160)에는 마그넷(168)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넷(168)은 상기 연결부재(163)의 이동에 따라 하우징(161) 내부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홀센서(166)에서 상기 마그넷(168)을 인식하면, 상기 전달부재는 초기위치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제2홀센서(167)에서 상기 마그넷(168)을 인식하면, 상기 전달부재는 대기위치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홀센서(166, 167)와 마그넷(168) 이용하여, 상기 모터 어셈블리(160)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어방법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모터 제어부(165)는 기본적으로 센서(40)를 통해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162)를 작동시킨다. 즉, 전동 구동부를 구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센서(40)는 기설정된 개방 각도(일례로 90도 개방각도)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라 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40)가 일례로 도어가 90도 열린 것으로 감지하면, 상기 모터 제어부(165)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로 인출되도록 상기 모터(162)를 작동시킨다. 따라서, 모터 제어부(165)는 드로워를 인출하도록 전동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센서(40)에서 드로워의 인출 조건으로서의 도어 개방이 감지되면,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모터 어셈블리(160)의 정방향 구동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메인 제어부(300)를 통해 상기 모터 제어부(165)로 전달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도어 개방 신호 또는 모터 어셈블리(160)의 정방향 구동 신호는 직접 상기 모터 제어부(165)로 전달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어 스위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냉장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도어 스위치(50)에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저장실을 비추는 조명장치(60)가 작동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 스위치(50)는 상기 센서(40)와 개별적으로 구비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는 제어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0을 참조하여 초기 단계(S1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초기 단계는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최초로 모터(162)가 구동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즉, 모터(162)가 초기 구동을 하여 전달부재를 초기 위치로 이동시켜 전동 드로워 시스템을 초기화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 단계(S10)가 시작되면, 모터가 동작(S30)한다. 즉, 전달부재(171)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작동한다. 이때의 모터 구동 방향을 일례로 반시계방향 또는 역방향일 수 있다. 이하, 모터 구동 방향이 반시계방향일 때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고 시계방향일 때 전달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상기 모터의 동작은 소정 듀티비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동작은 제1홀센서(166)를 통해서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었음이 판단되면 종료된다. 일례로, 상기 제1홀센서(166)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모터의 동작이 정지(S40)한다.
또한, 상기 모터의 동작은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경과되면 정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소정 시간은 5초일 수 있다. 여기서 소정 시간은 마진을 고려하여 최대로 허용되는 모터 동작 시간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의 동작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하기 전 상기 제1홀센서(166)에서의 온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되는 것이 정상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가 정지(S50)된 후, 상기 모터의 동작 시간이 소정 시간 이상이거나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됨을 감지(S50)하면, 전동 드로워 시스템에 에러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에러가 발생되면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가 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홀센서(167)의 온 신호 발생은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가 아닌 조작 위치에서 발생되는 것이 정상적이다. 따라서, 초기 단계(S10)에서 제2홀센서(167)의 온 신호 발생은 홀센서들을 포함한 전동 드로워 시스템 전체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아울러, 모터가 소정 시간 이상 동작하는 경우도 전술한 바와 같이 전동 드로워 시스템 전체에서 이상이 발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전달부재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는 드로워에 의한 부하가 상기 모터(162)에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에러가 발생되면,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단계(S100)이 수행될 수 있다. 알림 단계(S100)에서 에러 여부를 다시 판단(S110)하며, 이때 어느쪽 드로워에서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양쪽 냉동실에 각각 전동 드로워가 설치된 경우, 왼쪽 드로워의 에러인지 오른쪽 드로워의 에러인지 판단한다. 전동 드로워의 에러인 경우 에러를 표시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를 통해 에러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에러를 표시한 후 또는 에러가 아닌 것으로 판단된 후 대기 상태(S200)로 전환된다. 상기 대기 상태(S200)는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라 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S200)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S210, S22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한 조건은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라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드 스위치(41)에서 도어의 개방을 감지(S210)하는 경우 상기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센서(40)를 통해 도어의 개방이 감지될 때까지 상기 모터(162)는 항상 대기 상태(S200)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 감지는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를 전제로 한다. 따라서,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이 감지(S200)되면 비로소 인출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40)를 통한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고 도어 스위치(50)를 통한 도어 개방이 감지되지 않으면, 센서(40)의 에러 여부를 판단(S230)하고 해당되는 에러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대기 상태(S200)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인출 단계(S300)에서 상기 모터(162)는 드로워(30)를 전방으로 밀도록 작동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162)에는 상대적으로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특히, 드로워(30)에 저장물이 많은 경우에는 더욱 큰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인출 단계(S300)에서는 부하에 따라 큰 출력이 상기 모터에서 발생되도록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즉, 부하가 증가함에 따라 듀티비를 증가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출 단계(S300)는 모터의 회전시 발생하는 신호(FG, Frequency generator)를 산출하는 단계(S310)를 포함할 수 있다. 기설정된 시간, 예를 들어 100 ms(밀리세컨드)마다 FG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인출 단계(S300)를 상기 산출된 FG에 따라 듀티비를 달리 하여 상기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모터 인출 구동 단계(S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산출된 FG에 따라 복수 개의 부하 조건으로 나눈후, 각 부하 조건에서 기설정된 듀티비로 상기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산출된 FG가 0 내지 50일 때, 듀티비를 180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FG가 51 내지 100일 때, 듀티비를 200으로 하여 모터를 구동시킬 수 있다. 산출된 FG가 증가됨에 따라 듀티비를 증가시키고, 일례로, 산출된 FG가 251 이상일 때 듀티비를 250으로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산출된 FG가 클수록 부하가 큰 조건으로 판단하여 모터의 출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는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는 기설정된 시간에 도달될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기설정된 시간은 3초일 수 있다.
한편,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 도중 드로워의 인출을 방해하는 장애가 발생될 수 있다. 즉, 매우 무거운 물건이 드로워 전방을 가로 막고 있거나, 레일(120)에 이물질이 침입하여 이동 레일(121)이 이동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 지속적으로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구동하는 경우 모터에 큰 부하게 발생될 수 있다. 즉, 상기 모터가 손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장애가 발생된 경우에는 상기 모터 구동 단계가 더이상 지속되지 않고 복귀 단계(S500)이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복귀 단계(S500)를 수행하기 전에 장애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5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모터의 구동 단계 도중에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으며,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는 상기 FG 산출 사이클이 소정 횟수에 도달될 때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4번째 FG 산출부터 상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 즉, 초기 예를 들어 3번째까지의 FG 산출은 장애물 판단에서 제외될 수 있다. 이는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 초기 정지 마찰력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모터에 큰 부하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정 횟수부터 장애물 판단 단계(S350)가 수행되며, 이는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S320)가 종료될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판단 단계(S350)에서 산출된 FG가 기설정된 장애물 FG 보다 큰 경우 장애물이 없음으로 판단되어 상기 모터 인출 구동 단계가 지속될 수 있다. 그러나, 산출된 FG가 기설정된 장애물 FG과 같거나 작은 경우에는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즉, 장애물로 인해서 모터의 과부하가 발생되어 상기 모터가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못하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따라서, 장애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모터의 구동을 종료하고 복귀 단계(S500)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장애물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이 종료되면, 에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4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터의 인출 구동 종료까지 상기 소정 시간, 일례로 3초 이상 소요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도 최대 허용 시간이라 할 수 있으며, 3초 이상 소요된 것은 에러라고 판단될 수 있다. 또한, 제1홀센서(166)의 온 신호 발생인 경우에도 에러라고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모터 인출 구동 단계(S340)의 종료 즉 인출 단계(S300)가 종료되면 정지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지 단계(S400)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가 아니다. 즉, 드로어의 인출을 정지하는 단계라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모터의 인출 구동 단계는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이며, 상기 제2홀센서(167)를 통해 전달부재가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이 정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이 정지되는 단계가 상기 정지 단계(S400)라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단계(S300)에서 모터는 시계방향(정방향)으로 구동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도 상기 모터의 시계방향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상기 드로워를 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최소의 출력으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는 상기 모터에 인가될 수 있는 최소의 듀티비로 상기 모터가 구동(S420)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즉, 드로워의 자동 인출과 연관된 모터의 구동에 있어서, 상기 모터에 인가되는 듀티비 중 가장 작은 듀티비로 상기 모터가 동작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오토 클로징 유닛(탄성장치)의 탄성력에 의해서 사용자가 드로워를 조작하기도 전에 드로워가 자동으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정지 단계(S400)는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10초 동안 수행(S430)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복귀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가 드로워를 추가적으로 인출하면,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 사이의 연결이 해제된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인출하지 않은 드로워는 상기 탄성장치와 연결이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추가적으로 인출되지 않은 드로워는 탄성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의 복귀 속도는 상기 전달 부재의 복귀 속도보다 빠르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탄성장치에 의해서 드로워가 복귀되는 경우, 드로워는 복귀되는 전달 부재를 따라갈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개별적으로 드로워가 추가 인출 가능하고 자동 복귀 가능한 특징은 드로워의 사용 편의성 및 냉기 손실 감소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왜냐하면, 이러한 특징에 의해서 사용하고 있는 드로워의 개구부 영역은 더욱 확장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사용하지 않는 드로워를 초기위치로 인입시켜 대기위치에서보다 냉기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30)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밀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정지 단계 도중에도 상기 복귀 단계(S500)가 수행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정지 단계(S400)에서도 FG를 산출하는 단계(S410)가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산출된 FG를 통해 사용자가 드로워를 인입하는 방향으로 밀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440)가 수행될 수 있다. 일례로, 산출된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 사용자가 드로워를 민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 경우도 소정의 FG 산출 횟수가 경과된 후 상기 판단 단계(S44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정지 단계(S400)는 정상적으로 예를 들어 10초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상기 전달부재(171)가 초기 위치로 복귀되도록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이를 복귀 단계(S500)이라 할 수 있다. 상기 복귀 단계에서는 상기 드로워를 미는 힘이 제거된다. 따라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드로워는 전술한 오토 클로징 유닛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복귀할 수 있다.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 단계(S500)는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S510)를 포함한다. 즉, 모터의 구동 방향을 전환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을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모터는 BLDC (Blushless DC) 모터일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모터에 구동이 정지하도록 브레이크 입력이 가해질 수 있다. 상기 단계(S510)는 일례로 10 ms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단계(S510)를 통해서 모터의 급격한 회전 방향 전환으로 인해 모터 자체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귀 단계(S500)는 전술한 초기 단계(S50)과 유사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제1홀센서(166)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거나 기설정된 시간까지 상기 모터가 반시계방향으로 동작(S530)하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S540)될 수 있다. 여기서, 기설정된 시간은 최대 허용 시간을 의미하며 일례로 5초일 수 있다. 상기 5초 동안 모터의 구동이 수행되는 것은 에러로 판단(S550)될 수 있다. 물론, 제2홀센서(167)에서 온 신호가 발생되는 경우도 에러로 판단(S550)될 수 있다. 에러인 경우에는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S540)되면 대기 상태(S200)가 수행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복귀 단계(S500)에서의 듀티비는 초기 단계(S10)에서의 듀티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출 단계에서 감지된 FG 즉 총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초기 단계(S10)에서와 같은 듀티비로 모터가 구동될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모터의 정방향 구동이나 역방향 구동에 장애물이 실질적으로 배재된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듀티비를 인가하더라도 상기 전달부재가 원활히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도어가 급격히 닫히는 경우 조작 위치에서의 드로워는 도어의 바스켓과 부딪힐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가 긴급 복귀하는 단계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드로워가 인출되는 도중에 도어가 급격히 닫히는 경우 드로워는 인출되고 있는 데 도어는 닫혀 드로워와 도어가 충돌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 도어가 급히 닫히는 경우 드로워와 도어가 충돌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긴급하게 드로워를 복귀시키는 제어 로직이 수행됨이 매우 바람직하다.
즉, 전술한 인출 단계(S300)와 정지 단계(S400) 수행 도중 상기 드로워가 긴급 복귀하도록 하는 단계(S700)가 수행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이러한 긴급 복귀 단계는 드로워가 초기위치에 위치되는 경우에는 당연히 수행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먼저, 긴급 복귀 조건을 판단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으며, 긴급 복귀 조건이 만족되면, 긴급 복귀 단계(S70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긴급 복귀 조건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인출 단계나 정지 단계 수행 도중을 만족하고, 상기 센서(40)에서 도어가 닫힘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리드 스위치(41)에서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긴급 복귀 단계도 상기 복귀 단계와 동일하게 수행될 수 있다. 즉, 모터를 반시계 방향(역방향)으로 구동하는 단계(S720), 모터 정지 단계(S740), 에러 판단 단계(S75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에러로 판단되면 알림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긴급 복귀 단계를 시작하는 경우, 상기 모터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는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소정시간 일례로 10 ms 동안 모터의 구동을 정지한 후 상기 모터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제어 방법을 통해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로 인해 상기 모터에 큰 부하가 가해지는 경우, 상기 모터는 복귀 단계 또는 긴급 복귀 단계를 수행하여 모터에 큰 부하가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들에 대한 리스트들은 본 발명의 일시예들을 추후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하의 리스트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1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first list of embodiments)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2-1.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드로워는 개별적으로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위해 가해지는 힘은 상기 드로워의 인출과는 무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1 실시예 내지 2-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및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대한 인출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드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트 커버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는 상기 레일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이드 바가 구비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상부 가이드 바와 하부 가이드 바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를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에는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전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전달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제1걸림부재가 전방으로 밀려 상기 드로워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 외부에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이 연결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의 이동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 각각의 드로워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최대 인출 위치와 상기 초기위치 사이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최대 인출 위치까지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의 수동 인출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유지되는 동안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이 유지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대기위치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대 인출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상기 무빙 프레임이 재결합되는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의 수동 인입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복귀하도록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를 통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상으로 개방됨이 감지되면 도어의 개방, 그리고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소정 각도 이내로 닫힘이 감지되면 도어의 닫힘으로 판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3 실시예 내지 제 20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에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스프링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발생시키며,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걸이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드로워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전단에는,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스프링을 최대로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와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1경사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최대 인출 위치로 인출되기 전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1경사 슬롯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인출된 후 상기 대기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1경사 슬롯에서 벗어나 상기 제2걸림부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후단에는,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스프링을 최대로 탄성 복원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와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2경사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인입되기 전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2경사 슬롯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2경사 슬롯에서 벗어나 상기 제2걸림부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되는 전동 구동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 3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후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도어가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 3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각도와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각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 3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각도는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 30 실시예 내지 제 3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밀착이 해제됨을 상기 도어의 개방 그리고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 사이의 밀착을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스위치는 상기 센서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2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second list of embodiments)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방 이동을 통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고,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각도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소정 시간 동안 정방향 구동을 유지한 후 상기 무빙 프레임의 복귀를 위해 역방향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1 실시예 내지 제 2-2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이 가해지지 않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실시예 내지 제 3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대한 인출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짐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측벽과 상기 측벽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드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트 커버 사이에는 소정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면에 장착되어 상기 소정 공간 내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가이드 바가 구비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상부 가이드 바와 하부 가이드 바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서포트 커버를 관통하는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에는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도록 상기 슬릿을 관통하는 전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전달부재에 대응되도록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제1걸림부재가 전방으로 밀려 상기 드로워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1 실시예 내지 제 9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상기 드로워는 바스켓 및 상기 바스켓 외부에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이 연결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이 상기 드로워의 이동으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 각각의 드로워 프레임과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레일은, 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최대 인출 위치와 상기 초기위치 사이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최대 인출 위치까지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의 수동 인출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 실시예 내지 제 14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시킨 후, 상기 도어의 개폐 감지 여부와 무관하게, 상기 초기위치로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는 상기 대기위치를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되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최대 인출되는 최대인출위치에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의 수동 인입이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가 연결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를 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실시예 내지 제 18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에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길이 방향으로 슬롯이 형성되고 스프링이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슬롯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을 발생시키며,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걸이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가 인입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가 연결되어, 상기 드로워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전단에는,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스프링을 최대로 탄성 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와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1경사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1경사 슬롯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롯의 후단에는,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스프링을 최대로 탄성 복원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와의 연결을 해제시키기 위한 제2경사 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2걸림부재와 연결된 후,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로 인입되기 전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2경사 슬롯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이부재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로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제2경사 슬롯에서 벗어나 상기 제2걸림부재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를 통해 상기 도어의 개폐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방 이동을 통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드로워가 인출된 후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될 때,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대기위치로 이동된 후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인출됨에 따라 상기 탄성장치의 스프링은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면,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탄성 변형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와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3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third list of embodiments)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키고, 상기 탄성장치를 탄성 변형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탄성장치는,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 그리고상기 걸이부재의 이동 방향 및 거리에 따라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탄성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및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고,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와 대기위치 사이에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되는 전달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를 통하여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탄성장치의 하우징에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의 걸림부재와 연결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이부재의 돌출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상기 걸이부재를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걸이부재의 일측에는 상기 전달부재가 접촉되어 안착되는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어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이 상기 걸이부재에 전달되며, 상기 전달부재가 상기 안착부에서 이탈되어 후방으로 이동하면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상기 걸이부재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며,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드로워;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와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에 의해서 탄성 변형되거나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탄성장치;상기 걸이부재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달부재 및 상기 전달부재를 전동으로 이동시키는 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더욱 인출됨에 따라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걸이부재 사이의 연결이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가 수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드로워를 상기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전달부재가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스프링이 탄성 복원됨에 따라 상기 걸이부재가 상기 걸림부재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 실시예 내지 제 16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고,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된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상기 드로워를 향하여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걸림부재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걸이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이부재를 전방으로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드로워는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들 각각에 상기 전달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달부재를 일체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와 무빙 프레임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전동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2.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는 무관하게,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과 무관하게, 상기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선택적으로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며, 전후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와 연결된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와 상기 무빙 프레임의 연결은 해제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냉장고.
25.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될 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가 인입될 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 그리고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갖는 냉장고.
26.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
상기 드로워의 인출 속도보다 인입 속도를 달리하기 위해,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될 때 탄성 변형되고,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대기위치에서 초기위치로 인입시키는 탄성장치.
27.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될 때 탄성 변형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 인출될 때 상기 드로워와 연결이 해제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8.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를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고, 일체로 상기 저장실의 우측 또는 좌측 측벽과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서포트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에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
상기 드로워의 자동 인출을 위해 구동되며,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 장착되는 전동 구동부;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전동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드로워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레일과는 개별적으로(separately) 상기 서포트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29.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의 일측 측벽에 결합 및 분리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되며, 상기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 개의 레일;
상기 드로워들의 자동 인출을 위해 구동되는 전동 구동부;
상기 전동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에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레일과는 개별적으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단일 무빙 프레임을 포함하는 냉장고.
30.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의 일측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서포트 커버;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를 전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
상기 도어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로 열렸을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는 센서;
전동 구동부;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3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리세스 또는 관통부가 형성된 상기 저장실의 일측 측벽에 고정 결합되는 서포트 커버;
모터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서포터 커버의 내측면에 고정되고, 상기 서포트 커버가 상기 측벽에 결합될 때 상기 하우징은 상기 리세스 또는 관통부에 삽입되는 전동 구동부;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4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fourth list of embodiments)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갖고 회전하도록 구비되는 마그넷; 그리고상기 마그넷과 이격되도록 상기 마그넷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도어의 회전과 무관하게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접점 전환을 위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을 갖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직 거리는 유지되고 수평 거리만 가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도어의 회전축은, 상기 도어가 좌우로 회전하여 개폐되도록 수직축으로 형성되며, 상기 캐비닛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캐비닛의 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도어의 회전축에서 상기 캐비닛의 좌우 중심 쪽으로 치우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형성하고 지면에 대해서 수평으로 형성되는 힌지 커버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5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커짐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의 수직 상부를 지나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평 거리가 증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리드 스위치의 접점 전환에 의해서 상기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힘이 감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실시예 내지 제 8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캐비닛의 전면과 길이 방향이 나란하도록 구비되는 수평 마그넷과 길이 방향이 상기 수평 마그넷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구비되는 수직 마그넷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막대 자석이며, 장착 상태에서 상기 마그넷의 높이에 비하여 길이가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리드 스위치는 가로변과 세로변을 갖는 사각 형상을 갖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가로변의 길이가 세로변의 길이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수평 마그넷과 수직 마그넷의 길이는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90도일 때,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리드 스위치의 가로변 사이의 각도는 실질적으로 90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수평 마그넷의 상기 도어 회전축에 대한 회전 반경이 상기 수직 마그넷의 회전 반경에 비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임계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도어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도록 상기 수평 마그넷이 장착되고, 상기 임계점에 해당하는 도어의 개방 각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기 수평 마그넷과 상기 도어 회전축 사이의 거리가 커지도록 상기 수평 마그넷이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상기 도어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의 개방됨에 따라 상기 도어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전 반경을 마그넷, 그리고 상기 캐비닛에 대해서 고정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마그넷에 의한 유효 자력 세기의 임계점에서 접점이 전환되는 리드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의 기설정된 개방 각도에 이르면 상기 도어가 개방된 것으로 감지하는 센서;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 그리고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하는 냉장고.
19.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리드 스위치와의 수직 거리는 유지되고 수평 거리만 가변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도어의 하면을 형성하는 도어 데코의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위치는 상기 마그넷의 하부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마그넷은 상기 리드 스위치에 대한 수평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 개의 마그넷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5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fifth list of embodiments)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바스켓이 안착되는 바스켓 안착부와 상기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레일과 결합되는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수직 하방으로 상기 바스켓 안착부에 안착되어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 결합되며, 상기 바스켓은 수직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과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중앙 부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상기 안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은, 상기 개구부에 삽입되는 하부 바스켓과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부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바스켓과 상부 바스켓은 일체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드로워 프레임의 좌우 양측에서 전후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상부 바스켓은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하부 바스켓보다 좌우 폭이 더욱 크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드로워와 일체로 전후 이동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 결합부가 상기 이동 레일을 감싸면서 안착되도록 채널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걸려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방 이동과 상부 이동을 제한하는 걸림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실시예 또는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의 전단에는 탄성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된 후 탄성 복원되면서 삽입되는 장착홀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상기 걸림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이 하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탄성 돌기가 탄성 변형된 후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드로워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 프레임은 상기 탄성 돌기와 상기 걸림부에 의하여 전후좌우 4개의 지지점을 통해 상기 이동 레일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이동 레일 하부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 내에 고정된 고정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 레일은 상기 고정 레일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레일 결합부를 상기 드로워의 전방에서 커버하도록 상기 바스켓의 전방 하부에 좌우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데코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과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이동 레일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심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의 전단에는 상기 탄성 돌기를 상기 고정 레일에 형성하기 위한 탄성 돌기 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탄성 돌기 브라켓과 상기 탄성 돌기 사이에는 상기 탄성 돌기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하여 절개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고정 레일을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브라켓은 상기 고정 레일의 전후에 소정 이격 거리를 두고 각각 구비되는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에는 상기 저장실의 측벽을 향해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밀도록 구비되는 전달부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와 걸림부재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저장실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레일 결합부, 그리고 상기 저장실의 측벽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부재가 구비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하는 드로워;
상기 레일 결합부와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저장실의 측벽 쪽에 지지되는 레일; 그리고
상기 저장실 측벽 쪽에서 상기 드로워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된 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을 통해 상기 걸림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조작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전동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과의 간섭을 회피하기 위하여,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와 조작위치 사이의 구간에서,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6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sixth list of embodiments)
1.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조작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조작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후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정지하는 정지 단계;
상기 정지 단계 후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대기 상태의 시작을 위해,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상기 초기 위치로 이동시키는 초기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3.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4.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면, 상기 판단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대기 상태가 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5.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 단계에서,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6.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7.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BLDC(Brushless DC) 모터이며,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의 회전시 발생하는 신호(FG, Frequency generator)를 산출하여 산출된 FG에 따라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듀티비(duty ratio)를 달리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8.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산출된 FG가 클수록 상기 듀티비를 크게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9.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계 도중, 상기 산출된 FG가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방해하는 장애물에 대응하는 장애물 FG보다 작은 경우, 상기 정지 단계가 수행되지 않고 상기 복귀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0.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1.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지 단계는 상기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듀티비 중 최소 듀티비로 소정 시간 동안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2. 제 1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지 단계에서 FG를 산출하며, 상기 정지 단계 도중 산출된 FG가 소정 FG보다 작은 경우, 상기 복귀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3.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는 소정 시간 동안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정지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4.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모터는 상기 초기 위치를 감지하는 제1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또는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5.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귀 단계에서, 상기 조작 위치를 감지하는 제2홀센서에서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상기 모터가 상기 소정 시간에 도달할 때까지 구동될 때, 작동 이상임을 알리는 알림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6.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이 정지되어 상기 대기 상태로 전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7. 제 1 실시예 내지 제 16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 각도가 소정 개방 각도일 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센서를 통한 도어 개방 신호의 발생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8.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와 상기 캐비닛의 밀착 여부를 통하여 상기 도어의 개폐 여부를 감지하는 도어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은, 상기 도어 스위치를 통한 도어 개방 감지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19. 제 1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 수행 도중, 상기 센서를 통해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수행하는 인출 단계 또는 정지 단계를 정지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가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0. 제 1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긴급 복귀 단계 수행 시작 시, 상기 모터가 일방향으로 구동하고 있는 경우, 상기 모터의 구동을 소정 시간 정지한 후 역방향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1.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를 자동 인출하기 위한 조건을 판단하는 판단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그리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2.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그리고
상기 인출 단계 도중,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인출 단계를 중단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3.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종료 후,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전달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4.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종료 후,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정지하는 정지 단계; 그리고
상기 정지 단계 종료 후,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전달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5.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종료 후,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전달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 그리고
상기 인출 단계 도중,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인출 단계를 중단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26. 모터, 캐비닛에 구비되는 저장실 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로워 그리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초기 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자동으로 인출시키는 전달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모터를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 인출을 수행하는 인출 단계;
상기 인출 단계 종료 후, 상기 모터의 일방향 구동을 유지하여 상기 드로워의 인출을 정지하는 정지 단계;
상기 정지 단계 종료 후, 상기 드로워와 상기 전달부재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복귀 단계; 그리고
상기 인출 단계 및 상기 정지 단계 도중,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인출 단계 및 정지 단계를 중단하고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전달부재를 후방으로 복귀시키는 긴급 복귀 단계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다음은 실시예들에 대한 제7리스트이다(It follows the seventh list of embodiments)
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배치된 높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식품출입구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는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전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전달부재를 통해 가압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 복귀 시,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킨 후,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으로 복귀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상기 드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좌측 또는 우측 측벽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레일과는 개별적으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1 실시예 내지 제 5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단일 무빙 프레임으로,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에 동시에 전달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인출 거리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일측면은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이 결합되고, 타측면은 상기 저장실을 형성하는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드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13. 제 1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터 커버 사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터 커버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 바를 감싸는 슬라이딩 지지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슬라이딩 지지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상부, 중간부 그리고 하부에 각각 적어도 2개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슬라이딩 지지부 사이에는 라이너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의 상하좌우 내면에는 상기 가이드 바와 상기 라이너 사이의 마찰 면적을 줄이기 위한 마찰 회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와 결합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을 덮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커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 2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는 롤러가 구비되며, 상기 롤러를 통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무빙 프레임 커버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 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이동 방향으로의 폭보다 상하 높이가 더 크고, 상기 폭이 두께보다 큰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의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서 인출된 지점에서는 상기 무빙프레임과 상기 드로워의 분리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지 않는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의 드로워의 인출은,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는 무관하게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를 가압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의 연결이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으로 복귀 시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 2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드로워의 최대인출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 25 실시예 내지 제 30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수동으로 인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 3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된 후,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수동 인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이 복귀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무빙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그리고
상기 드로워의 일측과 상기 저장실의 내벽에 각각 결합되어, 선택적으로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드로워는 상기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 3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가 인출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가 인입될 때 상기 탄성 복원력을 상기 드로워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제 3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6. 제 3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걸이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7. 제 3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걸이부재의 변위에 따라 탄성 변형 및 탄성 복원되는 스프링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제 3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가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되도록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9. 제 3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유지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0. 제 3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대기위치에서 최대인출위치까지 수동으로 인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1. 제 4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인출될 때,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2. 제 4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까지 인출될 때,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변형은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서 발생되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과 상기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될 때까지 인출될 때,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변형은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를 수동으로 인출하는 힘에 의해서 발생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3. 제 4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변형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4. 제 3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유지된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5. 제 4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6. 제 4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해제된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7. 제 3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초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과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해제된 상태이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까지 인출되기 전에 상기 탄성장치과 상기 드로워가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8. 제 4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드로워의 연결은 다시 해제된 상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9. 제 3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걸이부재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을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0. 제 4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이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서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드로워와 결합되어, 전후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상기 도어의 개폐가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과정보다 폐쇄과정에서 더 빠른 속도로 상기 전동 구동부가 구동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2. 제 5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인출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3. 제 5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의 드로워 인출은,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는 무관하게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4. 제 5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탄성장치에서 제공하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자동으로 초기위치로 인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5. 제 5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6. 제 5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방 이동 속도보다 후방 이동 속도가 더 빠르도록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7. 제 5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으로 복귀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8. 제 5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인출됨에 따라 상기 탄성장치를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변형이 유지된 상태에서 상기 드로워와 상기 탄성장치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9. 제 5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으로 복귀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0. 제 5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복귀된 무빙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의 후방 이동에 의해 상기 드로워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탄성장치와 재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내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저장실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 측면에 결합된 이동레일;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무빙 프레임이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2. 제 6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레일과는 개별적으로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3. 제 6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4. 제 6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5. 제 6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부재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6. 제 6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걸림부재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7. 제 6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수평 방향의 힘만 전달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8. 제 67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9. 제 6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은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부재의 전후 이동이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0. 제 6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 레일과 연결되는 레일 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1. 제 70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레일 결합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이동 레일은 좌우로 나란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2. 제 6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와 상기 측벽에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부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들을 통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측벽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3. 제 7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하중은 상기 이동 레일과 고정 레일을 통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전달되고,
상기 드로워의 하중이 상기 무빙 프레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만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4.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을 가진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의 측면벽을 형성하도록, 상기 저장실 내벽에 장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서포트 커버; 상기 서포트 커버 외부면에 상하로 장착된 복수 개의 레일;상기 복수 개의 레일에 의해서 상기 식품출입구를 통해 인입/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저장실 내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서포트 커버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배치된 높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전달부재를 통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를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서포트 커버 내부에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전동 구동부;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하도록 상기 전동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75. 제 7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가 상기 전동 구동부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덮도록 상기 측면벽과 결합되어, 상기 전동 구동부와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는 것이 배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6. 제 7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에는 상기 전동 구동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부 또는 리세스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7. 제 7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면벽은 좌우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이며, 상기 서포트 커버는 상기 격벽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8. 제 7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또는 리세스는,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과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9. 제 7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0. 제 7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모터 회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1. 제 74 실시예 내지 제 80 실시예 중 어느 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상기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전동 구동부가 상기 서포트 커버에 각각 장착되어 단일 무빙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커버를 상기 측면벽에 결합 및 분리함에 따라 상기 무빙 어셈블리 전체가 상기 측면벽에 결합 및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2. 제 8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3. 제 8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레일과 결합하는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을 상부에서 하부로 수용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4. 제 8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5. 제 8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6. 제 85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7. 제 86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이동 레일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8. 제 84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에는 상기 전달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9. 제 88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에는 상기 탄성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0. 제 89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제1걸림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Claims (121)

  1.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하여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레일; 그리고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는 힘은 서로 무관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드로워는 개별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로워를 가압하여 상기 드로워를 인출시키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의 인출 방향과 나란하게 선형 이동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초기위치에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가하도록, 상기 드로워와 연결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가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에 힘을 전달하지 않기 위해, 상기 드로워와 연결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 8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와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모터 어셈블리에 대한 인출 거리가 달라짐에 따라,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모터 어셈블리 사이의 거리가 달라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와는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과 상기 도어 사이의 밀착 여부를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도어 스위치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 7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대기위치까지 이동될 때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상기 초기위치로 이동될 때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구비되는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수동으로 추가 인출되도록, 상기 대기위치 또는 상기 대기위치의 인근 위치에서 상기 드로워와의 연결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된 후 소정 각도로 상기 도어가 회전하여 닫힐 때,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는 소정 각도와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하는 소정 각도는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는 소정 각도는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하는 소정 각도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 전방에는 상기 저장실의 전방 개구부를 정의하는 식품출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 인출되기 전까지 상기 전동 구동부가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과 무관하게, 수동으로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 더욱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상하로 배치된 복수 개의 드로워;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을 밀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회전 각도가 증가하여 상기 소정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는 힘은 서로 무관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드로워는 개별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단일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단일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6. 제 21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가 배치된 높이에 대응되어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함께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에는,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전달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전달부재를 통해 가압되는 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 복귀 시,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 사이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0.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저장실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고정 레일; 그리고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와 함께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이동 레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2.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의 좌측 또는 우측 측벽에 결합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3. 제 3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레일과는 개별적으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4. 제 21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모터 어셈블리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돌출 거리가 가변됨에 따라 상기 무빙 프레임이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6. 제 34 항 또는 제 35 항에 있어서,
    내측면은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결합되고 외측면에는 상기 드로워를 지지하는 레일과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통해 상기 드로워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는 냉장고.
  37.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어셈블리는,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트 커버 사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8. 제 37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측벽과 상기 서포트 커버 사이에서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는 상기 무빙 프레임과 연결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 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0.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형성되는 관통부를 관통하여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의 이동으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배치된 드로워;
    상기 저장실 측벽과 결합되어 상기 드로워의 하중을 지지하는 고정 레일;
    상기 고정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드로워 측면에 결합된 이동 레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드로워를 밀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무빙 프레임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42.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저장실의 양측벽에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좌우로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4.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벽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단열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5.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과 전동 구동부는 상기 양측벽 중 어느 하나의 측벽에 인접하여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6.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과 전동 구동부가 인접한 측벽은 좌우로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7. 제 46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저장실 각각에 상기 드로워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좌우의 저장실 각각을 개폐하도록 각각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8. 제 41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레일들과는 개별적으로 상기 저장실의 측벽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과 결합하도록 구비되는 서포트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레일은 상기 저장실 내부 형성하는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0.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와 상기 측벽에는 서로 결합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부들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들을 통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이 상기 측벽에 전달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1. 제 5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하중은 상기 이동 레일과 고정 레일을 통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전달되고,
    상기 드로워의 하중이 상기 무빙 프레임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상기 무빙 프레임은 수평 방향으로만 상기 드로워와 선택적으로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2. 제 4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3. 제 5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걸림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상기 걸림부재에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4. 제 53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걸림부재를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슬릿을 관통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5. 제 5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걸림부재는 수평 방향의 힘만 전달되도록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6. 제 5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재를 밀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7.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레일은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을 통해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고,
    상기 전달부재의 전후 이동이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슬릿은 상기 전방 레일 브라켓과 후방 레일 브라켓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8. 제 5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측면에는 상기 이동 레일에 안착되어 상기 이동 레일과 연결되는 레일 결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9. 제 58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레일 결합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부재와 상기 이동 레일은 좌우로 나란하게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0. 제 41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외측면이 상기 저장실의 내면을 형성하고 내측면이 상기 저장실의 측벽과 마주보도록 장착되며, 관통부가 형성된 서포트 커버;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장착된 레일;
    상기 레일에 의해서 상기 식품출입구를 통해 인입 및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측면과 상기 저장실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관통부를 관통하는 전달부재를 통해서 상기 드로워를 밀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서포트 커버의 내부면과 상기 저장실의 측벽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62. 제 61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와 나란하게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3. 제 6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는, 상기 전동 구동부와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저장실 내부로 노출되는 것을 배제하기 위하여, 상기 전동 구동부와 상기 무빙 프레임을 덮도록 상기 측벽과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4. 제 63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은 좌우 저장실을 구획하는 격벽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5. 제 61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저장실 내에 상하로 배치되어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레일은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에 대응되어 상기 서포트 커버의 외측면에 상하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6.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에는 상기 전동 구동부가 삽입되기 위한 관통부 또는 리세스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 또는 리세스는,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과 하부에 구비되는 레일 사이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8. 제 6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모터를 포함하는 모터 어셈블리;
    상기 모터 어셈블리를 수용하는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돌출 길이가 가변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무빙 프레임과 결합된 연결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는 상기 모터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기 위한 모터 회피홈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0. 제 65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상기 무빙 프레임 그리고 상기 전동 구동부가 상기 서포트 커버에 각각 장착되어 단일 무빙 어셈블리를 형성하고,
    상기 서포트 커버를 상기 측면벽에 결합 및 분리함에 따라 상기 무빙 어셈블리 전체가 상기 측면벽에 결합 및 분리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1.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어셈블리는,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2. 제 70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 그리고
    상기 레일과 결합하는 레일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바스켓을 상부에서 하부로 수용하는 드로워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레일의 상부에서 하부로 안착되어 상기 레일을 감싸도록 채널 형상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4.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후단이 삽입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레일의 전방에는 상기 레일 결합부의 전단에 구비되는 장착홀에 삽입되는 탄성 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5. 제 74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이동 레일과 상기 이동 레일의 하부에서 상기 이동 레일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는 상기 이동 레일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6. 제 75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상기 이동 레일 외측면을 덮는 측면 플렌지에 형성되며, 상기 탄성 돌기는 상기 드로워의 좌우 중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 후 복원되어, 상기 장착홀에 삽입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7. 제 7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결합부에는 상기 전달부재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1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8.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결합부에는 상기 탄성장치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제1걸림부재의 상부에서 상기 레일 결합부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0. 제 61 항 내지 제 7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그리고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1.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드로워의 인출 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의 인입 시 탄성 복원되는 탄성장치;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인출시키도록 일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발생시키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82. 제 8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를 초기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이격거리만큼 이동된 대기위치까지 인출시키도록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소정 시간 동안 위치되도록 상기 일방향 구동을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4. 제 8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기 위하여 역방향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5. 제 82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까지 인출됨에 따라 탄성 변형되며, 상기 드로워가 인입되도록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6. 제 82 항 내지 제 8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도어의 개방 감지 후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닫힐 때,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7. 제 8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가 일방향으로 구동하는 도중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을 해제하기 위하여 역방향으로 구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8. 제 8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해제되면,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9. 제 8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의 일방향 구동에 의해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드로워를 밀도록 구비되며, 상기 전동 구동부의 역방향 구동에 의해서 후방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 무빙 프레임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0.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 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1. 제 8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드로워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된 전달부재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2. 제 9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의 전방 이동 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를 가압하도록,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걸림부재의 후방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3. 제 9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와 상기 걸림부재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걸림부재의 이동 속도는 상기 전달부재의 이동 속도에 의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4. 제 89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저장실에서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5. 제 9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전방 이동에 의해서 함께 전방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6. 제 9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7. 제 96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는 상기 탄성장치와 선택적으로 결합되는 제2걸림부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8. 제 9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드로워의 초기 위치에서 전방으로 기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된 대기위치까지 상기 드로워를 자동으로 인출시키도록 일방향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9. 제 9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에서 상기 탄성장치와 상기 제2걸림부재의 결합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0. 제 99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추가 인출될 때, 상기 탄성장치는 탄성 변형이 유지된 채 상기 제2걸림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제2걸림부재와의 결합이 해제된 후 상기 드로워가 후방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걸림부재와 재결합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2. 전면에 식품출입구가 형성된 저장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드로워가 상기 저장실에 대해서 전후로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레일;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개방될 때, 상기 도어의 개방으로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센서;
    상기 드로워를 선택적으로 가압하여, 상기 식품출입구 방향으로 상기 드로워를 이동시키는 무빙 프레임;
    상기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드로워가 대기위치까지 전방으로 인출되록 구동하는 전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103. 제 102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대기위치는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기 전 위치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4. 제 103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드로워의 전면부가 상기 식품출입구를 벗어나 수동으로 추가 인출 가능하도록 상기 드로워를 지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5. 제 102 항 내지 제 10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저장실에서 상하로 복수 개 구비되며,
    상기 무빙 프레임은 상기 전동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를 함께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6. 제 105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로 전방 이동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드로워에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여 상기 드로워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탄성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7. 제 106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장치는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각각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8. 제 10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상기 드로워를 대기위치까지 이동시킨 후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무빙 프레임이 후방으로 복귀되도록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9. 제 10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가 상기 대기위치에서 전방으로 추가 인출됨에 따라 상기 드로워와 상기 탄성장치의 연결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0. 제 109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인출된 드로워를 수동으로 인입시킴에 따라 상기 드로워와 상기 탄성장치가 재연결되며, 이후 상기 드로워는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1. 제 110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중 추가 인출된 드로워를 제외한 나머지 드로워는 상기 탄성장치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후방으로 자동 인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2. 제 11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저장물을 수용하는 바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바스켓에는 상기 저장물이 출입을 위한 상부 개구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3. 제 1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드로워 중, 하부에 위치하는 드로워가 추가 인출된 상태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드로워가 자동 인입됨에 따라, 상기 하부 드로워에 구비되는 바스켓의 상부 개구부의 노출 면적이 증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4. 제 102 항 내지 제 1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감지 후 상기 도어가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닫힐 때, 상기 도어의 닫힘으로 감지하는 센서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5. 제 11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센서는 단일 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6. 제 115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는 도어의 회전 각도는, 상기 도어의 닫힘을 감지하는 도어의 회전 각도와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7. 제 112 항 내지 제 1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상태 또는 상기 무빙 프레임이 전방으로 이동하여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도어의 닫힘이 감지되면,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8. 제 117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구동부는 상기 무빙 프레임을 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역방향으로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9. 제 117 항 또는 제 118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의 후방 이동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를 전방으로 미는 힘이 제거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0. 제 119 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프레임과 상기 드로워가 동시에 후방으로 이동될 때, 상기 드로워의 이동 속도는 상기 무빙 프레임의 이동 속도에 의해 제한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1. 제 102 항 내지 제12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를 개방하는 힘과 상기 드로워를 인출하는 힘이 무관하도록, 상기 도어와 상기 드로워는 개별적으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PCT/KR2016/012607 2015-11-04 2016-11-03 냉장고 WO2017078436A1 (ko)

Priority Applications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54,839 US10612836B2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CN202011217885.2A CN112524875B (zh) 2015-11-04 2016-11-03 冰箱
CN201680033647.1A CN107709910B (zh) 2015-11-04 2016-11-03 冰箱
CN202011219346.2A CN112524877B (zh) 2015-11-04 2016-11-03 冰箱
EP21167764.6A EP3889528B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EP22201872.3A EP4141365A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EP16862452.6A EP3217130B1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CN202011217557.2A CN112524874B (zh) 2015-11-04 2016-11-03 冰箱
CN202011218264.6A CN112524876B (zh) 2015-11-04 2016-11-03 冰箱
US15/692,207 US10520246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5/692,312 US10557662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5/692,431 US10724787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6/825,009 US10876789B2 (en) 2015-11-04 2020-03-20 Refrigerator
US17/101,927 US11274878B2 (en) 2015-11-04 2020-11-23 Refrigerator
US17/585,023 US11725874B2 (en) 2015-11-04 2022-01-26 Refrigerator
US18/316,761 US20230280090A1 (en) 2015-11-04 2023-05-12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4816 2015-11-04
KR1020150154816A KR102491969B1 (ko) 2015-11-04 2015-11-04 냉장고
KR10-2016-0001300 2016-01-05
KR1020160001300A KR102043211B1 (ko) 2016-01-05 2016-01-05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US15/554,839 A-371-Of-International US10612836B2 (en) 2015-11-04 2016-11-03 Refrigerator
US15/692,431 Continuation US10724787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5/692,207 Continuation US10520246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5/692,312 Continuation US10557662B2 (en) 2015-11-04 2017-08-31 Refrigerator
US16/825,009 Continuation US10876789B2 (en) 2015-11-04 2020-03-20 Refrigerat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8436A1 true WO2017078436A1 (ko) 2017-05-11

Family

ID=58662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607 WO2017078436A1 (ko) 2015-11-04 2016-11-03 냉장고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8) US10612836B2 (ko)
EP (3) EP4141365A1 (ko)
CN (5) CN112524876B (ko)
TW (1) TWI627375B (ko)
WO (1) WO20170784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141365A1 (en) 2015-11-04 2023-03-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AU2018202899B1 (en) 2018-04-27 2019-01-17 Silicon Controls Pty Ltd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ing door opening events
KR102586889B1 (ko) * 2018-08-30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607011B1 (ko) * 2018-10-01 2023-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573779B1 (ko) 2018-11-20 2023-09-0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614492B1 (ko) * 2018-12-21 2023-1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11721062B (zh) * 2019-03-22 2021-12-17 合肥华凌股份有限公司 搁架升降装置及其控制方法、控制系统、冰箱及存储介质
CN112127746B (zh) * 2019-06-24 2023-04-18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32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31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40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45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44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41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42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43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127730A (zh) * 2019-06-24 2020-12-25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门体驱动装置及冰箱
CN112290319A (zh) * 2019-07-10 2021-01-29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电连接组件和电器设备
CN112444057B (zh) * 2019-08-28 2022-02-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实现重心内移的多门冰箱
CN112444077B (zh) * 2019-08-28 2022-02-22 青岛海尔电冰箱有限公司 可实现重心内移的冰箱
CN110470096A (zh) * 2019-08-29 2019-11-19 合肥晶弘电器有限公司 一种冰箱抽屉门体的自动开关机构
BR112022007246A2 (pt) * 2019-10-18 2022-07-05 Electrolux Do Brasil Sa Conjunto de gavetas de múltiplos propósitos e aparelho de refrigeraçã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191Y1 (ko) * 2006-03-24 2006-06-19 정동욱 서랍레일용 댐핑장치와 그 장치가 장착된 가구
KR20070114982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슬라이드형 트레이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KR20090102577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10050065A1 (en) * 2009-09-03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8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605A (en) * 1873-12-16 Improvement in brake-beams for cars
GB435008A (en) * 1934-05-28 1935-09-12 Arthur Charles Barratt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hicle wheels
US2761751A (en) 1953-01-12 1956-09-04 Stockton Louise Haines Cabinet for household refrigerators, etc.
BE548598A (ko) * 1956-03-16 1900-01-01
US2984533A (en) 1957-02-19 1961-05-16 Whirlpool Co Rack means for refrigerators and the like
US3019070A (en) 1958-08-28 1962-01-30 Anderson Co Motion-transmitting device
US4241337A (en) * 1979-03-29 1980-12-23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door position sensor arrangement
US5070319A (en) * 1990-06-22 1991-12-03 Ranco Incorporated Of Delaware Door ajar alarm for refrigeration unit
US5299863A (en) 1991-11-14 1994-04-05 Albright Jr Harold D Refrigerator with sliding interior frame
US5479152A (en) * 1994-09-19 1995-12-26 Walker; Bruce R. Portable refrigeration door open alarm apparatus
JP2001500605A (ja) * 1997-07-03 2001-01-16 ゼネラル・エレクトリック・カンパニイ 冷蔵庫の冷蔵室用のモジュール式リフレッシュメント・センタ
KR100286040B1 (ko) * 1997-12-26 2001-05-02 윤종용 냉장고
CN2319653Y (zh) * 1997-12-26 1999-05-19 庄旭桢 单索式闸门开度计
AT410504B (de) 2000-01-14 2003-05-26 Blum Gmbh Julius Schliess- und/oder einzugsvorrichtung für bewegbare möbelteile
DE10126841A1 (de) 2001-06-01 2002-12-05 Bsh Bosch Siemens Hausgeraete Kühlgutbehälter für ein Kältegerät
US6971730B2 (en) 2002-03-15 2005-12-06 Maytag Corporation Freezer drawer support assembly
KR20040019191A (ko) 2002-08-26 2004-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 소자 제조 방법
AT503045B1 (de) * 2004-06-18 2008-01-15 Blum Gmbh Julius Vorrichtung zum bewegen eines bewegbaren möbelteils
KR100690647B1 (ko) 2004-07-29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0626459B1 (ko) 2004-08-26 2006-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개폐 장치
KR20060025806A (ko) 2004-09-17 2006-03-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0608700B1 (ko) 2004-11-12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바스켓 승강기능을 구비한 냉장고의 이동제어장치
EP1825675A2 (en) * 2004-12-07 2007-08-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Tv control arbiter applications
US7603358B1 (en) * 2005-02-18 2009-10-13 The Macgregor Group, Inc. Compliance rules analytics engine
JP2007303109A (ja) * 2006-05-10 2007-11-22 Bs Door Kk 懸垂引戸式ドアの開閉機構
DE102006040379A1 (de) * 2006-08-29 2008-03-06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zwangsbelüftetem Verflüssiger
CN101167614B (zh) * 2006-10-25 2011-08-31 海尔集团公司 一体式抽屉滑轨组件
KR100794603B1 (ko) 2006-12-08 2008-01-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1034202B1 (ko) 2006-12-11 2011-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E102007005948A1 (de) 2007-02-06 2008-08-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ältegerät mit Teleskopauszug
JP4247279B2 (ja) * 2007-02-09 2009-04-02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冷蔵庫
KR100895139B1 (ko) 2007-07-27 2009-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DE202007013337U1 (de) * 2007-09-22 2009-02-12 Ott, Stefan Zeitgesteuertes Kühlschrankfach für Lebensmittel, die bei Verzehr Zimmertemperatur haben sollen
CN101400240B (zh) 2007-09-25 2012-07-04 广达电脑股份有限公司 卡合装置及应用该卡合装置的电子设备
US8061790B2 (en) * 2007-12-20 2011-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ed drawer for an appliance
AT506251B1 (de) 2007-12-20 2012-12-15 Blum Gmbh Julius Möbelantrieb
KR101508373B1 (ko) 2008-01-21 2015-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JP2009228911A (ja) * 2008-03-19 2009-10-08 Toshiba Corp 冷蔵庫
KR101547700B1 (ko) * 2008-03-26 2015-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시스템 및 구동 제어 방법
KR101476859B1 (ko) 2008-03-26 2014-12-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시스템 및 구동 제어 방법
KR101380557B1 (ko) 2008-03-26 2014-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시스템 및 제어 방법
CN101981396A (zh) 2008-03-26 2011-02-23 Lg电子株式会社 用于驱动冰箱抽屉的系统和方法
US8067915B2 (en) 2008-12-31 2011-11-29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onic control circuit for a powered appliance drawer
KR101592571B1 (ko) *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592572B1 (ko) 2009-03-20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CN101849747A (zh) * 2009-03-30 2010-10-06 海信(北京)电器有限公司 可以自锁的抽屉导轨及设置该导轨的冰箱
EP2267386A3 (en) 2009-06-22 2014-0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Refrigerator
US8434837B2 (en) * 2009-07-08 2013-05-07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741072B1 (ko) * 2009-07-08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안전 장치
US8632141B2 (en) * 2009-08-12 2014-01-21 Segos Co., Ltd. Sliding apparatus with self-closing means
KR101624555B1 (ko) 2009-08-19 2016-06-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댐핑 장치
KR20110022849A (ko) 2009-08-28 2011-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8282177B1 (en) * 2009-09-16 2012-10-09 Whirlpool Corporation Independent self-close mechanism for pullout drawer
KR101580447B1 (ko) 2009-10-26 201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의 자동 도어 닫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741392B1 (ko) 2010-01-04 2017-05-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동 인출 선반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1831614B1 (ko) * 2010-01-28 2018-02-2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1665707B1 (ko) 2010-02-01 2016-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659083B1 (ko) 2010-04-30 2016-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10139844A (ko) * 2010-06-24 2011-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센서장치를 갖는 냉장고용 수납용기 및 이를 갖는 냉장고
CN201964715U (zh) * 2010-12-10 2011-09-07 潘思宇 电冰箱门非严密关闭自动提示装置
KR20120082992A (ko) * 2011-01-17 2012-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02226626B (zh) * 2011-04-22 2013-07-03 合肥美的荣事达电冰箱有限公司 用于冰箱的控制方法
KR20130055177A (ko) 2011-11-18 2013-05-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30071922A (ko) 2011-12-21 2013-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이어 보호튜브를 이용한 자동감김장치가 장착된 자동인출식 도어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918296B1 (ko) 2012-06-21 2019-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1398460B1 (ko) 2012-09-18 2014-05-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야채실 드로워에 밀폐유지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34293B1 (ko) 2012-12-10 2019-1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072724B1 (ko) 2013-03-08 2020-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CN104077843A (zh) 2013-03-25 2014-10-01 鸿富锦精密工业(武汉)有限公司 自动售货机
JP6588689B2 (ja) * 2013-07-26 2019-10-09 日本電産サンキョー株式会社 冷蔵庫の引き出し駆動装置
KR101896468B1 (ko) * 2013-09-02 2018-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102197963B1 (ko) 2013-10-18 2021-01-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50076949A (ko) 2013-12-27 2015-07-07 갑을오토텍(주) 자동 개폐기능을 구비한 차량용 냉온장고 시스템
JP6360686B2 (ja) 2014-03-04 2018-07-18 アクア株式会社 冷蔵庫
KR20140072849A (ko) 2014-05-19 2014-06-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드로어 구동 제어 방법
KR102236740B1 (ko) 2014-08-07 2021-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204421453U (zh) * 2015-01-17 2015-06-24 江敏辉 一种方便取物的冰箱
KR101871266B1 (ko) 2015-02-13 2018-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10634422B2 (en) 2015-02-13 2020-04-28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KR101859037B1 (ko) * 2015-02-13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58755B1 (ko) 2015-11-04 2022-0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EP4141365A1 (en) * 2015-11-04 2023-03-01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191Y1 (ko) * 2006-03-24 2006-06-19 정동욱 서랍레일용 댐핑장치와 그 장치가 장착된 가구
KR20070114982A (ko) * 2006-05-30 2007-12-0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슬라이드형 트레이가 구비되는 전자레인지
KR20090102577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130357A (ko) * 2009-06-03 2010-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US20110050065A1 (en) * 2009-09-03 2011-03-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door opening/clos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27375B (zh) 2018-06-21
CN112524874A (zh) 2021-03-19
US20170363346A1 (en) 2017-12-21
CN112524876A (zh) 2021-03-19
CN112524877B (zh) 2022-12-30
US20200217583A1 (en) 2020-07-09
US10876789B2 (en) 2020-12-29
CN112524876B (zh) 2022-10-04
CN112524877A (zh) 2021-03-19
US10520246B2 (en) 2019-12-31
EP4141365A1 (en) 2023-03-01
US20220146189A1 (en) 2022-05-12
US20230280090A1 (en) 2023-09-07
TW201716735A (zh) 2017-05-16
US11725874B2 (en) 2023-08-15
CN107709910B (zh) 2020-11-24
CN107709910A (zh) 2018-02-16
US10724787B2 (en) 2020-07-28
EP3889528B1 (en) 2023-01-04
US20210071945A1 (en) 2021-03-11
US10557662B2 (en) 2020-02-11
EP3217130A1 (en) 2017-09-13
US20180231301A1 (en) 2018-08-16
EP3217130A4 (en) 2018-08-22
US20170363343A1 (en) 2017-12-21
EP3889528A1 (en) 2021-10-06
CN112524874B (zh) 2022-12-30
CN112524875A (zh) 2021-03-19
US10612836B2 (en) 2020-04-07
CN112524875B (zh) 2022-07-12
US20170363345A1 (en) 2017-12-21
EP3217130B1 (en) 2021-05-19
US11274878B2 (en)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78436A1 (ko) 냉장고
WO2016200050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refrigerator
WO2017175960A1 (ko)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가전제품
WO201617556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opening a refrigerator door
WO2010123175A1 (en) Refrigerator
WO2016175563A1 (en) Refrigerator with door and refrigerator door manufacturing method
WO2011081279A1 (en) Refrigerator including multiple storage compartments
EP3245462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4200321A1 (en) Refrigerator
WO2016068686A1 (ko) 냉장고
WO2019045318A1 (en) HOUSEHOLD DEVICE
WO2018199600A1 (ko) 냉장고
WO2011081500A2 (en) Refrigerator
WO2017119573A1 (ko) 냉장고
WO2014200317A1 (en) Refrigerator
WO2020105950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WO2021182653A1 (ko) 냉장고
WO2020045991A1 (en) Refrigerator
WO2022039429A1 (ko) 냉장고
WO2019035576A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WO2021096289A1 (ko) 냉장고
WO2021182652A1 (ko) 냉장고
WO2020101369A1 (ko)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
WO2021045295A1 (ko) 냉장고
WO2020080840A1 (en) Refrig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77007036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8624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2452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5483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