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7963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7963B1
KR102197963B1 KR1020130124740A KR20130124740A KR102197963B1 KR 102197963 B1 KR102197963 B1 KR 102197963B1 KR 1020130124740 A KR1020130124740 A KR 1020130124740A KR 20130124740 A KR20130124740 A KR 20130124740A KR 102197963 B1 KR102197963 B1 KR 10219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refrigerator
transparent window
area
dra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5256A (ko
Inventor
홍삼열
권성두
김관형
이익규
이명주
강형주
최해민
성명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30124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796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4/888,300 priority patent/US9920979B2/en
Priority to EP15185975.8A priority patent/EP2998671B1/en
Priority to PCT/KR2014/003522 priority patent/WO2015056856A1/en
Priority to CN201480011692.8A priority patent/CN105008832B/zh
Priority to EP14854591.6A priority patent/EP2909549B1/en
Priority to ES14854591.6T priority patent/ES2635629T3/es
Priority to CN201510788832.9A priority patent/CN105222518B/zh
Publication of KR20150045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5256A/ko
Priority to US14/940,355 priority patent/US10365034B2/en
Priority to KR1020200181813A priority patent/KR10248650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4Preventing the formation of frost or condens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06Removing frost
    • F25D21/08Removing frost by electric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6Sensors detecting the presence of a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고, 그 내측에 식품이 저장되는 드로워;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 벽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외에 추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냉장고는 일정 수납물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장치로서,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냉장고 도어를 열어서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사용자가 시장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사려고 할 때에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양과 종류에 대해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 동일한 식품을 중복해서 사거나, 필요한 식품을 사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현재는 이러한 사용자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냉장고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해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고, 그 내측에 식품이 저장되는 드로워;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 벽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의 전면 끝단과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벽을 향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의 수평 화각은 수직 화각보다 큰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카메라의 수직 화각의 일단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위치까지 촬영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렌즈 및 몸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는 카메라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저장실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카메라 렌즈 앞에 설치되는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는 계속 구동되어 상기 투명창에 열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히터는 상기 투명창이 상기 저장실에 노출되는 면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는 상기 투명창에 설치되는 열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 코일은 상기 투명창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선 코일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은 상기 카메라 렌즈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한 쪽 모서리가 다른 쪽 모서리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투명창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은 친수코팅된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에 식품이 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드로워의 내측 공간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2영역과, 상기 드로워 전방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에 중첩되는 제3영역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하나의 사진을 상기 제1영역을 도시하는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영역을 도시하는 제2이미지 및 상기 제3영역을 도시하는 제3이미지로 구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 중에 특정 사진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사진에서 구분된 이미지는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미지, 상기 제2이미지 및 상기 제3이미지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냉장고에 설치된 카메라에 이슬 맺힘이 방지되어서, 카메라에서 촬영되는 사진이 안정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어서, 저장실에 수용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냉기 손실을 막아서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식품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서 다양한 위치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만이 부가될 뿐이어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
도 3은 저장실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3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블록도.
도 5는 카메라의 화각을 설명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카메라에 찍힌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드로워에 패턴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a)는 좌우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좌측 드로워는 인입되고, 우측 드로워는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
도 12는 카메라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
도 14는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
도 15는 히터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
도 16은 투명창의 단면도.
도 1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인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장고의 본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실(2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는 통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서 상기 저장실(22)의 내부가 외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매사이클장치가 설치된다.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될 수 있다. 냉매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 30)가 구비된다. 이때 도어는 각각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냉장고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의 하단에는 베리어(Barrier)(60)가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6)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16)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는 상측에 식품이 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40)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선반(40)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는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5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50)에는 식품 등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저장실(22) 내에 좌우측으로 두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좌측에 배치되는 드로어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22)의 좌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우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22)의 우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되어서, 동일한 부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벽에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평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선반(40)에 식품이 거치되는 제1영역(42), 상기 드로워(50)의 내측 공간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2영역(52) 및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52)에 중첩되는 제3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은 상기 저장실(22) 내에서 전체적으로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의 순서로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이나 냉장고에 관한 다양한 정보는 냉장고의 전면에 마련되는 디스플레이(14)를 통해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디스플레이(14)를 통해서 냉장고에 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실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3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베리어(60)에는 함몰된 부분을 마련해서, 해당 부분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을 상기 제3영역(62)이라고 칭한다.
상기 제3영역(62)에는 달걀과 같은 밀폐가 필요한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상기 제3영역(62)을 개폐하는 커버(68)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버(68)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카메라(70)가 상측에서 촬영을 할 때에 상기 커버(68)가 가리더라도, 상기 제3영역(62)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리어(60)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워(50)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50)가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영역(62)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영역(62)의 상측에 상기 드로워(50)가 배치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3영역(62)에 접근할 수 없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하나의 사진을 복수 개의 이미지로 나누어 관리하는 제어부(100)를 포함한다. 이때 이미지는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서 가공 또는 보정된 사진의 일부분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촬영하도록 명령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을 전송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나누어진 이미지의 일부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14)는 냉장고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고, 냉장고로부터 분리된 별도의 장치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즉 사용자는 핸드폰과 같은 외부 통신 단말기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22)에 관한 이미지를 전송받고,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제어부(100)는 선택된 사진을 복수 개의 이미지로 나누고, 해당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찍힌 다수 개의 사진 중에 특정 사진을 선택하고, 해당 사진을 복수 개의 이미지로 구분해서 상기 디스플레이(1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에 의해서 선택되는 사진은 사용자가 마지막으로 상기 저장실(22)에 접근해서 식품의 종류를 변화시킨 내용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폐하는지 감지할 수 있는 도어 개폐 센서(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개폐 센서(1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마련되어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상기 도어(20)가 접촉하게 되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에 상기 도어(20)가 접촉하지 않으면,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방하는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도어(20)의 회전각을 감지하는 도어 회전 센서(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는 상기 도어(20)의 회전 방향 및 상기 도어(2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하게 되면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에 변화가 발생해서,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된 것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0)가 특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방향에 따라 발생되는 펄스의 변화 패턴을 감지해서 상기 도어(20)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는 상술한 방식 이외에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는 상기 도어 개폐 센서(110)에서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개방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 한해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촬영을 시작하게 되면, 소정 간격으로 계속해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에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 만큼 개방된 것으로 판단하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한 장의 사진이 아닌, 사진 촬영 중지 명령이 제공될 때까지 계속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드로워(50)의 인출 또는 인입 여부를 감지하는 드로워 센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센서(130)는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은 물론,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방향까지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드로워 센서(130)는 복수 개의 홀센서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에서 찍힌 사진은 저장부(18)에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8)는 냉장고에 마련될 수도 있고, 냉장고와는 별도의 다른 장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부(18)는 상기 디스플레이(14)와 함께 냉장고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14)와 함께 냉장고와는 다른 장치에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카메라의 화각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상기 드로워(50)는 인출되어서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제3영역(62)을 촬영할 수 있고, 선반은 생략한 도면이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벽에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방 벽을 향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은 상기 저장실(22)의 폭 방향에 따른 수평 화각(angle of view)과 전후 방향에 따른 수직 화각(angle of view)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에 따른 수평 화각은 두 개의 드로워(50)가 인출된 상태에서 두 개의 드로워(50)의 내측 공간 즉 상기 제3영역(62)에 저장된 식품이 보일 수 있도록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도 5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카메라에 찍힌 화면을 도시한다. 이하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인너 케이스(12)는 상기 저장실(22)의 내측을 향해서 소정 길이 만큼 돌출형성된 돌출부(17)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는데, 충분한 단열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단열재가 일정 두께 이상이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저장실(22) 쪽으로 튀어나온 상기 돌출부(17)에 설치되어서, 상기 카메라(70)가 설치된 부분에서도 단열을 위한 단열재의 두께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너 케이스(12)에는 상기 저장실(22)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전방에 개구부(14)가 형성된다. 도어가 상기 개구부(14)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개구부(14)와 상기 선반(40)의 일단의 사이의 범위(l) 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에 대한 사진을 촬영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선반(40)의 일단 보다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후벽으로 이동될 수 없다.
또한 상기 카메라(70)가 상기 개구부(14)를 벗어나도록 배치되면, 상기 도어(20)는 상기 개구부(14)를 밀폐할 수 없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는 특정 범위(l)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서는 상기 카메라(70)의 수직 화각을 도시하는데, 수직 화각의 일단은 상기 드로워(50)의 일단까지 촬영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한 장의 사진으로 상기 제1영역(42) 및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드로워(50)의 양측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8은 냉장고의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도어(20)의 내측에는 식품을 저장할 수 있는 바스켓(2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21)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바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가 촬영한 사진에 상기 바스켓(21)이 도시된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도어 회전 센서(120)를 통해서 상기 도어(20)가 일정 각도(θ) 이상 회전되었는지를 감지해서, 상기 카메라(70)를 통해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각도(θ)는 상기 카메라(70)가 사진을 촬영할 때에 해당 사진에 상기 바스켓(21)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고, 이러한 일정 각도(θ)는 상기 바스켓(21)의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9는 드로워에 패턴이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9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드로워(50)에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흑백의 색깔을 가지는 무늬)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상기 패턴의 이동을 분석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여부 및 이동 방향을 판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턴을 통한 분석은 상기 제어부(100)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9에서는 패턴이 카메라의 형상을 간략화한 이미지와, '스마트 센서'라는 글자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상기 패턴은 다양한 형태의 무늬를 포함할 수 있고, 흑백이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마련되어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인식가능하도록 할수 있다.
이때 패턴은 상기 카메라(70)에서 인식이 가능하도록, 상기 드로워(50)의 전면 상측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0(a)는 좌우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를 촬영한 사진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b)는 좌측 드로워는 인입되고, 우측 드로워는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0에서 상기 패턴은 상기 드로워(50)의 상측 가운데 측에 마련되고, 물결 형태의 무늬를 이루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한 장의 사진에는 상기 제1영역(42)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한 장의 사진에는 상기 제2영역(52) 또는 상기 제3영역(62) 중에 하나가 도시될 수 있다.
즉 도 10(a)에서와 같이 좌우측 드로워가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에는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영역(42)과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2영역(52)이 도시된다.
반면에 도 10(b)에서와 같이 우측 드로워만 인출된 상태에서 촬영된 사진에는 좌우측에 배치된 상기 제1영역(42)과 좌측의 제3영역(62) 및 우측의 제2영역(52)이 도시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사진에서 상기 제3영역(62)은 도시되지 않고 상기 제2영역이 도시된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인입되면 사진에서 상기 제2영역(52)은 도시되지 않고 상기 제3영역(62)이 도시된다.
상기 카메라(70)는 동일한 위치에서 사진을 촬영한다. 상기 드로워(50)는 이동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드로워(5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카메라(70)에서 획득되는 사진은 다양한 영역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에 구비되는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선반(40)의 하부 공간으로 완전히 인입되면, 패턴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인식되지 못한다. 즉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찍힌 사진에는 패턴이 도시되어 있지 않다.
도 11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화면이다. 이하 도 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한 장의 사진은 상기 제1영역(42)을 도시하는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영역(52)을 도시하는 제2이미지 및 상기 제3영역(62)을 도시하는 제3이미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이렇게 구분된 사진은 도 11에서와 같이 독립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해당 영역에 대한 사진이 개별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어서 사용자는 해당 영역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00)는 각각의 사진을 개별적으로 업데이트(교체)해서 사용자에게 각각의 영역에 수용된 식품의 종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냉장실 선반은 상기 제1영역(42)을 의미하고, 야채실은 상기 제2영역(52)을 의미하며, 멀티수납코너는 상기 제3영역(62)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사용자의 선호도나 이미지 제공자의 편의에 따라 다양한 배치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11의 화면은 냉장고에 설치된 디스플레이(14)에도 제공될 수 있지만, 냉장고가 아닌 별도의 외부 장치 예를 들어 핸드폰과 같은 장치에도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집에서 외출을 한 상태에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이를 이용해서 쇼핑에 활용할 수 있다.
도 12는 카메라의 요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70)는 카메라 렌즈(71a) 및 몸체(71b)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71)과, 상기 카메라 모듈(71)이 수용되는 카메라 장착부(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71b)는 상기 카메라 렌즈(71a)에서 투영된 영상이 촬영될 수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장착부(72)는 상기 돌출부(17)에 접촉하는 제1케이스(73)와, 상기 제1케이스(73)에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케이스(73)와 상기 제2케이스(74)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 몸체(71b)와 카메라 렌즈(71a)가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장착부(72)는 상기 돌출부(17)의 기울어진 면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렌즈(71a)가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몸체(71b)를 통해서 저장실 내부의 원하는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몸체(71b)와 카메라 렌즈(71a)는 상기 제1케이스(73) 및 상기 제2케이스(74)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기 때문에,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의 사이에 충진되는 발포제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상기 카메라 장착부(72)는 상기 카메라 렌즈(71a)의 앞에 설치되는 투명창(80)과, 상기 투명창(80)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8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창(80)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터(84)에 의해서 제공된 열에 의해서 상기 투명창(80)에 이슬이 맺히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이슬 맺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카메라 렌즈(71a)에 상기 히터(84)를 설치하게 되면 상기 카메라 렌즈(71a)가 변형될 수 있다. 그러한 변형에 의한 수차 발생 및 영구적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창(80)을 구비한다.
상기 투명창(80)의 재질로는 플라스틱이나 유리 모두 카메라 영상 취득 입장에서는 적용이 가능하지만, 플라스틱이 열 전도율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80)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하게 되면 유리를 사용하는 것보다 소비 전력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80)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져, 소비 전력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에 직접 면접촉을 하기 때문에 열 전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이 상기 저장실(22)에 노출되는 면의 반대편에 배치되어서, 상기 히터(84)에서 발생되는 열이 상기 투명창(80)을 거치지 않고, 상기 저장실(22)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84)는 열을 발생시키는 열선 코일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 열선 코일은 상기 투명창(80)에 면접촉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창(80)과 상기 카메라 렌즈(71a)는 소정의 간격(g)를 두도록 마련되어서, 상기 투명창(80)에 열이 공급되어 변형이 이루어지거나, 조립 공차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는 히터의 배치를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4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70)는 촬영각이 수평 화각은 115°, 수직 화각은 95°, 대각 화각은 145°을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70)는 수평 화각이 수직 화각보다 크게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배치를 통해서 상기 저장실(22)의 폭 방향 길이(도 14에서 수평 방향)가 상기 저장실(22)의 전후 방향 길이(도 14에서 수직 방향)보다 긴 경우에 상기 저장실(22)에 관한 식품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히터(84)는 상기 카메라(70)의 화각을 가리지 않도록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84)가 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면, 상기 투명창(80)에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열을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히터(84)에 대한 에너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도 13과 같이 상기 카메라 렌즈(71a)와 상기 투명창(80) 사이에 간극(g)가 마련된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상기 투명창(80)에 대한 화각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만일 간극(g)가 없고, 상기 투명창(80)과 상기 카메라 렌즈(71a)가 맞닿아 있다면, 상기 히터(84)는 상기 투명창(80)의 일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상기 카메라 렌즈(71a)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큰 길이의 변을 가지는 정사각형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간극(g)이 존재하고, 수직 화각과 수평 화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상기 히터(84)는 어느 한 변이 다른 한 변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5는 히터의 작동을 설명한 도면이다. 이하 도 15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15에서는 기본적으로 상기 투명창(80)의 온도가
도 15(a)는 상기 히터(84)가 단속적으로 가동되는 형태의 그래프이고, 도 15(b)는 상기 히터(84)가 계속 가동되는 형태의 그래프이다.
예를 들어, 도 15(a)는 상기 투명창(80)의 온도를 평소 제어하지 않고 상기 저장실(22) 온도와 같이 평형상태로 유지하다가, 냉장고 카메라 촬영 필요 시점에 순간 높은 전력을 인가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상기 도어(20)가 열리면서, 결로 발생 온도 이하에 있던 상기 투명창(80)은 일시적으로 결로 발생 온도 이하에 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결로 발생을 막을 수 없다. 즉 결로가 제거될 때까지 시간이 필요하고, 순간적으로 촬영이 필요한 시점에는 상기 투명창(80)에 이슬이 맺혀있을 수 있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에 도 15(b)는 상기 히터(84)가 계속 구동되어서, 상기 투명창(80)에 열이 공급되는 방식이다. 상기 투명창(80)의 온도는 항상 결로 발생 온도 이상으로 유지 하기 때문에 상기 투명창(80)에 항상 결로가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순간적으로 상기 카메라(70)가 사진을 촬영해야하는 시점에 상기 투명창(80)에 이슬이 맺혀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은 투명창의 단면도이다. 이하 도 16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투명창(80)은 친수코팅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투명창(80)에 순간적으로 이슬이 맺히더라도, 도 16에서와 같이 친수코팅으로 인해서 물의 접촉각(α)가 15도 이내로 형성될 수 있다. 친수코팅이 되면 해당 표면에 대한 물의 표면 장력이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물이 상기 투명창(80)의 표면에 넓게 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투명창(80)에 맺힌 물로 인해서 촬영된 사진에 대한 왜곡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친수코팅은 한 번 제작된 이후에 추가적인 전기를 공급하는 등의 제어를 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 장점을 가질 수 있다.
도 1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17을 참조해서 도 6에 대한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도 17에 대해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6의 내용과 동일하다.
도 17에서는 도 6과는 달리,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에 돌출된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다만 상기 카메라 장착부(72)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부착되어 상기 카메라(70) 자체가 전체적으로 기울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인너 케이스(12)는 상측의 일부분이 돌출되지 않은 평면 형상을 이루는 반면에, 상기 카메라 장착부(72)에서 상기 카메라 몸체 및 렌즈가 기울어지도록 배치해서, 상기 카메라(70)를 통해서 저장실에 관한 사진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7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에 돌출부가 구비되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간단한 형상으로 제조되어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제조가 용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카메라 장착부(12)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접착 또는 볼트 등의 체결 수단 등에 의해서 체결되어 고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아우터 케이스 12: 인너 케이스
20: 도어 40: 선반
42: 제1영역 50: 드로워
52: 제2영역 60: 베리어
62: 제3영역 70: 카메라
80: 투명창 100: 제어부

Claims (18)

  1.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을 형성하고,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에 접근할 수 있는 개구부를 구비하는 인너 케이스;
    상기 인너 케이스의 내부에 수평 방향으로 공간을 구획하는 선반;
    상기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고, 그 내측에 식품이 저장되는 드로워; 및
    상기 인너 케이스의 상측 벽에 설치되고, 상기 저장실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의 전면 끝단과 상기 개구부의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인너 케이스의 후벽을 향해서 기울어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수평 화각은 수직 화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의 수직 화각의 일단은 상기 드로워가 인출되는 위치까지 촬영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카메라 렌즈 및 몸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과,
    상기 카메라 모듈이 수용되는 카메라 장착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케이스는 상기 저장실을 향해서 돌출되도록 마련된 돌출부를 구비하며,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돌출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상기 인너 케이스에 설치되는 제1케이스와,
    상기 제1케이스에 결합되어 내부에 소정 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를 포함하는 냉장고.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착부는,
    카메라 렌즈 앞에 설치되는 투명창 및
    상기 투명창을 가열하는 히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계속 구동되어 상기 투명창에 열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투명창이 상기 저장실에 노출되는 면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상기 투명창에 설치되는 열선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열선 코일은 상기 투명창의 외곽선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열선 코일은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상기 카메라 렌즈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히터는 한 쪽 모서리가 다른 쪽 모서리보다 긴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창은 친수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선반에 식품이 거치되는 제1영역과,
    상기 드로워의 내측 공간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2영역과,
    상기 드로워 전방의 바닥에 형성되어, 상기 드로워가 상기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에 중첩되는 제3영역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하나의 사진을 상기 제1영역을 도시하는 제1이미지와, 상기 제2영역을 도시하는 제2이미지 및 상기 제3영역을 도시하는 제3이미지로 구분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복수 개의 사진 중에 특정 사진을 선택하고,
    상기 특정 사진에서 구분된 이미지는 상기 저장실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이미지, 상기 제2이미지 및 상기 제3이미지를 독립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30124740A 2013-10-18 2013-10-18 냉장고 KR102197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740A KR102197963B1 (ko) 2013-10-18 2013-10-18 냉장고
EP15185975.8A EP2998671B1 (en) 2013-10-18 2014-04-2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PCT/KR2014/003522 WO2015056856A1 (en) 2013-10-18 2014-04-2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201480011692.8A CN105008832B (zh) 2013-10-18 2014-04-22 冰箱及其控制方法
US14/888,300 US9920979B2 (en) 2013-10-18 2014-04-22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EP14854591.6A EP2909549B1 (en) 2013-10-18 2014-04-22 Refrigerator
ES14854591.6T ES2635629T3 (es) 2013-10-18 2014-04-22 Refrigerador
CN201510788832.9A CN105222518B (zh) 2013-10-18 2014-04-22 冰箱及其控制方法
US14/940,355 US10365034B2 (en) 2013-10-18 2015-11-13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0200181813A KR102486508B1 (ko) 2013-10-18 2020-12-2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740A KR102197963B1 (ko) 2013-10-18 2013-10-18 냉장고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1813A Division KR102486508B1 (ko) 2013-10-18 2020-12-2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56A KR20150045256A (ko) 2015-04-28
KR102197963B1 true KR102197963B1 (ko) 2021-01-05

Family

ID=5303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740A KR102197963B1 (ko) 2013-10-18 2013-10-18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79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627B1 (ko) * 2015-09-03 2021-03-05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CN112524874B (zh) 2015-11-04 2022-12-30 Lg 电子株式会社 冰箱
KR102309310B1 (ko) * 2020-08-28 2021-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10222B1 (ko) * 2021-02-16 2022-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7269B1 (ko) * 2005-03-15 2007-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가 구비된 냉장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5256A (ko) 2015-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58091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EP2998671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CN105074365A (zh) 冰箱、相机装置、冰箱用门上搁物架、通信终端、家电网络系统、箱内图像显示程序
KR102197963B1 (ko) 냉장고
KR10167844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240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71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239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486508B1 (ko) 냉장고
KR10249501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634122B1 (ko) 냉장고
KR2015012701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785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265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3448A (ko) 냉장고
KR102194275B1 (ko) 냉장고의 저장실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208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731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66818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159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7384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