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3448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3448A
KR20180013448A KR1020160097202A KR20160097202A KR20180013448A KR 20180013448 A KR20180013448 A KR 20180013448A KR 1020160097202 A KR1020160097202 A KR 1020160097202A KR 20160097202 A KR20160097202 A KR 20160097202A KR 20180013448 A KR20180013448 A KR 201800134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drawer
door
food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97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13448A/ko
Publication of KR20180013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34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07Image acqui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2
    • H04N5/2254
    • H04N5/225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 F25D2400/361Interactive visual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D2500/06Stock mana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00Means for sensing or measuring; Sensors therefor
    • F25D2700/02Sensors detecting door ope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식품이 수용되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상기 드로워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바스켓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냉동 사이클의 구동에 따라 발생된 냉기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장치이다.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단순히 식품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기 위한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었다. 그러나, 근래에 들어서는 식품 보관 기능 외에 추가적인 기능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냉장고는 일정 수납물을 수납하여 보관하는 장치로서, 내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냉장고 도어를 열어서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또한 사용자가 시장이나 마트에서 물건을 사려고 할 때에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의 양과 종류에 대해서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에 동일한 식품을 중복해서 사거나, 필요한 식품을 사지 못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저장실 내의 복수 개의 저장 영역 각각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에를 통해서, 도어의 내측에 보관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식품이 수용되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상기 드로워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바스켓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캐비닛의 천정에 설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도어를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캐비닛의 천정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필라를 접거나 펼치는 필라 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필라 고정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방에 감싸는 카메라 커버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후방에서 감싸는 카메라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케이스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돌출형성된 개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커버 글래스가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커버 글래스에 접촉해서, 상기 커버 글래스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코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실링 러버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의 개폐를 감지하는 드로워 개폐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영상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영상이 도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이 도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통신부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연결되어 있으면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선반의 상측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실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베리어에 형성된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가능한 마커가 구비된 것이 가능하다.
상기 마커는 상기 드로워의 전단에 위치한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얻기 위해 도어를 개방할 필요가 없어서, 저장실에 수용된 냉기가 누설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냉기 손실을 막아서 냉장고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게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최신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식품 정보에 대한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서 다양한 위치에 보관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카메라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만이 부가될 뿐이어서, 설계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카메라 사용으로 인해 발생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하나의 카메라에 의해서 도어의 바스켓 등의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도 얻을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할 때에, 선반, 드로워는 물론 도어에 내측에 위치한 바스켓에도 다양한 식품을 보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식품을 보관하는 다양한 공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
도 3은 저장실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3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저장실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
도 7은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 도면.
도 8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각각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일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
도 10은 드로워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1은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
도 12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이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
도 13은 사용자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설명한 도면.
도 14 내지 도 18은 도 13에서 세부 화면을 설명한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도어가 개방된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식품이 저장되는 저장실인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어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배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Top Mount-Type)과,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측으로 구획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Side By Side-Type)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냉동실과 냉장실이 상/하로 구획되고 냉동실이 냉장실의 하측에 배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Bottom Freezer-Type)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냉장고의 본체는 외부에서 사용자가 보았을 때에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아우터 케이스(10)와 내부에 식품이 보관되는 저장실(22)을 형성하는 인너 케이스(12)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어 냉기가 순환되는 통로 등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단열재가 충진되어서 상기 저장실(22)의 내부가 외부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저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 공간에 형성된 기계실(미도시)에는 냉매를 순환시켜 냉기를 발생시키는 냉매사이클장치가 설치된다. 냉매사이클장치를 이용해 냉장고 내부를 저온으로 유지하여 보관하는 식품류의 신선도를 유지될 수 있다. 냉매사이클장치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액체상태의 냉매를 기체상태로 상변환시켜 외부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하는 증발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냉장고에는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20, 30)가 구비된다. 이때 도어는 각각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도어는 그 일단이 힌지에 의해서 냉장고의 본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냉동실 도어(30) 및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복수 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 도어(20) 및 상기 냉동실 도어(30)는 전방을 향해서 냉장고의 양 모서리를 중심으로 개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사이에는 발포제가 충진되어서, 외부와 상기 저장실(22)의 사이에는 단열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인너 케이스(12)와 상기 도어(20)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단열된 공간을 이룬다.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을 밀폐하게 되면, 외부로부터 격리되어 단열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다시 말하면, 상기 저장실(22)은 도어(20)에 의한 단열벽 그리고 케이스(10, 12)에 의한 단열벽을 통해 외부와 격리되는 공간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 내에는 기계실에서 공급되는 냉기가 곳곳으로 유동가능해서, 상기 저장실(22) 내에 보관되는 식품이 저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인너 케이스(12)는 상기 저장실(22)의 바닥에 베리어(6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의 하단에는 베리어(Barrier)(60)가 설치되어, 상기 냉동실과 상기 냉장실을 구분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는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져,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는 상측에 식품이 거치되는 선반(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반(40)은 복수 개가 마련되고, 각각의 선반(40)에는 식품이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선반(40)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를 수평 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는 인입 또는 인출이 가능한 드로워(50)가 설치된다. 상기 드로워(50)에는 식품 등이 수용되어 보관된다. 상기 드로워(40)는 상기 저장실(22) 내에 좌우측으로 두 개가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좌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22)의 좌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반면에 사용자가 우측에 배치되는 드로워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상기 저장실(22)의 우측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에는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60)는 상기 도어에 마련되지 않고,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마련되기 때문에, 도어의 회전에 따라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안정적으로 식품을 수납하거나 인출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 내에는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는 공간, 상기 드로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 상기 베리어(60)에 형성되는 공간 등으로 구분되어서, 식품이 저장되는 공간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공간은 하나의 저장실(storage compartment)(22)의 내부에 배치되는 저장 공간으로,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가 각각의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각각의 공간은 서로 냉기가 이동될 수 있을 정도로 구획되기 때문에, 앞에서 서술한 저장실과는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게 된다.
특히 각각의 공간은 단열되는 공간을 이루는 저장실과는 달리, 하나의 저장실 내에서 온도 차이는 존재할 수 있지만 서로 단열되는 공간을 이루지는 않는다.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다른 저장실로 자유롭게 이동하지는 않지만, 하나의 저장실에 공급되는 냉기는 하나의 저장실 내부에 설치되는 각각의 구획되는 공간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선반(40)의 상측에 위치하는 냉기는 상기 드로워(50)에 의해서 형성되는 공간으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사진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마련되어서, 동일한 부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상측벽에 아래를 향하도록 설치되어서,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사진의 모습은 사용자가 내려다본 형태, 즉 실제 냉장고를 사용할 때에 사용자가 바라보는 형태의 모습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드로워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 있을 때에 드로워 내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촬영된 사진은 사용자가 드로워 내부를 위에서 바라본 것과 유사한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선반(40)에 식품이 거치되는 제1영역(42), 상기 드로워(50)의 내측 공간에 의해서 정의되는 제2영역(5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영역과 제2영역과는 다른 저장 공간인,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되면 상기 제2영역(52)에 중첩되는 제3영역(6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분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은 상기 저장실(22) 내에서 전체적으로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의 순서로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 위치하는 냉기는 다른 영역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 도어(20)의 내측에는 복수 개의 바스켓(80)이 구비될 수 있다. 각각의 상기 바스켓(72)은 서로 높이를 달리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바스켓(80)의 내부 공간에는 식품이 저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스켓(80)의 내부 공간을 제4영역(82)으로 정의한다. 상기 제4영역(82)은 상기 저장실의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도어(20)에 설치된 바스켓(80) 등에 의해서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4영역(82)은 상기 바스켓(80)이 아닌 선반 등 상기 도어(20)의 내측에 설치되어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어떠한 공간도 모두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4영역(82)은 상기 도어(20)가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두 개의 도어의 내측면의 공간을 모두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고, 하나의 도어의 내측면의 공간을 의미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저장실의 바닥에 배치되는 제3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상기 베리어(60)에는 함몰된 부분을 마련해서, 해당 부분에 식품이 저장될 수 있고, 이러한 영역을 상기 제3영역(62)이라고 칭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62)는 상기 베리어(60)에 형성되는 공간이다.
이때 상기 제3영역은 제1영역, 제2영역과는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저장 공간으로 사용자에게 식품 저장을 위한 또 다른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62)에는 달걀과 같은 사용빈도가 높은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를 위해서 상기 제3영역(62)을 개폐하는 커버(68)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커버(68)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서, 상기 카메라(70)가 상측에서 촬영을 할 때에 상기 커버(68)가 가리더라도, 상기 제3영역(62)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베리어(60)의 상측에는 상기 드로워(50)가 배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드로워(50)가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 인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영역(62)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선반의 하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3영역(62)의 상측에 상기 드로워(50)가 배치되게 되고, 사용자는 상기 제3영역(62)에 접근할 수 없다.
즉 상기 드로워(50)가 사용자를 향해서 인출된 상태에는 상기 드로워(50)와 상기 제3영역(62)이 서로 중첩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드로워(50)를 내려다 보게 되면, 사용자에게 상기 제3영역(62)은 보여지지 않고, 상기 드로워(50)의 내부가 보여질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사용자를 향해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는, 상기 드로워(50)와 상기 제3영역(62)이 서로 중첩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사용자가 상기 제3영역(62)을 내려다 보게 되면, 상기 드로워(50)의 내부는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고, 상기 제3영역(62)만이 도시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은 상기 저장실(22) 내에서 전체적으로 높낮이를 달리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의 순서로 낮아질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2영역(52) 및 상기 제3영역(62)으로 이동될 수 있고, 각각의 영역에 위치하는 냉기는 다른 영역으로도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되는 영역은 상기 저장실(22) 내부의 복수 개의 저장공간이 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하나의 저장실(22) 내부에 관한 사진을 촬영하지만, 하나의 사진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구획된 저장 공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복수 개의 저장 공간이 한 장의 사진에 담기도록 사진을 촬영할 수 있다. 특히 한 장의 사진에는 촬영되는 시간에 따라 다른 저장공간이 촬영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고정된 형태로 배치된 카메라는, 사진이 촬영되는 시점과 상기 도어 또는 상기 드로워의 위치의 관계에 따라 제1영역과 제3영역, 제4영역을 촬영하거나, 제2영역을 선택적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상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영역, 상기 제3영역, 상기 제4영역은 상기 저장실(22)에서 상기 제2영역(52)를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22)은 상기 도어(2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의해서 구획된 공간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을 촬영하되 상기 도어(20)의 내측을 함께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의 다수 개의 공간을 촬영해서, 사용자에게 상기 도어(20)의 내측을 포함한 공간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과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내측을 동시에 촬영해서, 상기 복수 개의 저장공간에 수용된 식품에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드로워(50)의 내부 공간을 촬영해서 상기 드로워(50)의 내부 공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하나의 카메라로 이루어짐에도, 상기 저장실(22)의 다수 개의 공간을 촬영해서, 사용자에게 식품에 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상기 드로워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바스켓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을 촬영한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선반의 상측을 포함하는 영역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베리어에 형성된 저장 공간을 촬영할 수 있다.
도 4는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카메라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저장실의 요부를 설명한 도면이다.
도 4a는 상기 인너 케이스(12)를 측면에서 올려다본 도면이고, 도 4b는 상기 인너 케이스(12)를 정면에서 올려다본 도면이다.
상가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의 내측에 일부가 노출되게 설치된다.
상기 카메라(70)은 내측에 구비되어서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70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7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에 공급되는 냉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전면에 마련되는 카메라 데코(810), 상기 카메라 데코(810)의 후방에 마련되는 카메라 커버(812), 상기 카메라 커버(812)의 후방에 마련되는 카메라 케이스(814)를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케이스(814)가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결합되고, 상기 카메라 커버(812)가 상기 카메라 케이스(814)에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케이스(814)와 상기 카메라 커버(812)의 사이에 상기 카메라 모듈(700)이 위치해서,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장착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커버(812)의 전면에는 상기 카메라 데코(81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데코(810)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인너 케이스(12)에 노출되는 면을 이루면서, 사용자에게 해당 위치에 상기 카메라(70)가 위치한다는 인식을 시킬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데코(810)는 사용자에게 미려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카메라의 문양이나 카메라라는 글씨가 표현되어 있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70)의 전방에는 필라 고정부(100)가 마련된다. 상기 필라 고정부(100)는 상기 도어(20)에 구비되는 필라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조물이다. 즉 필라가 상기 필라 고정부(100)에 맞닿게 되면 필라는 펼쳐지거나 접혀질 수 있다. 상기 필라 고정부(100)는 두 개의 상기 도어(20)가 상기 저장실(22)를 밀폐할 때에 상기 필라가 펼쳐지도록 해서, 상기 도어(20)와 상기 필라에 의해서 상기 저장실(22)이 밀폐될 수 있다.
상기 필라 고정부(100)에 대해서는 당업자들이 인지하고 있는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필라 고정부(100)의 후방에는 상기 필라 고정부(100)에 맞닿게 상기 카메라(70)가 배치된다. 상기 카메라(70)는 전방으로 위치시키면 전방, 즉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이 위치하는 쪽으로 가깝게 위치시켜서, 상기 도어(20)의 내측면 즉 상기 제4영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필라 고정부(100)는 필라를 접거나 펼칠 때에 필수적인 구성요소이기 때문에, 배제될 수 없는 구성요소이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카메라(70)를 상기 도어(20)에 가까워지도록 전방에 배치하되, 상기 필라 고정부(100)의 후방에 상기 필라 고정부(100)에 맞닿도록 배치해서 상기 카메라(70)가 전방에 배치되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의 천정에서 하측으로 돌출되어 튀어나오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70)의 존재와 상기 카메라(70)의 동작을 쉽게 인지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을 기준으로 우측은 상기 도어(20)가 위치한 부분에 가까운 쪽이고, 좌측은 상기 인너케이스(12)의 후방 쪽이다. 즉 냉장고를 기준으로 우측은 전방을 의미하고, 좌측은 후방을 의미한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20)를 향한 쪽, 즉 전방을 향해서 a의 각도 만큼 기울어진다. 즉 상기 도어(20)를 바라보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카메라 데코(810)가 수평면에 대해서 a의 각도를 가지도록 해서 기울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a의 각도는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angle of view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지만, 대략 7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20)를 바라보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을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상기 저장실(22)의 폭 방향 보다는 상기 저장실(22)의 전후 방향(깊이 방향)의 화면이 넓어질 수 있도록 화각(angle of view)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을 통해서 상기 저장실(22)의 내부와 상기 도어(20)의 내측까지 촬영하려면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촬영범위가 더 넓은 방향이 상기 저장실(22)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수평 방향 화각이 수직 방향 화각보다 넓으면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수평 방향 화각이 상기 저장실(22)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저가의 카메라 모듈을 이용해서 본 발명에서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상기 저장실(22)에 구비되는 선반(40)의 후단에서 상기 도어(20)의 상단까지가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화각의 범위에 들어오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70)는 전방(도 5에서 우측)이 후방(도 5에서 좌측)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카메라(70)은 기울어지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상기 카메라 데코(810), 상기 카메라 커버(812), 상기 카메라 케이스(814)에 의해서 구획된 공간에 배치되어서, 특정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특정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필라 고정부(100)의 폭과 동일하게 마련되어서, 상기 필라 고정부(10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라 고정부(100)도 상기 인너 케이스(12)에서 돌출되도록 배치되는데, 상기 필라 고정부(100)와 상기 카메라(70)는 접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필라 고정부(100)와 상기 인너 케이스(12)가 서로 연속해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라 고정부(100)와 상기 카메라(70)의 폭이 서로 다른 것보다는 사용자는 미려함을 느낄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의 기울어진 각도만큼 상기 카메라 모듈(700)도 기울어지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상기 도어(20)의 내측을 촬영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드로워(50)의 일측에는 각각 드로워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드로워 개폐 센서(500)가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50)가 일정 거리 내에서 인출된 상태인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50)의 각각에 마련되어서 각각의드로워(50)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의 이동 동작 전체를 감지하기 보다는 상기 드로워(50)의 개폐만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드로워(50)가 일정 범위에서 인출되는지 여부까지만 감지할 수 있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일정 범위로 인입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의 상측에는 마커(59)가 구비된다. 상기 마커(59)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되는 인식표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70)에서는 상기 마커(59)의 이동을 감지해서, 상기 마커(59)가 이동하면 상기 드로워(50)가 이동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연속해서 촬영하기 때문에 연속해서 촬영된 두 장의 사진을 비교하면 상기 마커(59)의 이동이 연속된 사진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 방향과 이동 위치 등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인너 케이스(12)를 바라보는 면에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발광부와 수광부에 의해서 이동을 감지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홀센서의 형태를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50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서 상기 드로워(50)가 일정 범위까지 인출된 것이 감지된 후에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 의해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서 감지가 완료된 후에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의 이동에 따라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판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마커(59)의 이동이 감지되어서 상기 마커(59)가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 내에서 일정 구간을 벗어나면,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서 다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상기 마커(59)의 위치에 의해서만 판독하면 촬영된 사진을 분석하는 데에 제어부에서 많은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는 일정 구간에서의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은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를 이용하고, 일정 구간을 벗어난 구간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의 이동을 분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감지하는 구간에서는 상기 마커(59)의 이동을 분석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사진을 분석하기 위한 제어부의 부하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제어부의 처리 속도가 줄어들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한 제어부를 이용할 수 있다.
도 7은 카메라 모듈을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의 후방에 결합되는 리어 케이스(790)을 포함한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에 의해서 내부에 구획된 공간이 마련되어서, 해당 공간에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다양한 구성요소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의 개구부에는 커버 글래스(710)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 글래스(710)는 투명한 창을 이루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 글래스(710)는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의 개구부를 밀폐해서, 상기 저장실(22)의 내부 냉기가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에 의해서 구획된 공간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후방에는 코일(720)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720)은 전류가 흐를 경우에 열을 발생시켜서 상기 커버 글래스(710)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코일(720)은 상기 커버 글래스(710)에 맞닿게 배치되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710)에 전도에 의해서 열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코일(720)은 다양한 형태의 히터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코일(720)은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외곽을 따라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되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서 촬영되는 사진에 상기 코일(720)이 도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부분에는 상기 코일(720)이 도시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모서리 측에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코일(720)은 상기 커버 글래스(710)에 지속적으로 열을 가해서 상기 커버 글래스(710)가 이슬점 온도 이하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코일(720)은 상기 커버 글래스(710)가 이슬점의 온도 이하로는 내려가더라도,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서 촬영된 사진의 식품 종류에 대한 판독이 불가능하지 않을 정도까지 열을 공급하도록 제어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의 사이 공간에는 렌즈 모듈(750)이 구비된다. 상기 렌즈 모듈(750)은 렌즈를 포함하고, 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CCD 등이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렌즈 모듈(750)에 구비되는 렌즈는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서 촬영된 사진이 충분한 화각을 확보할 수 있도록 일정 두께 이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가능하다. 렌즈가 두꺼울수록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화각은 증가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모듈(700)에서 촬영한 사진에 다양한 영역의 화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750)을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에 고정하기 위한 스크류(770)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의 사이에는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가 결합될 때에 냉기 등의 외부 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실링 러버(760)가 구비된다. 상기 실링 러버(760)는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의 사이에 있을 수 있는 틈을 밀폐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의 사이가 밀폐되도록 한다.
상기 렌즈 모듈(750)에 연결되어 상기 렌즈 모듈(750)에 전류를 공급하고, 상기 렌즈 모듈(750)에서 촬영된 사진을 상기 카메라 모듈(700) 외부로 전송하는 케이블(780)이 구비된다.
상기 케이블(780)은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에 의해 구획된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연장되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700)이 외부에 마련된 제어부 등과 연결한다. 상기 케이블(780)은 전류 전달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게 마련된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을 결합하기 위한 볼트(792)와 너트(740)가 구비된다. 상기 볼트(792)와 상기 너트(740)가 결합되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와 상기 리어 케이스(790)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상기 카메라 커버(812)와 상기 카메라 케이스(814)에 의해서 구획된 공간의 내부에 구비되어서, 상술한 기울기가 유지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코일(720)의 크기는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크기에 따라 비례해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크기가 커지면, 상기 커버 글래스(710)에 이슬이 맺힐 수 있는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상기 코일(720)의 크기, 즉 상기 코일(720)이 상기 커버 글래스(710)와 만나는 면적이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크기가 커지면, 더 많은 열을 공급받아야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크기가 커지면, 상기 코일(720)은 상기 커버 글래스(710)의 중앙에서 더 멀어지도록, 즉 더 큰 사각형을 그리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글래스(710)가 더 커질수록 상기 코일(720)은 상기 렌즈 모듈(750)의 화각을 가리지 않게 바깥쪽으로 배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프런트 케이스(730)는 상기 카메라 데코(810)와 상기 카메라 커버(812)에 마련된 관통공에 안착될 수 있도록 중앙이 돌출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돌출된 형상의 중앙부위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커버 글래스(710)가 설치된다.
돌출된 형상으로는 상기 렌즈 모듈(750)의 렌즈가 위치해서, 전체적으로 상기 카메라 모듈(700)의 두께가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모듈(750)에서 가장 두꺼운 부분은 렌즈가 위치하는 부분인데, 렌즈가 상기 돌출된 형상에 수용되기 때문에, 렌즈가 위치하지 않은 다른 부분의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게 유지될 수 있다.
도 8은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각각의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제2영역(52)이 촬영된 사진이고, 도 8b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제3영역(62)이 촬영된 사진이며, 도 8c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제1영역(42)이 촬영된 사진이며, 도 8d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제4영역(82)이 촬영된 사진이다.
도 8a에서는 상기 드로워(50)을 인출했을 때에 상기 선반(40)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드로워(50)의 끝단까지의 영상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70)는 도 8a와 같은 영상을 확보할 수 있을 정도의 경사각과 위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저장실(22)의 폭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서 양측에 구비된 드로워(50)가 모두 도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2영역(52)에 도시되지 않는 부분이 없도록 배치되어서 사용자가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상기 제2영역(5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b는 상기 제3영역(62)에 관한 화면인데,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3영역(62)이 잘리지 않고 모두 도시될 수 있을 정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제3영역(62)이 촬영된 사진을 통해서 상기 제3영역(62)에 저장된 식품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카메라(70)가 촬영한 상기 제3영역(62)에 대한 사진에는 상기 제3영역(62)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제3영역(62)을 가리지 않는 화면을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서 상기 제3영역(62)이 촬영된 사진을 선택할 때에는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제3영역(62)을 가리지 않는 상태의 시점을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는 상기 제1영역(42)에 대한 사진인데, 상기 카메라(70)는 선반(40)의 최상칸의 영역이 도시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반(40)은 복수 개가 배치되는데,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에는 최상단에 위치한 선반에 거치된 식품이 모두 도시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는 최상단에 위치한 선반 이외에도 아래에 놓인 선반에 거치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d는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데, 상기 카메라(82)는 상기 도어 내측을 모두 촬영해서, 상기 제4영역(8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에 구비된 바스켓들 중에서 중간 높이에 설치된 바스켓의 좌우폭이 잘리지 않을 정도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사진에서는 상기 제4영역(82)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선정해서 그 일정 길이 이상의 화면을 포함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70)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도 8a 내지 도 8d는 하나의 카메라(70)에 의해서 모두 촬영된 사진으로, 일부는 동일한 시점에 촬영된 사진인 반면 다른 일부는 다른 시점에 촬영된 사진인 것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동가능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설치된 하나의 카메라를 통해서 상기 도어(20)의 내측면을 포함한 상기 저장실(2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모두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카메라(70)를 이용해서, 사용자가 냉장고를 사용하면서 저장한 모든 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카메라를 사용할 때에 비해서 냉장고를 제작하는 데에 소요되는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도어(2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부에 있더라도 필요로 하거나 필요하지 않은 식품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식품을 파악하기 위해서 도어(20)를 개방하는 횟수가 감소되기 때문에 도어 개방으로 인한 냉기 유출이 줄어들 수 있어서 냉장고에서 소모하는 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의 제어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카메라 모듈(700), 제어부(200),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 도어 위치 감지 센서(300)을 포함한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는 이미지 센서(704)를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센서(704)는 상술한 상기 렌즈 모듈(750)에 탑재되어서, 각각의 영역에 대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 모듈(700)은 디에스피(DSP)(7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에스피는 상기 이미지 센서(700)를 세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센서(700)에서 촬영된 raw image의 확장자를 jpeg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촬영된 이미지를 인코딩해서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디에스피(702)에서 전송되는 이미지는 상기 케이블(780)을 통해서 상기 제어부(200)로 전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카메라 모듈(700)로부터 전송받은 jpeg영상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영상처리부(214)를 포함한다.
상기 영상처리부(214)는 원하는 시점에 촬영된 이미지를 캡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처리부(214)는 이미지의 패턴 매칭을 하고, 이미지를 크랍(crop)하고 압축할 수 있다. 또한 외부로 이미지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200)는 디스플레이보드(216)를 포함하는데, 상기 디스플레이보드(216)는 상기 영상처리부(214)와 UART통신을 하면서 상기 영상처리부(214)를 원격제어하고, 상기 영상처리부(214)의 모니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메인 보드(218)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메인 보드(218)은 상기 디스플레이보드(216)와 UART통신을 하면서 도어 개폐에 관한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영상처리부(214)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보드(216)와 상기 메인 보드(218)에서 판단된 정보에 따라서 이미지의 선택 시점을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통신부(212)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212)를 통해서 냉장고는 외부 서버(900)와 통신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212)는 와이파이 동글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통신부(212)는 상기 영상처리부(214)에서 jpeg형태의 이미지를 전송받아서, 외부에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드로워의 개폐를 감지하는 드로워 개폐 센서(5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50)를 촬영한 이미지의 선택 시점을 결정하기 위해서 상기 드로워(50)의 닫힘을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두 개의 드로워 각각에 설치되어서, 각각의 드로워에 대한 동작을 감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서 감지된 드로워 개폐에 대한 정보는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되어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2영역(52)이 촬영된 이미지를 선택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정보를 보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어 위치 감지 센서(3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센서(300)는 상기 제3영역(62),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4영역(82)를 포함하는 영상을 선택하기 위한 시점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어부(2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센서(300)는 각각의 도어에 마련되어서, 각각의 도어의 회전된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센서(300)에서 제공된 정보에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도어(20)의 내측을 포함한 상기 저장실(22)의 다수 영역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외부 서버(900)는 사용자 단말기(1000)에 이미지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상기 외부 서버(900)에서 전송된 이미지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서, 사용자가 냉장고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1000)를 통해서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10은 드로워의 위치를 감지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은 상기 드로워(50)를 상측에서 내려다본 도면으로, 상기 드로워(50)는 양측에 두 개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50)의 전단, 즉 사용자가 손을 잡을 수 있는 부분의 상측에는 상기 마커(59)가 구비된다. 상기 마커(59)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판독할 수 있는 인식표의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50)의 내측에서는 식품이 저장된 제3영역(52)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3영역(52)에는 사용자가 드로워의 외부 공간으로부터 분리해서 보관하고자 하는 식품이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선반(40)의 하부로 완전히 가려지게 되면 상기 드로워(50)는 완전히 인입된 상태이다. 반면에 상기 드로워(50)가 상기 선반(40)의 하부로부터 완전히 인출되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상기 제3영역(52)이 모두 도시될 수 있을 정도의 영상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에는 드로워의 개폐를 감지할 수 있는 드로워 개폐 센서(500)가 각각의 드로워에 구비된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50)의 모서리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의 개폐 인식은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상기 드로워(50)에 부착된 마그넷과 상기 드로워(50)의 측면을 마주보는 인너 케이스에 부착된 리드 스위치(Reed switch)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가 마그넷과 리드 스위치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드로워가 이동되면서 마그넷이 리드 스위치에 변화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드로워의 개폐 동작이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의 이동이 판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도어의 개폐 초기 동작은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 의해서 감지되고, 도어가 어느 정도 개방되어서 제2영역(52)을 포함하는 사진을 획득할 수 있는지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마커(59)의 위치를 통해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드로워(50)가 특정 거리 만큼 인출된 이후에 사진에서 상기 마커(59)가 판독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우측 드로워(50)와 같이 드로워가 L1의 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는 판독되지 않는다. 반면에 좌측 드로워(50)와 같이 드로워가 L2의 거리만큼 인출된 상태에서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가 판독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는 고정되어 있고, 항상 동일한 부분을 촬영하기 때문에 상기 마커(59)가 사진 내에서 판독되는 부분의 영역을 줄이면 상기 제어부(200)에서 영상처리를 해야 하는 부하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서 상기 드로워(50)의 초기 개방만을 감지하고, 상기 드로워(50)가 L2의 거리만큼 인출된 후에는 촬영된 사진에서 마커(59)의 이동을 판독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70)는 사진을 연속해서 촬영하기 때문에, 연속해서 촬영된 사진에서 마커(59)의 이동을 판독하면, 상기 드로워(50)가 얼마의 거리만큼 인출되었는지, 상기 드로워(50)가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되는지, 상기 드로워(50)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을 판독해서,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된 후에 정지 상태가 특정 시간 이상일 때의 시점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드로워(50)가 닫히기 직전의 시점을 파악할 수 있고, 해당 시점에 촬영된 사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사용자는 상기 제2영역(52)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도어(20)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드로워(50)의 이동을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과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의 위치 변화의 두 가지를 이용해서 판단한다. 두 가지의 판단은 순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200)에서 사진을 판독할 때에 발생되는 부하가 줄어들 수 있어서, 냉장고를 제작할 때에 소요되는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의 제어 흐름도이다.
도 11에서는 각각의 영역에 해당하는 사진을 획득하고, 해당되는 사진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저장실(22)는 두 개의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에는 두 개의 도어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좌측 도어는 상기 저장실의 좌측을 개폐하고, 우측 도어는 상기 저장실의 우측을 개폐한다.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의 좌측만을 사용하고자 하면 좌측 도어만을 개방하고, 상기 저장실의 우측만을 사용하고자 하면 우측 도어만을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는 상기 저장실의 좌측 또는 우측만을 사용하고자 하더라도,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를 모두 개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좌측 도어를 회전시켜서 저장실(22)을 개방하거나 우측 도어를 회전시켜서 저장실(22)을 개방할 수 있다(S10, S12). 사용자가 좌측 도어 또는 우측 도어를 함께 개방하거나,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중에 어느 하나만을 개방하는 것이 것이 가능하다.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카메라(70)에 전원이 공급되어서 상기 카메라(70)가 작동을 시작할 수 있다(S20). 이때 상기 카메라(70)는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진을 연속해서 촬영하는 것도 가능하고, 전원이 공급되자마 사진을 연속해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카메라(70)에 전원이 공급되어 상기 카메라(70)에서 사진을 연속해서 촬영하는 동안에, 좌측 드로워(50) 또는 우측 드로워(50) 중 어느 하나 또는 두 개가 모두 인출될 수 있다.
상기 좌측 드로워(50) 또는 우측 드로워(50) 각각이 인출되기 위해서 이동되기 시작하는 것은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에 의해서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드로워 개폐 센서(500)는 초기에 각각의 드로워가 인출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드로워(50)가 인출되어서, 인출된 거리가 소정 거리 보다 많이 인출되고, 인출된 시간이 제1설정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30). 인출된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많다는 것은 사용자가 드로워를 많이 인출했다는 것을 의미해서 드로워의 내부에 식품을 넣거나 빼는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소정 거리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에 도달할 만큼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로워(50)가 소정 거리 보다 더 인출되면,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마커(59)를 판독해서, 상기 좌측 드로워(50)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좌측 드로워(50)가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지 않거나,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직전 영상이 유지된다(S34). 즉 사용자가 상기 좌측 드로워(50)에 보관된 식품을 변화시킬 정도로 좌측 드로워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해서, 상기 좌측 드로워(50)에 관한 화면을 변경하지 않는다.
상기 좌측 드로워(50)가 소정 거리 만큼 인출되고, 인출된 시간이 제1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영상을 캡쳐한다. 즉 이때 촬영된 사진들은 저장부에 저장된다. 물론 상기 저장부의 용량을 고려해서, 사진의 장수가 많아지면, 처음에 찍힌 사진은 삭제하고, 이후에 찍힌 사진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측 드로워(50)가 닫히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사진을 연속적으로 캡쳐한다. 반면에 상기 좌측 드로워(50)가 닫히기 시작하면, 사진에서 마커(59)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좌측 드로워(50)가 닫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60).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해당되는 시각에서 상기 좌측 드로워(50)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70). 해당되는 사진에는 상기 제2영역(52)가 촬영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촬영된 사진에는 상기 좌측 드로워(50)가 닫히기 직전 촬영된 것으로, 상기 좌측 드로워(50)에 저장된 식품의 정보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사진을 확인해서, 상기 제2영역(52) 중에서 좌측 드로워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우측 드로워(50)가 인출되어서, 인출된 거리가 소정 거리 보다 많이 인출되고, 인출된 시간이 제1설정 시간 보다 큰지를 판단한다(S32). 인출된 거리가 소정 거리보다 많다는 것은 사용자가 드로워를 많이 인출했다는 것을 의미해서 드로워의 내부에 식품을 넣거나 빼는 동작을 수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소정 거리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에서 상기 마커(59)의 위치를 판독할 수 있는 범위에 도달할 만큼 상기 드로워(50)가 인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드로워(50)가 소정 거리 보다 더 인출되면,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마커(59)를 판독해서, 상기 우측 드로워(50)의 이동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만약 우측 드로워(50)가 소정 거리만큼 인출되지 않거나, 제1설정 시간이 경과하지 않으면, 직전 영상이 유지된다(S36). 즉 사용자가 상기 우측 드로워(50)에 보관된 식품을 변화시킬 정도로 우측 드로워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해서, 상기 우측 드로워(50)에 관한 화면을 변경하지 않는다.
상기 우측 드로워(50)가 소정 거리 만큼 인출되고, 인출된 시간이 제1설정 시간을 경과하면,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영상을 캡쳐한다. 즉 이때 촬영된 사진들은 저장부에 저장된다. 물론 상기 저장부의 용량을 고려해서, 사진의 장수가 많아지면, 처음에 찍힌 사진은 삭제하고, 이후에 찍힌 사진들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우측 드로워(50)가 닫히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사진을 연속적으로 캡쳐한다. 반면에 상기 우측 드로워(50)가 닫히기 시작하면, 사진에서 마커(59)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우측 드로워(50)가 닫히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S62).
이때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해당되는 시각에서 상기 우측 드로워(50)를 촬영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70). 해당되는 사진에는 상기 제2영역(52)가 촬영되어 있어서, 상기 제어부(200)에서는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이때 촬영된 사진에는 상기 우측 드로워(50)가 닫히기 직전 촬영된 것으로, 상기 우측 드로워(50)에 저장된 식품의 정보를 충분히 확인할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해당 사진을 확인해서, 상기 제2영역(52) 중에서 우측 드로워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서 상기 카메라(70)에서는 좌측 드로워는 물론 우측 드로워의 저장 공간, 즉 제2영역(52)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촬영된 영상은 드로워가 닫히기 직전의 영상인 것이 가능하다(S70).
상기 제2영역(52)에 대한 영상이 확보되고, 상기 좌측 도어 또는 상기 우측 도어의 개방여부를 감지한다(S80, S82).
상기 좌측 도어(20)의 개방된 각도가 소정 각도이고, 상기 좌측 도어(20)의 개방 시간이 제2설정 시간을 경과했는지 확인한다(S80).
이때 상기 소정 각도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제4영역(82) 즉 상기 좌측 도어(20)의 내측에 구비된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2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좌측 도어(20)를 개방해서 상기 좌측 도어(20)에 인접한 저장실(22)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설정 시간은 상기 제1설정 시간과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좌측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고, 상기 좌측 도어(20)가 상기 제2설정 시간 이상으로 개방되면, 좌측 멀티수납에 대한 영상을 캡쳐한다(S90). 상기 좌측 멀티수납은 상기 제3영역(62)을 의미한다. 이때 촬영된 사진에는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3영역(62) 및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사진으로 촬영한다.
만약 상기 좌측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좌측 도어(20)가 상기 제2설정 시간 이하로 개방되면,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3영역(62) 및 상기 제4영역(82)의 영상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유지한다(S84). 상기 좌측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거나, 제2설정 시간 이하로 개방되면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2) 또는 상기 좌측 도어(20)에 식품을 변화시킬 정도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촬영된 사진은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3영역(62) 및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정도로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진을 업데이트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좌측 도어(20)가 닫히는 것을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센서(300)에서 감지한다(S100).
상기 우측 도어(20)의 개방된 각도가 소정 각도이고, 상기 우측 도어(20)의 개방 시간이 제2설정 시간을 경과했는지 확인한다(S82).
이때 상기 소정 각도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상기 제4영역(82) 즉 상기 우측 도어(20)의 내측에 구비된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을 촬영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제2설정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우측 도어(20)를 개방해서 상기 우측 도어(20)에 인접한 저장실(22)을 사용할 수 있을 정도의 시간을 의미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2설정 시간은 상기 제1설정 시간과 동일한 것이 가능하다.
상기 우측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고, 상기 우측 도어(20)가 상기 제2설정 시간 이상으로 개방되면, 우측 멀티수납에 대한 영상을 캡쳐한다(S92). 상기 우측 멀티수납은 상기 제3영역(62)을 의미한다. 이때 촬영된 사진에는 상기 제1영역(42)과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즉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3영역(62) 및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를 하나의 사진으로 촬영한다.
만약 상기 우측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거나, 상기 우측 도어(20)가 상기 제2설정 시간 이하로 개방되면,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3영역(62) 및 상기 제4영역(82)의 영상을 업데이트 하지 않고 유지한다(S86). 상기 우측 도어(20)가 소정 각도 이상 개방되지 않거나, 제2설정 시간 이하로 개방되면 사용자가 상기 저장실(22) 또는 상기 우측 도어(20)에 식품을 변화시킬 정도로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조건이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 촬영된 사진은 상기 제1영역(42), 상기 제3영역(62) 및 상기 제4영역(82)에 대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을 정도로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진을 업데이트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우측 도어(20)가 닫히는 것을 상기 도어 위치 감지 센서에서 감지한다(S102).
상기 좌측 도어(20)와 상기 우측 도어(20)가 모두 닫히면 상기 카메라(70)에서는 촬영을 중지한다(S110). 즉 상기 좌측 도어(20)와 상기 우측 도어(20) 중 어느 하나가 닫히지 않으면 상기 카메라(70)는 계속해서 사진을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좌측 도어와 우측 도어 중 어느 하나라도 닫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해당되는 도어 또는 도어에 인접한 저장실의 저장 영역에 식품을 수납하거나 빼내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상기 통신부(212)를 통해서 냉장고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20).
냉장고가 상기 통신부(212)에 의해서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서버(900)에 영상을 전송한다(S130). 이때 전송되는 영상은 업데이트된 영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영역, 제2영역, 제3영역, 제4영역의 사진 중에서 해당 조건을 만족해서 업데이트가 될 필요가 있는 사진만을 상기 서버(900)에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버(900)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통신망에 의해서 연결되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어플리케이션과 동기화 유무를 판단한다(S140).
상기 서버(900)가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어플리케이션과 동기화되면, 캡쳐된 영상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표시한다(S160).
만약 냉장고의 통신부(212)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업데이트되지 않고, 직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영상이 유지된다(S150).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서버(900)가 동기화되지 않으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 표시되는 영상은 업데이트되지 않고, 직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되었던 영상이 유지된다(S150).
상술한 과정에 의해서 사용자에게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식품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좌측 도어(20)와 상기 우측 도어(20)를 닫을 때마다 외부 네트워크에 상기 제어부(200)가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해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서버(900)에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좌측 도어(20)와 상기 우측 도어(20)가 닫히면,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냉장고 사용이 종료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냉장고의 도어를 열고, 식품을 수납하거나 식품을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드로워를 인출하고 식품을 수납하거나 식품을 인출할 수 있다.
사용자가 냉장고 사용을 마친 후에는 다시 냉장고를 닫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측 도어와 상기 좌측 도어가 닫히면, 냉장고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면 변경된 사진을 서버에 전송한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0)을 상기 서버(900)에 통신망을 통해서 연결해서, 냉장고의 다양한 공간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도 12는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이 보정되는 과정을 설명한 도면이다.
상기 카메라(70)는 상기 제1영역, 상기 제2영역, 상기 제3영역, 상기 제4영역을 고정된 위치에서 촬영한다. 반면에 각각의 영역은 냉장고 내에서 서로 다른 부분에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사진은 도 12의 좌측에 표시된 것처럼 왜곡된 형상을 가진다. 사용자는 상기 카메라(70)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 원본을 보면, 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00)에서 해당 사진의 왜곡을 보정하는 과정을 수행해서, 사용자가 사진을 보고 식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왜곡된 사진의 보정은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에 냉장고에서 영상 정보를 전송받은 상기 서버(900)에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은 사용자 단말기의 초기 화면을 설명한 도면이고. 도 14 내지 도 18은 도 13에서 세부 화면을 설명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사용자가 냉장고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가능하다.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서 제공되는 화면을 통해서, 제균탈취, 특급냉동, 스마트 절전, 스마트 케어 운전 등의 다양한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균탈취, 특급냉동, 스마트 절전, 스마트 케어 운전 등의 메뉴를 통해서, 해당 기능이 수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메뉴를 통해서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냉장고를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는 화면 상측에 마련된 카메라 아이콘을 터치해서, 냉장고의 내부 식품에 관한 정보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카메라 아이콘 이외에 다양한 형태의 아이콘이나 글자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 14 내지 도 18 중에 어느 하나의 화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전에 사용자가 도 14 내지 도 18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보고 어플리케인션을 종료한 경우에는, 도 13에서 아이콘을 클릭하면 그 화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사용자 또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자가 도 14 내지도 18 중 어느 하나의 화면을 기본 화면으로 설정해 놓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 화면으로 설정된 경우에는, 도 13에서 아이콘을 클릭한 후에 기본 화면으로 이동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 14가 기본 화면으로 설정된 것을 전제로 해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도 13에서 카메라 아이콘을 클릭하면, 도 14에 도시된 세부 화면으로 이동된다.
도 14에서는 상기 제1영역(42)에 대한 사진이 도시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1000)에는 상측에는 냉장고 내부의 개략도가 표시되고, 하측에는 해당부분의 실제 사진이 도시된다.
도 14의 상측에는 냉장고의 상기 제1영역(42)이 다른 부분과 차별화되도록 표시되고, 하측에는 상기 카메라(70)에서 촬영된 상기 제1영역(42)에 대한 구체적인 사진이 도시된다. 이때 도시되는 사진은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저장된 식품의 내용을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직접 도어를 열고 바라봤을 때의 형태와 유사하게 보정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측에 도시된 사진에는 사진을 확대할 수 있는 확대 아이콘이 도시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자가 확대 아이콘을 터치하게 되면 해당 사진은 확대되어서 사용자는 더 큰 형태의 사진을 확인해서 식품에 대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4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야채실, 즉 제2영역(52)을 클릭하면 도 15의 화면이 도시된다.
도 15에서도 상측에는 냉장고 내부의 개략도가 표시되고, 하측에는 해당부분의 실제 사진이 도시된다. 해당 사진에서는 양측에 구비된 드로워가 모두 인출된 상태에서 드로워의 내부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사진이 표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거나, 드로워를 인출하지 않더라도 드로워 내부 영역에 저장된 식품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14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멀티수납코너, 즉 제3영역(62)을 클릭하면 도 16의 화면이 도시된다.
도 16에서도 상측에는 냉장고 내부의 개략도가 표시되고, 하측에는 해당부분의 실제 사진이 도시된다. 해당 사진에서는 각각의 드로워의 전방 하부에 배치되는 두 개의 멀티수납코너가 모두 도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고도, 사용자 단말기(1000)을 통해서 해당 영역에 저장되어 있는 식품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4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좌측 도어, 즉 제4영역(82) 중 어느 하나를 클릭하면 도 17의 화면이 도시된다. 도 14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우측 도어, 즉 제4영역(82) 중 다른 하나를 클릭하면 도 18의 화면이 도시된다.
사용자는 각각의 도어를 클릭해서, 각각의 도어의 바스켓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않더라도 도어의 내측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도어를 개방해서 저장실 내부의 냉기가 외부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7과 도 18을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화면에 중첩해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 사용자는 하나의 도어만을 클릭하면 도어의 내측, 즉 제4영역(82) 전부에 저장된 식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4 내지 도 18의 각각의 화면에서는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사진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아이콘이 도시된다. 각각의 화면에서 사용자는 갤러리에 저장이라는 아이콘을 클릭해서 사용자 단말기에 해당 사진을 저장 보관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사용자에게는 식품이 저장될 수 있는 공간에서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사진이 제공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특정 부분을 터치하거나 클릭하는 경우에 특정 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의 세부 화면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아우터 케이스 12: 인너 케이스
20: 도어 40: 선반
42: 제1영역 50: 드로워
52: 제2영역 60: 베리어
62: 제3영역 70: 카메라
80: 바스켓 82: 제4영역
700: 카메라 모듈
10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23)

  1.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식품이 수용되는 바스켓을 구비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는 드로워;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상기 드로워 내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 및 상기 도어의 내측에 구비된 상기 바스켓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을 촬영하는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캐비닛의 천정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도어를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캐비닛의 천정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필라를 접거나 펼치는 필라 고정부의 후방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필라 고정부와 동일한 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전방에 감싸는 카메라 커버와,
    상기 카메라 모듈의 후방에서 감싸는 카메라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모듈은,
    전면 외관을 형성하는 프런트 케이스와,
    후면 외관을 형성하는 리어 케이스와,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의 사이 공간에 구비되는 렌즈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의 돌출형성된 개구부에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커버 글래스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글래스에 접촉해서, 상기 커버 글래스에 이슬 맺힘을 방지하는 코일을 더 포함하는 냉장고.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런트 케이스와 상기 리어 케이스가 결합되는 부분에는 실링 러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개폐를 감지하는 드로워 개폐 센서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사진을 영상처리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외부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에서 전송된 영상은 사용자 단말기에서 전달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는 영상이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는,
    각각의 영역에 대한 영상이 도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도어 위치 감지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도어가 닫히면 상기 통신부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되었는지 확인하고,
    연결되어 있으면 영상을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 내에 구비되며, 상기 드로워의 상측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선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선반의 상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저장실의 하단을 형성하는 베리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실 내부 중에 상기 드로워의 외측 공간에 식품이 저장되는 영역은 상기 베리어에 형성된 저장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는 상기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인식가능한 마커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마커는 상기 드로워의 전단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160097202A 2016-07-29 2016-07-29 냉장고 KR201800134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202A KR20180013448A (ko) 2016-07-29 2016-07-29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202A KR20180013448A (ko) 2016-07-29 2016-07-29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3448A true KR20180013448A (ko) 2018-02-07

Family

ID=6120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202A KR20180013448A (ko) 2016-07-29 2016-07-29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1344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71B1 (ko) * 2019-12-20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EP4086549A4 (en) * 2020-01-03 2024-01-10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4771B1 (ko) * 2019-12-20 2021-04-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WO2021125453A1 (ko) * 2019-12-20 2021-06-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 지능 냉장고
US11669722B2 (en) 2019-12-20 2023-06-06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EP4086549A4 (en) * 2020-01-03 2024-01-10 LG Electronics Inc. ARTIFICIAL INTELLIGENCE REFRIGERATOR AND ITS OPERATING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22519B (zh) 冰箱及其控制方法
JP6307698B2 (ja) 冷蔵庫
EP299867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167844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240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240073841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47134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52399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13448A (ko) 냉장고
KR10241785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127013A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265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7310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662087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2194275B1 (ko) 냉장고의 저장실 표시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23159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