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78342A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78342A1
WO2017078342A1 PCT/KR2016/012360 KR2016012360W WO2017078342A1 WO 2017078342 A1 WO2017078342 A1 WO 2017078342A1 KR 2016012360 W KR2016012360 W KR 2016012360W WO 2017078342 A1 WO2017078342 A1 WO 201707834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door
groove
sealant
co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236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용우
용승지
천강운
최재훈
박정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RU2018119920A priority Critical patent/RU2685280C1/ru
Priority to AU2016350664A priority patent/AU2016350664B2/en
Priority to JP2018542080A priority patent/JP6918812B2/ja
Publication of WO201707834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7834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D06F39/14Doors or covers; Securing mean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D06F37/266Gaskets mounted between tub and casing around the loading open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10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selector switch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18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 G05B19/409Numerical control [NC], i.e. automatically operating machines, in particular machine tools, e.g.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so as to execute positioning, movement or co-ordinated operations by means of programme data in numerical form characterised by using manual data input [MDI] or by using control panel, e.g. controlling functions with the panel; characterised by control panel details or by setting parame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8Control circuits or arrangement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1/00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 F16B11/006Connect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by sticking or pressing them together, e.g. cold pressure welding by glu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23Control knobs, levers integrated into display, display parameters near knob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3Pc programming
    • G05B2219/23058Knob, pedal selects ranges, functions and controls in each range as function of posi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20Pc systems
    • G05B2219/25Pc structure of the system
    • G05B2219/25087Selector switch to set function of each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clothes opening of the main body.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device for washing clothes, a device for drying clothes, and a device for washing and drying clothes.
  • washing of clothes is a stroke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laundry through the action of water and detergent, and drying of clothes removes moisture contained in the clothes through a hot air supply device provided i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t's a stroke to get rid of.
  • a general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having a clothes opening and forming a shape, a clothes receiving unit provided inside the body, a drive unit for rotating a drum constituting the clothes receiving unit,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a clothes opening, and clothing to a user. And a control unit for displaying vis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stroke processed by the processing apparatus and receiving a user's manipulation.
  • the door is designed to perform a natural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clothes inlet and looking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 the control unit is typically provided in the main body, and a plurality of buttons or knobs for briefly displaying and manipulating the predetermined stroke only in an on / off manner and the like are provided.
  • the dividing of the door and the control unit has hindered the simple appearance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the input and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the user has to stay in a low dimensional manner.
  • an adhesive is usually used along with a mechanical fasten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a hook, or the like.
  • a mechanical fastening structure using a bracket, a hook, or the like.
  • the door cover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is also difficult to accurately position the door frame.
  • the adhesive leaks in the process of the door cover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through the adhesive can prevent the degradation of the appearance quality.
  • an adhesive may be applied to the inside of the door frame far from the edge, which causes a decrease in the bonding strength, and has a problem that foreign matter easily penetrat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cover and the door frame.
  • the door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when the door is provided with a touch screen, there is a risk that moisture may penetrate into the electronic elements constituting the touch screen. Therefore, sealing of the electronic devices may be an important problem in terms of securing driving reliability of the touch scree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lement a simple door appearance when providing a window unit for looking into the clothing receiving unit on the door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can give a user a unified aesthetic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oor structur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tructur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be easily coupled between the circular door cover and the circular door frame.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sealant, the bon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when the door cover and the door frame is coupled between, clothing that can prevent the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cover and the door frame. It is to provide a door structure of the processing apparatus.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oor structure of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that can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into electronic devices constituting the display unit when the display unit (or touch screen) is formed in the door. .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urther structure that can improve the sealing performance in the sealing structure for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the moisture.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wherein the door has a first opening facing the clothing inlet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a display module mounted therein. frame; And a door cover coupled to the door frame to form an exterior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cover includes an opaque region, a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in the opaque region, and the first cover. It includes a second light transmission area corresponding to the two openings.
  •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wherein the door has a first opening facing the clothing inlet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a display module mounted therein. frame; And a door cover coupled to the door frame to form an exterior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cover includes an opaque region, a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in the opaque region, and the first cover.
  • a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corresponding to two openings, and a sealant filling groove filled with a sealant for adhering to the door cover may be formed at a portion of the door frame overlapping the opaque region.
  •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wherein the door has a first opening facing the clothing inlet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a display module mounted therein. frame; And a door cover coupled to the door frame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o form an exterior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frame is filled with a sealant filled with a sealant for adhering to the door cover. Grooves may be formed.
  •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may be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second opening, and the door cover may be disposed in the second opening when the door cover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 the second opening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display module,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disposed to overlap the second opening, and is formed in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of the display module.
  • the non-corresponding portion may not output visual information.
  • a touch sensor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to cover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and detect a touch input to a sensing area including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ouch sensing is activated on a region that is no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of the sensing region.
  • the door cover may include a cover body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a shielding layer disposed to cover a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to form the opaque region.
  •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may be portions where the shielding layer is not disposed.
  • the shielding lay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hielding dots formed aroun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area, and the shielding dots may be formed to have a lower density towar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area.
  • the door frame may have a mounting guide projecting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oor cover along a circumference thereof.
  • the door cover may include a first corner portion formed to be round and a second corner portion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first corner portion, and the mounting guide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extending roun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edge portion.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dg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mounting position when the door cover is mounted to the door frame.
  •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below the door frame.
  • the door frame may include: an outer frame having a sealant filling groove filled with a sealant for adhesion to the door cover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frame coupled to a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wherein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protrudes from the front of the outer frame to form the mounting guide.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sealant coating part for filling the sealant; And a sealant collect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ant coating part so as to collect the sealant flowing out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ealant applying part, respectively.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connection groove formed to cro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 first groov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and forme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And a second groove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groove portion connecting an arbitrary point on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and an arbitrary point on the first groove portion.
  • the bypass groove may be loc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first groove.
  • the main body has a door accommodating portion recessed inward from an outer surface and provided with the clothes input opening therein, and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is closed, the door is accommodated in the door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outside of the door cover.
  • the face rim may be coplanar with the outer face of the adjacent body.
  •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wherein the door has a first opening facing the clothing inlet and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a display module mounted therein. frame; And a door cover coupled to the door frame to cover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to form an exterior of the door, wherein the door frame is filled with a sealant for adhesion to the door cover, and Disclosed is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a sealant filling groov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respectively.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connection groove formed to cro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A first groov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and forme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And a second groove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pening portion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first sealant collect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opening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groove part and the first groove part; A second sealant collect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opening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nnecting groov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And a third sealant collecting part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groove part and the second groove part.
  •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wherein the door comprises: a door fram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door cover combined with the door frame to form an exterior of the door, the door cover including an opaque area and a light transmitting area in the opaque area;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area, wherein the light transmitting area is formed to have a smaller size than the display module, and the door cover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arranged to overlap within the display module.
  • the display module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light transmitting area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overlapping with a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and the opaque area covers another part of the display module not corresponding to the light transmitting area. It may be arranged to.
  • Other parts of the display module may be configured to not output visual information.
  • the touch sensor may be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to cover the light transmitting area and a part of the opaque area around the light transmitting area.
  •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wherein the door has an outer appearance of the door, and includes a first corner part which is rounded and a second edge part which connects both sides of the first edge part.
  • Door cover; And a door fram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nd having a mounting guide protrudingly formed around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oor cover, wherein the mounting guide extends roun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edge portion.
  • a first protrusion being formed; And a second protrus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dge and configured to guide the mounting position when the door cover is mounted to the door frame.
  • the second protrusion may be formed below the door frame.
  •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wherein the door forms an exterior of the door, the door cover including an opaque area and a light transmitting area in the opaque area;
  •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area;
  • a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accommodating the display module and an opening facing the clothing inlet when the door is closed, and a sealant filling groove in which a sealant is filled in the front to form a sealant for adhering to the door cover.
  • a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a frame.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connection groove formed to cross between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opening; A first groove part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part and formed to surround a circumference of the opening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part; And a second groov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and formed to surround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groove portion connecting an arbitrary point on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and an arbitrary point on the first groove portion in a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 the sealant filling groove may include a sealant coating part for filling the sealant; And a sealant collecting part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lant coating part so as to collect the sealant flowing out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sealant applying part, respectively.
  •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wherein the door comprises: a door frame; A door cover mounted on one side of the door frame and having a light transmitting area; A mounting frame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A display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and outputting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area of the door cover; And a display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surround the display.
  • the mounting frame may receive a portion of the display sealing member, and a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display.
  • the other part of the display sealing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eiving groove so that the mounting frame may contact the door frame when the mounting frame is mounted to the door frame.
  • the display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door frame,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display cover formed of a light transmitting material and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And a filler configured to fill a gap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display cover.
  • the door frame may include: an outer frame having a sealant filling groove filled with a sealant for adhesion to the door cover on a front surface thereof, and the mounting frame mounted on a rear surface thereof; And an inner frame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and disposed to cover the mounting frame.
  • the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frame may protrude from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to form a mounting guid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oor cover.
  • the inner frame may have a communicating portion communicating with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outer frame and the inner frame, and the inner frame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a frame cover that opens and closes the communicating portion.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attached to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to sense a touch input to the light transmitting area.
  • a communication hole through which a display hol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and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f the touch sensor passes is formed, and the display seal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display hole and the communication hole. It may be formed to surround.
  •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the display frame may be mounted on one side of the mounting fram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PC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and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mounted on the other side.
  • PCB printed circuit board
  • the other side of the mounting frame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includes a PCB cover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and disposed to cover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PCB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PCB cover to surround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PCB sealing member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PCB hole.
  • a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frame to accommodate a part of the PCB sealing member and surround the printed circuit board.
  • the other part of the PCB sealing member protrudes from the mounting groove so that the PCB cover may contact the PCB cover when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 the PCB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PCB cover,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 the main body having a clothes inlet; And a door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 the door comprises: a door fram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A door cover combined with the door frame to form an exterior of the door; And a display module disposed on a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wherein the display module comprises: a mounting frame having a display mounting portion and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portion on each side thereof; A PCB cover mounted to the mounting frame to cover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portion; A display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surround the display mounting unit; And a PCB sealing member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PCB cover to surround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portion.
  • the display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mounting frame,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extend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 the PCB sealing memb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respectively contacting the PCB cover, and the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may b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 an opaque region and a first and a second transparent region separated from each other in the opaque region are formed in the door cover, and the window unit and the display unit (or Touch screen) can be configured, a simple door appearance can be implemented.
  •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areas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doors, the user may give an integrated aesthetic feeling.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utput of visual information on a por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of the display, thereby saving power.
  • the mounting guide of the door frame is composed of a rounded first protrusion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corner portions of the door cover and a second protrusion of a straight shape, so that the second door when the door cover is assembled to the door frame
  • the corners and the second projections serve as a reference for match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That is, when the second corner portion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the door cover is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on the door fram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of the door cover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of the door frame. Can be arranged.
  • the sealant filled in the sealant collecting portion leaks out while the door cover is coupled to the outer frame, the sealant leaking into the sealant collecting portions provided inside and outside is collected. For this reason, the fall of the appearance quality by leaking of a sealant can be prevented.
  • a sealant application part can be arrange
  • the display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mounting frame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display and the touch sensor provided therein.
  • a filler may be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display cover, and in this case,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display may be prevented again.
  • a PCB sealing member is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frame and the PCB cover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provided therein.
  • the display sealing member and the PCB sealing membe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arts extending side by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 the sealing loop formed by one of the contact portions is disposed in the sealing loop formed by the other contact portion,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ealing structure can be improv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a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othes opening is opened by rotating the door shown in FIG.
  • FIG. 2B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door is secondarily rotated in the state shown in FIG. 2A;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 FIG. 5 is a rear view of the door cover shown in FIG.
  •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oor cover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5.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5.
  •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or cover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FIG. 9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door cover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 FIG. 1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door cover and a door frame separated from a portion D shown in FIG. 4;
  • FIG. 12 is a front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oor frame shown in FIG.
  •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shown in FIG. 12.
  • 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or frame shown in FIG.
  • 15 and 1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display module illustrated in FIG. 3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FIG. 17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15.
  • FIG. 18 is a rear view of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15.
  • FIG. 19 is a rear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CB cover is coupled to the mounting frame shown in FIG.
  • FIG. 2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shown in FIG.
  • FIG. 2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illustrated in FIG. 3 is mounted inside a door frame.
  •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oor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3 is a sectional view of the door shown in FIG. 22; FIG.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s 2a and 2b is a door 10 shown in Figure 1 is rotated first and second, respectively
  • clothing inlet 20a are conceptual diagrams showing open state.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includes a main body 20 and a door 10.
  • the main body 20 forms an outer appearance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and includes a clothes inlet 20a through which clothes are inserted.
  • the clothes inlet 20a is formed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20 having a hexahedral shape.
  • the inside of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clothes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laundry through the clothes inlet 20a.
  • the garment receiving part may be configured as a drum 40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
  • the laundry treatment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as a device capable of performing both washing and drying of a laundry
  • a tub (not shown) provided with the clothes receiving unit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20 to store the washing water.
  • a drum 40 rotatably provided inside the tub to accommodate laundry.
  •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driving unit (not shown) configured to rotate the drum 40.
  • the driving unit may include a motor for generating a driving force and a belt for rotating the drum 40 by using the driving force.
  • a detergent supply unit (not shown) may be installed to draw and draw in a drawer type.
  • the cover 21 covering the detergent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with a power button 22, it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 the display unit 12 described below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the display 12 may be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through a touch input to the touch screen 12.
  • the power button 22 is not provided, and a simpler appearance can be realized.
  • the door 10 is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to open and close the clothes inlet 20a. As shown, the door 10 may b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by the hinge unit 30.
  • the main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accommodating portion 20b recessed inward from an outer surface thereof and having a clothes inlet 20a therein.
  • the door 10 is accommodated in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and the outer edge portion of the door 10 is arranged to be coplanar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main body 20 adjacent thereto. Can be.
  • the hinge unit 30 has two different hinge units in order to prevent the door 10 from being caught by the main body 20 when the door 10 is opened. It may have a double hinge structure having an axis of rotation. In this case, as shown in FIGS. 2A and 2B, after the door 10 is spaced apart from the door receiving portion 20b by the first rotation about any one rotation axis, the second rotation about the other rotation axis is performed.
  • the door 1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 a locking device for fixing or releasing the door 10 to the main body 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0.
  • the locking device is configured to be pushed, and when the other side of the door 10 is pressed once, the door 10 is locked, and when pressed again, the door 10 may be unlocked.
  • the door 10 is provided with a window portion 11 and a display portion 12.
  • the window portion 11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lothes inlet 20a, and is configured to look into the clothes receiving por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check the state of the clothing accommodated in the clothing receiving unit through the window unit (11).
  • the display unit 12 displays (outputs)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 the display unit 12 may execut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of a stroke (washing, dehydration, drying stroke, etc.) driven by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or a UI (User Interface) or GUI (corresponding to the execution screen information).
  • UI User Interface
  • GUI Graphic User Interface
  •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10 shown in FIG. 1
  • FIG. 4 is a front view of the door 10 shown in FIG. 1.
  • the door 10 includes a door frame 110, a door window 120, a display module 130, and a door cover 140.
  • the hinge unit 30 for coupling with the main body 20 is mounted on the door 10, but the hinge unit 30 is omitted in this drawing.
  • the door 10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ncluding a round, elliptical, or at least a round shape formed rounded).
  • the door 10 may be formed in a polygon (square, hexagon, etc.).
  • the door frame 1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ody 20, and for this purpose, the hinge unit 3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10 and the body 20, respectively.
  • the door frame 110 may include an outer frame 111 and an inner frame 112.
  •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eg, ABS material, PC material, etc.).
  • the above configurations are referred to as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 the outer frame 111 may be a main body ( This is because the inner frame 112 faces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20.
  •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may be referred to as first and second frames, respectively.
  • the door frame 110 includes a first opening 110a facing the clothing inlet 20a when the door 10 is closed, and a second opening 111b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ule 130 mounted therein. do.
  • the first opening 110a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oor window hole in that the door window 120 is installed in the first opening 110a, and the display module 130 is mounted in the second opening 111b.
  • the second opening 111b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display hole.
  • the second opening 111b may be located on the first opening 110a.
  • the first opening 110a may include a front opening 111a formed in the outer frame 111 and a rear opening 112a formed in the inner frame 112.
  • the second opening 111b is formed in the outer frame 111.
  • a communication unit 112b may be formed on the rear opening 112a of the inner frame 112, and the display module 130 may be mounted inside the door frame 11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12b.
  • the door window 120 is installed in the door frame 110 so as to correspond to the first opening 110a.
  • the door window 120 is formed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glass, synthetic resin, etc.), and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clothes inlet 20a in a state in which the door 10 is closed.
  • the display module 130 is installed inside the door frame 110.
  • the display module 130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pening 111b, and the display 132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30 is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 .
  • the door frame 110 may be provided with an FPCB hole 111c through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of the touch sensor 160 may pass.
  •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 the door cover 110 is coupled to the door cover 140 forming the exterior of the door 10.
  • the door cover 140 may be formed of a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having transparency.
  • the door cover 140 may include an opaque area 143 and a second light emission area 141 corresponding to the first opening 110a and a second opening 111b within the opaque area 143. And a light transmitting area 142.
  • the light-transmitting region means an area configured to transmit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so that the opposite side or the inside is visible. Therefore, the transmissive area is a concept including a translucent area.
  •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ve regions 141 and 142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by the opaque region 143.
  • the door frame 110 and the door cover 140 a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circular door 10,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areas 141, so as to give the user a unified aesthetic It is shown that 14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 the circle includes a garden, an oval, or a round shape in which at least a portion is rounded.
  •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141 and 142 may be formed not only circular but also polygonal (square, hexagonal, etc.) and other geometric shapes.
  • the door cover 140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t least in part.
  • the first cover part and the second cover part on both sides of the bending part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each other by the bent bending part.
  • the first cover portion and the second cover portion are formed in a flat shape.
  • the door frame 110 may also be formed in a bent shape.
  •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region 141 is formed over the first cover portion and the bending portion, and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142 is formed on the second cover portion.
  •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is formed in a smaller size than the second opening 111b, it is disposed so as to overlap in the second opening 111b in a state that the door cover 14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10.
  • the overlap means overlap of the door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 the second opening 111b is formed in a quadr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ctangular display module 130, and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so as to overlap the second opening 111b.
  • the circular display is generally higher in price than the rectangular display 132 which is widely used, and as a resul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position the installation, and assembly failure may frequently occur.
  • the display unit 12 which is circular to the user can be provided.
  • the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portion of the display 132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142 is not visible to the user. In view of this, visual information may not be output to a portion of the display 132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 142.
  • the display 132 in response to the vis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lothing processing apparatus 1 being output to a portion of the display 1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the display 132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 the outer image surrounding the visual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portion.
  • the outer image may be filled with a specific series of colors (for example, black) as a portion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 the visu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s output to a portion of the display 132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 the corresponding portion may be configured to be off. That is, not only the visual information but also the outer image is not output to the portion of the display module 130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 the display 132 since only a part of the display 132 is driven, the display 132 can be driven more efficiently than the previous example in which the entire display 132 is driven, thereby achieving a power saving effect.
  • FIG. 5 is a rear view of the door cover 140 shown in FIG. 3.
  • the display unit 12 formed on the door cover 140 forms a layer structure or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touch sensor 160 to implement the touch screen 12.
  • the touch screen 12 may function as a user input unit that provides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nd the user, and may also provide an output interface between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and the user. For example, selection and change of an operation mode for performing washing, dehydration drying stroke, and the like may be implemented as a user's touch input (or touch) on the display unit 12.
  • the door 10 In order to sense a touch input to the door cover 140, the door 10 is provided with a touch sensor 160.
  • the touch sensor 160 senses a touch input applied to the display unit (or touch screen) 12 using at least one of various touch methods such as a resistive film type, a capacitive type, an infrared type, an ultrasonic type, and a magnetic field type.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touch screen 12 or capacitance generated at a specific portion into an electrical input signal.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position, an area, a pressure at the touch, and the like, when the touch object applying a touch on the touch screen 12 is touched on the touch sensor 160.
  • the touch object is an object applying a touch to the touch sensor 160 and may be, for example, a finger, a touch pen or a stylus pen, a pointer, or the like.
  • the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hen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not shown).
  • the controller can know which area of the display 12 has been touched.
  • the controller may be a configuration separate from the controller or the controller itself.
  • the controller may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may perform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ouch object touching the touch screen 12. Whether to perform different control or the same contro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touch object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or the running application program.
  • the touch sensor 160 may perform short (or tap) touch, long touch, multi touch, drag touch, and flick touch on the touch screen 12.
  • Various types of touch can be sensed, such as touch, pinch-in touch, pinch-out touch, swipe touch, hovering touch, etc. have.
  • the touch sensor 160 is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to the sensing area including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142.
  • the touch sensor 16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140 so as to cover a part of the opaque area 143 surrounding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and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 the sensing region of the touch sensor 160 includes not only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but also a part of the opaque-region 143 surrounding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Accordingly, various UIs or GUIs may be provided using a portion of the opaque region 143 surrounding the second transparent region 142.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touch film having a touch pattern,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door cover 140 and the display module 130.
  • the touch film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and an ITO film (Indium-Tin Oxide film), a CNT film (Carbon Nano Tube film), or the like may be used as the touch film.
  • the touch film may be composed of one or two layers.
  • the touch film may be attached to the rear of the door cover 140 or the display module 130.
  • the touch film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140 to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oor cover 140.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formed in a form in which a metal wire is directly pattern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140 without a separate touch film [G2: Glass only].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display 132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30.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disposed on a substrate of the display 132 or in-cell inside the display 132.
  • the display unit 12 of the clothes processing apparatus 1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That is, the controller controls on / off of the display module 130, output of visual information or an image, and on / off of the touch sensor 160.
  •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whether touch sensing is activated for a region that is no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transmission region 142 among the sensing regions of the touch sensor 160.
  • the touch sensing 160 distinguishes between a state in which touch sensing is required for an area not corresponding to the second transmissive area 142 and an unnecessary state, and in a state in which touch sensing is not necessary, the non-corresponding area.
  • FIG.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the door cover 140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the door cover 140 includes a cover body 140a and a shielding layer 140b.
  • the cover body 140a is formed of a light transmissive material.
  • the cover body 140a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glass material or a synthetic resin material.
  • the cover body 140a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t least in part.
  • the shielding layer 140b is disposed to cover one surface of the cover body 140a to form an opaque region 143.
  • the shielding layer 140b may be formed on the front side or the rear side of the cover body 140a.
  • ink is pri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140a to form the shielding layer 140b.
  • the ink may include a pigment having a specific series of colors (eg, black, white, blue, etc.).
  • various printing techniques such as screen printing (using a mesh formed of silk, nylon, tetron, stainless steel, etc.), offset printing, transfer printing, and the like may be applied.
  • the shielding layer 140b is not disposed in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141 and 142. In other words,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ve regions 141 and 142 are transparent portions that are not covered by the shielding layer 140b and are left as the translucent cover body 140a.
  • the shielding layer 140b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141 and 142,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141 and 142 are opaque regions formed by the shielding layer 140b ( 143).
  • the touch sensor 16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140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transmission area 142.
  • the touch sensor 160 is disposed to completely cover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42.
  • the touch sensor 16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142, and the touch sensor 160 may be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shielding layer 140b that defines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142. Can be.
  • the transmissive touch sensor 160 and the transmissive cover body 140a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132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30.
  • FIG. 7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B shown in FIG. 5.
  • the shielding layer 140b defining the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141 of the door cover 140 may be formed to gradually change transparency towar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141.
  • the opaque region 143 around the first transparent region 141 may be configured to become gradually transparent toward the first transparent region 141.
  • the shielding layer 140b includes a plurality of shielding dots 140b 'formed around the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141, and the plurality of shielding dots 140b' is the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141. It may be formed so that the density is lower toward).
  • the first light-transmitting region 141 may be visually and naturally passed.
  •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and the opaque region 143 surrounding the light-transmitting region 143 may be clearly divided in the form of a boundary line by the opaque region 143.
  • FIG. 8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or cover 140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the film 2140b for forming the opaque area 2143 on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2140a. May be attached.
  • the film 2140b includes an opaque portion 2140b3 corresponding to the opaque region 2143, a first light emitting portion 2140b1 and a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2142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ght emitting region 2141. It includes a second light transmitting portion (2140b2) corresponding to.
  • the opaque part 2140b3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s 2140b1 and 2140b2, and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s 2140b1 and 2140b2 are divided by the opaque parts 2140b3.
  •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aque portion 2140b3 functions as a shielding layer that makes the door cover 2140 opaque, thereby forming the opaque region 2143.
  •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s 2140b1 and 2140b2 form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s 2141 and 2142 together with the transparent cover body 2140a.
  •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2141 and 2142 are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portions 2140b1, which are transparent portions of the film 2140b, to the light-transparent cover body 2140a. 2140b2) are formed respectively.
  • the touch sensor 216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lm 2140b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2140b2.
  • the touch sensor 2160 is disposed to completely cover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2142 and is configured to detect a touch input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2142.
  • the touch sensor 2160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size than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2142, and the touch sensor 2160 is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opaque part 2140b3 that defines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2140b2. Can be.
  • the front of the display 132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30, the transmissive touch sensor 2160, the second transparent portion 2140b2 of the film 2140b and the transparent cover body 2140a Will be arranged in sequence.
  •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door cover 140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 the film 3140b for forming the shielding layer 3140b may be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3140a.
  • the film 3140b is disposed in the opaque portion 3140b3 corresponding to the opaque region 3143, the first hole 3140b1 and the second transparent region 3314 corresponding to the first transparent region 3141. It includes a corresponding second hole (3140b2).
  • the opaque portion 3140b3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and second holes 3140b1 and 3140b2, and the first and second holes 3140b1 and 2140b2 are partitioned by the opaque portion 3140b3.
  • th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opaque portion 3140b3 functions as a shielding layer for making the door cover 3140 opaque, thereby forming the opaque region 3143.
  • First and second holes 3140b1 and 2140b2 are formed in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3141 and 3142 so that the film 3140b is not disposed and is left as the transparent cover body 3140a. .
  • the touch sensor 3160 is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ver body 3140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area 3314.
  • the touch sensor 3160 is disposed to completely cover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3142 and is configured to sense a touch input to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3142.
  • the touch sensor 3160 may be formed to have a size larger than that of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 3142, and the touch sensor 3160 may be configured to cover a portion of the opaque portion 3140b3 defining the second hole 3140b2. Can be.
  • the transmissive touch sensor 3160 and the transmissive cover body 3140a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132 provided in the display module 130.
  • This may be considered to b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layer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and the thicknesses of the shielding layers 140b and 3140b, but somewhat different.
  • the touch sensors 160 and 3160 are directly attached to the transparent cover bodies 140a and 3140a, the touch sensitivity that a user feels may be increased.
  • the second light transmitting part 2140b2 of the film 2140b is not provided in front of the display 132, visual information output from the display 132 may be provided more clearly. have.
  • In-mold injection method is a method that can be used when the door covers (2140, 3140) is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the film (2140b, 3140b) is provided in the mold and injected together with the door cover (2140, 3140) It is formed in one piece.
  • the transfer method is a method of attaching the film (2140b, 3140b) to the door cover (2140, 3140) of glass or synthetic resin through thermal transfer compression.
  •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shown in FIG.
  • the door cover 140 is coupled to the door frame 110.
  • a liquid sealant 171 may be used for the coupl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door cover 140 and the door frame 110 will be described later in detail.
  • the door frame 110 may include an outer frame 111 and an inner frame 112.
  • the outer frame 111 is configured such that the door cover 140 is attached to the front.
  • the inner frame 112 is coupled at the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coupling between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may be made by screw coupling, hook coupling, bonding coupling, and the like.
  •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are shown coupled to each other by bonding.
  • the fastening rib 112d is protruded from the inner frame 112
  • the rib receiving portion 111e for receiving the fastening rib 112d is protruded from the rear of the outer frame 111
  • the rib receiving part ( Bonding member 172 is filled in 111e).
  • an out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inner frame 112 may protrude from the front of the outer frame 111 to form a mounting guide 112c.
  • the mounting guide 112c extends in the form of a loop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111 to form a space in which the door cover 140 is accommodated.
  • the mounting guide 112c may be disposed to cover the side surface of the door cover 14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unting guide 112c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to form the same plane as the upper surface of the adjacent door cover 140. have.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a step between the mounting guide 112c and the door cover 140 is reduced, so that a simpler appearance can be realized.
  • FIG. 11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the door cover 140 and the door frame 110 of the portion D shown in FIG. 4 separated from each other.
  • a portion having an unusual shape serves as a reference for match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during assembly, thereby facilitating assembly.
  • an unusual shape eg, a vertex portion, a recessed portion, or the like
  • the corner portion has a rounded shape
  •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ortion that can be fitted at the installation position during assembly is not appropriate.
  • the first and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s 141 and 142 of the door cover 140 are the door frame 110. A problem arises that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0a and 111b do not correspond.
  • the door cover 140 has a portion serving as a reference for align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when assembling the door frame 110.
  • the door cover 140 includes a first corner portion 140 'which is formed to be round and a second corner portion 140 "connecting both sides of the first edge portion 140'.
  • the door cover 140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which a part is cut in a straight line shape.
  • the second edge portion 140 ′′ has a shape with the first edge portion 140 ′ such as a straight line shape and an uneven shape. It can have any form as long as it can be distinguished from one another.
  • the mounting guide 112c described above has a first protrusion 112c 'extending roundly to correspond to the first edge portion 140' and a second protrusio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to correspond to the second edge portion 140 ". (112c ").
  • the second corner portion 140 ′′ and the second protrusion portion 112 c ′′ serve as a reference for matching the installation position when the door cover 140 and the door frame 110 are assembled. That is, when the second corner portion 140 ′′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protrusion 112 c ′′, the door cover 140 is positioned at the position on the door frame 110 so that the second cover 140 ′′ may be formed.
  • the first and second light transmitting regions 141 and 142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0a and 111b of the door frame 110.
  • the second protrusion 112c ′′ may be located anywhere on the door frame 110, but the second protrusion 112c ′′ may be located at the door frame 110 so that it is difficult for a user to recognize that the door 10 is cut. It is preferably formed at the lower side of 110).
  • FIG. 12 is a front view of a first embodiment of the door frame 110 shown in FIG. 3, and FIG. 13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E shown in FIG. 12.
  • the door 10 is coupl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sealant 171 is used for the coupling, and a sealant filling groove 111d in which the sealant 171 is filled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is disposed to overlap the opaque region 143 of the door cover 140.
  • the overlap means overlap of the door 10 in the thickness direction. That is,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is formed at a portion overlapping with the opaque region 143 of the door cover 140 of the door frame 110 (in particular, the outer frame 111).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and the sealant filled therein are covered by the opaque region 143 and are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of the door 10. Therefore, the appearance of the simpler and cleaner door 10 can be implemented.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may extend in the form of a loop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111, and may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entir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0a and 111b.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airtightness of the inner space wrapped by the sealant filled in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may be maintained, and thus moisture infiltration into the display module 130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may be prevented.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opening 110a and the second opening 111b, respectively.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includes a connection groove 111d'3, a first groove 111d'1, and a second groove 111d'2.
  • connection groove 111d'3 is formed to cros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10a and 111b.
  • the connecting groove 111d'3 may be formed in a straight line shape as shown, or bent in at least one portion (eg, a 'U' shape surrounding both sides and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opening 111b). Can be.
  • the first groove 111d'1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111d'3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opening 110a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111d'3.
  • the first groove 111d'1 may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second groove 111d'2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111d'3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second opening 111b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111d'3.
  • the second groove 111d'2 may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first groove 111d'1 and the second groove 111d'2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111d'3.
  • first and second grooves 111d'2 exten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uter frame 111 to form a circular groove
  • the connection groove 111d'3 opens the inside of the circular groove. It is shown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to cross.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d may include a sealant coating part 111d 'and a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
  •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 is a portion for filling the sealant 171 and includes the connection groove part 111d'3, the first groove part 111d'1, and the second groove part 111d'2 described above.
  • a sealant collecting portion 111d "for collecting the sealant 171 flowing out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ealant coating portion 111d' is provided.
  •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 may be formed to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in a state spaced apart from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
  • the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 may have a narrower width than the sealant applying part 111d ′.
  • the jaw 111f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between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and the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
  • the jaw 111f protrudes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jaw 111f serves as a support surface for supporting the door cover 140.
  • the sealant collecting portion 111d ′′ is constituted by the first to third sealant collecting portions 111d ′′ 1, 111d ′′ 2, and 111d ′′ 3.
  • the first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1 is provided inside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first opening part 110a.
  • the first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1 is a connecting groove part ( It may extend along the 111d'3) and the first groove 111d'1.
  • the second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2 is provided inside the sealant coating part 111d ',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econd opening part 111b.
  • the second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2 is the connection groove part ( It may extend along the 111d'3) and the second groove 111d'2.
  • the third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3 is provided outside the sealant applying part 111d ', and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sealant applying part 111d'.
  • the third sealant collecting part 111d" 3 is formed in a first manner. It may extend along the groove 111d'1 and the second groove 111d'2, and may have a circular shape.
  • the sealant collecting portions provided at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respectively provided.
  • the sealant 171 leaked out to 111d ′′ may be collected. For this reason, the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quality due to the leakage of the sealant 171 can be prevented.
  • the sealant coating portion 111d ' can be disposed as close to the edge portion of the outer frame 111 as possible. Therefore, since the non-bonded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door cover 140 corresponding to this can be minimized, the bonding strength can be improved, and penetration of foreign matte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door cover 140 and the outer frame 111 is prevented.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 FIG. 1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door frame 110 shown in FIG. 3.
  • the sealant filling groove 4111d has a connecting groove portion 4111d'3, a first groove portion 4111d'1, and a second groove portion 4111d'2. It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openings 4110a and 4111b, respectively.
  • the sealant filling groove 4111d may include a sealant coating part and a sealant collecting part, and the description thereof is the same as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 the sealant filling groove 4111d further connects a bypass groove portion 4111d'4 connecting an arbitrary point on the connecting groove portion 4111d'3 and an arbitrary point on the first groove portion 4111d'1.
  • the bypass groove portion 4111d'4 is located in a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4111d'3 and the first groove portion 4111d'1.
  • connection groove 4111d'3 or the first groove 4111d'1 flows into the branched bypass groove 4111d'3 and is coupled between the door cover and the door frame 4110.
  • the effect is to increase the point. Therefor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door cover and the door frame 4110 may be increased.
  • the bypass groove portion 4111d'3 may also include a sealant coating portion for filling the sealant, and a sealant collecting portion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sealant coating portion to collect the sealant flowing out into and out of the sealant coating portion, respectively.
  • the display frame 130 is built in the door frame 110, the door 10 is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clothing inlet (20a), there is a fear that moisture can penetrate into the display module 130. Therefore, sealing of the display module 130 may be an important problem in terms of securing driving reliability of the display unit 12.
  • FIG. 15 and 16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display module 130 illustrated in FIG. 3 viewed from different directions.
  • FIG. 17 is a front view of the mounting frame 131 shown in FIG. 15
  • FIG. 18 is a rear view of the mounting frame 131 shown in FIG. 15
  • FIG. 19 is a PCB on the mounting frame 131 shown in FIG. 15. It is a rear view showing the cover 137 is coupled.
  • the display module 130 includes a mounting frame 131, a display 132, and a display sealing member 133.
  • the mounting frame 131 includes a display mounting portion 131a on which a display 132 is mounted.
  •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131a is a space recessed from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31 toward the rear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132 or an interior defined by a rib protruding to correspond to the periphery of the display 132. It can be composed of spaces.
  • the mounting frame 131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eg, ABS material, PC material, etc.).
  • a communication hole 131b may be formed in the mounting frame 131.
  • the communication hole 131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131a and may be a space that is distinct from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131a.
  •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61 of the touch sensor 16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through the FPCB hole 111c formed in the door frame 110 and the communication hole 131b formed in the mounting frame 131. 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 the communication hole 131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not only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61 of the touch sensor 160 but als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of the display 132 pass.
  • the display 132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31 and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 the display 132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nd a flexible display. ), At least one of a 3D display and an E-ink display.
  • a rectangular display 132 having a generally different length and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are used.
  • the rectangular display 132 is inexpensive compared to the circular display, and due to the part having an unusual shape (having a vertex, and having a horizontal length and a vertical length different), the rectangular display 132 has an accurate mounting position when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31.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easy to catch.
  • the length of the shorter portion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portions of the display 132 may be equal to the diameter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I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is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it should be longer than the long axis of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According to the above conditions, visual information may be output to the entire second light emitting region 142.
  • the circular display unit 12 is provided to the user as the circular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is formed in the door cover 140 to overlap the display 132. ) May be provided.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output of visual information on a portion of the display 132 that does not correspond to the second light-transmitting region 142, thereby reducing power.
  • the display cover 132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display 132 and formed to cover the display 132.
  • the display cover 134 covers and protects the display 132.
  • the display cover 134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eg, acrylic material, PET material, TPU material, etc.).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frame 110 and the mounting frame 131 to surround the display 132.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may be formed to surround the display 132 and the communication hole 131b together.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may be fixed to the door frame 110 or fixed to the mounting frame 131.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fixed to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mounting frame 131 is configured to seal the internal space when the door frame 110 is mounted.
  • the receiving frame 131f is formed in the mounting frame 131 to fix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and the receiving groove 131f is formed to surround the display 132.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ortions 133a and 133b which contact the mounting frame 131, respectively.
  • the plurality of contact parts 133a and 133b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 in parallel along the length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Accordingly, the sealing loop formed by one of the contact parts 133a and 133b is disposed in the sealing loop formed by the other contact parts 133a and 133b,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ealing structure can be improved.
  • the display module 130 may further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135, a PCB cover 137, and a PCB sealing member 138.
  •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132 and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31.
  • the display 132 is mounted on the front of the mounting frame 131
  •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mounted on the rear.
  •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61 of the touch sensor 160 passing through the communication hole 131b.
  •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may be a controller or a controller itself that controls driving of the display 132 and the touch sensor 160.
  • a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31 may be provided with a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portion 131d.
  •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portion 131d is a space recessed toward the front from the rear surface of the mounting frame 131 in a form corresponding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or protrudes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t may consist of an interior space defined by the rib.
  • the mounting frame 131 may further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6 capable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 internal electronic device or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 the mounting frame 131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ing unit 131e for mount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6,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mounting unit 131e may be located at one sid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mounting unit 131d. have.
  •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6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mmunication module using Wi-Fi, Bluetooth, and RF.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user's mobile terminal through a Wi-Fi communication module or a Bluetooth communication module.
  • the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nother household appliance (for example, another clothes treating apparatus 1) through an RF communication module.
  • the PCB cover 137 is mounted on the mounting frame 131 and disposed to cover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 the PCB cover 137 is fastened to the mounting frame 131 by screw coupling, hook coupling, bonding coupling, or the like.
  • the mounting frame 131 is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37a having a mounting hole, the mounting member 139b may be screwed to the mounting frame 131 through the mounting hole.
  • the PCB sealing member 13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PCB cover 137, and may be configured to seal a gap between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PCB cover 137.
  • the PCB sealing member 138 is formed to surrou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to prevent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 the PCB sealing member 138 is preferably formed to surrou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and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36 together.
  • the communication hole 131b is provided in the mounting frame 131,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munication hole 131b is formed so as to surround the mounting frame 131b.
  • the PCB sealing member 138 may be fixed to the mounting frame 131 or fixed to the PCB cover 137.
  • the PCB sealing member 138 is fixed to the mounting frame 131 to exemplarily be configured to seal the internal space when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PCB cover 137 are coupled to each other.
  • a mounting groove 131g for fixing the PCB sealing member 138 is formed in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mounting groove 131g is formed to surrou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f the PCB sealing member 138 is fixed to the PCB cover 137, a mounting groove for fixing the PCB sealing member 138 to the PCB cover 137 may be formed.
  • the PCB sealing member 138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s 138a and 138b respectively contacting the PCB cover 137.
  • the plurality of contact parts 138a and 138b are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extend side by si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sealing loops. Accordingly, the sealing loop formed by one of the contact parts 138a and 138b is disposed in the sealing loop formed by the other contact parts 138a and 138b,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sealing structure can be improved.
  •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F-F 'shown in FIG.
  • the display module 130 is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door frame 110.
  • the mounting frame 131 is fastened to the door frame 110 by screwing, hooking, bonding, or the like.
  • the mounting frame 131 is provided with a fastening portion 131c having a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member 139a may be screwed to the door frame 110 through the fastening hole.
  • the door cover 1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mounting frame 131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pening 111b.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When the mounting frame 131 is mounted on the outer frame 111,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configured to seal a gap between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outer frame 111.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ounting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around the second opening 111b and is formed to surround the second opening 111b.
  • a receiving groove 131f is formed in the mounting frame 131, and a part of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inserted into and fixed to the receiving groove 131f. It is configured to be.
  • the other part of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ceiving groove 131f so that the mounting frame 131 is in contact with the door frame 110 when the mounting frame 131 is mounted on the door frame 110. By the contact, the inner space of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separated from the outer space,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inner space.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is fixed to the mounting frame 131 as an exampl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33 may be fix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 the rear surface of the outer frame 111 may include a receiving groove 131f for fixing the sealing member.
  • the filler 133 ′ may be filled in the gap between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display cover 134. Since the filler 133 ′ is configured to fill the gap, penetration of moisture into the display 132 may be prevented once again.
  • FIG. 2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display module 130 illustrated in FIG. 3 is mounted inside the door frame 110.
  • the inner frame 112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111 and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module 130. That is, the display module 130 is disposed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 the inner frame 112 has a communication portion 112b communicating with the internal space, and as shown, the display module 130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through the communication portion 112b and then the outer frame ( 111).
  • the outer frame 111 may have a fastening boss corresponding to the fastening portion of the mounting frame 131, and the fastening member 139a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 by pass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astening portion 131c.
  •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configur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power supply unit (not shown) of the main body 20.
  • a door side cable (not shown) extending from the printed circuit board 135 is connected to a connector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door frame 110, and the connector is a control unit and a power supply unit of the main body 20.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side cable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 the door side cable is configured to penetrate a through hole (not shown) of the PCB cover 137, and a sealing member (not shown) for sealing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door side cable and the through hole.
  • the sealing member is formed to surround the door side cable and is configur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CB cover 137 forming the through hole.
  • the door frame 110 may further include a frame cover 150 disposed to cover the display module 130 in addition to the outer frame 111 and the inner frame 112 described above.
  • the frame cover 150 is coupled to the rear side of the outer frame 111 together with the inner frame 112, so that the door 10 is opened together with the door window 120 while the door 10 is opened to open the clothes inlet 20a.
  • the rear appearance of 10 can be formed.
  • the communication part 112b is provided in the inner frame 112, and the frame cover 150 shows the structure which is detachably couple
  • the frame cover 150 is fastened to the inner frame 112 by screwing, hooking, or the like.
  • a hook hook 151 protrudes from the frame cover 150, and a hook hole (or hook groove 112b ′) is formed in the inner frame 112 so that the hook hook 151 can be hooked up. Can be.
  • FIG. 2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oor 1010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door 1010 shown in FIG.
  • the door 1010 includes a door cover 1140, a display module 1130, and a door frame 1110.
  • the door cover 1140 may include an opaque region 1143 and a first and second transparent regions 1141 and 1102 in the opaque region 1143.
  • the first and second transmissive regions 1141 and 1142 ma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opaque regions 1143.
  • the display module 1130 is dispos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1140.
  • the display module 1130 is configured to output visual information through the second light emitting area 1142 of the door cover 1140.
  • the display module 1130 may be directly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1140 or may be mounted to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of the door frame 1110 to be described later.
  • the door frame 1110 is coupled to the door cover 1140 and connected to the main body 20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 the door frame 1110 may be rotatably configured with respect to the main body 20 by the hinge unit 30.
  • the door frame 1110 may include an outer frame 1111 and an inner frame 1112.
  • the outer frame 1111 and the inner frame 1112 may be formed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eg, ABS material, PC material, etc.).
  • the door frame 1110 includes a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and an opening 1110a.
  •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is a recessed space and is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display module 1130.
  •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may be configured as a groove formed in the outer frame 1111 itself, or may be configured as a recessed space in which the inner frame 1112 covers a hole formed in the outer frame 1111.
  •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may be configured to accommodat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161 of the touch sensor 1160.
  • the display module 1130 has a form covered by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That is, the display module 1130 is disposed between the door cover 1140 and the door frame 1110.
  • the present modified example is structural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at the door frame 1110 is not provided with a second opening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module 1160.
  • the opening 1110a is disposed to face the clothes inlet 20a when the door 1010 is closed.
  • the opening 1110a is provided with a translucent door window 1120 so that the clothes inlet 20a can be seen through the door window 1120.
  • the opening 1110a may include a front opening 1111a formed in the outer frame 1111 and a rear opening 1112a formed in the inner frame 1112.
  • a sealant filling groove 1111d filled with a sealant for bonding with the door cover 1140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door frame 1110.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1d may include a connection groove portion, a first groove portion, and a second groove portion.
  • the connection groove is formed to cross between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and the opening 1110a, and the first groove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to surround the opening 1110a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 the second groove portion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to surround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ortion 1110b together with the connection groove portion.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1d may further include a bypass groove portion in the above configuration.
  • the bypass groove is configured to connect an arbitrary point on the connection groove and an arbitrary point on the first groove in a space formed by the connection groove and the first groove.
  • sealant filling groove 1111d may include a sealant coating part 1111d 'and a sealant collecting part 1111d ′′.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1d may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display module 1130 provided between the door cover 1140 and the door frame 1110.
  • the sealant filling groove 1111d is configured to separately surround the display module accommodating part 1110b and the opening 1110a, moisture penetration into the display module 1130 through the opening 1110a may be prevented.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133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ar of the door cover 1140.
  • the display sealing member 1133 may also function as an adhesive that couples the display module 1130 to the rear surface of the door cover 114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커버는,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 및 상기 제2개구부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중 상기 불투광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에는,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
본 발명은 본체의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구비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 의류를 건조하는 장치, 의류의 세탁과 건조가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한다. 의류처리장치에 있어서, 의류의 세탁은 물과 세제의 작용을 통해 세탁물에 묻어있는 오염 물질을 제거하는 행정이고, 의류의 건조는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열풍공급장치를 통하여 의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행정이다.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는, 외형을 형성하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의류 수용부, 의류 수용부를 구성하는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및 사용자에게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행정과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는 컨트롤 유닛을 포함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의류처리장치에서는,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고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컨트롤 유닛은 통상적으로 본체에 구비되었으며, 기 결정된 행정만을 온/오프 방식 등으로 간략하게 표시하고 이를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이나 노브가 구비되었다.
이러한, 도어와 컨트롤 유닛의 이분화는 의류처리장치의 심플한 외관에 저해가 되었으며, 의류처리장치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및 출력 인터페이스가 저차원 방식에 머무를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도어에 컨트롤 유닛을 위치시키고, 컨트롤 유닛을 터치스크린으로 구현하고자 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한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30089호 (2011.12.05. 공개)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6264호(2015.01.16. 공개)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도어와 터치스크린에 대한 일체화된 심미감 및 저비용으로 고급화된 감성을 불러올 수 있는 도어 구조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아울러, 도어 커버를 도어 프레임에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통상 브라켓, 후크 등을 이용한 기구적 체결구조와 함께 접착제를 이용한다. 그러나 고급화된 느낌을 주기 위하여 유리 재질의 도어 커버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기구적 체결구조를 이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나아가, 도어 커버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도어 프레임에 대한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가 어려운 문제도 발생한다.
또한, 접착제를 통하여 도어 커버가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접착제가 새어나와 외관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테두리 부분에서 멀리 떨어진 도어 프레임의 내측에 접착제를 도포하기도 하는데, 이는 접합 강도의 저하를 불러오며,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 간의 틈을 통하여 이물질이 쉽게 침투되는 문제를 가진다.
한편, 도어는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도어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을 구성하는 전자소자들로 수분이 침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소자들에 대한 실링은 터치스크린의 구동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도어에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윈도우부와 의류처리장치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할 때, 심플한 도어 외관을 구현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부를 제공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원형의 도어 커버와 원형의 도어 프레임 간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 간의 결합시, 실런트의 누출이 방지되고, 접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 간의 틈을 통하여 이물질의 침투가 방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도어에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가 구성될 때, 디스플레이부를 구성하는 전자소자들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상기 수분의 침투 방지를 위한 실링구조에서, 실링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커버는,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 및 상기 제2개구부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커버는,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 및 상기 제2개구부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중 상기 불투광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에는,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투광 영역은 상기 제2개구부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시 상기 제2개구부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개구부는 사각형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투광 영역은 상기 제2개구부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중 상기 제2투광 영역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제2투광 영역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센싱 영역 중 상기 제2투광 영역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는 커버 바디; 및 상기 커버 바디의 후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불투광 영역을 형성하는 차폐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투광 영역은 상기 차폐 레이어가 미배치된 부분이 될 수 있다.
상기 차폐 레이어는 상기 제1투광 영역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을 포함하며, 상기 차폐도트들은 상기 제1투광 영역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둘레를 따라 상기 도어 커버의 외주를 감싸는 장착 가이드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모서리부 및 상기 제1모서리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모서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제1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모서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장착시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전면에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 측에서 결합되며, 상기 결합시 외주부분이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 가이드를 형성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실런트의 충진을 위한 실런트 도포부; 및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실런트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연결홈부;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연결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제1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 간을 연결하는 바이패스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홈부는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1홈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상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인접한 상기 본체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고,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연결홈부;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1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제1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실런트 포집부;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2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제2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실런트 포집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실런트 포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의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투광 영역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불투광 영역은 상기 투광 영역에 미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일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다른 일부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투광 영역과 상기 투광 영역 주변의 상기 불투광 영역의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는 터치 센서가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모서리부와 상기 제1모서리부의 양측을 연결하는 제2모서리부를 구비하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고, 둘레를 따라 상기 도어 커버의 외주를 감싸는 장착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 가이드는, 상기 제1모서리부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2모서리부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 커버가 상기 도어 프레임에 장착시 장착 위치를 가이드하도록 이루어지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도어 프레임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의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전면에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연결홈부;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1홈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상기 연결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제1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 간을 연결하는 바이패스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실런트의 충진을 위한 실런트 도포부; 및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실런트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투광 영역을 구비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프레임의 타측에 장착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장착 프레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수용홈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도어 프레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는 상기 도어 프레임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를 덮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 및 상기 장착 프레임과 상기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의 틈을 메우도록 이루어지는 충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전면에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고, 후면에 상기 장착 프레임이 장착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 측에서 결합되어, 상기 장착 프레임을 덮도록 배치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의 외주부분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전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도어 커버의 외주를 감싸는 장착 가이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에는 상기 아우터 프레임과 상기 이너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부가 형성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에는 상기 연통부를 개폐하는 프레임 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도어 커버의 배면에 부착되어, 상기 투광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디스플레이홀 및 상기 터치 센서의 연성인쇄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통과하는 연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는 상기 디스플레이홀과 상기 연통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의 일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상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이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의 타측에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이 더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덮도록 배치되는 PCB 커버; 및 상기 장착 프레임과 상기 PCB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PCB 실링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CB 실링부재는 상기 FPCB 홀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착 프레임에는 상기 PCB 실링부재의 일부를 수용하며, 상기 인쇄회로기판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PCB 실링부재의 다른 일부는 상기 장착홈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PCB 커버가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시 상기 PCB 커버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PCB 실링부재는 상기 PCB 커버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도어 프레임; 상기 도어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 및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양측에 디스플레이 장착부와 인쇄회로기판 장착부를 각각 구비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인쇄회로기판 장착부를 덮도록 상기 장착 프레임에 장착되는 PCB 커버; 상기 도어 프레임과 상기 장착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 및 상기 장착 프레임과 상기 PCB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인쇄회로기판 장착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PCB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PCB 실링부재는 상기 PCB 커버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접촉부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 커버에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서로 구분된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투광 영역에 각각 윈도우부와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가 구성되어, 심플한 도어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원형의 도어에 대응되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다.
아울러, 제2투광 영역이 장방형의 디스플레이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원형의 제2투광 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중 제2투광 영역에 미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시각정보의 출력을 제어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어 프레임의 장착 가이드가 도어 커버의 제1 및 제2모서리부에 각각 대응되는 라운드진 제1돌출부와 직선 형태의 제2돌출부로 구성되어, 도어 커버가 도어 프레임에 조립시 제2모서리부와 제2돌출부가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즉, 제2모서리부가 제2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때, 도어 커버가 도어 프레임 상의 정위치에 위치하여, 도어 커버의 제1 및 제2투광 영역이 도어 프레임의 제1 및 제2개구부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도어 커버가 아우터 프레임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실런트 포집부에 충진된 실런트가 새어나오더라도, 내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실런트 포집부로 새어나온 실런트가 포집되도록 구성된다. 이로 인하여, 실런트의 누출에 의한 외관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하면, 실런트 도포부를 최대한 아우터 프레임의 테두리 부분에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도어 커버의 테두리 부분의 미접합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접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 커버와 아우터 프레임 간의 틈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과 장착 프레임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와 터치센서의 연성인쇄회로기판으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때, 장착 프레임과 디스플레이 커버 사이의 틈에는 충진제가 충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로의 수분 침투가 또 한 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장착 프레임과 PCB 커버 사이에는 PCB 실링부재가 배치되어, 내부에 구비되는 인쇄회로기판과 무선통신모듈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 및 PCB 실링부재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하는 복수의 접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어느 하나의 접촉부에 의해 형성되는 실링루프가 다른 하나의 접촉부에 의해 형성되는 실링루프 내에 배치되어, 실링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도어가 1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가 2차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의 정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의 배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라인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D 부분에서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프레임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E 부분의 확대도.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프레임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정면도.
도 15 및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의 정면도.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의 배면도.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에 PCB 커버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 20은 도 4에 도시된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21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이 도어 프레임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의 분해 사시도.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도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의류처리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서로 다른 실시예라고 하더라도,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가 각각 1차 및 2차로 회전되어 의류 투입구(20a)가 개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의류처리장치(1)는 본체(20) 및 도어(10)를 포함한다.
본체(20)는 의류처리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의류가 투입되는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0)의 전면부에 의류 투입구(20a)가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본체(20)의 내부에는 의류 투입구(20a)를 통하여 세탁물이 수용되는 의류 수용부가 구비된다.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건조를 위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가 세탁물의 세탁과 건조를 함께 수행 가능한 장치로 구성될 경우, 의류 수용부는 본체(2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탁수가 저장되는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세탁물이 수용되는 드럼(4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드럼(40)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유닛(미도시)이 구비된다. 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및 상기 구동력을 이용하여 드럼(40)을 회전시키는 벨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세제공급부(미도시)가 서랍식으로 인출 및 인입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세제공급부를 커버하는 커버(21)는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체(20)에는 전원 버튼(22)이 구비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2)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통하여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원 버튼(22)이 미구비되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어(10)는 의류 투입구(20a)를 개폐하도록 본체(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는 힌지 유닛(30)에 의해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체(20)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의류 투입구(20a)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20b)를 구비할 수 있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10)는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고, 도어(10)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이에 인접한 본체(20)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에 수용되는 구조상, 도어(10)의 개방시 도어(10)가 본체(20)에 걸림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힌지 유닛(30)은 서로 다른 두 개의 회전축을 가지는 이중 힌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1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도어 수용부(20b)로부터 이격된 후, 다른 하나의 회전축에 대한 2차 회전에 의해 도어(10)가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어(10)의 일측에 힌지 유닛(30)이 장착된 구조에서, 도어(10)의 타측에는 도어(10)를 본체(20)에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는 로킹장치가 구비된다. 로킹장치는 누름식으로 구성되어, 도어(10)의 타측을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되고, 다시 한번 누르면 도어(10)가 잠금해제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어(10)에는 윈도우부(11) 및 디스플레이부(12)가 구비된다.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윈도우부(11)는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게 배치되어, 의류 수용부를 들여다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윈도우부(11)를 통하여 의류 수용부에 수용된 의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2)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구동되는 행정(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대응되는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어(10)의 상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도어(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도어(10)의 정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도어(10)는 도어 프레임(110), 도어 윈도우(120), 디스플레이 모듈(130) 및 도어 커버(14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0)에는 본체(20)과의 결합을 위한 힌지 유닛(30)이 장착되나, 본 도면에서는 힌지 유닛(30)을 생략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어(10)가 원형(정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둥근 형태를 포함)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어(10)는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본체(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를 위하여 힌지 유닛(30)이 도어 프레임(110)과 본체(20)에 각각 결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구성들이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으로 지칭되는 이유는,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도어 프레임(110) 자체만을 놓고 보았을 때, 아우터 프레임(111)은 본체(20)의 외부를 향하고, 이너 프레임(112)은 본체(20)의 내부를 향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구별 없이,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은 제1 및 제2프레임으로 각각 지칭될 수도 있다.
도어 프레임(110)은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110a)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111b)를 구비한다. 제1개구부(110a)에 도어 윈도우(120)가 설치된다는 점에서 제1개구부(110a)는 도어 윈도우홀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제2개구부(111b)에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장착된다는 점에서 제2개구부(111b)는 디스플레이홀로도 지칭될 수 있다. 제2개구부(111b)는 제1개구부(110a)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개구부(110a)는 아우터 프레임(111)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111a)와 이너 프레임(112)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1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2개구부(111b)는 아우터 프레임(111)에 형성된다. 이너 프레임(112)의 후방측 개구(112a) 상에는 연통부(112b)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부(112b)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윈도우(120)는 제1개구부(110a)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에 설치된다. 도어 윈도우(120)는 투광성 재질(유리, 합성수지 재질 등)로 형성되어, 도어(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설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도록 배치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에서는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도어 프레임(110)에는 터치 센서(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1,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통과 가능한 FPCB홀(111c)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2개구부(111b)의 일측에 FPCB홀(111c)이 구비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어 프레임(110)에는 도어(10)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140)가 결합된다. 도어 커버(140)는 투광성을 가지는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는 불투광 영역(143)과, 불투광 영역(143) 내에서 제1개구부(110a)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141) 및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142)을 포함한다. 여기서, 투광 영역은 빛의 적어도 일부가 투과하도록 구성되어, 반대편 내지 내부가 보이도록 이루어지는 영역을 의미한다. 따라서, 투광 영역은 반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서로 구획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도어(1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과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되고, 사용자에게 일체화된 심미감을 줄 수 있도록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원형으로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여기서, 원형이라 함은 정원형, 타원형, 또는 적어도 일부가 라운드지게 형성된 둥근 형태를 포함한다.
참고로, 상술한 구성들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은 일 실시예로서 제시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원형뿐만 아니라, 다각형(사각형, 육각형 등) 및 기타 다른 기하학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어진 벤딩부에 의해 벤딩부 양측의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가 서로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와 제2커버부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커버(140)에 대응되도록, 도어 프레임(110) 또한 적어도 일부분이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투광 영역(141)이 제1커버부와 벤딩부에 걸쳐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이 제2커버부에 형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제2투광 영역(142)은 제2개구부(111b)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2개구부(11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오버랩이라 함은 상기 도어(10)의 두께 방향으로의 겹쳐짐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개구부(111b)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응되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은 제2개구부(111b) 내에 오버랩되도록 배치되는 원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투광 영역(14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일부와 오버랩되도록 배치되고, 불투광 영역(132)은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다른 일부를 덮어 가리도록 배치된다. 상기 구성에 의해, 원형의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으로만 시각정보가 출력되어, 사용자에게 원형의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원형의 디스플레이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의 디스플레이(132)에 비하여 가격이 높으며, 그 형태상 정확한 설치 위치를 잡기가 어려워 조립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구조에 따르면, 보다 저렴한 비용을 가지며, 정확한 위치에 조립이 가능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132)를 사용하면서도, 사용자에게는 원형으로 보이는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제2투광 영역(142)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감싸지므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서 출력되는 시각정보는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는다. 이를 감안하여,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가 미출력될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상기 시각정보를 감싸는 외곽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외곽 이미지는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으로서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으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부분에 의류처리장치(1)에서 처리되는 정보와 관련된 시각정보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은 오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0)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는 시각정보뿐만 아니라 외곽 이미지도 출력되지 않는다. 본 예에서는, 디스플레이(132)의 일부만 구동되므로, 디스플레이(132)의 전체가 구동되는 앞선 예에 비하여, 디스플레이(132)의 효율적인 구동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커버(140)의 배면도이다.
도어 커버(140)에 형성된 디스플레이부(12)는 터치 센서(16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스크린(12)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스크린(12)은, 의류처리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의류처리장치(1)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탈수 건조 행정 등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의 선택 및 변경은 디스플레이부(12)에 사용자의 터치 입력(또는 터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에 대한 터치 입력을 센싱하기 위하여, 도어(10)에는 터치 센서(160)가 구비된다.
터치 센서(160)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또는 터치스크린, 12)에 가해지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160) 상에 터치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160)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16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제어기로 보내진다.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미도시)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는 디스플레이부(12)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제어기는, 제어부와는 별도의 구성이거나, 제어부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터치스크린(12)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지는,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터치스크린(12)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touch), 스와이프 터치(swype touch), 호버링 터치(hovering touch)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포함하는 센싱 영역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160)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제2투광 영역(142)과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덮도록 부착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은 제2투광 영역(142)뿐만 아니라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까지도 포함한다. 따라서, 제2투광 영역(142)을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의 일부를 이용한 다양한 UI 또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터치 센서(160)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터치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도어 커버(140)와 디스플레이 모듈(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투명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상기 터치필름으로 기 공지된 ITO 필름(Indium-Tin Oxide film), CNT 필름(Carbon Nano Tube film)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터치필름은 하나 또는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필름이 두 개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FF(Glass-Film-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거나 디스플레이 모듈(130)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터치필름이 하나의 레이어로 구성되는 방식[G1F(Glass-Film)]의 경우, 터치필름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부착되어 도어 커버(14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는 별도의 터치필름 없이 메탈 와이어가 도어 커버(140)의 후면에 직접 패터닝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G2: Glass only)].
또는,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는 디스플레이(132)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on-cell), 디스플레이(132)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in-cell).
한편, 의류처리장치(1)의 디스플레이부(12)는 제어부에 의해 구동이 제어된다. 즉, 제어부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온/오프, 시각정보나 이미지의 출력을 제어하며, 터치 센서(160)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의 활성화 여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160)의 센싱 영역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이 필요한 상태와 불필요한 상태를 구분하여, 터치 센싱이 불필요한 상태에서는 상기 미대응되는 영역에 대한 터치 센싱을 비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에 따르면,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의 오류를 줄일 수 있고, 절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1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는 커버 바디(140a) 및 차폐 레이어(140b)를 포함한다.
커버 바디(140a)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된다. 커버 바디(140a)는 투광성의 유리 재질 또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 바디(140a)는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차폐 레이어(140b)는 커버 바디(140a)의 일면을 덮도록 배치되어, 불투광 영역(143)을 형성한다. 차폐 레이어(140b)는 커버 바디(140a)의 전면 또는 후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잉크가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 인쇄되어 차폐 레이어(140b)를 형성한 것을 보이고 있다. 상기 잉크에는 특정 계열의 색상(예를 들어, 블랙, 화이트, 블루 등)을 가지는 안료가 포함될 수 있다. 차폐 레이어(140b)를 형성하는 방법으로, 스크린 인쇄(실크, 나일론, 테트론,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 등으로 형성된 메쉬를 이용), 옵셋 인쇄, 전사 인쇄 등 다양한 인쇄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에는 차폐 레이어(140b)가 미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차폐 레이어(140b)에 의해 덮이지 않고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로 남겨지는 투명한 부분이다.
차폐 레이어(140b)는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은 차폐 레이어(140b)에 의해 형성되는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제2투광 영역(142)에 대응되는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160)가 부착된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어, 제2투광 영역(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160)는 제2투광 영역(142)을 한정하는 차폐 레이어(140b)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의 전방에는 투광성의 터치 센서(160) 및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가 차례로 배치되게 된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B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 중 제1투광 영역(141)을 한정하는 차폐 레이어(140b)는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투명도가 점차 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투광 영역(141) 주변의 불투광 영역(143)이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점차 투명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차폐 레이어(140b)는 제1투광 영역(141) 주변에 형성되는 복수의 차폐도트들(140b')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차폐도트들(140b')은 제1투광 영역(141)으로 갈수록 밀도가 낮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망점(halftone) 기법을 통하여 제1투광 영역(141)의 경계를 흐리게 함으로써, 불투광 영역(143)에서 제1투광 영역(141)까지 시각적으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할 수 있다.
반면에, 제2투광 영역(142)과 이를 감싸는 불투광 영역(143)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경계선의 형태로 명확하게 구분될 수 있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2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커버 바디(140a)의 후면에 차폐 레이어(140b)가 인쇄되는 앞선 제1실시예와는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2140a)의 후면에 불투광 영역(2143)을 형성하기 위한 필름(2140b)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2140b)은 불투광 영역(2143)에 대응되는 불투광부(2140b3), 제1투광 영역(2141)에 대응되는 제1투광부(2140b1) 및 제2투광 영역(2142)에 대응되는 제2투광부(2140b2)를 포함한다. 불투광부(2140b3)는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는 불투광부(2140b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여기서, 불투광부(2140b3)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 커버(2140)를 불투명하게 하는 차폐 레이어로서 기능하여, 불투광 영역(214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에 대응되는 부분은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와 함께 각각 제1 및 제2투광 영역(2141, 2142)을 형성한다.
즉, 앞선 제1실시예와는 달리, 제1 및 제2투광 영역(2141, 2142)은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에 필름(2140b)의 투명한 부분인 제1 및 제2투광부(2140b1, 2140b2)가 각각 배치됨에 의해 형성된다.
제2투광부(2140b2)에 대응되는 필름(2140b)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2160)가 부착된다.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 영역(2142)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어, 제2투광 영역(2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 영역(214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2160)는 제2투광부(2140b2)를 한정하는 불투광부(2140b3)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의 전방에는 투광성의 터치 센서(2160), 필름(2140b)의 제2투광부(2140b2) 및 투광성의 커버 바디(2140a)가 차례로 배치되게 된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라인 A-A'를 따라 취한 도어 커버(140)의 제3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다.
앞선 제2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 바디(3140a)의 후면에 차폐 레이어(3140b)를 형성하기 위한 필름(3140b)이 부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3140b)은 불투광 영역(3143)에 대응되는 불투광부(3140b3), 제1투광 영역(3141)에 대응되는 제1홀(3140b1) 및 제2투광 영역(3142)에 대응되는 제2홀(3140b2)을 포함한다. 불투광부(3140b3)는 제1 및 제2홀(3140b1, 3140b2)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및 제2홀(3140b1, 2140b2)은 불투광부(3140b3)에 의해 상호 구획된다.
여기서, 불투광부(3140b3)에 대응되는 부분은 도어 커버(3140)를 불투명하게 하는 차폐 레이어로서 기능하여, 불투광 영역(3143)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3141, 314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제1 및 제2홀(3140b1, 2140b2)이 형성되어 필름(3140b)이 미배치되고, 투광성의 커버 바디(3140a)로 남겨진다.
제2투광 영역(3142)에 대응되는 커버 바디(3140a)의 후면에는 터치 센서(3160)가 부착된다. 터치 센서(3160)는 제2투광 영역(3142)을 완전히 덮도록 배치되어, 제2투광 영역(3142)에 대한 터치 입력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터치 센서(3160)는 제2투광 영역(3142)보다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터치 센서(3160)는 제2홀(3140b2)을 한정하는 불투광부(3140b3)의 일부를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조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132)의 전방에는 투광성의 터치 센서(3160) 및 투광성의 커버 바디(3140a)가 차례로 배치되게 된다. 이는 앞서 도 6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와, 차폐 레이어(140b, 3140b)의 두께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을 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도 6 및 도 9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는, 도 8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 대비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먼저, 터치 센서(160, 3160)가 투광성의 커버 바디(140a, 3140a)에 직접 부착되므로, 사용자가 느끼는 터치 감도가 높아질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 설명한 레이어 구조와 달리, 디스플레이(132) 전방에 필름(2140b)의 제2투광부(2140b2)가 구비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132)에서 출력된 시각정보가 보다 선명하게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8 및 도 9에서 설명한 도어 커버(2140, 3140)에 필름(2140b, 3140b)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인몰드 사출 방식, 전사 방식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인몰드 사출 방식은 도어 커버(2140, 3140)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서, 필름(2140b, 3140b)이 몰드 내에 구비되어 도어 커버(2140), 3140)와 함께 사출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방식이다. 전사 방식은 열전사 압착을 통하여 유리 또는 합성수지 재질의 도어 커버(2140, 3140)에 필름(2140b, 3140b)을 부착하는 방식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된 라인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는 도어 프레임(110)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하여, 액상의 실런트(171)가 이용될 수 있다. 도어 커버(140)와 도어 프레임(11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는 후에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은 전면에 도어 커버(140)가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이너 프레임(112)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 측에서 결합된다.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 간의 결합은 스크류 결합, 후크 결합, 본딩 결합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이 본딩 결합에 의해 상호 결합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너 프레임(112)에 체결 리브(112d)가 돌출 형성되고,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에 체결 리브(112d)를 수용하는 리브 수용부(111e)가 돌출 형성되며, 리브 수용부(111e) 내에 본딩부재(172)가 충진된다..
한편,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 간의 결합시, 이너 프레임(112)의 외주부분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서 돌출 형성되어 장착 가이드(112c)를 형성할 수 있다. 장착 가이드(112c)는 아우터 프레임(111)의 둘레를 따라 루프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내부에 도어 커버(140)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장착 가이드(112c)는 도어 커버(140)의 측면을 덮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장착 가이드(112c)의 상면이 인접한 도어 커버(140)의 상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도록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장착 가이드(112c)와 도어 커버(140) 간의 단차가 줄어들어, 보다 심플한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은 도 4에 도시된 D 부분의 도어 커버(140)와 도어 프레임(110)을 분리하여 보인 개념도이다.
일반적으로,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예를 들어, 꼭지점 부분, 움푹 들어간 부분 등)은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되어,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 커버(140)가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진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부분이 마땅치 않은 문제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 상의 정확한 위치에 결합되지 않으면, 도어 커버(140)의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도어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개구부(110a, 111b)에 대응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140)는 도어 프레임(110)과의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부분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어 커버(140)는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제1모서리부(140') 및 상기 제1모서리부(140') 양측을 연결하는 제2모서리부(140")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 커버(140)는 일부가 직선 형태로 커팅된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모서리부(140")는 직선 형태, 요철(凹凸) 형태 등 제1모서리부(140')와 형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형태든지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장착 가이드(112c)는 제1모서리부(140')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제1돌출부(112c') 및 제2모서리부(140")에 대응되도록 직선 형태로 연장되는 제2돌출부(112c")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서, 제2모서리부(140")와 제2돌출부(112c")는 도어 커버(140)와 도어 프레임(110) 간의 조립시 설치 위치를 맞출 수 있는 기준이 된다. 즉, 제2모서리부(140")가 제2돌출부(112c")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때,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 상의 정위치에 위치하여, 도어 커버(140)의 제1 및 제2투광 영역(141, 142)이 도어 프레임(110)의 제1 및 제2개구부(110a, 111b)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돌출부(112c")는 도어 프레임(110)의 어디에 위치하여도 무방하지만, 사용자로 하여금 도어(10)가 커팅된 원형 형상임을 인식하기 어렵도록, 제2돌출부(112c")는 도어 프레임(110)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도어 커버(140)와 도어 프레임(110) 간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프레임(110)의 제1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E 부분의 확대도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도어(10)는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 결합된다. 상기 결합을 위하여 실런트(171)가 이용되며,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는 실런트(171)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111d)이 형성된다.
실런트 충진홈(111d)은 도어 커버(140)의 불투광 영역(143)과 오버랩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오버랩이라 함은 상기 도어(10)의 두께 방향으로의 겹쳐짐을 의미한다. 즉, 실런트 충진홈(111d)은 도어 프레임[110, 구체적으로, 아우터 프레임(111)] 중 도어 커버(140)의 불투광 영역(143)과 중첩되는 부분에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실런트 충진홈(111d) 및 이에 충진되는 실런트가 불투광 영역(143)에 의해 덮여, 도어(10)의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보다 심플하고 깔끔한 도어(10)의 외관이 구현될 수 있다.
실런트 충진홈(111d)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루프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제1 및 제2개구부(110a, 111b)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실런트 충진홈(111d)에 충진된 실런트에 의해 감싸지는 내부 공간의 기밀이 유지될 수 있어서,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디스플레이 모듈(130)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실런트 충진홈(111d)은 제1개구부(110a)와 제2개구부(111b)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실런트 충진홈(111d)은 연결홈부(111d'3), 제1홈부(111d'1) 및 제2홈부(111d'2)를 포함한다.
연결홈부(111d'3)는 제1 및 제2개구부(110a, 111b)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연결홈부(111d'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 부분에서 휘어진 형태[예를 들어, 제2개구부(111b)의 양측과 하측을 감싸는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홈부(111d'1)는 연결홈부(111d'3)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연결홈부(111d'3)와 함께 제1개구부(110a)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홈부(111d'1)는 아우터 프레임(1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홈부(111d'2)는 연결홈부(111d'3)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연결홈부(111d'3)와 함께 제2개구부(111b)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홈부(111d'2)는 아우터 프레임(1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1홈부(111d'1)와 제2홈부(111d'2)는 연결홈부(111d'3)의 양단부에서 상호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홈부(111d'2)가 아우터 프레임(111)의 내측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되어 원형의 홈을 형성하고, 연결홈부(111d'3)가 상기 원형의 홈 내부를 가로지르도록 직선 형태로 연장된 것을 보이고 있다.
한편, 본 도면들을 앞선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실런트 충진홈(111d)은 실런트 도포부(111d') 및 실런트 포집부(111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런트 도포부(111d')는 실런트(171)의 충진을 위한 부분으로서, 앞서 설명한 연결홈부(111d'3), 제1홈부(111d'1) 및 제2홈부(111d'2)를 구비한다.
실런트 도포부(111d')의 양측에는 실런트 도포부(111d')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171)를 포집하기 위한 실런트 포집부(111d")가 구비된다. 실런트 포집부(111d")는 실런트 도포부(111d')와 소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상태로 실런트 도포부(111d')를 따라 나란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실런트 포집부(111d")는 실런트 도포부(111d')보다 좁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실런트 도포부(111d')와 실런트 포집부(111d") 사이에는 턱(111f)이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턱(111f)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 대응되는 높이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턱(111f)은 도어 커버(140)를 지지하는 지지면으로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런트 포집부(111d")가 제1 내지 제3실런트 포집부(111d"1, 111d"2, 111d"3)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제1실런트 포집부(111d"1)는 실런트 도포부(111d')의 내측에 구비되며, 제1개구부(110a)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1실런트 포집부(111d"1)는 연결홈부(111d'3) 및 제1홈부(111d'1)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실런트 포집부(111d"2)는 실런트 도포부(111d')의 내측에 구비되고, 제2개구부(111b)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2실런트 포집부(111d"2)는 연결홈부(111d'3) 및 제2홈부(111d'2)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3실런트 포집부(111d"3)는 실런트 도포부(111d')의 외측에 구비되며, 실런트 도포부(111d')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제3실런트 포집부(111d"3)는 제1홈부(111d'1) 및 제2홈부(111d'2)를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원형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조에 의하면, 도어 커버(140)가 아우터 프레임(111)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실런트 포집부(111d")에 충진된 실런트(171)가 새어나오더라도, 내외측에 각각 구비되는 실런트 포집부(111d")로 새어나온 실런트(171)가 포집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실런트(171)의 누출에 의한 외관 품질의 저하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조에 의하면, 실런트 도포부(111d')를 최대한 아우터 프레임(111)의 테두리 부분에 가깝게 배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응되는 도어 커버(140)의 테두리 부분의 미접합 부분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접합 강도가 향상될 수 있으며, 도어 커버(140)와 아우터 프레임(111) 간의 틈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1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 프레임(110)의 제2실시예를 보인 정면도이다.
앞선 실시예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실런트 충진홈(4111d)은 연결홈부(4111d'3), 제1홈부(4111d'1) 및 제2홈부(4111d'2)를 구비하며, 제1 및 제2개구부(4110a, 4111b)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런트 충진홈(4111d)은 실런트 도포부와 실런트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앞선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서, 실런트 충진홈(4111d)은 연결홈부(4111d'3) 상의 임의의 지점과 제1홈부(4111d'1) 상의 임의의 지점 간을 연결하는 바이패스홈부(4111d'4)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홈부(4111d'4)는 연결홈부(4111d'3)와 제1홈부(4111d'1)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한다.
이에 따라, 연결홈부(4111d'3) 또는 제1홈부(4111d'1)에 충진되는 실런트의 일부가 분지된 바이패스홈부(4111d'3)로 유입되어,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4110) 간의 결합 개소가 늘어나는 효과를 불러온다. 따라서, 도어 커버와 도어 프레임(4110) 간의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바이패스홈부(4111d'3)도 실런트의 충진을 위한 실런트 도포부와, 실런트 도포부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를 포집하기 위하여 실런트 도포부의 양측에 구비되는 실런트 포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어 프레임(110)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내장되는데, 도어(10)는 의류 투입구(20a)를 개폐하는 구성이라는 점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30)로 수분이 침투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130)에 대한 실링은 디스플레이부(12)의 구동 신뢰성 확보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라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30)의 실링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 및 도 16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5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131)의 정면도이고, 도 18은 도 15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131)의 배면도이며, 도 19는 도 15에 도시된 장착 프레임(131)에 PCB 커버(137)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배면도이다.
도 15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장착 프레임(131), 디스플레이(132) 및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를 포함한다.
장착 프레임(131)은 일면에 디스플레이(132)가 장착되는 디스플레이 장착부(131a)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장착부(131a)는 디스플레이(132)에 대응된 형태로 장착 프레임(131)의 전면에서 후면을 향하여 리세스된 공간이거나, 디스플레이(132)의 둘레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리브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31)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31)에는 연통홀(131b)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31b)은 디스플레이 장착부(131a)의 일측에 구비되며, 디스플레이 장착부(131a)와는 구별되는 공간이 될 수 있다.
터치 센서(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1)은 도어 프레임(110)에 형성된 FPCB홀(111c)과 장착 프레임(131)에 형성된 연통홀(131b)을 통하여 인쇄회로기판(135)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통홀(131b)로는 상기 터치 센서(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1)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132)의 연성인쇄회로기판이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32)는 장착 프레임(131)에 장착되고,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132)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로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사각형, 그 중에서도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서로 다른 장방형의 디스플레이(132)가 사용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장방형 디스플레이(132)는 원형 디스플레이에 비하여 저가이고, 특이한 형상을 가지는 부분(꼭지점을 구비,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다름)으로 인하여 장착 프레임(131)에 장착시 정확한 장착 위치를 잡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디스플레이(132)가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제2투광 영역(142)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132)의 가로와 세로 중 짧은 부분의 길이는 제2투광 영역(142)의 지름[만일, 제2투광 영역(142)이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라면, 제2투광 영역(142)의 장축]보다는 길어야 한다. 상기 조건에 의할 때, 제2투광 영역(142) 전체에 시각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로 장방형의 디스플레이(132)가 사용되지만, 도어 커버(140)에 디스플레이(132)에 오버랩되는 원형의 제2투광 영역(142)이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에게는 원형의 디스플레이부(12)가 제공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는 디스플레이(132) 중 제2투광 영역(142)에 미대응되는 부분에 대한 시각정보의 출력을 제어하여,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2) 상에는 투광성 재질로 형성되어, 디스플레이(132)를 덮도록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커버(134)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커버(134)는 디스플레이(132)를 덮어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디스플레이 커버(134)는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아크릴 재질, PET 재질, TPU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0)과 장착 프레임(131) 사이에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가 배치되어, 디스플레이(13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장착 프레임(131)에 연통홀(131b)이 구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는 디스플레이(132)와 연통홀(131b)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는 도어 프레임(110)에 고정되거나, 장착 프레임(131)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가 장착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장착 프레임(131)이 도어 프레임(110)에 장착시 내부 공간을 실링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장착 프레임(131)에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의 고정을 위한 수용홈(131f)이 형성되며, 수용홈(131f)은 디스플레이(132)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는 장착 프레임(131)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133a, 133b)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접촉부(133a, 133b)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촉부(133a, 133b)에 의해 형성되는 실링루프는 다른 하나의 접촉부(133a, 133b)에 의해 형성되는 실링루프 내에 배치되어, 실링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인쇄회로기판(135, Printed Circuit Board: PCB), PCB 커버(137) 및 PCB 실링부재(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5)은 디스플레이(1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장착 프레임(131)에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착 프레임(131)의 전면에 디스플레이(132)가 장착되고, 후면에 인쇄회로기판(135)이 장착된 구조를 보이고 있다. 터치 센서(160)가 구비되는 경우, 인쇄회로기판(135)은 연통홀(131b)을 통과한 터치 센서(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5)은 디스플레이(132) 및 터치 센서(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기 내지는 제어부 자체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35)의 장착을 위하여, 장착 프레임(131)의 후면에는 인쇄회로기판 장착부(131d)가 구비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 장착부(131d)는 인쇄회로기판(135)에 대응된 형태로 장착 프레임(131)의 후면에서 전면을 향하여 리세스된 공간이거나, 인쇄회로기판(135)의 둘레에 대응되게 돌출 형성되는 리브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공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31)에는 내부의 전자장치 내지는 외부의 전자기기와 무선통신이 가능한 무선통신모듈(136)이 추가로 장착될 수도 있다. 장착 프레임(131)에는 무선통신모듈(136)의 장착을 위한 무선통신모듈 장착부(131e)가 구비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모듈 장착부(131e)는 인쇄회로기판 장착부(131d)의 일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모듈(136)은 Wi-Fi, 블루투스, RF를 이용한 통신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는 Wi-Fi 통신모듈 또는 블루투스 통신모듈을 통하여 사용자의 이동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일 예로,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1)는 RF 통신모듈을 통하여 다른 가전기기[예를 들어, 다른 의류처리장치(1)]와 무선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PCB 커버(137)는 장착 프레임(131)에 장착되어, 인쇄회로기판(135)을 덮도록 배치된다. PCB 커버(137)는 스크류 결합, 후크 결합, 본딩 결합 등에 의해 장착 프레임(131)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프레임(131)에는 장착홀이 형성된 장착부(137a)가 구비되며, 장착부재(139b)는 장착홀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131)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장착 프레임(131)과 PCB 커버(137) 사이에는 PCB 실링부재(138)가 배치되어, 장착 프레임(131)과 PCB 커버(137) 사이의 틈을 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CB 실링부재(138)는 인쇄회로기판(135)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35)으로의 수분 침투를 방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통신모듈(136)이 추가로 구비되는 경우, PCB 실링부재(138)는 인쇄회로기판(135)과 무선통신모듈(136)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착 프레임(131)에 연통홀(131b)이 구비되는 경우, 연통홀(131b)도 함께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PCB 실링부재(138)는 장착 프레임(131)에 고정되거나, PCB 커버(137)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PCB 실링부재(138)가 장착 프레임(131)에 고정되어, 장착 프레임(131)과 PCB 커버(137)의 결합시 내부 공간을 실링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장착 프레임(131)에는 PCB 실링부재(138)의 고정을 위한 장착홈(131g)이 형성되며, 장착홈(131g)은 인쇄회로기판(135)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만일, PCB 실링부재(138)가 PCB 커버(137)에 고정되는 구조라면, PCB 커버(137)에 PCB 실링부재(138)의 고정을 위한 장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PCB 실링부재(138)는 PCB 커버(137)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접촉부(138a, 138b)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접촉부(138a, 138b)는 폭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길이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연장되어 복수의 실링루프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어느 하나의 접촉부(138a, 138b)에 의해 형성되는 실링루프는 다른 하나의 접촉부(138a, 138b)에 의해 형성되는 실링루프 내에 배치되어, 실링구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20은 도 4에 도시된 라인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도어 커버(140)가 도어 프레임(110)의 일측에 장착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도어 프레임(110)의 타측에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31)은 스크류 결합, 후크 결합, 본딩 결합 등에 의해 도어 프레임(110)에 체결된다. 예를 들어, 장착 프레임(131)에는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부(131c)가 구비되며, 체결부재(139a)는 체결홀을 관통하여 도어 프레임(110)에 스크류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도어 프레임(110)이 아우터 프레임(111), 이너 프레임(112) 및 프레임 커버(1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아우터 프레임(111)의 전면에는 도어 커버(140)가 장착되며,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에는 장착 프레임(131)이 제2개구부(111b)에 대응되게 장착된다.
장착 프레임(131)이 아우터 프레임(111)에 장착시,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는 장착 프레임(131)과 아우터 프레임(111) 간의 틈을 실링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는 제2개구부(111b) 주변의 아우터 프레임(111) 장착면에 밀착되어, 제2개구부(111b)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가 장착 프레임(131)에 고정되는 구조에서, 장착 프레임(131)에는 수용홈(131f)이 형성되어,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의 일부가 수용홈(131f)에 삽입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의 다른 일부는 수용홈(131f)에서 돌출 형성되어, 장착 프레임(131)이 도어 프레임(110)에 장착시 도어 프레임(110)에 접촉(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의 내측 공간이 외측 공간과 분리되어, 상기 내측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된다.
이상에서는,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가 장착 프레임(131)에 고정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33)는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에는 실링부재의 고정을 위한 수용홈(131f)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32)가 디스플레이 장착부(131a)에 장착된 상태에서, 장착 프레임(131)과 디스플레이 커버(134) 사이의 틈에는 충진제(133')가 충진될 수 있다. 충진제(133')가 상기 틈을 메우도록 구성됨으로써, 디스플레이(132)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이 또 한 번 방지될 수 있다.
도 21은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모듈(130)이 도어 프레임(110) 내부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21을 앞선 도 20과 함께 참조하면, 이너 프레임(112)은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면 측에서 결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덮도록 배치된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된다.
이너 프레임(112)에는 상기 내부 공간과 연통되는 연통부(112b)가 형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30)은 연통부(112b)를 통해 상기 내부 공간에 삽입된 후, 아우터 프레임(111)에 설치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에는 장착 프레임(131)의 체결부에 대응되는 체결보스가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부재(139a)는 체결부(131c)의 체결홀를 관통하여 체결보스에 체결된다.
한편, 인쇄회로기판(135)은 본체(20)의 제어부(미도시) 및 전원공급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인쇄회로기판(135)에서 연장되는 도어측 케이블(미도시)은 도어 프레임(1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커넥터(미도시)와 연결되며, 커넥터는 본체(20)의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본체측 케이블(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어측 케이블은 PCB 커버(137)의 관통홀(미도시)을 관통하도록 구성되며, 도어측 케이블과 상기 관통홀 사이에는 실링을 위한 밀폐부재(미도시)가 개재될 수 있다. 밀폐부재는 도어측 케이블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관통홀을 형성하는 PCB 커버(137)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어 프레임(110)은 상술한 아우터 프레임(111)과 이너 프레임(112)에 더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30)을 덮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커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 커버(150)는 이너 프레임(112)과 함께 아우터 프레임(111)의 후방측에서 결합되어, 도어(10)가 의류 투입구(20a)를 개방하도록 열린 상태에서, 도어 윈도우(120)와 함께 도어(10)의 후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이너 프레임(112)에 연통부(112b)가 구비되고, 프레임 커버(150)가 상기 연통부(112b)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다. 프레임 커버(150)는 스크류 결합, 후크 결합 등에 의해 이너 프레임(112)에 체결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커버(150)에는 걸림후크(151)가 돌출 형성되고, 이너 프레임(112)에는 걸림후크(151)가 걸림 가능하게 구성되는 걸림홀(또는 걸림홈, 112b')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의류처리장치의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도어의 상세 구조는 후술하는 도어의 상세 구조와 모순되지 않는 이상 후술하는 도어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도어(101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도어(1010)의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도어(1010)는 도어 커버(1140), 디스플레이 모듈(1130) 및 도어 프레임(1110)을 포함한다.
도어 커버(1140)는 불투광 영역(1143) 및 상기 불투광 영역(1143) 내의 제1투광 영역(1141)과 제2투광 영역(1142)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투광 영역(1141, 1142)은 불투광 영역(1143)에 의해 서로 구분될 수 있다.
도어 커버(1140)의 후면 상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130)이 배치된다. 디스플레이 모듈(1130)은 도어 커버(1140)의 제2투광 영역(1142)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디스플레이 모듈(1130)은 도어 커버(1140)의 후면에 직접 부착되거나, 후술하는 도어 프레임(1110)의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에 장착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10)은 도어 커버(1140)와 결합되며, 본체(20)에 대하여 상대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도어 프레임(1110)은 힌지 유닛(30)에 의해 본체(2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10)은 아우터 프레임(1111)과 이너 프레임(1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우터 프레임(1111)과 이너 프레임(1112)은 합성수지 재질(예를 들어, ABS 재질, PC 재질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10)은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와 개구부(1110a)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는 리세스된 공간으로서, 디스플레이 모듈(113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는 아우터 프레임(1111) 자체에 형성된 홈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이너 프레임(1112)이 아우터 프레임(1111)에 형성된 홀을 덮어 형성된 리세스된 공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는 터치 센서(1160)의 연성인쇄회로기판(1161)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1130)은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에 의해 덮인 형태를 가진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130)은 도어 커버(1140)와 도어 프레임(1110) 사이에 배치된다. 이처럼, 본 변형예는, 앞선 실시예와 달리, 도어 프레임(1110)에 디스플레이 모듈(1160)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가 구비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다.
개구부(1110a)는 도어(1010)가 닫힌 상태에서 의류 투입구(20a)와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개구부(1110a)에는 투광성의 도어 윈도우(1120)가 설치되어, 도어 윈도우(1120)를 통하여 의류 투입구(20a)를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개구부(1110a)는 아우터 프레임(1111)에 형성된 전방측 개구(1111a)와 이너 프레임(1112)에 형성된 후방측 개구(1112a)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어 프레임(1110)의 전면에는 도어 커버(1140)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1111d)이 형성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런트 충진홈(1111d)은 연결홈부, 제1홈부 및 제2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연결홈부는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와 개구부(1110a)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제1홈부는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연결홈부와 함께 개구부(1110a)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2홈부는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연결홈부와 함께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실런트 충진홈(1111d)은 상기 구성에 바이패스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바이패스홈부는 연결홈부와 제1홈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연결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과 제1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 간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실런트 충진홈(1111d)은 실런트 도포부(1111d') 및 실런트 포집부(1111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런트 충진홈(1111d)에 의해, 도어 커버(1140)와 도어 프레임(1110) 사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130)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실런트 충진홈(1111d)이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1110b)와 개구부(1110a)를 각각 별도로 감싸도록 구성됨에 따라, 개구부(1110a)를 통한 디스플레이 모듈(1130)로의 수분 침투가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130)이 도어 커버(1140)의 후면에 직접 부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133)는 도어 커버(1140)의 후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실링부재(1133)는 디스플레이 모듈(1130)을 도어 커버(1140)의 후면에 결합시키는 접착제로서도 기능할 수 있다.

Claims (17)

  1.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도어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커버는,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에서 상기 제1개구부에 대응되는 제1투광 영역 및 상기 제2개구부에 대응되는 제2투광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프레임 중 상기 불투광 영역과 중첩되는 부분에는,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전면에 상기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 및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후면 측에서 결합되는 이너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실런트의 충진을 위한 실런트 도포부; 및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실런트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연결홈부;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연결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제1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 간을 연결하는 바이패스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홈부는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1홈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아우터 프레임의 내측 둘레를 따라 루프 형태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 전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덮도록 배치되는 프레임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외부면에서 내측으로 리세스되고, 내부에 상기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도어 수용부를 구비하며,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 수용부에 수용되고, 상기 도어 커버의 외부면 테두리 부분은 인접한 상기 본체의 외부면과 동일 평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제1개구부와 내부에 장착된 디스플레이 모듈에 대응되는 제2개구부를 구비하는 도어 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를 덮도록 상기 도어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는 도어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 프레임에는,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를 각각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제1 및 제2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연결홈부;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1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제2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1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제1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실런트 포집부;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2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에 상기 제2개구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실런트 포집부; 및
    상기 제1홈부와 상기 제2홈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3실런트 포집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4. 의류 투입구를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의류 투입구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외관을 형성하고, 불투광 영역과 상기 불투광 영역 내의 투광 영역을 포함하는 도어 커버;
    상기 도어 커버의 후면 상에 배치되어, 상기 투광 영역을 통하여 시각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수용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와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의류 투입구와 마주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전면에 상기 도어 커버와의 접착을 위한 실런트가 충진되는 실런트 충진홈이 형성되는 도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와 상기 개구부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연결홈부;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개구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1홈부; 및
    상기 연결홈부의 양단부와 연결되어, 상기 연결홈부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수용부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상기 연결홈부와 상기 제1홈부가 형성하는 공간 내에서, 상기 연결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과 상기 제1홈부 상의 임의의 지점 간을 연결하는 바이패스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실런트 충진홈은,
    실런트의 충진을 위한 실런트 도포부; 및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내외측으로 각각 유출되는 실런트를 포집시킬 수 있도록, 상기 실런트 도포부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실런트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12360 2015-11-02 2016-10-31 의류처리장치 WO2017078342A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RU2018119920A RU2685280C1 (ru) 2015-11-02 2016-10-31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одежды
AU2016350664A AU2016350664B2 (en) 2015-11-02 2016-10-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2018542080A JP6918812B2 (ja) 2015-11-02 2016-10-31 衣類処理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9355P 2015-11-02 2015-11-02
US62/249,355 2015-11-02
KR10-2016-0001215 2016-01-05
KR20160001215 2016-01-05
KR1020160040450A KR101708352B1 (ko) 2015-11-02 2016-04-01 의류처리장치
KR10-2016-0040450 2016-04-0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78342A1 true WO2017078342A1 (ko) 2017-05-11

Family

ID=58265130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356 WO2017078340A1 (ko) 2015-11-02 2016-10-31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12360 WO2017078342A1 (ko) 2015-11-02 2016-10-31 의류처리장치
PCT/KR2016/012358 WO2017078341A1 (ko) 2015-11-02 2016-10-3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356 WO2017078340A1 (ko) 2015-11-02 2016-10-31 의류처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2358 WO2017078341A1 (ko) 2015-11-02 2016-10-31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4) US10161076B2 (ko)
EP (7) EP3165668B1 (ko)
JP (3) JP7060511B2 (ko)
KR (3) KR101708352B1 (ko)
AU (3) AU2016350664B2 (ko)
WO (3) WO20170783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08453B (zh) 2015-11-02 2018-07-2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206070193U (zh) 2015-11-02 2017-04-0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1708355B1 (ko)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1708352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06012440B (zh) 2015-11-02 2018-09-1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EP3187647B1 (en) * 2015-12-29 2022-02-23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Household appliance with an electronic boar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household appliance
CN107287851B (zh) * 2016-03-30 2021-03-02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带装饰圈的洗衣机门体、洗衣机及洗衣方法
US20180002854A1 (en) 2016-06-30 2018-01-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ouch film to a compound curved surface
US10261550B2 (en) * 2016-09-12 2019-04-16 Quanta Computer Inc. Touchpad supporting structure for supporting touchpad
EP3323929B1 (en) 2016-11-21 2021-01-06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machine
KR20180136087A (ko) * 2017-06-14 2018-12-24 주식회사 대우전자 벽걸이형 세탁기 및 그의 도어 개스킷
CN109097945B (zh) * 2017-06-21 2021-12-14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的控制方法和洗衣机
CN109097950B (zh) * 2017-06-21 2021-11-12 青岛胶南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利用灯组动态显示的家用电器及控制方法
US11118295B2 (en) * 2017-11-16 2021-09-14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user interface within a door assembly
CN110241544B (zh) * 2018-03-09 2023-09-26 青岛海尔洗涤电器有限公司 衣物处理设备及其rfid信号屏蔽方法
US11359323B2 (en) 2018-11-27 2022-06-14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11546B1 (ko) * 2018-11-27 2022-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102333379B1 (ko) * 2019-02-01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519410B (zh)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DE102020100945B4 (de) 2019-02-01 2022-12-08 Lg Electronics Inc. Wäschebehandlungsvorrichtung
WO2020159315A1 (ko) * 2019-02-01 2020-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EP4353897A3 (en) 2019-02-01 2024-05-29 LG Electronics Inc.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a door
CN111519409B (zh) 2019-02-01 2022-09-09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6B (zh) 2019-02-01 2023-05-30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06A (zh) 2019-02-01 2020-08-1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12B (zh) 2019-02-01 2023-01-03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CN111519407B (zh) 2019-02-01 2022-10-21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20200096040A (ko) * 2019-02-01 2020-08-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111519411B (zh) * 2019-02-01 2022-09-27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JP7438669B2 (ja) * 2019-03-28 2024-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JP2021045435A (ja) * 2019-09-20 2021-03-25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洗濯機
CN112981873A (zh) * 2019-12-17 2021-06-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的机门及具有该机门的衣物处理装置
CN112981874A (zh) * 2019-12-17 2021-06-18 博西华电器(江苏)有限公司 衣物处理装置及其机门
EP4202102A4 (en) * 2021-03-04 2024-03-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SHING MACHINE AND LAUNDRY CARE DEVICE
WO2023281828A1 (ja) * 2021-07-08 2023-01-12 日立グローバルライフ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2600993B1 (ko) * 2021-07-19 2023-11-10 (주) 세명유리 유리패널의 장착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442A (ko) * 2006-06-2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115005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JP2014001984A (ja) * 2012-06-15 2014-01-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熱式流量計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150066114A (ko) * 2013-12-06 2015-06-16 신호테크 주식회사 구조변경과 이동이 용이한 비상전원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42471A (en) 1959-11-16 1962-07-03 Gen Motors Corp Flexible conduit hinge for domestic appliances
IT969759B (it) 1972-10-20 1974-04-10 San Giorgio Elettrodomesti Macchina per trattare bianchepia sul cui portello di carico e mon tato un componente a comando elet trico
GB2070130B (en) 1980-02-25 1983-04-07 Hotpoint Ltd Door mounting arrangement
IT8206977V0 (it) 1982-04-16 1982-04-16 Faini Spa Oblo' per macchine lavatrici.
JP2594813Y2 (ja) 1991-09-13 1999-05-1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接着部材
JP3259541B2 (ja) 1994-09-20 2002-02-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洗濯機
US6003753A (en) 1997-07-14 1999-12-21 Motorola, Inc. Air-blow solder ball loading system for micro ball grid arrays
KR200158953Y1 (ko) 1997-09-29 1999-10-15 구자홍 드럼세탁기의 도어체결구조
KR19990029441U (ko) 1997-12-29 1999-07-26 윤홍구 드럼 세탁기 도어의 개폐구조
KR100260581B1 (ko) 1998-06-05 2000-07-01 심명섭 프로세스카트리지 및 이 프로세스카트리지를 장착하는화상형성장치
KR200228519Y1 (ko) 1998-06-18 2001-09-17 윤종용 드럼세탁기의도어힌지
KR200175150Y1 (ko) 1999-07-13 2000-03-15 츠오 주이 창 모니터용기능성선반
KR200186106Y1 (ko) 2000-01-14 2000-06-15 김진갑 교육용 분무소화기
TR200300635T1 (tr) * 2000-08-11 2004-02-23 Ar�El�K Anon�M ��Rket� Çalışma adımları uzaktan izlenebilen bir çamaşır makinası
KR100662289B1 (ko) 2000-12-18 200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도어 회동방향의 변경이 자유로운 드럼세탁기
KR200245382Y1 (ko) 2001-05-25 2001-10-29 정창덕 콤팩트디스크 보관대
KR100790539B1 (ko) * 2001-08-03 2008-01-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외관부품 및 그를 사용한 세탁기
KR100452353B1 (ko) 2002-01-09 2004-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100465690B1 (ko) 2002-01-09 2005-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개폐장치
KR200281165Y1 (ko) 2002-04-12 2002-07-13 정두영 주방가구용 힌지의 마운팅풀레이트
DE20210707U1 (de) 2002-07-11 2003-11-20 Diehl Ako Stiftung Gmbh & Co Hinterleuchtete Flüssigkristallanzeige, insbesondere zum Einsatz als Anzeigemodul hinter der Bedienblende eines Haushaltsgroßgerätes
KR100595180B1 (ko) * 2002-07-31 2006-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빨래건조기/드럼세탁기의 도어
US7694537B2 (en) 2003-12-30 2010-04-13 Lg Electronics Inc. Door for drum type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oor with decorative part
ATE471403T1 (de) 2004-02-05 2010-07-15 Miele & Cie Lagerung für die tür einer wäschebehandlungsmaschine
DE602004014905D1 (de) 2004-05-11 2008-08-21 Candy Spa Elektrisches Hausgerät mit einer Tür zum Schliessen eines Innenraums
DE602005025229D1 (de) 2004-08-27 2011-01-20 Arcelik Anonim Sirketi Tuzla Haushaltsgerät
KR101034197B1 (ko) 2004-09-20 2011-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기
JP4575185B2 (ja) 2005-02-15 2010-11-04 株式会社東芝 電子機器
DE102005015551B4 (de) 2005-04-04 2008-08-07 Miele & Cie. Kg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Wäschetrockner oder Waschtrockner
KR101270607B1 (ko) * 2005-04-15 2013-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캐비닛 커버 조립 구조
DE102005024934B4 (de) 2005-05-31 2014-03-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Bedienblendenanordnung für ein Haushaltgerät
DE102005043769B4 (de) * 2005-09-13 2009-01-29 Miele & Cie. Kg Bullaugentür für eine frontbeschickbare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Waschmaschine, Waschtrockner oder Wäschetrockner
DE102005058898B3 (de) 2005-12-09 2006-12-0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zum Verschließen von Waschmaschinen oder Wäschetrocknern
KR100730925B1 (ko) 2005-12-16 2007-06-22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컴팩트형 드럼세탁기
KR100741111B1 (ko) 2006-02-17 2007-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필름형 필터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CN2898087Y (zh) 2006-04-18 2007-05-09 上海航星机械(集团)有限公司 洗涤设备上的门密封装置
DE102006029202A1 (de) 2006-06-26 2007-12-27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Klappe für ein Haushaltsgerät
CN101096810B (zh) 2006-06-30 2011-04-20 海尔集团公司 一种u形门铰链设置方式
KR100846188B1 (ko) * 2006-08-08 2008-07-14 (주)멜파스 복수의 접촉 센서를 구비한 사용자 입력 장치, 및 상기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접촉을 감지하여 디지털 기기를제어하는 방법
KR100901028B1 (ko) * 2006-12-20 2009-06-04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에 결합되는 프런트 커버 및 프런트커버의 제조 방법
US20080273016A1 (en) 2007-05-04 2008-11-06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Integrated touch-screen control panel for a washing appli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070060063A (ko) 2007-05-28 2007-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 세탁기의 도어 및 데코레이션부를 갖는 도어 제작방법
CA2610078A1 (en) 2007-11-09 2009-05-09 Mabe Canada Inc. Clothes dryer door hinge
JP2009095531A (ja) 2007-10-18 2009-05-07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EP2077349B1 (en) 2007-12-31 2014-12-10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Electric household appliance
KR101542376B1 (ko) * 2008-08-08 2015-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용 도어
JP4636148B2 (ja) 2008-09-09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機
KR101155004B1 (ko) 2009-12-15 2012-06-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DE102009007920B3 (de) 2009-02-06 2010-04-29 Miele & Cie. Kg Wäschebehandlungsmaschine wie beispielsweise eine Waschmaschine oder ein Wäschetrockner
GB0902619D0 (en) 2009-02-17 2009-04-01 Xeros Ltd Cleaning apparatus
KR101097306B1 (ko) 2009-03-30 2011-12-23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00120049A (ko) * 2009-05-04 2010-11-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JP5577638B2 (ja) 2009-07-14 2014-08-27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10025178A1 (en) * 2009-07-30 2011-02-0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or frame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WO2011014018A2 (en) 2009-07-30 2011-02-03 Lg Electronics Inc. Washing machine
KR101643633B1 (ko) 2009-07-30 2016-08-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8448482B2 (en) * 2009-07-31 2013-05-28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Door hook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KR101595387B1 (ko) 2009-07-31 2016-0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의 도어 어셈블리
DE102009047595A1 (de) * 2009-12-07 2011-06-09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Tür für ein Hausgerät mit einem Sichtfenste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olchen Tür
JP5645464B2 (ja) 2010-05-06 2014-12-24 日立アプライアンス株式会社 洗濯機
KR101830733B1 (ko) 2010-05-27 2018-0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장치
US9752271B2 (en) 2010-08-27 2017-09-05 Whirlpool Corporation Laundering systems incorporating visual displays
US9212449B2 (en) 2010-08-31 2015-12-15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Structural door bowl for a household appliance door
US8727611B2 (en) * 2010-11-19 2014-05-20 Nest Labs, Inc.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sensors in thermostats
KR101386818B1 (ko) 2010-12-02 2014-04-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JP2012217533A (ja) 2011-04-06 2012-11-12 Panasonic Corp ドラム式洗濯機
KR101772971B1 (ko) 2011-09-26 2017-09-01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물 처리장치
EP2581485B2 (en) 2011-10-14 2024-05-22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A method for assembling a front panel for a domestic appliance and a corresponding front panel
CH706229B1 (de) 2012-03-08 2016-03-15 Schwanden Kunststoff Bedientafel für eine elektronisch gesteuerte Haushaltmaschine.
US8857928B2 (en) 2012-03-08 2014-10-14 General Electric Company Appliance with a bracket for supporting a hinge
JP2013188273A (ja) 2012-03-13 2013-09-26 Hitachi Appliances Inc 洗濯機
CN102707471B (zh) 2012-05-03 2013-11-2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光栅、其制作方法、3d显示器件及3d显示装置
KR20140010299A (ko) * 2012-07-16 2014-01-24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1378247B1 (ko) 2012-07-27 2014-03-25 하이디스 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6055225B2 (ja) 2012-07-30 2016-1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JP2014033758A (ja) 2012-08-08 2014-02-24 Panasonic Corp 衣類乾燥機
KR101407589B1 (ko) * 2012-09-13 2014-06-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US9464257B2 (en) 2012-10-01 2016-10-11 Takasago International Corporation Fragrance composition
DE102012222955A1 (de) 2012-12-12 2014-06-12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haltsgerät mit zumindest einem Anzeigefenster
DE102013208851B4 (de) 2013-05-14 2023-03-02 BSH Hausgeräte GmbH Von der Front her beschickbares Wäschebehandlungsgerät
KR102127517B1 (ko) * 2013-07-01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도어 및 이를 가지는 의류처리장치
KR102127719B1 (ko) 2013-07-08 2020-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EP2837728A1 (en) 2013-08-13 2015-02-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laundry treatment device having a control panel assembly
EP2843105B1 (en) 2013-08-30 2017-01-18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A door assembly for a laund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KR102158689B1 (ko) 2013-11-04 2020-09-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가 구비된 의류처리장치
KR102086579B1 (ko) 2013-11-26 2020-04-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얼라인 마크의 제조방법 및 얼라인 마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20150066140A (ko) 2013-12-06 2015-06-16 주식회사 대창 세탁기 도어
KR101806921B1 (ko) 2014-01-29 2017-12-08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터치 센서판 및 이를 포함한 터치 스크린 패널의 제조 방법
KR101727897B1 (ko) 2014-04-17 201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도어 어셈블리
KR102132176B1 (ko) 2014-05-30 2020-07-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5671866A (zh) * 2014-11-17 2016-06-15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滚筒洗衣机前盖门及滚筒洗衣机
CN204298638U (zh) * 2014-11-17 2015-04-29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滚筒洗衣机前盖门及滚筒洗衣机
KR102252507B1 (ko) 2015-01-05 2021-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도어
CN105908453B (zh) 2015-11-02 2018-07-24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KR101708352B1 (ko) * 2015-11-02 2017-0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N206070193U (zh) 2015-11-02 2017-04-05 Lg电子株式会社 衣物处理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442A (ko) * 2006-06-27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세탁기
KR20090115005A (ko) * 2008-04-30 2009-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드럼세탁기의 도어
JP2014001984A (ja) * 2012-06-15 2014-01-09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熱式流量計
KR20150006264A (ko) * 2013-07-08 2015-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드럼세탁기
KR20150066114A (ko) * 2013-12-06 2015-06-16 신호테크 주식회사 구조변경과 이동이 용이한 비상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21884A1 (en) 2017-05-04
AU2016350664A1 (en) 2018-05-31
JP7060511B2 (ja) 2022-04-26
US10006159B2 (en) 2018-06-26
JP2018536517A (ja) 2018-12-13
JP6918812B2 (ja) 2021-08-11
EP3162947B1 (en) 2021-03-24
EP3165669A1 (en) 2017-05-10
US10000879B2 (en) 2018-06-19
KR101708351B1 (ko) 2017-02-20
AU2016350664B2 (en) 2019-01-17
KR101708352B1 (ko) 2017-02-20
EP3165668A1 (en) 2017-05-10
EP3988700A1 (en) 2022-04-27
JP7012652B2 (ja) 2022-01-28
US10161076B2 (en) 2018-12-25
JP2018532546A (ja) 2018-11-08
EP3165668B1 (en) 2021-08-18
AU2016350662B2 (en) 2019-05-16
EP3162947A1 (en) 2017-05-03
WO2017078340A1 (ko) 2017-05-11
AU2016350663A1 (en) 2018-05-24
KR101708350B1 (ko) 2017-02-20
EP3845701A1 (en) 2021-07-07
US20170121888A1 (en) 2017-05-04
WO2017078341A1 (ko) 2017-05-11
EP3839130A1 (en) 2021-06-23
EP3165669B1 (en) 2021-05-05
EP3839129A1 (en) 2021-06-23
AU2016350662A1 (en) 2018-05-24
JP2018532545A (ja) 2018-11-08
USRE49269E1 (en) 2022-11-01
US20170121889A1 (en) 2017-05-04
AU2016350663B2 (en) 2019-05-02
AU2016350662B9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07834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07834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078344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의류처리장치에 구비되는 도어의 제조 방법
WO2019199131A1 (en) Display having opaque member disposed in area surrounded by pixels and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he same
WO2020171591A1 (en) Electronic device and display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36275A1 (ko) 표시 장치
WO2016122173A1 (ko) 터치 윈도우
WO2015076463A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20027371A1 (ko) 표시 장치
WO2017222346A1 (ko) 복합 휴먼 인터페이스가 구비된 전자기기
WO2016137172A1 (ko) 세탁기
WO2015030438A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WO2015012463A1 (ko) 이동 단말기
WO2012118300A2 (en) Display device
WO201711967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8043844A1 (ko) 이동 단말기
WO2016093612A1 (en) Band type sensor and wearable device having the same
WO2017119673A1 (ko) 의류처리장치
WO20170230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6018016A1 (en) Display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background
WO2018169102A1 (ko) 이동 단말기
WO2020022589A1 (ko) 압력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6085130A1 (ko) 세탁장치
WO2016085132A1 (ko) 세탁장치
WO2020075927A1 (ko)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62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542080

Country of ref document: JP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6350664

Country of ref document: AU

Date of ref document: 20161031

Kind code of ref document: A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119920

Country of ref document: RU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6235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