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6085132A1 - 세탁장치 - Google Patents

세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6085132A1
WO2016085132A1 PCT/KR2015/011373 KR2015011373W WO2016085132A1 WO 2016085132 A1 WO2016085132 A1 WO 2016085132A1 KR 2015011373 W KR2015011373 W KR 2015011373W WO 2016085132 A1 WO2016085132 A1 WO 2016085132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unit
course
washing
display
inpu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1373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오주현
김영우
김자연
김다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66181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48073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18206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254893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528,879 priority Critical patent/US10550506B2/en
Priority to EP15862630.9A priority patent/EP3225731B1/en
Publication of WO2016085132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6085132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12Washing 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1/20Operation modes, e.g. delicate laundry washing programs, service modes or refreshment cycl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Definitions

  • a refresher for refreshing clothes using hot air or steam, rather than washing with water has been released. This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washing machine.
  • FIG. 1 shows a control panel of a conventional washing machine.
  • the one or more option icons, the reservation icon and the additional option icon may be sequentially emitted in the arrangement order.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mechanism and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
  • FIG.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eservation option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of FIG. 10.
  • FIG. 1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additional course screen displayed on the user interface of FIG. 10.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ser interface of FIG. 10.
  • the laundry machine 200 is installed in the cabinet 210 forming the appearance, the control panel 220 provided in the front upper portion of the cabinet 210, the control panel 220 A command to be projected to the operation unit 310, the circular display unit 240 provided inside the radial direc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the radial outside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radial inside of the operation unit 310.
  • An input unit 311 and a control unit (see FIG. 5) form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240 may be included.
  •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installed in the control panel 220. More specifically,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ral portion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ontrol panel 220. In this case,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ie, forward of the control panel 220) of the control panel 22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display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and one or more options based on driving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may be provid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configured to input a course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311 and change the one or more options.
  •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provided at the 3 o'clock and 9 o'clock directions of the display unit 240, respectively, when viewed from the front.
  •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formed to be pressed by the user. That is, the user may input the course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311 by pressing the command input unit 311 and change the one or more options. In addition, the user may press the command input unit 311 to execute or pause the selected washing course through the operation unit 311.
  • FIG. 3 illustrate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peration mechanism and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
  • FIG. 4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operation mechanism and the display unit illustrated in FIG. 2.
  • the X axis shown in FIG. 4 represents the width direction
  • the Z axis represents the up and down direction (height direction)
  • the Y axis represents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through hole 315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n “operator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That is, the cylindrical operation unit 310 The central axis C may be rotatably formed, and an operation unit through hole 315 may be formed in a radially inn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310.
  • the operation unit 310 is dispos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control panel 220 (that is, in front of the control panel 220), so that the user can rotate the operation unit 310. Can be.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disposed in the through hole 315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That is, the display unit 240 may be disposed in the manipulation unit through hole 315 and may be formed to display a screen (or an image)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control panel 220.
  • the user can easily recognize the information or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in front of the washing machine 200 dT.
  • the washing apparatus 200 may include an operation mechanism 300 hav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unit 310.
  • the manipulation mechanism 300 is a first gear 330 is rotated in communica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a second gear 340, the second gear portion 340 formed to engage with the first gear 330, the second The encoder 350 may be further provided to recognize the rotation of the gear unit 340.
  • the manipulation mechanism 300 may include an operation unit 310, a first gear unit 330, a second gear unit 340, and an encoder 350.
  • the first gear unit 330 may be disposed below the operation unit 330 to rotate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More specifically, the first gear unit 330 is formed to rotate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when the operation unit 310 is rotated by a user, the low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310 It may be formed to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operation unit 310.
  • the second gear part 34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irst gear part 330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art 330.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gear part 340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irst gear part 330 at the side of the first gear part 330, when the first gear part 330 is rotated The second gear part 340 may also rotate together. That is, the second gear part 340 may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gear part 330.
  • the encoder 3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340 to recognize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 the encoder 350 may include a rotation recognition unit 351 formed to recogniz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unit 340.
  • the rotation recognition unit 351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on hole 341 formed 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second gear unit 340. Therefore, when the second gear unit 340 is rotated, the rotation recognition unit 351 of the encoder 350 is also rotated so that the rotation pitch (or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gear unit 340 is the encoder ( 350 may be recognized.
  •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encoder 350 through the first gear unit 330 and the second gear unit 340, and the encoder 350 may be operated by the operation unit ( It may be formed to recognize the rotation pitch (or angle) of the 310 and transmit it to the controller (see FIG. 5) to be described later.
  • the rotation signal of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through the encoder 350.
  • the manipulation mechanism 300 may further include a rotation shaft member 320 disposed between the manipulation unit 310 and the first gear portion 330.
  •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may be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first gear unit 330 between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first gear unit 330, respectively. Therefore,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unit 330 through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 the rotary shaft member 3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front end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is coupled to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310, the rear end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is the first gear portion 330 may be engaged.
  • the one or more fastening protrusions 322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may include one or more fastening grooves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one or more fastening protrusions 322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316).
  •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may also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manipulation unit 310.
  •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as a whole.
  • one or more first straight portions 321 may be provided at at least a portion around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 one or more linear first straight portions 321 may be provid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rear end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 a first gear part through hole 335 is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first gear part 330, and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ear part 330 corresponds to the first straight part 321.
  • One or more second straight portions 331 may be provided.
  • the rotary shaft member 320 ie, the rear end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 the first straight portion 321 and the second straight portion 331 may be engaged.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part 330.
  • the first gear portion 330 may also rotate with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That is, the rotation (or rotational force)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first gear unit 330 through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 a bearing unit 370 for supporting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may be disposed around the rotary shaft member 320.
  • the bearing part 370 may b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operating part 310 and the front of the first gear part 330 around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That is, the bearing part 370 may be disposed around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manipulation part 310 and the first gear part 330.
  •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may be formed to engage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first gear unit 330 between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first gear unit 330, respectively.
  •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rotates the rotation recognition unit 351 of the encoder 350 through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the first gear part 330, and the second gear part 340.
  • the encoder 350 may be formed to recognize a rotation pitch (or rotation angle) of the operation unit 310, and information of the rotation pitch (or rotation angle)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see FIG. 5). .
  • the washing machine 200 further comprises a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which is disposed to protrude forward (ie, upwardly perpendicular to the control panel 220) in front of the control panel 220. It may include.
  •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dispos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above the control panel 220.
  •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diameter of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 the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and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disposed to penetrate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
  • the diameter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60 is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310,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and the diameter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gear unit 330. It can be formed small.
  •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disposed to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operation unit 310,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and the first gear unit 33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install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6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shaft 260.
  • the support shaft 260 may be formed to be fixed without being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installed around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shaft 260.
  • the command input unit 311 executes or temporarily executes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the selected course configured to input a course selected by the manipulation unit 310 and change one or more options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course.
  •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configured to input a command for stopping may be included.
  •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may be provided on a support member 314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coupled to the support shaft 260.
  • a support member 314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may be install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ront end portion of the support shaft 260.
  •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disposed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260.
  •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formed so that the support part 314 does not rotate even if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rotates. That is, the support part 314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lock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rotation of the rotary shaft member 320.
  •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support member 314. That is,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t the support member 314.
  • one of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is provided at a three o'clock position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310,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is provided.
  • the other one of the 311-2 may be provided at the 9 o'clock direction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310.
  •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is positioned at 9 o'clock from the support member 314,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is positioned at 3 o'clock from the support member 314. It can be located at.
  •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may be provided at positions facing each other in the support member 314.
  •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may include a first light source 312 and another side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provided on one side (eg,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 the first switch 313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light source 312 on the rear surface.
  •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may also include the second light source 312 ′ and the support member 314 provided on one side (eg,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 a second switch 313 ′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light source 312 ′ on the other side (eg, a rear surface) may be provided.
  • the first light source 31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12 ′ are provided by the user outside the washing apparatus 200 by the user of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 the light is irradiated to easily recognize the position.
  • the first light source 31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12 ' may be formed of an LED.
  • first switch 313 and the second switch 313 ′ may b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see FIG. 5).
  • the first switch 313 or the second switch 313 ′ operates to operate the first switch.
  • the signal from the 313 or the second switch 313 ′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 the first light source 312 and the second light source 312 ' is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between the first switch 313 and the second switch 313'. ) May be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 the rear of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provided with a fixing member 318 for fixing the support member 314 around the support shaft 260.
  • the fixing member 318 may be formed to be fixed around the support shaft 260 at the front end of the rotating shaft member 320.
  •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fixing member 318.
  • the support member 314 and the display unit 240 may be disposed such that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40 are on the same plane.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shaft 260, and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install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support shaft 260.
  •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on the same plane.
  • the transparent member 250 may be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transparent member 250 may be formed to cover both the front surface of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314.
  • the transparent member 250 may be formed of a transparent acrylic.
  • the transparent member 250 may be dispos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operation unit 310, it may be formed so as not to interlock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 the user presses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or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on the transparent member 250, thereby providing the first switch 313.
  • the second switch 313 ′ may be operated.
  • the information or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may be recognized by an external user through the transparent member 370.
  • the wash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ody 360 coupled to the rear surface (back side) of the control panel 220.
  • the support body 360 may be coupl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220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washing apparatus 200.
  • the support body 360 has a first mounting sheet 361 for installing the first gear portion 330 and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and the encoder 350 and the second gear portion ( The second installation sheet 362 may be formed to install the 340.
  • a first mounting sheet 361 for installing the first gear part 330 and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is formed at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360, and the support body 360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idth direction) may be formed a second mounting sheet 362 for the installation of the encoder 350 and the second gear portion 340.
  • first installation sheet 36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sheet 362 may be disposed close to each other.
  • first installation sheet 361 and the second installation sheet 362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may be fixed in the first installation sheet 361 through the first gear part through hole 335. Specifically, the rear end of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may be fixed in the first installation sheet 361.
  •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also be fixed so as not to rotate at the front end of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 first gear part 3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first installation sheet 361.
  • the first gear part 330 may be rotatably installed with respect to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in the first installation sheet 361. That is, the cylindrical support shaft 260 may serve as a rotation axis of the first gear part 330.
  • the encoder 350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mounting sheet 362, the second gear portion 340 is to be disposed above the encoder 350 in the second mounting sheet 362. Can be.
  • the rotation recognition unit 351 provided in the encoder 350 may be rotatably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unit 340. That is, the rotation recognition unit 351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hole 341 formed in the center of the second gear unit 340, it may be rotated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second gear unit 340.
  • FIG. 5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n operation mechanism, a control unit, and a display unit.
  • the washing apparatus 20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ler 288 and a power input unit 290.
  • the power input unit 290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apply power to the laundry machine 200. That is, the power input unit 290 may be formed to selectively apply power to the laundry machine 200 based on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80.
  • the controller 280 may be form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mechanism 300 and the command input unit 311.
  • the controller 280 may be formed to receive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mechanism 300.
  • the controller 28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isplay unit 240 and the power input unit 290 based on an operation signal from the operation mechanism 300.
  •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is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rotation shaft member 320, the first gear unit 330, and the second gear unit 340. Final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encoder 350 connected to the second gear unit 340.
  • the encoder 350 may be formed to transmit a signal of a rotation angle due to the rotation force transmitted from the manipulation unit 310 to the controller 280.
  • the controller 280 is configured to sequentially emit light (or activate) a plurality of input items displayed on the display 240 based on a signal of the rotation angle received from the encoder 350. 240 may be controlled.
  •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manipulated by the user. For example, a user may press the command input unit 311 to input a command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311. That is,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formed to be pressed by the user.
  • the switches 313 and 313 ′ provided in the command input unit 311 are operated, and the signal pressed by the command input unit 311 (that is, the switch 313, 313 ′)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ler 280.
  • control unit 280 of the washing course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310 on the basis of the signal that the command input unit 311 is pressed that is, the signal operated the switch 313, 313 '.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controlled such that an input, a change of one or more options associated with the washing course, and information or description related to execution of the selected washing course are selectively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80.
  • controller 280 may be connected to the power input unit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the manipulation unit 3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or when the input signal through the command input unit 311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 the power input unit 290 may be controlled so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 the user may rotate the manipulation unit 310 to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360 degrees) or more in order to apply power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 a command input unit for example,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or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 a predetermined time eg, to apply power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For example, 2-3 seconds.
  • the power input unit 290 is the command input unit (for example,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or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If the input signal through))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to 3 seconds) or more, it may be configured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200 from an external power source.
  • a predetermined time for example, 2 to 3 seconds
  • the controller 280 is a power input to the laundry machine 200, the input signal through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or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i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it persists.
  • the controller 280 controls the power input unit 290 to cut off the power supplied to the washing machine 200 from the power input unit 290 or an external power source when the input signal lasts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can do.
  • the user may rotate the operation unit 310 or press the command input unit 311 so that power is applied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 the user may press the command input unit 311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so that the power supplied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is cut off.
  • FIG. 6 shows an example in which a course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 a support member 314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is provided o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cylindrical manipulation unit 310 formed to be rotatable, an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support member 314 in the form of a circular ring.
  • the circular display unit 240 may be provided.
  •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ylindrical operation unit 310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the user can rotate the operation unit 310 while hol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peration unit 310.
  • the support member 314 and the display unit 240 remain fixed so as not to rotate or move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manipulation unit 310.
  • the support member 314 may be provided with a command input unit 311, and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include a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a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 the course selection screen as shown in Figure 6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That is, 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the display unit 240 so that the course selection scree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when power is input to the washing apparatus 200.
  • a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241-1 ⁇ 241-13 may be display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40 (that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241-1 to 241-13 may be display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dots.
  •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241-1 to 241-13 may be selectively emitted (or activat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 a description of the course including the name of the selected course and the time required may be displayed in the radial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241-1 ⁇ 241-13) is a standard washing, baby clothes, boiled, speed wash, allergy care, cotton, steam cleaning, functional clothing, bedding cleaning, cold water washing, Lindsay /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icons for wool, duvets and rinsing / dehydration.
  • one or more options that accompany the selected course are locat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nd at a position different from the position where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241-1 to 241-13 are displayed. Information about may be displayed.
  • FIG. 6 illustrates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when a cotton course is select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310.
  • FIG. 6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cotton course is selected among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241-1 to 241-13 displayed in the form of a plurality of dots.
  • the controller 280 may sweep the display unit 240 so that a plurality of dots (that is, washing cours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sequentially emit light as the manipulation unit 310 rotates. . That is, when the user rotates the operation unit 310, a plurality of dots (ie, washing course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40 may sequentially emit or activate light.
  • the signal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may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80 through the encoder 2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5, the control unit 280 is transmitted through the encoder 250.
  • the display unit 240 may be controlled based on the rotated angle.
  • information on the cotton course and the time required may be displayed in text in a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40, and at least one option accompanying the selected cours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40. Information about may be displayed.
  • At least one command input unit 311 may be provided in the support member 314 provided at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command input unit 311 may include a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and a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may be formed to input a course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310.
  •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may be formed to start or pause a washing stroke according to a course selected by the operation unit 310.
  • the display 240 displays an option accompanying the cotton course.
  • the controller 280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an option setting screen.
  • the display unit 240 displays a state in which the surface course is being executed. It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280 to display the screen during the stroke.
  • FIG. 7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an option setting screen is displayed on a display unit.
  • the option setting screen includes one or more preset option icons 242-1 to 242-4, a reservation icon 224-5, and an additional option icon 242-6 associated with the washing course selected by the user. ) May be displaye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40 (that is,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front of the display unit 9240).
  • the one or more option icons 242-1 to 242-4 may include a washing strength icon 242-1, a washing water temperature icon 242-1, a rinsing frequency icon 242-3, and a dehydration strength icon 242. -3)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 the controller 280 may include one or more option icons 242-1 through 242-4, a reservation icon 242-5, and an additional option icon 242 associated with the selected washing course.
  • One or more of -6) may be controlled to display the display unit 240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one or more option icons 242-1 to 242-4, the reservation icon 242-5, and the additional option icon 242-6 are arranged in an order of operation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Accordingly, the controller 280 may control the display 240 to sequentially emit (activate) light.
  • the washing apparatus 200 may be driven.
  • information about the washing water temperature may be displayed on the radial center portion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other options may include a laundering and steam washing.
  • the user may select an option to be changed throug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unit 310.
  • the user may determine whether to execute other option icons by pressing the first command input unit 311-1.
  • an end time of washing may be displayed in the center of the display unit 240.
  • the time required for washing may also be expressed through the area of the washing completion time display 247 having a fan shape.
  • the washing completion time display 247 of the fan shape may also be rotated clockwise.
  • the user may complete the reservation setting by pressing the second command input unit 311-2.
  • the controller 280 may wash the washing machine based on the set reservation time.
  • the washing apparatus 200 may be controlled so that the 200 is driven.
  • a user interface 3000 which concentrates a conventional complex and various input unit or selection unit and a display around the rotary knob 4100 and a wash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the rotary knob 4100 may be represented by an operation unit.
  • the washing apparatus may include a display area 4300 provided at a radially inner side of the annular rotary knob 4100.
  • the display area 4300 may include a display 4400.
  • the display 4400 may be provided to display course information and option information.
  • the display 4400 may be implemented as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may be implemented as an LCD, LED or OLED display. Of course, it may be implemented as a touch display like the display of a smartphone.
  • the display 4400 may be configured for a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through the rotary knob. You can optionally display the course screen and the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options. Of course, the display 4400 may display a guide screen (not shown) or a course progress screen (not shown) as well as a course screen and an option screen.
  • the user may select a specific washing course from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through the rotary knob 4100.
  • a course selected in a predetermined order may be changed.
  • Course selection via this rotary knob 4100 is similar to that shown in FIG. 1. Therefore, the user who is accustomed to the course selection through the rotary knob 4100 can minimize the burden or difficulty for the new user interface.
  • an initial guide scre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4400.
  • an initial guide screen with the phrase "Please select a washing course" may be displayed.
  • the course screen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specific course as well as the course name.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0, information regarding power consumption, course execution time, and administration in a course may appear.
  • the language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That is, each language can be easily changed in software. In particular, the course name is determined according to each language, and even if the language is different, it can be easily coped without changing the hardware.
  • the control panel shown in FIG. 1 is provided with a course name print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 Washing machines manufactured by one washing machine manufacturer may be sold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various countries having various languages. In this case, a problem arises in which hardware must be changed according to each language.
  • the software can easily cope with the changing language. This may mean that you don't have to build control panels for each language.
  • each washing course has a basic set value.
  • the default setting of the standard wash course shown in FIG. 10 has a wash water temperature of 60 ° C., a standard wash intensity, three rinses and strong dehydration.
  • Such default settings may be set differently for each course and may be changed. Of course, this change may be limited to certain courses.
  • the user may select the start / pause input unit 421.
  • a variety of options can be selected for the laundry course. That is, various options for changing a preset value or condition may be selected. The selection of these options may be carried out on the basis of the selection of a particular washing course.
  • Such options may include at least one of changing the conditions of each of the administrations included in the course, enabling additional administrations, and changing the completion time of the course (reservation setting).
  • options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temperature of the wash water, the wash strength, the number of rinses, and the dewatering intensity. Each of these option changes can be performed by allow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values to be selected. These four options are the default options.
  • the dewatering strength option may be provided to select either steel, medium, or load.
  • the rotation RPM of the drum may be provided to select any on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number of rinsing options may be provided to select any one of five levels from no rinse to four rinses.
  • the option may include a reservation option.
  • the reservation option may mean an option for delaying the time point at which the course ends. For example, when a specific course that takes 2 hours is selected, the end point of the course may be set 4 hours after the present. In this case, the washing machine may have a waiting time of 2 hours and end by performing a selected course for the remaining 2 hours.
  • This booking option is very useful if you are out for a long time. That is, the washing can be set to end in accordance with the return tim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laundry waiting for the end of washing or the laundry which has been finished washing out of the laundry for a long time.
  •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may be provided to select one of a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4610 and 4620 according to a selection time. That is, one input unit may be provided to perform a plurality of functions.
  •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may be provided to be selected by a user separately from the rotary knob 4100.
  •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may be provided as a button selected by a user touching or pressing.
  • the user may select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on the course screen of “standard washing” illustrated in FIG. 10. This can be said to directly reflect the user's intention to delay the time when the standard washing course is performed and ends after selecting "standard washing".
  • FIG. 11 shows an example of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 reservation option. That is,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for displaying reservation information is selected on the course screen, the display displays an option screen for setting a reservation as shown in FIG. 11. That is, a reservatio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reservation time is displayed. At this time, the clock form may be displayed and the current time may be displayed. In addition, a preset course name and completion time may be displayed. The completion time may mean how many hours after the end of the wash. Assuming that the screen has been switched from FIG. 10 to FIG. 11, it means that the standard course starts after a delay of 2 hours and 20 minutes from the present. In addition, the standard course is conducted for 1 hour and 10 minutes, and ends after 3 hours and 30 minutes from the present.
  • This reservation change or delay time change may be performed by turning the rotary knob 4100. That is, the rotary knob 4100 may be referred to as a means for changing a reservation time on an option screen instead of a course screen, particularly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a reservation.
  • the delay time may be increased by, for example, 10 minutes or 30 minu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delay time can be reduced by 10 or 30 minutes by 1 pitch.
  • the delay time setting range and unit may be preset.
  • the user may input the intention that the reservation is completed through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That is, the input of completing the reservation setting may be input through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may be, for example, provided to complete the reservation option setting.
  • the controller may control the inpu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to be different by dividing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 the controller preferably controls the inpu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course screen to be displayed o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 the controller determines that input information displayed by the single variable type input unit is input. For example, whe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is input while the reservation option entry information is displayed,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reservation option.
  •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to display the course screen.
  • the course screen at this time is preferably to be a course screen reflecting the changed option.
  • the selective display of the plurality of input information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light source.
  • it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brightness control of the LED. Detail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is preferably provid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rotary knob 4100. That is, the display area 4300 preferably includes a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as well as the display 4400. Therefore, the user's gaze is minimized and intuitive input is possible.
  • the user may select an option selector 4730 corresponding to the rinse option, for example, to change the rinse option.
  • the selection of the option selector 4730 may be performed by a user pressing or touching the option selector 4730.
  • the display 4400 displays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rinse option. That is, when the rinse option selector 4730 is input, the controller controls the display 4400 to display the corresponding option screen. 12 shows an example of an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rinsing option.
  • the user may select a desired rinsing option. That is, the number of rinses different from the preset number of rinses may be selected. For example, a basic setting of three rinsing cycles can be set to two times.
  • the change in the number of rinses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rotary knob 4100.
  • the number of rinses may vary sequentially. For example, when the rinse frequency is to be changed from three times to two times, the rotary knob 4100 may be rotated by one pitch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 the change in the number of rinses may be performed by pressing the rinse option selector 4730. Each time the user presses the rinse option selector 4730, the number of rinses may be sequentially changed.
  • the option screen for changing the option it is preferable to display the input information that the option setting is completed in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This is also true for other options such as wash water temperature, wash strength and dewatering strength.
  • the rinse option selector 4730 is preferably displayed brighter than the other option selectors 4710, 4720, and 4740.
  • the option selection may not be possible in the reservation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lection units 4710 to 4740 are not displayed on the reservation setting screen.
  • the selection of the washing course and the selection of the option can both be performed in the rotary knob 4100 and the display area 4300. That is, the user's hand and the line of sight for the user interface can be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without being distributed, making it convenient to use.
  • the icon 4250 may be formed to intuitively represent each washing course in the form of a figure or a picture. Since the icon 4250 is not a language, the icon 4250 may not be affected as the language is changed. That is, it is very effective in the minimal design because it is irrelevant to the language of the place where the laundry machine is sold.
  • the icon 4250 may be referred to as an auxiliary means for facilitating the course selection.
  • the icon 4250 may be provided to visually display information about a specific washing course selected on the premise in a process of changing an option.
  • the deco 4200 may include additional icons 4270 as well as icons representing respective washing courses.
  • the additional icon 4270 may correspond to a washing course added to the washing course basically provided by the washing apparatus.
  • the user can easily identify and use the added washing course through an additional icon rather than a letter.
  • washing course having a very low frequency of use among the washing courses provided in the related art. Less frequently used washing courses do not always need to be exposed to the user. Nevertheless, it may not be desirable to rule out less frequently used wash course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rrespond the washing course with low use frequency to the said additional icon 4270. FIG. As a result, the number of icons 4250 may be excessively large, and thus the identification power may be prevented from being lowered.
  • the additional icon 4270 may correspond to a basic washing course having a low frequency in addition to the basic washing course and / or a basic washing course having a high frequency of use.
  • each basic icon is sequentially displayed brighter. Thereafter, when the rotary knob 4100 is further rotated, the additional icon is displayed brighter. In this case, the course corresponding to the additional ic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4400.
  • the additional icon may still be brighter until the rotary knob 4100 is turned two pitches.
  • the rotor knob 4100 is rotated one pitch, the corresponding new course will be displayed on the display.
  • FIG. 13 shows a swimsuit course as an example of a new course added.
  • the user can easily use the new course added through the additional icon. This may mean that no hardware change is required with respect to the user interface. Therefore, it is very easy to add, select and use a new course while maintaining the conventional course selection method.
  • the accommodation suit course may be a course basically provided.
  • the frequency of course use for laundering can be very low. Therefore, it is also possible to correspond this low-frequency course to the additional icon 4270. Through this, the washing course with low use frequency can be prevented from being always exposed to the user.
  • Figure 14 shows a swimsuit course as an example of a new course added.
  • phrases describing courses rather than course names may be displayed.
  • the screens shown in FIGS. 13 and 14 may be displayed alternately.
  • the display 4400 may clearly display it. 13 and 14 illustrate examples of clearly indicating that the course is added through the phrase “NEW”.
  • the icon 4250 provided in the decor 4200 may be referred to as 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course selection.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c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washing course is visually different from other icons.
  • FIG.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n icon corresponding to a "standard washing" course is displayed more outwardly than other icons.
  • the washing course is generally selected first. Therefore, when power is applied, it is preferable that all icons corresponding to the plurality of washing courses are displayed at the same brightness first. As the rotary knob 4100 is rotated, only an icon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course corresponding to the rotary knob 4100 is displayed more brightly.
  • the degree of brightness of the additional icon 4270 as well as the icon 4250 may be controlled in plural numbers. For example, it can be controlled to the lowest level (or OFF state), the middle level and the highest level.
  • 11 and 12 illustrate examples in which a reservation option change and a rinse option change are performed on the assumption that a standard washing course is selected. Since this option change already presupposes the choice of a standard washing course, a course change at this point is not possible. Thus, the icon for the standard laundry course will appear at the highest level and the remaining icons will appear at the lowest level. Thus, the user can clearly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urse selection and the option selection.
  • the icons 4250 and 4270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4260. Similarly, the above-described input information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 the deco 4200 may include a power input unit 4220 and a start / pause input unit 4210.
  • the input units 4210 and 4220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utton.
  • the positions of the input units 4210 and 4220 substantially mean that the user interface 3000 may be concentrated on the rotary knob 4100.
  • Icons representing the input units 4210 and 4220 may also be implemen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 the radially inner circled area of the rotary knob 4100 may be divided into the display 4400, the option selectors 4710 to 4740, and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 the display area 4300 may further include a dummy area 4500.
  • the display area 4300 has a background of the same color.
  • a black background that is, the entire radially inner side of the rotary knob 4100 may be implemented as one black display.
  • This black display effect can be more pronounced through the above-mentioned light transmitting parts. This is because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n a state where power is not applied. That is, all the icons shown in FIG. 10 can be seen as if they disappeared. That is, ligh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option selectors 4710 to 4740 and the light transmission unit corresponding to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4600. In addition, the display 4400 is also turned off. Thus, the display area can be seen as if it is a black display. In addition, light does not pass through the light transmission unit 4260 corresponding to the washing course icons 4250 and 4270. Through this, a minimal design without letters or languages printed on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can be realized.
  • the rotary knob 4100 and the decor 4200 may be ex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control panel 2000, and the remaining components may be located inside the control panel 2000.
  • the display area 4300 is exposed from the front of the control panel 2000 to be accessible to the user.
  • the rotary knob 4100 is rotatably provided, and the display area 4300 provided in the radially inner side of the rotary knob 4100 is not rotated.
  • the display 4400 may be positioned at an inner side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0.
  •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0 rotates, the display 4400 is preferably fixed so as not to rotate. That is, the rotary knob 4100 and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0 may be rotatably provided with respect to the display area 4300.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position the encoder 4390 behind the rotary knob 4100. Therefore, in order to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rotary knob 4100 to the encoder 4390,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the encoder mounting portion 4370 on the radially outer side of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4360.
  • the display mounting unit 4360 and the encoder mounting unit 4370 may be provided to mesh with each other in a gear form. This allows rotation to be transmitted.
  • FIG. 1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user interface 3000 shown in FIG. 15.
  • a portion of the rotary knob 4100 may be inserted into the deco 4200 in the radial direction to be connected to the display mounting portion 4360.
  • the window 4310 and the single touch unit 4620a are positioned in front of the display area 4300.
  • An input unit housing 4320 and an LED PCB 4330 may be positioned behind the window 4310 and the single touch unit 4620.
  • the input housing 4320 may be equipped with four touch detectors 4710a corresponding to the option inputs 4710 to 4740 and a tact switch 4620b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unit 4620a.
  • the LED PCB 4330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4710b and a plurality of LEDs 4620c and 4620d corresponding to the single touch unit 4620 as light sources corresponding to the option input units 4710 to 4740, respectively. have.
  • a main PCB constituting the controller 4350 may be provided at the rear of the deco 4200, and the main PCB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EDs 4250a corresponding to each washing course.
  • an LED supporter 43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LED 4250a and the decor 4200.
  • a light transmitting part is formed in the window 4310, the single touch unit 4620a and the deco 4200 of the single variable input unit.
  • the light transmitting unit itself may be in the form of an icon. That is, the light may be substantially transmitted only through the icon-shaped portion. Therefore, by controlling the brightness of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icon differently, it is possible to visually display the current state.
  • These light transmitting portions can be made to correspond to each light source.
  • the light source may be an LED.
  • the controller 4350 preferably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se light sources selectively. This level of brightness may be made in three steps as described above.
  • the brightness control may be implemented through on / off control or duty ratio control for a plurality of LEDs.
  • the control of such a light source is to show the information display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part in a timely manner. That is, when selection or input is required or possible, light may be transmitted through the light transmitting unit to show that selection and input are possible.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icon of the light transmitting unit may show that any selection and input is possible. On the other hand, light is not transmitted when selection or input is unnecessary or impossible. Therefore, exposure of such information can effectively prevent a user from confusing the mist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에 각각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시작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을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며 선택된 세탁 코스를 실행 및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명령입력부; 및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세탁장치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편리한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세탁장치에 관한 것이다.
세탁장치로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가 대표적이며,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기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물론, 의류를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는 세탁 겸 건조기도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물에 의한 세탁이 아닌 열풍이나 스팀을 이용하여 의류를 리프레시하는 리프레셔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 또한 세탁장치라 할 수 있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세탁장치의 대표적인 예로 세탁기를 중심으로 기술하며, 다른 장치와 배타적이고 모순되지 않는 한 다른 세탁장치로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세탁기의 컨트롤 패널을 도시하고 있다.
컨트롤 패널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접근과 조작이 용이하도록 세탁기의 전면에 구비됨이 일반적이다. 컨트롤 패널에는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 등과 같은 입력부나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주기 위한 각종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종 입력부, 선택부 그리고 표시부 등을 모두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세탁기의 주기능은 세탁이다. 따라서 각종 세탁 코스를 선택하기 위한 코스 선택부(110) 또는 주기능 선택부가 구비되고, 사용자는 이를 통해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일례로 로터리 놉 형태로 코스 선택부(110)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100)에는 코스 표시부(11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코스 표시부에 대응되도록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여 원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코스 선택부(110)를 조작하면 상기 코스 표시부(111)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를 식별할 수 있게 된다.
도 1에는 로터리 놉(110) 주위에 다양한 세탁 코스가 표시된 코스 표시부(111)가 도시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로터리 놉(11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세탁 코스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12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코스 표시부(111)와 이에 대응되어 점멸되는 LED 표시부(121)를 통해 사용자는 선택된 세탁 코스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코스 표시부(111)는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주기능 수행에 있어서 부가되거나 변경되는 옵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선택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옵션 선택부(120)는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일례로 세탁(120a), 헹굼(120b), 탈수(120c), 물온도(120d), 건조(120e), 스팀(122), 그리고 예약(123)과 관련된 옵션을 선택할 수 있는 옵션 입입력부(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이 선택되었는지를 표시하는 옵션 표시부(122)도 구비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LED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패널(100)은 세탁기의 상태를 표시하는 상태 표시부(13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태 표시부(130)를 통해서 현재 세탁기의 동작 상태나 사용자의 코스 또는 옵션 선택 상태, 시간 정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태 표시부(13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세탁기가 헹굼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헹굼 단계 중"이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코스 입력을 기다리는 경우 "세탁 코스를 입력하세요"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의 시간이나 세탁기가 세탁 코스를 모두 수행하여 동작을 완료하는 데까지 남아있는 시간(잔여시간)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컨트롤 패널(100)에는 세탁기의 전원을 인가하고 해제시키는 전원 입력부(140)와 세탁기 동작을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지를 위한 시작/일시정지 입력부(150)가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종래의 컨트롤 패널(1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컨트롤 패널(100)의 공간상의 문제로 기본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구성 이외에 부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물론, 복잡하고 다양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컨트롤 패널(100)에 구현할 수도 있겠지만, 이는 사용자에게 과도한 집중과 사전 지식을 요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컨트롤 패널(100) 제조의 어려움이나 고용량의 메모리를 요하게 되어 세탁기 자체가 과도하게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아울러,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은 각각의 기능이 기설정되거나 세팅된 상태이므로 부가 기능을 위한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다양한 선택부들(110, 120)이 그대로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즉, 특정 시점에서 필요한 선택부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선택부도 사용자에게 노출된다. 따라서,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에는 세탁장치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사용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택부들(110, 120)과 표시부들(111, 121, 122)의 수가 많고 산재되어 있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매우 불편한 문제가 있다. 즉, 사용자가 세탁장치에 입력된 정보들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구성들에 시선을 고정시켜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 가전제품의 디자인에서 미니멀 디자인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아울러, 복잡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아닌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세탁장치에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왜냐하면, 적어도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모두 포함시키면서 단순하고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가 큰 무리 없이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적응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았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의 수는 기설정된다. 예를 들어, 도 1에는 12 개의 세탁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가 추가가 어렵고, 설령 추가된다 하더라도 코스 선택부(110)를 통하지 않고 별도의 옵션 버튼 등을 통해서 추가된 코스를 선택할 수밖에 없다. 즉, 동일한 레벨의 코스 선택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코스 선택부(110)가 아닌 다른 선택부(예를 들어, 슈즈 리프레시 코스(124)를 통해서 코스가 선택되어야 한다. 이로 인해, 매우 능숙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추가된 세탁 코스를 사용하는 것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되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될 수 있는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한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컨트롤패널에 인쇄되는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세탁 코스의 선택 및 옵션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에 각각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시작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을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며 선택된 세탁 코스를 실행 및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명령입력부; 및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도록 형성된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실행 및 정지시키도록 형성된 제2명령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은 복수 개의 도트(dot)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 개의 도트들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이 표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세탁 코스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 옵션 설정 화면에는 선택된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 예약 아이콘 및 추가 옵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 예약 아이콘 및 추가 옵션 아이콘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발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 설정 화면에는 되돌림(back) 아이콘이 더 표시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되돌림 아이콘이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코스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예약 아이콘이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아날로그 시계의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통해 예약시간이 선택되며, 상기 제2명령입력부를 통해 예약 설정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행정 중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제어부는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 중 상기 제2명령입력부만 활성화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세탁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전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미리 결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또는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장치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 중 하나는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3시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9시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탁 코스는 표준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워시, 알러지케어, 스팀클리닝, 기능성의류, 침구클리닝, 찬물세탁, 란제리/울, 이불 및 헹굼/탈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옵션은 세탁 강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및 탈수 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하면서도 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컨트롤패널에 산재되지 않고 특정 위치에 집중될 수 있는 디자인의 구현이 가능한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부의 사용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입력부의 수를 줄일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컨트롤패널에 인쇄되는 문자를 배제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화면을 통해 세탁 코스의 선택 및 옵션의 선택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세탁장치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 메커니즘과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 메커니즘과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조작 메커니즘과 명령입력부와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특정 세탁코스를 시작시켰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행정 중 화면을 타나낸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에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예약 옵션 화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헹굼 옵션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13은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부가 코스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14는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부가 코스 화면이 표시된 다른 일례를 도시한 전면도이다.
도 15는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컨트롤패널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세탁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에서 X축 방향을 세탁장치의 폭방향, Y축 방향을 세탁장치의 전후방향, Z축 방향을 세탁장치의 높이방향으로 정의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는 표준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워시, 알러지케어, 스팀클리닝, 기능성의류, 침구클리닝, 찬물세탁, 린제리/울, 이불 및 헹굼/탈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은 세탁 강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및 탈수 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탁장치(2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210),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는 컨트롤패널(220),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설치되는 조작부(310),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제공되는 원형의 디스플레이부(240),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젝오되는 명령입력부(311),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하도록 형성된 제어부(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비닛(210)은 세탁장치(200)의 전체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비닛(210) 내에는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 터브(미도시) 및 상기 터브 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세탁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드럼(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터브 및 드럼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구성이 채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에는 상기 드럼 내로 세탁물을 유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개방될 수 있는 도어(23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어(230)의 일측에는 상기 도어(230)를 열고 닫을 때 사용자에 의해 파지될 수 있는 손잡이(231)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230)의 중앙부는 상기 드럼 내측이 보이도록 투명한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향을 향하여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의 전방부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의 상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의 전방부가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에서 상기 아래쪽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부분이 상기 컨트롤패널(220)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캐비닛(210)의 상면(212)은 상기 캐비닛(210)의 설치면에 평행한 편평부, 상기 편평부로부터(즉, 상기 편평부의 전방 단부로부터) 상기 캐비닛의 전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된 경사부 및 상기 편평부와 상기 경사부를 연결하는 경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경사부가 상기 컨트롤패널(22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평부, 상기 경사부 및 상기 경계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전방 모서리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의 상부 모서리와 만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패널(220)은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면(211)보다 상기 캐비닛(210)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폭방향 중앙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외측으로(즉,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는 중공의 원통 형태 또는 중공의 다이얼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0)의 외주부를 파지한 후,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10)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중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구동(회전)에 기초하여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 및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0)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에 대한 세탁 코스 아이콘,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에 각각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시작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상기 시작 아이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이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액정표시장치(LCD)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1)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상기 조작부(310)를 통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명령입력부(31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정면에서 봤을 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3시 방향 및 9시 방향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사용자에 의해 눌려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명령입력부(311)를 눌러서 상기 조작부(311)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상용자는 상기 명령입력부(311)를 눌러서 상기 조작부(311)를 통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실행시키거나 일시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부(도 5 참조)는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명령입력부(311)의 조작(또는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 설정된 정보는 상기 입력 항목들 및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되는 코스 및 옵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에 대해서는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설치되는 조작 메커니즘(300, 도 3 및 4 참조)에 포함되는 구성으로서, 이하,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 메커니즘과 디스플레이부의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4는 상기 도 2에 도시된 조작 메커니즘과 디스플레이부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X축은 폭방향을 나타내고, Z축은 상하방향(높이방향)을 나타내며, Y축은 전후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의한다.
도 2 내지 4를 함께 참조하면, 조작부(310)는 중앙부에 관통홀(315, 이하 "조작부 관통홀"이라고도 함)을 구비하는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즉, 상기 원통형 조작부(310)는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조작부 관통홀(315)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작부(31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 외측으로(즉,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패널(220)로부터 상기 조작부(310)의 외부둘레의 적어도 일부가 돌출되고,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0)의 외부 둘레를 파지한 상태로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관통홀(315)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 관통홀(315) 내에 배치되고,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화면(또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세탁장치(200)의 전방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화면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dT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전술한 조작부(310)를 구비하는 조작 메커니즘(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은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연통하여 회전되는 제1기어부(330),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제2기어부(340),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된 엔코더(35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은 조작부(310), 제1기어부(330), 제2기어부(340) 및 엔코더(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기어부(33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조작부(3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어부(330)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조작부(310)가 회전 조작될 때,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조작부(310)의 하측에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1기어부(330)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1기어부(330)의 측면에서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기어부(330)가 회전될 때 상기 제2기어부(340)도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1기어부(33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330) 및 상기 제2기어부(340)는 평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제2기어부(340)에 연결되어 조작부(31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을 인식하도록 형성된 회전 인식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인식부(351)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 중심에 형성된 연결홀(341)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기어부(340)가 회전될 때, 상기 엔코더(350)의 회전 인식부(351) 역시 회전되면서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 피치(또는 회전 각도)가 상기 엔코더(350)에서 인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조작부(310)의 회전은 상기 제1기어부(330) 및 상기 제2기어부(340)를 통해 상기 엔코더(350)에 전달될 수 있고,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피치(또는 각도)를 인식하여 후술할 제어부(도 5 참조)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엔코더(350)를 통해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 메커니즘(300)은 상기 조작부(310)와 상기 제1기어부(330) 사이에 배치되는 회전축 부재(3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 부재(320)는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제1기어부(330) 사이에서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제1기어부(330)와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은 상기 회전축 부재(320)를 통해 상기 제1기어부(33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 부재(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전방 단부는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후방 단부는 상기 제1기어부(330)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전방 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322)는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체결 돌기(322)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체결 홈(316)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가 회전될 때 상기 회전축 부재(320)도 상기 조작부(31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후방 단부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후방 단부 둘레의 적어도 일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직선부(32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후방 단부의 외부 둘레에는 직선 형태의 제1직선부(321)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기어부(330)의 중앙부에는 제1기어부 관통홀(335)이 형성되고, 상기 제1기어부(3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직선부(321)에 대응하는 형태의 제2직선부(331)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축 부재(320)가(즉,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후방 단부가) 상기 제1기어부(330)에 결합될 때, 상기 제1직선부(321) 및 상기 제2직선부(331)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회전력이 상기 제1기어부(33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상기 회전축 부재(320)가 회전될 때 상기 제1기어부(330)도 상기 회전축 부재(32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또는 회전력)은 상기 회전축 부재(320)를 통해 상기 제1기어부(330)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축 부재(320) 둘레에는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부(37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부(370)는 상기 회전축 부재(320) 둘레에서 상기 조작부(310)의 후방 및 상기 제1기어부(33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어링부(370)는 상기 회전축 부재(320) 둘레에 배치되되, 상기 조작부(310)와 상기 제1기어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회전축 부재(320)는 상기 조작부(310)와 상기 제1기어부(330) 사이에서 상기 조작부(310) 및 상기 제1기어부(330)에 각각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은 상기 회전축 부재(320), 상기 제1기어부(330) 및 상기 제2기어부(340)를 통해 상기 엔코더(350)의 회전 인식부(351)를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피치(또는 회전 각도)를 인식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 피치(또는 회전 각도)의정보는 제어부(도 5 참조)로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20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 전방 으로(즉, 상기 컨트롤패널(220)에 수직하게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는 원통형 지지축(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축(260)은 적어도 일부가 컨트롤패널(220)의 상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260)은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지지축(260)의 직경은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축(260)의 외주면의 직경은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축(260)은 상기 회전축 부재(3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축(260)의 회주면의 직경은 상기 조작부(310)의 내주면의 직경,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내주면의 직경 및 상기 제1기어부(330)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축(260)은 상기 조작부(310), 상기 회전축 부재(320) 및 상기 제1기어부(330)를 순차적으로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260)의 내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축(260)의 전단부의 내주면에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축(260)은 조작부(310)의 회전 및 회전축 부재(32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축(260)의 전단부 둘레에 명령입력부(31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선택된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도록 형성된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상기 선택된 코스를 실행 또는 일시정지시키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제2명령입력부(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는 상기 지지축(260)에 결합되는 원형 링 형태의 지지부재(314)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축(260)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원형 링 형태의 지지부재(314)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314)는 조작부(310)의 내주면 및 지지축(260)의 외주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314)는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전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지지부재(314)는 상기 회전축 부재(32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지지부(314)는 회전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부(314)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 및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는 상기 지지부재(314)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는 상기 지지부재(314)에서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 중 하나는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3시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9시방향에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는 상기 지지부재(314)에서 9시 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는 상기 지지부재(314)에서 3시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는 상기 지지부재(314)에서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는 상기 지지부재(314)의 일측면(예를 들어,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제1광원(312) 및 상기 지지부재(314)의 타측면(예를 들어, 후방면) 상에서 상기 제1광원(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1스위치(313)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 역시, 상기 지지부재(314)의 일측면(예를 들어, 전방면) 상에 구비되는 제2광원(312') 및 상기 지지부재(314)의 타측면(예를 들어, 후방면) 상에서 상기 제2광원(312')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는 제2스위치(31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광원(312) 및 상기 제2광원(312')은 상기 세탁장치(200)의 외부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제1광원(312) 및 상기 제2광원(312')은 LED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스위치(313) 및 상기 제2스위치(313')는 제어부(도 5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명령입력부(311-1) 또는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누르면, 상기 제1스위치(313) 또는 상기 제2스위치(313')가 작동하여, 상기 제1스위치(313) 또는 상기 제2스위치(313')로부터의 신호가 상기 제어부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광원(312) 및 상기 제2광원(312')은 상기 지지부재(314)의 전방면에 구비되고, 사이 제1스위치(313) 및 상기 제2스위치(313')는 상기 지지부재(314)의 후방면에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14)의 후방에는 상기 지지축(260) 둘레에 상기 지지부재(314)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31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318)는 상기 회전축 부재(320)의 전단에서 상기 지지축(260) 둘레에 고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18)의 전방에 상기 지지부재(314)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314)의 전방면과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전방면이 동일 평면상에 있도록, 상기 지지부재(31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가 지지축(260)의 전단부 내주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부재(314)는 상기 지지축(260)의 전단부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전방면과 상기 지지부재(314)의 전방면은 동일 평면 상에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전방에는 투명부재(25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투명부재(25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전방면 및 상기 지지부재(314)의 전방면을 모두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부재(250)는 투명한 아크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부재(250)는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조작부(310)의 회전에 연동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투명부재(250)에서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제2명령입력부(311-2)에 대응하는 위치를 누름으로서, 상기 제1스위치(313) 또는 상기 제2스위치(313')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정보 또는 화면은 상기 투명부재(370)를 통하여 외부의 사용자에게 인식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탁장치(200)는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후방면(배면)에 결합되는 지지 바디(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 바디(360)는 상기 세탁장치(20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컨트롤패널(220)의 후방면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 바디(360)에는 상기 제1기어부(330)와 상기 원통형 지지축(26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시트(361), 및 상기 엔코더(350)와 상기 제2기어부(340)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시트(362)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지지 바디(360)의 폭방향 일측에는 상기 제1기어부(330)와 상기 원통형 지지축(260)의 설치를 위한 제1설치시트(361)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 바디(360)의 폭방향 타측에는 상기 엔코더(350)와 상기 제2기어부(340)의 설치를 위한 제2설치시트(36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설치시트(361) 및 상기 제2설치시트(362)는 서로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설치시트(361) 및 상기 제2설치시트(362)는 서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지지축(260)은 제1기어부 관통홀(335)을 통해 상기 제1설치시트(36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통형 지지축(260)의 후단부가 상기 제1설치시트(361)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 및 명령입력부(311) 역시 상기 원통형 지지축(260)의 전단부에서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1기어부(330)는 상기 제1설치시트(361) 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기어부(330)는 상기 제1설치시트(361) 내에서 상기 원통형 지지축(260)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사이 원통형 지지축(260)은 상기 제1기어부(330)의 회전축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제2설치시트(362)의 중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2기어부(340)는 상기 제2설치시트(362)에서 상기 엔코더(3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엔코더(350)에 구비된 회전 인식부(351)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인식부(351)는 상기 제2기어부(340)의 중앙에 형성된 연결 홀(341)에 연결되어, 상기 제2기어부(340)의 회전에 연동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조작 메커니즘 및 명령입력부를 통한 조작이 제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되는 원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조작 메커니즘과 제어부와 디스플레이부의 연결관계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세탁장치(200)는 제어부(288) 및 전원 입력부(2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 입력부(290)는 세탁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 입력부(290)는 상기 제어부(280)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세탁장치(200)에 선택적으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80)는 조작 메커니즘(300) 및 명령입력부(3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조작 메커니즘(300)으로부터 조작 신호를 전달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80)는 조작 메커니즘(300)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 및 상기 전원 입력부(290)를 제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부(310)가 회전되면,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력은 회전축 부재(320), 제1기어부(330) 및 제2기어부(340)에 순차적으로 전달되며, 마지막으로 상기 제2기어부(340)에 연결된 엔코더(350)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엔코더(350)는 상기 조작부(31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한 회전 각도의 신호를 상기 제어부(280)로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엔코더(350)로부터 전달받은 회전 각도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어 있는 복수 개의 입력 항목들이 순차적으로 발광(또는 활성화)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명령입력부(311)가 조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기 명령입력부(311)를 통해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상기 명령입력부(311)를 누를 수 있다. 즉,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사용자에 의해 눌릴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명령입력부(311)가 눌리면, 상기 명령입력부(311)에 구비된 스위치(313, 313')가 작동되고, 상기 명령입력부(311)가 눌린 신호는(즉, 상기 스위치(313, 313')가 작동된 신호는) 제어부(28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상기 명령입력부(311)가 눌린 신호(즉, 상기 스위치(313, 313')가 작동된 신호는)에 기초하여,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의 입력, 상기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의 변경 및 선택된 세탁 코스의 실행과 관련된 정보 또는 설명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80)에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조작부(310)가 미리 결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상기 전원 입력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세탁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310)를 미리 결정된 각도(예를 들어, 360도) 이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세탁장치(20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하여, 명령입력부(예를 들어, 제1명령입력부(311-1) 또는 제2명령입력부(311-2))를 미리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2 내지 3초) 이상 누르고 있을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입력부(290)는 상기 명령입력부(예를 들어, 제1명령입력부(311-1) 또는 제2명령입력부(311-2))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예를 들어, 2 내지 3초) 이상 지속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제1명령입력부(311-1) 또는 제2명령입력부(311-2)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상기 전원 입력부(290)나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원 입력부(29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회전시키거나 명령입력부(311)를 눌러서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명령 입력부(311)를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눌러사 상기 세탁장치(200)로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서 구현되는 화면 또는 영상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6을 함께 참조하면,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된 원통형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원형 링 형태의 지지부재(314)가 구비되고, 상기 원형 링 형태의 지지부재(314)의 반경방향 내측에 원형 디스플레이부(2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조작부(310)의 외주면은 미리 결정된 폭을 구비하며,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310)의 외주면을 파지한 상태로 상기 조작부(310)를 회전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314)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과 관계 없이 회전하거나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지지부재(314)에는 명령입력부(311)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제2명령입력부(311-2)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은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세탁장치(200)에 전원이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40)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둘레방향(즉, 디스플레이부(240) 정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241-1 ~ 241-13)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241-1 ~ 241-13)은 복수 개의 도트(dot)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241-1 ~ 241-13)이 선택적으로 발광(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는 선택된 코스의 명칭을 포함하는 코스의 설명 및 소요 시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241-1 ~ 241-13)은 표준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워시, 알러지케어, 면(cotton), 스팀클리닝, 기능성의류, 침구클리닝, 찬물세탁, 린제리/울, 이불 및 헹굼/탈수를 위한 아이콘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241-1 ~ 241-13)이 표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는 선택된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서는 조작부(310)를 통해 면(cotton) 코스가 선택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정보를 나타낸다.
즉, 도 6은 복수 개의 도트의 형태로 표시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241-1 ~ 241-13) 중 면(cotton) 코스가 선택된 상태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애부(240)에 표시된 복수 개의 도트들(즉, 세탁 코스들)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제어부(280)가 디스플레이부(240)를 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조작부(310)를 회전시키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된 복수 개의 도트들(즉, 세탁 코스들)이 순차적으로 발광 또는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른 신호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엔코더(250)를 통해 제어부(28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어부(280)는 상기 엔코더(250)를 통해 전달된 회전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의 중앙부에는 면(cotton) 코스의 정보 및 소요 시간의 정보가 문자로 표시될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상기 선택된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애부(240)의 반경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부재(314)에는 하나 이상의 명령입력부(311)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명령입력부(311)는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제2명령입력부(3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는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입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는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코스에 따라 세탁 행정을 시작하거나 일시정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면(cotton) 코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1명령입력부(311-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면, 도 7에 도시된 상기 면 코스에 수반되는 옵션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는 옵션 설정 화면으로 진행된다.
즉,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면(cotton) 코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명령입력부(311-1)를 누르면,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면 코스에 수반되는 옵션이 표시되는 옵션 설정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부(2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면(cotton) 코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제2명령입력부(311-3)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면, 도 8에 도시된 행정 중 화면으로 진행된다.
즉,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면(cotton) 코스가 선택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누르면, 디스플레이부(240)는 상기 면 코스가 실행되고 있는 상태가 표시되는 행정 중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부(2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 설정 화면 및 행정 중 화면에 대해서는, 이하 도 7 및 8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디스플레이부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7을 참조하면, 옵션 설정 화면에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 예약 아이콘(224-5) 및 추가 옵션 아이콘(242-6) 중 하나 이상이 디스플레이부(240)의 둘레방향(즉, 디스플레이부9240) 정면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은 세탁 강도 아이콘(242-1), 세탁수 온도 아이콘(242-1), 헹굼 횟수 아이콘(242-3) 및 탈수 강도 아이콘(242-3)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옵션 설정 화면에서,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선택된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 예약(dealy) 아이콘(242-5) 및 추가 옵션 아이콘(242-6)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작부(310)의 조작(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 예약 아이콘(242-5) 및 추가 옵션 아이콘(242-6)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발광(활성화)되도록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 개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이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복수 개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선택된 옵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세탁수 온도 아이콘(242-2)을 발광 또는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를 통해 신호를 입력하면(즉,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를 누르면) 상기 세탁수 온도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선택된 옵션의 값을 변경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를 눌러서 상기 조작부(310)에 의해 선택된 옵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옵션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는 제2명령입력부(311-2)를통해 신호를 입력하여(즉,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눌러서) 옵션의 설정을 변경하지 않고 기 설정된 옵션에 따라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옵션 설정 화면에서, 사용자가 옵션 값의 변경 없이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누르면, 조작부(310)를 통해 선택된 코스 및 상기 선택된 코스에 수반되는 기 설정된 옵션에 따라서 상기 세탁장치(200)가 구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코서 선택 화면이든 옵션 설정 화면이든 관계없이,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누름으로서 현재 설정된 코스 및 옵션에 따라서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세탁수 온도에 대한 정보(또는 설정 값)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반경방향 중앙부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또한, 상기 옵션 설정 화면에는 추가 옵션 아이콘(242-6) 및 되돌림(back) 아이콘(242-7)이 더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 옵션 아이콘(242-6) 및 되돌림(back) 아이콘(242-7) 역시,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 및 상기 예약 아이콘(242-5)과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추가 옵션 아이콘(242-6)이 발광(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명령입력부(31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상기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242-1 ~ 242-4)과 다른 옵션들이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옵션들은 애벌세탁 및 스팀세탁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에 상기 다른 옵션들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해 변경을 원하는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른 옵션 아이콘들을 실행할지 여부를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를 누름으로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되돌림(back) 아이콘(242-7)이 발광(활성화)된 상태에서 제1명령입력부(31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디스플레이부(240)에 코스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되돌림 아이콘(242-7)이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311-1)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도 6에 도시된 코스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2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세탁장치(200)의 구동 중(즉, 행정 중)에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영상 또는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특정 세탁코스를 시작시켰을 때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행정 중 화면을 타나낸다.
구체적으로,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코스 선택 화면에서 면 코스가 선택된 후 제2명령입력부(311-2)를 통해 실행 명령이 입력될 때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행정 중 화면을 나타낸다.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하는 세탁 코스의 선택을 완료한 후에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눌러서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키거나, 원하는 세탁 코스의 선택 및 옵션의 설정을 완료한 후에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눌러서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는 동안에 디스플레이부(240)에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 코스의 정보 및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 등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즉,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는 동안에, 조작부(310)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현되는 디스플레이부(240)에는 현재 진행중인 세탁 코스의 정보 및 세탁 완료까지 남은 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에는 현제 진행중인 행정(예를 들어, 세탁 행정(washing))이 더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240)에 행정 중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지지부재(314)에 마련되는 제1명령입력부(311-1)는 활성화되지 않도록 제어부(280)가 제1명령입력부(311-1)를 제어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부(240)에 행정 중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지지부재(314)에 마련되는 제2명령입력부(311-2)만이 활성화되도록 제어부(280)가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디스플레이부(240)에 코스 선택 화면(도 6) 및 옵션 설정 화면(도 7)이 표시되고 있을 때, 상기 지지부재(314)에 마련되는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제2명령입력부(311-2)가 모두 활성화되도록 상기 제어부(280) 제1명령입력부(311-1) 및 제2명령입력부(311-2)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40)에 행정 중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사용자는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눌러서 세탁장치(200)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세탁장치(200)가 일시정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눌러서 세탁장치(200)를 다시 구동시킬 수 있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디스플레이부에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일례를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옵션 설정 화면에서, 조작부(310)의 회전에 의해 예약 아이콘이 선택되고 제1명령입력부(311-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는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아날로그 시계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때, 조작부(310)의 회전을 통하여 예약 시간이 선택될 수 있고,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를 통하여 예약 설정에 따라 세탁장치(20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0)에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되어 있을 때, 제1명령입력부(311-1)는 디스플레이부(240)에 표시되는 화면을 이전 화면(옵션 설정 화면)으로 되돌리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240)에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명령입력부(311-1)를 누르면, 상기 디스플레애부(240)에는 옵션 설정 화면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약 설정 화면에는 현재 시간을 기준으로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가 부채꼴 형태로 발광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240)의 중앙부에는 세탁 종료 시간(End Time)이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의 면적을 통하여 세탁 소요 시간 역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예약 설정을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조작부(3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조작부(310)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 역시 이동(즉,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부(310)의 시계방향 회전에 따라서,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채꼴 형태의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가 원하는 위치에 있을 때, 사용자는 제2명령입력부(311-2)를 누름으로서, 예약 설정을 완료할 수 있다.
즉, 상기 세탁 완료 시간 표시(247)가 원하는 세탁 완료 시간에 위치될 때, 상기 제2명령입력부(311-2)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80)는 설정된 예약 시간에 기초하여 세탁장치(200)가 구동되도록 상기 세탁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를 나타낸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는 세탁장치의 컨트롤패널(2000, 도 15 참조)이나 세탁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캐비닛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컨트롤패널(2000)은 세탁장치의 외형을 형성하는 캐비닛의 일부일 수 있으며, 상기 캐비닛에 장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래의 복잡하고 다양한 입력부 또는 선택부와 디스플레이를 로터리 놉(4100)을 중심으로 집중시킨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 및 이를 포함하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로터리 놉(4100)은 조작부로 나타낼 수도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와는 달리 다양한 입력부나 디스플레이가 산재되지 않고, 로터리 놉(4100)을 중심으로 최소의 입력부를 갖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능을 실질적으로 모두 포함하거나 용이하게 추가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환형의 로터리 놉(410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디스플레이(4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400)에는 코스 정보와 옵션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4400)는 액정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고 LCD, LED 또는 OLED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와 같이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다.
그러나, 터치 디스플레이로 디스플레이가 구현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로 인해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아울러, 제어부를 구성하는 프로세서의 고성능이 요구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생산원가가 지나치게 상승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한 문자나 도형 등을 표시할 수 있는 액정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4400)는 상기 로터리 놉을 통해 선택되는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코스 화면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4400)는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뿐만 아니라 안내 화면(미도시)이나 코스 진행 화면(미도시)를 표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탁장치는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는 세탁의 목적이나 세탁물의 종류에 따라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하게 된다. 도 10에는 10 개의 세탁 코스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세탁 코스의 수는 아이콘(4250)의 수를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가 아이콘(4270)을 통해 새로운 세탁 코스를 적어도 하나 이상 추가할 수 있다.
사용자는 로터리 놉(4100)을 통해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에서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0)을 잡고 회전시키면 기설정된 순서대로 선택되는 코스가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리 놉(4100)을 통한 코스 선택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다. 따라서, 로터리 놉(4100)을 통한 코스 선택에 익숙해진 사용자가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대한 부담이나 어려움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4400)에는 초기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탁 코스를 선택하세요"라는 문구를 갖는 초기 안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가 코스 선택을 위하여 로터리 놉(4100)을 회전시킴에 따라, 복수 개의 세탁 코스가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4400)에 표시될 수 있다. 이때의 화면을 코스 화면이라 할 수 있다. 도 10에는 코스 화면의 일례로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코스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준 세탁 코스의 코스 화면에서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0)을 1 피치 더 회전시키면 다음 코스에 해당하는 코스 화면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코스 화면에 표시되는 코스가 선택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코스 화면에는 코스명뿐만 아니라 선택된 특정 코스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비전력, 코스 수행 시간 그리고 코스 내의 행정에 관한 정보들이 나타날 수 있다.
사용자는 코스를 선택하는 로터리 놉(4100)의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400)를 통해 선택되는 코스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시선을 옮기거나 분산시키기 않고도 선택되는 코스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되는 언어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즉, 각각의 언어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코스명은 각각의 언어에 따라 정해지는데, 언어가 달라지더라도 하드웨어의 변경 없이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컨트롤패널에는 코스명이 컨트롤패널 전면에 인쇄된 형태로 구비되게 된다. 하나의 세탁장치 제조업체에서 제조하는 세탁장치는 국내뿐만 아니라 다양한 언어를 갖는 여러 나라에서 판매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언어에 따라 하드웨어가 변경되어야 하는 문제가 발생 되는 것이다. 그러나, 로터리 놉(4100)의 반경 방향 내측 또는 로터리 놉(4100)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디스플레이로 인해, 달라지는 언어에 대해서 소프트웨어적으로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각각의 언어에 맞게 컨트롤패널을 제작할 필요가 없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세탁 코스는 세탁 행정, 헹굼 행정 그리고 탈수 행정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코스에 따라서는 적어도 어느 하나의 행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코스에 따라, 예를 들어 각 행정들의 수행 시간, 수행 횟수 그리고 드럼 구동 패턴이 서로 다르게 기설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세탁 코스는 기본적인 설정값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표준 세탁 코스의 기본 설정값은, 60℃의 세탁수 온도, 표준의 세탁 강도, 3회의 헹굼 그리고 강한 탈수를 갖는다. 이러한 기본 설정값은 각각의 코스마다 달리 설정될 수 있으며 변경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특정 코스에는 이러한 변경이 제한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코스를 선택한 후, 사용자는 시작/일시정지 입력부(421)를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가 가장 기본적인 세탁장치의 사용 형태라 할 수 있다. 즉, 시작이 입력 되면, 세탁장치는 선택된 특정 코스에 따라 구동을 시작하고, 기설정된 행정들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코스를 종료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코스에는 다양한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값 또는 조건을 변경할 수 있는 다양한 옵션이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의 선택은 특정 세탁 코스의 선택을 전제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옵션은 코스 내에 포함되는 행정들 각각의 조건을 변경시키는 것, 부가적인 행정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그리고 코스의 수행 완료 시간을 변경하는 것(예약 설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옵션은 세탁수의 온도, 세탁 강도, 헹굼 횟수 그리고 탈수 강도를 변경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옵션 변경은 복수 개의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4 가지의 옵션을 기본 옵션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탈수 강도 옵션은 강, 중 그리고 하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드럼의 회전 RPM을 서로 달리하여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헹굼 횟수 옵션은 헹굼 없음에서부터 헹굼 4회까지 5 단계의 값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옵션은 예약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약 옵션은 코스가 종료되는 시점을 지연시키는 옵션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2시간이 소요되는 특정 코스가 선택되는 경우, 코스 종료의 시점을 현재로부터 4시간 후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세탁장치는 2시간의 대기 시간을 갖고 나머지 2시간 동안 선택된 코스를 수행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이러한 예약 옵션은 장시간 외출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즉, 귀가하는 시간에 맞춰 세탁이 종료되도록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세탁 종료를 기다리거나 세탁 종료된 세탁물이 세탁장치 내에 오랜 시간 동안 방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직관적이고 미니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갖는 세탁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선택 시점에 따라서, 복수 개의 입력 정보(4610, 46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입력부가 복수 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상기 로터리 놉(4100)과는 별도로 사용자가 선택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사용자가 터치나 가압함으로써 선택되는 버튼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복수 개의 입력 정보를 갖고 상기 복수 개의 입력 정보(4610, 4620)가 선택적으로 표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즉, 현재의 시점에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의 선택이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 가시적으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에서 시계 모양의 아이콘(4610)이 표시된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시계 모양의 아이콘을 통해 입력 정보가 시간과 관계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약과 관계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시계 모양의 아이콘(4610)을 보고 예약이라는 입력 정보를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일례로, 도 10에 도시된 "표준 세탁"이라는 코스 화면에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이는, "표준 세탁"을 선택한 후 표준 세탁 코스가 수행되어 종료되는 시점을 지연시키기 위한 사용자의 의도가 직접적으로 반영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약이라는 입력 정보(즉, 시계 모양의 아이콘)가 표시된 입력부(460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4400)는 코스 화면에서 옵션 화면으로 전환한다. 즉,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의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예약 진입을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는 코스 화면과 옵션 화면을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도 11에는 예약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즉, 코스 화면에서 예약 정보를 표시하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을 설정하기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즉, 예약 시간을 변경할 수 있는 예약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때, 시계 형태가 표시되고 현재 시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코스명과 완료시간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완료시간은 현재로부터 몇 시간 후 세탁이 종료되는지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도 10에서 도 11로 화면이 전환되었음을 전제로 하면, 현재로부터 2시간 20분 지연 후 표준 코스가 시작됨을 의미한다. 그리고, 표준 코스는 1시간 10분 동안 수행되어 현재로부터 3시간 30분 후 종료됨을 의미한다.
이러한 예약 변경 또는 지연 시간 변경은 로터리 놉(4100)을 돌리는 것으로 수행될 수 있다. 즉, 코스 화면이 아닌 옵션 화면, 특히 예약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에서는 로터리 놉(4100)이 예약 시간 변경을 위한 수단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리 놉(4100)을 시계 방향으로 1 피치씩 돌림에 따라, 일례로 10분 또는 30분씩 지연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반대 방향으로는 1피치씩 10분 또는 30분씩 지연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물론, 지연 시간 설정 범위와 단위는 기설정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사용자가 일례로 로터리 놉(4100)을 통해 예약 시간을 결정한 후,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통해서 예약 설정을 완료했다는 의사를 입력할 수 있다. 즉, 예약 설정을 완료했다는 입력을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통해서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일례로 예약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해 구비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예약 옵션 설정 완료를 위해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는 다시 옵션 화면에서 코스 화면으로 전환하여 표시한다. 물론, 도 10에 도시된 시간 정보는 1시간 10분에서 3시간 30분으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진입과 옵션 변경 후 옵션 설정 완료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입력부(4600)를 통해서 복수 개의 입력 또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서, 입력부의 수가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코스 선택 시점과 코스 선택 후 옵션 선택 시점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필요한 입력을 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아울러, 시점에 따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를 선택하는 것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가시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입력정보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 자체에 표시되기 때문에, 더욱 직관적으로 입력부(4600)를 선택하는 의미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코스 선택 시점과 코스 선택 후 옵션 선택 시점의 구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에서 코스 화면 표시 시점과 옵션 화면 표시 시점의 구분과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스 화면에서는 시간 아이콘의 표시(4610) 그리고 옵션 화면에서는 OK 표시(4620)가 나타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서 표시하는 화면을 구분하여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달라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는 각각의 코스 화면에 대응되는 입력 정보가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의 선택 시,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표시하고 있는 입력 정보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예약 옵션 진입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예약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그리고, 설정 완료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가 입력되면, 제어부는 코스 화면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를 제어하게 된다. 물론, 이때의 코스 화면은 변경된 옵션이 반영된 코스 화면이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하나의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에는 도 10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아이콘(4610, 4620)가 상하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좌우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두 개의 아이콘은 선택적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입력 정보의 선택적 표시는 광원의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의 밝기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상기 로터리 놉(410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상기 디스플레이(4400)뿐만 아니라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을 최소함과 동시에 직관적인 입력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옵션은 예약 옵션뿐만 아니라 기본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특정 세탁 코스 내에서 기본 옵션을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기본 옵션을 변경하기 위하여 옵션 선택부(4710 내지 474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에는 4 가지의 기본 옵션 선택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본 옵션의 수는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4710 내지 4740)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버튼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0에 도시된 코스 화면에서, 사용자는 일례로 헹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하여 헹굼 옵션에 해당하는 옵션 선택부(4730)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옵션 선택부(4730)의 선택은 사용자가 옵션 선택부(4730)를 누르거나 터치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헹굼 옵션 선택부(4730)가 선택되면, 디스플레이(4400)에는 헹굼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즉, 제어부는 헹굼 옵션 선택부(4730)가 입력되면 이에 해당하는 옵션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4400)를 제어하게 된다. 도 12에는 헹굼 옵션 변경을 위한 옵션 화면의 일례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화면에서 사용자는 원하는 헹굼 옵션을 선택할 수 있다. 즉, 기설정된 헹굼 횟수와는 다른 헹굼 횟수를 선택할 수 있다. 일례로 헹굼 횟수 3회라는 기본 설정을 2회로 설정할 수 있다.
헹굼 횟수의 변경은 로터리 놉(4100)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로터리 놉(4100)을 돌림에 따라 헹굼 횟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헹굼 횟수 3회에서 2회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로터리 놉(4100)을 반시계방향으로 1 피치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헹굼 횟수의 변경은 헹굼 옵션 선택부(4730)을 누름으로써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헹굼 옵션 선택부(4730)을 누를 때마다 헹굼 횟수가 순차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헹굼 횟수를 변경한 후, 사용자는 도 12에 도시된 화면에서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입력할 수 있다. 즉, 특정 헹굼 횟수의 선택 완료를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입력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는 전술한 예약 옵션 설정 완료와 마찬가지로 일례로 OK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즉, 헹굼 옵션 설정 완료를 의미하는 OK 정보를 표시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에서는 상기 단일 가변형 입력부에서 옵션 설정 완료라는 입력 정보를 표시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다른 옵션인 세탁수 온도, 세탁 강도 그리고 탈수 강도도 마찬가지임이 바람직하다.
도 12에서는 헹굼 옵션을 변경하기 위한 옵션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헹굼 옵션 선택부(4730)은 다른 옵션 선택부(4710, 4720, 4740) 보다 더욱 밝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10에서와 같은 예약 설정 화면에서는 옵션 선택이 불가할 수 있다. 따라서, 예약 설정 화면에서는 이러한 선택부(4710 내지 4740)가 표시되지 않음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세탁 코스의 선택과 옵션의 선택은 모두 로터리 놉(4100)과 디스플레이 영역(4300)에서 수행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한 사용자의 손과 시선이 분산되지 않고 특정 영역에 집중될 수 있어서 사용이 편리하게 된다.
즉, 로터리 놉(4100)의 조작과 이에 따른 로터리 놉 내측의 디스플레이에 의한 화면이 즉각적으로 변경되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옵션의 선택과 변경 그리고 옵션 설정의 완료가 로터리 놉(4100) 내부의 디스플레이 영역에서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서도 매우 용이하게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놉(1100)의 반경 방향 외측에는 코스 표시부(1210)가 구비된다. 따라서, 로터리 놉(1100)이 회전됨에 따라 발광되는 코스 표시부의 위치가 가변된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익숙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도 이와 유사한 환형의 데코(4200)와 상기 데코에 구비되는 아이콘(42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0)은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코스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0)은 도형이나 그림 형태로 각각의 세탁 코스를 직관적으로 대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콘(4250)은 언어가 아니기 때문에 언어가 달라짐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즉, 세탁장치가 판매되는 장소의 언어와 무관하기 때문에 미니멀 디자인에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0)은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보조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아이콘(4250)을 통해서 옵션 변경 등의 과정에서 전제로 선택된 특정 세탁 코스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데코(4200)에는 각각의 세탁 코스를 대변하는 아이콘뿐만 아니라 부가 아이콘(4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아이콘(4270)은 상기 세탁장치가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세탁 코스 외에 부가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의류의 재질이 다양해 지고 기능성 의류들의 사용 빈도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세탁 코스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세탁장치에는 새로운 세탁 코스가 부가되어야 하는데,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변경하는 것도 용이하지 않다.
새로운 세탁 코스가 부가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쉽게 노출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세탁 코스의 부가가 시도되지 않게 되는 문제도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문자가 아닌 부가 아이콘을 통해서 사용자가 쉽게 부가된 세탁 코스를 확인하고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제공되는 세탁 코스 중에서도 사용 빈도가 매우 낮은 세탁 코스가 있을 수 있다.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될 필요는 없다. 그렇다고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를 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를 상기 부가 아이콘(4270)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통해서 아이콘(4250)의 수가 지나치게 많아져 식별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부가 아이콘(4270)은 기본 세탁 코스 외에 새로이 추가되는 세탁 코스 및/또는 사용 빈도수가 높은 기본 세탁 코스 외에 빈도수가 낮은 기본 세탁 코스에 대응된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로터리 놉(4100)을 돌림에 각각의 기본 아이콘이 순차적으로 더욱 밝게 표시된다. 이후, 로터리 놉(4100)을 더욱 돌리면 상기 부가 아이콘이 더욱 밝게 표시된다. 이때, 부가 아이콘에 해당하는 코스가 디스플레이(4400)에 표시되게 된다.
새로운 코스가 3 개인 경우에는, 로터리 놉(4100)을 2 피치 돌릴 때까지는 여전히 부가 아이콘이 더욱 밝게 표시될 수 있다. 물론, 로터피 놉(4100)을 1 피치 돌리면 이에 해당하는 새로운 코스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것이다.
도 13에는 추가된 새로운 코스의 일례로 수영복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부가 아이콘을 통해서 추가되는 새로운 코스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관한 하드웨어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음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스 선택 방식을 그대로 유지하면서도 새로운 코스의 추가, 선택 및 사용이 매우 용이하다.
한편, 상기 수용복 코스는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코스일 수도 있다. 수용복을 세탁하기 위한 코스의 사용 빈도는 매우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사용 빈도가 낮은 코스를 상기 부가 아이콘(4270)에 대응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통해서, 사용 빈도가 낮은 세탁 코스가 항상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4에는 추가된 새로운 코스의 일례로 마찬가지로 수영복 코스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3에서와는 달리 코스명이 아닌 코스를 설명하는 문구가 표시될 수도 있다. 물론, 도 13과 도 14에 도시된 화면이 번갈아가면서 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추가된 코스인 경우에는 디스플레이(4400)에서 이를 명확히 표시할 수 있다. 도 13과 도 14에는 "NEW"라는 문구를 통해서 추가된 코스임을 명확히 표시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코(4200)에 구비되는 아이콘(4250)은 코스 선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부가 수단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선택되는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에 비해서 시각적으로 달라짐이 바람직하다.
도 10에는 "표준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아이콘이 다른 아이콘에 비해서 더욱 밖게 표시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먼저 세탁 코스가 선택됨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원이 인가되면 가장 먼저 복수 개의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모든 아이콘이 동일한 밝기로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로터리 놉(4100)을 회전시킴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세탁 코스에 해당하는 아이콘만 더욱 밝게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아이콘(4250)뿐만 아니라 부가 아이콘(4270)의 밝기의 정도는 복수 개로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최저 레벨(혹은 OFF 상태), 중간 레벨 그리고 최고 레벨로 제어될 수 있다.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와 세탁 코스로 선택될 수 없는 상태에서 최저 레벨일 수 있다. 세탁 코스로 선택될 수 있는 상태에서 중간 레벨일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코스로 선택된 상태에서 최고 레벨일 수 있다.
도 10에서는 표준 세탁 코스가 선택되었기 때문에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아이콘이 최고 레벨이며 나머지 아이콘들은 중간 레벨이라 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상태에서는 세탁 코스가 변경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아이콘들의 밝기 레벨 차이를 통해서 직관적인 현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도 11과 도 12에서는 표준 세탁 코스가 선택됨을 전제로 예약 옵션 변경 그리고 헹굼 옵션 변경이 수행되는 일례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옵션 변경은 이미 표준 세탁 코스의 선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의 코스 변경은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표준 세탁 코스에 대한 아이콘은 최고 레벨로 나타나고 나머지 아이콘들은 최저 레벨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코스 선택과 옵션 선택 사이에서 선후 관계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4250, 4270)은 광투과부(4260)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입력 정보들도 광투과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코(4200)에는 전원 입력부(4220)와 시작/일시정지 입력부(421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4210, 4220)는 버튼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4210, 4220)의 위치는 실질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가 모두 로터리 놉(4100)에 집중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입력부(4210, 4220)들을 의미하는 아이콘들도 광투과부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디스플레이(4400)와 옵션 선택부(4710 내지 4740) 그리고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복수 개로 구획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로터리 놉(4100)의 반경 방향 내측의 원 영역은 디스플레이(4400), 옵션 선택부(4710 내지 4740) 그리고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로 서로 구획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사각형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더미 영역(4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동일한 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검정색의 바탕화면을 갖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리 놉(4100)의 반경 방향 내측 전체가 하나의 블랙 디스플레이처럼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실제로는 일부분만 디스플레이인 것임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가의 터치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지 않고도 마치 터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사용 만족감 및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블랙 디스플레이 효과는 전술한 광투과부들을 통해서 더욱 두드러질 수 있다. 왜냐하면, 전원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광투과부를 통해 빛이 투과되지 않기 때문이다. 즉, 도 10에 도시된 모든 아이콘들이 마치 사라진 것처럼 보여질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옵션 선택부(4710 내지 4740)에 대응되는 광투과부와 단일 가변형 입력부(4600)에 대응되는 광투과부에서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그리고, 디스플레이(4400)도 오프 상태가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영역이 마치 블랙 디스플레이인 것처럼 보여질 수 있다. 그리고, 세탁 코스 아이콘들(4250, 4270)에 대응하는 광투과부(4260)를 통해서도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이를 통해, 컨트롤패널의 전면에 마치 인쇄된 형태의 문자나 언어가 없는 미니멀 디자인이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의 구조에 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5에는 컨트롤패널(2000)과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의 위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패널(2000)의 전면에는 로터리 놉(4100)과 데코(4200)가 노출되며 나머지 구성들은 컨트롤패널(200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아울러, 컨트롤패널(2000) 전면에서 디스플레이 영역(4300)이 노출되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게 된다.
상기 로터리 놉(4100)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로터리 놉(4100)의 반경 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 영역(4300)은 회전되지 않게 된다.
상기 로터리 놉(4100)의 회전은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에 전달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의 회전은 다시 엔코더 장착부(4370)로 전달된다. 상기 엔코더 장착부(4370)의 회전으로 인해 엔코더(4390)가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엔코더(4390)의 회전 신호는 제어부(4350)로 전달된다. 상기 제어부는 PCB에 장착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의 반경 방향 내측에는 디스플레이(44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가 회전함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4400)는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즉, 로터리 놉(4100)과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는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430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로터리 놉(4100)의 후방에 엔코더(4390)를 위치시키기가 어렵게 된다. 따라서, 엔코더(4390)에 상기 로터리 놉(4100)의 회전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의 반경 방향 외측에 엔코더 장착부(4370)를 위치시킴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과 상기 엔코더 장착부(4370)는 서로 기어 형태로 맞물리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이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30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데코(4200)의 반경 방향 내측에 로터리 놉(4100)의 일부가 삽입되어 디스플레이 장착부(4360)와 형합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영역(4300)의 전면에는 윈도우(4310)와 단일 터치부(4620a)가 위치된다.
상기 윈도우(4310)와 단일 터치부(4620)의 후방에는 입력부 하우징(4320)과 LED PCB(433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 하우징(4320)은 옵션 입력부(4710 내지 4740)에 대응되는 4개의 터치 감지부(4710a)와 상기 단일 터치부(4620a)에 대응되는 택트 스위치(4620b)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LED PCB(4330)에는 상기 옵션 입력부(4710 내지 4740)에 각각 대응되는 광원으로 복수 개의 LED(4710b)와 상기 단일 터치부(4620)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LED(4620c, 4620d)가 구비될 수 있다.
LED(4710b)는 4 개의 기본 옵션에 각각 대응되도록 4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들의 밝기는 달리 제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LED(4620c, 4620d)는 단일 가변형 입력부(4620)에서의 입력 정보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이들의 밝기는 서로 달리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데코(4200)의 후방에는 제어부(4350)를 이루는 메인 PC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 PCB에는 각각의 세탁 코스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LED(4250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LED(4250a)와 상기 데코(4200) 사이에는 LED 서포터(4340)가 위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윈도우(4310), 단일 가변형 입력부의 단일 터치부(4620a) 그리고 데코(4200)에는 광투과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광투과부 자체가 아이콘 형태일 수 있다. 즉, 아이콘 모양 부분을 통해서만 실질적으로 빛이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콘을 통해 투과되는 빛의 밝기를 달리 제어함으로써 현재 상태를 가시적으로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이들 광투과부는 각각의 광원과 대응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광원은 LED 일 수 있다. 제어부(4350)는 이들 광원들의 밝기를 선택적으로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밝기의 레벨은 전술한 바와 같이 3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밝기의 제어는 복수 개의 LED에 대한 on/off 제어 또는 듀티비(duty ratio) 제어를 통해서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광원 특히 LED의 제어는 광투과부를 통해서 표시되는 정보를 시의적절하게 보여주기 위함이라 할 수 있다. 즉, 선택이나 입력이 필요하거나 가능한 상태에서는 광투과부를 통해서 빛이 투과되어 선택과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광투과부의 아이콘 형상으로 인해 어떠한 선택과 입력이 가능함을 보여줄 수 있다. 반면, 선택이나 입력이 불필요하거나 불가능한 상태에서는 빛이 투과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가 노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오인 혼동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입력부에서 현재 상태에서 따라 어떠한 입력이 가능한지 선택적으로 보여주기 때문에, 입력부의 수가 감소하며,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되고, 사용자의 오인 혼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첨부된 청구 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발명을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앞으로의 실시예들의 변경은 본 발명의 기술을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18)

  1. 복수 개의 세탁 코스를 제공하고,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중 특정 세탁 코스가 선택되면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세탁장치에 있어서,
    특정 세탁 코스를 선택하고 상기 특정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선택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형성된 조작부;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에 각각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옵션 아이콘 및 시작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입력 항목들을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선택적으로 표시하도록 형성된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며 선택된 세탁 코스를 실행 및 정지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명령입력부; 및
    상기 조작부 및 상기 명령 입력부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기 설정된 정보가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세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입력 항목들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입력부는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세탁 코스를 입력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을 변경하도록 형성된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조작부에 의해 선택된 코스를 실행 및 정지시키도록 형성된 제2명령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세탁장치에 전원이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코스 선택 화면이 표시되고,
    상기 코스 선택 화면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은 복수 개의 도트(dot)의 형태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복수 개의 도트들이 순차적으로 발광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선택된 코스에 수반되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정보가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들이 표시된 위치와 다른 위치에 표시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 개의 세탁 코스 아이콘들 중 하나가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를 통해 상기 선택된 세탁 코스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 영역에 옵션 설정 화면이 표시되고,
    옵션 설정 화면에는 선택된 세탁 코스에 수반되는 기 설정된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 예약 아이콘 및 추가 옵션 아이콘 중 하나 이상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둘레방향을 따라서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나 이상의 옵션 아이콘, 예약 아이콘 및 추가 옵션 아이콘이 배열된 순서에 따라서 순차적으로 발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0. 제8에 있어서,
    상기 옵션 설정 화면에는 되돌림(back) 아이콘이 더 표시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되돌림 아이콘이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를 통하여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 코스 선택 화면이 다시 표시되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조작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예약 아이콘이 선택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예약 설정을 위한 화면이 아날로그 시계의 형태로 표시되고, 상기 조작부의 회전을 통해 예약시간이 선택되며, 상기 제2명령입력부를 통해 예약 설정이 완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행정 중 화면이 표시되고 있을 때, 제어부는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 중 상기 제2명령입력부만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세탁장치에 전원을 입력하도록 형성된 전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가 미리 결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될 때, 또는 상기 명령입력부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될 때,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전원 입력부를 통해 세탁장치에 전원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장치에 전원이 입력된 상태에서, 상기 전원 입력부는 상기 명령 입력부를 통한 입력 신호가 미리 결정된 시간 이상 지속되면, 외부 전원으로부터 상기 세탁장치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반경방향 외측 및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 중 하나는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3시방향에 마련되고, 상기 제1명령입력부 및 상기 제2명령입력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조작부의 반경방향 내측에서 9시방향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 코스는 표준세탁, 아기옷, 삶음, 스피드워시, 알러지케어, 스팀클리닝, 기능성의류, 침구클리닝, 찬물세탁, 란제리/울, 이불 및 헹굼/탈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옵션은 세탁 강도, 세탁수 온도, 헹굼 횟수 및 탈수 강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장치.
PCT/KR2015/011373 2014-11-26 2015-10-27 세탁장치 WO2016085132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528,879 US10550506B2 (en) 2014-11-26 2015-10-27 Washer
EP15862630.9A EP3225731B1 (en) 2014-11-26 2015-10-27 Wash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6181 2014-11-26
KR1020140166181A KR102248073B1 (ko) 2014-11-26 2014-11-26 세탁장치
KR1020140182068A KR102254893B1 (ko) 2014-12-17 2014-12-17 세탁장치
KR10-2014-0182068 2014-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85132A1 true WO2016085132A1 (ko) 2016-06-02

Family

ID=56074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1373 WO2016085132A1 (ko) 2014-11-26 2015-10-27 세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50506B2 (ko)
EP (1) EP3225731B1 (ko)
WO (1) WO2016085132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468802A (zh) * 2018-11-26 2019-03-15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显示方式
CN110438745A (zh) * 2018-05-04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应用于衣物处理设备的操控旋钮及衣物处理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2015000276U1 (de) * 2015-09-18 2017-07-21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Zustandsanzeigevorrichtung für die Industriemaschine und Leistungswandlungsvorrichtung
WO2018199543A1 (ko) * 2017-04-25 2018-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와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및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온라인 시스템
KR102539052B1 (ko) 2018-11-13 2023-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회전 부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29209B2 (en) 2019-07-03 2022-08-30 Whirlpool (China) Co., Ltd. Control knob for an appliance having rotational and axial selection interfa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090A (ja) * 2002-10-22 2004-05-20 Pioneer Electronic Corp 多機能操作装置
KR20060063000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버튼을 구비한 회전다이얼
KR20060117425A (ko) * 2005-05-10 2006-11-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이얼스위치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140005484A (ko) * 2012-07-04 201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다이얼이 구비된 세탁장치
KR101386818B1 (ko) * 2010-12-02 2014-04-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269A (ja) 2003-03-20 2004-10-14 Hitachi Home & Life Solutions Inc 電気洗濯機
KR101233156B1 (ko) 2005-10-13 2013-02-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
KR102065596B1 (ko) * 2013-02-08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46090A (ja) * 2002-10-22 2004-05-20 Pioneer Electronic Corp 多機能操作装置
KR20060063000A (ko) * 2004-12-06 2006-06-12 삼성전자주식회사 선택버튼을 구비한 회전다이얼
KR20060117425A (ko) * 2005-05-10 2006-11-17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이얼스위치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86818B1 (ko) * 2010-12-02 2014-04-17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세탁기
KR20140005484A (ko) * 2012-07-04 2014-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그다이얼이 구비된 세탁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ee also references of EP3225731A4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8745A (zh) * 2018-05-04 2019-11-12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应用于衣物处理设备的操控旋钮及衣物处理设备
CN109468802A (zh) * 2018-11-26 2019-03-15 惠而浦(中国)股份有限公司 洗衣机的显示方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21366A1 (en) 2017-11-09
US10550506B2 (en) 2020-02-04
EP3225731A4 (en) 2018-08-01
EP3225731B1 (en) 2021-03-31
EP3225731A1 (en) 2017-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85130A1 (ko) 세탁장치
WO2016085132A1 (ko) 세탁장치
WO2016017925A1 (ko) 의류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WO2020027578A1 (en) Home appliance and online system that performs pairing of the same
WO2016043452A1 (ko) 세탁기 및 그 제어 방법
WO2013015655A2 (en)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15102469A1 (ko)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9160392A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737660A2 (en) Laundry machine and online system including the same
WO2021137417A1 (ko) 의류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21172945A1 (en) Washing machi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control panel of the same
WO2022182119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18182124A1 (ko) 세탁기
WO202218211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WO2023277402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401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4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7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5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8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277400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3277396A1 (ko) 의류처리장치
WO2024071743A1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WO2023113533A1 (ko)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8626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REEP Request for entry into the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5862630

Country of ref document: EP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5528879

Country of ref document: US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