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65458A1 -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65458A1
WO2017065458A1 PCT/KR2016/011234 KR2016011234W WO2017065458A1 WO 2017065458 A1 WO2017065458 A1 WO 2017065458A1 KR 2016011234 W KR2016011234 W KR 2016011234W WO 2017065458 A1 WO2017065458 A1 WO 201706545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
sensitive adhesive
weight
mon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6/01123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지희
정경문
최한영
Original Assignee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706545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65458A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having excellent durability and rework properties as well as antistatic properties, a polarizing plate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cell and a polarizing plate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via an adhesive lay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bonding the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ing plate is light leakage caused by the durability of heat resistance, moisture heat resistance, thermal shock resistance, cold resistance, etc., reworking in the case of bonding error or incorporation of foreign substances, and shrinkage stress of the polarizing plate under heat resistance conditions.
  • the antistatic property for the prevention of static electricity generated when the release film is removed for the polarizing plate bonding must be satisfied at the same time.
  •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109398 discloses an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polymer comprising an (meth) acrylic acid ester monomer, a hydroxy group-containing monomer,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and a monomer having an alkylene oxide unit as a polymerized unit and an antistatic agent. Is disclos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xhibits a stable antistatic performance, but has a problem inferior in durability and rework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xcellent in antistatic properties as well as durability and rework properties.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laminated.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on at least one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and a crosslinking agent containing a monomer of the general formula (1).
  • n is an integer from 0 to 10
  • R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of C 1 -C 6 .
  • the monomer of Formula 1 may be included in 0.1 to 20% by weight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static agent.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laminated.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hibits excellent antistatic properties, and is excellent in adhesive durability under high temperature or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and excellent in reworkability.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 monomer of the formula (1) and a crosslinking agent.
  • n is an integer of 0 to 10, preferably an integer of 0 to 5,
  • R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of C 1 -C 6 , preferably hydrogen or methyl.
  • an alkyl group of C 1 -C 6 means a straight or branched monovalent hydrocarbon having 1 to 6 carbon atoms, for example methyl, ethyl, n-propyl, i-propyl, n-butyl , i-butyl, t-butyl, n-pentyl, n-hexyl and the like.
  • the monomer of Formula 1 may be included in 0.1 to 20% by weight, preferably 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used in the prepara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by weight, it may not exhibit sufficient antistatic properties and reworkability, and there may be a problem of deterioration in durability due to insufficient cohesion due to the low degree of crosslinking. There may be a problem of interfacial peeling due to excessive cohesion.
  • the acrylic copolymer may include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a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and methacrylate.
  • Examples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nclude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and 2-ethylhexyl (meth).
  •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preferably contained in 13 to 99% by weight, and 80 to 95% by weight relative to 100%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acrylic copolymer. More preferred. If the content is less than 13% by weight, the adhesive force is not sufficient, and when the content is greater than 99% by weight, cohesion may be lowered.
  • the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a component for reinforcing the cohesive force or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chemical bonding and imparting durability and cutting property, for example, a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a monomer having a carboxyl group,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a crotonic acid; Di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noalkyl esters thereof; 3- (meth) acryloylpropionic acid; Amberic anhydride ring-opening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of 2-3 carbon atoms of alkyl group, Ambernoic acid ring-opening adduct of hydrox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of 2-4 carbon atoms of alkylene group And compounds obtained by ring-opening addition of succinic anhydride to a caprolactone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having 2 to 3 carbon atoms of an alkyl group, among which (meth) acrylic acid is preferred.
  •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a crotonic acid
  • Di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 the acrylic copolymer may further contain other polymerizable monomers other than the monomers in a range of not lowering the adhesive strength, for example, 10 wt% or less with respect to the total amount.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using a method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hain transfer agent for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the like, which are usually used in the polymerization may be used.
  •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equivalent, Mw)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typically 50,000 to 2 million, preferably 500,000 to 1.7 million.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50,000, there is a lack of cohesion between the copolymers may cause problems in adhesion durability,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ore than 2 million may require a large amount of dilution solvent to ensure fairness during coating.
  • Mw polystyrene equivalent
  • the crosslinking agent can improve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nd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adhesive and the adhesive at high temperature
  • isocyanate, epoxy, peroxide, metal chelate, oxa A sleepy system or the like may be used, and one or two or more thereof may be used in combination.
  • isocyanate type is preferable.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 4- or 4, 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adducts of polyhydric alcohol-based compounds such as trimethyrolpropane of diisocyanate.
  • melamine derivatives such as hexamethyrolmelamine, hexamethoxymethylmelamine, hexabutoxymethylmelamine and the like; Polyepoxy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and epoxy compounds of epichlorohydrin condensate type;
  • One or more crosslinking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idyl ether,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 of polyoxyalkylene polyol, tetraglycidyl xylene diamine and the like can be added and used together.
  • the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may be reduced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degree, which may impair the adhesive durability and the cutting property. When the content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problems may occur in reducing residual stress due to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static agent.
  • an organic cation such as ammonium, phosphonium or sulfonium or an alkali metal cation may be used as the cation.
  • the organic cation include quaternary ammonium salts in which four alkyl groups such as tetrabutylammonium are substituted, 1-ethylpyridinium, 1-butylpyridinium, 1-hexylpyridinium, and 1-butyl-3-methylpyridinium.
  • pyridinium has an alkyl group substituted in N, such as pyridinium, 1-methyl-3-butylimidazonium, and 1-methyl-3-hexylimidazonium.
  • Cations such as substituted imidazonium salts, quaternary phosphonium salts having four alkyl groups such as tetrabutyl phosphonium, and tertiary sulfonium salts having three alkyl groups such as tributyl sulfonium.
  • the alkali metal may be lithium, sodium, potassium or cesium, with lithium, sodium or potassium being preferr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combination of 2 or more types.
  • the content of the antistatic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within a range that functions, for example, may be included in 0.1 to 4 parts by weight relative to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 filling the said range while exhibiting the outstanding antistatic property, the optical characteristic and durability of a polarizing plate can be improved significantly.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 the kind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vinylchloro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glycid Doxy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styryltrimethoxysilane, 3- Methacryloxypropyltri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 Silane, N-2- (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imeth
  • 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 amount is too small to expect the durability improvement effect, if it exceeds 5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is excessively increased, the durability may be lowered as the adhesive property is lower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ackifying resin, antioxidant, corrosion inhibitor, leveling agent, surface lubricant, dye in order to adjust the adhesion, cohesion, viscosity, modulu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requir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And additives such as pigments, antifoaming agents, fillers and light stabilizer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polarizing plate, a surface protective film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bonding with a liquid crystal cell.
  • it can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a reflective sheet, a structural adhesive sheet, a photo adhesive sheet, a lane display adhesive sheet, an optical adhesive product, an adhesiv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as well as a general commercial adhesive sheet product and a medical patch.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mad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laminated.
  • the thicknes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dhesive force, it is usually preferably from 3 to 100 ⁇ m, more preferably from 10 to 100 ⁇ m.
  • Such a polarizing plate can be applied to all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and in particula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panel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laminated is bonded to at least one surface of a liquid crystal cell can be configured.
  •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polarizing plate on at least one side of a liquid crystal cell.
  • n-butyl acrylate BA
  • MA methyl acrylate
  • MA 2-hydroxyethyl acrylate
  • AA acrylic acid
  • n n is 0, and a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6 parts by weight of monomer (A-1) of formula (1) wherein R is hydrogen, and then ethyl acetate as a solvent. 100 parts by weight was added. Then, after purging nitrogen gas for 1 hour to remove oxygen, it was maintained at 62 °C.
  • AIBN azobisisobutyronitrile
  •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45 million wa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Preparation Example 1, except that 85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BA) and 3 parts by weight of monomer (A-1) of Formula 1 were used. It was.
  • n-butyl acrylate BA
  • MA methyl acrylate
  • 2-hydroxyethyl acrylate (2) -HEA 1 part by weight of a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1 part by weight of acrylic acid (AA) was added, and then ethyl acetate as a solvent. 100 parts by weight was added. Then, after purging nitrogen gas for 1 hour to remove oxygen, it was maintained at 62 °C. After homogenizing the mixture, 0.07 parts by weight of azobisisobutyronitrile (AIBN) was added as a reaction initiator, and reacted for 8 hours to prepare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about 1.45 million.
  • AIBN azobisisobutyronitril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above was applied on a release film coated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to have a thickness of 20 ⁇ m, and dried at 100 ° C. for 1 minute to form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by lamin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above on an iodine-based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85 ⁇ m by adhesive processing.
  •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was stored under curing conditions at 23 ° C. and 60% RH.
  • Crosslinking agent (B-1) Coronate-L (Japan Urethane Co., Ltd.)
  • Crosslinking agent (B-2) D110N (Japan Mitsui Chemicals)
  • the prepa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as cut to a size of 90 mm ⁇ 170 mm, and the release film was peeled off, and then the specimen was prepared by attaching the optical absorption axis at right angles to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110 mm ⁇ 190 mm ⁇ 0.7 mm). At this time, the pressure applied was 5kg / cm2, clean room work was performed so that no bubbles or foreign matter.
  • the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hether bubbles or peeling occurred after being left for 1000 hours at a temperature of 90 °C, and the moisture resistance heat resistance whether bubbles or peeling occurred after standing for 1000 hours at a temperature of 70 °C and 90% RH was observed. At this time, it was observed after leaving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evaluating the state of the specimen.
  • the prepa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as cut into a size of 25 mm x 100 mm, the release film was peeled off, and then laminated on a glass substrate (# 1737, Corning Co., Ltd.) at a pressure of 0.25 MPa for 20 minutes under conditions of 5 atmospheres and 50 ° C.
  • the specimen was prepared by autoclave treatment.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7 using the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 monomer of Formula 1 having a hydroxy group and an ethylene glycol gro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arative Example 1 in which the monomer of Formula 1 is not used Compared with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6 to 6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exhibits excellent durability and reworkability but also excellent antistatic propert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드록시기와 에틸렌글리콜기를 갖는 단량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점착 내구성과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전방지성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점착제층을 매개로 접합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을 구비한다.
액정셀과 편광판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는 내열성, 내습열성, 열충격성, 내한성 등의 내구성과, 접합 오류 또는 이물의 혼입 등의 경우 실시하는 리워크, 내열조건에서 편광판의 수축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빛샘에 대한 억제성, 편광판 접합을 위해 이형필름의 제거 시에 발생되는 정전기의 방지를 위한 대전방지성 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한다. 이 중에서도 특히 내구성과 리워크성을 위해 요구되는 점착제의 특성은 서로 상충되기 때문에, 이들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9398호에는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단량체,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 카복실기 함유 단량체 및 알킬렌옥사이드 단위를 가지는 단량체를 중합 단위로 포함하는 아크릴 중합체 및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안정적인 대전 방지 성능을 나타내나, 내구성 및 리워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목적은 대전방지성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리워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으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11234-appb-I000001
상기 화학식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은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한편으로, 본 발명은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고온 또는 고온 고습 조건에서의 점착 내구성이 우수하고 리워크성이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11234-appb-I000002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의 정수이고,
R은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C1-C6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개로 구성된 직쇄형 또는 분지형의 1가 탄화수소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충분한 대전방지성 및 리워크성을 나타낼 수 없고, 가교도가 낮아짐으로 인한 부족한 응집력에 따른 내구성 저하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중량% 초과인 경우에는 가교도가 높아짐으로 인한 과도한 응집력에 따른 계면 박리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n-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에 대하여 13 내지 99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80 내지 95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함량이 13중량%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99중량% 초과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화학 결합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 또는 점착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과 절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가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가 바람직하다.
카르복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1가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2가산 및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및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체에 무수호박산을 개환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산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다른 중합성 단량체를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를 들어 총량에 대하여 10중량% 이하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통상 5만 내지 200만이며, 바람직하게는 50만 내지 170만이다. 중량평균분자량이 5만 미만인 경우 공중합체 간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200만 초과인 경우 도공 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량의 희석 용매를 필요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는 성분으로서, 이소시아네이트계, 에폭시계, 과산화물계, 금속킬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 사용할 수 있다. 이 중 이소시아네이트계가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의 어덕트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에 추가적으로 멜라민 유도체, 예를 들면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첨가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양이온으로서는 암모늄, 포스포늄, 설포늄과 같은 유기 양이온 또는 알칼리금속 양이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양이온의 구체적인 예로는, 테트라부틸암모늄과 같은 알킬기 4개가 치환된 4차 암모늄염, 1-에틸피리디늄, 1-부틸피리디늄, 1-헥실피리디늄, 1-부틸-3-메틸피리디늄, 1-부틸-4-메틸피리디늄, 1-헥실-3-메틸피리디늄, 1-헥실-4-메틸피리디늄, 1-부틸-3,4-디메틸피리디늄, 1-옥틸-4-메틸피리디늄과 같이 피리딘의 N에 알킬기가 치환된 피리디늄염, 1-메틸-3-부틸이미다졸늄, 1-메틸-3-헥실이미다졸늄과 같이 이미다졸의 1,3-위치에 알킬기가 치환된 이미다졸늄염, 테트라부틸 포스포늄과 같이 4개의 알킬기를 가지는 4차 포스포늄염, 트리부틸 설포늄과 같이 3개의 알킬기를 가지는 3차 설포늄염 등의 양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알칼리금속은 리튬, 나트륨, 칼륨 또는 세슘일 수 있으며, 리튬, 나트륨 또는 칼륨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음이온으로서는 OTf-(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OTs-(톨루엔-4-술포네이트), OMs-(메탄술포네이트),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F(HF)n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CF3SO2)(CF3CO)N-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그 기능을 하는 범위 내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4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우수한 대전방지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편광판의 광학 특성 및 내구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란커플링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5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그 양이 너무 미미하여 내구성 향상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5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응집력이 지나치게 증가하여 점착물성이 저하됨에 따라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표면보호필름용 점착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뿐만 아니라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 패치로도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그 점착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통상 3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1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편광판은 통상의 액정표시장치에 모두 적용 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을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접합한 액정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상기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제조예 1: 화학식 1의 단량체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82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MA) 10중량부, 2-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2-HEA) 1중량부, 아크릴산(AA) 1중량부 및 n은 0이고, R은 수소인 화학식 1의 단량체(A-1) 6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2: 화학식 1의 단량체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n-부틸아크릴레이트(BA) 85 중량부 및 화학식 1의 단량체(A-1)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3: 화학식 1의 단량체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에 n은 1이고, R은 수소인 화학식 1의 단량체(A-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4: 화학식 1의 단량체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 화학식 1의 단량체(A-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5: 화학식 1의 단량체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 n은 1이고, R은 메틸인 화학식 1의 단량체(A-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예 6: 화학식 1의 단량체 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 화학식 1의 단량체(A-3)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88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MA) 10중량부, 2-히드록실에틸아크릴레이트(2-HEA) 1중량부 및 아크릴산(AA) 1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런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2: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에 4-히드록실부틸아크릴레이트(4-HB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3: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에 메톡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MEA)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4: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화학식 1의 단량체(A-1) 대신에 4-히드록실부틸아크릴레이트(4-HBA) 3중량부 및 메톡시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MEA) 3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145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6: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각 성분을 혼합한 후(단위: 중량부), 에틸아세테이트에 희석하여 고형분 농도 28%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두께가 20㎛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제층을 형성하였다.
두께 185㎛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상기 제조된 점착제층을 점착 가공으로 적층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편광판을 23℃, 60%RH의 조건 하에서 양생 기간 동안 보관하였다.
표 1
구분 아크릴계 공중합체(100 중량부) 가교제 대전방지제
B-1 B-2
실시예 1 제조예 1 0.3 1.5
실시예 2 제조예 2 0.3 1.5
실시예 3 제조예 3 0.3 1.5
실시예 4 제조예 4 0.3 1.5
실시예 5 제조예 5 0.3 1.5
실시예 6 제조예 6 0.3 1.5
실시예 7 제조예 1 0.3 1.5
비교예 1 비교 제조예 1 0.3 1.5
비교예 2 비교 제조예 2 0.3 1.5
비교예 3 비교 제조예 3 0.3 1.5
비교예 4 비교 제조예 2 0.3 1.5
비교예 5 비교 제조예 3 0.3 1.5
비교예 6 비교 제조예 4 0.3 1.5
가교제(B-1): 코로네이트-L (일본우레탄사)
가교제(B-2): D110N (일본미쯔이화학사)
대전방지제: 1-옥틸-4-메틸피리디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실험예: 점착제 조성물의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내구성(내열, 내습열)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90㎜x170㎜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 기판(110㎜x190㎜x0.7㎜)의 양면에 광학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부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5㎏/㎠이며,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내열 특성은 9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내습열 특성은 70℃의 온도 및 90%RH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때,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 기포나 박리 없음.
○: 기포나 박리 < 5개
△: 5개 ≤ 기포나 박리 < 10개
×: 10개 ≤ 기포나 박리
(2) 리워크성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25㎜×100㎜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 기판(#1737, 코닝사)에 0.25MPa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5기압, 50℃의 조건으로 20분 동안 오토클레이브 처리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상기 시편을 내열조건인 80℃ 오븐에 넣은 후 10시간 뒤에 꺼내어 120시간 동안 상온에서 방치한 후 1.3㎝/s의 속도로 박리하였다.
<평가 기준>
○: 유리 기판에 점착제의 남음이 없고 편광판의 찢어짐이 없이 깨끗이 박리
X: 유리 기판에 점착제가 남아있거나 박리 과정에서 편광판이 찢어짐:
(3) 대전방지성(표면비저항, Ω/□)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표면 저항 측정기(MCP-HT450, Mitsubishi Chemical), Probe(URS, UR100), Probe Checker(URS 용, UR 100용)를 이용하여 편광판의 점착제층의 3지점을 각각 10회씩 표면비저항을 측정하고,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단위: Ω/□).
표 2
구분 내구성 리워크성 표면비저항(Ω/□)
내열 내습열
실시예 1 7.2×1010
실시예 2 9.5×1010
실시예 3 6.0×1010
실시예 4 8.1×1010
실시예 5 6.5×1010
실시예 6 8.2×1010
실시예 7 7.0×1010
비교예 1 × × 1.9×1011
비교예 2 × 1.6×1011
비교예 3 × × 6.9×1010
비교예 4 × × 2.2×1011
비교예 5 × × 7.3×1010
비교예 6 × × 9.8×1010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본 발명에 따른 히드록시기와 에틸렌글리콜기를 갖는 화학식 1의 단량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7의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가 사용되지 않은 비교예 1 내지 6의 점착제 조성물에 비해 우수한 내구성 및 리워크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대전방지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하기 화학식 1의 단량체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CTKR2016011234-appb-I000003
    상기 화학식에서,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고,
    R은 수소 또는 C1-C6의 알킬기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n은 0 내지 5의 정수이고,
    R은 수소 또는 메틸인 점착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되는 점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및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 중량부 대비 0.1 내지 4 중량부인 점착제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점착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점착제층이 적층된 편광판.
  8. 액정셀의 적어도 한 면에 제7항에 따른 편광판이 구비된 액정표시장치.
PCT/KR2016/011234 2015-10-13 2016-10-07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7065458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2533 2015-10-13
KR1020150142533A KR102003584B1 (ko) 2015-10-13 2015-10-13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65458A1 true WO2017065458A1 (ko) 2017-04-20

Family

ID=58518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6/011234 WO2017065458A1 (ko) 2015-10-13 2016-10-07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03584B1 (ko)
WO (1) WO201706545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6512B1 (ko) * 2017-08-24 2019-08-3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경화에 적합한 아크릴계 점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점착 필름 및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4576A (en) * 1995-02-28 1998-11-10 Nippon Shokubai Co., Ltd. Acrylic acid derivatives, method for preparing the acrylic acid derivatives, and acrylic acid polymers
JP2006057040A (ja) * 2004-08-23 2006-03-02 Sanyo Chem Ind Ltd ビニルモノマー
KR20080067492A (ko) * 2007-01-16 2008-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424015B1 (ko) * 2008-03-19 2014-07-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의 대전방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9442B1 (ko) * 2008-08-06 2015-04-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2634B1 (ko) * 2007-11-19 2015-08-06 닛폰고세이가가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광학 부재용 점착제, 및 점착제층을 갖는 광학 부재
JP5800260B2 (ja) 2011-03-23 2015-10-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粘着剤組成物
KR101376380B1 (ko) * 2011-08-05 2014-03-20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층 및 점착 시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4576A (en) * 1995-02-28 1998-11-10 Nippon Shokubai Co., Ltd. Acrylic acid derivatives, method for preparing the acrylic acid derivatives, and acrylic acid polymers
JP2006057040A (ja) * 2004-08-23 2006-03-02 Sanyo Chem Ind Ltd ビニルモノマー
KR20080067492A (ko) * 2007-01-16 2008-07-21 주식회사 엘지화학 가소제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101424015B1 (ko) * 2008-03-19 2014-07-31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의 대전방지성을 향상시키는 방법, 대전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9442B1 (ko) * 2008-08-06 2015-04-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방지성 및 빛샘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편광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3584B1 (ko) 2019-07-24
KR20170043167A (ko) 2017-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128645A2 (en) Anti-static adhesive composition, polarizing plate and surface protective film using the composition
WO201309506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6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0120105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7A2 (ko) 점착제 조성물
KR102647963B1 (ko) 대전 방지 표면 보호 필름
WO201420425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02189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09918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1152616A2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196766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WO2015012524A1 (ko)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WO2017155368A2 (ko) 보호 필름
WO2014038810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065458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3133527A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78320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501252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09946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5147498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21194328A1 (ko) 보호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한 점착제 및 이를 이용한 점착시트
JP7416893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
WO2018182120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5190748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193117A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68556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6855675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