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3133527A1 - 점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점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3133527A1
WO2013133527A1 PCT/KR2013/000282 KR2013000282W WO2013133527A1 WO 2013133527 A1 WO2013133527 A1 WO 2013133527A1 KR 2013000282 W KR2013000282 W KR 2013000282W WO 2013133527 A1 WO2013133527 A1 WO 2013133527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adhesive composition
weight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3/00028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지희
정경문
한은구
Original Assignee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3133527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3133527A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75/00Adhesive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75/04Polyurethan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short curing time and excellent adhesion durability even at high temperatures.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cell and a polarizing plate containing liquid crystal, and various optical films (phase difference plate, viewing angle magnification film, Brightness enhancement film, etc.) is used.
  • an appropriate adhesive is us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previously formed an adhesive layer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plate and the optical film in order not to perform a drying process for fixing.
  • the pressure sensitive adhesive is often used an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ing an acrylic polymer having excellent adhesiveness and transparency as a base.
  • Crosslinking of the acrylic pressure sensitive adhesive uses an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or a combination of an acrylic polymer and a functional monomer.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install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conditions, adhesion durability that does not inhibit the display quality is required even under such an environment.
  • Korean Patent No. 1041765 discloses an adhesive composition using an acrylic copolymer containing acrylamide as a monomer unit.
  • the composition has a problem that does not satisfy the level of adhesion durability.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97793 disclo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n N-vinyl cyclic monomer.
  • the composition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uring time is long.
  •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excellent in adhesion durability even at high temperature while reducing the curing time by increasing the crosslinking rate without problems in storage stability.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dhesive composition containing an acrylic copolymer having an isocyanate-linkable functional group,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and a cyclic acid anhydride.
  • the cyclic acid anhydride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cetic anhydride, and derivative compounds thereof.
  • It may contai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0.01 to 15 parts by weight of isocyanate crosslinking agent and 0.01 to 10 parts by weight of cyclic acid anhydrid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a crosslinking accelerator or a mixture thereof.
  • the acrylic copolymer may contain 100 parts by weight of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0.1 to 30 parts by weight of a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the acrylic copolymer may hav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equivalent, Mw) of 200,000 to 1.50,000.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mass production because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excellent enough to shorten the curing time of 3 days or more by increasing the crosslinking speed without problems in storage stability to about 3 day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xcellent in adhesion durability even at high temperatures, it can be used as an adhesive as well as an adhesiv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dhesive composition having a short curing time and excellent adhesion durability even at high temperatures.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contains the acryl-type copolymer which has a functional group which can be bridge
  • the acrylic copolymer having a functional group capable of crosslinking with isocyanate is an adhesive resin capable of acting as an adhesive. It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preferably contains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a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and methacrylate.
  • n-butyl (meth) acrylate As a (meth) acrylate monomer which has a C1-C12 alkyl group,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m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mong which n-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or Mix
  • the polymerizable monomer having a crosslinkable functional group is a component for reinforcing the cohesive force or adhesive strength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by chemical bonding and imparting durability and cutting property.
  • an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 and a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It is preferable to select and use from the group which consists of B) and a hydroxyl group containing monomer (C).
  • Examples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 include (meth)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and N-tert-butylacrylamide,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Monovalent acids such as (meth) acrylic acid and crotonic acid; Diacids such as maleic acid, itaconic acid and fumaric acid, and monoalkyl esters thereof; 3- (meth) acryloylpropionic acid; Succinic anhydride ring-opening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with 2-3 carbon atoms of an alkyl group, Succinic anhydride ring opening adduct of hydroxyalkylene glycol (meth) acrylate with 2-4 carbon atoms of an alkylene group And a compound obtained by ring-opening addition of succinic anhydride to a caprolactone adduct of 2-hydroxyalkyl (meth) acrylate having 2 to 3 carbon atoms of an alkyl group, and these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hydroxyl group containing monomer (C)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 6-hydroxyhex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hydroxyalkylene glycol having 2 to 4 carbon atoms of an alkylene group (Meth) acrylate, etc. are mentioned, These can be used individually or in mixture of 2 or more types.
  • the weight ratio of an amide group containing monomer (A), a carboxy group containing monomer (B), and a hydroxy group containing monomer (C) is 0.5-2: 0.2-1: 0.3-3.
  • the weight ratio of the amide group-containing monomer (A) is less than 0.5, the curing period and the durability improvement effect may be insignificant. If the weight ratio is more than 2, the storage stability is lowered and it is difficult to suppress the release film release force.
  • the weight ratio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onomer (B) is less than 0.2, the effect of improving durability is insignificant, and if the weight ratio is greater than 1, the peeling force may increase.
  • the weight ratio of the hydroxyl group-containing monomer (C) is less than 0.3, the gel fraction may be lowered to increase the adhesive force, and when the weight ratio is greater than 3, crosslinking degree may be increased, thereby causing problems in durability.
  • the polymerizable monomer (A + B + C) thus constituted is preferably contained in an amount of 0.1 to 3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reduced, the durability is reduced or the adhesion to the base film may be peeled off under the durability test conditions, if more than 30 parts by weight high adhesive fraction is reduced by the high gel fraction And there is a problem in durability, or there is a fear that the bonding bubble flows during the initial bonding.
  • the acrylic copolymer may further contain other polymerizable monomers in addition to the above monomers in a range of not lowering the adhesion, such as 10 wt% or less.
  •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using a method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hain transfer agent for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the like, which are usually used in the polymerization may be used.
  • the acrylic copolymer preferably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equivalent, Mw)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f 200,000 to 1.5 million, and more preferably 400,000 to 1 million.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less than 200,000, there is a lack of cohesion between the copolymers may cause problems in the adhesion durability, if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is more than 1.5 million may require a large amount of dilution solvent to ensure fairness during coating.
  • Mw polystyrene equivalent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uses an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as a crosslinking agent.
  • the crosslinking agent can improve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nd can maintain the reliability and shap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at high temperatures.
  • Isocyanate type crosslinking agent specifically,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 4- or 4, 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nd adducts to polyhydric alcohol-based compounds such as trimethylolpropane of diisocyanate can be used.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tolylene 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hexamethylene diisocyanate, 2, 4- or 4, 4-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 adducts to polyhydric alcohol-based compounds such as trimethylolpropane of diisocyanate
  • melamine derivatives such as hexamethyrolmelamine, hexamethoxymethylmelamine, hexabutoxymethylmelamine and the like
  • Polyepoxy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and epichlorohydrin condensate epoxy compounds
  • One or more crosslinking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idyl ethers of polyoxyalkylene polyols,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s, tetraglycidyl xylenediamine and the like can be further added and used together.
  • Such a crosslinking agent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5 parts by weight, preferably 0.3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01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may be reduced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degree, which may impair the adhesive durability and the cutting propert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5 parts by weight, problems may occur in reducing residual stress due to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 the adhesive composition of this invention uses cyclic acid anhydride in order to suppress a viscosity increase.
  •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generally improves the crosslinking reaction in order to shorten the curing period, in this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viscosity of the composition is increased and the stability is lowered.
  • the cyclic acid anhydride reacts with water to form carboxylic acid.
  • the carboxylic acid caused by the acid anhydride reacts with the crosslinking agent, thereby lower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rate, thereby suppressing the increase in the viscos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and removing the water after the drying step, thereby prevent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 the crude liquid st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an be ensured.
  • the cyclic acid anhydride is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Specifically,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aleic anhydride, phthalic anhydride, acetic anhydride, nadic anhydride, and derivative compounds thereof may be used. .
  • Such cyclic acid anhydride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1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 content is less than 0.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suppressing the viscosity increase is low, and when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the reaction is excessively suppress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physical properties as an adhesiv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contain a silane coupling agent, a crosslinking accelerator or a mixture thereof.
  • the kind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vinylchloro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glycidoxy 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styryltrimethoxysilane, 3-metha Krilloxypropyltri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acryloxypropyltrimethoxysilane , N-2- (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
  • Crosslinking accelerators play a role in controlling the curing rate by accelerating the crosslinking reaction.
  • Such crosslinking accelerators are generally used in the art and may be used such as Lewis acid or Lewis base.
  • Such a silane coupling agent, a crosslinking accelerator or a mixture thereof may be contained in an amount of 0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005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durability may be reduc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a tackifying resin, antioxidant, corrosion inhibitor, leveling agent, surface lubricant, dye, pigment in order to adjust the adhesion, cohesion, viscosity, modulu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required according to the application It may further contain additives such as antifoaming agent, filler, light stabiliz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both as an adhesive for a polarizing plate for bonding with a liquid crystal cell, an adhesive for a surface protective film, as well as an adhesive.
  • it can be used as a protective film, a reflective sheet, a structural adhesive sheet, a photo adhesive sheet, a lane display adhesive sheet, an optical adhesive product, an adhesive for an electronic component, as well as a general commercial adhesive sheet product and a medical patch.
  • a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93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BA), 5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and 2 parts by weight of acrylic acid in a 1 L reactor equipped with a refrigeration system for easy reflux of nitrogen gas and easy temperature control.
  • 1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EAc) was added as a solvent.
  • EAc ethyl acetate
  • AIBN azobisisobutyronitril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pared in 1) was applied on a release film coated with a silicone release agent to have a thickness of 25 ⁇ m, and dried at 100 ° C. for 1 minute to form an adhesive layer.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as prepared by laminat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prepared above on an iodine-based polarizing plate having a thickness of 185 ⁇ m.
  •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was stored under curing conditions at 23 ° C. and 60% RH.
  • the curing completion date was a curing day in which no change in the gel fraction was observ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as cured at 23 ° C. and humidity of 65% RH.
  • the viscosity change rate ((triangle
  • a viscometer Brookfield LVDV-II + type B viscometer (spindle no. 2, 30 rpm) was used.
  • the prepar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polarizing plate was cut into a size of 25 mm ⁇ 100 mm, the release film was peeled off, laminated on a glass substrate (# 1737, Corning Co., Ltd.) at a pressure of 0.25 MPa, and treated with an autoclave to prepare a specimen. After room temperature adhesiveness was left for 24 hours under 23 ° C and 50% RH, the warm adhesive strength was measured after 48 hours under 50 ° C and 50% RH, and then the universal tensile tester (UTM, Instron) was use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was peeled off at a peeling rate of 10 mm / min and a peeling angle of 180 °, and measured. At this time, the measuremen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of 23 degreeC and 50% RH.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1 to 9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uring time of 3 days or less, a small amount of change in gel fraction and viscosity according to temperature change, and adhesive strength can be maintained at high temperature as well as at room temperature. I could confirm tha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고리형 산무수물을 함유함으로써, 저장안정성에 문제없이 종래에 비해 양생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점착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점착제 조성물
본 발명은 양생시간이 짧고, 고온에서도 점착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을 포함하고 있는 액정셀과 편광판이 구비되며, 상기 액정표시장치의 표시 품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광학필름(위상차판, 시야각 확대필름, 휘도 향상필름 등)가 사용된다.
이러한 편광판 및 광학필름을 액정셀에 접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점착제가 사용된다. 상기 점착제는 고착을 위한 건조공정을 수행하지 않기 위하여 편광판 및 광학필름의 일면에 미리 점착제층을 형성한다.
점착제는 접착성 및 투명성이 우수한 아크릴계 중합체를 베이스로 사용한 아크릴계 점착제가 많이 사용된다. 아크릴계 점착제의 가교는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또는 아크릴계 중합체와 관능성 단량체의 결합을 이용한다.
액정표시장치는 고온 다습한 조건 등의 다양한 환경에 설치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환경하에서도 표시품위를 저해하지 않는 점착 내구성이 요구된다.
이에 한국등록특허 제1041765호에는 아크릴아미드를 모노머 단위로 함유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이용한 점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점착 내구성의 수준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97793호에는 N-비닐계 환상 모노머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조성물은 양생시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저장안정성에 문제 없이 가교속도를 증가시켜 양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면서 동시에 고온에서도 점착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고리형 산무수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고리형 산무수물은 무수말레산, 무수프탈산, 무수아세트산 및 이들의 유도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01 내지 15중량부 및 고리형 산무수물 0.0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 가교촉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0.1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20만 내지 150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저장안정성에 문제 없이 가교속도를 증가시켜 종래 7일 이상인 양생시간을 3일 정도로 단축시킬 정도로 생산 효율이 뛰어나므로 대량생산에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고온에서도 점착 내구성이 우수하여 점착제뿐만 아니라 접착제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양생시간이 짧고, 고온에서도 점착 내구성이 우수한 점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고리형 산무수물을 함유한다.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점착제로서 작용이 가능한 점착수지이다. 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는 화학 결합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응집력 또는 점착 강도를 보강하여 내구성과 절단성을 부여하기 위한 성분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특히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A),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B) 및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C)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A)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B)로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등의 1가산; 말레인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등의 2가산 및 이들의 모노알킬에스테르; 3-(메타)아크릴로일프로피온산;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의 무수 호박산 개환 부가체, 알킬기의 탄소수가 2-3인 2-히드록시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체에 무수 호박산을 개환 부가시킨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C)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A),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B) 및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C)의 중량비는 0.5-2 : 0.2-1 : 0.3-3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중량비로 함유되는 경우 저분자량 공중합체를 사용함에도 내구성을 개선하고 양생 기간을 단축시키는 효과가 있다. 반면, 아미드기 함유 단량체(A)의 중량비가 0.5 미만인 경우 양생 기간 단축 및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중량비가 2 초과인 경우 저장 안정성이 저하되고 이형필름 박리력 항진을 억제하기 어렵다. 카르복시기 함유 단량체(B)의 중량비가 0.2 미만인 경우 내구성 개선 효과가 미미하며, 중량비가 1 초과인 경우 박리력이 커질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기 함유 단량체(C)의 중량비가 0.3 미만인 경우 겔분율이 낮아져 점착력이 커질 수 있으며, 중량비가 3 초과인 경우 가교도가 높아져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중합성 단량체(A+B+C)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30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이 작아지게 되어 내구성이 저하되거나 기재필름과의 밀착성이 떨어져 내구성 시험 조건하에서 박리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30중량부 초과인 경우 높은 겔분율에 의해 점착력이 저하 및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초기 접합 시 접합 기포가 유입될 우려가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다른 중합성 단량체를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중량% 이하로 더 함유할 수 있다.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20만 내지 150만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40만 내지 100만인 것이 좋다. 중량평균분자량이 20만 미만인 경우에는 공중합체 간의 응집력이 부족하여 점착 내구성에 문제를 야기할 수 있고, 150만 초과인 경우에는 도공 시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다량의 희석 용매가 요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사용한다.
상기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는 구체적으로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 또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및 디이소시아네이트의 트리메티롤프로판 등의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에의 어덕트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에 추가적으로 멜라민 유도체, 예를 들면,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더 첨가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가교제는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5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3 내지 5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함유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5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과다 가교반응에 의한 잔류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점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고리형 산무수물을 사용한다.
점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양생기간을 단축하기 위하여 가교반응을 향상시키나, 이의 경우 조성물의 점도가 상승하게 되어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고리형 산무수물은 수분과 반응하여 카르복시산을 형성한다. 가교제와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가교반응 시, 상기 산무수물에 의한 카르복시산이 가교제와 반응하여 가교반응 속도가 낮아지고, 이에 의해 점착제 조성물의 점도 상승이 억제되고, 건조공정 후 수분이 제거되어 상기 가교반응이 불활성 상태가 됨에 따라 점착제 조성물의 조액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고리형 산무수물은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구체적으로 무수말레산, 무수프탈산, 무수아세트산, 무수나딕산 및 이들의 유도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고리형 산무수물은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기로는 0.1 내지 5중량부 함유될 수 있다. 함유량이 0.01중량부 미만이면 점도 상승을 억제 효과가 낮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지나치게 반응이 억제되어 점착제로서의 물성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 가교촉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가교촉진제는 가교반응을 가속화시켜 양생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가교촉진제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루이스 산 또는 루이스 염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실란커플링제, 가교촉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 0.005 내지 5중량부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함량이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성분 이외에,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염료, 안료,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편광판용 점착제, 표면보호필름용 점착제뿐만 아니라 접착제로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 반사시트, 구조용 점착시트, 사진용 점착시트, 차선표시용 점착시트, 광학용 점착제품, 전자부품용 점착제뿐만 아니라 일반 상업용 점착시트제품, 의료용 패치로도 사용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제조예
질소가스가 환류되고 온도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 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BA) 93중량부, 2-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중량부 및 아크릴산 2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EAc)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한 후, 반응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중량평균분자량이 약 50만인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9 및 비교예 1 내지 3
1)점착제 조성물
상기 제조예에서 얻어진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혼합한 후, 코팅성을 고려하여 25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표 1]
Figure PCTKR2013000282-appb-I000001
2)점착제 부착 편광판
1)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을 실리콘 이형제가 코팅된 이형필름 상에 경화 후 두께가 25㎛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 동안 건조시켜 점착층을 형성하였다.
두께 185㎛의 요오드계 편광판에 상기 제조된 점착층을 점착 가공으로 적층하여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을 23℃, 60%RH의 조건 하에서 양생 기간 동안 보관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부착 편광판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양생완료일
양생완료일은 겔분율의 변화가 더 이상 없는 양생일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23℃, 습도 65%RH에서 양생하여 측정하였다.
2. 겔분율 변화
제조된 점착제 조성물에 의해 형성된 점착제층의 초기 겔분율과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 점착제층의 겔분율을 측정한 후, 겔분율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 겔분율 차이 < 5%
×: 5% ≤ 겔분율 차이
3. 점도 변화
점착제의 조성물의 초기점도와 상온에서 24시간 동안 방치한 후의 점도를 측정한 후, 점도 변화율(△η)을 계산하였다. 이때, 점도측정계(Brookfield LVDV-Ⅱ + B형 점도계(spindle no. 2, 30rpm))를 사용하였다.
○: △η < 10%
△: 10% ≤ △η < 20%
×: 20% ≤ △η
4. 점착력
제조된 점착제 부착 편광판을 25㎜×100㎜의 크기로 절단하고 이형필름을 박리한 후 유리 기판(#1737, 코닝사)에 0.25㎫의 압력으로 라미네이션하고 오토클레이브로 처리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온 점착력은 제작된 시편을 23℃, 50%RH의 조건 하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가온 점착력은 시편을 50℃, 50%RH의 조건 하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만능인장시험기(UTM, Instron)를 사용하여 박리속도 10㎜/분, 박리각도 180°로 점착제층을 박리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측정은 23℃, 50%RH의 조건하에서 실시하였다.
[표 2]
Figure PCTKR2013000282-appb-I000002
위 표 2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9의 점착제 조성물은 양생시간을 3일 이하이며, 온도 변화에 따른 겔분율 및 점도의 변화량이 적고, 상온뿐만 아니라 고온에서도 점착력이 유지가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이소시아네이트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고리형 산무수물을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형 산무수물은 무수말레산, 무수프탈산, 무수아세트산, 무수나딕산 및 이들의 유도체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점착제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0.01 내지 15중량부 및 고리형 산무수물 0.01 내지 10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 가교촉진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가로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탄소수 1-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100중량부와, 가교 가능한 관능기를 갖는 중합성 단량체를 0.1 내지 30중량부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20만 내지 150만인 점착제 조성물.
PCT/KR2013/000282 2012-03-06 2013-01-14 점착제 조성물 WO2013133527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22791 2012-03-06
KR1020120022791A KR20130101781A (ko) 2012-03-06 2012-03-06 점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33527A1 true WO2013133527A1 (ko) 2013-09-12

Family

ID=491169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3/000282 WO2013133527A1 (ko) 2012-03-06 2013-01-14 점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30101781A (ko)
WO (1) WO201313352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3098A (zh) * 2014-03-26 2016-11-16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粘着剂组合物和包含该粘着剂组合物的偏光板
CN107001574A (zh) * 2014-12-05 2017-08-01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层合片材的聚氨酯粘合剂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26599A (zh) * 2013-10-25 2014-01-22 合肥聚合辐化技术有限公司 一种高鲜艳度印花粘合剂及其制备方法
KR20150122506A (ko) * 2014-04-23 2015-11-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921A (ko) * 2004-10-04 2006-05-19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KR20080024258A (ko) * 2006-09-13 2008-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터와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77664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10064979A (ko) * 2009-12-09 2011-06-15 이명천 아크릴계 점착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 재박리형 점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테이프
KR20110097793A (ko) * 2008-12-01 2011-08-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구성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921A (ko) * 2004-10-04 2006-05-19 롬 앤드 하아스 컴패니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KR20080024258A (ko) * 2006-09-13 2008-03-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필터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터와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90077664A (ko) * 2008-01-11 2009-07-1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점착제 조성물, 상기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10097793A (ko) * 2008-12-01 2011-08-31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 아크릴계 감압성 접착 시트의 제조 방법 및, 적층 구성
KR20110064979A (ko) * 2009-12-09 2011-06-15 이명천 아크릴계 점착수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광경화 재박리형 점착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테이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3098A (zh) * 2014-03-26 2016-11-16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粘着剂组合物和包含该粘着剂组合物的偏光板
CN107001574A (zh) * 2014-12-05 2017-08-01 汉高股份有限及两合公司 用于层合片材的聚氨酯粘合剂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1781A (ko) 2013-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91171A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otective film, polarizer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WO2009088191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점착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09091162A2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09131321A2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polarizers and liquid crystal displays comprising the same
WO2013002489A2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109490A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113884A (ko) 점착제 조성물, 점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WO2013176457A1 (ko) 광학부재, 점착제 조성물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196766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WO2013133527A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30013995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098423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15012524A1 (ko) 아크릴계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편광판
WO2014109491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501252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5147498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4104645A1 (ko) 신규의 다관능성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및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KR20120091854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6108460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WO2013176438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WO2014163327A1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KR20120119386A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4021593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를 함유하는 점착제 조성물
WO201419676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193117A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3757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375751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