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82120A1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82120A1
WO2018182120A1 PCT/KR2017/012304 KR2017012304W WO2018182120A1 WO 2018182120 A1 WO2018182120 A1 WO 2018182120A1 KR 2017012304 W KR2017012304 W KR 2017012304W WO 2018182120 A1 WO2018182120 A1 WO 201818212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meth
polarizing plate
adhesive layer
group
acrylic co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2304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한은구
정병선
Original Assignee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WO201818212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821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3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J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J1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3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 C09J2301/3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chemical, physico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of the adhesive or the carrier parameters being the characterizing feature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n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es a liquid crystal panel including a liquid crystal cell and a polarizing plate stacked on both surfaces of the liquid crystal cell.
  • the polarizing plate includes an iodine-based polyvinyl alcohol (PVA) polarizer and a protective film represented by triacetyl cellulose (TAC) for protecting both sides of the polarizer.
  • PVA polyvinyl alcohol
  • TAC triacetyl cellulose
  •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is a multilayer structure in which a protective film and a surface protective film are laminated in order, and on the other side, a protective film, an adhesive layer for bonding to a liquid crystal cell, and a release film are sequentially stack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for bonding with the liquid crystal cell should satisfy both durability and rework resistance, such as heat resistance and heat and humidity resistance, b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required to satisfy their physical properties are mutually conflicting. Is not completely solved.
  •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103321 discloses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pressure-sensitive adhesive and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but did not suggest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 On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inclu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excellent reworkability while achieving excellent adhesion durability and reliability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 one subject of this invention is providing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polarizing plate mentioned above.
  • A is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 B i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 C is the adhesive layer attached to a glass plate having an adhesion area of 1.0 cm X 1.0 cm, and a load of 1 kgf at 23 ° C. for 1000 second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the distance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ushed
  • D is the distanc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pushed whe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attached to a glass plate having an adhesion area of 1.0 cm X 1.0 cm and a load of 1 kgf is applied at 85 ° C. for 1000 seconds.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s formed of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ized acrylic copolymer and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ncluding a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 R 1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 R 2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R 3 is ,
  • R 4 is hydrogen
  • X is or Y is a single bond
  • R 5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alkyl group having 7 to 12 carbon atoms
  • R 6 , R 7 or R 8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an alken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alkyl group having 7 to 12 carbon atoms, and * is a bonding site.
  • the polarizing plate In the above 3,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is polymerized, including 0.1 to 1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the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ing plate In the above 3,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is polym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the polarizing plate.
  • a polarizing plate which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arboxypolycaprolactone mono (meth) acrylate or 2- (meth) acryloyloxyethyl tetrahydrophthalic acid.
  • the acrylic copolymer is polymerized, including 5 parts by weight or les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a polarizing plate.
  • crosslinkable monomer is at least one membe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or a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a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ing plate In the above 8, wherein the acrylic copolymer is polymerized, including 1 to 8 parts by weight of the crosslinkabl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the polarizing plat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further comprises an ionic antistatic agent, a polarizing plate.
  •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polarizing plate of any one of the above 1 to 11.
  •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excellent durability, inclu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excellent reworking properties while achieving excellent adhesion durability and reliability even in harsh condition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olarizer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arizer;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satisfying Equation 1 below, including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having excellent reworkability while achieving excellent adhesion durability and reliability even under severe conditions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It is related with the polarizing plate which can ensure the outstanding durability by this.
  • FIG. 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er includes a polarizer 10 and a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a layer for bonding or attaching another substrate required for manufacturing a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cell and a touch panel with a polarizing plate.
  • the polarizer 10 may be obtained by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washing, and drying a film for forming a polarizer commonly used in the art.
  • the polarizer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larizer commonly used in the art manufactured according to a process including the steps of swelling, dyeing, crosslinking, stretching, washing, drying, and the like for forming a polarizer film.
  • the polarizer-form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dichroic substance, that is, a film that can be dyed with iodine.
  • a polyvinyl alcohol film a polyvinyl alcohol film dehydrated, a polyvinyl alcohol film treated with dehydrochloric acid ,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film, cellulose film, partially saponified film thereof, and the like.
  • polyvinyl alcohol-based films are preferred in that they are excellent in effect of enhancing uniformity in polarization degree and excellent in dyeing affinity for iodine.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obtained by saponifying a polyvinyl acetate-based resin.
  • polyvinyl acetate type resin besides polyvinyl acetate which is a homopolymer of vinyl acetate, the copolymer etc. of vinyl acetate and the other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is are mentioned.
  •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be a modified one, and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vinyl formal and polyvinyl acetal modified with aldehydes.
  • the saponific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85 to 100 mol%, preferably 98 to 100 mol%, th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1,000 to 10,000, preferably the polymerization degree 1,500 to 5,000 days Can be.
  •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forming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 to 50 ⁇ m, and preferably 15 to 30 ⁇ m. When in the above range is preferable in terms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thin film device and the improvement of mechanical durability.
  • Polarizer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1).
  • Equation 1 A is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 B is the thickness of the polarizer 10
  • C is attached to the glass plate having an adhesive area of 1.0cm X 1.0cm and 1kgf at 23 °C Is the distance that the adhesive layer 20 is pushed when the load is applied for 1000 seconds
  • D is the adhesive layer 20 attached to a glass plate having an adhesion area of 1.0 cmX1.0 cm, and a load of 1 kgf at 85 ° C. is applied for 1000 seconds. It is the distance which the adhesion layer 20 pushed.
  • the pushed distance is a numerical value for the holding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room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 the polarizing plate satisfying Equation 1 has the optimum thickness of the polarizer 10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and the holding forc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t normal temperature and high temperature. It can be defined as.
  •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embodiments satisfying Equation 1 may include an adhesive layer that realizes durability and reliability at the same time as well as room temperature, high temperature, and humid conditions, and at the same time secures excellent reworkability. Mechanical properties can also be improved at the same time.
  • the pushed distance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appropriately adjusting components, compositions, and the like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for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 the adhesive layer 20 is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laminated or formed on one or both surfaces of the polarizing pl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20 may be a layer formed or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and formed for adhesion or lamin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and other substrates required for manufacturing the image display device.
  •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directly attached or laminated on the polarizer 10, it is not limited that another substrate is interposed between the polarizer 10 and the adhesive layer 20.
  • a layer providing additional functions such as a protective layer, a reflective layer, an antiglare layer, a retardation plate, a wide viewing angle compensation film, and a brightness enhancement film may be interposed or laminated between the polarizer 10 and the adhesive layer 20. Can be.
  •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composition on the polarizer to dry or cur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that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satisfy the above Equation 1, for example,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s polymerized acrylic copolymer and isocyanate includ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It may include a cross-linking system.
  • R 1 is hydrogen or an alkyl group having 1 to 3 carbon atoms
  • R 2 is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 R 3 is ,
  • R 4 is hydrogen,
  • X is or Y is a single bond
  • R 5 is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or an arylalkyl group having 7 to 12 carbon atoms
  • R 6 , R 7 or R 8 are each independently hydrogen,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and an alken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 is a bonding site.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cludes an acrylic copolymer polymerized includ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can generate a high nucleophilic alpha carbon ( ⁇ -carbon) due to the excellent electron-withdrawing group of R 3 or R 4 to further cross-linking reaction during polymerization, curing As it can proceed, excellent durability can be imparted to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formed from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comprising the acrylic copolymer comprising the same.
  • it satisfies the above-mentioned durability and at the same time does not reduce the rework property is very suitable for forming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f the polarizing plate satisfying the above formula (1), it is preferable in securing excellent mechanical properties.
  • R 1 may be hydrogen or a methyl group
  • R 2 may be an alkylene group having 1 to 8 carbon atoms in view of preventing degradation of crosslinking efficiency due to steric hindrance.
  • R 3 is , or And R 4 is hydrogen, , or May be, R 3 is in the sense that more preferably while still increasing further enable additional cross-linking reaction of the nucleophilic Chengdu -carbon prevent crosslinking efficiency is lowered due to steric hindrance R 4 may be hydrogen or Can be.
  • the position of the binding site in combination with R 2 is not particularly limited, preferably carbonyl carbon in terms of further promoting an additional crosslinking reaction by further improving the nucleophilicity of the alpha carbon adjacent to Y. It is preferred that R 2 is bonded or linked to a binding site adjacent to and.
  • Chemical Formula 1 may be exemplified by the following Chemical Formulas 1-1 to 1-4.
  • alkyl group encompasses a straight or branched chain alkyl group, the "aryl group” being derived from an aromatic hydrocarbon by one hydrogen removal, suitably 4 to 7, preferably for each ring Is a concept including a single or fused ring system containing 5 or 6 ring atoms, and encompasse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aryls are connected by a single bond.
  • the aryl group may be an aryl group having 6 to 20 carbon atoms.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including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5 to 8 parts by weight of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 0.1 part by weight When i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effect of improving adhesion durability, reliability and / or reworkability may be insignificant, and when i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further crosslinking reaction may proceed somewhat excessively, so that the hardness of the formed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may be too high. have.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further including an additional (meth) acrylate monomer in addition to the compound represented by the formula (1).
  • (meth) acrylate means acrylate or (meth) acrylate.
  • the (meth) acrylate mono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generally us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in the art, for example, may be a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 n-butyl (meth) acrylate As a (meth) acrylate monomer which has a C1-C12 alkyl group, n-butyl (meth) acrylate, 2-butyl (meth) acrylate, t-butyl (meth) acrylate, 2-ethylhexyl (meth) Acrylate, ethyl (meth) acrylate, methyl (meth) acrylate, n-propyl (meth) acrylate, isopropyl (meth) acrylate, pentyl (meth) acrylate, n-octyl (meth) acrylate, Isooctyl (meth) acrylate, nonyl (meth) acrylate, decyl (meth) acrylate, lauryl (meth) acrylate, and the like, among which n-butyl acrylate, 2-ethylhexyl acrylate or Mix
  • the (meth) acrylate monomer having an alkyl group having 1 to 12 carbon atoms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77 to 98.9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monomers used for producing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77 parts by weight, the adhesive force may not be sufficient and release film peeling force enhancement problem may occur, and if it exceeds 98.9 parts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may be lowered and the durability may be reduced.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further comprising a crosslinkabl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 or additional (meth) acrylate monomer.
  • crosslinkable monomer the monomer which has a hydroxyl group, and / or the monomer which has an amide group, etc. are mentioned, for example.
  • the monomer having a hydroxy group 2-hydroxyethy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 (meth) acrylate, 2-hydroxybuty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meth) Acrylate, 6-hydroxyhexyl (meth) acrylate, 2-hydroxyethylene glycol (meth) acrylate, 2-hydroxypropylene glycol (meth) acrylate, hydroxyalkyl having 2-4 carbon atoms of an alkylene group Lenglycol (meth) acrylate, 4-hydroxybutyl vinyl ether, 5-hydroxypentyl vinyl ether, 6-hydroxyhexyl vinyl ether, 7-hydroxyheptyl vinyl ether, 8-hydroxyoctyl vinyl ether, 9- Hydroxynonyl vinyl ether, 10-hydroxydecyl vinyl ether, etc. are mentioned.
  • Examples of the monomer having an amide group include (meth) acrylamide, N-isopropylacrylamide, N-tert-butylacrylamide, 3-hydroxypropyl (meth) acrylamide, 4-hydroxybutyl (meth) acrylamide, 6-hydroxyhexyl (meth) acrylamide, 8-hydroxyoctyl (meth) acrylamide, 2-hydroxyethylhexyl (meth) acrylamide, etc. are mentioned, Among these, (meth) acrylamide is preferable.
  • the crosslinkable monomer is preferably included in an amount of 0.05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and more preferably 1 to 8 parts by weight. If the content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cohesion and durability of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is excellent.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further polym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or the (meth) acrylate monomer.
  • the said acrylic copolymer can aim at the improvement of the intensity
  •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s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as known in the art, for example, (meth) acrylic acid, carboxyethyl (meth) acrylate, carboxypentyl (meth) acrylate, 2- (meth) ) Acryloyloxyethylsuccinic acid, carboxypolycaprolactone mono (meth) acrylate or 2- (meth) acryloyloxyethyltetrahydrophthalic acid, which can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reof.
  •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may be (meth) acrylic acid.
  • the acrylic copolymer may be polymerized by including 5 parts by weight or less of the carboxyl group-containing (meth) acrylate monomer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preferably 0.5 to 3 parts by weight of the polymerization have. If it is more than 5 parts by weight, the problem of corrosion of the equipment due to acid may occur.
  • the method of preparing the acrylic copolym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repared using a method such as bulk polymerization, solution polymerization, emulsion polymerization or suspension polymerization, which are commonly used in the art, and solution polymerization is preferable.
  • a solvent, a polymerization initiator, a chain transfer agent for molecular weight control, and the like, which are usually used in the polymerization may be used.
  • the acrylic copolymer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polystyrene equivalent, Mw)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of 500,000 to 2 million, preferably 500,000 to 1.7 million, more preferably 800,000 It is good from the viewpoint of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improvement of an adhesion layer to 1 to 1.7 million.
  • Mw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 the crosslinking agent can further improve the adhesion and durability, and can maintain the shape of the adhesive and the reliability at high temperature.
  • the crosslinking ag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specifically include an isocyanate-based crosslinking agent in terms of durability improvement, and has excellent compatibility with the polymerized acrylic copolymer including the compound represented by Chemical Formula 1 and has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formed. It is preferable at the point which can further improve.
  • Diisocyanate compounds such as isocyanate and naphthalene diisocyanate; Diisocyanate obtained from 2 equivalents of an adduct obtained by reacting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with 1 equivalent of a polyhydric alcohol compound such as trimethylolpropane, an isocyanurate having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and 3 equivalents of a diisocyanate compound
  • the content of the crosslink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within the range capable of performing its function, for example, 0.1 to 10 parts by weight, preferably 0.2 to 5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 by weight, the cohesive force may be reduced due to insufficient crosslinking degree, thereby impairing the adhesive durability and the cutting property.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problems may occur in relieving residual stress due to an excessive crosslinking reaction.
  • the crosslinking agent may further include a crosslinking agent known in the art.
  • a crosslinking agent known in the art.
  • epoxy, metal chelate, polyfunctional acrylate, oxazoline, and the like may be used without limitation.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of more than one species.
  • melamine derivatives such as hexamethyrolmelamine, hexamethoxymethylmelamine, hexabutoxymethylmelamine and the like
  • Polyepoxy compounds such as bisphenol A and epichlorohydrin condensate epoxy compounds
  • One or more crosslinking ag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glycidyl ethers of polyoxyalkylene polyols, glycerin di- or triglycidyl ethers, tetraglycidyl xylenediamine and the like can be further added and used together.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n antistatic agent.
  • the antistatic agent may be, for example, an ionic antistatic agent.
  • the ionic antistatic agent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alkali metal cation and an onium cation and at least one anion of a fluorine-containing inorganic anion and a fluorine-containing organic anion. In such a case, the compatibility, durability and antistatic property with the other components mentioned above are excellent.
  • the alkali metal cation is lithium, sodium, potassium or potassium; Onium cations are quaternary alkylammonium, pyridinium or imidazonium; Fluorine-containing inorganic anion is BF 4 -, PF 6 - or SbF 6 -, and;
  • the fluorine-containing organic anion may be a sulfonate including a perfluoroalkyl group or a sulfonimide anion including a perfluoroalkyl group or a fluorine group,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antistatic agent is preferably potassium bisfluorosulfonylimide in terms of securing antistatic property and durability at the same time.
  • the alkyl group in the alkylammonium and perfluoroalkyl group may be an alkyl group having 1 to 4 carbon atoms.
  • the content of the ionic antistatic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acrylic copolymer. If the content is less than 0.1 parts by weight may be insufficient antistatic properties, if it exceeds 10 parts by weight it may be difficult to secure durability.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silane coupling agent as needed.
  • the kind of the silane coupling ag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for example, vinylchlorosilane, vinyltrimethoxysilane, vinyltriethoxysilane, 2- (3,4-epoxycyclohexyl) ethyltrimethoxysilane, 3-glycidoxy Propyltrimethoxysilane, 3-glycidoxypropylmeth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diethoxysilane, 3-glycidoxypropyltriethoxysilane, p-styryltrimethoxysilane, 3-metha Krilloxypropyl tri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dimethoxysilane, 3-methacryloxypropylmethyl diethoxysilane, 3-acryloxypropyl trimethoxysilane , N-2- (aminoethyl) -3-aminopropylmethyld
  • the silane coupling agent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copolymer, and preferably 0.1 to 2 parts by weight. If the content is more than 10 parts by weight, durability may be reduced.
  •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djust the adhesion, cohesion, viscosity, elastic modulus,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etc. required according to the use, tackifying resin, antioxidant, corrosion inhibitor, leveling agent, surface lubricant, antifoaming agent, filler, Additives, such as a light stabilizer, a reaction initiator, and a solvent, can be contained further.
  •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2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5 to 50 ⁇ m, and preferably 15 to 30 ⁇ m. When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ur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20, it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the durability and thin film implementation of the polarizing plate including the same.
  • the polarizer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ive film 30 laminat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10.
  • the adhesive layer 20 may be laminated or formed on the protective film 30, for example, may be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urface to which the polarizer 10 of the protective film 30 is bonded.
  • the protective film 30 may be laminated between the polarizer 10 and the adhesive layer 20.
  • the protective film 30 may be bonded to one side or both sides of the polarizer.
  • the protective film 3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plastic film having transparency,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tective film 30 is excellent in mechanical strength, thermal stability, moisture shielding, isotropy and the like with transparency.
  • the protective film 30 include polyester-based film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iso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Cellulose films such as diacetyl cellulose, triacetyl cellulose, acetyl cellulose butyrate, isobutyl ester cellulose, propionyl cellulose, butyryl cellulose and acetyl propionyl cellulose; Polycarbonate film; Acrylic films such as polymethyl (meth) acrylate and polyethyl (meth) acrylate; Styrene films such as polystyrene and acrylonitrile-styrene copolymers; Polyolefin-based film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cyclo- or polyolefin-based films having a norbornene structure, and ethylene propylene copolymers; 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film; Polyamide film; Polyimide, polyimide
  • uniaxial or biaxially stretched polyester film polymethyl methacrylate film or polycycloolefin-based film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but triacetyl cellulose and isobutyl ester cellulose film in view of transparency and optical anisotropy desirable.
  •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film is preferably thin, but if too thin, the strength is lowered and workability is lowered. If the thickness is too thick, transparency is reduced or the weight of the polarizing plate is increased.
  • this invention provides the image display apparatus containing the polarizing plate mentioned above.
  • the imag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the polarizing plate.
  • Nitrogen gas is refluxed, 76.5 parts by weight of n-butyl acrylate, 20 parts by weight of methyl acrylate, 2.0 parts by weight of 2-hydroxyethyl acrylate, cyanoacea in a 1 L reactor equipped with a cooling device for easy temperature control.
  • a monomer mixture consisting of 1.0 part by weight of oxyethyl methacrylate (see Formula 1-1) and 0.5 part by weight of acrylic acid, 100 parts by weight of ethyl acetate was added as a solvent. Nitrogen gas was then purged for 1 hour to remove oxygen and then held at 62 ° C.
  • Example 2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by varying the components and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following Table 1 to prepare an acrylic copolymer included in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s 2 to 7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4.
  • the acrylic copolymer, crosslinking agent, silane coupling agent, antistatic agent, etc. were mixed in the composition of Table 1, and then diluted to a concentration of 28% by weight to prepare pressure-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 Example 1 After attaching a 165 ⁇ m thick protective film on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20 ⁇ m, the adhesive composition of Example 1 was applied on the protective film to have a thickness of 23 ⁇ m, and dried at 100 ° C. for 1 minute for adhesion. The layer was formed to prepare the polarizing plate of Example 1.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was stored at 23 ° C. and 60% RH for a curing period (7 days).
  •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remaining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but were prepared in the thickness and composition of Table 1 below.
  • the polarizing plate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attached to a glass plate having an adhesion area of 1.0 cm ⁇ 1.0 cm and stored in an atmosphere of 23 ° C. and 60% RH for 24 hours. After storage, when the 1.0kgf force was applied at 23 ° C. and 85 ° C. for 1000 seconds, the pushed distance of the adhesive layer was measured by a texture analyzer (model: TA-XT plu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Indicated.
  • the specimens were fabricated by cutting the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adhesive layers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formed to a size of 90 mm ⁇ 170 mm, and attaching the optical absorption axes perpendicular to both surfaces of the glass substrate (110 mm ⁇ 190 mm ⁇ 0.7 mm).
  • the applied pressure was 5kg / cm2 and the clean room work so as not to generate bubbles or foreign matter.
  • the heat resistance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hether bubbles or peeling occurred after 1000 hours at 80 °C temperature, and the heat-resistant characteristics were bubbles or peeling after 1000 hours at 60 °C temperature and 90% RH conditions Was observed. At this time, it was observed after leaving for 24 hours at room temperature immediately before evaluating the state of the specimen.
  • the polarizing plate sheet resistance of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by a four-point method using a resistance measuring instrument (manufactured by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Loresta-GP, MCP-T610),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 the polarizing plates of the embodiments satisfying Equation 1 were evaluated to have excellent heat and moisture resistance even in a high temperature and high humidity environment without deterioration of conductivity, but in the case of the comparative examp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특정 수식을 만족하여, 가혹 조건(고온 및 다습)에서도 우수한 점착 내구성 및 신뢰성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는 액정셀과 상기 액정셀의 양면에 적층된 편광판을 포함하는 액정패널이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편광판은 요오드계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편광자와 상기 편광자의 양면을 보호하기 위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TAC)로 대표되는 보호필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의 일면에는 보호필름과 필요에 따라 표면보호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고, 다른 일면에는 보호필름,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층 및 이형필름이 순서대로 적층되는 다층 구조이다.
액정셀과의 접합을 위한 점착제는 내열성, 내습열성과 같은 내구성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하나, 이들의 물성을 만족시키기 위해 요구되는 점착제의 특성이 서로 상충되기 때문에 현재까지 이들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은 완전히 해결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3321호에는 점착제 조성물, 점착제 및 점착 시트가 개시되어 있으나, 상기 문제점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가혹 조건(고온 및 다습)에서도 우수한 점착 내구성 및 신뢰성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편광판:
[수학식 1]
(A/B)Ⅹ(C/D) > 1.0
(수학식 1 중, A는 상기 점착층의 두께이고, B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이며, C는 상기 점착층을 접착 면적이 1.0cmⅩ1.0cm인 유리판에 부착하고 23℃에서 1kgf의 하중을 1000초 동안 가했을 때 상기 점착층이 밀린 거리이고, D는 상기 점착층을 접착 면적이 1.0cmⅩ1.0cm인 유리판에 부착하고 85℃에서 1kgf의 하중을 1000초 동안 가했을 때 상기 점착층이 밀린 거리임).
2. 위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의 편광자가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적층된, 편광판.
3. 위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1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R3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2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3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4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5
이고, R4는 수소,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6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7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8
이고, X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09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0
이고, Y는 단일결합, 메틸렌기,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1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2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3
이고, R5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릴알킬기이고, R6, R7 또는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릴알킬기이며, *는 결합 부위임).
4. 위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5. 위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6. 위 5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7, 위 5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5중량부 이하로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8. 위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9. 위 8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10. 위 8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성 단량체를 1 내지 8중량부로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11. 위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12. 위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본 발명의 편광판은 가혹 조건(고온 및 다습)에서도 우수한 점착 내구성 및 신뢰성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포함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편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편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여, 가혹 조건(고온 및 다습)에서도 우수한 점착 내구성 및 신뢰성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가지는 점착층을 포함함으로써,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편광판은 편광자(10) 및 편광자(10)의 적어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20)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점착층(20)은 액정셀, 터치 패널 등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다른 기재를 편광판과 접합 또는 부착하기 위한 층일 수 있다.
편광자(10)는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및 건조하여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편광자(10)는 편광자 형성용 필름을 팽윤, 염색, 가교, 연신, 수세, 건조하는 등의 단계를 포함하는 공정에 따라 제조된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편광자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 형성용 필름은 이색성 물질, 즉 요오드에 의해 염색 가능한 필름이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수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탈염산 처리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필름,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필름, 셀룰로오스 필름, 이들의 부분적으로 검화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면내에서 편광도의 균일성을 강화하는 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요오드에 대한 염색 친화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폴리비닐알코올계 필름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로는 아세트산 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 비닐 이외에, 아세트산 비닐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아세트산 비닐에 공중합되는 다른 단량체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라면 제한이 없고, 구체적으로는,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이나 폴리비닐아세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85 내지 100 몰%이고, 바람직하게는 98 내지 100 몰% 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1,000 내지 10,000, 바람직하게는 중합도 1,500 내지 5,000 일 수 있다.
상기 편광자 형성용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5 내지 50㎛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 있을 때 박막 장치의 구현 및 기계적 내구성 향상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들에 따른 편광판은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한다.
[수학식 1]
(A/B)Ⅹ(C/D) > 1.0
수학식 1 중, A는 점착층(20)의 두께이고, B는 편광자(10)의 두께이며, C는 점착층(20)을 접착 면적이 1.0cmⅩ1.0cm인 유리판에 부착하고 23℃에서 1kgf의 하중을 1000초 동안 가했을 때 점착층(20)이 밀린 거리이고, D는 점착층(20)을 접착 면적이 1.0cmⅩ1.0cm인 유리판에 부착하고 85℃에서 1kgf의 하중을 1000초 동안 가했을 때 점착층(20)이 밀린 거리이다.
상기 밀린 거리는 상온 및 고온에서의 점착층의 유지력에 대한 수치로서,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편광판은 편광자(10)와 점착층(20)의 두께 및 상온, 고온에서의 점착층의 유지력이 최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실시예들의 편광판은 상온뿐만 아니라 고온, 다습한 가혹 조건에서도 내구성 및 신뢰성을 구현하면서 동시에 우수한 리워크성을 확보한 점착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광판의 기계적 물성 또한 동시에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밀린 거리는 예를 들면 점착층(20)을 형성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의 성분, 조성 등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점착층(20)은 편광자(10)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다. 예를 들면, 점착층(20)은 편광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적층 또는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점착층(20)은 편광판 상에 형성 또는 적층되어 편광판과 화상 표시 장치의 제조에 필요한 다른 기재와의 접착 또는 적층을 위해 형성되는 층일 수 있다.
또한, 점착층(20)은 편광자(10) 상에 직접 부착 또는 적층될 수 있으나, 편광자(10)와 점착층(20) 사이에 다른 기재가 개재되는 것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편광자(10) 및 점착층(20) 사이에 보호층, 반사층, 방현층, 위상차판, 광시야각 보상필름 및 휘도향상 필름 등의 추가기능을 제공하는 층이 1층 이상 개재 또는 적층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있어서, 점착층(20)은 점착제 조성물을 편광자 상에 도포하여 건조 또는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점착제 조성물은 전술한 수학식 1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4
상기 화학식 1 중,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R3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5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6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7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8
이고, R4는 수소,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19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0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1
이고, X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2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3
이고, Y는 단일결합, 메틸렌기,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4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5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6
이고, R5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릴알킬기이고, R6, R7 또는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릴알킬기이며, *는 결합 부위이다.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R3 또는 R4의 우수한 전자 흡인기(electron-withdrawing group)로 인해 친핵성도가 높은 알파탄소(α-carbon)가 생성될 수 있어 중합, 경화 시 추가적인 가교 반응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점착 시트에 우수한 내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내구성을 만족시킴과 동시에 리워크성이 저하되지 않아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편광판의 점착층 형성용으로서 매우 적합하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확보함에 있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1 중 R1은 수소 또는 메틸기일 수 있고, 입체 장애에 의한 가교 효율 저하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R2는 탄소수 1 내지 8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강한 전자 흡인기로 인해 알파 탄소의 친핵성도를 더욱 높인다는 측면에서 R3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7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8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29
일 수 있고, R4는 수소,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0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1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2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알파 탄소의 친핵성도를 높여 추가 가교 반응을 더욱 활성화 시키면서도 입체 장애로 인한 가교 효율 저하를 방지한다는 측면에서 R3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3
일 수 있고, R4는 수소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4
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 중 Y에 예시된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5
의 결합 부위와 관련하여, R2와 결합한 결합 부위의 위치는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Y와 인접한 알파 탄소의 친핵성도를 더 향상시킴으로써 추가적인 가교 반응을 더 촉진시킨다는 측면에서, 카보닐 탄소와 인접한 결합 부위에 R2가 결합 또는 연결되는 것이 좋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의 화학식 1-1 내지 화학식 1-4로 예시될 수 있다.
[화학식 1-1]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6
[화학식 1-2]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7
[화학식 1-3]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8
[화학식 1-4]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39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알킬기"는 직쇄형 또는 분지쇄형 알킬기를 포괄하며, "아릴기"는 하나의 수소 제거에 의해서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유도되며, 각 고리에 적절하게는 4 내지 7개, 바람직하게는 5 또는 6개의 고리원자를 포함하는 단일 또는 융합고리계를 포함하며, 다수개의 아릴이 단일결합으로 연결되어 있는 형태까지 포괄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면, 상기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8중량부로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0.1중량부 미만일 때는 점착 내구성, 신뢰성 및/또는 리워크성 향상 효과가 미미할 수 있고, 10중량부 초과일 때는 추가 가교 반응이 다소 지나치게 진행될 수 있어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점착 시트의 경도가 지나치게 높아질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외에도 추가적인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여기서 (메타)아크릴레이트는 아크릴레이트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를 의미한다.
상기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당분야의 점착제 조성물에 일반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일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메타)아크릴레이트, 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를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총 단량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77 내지 98.9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77중량부 미만인 경우 점착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이형필름 박리력 항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98.9중량부 초과인 경우 응집력이 저하되어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전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또는 추가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가교성 단량체로는 예컨대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및/또는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알킬렌기의 탄소수가 2-4인 히드록시알킬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5-히드록시펜틸비닐에테르, 6-히드록시헥실비닐에테르, 7-히드록시헵틸비닐에테르, 8-히드록시옥틸비닐에테르, 9-히드록시노닐비닐에테르, 10-히드록시데실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는 (메타)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3차부틸아크릴아미드, 3-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아미드,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아미드, 6-히드록시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8-히드록시옥틸(메타)아크릴아미드, 2-히드록시에틸헥실(메타)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메타)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 기준으로 0.0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중량부인 것이 좋다. 함량이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점착제의 응집력 및 내구성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단량체들 이외에 당분야에 공지된 다른 중합성 단량체가 점착력을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예컨대 10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전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함으로써 형성된 점착층 또는 점착 시트의 강도, 내구성 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당분야에 공지된 것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이 있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5중량부 이하로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중량부로 포함하여 중합된 것일 수 있다. 5중량부 초과이면, 산에 의한 설비 부식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괴상중합, 용액중합, 유화중합 또는 현탁중합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용액중합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통상 사용되는 용매, 중합개시제, 분자량 제어를 위한 연쇄이동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에 의해 측정된 중량평균분자량(폴리스티렌 환산, Mw)이 50만 내지 200만, 바람직하게 50만 내지 170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만 내지 170만인 것이 점착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 향상 측면에서 좋다.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교제는 밀착성 및 내구성을 더욱 개선하고, 고온에서의 신뢰성 및 점착제의 형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교제는 내구성 개선의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와 우수한 상용성을 가지며 형성된 점착층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2,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트리메틸올프로판 등의 다가 알콜계 화합물 1당량에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반응시킨 부가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을 자기 축합시킨 이소시아누레이트체,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3당량 중 2당량으로부터 얻어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 우레아에 나머지 1당량의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축합된 뷰렛체,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비스트리이소시아네이트 등의 3개의 관능기를 함유하는 다관능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이 내열, 내습열성을 더 향상시킨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가교제는 그 기능을 다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는 그 함량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5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함량이 0.1중량부 미만이면 부족한 가교도로 인해 응집력이 작게 되어 점착 내구성 및 절단성의 물성을 해칠 수 있으며, 10중량부 초과이면 과다 가교 반응에 의한 잔류 응력 완화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외에도 당분야에 공지된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에폭시계, 금속킬레이트계, 다관능 아크릴레이트계, 옥사졸린계 등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에 추가적으로 멜라민 유도체, 예를 들면, 헥사메티롤멜라민, 헥사메톡시메틸멜라민, 헥사부톡시메틸멜라민 등; 폴리에폭시 화합물, 예를 들면, 비스페놀 A와 에피클로로히드린 축합체형의 에폭시 화합물; 폴리옥시알킬렌폴리올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 디- 또는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및 테트라글리시딜크실렌디아민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가교제를 더 첨가하여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전방지제는 예를 들면, 이온성 대전방지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온성 대전방지제는 알칼리금속 양이온 및 오늄 양이온 중 1종 이상의 양이온 및 불소 함유 무기 음이온 및 및 불소 함유 유기 음이온 중 1종 이상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술한 다른 성분들과의 상용성, 내구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하다.
상기 알칼리금속 양이온은 리튬, 나트륨, 포타슘 또는 칼륨이고; 오늄 양이온은 4차 알킬암모늄, 피리디늄 또는 이미다졸늄이고; 불소 함유 무기 음이온이 BF4 -, PF6 - 또는 SbF6 -이고; 불소 함유 유기 음이온은 퍼플루오로알킬기를 포함하는 설포네이트이거나, 퍼플루오로알킬기 또는 플루오르기를 포함하는 설포닐이미드 음이온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대전방지제는 대전방지성 및 내구성을 동시에 확보한다는 측면에서 포타슘비스플루오르설포닐이미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킬암모늄, 퍼플루오로알킬기에서의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이온성 대전방지제의 함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다. 함량이 0.1 중량부 미만일 경우 대전방지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구성 확보가 곤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비닐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메틸트리에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프로필아민, N-페닐-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머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설파이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치환된 아세트아미드기 함유 실란등을 들 수 있으나, 내구성 과 리워크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는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1 내지 2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함량이 10중량부 초과인 경우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제 조성물은 용도에 따라 요구되는 점착력, 응집력, 점성, 탄성률, 유리전이온도 등을 조절하기 위하여, 점착성 부여 수지, 산화방지제, 부식방지제, 레벨링제, 표면윤활제, 소포제, 충전제, 광안정제, 반응 개시제, 용제 등의 첨가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점착층(20)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5 내지 50㎛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일 때 점착층(20)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의 내구성 및 박막 구현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자(10)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점착층(20)은 보호필름(30) 상에 적층 또는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보호필름(30)의 편광자(10)가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호필름(30)은 편광자(10) 및 점착층(20)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 또한, 보호필름(30)은 편광자의 일면 또는 양면에 접착된 것일 수 있다.
보호필름(30)은 투명성이 있는 플라스틱 필름이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투명성과 함께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보호필름(30)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부티릴셀룰로오스, 아세틸프로피오닐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필름;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필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필름; 폴리아미드 필름;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 폴리에테르술폰계 필름; 술폰계 필름;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필름;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탈 필름; 폴리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필름; 폴리우레탄, 에폭시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미연신(未延伸), 1축 또는 2축 연신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 투명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1축 또는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시클로올레핀계 필름이나, 투명성 및 광학적으로 이방성이 없다는 점에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이소부틸에스테르셀룰로오스 필름이 바람직하다.
보호필름(30)의 10 내지 200㎛일 수 있다. 보호필름의 두께는 얇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너무 얇으면 강도가 저하되어 가공성이 떨어지게 되며, 너무 두꺼우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편광판의 중량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상 표시 장치는 상기 편광판 외에 당 분야에 공지된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1) 아크릴계 공중합체의 제조
질소 가스가 환류되며, 온도 조절이 용이하도록 냉각장치를 설치한 1L의 반응기에 n-부틸아크릴레이트 76.5중량부, 메틸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시아노아세톡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화학식 1-1 참조) 1.0중량부 및 아크릴산 0.5중량부로 이루어진 단량체 혼합물을 투입한 후, 용제로 에틸아세테이트 100중량부를 투입하였다. 그 다음 산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질소 가스를 1시간 동안 퍼징한 후, 62℃로 유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반응 개시제로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AIBN) 0.07중량부를 투입하고, 8시간 동안 반응시켜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중량평균분자량 약 146만)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하기 표 1에 따라 성분 및 조성을 달리하여 실시예 2 내지 7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점착제 조성물에 포함되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2) 점착제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아크릴계 공중합체, 가교제, 실란커플링제, 대전방지제 등을 혼합한 후, 28중량%의 농도로 희석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점착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4) 편광판의 제조
두께가 20㎛인 폴리비닐알코올 편광자 상에 165㎛ 두께의 보호필름을 부착한 후, 상기 보호필름 상에 실시예 1의 점착제 조성물을 두께가 23㎛가 되도록 도포하고 100℃에서 1분간 건조하여 점착층을 형성하여 실시예 1의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편광판을 23℃, 60%RH 조건에서 양생 기간(7일) 동안 보관하였다.
나머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은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되, 하기 표 1의 두께 및 조성으로 제조되었다.
(5) 점착층의 밀린 거리의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을 접착 면적 1.0cm × 1.0cm의 유리판에 부착하고 23℃, 60% RH의 분위기에 24시간 보관하였다. 보관 후 23℃ 및 85℃ 에서 1.0kgf의 힘을 1000초 동안 가하였을 때 점착층의 밀린 거리를 Texture analyzer(stable micro system 社, 모델명: TA-XT plus)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12304-appb-T000001
실험예
(1) 내구성(내열, 내습열)
실시예 및 비교예들의 점착층이 형성된 편광판을 90㎜×170㎜ 크기로 절단하고 유리 기판(110㎜×190㎜×0.7㎜)의 양면에 광학 흡수축이 직교하도록 부착하여 시편을 제작하였다. 이때, 가해진 압력은 5㎏/㎠이며 기포나 이물이 생기지 않도록 크린룸 작업을 하였다. 내열 특성은 80℃의 온도에서 1000시간 동안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고, 내습열 특성은 60℃의 온도 및 90%RH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방치한 후에 기포나 박리의 발생 여부를 관찰하였다. 이때, 시편의 상태를 평가하기 직전에 상온에서 24시간 방치한 후 관찰하였다.
<평가 기준>
ⓞ: 기포나 박리 없음.
○: 기포나 박리 < 5개
△: 5개 ≤ 기포나 박리 < 10개
×: 10개 ≤ 기포나 박리
(2) 전도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편광판 면저항을 저항측정기(미쓰비시케미컬 사 제조, Loresta-GP, MCP-T610)를 이용하여 4점법(4 point-probe)방식으로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그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12304-appb-T000002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상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실시예들의 편광판은 전도성이 저하되지 않으면서도 고온, 고습의 환경에서도 내열, 내습열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비교예의 경우 그렇지 않았다.
[부호의 설명]
10: 편광자 20: 점착층
30: 보호필름

Claims (12)

  1.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점착층을 포함하고,
    하기 수학식 1을 만족하는, 편광판:
    (A/B)Ⅹ(C/D) > 1.0
    (수학식 1 중, A는 상기 점착층의 두께이고, B는 상기 편광자의 두께이며, C는 상기 점착층을 접착 면적이 1.0cmⅩ1.0cm인 유리판에 부착하고 23℃에서 1kgf의 하중을 1000초 동안 가했을 때 상기 점착층이 밀린 거리이고, D는 상기 점착층을 접착 면적이 1.0cmⅩ1.0cm인 유리판에 부착하고 85℃에서 1kgf의 하중을 1000초 동안 가했을 때 상기 점착층이 밀린 거리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적층된 보호필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점착층은 상기 보호필름의 편광자가 접착된 면의 반대면에 적층된, 편광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여 중합된 아크릴계 공중합체 및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로 형성된, 편광판:
    [화학식 1]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0
    (식 중, R1은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3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이고, R3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1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2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3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4
    이고, R4는 수소,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5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6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7
    이고, X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8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49
    이고, Y는 단일결합, 메틸렌기,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50
    ,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51
    또는
    Figure PCTKR2017012304-appb-I000052
    이고, R5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릴알킬기이고, R6, R7 또는 R8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2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2의 알케닐기, 탄소수 6 내지 20의 아릴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2의 아릴알킬기이며, *는 결합 부위임).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는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숙신산, 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메타)아크릴로일옥시에틸테트라히드로프탈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카르복실기 함유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5중량부 이하로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가교성 단량체를 더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가교성 단량체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단량체 또는 아미드기를 갖는 단량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편광판.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는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성 단량체를 1 내지 8중량부로 포함하여 중합된, 편광판.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이온성 대전방지제를 더 포함하는, 편광판.
  12. 청구항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CT/KR2017/012304 2017-03-31 2017-11-02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WO2018182120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867 2017-03-31
KR1020170041867A KR101996835B1 (ko) 2017-03-31 2017-03-31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82120A1 true WO2018182120A1 (ko) 2018-10-04

Family

ID=6367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2304 WO2018182120A1 (ko) 2017-03-31 2017-11-02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96835B1 (ko)
TW (1) TW201837138A (ko)
WO (1) WO2018182120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7501A (ja) * 1998-02-02 1999-08-10 Toyo Ink Mfg Co Ltd 水性硬化性樹脂組成物
US6281310B1 (en) * 1996-03-26 2001-08-28 Chemence, Inc. Methacrylated or acrylated cyanoacetates and the adhesives and polymers thereof
CN101830827A (zh) * 2010-01-27 2010-09-15 容大油墨(惠州)有限公司 α-重氮-1,3-二酮类化合物及由其制备的感光高分子聚合物
KR20130038129A (ko) * 2011-10-07 2013-04-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50041A (ko) * 2011-11-07 2013-05-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60089348A (ko) * 2013-11-22 2016-07-27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형 광학 필름 및 적층체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2338B2 (ja) 2010-03-12 2014-07-16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粘着剤組成物、粘着剤および粘着シート
KR20150141448A (ko) * 2014-06-10 2015-12-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대전 방지성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편광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81310B1 (en) * 1996-03-26 2001-08-28 Chemence, Inc. Methacrylated or acrylated cyanoacetates and the adhesives and polymers thereof
JPH11217501A (ja) * 1998-02-02 1999-08-10 Toyo Ink Mfg Co Ltd 水性硬化性樹脂組成物
CN101830827A (zh) * 2010-01-27 2010-09-15 容大油墨(惠州)有限公司 α-重氮-1,3-二酮类化合物及由其制备的感光高分子聚合物
KR20130038129A (ko) * 2011-10-07 2013-04-1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20130050041A (ko) * 2011-11-07 2013-05-15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60089348A (ko) * 2013-11-22 2016-07-27 소켄 케미칼 앤드 엔지니어링 캄파니, 리미티드 광학 필름용 점착제 조성물, 점착형 광학 필름 및 적층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835B1 (ko) 2019-07-05
KR20180111227A (ko) 2018-10-11
TW201837138A (zh)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9091162A2 (ko) 아크릴계 점착제 조성물
WO2012128596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0120105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095064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3035977A1 (ko) 위상차 점착필름,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부재
WO2012128597A2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602189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204253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1152616A2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6099187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4196766A1 (ko)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를 함유한 점착제 조성물 및 편광판
WO2016171389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5199379A1 (ko) 초박형 편광판 및 이를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8182120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KR101783209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832702B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WO201501252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09946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8159921A1 (ko) 점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6108460A1 (ko) 편광판용 점착제 조성물
WO2014196765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7065458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WO2015020322A1 (ko) 점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편광판
WO2018056743A1 (ko) 점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903061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